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066Y1 - 침낭 - Google Patents

침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066Y1
KR200486066Y1 KR2020160007413U KR20160007413U KR200486066Y1 KR 200486066 Y1 KR200486066 Y1 KR 200486066Y1 KR 2020160007413 U KR2020160007413 U KR 2020160007413U KR 20160007413 U KR20160007413 U KR 20160007413U KR 200486066 Y1 KR200486066 Y1 KR 2004860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outer skin
user
sleeping bag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희
김민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민테크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민테크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민테크론
Priority to KR2020160007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0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0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0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8Sleeping bags
    • A47G9/086Sleeping bags for outdoor sleeping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낭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바닥을 형성하는 판상의 제 1매트와, 상기 제 1매트의 일측을 기준으로 접을 수 있도록 연장되면 사용자의 안면이 노출되는 제 1노출홈이 형성되는 제 1상부를 포함하는 외피부와, 상기 외피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 1매트에 대응되는 제 2매트와, 상기 제 1상부와 대응되는 제 2상부를 포함하는 춘추계용내피부와, 상기 외피부 또는 상기 춘추계용내피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 1매트에 대응되는 제 3매트와, 상기 제 1상부에 대응되는 제 3상부를 포함하고, 내부에 보온재가 포함되어 있는 동계용내피부와, 상기 제 2매트의 하방에 사용자의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주머니가 형성되는 제 1발주머니부와, 상기 제 3매트의 하방에 사용자의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주머니가 형성되는 제 2발주머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침낭{A Sleeping Bag}
본 고안은 침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절의 기온에 따라 보온커버를 침낭몸체에 착탈가능하게 할 수 있는 침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피와 외피 사이에 솜이나 깃털 등의 보온재가 내장된 침낭은 야영 등을 할 경우 사용되고 있다.
침낭의 보온재는 겨울과 여름을 위해 착탈가능한 구조들이 개시되어 있지만, 분리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 0481766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보온재를 쉽게 착탈할 수 있는 침낭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침낭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최소화되는 침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인 침낭의 구성은, 바닥을 형성하는 판상의 제 1매트와, 상기 제 1매트의 일측을 기준으로 접을 수 있도록 연장되면 사용자의 안면이 노출되는 제 1노출홈이 형성되는 제 1상부를 포함하는 외피부와, 상기 외피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 1매트에 대응되는 제 2매트와, 상기 제 1상부와 대응되는 제 2상부를 포함하는 춘추계용내피부와, 상기 외피부 또는 상기 춘추계용내피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 1매트에 대응되는 제 3매트와, 상기 제 1상부에 대응되는 제 3상부를 포함하고, 내부에 보온재가 포함되어 있는 동계용내피부와, 상기 제 2매트의 하방에 사용자의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주머니가 형성되는 제 1발주머니부와, 상기 제 3매트의 하방에 사용자의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주머니가 형성되는 제 2발주머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피부에는, 상기 제 1매트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피부를 말았을 때 고정시키는 조임끈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피부, 상기 춘추계용내피부 및 상기 동계용내피부에는 각각 가장자리를 따라 지퍼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외피부, 상기 춘추계용내피부 및 상기 동계용내피부의 가장자리에는 단추부가 더 마련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침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보온재를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으며, 침낭 내부에서 사람의 목부분에 턱을 두어 침남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차단되도록 하여 보온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침낭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침낭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인 침낭을 구성하는 외피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침낭을 구성하는 춘추용내피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침낭을 구성하는 동계용내피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고안인 침낭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인 