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613B1 - 매트 결합형 아웃도어용 침낭 - Google Patents

매트 결합형 아웃도어용 침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613B1
KR102647613B1 KR1020230137541A KR20230137541A KR102647613B1 KR 102647613 B1 KR102647613 B1 KR 102647613B1 KR 1020230137541 A KR1020230137541 A KR 1020230137541A KR 20230137541 A KR20230137541 A KR 20230137541A KR 102647613 B1 KR102647613 B1 KR 102647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sleeping bag
air
valve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7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화
Original Assignee
(주)엘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코 filed Critical (주)엘코
Priority to KR1020230137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8Sleeping bags
    • A47G9/086Sleeping bags for outdoor slee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6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매트와 침낭이 일체화되어 신속한 설치 및 철수가 가능하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매트 결합형 아웃도어용 침낭을 개시한다.
매트 결합형 아웃도어용 침낭은 바닥부와 바닥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안면노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침낭본체 및 바닥부에 수납되고, 팽창 또는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단열 매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매트 결합형 아웃도어용 침낭{Mat combined outdoor sleeping bag}
본 발명은 매트 결합형 아웃도어용 침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낭은 야외에서 숙박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건으로, 사용자의 신체가 들어갈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고, 출입을 위해 일부분이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침낭은 사용자의 체온 유지를 위해 내부에 충전재가 저장된다.
한편, 침낭은 주로 바닥에 놓여 사용되는데 야외의 경우 바닥이 평평하지 못하고, 야간에는 한기가 오기 때문에 쿠션 역할을 하는 별도의 매트를 바닥에 놓고, 그 위에 올려두고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의 경우 침낭과 바닥매트를 별도 준비해서 가지고 다녀야하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고, 또한 바닥매트와 침낭을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하거나, 정리해야함에 따라 설치 및 철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60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트와 침낭이 일체화되어 신속한 설치 및 철수가 가능하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매트 결합형 아웃도어용 침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트 결합형 아웃도어용 침낭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안면노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침낭본체; 및 상기 바닥부에 수납되고, 팽창 또는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단열 매트;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는, 내부에 단열재가 충전되고,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단열층; 상기 제1 단열층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단열재가 충전되며, 일면이 상기 침낭본체의 내부를 향하는 제2 단열층; 및 상기 제1 단열층과 상기 제2 단열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단열 매트가 수납되는 수납포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매트와 상기 제1 단열층 사이에 배치되고, 표면에 반사 물질이 코팅되어 열기를 상기 단열 매트 측으로 반사하는 제1 반사시트; 및 상기 단열 매트와 상기 제2 단열층 사이에 배치되고, 표면에 상기 반사 물질이 코팅되어 열기를 상기 침낭본체의 내측으로 반사하는 제2 반사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매트는, 상기 단열 매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최하층에 배치되고,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을 통하여 그 두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1 매트부; 상기 제1 매트부의 상부에 적층되고, 내부에 수용된 완충재를 통하여 그 두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2 매트부; 및 상기 제2 매트부의 상부에 적층되고,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을 통하여 그 두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3 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매트부는, 일단부에 제1 주입포트가 배치되고, 타단부에 제1 