KR102647626B1 - 송신 방법,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송신 방법,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626B1
KR102647626B1 KR1020237040208A KR20237040208A KR102647626B1 KR 102647626 B1 KR102647626 B1 KR 102647626B1 KR 1020237040208 A KR1020237040208 A KR 1020237040208A KR 20237040208 A KR20237040208 A KR 20237040208A KR 102647626 B1 KR102647626 B1 KR 102647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ymbol
transmission
time
symbol group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0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3586A (ko
Inventor
유타카 무라카미
요시오 우라베
도모히로 기무라
미키히로 오우치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0276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7011689A/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ublication of KR20230163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3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6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79Formats for contro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34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2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with preamble design, i.e. with negotiation of the synchronisation sequence with transmitter or sequence linked to the algorithm used at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2011/0003Combination with other multiplexing techniques
    • H04J2011/0016Combination with other multiplexing techniques with FDM/FDMA and TDM/T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송신 방법은, 복수의 OFDM 심벌을 이용하여, 복수의 송신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할당하여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 구성 단계와,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포함한다. 복수의 영역의 각각은, 복수의 시간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와 복수의 주파수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로 규정된다. 프레임은, 프리앰블이 전송되는 제1 기간과, 시분할 및 주파수 분할을 병용하여 복수의 송신 데이터가 전송되는 제2 기간을 포함한다. 제2 기간은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영역은, 제1 송신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심벌과, 제1 송신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심벌에 후속하는 제2 송신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심벌과, 제2 송신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심벌에 후속하는 더미 심벌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신 방법,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RECEPTION DEVICE}
본 개시는 송신 방법,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이용하는 디지털 방송 규격으로서 예를 들면, DVB-T2 규격이 있다(비특허문헌 5 참조).
DVB-T2 규격 등의 디지털 방송에서는,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시분할에 의해 다중화한 프레임이 구성되고, 프레임 단위로 데이터가 송신된다.
R. G. Gallager, "Low-density parity-check codes," IRE Trans. Inform. Theory, IT-8, pp-21-28, 1962. "Performance analysis and design optimization of LDPC-coded MIMO OFDM systems" IEEE Trans. Signal Processing., vol.52, no.2, pp.348-361, Feb. 2004. C. Douillard, and C.Berrou, "Turbo codes with rate-m/(m+1) constituent convolutional codes," IEEE Trans.Commun., vol.53, no.10, pp.1630-1638, Oct. 2005. C.Berrou, "The ten-year-old turbo codes are entering into service", IEEE Communication Magazine, vol.41, no.8, pp.110-116, Aug. 2003. DVB DocumentA122, Frame structure, channel coding and modulation for a second generation 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DVB-T2), June 2008. D. J. C. Mackay, "Good error-correcting codes based on very sparse matrices," IEEE Trans.Inform.Theory, vol.45, no. 2, pp 399 - 431, March 1999. S. M.Alamouti, "A simple transmit diversity technique for wireless communications,"IEEE J.Select.Areas Commun., vol.16, no.8, pp.1451-1458, Oct 1998. V.Tarokh, H.Jafrkhani, andA. R. Calderbank, "Space-time block cod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 Performance results, "IEEE J. Select.Areas Commun., vol.17, no.3, no.3, pp.451―460, March 1999.
유연한 프레임 구성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송신 방법,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된 일 양태의 송신 방법은,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이용하여, 복수의 송신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할당하여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 구성 단계와,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포함한다. 복수의 영역의 각각은, 복수의 시간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와, 복수의 주파수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로 규정된다. 프레임은, 프레임의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리앰블이 전송되는 제1 기간과, 시분할 및 주파수 분할을 병용하여 복수의 송신 데이터가 전송되는 제2 기간을 포함한다. 제2 기간은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영역은, 제1 송신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심벌과 제1 송신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심벌에 후속하는 제2 송신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심벌과 제2 송신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심벌에 후속하는 더미 심벌을 포함한다.
본 개시된 일 양태의 수신 방법은, 수신 단계와 프리앰블 처리 단계와 복조 단계를 포함한다. 수신 단계는, 프리앰블이 전송되는 제1 기간과, 시분할 및 주파수 분할을 병용하여 복수의 송신 데이터가 전송되는 제2 기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 프레임은, 복수의 송신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할당하여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영역의 각각은, 복수의 시간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와, 복수의 주파수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로 규정된다. 프리앰블 처리 단계는, 프리앰블로부터 프레임의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복조 단계는,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제2 기간에 송신된 복수의 송신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복조한다.
본 개시된 일 양태의 송신 장치는,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이용하여, 복수의 송신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할당하여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 구성부와,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영역의 각각은, 복수의 시간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와 복수의 주파수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로 규정된다. 프레임은, 프레임의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리앰블이 전송되는 제1 기간과, 시분할 및 주파수 분할을 병용하여 복수의 송신 데이터가 전송되는 제2 기간을 포함한다. 제2 기간은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영역은, 제1 송신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심벌과, 제1 송신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심벌에 후속하는 제2 송신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심벌과, 제2 송신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심벌에 후속하는 더미 심벌을 포함한다.
본 개시된 일 양태의 수신 장치는, 수신부와 프리앰블 처리부와 복조부를 포함한다. 수신부는, 프리앰블이 전송되는 제1 기간과, 시분할 및 주파수 분할을 병용하여 복수의 송신 데이터가 전송되는 제2 기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 프레임은, 복수의 송신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할당하여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영역의 각각은, 복수의 시간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와 복수의 주파수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로 규정된다. 프리앰블 처리부는, 프리앰블로부터 프레임의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복조부는,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제2 기간에 송신된 복수의 송신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복조한다.
본 개시에 따른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에 의하면, 유연한 프레임 구성에서의 통신이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높은 데이터 전송 효율을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수신 장치는,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송신 장치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시공간 블럭 부호를 이용한 전송 방법을 행하는 경우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시공간 블럭 부호를 이용한 전송 방법을 행하는 경우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MIMO 방식을 이용한 전송 방법을 행하는 경우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MIMO 방식을 이용한 전송 방법을 행하는 경우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MIMO 방식을 이용한 전송 방법을 행하는 경우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MIMO 방식을 이용한 전송 방법을 행하는 경우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MIMO 방식을 이용한 전송 방법을 행하는 경우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MIMO 방식을 이용한 전송 방법을 행하는 경우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MIMO 방식을 이용한 전송 방법을 행하는 경우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MIMO 방식을 이용한 전송 방법을 행하는 경우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MIMO 방식을 이용한 전송 방법을 행하는 경우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심벌의 배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심벌의 배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심벌의 배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심벌의 배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심벌의 배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수신 장치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1은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2는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4는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5는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6은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7은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8은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
도 39는 심벌의 배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0은 심벌의 배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1은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2는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3은 심벌의 배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4는 심벌의 배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5는 주파수 방향 및 시간 방향의 영역 분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6은 심벌의 배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7은 시간 방향의 영역 분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8은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9는 제어 심벌의 배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0은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1은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2는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3은 제어 심벌의 배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4는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5는 심벌의 배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6은 심벌의 배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7은 송신국과 단말의 관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8은 송신 장치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9는 심벌의 배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0은 심벌의 배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1은 송신 장치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2는 MIMO 시스템의 개요도.
도 63은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4는 더미 심벌(더미 슬롯)의 삽입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5는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6은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7은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8은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지시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9는 프레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0은 프레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1은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지시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2는 기지국과 단말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3은 기지국과 단말의 통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4는 기지국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5는 단말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6은 기지국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7은 기지국의 데이터 심벌군 생성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8은 단말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9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0은 데이터 심벌군의 시간적인 경계, 또는, 주파수적인 경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1은 데이터 심벌군의 시간적인 경계, 또는, 주파수적인 경계의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2는 기지국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3은 기지국의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4는 데이터 심벌군 #N용 인터리버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5는 데이터 심벌군 #N용 인터리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6은 기지국의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7은 기지국의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8은 캐리어 정렬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9는 기지국의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0은 기지국의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1은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2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3은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4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5는 기지국과 복수의 단말과 통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6은 데이터 심벌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7은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8은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9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0은 변조 신호의 프레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1은 변조 신호의 프레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2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3은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4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5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6은 송신 안테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7은 수신 안테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공간 다중 MIMO 방식)
멀티 안테나를 이용한 통신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로 불리는 통신 방법이 있다.
MIMO로 대표되는 멀티 안테나 통신에서는, 1 이상의 계열의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고, 각 변조 신호를 상이한 안테나로부터 동일 주파수(공통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동시에 송신함으로써,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높이거나 및/또는, (단위 시간 당) 데이터의 통신 속도를 높이거나 할 수 있다.
도 62는, 공간 다중 MIMO 방식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MIMO 방식은, 송신 안테나수 2(TX1, TX2), 수신 안테나수 2(RX1, RX2), 송신 변조 신호(송신 스트림) 수 2일 때의 송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송신 장치는, 신호 생성부, 및, 무선 처리부를 가지고 있다. 신호 생성부는, 데이터를 통신로 부호화하고, MIMO 프리코딩 처리를 행하며, 동일 주파수(공통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동시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2개의 송신 신호 z1(t) 및 z2(t)를 생성한다. 무선 처리부는, 필요에 따라서 개개의 송신 신호를 주파수 방향으로 다중화하고, 즉, 멀티 캐리어화(예를 들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하고, 또, 수신 장치가 전송로 왜곡이나 주파수 오프셋, 위상 변형 등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파일럿 신호를 삽입한다. 단, 파일럿 신호는, 다른 변형 등을 추정해도 되고, 또, 파일럿 신호를, 수신 장치는, 신호 검출을 위해서 이용해도 된다. 또한, 파일럿 신호의 수신 장치에서의 사용 형태는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송신 안테나는, 2개의 안테나(TX1 및 TX2)를 이용하여 z1(t) 및 z2(t)를 송신한다.
수신 장치는, 수신 안테나(RX1 및 RX2), 무선 처리부, 채널 변동 추정부, 및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수신 안테나(RX1)는, 송신 장치의 2개의 송신 안테나(TX1 및 TX2)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채널 변동 추정부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변동값을 추정하고, 채널 변동의 추정값을 신호 처리부에 공급한다. 신호 처리부는, 2개의 수신 안테나로 수신한 신호로 추정된 채널값에 의거하여, z1(t) 및 z2(t)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복원하고, 이것을 1개의 수신 데이터로서 얻는다. 단, 수신 데이터는 「0」 「1」의 경판정값이어도 되고, 대수 우도 또는 대수 우도비 등의 연판정값이어도 된다.
또, 부호화 방법으로서 터보 부호(예를 들면, Duo-Binary Turbo codes)나, LDPC(Low-Density Parity-Check) 부호 등의 여러 가지의 부호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비특허문헌 6 등).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예를 들면, 방송국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이다.
데이터 생성부(102)는, 송신 데이터(10801), 제어 신호(109)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09)에 포함되는 오류 정정 부호화의 정보, 변조 방식의 정보 등의 정보에 의거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 변조 방식에 의거한 맵핑을 행하고, 데이터 전송용의 (직교)베이스 밴드 신호(103)를 출력한다.
제2 프리앰블 생성부(105)는, 제2 프리앰블용 송신 데이터(104), 제어 신호(109)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09)에 포함되는 제2 프리앰블용의 오류 정정의 정보, 변조 방식의 정보 등의 정보에 의거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 변조 방식에 의거한 맵핑을 행하고, 제2 프리앰블의 (직교)베이스 밴드 신호 106를 출력한다.
제어 신호 생성부(108)는, 제1 프리앰블용의 송신 데이터(107), 제2 프리앰블용 송신 데이터(104)를 입력으로 하고, 각 심벌의 송신 방법의 정보를 제어 신호(109)로서 출력한다. 각 심벌의 송신 방법은, 예를 들면, 오류 정정 부호,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 변조 방식, 블럭 길이, 프레임 구성, 규칙적으로 프리코딩 행렬을 전환하는 송신 방법을 포함하는 선택한 송신 방법, 파일럿 심벌 삽입 방법,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또는, 역푸리에 변환)/FFT(Fast Fourier Transform)(또는, 푸리에 변환)의 정보 등, PAPR(Peak to Average Power Ratio) 삭감 방법의 정보, 가이드 인터벌 삽입 방법의 정보이다.
프레임 구성부(110)는, 데이터 전송용의 (직교)베이스 밴드 신호(103), 제2 프리앰블의 (직교)베이스 밴드 신호 106, 제어 신호(109)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에 의거하여, 주파수, 시간축에 있어서의 정렬을 실시하고, 프레임 구성에 따른, 스트림 1의 (직교)베이스 밴드 신호(111_1), 스트림 2의 (직교)베이스 밴드 신호(111_2)를 출력한다. 스트림 1의 (직교)베이스 밴드 신호(111_1)는 맵핑 후의 신호, 즉, 사용하는 변조 방식에 의거한 베이스 밴드 신호이며, 스트림 2의 (직교)베이스 밴드 신호(111_2)는, 맵핑 후의 신호, 즉, 사용하는 변조 방식에 의거한 베이스 밴드 신호이다.
신호 처리부(112)는, 스트림 1의 베이스 밴드 신호(111_1), 스트림 2의 베이스 밴드 신호(111_2), 제어 신호(109)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09)에 포함되는 송신 방법에 의거한 신호 처리 후의 변조 신호 1(113_1) 및 신호 처리 후의 변조 신호 2(113_2)를 출력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에서는, 예를 들면, 프리코딩, 위상 변경을 이용한 MIMO 전송 방식(여기에서는, MIMO 방식이라고 이름 붙인다), 시공간 블럭 부호(주파수-공간 블럭 부호)를 이용한 MISO(Multiple-Input Single-Output) 전송 방식(여기에서는, MISO 방식이라고 이름 붙인다), 하나의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SISO(Single-Input Single-Output) 전송 방식, 또는, SIMO(Single-Input Multiple-Output) 전송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단, SISO 방식, SIMO 방식에 있어서, 하나의 스트림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경우도 있다. 신호 처리부(112)의 동작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MIMO 전송 방식은, 위상 변경을 실시하지 않는 MIMO 전송 방식이어도 된다.
파일럿 삽입부(114_1)는, 신호 처리 후의 변조 신호 1(113_1), 제어 신호(109)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09)에 포함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 방법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신호 처리 후의 변조 신호 1(113_1)에 파일럿 심벌을 삽입하고, 파일럿 심벌 삽입 후의 변조 신호(115_1)를 출력한다.
파일럿 삽입부(114_2)는, 신호 처리 후의 변조 신호 2(113_2), 제어 신호(109)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09)에 포함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 방법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신호 처리 후의 변조 신호 2(113_2)에 파일럿 심벌을 삽입하고, 파일럿 심벌 삽입 후의 변조 신호(115_2)를 출력한다.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부(116_1)는, 파일럿 심벌 삽입 후의 변조 신호(115_1), 제어 신호(109)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09)에 포함되는 IFFT의 방법의 정보에 의거하여, IFFT를 실시하고, IFFT 후의 신호(117_1)를 출력한다.
IFFT부(116_2)는, 파일럿 심벌 삽입 후의 변조 신호(115_2), 제어 신호(109)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09)에 포함되는 IFFT의 방법의 정보에 의거하여, IFFT를 실시하고 IFFT 후의 신호(117_2)를 출력한다.
PAPR 삭감부(118_1)는, IFFT 후의 신호(117_1), 제어 신호(109)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09)에 포함되는 PAPR 삭감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IFFT 후의 신호(117_1)에 PAPR 삭감을 위한 처리를 실시하고, PAPR 삭감 후의 신호(119_1)를 출력한다.
PAPR 삭감부(118_2)는, IFFT 후의 신호(117_2), 제어 신호(109)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09)에 포함되는 PAPR 삭감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IFFT 후의 신호(117_2)에 PAPR 삭감을 위한 처리를 실시하고, PAPR 삭감 후의 신호(119_2)를 출력한다.
가이드 인터벌 삽입부(120_1)는, PAPR 삭감 후의 신호(119_1), 제어 신호(109)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09)에 포함되는 가이드 인터벌의 삽입 방법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PAPR 삭감 후의 신호(119_1)에 가이드 인터벌을 삽입하여 가이드 인터벌 삽입 후의 신호(121_1)를 출력한다.
가이드 인터벌 삽입부(120_2)는, PAPR 삭감 후의 신호(119_2), 제어 신호(109)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09)에 포함되는 가이드 인터벌의 삽입 방법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PAPR 삭감 후의 신호(119_2)에 가이드 인터벌을 삽입하여 가이드 인터벌 삽입 후의 신호(121_2)를 출력한다.
제1 프리앰블 삽입부(122)는, 가이드 인터벌 삽입 후의 신호(121_1), 가이드 인터벌 삽입 후의 신호(121_2), 제1 프리앰블용의 송신 데이터(107)를 입력으로 하고, 제1 프리앰블용의 송신 데이터(107)로부터 제1 프리앰블의 신호를 생성하며, 가이드 인터벌 삽입 후의 신호(121_1)에 대해, 제1 프리앰블을 부가하고, 제1 프리앰블을 부가한 후의 신호(123_1)와 및, 가이드 인터벌 삽입 후의 신호(121_2)에 대해, 제1 프리앰블을 부가하며, 제1 프리앰블을 부가한 후의 신호(123_2)를 출력한다. 또한, 제1 프리앰블의 신호는, 제1 프리앰블을 부가한 후의 신호(123_1), 제1 프리앰블을 부가한 후의 신호(123_2) 양자에 부가되어 있어도 되고, 또, 어느 한쪽에 부가되어 있어도 된다. 일방에 부가되어 있는 경우, 부가되어 있는 신호의 부가되어 있는 구간에서는, 부가되어 있지 않은 신호에는, 베이스 밴드 신호로서 제로의 신호가 존재하게 된다.
무선 처리부(124_1)는, 제1 프리앰블을 부가한 후의 신호(123_1)를 입력으로 하고, 주파수 변환, 증폭 등의 처리가 실시되어 송신 신호(125_1)를 출력한다. 그리고, 송신 신호(125_1)는 안테나 126_1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무선 처리부(124_2)는, 제1 프리앰블을 부가한 후의 신호(123_2)를 입력으로 하고, 주파수 변환, 증폭 등의 처리가 실시되어 송신 신호(125_2)를 출력한다. 그리고, 송신 신호(125_2)는 안테나 126_2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술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프리코딩, 위상 변경을 이용한 MIMO 전송 방식, 시공간 블럭 부호(Space Time Block codes)(또는, 주파수-공간 블럭 부호(Space Frequency Block codes))를 이용한 MISO(Multiple-Input Single-Output) 전송 방식, SISO(Single-Input Single-Output) 전송 방식 또는, SIMO(Single-Input Single-Output) 전송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자세한 것은 다음에 설명한다).
도 2부터 도 6은, 상술에서 설명한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예이다. 이하에서는, 각 프레임 구성의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제1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OFDM 방식 등의 멀티 캐리어를 이용한 전송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하기 때문에, 세로축 주파수에 있어서, 복수의 캐리어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의 201은 제1 프리앰블, 202는 제2 프리앰블, 203은 데이터 심벌군 #1, 204는 데이터 심벌군 #2, 205는 데이터 심벌군 #3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데이터 심벌군에 대해 설명한다.
영상 및/또는 오디오 스트림마다 데이터 심벌군을 할당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영상 및/또는 오디오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심벌이 데이터 심벌군 #1(203), 제2 영상 및/또는 오디오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심벌이 데이터 심벌군 #2(204), 제3 영상 및/또는 오디오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심벌이 데이터 심벌군 #3(205)이 된다. 이 점에 대해서는, 도 2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도 3, 도 4, 도 5, 도 6에서도 동일하다. 이 점에 대해서는, 도 2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도 3, 도 4, 도 5, 도 6에서도 동일하다.
또, 예를 들면, DVB-T2(a second generation 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등의 규격에 있어서의 PLP(Physical Layer Pipe)를 데이터 심벌군이라고 이름 붙여도 된다. 즉, 도 2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1(203)을 PLP#1, 데이터 심벌군 #2(204)를 PLP#2, 데이터 심벌군 #3(205)을 PLP#3이라고 이름 붙여도 된다. 이 점에 대해서는, 도 2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도 3, 도 4, 도 5, 도 6에서도 동일하다.
제1 프리앰블(201), 제2 프리앰블(202)에는, 주파수 동기, 시간 동기를 행하기 위한 심벌, 예를 들면, 송수신기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 평면에 있어서, 신호점 배치가 기지(旣知)가 되는 PSK(Phase Shift Keying)의 심벌, 수신 장치가 채널 변동을 추정하기 위한 파일럿 심벌, 예를 들면, 송수신기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 평면에 있어서, 신호점 배치가 기지가 되는 PSK(Phase Shift Keying)의 심벌, 각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 정보(SISO 방식, MISO 방식, MIMO 방식을 식별하는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심벌, 각 데이터 심벌군의 오류 정정 부호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부호 길이, 부호화율)를 전송하기 위한 심벌, 각 데이터 심벌의 변조 방식에 관한 정보(MISO 방식, 또는, MIMO 방식의 경우, 복수의 스트림이 존재하기 때문에, 복수의 변조 방식이 지정된다)를 전송하기 위한 심벌, 제1 및 제2 프리앰블의 송신 방법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심벌, 제1 및 제2 프리앰블의 오류 정정 부호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심벌, 제1 및 제2 프리앰블의 변조 방식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심벌, 파일럿 심벌의 삽입 방법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심벌, PAPR 억압의 방법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심벌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점에 대해서는, 도 2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도 3, 도 4, 도 5, 도 6에서도 동일하다.
도 2의 특징적인 점은, 데이터 심벌군이, 시간 분할되어 전송되고 있는 점이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에는, 파일럿 심벌이나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심벌이 삽입되어 있어도 된다. 또, 데이터 심벌군은 MIMO(전송) 방법 및 MISO(전송) 방법에 의거한 심벌군이기도 하다. 당연하지만, 데이터 심벌군은, SISO(SIMO) 방식의 심벌군이어도 된다. 이 경우, 동일 시각, 동일(공통) 주파수에서는, 복수의 스트림(다음에 설명하는 s1, s2)이 송신되게 된다. 이 경우, 동일 시각, 동일(공통) 주파수에서는, 복수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상이한) 안테나로부터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이 점에 대해서는, 도 2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 3, 도 4, 도 5, 도 6에서도 동일하다.
다음에, 도 3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제2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OFDM 방식 등의 멀티 캐리어를 이용한 전송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하기 때문에, 세로축 주파수에 있어서, 복수의 캐리어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도 2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도 2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으로 한다.
도 3에 있어서 특징적인 점은, 데이터 심벌군 #2(204)과 데이터 심벌군 #3(205)의 (시간적)사이에 제1 프리앰블(301)과 제2 프리앰블(302)이 삽입되어 있는 점이다. 즉, 「제1 프리앰블, 제2 프리앰블, 데이터 심벌군」으로 형성되는 심벌군을 그룹이라고 이름 붙였을 때, 제1 프리앰블, 제2 프리앰블, 데이터 심벌군 #1, 데이터 심벌군 #2를 포함하는 제1 그룹과 제1 프리앰블, 제2 프리앰블, 데이터 심벌군 #3을 포함하는 제2 그룹이 존재하고, 제1 그룹이 포함하는 데이터 심벌군과 제2 그룹이 포함하는 데이터 심벌군의 구성이 상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1에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와 데이터 심벌군 #2에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의 부호화의 압축률이 상이하지만, 동일한 「영상 및/또는 오디오」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수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군 #1을 복조할지, 데이터 심벌군 #2를 복조할지」를 선택한다고 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원하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를 높은 품질로 얻을 수 있고, 또한 이 때, 프리앰블을 공통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정보의 전송 효율을 높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단, 이것에 따르지 않고, 데이터 심벌군 #1에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는, 데이터 심벌군 #2에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와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또, 데이터 심벌군 #1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방법과 데이터 심벌군 #2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방법을 동일하게 하고, 데이터 심벌군 #3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방법과 데이터 심벌군 #1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방법(데이터 심벌군 #2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방법)을 상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후에 설명하지만, 데이터 심벌군에는 파일럿 심벌이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 파일럿 심벌의 삽입 방법은, 송신 방법에 따라 상이하다. 또한,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수가 상이한 것이 있으므로, 송신 방법마다, 데이터 심벌군을 정리하는 것에 의해서 파일럿 심벌 삽입에 의한, 전송 효율의 저하를 막을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다음에, 도 4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제3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OFDM 방식 등의 멀티 캐리어를 이용한 전송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하기 때문에, 세로축 주파수에 있어서, 복수의 캐리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도 2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도 2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으로 한다.
도 4에 있어서 특징적인 점은, 데이터 심벌군 #1과 데이터 심벌군 #2가 주파수 분할되고 있고, 더하여 「데이터 심벌군 #1(401_1) 및 데이터 심벌군 #2(402)」과「데이터 심벌군 #3(403)」이 시간 분할되고 있는 점이다. 즉, 데이터 심벌군은 주파수 분할과 시간 분할의 병용함으로써 전송되게 된다.
다음에, 도 5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제4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OFDM 방식 등의 멀티 캐리어를 이용한 전송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하기 때문에, 세로축 주파수에 있어서, 복수의 캐리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도 2, 도 4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도 2, 도 4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으로 한다.
도 5에 있어서 특징적인 점은, 도 4와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군 #1과 데이터 심벌군 #2가 주파수 분할되고 있고, 더하여 「데이터 심벌군 #1(401_1) 및 데이터 심벌군 #2(402)」과 「데이터 심벌군 #3(403)」가 시간 분할되고 있는 점이다. 즉, 데이터 심벌군은, 주파수 분할과 시간 분할의 병용함으로써 전송되게 된다.
더하여, 도 5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1(401_1, 401_2) 및 데이터 심벌군 #2(402)」과 데이터 심벌군 #3(403)의 (시간적)사이에 제1 프리앰블(301)과 제2 프리앰블(302)이 삽입되고 있는 점이다. 즉, 「제1 프리앰블, 제2 프리앰블, 데이터 심벌군」으로 형성되는 심벌군을 그룹이라고 이름붙였을 때, 제1 프리앰블, 제2 프리앰블, 데이터 심벌군 #1, 데이터 심벌군 #2를 포함하는 제1 그룹과, 제1 프리앰블, 제2 프리앰블, 데이터 심벌군 #3을 포함하는 제2 그룹이 존재하고, 제1 그룹이 포함하는 데이터 심벌군과 제2 그룹이 포함하는 데이터 심벌군의 구성이 상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1에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와 데이터 심벌군 #2에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의 부호화의 압축률이 상이하지만, 동일한 「영상 및/또는 오디오」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수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군 #1을 복조할지, 데이터 심벌군 #2를 복조할지」를 선택한다고 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원하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를 높은 품질로 얻을 수 있고, 또한 이 때, 프리앰블을 공통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정보의 전송 효율을 높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단, 이것에 따르지 않고, 데이터 심벌군 #1에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는, 데이터 심벌군 #2에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와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또, 데이터 심벌군 #1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방법과 데이터 심벌군 #2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방법을 동일하게 하고, 데이터 심벌군 #3을 송신하기 위한 전송 방법과 데이터 심벌군 #1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방법(데이터 심벌군 #2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방법)을 상이하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후에서 설명하지만, 데이터 심벌군에는 파일럿 심벌이 삽입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 파일럿 심벌의 삽입 방법은, 송신 방법에 따라 상이하다. 또한,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수가 상이한 일이 있기 때문에, 송신 방법마다 데이터 심벌군을 정리함으로써, 파일럿 심벌 삽입에 의한, 전송 효율의 저하를 막을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다음에, 도 6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제5 프레임 구성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OFDM 방식 등의 멀티 캐리어를 이용한 전송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하기 때문에, 세로축 주파수에 있어서, 복수의 캐리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도 2, 도 4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도 2, 도 4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으로 한다.
도 6에 있어서 특징적인 점은, 도 4, 도 5와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군 #1과 데이터 심벌군 #2가 주파수 분할되고 있고, 더하여 「데이터 심벌군 #1(401_1) 및 데이터 심벌군 #2(402)」과「데이터 심벌군 #3(403)」이 시간 분할되고 있는 점이다. 즉, 데이터 심벌군은, 주파수 분할과 시간 분할의 병용함으로써 전송되게 된다.
더하여, 도 6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1(401_1, 401_2) 및 데이터 심벌군 #2(402)」과 데이터 심벌군 #3(403)의 (시간적)사이에 파일럿 심벌이 삽입되고 있는 점이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1에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와 데이터 심벌군 #2에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의 부호화의 압축률이 상이하지만, 동일한 「영상 및/또는 오디오」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수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군 #1을 복조할지, 데이터 심벌군 #2를 복조할지」를 선택한다는 간단한 방법으로, 원하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를 높은 품질로 얻을 수 있고, 또한 이 때, 프리앰블을 공통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정보의 전송 효율을 높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단, 이것에 따르지 않고, 데이터 심벌군 #1에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는, 데이터 심벌군 #2에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와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또, 데이터 심벌군 #1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방법과 데이터 심벌군 #2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방법을 동일하게 하고, 데이터 심벌군 #3을 송신하기 위한 전송 방법과 데이터 심벌군 #1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방법(데이터 심벌군 #2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방법)을 상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후에서 설명하지만, 데이터 심벌군에는 파일럿 심벌이 삽입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 파일럿 심벌의 삽입 방법은, 송신 방법에 따라 상이하다. 또한,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수가 상이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송신 방법마다, 데이터 심벌군을 정리함으로써, 파일럿 심벌 삽입에 의한, 전송 효율의 저하를 막을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MISO 방식 또는 MIMO 방식의 경우, 각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각 변조 신호에 파일럿 심벌을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파일럿 심벌(601)을 삽입함으로써, 수신 장치는 각 데이터 심벌군을 검파, 복조하기 위한 채널 추정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또, 데이터 심벌의 송신 방법이 전환되었을 때, 수신 장치는, 송신 방법에 적절한 수신 신호의 게인을 조정해야 하지만, 파일럿 심벌(601)에 의해, 용이하게 게인 조정을 행할 수 있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4, 도 5, 도 6에 있어서,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1에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와 데이터 심벌군 #2에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의 부호화의 압축률이 상이하지만, 동일한 「영상 및/또는 오디오」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수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군 #1을 복조할지, 데이터 심벌군 #2를 복조할지」를 선택한다고 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원하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를 높은 품질로 얻을 수 있고, 또한 이 때, 프리앰블을 공통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정보의 전송 효율을 높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단, 이것에 따르지 않고, 데이터 심벌군 #1에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는, 데이터 심벌군 #2에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와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도 4, 도 5, 도 6에 있어서, 주파수 분할한 데이터 심벌군의 후에 시분할한 데이터 심벌군을 배치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시분할한 데이터 심벌군의 후에 주파수 분할한 데이터 심벌군을 배치해도 된다. 이 때, 도 5의 예에서는, 시분할한 데이터 심벌군과 주파수 분할한 데이터 심벌군의 사이에 제1 프리앰블, 제2 프리앰블이 삽입되게 된다. 단, 그 이외의 심벌이 삽입되어도 된다. 그리고, 도 6의 예에서는, 시분할한 데이터 심벌군과 주파수 분할한 데이터 심벌군의 사이에 파일럿 심벌이 삽입되게 된다. 단, 그 이외의 심벌이 삽입되어도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특징적인 점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부터 도 6의 프레임 구성에는, 각각, 이점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송신 장치는, 데이터(스트림)의 압축률이나 종류, 송신 방법의 조합 방법, 단말에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방법에 의해, 도 2부터 도 6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구성을 선택하고, 제어 정보, 파일럿 심벌, 데이터 심벌 등의 심벌을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송신 장치(도 1)는,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제1 프리앰블 또는 제2 프리앰블에 수신 장치(단말)에 전달하기 위한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로서, v0, v1, v2의 3비트를 할당했을 때, 송신 장치가 도 2의 프레임 구성에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v0, v1, v2)를 (0, 0, 0)으로 하고,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송신 장치가 도 3의 프레임 구성에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v0, v1, v2)를 (0, 0, 1)로 하고,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송신 장치가 도 4의 프레임 구성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v0, v1, v2)를 (0, 1, 0)로 하고,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송신 장치가 도 5의 프레임 구성에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v0, v1, v2)를 (0, 1, 1)로 하고,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송신 장치가 도 5의 프레임 구성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v0, v1, v2)를 (1, 0, 0)로 하고,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그리고, 수신 장치는,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에 의해, 송신 장치가 송신한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개요를 알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데이터 심벌군은 SISO(또는 SIMO) 방식, MISO 방식, MIMO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심벌이 된다. 이하에서는, 특히, MISO 방식, MIMO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시공간 블럭 부호(주파수-공간 블럭 부호)를 이용한 MISO(전송)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의 신호 처리부(112)가, 시공간 블럭 부호(Space-Time Block Codes)를 이용한 전송 방법을 행하는 경우의 구성에 대해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맵핑부(702)는, 데이터 신호(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701), 제어 신호(706)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706)에 포함되는 변조 방식에 관련된 정보에 의거하여, 맵핑을 행하며, 맵핑 후의 신호(703)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맵핑 후의 신호(703)는, s0, s1, s2, s3, …, s(2i), s(2i+1), …의 순서로 나열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MIS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처리부(704)는, 맵핑 후의 신호(703), 제어 신호(706)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706)가 MISO 방식으로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고 있는 경우, MISO 처리 후의 신호(705A 및 705B)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MISO 처리 후의 신호(705A)는 s0, s1, s2, s3, …, s(2i), s(2i+1), …가 되고, MISO 처리 후의 신호(705B)는 -s1*, s0*, -s3*, s2*…, -s(2i+1)*, s(2i)*, …가 된다. 또한, 「*」는 복소 공액을 의미한다(예를 들면, s0*는 s0의 복소 공액이 된다).
이 때, MISO 처리 후의 신호(705A 및 705B)가, 각각 도 1의 신호 처리 후의 변조 신호 1(113_1) 및 신호 처리 후의 변조 신호 2(113_2)에 상당한다. 또한, 시공간 블럭 부호의 방법은 상술의 설명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신호 처리 후의 변조 신호 1(113_1)는, 소정의 처리가 실시되고 안테나 126_1로부터 전파로서 송신된다. 또, 신호 처리 후의 변조 신호 2(113_2)는, 소정의 처리가 실시되고 안테나 126_2로부터 전파로서 송신된다.
도 8은, 도 7과는 상이한 시공간 블럭 부호(Space-Time Block Codes)를 이용한 전송 방법을 행하는 경우의 구성이다.
맵핑부(702)는, 데이터 신호(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701), 제어 신호(706)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706)에 포함되는 변조 방식에 관련된 정보에 의거하여, 맵핑을 행하고, 맵핑 후의 신호(703)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맵핑 후의 신호(703)는, s0, s1, s2, s3, …, s(2i), s(2i+1), …의 순서로 나열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MIS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처리부(704)는, 맵핑 후의 신호(703), 제어 신호(706)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706)가 MISO 방식으로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고 있는 경우, MISO 처리 후의 신호(705A 및 705B)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MISO 처리 후의 신호(705A)는 s0, -s1*, s2, -s3*, …, s(2i), -s(2i+1)*, …가 되고, MISO 처리 후의 신호(705B)는 s1, s0*, s3, s2*…, s(2i+1), s(2i)*, …가 된다. 또한, 「*」는 복소 공액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s0*는 s0의 복소 공액이 된다.
이 때, MISO 처리 후의 신호(705A 및 705B)가, 각각 도 1의 신호 처리 후의 변조 신호 1(113_1) 및 신호 처리 후의 변조 신호 2(113_2)에 상당한다. 또한, 시공간 블럭 부호의 방법은 상술의 설명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신호 처리 후의 변조 신호 1(113_1)은, 소정의 처리가 실시되고, 안테나 126_1로부터 전파로서 송신된다. 또, 신호 처리 후의 변조 신호 2(113_2)는, 소정의 처리가 실시되고, 안테나 126_2로부터 전파로서 송신된다.
다음에, MIMO 방식의 일례로서 프리코딩, 위상 변경, 파워 변경을 적용한 MIMO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단, 복수의 스트림을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방법은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다른 방식이어도, 본 실시의 형태는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의 신호 처리부(112)가, MIMO 방식을 이용한 전송 방법을 행하는 경우의 구성에 대해서, 도 9부터 도 17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9의 부호화부(1102)는, 정보(1101) 및, 제어 신호(1112)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112)에 포함되는 부호화율, 부호길이(블럭길이)의 정보에 의거하여, 부호화를 행하고, 부호화 후의 데이터(1103)를 출력한다.
맵핑부(1104)는, 부호화 후의 데이터(1103), 제어 신호(1112)를 입력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 신호(1112)가, 전송 방식으로서 두 개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것을 지정한 것으로 한다. 더하여, 제어 신호(1112)가 두 개의 스트림의 각 변조 방식으로서, 변조 방식 α와 변조 방식 β를 지정한 것으로 한다. 또한, 변조 방식 α는 x 비트의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 방식, 변조 방식 β는 y 비트의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 방식으로 한다. 예를 들면 16 QAM(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경우, 4비트의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 방식이며, 64 QAM(64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경우, 6비트의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 방식이다.
그러면, 맵핑부(1104)는, x+y 비트의 데이터 중 x 비트의 데이터에 대해, 변조 방식 α로 변조하고, 베이스 밴드 신호 s1(t) 1105A를 생성, 출력하며, 또, 나머지의 y 비트의 데이터의 데이터에 대해, 변조 방식 β로 변조하고, 베이스 밴드 신호 s2(t) 1105B를 출력한다(또한, 도 9에서는, 맵핑부를 하나로 하고 있지만, 이것과는 별도의 구성으로서, s1(t)를 생성하기 위한 맵핑부와 s2(t)를 생성하기 위한 맵핑부가 따로따로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이 때, 부호화 후의 데이터(1103)는, s1(t)를 생성하기 위한 맵핑부와 s2(t)를 생성하기 위한 맵핑부로 배분되게 된다).
또한, s1(t) 및 s2(t)는 복소수로 표현되고(단, 복소수, 실수, 어느 하나라도 좋다), 또, t는 시간이다. 또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등의 멀티 캐리어를 이용한 전송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 s1 및 s2는, s1(f) 및 s2(f)와 같이 주파수 f의 함수, 또는, s1(t, f) 및 s2(t, f)와 같이 시간 t, 주파수 f의 함수로 생각할 수도 있다.
이후에서는, 베이스 밴드 신호, 프리코딩 행렬, 위상 변경 등을 시간 t의 함수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주파수 f의 함수, 시간 t 및 주파수 f의 함수로 생각해도 된다.
따라서, 베이스 밴드 신호, 프리코딩 행렬, 위상 변경 등을 심벌 번호 i의 함수로서 설명을 진행시키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 시간 t의 함수, 주파수 f의 함수, 시간 t 및 주파수 f의 함수로 생각하면 된다. 즉, 심벌, 베이스 밴드 신호를 시간 축방향으로 생성하고 배치해도 되고, 주파수 축방향으로 생성하고 배치해도 된다. 또, 심벌, 베이스 밴드 신호를, 시간 축방향 및 주파수 축방향으로 생성하고 배치해도 된다.
파워 변경부(1106A)(파워 조정부(1106A))는, 베이스 밴드 신호 s1(t)(1105A), 및, 제어 신호(1112)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112)에 의거하여 실수 P1를 설정하여, P1×s1(t)를 파워 변경 후의 신호(1107A)로서 출력한다. 또한, P1를 실수로 하고 있지만, 복소수여도 된다.
동일하게, 파워 변경부(1106B)(파워 조정부(1106B))는, 베이스 밴드 신호 s2(t) 1105B, 및, 제어 신호(512)를 입력으로 하고, 실수 P2를 설정하여, P2×s2(t)를 파워 변경 후의 신호(1107B)로서 출력한다. 또한, P2를 실수로 하고 있지만, 복소수여도 된다.
가중 합성부(1108)는, 파워 변경 후의 신호(1107A), 파워 변경 후의 신호(1107B), 및, 제어 신호(1112)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112)에 의거하여, 프리코딩 행렬 F(또는 F(i))를 설정한다. 슬롯 번호(심벌 번호)를 i로 하면, 가중 합성부(1108)는, 이하의 연산을 행한다.
[수 1]
여기서, a(i), b(i), c(i), d(i)는, 복소수로 표현할 수 있고(실수여도 된다), a(i), b(i), c(i), d(i) 중 3개 이상이 0(제로)이어서는 안 된다. 또한, 프리코딩 행렬은 i의 함수여도 되고, i의 함수가 아니어도 된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이 i의 함수일 때, 프리코딩 행렬이 슬롯 번호(심벌 번호)에 의해 전환되게 된다.
그리고, 가중 합성부(1108)는, 식(1)에 있어서의 u1(i)를 가중 합성 후의 신호(1109A)로서 출력하고, 식(1)에 있어서의 u2(i)를 가중 합성 후의 신호(1109B)로서 출력한다.
파워 변경부(1110A)는, 가중 합성 후의 신호(1109A)(u1(i)), 및, 제어 신호(512)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112)에 의거하여, 실수 Q1을 설정하여, Q1×u1(t)를 파워 변경 후의 신호(1111A)(z1(i))로서 출력한다(또한, Q1를 실수로 하고 있지만, 복소수여도 된다).
동일하게, 파워 변경부(1110B)는, 가중 합성 후의 신호(1109B)(u2(i)), 및, 제어 신호(1112)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512)에 의거하여, 실수 Q2를 설정하여, Q2×u2(t)를 파워 변경 후의 신호 1111B(z2(i))로서 출력한다(또한, Q2를 실수로 하고 있지만, 복소수여도 된다).
따라서, 이하의 식이 성립한다.
[수 2]
다음에, 도 9와는 상이한 두 개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경우의 전송 방법에 대해서, 도 10을 이용해 설명한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도 9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위상 변경부(1161)는, 식(1)에 있어서의 u2(i)를 가중 합성 후의 신(1109B) 및 제어 신호(1112)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112)에 의거하여, 식(1)에 있어서의 u2(i)를 가중 합성 후의 신호(1109B)의 위상을 변경한다. 따라서, 식(1)에 있어서의 u2(i)를 가중 합성 후의 신호(1109B)의 위상을 변경 후의 신호는, ejθ(i)×u2(i)로 표시되고, ejθ(i)×u2(i)가 위상 변경 후의 신호(1162)로 하여, 위상 변경부(1161)는 출력한다(j는 허수 단위). 또한, 변경하는 위상의 값은, θ(i)와 같이 i의 함수인 것이 특징적인 부분이 된다.
그리고, 도 10의 파워 변경부(1110A 및 1110B)는, 입력 신호의 파워 변경을 각각 행한다. 따라서, 도 10에 있어서의 파워 변경부(1110A 및 1110B)의 각각의 출력 z1(i), z2(i)는, 다음 식과 같이 표시된다.
[수 3]
또한, 식(3)을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도 10과 상이한 구성으로서, 도 11이 있다. 도 10과 도 11이 상이한 점은, 파워 변경부와 위상 변경부의 순서가 교체되어 있는 점이다. 파워 변경을 행하는, 위상 변경을 행한다고 하는 기능 자신은 변하지 않는다. 이 때, z1(i), z2(i)는, 다음 식과 같이 표시된다.
[수 4]
식(3) 및 식(4)에 있어서의 변경하는 위상의 값θ(i)은, 예를 들면, θ(i+1)―θ(i)가 고정치가 되도록 설정하면, 직접파가 지배적인 전파 전파 환경에 있어서, 수신 장치는,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얻어질 가능성이 높다. 단, 변경하는 위상의 값 θ(i)의 부여 방법은, 이 예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도 9부터 도 11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의 일부(또는, 모든 것)가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파워 변경부의 일부가 없는 경우도 생각된다.
예를 들면, 도 9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1106A)(파워 조정부(1106A)), 파워 변경부(1106B)(파워 조정부(1106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z1(i) 및 z2(i)는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수 5]
또, 도 9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1110A)(파워 조정부(1110A)), 파워 변경부(1110B)(파워 조정부 1110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z1(i) 및 z2(i)는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수 6]
또, 도 9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1106A)(파워 조정부(1106A)), 파워 변경부(1106B)(파워 조정부(1106B)), 파워 변경부(1110A)(파워 조정부(1110A)), 파워 변경부(1110B)(파워 조정부 1110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z1(i) 및 z2(i)는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수 7]
또, 도 10 또는 도 11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1106A)(파워 조정부(1106A)), 파워 변경부(1106B)(파워 조정부(1106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z1(i) 및 z2(i)는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수 8]
또, 도 10 또는 도 11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1110A)(파워 조정부(1110A)), 파워 변경부(1110B)(파워 조정부 1110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z1(i) 및 z2(i)는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수 9]
또, 도 10 또는 도 11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1106A)(파워 조정부(1106A)), 파워 변경부(1106B)(파워 조정부(1106B)), 파워 변경부(1110A)(파워 조정부(1110A)), 파워 변경부(1110B)(파워 조정부 1110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z1(i) 및 z2(i)는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수 10]
다음에, 도 9부터 도 11과는 상이한 두 개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경우의 전송 방법에 대해서,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도 9부터 도 11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어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 있어서, 특징적인 점은, 위상 변경부(1151)가 삽입되고 있는 점이다.
위상 변경부(1151)는, 베이스 밴드 신호 s2(i) 1105B 및 제어 신호(1112)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112)에 의거하여, 베이스 밴드 신호 s2(i) 1105B의 위상을 변경한다. 이 때, 위상 변경의 값을 ejλ(i)로 한다(j는 허수 단위). 또한, 변경하는 위상의 값은, λ(i)와 같이 i의 함수인 것이 특징적인 부분이 된다.
그러면, 식(1)부터 식(10)과 동일하게 생각하면, 도 12의 출력 신호가 되는 z1(i), z2(i)는, 다음 식과 같이 표시된다.
[수 11]
또한, 식(11)을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도 12와 상이한 구성으로서 파워 변경부(1106B)와 위상 변경부(1151)의 순서를 교체하는 구성이 있다. 파워 변경을 행하는, 위상 변경을 행한다는 기능 자신은 변하지 않는다. 이 때, z1(i), z2(i)는, 다음 식과 같이 표시된다.
[수 12]
당연하지만, 식(11)의 z1(i)와 식(12)의 z1(i)는 동일하고, 식(11)의 z2(i)와 식(12)의 z2(i)는 동일하다.
도 13은, 도 12과 동일한 처리를 실현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이 된다. 또한, 도 13에 있어서, 도 9부터 도 12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12와 도 13의 상이한 점은, 도 12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1110B)와 위상 변경부(1161)의 순서가 바꿔 넣은 것이 도 13이 된다. 파워 변경을 행하는, 위상 변경을 행한다는 기능 자신은 변하지 않는다.
그러면, 식(1)부터 식(12)와 동일하게 생각하면, 도 13의 출력 신호가 되는 z1(i), z2(i)는, 다음 식과 같이 표시된다.
[수 13]
또한, 식(13)을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도 13과 상이한 구성으로서 파워 변경부(1106B)와 위상 변경부(1151)의 순서를 교체하는 구성이 있다. 파워 변경을 행하는, 위상 변경을 행한다는 기능 자신은 변하지 않는다. 이 때, z1(i), z2(i)는, 다음 식과 같이 표시된다.
[수 14]
당연하지만, 식(11)의 z1(i)와 식(12)의 z1(i) 식(13)의 z1(i)와 식(14)의 z1(i)는 동일하고, 식(11)의 z2(i)와 식(12)의 z2(i)와 식(13)의 z2(i)와 식(14)의 z2(i)는 동일하다.
다음에, 도 9부터 도 13과는 상이한 두 개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경우의 전송 방법에 대해서, 도 14를 이용해 설명한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 도 9부터 도 13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있어서, 특징적인 점은, 위상 변경부(1181)과 위상 변경부(1151)가 삽입되고 있는 점이다.
위상 변경부(1151)는 베이스 밴드 신호 s2(i) 1105B 및 제어 신호(1112)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112)에 의거하여, 베이스 밴드 신호 s2(i) 1105B의 위상을 변경한다. 이 때, 위상 변경의 값을 ejλ(i)로 한다(j는 허수 단위). 또한, 변경하는 위상의 값은, λ(i)와 같이 i의 함수인 것이 특징적인 부분이 된다.
또, 위상 변경부(1181)는, 베이스 밴드 신호 s1(i) 1105A 및 제어 신호(1112)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112)에 의거하여, 베이스 밴드 신호 s1(i) 1105A의 위상을 변경한다. 이 때, 위상 변경의 값을 ejδ(i)로 한다(j는 허수 단위). 또한, 변경하는 위상의 값은, δ(i)와 같이 i의 함수인 것이 특징적인 부분이 된다.
그러면, 식(1)부터 식(14)와 동일하게 생각하면, 도 14의 출력 신호가 되는 z1(i), z2(i)는, 다음 식과 같이 표시된다.
[수 15]
또한, 식(15)를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도 14와 상이한 구성으로서 파워 변경부(1106B)와 위상 변경부(1151)의 순서를 교체하고, 또한 파워 변경부(1106A)와 위상 변경부(1181)의 순서를 교체하는 구성이 있다. 파워 변경을 행하는, 위상 변경을 행한다는 기능 자신은 변하지 않는다. 이 때, z1(i), z2(i)는, 다음 식과 같이 표시된다.
[수 16]
당연하지만, 식(15)의 z1(i)와 식(16)의 z1(i)는 동일하고, 식(15)의 z2(i)와 식(16)의 z2(i)는 동일하다.
도 15는, 도 14와 동일한 처리를 실현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이 된다. 또한, 도 15에 있어서, 도 9부터 도 14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14와 도 15의 상이한 점은, 도 14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1110B)와 위상 변경부(1161)의 순서가 교체된 것이 도 15가 된다(파워 변경을 행하는, 위상 변경을 행한다는 기능 자신은 변하지 않는다).
그러면, 식(1)부터 식(16)과 동일하게 생각하면, 도 15의 출력 신호가 되는 z1(i), z2(i)는, 다음 식과 같이 표시된다.
[수 17]
또한, 식(17)을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도 15와 상이한 구성으로서 파워 변경부(1106B)와 위상 변경부(1151)의 순서를 교체하고, 또한 파워 변경부(1106A)와 위상 변경부(1181)의 순서를 교체하는 구성이 있다. 파워 변경을 행하는, 위상 변경을 행한다는 기능 자신은 변하지 않는다. 이 때, z1(i), z2(i)는, 다음 식과 같이 표시된다.
[수 18]
당연하지만, 식(15)의 z1(i)와 식(16)의 z1(i) 식(17)의 z1(i)와 식(18)의 z1(i)는 동일하고, 식(15)의 z2(i)와 식(16)의 z2(i)와 식(17)의 z2(i)와 식(18)의 z2(i)는 동일하다.
다음에, 도 9부터 도 15와는 상이한 두 개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경우의 전송 방법에 대해서,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 도 9부터 도 15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에 있어서, 특징적인 점은, 위상 변경부(1181)와 위상 변경부(1151), 위상 변경부(1110A)와 위상 변경부(1110B)가 삽입되고 있는 점이다.
위상 변경부(1151)는, 베이스 밴드 신호 s2(i) 1105B 및 제어 신호(1112)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112)에 의거하여, 베이스 밴드 신호 s2(i) 1105B의 위상을 변경한다. 이 때, 위상 변경의 값을 ejλ(i)로 한다(j는 허수 단위). 또한, 변경하는 위상의 값은, λ(i)와 같이 i의 함수인 것이 특징적인 부분이 된다.