침낭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을 형성하는 판상의 제 1매트(12)와, 상기 제 1매트(12)의 일측을 기준으로 접을 수 있도록 연장되면 사용자의 안면이 노출되는 제 1노출홈(15)이 형성되는 제 1상부(14)를 포함하는 외피부(10)와, 상기 외피부(10)에 체결되고, 상기 제 1매트(12)에 대응되는 제 2매트(22)와, 상기 제 1상부(14)와 대응되는 제 2상부(24)를 포함하는 춘추계용내피부(20)와, 상기 외피부(10) 또는 상기 춘추계용내피부(20)에 체결되고, 상기 제 1매트(12)에 대응되는 제 3매트(32)와, 상기 제 1상부(14)에 대응되는 제 3상부(34)를 포함하고, 내부에 보온재가 포함되어 있는 동계용내피부(30)와, 상기 제 2매트(22)의 하방에 사용자의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주머니가 형성되는 제 1발주머니부(28)와, 상기 제 3매트(32)의 하방에 사용자의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주머니가 형성되는 제 2발주머니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인 침낭에는 외피부(10)가 마련된다. 상기 외피부(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을 형성하는 판상의 제 1매트(12)와, 상기 제 1매트(12)의 일측을 기준으로 접을 수 있도록 연장되면 사용자의 안면이 노출되는 제 1노출홈(15)이 형성되는 제 1상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피부(10)의 하단에는 조임끈부(18)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임끈부(18)는 상기 제 1매트(12)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피부(10)를 말았을 때 상기 외피부(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아래에서 설명될 내피부(20, 30)를 포함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인 침낭에는 춘추계용내피부(20)가 마련된다. 상기 춘추계용 내피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피부(10)에 체결되고, 상기 제 1매트(12)에 대응되는 제 2매트(22)와, 상기 제 1상부(14)와 대응되는 제 2상부(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매트(22)의 하방에는 제 1발주머니부(28)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발주머니부(28)는 사용자가 침낭 사용시 사용자의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상부(24)와 상기 제 2매트(22)에는 제 1바람막이부(29)가 더 마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누었을 때, 목 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에 돌기형상으로 제 1바람막이부(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바람막이부(29)는 사용자가 침낭에 들어갔을 때, 외부의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인 침낭에는 동계용내피부(3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동계용내피부(30)는, 상기 외피부(10) 또는 상기 춘추계용내피부(20)에 체결되고, 상기 제 1매트(12)에 대응되는 제 3매트(32)와, 상기 제 1상부(14)에 대응되는 제 3상부(34)를 포함하고, 내부에 보온재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매트(32)의 하방에는 제 2발주머니부(38)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2발주머니부(38)는 사용자가 침낭 사용시 사용자의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3상부(34)와 상기 제 3매트(32)에는 제 2바람막이부(39)가 더 마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누었을 때, 목 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에 돌기형상으로 제 2바람막이부(3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바람막이부(39)는 사용자가 침낭에 들어갔을 때, 외부의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외피부(10), 상기 춘추계용내피부(20) 및 상기 동계용내피부(30)에는 각각 가장자리를 따라 지퍼부(16, 26, 36)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퍼부(16, 26, 36)는 상기 외피부(10), 상기 춘추계용내피부(20) 및 상기 동계용내피부(30)가 각각 침낭 형상으로 체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피부(10), 상기 춘추계용내피부(20) 및 상기 동계용내피부(30)의 가장자리에는 단추부(17, 27, 37)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단추부(17, 27, 37)는, 상기 외피부(10), 상기 춘추계용내피부(20) 및 상기 동계용내피부(30)가 서로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침낭의 작용을 설명한다.
봄 또는 가을에는 사용자가 침낭을 사용하려는 경우, 외피부(10)에 춘추계용내피부(20)를 단추부(17, 27)를 통하여 서로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지퍼부(16, 26)를 결합시켜 침낭형태로 만든다. 그리고 침낭 속으로 사용자가 들어가면 사용자의 발은 제 1발주머니부(28)로 삽입되고, 사용자의 목 부분에 제 1바람막이부(29)가 위치된다.
한편, 겨울에 사용자가 침낭을 사용하려는 경우, 외피부(10)에 춘추계용 내피부(20) 및 동계용내피부(30)를 결합시키거나, 외피부(10)에 동계용내피부(30)를 단추부(16, 36)를 통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지퍼부(17, 37)를 결합시켜 침낭형태로 만든다. 그리고, 침낭속으로 사용자가 들어가면 사용자의 발은 제 2발주머니부(38)로 삽입되고, 사용자의 목 부분은 제 2바람막이부(39)가 위치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외피부 12: 제 1매트
14: 제 1상부 15: 제 1노출홈
16: 지퍼부 17: 단추부
18: 조임끈부 20: 춘추계용내피부
22: 제 2매트 24: 제 2상부
25: 제 2노출홈 26: 지퍼부
27: 단추부 28: 제 1발주머니부
29: 제 1바람막이부 30: 동계용내피부
32: 제 3매트 34: 제 3상부
35: 제 3노출홈 36: 지퍼부
37: 단추부 38: 제 2발주머니부
39: 제 2바람막이부