배출포트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주입포트로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고, 상기 제1 배출포트로 내부에 저장된 공기가 배출되면 수축되는 제1 매트본체; 상기 바닥부에 결합되어 일부분이 상기 침낭본체의 내부로 노출되고, 공기가 주입될 경우에만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제1 주입밸브; 상기 제1 주입밸브와 상기 제1 주입포트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주입밸브에서 주입된 공기를 상기 제1 주입포트로 유입시키는 제1 주입튜브; 상기 바닥부에 결합되어 일부분이 상기 침낭본체의 내부로 노출되고, 공기가 배출될 경우에만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제1 배출밸브; 및 상기 제1 배출밸브와 상기 제1 배출포트를 연결하고, 상기 제1 배출포트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제1 배출밸브로 유입시키는 제1 배출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매트부는, 일단부에 제2 주입포트가 배치되고, 타단부에 제2 배출포트가 배치되며, 내부에 탄성력을 가지는 다공성 완충재가 수용되어 상기 제2 주입포트로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다공성 완충재의 탄성력에 의해 팽창되고, 상기 제2 배출포트로 내부에 저장된 공기가 배출되면 상기 다공성 완충재가 압축되면서 수축되는 제2 매트본체; 상기 바닥부에 결합되어 일부분이 상기 침낭본체의 내부로 노출되고, 개방 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 주입밸브; 상기 제2 주입밸브와 상기 제2 주입포트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주입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제2 주입밸브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 주입포트로 유입시키는 제2 주입튜브; 상기 바닥부에 결합되어 일부분이 상기 침낭본체의 내부로 노출되고, 공기가 배출될 경우에만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제2 배출밸브; 및 상기 제2 배출밸브와 상기 제2 배출포트를 연결하고, 상기 제2 배출포트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제2 배출밸브로 유입시키는 제2 배출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매트부는, 일단부에 제3 주입포트가 배치되고, 타단부에 제3 배출포트가 배치되며, 상기 제3 주입포트로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고, 상기 제3 배출포트로 내부에 저장된 공기가 배출되면 수축되는 제3 매트본체; 상기 바닥부에 결합되어 일부분이 상기 침낭본체의 내부로 노출되고, 공기가 주입될 경우에만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제3 주입밸브; 상기 제3 주입밸브와 상기 제3 주입포트를 연결하고, 상기 제3 주입밸브에서 주입된 공기를 상기 제3 주입포트로 유입시키는 제3 주입튜브; 상기 바닥부에 결합되어 일부분이 상기 침낭본체의 내부로 노출되고, 공기가 배출될 경우에만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제3 배출밸브; 및 상기 제3 배출밸브와 상기 제3 배출포트를 연결하고, 상기 제3 배출포트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제3 배출밸브로 유입시키는 제3 배출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열층의 내부에 수납되고, 팽창 또는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에어 필로우; 상기 커버부의 내면에 부착되고, 열기를 상기 침낭본체의 내측으로 반사하는 보조 반사시트; 및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침낭본체의 내부공간을 감싸고, 팽창 또는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보조 단열 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반사시트는, 상기 커버부의 내면에 부착되는 직물 재질의 베이스 시트; 및 상기 베이스 시트의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침낭본체의 내측으로 열기를 반사하는 금속성 재질의 열반사 필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침낭본체와 단열 매트가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므로, 신속한 설치 및 철수가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침낭본체의 내부에 수납된 단열 매트가 외부의 냉기는 차단하고 내부의 온기는 침낭본체의 내부에 머물게 하는 반사판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본성성능이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웃도어용 침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필로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반사시트 및 보조 단열 매트가 침낭본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반사시트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웃도어용 침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트 결합형 아웃도어용 침낭(1000)(이하 '매트 결합형 침낭(1000)'이라 함)은 침낭본체(1) 및 단열 매트(2)를 포함한다.
침낭본체(1)는 바닥부(11)와, 바닥부(11)의 상부에 배치되고 안면노출구(121)가 형성되는 커버부(12)를 포함한다.
침낭본체(1)의 내부에는 거위털 또는 마이크로 파이버 등의 단열재(I)가 충전될 수 있다.
침낭본체(1)는 일부분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 가능한 침낭본체(1)의 일부분에는 개폐 가능한 지퍼가 부착될 수 있다.
단열 매트(2)는 침낭본체(1)의 바닥부(11)에 수납되어 침낭본체(1)에 일체로 마련된다.