또, 위상 변경부(1181)는, 베이스 밴드 신호 s1(i) 1105A 및 제어 신호(1112)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112)에 의거하여, 베이스 밴드 신호 s1(i) 1105A의 위상을 변경한다. 이 때, 위상 변경의 값을 ejδ(i)로 한다(j는 허수 단위). 또한, 변경하는 위상의 값은, δ(i)와 같이 i의 함수인 것이 특징적인 부분이 된다.
위상 변경부(1161)는 입력 신호에 대해 위상 변경을 행한다. 그 때의 위상 변경값을 θ(i)로 한다. 동일하게, 위상 변경부(1191)는 입력 신호에 대해 위상 변경을 행한다. 그 때의 위상 변경치를 ω(i)로 한다.
그러면, 식(1)부터 식(18)과 동일하게 생각하면, 도 16의 출력 신호가 되는 z1(i), z2(i)는, 다음 식과 같이 표시된다.
[수 19]
또한, 식(19)를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도 16과 상이한 구성으로서 파워 변경부(1106B)와 위상 변경부(1151)의 순서를 교체하고, 또한 파워 변경부(1106A)와 위상 변경부(1181)의 순서를 교체하는 구성이 있다. 파워 변경을 행하는, 위상 변경을 행한다는 기능 자신은 변하지 않는다. 이 때, z1(i), z2(i)는, 다음 식과 같이 표시된다.
[수 20]
당연하지만, 식(19)의 z1(i)와 식(20)의 z1(i)는 동일하고, 식(19)의 z2(i)와 식(20)의 z2(i)는 동일하다.
도 17은, 도 16과 동일한 처리를 실현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이 된다. 또한, 도 17에 있어서, 도 9부터 도 16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16과 도 17이 상이한 점은, 도 14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1110B)와 위상 변경부(1161)의 순서가 교체되고, 또한 파워 변경부(1110A)와 위상 변경부(1191)의 순서가 교체된 것이 도 17이 된다. 파워 변경을 행하는, 위상 변경을 행한다는 기능 자신은 변하지 않는다.
그러면, 식(1)부터 식(20)과 동일하게 생각하면, 도 17의 출력 신호가 되는 z1(i), z2(i)는, 다음 식과 같이 표시된다.
[수 21]
또한, 식(21)을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도 17과 상이한 구성으로서 파워 변경부(1106B)와 위상 변경부(1151)의 순서를 교체하고, 또한, 파워 변경부(1106A)와 위상 변경부(1181)의 순서를 교체하는 구성이 있다. 파워 변경을 행하는, 위상 변경을 행한다는 기능 자신은 변하지 않는다. 이 때, z1(i), z2(i)는, 다음 식과 같이 표시된다.
[수 22]
당연하지만, 식(19)의 z1(i)와 식(20)의 z1(i) 식(21)의 z1(i)와 식(22)의 z1(i)는 동일하고, 식(19)의 z2(i)와 식(20)의 z2(i)와 식(21)의 z2(i)와 식(22)의 z2(i)는 동일하다.
상술에 있어서, 가중 합성(프리코딩)을 위한 행렬 F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하에서 기재하는 프리코딩 행렬 F(또는 F(i))를 이용해도, 본 명세서의 각 실시의 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
[수 23]
또는,
[수 24]
또는,
[수 25]
또는,
[수 26]
또는,
[수 27]
또는,
[수 28]
또는,
[수 29]
또는,
[수 30]
또한, 식(23), 식(24), 식(25), 식(26), 식(27), 식(28), 식(29), 식(30)에 있어서,α는 실수여도 되고, 허수여도 되고, β는 실수여도 되고, 허수여도 된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또는,
[수 31]
또는,
[수 32]
또는,
[수 33]
또는,
[수 34]
또는,
[수 35]
또는,
[수 36]
또는,
[수 37]
또는,
[수 38]
또한, 식(31), 식(33), 식(35), 식(37)에 있어서, β는 실수여도 되고, 허수여도 된다. 단,β은 0(제로)은 아니다.
또는,
[수 39]
또는,
[수 40]
또는,
[수 41]
또는,
[수 42]
또는,
[수 43]
또는,
[수 44]
또는,
[수 45]
또는,
[수 46]
또는,
[수 47]
또는,
[수 48]
또는,
[수 49]
또는,
[수 50]
단, θ11(i), θ21(i), λ(i)는 i의 함수이며, λ는 고정의 값이며, α는 실수여도 되고, 허수여도 되고, β는 실수여도 되고, 허수여도 된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또한, i는 시간 및 주파수 중 어느 하나, 또는, 시간 및 주파수 모두이다.
또는,
[수 51]
또는,
[수 52]
[수 53]
또는,
[수 54]
또는,
[수 55]
단, θ(i)는 i의 함수이며, β는 실수여도 되고, 허수여도 된다. 단, β도 0(제로)은 아니다. i는, 시간 및 주파수 중 어느 하나, 또는, 시간 및 주파수 중 모두이다.
또, 이들 이외의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해도, 본 명세서의 각 실시의 형태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하여, 상술에서 설명한,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 프리코딩를 행하여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송신 장치는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방식이어도 된다. 이 때, z1(i), z2(i)는 다음 식으로 나타나는 예가 생각된다.
[수 56]
[수 57]
[수 58]
[수 59]
[수 60]
그리고, 도 9부터 도 17에서 얻어진 z1(i), 또는, 식(56)의 z1(i), 또는, 식(57)의 z1(i), 또는, 식(58)의 z1(i), 또는, 식(59)의 z1(i), 또는, 식(60)의 z1(i)는, 도 1의 신호 처리 후의 변조 신호 1(113_1)에 상당하고, 도 9부터 도 17에서 얻어진 z2(i), 또는, 식(56)의 z2(i), 또는, 식(57)의 z2(i), 또는, 식(58)의 z2(i), 또는, 식(59)의 z2(i), 또는, 식(60)의 z2(i), 는 도 1의 변조 신호 2(113_2)에 상당한다.
도 18부터 도 22는, 도 9부터 도 17에서 생성한 z1(i) 및 z2(i)의 배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 있어서의 (A)는 z1(i)의 배치 방법을 나타내고 있고, 도 18에 있어서의 (B)는 z2(i)의 배치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 있어서의 (A), (B)에서는, 세로축은 시간, 가로축은 주파수이다.
도 18에 있어서의 (A)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i=0, 1, 2, 3, …에 대응을 하는 z1(0), z1(1), z1(2), z1(3), …을 생성했을 때,
z1(0)를 캐리어 0, 시각 1에 배치하고,
z1(1)를 캐리어 1, 시각 1에 배치하고,
z1(2)를 캐리어 2, 시각 1에 배치하고,
z1(10)를 캐리어 0, 시각 2에 배치하고,
z1(11)를 캐리어 1, 시각 2에 배치하고,
z1(12)를 캐리어 2, 시각 2에 배치하고,
…로 한다.
동일하게, 도 18에 있어서의 (B)에서는, i=0, 1, 2, 3, …에 대응을 하는 z2(0), z2(1), z2(2), z2(3), …을 생성했을 때,
z2(0)를 캐리어 0, 시각 1에 배치하고,
z2(1)를 캐리어 1, 시각 1에 배치하고,
z2(2)를 캐리어 2, 시각 1에 배치하고,
z2(10)를 캐리어 0, 시각 2에 배치하고,
z2(11)를 캐리어 1, 시각 2에 배치하고,
z2(12)를 캐리어 2, 시각 2에 배치하고,
…로 한다.
이 때, i=a일 때의 z1(a)와 z2(a)는, 동일 주파수, 동일 시각으로부터 송신되게 된다. 그리고, 도 18은, 생성한 z1(i)와 z2(i)를 주파수 축방향으로 우선적으로 나열하는 경우의 예이다.
도 19에 있어서의 (A)는 z1(i)의 배치 방법을 나타내고 있고, 도 19에 있어서의 (B)는 z2(i)의 배치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9에 있어서의 (A), (B)에서는, 세로축은 시간, 가로축은 주파수이다.
도 19에 있어서의 (A)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i=0, 1, 2, 3, …에 대응을 하는 z1(0), z1(1), z1(2), z1(3), …을 생성했을 때,
z1(0)를 캐리어 0, 시각 1에 배치하고,
z1(1)를 캐리어 1, 시각 2에 배치하고,
z1(2)를 캐리어 2, 시각 1에 배치하고,
z1(10)를 캐리어 2, 시각 2에 배치하고,
z1(11)를 캐리어 7, 시각 1에 배치하고,
z1(12)를 캐리어 8, 시각 2에 배치하고,
로 한다.
동일하게, 도 19에 있어서의 (B)에서는, i=0, 1, 2, 3, …에 대응을 하는 z2(0), z2(1), z2(2), z2(3), …을 생성했을 때,
z2(0)를 캐리어 0, 시각 1에 배치하고,
z2(1)를 캐리어 1, 시각 2에 배치하고,
z2(2)를 캐리어 2, 시각 1에 배치하고,
z2(10)를 캐리어 2, 시각 2에 배치하고,
z2(11)를 캐리어 7, 시각 1에 배치하고,
z2(12)를 캐리어 8, 시각 2에 배치하고,
로 한다.
이 때, i=a일 때의 z1(a)와 z2(a)는, 동일 주파수, 동일 시각으로부터 송신되게 된다. 그리고, 도 19는, 생성한 z1(i)와 z2(i)를 주파수, 시간 축방향으로 랜덤으로 나열하는 경우의 예이다.
도 20에 있어서의 (A)는 z1(i)의 배치 방법을 나타내고 있고, 도 20에 있어서의 (B)는 z2(i)의 배치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20에 있어서의 (A), (B)에서는, 세로축은 시간, 가로축은 주파수이다.
도 20에 있어서의 (A)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i=0, 1, 2, 3, …에 대응을 하는 z1(0), z1(1), z1(2), z1(3), …을 생성했을 때,
z1(0)를 캐리어 0, 시각 1에 배치하고,
z1(1)를 캐리어 2, 시각 1에 배치하고,
z1(2)를 캐리어 4, 시각 1에 배치하고,
z1(10)를 캐리어 0, 시각 2에 배치하고,
z1(11)를 캐리어 2, 시각 2에 배치하고,
z1(12)를 캐리어 4, 시각 2에 배치하고,
로 한다.
동일하게, 도 20에 있어서의 (B)에서는, i=0, 1, 2, 3, …에 대응을 하는 z2(0), z2(1), z2(2), z2(3), …을 생성했을 때,
z2(0)를 캐리어 0, 시각 1에 배치하고,
z2(1)를 캐리어 2, 시각 1에 배치하고,
z2(2)를 캐리어 4, 시각 1에 배치하고,
z2(10)를 캐리어 0, 시각 2에 배치하고,
z2(11)를 캐리어 2, 시각 2에 배치하고,
z2(12)를 캐리어 4, 시각 2에 배치하고,
로 한다.
이 때, i=a일 때의 z1(a)와 z2(a)는, 동일 주파수, 동일 시각으로부터 송신되게 된다. 그리고, 도 20은, 생성한 z1(i)와 z2(i)를 주파수 축방향으로 우선적으로 나열하는 경우의 예이다.
도 21에 있어서의 (A)는 z1(i)의 배치 방법을 나타내고 있고, 도 21에 있어서의 (B)는 z2(i)의 배치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21에 있어서의 (A), (B)에서는, 세로축은 시간, 가로축은 주파수이다.
도 21에 있어서의 (A)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i=0, 1, 2, 3, …에 대응을 하는 z1(0), z1(1), z1(2), z1(3), …을 생성했을 때,
z1(0)를 캐리어 0, 시각 1에 배치하고,
z1(1)를 캐리어 1, 시각 1에 배치하고,
z1(2)를 캐리어 0, 시각 2에 배치하며,
z1(10)를 캐리어 2, 시각 2에 배치하고,
z1(11)를 캐리어 3, 시각 2에 배치하고,
z1(12)를 캐리어 2, 시각 3에 배치하고,
로 한다.
동일하게, 도 21에 있어서의 (B)에서는, i=0, 1, 2, 3, …에 대응을 하는 z2(0), z2(1), z2(2), z2(3), …을 생성했을 때,
z2(0)를 캐리어 0, 시각 1에 배치하고,
z2(1)를 캐리어 1, 시각 1에 배치하고,
z2(2)를 캐리어 0, 시각 2에 배치하고,
z2(10)를 캐리어 2, 시각 2에 배치하고,
z2(11)를 캐리어 3, 시각 2에 배치하고,
z2(12)를 캐리어 2, 시각 3에 배치하고,
로 한다.
이 때, i=a일 때의 z1(a)와 z2(a)는, 동일 주파수, 동일 시각으로부터 송신되게 된다. 그리고, 도 21은, 생성한 z1(i)와 z2(i)를 시간 및 주파수 축방향으로 나열하는 경우의 예이다.
도 22에 있어서의 (A)는 z1(i)의 배치 방법을 나타내고 있고, 도 22에 있어서의 (B)는 z2(i)의 배치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22에 있어서의 (A), (B)에서는, 세로축은 시간, 가로축은 주파수이다.
도 22에 있어서의 (A)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i=0, 1, 2, 3, …에 대응을 하는 z1(0), z1(1), z1(2), z1(3), …을 생성했을 때,
z1(0)를 캐리어 0, 시각 1에 배치하고,
z1(1)를 캐리어 0, 시각 2에 배치하고,
z1(2)를 캐리어 0, 시각 3에 배치하고,
z1(10)를 캐리어 2, 시각 3에 배치하고,
z1(11)를 캐리어 2, 시각 4에 배치하며,
z1(12)를 캐리어 3, 시각 1에 배치하고,
로 한다.
동일하게, 도 22에 있어서의 (B)에서는, i=0, 1, 2, 3, …에 대응을 하는 z2(0), z2(1), z2(2), z2(3), …을 생성했을 때,
z2(0)를 캐리어 0, 시각 1에 배치하고,
z2(1)를 캐리어 0, 시각 2에 배치하고,
z2(2)를 캐리어 0, 시각 3에 배치하고,
z2(10)를 캐리어 2, 시각 3에 배치하고,
z2(11)를 캐리어 2, 시각 4에 배치하고,
z2(12)를 캐리어 3, 시각 1에 배치하고,
로 한다.
이 때, i=a일 때의 z1(a)와 z2(a)는, 동일 주파수, 동일 시각으로부터 송신되게 된다. 그리고, 도 22는, 생성한 z1(i)와 z2(i)를 시간 축방향으로 우선적으로 나열하는는 경우의 예이다.
송신 장치는, 도 18부터 도 22, 또는, 그 이외의 심벌 배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심벌을 배치해도 된다. 어디까지나, 도 18부터 도 22는, 심벌 배치의 예이다.
도 23은,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한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단말)의 구성예이다.
도 23에 있어서, OFDM 방식 관련 처리부(2303_X)는, 안테나(2301_X)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2302_X)를 입력으로 하고, OFDM 방식을 위한 수신측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신호 처리 후의 신호(2304_X)를 출력한다. 동일하게, OFDM 방식 관련 처리부(2303_Y)는, 안테나(2301_Y)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2302_Y)를 입력으로 하고, OFDM 방식을 위한 수신측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신호 처리 후의 신호(2304_Y)를 출력한다.
제1 프리앰블 검출, 복호부 2311은, 신호 처리 후의 신호(2304_X), 2304_Y를 입력으로 하고, 제1 프리앰블을 검출함으로써, 신호 검출, 시간 주파수 동기를 행함과 동시에, 복조, 및, 오류 정정 복호를 행함으로써, 제1 프리앰블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를 얻고, 제1 프리앰블 제어 정보(2312)를 출력한다.
제2 프리앰블 복조부(2313)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2304_X), 2304_Y, 및, 제1 프리앰블 제어 정보(2312)를 입력으로 하고, 제1 프리앰블 제어 정보(2312)에 의거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며, 복조(오류 정정 복호를 포함한다)를 행하고, 제2 프리앰블 제어 정보(2314)를 출력한다.
제어 정보 생성부(2315)는, 제1 프리앰블 제어 정보(2312), 및, 제2 프리앰블 제어 정보(2314)를 입력으로 하고, (수신 동작에 관계하는)제어 정보를 묶어 제어 신호(2316)로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 신호(2316)는, 도 23에 나타낸 것처럼, 각부에 입력되게 된다.
변조 신호 z1의 채널 변동 추정부(2305_1)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2304_X), 제어 신호(2316)를 입력으로 하고, 송신 장치가 변조 신호 z1를 송신한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2301_X) 사이의 채널 변동을 신호 처리 후의 신호(2304_X)에 포함되는 파일럿 심벌 등을 이용하여 추정하고, 채널 추정 신호(2306_1)를 출력한다.
변조 신호 z2의 채널 변동 추정부(2305_2)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2304_X), 제어 신호(2316)를 입력으로 하고, 송신 장치가 변조 신호 z2를 송신한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2301_X) 사이의 채널 변동을 신호 처리 후의 신호(2304_X)에 포함되는 파일럿 심벌 등을 이용하여 추정하고, 채널 추정 신호(2306_2)를 출력한다.
변조 신호 z1의 채널 변동 추정부(2307_1)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2304_Y), 제어 신호(2316)를 입력으로 하고, 송신 장치가 변조 신호 z1를 송신한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2301_Y) 사이의 채널 변동을 신호 처리 후의 신호(2304_Y)에 포함되는 파일럿 심벌 등을 이용하여 추정하고, 채널 추정 신호(2308_1)를 출력한다.
변조 신호 z2의 채널 변동 추정부(2307_2)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2304_Y), 제어 신호(2316)를 입력으로 하고, 송신 장치가 변조 신호 z2를 송신한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2301_Y) 사이의 채널 변동을 신호 처리 후의 신호(2304_Y)에 포함되는 파일럿 심벌 등을 이용하여 추정하고, 채널 추정 신호(2308_2)를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2309)는, 신호 2306_1, 2306_2, 2308_1, 2308_2, 2304_X, 2304_Y, 및, 제어 신호(2316)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2316)에 포함되어 있는, 전송 방식, 변조 방식,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 오류 정정 부호화의 부호화율 및 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 사이즈 등의 정보에 의거하여, 복조, 복호의 처리를 행하고, 수신 데이터(2310)를 출력한다. 이 때, 상술에서 설명한 전송 방법에 의거하여, 다른 검파(복조) 및 복호를 행하게 된다.
또한, 수신 장치는, 제어 신호(2316)로부터 필요로 하고 있는 심벌을 추출하여 복조(신호 분리, 신호 검파를 포함한다), 오류 정정 복호를 행하게 된다. 또, 수신 장치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송신 장치가, 도 2부터 도 6의 프레임 구성의 어느 하나의 프레임 구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연한 영상 정보, 유연한, 방송 서비스를, 수신 장치(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도 2부터 도 6의 각 프레임 구성에서는, 상술과 같이 각각 이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송신 장치가 도 2부터 도 6의 프레임 구성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그 때, 상술의 설명에서 기재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송신 장치가, 도 2부터 도 6의 프레임 구성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예를 들면, 송신 장치를 어느 지역에 설치한 경우, 도 2부터 도 6의 프레임 구성 중 어느 하나를 송신 장치를 설치한 때로 설정, 그것을 정기적으로 재검토한다는 프레임 구성의 전환이어도 되고, 프레임 송신마다, 도 2부터 도 6의 프레임 구성을 선택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프레임 구성의 선택 방법에 대해서는, 어떠한 선택을 취해도 된다.
또한, 도 2부터 도 6의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 제1 프리앰블에 다른 심벌, 예를 들면, 파일럿 심벌이나 널 심벌(심벌의 동상 성분이 0(제로, 직교 성분이 0(제로))) 등이 삽입되어 있어도 된다. 동일하게 제2 프리앰블에 파일럿 심벌이나 널 심벌(심벌의 동상 성분이 0(제로, 직교 성분이 0(제로))) 등의 심벌이 삽입되어 있어도 된다. 또, 프리앰블을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로 구성하고 있지만, 프리앰블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한 것이 아니고, 제1 프리앰블(제1 프리앰블군)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2이상의 프리앰블(프리앰블군)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프리앰블의 구성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의 형태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고 있을 때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그리고, 도 2부터 도 6의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을 나타내고 있지만, 다른 심벌, 예를 들면, 파일럿 심벌, 널 심벌(심벌의 동상 성분이 0(제로, 직교 성분이 0(제로))), 제어 정보 심벌 등이 삽입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것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의 형태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고 있을 때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도 6의 파일럿 심벌에 있어서, 다른 심벌, 예를 들면, 파일럿 심벌, 널 심벌(심벌의 동상 성분이 0(제로, 직교 성분이 0(제로))), 제어 정보 심벌, 데이터 심벌 등이 삽입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것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의 형태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고 있을 때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실시의 형태 2)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송신 장치가 도 2부터 도 6의 프레임 구성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또는, 도 2부터 도 6의 프레임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을 행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을 행한 송신 장치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제1 프리앰블 및 제2 프리앰블의 구성 방법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 장치(도 1)는,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제1 프리앰블 또는 제2 프리앰블에 수신 장치(단말)에 전하기 위한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면 된다.
예를 들면,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로서, v0, v1, v2의 3비트를 할당했을 때, 송신 장치가 도 2의 프레임 구성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v0, v1, v2)를 (0, 0, 0)으로 하고,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송신 장치가 도 3의 프레임 구성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v0, v1, v2)를 (0, 0, 1)로 하고,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송신 장치가 도 4의 프레임 구성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v0, v1, v2)를 (0, 1, 0)로 하고,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송신 장치가 도 5의 프레임 구성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v0, v1, v2)를 (0, 1, 1)로 하고,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송신 장치가 도 5의 프레임 구성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v0, v1, v2)를 (1, 0, 0)로 하고,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수신 장치는,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에 의해, 송신 장치가 송신한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개요를 알 수 있다.
또한, 송신 장치(도 1)는, 각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에 관한 제어 정보, 각 데이터 심벌군의 변조 방식(또는, 변조 방식 세트)에 관한 제어 정보, 각 데이터 심벌군에서 사용하는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길이(블럭길이), 및, 부호화율에 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각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의 데이터 심벌군의 구성 방법에 관한 정보에 대해서도 송신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제어 정보의 구성 방법에 대한 예를 설명한다.
송신 장치(도 1)가, 도 2, 또는, 도 3의 프레임 구성을 선택한 경우, 즉, (v0, v1, v2)를 (0, 0, 0) 또는 (0, 0, 1)로 설정하고 송신한 것으로 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j의 송신 방법에 관한 제어 정보를 a(j, 0), a(j, 1)로 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j=K)의 송신 방법을 싱글 스트림 송신(SISO(SIMO) 송신)으로 하는 경우, a(K, 0)=0, a(K, 1)=0으로 설정하고, a(K, 0), a(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송신 방법을 시공간 블럭 부호(Space Time Block codes)(또는, 주파수-공간 블럭 부호(Space Frequency Block codes))(MISO 송신)로 하는 경우, a(K, 0)=1, a(K, 1)=0으로 설정하고, a(K, 0), a(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송신 방법을 MIMO 방식#1로 하는 경우, a(K, 0)=0, a(K, 1)=1로 설정하고, a(K, 0), a(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송신 방법을 MIMO 방식#2로 하는 경우, a(K, 0)=1, a(K, 1)=1로 설정하고, a(K, 0), a(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MIMO 방식#1과 MIMO 방식#2는 상이한 방식이며, 상기의 MIMO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인 것으로 한다. 또, 여기에서는, MIMO 방식#1과 MIMO 방식#2를 취급하고 있지만, 송신 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MIMO 방식은 1종류여도 되고, 2종류 이상이어도 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데이터 심벌군 #1, 데이터 심벌군 #2, 데이터 심벌군 #3이 존재하므로, a(1, 0), a(1, 1), a(2, 0), a(2, 1), a(3, 0), a(3,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게 된다.
송신 장치(도 1)가, 도 2, 또는, 도 3의 프레임 구성을 선택한 경우, 즉, (v0, v1, v2)를 (0, 0, 0) 또는 (0, 0, 1)로 설정하여, 송신한 것으로 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j의 변조 방식에 관한 제어 정보를 b(j, 0), b(j, 1)로 한다.
이 때, 이하와 같은 정의를 행한다. 송신 방법이 싱글 스트림 송신(SISO(SIMO) 송신)인 경우,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j=K)에 있어서, a(K, 0)=0, a(K, 1)=0으로 설정한 경우,
b(K, 0)=0, b(K, 1)=0일 때, 송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의 변조 방식을 QPSK라고 설정한다.
b(K, 0)=1, b(K, 1)=0일 때, 송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의 변조 방식을 16 QAM으로 설정한다.
b(K, 0)=0, b(K, 1)=1일 때, 송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의 변조 방식을 64 QAM으로 설정한다.
b(K, 0)=1, b(K, 1)=1일 때, 송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의 변조 방식을 256 QAM으로 설정한다.
송신 방법이 시공간 블럭 부호(Space Time Block codes)(또는, 주파수-공간 블럭 부호(Space Frequency Block codes))(MISO 송신), 또는, MIMO 방식#1, 또는, MIMO 방식#2인 경우,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j=K)에 있어서, a(K, 0)=1, a(K, 1)=0, 또는, a(K, 0)=0, a(K, 1)=1, 또는, a(K, 0)=1, a(K, 1)=1로 설정한 경우,
b(K, 0)=0, b(K, 1)=0일 때, 송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의 변조 방식을 스트림 1을 QPSK, 스트림 2를 16 QAM으로 설정한다.
b(K, 0)=1, b(K, 1)=0일 때, 송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의 변조 방식을 스트림 1을 16 QAM, 스트림 2를 16 QAM으로 설정한다.
b(K, 0)=0, b(K, 1)=1일 때, 송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의 변조 방식을 스트림 1을 16 QAM, 스트림 2를 64 QAM으로 설정한다.
b(K, 0)=1, b(K, 1)=1일 때, 송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의 변조 방식을 스트림 1을 64 QAM, 스트림 2를 64 QAM으로 설정한다.
또한, 변조 방식은 상기에 한정한 것은 아닌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APSK 방식, 비균일 QAM, 비균일 맵핑 등의 변조 방식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변조 방식에 대한 자세한 것은 후술에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데이터 심벌군 #1, 데이터 심벌군 #2, 데이터 심벌군 #3이 존재하므로, b(1, 0), b(1, 1), b(2, 0), b(2, 1), b(3, 0), b(3,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게 된다.
송신 장치(도 1)가, 도 2, 또는, 도 3의 프레임 구성을 선택한 경우, 즉, (v0, v1, v2)를 (0, 0, 0) 또는(0, 0, 1)로 설정하고, 송신한 것으로 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j의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 방법에 관한 제어 정보를 c(j, 0), c(j, 1)로 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j=K)의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을, 오류 정정 부호를 A, 부호길이를 α로 하는 경우, c(K, 0)=0, c(K, 1)=0으로 설정하고, c(K, 0), c(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을, 오류 정정 부호를 A, 부호길이를 β로 하는 경우, c(K, 0)=1, c(K, 1)=0으로 설정하고, c(K, 0), c(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을, 오류 정정 부호를 B, 부호길이를 α로 하는 경우, c(K, 0)=0, c(K, 1)=1로 설정하고, c(K, 0), c(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을, 오류 정정 부호를 B, 부호길이를 β로 하는 경우, c(K, 0)=1, c(K, 1)=1로 설정하고, c(K, 0), c(K, 1)을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오류 정정 부호의 설정은 2개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1종류 이상의 오류 정정 부호를 송신 장치가 설정 가능하면 된다. 부호길이의 설정은 2개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2종류 이상의 부호길이를 송신 장치가 설정 가능해도 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데이터 심벌군 #1, 데이터 심벌군 #2, 데이터 심벌군 #3이 존재하므로, c(1, 0), c(1, 1), c(2, 0), c(2, 1), c(3, 0), c(3, 1)을 송신 장치는 송신하게 된다.
송신 장치(도 1)가, 도 2, 또는, 도 3의 프레임 구성을 선택한 경우, 즉, (v0, v1, v2)를 (0, 0, 0) 또는 (0, 0, 1)로 설정하고 송신한 것으로 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j의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에 관한 제어 정보를 d(j, 0), d(j, 1)로 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j=K)의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을 1/2로 하는 경우, d(K, 0)=0, d(K, 1)=0으로 설정하고, d(K, 0), d(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을 2/3으로 하는 경우, d(K, 0)=1, d(K, 1)=0으로 설정하고, d(K, 0), d(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을 3/4로 하는 경우, d(K, 0)=0, d(K, 1)=1로 설정하고, d(K, 0), d(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을 4/5로 하는 경우, d(K, 0)=1, d(K, 1)=1로 설정하고 d(K, 0), d(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 설정은 4개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1종류 이상의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을 송신 장치가 설정 가능하면 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데이터 심벌군 #1, 데이터 심벌군 #2, 데이터 심벌군 #3이 존재하므로, d(1, 0), d(1, 1), d(2, 0), d(2, 1), d(3, 0), d(3, 1)을 송신 장치는 송신하게 된다.
송신 장치(도 1)가, 도 2, 또는, 도 3의 프레임 구성을 선택한 경우, 즉, (v0, v1, v2)를 (0, 0, 0) 또는 (0, 0, 1)로 설정하고 송신한 것으로 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j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심벌수에 관한 정보를 e(j, 0), e(j, 1)로 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j=K)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심벌수를 256 심벌로 하는 경우, e(K, 0)=0, e(K, 1)=0으로 설정하고, e(K, 0), e(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심벌수를 512 심벌로 하는 경우, e(K, 0)=1, e(K, 1)=0으로 설정하고, e(K, 0), e(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심벌수를 1024 심벌로 하는 경우, e(K, 0)=0, e(K, 1)=1로 설정하고, e(K, 0), e(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심벌수를 2048 심벌로 하는 경우, e(K, 0)=1, e(K, 1)=1로 설정하고, e(K, 0), e(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심벌수 설정은 4개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1종류 이상의 심벌수의 설정을 송신 장치가 설정 가능하면 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데이터 심벌군 #1, 데이터 심벌군 #2, 데이터 심벌군 #3이 존재하므로, e(1, 0), e(1, 1), e(2, 0), e(2, 1), e(3, 0), e(3,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게 된다.
송신 장치(도 1)가, 도 4, 또는, 도 5, 또는, 도 6의 프레임 구성을 선택한 경우, 즉, (v0, v1, v2)를 (0,1,0) 또는 (0,1,1) 또는 (1,0,0)로 설정하고, 송신한 것으로 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j의 송신 방법에 관한 제어 정보를 a(j, 0), a(j, 1)로 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j=K)의 송신 방법을 싱글 스트림 송신(SISO(SIMO) 송신)으로 하는 경우, a(K, 0)=0, a(K, 1)=0으로 설정하고, a(K, 0), a(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송신 방법을 시공간 블럭 부호(Space Time Block codes)(또는, 주파수-공간 블럭 부호(Space Frequency Block codes))(MISO 송신)로 하는 경우, a(K, 0)=1, a(K, 1)=0으로 설정하고, a(K, 0), a(K, 1)을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송신 방법을 MIMO 방식#1로 하는 경우, a(K, 0)=0, a(K, 1)=1로 설정하고, a(K, 0), a(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송신 방법을 MIMO 방식#2로 하는 경우, a(K, 0)=1, a(K, 1)=1로 설정하고, a(K, 0), a(K, 1)을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MIMO 방식#1과 MIMO 방식#2는 상이한 방식이며, 상기의 MIMO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인 것으로 한다. 또, 여기에서는, MIMO 방식#1과 MIMO 방식#2를 취급하고 있지만, 송신 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MIMO 방식은 1종류여도 되고, 2종류 이상이어도 된다.
도 4, 및, 도 5, 및, 도 6에서는, 데이터 심벌군 #1, 데이터 심벌군 #2, 데이터 심벌군 #3이 존재하므로, a(1, 0), a(1, 1), a(2, 0), a(2, 1), a(3, 0), a(3, 1)을 송신 장치는 송신하게 된다.
송신 장치(도 1)가, 도 4, 또는, 도 5, 또는, 도 6의 프레임 구성을 선택한 경우, 즉, (v0, v1, v2)를 (0, 1, 0) 또는 (0, 1, 1) 또는 (1, 0, 0)으로 설정하고, 송신한 것으로 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j의 변조 방식에 관한 제어 정보를 b(j, 0), b(j, 1)로 한다.
이 때, 이하와 같은 정의를 행한다. 송신 방법이 싱글 스트림 송신(SISO(SIMO) 송신)인 경우,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j=K)에 있어서, a(K, 0)=0, a(K, 1)=0으로 설정한 경우,
b(K, 0)=0, b(K, 1)=0일 때, 송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의 변조 방식을 QPSK로 설정한다.
b(K, 0)=1, b(K, 1)=0일 때, 송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의 변조 방식을 16 QAM으로 설정한다.
b(K, 0)=0, b(K, 1)=1일 때, 송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의 변조 방식을 64 QAM으로 설정한다.
b(K, 0)=1, b(K, 1)=1일 때, 송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의 변조 방식을 256 QAM으로 설정한다.
송신 방법이 시공간 블럭 부호(Space Time Block codes)(또는, 주파수-공간 블럭 부호(Space Frequency Block codes))(MISO 송신), 또는, MIMO 방식#1, 또는, MIMO 방식#2인 경우,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j=K)에 있어서, a(K, 0)=1, a(K, 1)=0, 또는, a(K, 0)=0, a(K, 1)=1, 또는, a(K, 0)=1, a(K, 1)=1로 설정한 경우,
b(K, 0)=0, b(K, 1)=0일 때, 송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의 변조 방식을 스트림 1을 QPSK, 스트림 2를 16 QAM으로 설정한다.
b(K, 0)=1, b(K, 1)=0일 때, 송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의 변조 방식을 스트림 1을 16 QAM, 스트림 2를 16 QAM으로 설정한다.
b(K, 0)=0, b(K, 1)=1일 때, 송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의 변조 방식을 스트림 1을 16 QAM, 스트림 2를 64 QAM으로 설정한다.
b(K, 0)=1, b(K, 1)=1일 때, 송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의 변조 방식을 스트림 1을 64 QAM, 스트림 2를 64 QAM으로 설정한다.
또한, 변조 방식은 상기에 한정한 것은 아닌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APSK 방식, 비균일 QAM, 비균일 맵핑 등의 변조 방식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변조 방식에 대한 상세는 후술에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 및, 도 6에서는, 데이터 심벌군 #1, 데이터 심벌군 #2, 데이터 심벌군 #3이 존재하므로, b(1, 0), b(1, 1), b(2, 0), b(2, 1), b(3, 0), b(3,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게 된다.
송신 장치(도 1)가, 도 4, 또는, 도 5, 또는, 도 6의 프레임 구성을 선택한 경우, 즉, (v0, v1, v2)를 (0, 1, 0) 또는 (0, 1, 1) 또는 (1, 0, 0)으로 설정하고, 송신한 것으로 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j의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 방법에 관한 제어 정보를 c(j, 0), c(j, 1)로 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j=K)의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을, 오류 정정 부호를 A, 부호길이를 α로 하는 경우, c(K, 0)=0, c(K, 1)=0으로 설정하고, c(K, 0), c(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을, 오류 정정 부호를 A, 부호길이를 β로 하는 경우, c(K, 0)=1, c(K, 1)=0으로 설정하고, c(K, 0), c(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을, 오류 정정 부호를 B, 부호길이를 α로 하는 경우, c(K, 0)=0, c(K, 1)=1로 설정하고, c(K, 0), c(K, 1)을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을, 오류 정정 부호를 B, 부호길이를 β로 하는 경우, c(K, 0)=1, c(K, 1)=1로 설정하고, c(K, 0), c(K, 1)을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오류 정정 부호의 설정은 2개에 한정한 것이 아니고, 1종류 이상의 오류 정정 부호를 송신 장치가 설정 가능하면 된다. 부호길이의 설정은 2개에 한정한 것이 아니고, 2종류 이상의 부호길이를 송신 장치가 설정 가능해도 된다.
도 4, 및, 도 5, 및, 도 6에서는, 데이터 심벌군 #1, 데이터 심벌군 #2, 데이터 심벌군 #3이 존재하므로, c(1, 0), c(1, 1), c(2, 0), c(2, 1), c(3, 0), c(3,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게 된다.
송신 장치(도 1)가, 도 4, 또는, 도 5, 또는, 도 6의 프레임 구성을 선택한 경우, 즉, (v0, v1, v2)를 (0, 1, 0) 또는 (0, 1, 1) 또는 (1, 0, 0)으로 설정하고, 송신한 것으로 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j의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에 관한 제어 정보를 d(j, 0), d(j, 1)로 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j=K)의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을 1/2로 하는 경우, d(K, 0)=0, d(K, 1)=0으로 설정하고, d(K, 0), d(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을 2/3으로 하는 경우, d(K, 0)=1, d(K, 1)=0으로 설정하고, d(K, 0), d(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을 3/4로 하는 경우, d(K, 0)=0, d(K, 1)=1로 설정하고, d(K, 0), d(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을 4/5로 하는 경우, d(K, 0)=1, d(K, 1)=1로 설정하고, d(K, 0), d(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 설정은 4개에 한정한 것이 아니고, 2종류 이상의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을 송신 장치가 설정 가능하면 된다.
도 4, 및, 도 5, 및, 도 6에서는, 데이터 심벌군 #1, 데이터 심벌군 #2, 데이터 심벌군 #3이 존재하므로, d(1, 0), d(1, 1), d(2, 0), d(2, 1), d(3, 0), d(3,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게 된다.
송신 장치(도 1)가, 도 4, 또는, 도 5, 또는, 도 6의 프레임 구성을 선택한 경우, 즉, (v0, v1, v2)를 (0, 1, 0) 또는 (0, 1, 1) 또는 (1, 0, 0)으로 설정하고, 송신한 것으로 한다.
이 때, 도 4, 도 5, 도 6의 프레임의 데이터 심벌군 #1과 데이터 심벌군 #2와 같이, 일정 시간 간격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 그 시간 간격을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혼재하고 있는 시간 간격에 있어서의 단위시간을 OFDM 심벌이라고 불러도 된다.) 이 시간 간격에 관한 정보를 f(0), f(1)로 한다.
이 때, 이 시간 간격을 128 OFDM 심벌로 하는 경우, f(0)=0, f(1)=0으로 설정하고, f(0), f(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 시간 간격을 256 OFDM 심벌로 하는 경우, f(0)=1, f(1)=0으로 설정하고, f(0), f(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 시간 간격을 512 OFDM 심벌로 하는 경우, f(0)=0, f(1)=1로 설정하고, f(0), f(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 시간 간격을 1024 OFDM 심벌로 하는 경우, f(0)=1, f(1)=0으로 설정하고, f(0), f(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시간 간격의 설정은 4개에 한정한 것이 아니고, 2종류 이상의 시간 간격의 설정을 송신 장치가 설정 가능하면 된다.
송신 장치(도 1)가, 도 4, 또는, 도 5, 또는, 도 6의 프레임 구성을 선택한 경우, 즉, (v0, v1, v2)를 (0, 1, 0) 또는 (0, 1, 1) 또는 (1, 0, 0)으로 설정하고, 송신한 것으로 한다.
이 때, 도 4, 또는, 도 5, 또는, 도 6의 데이터 심벌군 #3과 같이, 일정 시간 간격에 있어서, 다른 데이터 심벌군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데이터 심벌군 #j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심벌수에 관한 정보를 e(j, 0), e(j, 1)로 한다. 단,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3의 직후에 데이터 심벌군 #4가 존재했을 때, 데이터 심벌군 #3과 데이터 심벌군 #4가 인접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데이터 심벌군 #3의 데이터 심벌과 데이터 심벌군 #4의 데이터 심벌이 일정 시간 간격으로 혼재하는 일이 있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심벌수를 256 심벌로 하는 경우, e(K, 0)=0, e(K, 1)=0으로 설정하고, e(K, 0), e(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심벌수를 512 심벌로 하는 경우, e(K, 0)=1, e(K, 1)=0으로 설정하고, e(K, 0), e(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심벌수를 1024 심벌로 하는 경우, e(K, 0)=0, e(K, 1)=1로 설정하고, e(K, 0), e(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심벌수를 2048 심벌로 하는 경우, e(K, 0)=1, e(K, 1)=1로 설정하고, e(K, 0), e(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심벌수 설정은 4개에 한정한 것이 아니고, 2종류 이상의 심벌수의 설정을 송신 장치가 설정 가능하면 된다.
도 4, 및, 도 5, 및, 도 6에서는, 데이터 심벌군 #3이 상기에 해당하므로, e(3, 0), e(3,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게 된다.
송신 장치(도 1)가, 도 4, 또는, 도 5, 또는, 도 6의 프레임 구성을 선택한 경우, 즉, (v0, v1, v2)를 (0, 1, 0) 또는 (0, 1, 1) 또는 (1, 0, 0)으로 설정하고, 송신한 것으로 한다.
이 때, 도 4, 도 5, 도 6의 프레임의 데이터 심벌군 #1과 데이터 심벌군 #2와 같이, 일정 시간 간격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 각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캐리어수에 관한 정보를 g(0), g(1)로 한다. 예를 들면, 캐리어의 총수를 512 캐리어로 한다.
2개의 데이터 심벌군 중, 제1 데이터 심벌군의 캐리어수를 480 캐리어, 제2 심벌군의 캐리어수를 32 캐리어로 하는 경우, g(0)=0, g(1)=0으로 설정하고, g(0), g(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2개의 데이터 심벌군 중, 제1 데이터 심벌군의 캐리어수를 448 캐리어, 제2 심벌군의 캐리어수를 64 캐리어로 하는 경우, g(0)=1, g(1)=0으로 설정하고, g(0), g(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2개의 데이터 심벌군 중, 제1 데이터 심벌군의 캐리어수를 384 캐리어, 제2 심벌군의 캐리어수를 128 캐리어로 하는 경우, g(0)=0, g(1)=1로 설정하고, g(0), g(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2개의 데이터 심벌군 중, 제1 데이터 심벌군의 캐리어수를 256 캐리어, 제2 심벌군의 캐리어수를 256 캐리어로 하는 경우, g(0)=1, g(1)=1로 설정하고, g(0), g(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캐리어수의 설정은 4개에 한정한 것이 아니고, 2종류 이상의 캐리어수의 설정을 송신 장치가 설정 가능하면 된다.
일정 시간 간격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의 예로서, 도 4부터 도 6에서는 2개의 데이터 심벌군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3개 이상의 데이터 심벌군이 혼재하고 있어도 된다. 이 점에 대해서, 도 24, 도 25, 도 2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도 4에 대해, 일정 시간 간격에 있어서, 3개의 데이터 심벌군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도 4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24에 있어서, 2401은 데이터 심벌군 #1, 2402는 데이터 심벌군 #2, 2403은 데이터 심벌군 #4를 나타내고 있고, 데이터 심벌군 #1, 데이터 심벌군 #2, 데이터 심벌군 #4는, 일정 시간 간격에 존재하고 있다.
도 25는, 도 5에 대해, 일정 시간 간격에 있어서, 3개의 데이터 심벌군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도 5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25에 있어서, 2501은 데이터 심벌군 #1, 2502는 데이터 심벌군 #2, 2503은 데이터 심벌군 #5를 나타내고 있고, 데이터 심벌군 #1, 데이터 심벌군 #2, 데이터 심벌군 #4는, 일정 시간 간격에 존재하고 있다.
도 26은, 도 6에 대해, 일정 시간 간격에 있어서, 3개의 데이터 심벌군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도 6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26에 있어서, 2601은 데이터 심벌군 #1, 2602는 데이터 심벌군 #2, 2603은 데이터 심벌군 #4를 나타내고 있고, 데이터 심벌군 #1, 데이터 심벌군 #2, 데이터 심벌군 #4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존재하고 있다.
도 1의 송신 장치는, 도 24부터 도 26의 프레임 구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 도 4부터 도 6, 도 24부터 도 26에 대해, 일정 시간 간격에 있어서, 4개 이상의 데이터 심벌군이 존재하는 프레임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24, 도 25, 도 26에 있어서, 주파수 분할한 데이터 심벌군의 후에 시분할 한 데이터 심벌군을 배치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시분할한 데이터 심벌군의 후에 주파수 분할한 데이터 심벌군을 배치해도 된다. 이 때, 도 25의 예에서는, 시분할한 데이터 심벌군과 주파수 분할한 데이터 심벌군의 사이에 제1 프리앰블, 제2 프리앰블이 삽입되게 된다. 단, 그 이외의 심벌이 삽입되어도 된다. 그리고, 도 26의 예에서는, 시분할한 데이터 심벌군과 주파수 분할한 데이터 심벌군의 사이에 파일럿 심벌이 삽입되게 된다. 단, 그 이외의 심벌이 삽입되어도 된다.
또한, 송신 장치(도 1)는,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제1 프리앰블 또는 제2 프리앰블에 수신 장치(단말)에 전달하기 위한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때, 예를 들면,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로서, v0, v1, v2의 3비트를 할당했을 때, 송신 장치가 도 24의 프레임 구성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v0, v1, v2)를 (1, 0, 1)로 하고,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송신 장치가 도 25의 프레임 구성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v0, v1, v2)를 (1, 1, 0)로 하고,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송신 장치가 도 26의 프레임 구성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v0, v1, v2)를 (1, 1, 1)로 하고,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또한, 도 24, 도 25, 도 26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은, MIMO(전송) 방법 및 MISO(전송) 방법에 의거한 심벌군인 경우도 있다(당연하지만, 데이터 심벌군은, SISO(SIMO) 방식의 심벌군이어도 된다.) 이 경우, 동일 시각, 동일(공통) 주파수에서는, 복수의 스트림(후에 설명하는 s1, s2)이 송신되게 된다. 이 경우, 동일 시각, 동일(공통) 주파수에서는, 복수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상이한)안테나로부터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송신 장치(도 1)가, 도 24, 또는, 도 25, 또는, 도 26의 프레임 구성을 선택한 경우, 즉, (v0, v1, v2)를 (1, 0, 1) 또는 (1, 1, 0) 또는 (1, 1, 1)로 설정하고, 송신한 것으로 한다.
이 때, 도 24, 도 25, 도 26의 프레임의 데이터 심벌군 #1과 데이터 심벌군 #2와 데이터 심벌군 #4와 같이, 일정 시간 간격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 각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캐리어수에 관한 정보를 g(0), g(1)로 한다. 예를 들면, 캐리어의 총수를 512 캐리어로 한다.
2개의 데이터 심벌군 중, 제1 데이터 심벌군의 캐리어수를 448 캐리어, 제2 심벌군의 캐리어수를 32 캐리어, 제3 심벌군의 캐리어수를 32 캐리어로 하는 경우, g(0)=0, g(1)=0으로 설정하고, g(0), g(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2개의 데이터 심벌군 중, 제1 데이터 심벌군의 캐리어수를 384 캐리어, 제2 심벌군의 캐리어수를 64 캐리어, 제3 심벌군의 캐리어수를 64 캐리어로 하는 경우, g(0)=1, g(1)=0으로 설정하고, g(0), g(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2개의 데이터 심벌군 중, 제1 데이터 심벌군의 캐리어수를 256 캐리어, 제2 심벌군의 캐리어수를 128 캐리어, 제3 심벌군의 캐리어수를 128 캐리어로 하는 경우, g(0)=0, g(1)=1로 설정하고, g(0), g(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2개의 데이터 심벌군 중, 제1 데이터 심벌군의 캐리어수를 480 캐리어, 제2 심벌군의 캐리어수를 16 캐리어, 제3 심벌군의 캐리어수를 16 캐리어로 하는 경우, g(0)=1, g(1)=1로 설정하고, g(0), g(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캐리어수의 설정은 4개에 한정한 것이 아니고, 1종류 이상의 캐리어수의 설정을 송신 장치가 설정 가능하면 된다.
또, 도 4, 도 5, 도 6, 도 24, 도 25, 도 26과 같이, 「제1 시간 간격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와「제2 시간 간격에 있어서, 하나의 데이터 심벌군 밖에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혼재하는 프레임에 있어서, 「제1 시간 간격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의 캐리어 간격(FFT(Fast Fourier Transform) 사이즈, 또는, 푸리에 변환의 사이즈)와 「제2 시간 간격에 있어서, 하나의 데이터 심벌군 밖에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캐리어 간격(FFT(Fast Fourier Transform) 사이즈, 또는, 푸리에 변환의 사이즈)를 송신 장치를 따로따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면, 데이터의 전송 효율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제1 시간 간격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 효율의 점에서 적절한 캐리어 간격과 「제2 시간 간격에 있어서, 하나의 데이터 심벌군 밖에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 효율의 점에서 적절한 캐리어 간격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시간 간격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에 관한 캐리어 간격에 관한 제어 정보를 ha(0), ha(1)로 한다.
이 때, 캐리어 간격을 0.25 kHz로 하는 경우, ha(0)=0, ha(1)=0으로 설정하고, ha(0), ha(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캐리어 간격을 0.5 kHz로 하는 경우, ha(0)=1, ha(1)=0으로 설정하고, ha(0), ha(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캐리어 간격을 1 kHz로 하는 경우, ha(0)=0, ha(1)=1로 설정하고, ha(0), ha(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캐리어 간격을 2 kHz로 하는 경우, ha(0)=1, ha(1)=1로 설정하고, ha(0), ha(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캐리어 간격의 설정은 4개에 한정한 것이 아니고, 2종류 이상의 캐리어 간격의 설정을 송신 장치가 설정 가능하면 된다.
그리고, 「제2 시간 간격에 있어서, 하나의 데이터 심벌군 밖에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관한 캐리어 간격에 관한 제어 정보를 hb(0), hb(1)로 한다.
이 때, 캐리어 간격을 0.25 kHz로 하는 경우, hb(0)=0, hb(1)=0으로 설정하고, hb(0), hb(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캐리어 간격을 0.5 kHz로 하는 경우, hb(0)=1, hb(1)=0으로 설정하고, hb(0), hb(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캐리어 간격을 1 kHz로 하는 경우, hb(0)=0, hb(1)=1로 설정하고, hb(0), hb(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캐리어 간격을 2 kHz로 하는 경우, hb(0)=1, hb(1)=1로 설정하고, hb(0), hb(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캐리어 간격의 설정은 4개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2종류 이상의 캐리어 간격의 설정을 송신 장치가 설정 가능하면 된다.
여기서, 「제1 시간 간격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의 캐리어 간격의 설정치를 0.25 kHz, 0.5 kHz, 1 kHz, 2 kHz, 「제2 시간 간격에 있어서, 하나의 데이터 심벌군 밖에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캐리어 간격의 설정치를 0.25 kHz, 0.5 kHz, 1 kHz, 2 kHz와 같이, 「제1 시간 간격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 「제2 시간 간격에 있어서, 하나의 데이터 심벌군 밖에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모두 선택 가능한 설정치를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 「제1 시간 간격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의 선택 가능한 설정치 세트와 「제2 시간 간격에 있어서, 하나의 데이터 심벌군 밖에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선택 가능한 설정치 세트가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시간 간격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의 캐리어 간격의 설정치를 0.25 kHz, 0.5 kHz, 1 kHz, 2 kHz, 「제2 시간 간격에 있어서, 하나의 데이터 심벌군 밖에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캐리어 간격의 설정치를 0.125 kHz, 0.25 kHz, 0.5 kHz, 1 kHz와 같이 해도 된다. 또한, 설정 가능한 값은, 이 예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시간 간격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에 관한 캐리어 간격에 관한 제어 정보를 ha(0), ha(1), 및, 「제2 시간 간격에 있어서, 하나의 데이터 심벌군 밖에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관한 캐리어 간격에 관한 제어 정보를 hb(0), hb(1)는, 도 4, 도 5, 도 6, 도 24, 도 25, 도 26에 있어서, 제1 프리앰블 또는 제2 프리앰블 중 어느 하나로 송신되는 방법이 생각된다.