Claims (3)

  1. 바닥을 형성하는 판상의 제 1매트와, 상기 제 1매트의 일측을 기준으로 접을 수 있도록 연장되면 사용자의 안면이 노출되는 제 1노출홈이 형성되는 제 1상부를 포함하는 외피부;
    상기 외피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 1매트에 대응되는 제 2매트와, 상기 제 1상부와 대응되는 제 2상부를 포함하는 춘추계용내피부;
    상기 외피부 또는 상기 춘추계용내피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 1매트에 대응되는 제 3매트와, 상기 제 1상부에 대응되는 제 3상부를 포함하고, 내부에 보온재가 포함되어 있는 동계용내피부;
    상기 제 2매트의 하방에 사용자의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주머니가 형성되는 제 1발주머니부; 및
    상기 제 3매트의 하방에 사용자의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주머니가 형성되는 제 2발주머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피부에는,
    상기 제 1매트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피부를 말았을 때 고정시키는 조임끈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외피부, 상기 춘추계용내피부 및 상기 동계용내피부에는 각각 가장자리를 따라 지퍼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외피부, 상기 춘추계용내피부 및 상기 동계용내피부의 가장자리에는 단추부가 더 마련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2상부와 상기 제 2매트 중 사용자가 누웠을 때 목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이 돌출된 제 1바람막이부와,
    상기 제 3상부와 상기 제 3매트 중 사용자가 누웠을 때 목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이 돌출된 제 2바람막이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낭.

  2. 삭제
  3. 삭제
KR2020160007413U 2016-12-21 2016-12-21 침낭 KR2004860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413U KR200486066Y1 (ko) 2016-12-21 2016-12-21 침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413U KR200486066Y1 (ko) 2016-12-21 2016-12-21 침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066Y1 true KR200486066Y1 (ko) 2018-03-29

Family

ID=61801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413U KR200486066Y1 (ko) 2016-12-21 2016-12-21 침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06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556B1 (ko) 2019-03-11 2019-12-05 임경섭 보온성이 향상된 침낭
KR20210030580A (ko) 2019-09-10 2021-03-18 김영조 침낭
KR102647613B1 (ko) 2023-10-16 2024-03-14 (주)엘코 매트 결합형 아웃도어용 침낭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4148A (ja) * 1995-10-02 1997-04-08 Camel:Kk 寝 袋
KR100481766B1 (ko) 1997-04-21 2005-08-29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유체제어기용가열장치
KR20090113414A (ko) * 2008-04-28 2009-11-02 주식회사 한웅 침낭
KR100979962B1 (ko) * 2010-02-09 2010-09-06 대한민국 침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4148A (ja) * 1995-10-02 1997-04-08 Camel:Kk 寝 袋
KR100481766B1 (ko) 1997-04-21 2005-08-29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유체제어기용가열장치
KR20090113414A (ko) * 2008-04-28 2009-11-02 주식회사 한웅 침낭
KR100979962B1 (ko) * 2010-02-09 2010-09-06 대한민국 침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556B1 (ko) 2019-03-11 2019-12-05 임경섭 보온성이 향상된 침낭
KR20210030580A (ko) 2019-09-10 2021-03-18 김영조 침낭
KR102647613B1 (ko) 2023-10-16 2024-03-14 (주)엘코 매트 결합형 아웃도어용 침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066Y1 (ko) 침낭
US5701617A (en) Absorbent bedsheet
CN104968242B (zh) 具有打开和闭合机构的配套床上用品
US9565951B2 (en) Small child and baby carrier and extension element for the use as a part of a small child and baby carrier
US5996146A (en) Zipperless sleeping bag
USD590649S1 (en) Multi-use baby cover
TWM347061U (en) Structure of shower cap
WO2015170259A1 (en) An article of clothing extending over the chest of a wearer
USD707315S1 (en) Racquet weight
KR20150002424U (ko) 족욕기
US20180116892A1 (en) Dental Chair Cover Kit
RU75548U1 (ru) Предмет одежды - конверт для пеленания новорожденного ребенка
US20080244814A1 (en) Disposable Toilet Seat Cover
CN211382149U (zh) 一种便携迷你型热水袋外套
CN206472883U (zh) 一种保暖护膝
KR200474202Y1 (ko) 발보호부재
CN209899735U (zh) 一种造口保护袋
CN210747297U (zh) 一种婴儿围兜
TWI362248B (ko)
TWM510646U (zh) 便攜式鞋
CN205581817U (zh) 一种新型鼠标垫
KR960007973Y1 (ko) 조립식 베개
JPS6017122Y2 (ja) 発熱袋を設けた長靴
TWM492637U (zh) 伸縮保暖褲
JP3010682U (ja) 服の汚れを防ぐ胸当て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