즉, 단열 매트(2)는 침낭본체(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침낭본체(1)의 내부에 수납되어 침낭본체(1)와 일체화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매트 결합형 침낭(1000)은 신속한 설치 및 철수가 가능함은 물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침낭본체(1)에 수납된 단열 매트(2)는 팽창 또는 수축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단열 매트(2)는 공기(A) 또는 완충재(C)를 통해 팽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침낭본체(1)의 바닥부(11)는 다중 단열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침낭본체(1)의 바닥부(11) 바닥부(11)를 이루는 복수의 단열층과, 복수의 단열층 사이에 배치된 단열 매트(2)를 통해 다중 단열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바닥부(11)는 내부에 단열재(I)가 충전되고,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단열층(111), 제1 단열층(111)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단열재(I)가 충전되며, 일면이 침낭본체(1)의 내부를 향하는 제2 단열층(112) 및 제1 단열층(111)과 제2 단열층(112) 사이에 형성되고, 단열 매트(2)가 수납되는 수납포켓(1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열층(111)과 제2 단열층(112)에 충전되는 단열재(I)는 거위털 또는 마이크로 파이버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단열재(I)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매트 결합형 침낭(1000)은 복수의 반사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반사시트는 단열 매트(2)와 제1 단열층(111) 사이에 배치되고, 표면에 반사 물질이 코팅되어 열기를 단열 매트(2) 측으로 반사하는 제1 반사시트(3)와, 단열 매트(2)와 제2 단열층(112) 사이에 배치되고, 표면에 반사 물질이 코팅되어 열기를 침낭본체(1)의 내측으로 반사하는 제2 반사시트(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반사시트(3)와 제2 반사시트(4)는 침낭 본체와 외부 사이에 다중의 단열 장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제1 반사시트(3)와 제2 반사시트(4)는 침낭본체(1)의 내부에 배치된 사용자의 체열의 약 80% 이상을 단열 매트(2)와 사용자 측으로 반사하여 체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보온성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사시트(3)와 제2 반사시트(4)는 기체화된 반사물질(예컨대, 알루미늄, 은, 금 등)을 아주 얇은 플라스틱 필름 위에 증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아웃도어용 침낭(1000)은 복수의 결합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부는 제1 단열층(111)과 단열 매트(2)를 연결하는 제1 결합부와, 제2 단열층(112)과 단열 매트(2)를 연결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각각 루프측과, 고리측으로 구성된 벨크로(velcro)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열 매트(2)는 서로 다른 충전수단을 가지는 다층 구조로 형성되고, 개별적으로 수축 및 팽창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열 매트(2)는 제1 매트부(21), 제2 매트부(22) 및 제3 매트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매트부(21)는 단열 매트(2)의 두께 방향을 따라 최하층에 배치되고, 공기(A)의 주입 및 배출을 통하여 그 두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매트부(21)는 제1 매트본체(211), 제1 주입밸브(212), 제1 주입튜브(213), 제1 배출밸브(214) 및 제1 배출튜브(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매트본체(211)는 일단부에 제1 주입포트(211A)가 배치되고, 타단부에 제1 배출포트(211B)가 배치되며, 제1 주입포트(211A)로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고, 제1 배출포트(211B)로 내부에 저장된 공기가 배출되면 수축될 수 있다.
제1 주입밸브(212)는 바닥부(11)에 결합되어 일부분이 침낭본체(1)의 내부로 노출되고, 공기가 주입될 경우에만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입밸브(212)는 침낭본체(1)에 결합되고, 제1 주입튜브(213)에 결합되는 관형의 제1-1 밸브본체, 제1-1 밸브본체의 입구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1 밸브캡 및 제1-1 밸브본체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공기가 주입되면 주입되는 공기에 가압되어 압축되면서 제1-1 밸브본체의 입구를 개방하는 제1-1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1 개폐부는 제1-1 밸브본체의 입구에 접하거나, 제1-1 밸브본체로부터 이격되는 제1-1 개폐디스크부와, 제1-1 개폐디스크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공기가 주입되면 제1-1 개폐디스크부에 가압되어 압축되었다가 공기의 주입이 멈추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제1-1 개폐디스크부를 가압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1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주입튜브(213)는 제1 주입밸브(212)와 제1 주입포트(211A)를 연결하고, 제1 주입밸브(212)에서 주입된 공기를 제1 주입포트(211A)로 유입시킬 수 있다.
제1 배출밸브(214)는 바닥부(11)에 결합되어 일부분이 침낭본체(1)의 내부로 노출되고, 공기가 배출될 경우에만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출밸브(214)는 침낭본체(1)에 결합되고, 제1 배출튜브(215)에 결합되는 관형의 제1-2 밸브본체, 제1-2 밸브본체의 출구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 밸브캡 및 제1-2 밸브본체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매트본체(211)에서 배출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면 공기에 가압되어 압축되면서 제1-2 밸브본체의 입구를 개방하는 제1-2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2 개폐부는 제1-2 밸브본체의 입구에 접하거나, 제1-2 밸브본체로부터 이격되는 제1-2 개폐디스크부와, 제1-2 개폐디스크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공기가 유입되면 제1-2 개폐디스크부에 가압되어 압축되었다가 공기의 유입이 멈추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제1-2 개폐디스크부를 가압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출튜브(215)는 제1 배출밸브(214)와 제1 배출포트(211B)를 연결하고, 제1 배출포트(211B)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1 배출밸브(214)로 유입시킬 수 있다.