예를 들면, 도 4, 도 6, 도 24, 도 26에서는, 「제1 시간 간격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에 관한 캐리어 간격에 관한 제어 정보를 ha(0), ha(1), 및, 「제2 시간 간격에 있어서, 하나의 데이터 심벌군 밖에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관한 캐리어 간격에 관한 제어 정보를 hb(0), hb(1)를 제1 프리앰블(201), 또는, 제2 프리앰블(202)로 송신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도 5, 도 25에서는, 「제1 시간 간격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에 관한 캐리어 간격에 관한 제어 정보를 ha(0), ha(1)를 제1 프리앰블(201), 또는, 제2 프리앰블(202), 「제2 시간 간격에 있어서, 하나의 데이터 심벌군 밖에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관한 캐리어 간격에 관한 제어 정보를 hb(0), hb(1)를 제1 프리앰블(501), 또는, 제2 프리앰블(502)로 송신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도 5, 도 25에서는, 「제1 시간 간격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에 관한 캐리어 간격에 관한 제어 정보를 ha(0), ha(1), 및, 「제2 시간 간격에 있어서, 하나의 데이터 심벌군 밖에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관한 캐리어 간격에 관한 제어 정보를 hb(0), hb(1)를, 「제1 프리앰블(201), 또는, 제2 프리앰블(202)」, 및, 「제1 프리앰블(501), 또는, 제2 프리앰블(502)」로 송신한다고 하는 것처럼, ha(0), ha(1), hb(0), hb(1)를 여러 차례 송신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이 때,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1의 데이터만 바라보고 있는 수신 장치, 데이터 심벌군 #의 데이터만 바라보고 있는 수신 장치가, 프레임 모든 상황을 알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양자의 수신 장치를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당연하지만,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한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예를 들면, 도 23)는, 전에서 설명한 제어 정보를 받고, 그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 심벌군을 복조 및 복호하여 정보를 얻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어 정보로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향상과 데이터의 전송 효율의 향상을 행할 수 있고, 수신 장치를 적확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1,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으로서 도 3, 도 4, 도 5, 도 6을 설명했지만, 도 4, 도 5, 도 6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1과 데이터 심벌군 #2의 주파수축에 있어서의 배치는,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 27, 도 28, 도 29의 데이터 심벌군 #1(2701), 데이터 심벌군 #2(2702)와 같이 배치해도 된다. 또한, 도 27, 도 28, 도 29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이 된다.
그리고, 도 5의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1(401_1, 401_2)의 송신 방법, 데이터 심벌군 #2(402)의 송신 방법에 대해서는, 제1 프리앰블(2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202)로 설정되고, 데이터 심벌군 #3(403)의 송신 방법에 대해서는, 제1 프리앰블(5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502)로 설정된다고 해도 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1(401_1, 401_2)의 송신 방법, 및, 데이터 심벌군 #2(402)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데이터 심벌군 #1(401_1, 401_2)의 송신 방법, 및, 데이터 심벌군 #2(402)의 송신 방법은,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데이터 심벌군 #3(403)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데이터 심벌군 #3(403)의 송신 방법은,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과 세트」와 다음의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 세트」의 사이에 있는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SISO 전송(SIMO 전송)」 중 어느 하나가 되고,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과의 세트」와 다음의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의 세트」의 사이에 있는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MIM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고, 또한, MIS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는 것으로 한다.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한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 전계 강도의 변동이 커지기 때문에, AD(Analog-to-Digital) 변환 시, 양자화 오차가 발생하기 쉽고,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열화되는 과제가 있다. 그러나, 상술과 같이 하면, 이러한 현상의 발생이 억제되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단, 상술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또, 상술과 같은 전송 방법의 전환에 수반하여,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 방법을 전환하게도 되고, 데이터의 전송 효율의 향상의 점으로부터도 이점이 있다.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한 경우, 파일럿 심벌의 삽입하는 빈도가 과잉이 되어, 데이터의 전송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대로이다.
「S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과「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에서는, 파일럿 심벌의 구성 방법이 상이하다. 이 점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1은, 「S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1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주파수이다. 도 41에 있어서, 4101은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을 나타내고 있고, 4102는 파일럿 심벌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 4101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고, 파일럿 심벌(4102)은, 수신 장치에 있어서, 주파수 오프셋의 추정, 주파수 동기, 시간 동기, 신호 검출, 채널 추정(전파 전파 환경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벌이며, 예를 들면, 송신 장치, 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지의 PSK(Phase Shift Keying) 심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파일럿 심벌(4102)은 PSK 심벌인 것이 요구될 가능성이 높다.
도 42는,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2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주파수이다.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 2개의 안테나로부터 각각 변조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여기서, 변조 신호 #1, 변조 신호 #2라고 이름 붙인다. 도 42는, 변조 신호 #1의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와 변조 신호 #2의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겸용하여 기재하고 있다.
예 1)
변조 신호 #1의 경우: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 모두 PSK의 심벌이다.
변조 신호 #2의 경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 모두 PSK의 심벌이다.
그리고,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과「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에서는, 일정 주기로 직교(상호 상관이 제로) 하고 있다.
예 2)
변조 신호 #1의 경우: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은 PSK의 심벌이며,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은, 널 심벌(동상 성분 I는 0(제로), 직교 성분 Q는 0(제로))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은 파일럿 심벌이라고 부르지 않아도 된다.
변조 신호 #2의 경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1)은 PSK의 심벌이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2)는, 널 심벌(동상 성분 I는 0(제로), 직교 성분 Q는 0(제로))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2)은 파일럿 심벌이라고 부르지 않아도 된다.
동일하게, 도 25의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1(2501)의 송신 방법, 데이터 심벌군 #2(2502)의 송신 방법, 데이터 심벌군 #4(2503)의 송신 방법에 대해서는, 제1 프리앰블(2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202)로 설정되고, 데이터 심벌군 #3(403)의 송신 방법에 대해서는, 제1 프리앰블(5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502)로 설정된다고 해도 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1(2501)의 송신 방법, 데이터 심벌군 #2(2502)의 송신 방법, 데이터 심벌군 #4(2503)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데이터 심벌군 #1(2501)의 송신 방법, 데이터 심벌군 #2(2502)의 송신 방법, 데이터 심벌군 #4(2503)의 송신 방법은,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데이터 심벌군 #3(403)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데이터 심벌군 #3(403)의 송신 방법은,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과 세트」와 다음의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 세트」의 사이에 있는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가 되고,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과 세트」와 다음의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 세트」의 사이에 있는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MIM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고, 또한 MIS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는 것으로 한다.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한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 전계 강도의 변동이 커지기 때문에, AD(Analog-to-Digital) 변환 시, 양자화 오차가 발생하기 쉽고,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열화되는 과제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하면, 이러한 현상의 발생이 억제되고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단, 상술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또, 상술과 같은 전송 방법의 전환에 수반하여,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 방법을 전환하게도 되고, 데이터의 전송 효율의 향상의 점으로부터도 이점이 있다.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한 경우, 파일럿 심벌의 삽입하는 빈도가 과잉이 되어, 데이터의 전송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대로이다.
「S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과「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에서는, 파일럿 심벌의 구성 방법이 상이하다. 이 점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1은, 「S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1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주파수이다. 도 41에 있어서, 4101은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을 나타내고 있고, 4102는 파일럿 심벌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 4101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고, 파일럿 심벌(4102)은, 수신 장치에 있어서, 주파수 오프셋의 추정, 주파수 동기, 시간 동기, 신호 검출, 채널 추정(전파 전파 환경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벌이며, 예를 들면, 송신 장치, 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지의 PSK(Phase Shift Keying) 심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파일럿 심벌(4102)은, PSK 심벌인 것이 요구될 가능성이 높다.
도 42는,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2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주파수이다.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 2개의 안테나로부터 각각 변조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여기서, 변조 신호 #1, 변조 신호 #2라고 이름 붙인다. 도 42는, 변조 신호 #1의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와 변조 신호 #2의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겸용하여 기재하고 있다.
예 1)
변조 신호 #1의 경우: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 모두 PSK의 심벌이다.
변조 신호 #2의 경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 모두 PSK의 심벌이다.
그리고,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과「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에서는, 일정 주기로 직교(상호 상관이 제로) 하고 있다.
예 2)
변조 신호 #1의 경우: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은 PSK의 심벌이며,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은, 널 심벌(동상 성분 I는 0(제로), 직교 성분 Q는 0(제로))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는 파일럿 심벌이라고 부르지 않아도 된다.
변조 신호 #2의 경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1)은 PSK의 심벌이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2)는, 널 심벌(동상 성분 I는 0(제로), 직교 성분 Q는 0(제로))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2)는 파일럿 심벌이라고 부르지 않아도 된다.
또, 도 6의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1(401_1, 401_2), 의 송신 방법, 데이터 심벌군 #2(402)의 송신 방법, 데이터 심벌군 #3(403)의 송신 방법에 대해서는, 제1 프리앰블(2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202)로 설정된다고 해도 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1(401_1, 401_2)의 송신 방법, 및, 데이터 심벌군 #2(402)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데이터 심벌군 #1(401_1, 401_2)의 송신 방법, 및, 데이터 심벌군 #2(402)의 송신 방법은,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데이터 심벌군 #3(403)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데이터 심벌군 #3(403)의 송신 방법은,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과 세트」와「파일럿 심벌」의 사이에 있는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가 된다. 즉, MIM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고, 또한, MIS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파일럿 심벌」과 다음의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 세트」의 사이에 있는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가 된다. 즉, MIM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고, 또한, MIS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다. 단, 도 6에 있어서, 파일럿 심벌의 다음의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 세트」에 대해서는 나타내고 있지 않다.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한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 전계 강도의 변동이 커지기 때문에, AD(Analog-to-Digital) 변환 시, 양자화 오차가 발생하기 쉽고,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열화되는 과제가 있다. 그러나, 상술과 같이 하면, 이러한 현상의 발생이 억제되고,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단, 상술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또, 상술과 같은 전송 방법의 전환에 수반하여,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 방법을 전환하게도 되고, 데이터의 전송 효율의 향상의 점으로부터도 이점이 있다.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한 경우, 파일럿 심벌의 삽입하는 빈도가 과잉이 되어, 데이터의 전송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대로이다.
「S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과「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에서는, 파일럿 심벌의 구성 방법이 상이하다. 이 점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1은, 「S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1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주파수이다. 도 41에 있어서, 4101은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을 나타내고 있고, 4102는 파일럿 심벌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 4101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고, 파일럿 심벌(4102)은 수신 장치에 있어서, 주파수 오프셋의 추정, 주파수 동기, 시간 동기, 신호 검출, 채널 추정(전파 전파 환경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벌이며, 예를 들면, 송신 장치, 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지의 PSK(Phase Shift Keying) 심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파일럿 심벌(4102)은 PSK 심벌인 것이 요구될 가능성이 높다.
도 42는,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2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주파수이다.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 2개의 안테나로부터 각각 변조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여기서, 변조 신호 #1, 변조 신호 #2라고 이름 붙인다. 도 42는, 변조 신호 #1의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와 변조 신호 #2의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겸용하여 기재하고 있다.
예 1)
변조 신호 #1의 경우: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 모두 PSK의 심벌이다.
변조 신호 #2의 경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 모두 PSK의 심벌이다.
그리고,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과「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에서는, 일정 주기로 직교(상호 상관이 제로) 하고 있다.
예 2)
변조 신호 #1의 경우: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은 PSK의 심벌이며,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은 널 심벌(동상 성분 I는 0(제로), 직교 성분 Q는 0(제로))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는 파일럿 심벌이라고 부르지 않아도 된다.
변조 신호 #2의 경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1)은 PSK의 심벌이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2)은 널 심벌(동상 성분 I는 0(제로), 직교 성분 Q는 0(제로))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2)은 파일럿 심벌이라고 부르지 않아도 된다.
동일하게, 도 26의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1(2501)의 송신 방법, 데이터 심벌군 #2(2502)의 송신 방법, 데이터 심벌군 #4(2503)의 송신 방법, 데이터 심벌군 #3(403)의 송신 방법에 대해서는, 제1 프리앰블(2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202)로 설정된다고 해도 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1(2501)의 송신 방법, 데이터 심벌군 #2(2502)의 송신 방법, 데이터 심벌군 #4(2503)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데이터 심벌군 #1(2501)의 송신 방법, 데이터 심벌군 #2(2502)의 송신 방법, 데이터 심벌군 #4(2503)의 송신 방법은,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데이터 심벌군 #3(403)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데이터 심벌군 #3(403)의 송신 방법은,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과 세트」와「파일럿 심벌」의 사이에 있는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가 된다. 즉, MIM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고, 또한 MIS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파일럿 심벌」과 다음의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 세트」의 사이에 있는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가 된다. MIM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고, 또한, MIS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다. 단, 도 6에 있어서, 파일럿 심벌의 다음의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 세트」에 대해서는 나타내고 있지 않다.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한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 전계 강도의 변동이 커지기 때문에, AD(Analog-to-Digital) 변환 시, 양자화 오차가 발생하기 쉽고,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열화되는 과제가 있다. 그러나, 상술과 같이 하면, 이러한 현상의 발생이 억제되고,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단, 상술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또, 상술과 같은 전송 방법의 전환에 수반하여,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 방법을 전환하게도 되고, 데이터의 전송 효율의 향상의 점으로부터도 이점이 있다.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한 경우, 파일럿 심벌이 삽입하는 빈도가 과잉이 되어, 데이터의 전송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대로이다.
「S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과「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에서는, 파일럿 심벌의 구성 방법이 상이하다. 이 점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1은, 「S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1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주파수이다. 도 41에 있어서, 4101은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을 나타내고 있고 4102는 파일럿 심벌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 4101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고, 파일럿 심벌(4102)은 수신 장치에 있어서, 주파수 오프셋의 추정, 주파수 동기, 시간 동기, 신호 검출, 채널 추정(전파 전파 환경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벌이며, 예를 들면, 송신 장치, 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지의 PSK(Phase Shift Keying) 심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파일럿 심벌(4102)은 PSK 심벌인 것이 요구될 가능성이 높다.
도 42는,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2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주파수이다.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 2개의 안테나로부터 각각 변조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여기서, 변조 신호 #1, 변조 신호 #2라고 이름 붙인다. 도 42는, 변조 신호 #1의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와 변조 신호 #2의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겸용하여 기재하고 있다.
예 1)
변조 신호 #1의 경우: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 모두 PSK의 심벌이다.
변조 신호 #2의 경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 모두 PSK의 심벌이다.
그리고,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과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에서는, 일정 주기로 직교(상호 상관이 제로) 하고 있다.
예 2)
변조 신호 #1의 경우: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은 PSK의 심벌이며,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은, 널 심벌(동상 성분 I는 0(제로), 직교 성분 Q는 0(제로))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는 파일럿 심벌이라고 부르지 않아도 된다.
변조 신호 #2의 경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1)은 PSK의 심벌이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2)은, 널 심벌(동상 성분 I는 0(제로), 직교 성분 Q는 0(제로))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2)은 파일럿 심벌이라고 부르지 않아도 된다.
(실시의 형태 3)
실시의 형태 1,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복수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프리코딩, 위상 변경을 이용한 MIMO 전송 방식, 시공간 블럭 부호(Space Time Block codes), 또는, 주파수-공간 블럭 부호(Space Frequency Block codes)를 이용한 MISO(Multiple-Input Single-Output) 전송 방식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러한 전송 방식으로 송신 장치가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고려했을 때의 프리앰블의 송신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또한, MIMO 전송 방식은, 위상 변경을 실시하지 않는 MIMO 전송 방식이어도 된다.
도 1의 송신 장치는, 안테나 126_1과 안테나 126_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 송신하는 2개의 변조 신호의 분리가 용이해질 가능성이 높은 안테나의 구성 방법으로서,
「안테나 126_1이 수평 편파용의 안테나, 안테나 126_2가 수직 편파용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126_1이 수직 편파용의 안테나, 안테나 126_2가 수평 편파용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126_1이 우선원 편파용의 안테나, 안테나 126_2가 좌선원 편파용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126_1이 좌선원 편파용의 안테나, 안테나 126_2가 우선원 편파용의 안테나」
가 있고, 이러한 안테나 구성 방법을, 제1 안테나 구성 방법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 제1 안테나 구성 방법 이외의 안테나 구성 방법을 제2 안테나 구성 방법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제2 안테나 구성 방법에는, 예를 들면,
「안테나 126_1이 수평 편파용의 안테나, 안테나 126_2가 수평 편파용의 안테나」
「안테나 126_1이 수직 편파용의 안테나, 안테나 126_2가 수직 편파용의 안테나」
「안테나 126_1이 좌선원 편파용의 안테나, 안테나 126_2가 좌선원 편파용의 안테나」
「안테나 126_1이 우선원 편파용의 안테나, 안테나 126_2가 우선원 편파용의 안테나」가 포함되게 된다.
각 송신 장치(도 1)는, 제1 안테나 구성 방법, 예를 들면, 「안테나 126_1이 수평 편파용의 안테나, 안테나 126_2가 수직 편파용의 안테나」또는 「안테나 126_1이 수직 편파용의 안테나, 안테나 126_2가 수평 편파용의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 구성 방법, 예를 들면, 「안테나 126_1이 수평 편파용의 안테나, 안테나 126_2가 수평 편파용의 안테나」또는 「안테나 126_1이 수직 편파용의 안테나, 안테나 126_2가 수직 편파용의 안테나」,
의 설정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 장치의 설치 장소(설치 지역)에 의해, 제1 안테나의 구성 방법, 또는, 제2 안테나 구성 방법 중 어느 하나의 안테나 구성 방법이 채용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안테나 구성 방법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2부터 도 6, 도 24부터 도 26의 프레임 구성 방법 시, 제1 프리앰블, 제2 프리앰블의 구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2와 동일하게, 송신 장치는, 제1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안테나 구성 방법에 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안테나 구성 방법에 관한 정보를 m(0), m(1)로 한다.
이 때, 송신 장치가 구비하는 2개의 송신 안테나에 있어서, 제1 송신 안테나가 수평 편파용의 안테나이며, 즉, 제1 송신 안테나가 수평 편파의 제1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제2 송신 안테나가 수평 편파용의 안테나인, 즉, 제2 송신 안테나가 수평 편파의 제2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m(0)=0, m(1)=0으로 설정하고, m(0), m(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송신 장치가 구비하는 2개의 송신 안테나에 있어서, 제1 송신 안테나가 수직 편파용의 안테나이며, 즉, 제1 송신 안테나가 수직 편파의 제1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제2 송신 안테나가 수직 편파용의 안테나인, 즉, 제2 송신 안테나가 수직 편파의 제2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m(0)=1, m(1)=0으로 설정하고, m(0), m(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송신 장치가 구비하는 2개의 송신 안테나에 있어서, 제1 송신 안테나가 수평 편파용의 안테나이며, 즉, 제1 송신 안테나가 수평 편파의 제1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제2 송신 안테나가 수직 편파용의 안테나인, 즉, 제2 송신 안테나가 수직 편파의 제2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m(0)=0, m(1)=1로 설정하고, m(0), m(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송신 장치가 구비하는 2개의 송신 안테나에 있어서, 제1 송신 안테나가 수직 편파용의 안테나이며, 즉, 제1 송신 안테나가 수직 편파의 제1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제2 송신 안테나가 수평 편파용의 안테나인, 즉, 제2 송신 안테나가 수평 편파의 제2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m(0)=1, m(1)=1로 설정하고, m(0), m(1)을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송신 장치는, 도 2부터 도 6, 도 24부터 도 26의 프레임 구성 방법에 있어서, m(0), m(1)을, 예를 들면, 제1 프리앰블로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수신 장치는, 제1 프리앰블을 수신하고, 복조 및 복호함으로써, 송신 장치가 송신한 변조 신호(예를 들면, 제2 프리앰블이나 데이터 심벌군)가, 어떠한 편파를 이용하여 송신되었는지를 간단하게 알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수신 장치가 수신 시에 사용하는 안테나(편파의 사용도 포함한다)를 적확하게 설정할 수 있고, 따라서, 높은 수신 이득(높은 수신 전계 강도)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득을 얻는 효과가 작은 수신을 위한 신호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어진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득을 얻는 효과가 작은 수신을 위한 신호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어진다는 이점도 있다」고 기재했지만, 이 점에 대해서, 보충의 설명을 행한다.
송신 장치가 수평 편파에서만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 장치가 수평 편파용 수신 안테나와 수직 편파용 수신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때, 송신 장치가 송신한 변조 신호는, 수신 장치의 수평 편파용의 수신 안테나로 수신할 수 있지만, 수신 장치의 수직 편파용의 수신 안테나에서는, 송신 장치가 송신한 변조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는 매우 작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수신 장치의 수직 편파용의 수신 안테나로 수신한 수신 신호를 신호 처리하고, 데이터를 얻는 동작을 할 필요성은, 신호 처리에 의해서 소비하는 전력을 고려하면 적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송신 장치가 「안테나 구성 방법에 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 장치가, 적확하게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
다음에, 송신 장치가 2개 이상의 수평 편파용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단, 수직 편파용의 안테나를 송신 장치가 구비하고 있지 않다고는 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송신 장치가 2개 이상의 수직 편파용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단, 수평 편파용의 안테나를 송신 장치가 구비하고 있지 않다고는 할 수 없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송신 장치가 2개 이상의 수평 편파용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이 경우, SISO 전송 방식, 또는, SIMO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싱글 스트림을 송신할 때, 송신 장치는, 하나 이상의 수평 편파용의 안테나에 의해 변조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 경우를 고려하면, 상술에서 설명한, 안테나 구성 방법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 제1 프리앰블을, 송신 장치는, 하나 이상의 수평 편파용의 안테나에 의해 송신하면, 수신 장치는, 높은 이득으로, 안테나 구성 방법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 제1 프리앰블을 수신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안테나 구성 방법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 장치는 얻음으로써, MIMO 전송 방식, MISO 전송 방식을 어떠한 안테나 구성으로 송신 장치가 송신했는지를 수신 장치는 알 수 있다.
<송신 장치가 2개 이상의 수직 편파용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이 경우, SISO 전송 방식, 또는, SIMO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싱글 스트림을 송신할 때, 송신 장치는, 하나 이상의 수직 편파용의 안테나에 의해, 변조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 경우를 고려하면, 상술에서 설명한, 안테나 구성 방법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 제1 프리앰블을, 송신 장치는, 하나 이상의 수직 편파용의 안테나에 의해 송신하면, 수신 장치는, 높은 이득으로, 안테나 구성 방법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 제1 프리앰블을 수신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안테나 구성 방법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 장치는 얻음으로써, MIMO 전송 방식, MISO 전송 방식을 어떠한 안테나 구성으로 송신 장치가 송신했는지를 수신 장치는 알 수 있다.
다음에, 송신 장치가 수평 편파용의 안테나와 수직 편파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SISO 전송 방식, 또는, SIMO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싱글 스트림을 송신할 때, 송신 장치는,
제1 방법:
수평 편파용의 안테나와 수직 편파의 안테나에 의해,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제2 방법:
수평 편파용의 안테나에 의해,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제3 방법:
수직 편파의 안테나에 의해,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이 생각된다.
이 경우, 상술에서 설명한, 안테나 구성 방법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프리앰블을 송신하는데 사용하는 안테나는, SISO 전송 방식, 또는, SIMO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싱글 스트림을 송신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안테나와 동일한 방법으로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SISO 전송 방식, 또는, SIMO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싱글 스트림을 송신할 때, 제1 방법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안테나 구성 방법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프리앰블은, 수평 편파용의 안테나와 수직 편파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게 된다.
제2 방법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안테나 구성 방법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 제1 프리앰블은, 수평 편파용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게 된다.
제3 방법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안테나 구성 방법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 제1 프리앰블은, 수직 편파용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수신 장치는, SISO 방식으로 송신되는 데이터 심벌군과 동일하게 제1 프리앰블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전송 방식에 의한 신호 처리 방법의 변경이 불필요해진다, 라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술에서 설명한 이점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안테나 구성 방법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 장치는 얻음으로써, MIMO 전송 방식, MISO 전송 방식을 어떠한 안테나 구성으로 송신 장치가 송신했는지를 수신 장치는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안테나 구성 방법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프리앰블을 송신함으로써, 수신 장치는, 높은 이득으로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데이터 심벌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수신 장치의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설명에서는, 제1 프리앰블에 안테나 구성 방법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제1 프리앰블에 안테나 구성 방법에 관한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리앰블을 송신하는데 사용하는 안테나는, 송신 장치의 설치나 메인터넌스일 때에 결정될 가능성이 높고, 운용 한중간에 사용하는 안테나를 변경할 수도 있지만, 그 가능성은, 실운용 상에서는 빈번하게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
(실시의 형태 4)
상술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의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에 대해 더 설명한다.
도 30은,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이며, 도 2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30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OFDM 방식 등의 멀티 캐리어를 이용한 전송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하기 위해서, 세로축 주파수에 있어서, 복수의 캐리어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30에 있어서, 3001은 데이터 심벌군 #1, 3002는 데이터 심벌군 #2, 3003은 데이터 심벌군 #3을 나타내고 있고, 시각 t1부터 시각 t2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1(3001), 데이터 심벌군 #2(3002), 데이터 심벌군 #3(3003)이 존재하고 있으며, 각 시각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존재하고 있다.
동일하게, 3004는 데이터 심벌군 #4, 3005는 데이터 심벌군 #5, 3006은 데이터 심벌군 #6을 나타내고 있고, 시각 t2부터 시각 t3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4(3004), 데이터 심벌군 #5(3005), 데이터 심벌군 #6(3006)이 존재하고 있고, 각 시각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3007은 데이터 심벌군 #7, 3008은 데이터 심벌군 #8, 3009는 데이터 심벌군 #9를 나타내고 있고, 시각 t3부터 시각 t4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7(3007), 데이터 심벌군 #8(3008), 데이터 심벌군 #9(3009)가 존재하고 있으며, 각 시각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존재하고 있다.
이 때, 각 데이터 심벌군에 있어서,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각 시각에 존재하는 심벌군은 3개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2이상의 심벌군이 존재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데이터 심벌군은, MIMO(전송) 방법 및 MISO(전송) 방법에 의거한 심벌군이기도 하다. 당연하지만, 데이터 심벌군은 SISO(SIMO) 방식의 심벌군이어도 된다. 이 경우, 동일 시각, 동일(공통) 주파수에서는, 복수의 스트림(후에 설명하는 s1, s2)이 송신되게 된다. 이 경우, 동일 시각, 동일(공통) 주파수에서는, 복수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상이한)안테나로부터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이 점에 대해서는, 도 30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도 31, 도 32, 도 33, 도 34, 도 35, 도 36, 도 37, 도 38에서도 동일하다.
도 30에 있어서 특징적인 점은, 주파수 분할을 행하고, 데이터 심벌군이 복수 존재하는 시간 구간이 2개소 이상 존재하고 있는 점이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상이한 심벌군을 동일 시간에 존재시킬 수 있고, 또한 데이터 구간을 적절하게 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31은,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이며, 도 2, 도 30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은 생략한다. 도 31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OFDM 방식 등의 멀티 캐리어를 이용한 전송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하기 위해, 세로축 주파수에 있어서, 복수의 캐리어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3101은 데이터 심벌군 #10, 3102는 데이터 심벌군 #11을 나타내고 있고, 시각 t4부터 시각 t5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10(3101), 데이터 심벌군 #11(3102)이 존재하고 있다. 이 때, 시간 분할을 행하고,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존재하고 있다.
도 31에 있어서 특징적인 점은, 주파수 분할을 행하고, 데이터 심벌군이 복수 존재하는 시간 구간이 2개소 이상 존재하고, 또한, 시간 분할을 행하고, 복수의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고 있는 점이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상이한 심벌군을 동일 시간에 존재시킬 수 있고, 또한 데이터 구간을 적절하게 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고, 또, 시간 분할을 행하여, 데이터 구간을 적절히 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32는,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이며, 도 2, 도 30, 도 5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32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OFDM 방식 등의 멀티 캐리어 방식을 이용한 전송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하기 위해, 세로축 주파수에 있어서, 복수의 캐리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3201은 데이터 심벌군 #7, 3202는 데이터 심벌군 #8을 나타내고 있고, 시각 t4부터 시각 t5 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7(3201), 데이터 심벌군 #8(3202)이 존재하고 있다. 이 때, 시간 분할을 행하여,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존재하고 있다.
도 31과 상이한 점은, 데이터 심벌군 #7(3201)의 전에 제1 프리앰블(501)과 제2 프리앰블(502)을 배치하고 있는 점이다. 이 때, 주파수 분할된 데이터 심벌군 #1부터#6에 관련된 제어 정보, 예를 들면, 각 데이터 심벌군이 필요로 하는 캐리어수 및 시간 간격, 각 데이터 심벌군의 변조 방식, 각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 각 데이터 심벌군에서 사용하는 오류 정정 부호의 방식 등은, 도 32에 있어서의 제1 프리앰블(2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202)로 전송되게 된다. 또한, 제어 정보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2에서 일례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 점에 대해서는 별도 설명한다.
그리고, 시간 분할된 데이터 심벌군 #7, #8에 관한 제어 정보, 예를 들면, 각 데이터 심벌군이 필요로 하는 심벌수(또는 시간 간격), 각 데이터 심벌군의 변조 방식, 각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 각 데이터 심벌군에서 사용하는 오류 정정 부호의 방식 등은, 도 32에 있어서의 제1 프리앰블(5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502)로 전송되게 된다. 또한 제어 정보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2에서 일례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 점에 대해서는 별도 설명한다.
이와 같이 제어 정보를 전송하면, 제1 프리앰블(201), 제2 프리앰블(202)에, 시분할의 데이터 심벌군을 위한 전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시킬 필요가 없어지고, 또, 제1 프리앰블(501), 제2 프리앰블(502)에, 주파수 분할의 데이터 심벌군의 전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시킬 필요가 없어지고, 제어 정보의 데이터 전송 효율, 수신 장치의 제어 정보에 제어의 간단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32에 있어서 특징적인 점은, 주파수 분할을 행하고, 데이터 심벌군이 복수 존재하는 시간 구간이 2개소 이상 존재하며, 또한 시간 분할을 행하여, 복수의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고 있는 점이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상이한 심벌군을 동일 시간에 존재시킬 수 있고 또한, 데이터 구간을 적절하게 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고, 또, 시간 분할을 행하여, 데이터 구간을 적절하게 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33은,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이며, 도 2, 도 30, 도 32, 도 6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33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OFDM 방식 등의 멀티 캐리어 방식을 이용한 전송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하기 위해, 세로축 주파수에 있어서, 복수의 캐리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3201은 데이터 심벌군 #7, 3202는 데이터 심벌군 #8을 나타내고 있고, 시각 t4부터 시각 t5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7(3201), 데이터 심벌군 #8(3202)이 존재하고 있다. 이 때, 시간 분할을 행하여,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존재하고 있다.
도 30, 도 31과 상이한 점은, 데이터 심벌군 #7(3201)의 전에 파일럿 심벌(601)을 배치하고 있는 점이다. 이 때, 파일럿 심벌(601)을 배치했을 때의 이점은,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했던 대로이다.
도 33에 있어서 특징적인 점은, 주파수 분할을 행하여, 데이터 심벌군이 복수 존재하는 시간 구간이 2개소 존재하고, 또한 시간 분할을 행하여, 복수의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고 있는 점이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상이한 심벌군을 동일 시간에 존재시킬 수 있고 또한, 데이터 구간을 적절하게 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시간 분할을 행하여, 데이터 구간을 적절하게 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34는,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이며, 도 2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34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OFDM 방식 등의 멀티 캐리어 방식을 이용한 전송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하기 위해, 세로축 주파수에 있어서, 복수의 캐리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도 34에 있어서, 3401은 데이터 심벌군 #1, 3402는 데이터 심벌군 #2, 3403은 데이터 심벌군 #3, 3404는 데이터 심벌군 #4, 3405는 데이터 심벌군 #5, 3406은 데이터 심벌군 #6, 3407은 데이터 심벌군 #7, 3408은 데이터 심벌군 #8을 나타내고 있다.
도 34에서는, 데이터 심벌군을 주파수 분할 방식을 이용하여 프레임에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도 34가, 도 30부터 도 33과 상이한 점은, 각 데이터 심벌군의 시간 간격의 설정에 유연성이 있는 점이다.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1은, 시각 t1부터 시각 t2에 걸쳐서 심벌이 배치되어 있고, 다른 데이터 심벌에 비해, 시간 간격이 길어지고 있다. 그 외의 데이터 심벌군에 대해서도, 시간 간격은 유연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 34에 있어서 특징적인 점은, 주파수 분할을 행하고, 데이터 심벌군의 시간 간격을 유연하게 설정하고 있는 점이며,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상이한 심벌군을 동일 시간에 존재시킬 수 있고 또한, 데이터 구간을 적절하게 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35는,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이며, 도 2, 도 34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35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OFDM 방식 등의 멀티 캐리어 방식을 이용한 전송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하기 위해, 세로축 주파수에 있어서, 복수의 캐리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도 35에 있어서, 3509는 데이터 심벌군 #9, 3510은 데이터 심벌군 #10, 3511은 데이터 심벌군 #11, 3512는 데이터 심벌군 #12를 나타내고 있고, 주파수 분할을 행하여, 시각 t2부터 t3의 사이에서, 데이터 심벌군 #9, 데이터 심벌군 #10, 데이터 심벌군 #11, 데이터 심벌군 #12, 데이터 심벌군 #13을 송신하고 있다. 시각 t1, 시각 t2와 비교하여, 특징적인 점은, 데이터 심벌군 #9의 시간 간격, 데이터 심벌군 #10의 시간 간격, 데이터 심벌군 #11의 시간 간격이 동일하고, 데이터 심벌군 #12의 시간 간격과 데이터 심벌군 #13의 시간 간격이 동일한 것이다.
도 35에 있어서, 3514는 데이터 심벌군 #14, 3515는 데이터 심벌군 #15를 나타내고 있고, 시간 분할을 행하여, 시각 t3부터 시각 t4의 사이에서, 데이터 심벌군 #14, 데이터 심벌군 #15를 전송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상이한 심벌군을 동일 시간에 존재시킬 수 있고 또한, 데이터 구간, 주파수 구간을 적절하게 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36은,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이며, 도 2, 도 6, 도 34, 도 35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은 생략한다. 도 36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OFDM 방식 등의 멀티 캐리어 방식을 이용한 전송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하기 위해, 세로축 주파수에 있어서, 복수의 캐리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도 36이, 도 35와 상이한 점은, 제1 프리앰블(501), 제2 프리앰블(502), 및, 제1 프리앰블(3601), 제2 프리앰블(3602)를 배치하고 있는 점이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1부터 #8, 및, 데이터 심벌군 #9부터 #13은 주파수 분할되고 있고, 또, 데이터 심벌군 #14 및 #15는 시분할되어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상이한 심벌군을 동일 시간에 존재시킬 수 있고 또한, 데이터 구간, 주파수 구간을 적절하게 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 때, 주파수 분할된 데이터 심벌군 #1부터 #8에 관련된 제어 정보, 예를 들면, 각 데이터 심벌군이 필요로 하는 캐리어수 및 시간 간격, 각 데이터 심벌군의 변조 방식, 각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 각 데이터 심벌군에서 사용하는 오류 정정 부호의 방식 등은, 도 36에 있어서의 제1 프리앰블(2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202)로 전송되게 된다. 또한, 제어 정보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2에서 일례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 점에 대해서는 별도 설명한다.
그리고, 주파수 분할된 데이터 심벌군 #9부터 #13에 관련된 제어 정보, 예를 들면, 각 데이터 심벌군이 필요로 하는 캐리어수 및 시간 간격, 각 데이터 심벌군의 변조 방식, 각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 각 데이터 심벌군에서 사용하는 오류 정정 부호의 방식 등은, 도 36에 있어서의 제1 프리앰블(5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502)에서 전송되게 된다. 또한, 제어 정보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2에서 일례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 점에 대해서는 별도 설명한다.
또, 시간 분할된 데이터 심벌군 #14, #15에 관한 제어 정보, 예를 들면, 각 데이터 심벌군이 필요로 하는 심벌수(또는 시간 간격), 각 데이터 심벌군의 변조 방식, 각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 각 데이터 심벌군에서 사용하는 오류 정정 부호의 방식 등은, 도 36에 있어서의 제1 프리앰블(36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3602)에서 전송되게 된다. 또한 제어 정보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2에서 일례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 점에 대해서는 별도 설명한다.
이와 같이 제어 정보를 전송하면, 제1 프리앰블(201), 제2 프리앰블(202), 제1 프리앰블(501), 제2 프리앰블(502)에, 시분할의 데이터 심벌군을 위한 전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시킬 필요가 없어지고, 또, 제1 프리앰블(3601), 제2 프리앰블(3602)에, 주파수 분할의 데이터 심벌군의 전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시킬 필요가 없어지며, 제어 정보의 데이터 전송 효율, 수신 장치의 제어 정보에 제어의 간단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37은,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이며, 도 2, 도 6, 도 34, 도 35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37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OFDM 방식 등의 멀티 캐리어 방식을 이용한 전송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하기 위해, 세로축 주파수에 있어서, 복수의 캐리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도 37이, 도 35, 도 36과 상이한 점은, 파일럿 심벌(601, 3701)을 배치하고 있는 점이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1부터 #8, 및, 데이터 심벌군 #9부터 #13은 주파수 분할되고 있고 또, 데이터 심벌군 #14 및 #15는 시분할 되어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상이한 심벌군을 동일 시간에 존재시킬 수 있고 또한, 데이터 구간, 주파수 구간을 적절하게 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파일럿 심벌을 삽입했을 때의 효과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했던 대로이다.
도 38은,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이며, 도 2, 도 6, 도 34, 도 35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은 생략한다. 도 38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OFDM 방식 등의 멀티 캐리어 방식을 이용한 전송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하기 위해, 세로축 주파수에 있어서, 복수의 캐리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도 38이, 도 35, 도 36, 도 37과 상이한 점은, 「제1 프리앰블, 및, 제2 프리앰블」, 또는, 「파일럿 심벌」(3801, 3802)을 배치하고 있는 점이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1부터 #8, 및, 데이터 심벌군 #9부터 #13은 주파수 분할되고 있고 또, 데이터 심벌군 #14 및 #15는 시분할되어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상이한 심벌군을 동일 시간에 존재시킬 수 있고 또한, 데이터 구간, 주파수 구간을 적절하게 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도 38과 같이, 「제1 프리앰블, 및, 제2 프리앰블」, 또는, 「파일럿 심벌」(3801, 3802)을 삽입하고, 상황에 따라, 「제1 프리앰블, 및, 제2 프리앰블」, 또는, 「파일럿 심벌」을 전환하여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송신 방법에 의거하여 상기 전환을 행해도 된다.
도 30부터 도 38에 있어서, 주파수 분할한 데이터 심벌군의 후에 시분할한 데이터 심벌군을 배치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시분할한 데이터 심벌군의 후에 주파수 분할한 데이터 심벌군을 배치해도 된다. 이 때, 도 32, 도 36의 예에서는, 시분할한 데이터 심벌군과 주파수 분할한 데이터 심벌군의 사이에 제1 프리앰블, 제2 프리앰블이 삽입되게 된다. 단, 그 이외의 심벌이 삽입되어도 된다. 그리고, 도 33, 도 37의 예에서는, 시분할한 데이터 심벌군과 주파수 분할한 데이터 심벌군의 사이에 파일럿 심벌이 삽입되게 된다. 단, 그 이외의 심벌이 삽입되어도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예를 도 30부터 도 38에 나타냈다. 이러한 도면의 설명 시에, 「시분할(시간 분할)을 행하고 있다」라고 기재하고 있지만, 2개의 데이터 심벌군을 접속하는 경우, 이음매의 부분에서는, 주파수 분할이 되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는 일이 있다. 이 점에 대해서, 도 3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9에 있어서, 3901은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을 나타내고 있고, 3902는 데이터 심벌군 #2의 심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9의 시각 t0과 같이,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이 캐리어 4로 종료했다고 한다. 이 때, 시각 t0의 캐리어 5로부터 데이터 심벌군 #2의 심벌을 배치했다고 한다. 그러면, 시각 t0의 부분만, 예외적으로 주파수 분할이 되어 있다. 그러나, 시각 t0보다 전에서는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 밖에 존재하지 않고, 시각 t0보다 후에서는 데이터 심벌군 #2의 심벌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 점에서, 시분할(시간 분할)되고 있다.
다른 예로서 도 40을 나타낸다. 또한, 도 39와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40의 시각 t0과 같이,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이 캐리어 4로 종료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시각 t1과 같이,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이 캐리어 5로 종료한 것으로 한다. 그러면, 시각 t0의 캐리어 5부터 데이터 심벌군 #2의 심벌을 배치한 것으로 하고, 시각 t1의 캐리어 6부터 데이터 심벌군 #2의 심벌을 배치한 것으로 한다. 그러면, 시각 t0, 및, t1의 부분은, 예외적으로 주파수 분할이 되고 있다. 그러나, 시각 t0보다 전에는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 밖에 존재하지 않고, 시각 t1보다 후에는 데이터 심벌군 #2의 심벌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 점에서, 시분할(시간 분할)되고 있다.
도 39나 도 40과 같이, 예외적인 부분을 제외했을 때,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 이외의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지 않지만, 파일럿 심벌 등이 존재하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시각과 데이터 심벌군 #2 이외의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지 않지만, 파일럿 심벌 등이 존재하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시각이 존재하는 경우, 「시분할(시간 분할)을 행하고 있다」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예외적인 시각의 존재 방법은, 도 39나 도 40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또, 「시분할(시간 분할)을 행하고 있다」에 관해서, 본 실시의 형태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의 형태의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한 해석이 되는 것으로 한다.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것처럼, 도 1의 송신 장치는, 실시의 형태 1부터 실시의 형태 3에서 설명한 프레임 구성, 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프레임 구성, 몇 개의 프레임 구성을 선택하여, 변조 신호를 송신해도 된다.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의 제어 정보의 구성 방법의 예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했던 대로이다.
그리고,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한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예를 들면, 도 23)는, 실시의 형태 1, 실시의 형태 2 등에서 설명한 제어 정보를 받고, 그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 심벌군을 복조 및 복호하여 정보를 얻게 된다. 따라서, 제어 정보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향상과 데이터의 전송 효율의 향상을 행할 수 있고, 수신 장치를 적확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2의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1부터 #6의 송신 방법에 대해서는, 제1 프리앰블(2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202)로 설정되고, 데이터 심벌군 #7 및 #8의 송신 방법에 대해서는, 제1 프리앰블(5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502)로 설정된다고 해도 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1부터 #6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데이터 심벌군 #1부터 #6의 송신 방법은,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데이터 심벌군 #7, #8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데이터 심벌군 #7, #8의 송신 방법은,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즉,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과 세트」와 다음의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의 세트」의 사이에 있는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SISO 전송(SIMO 전송)」 중 어느 하나가 되고,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과 세트」와 다음의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의 세트」의 사이에 있는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MIM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으며, 또한, MIS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는 것으로 한다.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한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 전계 강도의 변동이 커지기 때문에, AD(Analog-to-Digital) 변환 시, 양자화 오차가 발생하기 쉽고,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열화되는 과제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하면, 이러한 현상의 발생이 억제되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단, 상술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또, 상술과 같은 전송 방법의 전환에 수반하여,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 방법을 전환하게도 되고, 데이터의 전송 효율의 향상의 점으로부터도 이점이 있다.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한 경우, 파일럿 심벌의 삽입하는 빈도가 과잉이 되고, 데이터의 전송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대로이다.
「S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과「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에서는, 파일럿 심벌의 구성 방법이 상이하다. 이 점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1은, 「S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1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주파수이다. 도 41에 있어서, 4101은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을 나타내고 있고 4102는 파일럿 심벌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 4101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고, 파일럿 심벌(4102)은 수신 장치에 있어서, 주파수 오프셋의 추정, 주파수 동기, 시간 동기, 신호 검출, 채널 추정(전파 전파 환경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벌이며, 예를 들면, 송신 장치, 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지의 PSK(Phase Shift Keying) 심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파일럿 심벌(4102)은 PSK 심벌인 것이 요구될 가능성이 높다.
도 42는,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2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주파수이다.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 2개의 안테나로부터 각각 변조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여기서, 변조 신호 #1, 변조 신호 #2라고 이름 붙인다. 도 42는, 변조 신호 #1의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와 변조 신호 #2의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겸용하여 기재하고 있다.
예 1)
변조 신호 #1의 경우: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 모두 PSK의 심벌이다.
변조 신호 #2의 경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 모두 PSK의 심벌이다.
그리고,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과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에서는, 일정 주기로 직교(상호 상관이 제로)하고 있다.
예 2)
변조 신호 #1의 경우: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은 PSK의 심벌이며,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는, 널 심벌(동상 성분 I는 0(제로), 직교 성분 Q는 0(제로))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은 파일럿 심벌이라고 부르지 않아도 된다.
변조 신호 #2의 경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1)은 PSK의 심벌이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2)는, 널 심벌(동상 성분 I는 0(제로), 직교 성분 Q는 0(제로))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2)는 파일럿 심벌이라고 부르지 않아도 된다.
동일하게, 도 36의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1부터 #8의 송신 방법에 대해서는 제1 프리앰블(2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202)로 설정되고, 데이터 심벌군 #9부터 #13의 송신 방법에 대해서는, 제1 프리앰블(5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502)로 설정되며, 데이터 심벌군 #14, #15의 송신 방법에 대해서는, 제1 프리앰블(36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3602)로 설정된다고 해도 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1부터 #8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데이터 심벌군 #1부터 #8의 송신 방법은,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데이터 심벌군 #9부터 #13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데이터 심벌군 #9부터 #13의 송신 방법은,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데이터 심벌군 #14, #15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데이터 심벌군 #14, #15의 송신 방법은,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과 세트」와 다음의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 세트」의 사이에 있는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가 되고,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과 세트」와 다음의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 세트」의 사이에 있는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MIM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고, 그리고, MIS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는 것으로 한다.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한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 전계 강도의 변동이 커지기 때문에, AD(Analog-to-Digital) 변환 시, 양자화 오차가 발생하기 쉽고,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열화되는 과제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하면, 이러한 현상의 발생이 억제되고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단, 상술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또, 상술과 같은 전송 방법의 전환에 수반하여,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 방법을 전환하게도 되고, 데이터의 전송 효율의 향상의 점으로부터도 이점이 있다.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한 경우, 파일럿 심벌의 삽입하는 빈도가 과잉이 되고, 데이터의 전송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대로이다.
「S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과「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에서는, 파일럿 심벌의 구성 방법이 상이하다. 이 점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1은, 「S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1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주파수이다. 도 41에 있어서, 4101은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을 나타내고 있고 4102는 파일럿 심벌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 4101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고, 파일럿 심벌(4102)은 수신 장치에 있어서, 주파수 오프셋의 추정, 주파수 동기, 시간 동기, 신호 검출, 채널 추정(전파 전파 환경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벌이며, 예를 들면, 송신 장치, 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지의 PSK(Phase Shift Keying) 심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파일럿 심벌(4102)은 PSK 심벌인 것이 구해질 가능성이 높다.
도 42는,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2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주파수이다.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 2개의 안테나로부터 각각 변조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여기서, 변조 신호 #1, 변조 신호 #2라고 이름 붙인다. 도 42는, 변조 신호 #1의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와 변조 신호 #2의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겸용하여 기재하고 있다.
예 1)
변조 신호 #1의 경우: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 모두 PSK의 심벌이다.
변조 신호 #2의 경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 모두 PSK의 심벌이다.
그리고,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과「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에서는, 일정 주기로 직교(상호 상관이 제로) 하고 있다.
예 2)
변조 신호 #1의 경우: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은 PSK의 심벌이며,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는, 널 심벌(동상 성분 I는 0(제로), 직교 성분 Q는 0(제로))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는 파일럿 심벌이라고 부르지 않아도 된다.
변조 신호 #2의 경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1)은 PSK의 심벌이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2)는, 널 심벌(동상 성분 I는 0(제로), 직교 성분 Q는 0(제로))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2)은 파일럿 심벌이라고 부르지 않아도 된다.
또, 도 33의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1부터 #8의 송신 방법에 대해서는, 제1 프리앰블(2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202)로 설정된다고 해도 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1부터 #6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데이터 심벌군 #1부터 #6의 송신 방법은,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데이터 심벌군 #7, #8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데이터 심벌군 #7, #8의 송신 방법은,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과 세트」와「파일럿 심벌」의 사이에 있는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가 된다. MIM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고, 또한, MIS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파일럿 심벌」과 다음의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 세트」의 사이에 있는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가 된다. MIM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고, 또한, MIS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다. 단, 도 33에 있어서, 파일럿 심벌의 다음의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 세트」에 대해서는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한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 전계 강도의 변동이 커지기 때문에, AD(Analog-to-Digital) 변환 시, 양자화 오차가 발생하기 쉽고,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열화되는 과제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하면, 이러한 현상의 발생이 억제되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단, 상술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또, 상술과 같은 전송 방법의 전환에 수반하여,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 방법을 전환하게도 되고, 데이터의 전송 효율의 향상의 점으로부터도 이점이 있다.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한 경우, 파일럿 심벌의 삽입하는 빈도가 과잉이 되고 데이터의 전송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대로이다.
「S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과「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에서는, 파일럿 심벌의 구성 방법이 상이하다. 이 점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1은, 「S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1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주파수이다. 도 41에 있어서, 4101은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을 나타내고 있고, 4102는 파일럿 심벌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 4101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고, 파일럿 심벌(4102)은 수신 장치에 있어서, 주파수 오프셋의 추정, 주파수 동기, 시간 동기, 신호 검출, 채널 추정(전파 전파 환경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벌이며, 예를 들면, 송신 장치, 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지의 PSK(Phase Shift Keying) 심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파일럿 심벌(4102)은 PSK 심벌인 것이 요구될 가능성이 높다.
도 42는,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2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주파수이다.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 2개의 안테나로부터 각각 변조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여기서, 변조 신호 #1, 변조 신호 #2라고 이름 붙인다. 도 42는, 변조 신호 #1의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와 변조 신호 #2의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겸용하여 기재하고 있다.
예 1)
변조 신호 #1의 경우: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 모두 PSK의 심벌이다.
변조 신호 #2의 경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 모두 PSK의 심벌이다.
그리고,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과「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에서는, 일정 주기에 직교(상호 상관이 제로) 하고 있다.
예 2)
변조 신호 #1의 경우: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은 PSK의 심벌이며,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는, 널 심벌(동상 성분 I는 0(제로), 직교 성분 Q는 0(제로))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는 파일럿 심벌이라고 부르지 않아도 된다.
변조 신호 #2의 경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1)은 PSK의 심벌이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2)는, 널 심벌(동상 성분 I는 0(제로), 직교 성분 Q는 0(제로))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2)는 파일럿 심벌이라고 부르지 않아도 된다.
동일하게 도 37의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1부터 #15의 송신 방법에 대해서는, 제1 프리앰블(2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202)로 설정된다고 해도 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1부터 #8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데이터 심벌군 #1부터 #8의 송신 방법은,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데이터 심벌군 #9부터 #13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데이터 심벌군 #9부터 #13의 송신 방법은,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하며, 「데이터 심벌군 #14, #15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데이터 심벌군 #14, #15의 송신 방법은,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과 세트」와「파일럿 심벌」의 사이에 있는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이다. MIM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고, 한편, MIS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파일럿 심벌」과 다음의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 세트」의 사이에 있는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가 된다. MIM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고, 한편, MIS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다. 단, 도 37에 있어서, 파일럿 심벌의 다음의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 세트」에 대해서는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
또, 「파일럿 심벌」과「파일럿 심벌」의 사이에 있는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은,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 또는, 「SISO 전송(SIMO 전송)」중 어느 하나가 된다. MIM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고, 또한, MISO 전송과 SISO 전송(SIMO 전송)이 혼재하는 일이 없다.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한 경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 전계 강도의 변동이 커지기 때문에, AD(Analog-to-Digital) 변환 시, 양자화 오차가 발생하기 쉽고,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열화되는 과제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하면, 이러한 현상의 발생이 억제되고,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단, 상술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또, 상술과 같은 전송 방법의 전환에 수반하여,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 방법을 전환하게도 되고, 데이터의 전송 효율의 향상의 점으로부터도 이점이 있다.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SISO(SIMO) 전송 방식과 MIMO(MISO) 전송 방식이 혼재한 경우, 파일럿 심벌의 삽입하는 빈도가 과잉이 되고, 데이터의 전송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대로이다.
「S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과「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에서는, 파일럿 심벌의 구성 방법이 상이하다. 이 점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1은, 「S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1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주파수이다. 도 41에 있어서, 4101은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을 나타내고 있고 4102는 파일럿 심벌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 4101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고, 파일럿 심벌(4102)은 수신 장치에 있어서, 주파수 오프셋의 추정, 주파수 동기, 시간 동기, 신호 검출, 채널 추정(전파 전파 환경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심벌이며, 예를 들면, 송신 장치, 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지의 PSK(Phase Shift Keying) 심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파일럿 심벌(4102)은 PSK 심벌인 것이 요구될 가능성이 높다.
도 42는,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에 삽입하는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2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주파수이다. 「MIMO 전송, 또는, MISO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 2개의 안테나로부터 각각 변조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여기서, 변조 신호 #1, 변조 신호 #2라고 이름 붙인다. 도 42는, 변조 신호 #1의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와 변조 신호 #2의 파일럿 심벌의 삽입예를 겸용하여 기재하고 있다.
예 1)
변조 신호 #1의 경우: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 모두 PSK의 심벌이다.
변조 신호 #2의 경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 모두 PSK의 심벌이다.
그리고,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과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에서는, 일정 주기에 직교(상호 상관이 제로) 하고 있다.
예 2)
변조 신호 #1의 경우: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1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은 PSK의 심벌이며,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는, 널 심벌(동상 성분 I는 0(제로), 직교 성분 Q는 0(제로))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변조 신호 #1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은 파일럿 심벌이라고 부르지 않아도 된다.
변조 신호 #2의 경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1) 및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2)을 도 42와 같이 삽입한다. 변조 신호 #2용의 제2 파일럿 심벌(4201)은 PSK의 심벌이며,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2)는, 널 심벌(동상 성분 I는 0(제로), 직교 성분 Q는 0(제로))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변조 신호 #2용의 제1 파일럿 심벌(4202)는 파일럿 심벌이라고 부르지 않아도 된다.
(실시의 형태 5)
실시의 형태 4에서는,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으로서 도 30으로부터 도 38에 대해 설명했다. 도 30부터 도 38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이 주파수 분할되고 있는 경우와 시분할(시간 분할)되고 있는 경우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각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는 주파수 자원(캐리어)과 시간 자원에 대해서, 수신 장치에 적확하게 전송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30부터 도 38의 프레임 구성 시, 각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는 주파수(자원)와 시간(자원)에 관한 제어 정보의 구성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30부터 도 38의 프레임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상세한 프레임 구성의 요건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4의 설명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주파수 분할이 행해지고 있을 때>
주파수 분할이 행해지고 있을 때의 각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는 주파수 리소스와 시간 리소스에 관한 제어 정보의 생성 방법에 대한 예를 설명한다.
도 43에,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을 주파수 분할했을 때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3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으로 한다. 또한, 실시의 형태 1부터 실시의 형태 4와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군은, SISO 방식(SIMO 방식), MIMO 방식, MISO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의 심벌이어도 된다.
도 43에 있어서, 4301은,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이며, 데이터 심벌군 #1(4301)은, 캐리어 1부터 캐리어 5를 사용하고, 시각 1부터 시각 16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단, 「캐리어 1」을 캐리어의 최초의 인덱스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이 아니고, 또, 「시각 1」을 시각의 최초의 인덱스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4302는, 데이터 심벌군 #2의 심벌이며, 데이터 심벌군 #2(4302)는, 캐리어 6부터 캐리어 9를 사용하여, 시각 1부터 시각 5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4303은, 데이터 심벌군 #3의 심벌이며, 데이터 심벌군 #3(4303)은, 캐리어 10부터 캐리어 14를 사용하여, 시각 1로부터 시각 16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4304는, 데이터 심벌군 #4의 심벌이며, 데이터 심벌군 #4(4304)는, 캐리어 6부터 캐리어 9를 사용하여, 시각 6부터 시각 12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4305는, 데이터 심벌군 #5의 심벌이며, 데이터 심벌군 #5(4305)는, 캐리어 6부터 캐리어 9를 사용하여, 시각 13부터 시각 16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제1 예>
이 때, 각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는 주파수 및 시간에 관한 제어 정보의 예를 설명한다.
데이터 심벌군 #j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에 관한 제어 정보 정보를 m(j, 0), m(j, 1), m(j, 2), m(j, 3),
데이터 심벌군 #j가 사용하는 캐리어수에 관한 제어 정보 정보를 n(j, 0), n(j, 1), n(j, 2), n(j, 3), 데이터 심벌군 #j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에 관한 제어 정보 정보를 o(j, 0), o(j, 1), o(j, 2), o(j, 3),
데이터 심벌군 #j가 사용하는 시각수에 관한 제어 정보 정보를 p(j, 0), p(j, 1), p(j, 2), p(j, 3)으로 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를 「캐리어 1」이라고 하는 경우, m(K, 0)=0, m(K, 1)=0, m(K, 2)=0, m(K, 3)=0으로 설정하고, m(K, 0), m(K, 1), m(K, 2), m(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를 「캐리어 2」라고 하는 경우, m(K, 0)=1, m(K, 1)=0, m(K, 2)=0, m(K, 3)=0으로 설정하고, m(K, 0), m(K, 1), m(K, 2), m(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를 「캐리어 3」으로 하는 경우, m(K, 0)=0, m(K, 1)=1, m(K, 2)=0, m(K, 3)=0으로 설정하고, m(K, 0), m(K, 1), m(K, 2), m(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를 「캐리어 4」(이)라고 하는 경우, m(K, 0)=1, m(K, 1)=1, m(K, 2)=0, m(K, 3)=0으로 설정하고, m(K, 0), m(K, 1), m(K, 2), m(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를 「캐리어 5」로 하는 경우, m(K, 0)=0, m(K, 1)=0, m(K, 2)=1, m(K, 3)=0으로 설정하고, m(K, 0), m(K, 1), m(K, 2), m(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를 「캐리어 6」으로 경우, m(K, 0)=1, m(K, 1)=0, m(K, 2)=1, m(K, 3)=0으로 설정하고, m(K, 0), m(K, 1), m(K, 2), m(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를 「캐리어 7」로 하는 경우, m(K, 0)=0, m(K, 1)=1, m(K, 2)=1, m(K, 3)=0으로 설정하고, m(K, 0), m(K, 1), m(K, 2), m(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를 「캐리어 8」로 경우, m(K, 0)=1, m(K, 1)=1, m(K, 2)=1, m(K, 3)=0으로 설정하고, m(K, 0), m(K, 1), m(K, 2), m(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를 「캐리어 9」로 하는 경우, m(K, 0)=0, m(K, 1)=0, m(K, 2)=0, m(K, 3)=1로 설정하고, m(K, 0), m(K, 1), m(K, 2), m(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를 「캐리어 10」으로 하는 경우, m(K, 0)=1, m(K, 1)=0, m(K, 2)=0, m(K, 3)=1로 설정하고, m(K, 0), m(K, 1), m(K, 2), m(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를 「캐리어 11」로 하는 경우, m(K, 0)=0, m(K, 1)=1, m(K, 2)=0, m(K, 3)=1로 설정하고, m(K, 0), m(K, 1), m(K, 2), m(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를 「캐리어 12」로 하는 경우, m(K, 0)=1, m(K, 1)=1, m(K, 2)=0, m(K, 3)=1로 설정하고, m(K, 0), m(K, 1), m(K, 2), m(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를 「캐리어 13」으로 하는 경우, m(K, 0)=0, m(K, 1)=0, m(K, 2)=1, m(K, 3)=1로 설정하고, m(K, 0), m(K, 1), m(K, 2), m(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를 「캐리어 14」로 하는 경우, m(K, 0)=1, m(K, 1)=0, m(K, 2)=1, m(K, 3)=1로 설정하고, m(K, 0), m(K, 1), m(K, 2), m(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를 「캐리어 15」로 하는 경우, m(K, 0)=0, m(K, 1)=1, m(K, 2)=1, m(K, 3)=1로 설정하고, m(K, 0), m(K, 1), m(K, 2), m(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를 「캐리어 16」으로 하는 경우, m(K, 0)=1, m(K, 1)=1, m(K, 2)=1, m(K, 3)=1로 설정하고, m(K, 0), m(K, 1), m(K, 2), m(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1 캐리어로 하는 경우, n(K, 0)=0, n(K, 1)=0, n(K, 2)=0, n(K, 3)=0으로 설정하고, n(K, 0), n(K, 1), n(K, 2), n(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2 캐리어로 하는 경우, n(K, 0)=1, n(K, 1)=0, n(K, 2)=0, n(K, 3)=0으로 설정하고, n(K, 0), n(K, 1), n(K, 2), n(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3 캐리어로 하는 경우, n(K, 0)=0, n(K, 1)=1, n(K, 2)=0, n(K, 3)=0으로 설정하고, n(K, 0), n(K, 1), n(K, 2), n(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4 캐리어로 하는 경우, n(K, 0)=1, n(K, 1)=1, n(K, 2)=0, n(K, 3)=0으로 설정하고, n(K, 0), n(K, 1), n(K, 2), n(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5 캐리어로 하는 경우, n(K, 0)=0, n(K, 1)=0, n(K, 2)=1, n(K, 3)=0으로 설정하고, n(K, 0), n(K, 1), n(K, 2), n(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6 캐리어로 하는 경우, n(K, 0)=1, n(K, 1)=0, n(K, 2)=1, n(K, 3)=0으로 설정하고, n(K, 0), n(K, 1), n(K, 2), n(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7 캐리어로 하는 경우, n(K, 0)=0, n(K, 1)=1, n(K, 2)=1, n(K, 3)=0으로 설정하고, n(K, 0), n(K, 1), n(K, 2), n(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8 캐리어로 하는 경우, n(K, 0)=1, n(K, 1)=1, n(K, 2)=1, n(K, 3)=0으로 설정하고, n(K, 0), n(K, 1), n(K, 2), n(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9 캐리어로 하는 경우, n(K, 0)=0, n(K, 1)=0, n(K, 2)=0, n(K, 3)=1로 설정하고, n(K, 0), n(K, 1), n(K, 2), n(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10 캐리어로 하는 경우, n(K, 0)=1, n(K, 1)=0, n(K, 2)=0, n(K, 3)=1로 설정하고, n(K, 0), n(K, 1), n(K, 2), n(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11 캐리어로 하는 경우, n(K, 0)=0, n(K, 1)=1, n(K, 2)=0, n(K, 3)=1로 설정하고, n(K, 0), n(K, 1), n(K, 2), n(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12 캐리어로 하는 경우, n(K, 0)=1, n(K, 1)=1, n(K, 2)=0, n(K, 3)=1로 설정하고, n(K, 0), n(K, 1), n(K, 2), n(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13 캐리어로 하는 경우, n(K, 0)=0, n(K, 1)=0, n(K, 2)=1, n(K, 3)=1로 설정하고, n(K, 0), n(K, 1), n(K, 2), n(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14 캐리어로 하는 경우, n(K, 0)=1, n(K, 1)=0, n(K, 2)=1, n(K, 3)=1로 설정하고, n(K, 0), n(K, 1), n(K, 2), n(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15 캐리어로 하는 경우, n(K, 0)=0, n(K, 1)=1, n(K, 2)=1, n(K, 3)=1로 설정하고, n(K, 0), n(K, 1), n(K, 2), n(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16 캐리어로 하는 경우, n(K, 0)=1, n(K, 1)=1, n(K, 2)=1, n(K, 3)=1로 설정하고, n(K, 0), n(K, 1), n(K, 2), n(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를 「시각 1」이라고 하는 경우, o(K, 0)=0, o(K, 1)=0, o(K, 2)=0, o(K, 3)=0으로 설정하고, o(K, 0), o(K, 1), o(K, 2), o(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를 「시각 2」라고 하는 경우, o(K, 0)=1, o(K, 1)=0, o(K, 2)=0, o(K, 3)=0으로 설정하고, o(K, 0), o(K, 1), o(K, 2), o(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를 「시각 3」이라고 하는 경우, o(K, 0)=0, o(K, 1)=1, o(K, 2)=0, o(K, 3)=0으로 설정하고, o(K, 0), o(K, 1), o(K, 2), o(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를 「시각 4」라고 하는 경우, o(K, 0)=1, o(K, 1)=1, o(K, 2)=0, o(K, 3)=0으로 설정하고, o(K, 0), o(K, 1), o(K, 2), o(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를 「시각 5」라고 하는 경우, o(K, 0)=0, o(K, 1)=0, o(K, 2)=1, o(K, 3)=0으로 설정하고, o(K, 0), o(K, 1), o(K, 2), o(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를 「시각 6」이라고 하는 경우, o(K, 0)=1, o(K, 1)=0, o(K, 2)=1, o(K, 3)=0으로 설정하고, o(K, 0), o(K, 1), o(K, 2), o(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를 「시각 7」이라고 하는 경우, o(K, 0)=0, o(K, 1)=1, o(K, 2)=1, o(K, 3)=0으로 설정하고, o(K, 0), o(K, 1), o(K, 2), o(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를 「시각 8」이라고 하는 경우, o(K, 0)=1, o(K, 1)=1, o(K, 2)=1, o(K, 3)=0으로 설정하고, o(K, 0), o(K, 1), o(K, 2), o(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를 「시각 9」라고 하는 경우, o(K, 0)=0, o(K, 1)=0, o(K, 2)=0, o(K, 3)=1로 설정하고, o(K, 0), o(K, 1), o(K, 2), o(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를 「시각 10」이라고 하는 경우, o(K, 0)=1, o(K, 1)=0, o(K, 2)=0, o(K, 3)=1로 설정하고, o(K, 0), o(K, 1), o(K, 2), o(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를 「시각 11」이라고 하는 경우, o(K, 0)=0, o(K, 1)=1, o(K, 2)=0, o(K, 3)=1로 설정하고, o(K, 0), o(K, 1), o(K, 2), o(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를 「시각 12」이라고 하는 경우, o(K, 0)=1, o(K, 1)=1, o(K, 2)=0, o(K, 3)=1로 설정하고, o(K, 0), o(K, 1), o(K, 2), o(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를 「시각 13」이라고 하는 경우, o(K, 0)=0, o(K, 1)=0, o(K, 2)=1, o(K, 3)=1로 설정하고, o(K, 0), o(K, 1), o(K, 2), o(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를 「시각 14」라고 하는 경우, o(K, 0)=1, o(K, 1)=0, o(K, 2)=1, o(K, 3)=1로 설정하고, o(K, 0), o(K, 1), o(K, 2), o(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를 「시각 15」라고 하는 경우, o(K, 0)=0, o(K, 1)=1, o(K, 2)=1, o(K, 3)=1로 설정하고, o(K, 0), o(K, 1), o(K, 2), o(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를 「시각 16」이라고 하는 경우, o(K, 0)=1, o(K, 1)=1, o(K, 2)=1, o(K, 3)=1로 설정하고, o(K, 0), o(K, 1), o(K, 2), o(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1로 하는 경우, p(K, 0)=0, p(K, 1)=0, p(K, 2)=0, p(K, 3)=0으로 설정하고, p(K, 0), p(K, 1), p(K, 2), p(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2로 하는 경우, p(K, 0)=1, p(K, 1)=0, p(K, 2)=0, p(K, 3)=0으로 설정하고, p(K, 0), p(K, 1), p(K, 2), p(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3으로 하는 경우, p(K, 0)=0, p(K, 1)=1, p(K, 2)=0, p(K, 3)=0으로 설정하고, p(K, 0), p(K, 1), p(K, 2), p(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4로 하는 경우, p(K, 0)=1, p(K, 1)=1, p(K, 2)=0, p(K, 3)=0으로 설정하고, p(K, 0), p(K, 1), p(K, 2), p(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5로 하는 경우, p(K, 0)=0, p(K, 1)=0, p(K, 2)=1, p(K, 3)=0으로 설정하고, p(K, 0), p(K, 1), p(K, 2), p(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6으로 하는 경우, p(K, 0)=1, p(K, 1)=0, p(K, 2)=1, p(K, 3)=0으로 설정하고, p(K, 0), p(K, 1), p(K, 2), p(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7로 하는 경우, p(K, 0)=0, p(K, 1)=1, p(K, 2)=1, p(K, 3)=0으로 설정하고, p(K, 0), p(K, 1), p(K, 2), p(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8로 하는 경우, p(K, 0)=1, p(K, 1)=1, p(K, 2)=1, p(K, 3)=0으로 설정하고, p(K, 0), p(K, 1), p(K, 2), p(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9로 하는 경우, p(K, 0)=0, p(K, 1)=0, p(K, 2)=0, p(K, 3)=1로 설정하고, p(K, 0), p(K, 1), p(K, 2), p(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 사용하는 시각수를 10으로 하는 경우, p(K, 0)=1, p(K, 1)=0, p(K, 2)=0, p(K, 3)=1로 설정하고, p(K, 0), p(K, 1), p(K, 2), p(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11로 하는 경우, p(K, 0)=0, p(K, 1)=1, p(K, 2)=0, p(K, 3)=1로 설정하고, p(K, 0), p(K, 1), p(K, 2), p(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12로 하는 경우, p(K, 0)=1, p(K, 1)=1, p(K, 2)=0, p(K, 3)=1로 설정하고, p(K, 0), p(K, 1), p(K, 2), p(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13으로 하는 경우, p(K, 0)=0, p(K, 1)=0, p(K, 2)=1, p(K, 3)=1로 설정하고, p(K, 0), p(K, 1), p(K, 2), p(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14로 하는 경우, p(K, 0)=1, p(K, 1)=0, p(K, 2)=1, p(K, 3)=1로 설정하고, p(K, 0), p(K, 1), p(K, 2), p(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15로 하는 경우, p(K, 0)=0, p(K, 1)=1, p(K, 2)=1, p(K, 3)=1로 설정하고, p(K, 0), p(K, 1), p(K, 2), p(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16으로 하는 경우, p(K, 0)=1, p(K, 1)=1, p(K, 2)=1, p(K, 3)=1로 설정하고, p(K, 0), p(K, 1), p(K, 2), p(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데이터 심벌군 #3을 예, 설명한다.
데이터 심벌군 #3(4303)은, 캐리어 10부터 캐리어 14를 사용하여, 시각 1부터 시각 16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따라서,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는 캐리어 10이 된다. 따라서, m(3, 0)=1, m(3, 1)=0, m(3, 2)=0, m(3, 3)=1로서 송신 장치는 m(3, 0), m(3, 1), m(3, 2), m(3, 3)를 송신한다.
또, 사용하는 캐리어수는 5가 된다. 따라서, n(3, 0)=0, n(3, 1)=0, n(3, 2)=1, n(3, 3)=0으로서 송신 장치는 n(3, 0), n(3, 1), n(3, 2), n(3, 3)를 송신한다.
시각의 초기의 위치는 시각 1이 된다. 따라서, o(3, 0)=0, o(3, 1)=0, o(3, 2)=0, o(3, 3)=0으로서 송신 장치는 o(3, 0), o(3, 1), o(3, 2), o(3, 3)를 송신한다.
또, 사용하는 시각수는 16이 된다. 따라서, p(3, 0)=1, p(3, 1)=1, p(3, 2)=1, p(3, 3)=1로서 송신 장치는 p(3, 0), p(3, 1), p(3, 2), p(3, 3)를 송신한다.
<제2 예>
도 44에,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을 주파수 분할했을 때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4에 있어서, 도 43과 공통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또,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으로 한다. 또한, 실시의 형태 1부터 실시의 형태 4와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군은, SISO 방식(SIMO 방식), MIMO 방식, MISO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의 심벌이어도 된다.
도 44가, 도 43과 상이한 점은, 각 데이터 심벌군은, 예를 들면, 4×A의 수의 캐리어(A는 1 이상의 정수)를 가진다, 즉, 4의 배수(단, 0(제로)을 제외함)의 수의 캐리어를 사용하고, 또한 4×B의 수의 시각(B는 1 이상의 자연수)을 가지고, 즉 4의 배수(단, 0(세로)을 제외한다)의 수의 시각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단, 각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는 캐리어의 수는 4의 배수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0(제로)을 제외하는 C의 배수(C는 2이상의 정수)이면 좋다. 또, 각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는 시각의 수는 4의 배수에 한정한 것이 아니고, 0(제로)을 제외하는 D의 배수(D는 2이상의 정수)이면 좋다.
도 44에 있어서, 4301은,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이며, 데이터 심벌군 #1(4301)은, 캐리어 1부터 캐리어 8을 사용하여, 즉, 8(4의 배수) 캐리어를 사용하여, 시각 1부터 시각 16(시각수 16이며, 4의 배수)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단, 「캐리어 1」을 캐리어의 최초의 인덱스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이 아니고, 또, 「시각 1」을 시각의 최초의 인덱스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4302는, 데이터 심벌군 #2의 심벌이며, 데이터 심벌군 #2(4302)는, 캐리어 9로부터 캐리어 12를 사용하고, 즉, 4(4의 배수) 캐리어를 사용하고, 시각 1부터 시각 4(시각수 4이며, 4의 배수)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4303은, 데이터 심벌군 #3의 심벌이며, 데이터 심벌군 #3(4303)은, 캐리어 13부터 캐리어 16을 사용하고, 즉, 4(4의 배수) 캐리어를 사용하고, 시각 1부터 시각 16(시각수 16이며, 4의 배수)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4304는, 데이터 심벌군 #4의 심벌이며, 데이터 심벌군 #4(4304)는 캐리어 9부터 캐리어 12를 사용하고, 즉, 4(4의 배수) 캐리어를 사용하고, 시각 5부터 시각 12(시각수 8이며, 4의 배수)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4305는, 데이터 심벌군 #5의 심벌이며, 데이터 심벌군 #5(4305)는 캐리어 9부터 캐리어 12를 사용하고, 즉, 4(4의 배수) 캐리어를 사용하고, 시각 13부터 시각 16(시각수 4이며, 4의 배수)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이러한 규칙에 따라서, 각 데이터 심벌군을 프레임에 할당하면, 상술에서 설명한
·「데이터 심벌군 #j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에 관한 제어 정보 정보」의 비트수
·「데이터 심벌군 #j가 사용하는 캐리어수에 관한 제어 정보 정보」의 비트수
·「데이터 심벌군 #j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에 관한 제어 정보 정보」의 비트수
·「데이터 심벌군 #j가 사용하는 시각수에 관한 제어 정보 정보」의 비트수를 삭감할 수 있고, 데이터(정보)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와 같이 제어 정보를 정할 수 있다.
데이터 심벌군 #j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에 관한 제어 정보 정보를 m(j, 0), m(j, 1)
데이터 심벌군 #j가 사용하는 캐리어수에 관한 제어 정보 정보를 n(j, 0), n(j, 1),
데이터 심벌군 #j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에 관한 제어 정보 정보를 o(j, 0), o(j, 1),
데이터 심벌군 #j가 사용하는 시각수에 관한 제어 정보 정보를 p(j, 0), p(j, 1), 로 한다.
이 때,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를 「캐리어 1」로 하는 경우, m(K, 0)=0, m(K, 1)=0으로 설정하고, m(K, 0), m(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를 「캐리어 5」로 하는 경우, m(K, 0)=1, m(K, 1)=0으로 설정하고, m(K, 0), m(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를 「캐리어 9」로 하는 경우, m(K, 0)=0, m(K, 1)=1로 설정하고, m(K, 0), m(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를 「캐리어 13」으로 하는 경우, m(K, 0)=1, m(K, 1)=1로 설정하고, m(K, 0), m(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4 캐리어로 하는 경우, n(K, 0)=0, n(K, 1)=0으로 설정하고, n(K, 0), n(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8 캐리어로 하는 경우, n(K, 0)=1, n(K, 1)=0으로 설정하고, n(K, 0), n(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12 캐리어로 하는 경우, n(K, 0)=0, n(K, 1)=1로 설정하고, n(K, 0), n(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캐리어수를 16 캐리어로 하는 경우, n(K, 0)=1, n(K, 1)=1로 설정하고, n(K, 0), n(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를 「시각 1」로 하는 경우, o(K, 0)=0, o(K, 1)=0으로 설정하고, o(K, 0), o(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를 「시각 5」로 하는 경우, o(K, 0)=1, o(K, 1)=0으로 설정하고, o(K, 0), o(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를 「시각 9」로 하는 경우, o(K, 0)=0, o(K, 1)=1로 설정하고, o(K, 0), o(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의 초기의 위치를 「시각 13」으로 하는 경우, o(K, 0)=1, o(K, 1)=1로 설정하고, o(K, 0), o(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4로 하는 경우, p(K, 0)=0, p(K, 1)=0으로 설정하고, p(K, 0), p(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8로 하는 경우, p(K, 0)=1, p(K, 1)=0으로 설정하고, p(K, 0), p(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12로 하는 경우, p(K, 0)=0, p(K, 1)=1로 설정하고, p(K, 0), p(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16으로 하는 경우, p(K, 0)=1, p(K, 1)=1로 설정하고, p(K, 0), p(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데이터 심벌군 #4를 예, 설명한다.
4304는, 데이터 심벌군 #4의 심벌이며, 데이터 심벌군 #4(4304)는, 캐리어 9부터 캐리어 12를 사용하고, 즉 4(4의 배수) 캐리어를 사용하고, 시각 5부터 시각 12(시각수 8이며, 4의 배수)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따라서, 캐리어의 초기의 위치는 캐리어 9가 된다. 따라서, m(3, 0)=0, m(3, 1)=1로서 송신 장치는 m(3, 0), m(3, 1)를 송신한다.
또, 사용하는 캐리어수는 4가 된다. 따라서, n(3, 0)=0, n(3, 1)=0으로서 송신 장치는 n(3, 0), n(3, 1)을 송신한다.
시각의 초기의 위치는 시각 5가 된다. 따라서, o(3, 0)=1, o(3, 1)=0으로서 송신 장치는 o(3, 0), o(3, 1)를 송신한다.
또, 사용하는 시각수는 8이 된다. 따라서, p(3, 0)=1, p(3, 1)=0으로서 송신 장치는 p(3, 0), p(3, 1)를 송신한다.
<제3의 예>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이 도 44일 때, 제2 예와는 상이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4에서는, 각 데이터 심벌군은, 예를 들면, 4×A의 수의 캐리어(A는 1 이상의 정수)를 갖고, 즉, 4의 배수(단, 0(제로)을 제외함)의 수의 캐리어를 사용하고, 또한, 4×B의 수의 시각(B는 1 이상의 자연수)을 갖고, 즉 4의 배수(단, 0(세로)을 제외함)의 수의 시각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단, 각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는 캐리어의 수는 4의 배수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0(제로)을 제외한 C의 배수(C는 2이상의 정수)이면 된다. 또, 각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는 시각의 수는 4의 배수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0(제로)을 제외하는 D의 배수(D는 2이상의 정수)이면 좋다.
따라서, 도 45와 같이, 영역 분해를 행한다. 도 45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으로 한다. 그리고, 도 44에 맞추어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6이 존재하고, 시각 1부터 시각 16이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45에서는, 캐리어 방향으로 4 캐리어, 시간 방향으로 4개의 시각의 4×4=16 심벌의 영역에서 각 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상술의 설명과 같이 C, D를 이용하여 일반화한 경우, 캐리어 방향으로 C캐리어, 시간 방향으로 D개의 시각의 C×D심벌의 영역에서 각 영역를 구성하게 된다.
도 45에 있어서, 캐리어 1부터 캐리어 4, 시각 1부터 시각 4로 구성하는 영역 4400을 영역#0이라고 이름 붙인다.
캐리어 5로부터 캐리어 8, 시각 1부터 시각 4로 구성하는 영역 4401을 영역#1이라고 이름 붙인다.
캐리어 9로부터 캐리어 12, 시각 1부터 시각 4로 구성하는 영역 4402를 영역#2라고 이름 붙인다.
캐리어 13으로부터 캐리어 16, 시각 1부터 시각 4로 구성하는 영역 4403을 영역#3이라고 이름 붙인다.
캐리어 1부터 캐리어 4, 시각 5로부터 시각 8로 구성하는 영역 4404를 영역#4라고 이름 붙인다.
캐리어 5부터 캐리어 8, 시각 5로부터 시각 8로 구성하는 영역 4405를 영역#5라고 이름 붙인다.
캐리어 9부터 캐리어 12, 시각 5로부터 시각 8로 구성하는 영역 4406을 영역#6이라고 이름 붙인다.
캐리어 13부터 캐리어 16, 시각 5로부터 시각 8로 구성하는 영역 4407을 영역#7이라고 이름 붙인다.
캐리어 1부터 캐리어 4, 시각 9부터 시각 12로 구성하는 영역 4408을 영역#8이라고 이름 붙인다.
캐리어 5부터 캐리어 8, 시각 9부터 시각 12로 구성하는 영역 4409를 영역#9라고 이름 붙인다.
캐리어 9부터 캐리어 12, 시각 9부터 시각 12로 구성하는 영역 4410을 영역#10이라고 이름 붙인다.
캐리어 13부터 캐리어 16, 시각 9부터 시각 12로 구성하는 영역 4411을 영역#11이라고 이름 붙인다.
캐리어 1부터 캐리어 4, 시각 13부터 시각 16으로 구성하는 영역 4412를 영역#12라고 이름 붙인다.
캐리어 5부터 캐리어 8, 시각 13부터 시각 16으로 구성하는 영역 4413을 영역#13이라고 이름 붙인다.
캐리어 9부터 캐리어 12, 시각 13부터 시각 16으로 구성하는 영역 4414를 영역#14라고 이름 붙인다.
캐리어 13부터 캐리어 16, 시각 13부터 시각 16으로 구성하는 영역 4415를 영역#15라고 이름 붙인다.
이 때, 도 1의 송신 장치는, 수신 장치에, 각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시간 리소스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 이하의 예와 같이, 도 1의 송신 장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도 44의 데이터 심벌군 #1은, 도 45와 같이 영역 분해했을 때, 영역#0(4400), 영역#1(4401), 영역#4(4404), 영역#5(4405), 영역#8(4408), 영역#9(4409), 영역#12(4412), 영역#13(4413)을 사용하여 데이터(정보)를 전송하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 심벌군 #1으로서
「영역#0(4400), 영역#1(4401), 영역#4(4404), 영역#5(4405), 영역#8(4408), 영역#9(4409), 영역#12(4412), 영역#13(4413)을 사용하고 있다」
라는 제어 정보를, 도 1의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이 때, 제어 정보에는, 영역의 정보(영역#0(4400), 영역#1(4401), 영역#4(4404), 영역#5(4405), 영역#8(4408), 영역#9(4409), 영역#12(4412), 영역#13(4413))이 포함되어 있게 된다.
동일하게 도 44의 데이터 심벌군 #2로서
「영역#2(4402)를 사용하고 있다」는 제어 정보를, 도 1의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이 때, 제어 정보에는, 영역의 정보(영역#2(4402))가 포함되어 있게 된다.
도 44의 데이터 심벌군 #3으로서
「영역#3(4403), 영역#7(4407), 영역#11(4411), 영역#15(4415)를 사용하고 있다」라고 하는 제어 정보를, 도 1의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이 때, 제어 정보에는, 영역의 정보(영역#3(4403), 영역#7(4407), 영역#11(4411), 영역#15(4415))가 포함되어 있게 된다.
도 44의 데이터 심벌군 #4로서
「영역#6(4406), 영역#10(4410)을 사용하고 있다」라는 제어 정보를, 도 1의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이 때, 제어 정보에는, 영역의 정보(영역#6(4406), 영역#10(4410))이 포함되어 있게 된다.
도 44의 데이터 심벌군 #5로서
「영역#14(4414)를 사용하고 있다」
라는 제어 정보를, 도 1의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이 때, 제어 정보에는, 영역의 정보(영역#14(4414))가 포함되어 있게 된다.
이상에 있어서, <제2 예><제3 예>에서는, 사용하고 있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의 정보를 적은 비트수로 전송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1 예>에서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데이터 심벌군에 대해, 보다 유연하게 할당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시(시간) 분할이 행해지고 있을 때>
시(시간) 분할이 행해지고 있을 때의 각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는 주파수 자원과 시간 자원 에 관한 제어 정보의 생성에 대해 예를 설명한다.
<제4 예>
시(시간) 분할이 행해지고 있을 때도, 주파수 분할이 행해지고 있을 때와 동일하게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술에서 설명한 <제1 예>를 실시한다.
<제5 예>
시(시간) 분할이 행해지고 있을 때도, 주파수 분할이 행해지고 있을 때와 동일하게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술에서 설명한 <제2 예>를 실시한다.
<제6 예>
시(시간) 분할이 행해지고 있을 때도, 주파수 분할이 행해지고 있을 때와 동일하게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술에서 설명한 <제3 예>를 실시한다.
<제7 예>
실시의 형태 2에서 설명한 e(X, Y)를 제어 정보로서 전송한다. 즉, 데이터 심벌군 #j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심벌수에 관한 정보를 e(j, 0), e(j, 1)로 한다.
이 때,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j=K)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심벌수를 256 심벌로 하는 경우, e(K, 0)=0, e(K, 1)=0으로 설정하고, e(K, 0), e(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심벌수를 512 심벌로 하는 경우, e(K, 0)=1, e(K, 1)=0으로 설정하고, e(K, 0), e(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심벌수를 1024 심벌로 하는 경우, e(K, 0)=0, e(K, 1)=1로 설정하고, e(K, 0), e(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심벌수를 2048 심벌로 하는 경우, e(K, 0)=1, e(K, 1)=1로 설정하고, e(K, 0), e(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심벌수 설정은 4개에 한정한 것이 아니고, 1 종류 이상의 심벌수의 설정을 송신 장치가 설정 가능하면 좋다.
<제8 예>
송신 장치는, 각 데이터 심벌이 필요한 시각의 수의 정보를 수신 장치에 송신하고, 수신 장치는 이 정보를 얻음으로써, 각 데이터 심벌이 사용하는 주파수 및 시간 리소스를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j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사용하는 시각의 수에 관한 정보를 q(j, 0), q(j, 1), q(j, 2), q(j, 3)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1로 하는 경우, q(K, 0)=0, q(K, 1)=0, q(K, 2)=0, q(K, 3)=0으로 설정하고, q(K, 0), q(K, 1), q(K, 2), q(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2로 하는 경우, q(K, 0)=1, q(K, 1)=0, q(K, 2)=0, q(K, 3)=0으로 설정하고, q(K, 0), q(K, 1), q(K, 2), q(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3으로 하는 경우, q(K, 0)=0, q(K, 1)=1, q(K, 2)=0, q(K, 3)=0으로 설정하고, q(K, 0), q(K, 1), q(K, 2), q(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4로 하는 경우, q(K, 0)=1, q(K, 1)=1, q(K, 2)=0, q(K, 3)=0으로 설정하고, q(K, 0), q(K, 1), q(K, 2), q(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5로 하는 경우, q(K, 0)=0, q(K, 1)=0, q(K, 2)=1, q(K, 3)=0으로 설정하고, q(K, 0), q(K, 1), q(K, 2), q(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6으로 하는 경우, q(K, 0)=1, q(K, 1)=0, q(K, 2)=1, q(K, 3)=0으로 설정하고, q(K, 0), q(K, 1), q(K, 2), q(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7로 하는 경우, q(K, 0)=0, q(K, 1)=1, q(K, 2)=1, q(K, 3)=0으로 설정하고, q(K, 0), q(K, 1), q(K, 2), q(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8로 하는 경우, q(K, 0)=1, q(K, 1)=1, q(K, 2)=1, q(K, 3)=0으로 설정하고, q(K, 0), q(K, 1), q(K, 2), q(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9로 하는 경우, q(K, 0)=0, q(K, 1)=0, q(K, 2)=0, q(K, 3)=1로 설정하고, q(K, 0), q(K, 1), q(K, 2), q(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 사용하는 시각수를 10으로 하는 경우, q(K, 0)=1, q(K, 1)=0, q(K, 2)=0, q(K, 3)=1로 설정하고, q(K, 0), q(K, 1), q(K, 2), q(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11로 하는 경우, q(K, 0)=0, q(K, 1)=1, q(K, 2)=0, q(K, 3)=1로 설정하고, q(K, 0), q(K, 1), q(K, 2), q(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12로 하는 경우, q(K, 0)=1, q(K, 1)=1, q(K, 2)=0, q(K, 3)=1로 설정하고, q(K, 0), q(K, 1), q(K, 2), q(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13으로 하는 경우, q(K, 0)=0, q(K, 1)=0, q(K, 2)=1, q(K, 3)=1로 설정하고, q(K, 0), q(K, 1), q(K, 2), q(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14로 하는 경우, q(K, 0)=1, q(K, 1)=0, q(K, 2)=1, q(K, 3)=1로 설정하고, q(K, 0), q(K, 1), q(K, 2), q(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15로 하는 경우, q(K, 0)=0, q(K, 1)=1, q(K, 2)=1, q(K, 3)=1로 설정하고, q(K, 0), q(K, 1), q(K, 2), q(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16으로 하는 경우, q(K, 0)=1, q(K, 1)=1, q(K, 2)=1, q(K, 3)=1로 설정하고, q(K, 0), q(K, 1), q(K, 2), q(K,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도 46에,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을 시(시간) 분할했을 때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6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으로 한다. 또한, 실시의 형태 1부터 실시의 형태 4와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군은, SISO 방식(SIMO 방식), MIMO 방식, MISO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의 심벌이어도 된다.
도 46에 있어서, 4301은,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이며, 데이터 심벌군 #1(4301)은,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6을 사용하고, 시각 1부터 시각 4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즉, 데이터 심벌로서 할당할 수 있는 캐리어 모두를 사용한다. 또한, 파일럿 심벌을 배치하기 위한 캐리어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캐리어가 있던 경우는 제외한다. 단, 「캐리어 1」을 캐리어의 최초의 인덱스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또, 「시각 1」을 시각의 최초의 인덱스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4302는, 데이터 심벌군 #2의 심벌이며, 데이터 심벌군 #2(4302)는,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6을 사용하고, 시각 5부터 시각 12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즉, 데이터 심벌로서 할당할 수 있는 캐리어 모두를 사용한다. 또한, 파일럿 심벌을 배치하기 위한 캐리어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캐리어가 있던 경우는 제외한다.
4303은, 데이터 심벌군 #3의 심벌이며, 데이터 심벌군 #3(4303)은,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6을 사용하고, 시각 13로부터 시각 16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즉, 데이터 심벌로서 할당할 수 있는 캐리어 모두를 사용한다. 또한, 파일럿 심벌을 배치하기 위한 캐리어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캐리어가 있던 경우는 제외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2일 때, 시각 5로부터 시각 12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즉, 시각의 수는 8이 된다. 따라서, q(2, 0)=1, q(2, 1)=1, q(2, 2)=1, q(2, 3)=0으로 설정하고, q(2, 0), q(2, 1), q(2, 2), q(2, 3)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1, 데이터 심벌군 #3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제어 정보를 생성하면 되고, 도 1의 송신 장치는, q(1, 0), q(1, 1), q(1, 2), q(1, 3), 및, q(2, 0), q(2, 1), q(2, 2), q(2, 3), 및, q(3, 0), q(3, 1), q(3, 2), q(3, 3)를 송신한다.
도 23의 수신 장치는, q(1, 0), q(1, 1), q(1, 2), q(1, 3), 및, q(2, 0), q(2, 1), q(2, 2), q(2, 3), 및, q(3, 0), q(3, 1), q(3, 2), q(3, 3)를 수신하고,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및 시간 리소스를 알게 된다. 이 때,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는,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1을 시간적으로 최초로 배치하고, 그 후, 데이터 심벌군 #2, 데이터 심벌군 #3, 데이터 심벌군 #4, 데이터 심벌군 #5, …」과 나열하고 있는 것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하면, 각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는 시각의 수를 아는 것으로, 각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및 시간 리소스를 알 수 있다. 각 데이터 심벌군이 배치되는 최초의 시각의 정보를, 송신 장치가 송신할 필요는 없어진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전송 효율이 향상한다.
<제9 예>
<제8 예>와 상이하게, 각 데이터 심벌군은, 예를 들면, 4×B의 수의 시각(B는 1 이상의 자연수)을 가지는, 즉, 4의 배수(단, 0(세로)을 제외한다)의 수의 시각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단, 각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는 시각의 수는 4의 배수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0(제로)을 제외한 D의 배수(D는 2이상의 정수)이면 좋다.
도 46에 있어서, 4301은,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이며, 데이터 심벌군 #1(4301)은,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6을 사용하고, 시각 1부터 시각 4를 이용하여(시각수 4이며, 4의 배수), 송신된다. 즉, 데이터 심벌로서 할당할 수 있는 캐리어 모두를 사용한다. 또한, 파일럿 심벌을 배치하기 위한 캐리어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캐리어가 있던 경우는 제외한다. 단, 「캐리어 1」을 캐리어의 최초의 인덱스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또, 「시각 1」을 시각의 최초의 인덱스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4302는, 데이터 심벌군 #2의 심벌이며, 데이터 심벌군 #2(4302)는,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6을 사용하고, 시각 5로부터 시각 12를 이용하여(시각수 8이며, 4의 배수), 송신된다. 즉, 데이터 심벌로서 할당할 수 있는 캐리어 모두를 사용한다. 또한, 파일럿 심벌을 배치하기 위한 캐리어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캐리어가 있던 경우는 제외한다.
4303은, 데이터 심벌군 #3의 심벌이며, 데이터 심벌군 #3(4303)은,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6을 사용하고, 시각 13부터 시각 16을 이용하여(시각수 4이며, 4의 배수), 송신된다. 즉, 데이터 심벌로서 할당할 수 있는 캐리어 모두를 사용한다. 또한, 파일럿 심벌을 배치하기 위한 캐리어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캐리어가 있던 경우는 제외한다.
이러한 규칙에 따라서, 각 데이터 심벌군을 프레임에 할당하면, 상술에서 설명한
·「데이터 심벌군 #j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사용하는 시각의 수에 관한 정보」의 비트수
를 삭감할 수 있고, 데이터(정보)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와 같이 제어 정보를 정할 수 있다.
데이터 심벌군 #j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사용하는 시각의 수에 관한 정보를 q(j, 0), q(j, 1)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4로 하는 경우, q(K, 0)=0, q(K, 1)=0으로 설정하고, q(K, 0), q(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8으로 하는 경우, q(K, 0)=1, q(K, 1)=0으로 설정하고, q(K, 0), q(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12로 하는 경우, q(K, 0)=0, q(K, 1)=1로 설정하고, q(K, 0), q(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j=K)가 사용하는 시각수를 16으로 하는 경우, q(K, 0)=1, q(K, 1)=1로 설정하고, q(K, 0), q(K,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도 46의 데이터 심벌군 #2일 때, 시각 5부터 시각 12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즉, 시각의 수는 8이 된다. 따라서, q(2, 0)=1, q(2, 1)=0으로 설정하고, q(2, 0), q(2, 1)를 송신 장치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1, 데이터 심벌군 #3에 대해서도와 동일하게 제어 정보를 생성하면 되고, 도 1의 송신 장치는, q(1, 0), q(1, 1), 및, q(2, 0), q(2, 1), 및, q(3, 0), q(3, 1)를 송신한다.
도 23의 수신 장치는, q(1, 0), q(1, 1), 및, q(2, 0), q(2, 1), 및, q(3, 0), q(3, 1)를 수신하고,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및 시간 리소스를 알게 된다. 이 때,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는,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1을 시간적으로 최초로 배치하고, 그 후, 데이터 심벌군 #2, 데이터 심벌군 #3, 데이터 심벌군 #4, 데이터 심벌군 #5, …」로 나열하고 있는 것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하면, 각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는 시각의 수를 아는 것으로, 각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및 시간 리소스를 알 수 있다. 각 데이터 심벌군이 배치되는 최초의 시각의 정보를, 송신 장치가 송신할 필요는 없어진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전송 효율이 향상된다.
<제10 예>
<제8 예>와 상이하게, 각 데이터 심벌군은, 예를 들면, 4×B의 수의 시각(B는 1 이상의 자연수)을 가지는, 즉, 4의 배수(단, 0(세로)을 제외한다)의 수의 시각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즉,<제9 예>의 때와 동일하게 한다. 단, 각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는 시각의 수는 4의 배수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0(제로)을 제외하는 D의 배수(D는 2이상의 정수)이면 좋다.
따라서, 도 47과 같이, 영역 분해를 행한다. 도 47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으로 한다. 그리고, 도 46에 맞추어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6이 존재하고, 시각 1부터 시각 16이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47에서는, 캐리어 방향으로 16 캐리어, 시간 방향으로 4개의 시각의 16×4=64 심벌의 영역에서 각 영역를 구성하고 있다. 상술의 설명과 같이 C, D를 이용하여 일반화한 경우, 캐리어 방향으로 C캐리어, 시간 방향으로 D개의 시각의 C×D심벌의 영역에서 각 영역을 구성하게 된다.
도 47에 있어서, 시각 1부터 시각 4로 구성하는 영역 4700을 영역#0이라고 이름 붙인다.
시각 5부터 시각 8로 구성하는 영역 4701을 영역#1이라고 이름 붙인다.
시각 9부터 시각 12로 구성하는 영역 4702를 영역#2라고 이름 붙인다.
시각 13부터 시각 16으로 구성하는 영역 4703을 영역#3이라고 이름 붙인다.
이 때, 도 1의 송신 장치는, 수신 장치에, 각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시간 리소스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 이하의 예와 동일하게, 도 1의 송신 장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도 46의 데이터 심벌군 #1은, 도 47과 같이 영역 분해했을 때, 영역#0(4700)을 사용하여 데이터(정보)를 전송하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 심벌군 #1로서
「영역#0(4700)을 사용하고 있다」
라는 제어 정보를, 도 1의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이 때, 제어 정보에는, 영역의 정보(영역#0(4700))가 포함되어 있게 된다.
동일하게 도 46의 데이터 심벌군 #2로서
「영역#1(4701), 영역#2(4702)를 사용하고 있다」라는 제어 정보를, 도 1의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이 때, 제어 정보에는, 영역의 정보(영역#1(4701), 영역#2(4702))가 포함되어 있게 된다.
도 46의 데이터 심벌군 #3으로서
「영역#3(4703)을 사용하고 있다」
라는 제어 정보를, 도 1의 송신 장치는 송신한다. 이 때, 제어 정보에는, 영역의 정보(영역#3(4703))가 포함되어 있게 된다.
시(시간) 분할 시의 제어 정보에 대해서, <제4 예>부터 <제10 예>를 기재했다. 예를 들면, <제4 예>, <제5 예>, <제6 예>를 이용한 경우, 주파수 분할의 제어 정보와 시(시간) 분할 시의 제어 정보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7 예>부터 <제10 예>로 한 경우, 구성이 상이한 「주파수 분할 시의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제어 정보와 시(시간) 분할 시의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제어 정보」를, 제1 프리앰블, 및/또는, 제2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송신 장치는 송신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5의 프레임 구성의 경우, 제1 프리앰블(2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202)에, 주파수 분할 시의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게 되고, 제1 프리앰블(5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502)에, 시(시간) 분할 시의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고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동일하게, 도 25, 도 28, 도 32의 프레임 구성의 경우, 제1 프리앰블(2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202)에, 주파수 분할 시의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게 되고, 제1 프리앰블(5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502)에, 시(시간) 분할 시의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고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도 36의 프레임 구성의 경우, 제1 프리앰블(201, 5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202, 502)에, 주파수 분할 시의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게 되고, 제1 프리앰블(36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3602)에, 시(시간) 분할 시의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고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상에 있어서, <제5 예><제6 예><제9 예><제10 예>에서는, 사용하고 있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의 정보를 적은 비트수로 전송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제4 예><제7 예><제8 예>에서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데이터 심벌군에 대해, 보다 유연하게 할당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술에서 설명한 예와 같이, 주파수 분할 시의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제어 정보와 시(시간) 분할 시의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사용에 관한 제어 정보를, 송신 장치가 송신함으로써, 수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군의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사용 상황을 알 수 있고, 적확하게 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의 형태 6)
실시의 형태 1부터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예에 대해서, 몇 개인가 설명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1부터 실시의 형태 5에서 설명한 프레임 구성과는 상이한 프레임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8은,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8에 있어서, 도 5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또,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으로 한다. 또한, 실시의 형태 1부터 실시의 형태 5와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군은, SISO 방식(SIMO 방식), MIMO 방식, MISO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심벌이어도 된다.
도 48에 있어서, 도 5와 상이한 점은, 도 5에 있어서의 제1 프리앰블(201)과 제2 프리앰블(202)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점이다. 그리고, 데이터 심벌군 #1(401_1, 401_2) 및 데이터 심벌군 #2(402)에, 주파수 방향으로 제어 정보 심벌, 예를 들면, TMCC(Transmission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를 배치한다. 또한, 제어 정보 심벌에는, 예를 들면, 프레임 동기, 주파수 동기, 시간 동기를 위한 심벌, 실시의 형태 5에서 설명한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는 주파수 및 시간 리소스를 통지하기 위한 심벌, 데이터 심벌군을 생성하기 위한 변조 방식에 관한 정보, 데이터 심벌군을 생성하기 위한 오류 정정 방식, 예를 들면, 부호에 관한 정보, 부호길이에 관한 정보, 부호화율에 관한 정보 등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게 된다.
도 49는, 데이터 심벌군 #1(401_1, 401_2) 및 데이터 심벌군 #2(402)에, 주파수 방향으로 제어 정보 심벌, 예를 들면, TMCC(Transmission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 를 배치할 때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9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으로 한다. 4901, 4902, 4903은 데이터 심벌군 #X이며, 도 48의 경우, X는 1 혹은 2가 되고, 4904, 4905는, 제어 정보 심벌, 예를 들면, TMCC(Transmission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 인 것으로 한다.
도 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정보 심벌(4904, 4905)은, 어느 특정의 캐리어(서브 캐리어, 또는, 주파수)에 배치한다. 또한, 이 특정의 캐리어에는, 제어 정보 심벌 이외의 심벌이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도 49에 있어서, X=1로 한다. 그러면, 도 49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 #1이 어느 특정의 캐리어(서브 캐리어, 또는, 주파수)에 제어 정보 심벌을 배치한다는 것이 된다.
동일하게 도 49에 있어서, X=2로 한다. 그러면, 도 49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 #2가 어느 특정의 캐리어(서브 캐리어, 또는, 주파수)에 제어 정보 심벌을 배치한다는 것이 된다.