제2 매트부(22)는 제1 매트부(21)의 상부에 적층되고, 내부에 수용된 완충재(C)를 통하여 그 두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매트부(22)는 제2 매트본체(221), 제2 주입밸브(222), 제2 주입튜브(223), 제2 배출밸브(224) 및 제2 배출튜브(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매트본체(221)는 일단부에 제2 주입포트(221A)가 배치되고, 타단부에 제2 배출포트(221B)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매트본체(221)는 내부에 탄성력을 가지는 다공성 완충재(C)가 수용될 수 있다.
이에, 제2 매트본체(221)는 제2 주입포트(221A)로 공기가 주입되면 다공성 완충재(C)의 탄성력에 의해 팽창되고, 제2 배출포트(221B)로 내부에 저장된 공기가 배출되면 다공성 완충재(C)가 압축되면서 수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공성 완충재(C)는 고탄력 스펀지일 수 있다. 그러나, 다공성 완충재(C)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로 변경될 수 있다.
제2 주입밸브(222)는 바닥부(11)에 결합되어 일부분이 침낭본체(1)의 내부로 노출되고, 개방 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주입밸브(222)는 침낭본체(1)에 결합되고, 제2 주입튜브(223)에 결합되는 관형의 제2-1 밸브본체와, 제2-1 밸브본체의 입구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1 밸브본체의 입구를 개폐하는 제2-1 밸브캡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주입튜브(223)는 제2 주입밸브(222)와 제2 주입포트(221A)를 연결하고, 제2 주입밸브(222)가 개방되면 제2 주입밸브(222)로 유입된 공기를 제1 주입포트(211A)로 유입시킬 수 있다.
제2 배출밸브(224)는 바닥부(11)에 결합되어 일부분이 침낭본체(1)의 내부로 노출되고, 공기가 배출될 경우에만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출밸브(224)는 침낭본체(1)에 결합되고, 제2 배출튜브(225)에 결합되는 관형의 제2-2 밸브본체, 제2-2 밸브본체의 출구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2 밸브캡 및 제2-2 밸브본체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매트본체(221)에서 배출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면 공기에 가압되어 압축되면서 제2-2 밸브본체의 입구를 개방하는 제2-1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1 개폐부는 제2-2 밸브본체의 입구에 접하거나, 제2-2 밸브본체로부터 이격되는 제2-1 개폐디스크부와, 제2-1 개폐디스크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공기가 유입되면 제2-1 개폐디스크부에 가압되어 압축되었다가 공기의 유입이 멈추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제2-1 개폐디스크부를 가압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1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출튜브(225)는 제2 배출밸브(224)와 제2 배출포트(221B)를 연결하고, 제2 배출포트(221B)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2 배출밸브(224)로 유입시킬 수 있다.
제3 매트부(23)는 제2 매트부(22)의 상부에 적층되고, 공기(A)의 주입 및 배출을 통하여 그 두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매트부(23)는 제3 매트본체(231), 제3 주입밸브(232), 제3 주입튜브(233), 제3 배출밸브(234) 및 제3 배출튜브(2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매트본체(231)는 일단부에 제3 주입포트(231A)가 배치되고, 타단부에 제3 배출포트(231B)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매트본체(231)는 제3 주입포트(231A)로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고, 제3 배출포트(231B)로 내부에 저장된 공기가 배출되면 수축될 수 있다.
제3 주입밸브(232)는 바닥부(11)에 결합되어 일부분이 침낭본체(1)의 내부로 노출되고, 공기가 주입될 경우에만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주입밸브(232)는 침낭본체(1)에 결합되고, 제3 주입튜브(233)에 결합되는 관형의 제3-1 밸브본체, 제3-1 밸브본체의 입구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1 밸브캡 및 제3-1 밸브본체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공기가 주입되면 주입되는 공기에 가압되어 압축되면서 제3-1 밸브본체의 입구를 개방하는 제3-1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1 개폐부는 제3-1 밸브본체의 입구에 접하거나, 제3-1 밸브본체로부터 이격되는 제3-1 개폐디스크부와, 제3-1 개폐디스크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공기가 주입되면 제3-1 개폐디스크부에 가압되어 압축되었다가 공기의 주입이 멈추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제3-1 개폐디스크부를 가압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3-1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주입튜브(233)는 제3 주입밸브(232)와 제3 주입포트(231A)를 연결하고, 제3 주입밸브(232)에서 주입된 공기를 제3 주입포트(231A)로 유입시킬 수 있다.