또한, 도 48과 같이 주파수 분할을 행하여 데이터 심벌군을 배치하고 있는 주파수 및 시간 영역에 제어 정보 심벌을 배치할 때, 예를 들면,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0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 캐리어 #5, 캐리어 #25, 캐리어 #40, 캐리어 #55, 캐리어 #70, 캐리어 #85와 같이, 특정의 캐리어에 제어 정보 심벌을 배치해도 되고, 데이터 심벌군의 배치에 따라 제어 정보 심벌을 배치해도 된다.
다음에, 도 48의 프레임 구성으로 했을 때의 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프레임 구성의 경우, 수신 장치가, 데이터 심벌군 #1, 데이터 심벌군 #2를 복조 및 복호하여 정보를 얻기 때문에, 제1 프리앰블(201), 제2 프리앰블(202)을 얻을 필요가 있으며, 이 때문에, 수신 장치는, 제1 프리앰블(201), 제2 프리앰블(202)을 수신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의 변조 신호를 얻을 필요가 있다.
이들 중, 데이터 심벌군 #2만이 필요한 단말이 존재한 경우, 유연한 단말 설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심벌군 #2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만으로, 데이터 심벌군 #2의 복조 및 복호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레임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도 48의 프레임 구성의 경우, 이것을 실현할 수 있다.
도 48과 같이 프레임을 구성한 경우, 도 49에 나타낸 것처럼, 데이터 심벌군 #2에 제어 정보 심벌, 예를 들면, TMCC(Transmission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 가 주파수 방향으로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군 #2만의 주파수 대역의 변조 신호를 얻음으로써, 데이터 심벌군 #2를 복조 및 복호 가능해진다. 따라서, 유연한 단말 설계가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이 도 50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0에 있어서, 도 25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또,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으로 한다. 또한, 실시의 형태 1부터 실시의 형태 5와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군은, SISO 방식(SIMO 방식), MIMO 방식, MISO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심벌이어도 된다.
도 50에 있어서, 도 25와 상이한 점은, 도 25에 있어서의 제1 프리앰블(201)과 제2 프리앰블(202)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점이다. 그리고, 데이터 심벌군 #1(2501), 데이터 심벌군 #2(2502), 데이터 심벌군 #4(2503)에, 주파수 방향으로 제어 정보 심벌, 예를 들면, TMCC(Transmission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 를 배치한다. 또한, 제어 정보 심벌에는, 예를 들면, 프레임 동기, 주파수 동기, 시간 동기를 위한 심벌, 실시의 형태 5에서 설명한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는 주파수 및 시간 리소스를 통지하기 위한 심벌, 데이터 심벌군을 생성하기 위한 변조 방식에 관한 정보, 데이터 심벌군을 생성하기 위한 오류 정정 방식, 예를 들면 부호에 관한 정보 및 부호길이에 관한 정보 및 부호화율에 관한 정보 등, 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게 된다.
도 49는, 데이터 심벌군 #1(2501) 및 데이터 심벌군 #2(2502) 및 데이터 심벌군 #4(2503)에, 주파수 방향으로 제어 정보 심벌, 예를 들면, TMCC(Transmission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 를 배치할 때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9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으로 한다. 4901, 4902, 4903은 데이터 심벌군 #X이며, 예를 들면, 도 50의 경우, X는 1 혹은 2 혹은 4가 되고, 4904, 4905는, 제어 정보 심벌, 예를 들면, TMCC(Transmission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 인 것으로 한다.
도 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정보 심벌(4904, 4905)은, 어느 특정의 캐리어(서브 캐리어, 또는, 주파수)에 배치한다. 또한, 이 특정의 캐리어에는, 제어 정보 심벌 이외의 심벌이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도 49에 있어서, X=1로 한다. 그러면, 도 49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 #1의 어느 특정의 캐리어(서브 캐리어, 또는, 주파수)에 제어 정보 심벌을 배치한다는 것이 된다.
동일하게 도 49에 있어서, X=2로 한다. 그러면, 도 49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 #2가 어느 특정의 캐리어(서브 캐리어, 또는, 주파수)에 제어 정보 심벌을 배치한다는 것이 된다.
도 49에 있어서, X=4로 한다. 그러면, 도 49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 #4가 어느 특정의 캐리어(서브 캐리어, 또는, 주파수)에 제어 정보 심벌을 배치한다는 것이 된다.
또한, 도 50과 같이 주파수 분할을 행하여 데이터 심벌군을 배치하고 있는 주파수 및 시간 영역에 제어 정보 심벌을 배치할 때, 예를 들면,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0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 캐리어 #5, 캐리어 #25, 캐리어 #40, 캐리어 #55, 캐리어 #70, 캐리어 #85와 같이, 특정의 캐리어에 제어 정보 심벌을 배치해도 되고, 데이터 심벌군의 배치에 따라 제어 정보 심벌을 배치해도 된다.
다음에, 도 50의 프레임 구성으로 했을 때의 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의 프레임 구성의 경우, 수신 장치가, 데이터 심벌군 #1, 데이터 심벌군 #2, 데이터 심벌군 #4를 복조 및 복호하여 정보를 얻기 때문에, 제1 프리앰블(201), 제2 프리앰블(202)을 얻을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수신 장치는, 제1 프리앰블(201), 제2 프리앰블(202)을 수신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의 변조 신호를 얻을 필요가 있다.
이들 중, 데이터 심벌군 #2만이 필요한 단말이 존재한 경우, 유연한 단말 설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심벌군 #2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만으로, 데이터 심벌군 #2의 복조 및 복호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레임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도 50의 프레임 구성의 경우, 이것을 실현할 수 있다.
도 50과 같이 프레임을 구성한 경우,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 #2에 제어 정보 심벌, 예를 들면, TMCC(Transmission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가 주파수 방향으로 삽입되고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군 #2만의 주파수 대역의 변조 신호를 얻음으로써, 데이터 심벌군 #2를 복조 및 복호 가능해진다. 따라서, 유연한 단말 설계가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이 도 51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1에 있어서, 도 28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또,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으로 한다. 또한, 실시의 형태 1부터 실시의 형태 5와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군은, SISO 방식(SIMO 방식), MIMO 방식, MISO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심벌이어도 된다.
도 51에 있어서, 도 28과 상이한 점은, 도 28에 있어서의 제1 프리앰블(201)과 제2 프리앰블(202)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점이다. 그리고, 데이터 심벌군 #1(2701), 데이터 심벌군 #2(2702)에, 주파수 방향으로 제어 정보 심벌, 예를 들면, TMCC(Transmission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 를 배치한다. 또한, 제어 정보 심벌에는, 예를 들면, 프레임 동기, 주파수 동기, 시간 동기를 위한 심벌, 실시의 형태 5에서 설명한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는 주파수 및 시간 리소스를 통지하기 위한 심벌, 데이터 심벌군을 생성하기 위한 변조 방식에 관한 정보, 데이터 심벌군을 생성하기 위한 오류 정정 방식, 예를 들면, 부호에 관한 정보, 부호길이에 관한 정보, 부호화율에 관한 정보 등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게 된다.
도 49는, 데이터 심벌군 #1(2701) 및 데이터 심벌군 #2(2702)에, 주파수 방향으로 제어 정보 심벌, 예를 들면, TMCC(Transmission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 를 배치할 때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9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으로 한다. 4901, 4902, 4903은 데이터 심벌군 #X이며, 예를 들면, 도 51의 경우, X는 1 혹은 2가 되는, 4904, 4905는, 제어 정보 심벌, 예를 들면, TMCC(Transmission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인 것으로 한다.
도 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정보 심벌(4904, 4905)은, 어느 특정의 캐리어(서브 캐리어, 또는, 주파수)에 배치한다. 또한, 이 특정의 캐리어에는, 제어 정보 심벌 이외의 심벌이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도 49에 있어서, X=1로 한다. 그러면, 도 49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 #1이 어느 특정의 캐리어(서브 캐리어, 또는, 주파수)에 제어 정보 심벌을 배치한다는 것이 된다.
동일하게 도 49에 있어서, X=2로 한다. 그러면, 도 49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 #2의 어느 특정의 캐리어(서브 캐리어, 또는, 주파수)에 제어 정보 심벌을 배치한다는 것이 된다.
또한, 도 51과 같이 주파수 분할을 행하여 데이터 심벌군을 배치하고 있는 주파수 및 시간 영역에 제어 정보 심벌을 배치할 때, 예를 들면,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0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 캐리어 #5, 캐리어 #25, 캐리어 #40, 캐리어 #55, 캐리어 #70, 캐리어 #85와 같이, 특정의 캐리어에 제어 정보 심벌을 배치해도 되고, 데이터 심벌군의 배치에 따라 제어 정보 심벌을 배치해도 된다.
다음에, 도 51의 프레임 구성으로 했을 때의 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28의 프레임 구성의 경우, 수신 장치가, 데이터 심벌군 #1, 데이터 심벌군 #2를 복조 및 복호하여 정보를 얻기 때문에, 제1 프리앰블(201), 제2 프리앰블(202)을 얻을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수신 장치는, 제1 프리앰블(201), 제2 프리앰블(202)을 수신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의 변조 신호를 얻을 필요가 있다.
이들 중, 데이터 심벌군 #2만이 필요한 단말이 존재했을 경우, 유연한 단말 설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심벌군 #2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만으로, 데이터 심벌군 #2의 복조 및 복호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레임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도 51의 프레임 구성의 경우, 이것을 실현할 수 있다.
도 51과 같이 프레임을 구성한 경우,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가이, 데이터 심벌군 #2에 제어 정보 심벌, 예를 들면, TMCC(Transmission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 가 주파수 방향으로 삽입되고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군 #2만의 주파수 대역의 변조 신호를 얻음으로써, 데이터 심벌군 #2를 복조 및 복호 가능해진다. 따라서, 유연한 단말 설계가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이 도 52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2에 있어서, 도 32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또,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으로 한다. 또한, 실시의 형태 1부터 실시의 형태 5와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군은, SISO 방식(SIMO 방식), MIMO 방식, MISO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심벌이어도 된다.
도 52에 있어서, 도 32와 상이한 점은, 도 32에 있어서의 제1 프리앰블(201)과 제2 프리앰블(202)이 존재하고 있지 않는 점이다. 그리고, 데이터 심벌군 #1(3001), 데이터 심벌군 #2(3002), 데이터 심벌군 #3(3003), 데이터 심벌군 #4(3004), 데이터 심벌군 #5(3005), 데이터 심벌군 #6(3006)에, 주파수 방향으로 제어 정보 심벌, 예를 들면, TMCC(Transmission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 를 배치한다. 또한, 제어 정보 심벌에는, 예를 들면, 프레임 동기, 주파수 동기, 시간 동기를 위한 심벌, 실시의 형태 5에서 설명한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는 주파수 및 시간 리소스를 통지하기 위한 심벌, 데이터 심벌군을 생성하기 위한 변조 방식에 관한 정보, 데이터 심벌군을 생성하기 위한 오류 정정 방식, 예를 들면, 부호에 관한 정보, 부호길이에 관한 정보, 부호화율에 관한 정보 등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게 된다.
단, 데이터 심벌군 #1(3001), 데이터 심벌군 #2(3002), 데이터 심벌군 #3(3003), 데이터 심벌군 #4(3004), 데이터 심벌군 #5(3005), 데이터 심벌군 #6(3006)의 모두에 주파수 방향으로 제어 정보 심벌이 배치된다고는 할 수 없다. 이 점에 대해서, 도 5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3은, 도 52에 있어서의 시각 t1부터 시각 t3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 심벌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심벌군 5301, 5302, 5303은, 도 52의 경우, 데이터 심벌군 #1(3001), 데이터 심벌군 #2(3002), 데이터 심벌군 #3(3003), 데이터 심벌군 #4(3004), 데이터 심벌군 #5(3005), 데이터 심벌군 #6(3006)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있게 된다.
도 53의 5304, 5305는 제어 정보 심벌이며, 주파수 방향으로 제어 정보 심벌, 예를 들면, TMCC(Transmission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 를 배치한다. 제어 정보 심벌(5304)은, 도 5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의 캐리어에 배치되고 또, 제어 정보 심벌(5305)는, 도 5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의 캐리어(서브 캐리어, 또는, 주파수)에 배치된다. 또한, 이 특정의 캐리어에는, 제어 정보 심벌 이외의 심벌이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도 52와 같이 주파수 분할을 행하고 데이터 심벌군을 배치하고 있는 주파수 및 시간 영역에 제어 정보 심벌을 배치할 때, 예를 들면,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0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 캐리어 #5, 캐리어 #25, 캐리어 #40, 캐리어 #55, 캐리어 #70, 캐리어 #85와 같이, 특정의 캐리어에 제어 정보 심벌을 배치해도 되고, 데이터 심벌군의 배치에 따라 제어 정보 심벌을 배치해도 된다.
다음에, 도 52의 프레임 구성으로 했을 때의 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32의 프레임 구성의 경우, 수신 장치가, 데이터 심벌군 #1(3001), 데이터 심벌군 #2(3002), 데이터 심벌군 #3(3003), 데이터 심벌군 #4(3004), 데이터 심벌군 #5(3005), 데이터 심벌군 #6(3006)을 복조 및 복호하여 정보를 얻기 때문에, 제1 프리앰블(201), 제2 프리앰블(202)을 얻을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수신 장치는 제1 프리앰블(201), 제2 프리앰블(202)을 수신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의 변조 신호를 얻을 필요가 있다.
이들 중, 데이터 심벌군 #2만이 필요한 단말이 존재한 경우, 유연한 단말 설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심벌군 #2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만으로, 데이터 심벌군 #2의 복조 및 복호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레임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도 52의 프레임 구성의 경우, 이것을 실현할 수 있다.
도 52와 같이 프레임을 구성한 경우, 도 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에 제어 정보 심벌, 예를 들면, TMCC(Transmission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가 주파수 방향으로 삽입되고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군 #2 주변의 주파수 대역의 변조 신호를 얻음으로써, 데이터 심벌군 #2를 복조 및 복호 가능해진다. 따라서, 유연한 단말 설계가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1의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이 도 54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4에 있어서, 도 36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또, 세로축은 주파수, 가로축은 시간으로 한다. 또한, 실시의 형태 1부터 실시의 형태 5와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군은, SISO 방식(SIMO 방식), MIMO 방식, MISO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심벌이어도 된다.
도 54에 있어서, 도 36과 상이한 점은, 도 36에 있어서의 제1 프리앰블(201)과 제2 프리앰블(202), 제1 프리앰블(501)과 제2 프리앰블(502)이 존재하고 있지 않는 점이 있다. 그리고, 데이터 심벌군 #1(3401), 데이터 심벌군 #2(3402), 데이터 심벌군 #3(3403), 데이터 심벌군 #4(3404), 데이터 심벌군 #5(3405), 데이터 심벌군 #6(3406), 데이터 심벌군 #7(3407), 데이터 심벌군 #8(3408), 데이터 심벌군 #9(3509), 데이터 심벌군 #10(3510), 데이터 심벌군 #11(3511), 데이터 심벌군 #12(3512), 데이터 심벌군 #13(3513)에, 주파수 방향으로 제어 정보 심벌, 예를 들면, TMCC(Transmission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을 배치한다. 또한, 제어 정보 심벌에는, 예를 들면, 프레임 동기, 주파수 동기, 시간 동기를 위한 심벌, 실시의 형태 5에서 설명한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는 주파수 및 시간 리소스를 통지하기 위한 심벌, 데이터 심벌군을 생성하기 위한 변조 방식에 관한 정보, 데이터 심벌군을 생성하기 위한 오류 정정 방식, 예를 들면, 부호에 관한 정보, 부호길이에 관한 정보, 부호화율에 관한 정보 등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게 된다.
단, 데이터 심벌군 #1(3401), 데이터 심벌군 #2(3402), 데이터 심벌군 #3(3403), 데이터 심벌군 #4(3404), 데이터 심벌군 #5(3405), 데이터 심벌군 #6(3406), 데이터 심벌군 #7(3407), 데이터 심벌군 #8(3408), 데이터 심벌군 #9(3509), 데이터 심벌군 #10(3510), 데이터 심벌군 #11(3511), 데이터 심벌군 #12(3512), 데이터 심벌군 #13(3513)의 모두에 주파수 방향으로 제어 정보 심벌이 배치된다고는 할 수 없다. 이 점에 대해서, 도 5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3은, 도 54에 있어서의 시각 t1부터 시각 t3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 심벌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심벌군 5301, 5302, 5303은, 도 54의 경우, 데이터 심벌군 #1(3401), 데이터 심벌군 #2(3402), 데이터 심벌군 #3(3403), 데이터 심벌군 #4(3404), 데이터 심벌군 #5(3405), 데이터 심벌군 #6(3406), 데이터 심벌군 #7(3407), 데이터 심벌군 #8(3408), 데이터 심벌군 #9(3509), 데이터 심벌군 #10(3510), 데이터 심벌군 #11(3511), 데이터 심벌군 #12(3512), 데이터 심벌군 #13(3513)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있게 된다.
도 53의 5304, 5305는 제어 정보 심벌이며, 주파수 방향으로 제어 정보 심벌, 예를 들면, TMCC(Transmission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 를 배치한다. 제어 정보 심벌(5304)은, 도 5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의 캐리어에 배치되고 또한, 제어 정보 심벌(5305)은 도 5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의 캐리어(서브 캐리어, 또는, 주파수)에 배치된다. 또한, 이 특정의 캐리어에는, 제어 정보 심벌 이외의 심벌이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도 54와 같이 주파수 분할을 행하여 데이터 심벌군을 배치하고 있는 주파수 및 시간 영역에 제어 정보 심벌을 배치할 때, 예를 들면,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0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 캐리어 #5, 캐리어 #25, 캐리어 #40, 캐리어 #55, 캐리어 #70, 캐리어 #85와 같이, 특정의 캐리어에 제어 정보 심벌을 배치해도 되고, 데이터 심벌군의 배치에 따라 제어 정보 심벌을 배치해도 된다.
다음에, 도 54의 프레임 구성으로 했을 때의 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36의 프레임 구성의 경우, 수신 장치가, 데이터 심벌군 #1(3401), 데이터 심벌군 #2(3402), 데이터 심벌군 #3(3403), 데이터 심벌군 #4(3404), 데이터 심벌군 #5(3405), 데이터 심벌군 #6(3406), 데이터 심벌군 #7(3407), 데이터 심벌군 #8(3408), 데이터 심벌군 #9(3509), 데이터 심벌군 #10(3510), 데이터 심벌군 #11(3511), 데이터 심벌군 #12(3512), 데이터 심벌군 #13(3513)을 복조 및 복호하여 정보를 얻기 때문에, 제1 프리앰블(201), 제2 프리앰블(202), 제1 프리앰블(501), 제2 프리앰블(502)을 얻을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수신 장치는, 제1 프리앰블(201), 제2 프리앰블(202), 제1 프리앰블(501), 제2 프리앰블(502)을 수신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의 변조 신호를 얻을 필요가 있다.
이들 중, 데이터 심벌군 #2만이 필요한 단말이 존재했을 경우, 유연한 단말 설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심벌군 #2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만으로, 데이터 심벌군 #2의 복조 및 복호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레임 구성인 것이 요구되고, 도 54의 프레임 구성의 경우, 이것을 실현할 수 있다.
도 54와 같이 프레임을 구성한 경우, 도 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에 제어 정보 심벌, 예를 들면, TMCC(Transmission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가 주파수 방향으로 삽입되고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군 #2 주변의 주파수 대역의 변조 신호를 얻음으로써, 데이터 심벌군 #2를 복조 및 복호 가능해진다. 따라서, 유연한 단말 설계가 가능해진다.
이상의 예와 같이, 주파수 분할을 이용하여 데이터 심벌군을 배치하는 경우, 제어 정보 심벌을 주파수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유연한 단말 설계가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시(시간) 분할을 이용하여 배치한 데이터 심벌군에 관련된 제어 정보 심벌은, 도 48, 도 50, 도 51, 도 52, 도 54와 같이, 제1 프리앰블, 제2 프리앰블에 포함되게 된다.
또한, 제1 프리앰블, 제2 프리앰블에, 주파수 분할된 데이터 심벌군에 관련하는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도 49, 도 53에 나타낸 제어 정보 심벌(4904, 4905, 5304, 5305)에, 시(시간) 분할된 데이터 심벌군에 관련하는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의 형태 7)
실시의 형태 1부터 실시의 형태 6, 특히,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변조 신호에 대해,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특히, 주파수 분할을 행한 데이터 심벌군에 대한 위상 변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베이스 밴드 신호 s1(t), s1(i) 또는 베이스 밴드 신호 s2(t), s2(i)의 양자, 또는, 한쪽에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설명했다. 본 방법의 특징으로서는, 송신 프레임에 있어서, 베이스 밴드 신호 s1(t)와 베이스 밴드 신호 s2(t)를 송신하는 심벌 이외에 존재하는, 예를 들면, 파일럿 심벌(예를 들면, 레퍼런스 심벌, 유니크 워드, 포스트앰블), 제1 프리앰블, 제2 프리앰블, 제어 정보 심벌 등에는, 위상 변경을 실시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 밴드 신호 s1(t), s1(i) 또는 베이스 밴드 신호 s2(t), s2(i)의 양자, 또는, 한쪽에 위상 변경을 행하는」주파수 분할을 행한 데이터 심벌군의 위상 변경 방법에 대해서, 이하와 같은 경우가 있다.
제1 케이스:
도 55를 이용하여, 제1 케이스를 설명한다. 도 55에 있어서, 세로축은 시간, 가로축은 주파수로 한다. 도 55에 있어서의 (A)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변조 신호 z1(t), z1(i)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55에 있어서의 (B)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변조 신호 z2(t), z2(i)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동일 시각, 동일 주파수(캐리어 번호가 동일)의 변조 신호 z1(t), z1(i)의 심벌과 변조 신호 z2(t), z2(i)의 심벌은 상이한 안테나로부터 송신되게 된다.
도 55에 있어서, 「P」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은, 파일럿 심벌이며, 전에도 기재한 것처럼, 파일럿 심벌에는 위상 변경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도 55에 있어서의 (A), (B)에서는, 「P」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 이외의 심벌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심벌, 즉 데이터 심벌인 것으로 한다. 또한, 도 55에 있어서의 (A), (B)에서는, 데이터 심벌과 파일럿 심벌로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전에도 기재한 것처럼, 제어 정보 심벌 등의 심벌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 때, 예를 들면, 제어 정보 심벌에는 위상 변경을 실시하지 않는다.
도 55에 있어서의 (A)의 5501은 데이터 심벌군 #1에 속하는 데이터 심벌을 배치하는 영역이며, 5502는 데이터 심벌군 #2에 속하는 데이터 심벌을 배치하는 영역이다. 그리고, 도 55에 있어서의 (B)의 5503은 데이터 심벌군 #1에 속하는 데이터 심벌을 배치하는 영역이며, 5504는 데이터 심벌군 #2에 속하는 데이터 심벌군을 배치하는 영역이다. 따라서, 도 55의 예에서는, 데이터 심벌군은, 주파수 분할을 행하여 배치되어 있게 된다.
도 55의 데이터 심벌군에 있어서, 위상 변경의 주기는 7이며, 「위상 변경$0, 위상 변경$1, 위상 변경$2, 위상 변경$3, 위상 변경$4, 위상 변경$5, 위상 변경$6」의 7 종류 중 어느 하나의 위상 변경이 실시되는 것으로 한다.
도 55에 있어서의 (A)의 영역 5501의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에 있어서, 예를 들면, 「#0 $0」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0」은, 데이터 심벌군 #1의 「0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0」은, 「위상 변경$0」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1 $1」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1」은, 데이터 심벌군 #1의 「1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1」은, 「위상 변경$1」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X $Y」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X는 0 이상의 정수, Y는 0 이상 6 이하의 정수). 이 때, 「#X」는, 데이터 심벌군 #1의 「X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Y」는, 「위상 변경$Y」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55에 있어서의 (A)의 영역 5502의 데이터 심벌군 #2의 심벌에 있어서, 예를 들면, 「%0 $0」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0」은, 데이터 심벌군 #2의 「0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0」은, 「위상 변경$0」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1 $1」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1」은, 데이터 심벌군 #2의 「1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1」은, 「위상 변경$1」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X $Y」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X는 0 이상의 정수, Y는 0 이상 6 이하의 정수). 이 때, 「%X」는, 데이터 심벌군 #2의 「X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Y」는, 「위상 변경$Y」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55에 있어서의 (B)의 영역 5503의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에 있어서, 예를 들면, 「#0 $0」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0」은, 데이터 심벌군 #1의 「0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0」은, 「위상 변경$0」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1 $1」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1」은, 데이터 심벌군 #1의 「1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1」은, 「위상 변경$1」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X $Y」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X는 0 이상의 정수, Y는 0 이상 6 이하의 정수). 이 때, 「#X」는, 데이터 심벌군 #1의 「X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Y」는, 「위상 변경$Y」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55에 있어서의 (B)의 영역 5504의 데이터 심벌군 #2의 심벌에 있어서, 예를 들면, 「%0 $0」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0」은, 데이터 심벌군 #2의 「0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0」은, 「위상 변경$0」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1 $1」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1」은, 데이터 심벌군 #2의 「1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1」은, 「위상 변경$1」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X $Y」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X는 0 이상의 정수, Y는 0 이상 6 이하의 정수). 이 때, 「%X」는, 데이터 심벌군 #2의 「X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Y」는, 「위상 변경$Y」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 때, 변조 신호 z1의 데이터 심벌에 있어서, 주기 7의 위상 변경을 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위상 변경$0으로서 (2×0×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1로서 (2×1×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며」, 「위상 변경$2로서 (2×2×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3으로서 (2×3×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며」, 「위상 변경$4로서 (2×4×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며」, 「위상 변경$5로서 (2×5×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6으로서 (2×6×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단, 위상 변경의 값은, 이들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변조 신호 z2의 데이터 심벌에 있어서, 주기 7의 위상 변경을 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위상 변경$0으로서 -(2×0×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며, 「위상 변경$1로서 -(2×1×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며」, 「위상 변경$2로서 -(2×2×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3으로서 -(2×3×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며」, 「위상 변경$4로서 -(2×4×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5로서 -(2×5×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6으로서 -(2×6×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단, 위상 변경의 값은, 이들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또한, 전에도 설명한 것처럼, 변조 신호 z1는 위상 변경을 행하고, 변조 신호 z2는 행하지 않는다고 해도 된다. 또, 변조 신호 z1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변조 신호 z2는 위상 변경을 행한다고 해도 된다.
제1 케이스의 특징은, 「데이터 심벌군 #1과 데이터 심벌군 #2과 합하여, 주기 7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는」점이다. 즉, 속하고 있는 데이터 심벌군에 관계없이, 프레임 전체의 데이터 심벌로, 주기 7의 위상 변경을 행하게 된다.
제2 케이스:
도 56을 이용하여, 제2 케이스를 설명한다. 도 56에 있어서, 세로축은 시간, 가로축은 주파수로 한다. 도 56에 있어서의 (B)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변조 신호 z1(t), z1(i)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56에 있어서의 (B)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변조 신호 z2(t), z2(i)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동일 시각, 동일 주파수, 즉, 캐리어 번호가 동일한 변조 신호 z1(t), z1(i)의 심벌과 변조 신호 z2(t), z2(i)의 심벌은 상이한 안테나로부터 송신되게 된다.
도 56에 있어서, 「P」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은, 파일럿 심벌이며, 전에도 기재한 것처럼, 파일럿 심벌에는 위상 변경을 가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도 56에 있어서의 (A), (B)에서는, 「P」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 이외의 심벌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심벌, 즉, 데이터 심벌인 것으로 한다. 또한, 도 56에 있어서의 (A), (B)에서는, 데이터 심벌과 파일럿 심벌로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전에도 기재한 것처럼, 제어 정보 심벌 등의 심벌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 때, 예를 들면, 제어 정보 심벌은 위상 변경을 실시하지 않는다.
도 56에 있어서의 (A)의 5501은 데이터 심벌군 #1에 속하는 데이터 심벌을 배치하는 영역이며, 5502는 데이터 심벌군 #2에 속하는 데이터 심벌을 배치하는 영역이다. 그리고, 도 56에 있어서의 (B)의 5503은 데이터 심벌군 #1에 속하는 데이터 심벌을 배치하는 영역이며, 5504는 데이터 심벌군 #2에 속하는 데이터 심벌군을 배치하는 영역이다. 따라서, 도 56의 예에서는, 데이터 심벌군은, 주파수 분할을 행하여 배치되어 있게 된다.
도 56의 데이터 심벌군 #1에 있어서, 위상 변경의 주기는 7이며, 「위상 변경$0, 위상 변경$1, 위상 변경$2, 위상 변경$3, 위상 변경$4, 위상 변경$5, 위상 변경$6」의 7 종류 중 어느 하나의 위상 변경이 실시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도 56의 데이터 심벌군 #2에 있어서, 위상 변경의 주기는 5이며, 「위상 변경♭0, 위상 변경♭1, 위상 변경♭2, 위상 변경♭3, 위상 변경♭4」의 5 종류 중 어느 하나의 위상 변경이 실시되는 것으로 한다.
도 56에 있어서의 (A)의 영역 5501의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에 있어서, 예를 들면, 「#0 $0」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0」은, 데이터 심벌군 #1의 「0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0」은, 「위상 변경$0」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1 $1」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1」은, 데이터 심벌군 #1의 「1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1」은, 「위상 변경$1」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X $Y」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X는 0 이상의 정수, Y는 0 이상 6 이하의 정수). 이 때, 「#X」는, 데이터 심벌군 #1의 「X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Y」는, 「위상 변경$Y」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56에 있어서의 (A)의 영역 5502의 데이터 심벌군 #2의 심벌에 있어서, 예를 들면, 「%0 ♭0」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0」은, 데이터 심벌군 #2의 「0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0」은, 「위상 변경♭0」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1 ♭1」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1」은, 데이터 심벌군 #2의 「1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1」은, 「위상 변경♭1」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X ♭Y」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X는 0 이상의 정수, Y는 0 이상 4 이하의 정수). 이 때, 「%X」는, 데이터 심벌군 #2의 「X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Y」는, 「위상 변경♭Y」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56에 있어서의 (B)의 영역 5503의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에 있어서, 예를 들면, 「#0 $0」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0」은, 데이터 심벌군 #1의 「0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0」은, 「위상 변경$0」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1 $1」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1」은 데이터 심벌군 #1의 「1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1」은 「위상 변경$1」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X $Y」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X는 0 이상의 정수, Y는 0 이상 6 이하의 정수). 이 때, 「#X」는, 데이터 심벌군 #1의 「X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Y」는, 「위상 변경$Y」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56에 있어서의 (B)의 영역 5504의 데이터 심벌군 #2의 심벌에 있어서, 예를 들면, 「%0 ♭0」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0」은, 데이터 심벌군 #2의 「0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0」은, 「위상 변경♭0」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1 ♭1」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1」은, 데이터 심벌군 #2의 「1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1」은, 「위상 변경♭1」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X ♭Y」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X는 0 이상의 정수, Y는 0 이상 4 이하의 정수). 이 때, 「%X」는, 데이터 심벌군 #2의 「X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Y」는, 「위상 변경♭Y」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 때, 변조 신호 z1의 데이터 심벌군 #1에 있어서, 주기 7의 위상 변경을 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위상 변경$0으로서 (2×0×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1로서 (2×1×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며」, 「위상 변경$2로서 (2×2×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3으로서 (2×3×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4로서 (2×4×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며」, 「위상 변경$5로서 (2×5×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6으로서 (2×6×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것으로 한다(단, 위상 변경의 값은, 이들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변조 신호 z2의 데이터 심벌군 #1에 있어서, 주기 7의 위상 변경을 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위상 변경$0으로서 -(2×0×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1으로서 -(2×1×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2로서 -(2×2×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3으로서 -(2×3×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4로서 -(2×4×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며」, 「위상 변경$5로서 -(2×5×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6으로서 -(2×6×π)/14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것으로 한다. 단, 위상 변경의 값은, 이들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또한, 전에도 설명한 것처럼, 변조 신호 z1의 데이터 심벌군 #1은 위상 변경을 행하고, 변조 신호 z2의 데이터 심벌군 #1은 행하지 않는다고 해도 좋다. 또, 변조 신호 z1의 데이터 심벌군 #1은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변조 신호 z2의 데이터 심벌군 #1은 위상 변경을 행한다고 해도 좋다.
그리고, 변조 신호 z1의 데이터 심벌군 #2에 있어서, 주기 5의 위상 변경을 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위상 변경♭0으로서 (2×0×π)/10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1로서 (2×1×π)/10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2로서 (2×2×π)/10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3으로서 (2×3×π)/10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4로서 (2×4×π)/10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단, 위상 변경의 값은, 이들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변조 신호 z2의 데이터 심벌군 #2에 있어서, 주기 5의 위상 변경을 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위상 변경♭0으로서 -(2×0×π)/10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1으로서 -(2×1×π)/10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2로서 -(2×2×π)/10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3으로서 -(2×3×π)/10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4로서 -(2×4×π)/10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단, 위상 변경의 값은, 이들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또한, 전에도 설명한 것처럼, 변조 신호 z1의 데이터 심벌군 #2는 위상 변경을 행하고, 변조 신호 z2의 데이터 심벌군 #2는 행하지 않는다고 해도 된다. 또, 변조 신호 z1의 데이터 심벌군 #2는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변조 신호 z2의 데이터 심벌군 #2는 위상 변경을 행한다고 해도 된다.
제2 케이스의 특징은, 「데이터 심벌군 #1에 있어서, 주기 7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고, 또, 데이터 심벌군 #2에 있어서, 주기 5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는」점이다. 즉, 각 데이터 심벌군에 있어서 고유의 위상 변경을 행하게 된다. 단, 상이한 데이터 심벌에서, 동일한 위상 변경을 실시해도 된다.
제3 케이스:
도 57은, 제3 케이스 때의 송신국과 단말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단말#3(5703)은, 송신국#1(5701)이 송신하는 변조 신호 #1과 송신국#2(5702)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 #2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한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주파수 대역 A에 있어서, 변조 신호 #1과 변조 신호 #2에 있어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즉, 데이터 계열에 대해, 일정 변조 방식으로 맵핑된 베이스 밴드 신호를 s1(t, f)로 하면, 송신국#1, 송신국#2 모두 s1(t, f)에 의거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단, t는 시간, f는 주파수로 한다.
따라서, 단말#3(5703)은, 주파수 대역 A에서는, 송신국#1이 송신한 변조 신호와 송신국#2가 송신한 변조 신호의 양자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하게 된다.
도 58은, 송신국#1, 송신국#2의 구성의 일례이며, 전에 설명한 것처럼 주파수 대역 A와 같이, 송신국#1, 송신국#2 함께 s1(t, f)에 의거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오류 정정 부호화부(5802)는, 정보(5801), 송신 방법에 관한 신호(5813)을 입력으로 하고, 송신 방법에 관한 신호(5813)에 포함되는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데이터(5803)을 출력한다.
맵핑부(5804)는, 데이터(5803), 송신 방법의 관한 신호(5813)을 입력으로 하고, 송신 방법에 관한 신호(5813)에 포함되는 변조 방식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맵핑을 행하고, 베이스 밴드 신호 s1(t, f) 5805를 출력한다. 또한, 오류 정정 부호화부(5802)와 맵핑부(5804) 사이에서, 데이터 인터리브, 즉, 데이터의 순서의 정렬을 행해도 된다.
제어 정보 심벌 생성부(5807)는 제어 정보(5806),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5813)를 입력으로 하고, 송신 방법에 관한 신호(5813)에 포함되는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제어 정보 심벌을 생성하고, 제어 정보 심벌의 베이스 밴드 신호(5808)를 출력한다.
파일럿 심벌 생성부(5809)는, 송신 방법에 관한 신호(5813)를 입력으로 하고, 이것에 의거하여, 파일럿 심벌을 생성하며, 파일럿 심벌의 베이스 밴드 신호(5810)를 출력한다.
송신 방법 지시부(5812)는, 송신 방법 지시 정보(5811)를 입력으로 하고, 송신 방법에 관한 신호(5813)를 생성, 출력한다.
위상 변경부(5814)는, 베이스 밴드 신호 s1(t, f)(5805), 제어 정보 심벌의 베이스 밴드 신호(5808), 파일럿 심벌의 베이스 밴드 신호(5810), 송신 방법에 관한 신호(5813)를 입력으로 하고, 송신 방법에 관한 신호(5813)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 위상 변경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위상 변경을 행하고, 프레임 구성에 의거한 베이스 밴드 신호(5815)를 출력한다. 또한,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도 59, 도 60을 이용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무선부(5816)는 프레임 구성에 의거한 베이스 밴드 신호(5815), 송신 방법에 관한 신호(5813)를 입력으로 하고, 송신 방법에 관한 신호(5813)에 의거하여, 인터리브, 역푸리에 변환, 주파수 변환 등의 처리를 실시하고, 송신 신호(5817)를 생성, 출력하고, 송신 신호(5817)는 안테나(5818)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도 59는, 도 58은 송신국이 송신하는 변조 신호(송신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59에 있어서, 세로축은 시간, 가로축은 주파수로 한다. 도 59에 있어서, 「P」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은, 파일럿 심벌이며, 제3 케이스의 특징으로서 파일럿 심벌에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또, 「C」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은, 제어 정보 심벌이며, 제3 케이스의 특징으로서 제어 정보 심벌에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59는, 제어 정보 심벌을 시간축방향으로 배치할 때의 예이다.
도 59의 프레임에 있어서, 위상 변경의 주기는 7이며, 「위상 변경$0, 위상 변경$1, 위상 변경$2, 위상 변경$3, 위상 변경$4, 위상 변경$5, 위상 변경$6」의 7 종류 중 어느 하나의 위상 변경이 실시되는 것으로 한다.
도 59의 영역 5901의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에 있어서, 예를 들면, 「#0 $1」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0」은, 데이터 심벌군 #1의 「0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1」은, 「위상 변경$1」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1 $2」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1」은, 데이터 심벌군 #1의 「1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2」는, 「위상 변경$2」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X $Y」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X는 0 이상의 정수, Y는 0 이상 6 이하의 정수). 이 때, 「#X」는, 데이터 심벌군 #1의 「X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Y」는, 「위상 변경$Y」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59의 영역 5902의 데이터 심벌군 #2의 심벌에 있어서, 예를 들면, 「%0$3」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0」는, 데이터 심벌군 #2의 「0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3」은, 「위상 변경$3」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1 $4」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1」은, 데이터 심벌군 #2의 「1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4」는, 「위상 변경$4」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X $Y」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X는 0 이상의 정수이며, Y는 0 이상 6 이하의 정수이다. 이 때, 「%X」는, 데이터 심벌군 #2의 「X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Y」는, 「위상 변경$Y」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도 59에 있어서, 예를 들면, 「C $0」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C」는 제어 정보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고, 「$0」은, 「위상 변경$0」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C $Y」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Y는 0 이상 6 이하의 정수이다. 이 때, 「C」는, 제어 정보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고, 「$Y」는, 「위상 변경$Y」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도 59에 있어서, 예를 들면, 「P$0」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P」는 파일럿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고, 「$0」은 「위상 변경$0」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P $Y」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Y는 0 이상 6 이하의 정수). 이 때, 「P」는, 파일럿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고, 「$Y」는, 「위상 변경$Y」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 때, 변조 신호의 데이터 심벌에 있어서, 주기 7의 위상 변경을 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위상 변경$0으로서 (2×0×π)/7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1로서 (2×1×π)/7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며」, 「위상 변경$2로서 (2×2×π)/7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3으로서 (2×3×π)/7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며」, 「위상 변경$4로서 (2×4×π)/7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5로서 (2×5×π)/7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며」, 「위상 변경$6으로서 (2×6×π)/7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것으로 한다. 단, 위상 변경의 값은, 이들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또한, 도 57의 송신국#1(5701)이 송신하는 변조 신호 #1과 송신국#2(5702)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 #2에 있어서, 변조 신호 #1 및 변조 신호 #2 양자에 대해서, 위상 변경을 실시해도 된다. 단, 변조 신호 #1, 변조 신호 #2에 대해, 상이한 위상 변경을 실시해도 좋다. 또한, 위상 변경값이 상이해도 되고, 변조 신호 #1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변조 신호 #2의 위상 변경의 주기가 상이해도 된다. 또, 변조 신호 #1은 위상 변경을 행하고, 변조 신호 #2는 행하지 않는다고 해도 된다. 그리고, 변조 신호 #1은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변조 신호 #2는 위상 변경을 행한다고 해도 된다.
도 60은, 도 58은 송신국이 송신하는 변조 신호(송신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60에 있어서, 세로축은 시간, 가로축은 주파수로 한다. 도 60에 있어서, 「P」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은, 파일럿 심벌이며, 제3 케이스의 특징으로서 파일럿 심벌에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또, 「C」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은, 제어 정보 심벌이며, 제3 케이스의 특징으로서 제어 정보 심벌에 위상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60은, 제어 정보 심벌을 주파수 축방향으로 배치할 때의 예이다.
도 60의 프레임에 있어서, 위상 변경의 주기는 7이며, 「위상 변경$0, 위상 변경$1, 위상 변경$2, 위상 변경$3, 위상 변경$4, 위상 변경$5, 위상 변경$6」의 7 종류 중 어느 하나의 위상 변경이 실시되는 것으로 한다.
도 60의 영역 6001의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에 있어서, 예를 들면, 「#0 $0」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0」은, 데이터 심벌군 #1의 「0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0」은, 「위상 변경$0」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1 $1」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1」은, 데이터 심벌군 #1의 「1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1」은, 「위상 변경$1」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X $Y」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X는 0 이상의 정수, Y는 0 이상 6 이하의 정수). 이 때, 「#X」는, 데이터 심벌군 #1의 「X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Y」는, 「위상 변경$Y」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60의 영역 6002의 데이터 심벌군 #2의 심벌에 있어서, 예를 들면, 「%0 $2」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0」은, 데이터 심벌군 #2의 「0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2」는, 「위상 변경$2」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1 $3」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1」은, 데이터 심벌군 #2의 「1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3」은, 「위상 변경$3」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X $Y」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X는 0 이상의 정수, Y는 0 이상 6 이하의 정수). 이 때, 「%X」는, 데이터 심벌군 #2의 「X번째의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Y」는, 「위상 변경$Y」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도 60에 있어서, 예를 들면, 「C $3」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C」는 제어 정보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고, 「$3」은, 「위상 변경$3」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C $Y」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Y는 0 이상 6 이하의 정수). 이 때, 「C」는, 제어 정보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고, 「$Y」는, 「위상 변경$Y」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도 59에 있어서, 예를 들면, 「P $3」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 이 때, 「P」는 파일럿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고, 「$3」은, 「위상 변경$3」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P $Y」라고 기재되어 있는 심벌이 있다(Y는 0 이상 6 이하의 정수). 이 때, 「P」는, 파일럿 심벌인 것을 의미하고 있고, 「$Y」는, 「위상 변경$Y」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 때, 변조 신호의 데이터 심벌에 있어서, 주기 7의 위상 변경을 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위상 변경$0으로서 (2×0×π)/7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1로서 (2×1×π)/7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여」, 「위상 변경$2로서 (2×2×π)/7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3으로서 (2×3×π)/7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여」, 「위상 변경$4로서 (2×4×π)/7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5로서 (2×5×π)/7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위상 변경$6으로서 (2×6×π)/7 라디안의 위상 변경을 행하는」것으로 한다. 단, 위상 변경의 값은, 이들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또한, 도 57의 송신국#1(5701)이 송신하는 변조 신호 #1과 송신국#2(5702)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 #2에 있어서, 변조 신호 #1 및 변조 신호 #2 양자에 대해서, 위상 변경을 실시해도 된다. 단, 변조 신호 #1, 변조 신호 #2에 대해서, 상이한 위상 변경을 실시해도 된다. 또한, 위상 변경값이 상이해도 되고, 변조 신호 #1의 위상 변경의 주기와 변조 신호 #2의 위상 변경의 주기가 상이해도 된다. 또, 변조 신호 #1은 위상 변경을 행하고, 변조 신호 #1은 행하지 않는다고 해도 된다. 그리고, 변조 신호 #1은 위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변조 신호 #1은 위상 변경을 행한다고 해도 된다.
도 59 및 도 60에 있어서, 일례로서 위상 변경의 주기는 7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이 아니고, 다른 값의 주기여도 된다. 또, 위상 변경의 주기는, 주파수 축방향으로 형성해도 되고, 시간 방향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도 59 및 도 60에 있어서, 심벌마다 위상 변경을 실시한다면, 위상 변경의 주기가 존재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57의 송신국#1, #2의 구성은, 도 58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다른 구성의 예를, 도 6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1에 있어서, 도 58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61의 특징은, 데이터(5803), 제어 정보(5806), 송신 방법 지시 정보(5811)를 다른 장치가 송신하고, 도 61의 수신부(6102)에서, 복조 및 복호하고, 데이터(5803), 제어 정보(5806), 송신 방법 지시 정보(5811)를 얻는 점이다. 따라서, 다른 장치가 송신한 변조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부(6102)는, 수신 신호(6101)를 입력으로 하고, 복조, 복호를 행하며, 데이터(5803), 제어 정보(5806), 송신 방법 지시 정보(5811)를 출력한다.
제3 케이스의 특징은, 「데이터 심벌군 #1과 데이터 심벌군 #2, 및, 데이터 심벌 이외의 심벌과 맞추어, 주기 7의 위상 변경을 행하고 있는」점이다. 즉, 프레임 전체의 심벌로, 주기 7의 위상 변경을 행하게 된다. 또한, 도 59, 도 60의 경우, 제어 정보 심벌과 파일럿 심벌이 된다. 단, 그 이외의 심벌이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의 송신 장치(송신국)는, 상술에서 설명한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제3 케이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시하게 된다. 당연하지만, 도 1의 송신 장치는, 제3 케이스를 선택한 경우, 도 58, 도 61에서 설명한 것 같은 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송신 장치는, 각 송신 방법으로, 적절한 위상 변경 방법을 행함으로써, 각 데이터 심벌군에 있어서, 다이버시티 효과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는,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당연하지만, 송신 장치(송신국)는, 상술에서 설명한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제3 케이스 중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실시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 A)
도 63은, 가로축 시간, 세로축 주파수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도 2, 도 34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시간 t0부터 시간 t1에서는,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있고, 시간 t1부터 시간 t2에서는 시간 분할(TDM:time division multiplexing)된 심벌군이 송신되고, 시간 t2로부터 시간 t3에서는, 시간-주파수 분할 다중(TFDM(Time-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된 심벌군이 송신되고 있다.
TDM의 경우, 각 데이터 심벌군 #TDX는, FEC 블럭(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길이))의 정수배의 데이터가 들어가는 심벌수(또는 슬롯수)가 된다.
예를 들면, 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가 64800비트, 데이터 심벌군의 1 심벌 당 송신 비트수가 4비트일 때, 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 64800비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심벌수는 16200 심벌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데이터 심벌군 #TDX의 심벌수는 16200×N(N는 1 이상의 정수)이 된다. 또한, SISO(Single-Input Single-Output) 방식, 16 QAM일 때, 심벌 근처의 송신 비트수는 4비트가 된다.
다른 예로, 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가 64800비트, 데이터 심벌군의 1 심벌 당 송신 비트수가 6비트일 때, 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 64800비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심벌수는 10800 심벌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데이터 심벌군 #TDX의 심벌수는 10800×N(N는 1 이상의 정수)이 된다. 또한, SISO 방식, 64 QAM일 때, 심벌 당 송신 비트수는 6비트가 된다.
또 다른 예로서 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가 64800비트, 데이터 심벌군의 1 슬롯 당 송신 비트수가 8비트일 때, 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 64800비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슬롯수는 8100 슬롯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데이터 심벌군 #TDX의 슬롯수는 8100×N(N는 1 이상의 정수)이 된다. 또한, MIMO 방식, 스트림 1의 변조 방식이 16 QAM, 스트림 2의 변조 방식이 16 QAM일 때, 스트림 1의 1 심벌과 스트림 2의 1 심벌에 의해 구성되는 1 슬롯 당 송신 비트수는 8비트가 된다.
도 63의 시간 t1부터 시간 t2에서는 시간 분할된 심벌군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TD1, 데이터 심벌군 #TD2, 데이터 심벌군 #TD3, 데이터 심벌군 #TD4, 데이터 심벌군 #TD5는, 전술에 기재한 것처럼, 「FEC 블럭(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길이))의 정수배의 데이터가 들어가는 심벌수(또는 슬롯수)」를 만족하게 된다. 그리고, 시간 축방향으로 심벌군을 나열하게 된다.
도 63에서는, 주파수 축에서의 캐리어수는 64로 한다. 따라서, 캐리어 1부터 캐리어 64가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TD1은, 「시간$1, 캐리어 1」로부터 데이터 심벌의 배치를 개시하고, 이후, 「시간$1, 캐리어 2」, 「시간$1, 캐리어 3」, 「시간$1, 캐리어 4」, …, 「시간$1, 캐리어 63」, 「시간$1, 캐리어 64」, 「시간$2, 캐리어 1」, 「시간$2, 캐리어 2」 「시간$2, 캐리어 3」, 「시간$2, 캐리어 4」, …, 「시간$2, 캐리어 63」, 「시간$2, 캐리어 64」, 「시간$3, 캐리어 1」, …와 같이 데이터 심벌을 배치해 가는 것으로 한다.
또, 데이터 심벌군 #TD3은, 「시간$6000, 캐리어 1」로부터 데이터 심벌의 배치를 개시하고, 이후, 「시간$6000, 캐리어 2」, 「시간$6000, 캐리어 3」, 「시간$6000, 캐리어 4」, …, 「시간$6000, 캐리어 63」, 「시간$6000, 캐리어 64」, 「시간$6001, 캐리어 1」, 「시간$6001, 캐리어 2」 「시간$6001, 캐리어 3」, 「시간$6001, 캐리어 4」, …, 「시간$6001, 캐리어 63」, 「시간$6001, 캐리어 64」, 「시간$6002, 캐리어 1」, …와 같이 데이터 심벌을 배치해 가고, 「시간$7000, 캐리어 20」로, 심벌의 배치가 완료한 것으로 한다.
그러면, 데이터 심벌군 #TD4는, 「시간$7000, 캐리어 21」로부터, 데이터 심벌의 배치가 개시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데이터 심벌군 #TD4, 데이터 심벌군 TD#5에 대해서도, 동일한 규칙으로, 데이터 심벌을 배치하게 되지만, 마지막 데이터 심벌군인 데이터 심벌군 #TD5의 마지막 심벌이, 시간$10000, 캐리어 32에 배치된 것으로 한다.
그러면, 시간$10000의 캐리어 33부터 캐리어 64에, 더미 심벌을 배치한다. 따라서, 시간$10000에 대해서도 캐리어 1부터 캐리어 64의 심벌이 송신되게 된다. 또한, 더미 심벌의 각 심벌에서는, 동상 성분 I에 어떠한 값을 갖고, 직교 성분 Q에 대해서도 어떠한 값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면, 「0」또는 「1」을 발생하는, 유사 랜덤 계열을 이용하여, 더미 심벌의 동상 성분 I를 생성하고, 더미 심벌의 직교 성분 Q를 0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유사 랜덤 계열의 초기화 타이밍은 더미 심벌의 선두로 하고,
동상 성분 I=2(1/2-유사 랜덤 계열)
로 하여 동상 성분 I를 +1 또는 -1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변환해도 된다.
또는, 「0」또는 「1」을 발생하는, 유사 랜덤 계열을 이용하여, 더미 심벌의 직교 성분 Q를 생성하고, 더미 심벌의 직교 성분 I를 0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유사 랜덤 계열의 초기화 타이밍은 더미 심벌의 선두로 하고,
직교 성분 Q=2(1/2-유사 랜덤 계열)
로 하여, 직교 성분 Q를 +1 또는 -1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변환해도 된다.
또, 더미 심벌의 동상 성분을 제로 이외의 실수, 더미 심벌의 직교 성분을 제로 이외의 실수로 해도 된다.
더미 심벌의 생성 방법은 상술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여기서의 더미 심벌에 관한 설명은, 이후에 기재하는 더미 심벌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규칙에 따라, 시간 분할이 행해진 시간 구간(도 63에 있어서의 시간 t1부터 시간 t2)에 대해, 더미 심벌을 배치하게 된다.
도 63에 있어서, 시간-주파수 분할 다중(TFDM(Time-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63의 시간 t2부터 시간 t3은, 시간-주파수 분할 다중을 행하고 있는 프레임 구성의 일례이다.
예를 들면, 시간$10001에서는, 데이터 심벌군 #TFD1(3401)과 데이터 심벌군 #TFD2(3402)가 주파수 분할 다중되고 있고, 캐리어 11에서는, 데이터 심벌군 #TFD2(3402), 데이터 심벌군 #TFD3(3403), 데이터 심벌군 #TFD6(3406)이 시간 분할 다중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시간 t2부터 시간 t3에서는, 주파수 분할되고 있는 부분과 시간 분할 다중이 행해지고 있는 부분이 존재하고 있고, 그 때문에, 여기에서는, 「시간-주파수 분할 다중」이라고 이름 붙이고 있다.
데이터 심벌군 #TFD1(3401)의 시간$10001부터 시간$14000에 존재하고 있고, i는 10001 이상 14000 이하이며, 이것을 만족하는 시간 i 에 있어서,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고 있다.
데이터 심벌군 #TFD2(3402)의 시간$10001부터 시간$11000에 존재하고 있고, i는 10001 이상 11000 이하이며, 이것을 만족하는 시간 i 에 있어서, 캐리어 11부터 캐리어 64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고 있다.
데이터 심벌군 #TFD3(3403)의 시간$11001부터 시간$13000에 존재하고 있고, i는 11001 이상 13000 이하이며, 이것을 만족하는 시간 i 에 있어서, 캐리어 11부터 캐리어 35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고 있다.
데이터 심벌군 #TFD4(3404)의 시간$11001부터 시간$12000에 존재하고 있고, i는 11001 이상 12000 이하이며, 이것을 만족하는 시간 i 에 있어서, 캐리어 36부터 캐리어 64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고 있다.
데이터 심벌군 #TFD5(3405)의 시간$12001부터 시간$13000에 존재하고 있고, i는 12001 이상 13000 이하이며, 이것을 만족하는 시간 i 에 있어서, 캐리어 36으로부터 캐리어 64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고 있다.
데이터 심벌군 #TFD6(3406)의 시간$13001부터 시간$14000에 존재하고 있고, i는 13001 이상 14000 이하이며, 이것을 만족하는 시간 i 에 있어서, 캐리어 11부터 캐리어 30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고 있다.
데이터 심벌군 #TFD7(3407)의 시간$13001부터 시간$14000에 존재하고 있어, i는 13001 이상 14000 이하이며, 이것을 만족하는 시간 i 에 있어서, 캐리어 31부터 캐리어 50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고 있다.
데이터 심벌군 #TFD8(3408)의 시간$13001부터 시간$14000에 존재하고 있고, i는 13001 이상 14000 이하이며, 이것을 만족하는 시간 i 에 있어서, 캐리어 51부터 캐리어 64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고 있다.
시간-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에서는, 데이터 심벌군에 있어서, 이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고 있는 시간 구간 모두에 있어서, 점유하고 있는 캐리어 번호가 동일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데이터 심벌군 #TFDX 에 있어서, 심벌수(또는, 슬롯수)를 U로 한다. U는 1 이상의 정수로 한다.
우선, 「FEC 블럭(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길이))의 정수배의 데이터가 들어가는 심벌수(또는 슬롯수), V(V는 1 이상의 정수로 한다)」를 확보한다. 단, U-α+1≤≤V≤≤U를 만족하는 것으로 한다(α는, 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부호길이)(단위:비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심벌수(또는 슬롯수)인 것으로 하고, 1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U-V≠0일 때, U-V 심벌(또는, U-V 슬롯)의 더미 심벌(또는, 더미 슬롯)을 부가한다. 따라서, 데이터 심벌군 #TFDX는, V 심벌(또는, V 슬롯)의 데이터 심벌과 U-V 심벌(또는, U-V 슬롯)의 더미 심벌로 구성되게 된다(더미 심벌의 각 심벌에서는, 동상 성분 I에 어떠한 값을 갖고, 직교 성분 Q에 대해서도 어떠한 값을 가지게 된다).
시간-주파수 분할 다중되고 있는 데이터 심벌군 모두는, 「V 심벌(또는, V 슬롯)의 데이터 심벌과 U-V 심벌(또는, U-V 슬롯)의 더미 심벌로 구성된다」를 만족하게 된다.
즉, 시간-주파수 분할 다중되고 있는 데이터 심벌군에 있어서, 더미 심벌(또는, 더미 슬롯)이 필요해지는 경우, 각 데이터 심벌군에서 더미 심벌(더미 슬롯)을 삽입하게 된다.
도 64에, 예를 들면, 도 63의 데이터 심벌군 #TFD1(3401)에 있어서, 더미 심벌(또는, 더미 슬롯)을 삽입했을 때의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심벌군 #TFD1(3401)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을, 시간 인덱스가 작은 곳으로부터 우선적으로 배치해 간다. 그리고, 일정 시간에 있어서, 점유하고 있는 모든 캐리어에 데이터 심벌의 배치가 완료되었다면, 그 다음의 시간에 데이터 심벌의 배치를 행한다고 하는 규칙을 마련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TFD1(3401)에서는, 도 6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10001의 캐리어 1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하고, 그 후, 시간$10001의 캐리어 2, 시간$10001의 캐리어 3, …, 시간$10001의 캐리어 9, 시간$10001의 캐리어 10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한다. 그리고, 시간$10002으로 옮겨, 시간$10002의 캐리어 1, 시간$10002의 캐리어 2, …, 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한다.
시간$13995에서는, 시간$13995의 캐리어 1, 시간$13995의 캐리어 2, 시간$13995의 캐리어 3, 시간$13995의 캐리어 4, 시간$13995의 캐리어 5, 시간$13995의 캐리어 6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한다. 이것으로, 데이터 심벌의 배치가 종료한다.
그러나, 시간$13995의 캐리어 7, 캐리어 8, 캐리어 9, 캐리어 10, 및, 시간$13996의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 시간$13997의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 시간$13998의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 시간$13999의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 시간$14000의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에 데이터 심벌군 #TFD1(3401)로서의 심벌이 존재한다. 따라서, 시간$13995의 캐리어 7, 캐리어 8, 캐리어 9, 캐리어 10, 및, 시간$13996의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 시간$13997의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 시간$13998의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 시간$13999의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 시간$14000의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에 더미 심벌을 배치한다.
이상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 63에 있어서의 데이터 심벌군 #TFD2(3402), 데이터 심벌군 #TFD3(3403), 데이터 심벌군 #TFD4(3404), 데이터 심벌군 #TFD5(3405), 데이터 심벌군 #TFD6(3406), 데이터 심벌군 #TFD7(3407), 데이터 심벌군 #TFD8(3408)에 있어서도 필요하면, 더미 심벌을 배치한다.
이상과 같이, 시간 분할 다중을 행하고 있는 프레임과 시간-주파수 분할 다중을 행하고 있는 프레임에서는, 상이한 방법으로, 더미 심벌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수신 장치는, 간단하게 데이터 심벌을 선별하고, 복조 및 복호를 행할 수 있으며 또, 더미 심벌에 의한 데이터 전송 속도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63의 예에서는, 시간축에 대해서, 「프리앰블」, 「시간 분할한 심벌」, 「시간-주파수 분할한 심벌」의 순서로 배치하는 프레임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프리앰블」, 「시간-주파수 분할한 심벌」, 「시간 분할한 심벌」의 순서로 배치하는 프레임 구성이어도 되고, 또, 도 63에 나타낸 심벌 이외의 심벌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63에 있어서, 「시간 분할한 심벌」과「시간-주파수 분할한 심벌」의 사이에 「프리앰블」을 삽입해도 되고, 또, 「시간 분할한 심벌」과「시간-주파수 분할한 심벌」의 사이에 별도의 심벌이 삽입되어도 된다.
도 65는, 가로축 시간, 세로축 주파수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도 2, 도 34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시간 t0부터 시간 t1에서는,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있고, 시간 t1부터 시간 t2에서는 주파수 분할(FDM :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된 심벌군이 송신되고, t2부터 시간 t3에서는 시간-주파수 분할 다중(TFDM : Time-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된 심벌군이 송신되고 있다.
FDM의 경우, 각 데이터 심벌군 #FDX는, FEC 블럭(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 또는,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길이)의 정수배의 데이터가 들어가는 심벌수(또는 슬롯수)가 된다.
예를 들면, 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가 64800비트, 데이터 심벌군의 1 심벌 당 송신 비트수가 4비트일 때, 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 64800비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심벌수는, 16200 심벌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데이터 심벌군 #FDX의 심벌수는 16200×N(N는 1 이상의 정수)가 된다. 또한, SISO(Single-Input Single-Output) 방식, 16 QAM일 때, 심벌 근처의 송신 비트수는 4비트가 된다.
다른 예에서, 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가 64800비트, 데이터 심벌군의 1 심벌 당 송신 비트수가 6비트일 때, 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 64800비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심벌수는 10800 심벌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데이터 심벌군 #FDX의 심벌수는 10800×N(N는 1 이상의 정수)가 된다. 또한, SISO 방식, 64 QAM일 때, 심벌 당 송신 비트수는 6비트가 된다.
또 다른 예로서 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가 64800비트, 데이터 심벌군의 1 슬롯 당 송신 비트수가 8비트일 때, 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 64800비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슬롯수는 8100 슬롯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데이터 심벌군 #FDX의 슬롯수는 8100×N(N는 1 이상의 정수)가 된다. 또한, MIMO 방식, 스트림 1의 변조 방식이 16 QAM, 스트림 2의 변조 방식이 16 QAM일 때, 스트림 1의 1 심벌과 스트림 2의 1 심벌에 의해 구성되는 1 슬롯 근처의 송신 비트수는 8비트가 된다.
도 65의 시간 t1부터 시간 t2에서는 주파수 분할된 심벌군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FD1, 데이터 심벌군 #FD2, 데이터 심벌군 #FD3, 데이터 심벌군 #FD4는, 전술에 기재한 것처럼, 「FEC 블럭(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 또는,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길이)의 정수배의 데이터가 들어가는 심벌수(또는 슬롯수)」를 만족하게 된다. 그리고, 주파수 축방향으로 심벌군을 나열하게 된다.
도 65에서는, 주파수축에서의 캐리어수는 64로 한다. 따라서, 캐리어 1부터 캐리어 64가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FD1은,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5에서는, 시간$1부터 시간$10000에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고 있게 된다.
데이터 심벌군 #FD2는, 캐리어 16부터 캐리어 29에서는, 시간$1부터 시간$10000에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고, 캐리어 30에서는, 시간$1부터 시간$6000에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고 있다.
데이터 심벌군 #FD3은, 캐리어 30에서는, 시간$6001부터 시간$10000에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고, 캐리어 31부터 캐리어 44에서는, 시간$1부터 시간 10000에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며, 캐리어 45에서는, 시간$1부터 시간$7000에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고 있다.
데이터 심벌군 #FD4는, 캐리어 45에서는, 시간$7001부터 시간$10000에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고, 캐리어 46부터 캐리어 63에서는, 시간$1부터 시간 10000에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며, 캐리어 64에서는, 시간$1부터 시간$6000에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고 있다.
주파수 축방향으로 배치한 데이터 심벌군의 최후의 데이터 심벌군이 데이터 심벌군 #4이며, 그 최후의 심벌이 캐리어 64, 시간$6000이다.
그러면, 캐리어 64의 시간$6001부터 더미 심벌의 배치를 개시한다. 따라서, 캐리어 64의 시간$6001부터 시간$10000에 더미 심벌을 배치하게 된다. 또한, 더미 심벌의 각 심벌에서는, 동상 성분 I에 어떠한 값을 갖고, 직교 성분 Q에 대해서도 어떠한 값을 가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규칙에 따라, 주파수 분할이 행해진 구간, 예를 들면, 도 65에 있어서의 시간 t1로부터 시간 t2에 대해, 더미 심벌을 배치하게 된다.
상술의 설명에서, 데이터 심벌의 할당에 대해서는, 주파수 인덱스가 작은 곳으로부터 우선적으로 할당하도록 설명했지만, 데이터 심벌의 배치에 대해서는, 시간 인덱스가 작은 곳으로부터 우선적으로 배치해 나간다. 이 점에 대해 설명한다.
데이터 심벌군 #FD1(6501)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을, 시간 인덱스가 작은 곳으로부터 우선으로 배치해 나간다. 그리고, 일정 시간에 있어서, 점유하고 있는 모든 캐리어에 데이터 심벌의 배치가 완료했다면, 그 다음의 시간에 데이터 심벌의 배치를 행한다는 규칙을 마련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FD1(6501)에서는, 도 6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1의 캐리어 1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하고, 그 후, 시간$1의 캐리어 2, 시간$1의 캐리어 3, …, 시간$1의 캐리어 14, 시간$1의 캐리어 15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한다. 그리고, 시간$2로 옮겨, 시간$2의 캐리어 1, 시간$2의 캐리어 2, 시간$2의 캐리어 3, …, 시간$2의 캐리어 14, 시간$2의 캐리어 15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한다.
이후, 시간$3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을 배치하고, 시간$10000까지,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의 배치가 행해진다.
데이터 심벌군 #FD2(6502)에서는, 도 6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1의 캐리어 16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하고, 그 후, 시간$1의 캐리어 17, 시간$1의 캐리어 18, …, 시간$1의 캐리어 29, 시간$1의 캐리어 30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한다. 그리고, 시간$2로 옮겨, 시간$2의 캐리어 17, 시간$2의 캐리어 18, 시간$2의 캐리어 19, …, 시간$2의 캐리어 29, 시간$2의 캐리어 30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한다. 이후, 시간$3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을 배치하고, 시간$6000까지,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의 배치가 행해진다.
그리고, 시간$6001의 캐리어 16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하고, 그 후, 시간$6001의 캐리어 17, 시간$6001의 캐리어 18, …, 시간$6001의 캐리어 28, 시간$6001의 캐리어 29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한다. 그리고, 시간$6002로 옮겨, 시간$6002의 캐리어 17, 시간$6002의 캐리어 18, 시간$6002의 캐리어 19, …, 시간$6002의 캐리어 28, 시간$6002의 캐리어 29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한다. 이후, 시간$6003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을 배치하고, 시간$10000까지,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의 배치가 행해진다.
데이터 심벌군 #FD3(6503)에서는, 도 6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1의 캐리어 31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하고, 그 후, 시간$1의 캐리어 32, 시간$1의 캐리어 33, …, 시간$1의 캐리어 44, 시간$1의 캐리어 45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한다. 그리고, 시간$2로 옮겨, 시간$2의 캐리어 31, 시간$2의 캐리어 32, 시간$2의 캐리어 33, …, 시간$2의 캐리어 44, 시간$2의 캐리어 45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한다. 이후, 시간$3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을 배치하고, 시간$6000까지,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의 배치가 행해진다.
그리고, 시간$6001의 캐리어 30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하고, 그 후, 시간$6001의 캐리어 31, 시간$6001의 캐리어 32, …, 시간$6001의 캐리어 44, 시간$6001의 캐리어 45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한다. 그리고, 시간$6002로 옮겨, 시간$6002의 캐리어 31, 시간$6002의 캐리어 32, 시간$6002의 캐리어 33, …, 시간$6002의 캐리어 44, 시간$6002의 캐리어 45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한다. 이후, 시간$6003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을 배치하고, 시간$7000까지,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의 배치가 행해진다.
그리고, 시간$7001의 캐리어 30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하고, 그 후, 시간$7001의 캐리어 31, 시간$7001의 캐리어 32, …, 시간$7001의 캐리어 43, 시간$7001의 캐리어 44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한다. 그리고, 시간$7002로 옮겨, 시간$7002의 캐리어 30, 시간$7002의 캐리어 31, 시간$7002의 캐리어 32, …, 시간$6002의 캐리어 43, 시간$6002의 캐리어 44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한다. 이후, 시간$7003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을 배치하고, 시간$10000까지,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의 배치가 행해진다.
데이터 심벌군 #FD4(6504)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이 배치되게 된다.
또한, 여기서 설명한 배치란, 「발생시킨 데이터 심벌을 순서대로 배치하는 방법」을 의미하고 있고, 또는, 「발생시킨 데이터 심벌에 대해, 정렬을 행하고, 정렬 후의 데이터 심벌을 순서대로 배치하는 방법」을 의미하고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심벌을 배치함으로써, 수신 장치는, 데이터 심벌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주파수 방향으로 나열한 경우, 시간$10000의 데이터 심벌을 수신할 때까지, 다음의 처리에 착수하는 것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도 65에 있어서의, 데이터 심벌군 #TFDX(3401부터 3408)에 대해서는, 도 64와 동일하게 동작하게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주파수 분할 다중을 행하고 있는 프레임과, 시간-주파수 분할 다중을 행하고 있는 프레임에서는, 상이한 방법으로, 더미 심벌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수신 장치는, 간단하게 데이터 심벌을 선별하고, 복조 및 복호를 행할 수 있으며 또, 더미 심벌에 의한 데이터 전송 속도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65의 예에서는, 시간축에 대해, 「프리앰블」, 「주파수 분할한 심벌」, 「시간-주파수 분할한 심벌」의 순서로 배치하는 프레임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프리앰블」, 「시간-주파수 분할한 심벌」, 「주파수 분할한 심벌」의 순서로 배치하는 프레임 구성이어도 된다.
또, 도 65에 나타낸 심벌 이외의 심벌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그 일례로서 「프리앰블」, 「주파수 분할한 심벌」, 「시간-주파수 분할한 심벌」, 「시간 분할한 심벌」로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65에 있어서, 「주파수 분할한 심벌」과「시간-주파수 분할한 심벌」의 사이에 「프리앰블」을 삽입해도 되고, 또, 「주파수 분할한 심벌」과「시간-주파수 분할한 심벌」의 사이에 다른 심벌이 삽입되어도 된다.
도 66은, 가로축 시간, 세로축 주파수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도 2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했다.
시간 t1부터 t2까지의 구간에서는, 시간 분할한 심벌(6601)을 송신한다. 또한, 시간 분할한 심벌의 구성의 예에 대해서는, 도 63에서 나타낸 대로이며, 시간 분할한 심벌(6601)은,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TD1(6301), 데이터 심벌군 #TD2(6302), 데이터 심벌군 #TD3(6303), 데이터 심벌군 #TD4(6304), 데이터 심벌군 #TD5(6305), 더미 심벌 6306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시간 t2부터 시간 t3까지의 구간에서는, 주파수 분할한 심벌(6602)을 송신한다. 또한, 주파수 분할한 심벌의 구성의 예에 대해서는, 도 65에 나타낸 대로이고, 주파수 분할한 심벌(6602)은,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FD1(6501), 데이터 심벌군 #FD2(6502), 데이터 심벌군 #FD3(6503), 데이터 심벌군 #FD4(6504), 더미 심벌(6505)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시간 t3부터 시간 t4까지의 구간에서는, 시간-주파수 분할한 심벌(6603)을 송신한다. 또한, 시간-주파수 분할한 심벌의 구성의 예에 대해서는, 도 63, 도 65에 나타낸 대로이고, 시간-주파수 분할한 심벌(6603)은,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TFD1(3401), 데이터 심벌군 #TFD2(3402), 데이터 심벌군 #TFD3(3403), 데이터 심벌군 #TFD4(3404), 데이터 심벌군 #TFD5(3405), 데이터 심벌군 #TFD6(3406), 데이터 심벌군 #TFD7(3407), 데이터 심벌군 #TFD8(3408)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시간 분할한 심벌(6601)의 더미 심벌의 삽입 방법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고, 주파수 분할한 심벌(6602)의 더미 심벌의 삽입 방법에 대해서도, 지금까지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며, 시간-주파수 분할한 심벌(6603)의 더미 심벌의 삽입 방법에 대해서도, 지금까지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시간 분할을 행하고 있는 프레임과 주파수 분할 다중을 행하고 있는 프레임과 시간-주파수 분할 다중을 행하고 있는 프레임에서는, 상이한 방법으로, 더미 심벌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수신 장치는, 간단하게 데이터 심벌을 선별하고, 복조 및 복호를 행할 수 있으며 또, 더미 심벌에 의한 데이터 전송 속도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66의 예에서는, 시간축에 대해, 「프리앰블」, 「시간 분할한 심벌」, 「주파수 분할한 심벌」, 「시간-주파수 분할한 심벌」의 순서로 배치하는 프레임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프리앰블」이후, 「시간 분할한 심벌」, 「주파수 분할한 심벌」, 「시간-주파수 분할한 심벌」을 어떠한(시간적으로) 순서대로 송신해도 된다. 또, 도 66에 나타낸 심벌 이외의 심벌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66에 있어서, 「시간 분할한 심벌」과「주파수 분할한 심벌」의 사이에 「프리앰블」을 삽입해도 되고, 또, 「시간 분할한 심벌」과「주파수 분할한 심벌」의 사이에 별도의 심벌이 삽입되어도 된다. 또, 「주파수 분할한 심벌」과「시간-주파수 분할한 심벌」의 사이에 「프리앰블」을 삽입해도 되고, 또, 「주파수 분할한 심벌」과「시간-주파수 분할한 심벌」의 사이에 별도의 심벌이 삽입되어도 된다.
또한, 본 자료의 각 부분을 조합하여 실행해도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B)
(프레임 구성)
도 67을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전송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67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낸다. 도 2와 동일하게 기능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67은, 전송 프레임 내에 다중 프레임#MF1(6701)부터 다중 프레임#MF10(6710)까지의 10개의 다중 프레임이 포함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다중 프레임은, 전송 프레임 내에서 서로 겹치지 않는 영역을 차지한다. 도 67의 예에서는, 다중 프레임#MF1(6701)은 시각$1부터 시각$60까지 또한 캐리어 1부터 캐리어 2000까지의 영역, 다중 프레임#MF2(6702)은 시각$61부터 시각$100까지 또한 캐리어 1부터 캐리어 2000까지의 영역, 다중 프레임#MF3(6703)은 시각$101부터 시각$160까지 또한 캐리어 1부터 캐리어 2000까지의 영역, 다중 프레임#MF4(6704)은 시각$161부터 시각$360까지 또한 캐리어 1부터 캐리어 600까지의 영역, 다중 프레임#MF5(6705)은 시각$161부터 시각$260까지 또한 캐리어 601부터 캐리어 1000까지의 영역, 다중 프레임#MF6(6706)은 시각$261부터 시각$360까지 또한 캐리어 601부터 캐리어 1000까지의 영역, 다중 프레임#MF7(6707)은 시각$161부터 시각$360까지 또한 캐리어 1001부터 캐리어 1600까지의 영역, 다중 프레임#MF8(6708)은 시각$161부터 시각$400까지 또한 캐리어 1601부터 캐리어 2000까지의 영역, 다중 프레임#MF9(6709)는 시각$361부터 시각$400까지 또한 캐리어 1부터 캐리어 800까지의 영역, 다중 프레임#MF10(6710)은 시각$361부터 시각$400까지 또한 캐리어 801부터 캐리어 1600까지의 영역을 차지한다.
(다중 프레임의 지시)
다중 프레임의 구성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지시된다. 도 68에 다중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지시자의 일례를 나타낸다. 다중 프레임의 수를 numMuxFrames로 한다. 우선, numMuxFrames가 지시된다. 그 다음에, 각각의 다중 프레임의 정보가 numMuxFrames회 반복하여 지시된다. 각각의 다중 프레임의 정보는, 다중 프레임의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와 다중 프레임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muxFrameType를 포함한다. 다중 프레임의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면, 다중 프레임이 개시하는 시각 startTime, 다중 프레임이 개시하는 캐리어 startCarrier, 다중 프레임이 종료하는 시각 endTime, 다중 프레임이 종료하는 캐리어 endCarrier를 포함한다. 다중 프레임의 정보는, 상기 이외의 다중 프레임에 관한 정보 etc를 포함해도 된다.
(다중 프레임의 종류)
다중 프레임의 종류를 나타내는 muxFrameType 필드는, 예를 들면, 시분할 다중(Time Division Multiplexing:TDM)이나 주파수 분할 다중(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FDM) 등이라는, 그 다중 프레임의 구성이나 용도를 지시하기 위한 필드이다. 다중 프레임의 종류를 나타내는 muxFrameType 필드의 값은, 장래의 확장을 허용하기 위해서, TDM나 FDM 이외의 구성이나 용도도 지시할 수 있도록 예비의 값을 마련해 두어도 된다.
(최종의 캐리어의 지시)
전송 프레임에는 파일럿 심벌 등의 데이터 전송에 이용하지 않는 심벌이 다중되기 때문에, 데이터 심벌의 전송에 이용할 수 있는 캐리어의 수는 시각에 따라서 상이한 경우가 있다. 도 68에서는 캐리어 2000이 최종단의 캐리어인 예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면, 시각$1에서는 캐리어 2000이 최종단의 캐리어라도, 시각$2에서는 캐리어 1998이 최종단의 캐리어이거나 시각$3에서는 캐리어 2003이 최종단의 캐리어이거나 한다. 그 때문에, 최종단 부근의 캐리어를 포함하는 다중 프레임의 영역을 나타내는 경우에 과제가 생긴다.
최종단 부근의 캐리어를 포함하는 다중 프레임이 종료하는 캐리어 endCarrier 필드에, 그 다중 프레임 내에서 데이터 심벌의 전송에 이용할 수 있는 캐리어수가 가장 적은 시각의 최종단 캐리어를 지시해도 된다. 이 경우는, 직사각형의 다중 프레임이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데이터 심벌의 전송에 이용할 수 있는 캐리어수가 많은 시각에 있어서 쓸데없는 캐리어가 생긴다. 데이터 심벌의 전송에 이용하지 않는 쓸데없는 캐리어는, 예를 들면, 더미 심벌을 전송한다.
최종단 부근의 캐리어를 포함하는 다중 프레임이 종료하는 캐리어 endCarrier 필드에, 그 다중 프레임 내에서 데이터 심벌의 전송에 이용할 수 있는 캐리어수가 가장 많은 시각의 최종단 캐리어를 지시해도 된다. 이 경우는, 시각마다 데이터 심벌의 전송에 이용할 수 있는 최종단의 캐리어에 맞추어 데이터 심벌의 전송에 이용하는 캐리어의 수는 증감한다.
또, 시각마다의 데이터 심벌의 전송에 이용할 수 있는 최종단의 캐리어 위치인 것을 나타내는 특별한 값을 미리 정해 두고, 그 특별한 값을 다중 프레임이 종료하는 캐리어 endCarrier 필드로 설정해도 된다. 그 특별한 값은, 예를 들면, endCarrier 필드에서 지시할 수 있는 최대의 값이어도 된다. 그 특별한 값을 다중 프레임이 종료하는 캐리어 endCarrier 필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서, 그 다중 프레임 내에서 데이터 심벌의 전송에 이용할 수 있는 캐리어수가 가장 많은 시각의 최종단 캐리어를 미리 식별하지 않아 좋다.
도 67에 나타낸 예에 의거하여, 도 68에 나타낸 다중 프레임의 구성의 지시의 값의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다중 프레임수는 10이기 때문에, numMuxFrames는 10이다. 여기에서는, i번째의 다중 프레임#MFi에 대해서, 개시하는 시각을 startTime[i], 개시하는 캐리어를 startCarrier[i], 종료하는 시각을 endTime[i], 종료하는 캐리어를 endCarrier[i], 다중 프레임의 종류를 muxFrameType[i]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다중 프레임#MF1의 예에서는, startTime[1]은 시각$1, startCarrier[1]은 캐리어 1, endTime[1]은 시각$60, endCarrier[1]은 캐리어 2000이 된다. 다중 프레임#MF5의 예에서는, startTime[5]는 시각$161, startCarrier[5]는 캐리어 601, endTime[5]는 시각$260, endCarrier[5]는 캐리어 1000이 된다.
도 69는, 도 67에 있어서의 다중 프레임#MF1(6701)에 데이터 심벌군을 다중 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다중 프레임#MF1(6701)의 종류는 시분할 다중(TDM)으로 한다. muxFrameType[1]에서는 TDM이 지시된다. 도 69의 예에서는, 데이터 심벌군 #DS1(6901)로부터 데이터 심벌군 #DS3(6903)까지의 3개의 데이터 심벌군을 시분할 다중하고 있다. 다중 프레임#MF1(6701)에 데이터 심벌군 #DS1(6901), 데이터 심벌군 #DS2(6902), 데이터 심벌군 #DS3(6903)를 차례로 다중하고, 또 나머지 심벌이 발생하는 경우는, 더미 심벌군(6904)을 삽입한다.
데이터 심벌군의 배치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그 데이터 심벌군이 다중 되는 다중 프레임의 번호, 및, 다중 프레임 내에서의 영역으로서 지시된다. 다중 프레임 내에서의 영역은,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이 다중되는 영역의 개시 위치와 종료 위치에서 표시된다. 다중 프레임 내의 선두로부터 순서대로 간극없이 데이터 심벌군이 다중되는 경우는, 각각의 데이터 심벌군이 다중되는 영역의 개시 위치는 자명하기 때문에, 데이터 심벌군이 다중되는 영역의 종료 위치만 지시받아도 된다. 데이터 심벌군이 다중되는 영역의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는, 전송 프레임 중의 시각 위치 및 캐리어 위치에서 지시되어도 되고, 다중 프레임 중의 상대적인 시각 위치 및 상대적인 캐리어 위치에서 지시되어도 된다.
다중 프레임#MF1(6701)에 3개의 데이터 심벌군이 다중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다중 프레임에 다중되는 데이터 심벌군은 3개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또, 데이터 심벌군이 다중되지 않아도 좋다.
이상과 같이, 1개의 다중 프레임에 효율적으로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을 다중 하는 것에 의해서, 더미 심벌군의 심벌수를 감소시켜,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0은, 도 67에 있어서의 다중 프레임#MF3(6703)에 데이터 심벌군을 다중 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다중 프레임#MF3(6703)의 종류는 주파수 분할 다중(FDM)으로 한다. muxFrameType[3]에서는 FDM가 지시된다.
도 70의 예에서는, 데이터 심벌군 #DS6(7001)부터 데이터 심벌군 #DS8(7003)까지의 3개의 데이터 심벌군을 주파수 분할 다중하고 있다. 다중 프레임#MF3(6703)에 데이터 심벌군 #DS6(7001), 데이터 심벌군 #DS7(7002), 데이터 심벌군 #DS8(7003)을 차례로 다중하고, 또 나머지 심벌이 발생하는 경우는, 더미 심벌군(7004)을 삽입한다.
데이터 심벌군의 배치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그 데이터 심벌군이 다중 되는 다중 프레임의 번호, 및, 다중 프레임 내에서의 영역으로서 지시된다. 다중 프레임 내에서의 영역은,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이 다중되는 영역의 개시 위치와 종료 위치에서 표시된다. 다중 프레임 내의 선두로부터 순서대로 간극없이 데이터 심벌군이 다중되는 경우는, 각각의 데이터 심벌군이 다중되는 영역의 개시 위치는 자명하기 때문에, 데이터 심벌군이 다중되는 영역의 종료 위치만 지시되어도 된다. 데이터 심벌군이 다중되는 영역의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는, 전송 프레임 중의 시각 위치 및 캐리어 위치에서 지시되어도 되고, 다중 프레임 중의 상대적인 시각 위치 및 상대적인 캐리어 위치에서 지시받아도 된다.
다중 프레임#MF3(6703)에 3개의 데이터 심벌군이 다중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다중 프레임에 다중되는 데이터 심벌군은 3개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나아가서는 데이터 심벌군이 다중되지 않아도 된다.
이상과 같이, 1개의 다중 프레임에 효율적으로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을 다중 하는 것에 의해서, 더미 심벌군의 심벌수를 감소시켜,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데이터 심벌군의 지시)
데이터 심벌군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지시된다. 도 71에 데이터 심벌군에 관한 지시자의 일례를 나타낸다. 데이터 심벌군의 수를 numDataSymbolGroups로 한다. 우선, numDataSymbolGroups가 지시된다. 그 다음에, 각각의 데이터 심벌군에 관한 정보가 numDataSymbolGroups회 반복하여 지시된다. 각각의 데이터 심벌군에 관한 정보는, 데이터 심벌군이 배치되는 다중 프레임의 번호 muxFrameIndex와 데이터 심벌군이 배치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 심벌군이 배치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의 영역이 종료하는 시각 endTimeOffset, 데이터 심벌군의 영역이 종료하는 캐리어 endCarrierOffset를 포함한다. 데이터 심벌군이 배치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의 영역이 개시하는 시각 startTimeOffset, 데이터 심벌군의 영역이 개시하는 캐리어 startCarrierOffset를 더욱 포함해도 된다. 데이터 심벌군의 영역이 개시하는 시각 startTimeOffset, 개시하는 캐리어 startCarrierOffset, 종료하는 시각 endTimeOffset, 종료하는 캐리어 endCarrierOffset는 전송 프레임에 대한 시각 위치 및 캐리어 위치에서 지시되어도 되고, 다중 프레임 중의 상대적인 시각 위치 및 상대적인 캐리어 위치에서 지시되어도 된다. 데이터 심벌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이외의 데이터 심벌에 관한 정보 etc.를 포함해도 된다.
(계층 구조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다중 프레임의 구성과 데이터 심벌군의 배치를 계층화하는 것에 의해서, 유연하게 전송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또, 다중 프레임의 구성에 관한 지시와 데이터 심벌군에 관한 지시를 간결하게 하고, 그러한 지시에 필요한 정보량을 삭감하여,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중 프레임 내에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을 다중함으로써, 더미 심벌을 줄여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충 1)
상기 실시의 형태에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방송(또는 통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해 왔지만, 본 개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연하지만,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한 실시의 형태, 그 외의 내용을 복수 조합하여, 실시해도 된다.
또, 각 실시의 형태, 그 외의 내용에 대해서는, 어디까지나 예이며, 예를 들면, 「변조 방식,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사용하는 오류 정정 부호, 부호길이, 부호화율 등), 제어 정보 등」을 예시하고 있어도, 별도의 「변조 방식,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사용하는 오류 정정 부호, 부호길이, 부호화율 등), 제어 정보 등」을 적용한 경우에도 동일한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조 방식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고 있는 변조 방식 이외의 변조 방식을 사용해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한 실시의 형태, 그 외의 내용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APSK(Amplitude Phase Shift Keying)(예를 들면, 16APSK, 64APSK, 128APSK, 256APSK, 1024APSK, 4096APSK 등),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예를 들면, 4 PAM, 8 PAM, 16 PAM, 64 PAM, 128 PAM, 256 PAM, 1024 PAM, 4096 PAM 등), PSK(Phase Shift Keying)(예를 들면,BPSK, QPSK, 8 PSK, 16 PSK, 64 PSK, 128 PSK, 256 PSK, 1024 PSK, 4096 PSK 등),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예를 들면, 4 QAM, 8 QAM, 16 QAM, 64 QAM, 128 QAM, 256 QAM, 1024 QAM, 4096 QAM 등) 등을 적용해도 되고, 각 변조 방식에 있어서, 균일 맵핑, 비균일 맵핑이라고 해도 된다(어떠한 맵핑을 실시해도 됨).
또, I-Q 평면에 있어서의 16개, 64개 등의 신호점의 배치 방법(16개, 64개 등의 신호점을 가지는 변조 방식)은, 본 명세서에서 나타낸 변조 방식의 신호점 배치 방법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복수의 비트에 의거하여 동상 성분과 직교 성분을 출력한다고 하는 기능이 맵핑부에서의 기능이 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복소 평면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편각과 같은, 위상의 단위는, 「라디안(radian)」이라고 하고 있다.
복소 평면을 이용하면, 복소수의 극좌표에 의한 표시로서 극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복소수 z=a+jb(a, b는 모두 실수이며, j는 허수 단위이다)에, 복소 평면의 점(a, b)을 대응시켰을 때, 이 점이 극좌표에서[r,θ]라고 표시되면, a=r×cosθ, b=r×sinθ
[수 61]
이 성립하고, r는 z의 절대치(r=|z|)이며, θ가 편각(argument)이 된다. 그리고, z=a+jb는, r×e로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개시는, OFDM 방식 등의 멀티 캐리어 전송 방법에 대해서 적용할 수 있고, 또, 싱글 캐리어의 전송 방식에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멀티 캐리어 방식의 경우, 심벌을 주파수축으로도 배치하지만, 싱글 캐리어의 경우는, 심벌을 시간 방향으로만 배치하게 된다.) 또,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해, 확산 부호를 이용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s0, s1, s2, s3 각각의 변조 방식은 서로 상이한 것을 이용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의 수신 장치와 안테나가 별개로 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안테나로 수신한 신호, 또는, 안테나로 수신한 신호에 대해, 주파수 변환을 실시한 신호를, 케이블을 통하여,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수신 장치가 구비하고, 수신 장치는 그 후의 처리를 행하게 된다. 또, 수신 장치가 얻은 데이터 및 정보는, 그 후, 영상이나 소리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모니터)에 표시되거나 스피커로부터 소리가 출력되거나 한다. 또한, 수신 장치가 얻은 데이터 및 정보는, 영상이나 소리에 관한 신호 처리가 실시되고(신호 처리를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수신 장치가 구비하는 RCA 단자(영상 단자, 음용 단자), USB(Universal Serial Bus), USB2, USB3, HDMI(등록상표)(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등록상표) 2, 디지털용 단자 등으로부터 출력되어도 된다. 또, 수신 장치가 얻은 데이터 및 정보는, 무선 통신 방식(Wi-Fi(등록상표)(IEEE802.11a, IEEE802.11b, IEEE802.11g, IEEE802.11n, IEEE802.11ac, IEEE802.11ad 등), WiGiG, Bluetooth(등록상표) 등), 유선의 통신 방식(광통신, 전력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변조되고, 이러한 정보를 다른 기기에 전송해도 된다. 이 때, 단말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장치를 구비하고 있게 된다(이 때, 단말은, 수신 장치가 얻은 데이터 및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해도 되고, 수신 장치가 얻은 데이터 및 정보로부터, 변형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신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송신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은, 예를 들면, 방송국,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단말, 휴대 전화(mobile phone) 등의 통신 또는 방송 기기인 것이 생각되고, 이 때, 수신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은, 텔레비전, 라디오, 단말,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등의 통신 기기인 것이 생각된다. 또, 본 개시에 있어서의 송신 장치, 수신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는 기기로서, 그 기기가, 텔레비전, 라디오,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에 어떠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형태인 것도 생각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데이터 심벌 이외의 심벌, 예를 들면, 파일럿 심벌(프리앰블, 유니크 워드, 포스트앰블, 레퍼런스 심벌 등), 제어 정보용의 심벌 등이, 프레임에 어떻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파일럿 심벌, 제어 정보용의 심벌이라고 이름 붙이고 있지만, 어떠한 이름 붙이는 방법을 행해도 괜찮고, 기능 자신이 중요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프리앰블이라고 하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지만, 부르는 법은,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제어 정보 심벌, 제어 채널 등, 별도의 부르는 법을 행해도 된다. 이 심벌에서는, 전송 방식, 예를 들면, 송신 방법, 변조 방식,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길이, 프레임 구성의 방법, 푸리에 변환의 방법(사이즈) 등의 정보 등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심벌이 된다.
또, 파일럿 심벌은, 예를 들면, 송수신기에 있어서, PSK 변조를 이용하여 변조한 기지의 심벌이면 되고, 또는, 수신기가 동기를 취하는 것에 의해서, 수신기는, 송신기가 송신한 심벌을 알 수 있어도 되고, 수신기는, 이 심벌을 이용하여, 주파수 동기, 시간 동기, (각 변조 신호의) 채널 추정(CSI:Channel State Information의 추정), 신호의 검출 등을 행하게 된다.
또, 제어 정보용의 심벌은, (어플리케이션 등의) 데이터 이외의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통신 상대에게 전송할 필요가 있는 정보, 예를 들면, 통신에 이용하고 있는 변조 방식,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의 부호화율, 상위 레이어에서의 설정 정보 등을 전송하기 위한 심벌이다.
본 명세서의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 제1 프리앰블에 다른 심벌(예를 들면, 파일럿 심벌이나 널 심벌(심벌의 동상 성분이 0(제로, 직교 성분이 0(제로))) 등)이 삽입되어 있어도 된다. 동일하게 제2 프리앰블에 파일럿 심벌이나 널 심벌(심벌의 동상 성분이 0(제로, 직교 성분이 0(제로))) 등의 심벌이 삽입되어 있어도 된다. 또, 프리앰블을 제1 프리앰블과 제2 프리앰블로 구성하고 있지만, 프리앰블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제1 프리앰블(제1 프리앰블군)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고, 2이상의 프리앰블(프리앰블군)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프리앰블의 구성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의 형태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고 있을 때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본 명세서의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을 나타내고 있지만, 다른 심벌, 예를 들면, 파일럿 심벌, 널 심벌(심벌의 동상 성분이 0(제로, 직교 성분이 0(제로))), 제어 정보 심벌 등이 삽입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것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의 형태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고 있을 때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그리고, 파일럿 심벌에 있어서, 다른 심벌, 예를 들면, 파일럿 심벌, 널 심벌(심벌의 동상 성분이 0(제로, 직교 성분이 0(제로))), 제어 정보 심벌, 데이터 심벌 등 이 삽입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을 몇 개인가 기재하고 있다. 이 때, 「시분할(시간 분할)을 행하고 있다」라고 기재하고 있지만, 2개의 데이터 심벌군을 접속하는 경우, 연결 고리의 부분에서는, 주파수 분할이 되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는 일이 있다. 이 점에 대해서, 도 3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9에 있어서, 3901은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을 나타내고 있고, 3902는 데이터 심벌군 #2의 심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9의 시각 t0과 같이,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이 캐리어 4로 종료했다고 한다. 이 때, 시각 t0의 캐리어 5로부터 데이터 심벌군 #2의 심벌을 배치했다고 한다. 그러면, 시각 t0의 부분만큼, 예외적으로 주파수 분할이 되어 있다. 그러나, 시각 t0보다 전에서는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 밖에 존재하지 않고, 시각 t0보다 후에는 데이터 심벌군 #2의 심벌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 점에서, 시분할(시간 분할) 되고 있다.
다른 예로서 도 40을 나타낸다. 또한, 도 39와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40의 시각 t0과 같이,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이 캐리어 4로 종료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시각 t1과 같이,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이 캐리어 5로 종료한 것으로 한다. 그러면, 시각 t0의 캐리어 5로부터 데이터 심벌군 #2의 심벌을 배치한 것으로 하고, 시각 t1의 캐리어 6부터 데이터 심벌군 #2의 심벌을 배치한 것으로 한다. 그러면, 시각 t0, 및, t1의 부분은, 예외적으로 주파수 분할로 되고 있다. 그러나, 시각 t0보다 전에서는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밖에 존재하지 않고, 시각 t1보다 후에는 데이터 심벌군 #2의 심벌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 점에서, 시분할(시간 분할)되고 있다.
도 39나 도 40과 같이, 예외적인 부분을 제외했을 때, 데이터 심벌군 #1의 심벌 이외의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지 않지만, 파일럿 심벌 등이 존재하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시각과 데이터 심벌군 #2이외의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지 않지만, 파일럿 심벌 등이 존재하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시각이 존재하는 경우, 「시분할(시간 분할)을 행하고 있다」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예외적인 시각의 존재 방법은, 도 39나 도 40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는 각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통신 장치로서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통신 방법을 소프트웨어로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송신국, 기지국의 송신 안테나, 단말의 수신 안테나, 모두, 도면에서 기재되어 있는 1개의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통신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미리 ROM(Read Only Memory)에 저장해 두고, 그 프로그램을 CPU(Central Processor Unit)에 의해서 동작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통신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저장하고,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컴퓨터의 RAM(Random Access Memory)에 기록하고, 컴퓨터를 그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시키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의 각 실시의 형태 등의 각 구성은, 전형적으로는,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지는 집적 회로인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1 칩화되어도 되고, 각 실시의 형태의 모든 구성 또는 일부의 구성을 포함하도록 1 칩화되어도 된다. 여기에서는, LSI로 했지만,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Integrated Circuit),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기도 한다. 또, 집적 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되어도 된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재구성(reconfigurable) 프로세서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별도 기술에 의해 LSI에 치환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럭의 집적화를 행해도 된다. 바이오 기술의 적응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본 개시는,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각각 상이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시스템에 넓게 적용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송신 개소를 가지는 유선 통신 시스템(예를 들면,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시스템, 광통신 시스템, DSL(Digital Subscriber Line:디지털 가입자선) 시스템) 에 있어서, MIMO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베이스 밴드 신호 s1(t), s1(i), s2(t), s2(i)를 이용하여 설명을 행하고 있다. 이 때, s1(t), s1(i)에서 전송하는 데이터와 s2(t), s2(i)에서 전송하는 데이터가 동일해도 된다.
또, s1(t)=s2(t), s1(i)=s2(i)가 성립해도 된다. 이 때, 1개의 스트림의 변조 신호가,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게 된다.
(실시의 형태 C)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시간-주파수축에서의 프레임 구성, 예를 들면,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24, 도 25, 도 26, 도 27, 도 28, 도 29, 도 30, 도 31, 도 32, 도 33, 도 34, 도 35, 도 36, 도 37, 도 38, 도 48, 도 29, 도 50, 도 51, 도 52, 도 53, 도 54, 도 63, 도 65 등(프레임 구성은,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의 변조 신호를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AP) 등, 이 송신할 때, 각 데이터 심벌군의 단말로의 할당에 대해 설명한다.
도 72는, 기지국(액세스 포인트)과 단말과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기지국(AP)(7200-00)은, 단말#1(7200-01), 단말#2(7200-02), …, 단말#n(7200-n)(n는 2이상의 자연수로 한다)과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72는, 기지국(AP)과 단말의 통신 상태의 예이며, 기지국(AP)과 단말의 통신 상태는, 도 72에 한정한 것이 아니고, 기지국(AP)은 1개 이상의 단말과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73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과 단말의 통신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1> 우선, 각 단말은, 기지국(AP)에 대해,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을 요구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AP)과 단말이, 도 72과 같은 상태일 때, 단말#1(7200-01)은, 기지국(AP)(7200-00)에,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의 요구를 행한다. 동일하게 단말#2(7200-02)는, 기지국(AP)(7200-00)에,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의 요구를 행한다. …동일하게 단말#n(7200-n)는, 기지국(7200-00)에,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의 요구를 행한다.
<2> 기지국은, 각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심벌군의 요구를 포함한 변조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각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심벌군의 요구 정보를 얻고, 기지국이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에 포함되는 각 데이터 심벌군의 단말로의 할당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54의 프레임 구성의 변조 신호를 기지국(AP)(7200-00)이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기지국(AP)(7200-00)은, 단말#1(7200-01), 단말#2(7200-02), 단말#3(7200-03), 단말#4(7200-04), 단말#5(7200-05), 단말#6(7200-06), 단말#7(7200-07), 단말#8(7200-08)으로부터 데이터의 송신의 요구가 있었다고 한다.
그러면, 기지국(AP)(7200-00)은, 도 54의 데이터 심벌군 #1(3401)을 단말#8(7200-08)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심벌군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기지국(AP)(7200-00)은, 도 54의 데이터 심벌군 #1(3401)에 의해, 단말#8(7200-08)에(단말#8(7200-08) 용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AP)(7200-00)은, 도 54의 데이터 심벌군 #2(3402)를 단말#7(7200-07)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심벌군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기지국(AP)(7200-00)은, 도 54의 데이터 심벌군 #2(3402)에 의해, 단말#7(7200-07)에(단말#7(7200-07) 용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AP)(7200-00)은, 도 54의 데이터 심벌군 #3(3403)을 단말#6(7200-06)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심벌군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기지국(AP)(7200-00)은, 도 54의 데이터 심벌군 #3(3403)에 의해, 단말#6(7200-06)에(단말#6(7200-06) 용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AP)(7200-00)은, 도 54의 데이터 심벌군 #4(3404)를 단말#5(7200-05)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심벌군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기지국(AP)(7200-00)은, 도 54의 데이터 심벌군 #4(3404)에 의해, 단말#5(7200-05)에(단말#5(7200-05) 용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AP)(7200-00)은, 도 54의 데이터 심벌군 #5(3405)를 단말#4(7200-04)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심벌군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기지국(AP)(7200-00)은, 도 54의 데이터 심벌군 #5(3405)에 의해, 단말#4(7200-04)에(단말#4(7200-04) 용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AP)(7200-00)은, 도 54의 데이터 심벌군 #6(3406)을 단말#3(7200-03)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심벌군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기지국(AP)(7200-00)은, 도 54의 데이터 심벌군 #6(3406)에 의해, 단말#3(7200-03)에(단말#3(7200-03) 용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AP)(7200-00)은, 도 54의 데이터 심벌군 #7(3407)을 단말#2(7200-02)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심벌군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기지국(AP)(7200-00)은, 도 54의 데이터 심벌군 #7(3407)에 의해, 단말#2(7200-02)에(단말#2(7200-02) 용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AP)(7200-00)은, 도 54의 데이터 심벌군 #8(3408)을 단말#1(7200-01)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심벌군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기지국(AP)(7200-00)은, 도 54의 데이터 심벌군 #8(3408)에 의해, 단말#1(7200-01)에(단말#1(7200-01) 용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데이터 심벌군의 각 단말로의 할당 방법은 상술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1(3401)을 단말#8(7200-08) 이외의 단말에 할당해도 된다. 또, 상술의 설명에서는, 기지국(AP)(7200-00)이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을 도 54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기지국(AP)(7200-00)이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을, 예를 들면,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24, 도 25, 도 26, 도 27, 도 28, 도 29, 도 30, 도 31, 도 32, 도 33, 도 35, 도 36, 도 37, 도 38, 도 48, 도 29, 도 50, 도 51, 도 52, 도 53, 도 54, 도 63, 도 65등(그 이외의 프레임 구성이어도 된다)으로 해도 된다.
또, 데이터 심벌군과 단말의 관계의 정보(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8(3408)이, 단말#1(7200-01) 당의 데이터 심벌군이다」라는 정보 등)는, 도 54의 제1 프리앰블(36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3602)에 포함되어 있다는 구성 방법이 생각된다.
또한, 각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은, SISO 방식, MISO 방식, MIMO 방식 등, 어느 하나의 송신 방법이어도 된다. 또한, 상세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예를 기재하고 있다. SISO 방식은, 예를 들면, 하나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또는, 하나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방식이다. 단, 각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변조 신호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MISO 방식은, 예를 들면, 시공간 블럭 부호, 또는, 시간-주파수 블럭 부호를 이용한 방식이다. MIMO 방식은, 예를 들면, 복수의 변조 신호를, 예를 들면,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방식이다.
또, 각 데이터 심벌군에서는, 영상 정보, 오디오 정보, 문자 정보 등, 어떠한 정보를 전송해도 되고, 또, 제어용의 데이터를 전송해도 된다. 즉, 각 데이터 심벌군으로 전송하는 데이터는, 어떠한 데이터라도 된다.