제3 배출밸브(234)는 바닥부(11)에 결합되어 일부분이 침낭본체(1)의 내부로 노출되고, 공기가 배출될 경우에만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배출밸브(234)는 침낭본체(1)에 결합되고, 제3 배출튜브(235)에 결합되는 관형의 제3-2 밸브본체, 제3-2 밸브본체의 출구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2 밸브캡 및 제3-2 밸브본체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3 매트본체(231)에서 배출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면 공기에 가압되어 압축되면서 제3-2 밸브본체의 입구를 개방하는 제3-2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2 개폐부는 제3-2 밸브본체의 입구에 접하거나, 제3-2 밸브본체로부터 이격되는 제3-2 개폐디스크부와, 제3-2 개폐디스크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공기가 유입되면 제3-2 개폐디스크부에 가압되어 압축되었다가 공기의 유입이 멈추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제3-2 개폐디스크부를 가압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3-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배출튜브(235)는 제3 배출밸브(234)와 제3 배출포트(231B)를 연결하고, 제3 배출포트(231B)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3 배출밸브(234)로 유입시킬 수 있다.
즉, 단열 매트(2)는 서로 다른 충전수단을 가지는 다층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단열성능이 극대화될 수 있다.
아울러, 다층구조의 단열 매트(2)는 각 층의 두께를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단열 매트(2)의 높낮이 및 단열 매트(2)의 쿠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필로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매트 결합형 침낭(1000)은 에어 필로우(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필로우(5)는 제2 단열층(112)의 내부에 수납되고, 팽창 또는 수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단열층(112)의 내부에는 에어 필로우(5)가 수납되는 제1 보조 포켓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 필로우(5)는 공기를 통해 팽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 필로우(5)는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한 밸브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반사시트 및 보조 단열 매트가 침낭본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반사시트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매트 결합형 침낭(1000)은 보조 반사시트(6) 및 보조 단열 매트(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반사시트(6)는 커버부(12)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보조 반사시트(6)는 열기를 침낭본체(1)의 내측으로 반사하고, 습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보조 반사시트(6)는 커버부(12)의 내면에 부착되고,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직물 재질의 베이스 시트(61)와, 베이스 시트(61)의 일면에 부착되고, 침낭본체(1)의 내측으로 열기를 반사하는 금속성 재질의 열반사 필름 패턴(6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습기를 머금은 공기는 열반사 필름 패턴들(62) 사이의 베이스 시트(6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체열은 열반사 필름 패턴들(62)을 통해 침낭본체(1)의 내부공간으로 반사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단열 매트(7)는 커버부(12)의 내부에 수납되어 침낭본체(1)의 내부공간을 감쌀 수 있다. 이때, 커버부(12)의 내부에는 보조 단열 매트(7)가 수납되는 제2 보조 포켓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보조 단열 매트(7)는 커버부(12)의 내부에 단열층을 형성하여 보온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보조 단열 매트(7)는 팽창 또는 수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보조 단열 매트(7)는 공기를 통해 팽창 또는 수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단열 매트(7)는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한 밸브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침낭본체(1)와 단열 매트(2)가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므로, 신속한 설치 및 철수가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침낭본체(1)의 내부에 수납된 단열 매트(2)가 외부의 냉기는 차단하고 내부의 온기는 침낭본체(1)의 내부에 머물게 하는 반사판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본성성능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아웃도어용 침낭
1. 침낭본체
11. 바닥부
111. 제1 단열층
112. 제2 단열층
113. 수납포켓
12. 커버부
121. 안면노출구
2. 단열 매트
21. 제1 매트부
211. 제1 매트본체
211A. 제1 주입포트
211B. 제1 배출포트
212. 제1 주입밸브
213. 제1 주입튜브
214. 제1 배출밸브
215. 제1 배출튜브
22. 제2 매트부
221. 제2 매트본체
221A. 제2 주입포트
221B. 제2 배출포트
222. 제2 주입밸브
223. 제2 주입튜브
224. 제2 배출밸브
225. 제2 배출튜브
23. 제3 매트부
231. 제3 매트본체
231A. 제3 주입포트
231B. 제3 배출포트
232. 제3 주입밸브
233. 제3 주입튜브
234. 제3 배출밸브
235. 제3 배출튜브
3. 제1 반사시트
4. 제2 반사시트
5. 에어 필로우
6. 보조 반사시트
61. 베이스 시트
62. 열반사 필름 패턴
7. 보조 단열 매트

Claims (3)

  1.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안면노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침낭본체; 및
    상기 바닥부에 수납되고, 팽창 또는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단열 매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내부에 단열재가 충전되고,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단열층;
    상기 제1 단열층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단열재가 충전되며, 일면이 상기 침낭본체의 내부를 향하는 제2 단열층; 및
    상기 제1 단열층과 상기 제2 단열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단열 매트가 수납되는 수납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단열 매트와 상기 제1 단열층 사이에 배치되고, 표면에 반사 물질이 코팅되어 열기를 상기 단열 매트 측으로 반사하는 제1 반사시트; 및
    상기 단열 매트와 상기 제2 단열층 사이에 배치되고, 표면에 상기 반사 물질이 코팅되어 열기를 상기 침낭본체의 내측으로 반사하는 제2 반사시트;를 더 포함하는, 매트 결합형 아웃도어용 침낭.