<3> 각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한 변조 신호를 수신하고, 필요한 데이터 심벌군을 추출, 복조하여 데이터를 얻는다.
예를 들면, 상술과 같이 데이터 심벌군의 할당을 행한 경우, 단말#1(7200-01)은, 기지국(AP)(7200-00)이 송신한 변조 신호를 수신하고, 제1 프리앰블(3601), 및/또는, 제2 프리앰블(3602)에 포함되는 「데이터 심벌군과 단말의 관계의 정보」를 얻어, 단말#1(7200-01) 당의 데이터 심벌군, 즉, 데이터 심벌군 #8(3408)을 추출하고, 데이터 심벌군 #8(3408)을 복조(및, 오류 정정 복호)하여 데이터를 얻게 된다.
도 74는,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AP)의 구성의 일례이다.
수신부(7400-07)는, 안테나 7400-05로 수신한 수신 신호(7400-06)를 입력으로 하고, 주파수 변환, 예를 들면 OFDM를 위한 신호 처리, 디맵핑(복조), 오류 정정 복호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수신 데이터(7400-08)를 출력한다.
송신부(7400-02)는, 예를 들면, 프리앰블 등에서 송신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한 송신 데이터(7400-01), 수신 데이터(7400-08)를 입력으로 하고, 송신 데이터(7400-01)에 대해, 오류 정정 부호화, 설정한 변조 방식에 의한 맵핑, 예를 들면 OFDM를 위한 신호 처리, 주파수 변환, 증폭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변조 신호(7400-03)를 생성, 출력하고, 변조 신호(7400-03)는 안테나 7400-04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되어 하나 이상의 단말이, 변조 신호(7400-03)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송신부(7400-02)는, 수신 데이터(7400-08)를 입력으로 하고 있다. 이 때, 수신 데이터(7400-08)는, 각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의 요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송신부(7400-02)는, 각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의 요구 정보에 의거하여, 전에도 설명한 것처럼, 예를 들면, 도 54의 프레임 구성의 변조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 때, 송신부(7400-02)는, 전에도 설명한 각 데이터 심벌군(3401, 3402, 3403, 3404, 3405, 3406, 3407, 3408)의 단말로의 할당에 대해서는, 각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의 요구 정보에 의거하여 행해지게 된다. 이에 더하여, 송신부(7400-02)는, 각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의 요구 정보에 의거하여 행해진 각 데이터 심벌군의 단말로의 할당에 관련된 데이터 심벌군과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8(3408)이, 단말#1(7200-01) 당 데이터 심벌군이다」라고 하는 정보 등의 단말의 관계의 정보를 포함하는 도 54의 제1 프리앰블, 및/또는, 제2 프리앰블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기지국(AP)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예로서 도 1, 도 58, 도 76에 나타낸 대로이고, 도 76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한다.
그리고, 도 74에 있어서, 송신용의 안테나 7400-04를 1개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송신용으로 복수의 안테나를 기지국(AP)은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때, 복수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하게 되고, 송신부(7400-02)는, 복수의 변조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동일하게, 도 74에 있어서, 수신용의 안테나 7400-05를 1개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수신용으로 복수의 안테나를 기지국(AP)은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때, 복수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하게 되고, 수신부(7400-07)는, 복수의 변조 신호에 대해서, 신호 처리를 행하여 수신 데이터를 얻게 된다.
도 75는,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의 구성의 일례이다.
수신부(7500-07)는, 안테나 7500-05로 수신한 수신 신호(7500-06)를 입력으로 하고, 주파수 변환, 예를 들면 OFDM를 위한 신호 처리, 디맵핑(복조), 오류 정정 복호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수신 데이터(7500-08)를 출력한다.
송신부(7500-02)는, 예를 들면, 프리앰블 등에서 송신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7500-01), 수신 데이터(7500-08)를 입력으로 하고, 송신 데이터(7500-01)에 대해, 오류 정정 부호화, 설정한 변조 방식에 의한 맵핑, 예를 들면 OFDM를 위한 신호 처리, 주파수 변환, 증폭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변조 신호(7500-03)를 생성, 출력하고, 변조 신호(7500-03)는, 안테나 7500-04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되어 기지국(AP)이, 변조 신호(7500-03)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송신부(7500-02)는, 수신 데이터(7500-08)을 입력으로 하고 있다. 이 때, 수신 데이터(7500-08)는, 기지국(AP)으로부터의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 때, 송신부(7500-02)는, 기지국(AP)으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송신 방법, 프레임 구성, 변조 방식,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 등을 설정하고, 변조 신호를 생성해도 된다.
또한, 단말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예로서 도 23, 도 78에 나타냈던 대로이고, 도 78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단말의 수신 장치는, 기지국이 송신한 변조 신호를 수신했을 때, 제1 프리앰블, 및/또는, 제2 프리앰블을 얻음으로써, 복조해야 할 데이터 심벌군의 정보를 얻고, 계속해서, 원하는 데이터 심벌군을 추출하며, 복조, 오류 정정 복호를 행하여 수신 데이터를 얻게 된다.
그리고, 도 75에 있어서, 송신용의 안테나 7500-04를 1개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송신용으로 복수의 안테나를 단말은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때, 복수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하게 되고, 송신부(7500-02)는, 복수의 변조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동일하게, 도 75에 있어서, 수신용의 안테나 7500-05를 1개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수신용으로 복수의 안테나를 단말은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때, 복수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하게 되고, 수신부(7500-07)는 복수의 변조 신호에 대해서, 신호 처리를 행하여 수신 데이터를 얻게 된다.
도 76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AP)의 송신부의 구성의 일례이다. 또한, 도 76에 있어서, 도 58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송신 방법 지시 정보(5811)는, 각 데이터 심벌군의 단말로의 할당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1은 단말#8에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심벌군」이라는 정보가 포함된다.
송신 방법 지시부(5812)는, 송신 방법 지시 정보(5811)를 입력으로 하고,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5813)를 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5813)는, 각 데이터 심벌군의 단말로의 할당의 정보, 각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 각 데이터 심벌군의 변조 방식의 정보, 각 데이터 심벌군의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부호길이, 부호화율)의 정보, 프레임 구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생성부(7600-00)는, 데이터(5801),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5813)를 입력으로 하고,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5813)에 의거하여, 각 데이터 심벌군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프레임 구성부(7600-01)는, 각 데이터 심벌의 베이스 밴드 신호(5805), 제어 정보 심벌의 베이스 밴드 신호(5808), 파일럿 심벌의 베이스 밴드 신호(5810),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5813)를 입력으로 하고,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5813)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도 54의 프레임 구성에 따른 변조 신호(7600-02)를 생성, 출력한다. 단, 이전에 설명한 것처럼, 프레임 구성은 도 54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무선부(5861)는, 프레임 구성에 따른 변조 신호(7600-02),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를 입력으로 하고, 프레임 구성에 따른 변조 신호(7600-02)에 대해, 주파수 변환, 증폭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송신 신호(5817)를 생성, 출력하고, 송신 신호(5817)는 안테나(5818)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도 77은, 도 76의 기지국(AP)의 데이터 심벌군 생성부(7600-0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심벌군 #1 생성부(7700-02-1)는, 데이터#1(7700-01-1), 및,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7700-00)(5813)를 입력으로 하고,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7700-00)에 포함되는 각 데이터 심벌군의 단말로의 할당의 정보, 각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 각 데이터 심벌군의 변조 방식의 정보, 각 데이터 심벌군의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부호길이, 부호화율)의 정보에 의거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 변조, 등의 처리를 행하고, 데이터 심벌군 #1의 베이스 밴드 신호(7700-03-1)를 출력한다.
데이터 심벌군 #2 생성부(7700-02-2)는, 데이터#2(7700-01-2), 및,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7700-00)(5813)를 입력으로 하고,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7700-00)에 포함되는 각 데이터 심벌군의 단말로의 할당의 정보, 각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 각 데이터 심벌군의 변조 방식의 정보, 각 데이터 심벌군의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부호길이, 부호화율)의 정보에 의거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 변조, 등의 처리를 행하고, 데이터 심벌군 #2의 베이스 밴드 신호(7700-03-2)를 출력한다.
데이터 심벌군 #m생성부(7700-02-m)는, 데이터#m(7700-01-m), 및,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7700-00)(5813)을 입력으로 하고,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7700-00)에 포함되는 각 데이터 심벌군의 단말로의 할당의 정보, 각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 각 데이터 심벌군의 변조 방식의 정보, 각 데이터 심벌군의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부호길이, 부호화율)의 정보에 의거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 변조, 등의 처리를 행하고, 데이터 심벌군 #m의 베이스 밴드 신호 7700-03-m를 출력한다(또한, m는 1 이상의 정수, 또는, m는 2이상의 정수로 한다).
도 78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의 수신부의 구성의 일례이다. 또한, 도 78에 있어서, 도 23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OFDM 방식 관련 처리부(2303_X)는, 안테나(2301_X)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2302_X)를 입력으로 하고, OFDM 관련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며, 신호 처리 후의 신호(2304_X)를 출력한다.
제1 프리앰블 검출, 복조부 2311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2304_X)를 입력으로 하고, 예를 들면, 도 54의 제1 프리앰블을 검출하며, 복조를 행하여 제1 프리앰블 제어 정보(2312)를 출력한다. 또한, 도 54의 이외의 다른 프레임 구성이어도 된다.
제2 프리앰블 복조부(2313)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2304_X), 제1 프리앰블 제어 정보(2312)를 입력으로 하고, 예를 들면, 도 54의 제2 프리앰블의 복조를 행하며, 제2 프리앰블 제어 정보(2314)를 출력한다.
제어 신호 생성부(2315)는, 제1 프리앰블 제어 정보(2312), 제2 프리앰블 제어 정보(2314)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2316)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 신호(2316)는, 각 데이터 심벌군의 단말의 할당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채널 변동 추정부 7800-01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2304_X), 제어 신호(2316)를 입력으로 하고, 신호 처리부(2309)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2304_X), 제어 신호(2316)을 입력으로 하며, 제어 신호(2316)에 의거하여, 신호 처리 후의 신호(2304_X)에 포함되는 프리앰블, 파일럿 심벌을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행하고 채널 추정 신호(7800-02)를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2309)는, 채널 추정 신호(7800-02), 신호 처리 후의 신호(2304_X), 제어 신호(2316)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2316)에 포함되는 각 데이터 심벌군의 단말의 할당의 정보에 의거하여, 신호 처리 후의 신호(2304_X)로부터 원하는 데이터 심벌군을 추출하고, 복조, 오류 정정 복호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수신 데이터(2310)를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기지국(AP)이 송신하는 변조 신호에 있어서, 각 데이터 심벌군에 대해, 행선지가 되는 단말을 적합하게 설정함으로써, 기지국(AP)의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4 등의 프레임이 시분할로, 기지국(AP)이 송신하는 경우, 상술과 같은 송신 방법은, 데이터 전송 효율의 향상의 점에서 뛰어난 방식이다.
또한,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것처럼, 도 54의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 시간 t1부터 시간 t3에 있어서, 도 53에 나타낸 것처럼, 특정의 캐리어에 특정의 심벌(5304, 5305)을 배치하고 있게 된다. 이 때, 특정의 캐리어의 특정의 심벌(5304, 5305)이, 데이터 심벌군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특정의 캐리어의 심벌이 데이터 심벌군 #100이어도 된다.
(실시의 형태 D)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64를 이용하여 설명한 「데이터 심벌군에 있어서의 더미 심벌(또는, 더미 슬롯) 삽입 방법」에 관한 보충의 설명을 행한다.
도 79는,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AP)이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도 2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79는,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AP)이 송신하는 변조 신호의 프레임 j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세로축을 주파수, 가로축을 시간으로 한다.
그리고, 프레임에 있어서, 주파수 방향에는, 캐리어 1부터 캐리어 64가 존재하고, 캐리어마다 심벌이 존재하고 있게 된다.
도 79에 표시되어 있듯이, 시간 t0부터 t1의 사이에서, 제1 프리앰블(201), 및, 제2 프리앰블(202)을 기지국(AP)은 송신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시간 t1부터 시간 t2의 사이에서,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02,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를 기지국(AP)은 송신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시간 t2부터 시간 t3의 사이에서, 제1 프리앰블(7900-51), 및, 제2 프리앰블(7900-52)을 기지국(AP)은 송신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시간 t3부터 시간 t4의 사이에서, 데이터 심벌군 #FD5(#TFD5) 7900-05, 데이터 심벌군 #FD6(#TFD6) 7900-06, 데이터 심벌군 #FD7(#TFD7) 7900-07, 데이터 심벌군 #FD8(#TFD8) 7900-08, 데이터 심벌군 #FD9(#TFD9) 7900-09를 기지국(AP)은 송신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시간 t4부터 시간 t5의 사이에서, 제1 프리앰블(7900-53), 및, 제2 프리앰블(7900-54)을 기지국(AP)은 송신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시간 t5부터 시간 t6의 사이에서,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 데이터 심벌군 #TD11(#TD11) 7900-11을 기지국(AP)은 송신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79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은, 주파수 축방향에서는,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5를 사용하고, 시간 방향에서는 시간$1에서 $10000을 사용한 데이터 심벌군인 것으로 한다(캐리어 방향으로 복수 심벌 존재하고, 시간 방향으로도 복수 심벌이 존재하고 있다).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02는, 주파수 축방향에서는, 캐리어 16부터 캐리어 31을 사용하고, 시간 방향에서는 시간$1에서 $10000을 사용한 데이터 심벌군인 것으로 한다(캐리어 방향으로 복수 심벌 존재하고, 시간 방향으로도 복수 심벌이 존재하고 있다).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은, 주파수 축방향에서는, 캐리어 32부터 캐리어 46을 사용하고, 시간 방향에서는 시간$1에서 $10000을 사용한 데이터 심벌군인 것으로 한다. 캐리어 방향으로 복수 심벌 존재하고, 시간 방향으로도 복수 심벌이 존재하고 있다.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는, 주파수 축방향에서는, 캐리어 47부터 캐리어 64를 사용하고, 시간 방향에서는 시간$1에서 $10000을 사용한 데이터 심벌군인 것으로 한다. 캐리어 방향으로 복수 심벌 존재하고, 시간 방향으로도 복수 심벌이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 79의 프레임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02,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는, 주파수 분할 다중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79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FD5(#TFD5) 7900-05는, 주파수 축방향에서는,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5를 사용하고, 시간 방향에서는 시간♭1부터 ♭8000을 사용한 데이터 심벌군인 것으로 한다. 캐리어 방향으로 복수 심벌 존재하고, 시간 방향으로도 복수 심벌이 존재하고 있다.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군 #FD6(#TFD6) 7900-06은, 주파수 축방향에서는, 캐리어 16부터 캐리어 29를 사용하고, 시간 방향에서는 시간♭1부터 ♭8000을 사용한 데이터 심벌군인 것으로 한다. 캐리어 방향으로 복수 심벌 존재하고, 시간 방향으로도 복수 심벌이 존재하고 있다.
데이터 심벌군 #FD7(#TFD7) 7900-07은, 주파수 축방향에서는, 캐리어 30부터 캐리어 38을 사용하고, 시간 방향에서는 시간♭1부터 ♭8000을 사용한 데이터 심벌군인 것으로 한다. 캐리어 방향으로 복수 심벌 존재하고, 시간 방향으로도 복수 심벌이 존재하고 있다.
데이터 심벌군 #FD8(#TFD8) 7900-08은, 주파수 축방향에서는, 캐리어 39부터 캐리어 52를 사용하고, 시간 방향에서는 시간♭1부터 ♭8000을 사용한 데이터 심벌군인 것으로 한다. 캐리어 방향으로 복수 심벌 존재하고, 시간 방향으로도 복수 심벌이 존재하고 있다.
데이터 심벌군 #FD9(#TFD9) 7900-09는, 주파수 축방향에서는, 캐리어 53부터 캐리어 64를 사용하고, 시간 방향에서는 시간♭1부터 ♭8000을 사용한 데이터 심벌군인 것으로 한다. 캐리어 방향으로 복수 심벌 존재하고, 시간 방향으로도 복수 심벌이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 79의 프레임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FD5(#TFD5) 7900-05, 데이터 심벌군 #FD6(#TFD6) 7900-06), 데이터 심벌군 #FD7(#TFD7) 7900-07, 데이터 심벌군 #FD8(#TFD8) 7900-08, 데이터 심벌군 #FD9(#TFD9) 7900-09는, 주파수 분할 다중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79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은, 주파수 축방향에서는, 캐리어 1부터 캐리어 64를 사용하고, 시간 방향에서는 시간*1부터 *50을 사용한 데이터 심벌군인 것으로 한다. 캐리어 방향으로 복수 심벌 존재하고, 시간 방향으로도 복수 심벌이 존재하고 있다.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군 #TD11(#TD11) 7900-11은, 주파수 축방향에서는, 캐리어 1부터 캐리어 64를 사용하고, 시간 방향에서는 시간*51부터 *81을 사용한 데이터 심벌군인 것으로 한다. 캐리어 방향으로 복수 심벌 존재하고, 시간 방향으로도 복수 심벌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도 79에서는,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 데이터 심벌군 #TD11(#TD11) 7900-11은 시간 분할 다중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TD11(#TD11) 7900-11이 존재하지 않는 듯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 다른 예로서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과 데이터 심벌군 #TD11(#TD11) 7900-11 사이에, 제1 프리앰블, 제2 프리앰블이 존재하는 프레임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도 79에 있어서의 제1 프리앰블(201, 7900-51, 7900-53)에는, 프리앰블 이외의 심벌이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존재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 캐리어 1부터 캐리어 64 모든 캐리어에서 제1 프리앰블의 심벌을 송신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특정의 캐리어에, 동상 성분 I가 제로, 직교 성분 Q가 제로인 심벌이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동일하게, 도 79에 있어서의 제2 프리앰블(202, 7900-52, 7900-54)에는, 프리앰블 이외의 심벌이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존재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 캐리어 1부터 캐리어 64 모든 캐리어에서 제2 프리앰블의 심벌을 송신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특정의 캐리어에, 동상 성분 I가 제로, 직교 성분 Q가 제로인 심벌이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02),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 데이터 심벌군 #FD5(#TFD5) 7900-05, 데이터 심벌군 #FD6(#TFD6) 7900-06, 데이터 심벌군 #FD7(#TFD7) 7900-07, 데이터 심벌군 #FD8(#TFD8) 7900-08, 데이터 심벌군 #FD9(#TFD9) 7900-09,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 데이터 심벌군 #TD11(#TD11) 7900-11에는, 데이터 심벌 이외의 심벌이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존재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 특정의 캐리어에 채널 변동의 추정, 위상 잡음의 추정, 주파수 오프셋의 추정, 주파수 동기, 시간 동기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파일럿 심벌이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도 79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과 데이터 심벌군 #FD(#TFD5) 7900-05은, 모두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5를 이용하여 송신되고 있고,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과 데이터 심벌군 #FD(#TFD5) 7900-05는, 실시의 형태 6의 도 52, 도 53, 도 54를 이용하여 설명했을 때의 도 53의 특정의 캐리어에 배치한 심벌(5304), 5305에 상당하는, 특정의 캐리어에 배치한 심벌이다.
또한, 실시의 형태 C에서 설명한 것처럼, 데이터 심벌군과 단말에 관계성을 갖게 해도 된다. 이 점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C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것처럼, 예를 들면,
·기지국(AP)은,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을 이용하여, 단말#1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은, 단말#1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심벌군이다.
·기지국(AP)은,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02를 이용하여, 단말#2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02는, 단말#2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심벌군이다.
·기지국(AP)은,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을 이용하여, 단말#3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은, 단말#3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심벌군이다.
·기지국(AP)은,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를 이용하여, 단말#4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는, 단말#4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심벌군이다.
가 된다. 이와 같이, 시간 t1부터 시간 t2의 시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벌군에 의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을 행하게 된다. 또한, OFDM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행하게 된다.
동일하게,
·기지국(AP)은, 데이터 심벌군 #FD5(#TFD5) 7900-05을 이용하여, 단말#A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데이터 심벌군 #FD5(#TFD5) 7900-05는, 단말#A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심벌군이다.
·기지국(AP)은, 데이터 심벌군 #FD6(#TFD6) 7900-06을 이용하여, 단말#B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데이터 심벌군 #FD6(#TFD6) 7900-06은, 단말#B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심벌군이다.
·기지국(AP)은, 데이터 심벌군 #FD7(#TFD7) 7900-07을 이용하여, 단말#C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데이터 심벌군 #FD7(#TFD7) 7900-07은, 단말#C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심벌군이다.
·기지국(AP)은, 데이터 심벌군 #FD8(#TFD8) 7900-08을 이용하여, 단말#D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데이터 심벌군 #FD8(#TFD8) 7900-08은, 단말#D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심벌군이다.
·기지국(AP)은, 데이터 심벌군 #FD9(#TFD9) 7900-09를 이용하여, 단말#E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데이터 심벌군 #FD9(#TFD9) 7900-09는, 단말#E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심벌군이다.
가 된다. 이와 같이 시간 t3부터 시간 t4의 시간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벌군에 의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을 행하게 된다. 또한, OFDM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행하게 된다.
또, 기지국(AP)은,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을 이용하여, 단말#α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따라서,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은, 단말α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심벌군이다.
기지국(AP)은, 데이터 심벌군 #TD11(#TFD11) 7900-11을 이용하여, 단말#β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따라서, 데이터 심벌군 #TD11(#TFD11) 7900-11은, 단말β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심벌군이다.
그런데, 도 54, 도 79 등의 프레임에 있어서, 시간 분할(또는, 시간 분할 다중), 주파수 분할(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시간 및 주파수 영역의 분할(또는, 시간 및 주파수 영역의 분할 다중)을 행한 데이터 심벌군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프레임은 도 54, 도 79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프레임에 있어서, 이하는 적용 가능하다.
다음에, 데이터 심벌군의 시간적인 경계, 또는, 주파수적인 경계의 구성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을 시간 방향으로 분할할 때, 도 80과 같은 상태를 생각한다. 도 80은, 시간 방향에 있어서의 분할의 일례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0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주파수(캐리어)이다. 도 80은,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 제4 영역을 데이터 심벌군으로서 시간 방향으로 분할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t1에서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존재한다. 또, 시각 t2, 시각 t3에서는, 제2 영역과 제3 영역이 존재한다. 그리고, 제3 영역과 제4 영역은, 시간 방향에 있어서의 중복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케이스를 포함하여, 「시간 방향으로의 분할」로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도 80과 같이, 일정 시각에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존재하도록 시간적으로 분할을 행해도 된다.
다시 말하면, 도 80의 제1 영역부터 제3 영역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영역은, 상이한 주파수에 있어서 상이한 시간폭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즉, 1개의 영역은, 시간-주파수 평면에 있어서 직사각형이 아니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를 포함하여, 「시간 방향으로의 분할」이라고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할 때, 도 81과 같은 상태를 생각한다. 도 81은, 주파수 방향에 있어서의 분할의 일례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1에 있어서, 가로축은 주파수(캐리어), 세로축은 시간이다. 도 81은,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 제4 영역을 데이터 심벌군으로서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어 c1에서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존재한다. 또, 캐리어 c2, 캐리어 c3에서는, 제2 영역과 제3 영역이 존재한다. 그리고, 제3 영역과 제4 영역은, 주파수 방향에 있어서의 중복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케이스를 포함하여, 「주파수 방향으로의 분할」이라고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도 81과 같이, 일정 주파수(캐리어)로 복수의 데이터 심벌군이 존재하도록 주파수적으로 분할을 행해도 된다.
다시 말하면, 도 81의 제1 영역부터 제3 영역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영역은, 상이한 시간에 있어서 상이한 주파수폭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즉, 1개의 영역은, 시간-주파수 평면에 있어서, 직사각형이 아니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를 포함하여, 「주파수 방향으로의 분할」이라고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
또, 데이터 심벌군을 시간 및 주파수 영역의 분할(또는, 시간 및 주파수 영역의 분할 다중)을 행할 때, 시간 방향으로의 분할을 도 80과 같이 행하고, 주파수 방향으로의 분할을 도 81과 같이 행해도 된다. 즉, 데이터 심벌군의 시간-주파수 평면에 있어서의 1개의 영역은, 상이한 시간에 있어서 상이한 주파수폭을 갖고, 또한, 상이한 주파수에 있어서 상이한 시간폭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당연하지만, 도 79의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02,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와 같이 주파수 분할을 행하고, 2이상의 데이터 심벌군이 존재하는 캐리어(주파수)가 존재하지 않도록, 주파수 분할을 행해도 된다.
또, 도 79의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 데이터 심벌군 #TD11(#TD11) 7900-11과 같이 시간 분할을 행하고, 2이상의 데이터 심벌군이 존재하는 시간(시각)이 존재하지 않도록, 시간 분할을 행해도 된다.
도 64에, 예를 들면, 도 79의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에 있어서, 더미 심벌(또는, 더미 슬롯)을 삽입했을 때의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예와 동일한 예를 도 63과 도 64를 이용하여, 이전에 설명을 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을, 시간 인덱스가 작은 곳으로부터 우선적으로 배치해 나간다. 그리고, 일정 시간에 있어서, 점유하고 있는 모든 캐리어에 데이터 심벌의 배치가 완료되면, 그 다음의 시간에 데이터 심벌의 배치를 행한다고 하는 규칙을 마련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군 #TFD1(3401)에서는, 도 6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10001의 캐리어 1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하고, 그 후, 시간$10001의 캐리어 2, 시간$10001의 캐리어 3, …, 시간$10001의 캐리어 9, 시간$10001의 캐리어 10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한다. 그리고, 시간$10002으로 옮겨, 시간$10002의 캐리어 1, 시간$10002의 캐리어 2, …, 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한다.
시간$13995에서는, 시간$13995의 캐리어 1, 시간$13995의 캐리어 2, 시간$13995의 캐리어 3, 시간$13995의 캐리어 4, 시간$13995의 캐리어 5, 시간$13995의 캐리어 6에 데이터 심벌을 배치한다. 이것으로, 데이터 심벌의 배치가 종료한다.
그러나, 시간$13995의 캐리어 7, 캐리어 8, 캐리어 9, 캐리어 10, 및, 시간$13996의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 시간$13997의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 시간$13998의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 시간$13999의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 시간$14000의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에 데이터 심벌군 #TFD1(3401)로서의 심벌이 존재한다. 따라서, 시간$13995의 캐리어 7, 캐리어 8, 캐리어 9, 캐리어 10, 및, 시간$13996의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 시간$13997의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 시간$13998의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 시간$13999의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 시간$14000의 캐리어 1부터 캐리어 10에 더미 심벌을 배치한다.
이상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 79에 있어서의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02,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 데이터 심벌군 #FD5(#TFD5) 7900-05, 데이터 심벌군 #FD6(#TFD6) 7900-06, 데이터 심벌군 #FD7(#TFD7) 7900-07, 데이터 심벌군 #FD8(#TFD8) 7900-08, 데이터 심벌군 #FD9(#TFD9) 7900-09,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 데이터 심벌군 #TD11(#TFD11) 7900-11에 있어서도 필요하면, 더미 심벌을 배치한다.
이상과 같이, 시간 분할 다중을 행하고 있는 데이터 심벌군, 시간 분할 다중을 행하고 있는 데이터 심벌군, 특정의 캐리어를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 심벌군에 있어서, 더미 심벌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수신 장치는, 간단하게 데이터 심벌을 선별하여, 복조 및 복호를 행할 수 있고 또, 더미 심벌에 의한 데이터 전송 속도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79의 예에서는, 시간축에 대해, 「프리앰블」, 「주파수 분할한 심벌」, 「프리앰블」, 「주파수 분할한 심벌」, 「프리앰블」, 「시간 분할한 심벌」, 또는, 「프리앰블」, 「주파수 분할한 심벌」, 「프리앰블」, 「주파수 분할한 심벌」, 「프리앰블」, 「주파수 분할을 행하지 않은 심벌군」의 순서로 나열한 프레임을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시간축에 대해, 「프리앰블」, 「시간 분할한 심벌」, 「프리앰블」, 「주파수 분할한 심벌」의 순서로 나열한 프레임이어도 되고, 시간축에 대하여, 「프리앰블」, 「주파수 분할을 행하고 있지 않은 심벌군」, 「프리앰블」, 「주파수 분할한 심벌」의 순서로 나열한 프레임이어도 된다.
또, 데이터 심벌군에 대한 더미 심벌군의 삽입 방법은, 도 64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64와는 상이한 더미 심벌 삽입 방법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데이터 심벌군 #TFDX, 데이터 심벌군 #FDY, 데이터 심벌군 #TDZ(예를 들면, X, Y, Z는 1 이상의 정수)에 있어서, 심벌수(또는, 슬롯수)를 U로 한다. U는 1 이상의 정수로 한다.
우선, 「FEC 블럭(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 또는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길이)의 정수배의 데이터가 들어가는 심벌수(또는 슬롯수), V(V는 1 이상의 정수로 한다)」을 확보한다. 단, U-α+1≤≤V≤≤U를 만족하는 것으로 한다. α는, 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부호길이)(단위:비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심벌수(또는 슬롯수)인 것으로 하고, 1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U-V≠0일 때, U-V 심벌(또는, U-V 슬롯)의 더미 심벌(또는, 더미 슬롯)을 부가한다. 따라서, 데이터 심벌군 #TFDX, 또는, 데이터 심벌군 #FDY, 또는, 데이터 심벌군 #TDZ는, V 심벌(또는, V 슬롯)의 데이터 심벌과 U-V 심벌(또는, U-V 슬롯)의 더미 심벌로 구성되게 된다. 더미 심벌의 각 심벌에서는, 동상 성분 I에 어떠한 값을 갖고, 직교 성분 Q에 대해서도 어떠한 값을 가지게 된다.
데이터 심벌군 #TFDX, 데이터 심벌군 #FDY, 데이터 심벌군 #TDZ는, 「V 심벌(또는, V 슬롯)의 데이터 심벌과 U-V 심벌(또는, U-V 슬롯)의 더미 심벌로 구성되는」것을 만족하게 된다.
즉, 데이터 심벌군 #TFDX, 데이터 심벌군 #FDY, 데이터 심벌군 #TDZ 에 있어서, 더미 심벌(또는, 더미 슬롯)이 필요해지는 경우, 각 데이터 심벌군에서 더미 심벌(더미 슬롯)을 삽입하게 된다.
더미 심벌 삽입 방법을 적용하는 기지국(AP)의 구성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기지국(AP)의 구성은, 도 1에 있어서, 데이터 생성부(102), 프레임 구성부(110)를 도 82에 치환한 구성인 것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82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82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데이터 심벌군 #1용 오류 정정 부호화부(8200-02-1)는, (예를 들면, 단말#1용의) 데이터 심벌군 #1용의 데이터(8200-01-1), 및, 제어 신호(8200-00, 109)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8200-00, 109)에 포함되는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 예를 들면, 오류 정정 부호의 정보,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길이,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 등의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 심벌군 #1용 데이터(8200-01-1)에 대해,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데이터 심벌군 #1용의 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8200-03-1)을 출력한다.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군 #2용 오류 정정 부호화부 8200-02-2는, (예를 들면, 단말#2용의) 데이터 심벌군 #2용의 데이터 8200-01-2, 및, 제어 신호(8200-00, 109)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8200-00, 109)에 포함되는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의 정보, 예를 들면, 오류 정정 부호의 정보,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길이,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 등에 의거하여, 데이터 심벌군 #2용의 데이터 8200-01-2에 대해,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데이터 심벌군 #2용의 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8200-03-2)를 출력한다.
···
또, 데이터 심벌군 #N용의 오류 정정 부호화부 8200-02-N(N는 1 이상의 정수로 한다)는, (예를 들면, 단말#N용의) 데이터 심벌군 #N용의 데이터 8200-01-N, 및, 제어 신호(8200-00, 109)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8200-00, 109)에 포함되는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의 정보, 예를 들면, 오류 정정 부호의 정보,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길이,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 등에 의거하여, 데이터 심벌군 #N의 데이터 8200-01-N에 대해,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데이터 심벌군 #N용의 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 8200-03-N를 출력한다.
데이터 심벌군 1용 인터리버(8200-04-1)는, 데이터 심벌군 #1용의 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8200-03-1), 및, 제어 신호(8200-00, 109)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8200-00, 109)에 포함되는 정렬 방법의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 심벌군 #1용의 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8200-03-1)에 대해, 정렬을 행하여 데이터 심벌군 #1용의 정렬 후의 데이터(8200-05-1)을 출력한다.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군 #2용 인터리버(8200-04-2)는, 데이터 심벌군 #2용의 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8200-03-2), 및, 제어 신호(8200-00, 109)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8200-00, 109)에 포함되는 정렬 방법의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 심벌군 #2용의 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8200-03-2)에 대해, 정렬을 행하고, 데이터 심벌군 #2용의 정렬 후의 데이터(8200-05-2)를 출력한다.
···
또, 데이터 심벌군 #N용 인터리버 8200-04-N는, 데이터 심벌군 #N용의 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 8200-3-N, 및, 제어 신호(8200-00, 109)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8200-00, 109)에 포함되는 정렬 방법의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 심벌군 #N용의 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 8200-03-N에 대해, 정렬을 행하고, 데이터 심벌군 #N용의 정렬 후의 데이터 8200-05-N를 출력한다.
데이터 심벌군 #1용 맵핑부(8200-06-1)는, 데이터 심벌군 #1용의 정렬 후의 데이터(8200-05-1), 및, 제어 신호(8200-00, 109)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8200-00, 109)에 포함되는 변조 방식의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 심벌군 #1용의 정렬 후의 데이터(8200-05-1)에 대해, 맵핑을 행하고, 데이터 심벌군 #1용의 맵핑 후의 신호(8200-07-1)를 출력한다.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군 #2용 맵핑부(8200-06-2)는, 데이터 심벌군 #2용의 정렬 후의 데이터(8200-05-2), 및, 제어 신호(8200-00, 109)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8200-00, 109)에 포함되는 변조 방식의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 심벌군 #2용의 정렬 후의 데이터(8200-05-2)에 대해, 맵핑을 행하며, 데이터 심벌군 #2용의 맵핑 후의 신호(8200-07-2)를 출력한다.
···
또, 데이터 심벌군 #N용 맵핑부 8200-06-N는, 데이터 심벌군 #N용의 정렬 후의 데이터 8200-05-N, 및, 제어 신호(8200-00, 109)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8200-00, 109)에 포함되는 변조 방식의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 심벌군 #N용의 정렬 후의 데이터 8200-05-N에 대해, 맵핑을 행하고, 데이터 심벌군 #N용의 맵핑 후의 신호 8200-07-N를 출력한다.
프레임 구성부(110)는, 데이터 심벌군 #1용의 맵핑 후의 신호(8200-07-1), 데이터 심벌군 #2용의 맵핑 후의 신호(8200-07-2), …, 데이터 심벌군 #N용의 맵핑 후의 신호 8200-07-N, 및, 제2 프리앰블의 (직교)베이스 밴드 신호 106, 제어 신호(8200-00, 109)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8200-00, 109)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 예를 들면, 도 54, 도 79 등에 의거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스트림 1의 (직교)베이스 밴드 신호(8201_1), 및/또는, 스트림 2의 (직교)베이스 밴드 신호(8201_2)를 출력한다. 단, 프레임 구성은 도 54, 도 79 등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어 신호(8200-00, 109)가, MIMO 전송, MISO 전송인 것을 지정하고 있을 때, 프레임 구성부(110)는, 프레임 구성에 따른 스트림 1의 (직교)베이스 밴드 신호(8201_1), 및, 스트림 2의 (직교)베이스 밴드 신호(8201_2)를 출력한다.
제어 신호(8200-00, 109)가, SISO 전송인 것을 지정하고 있을 때, 프레임 구성부(110)는, 프레임 구성에 따른, 예를 들면, 스트림 1의 (직교)베이스 밴드 신호(8201_1)를 출력한다.
또한, 이후의 처리에 대해서는,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대로이다. 또, 도 1, 도 82는, 장치의 일례의 구성이며,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기지국(AP)의 다른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기지국(AP)의 다른 구성은, 도 76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생성부(7600-00), 프레임 구성부(7600-01)을 도 83에 치환한 구성인 것으로 한다.
도 83에 있어서, 도 58, 도 76, 도 82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프레임 구성부(7600-01)는, 데이터 심벌군 #1용의 맵핑 후의 신호(8200-07-1), 데이터 심벌군 #2용의 맵핑 후의 신호(8200-07-2), …, 데이터 심벌군 #N용의 맵핑 후의 신호 8200-07-N, 및, 제어 심벌의 베이스 밴드 신호(5808), 파일럿 심벌의 베이스 밴드 신호(5810), 제어 신호(8200-00, 5831)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8200-00, 5831)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 예를 들면, 도 54, 도 79 등에 의거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변조 신호(7600-02)를 출력한다. 단, 프레임 구성은 도 54, 도 79 등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이후의 처리에 대해서는, 도 76을 이용하여 설명한 대로이다. 또, 도 76, 도 83은, 장치의 일례의 구성이며,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도 82, 도 83 등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1용의 인터리버(8200-04-1), 데이터 심벌군 #2용 인터리버(8200-04-2), …, 데이터 심벌군 #N용 인터리버 8200-04-N의 동작의 예를, 도 8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심벌군 #TFDX, 데이터 심벌군 #FDY, 데이터 심벌군 #TDZ(예를 들면, X, Y, Z는 1 이상의 정수)에 있어서, 심벌수(또는, 슬롯수)를 U로 한다. U는 1 이상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심벌 당(또는, 슬롯 당) 전송하는 비트수를 C로 한다. C는 1 이상의 정수로 한다.
「FEC 블럭(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 또는,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길이)의 정수배의 데이터가 들어가는 심벌수(또는 슬롯수), V(V는 1 이상의 정수로 한다)」을 확보한다. 단, U-α+1≤≤V≤≤U를 만족하는 것으로 한다(α는, 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부호길이)(단위:비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심벌수(또는 슬롯수)인 것으로 하고, 1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U-V≠0일 때, U-V 심벌(또는, U-V 슬롯)의 더미 심벌(또는, 더미 슬롯)을 부가한다. 따라서, 데이터 심벌군 #TFDX, 또는, 데이터 심벌군 #FDY, 또는, 데이터 심벌군 #TDZ는, V 심벌(또는, V 슬롯)의 데이터 심벌과 U-V 심벌(또는, U-V 슬롯)의 더미 심벌로 구성되게 된다. 더미 심벌의 각 심벌에서는, 동상 성분 I에 어떠한 값을 갖고, 직교 성분 Q에 대해서도 어떠한 값을 가지게 된다.
데이터 심벌군 #TFDX, 데이터 심벌군 #FDY, 데이터 심벌군 #TDZ는, 「V 심벌(또는, V 슬롯)의 데이터 심벌과 U-V 심벌(또는, U-V 슬롯)의 더미 심벌로 구성되는」것을 만족하게 된다.
따라서, U-V≠0일 때, 「데이터 심벌용의 데이터(FEC 블럭(오류 정정 부호의 블럭길이)(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길이)의 정수배의 데이터)」의 비트수는 C×V=A×C×α비트(A는 1 이상의 정수)가 되고, 더미 심벌용 데이터의 비트수는 C×(U-V) 비트가 된다.
도 84에, U-V≠0일 때의,
비트수 C×V=A×C×α비트(A는 1 이상의 정수) 비트의 「데이터 심벌용의 데이터」와 비트수 C×(U-V) 비트의 「더미 심벌용 데이터」의, 도 82, 도 83 등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1용의 인터리버(8200-04-1), 데이터 심벌군 #2용 인터리버(8200-04-2), …, 데이터 심벌군 #N용 인터리버 8200-04-N의 동작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4에 있어서의 (a)는, 정렬 전의 데이터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심벌용의 데이터, 더미 심벌용의 데이터의 순서로 데이터가 나열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단, 정렬 전의 데이터의 나열은, 도 84에 있어서의 (a)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도 84에 있어서의 (b)는, 도 84에 있어서의 (a)로 나타낸 데이터에 대해, 차례대로 정렬했을 때의 데이터가 된다. 즉, 도 84에 있어서의 (b)의 C×U비트의 정렬 후의 데이터이다. 데이터의 정렬 방법은, 어떠한 규칙이어도 된다.
도 82, 도 83 등의 데이터 심벌군 #1용 맵핑부(8200-06-1), 데이터 심벌군 #2용 맵핑부(8200-06-2), …, 데이터 심벌군 #N용 맵핑부 8200-06-N는, 도 84에 있어서의 (b)에 나타낸 정렬 후의 데이터에 대해서 맵핑을 행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 심벌군 #1용 인터리버(8200-04-1)의 데이터의 정렬 방법, 데이터 심벌군 #2용 인터리버(8200-04-2)의 데이터의 정렬 방법, …, 데이터 심벌군 #N용 인터리버 8200-04-N의 데이터의 정렬 방법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데이터 심벌용의 데이터」와「더미 심벌용의 데이터」를 정렬한 경우, 데이터 심벌군의 데이터 심벌과 더미 심벌의 배치의 모습은, 도 64와 같은 배치에 한정한 것은 아니게 된다. 예를 들면, 더미 심벌은, 데이터 심벌군에 있어서의 시간-주파수축에 있어서, 어떠한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 「데이터」와「더미 데이터」에 의해, 심벌, 또는, 슬롯을 구성하는 경우가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또, 데이터 심벌군 #1용의 인터리버(8200-05-1), 데이터 심벌군 #2용 인터리버(8200-05-2), …, 데이터 심벌군 #N용 인터리버 8200-05-N는, 정렬 방법을 프레임마다 전환해도 된다. 그리고, 데이터 심벌군 #1용의 인터리버(8200-05-1), 데이터 심벌군 #2용 인터리버(8200-05-2), …, 데이터 심벌군 #N용 인터리버 8200-05-N 중, 정렬을 행하지 않는 것(인터리버)이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79에 있어서, 특정의 캐리어에 배치한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 데이터 심벌군 #FD5(#TFD5) 7900-05에서는, 정렬을 행하지 않는다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수신 장치는, 특정의 캐리어의 데이터 심벌군의 데이터를 지연이 적게 얻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5에, 데이터 심벌군 #1용의 인터리버(8200-05-1), 데이터 심벌군 #2용 인터리버(8200-05-2), …, 데이터 심벌군 #N용 인터리버 8200-05-N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2, 도 83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더미 데이터 생성부(8500-01)는, 제어 신호(8200-00)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8200-00)에 포함되어 있는 더미 데이터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더미 데이터를 발생하는 비트수 등에 의거하여, 더미 데이터를 생성하고, 더미 데이터(8500-02)를 출력한다.
인터리버(8500-04)는, 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8500-03)(도 82, 도 83 등에 있어서의 데이터 심벌군 #1용의 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8200-03-1), 데이터 심벌군 #2용의 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8200-03-2), …, 데이터 심벌군 #N용의 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 8200-03-N에 상당), 더미 데이터(8500-02), 제어 신호(8200-00)을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8200-00)에 포함되는 인터리브의 방법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8500-03), 더미 데이터(8500-02)에 대해서, 정렬을 행하고, 정렬 후의 데이터(8500-05)(도 82, 도 83 등에 있어서의 데이터 심벌군 #1용의 정렬 후의 데이터(8200-05-1), 데이터 심벌군 #2용의 정렬 후의 데이터(8200-05-2), …, 데이터 심벌군 #N용의 정렬 후의 데이터 8200-05-N에 상당)를 출력한다.
또한, 더미 심벌의 데이터(또는, 더미 데이터)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지의 데이터로 구성하는 방법을, 예를 들면 생각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54, 도 79 등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1 프리앰블, 및/또는, 제2 프리앰블은, 「각 데이터 심벌군이 사용하는 캐리어·시간에 관련된 정보」, 「각 데이터 심벌군에 있어서의 더미 데이터(또는 더미 심벌)의 삽입하는 비트수(또는, 심벌수)에 관련된 정보」, 「각 데이터 심벌군의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 「각 데이터 심벌군의 변조 방식(또는, 변조 방식 세트)에 관련된 정보」, 「각 데이터 심벌군에서 사용하는 인터리브 방법에 관련되는 정보」, 「각 데이터 심벌군에서 사용하는 오류 정정 부호에 관련되는 정보」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수신 장치는, 각 데이터 심벌군의 데이터 심벌군의 복조가 가능해진다. 단, 프레임 구성은 도 54, 도 79 등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데이터 심벌용의 데이터와 더미 데이터의 정렬을 행함으로써, 데이터 심벌용의 데이터가, 시간-주파수축에 존재하는 심벌에 이산적으로 배치되게 되기 때문에, 시간 및 주파수 다이버 시티 게인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미 심벌 삽입 방법을 적용하는 기지국(AP)의 구성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기지국(AP)의 구성은, 도 1에 있어서, 데이터 생성부(102), 프레임 구성부(110)를 도 86에 치환한 구성인 것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86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86에 있어서, 도 1, 도 82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설명을 이미 행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데이터 심벌군 #1용 캐리어 정렬부(8600-01-1)는, 데이터 심벌군 #1용의 맵핑 후의 신호(8200-07-1), 제어 신호(8200-00)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8200-00)에 포함되는 캐리어 정렬 방법의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 심벌군 #1용의 맵핑 후의 신호(8200-07-1)에 대해, 캐리어의 정렬을 행하며, 데이터 심벌군 #1용의 캐리어 정렬 후의 신호(8600-02-1)를 출력한다. 또한, 캐리어의 정렬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동일하게 데이터 심벌군 #2용 캐리어 정렬부(8600-01-2)는, 데이터 심벌군 #2의 맵핑 후의 신호(8200-07-2), 제어 신호(8200-00)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8200-00)에 포함되는 캐리어 정렬 방법의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 심벌군 #2의 맵핑 후의 신호(8200-07-2)에 대해, 캐리어의 정렬을 행하고, 데이터 심벌군 #2용의 캐리어 정렬 후의 신호(8600-02-2)를 출력한다. 또한, 캐리어의 정렬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
또, 데이터 심벌군 #N용 캐리어 정렬부 8600-01-N는, 데이터 심벌군 #N의 맵핑 후의 신호 8200-07-N, 제어 신호(8200-00)을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8200-00)에 포함되는 캐리어 정렬 방법의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 심벌군 #N의 맵핑 후의 신호 8200-07-N에 대해, 캐리어의 정렬을 행하고, 데이터 심벌군 #N용의 캐리어 정렬 후의 신호 8600-02-N를 출력한다. 또한, 캐리어의 정렬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한다.
또한, 이외의 부분의 처리에 대해서는, 도 1, 도 82를 이용하여 설명한 대로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1, 도 86은, 장치의 일례의 구성이며,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기지국(AP)의 다른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기지국(AP)의 다른 구성은, 도 76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생성부(7600-00), 프레임 구성부(7600-01)를 도 87에 치환한 구성인 것으로 한다.
도 87에 있어서, 도 58, 도 76, 도 82, 도 86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은, 설명을 생략한다(따라서, 도 87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76, 도 87은, 장치의 일례의 구성이며,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다음에, 도 86, 도 87의 데이터 심벌군 #1용 캐리어 정렬부(8600-01-1), 데이터 심벌군 #2용 캐리어 정렬부(8600-01-2), …, 데이터 심벌군 #N용 캐리어 정렬부 8600-01-N에 있어서의 캐리어 정렬의 동작의 일례에 대해서, 도 8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8에 있어서의 (a)는, 캐리어 정렬 전의 데이터 심벌군의 심벌 구성의 예를 나타내고 있고, 가로축이 시간, 세로축이 주파수(캐리어)인 것으로 한다. 도 88에 있어서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어$1의 심벌을 제1 심벌열이라고 이름 붙이고, 캐리어$2의 심벌을 제2 심벌열이라고 이름 붙이며, 캐리어$3의 심벌을 제3 심벌열이라고 이름 붙이고, 캐리어$4의 심벌을 제4 심벌열이라고 이름 붙이며, 캐리어$5의 심벌을 제5 심벌열이라고 이름 붙이고, 캐리어$6의 심벌을 제6 심벌열이라고 이름 붙이며, 캐리어$7의 심벌을 제7 심벌열이라고 이름 붙인다. 따라서, 데이터 심벌군은, 제1 심벌열로부터 제7 심벌열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88에 있어서의 (b)는 캐리어 정렬 후의 데이터 심벌군의 심벌 구성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8에 있어서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어 정렬 전에 캐리어$1에 배치되어 있던 제1 심벌열은, 캐리어 정렬 후 캐리어$4에 배치된다.
캐리어 정렬 전에 캐리어$2에 배치되어 있던 제2 심벌열은, 캐리어 정렬 후 캐리어$6에 배치된다.
캐리어 정렬 전에 캐리어$3에 배치되어 있던 제3 심벌열은, 캐리어 정렬 후 캐리어$5에 배치된다.
캐리어 정렬 전에 캐리어$4에 배치되어 있던 제4 심벌열은, 캐리어 정렬 후 캐리어$2에 배치된다.
캐리어 정렬 전에 캐리어$5에 배치되어 있던 제5 심벌열은, 캐리어 정렬 후 캐리어$7에 배치된다.
캐리어 정렬 전에 캐리어$6에 배치되어 있던 제6 심벌열은, 캐리어 정렬 후 캐리어$1에 배치된다.
캐리어 정렬 전에 캐리어$7에 배치되어 있던 제7 심벌열은, 캐리어 정렬 후 캐리어$3에 배치된다.
이상의 예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 #1용 캐리어 정렬부(8600-01-1), 데이터 심벌군 #2용 캐리어 정렬부(8600-01-2), …, 데이터 심벌군 #N용 캐리어 정렬부 8600-01-N에서는, 심벌열의 캐리어 위치의 변경이 행해진다. 또한, 도 88의 캐리어 교체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캐리어 교체 방법은,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캐리어 정렬을 행함으로써, 시간·주파수 다이버시티 게인이 커지도록, 데이터 심벌이 배치되게 되기 때문에,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데이터 생성부(102), 프레임 구성부(110)를 도 86에 치환한 구성의 기지국(AP)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도 1에 있어서, 데이터 생성부(102), 프레임 구성부(110)을 도 89에 치환한 구성이어도 된다.
도 89에 있어서, 도 1, 도 82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설명은 생략한다.
캐리어 정렬부 8900-01-1는, 스트림 1의 (직교)베이스 밴드 신호(8201_1), 제어 신호(8200-00)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8200-00)에 포함되는 캐리어 정렬의 정보에 의거하여, 캐리어의 정렬을 행하고(도 88 참조) 캐리어 정렬 후의 베이스 밴드 신호(8900-02-1)를 출력한다.
동일하게 캐리어 정렬부 8900-01-2는, 스트림 2의 (직교)베이스 밴드 신호(8201_2), 제어 신호(8200-00)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8200-00)에 포함되는 캐리어 정렬의 정보에 의거하여, 캐리어 정렬을 행하고(도 88 참조), 캐리어 정렬 후의 베이스 밴드 신호(8900-02-2)를 출력한다.
따라서, 도 1의 신호 처리부(112)는, 스트림 1의 (직교)베이스 밴드 신호(111_1) 대신에 캐리어 정렬 후의 베이스 밴드 신호(8900-02-1)를 입력으로 하고, 스트림 2의 (직교)베이스 밴드 신호(111_2) 대신에 캐리어 정렬 후의 베이스 밴드 신호(8900-02-2)를 입력으로 한다.
도 76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생성부(7600-00), 프레임 구성부(7600-01)를 도 87에 치환한 구성의 기지국(AP)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도 76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생성부(7600-00), 프레임 구성부(7600-01)를 도 90에 치환한 구성이어도 된다.