  2. 삭제
  3. 삭제
KR1020230137541A 2023-10-16 2023-10-16 매트 결합형 아웃도어용 침낭 KR102647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7541A KR102647613B1 (ko) 2023-10-16 2023-10-16 매트 결합형 아웃도어용 침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7541A KR102647613B1 (ko) 2023-10-16 2023-10-16 매트 결합형 아웃도어용 침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613B1 true KR102647613B1 (ko) 2024-03-14

Family

ID=90249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7541A KR102647613B1 (ko) 2023-10-16 2023-10-16 매트 결합형 아웃도어용 침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6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141A (ja) * 1997-07-10 1999-02-02 San Medical:Kk 遠赤外線輻射用マット付寝袋
KR200486066Y1 (ko) 2016-12-21 2018-03-29 주식회사 창민테크론 침낭
KR20200001080A (ko) * 2018-06-26 2020-01-06 임경섭 하이브리드 침낭
KR20210030580A (ko) * 2019-09-10 2021-03-18 김영조 침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141A (ja) * 1997-07-10 1999-02-02 San Medical:Kk 遠赤外線輻射用マット付寝袋
KR200486066Y1 (ko) 2016-12-21 2018-03-29 주식회사 창민테크론 침낭
KR20200001080A (ko) * 2018-06-26 2020-01-06 임경섭 하이브리드 침낭
KR20210030580A (ko) * 2019-09-10 2021-03-18 김영조 침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0161B2 (en) Exhaust valve apparatus and gas filled cushion
US10455924B2 (en) Sleeping pad for sleeping cot
US20080277435A1 (en) Folding carrying pack apparatus and method
WO2015012859A1 (en) Support cushions for providing cooling
KR102647613B1 (ko) 매트 결합형 아웃도어용 침낭
CN105083755A (zh) 一种方形空气包装装置及其制造方法
JP2018507036A (ja) 膨張可能なクッションデバイス
US20070214575A1 (en) Method of constructing an inflatable support system having thermoplastic polyurethane constuction
JP2022001247A (ja) 自己収納式枕
ITMI970528A1 (it) Materasso per letto con caratteristiche di portanza variabili sulla lunghezza del materasso stesso
US20210282576A1 (en) Inflatable pillow
US20150159366A1 (en) Collapsible Cellular Insulation
KR101351940B1 (ko) 침낭
CN211201300U (zh) 一种婴儿游泳桶
CN208597977U (zh) 一种发生高强磁场的磁健康按摩床垫
KR102093898B1 (ko) 하이브리드 침낭
KR200238520Y1 (ko) 에어텐트
KR102542064B1 (ko) 유아용 베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74768B1 (ko) 텐트용 알루미늄 보온재
KR20190037449A (ko) 자충식 에어 충진가방
KR200181210Y1 (ko) 공기매트를 구비한 침낭
CN207784864U (zh) 一种塑料复合沙滩席
CN215978752U (zh) 充气隔热帐篷
JPS6010446Y2 (ja) エアマツト
KR20080112179A (ko) 에어 매트리스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