도 90에 있어서, 도 58, 도 76, 도 82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설명은 생략한다.
캐리어 정렬부 9000-01는, 변조 신호(7600-02), 제어 신호(8200-00)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8200-00)에 포함되는 캐리어 정렬의 정보에 의거하여, 캐리어 정렬을 행하고(도 88 참조), 캐리어 정렬 후의 베이스 밴드 신호(9000-02)를 출력한다.
따라서, 도 76의 무선부(5816)는, 변조 신호(7600-02) 대신에 캐리어 정렬 후의 베이스 밴드 신호(9000-02)를 입력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데이터 심벌군에 대해, 몇 개의, 더미 심벌, 또는, 더미 데이터를 삽입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행했다. 이와 같이, 더미 심벌, 또는, 더미 데이터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수신 장치는, 간단하게 데이터 심벌을 선별하고, 복조 및 복호를 행할 수 있고, 또한 더미 심벌, 또는, 더미 데이터에 의한 데이터 전송 속도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효율적으로, 1개 이상의 데이터 심벌군을 송신할 수 있는, 즉, 데이터 심벌군마다 전송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보충 2)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을 주파수 분할 다중하고 있을 때의 (서브)캐리어 간격의 설정과 데이터 심벌군을 시간 분할 다중하고 있는, 또는, 데이터 심벌군을 주파수 분할하고 있지 않을 때의 (서브)캐리어 간격의 설정을 따로 따로 행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당연하지만, 실시의 형태 C, 실시의 형태 D에 있어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79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 및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2 및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 및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서브)캐리어 간격과,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단, 도 79에서는, 「동일」일 때의 프레임 구성을 예로 기재하고 있다.
또한, 도 91에, 「상이할」때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 및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2 및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 및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를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채널 간격과,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채널 간격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단,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 및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2 및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 및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를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주파수 점유 대역과,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주파수 점유 대역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도 91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 및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2 및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 및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를 송신하고 있는 시간에 존재하는 (서브)캐리어수는 64이며,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에 존재하는 (서브)캐리어수는 256이다.
동일하게, 도 79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 및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2 및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 및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를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서브)캐리어 간격과 제1 프리앰블(또는, 제2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단, 도 79에서는, 「동일」일 때의 프레임 구성을 예로 기재하고 있다.
또한, 도 91에, 「상이할」때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 및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02 및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 및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를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채널 간격과, 제1 프리앰블(또는, 제2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채널 간격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단,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 및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02 및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 및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를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주파수 점유 대역과, 제1 프리앰블(또는, 제2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주파수 점유 대역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도 91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 및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02 및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 및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를 송신하고 있는 시간에 존재하는 (서브)캐리어수는 64이며, 제1 프리앰블(또는, 제2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에 존재하는 (서브)캐리어수는 256이다.
도 79에 있어서, 제1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서브)캐리어 간격과 제2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이해도 된다.
도 92에, 「상이할」때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 제1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채널 간격과 제2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채널 간격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단, 제1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주파수 점유 대역과 제2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주파수 점유 대역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도 92에 있어서, 제1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에 존재하는 (서브)캐리어수는 64이며, 제2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에 존재하는 (서브)캐리어수는 256이다.
또, 도 79에 있어서, 제1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서브)캐리어 간격과 데이터 심벌군 #TFD10(#TFD10) 7900-10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이해도 된다.
도 93에, 「상이할」때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 제1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채널 간격과, 데이터 심벌군 #TFD10(#TFD10) 7900-10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채널 간격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단, 제1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주파수 점유 대역과, 데이터 심벌군 #TFD10(#TFD10) 7900-10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의 주파수 점유 대역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도 93에 있어서, 제1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에 존재하는 (서브)캐리어수는 64이며, 데이터 심벌군 #TFD10(#TFD10) 7900-10을 송신하고 있는 시간에 존재하는 (서브)캐리어수는 256이다.
또한, 상술의 보충 설명에서는, 도 79의 프레임 구성을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적용 가능한 프레임 구성은,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또, 실시의 형태 2와 조합하는 실시의 형태는 실시의 형태 C, 실시의 형태 D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실시의 형태 2와 실시의 형태 C, 실시의 형태 D를 조합하는 경우, 상술의 보충 설명을 적용함과 함께, 각 데이터 심벌에 대해 단말을 할당하게 되고, 또, 각 데이터 심벌에 대해 더미 심벌(또는, 더미 데이터)을 부가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을 구성하는 데이터로서는, 데이터의 패킷, 영상의 정보의 패킷, 오디오의 정보의 패킷, 동영상 또는 정지 화면의 정보의 패킷, 데이터 스트림, 영상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동영상 또는 정지화면의 스트림 등을 일례로서 상정할 수 있지만, 데이터 심벌군을 구성하는 데이터의 종류나 데이터의 구성은, 이들에 제한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예를 들면,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24, 도 25, 도 26, 도 27, 도 28, 도 29, 도 30, 도 31, 도 32, 도 33, 도 34, 도 35, 도 36, 도 37, 도 38, 도 48, 도 29, 도 50, 도 51, 도 52, 도 53, 도 54, 도 63, 도 65, 도 79 등에서의, 시간-주파수 축에서의 프레임 구성의 변조 신호를 기지국(또는, 액세스 포인트(AP) 등)이 송신할 때 경우를 설명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시간-주파수축에서의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의 데이터 심벌군 각각을 상이한 단말이 송신하도록 실시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이 점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프레임 구성은, 상기 도면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예를 들면,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24, 도 25, 도 26, 도 27, 도 28, 도 29, 도 30, 도 31, 도 32, 도 33, 도 34, 도 35, 도 36, 도 37, 도 38도 48, 도 29, 도 50, 도 51, 도 52, 도 53, 도 54, 도 63, 도 65, 도 79 등에 있어서의, 시간-주파수축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의 변조 신호를 기지국(또는, 액세스 포인트(AP) 등)이 송신할 때의 경우를 설명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시간-주파수축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의 데이터 심벌군 각각을 상이한 단말이 송신하도록 실시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이 점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프레임 구성은, 상기 도면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도 94의 프레임 구성에 의거한, 복수 단말의 변조 신호 송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94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은, 단말#1이 송신하는 데이터 심벌군인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02는, 단말#2가 송신하는 데이터 심벌군이며,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은, 단말#3이 송신하는 데이터 심벌군이며,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는, 단말#4가 송신하는 데이터 심벌군이며, 데이터 심벌군 #FD5(#TFD5) 7900-05는, 단말#5가 송신하는 데이터 심벌군이며, 데이터 심벌군 #FD6(#TFD6) 7900-06은, 단말#6이 송신하는 데이터 심벌군이며, 데이터 심벌군 #FD7(#TFD7) 7900-07은, 단말#7이 송신하는 데이터 심벌군이며, 데이터 심벌군 #FD8(#TFD8) 7900-08은, 단말#8이 송신하는 데이터 심벌군이며, 데이터 심벌군 #FD9(#TFD9) 7900-09는, 단말#9가 송신하는 데이터 심벌군이며,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은, 단말#10이 송신하는 데이터 심벌군이며, 데이터 심벌군 #TD11(#TFD11) 7900-11은, 단말#11이 송신하는 데이터 심벌군이다.
도 95는, 기지국(AP)과 단말#1, 단말#2, 단말#3, 단말#4, 단말#5, 단말#6, 단말#7, 단말#8, 단말#9, 단말#10, 단말#11의 통신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95에 있어서의 (a)는, 기지국(AP)이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고, 도 95에 있어서의 (b)는, 단말#1, 단말#2, 단말#3, 단말#4가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95에 있어서의 (c)는, 단말#5, 단말#6, 단말#7, 단말#8, 단말#9가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고, 도 95에 있어서의 (d)는, 단말#10이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95에 있어서의 (e)는, 단말#11이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9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지국(AP)은, 「심벌의 송신」9500-01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심벌의 송신」9500-01은 제어 정보, 및, 데이터 심벌을 송신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제어 정보는, 도 122의 시간 t1부터 t2에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의 정보(및, 단말의 주파수 할당 또는, 캐리어 할당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9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1, 단말#2, 단말#3, 단말#4는, 기지국(AP)이 송신한 「심벌」9500-01을 수신하고, 단말#1, 단말#2, 단말#3, 단말#4는, 「심벌의 송신」9500-02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 때, 단말#1은, 도 94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을 송신하고, 단말#2는, 도 94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02를 송신하며, 단말#3은, 도 94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을 송신하고, 단말#4는, 도 94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를 송신한다.
다음에, 도 9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지국(AP)은, 「심벌의 송신」(9500-03)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심벌의 송신」(9500-03)은 제어 정보, 및, 데이터 심벌을 송신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제어 정보는, 도 94의 시간 t3부터 t4에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의 정보(및, 단말의 주파수 할당 또는, 캐리어 할당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9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5, 단말#6, 단말#7, 단말#8, 단말#9는, 기지국(AP)이 송신한 「심벌」(9500-03)을 수신하고, 단말#5, 단말#6, 단말#7, 단말#8, 단말#9는, 「심벌의 송신」9500-04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 때, 단말#5는, 도 94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 #FD5(#TFD5) 7900-05를 송신하고, 단말#6은, 도 94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 #FD6(#TFD6) 7900-06을 송신하며, 단말#7은, 도 94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 #FD7(#TFD7) 7900-07을 송신하고, 단말#8은, 도 94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 #FD8(#TFD8) 7900-08을 송신하며, 단말#9는, 도 94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 #FD9(#TFD9) 7900-09를 송신한다.
그리고, 도 9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지국(AP)은, 「심벌의 송신」(9500-05)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심벌의 송신」(9500-05)는 제어 정보, 및, 데이터 심벌을 송신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제어 정보는, 도 94의 시간 t5부터 t6에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의 정보(및, 단말의 시간 할당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9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10, 단말#11은, 기지국(AP)이 송신한 「심벌」(9500-05)를 수신하고, 단말#10, 단말#11은, 각각 「심벌의 송신」(9500-06), 「심벌의 송신」(9500-07)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 때, 단말#10은, 도 94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을 송신하고, 단말#11은, 도 94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 #TD11(#TFD11) 7900-11을 송신한다.
도 96은, 단말#1, 단말#2, 단말#3, 단말#4, 단말#5, 단말#6, 단말#7, 단말#8, 단말#9, 단말#10, 단말#11이 각각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02),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 데이터 심벌군 #FD5(#TFD5) 7900-05, 데이터 심벌군 #FD6(#TFD6) 7900-06, 데이터 심벌군 #FD7(#TFD7) 7900-07, 데이터 심벌군 #FD8(#TFD8) 7900-08, 데이터 심벌군 #FD9(#TFD9) 7900-09,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 데이터 심벌군 #TD11(#TFD11) 7900-11을 송신할 때의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02,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 데이터 심벌군 #FD5(#TFD5) 7900-05, 데이터 심벌군 #FD6(#TFD6) 7900-06, 데이터 심벌군 #FD7(#TFD7) 7900-07, 데이터 심벌군 #FD8(#TFD8) 7900-08, 데이터 심벌군 #FD9(#TFD9) 7900-09,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 데이터 심벌군 #TD11(#TFD11) 7900-1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6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이며, 세로축은 주파수(캐리어)이다.
도 9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데이터 심벌군은, 예를 들면, 제3 프리앰블(9600-01), 제4 프리앰블(9600-02), 데이터 심벌(9600-03)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제3 프리앰블(9600-01)은, 신호 검출, 시간 및 주파수 동기를 위한(송수신기에 있어서 기지의) PSK 심벌을 포함하고 있고 제4 프리앰블(9600-02)는, 수신 장치가 AGC(Automatic Gain Control)를 실시하기 위한 AGC 심벌, 채널 추정을 행하기 위한 파일럿 심벌(레퍼런스 심벌), 기지국(AP)이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단말 정보, 데이터 심벌(9600-03)의 변조 방식, 오류 정정 부호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정보 심벌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심벌(9600-03)은, 단말이 기지국(AP)에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심벌인 것으로 한다.
또한, 도 96에 있어서, 제3 프리앰블(9600-01), 제4 프리앰블(9600-02), 데이터 심벌의 시간-주파수축에 있어서의 배치는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특정의 캐리어에, 제3 프리앰블, 제4 프리앰블을 배치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예를 들면,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24, 도 25, 도 26, 도 27, 도 28, 도 29, 도 30, 도 31, 도 32, 도 33, 도 34, 도 35, 도 36, 도 37, 도 38도 48, 도 29, 도 50, 도 51, 도 52, 도 53, 도 54, 도 63, 도 65, 도 79 등에 있어서의 시간-주파수축에서의 프레임 구성은, 송신 방법이 SISO(또는, SIMO) 방식의 프레임 구성이어도 되고, MISO 방식의 프레임 구성이어도 되고, MIMO 방식의 프레임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이 점에 대해서는, 모든 실시의 형태의 모든 프레임에 대해서, 동일하다. 프레임 구성은, 상기 도면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OFDM 방식을 예로 설명했지만, OFDM 방식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부분에서는, 멀티 캐리어를 이용한 송신 방법을 이용해도 동일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E)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지국(AP)이, 실시의 형태 C, 실시의 형태 D에서 설명한 것처럼, 도 79의 프레임 구성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9의 시간 t1부터 시간 t2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02),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D에서는, 더미 심벌(또는, 더미 슬롯, 더미 데이터)을 삽입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더미 심벌(또는, 더미 슬롯, 더미 데이터)을 삽입하지 않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97은, 더미 심벌(또는, 더미 슬롯, 더미 데이터)을 삽입하지 않는 특히, 도 79의 시간 t1부터 시간 t2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02,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9의 시간 t1부터 시간 t2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02),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 증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심벌군 에 있어서, 도 97과 같이, 빈 심벌(빈 슬롯)(9700-02)이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도 97에 있어서, 가로축을 시간, 세로축을 주파수(캐리어)로 했을 때의 시간 t1부터 시간 t2에 있어서의 데이터 심벌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97에 있어서, 9700-01은 데이터 심벌이며, 이 심벌을 이용하여, 기지국(AP)은,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97의 9700-02는, 빈 심벌(또는, 빈 슬롯)이며, 이 심벌에서는, 기지국(AP)은,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지 않고, 빈 심벌(빈 슬롯)(9700-02)에서는, 심벌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즉, 빈 심벌(빈 슬롯)(9700-02)이 차지하는 시간 구간, 및, 주파수 구간에서는, 변조 신호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도 98은, 기지국(AP)이 도 79의 프레임 구성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있을 때, 시간 t1부터 시간 t2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02,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심벌군에 있어서, 도 97과 같이 「빈 심벌(빈 슬롯)」(9700-02)이 발생했을 때에, 「빈 심벌(빈 슬롯)」(9700-02)을 이용하여, 다른 데이터 심벌군을 송신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8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캐리어), 가로축은 시간이며, 도 97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데이터 심벌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설명은 생략한다. 기지국(AP)은, 도 97의 「빈 심벌(빈 슬롯)」9700-02을 이용하여, 다른 데이터 심벌을 송신하게 된다.
도 98에 있어서, 9800-01은 프리앰블이며, 9800-02는 데이터 심벌군 #A이며, 프리앰블(9800-01), 및, 데이터 심벌군 #A(9800-02)는, 예를 들면, 새로운 단말#A에 전송하기 위한 심벌(심벌군)인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프리앰블(9800-01)은, 단말#A가 신호 검출, 시간 및 주파수 동기, 채널 추정을 실시하기 위한 심벌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또, 데이터 심벌군 #A를 생성하는데 사용한,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의 정보, 변조 신호의 정보, 송신 방법의 정보 등의 제어 정보 심벌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하며, 단말#A는, 이러한 제어 정보를 얻음으로써, 데이터 심벌군 #A의 복조 및 복호가 가능해진다.
도 79의 시간 t3부터 시간 t4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벌군 #FD5(#TFD5) 7900-05, 데이터 심벌군 #FD6(#TFD6) 7900-06, 데이터 심벌군 #FD7(#TFD7) 7900-07, 데이터 심벌군 #FD8(#TFD8) 7900-08, 데이터 심벌군 #FD9(#TFD9) 7900-09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D에서는, 더미 심벌(또는, 더미 슬롯, 더미 데이터)을 삽입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더미 심벌(또는, 더미 슬롯, 더미 데이터)을 삽입하지 않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99는, 더미 심벌(또는, 더미 슬롯, 더미 데이터)을 삽입하지 않는 특히, 도 79의 시간 t3부터 시간 t4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벌군 #FD5(#TFD5) 7900-05, 데이터 심벌군 #FD6(#TFD6) 7900-06, 데이터 심벌군 #FD7(#TFD7) 7900-07, 데이터 심벌군 #FD8(#TFD8) 7900-08, 데이터 심벌군 #FD9(#TFD9) 7900-09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9의 시간 t3부터 시간 t4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벌군 #FD5(#TFD5) 7900-05, 데이터 심벌군 #FD6(#TFD6) 7900-06, 데이터 심벌군 #FD7(#TFD7) 7900-07, 데이터 심벌군 #FD8(#TFD8) 7900-08, 데이터 심벌군 #FD9(#TFD9) 7900-09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심벌군에 있어서, 도 99와 같이, 빈 심벌(빈 슬롯)(9900-02)이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도 99에 있어서, 가로축을 시간, 세로축을 주파수(캐리어)로 했을 때의 시간 t3부터 시간 t4에 있어서의 데이터 심벌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99에 있어서, 9900-01은 데이터 심벌이며, 이 심벌을 이용하여, 기지국(AP)은,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99의 9900-02는, 빈 심벌(또는, 빈 슬롯)이며, 이 심벌에서는, 기지국(AP)은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지 않고, 빈 심벌(빈 슬롯)(9900-02)에서는, 심벌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즉, 빈 심벌(빈 슬롯)(9900-02)이 차지하는 시간 구간, 및, 주파수 구간에서는, 변조 신호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도 100은, 기지국(AP)이 도 79의 프레임 구성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있을 때, 시간 t3부터 시간 t4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벌군 #FD5(#TFD5) 7900-05, 데이터 심벌군 #FD6(#TFD6) 7900-06, 데이터 심벌군 #FD7(#TFD7) 7900-07, 데이터 심벌군 #FD8(#TFD8) 7900-08, 데이터 심벌군 #FD9(#TFD9) 7900-09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심벌군에 있어서, 도 99와 같이 「빈 심벌(빈 슬롯)」(9900-02)이 발생했을 때에, 「빈 심벌(빈 슬롯)」(9900-02)을 이용하고, 다른 데이터 심벌군을 송신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0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캐리어), 가로축은 시간이며, 도 99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데이터 심벌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설명은 생략한다. 기지국(AP)은, 도 99의 「빈 심벌(빈 슬롯)」(9900-02)을 이용하여, 다른 데이터 심벌을 송신하게 된다.
도 100에 있어서, 10000-01은 프리앰블이며, 10000-02는 데이터 심벌군 #B이며, 프리앰블 10000-01, 및, 데이터 심벌군 #B(10000-02)는, 예를 들면, 새로운 단말#B에 전송하기 위한 심벌(심벌군)인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프리앰블 10000-01은, 단말#B가 신호 검출, 시간 및 주파수 동기, 채널 추정을 실시하기 위한 심벌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또한 데이터 심벌군 #B를 생성하는데 사용한,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의 정보, 변조 신호의 정보, 송신 방법의 정보 등의 제어 정보 심벌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하며, 단말#B는, 이러한 제어 정보를 얻음으로써, 데이터 심벌군 #B의 복조 및 복호가 가능해진다.
그런데, 도 79와 같이, 제1 프리앰블, 제2 프리앰블이 존재하고, 시간 t1부터 시간 t2, 및, 시간 t3부터 시간 t4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을 주파수 분할하고, 기지국(AP)이 데이터 심벌군을 송신하면, 주파수 분할을 행한 데이터 심벌군에서는, 「빈 심벌(빈 슬롯)」이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도 98, 도 100을 이용해 설명한 것처럼, 「빈 심벌(빈 슬롯)」을 이용하여, 데이터 심벌군을, 기지국(AP)이 송신함으로써, 기지국(AP) 및 단말로부터 구성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의 전송 효율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도 98, 도 100에 있어서,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있지만, 이 심벌을 추가함으로써, (새로운) 단말은, 데이터 심벌군이 존재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기지국(AP)이, 도 98, 도 100과 같이, 프리앰블과 데이터 심벌군을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심벌끼리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동일 시각, 동일 주파수에 복수의 데이터 심벌이 존재하는 것 같은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9에 있어서, 시간 분할을 행한 데이터 심벌군(또는, 2이상의 데이터 심벌군이 존재하는 시간이 없도록 데이터 심벌군을 배치하는 경우)에 대한 적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79의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 데이터 심벌군 #11(#TFD11) 7900-11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D에서는, 더미 심벌(또는, 더미 슬롯, 더미 데이터)을 삽입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여기에서는, 더미 심벌(또는, 더미 슬롯, 더미 데이터)을 삽입하지 않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9의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 데이터 심벌군 #TD11(#TFD11) 7900-11에 있어서, 도 101과 같이, 빈 심벌(빈 슬롯)(10100-02)이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도 101에 있어서, 가로축을 시간, 세로축을 주파수(캐리어)로 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 데이터 심벌군 #TD11(#TFD11) 7900-1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1에 있어서, 10100-01은 데이터 심벌이며, 이 심벌을 이용하여, 기지국(AP)은,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01의 10100-02는, 빈 심벌(또는, 빈 슬롯)이며, 이 심벌에서는, 기지국(AP)은,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지 않고, 빈 심벌(빈 슬롯)(10100-02)에서는, 심벌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즉, 빈 심벌(빈 슬롯)(10100-02)이 차지하는 시간 구간, 및, 주파수 구간에서는, 변조 신호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도 101에 있어서의 특징적인 점은, 빈 심벌(빈 슬롯)이 존재하는 시간 구간이 복수에 걸치지 않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79의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에 있어서, 도 101과 같은 상태가 된 것으로 한다. 이 때, 도 101과 같이, 빈 심벌(빈 슬롯)(10100-02)은, 시간 「*50」에만 존재하게 된다.
도 101의 상태에 대해, 새로운 데이터 심벌군을 송신해도 데이터의 전송 효율은 크게 개선되는 것은 어렵다. 또, 프리앰블과 데이터 심벌군을 상이한 시간에 송신하는 것도 어렵다.
따라서, 데이터 심벌군을 시간 분할(또는, 2이상의 데이터 심벌군이 존재하는 시간이 내용에 데이터 심벌군을 배치한다)을 행했을 때는, 새로운 「프리앰블과 데이터 심벌군」을 송신하는 구성을 적용하게 된다. 단, 새로운 「프리앰블과 데이터 심벌군」을 송신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데이터 심벌군에 있어서의 「빈 심벌(빈 슬롯)」을 이용하여, (프리앰블, 및) 새롭게 데이터 심벌군을 송신함으로써, 기지국(AP) 및 단말로부터 구성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효율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기지국(AP)이, 실시의 형태 C, 실시의 형태 D에서 설명한 것처럼, 도 79의 프레임 구성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2는, 도 79와는 상이한, 기지국(AP)이 송신하는 다른 프레임 구성의 일례이며, 도 2, 도 79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2에 있어서, 도 79와 상이한 점은, 시간 t2부터 시간 t3에 사이에, 제3의 프리앰블을 프레임에 삽입하고 있는 점이다.
도 102의 시간 t3부터 시간 t4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벌군 #FD5(#TFD5) 7900-05, 데이터 심벌군 #FD6(#TFD6) 7900-06, 데이터 심벌군 #FD7(#TFD7) 7900-07, 데이터 심벌군 #FD8(#TFD8) 7900-08, 데이터 심벌군 #FD9(#TFD9) 7900-09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D에서는, 더미 심벌(또는, 더미 슬롯, 더미 데이터)을 삽입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더미 심벌(또는, 더미 슬롯, 더미 데이터)을 삽입하지 않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99는, 더미 심벌(또는, 더미 슬롯, 더미 데이터)을 삽입하지 않는 특히, 도 102의 시간 t3부터 시간 t4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벌군 #FD5(#TFD5) 7900-05, 데이터 심벌군 #FD6(#TFD6) 7900-06, 데이터 심벌군 #FD7(#TFD7) 7900-07, 데이터 심벌군 #FD8(#TFD8) 7900-08, 데이터 심벌군 #FD9(#TFD9) 7900-09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2의 시간 t3부터 시간 t4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벌군 #FD5(#TFD5) 7900-05, 데이터 심벌군 #FD6(#TFD6) 7900-06), 데이터 심벌군 #FD7(#TFD7) 7900-07, 데이터 심벌군 #FD8(#TFD8) 7900-08, 데이터 심벌군 #FD9(#TFD9) 7900-09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심벌군에 있어서, 도 99와 같이, 빈 심벌(빈 슬롯)(9900-02)이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도 99에 있어서, 가로축을 시간, 세로축을 주파수(캐리어)로 했을 때의 시간 t3부터 시간 t4에 있어서의 데이터 심벌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99에 있어서, 9900-01은 데이터 심벌이며, 이 심벌을 이용하여, 기지국(AP)은,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99의 9900-02는, 빈 심벌(또는, 빈 슬롯)이며, 이 심벌에서는, 기지국(AP)은,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지 않고, 빈 심벌(빈 슬롯)(9900-02)에서는, 심벌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즉, 빈 심벌(빈 슬롯)(9900-02)이 차지하는 시간 구간, 및, 주파수 구간에서는, 변조 신호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도 103은, 기지국(AP)이 도 102의 프레임 구성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있을 때, 시간 t3부터 시간 t4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벌군 #FD5(#TFD5) 7900-05, 데이터 심벌군 #FD6(#TFD6) 7900-06), 데이터 심벌군 #FD7(#TFD7) 7900-07, 데이터 심벌군 #FD8(#TFD8) 7900-08, 데이터 심벌군 #FD9(#TFD9) 7900-09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심벌군에 있어서, 도 99와 같이 「빈 심벌(빈 슬롯)」(9900-02)이 발생했을 때에, 「빈 심벌(빈 슬롯)」(9900-02)을 이용하여, 다른 데이터 심벌군을 송신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3에 있어서, 세로축은 주파수(캐리어), 가로축은 시간이며, 도 99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데이터 심벌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어 설명은 생략한다. 기지국(AP)은, 도 99의 「빈 심벌(빈 슬롯)」(9900-02)을 이용하여, 다른 데이터 심벌을 송신하게 된다.
도 103에 있어서, 10300-01은 데이터 심벌군 #A이며, 데이터 심벌군 #B(10300-01)는, 예를 들면, 새로운 단말#B에 전송하기 위한 심벌(심벌군)인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도 102의 제3 프리앰블 10200-01은, 단말#B가 신호 검출, 시간 및 주파수 동기, 채널 추정을 실시하기 위한 심벌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또한 데이터 심벌군 #B를 생성하는데 사용한,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의 정보, 변조 신호의 정보, 송신 방법의 정보, 데이터 심벌군 #B가 존재하는, 시간 및 주파수의 위치 등의 제어 정보 심벌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이러한 제어 정보를 얻음으로써, 단말#B는, 데이터 심벌군 #B의 복조 및 복호가 가능해진다.
또한, 도 102에서는, 시간 t2부터 시간 t3의 사이에, 제3 프리앰블을 삽입했지만, 시간 t0부터 시간 t1의 사이에 제3 프리앰블을 삽입해도 된다. 이 때, 예를 들면, 도 102의 시간 t1부터 시간 t2에 존재하는 데이터 심벌군 #FD1(#TFD1) 7900-01, 데이터 심벌군 #FD2(#TFD2) 7900-02, 데이터 심벌군 #FD3(#TFD3) 7900-03, 데이터 심벌군 #FD4(#TFD4) 7900-0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심벌군에 있어서, 도 99와 같이, 빈 심벌(빈 슬롯)(9900-02)가 존재하는 것으로 하고, 이 빈 심벌(빈 슬롯)(9900-02)을 이용하여, 도 103과 같이 데이터 심벌군 #B를 송신해도 된다.
도 102에 있어서, 시간 분할을 행한 데이터 심벌군(또는, 2이상의 데이터 심벌군이 존재하는 시간이 없도록 데이터 심벌군을 배치한다)에 대한 적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2의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 데이터 심벌군 #TD11(#TFD11) 7900-11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D에서는, 더미 심벌(또는, 더미 슬롯, 더미 데이터)을 삽입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여기에서는, 더미 심벌(또는, 더미 슬롯, 더미 데이터)을 삽입하지 않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2의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 데이터 심벌군 #TD11(#TFD11) 7900-11에 있어서, 도 101과 같이, 빈 심벌(빈 슬롯)(10100-02)이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도 101에 있어서, 가로축을 시간, 세로축을 주파수(캐리어)로 했을 때의 데이터 심벌군 #10(#TFD10) 7900-10, 데이터 심벌군 #TD11(#TFD11) 7900-1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1에 있어서, 10100-01은 데이터 심벌이며, 이 심벌을 이용하여, 기지국(AP)은,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01의 10100-02에서는, 빈 심벌(또는, 빈 슬롯)이며, 이 심벌에서는, 기지국(AP)은,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지 않고, 빈 심벌(빈 슬롯)(10100-02)에서는, 심벌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즉, 빈 심벌(빈 슬롯)(10100-02)이 차지하는 시간 구간, 및, 주파수 구간에서는, 변조 신호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도 101에 있어서의 특징적인 점은, 빈 심벌(빈 슬롯)이 존재하는 시간 구간이 복수에 걸치지 않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79의 데이터 심벌군 #TD10(#TFD10) 7900-10에 있어서, 도 101과 동일한 상태가 된 것으로 한다. 이 때, 도 101과 같이, 빈 심벌(빈 슬롯)(10100-02)은, 시간 「*50」에만 존재하게 된다.
도 101 상태에 대해, 새로운 데이터 심벌군을 송신하면, 약간이지만, 데이터의 전송 효율이 개선된다. 예를 들면,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행하지 않는 용도이면, 빈 심벌(빈 슬롯)(10100-02)을 데이터 송신에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 때, 도 104와 같이, 시간 t4부터 시간 t5의 사이에 제3 프리앰블 10400-01을 삽입하게 된다.(또한, 도 104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주파수이며, 도 79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10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01에 나타낸 빈 심벌(빈 슬롯)(10100-02)를 이용하여, 데이터 심벌군 #C(10500-01)를 송신하게 된다(또한, 도 105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주파수이며, 도 101과 같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어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5에 있어서, 데이터 심벌군 #C(10500-01)은, 예를 들면, 새로운 단말#C에 전송하기 위한 심벌(심벌군)인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도 104의 제3 프리앰블 10400-01은, 단말#C가 신호 검출, 시간 및 주파수 동기, 채널 추정을 실시하기 위한 심벌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또, 데이터 심벌군 #C를 생성하는데 사용한,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의 정보, 변조 신호의 정보, 송신 방법의 정보, 데이터 심벌군 #C가 존재하는, 시간 및 주파수의 위치 등의 제어 정보 심벌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하며, 단말#C는, 이러한 제어 정보를 얻음으로써, 데이터 심벌군 #C의 복조 및 복호가 가능해진다.
또한, 도 105와 같이, 데이터 심벌군 #C(10500-01)를 송신하지 않는 듯한 프레임 구성을 취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데이터 심벌군에 있어서의 「빈 심벌(빈 슬롯)」을 이용하여, 새롭게 데이터 심벌군을 송신함으로써, 기지국(AP) 및 단말로 구성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효율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새로운)데이터 심벌군, 및, 프리앰블의 송신 방법으로서 도 100, 도 102의 송신 방법이 있지만, 기지국(AP)은, 어느 송신 방법으로. 데이터 심벌군, 프리앰블을 송신해도 되고, 통신 상황에 따라 기지국(AP)은, 도 100, 도 102의 송신 방법을 전환하여, 데이터 심벌군, 프리앰블을 송신해도 된다. 또한, 도 100, 도 102의 송신 방법의 전환은, 기지국(AP)이 판단해도 되고, 기지국(AP)과 통신을 행하고 있는 단말로부터의 지시로, 기지국(AP)이 전환해도 된다.
(보충 3)
실시의 형태 C, 실시의 형태 D 등에서는, 기지국(AP)이, 데이터 심벌군에 대해, 더미 심벌을 삽입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고, 실시의 형태 C에서는, 데이터 심벌군에 대해, 빈 심벌(빈 슬롯)을 배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다. 이 때, 기지국(AP)은, 데이터 심벌군에 대해, 더미 심벌을 삽입하는 방법과 데이터 심벌군에 대해, 빈 심벌(빈 슬롯)을 배치하는 방법을, 프레임마다 전환하여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FFT 사이즈, 또는, 푸리에 변환의 사이즈」를 설정하는 예로서 「캐리어 간격」을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이 아니고, 「FFT 사이즈, 또는, 푸리에 변환의 사이즈」를 설정함으로써, 「OFDM의 변조 신호에 있어서의 사용하고 있는 서브 캐리어수」를 설정한다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FFT 사이즈, 또는, 푸리에 변환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것이, 「OFDM의 변조 신호에 있어서의 사용하고 있는 서브 캐리어수」가 변경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프레임 구성에 대해 설명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프레임 구성의 변조 신호를, 기지국(AP)이, OFDM 방식 등의 멀티 캐리어 방식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 때, 기지국(AP)과 통신을 행하고 있는 단말이 변조 신호를 송신할 때, 단말이 송신하는 변조 신호는 싱글 캐리어의 방식이면 좋다(기지국(AP)은 OFDM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단말에 대해, 동시에 데이터 심벌군을 송신할 수 있고 또, 단말은 싱글 캐리어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기지국(AP)이 송신하는 변조 신호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이용하여, 단말은 변조 방식을 송신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적용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지국(AP) 및 단말의 동작, 구성에 대해 설명했다. 예를 들면, 도 74에 기지국(AP)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75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74에 있어서, 송신 안테나수를 1, 수신 안테나수를 1로 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것처럼, 송신 방법으로서 MIMO 전송 방식, MISO 방식을 적용해도 되고, 따라서, 송신 안테나수는 1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송신 안테나수를 2이상이라고 해도 되고, 또한 수신 안테나수도 1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수신 안테나수를 2이상으로 해도 된다. 동일하게, 도 75에 있어서, 송신 안테나수를 1, 수신 안테나수를 1로 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것처럼, 송신 방법으로서 MIMO 전송 방식, MISO 전송 방식을 적용해도 되고, 따라서, 송신 안테나수는 1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송신 안테나수를 2이상이라고 해도 좋고, 또, 수신 안테나수도 1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수신 안테나수를 2이상으로 해도 된다.
또, 도 74, 도 75에, 송신 안테나 7400-04, 수신 안테나 7400-05, 송신 안테나 7500-04, 수신 안테나 7500-05를 나타내고 있지만, 송신 안테나 7400-04, 7500-04가,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 수신 안테나 7400-05, 7500-05가,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점에 대해 보충 설명을 행한다.
도 106은, 예를 들면 송신 안테나 7400-04, 7500-04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분배부 10600-02는, 송신 신호 10600-01을 입력으로 하여 분배를 행하고, 송신 신호 10600-03_1, 10600-03_2, 10600-03_3, 10600-03_4를 출력한다.
승산부 10600-04_1은, 송신 신호 10600-03_1, 및, 제어 신호(10600-00)를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0600-00)에 포함되는 승산 계수의 정보에 의거하여, 송신 신호 10600-03_1에 승산 계수를 승산하고, 승산 후의 신호 10600-05_1을 출력하며, 승산 후의 신호 10600-05_1은 전파로서 안테나 10600-06_1부터 출력된다.
송신 신호 10600-03_1을 Tx1(t)(t:시간), 승산 계수를 W1로 하면, 승산 후의 신호 10600-05_1은, Tx1(t)×W1로 표시된다. W1은 복소수로 정의할 수 있고, 따라서, 실수여도 된다.
승산부 10600-04_2는, 송신 신호 10600-03_2, 및, 제어 신호(10600-00)을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0600-00)에 포함되는 승산 계수의 정보에 의거하여, 송신 신호 10600-03_2에 승산 계수를 승산하고, 승산 후의 신호 10600-05_2를 출력하며, 승산 후의 신호 10600-05_2는, 전파로서 안테나 10600-06_2로부터 출력된다.
송신 신호 10600-03_2를 Tx2(t)(t:시간), 승산 계수를 W2로 하면, 승산 후의 신호 10600-05_2는, Tx2(t)×W2로 표시된다. W2는 복소수로 정의할 수 있고 따라서, 실수여도 된다.
승산부 10600-04_3은, 송신 신호 10600-03_3, 및, 제어 신호(10600-00)을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0600-00)에 포함되는 승산 계수의 정보에 의거하여, 송신 신호 10600-03_3에 승산 계수를 승산하고, 승산 후의 신호 10600-05_3을 출력하며, 승산 후의 신호 10600-05_3은, 전파로서 안테나 10600-06_3으로부터 출력된다.
송신 신호 10600-03_3을 Tx3(t)(t:시간), 승산 계수를 W3로 하면, 승산 후의 신호 10600-05_3은, Tx3(t)×W3로 표시된다. W3는 복소수로 정의할 수 있고 따라서, 실수여도 된다.
승산부 10600-04_4는, 송신 신호 10600-03_4, 및, 제어 신호(10600-00)을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10600-00)에 포함되는 승산 계수의 정보에 의거하여, 송신 신호 10600-03_4에 승산 계수를 승산하고, 승산 후의 신호 10600-05_4를 출력하며, 승산 후의 신호 10600-05_4는, 전파로서 안테나 10600-06_4로부터 출력된다.
송신 신호 10600-03_4를 Tx4(t)(t:시간), 승산 계수를 W4로 하면, 승산 후의 신호 10600-05_4는, Tx4(t)×W4로 표시된다. W4는 복소수로 정의할 수 있고 따라서, 실수여도 된다.
또한, 「W1의 절대치, W2의 절대치, W3의 절대치, W4의 절대치가 동일」해도 된다. 이 때, 위상 변경이 행해진 것에 상당한다. 당연하지만, W1의 절대치, W2의 절대치, W3의 절대치, W4의 절대치는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또, 도 106에서는, 안테나부는, 4개의 안테나( 및, 4개의 승산부)로 구성되어 있는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안테나의 갯수는 4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2개 이상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도 107은, 예를 들면 수신 안테나 7400-05, 7500-05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승산부 10700-03_1은, 안테나 10700-01_1로 수신한 수신 신호 10700-02_1, 제어 신호 10700-00을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 10700-00에 포함되는 승산 계수의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 신호 10700-02_1에 승산 계수를 승산하고, 승산 후의 신호 10700-04_1을 출력한다.
수신 신호 10700-02_1을 Rx1(t)(t:시간), 승산 계수 D1로 하면, 승산 후의 신호 10700-04_1은, Rx1(t)×D1로 표시된다. D1은 복소수로 정의할 수 있고 따라서, 실수여도 된다.
승산부 10700-03_2는, 안테나 10700-01_2로 수신한 수신 신호 10700-02_2, 제어 신호 10700-00을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 10700-00에 포함되는 승산 계수의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 신호 10700-02_2에 승산 계수를 승산하고, 승산 후의 신호 10700-04_2를 출력한다.
수신 신호 10700-02_2를 Rx2(t)(t:시간), 승산 계수 D2로 하면, 승산 후의 신호 10700-04_2는, Rx2(t)×D2로 표시된다. D2는 복소수로 정의할 수 있고 따라서, 실수여도 된다.
승산부 10700-03_3은, 안테나 10700-01_3으로 수신한 수신 신호 10700-02_3, 제어 신호 10700-00을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 10700-00에 포함되는 승산 계수의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 신호 10700-02_3에 승산 계수를 승산하고, 승산 후의 신호 10700-04_3을 출력한다.
수신 신호 10700-02_3을 Rx3(t)(t:시간), 승산 계수 D3로 하면, 승산 후의 신호 10700-04_3은, Rx3(t)×D3으로 표시된다. D3는 복소수로 정의할 수 있고 따라서, 실수여도 된다.
승산부 10700-03_4는, 안테나 10700-01_4로 수신한 수신 신호 10700-02_4, 제어 신호 10700-00을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 10700-00에 포함되는 승산 계수의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 신호 10700-02_4에 승산 계수를 승산하고, 승산 후의 신호 10700-04_4를 출력한다.
수신 신호 10700-02_4를 Rx4(t)(t:시간), 승산 계수 D4로 하면, 승산 후의 신호 10700-04_4는, Rx4(t)×D4로 표시된다. D4는 복소수로 정의할 수 있고 따라서, 실수여도 된다.
합성부 10700-05는, 승산 후의 신호 10700-04_1, 10700-04_2, 10700-04_3, 10700-04_4를 합성하고, 합성 후의 신호 10700-06을 출력한다. 또한, 합성 후의 신호 10700-06은, Rx1(t)×D1+Rx2(t)×D2+Rx3(t)×D3+Rx4(t)×D4로 표시된다.
도 107에서는, 안테나부는, 4개의 안테나(및, 4개의 승산부)로 구성되는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안테나의 갯수는 4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2개 이상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본 개시는,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각각 상이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시스템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송신 개소를 가지는 유선 통신 시스템(예를 들면,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시스템, 광통신 시스템, DSL(Digital Subscriber Line:디지털 가입자선) 시스템)에 있어서, MIMO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102 : 데이터 생성부 105 : 제 2 프리앰블 생성부
108 : 제어 신호 생성부, 110 : 프레임 구성부
112 : 신호 처리부, 114 : 파일럿 삽입부
116 : IFFT부, 118 : PAPR 삭감부
120 : 가이드 인터벌 삽입부, 122 : 제 1 프리앰블 삽입부
124 : 무선 처리부, 126 안테나

Claims (6)

  1. 송신 방법으로서,
    프리앰블, 제1 서브프레임, 및 제2 서브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은 시간 방향에서 상기 프리앰블과 상기 제2 서브프레임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프리앰블은 제어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은 제1 PLP(Physical Layer Pipe)의 제1 변조 신호 및 제2 PLP의 제2 변조 신호를 시간-주파수 리소스로 매핑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은 제3 PLP의 제3 변조 신호를 시간-주파수 리소스로 매핑함으로써 생성됨 - ;
    파일럿 신호를 상기 프리앰블,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 서브프레임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파일럿 신호가 삽입된 후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프리앰블,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 서브프레임에 대해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OFDM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의 상기 시간-주파수 리소스는 각각이 제1 OFDM 심벌 및 제2 OFDM 심벌에 대해 제공되는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리소스는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OFDM 서브캐리어에 대응하며, 상기 제2 리소스는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OFDM 서브캐리어에 대응하며, 상기 제1 리소스는 시간 방향에서 상기 제2 리소스에 인접하며,
    상기 제1 변조 신호는 상기 제1 변조 신호의 제1 순서 및 상기 제1 순서에 후속하는 상기 제1 변조 신호의 제2 순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순서는 주파수 방향에서의 제1 시작 위치로부터 제1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제1 리소스로 매핑되고,
    상기 제2 순서는 상기 제1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제2 리소스로 매핑되며,
    상기 제2 변조 신호는 상기 제2 변조 신호의 제3 순서 및 상기 제3 순서에 후속하는 상기 제2 변조 신호의 제4 순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순서는 주파수 방향에서의 제2 시작 위치로부터 제2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제1 리소스로 매핑되며,
    상기 제4 순서는 상기 제2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제2 리소스로 매핑되며,
    상기 제3 변조 신호의 순서는 제3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의 상기 시간-주파수 리소스로 매핑되며,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시작 위치, 상기 제2 시작 위치, 상기 제3 시작 위치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작 위치는 상기 제1 범위 내의 최저 주파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리소스 중의 하나의 리소스의 위치이며,
    상기 제2 시작 위치는 상기 제2 범위 내의 최저 주파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리소스 중의 하나의 리소스의 위치인, 송신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은 제3 PLP의 제3 변조 신호 및 제4 PLP의 제4 변조 신호를 시간-주파수 리소스로 매핑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3 PLP와 상기 제4 PLP는 상기 제2 서브프레임에서 다중화되는(multiplexed), 송신 방법.
  4. 수신 방법으로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PLP(Physical Layer Pipe), 제2 PLP, 또는 제3 PLP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얻기 위해 수신된 상기 OFDM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OFDM 신호는, 파일럿 신호를 프리앰블, 제1 서브프레임, 및 제2 서브프레임에 삽입하고 -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은 시간 방향에서 상기 프리앰블과 상기 제2 서브프레임 사이에 제공됨 -, 상기 프리앰블,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 서브프레임에 대해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를 수행하여 생성되며,
    상기 프리앰블은 제어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1 PLP의 제1 변조 신호 및 제2 PLP의 제2 변조 신호를 시간-주파수 리소스로 매핑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은 제3 PLP의 제3 변조 신호를 시간-주파수 리소스로 매핑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의 상기 시간-주파수 리소스는 각각이 제1 OFDM 심벌 및 제2 OFDM 심벌에 대해 제공되는 제1 리소스 및 제2 리소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리소스는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OFDM 서브캐리어에 대응하며, 상기 제2 리소스는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OFDM 서브캐리어에 대응하며, 상기 제1 리소스는 시간 방향에서 상기 제2 리소스에 인접하며,
    상기 제1 변조 신호는 상기 제1 변조 신호의 제1 순서 및 상기 제1 순서에 후속하는 상기 제1 변조 신호의 제2 순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순서는 주파수 방향에서의 제1 시작 위치로부터 제1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제1 리소스로 매핑되고,
    상기 제2 순서는 상기 제1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제2 리소스로 매핑되며,
    상기 제2 변조 신호는 상기 제2 변조 신호의 제3 순서 및 상기 제3 순서에 후속하는 상기 제2 변조 신호의 제4 순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순서는 주파수 방향에서의 제2 시작 위치로부터 제2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제1 리소스로 매핑되며,
    상기 제4 순서는 상기 제2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제2 리소스로 매핑되며,
    상기 제3 변조 신호의 순서는 제3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시간-주파수 리소스로 매핑되며,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시작 위치, 상기 제2 시작 위치, 상기 제3 시작 위치를 포함하는, 수신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작 위치는 상기 제1 범위 내의 최저 주파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리소스 중의 하나의 리소스의 위치이며,
    상기 제2 시작 위치는 상기 제2 범위 내의 최저 주파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리소스 중의 하나의 리소스의 위치인, 수신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은 제3 PLP의 제3 변조 신호 및 제4 PLP의 제4 변조 신호를 시간-주파수 리소스로 매핑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3 PLP와 상기 제4 PLP는 상기 제2 서브프레임에서 다중화되는(multiplexed), 수신 방법.
KR1020237040208A 2015-06-19 2016-06-13 송신 방법,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KR102647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82004P 2015-06-19 2015-06-19
US62/182,004 2015-06-19
JP2016102765A JP2017011689A (ja) 2015-06-19 2016-05-23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JP-P-2016-102765 2016-05-23
PCT/JP2016/002836 WO2016203750A1 (ja) 2015-06-19 2016-06-13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KR1020177036226A KR102607685B1 (ko) 2015-06-19 2016-06-13 송신 방법,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226A Division KR102607685B1 (ko) 2015-06-19 2016-06-13 송신 방법,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586A KR20230163586A (ko) 2023-11-30
KR102647626B1 true KR102647626B1 (ko) 2024-03-14

Family

ID=5754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0208A KR102647626B1 (ko) 2015-06-19 2016-06-13 송신 방법,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876655B2 (ko)
EP (1) EP4340508A2 (ko)
JP (2) JP7355904B2 (ko)
KR (1) KR102647626B1 (ko)
CN (1) CN110535501B (ko)
MX (1) MX2020004152A (ko)
WO (1) WO20162037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30239A (ja) 2017-08-10 2020-10-15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信号送信方法および信号送信装置、ならびに信号受信方法および信号受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9051B2 (en) 2003-09-02 2013-08-13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and transmission of multiple data streams in a wireless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JP2006295510A (ja) * 2005-04-08 2006-10-26 Mitsubishi Electric Corp Fecフレーム符号化装置、fec多重化装置、fec多重分離装置、および光通信装置
US7974193B2 (en) 2005-04-08 2011-07-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resizing multimedia content based on quality and rate information
EP1916782A1 (en) 2006-10-26 2008-04-30 Nortel Networks Limited Frame structure for a multi-hop wireless system
JP4850735B2 (ja) * 2007-01-30 2012-01-11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及びフレーム同期方法
KR20080082889A (ko) 2007-03-09 2008-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1364972B (zh) * 2007-08-07 2011-08-17 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帧传输方法、系统、基站及用户设备
KR101542378B1 (ko) * 2007-09-10 2015-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파일럿 부반송파 할당 방법
US8326324B2 (en) * 2008-01-08 2012-12-04 Wi-La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positioning within radio access systems
ES2353578T3 (es) * 2008-02-04 2011-03-03 Lg Electronics Inc. Aparato para transmitir y recibir una señal y procedimiento para transmitir y recibir una señal.
KR101162805B1 (ko) * 2008-02-21 2012-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장치 및방법
US8483161B2 (en) * 2008-04-30 2013-07-09 Lg Electronics Inc.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ubframe structure
US8165096B2 (en) 2008-05-19 2012-04-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of improved success rate for decoding downlink map and uplink map IES in mobile WIMAX mobile
JP5286029B2 (ja) * 2008-10-30 2013-09-11 京セラ株式会社 データ送信装置およびデータ送信方法
CN102257816B (zh) * 2009-01-07 2013-11-06 Lg电子株式会社 用于发送和接收信号的装置以及用于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
GB2471870A (en) * 2009-07-15 2011-01-19 Sony Corp Recovering data from OFDM symbols at a receiver
US9009775B2 (en) 2010-02-23 2015-04-14 Lg Electronics Inc. Broadcasting signal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ing signal recept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using same
EP2362654A1 (en) 2010-02-26 2011-08-31 Panasonic Corporation Short baseband frame headers
KR101717298B1 (ko) 2010-05-10 2017-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CA2819221C (en) * 2010-11-23 2016-07-19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broadcast signal transceiving method in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es
US9166742B2 (en) 2011-06-24 2015-10-2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EP2597805A4 (en) 2011-06-24 2013-07-24 Panasonic Corp SENDING DEVICE, TRANSMISSION PROCEDURE,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PROCEDURE
GB201208389D0 (en) 2012-05-10 2012-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circuit, communication uni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for
WO2014175606A1 (en) 2013-04-21 2014-10-3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CN105556954B (zh) * 2013-08-09 2018-11-06 Lg电子株式会社 用于传输/接收广播信号的装置和方法
KR101850312B1 (ko) 2013-09-27 201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JPWO2015162886A1 (ja) 2014-04-24 2017-04-13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送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31907A1 (en) 2023-02-02
CN110535501B (zh) 2022-04-05
JP2022172250A (ja) 2022-11-15
US11876655B2 (en) 2024-01-16
JP7355904B2 (ja) 2023-10-03
JP2023166593A (ja) 2023-11-21
MX2020004152A (es) 2020-08-13
KR20230163586A (ko) 2023-11-30
CN110535501A (zh) 2019-12-03
EP4340508A2 (en) 2024-03-20
US20240113927A1 (en) 2024-04-04
WO2016203750A1 (ja) 201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016177A (ja) 送信装置
JP7136975B2 (ja)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6818431B2 (ja)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US20240113927A1 (en) Transmitt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 ofdm signal generated by performing ifft processing on a preamble and one or more subframes into which pilot signals are inserted
US11949611B2 (en) Transmitting method, receiving method,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CN110380822B (zh) 发送方法、接收方法、发送装置及接收装置
RU2790440C2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пособ приема,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и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