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530B1 - 생리학적 신호 송신기용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 Google Patents

생리학적 신호 송신기용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530B1
KR102647530B1 KR1020210002094A KR20210002094A KR102647530B1 KR 102647530 B1 KR102647530 B1 KR 102647530B1 KR 1020210002094 A KR1020210002094 A KR 1020210002094A KR 20210002094 A KR20210002094 A KR 20210002094A KR 102647530 B1 KR102647530 B1 KR 102647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ion port
transmitter
charging
physiologic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2137A (ko
Inventor
춘무 황
치에싱 첸
Original Assignee
바이오나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나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바이오나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92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Monitoring the patient using a local or closed circuit, e.g. in a room or build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31Implanted circui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7Endoradiosondes
    • A61B5/073Intestinal transmit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or needle or using implante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847Communication to or from blood sampling device
    • A61B5/150877Communication to or from blood sampling device with implanted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or multiple sampling, e.g. at predetermined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7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45Holders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8Interlock mechanisms; Means for avoiding unauthorised use or function, e.g. tamperpro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1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or supply
    • A61B2560/0219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or supply of externally powered implanted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43Modular apparatus
    • A61B2560/045Modular apparatus with a separable interface unit, e.g. for 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56Apparatus provided with a docking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6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6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livering implantable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 A61B2562/16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the sensor is mounted on a specially adapted printed circuit boa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8Shielding or protection of sensors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protection from mechanical da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22Arrangements of medical sensors with cables or leads; Connectors or couplings specifically adapted for medical sensors
    • A61B2562/225Connectors or couplings
    • A61B2562/227Sensors with electrical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24Hygienic packaging for medical sensors; Maintaining apparatus for sensor hygiene
    • A61B2562/242Packaging, i.e. for packaging the sensor or apparatus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37Charg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6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connectable to external power source, e.g. connecting to automobile battery through the cigarette ligh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medicine and surg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3The load being a medical device, a medical implant, or a life supporting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iabet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생체의 피하 조직으로부터 생리적 신호를 수신하는데 사용하며 제 1 전기 연결 포트를 갖는 생리적 신호 송신기용 충전 장치가 개시된다. 충전 장치는 송신기 안착 시트와 충전 모듈을 포함한다. 송신기 안착 시트는 생리적 신호 송신기를 안착하는 지지면 및 생리적 신호 송신기의 제 1 전기 연결 포트와 정렬되도록 하는 개구를 포함한다. 충전 모듈은 제 2 전기 연결 포트, 제 3 전기 연결 포트, 회로 조립체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제 2 전기 연결 포트는 개구 내에 배치되고,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제 3 전기 연결 포트는 전원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생리적 신호 송신기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전 방법{CHARGING DEVICE FOR A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R AND A CHARGING METHOD FOR THE SAM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및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2020년 1월 14일에 USPTO에 출원한 미국 가출원 번호 제 62/960,855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의 개시내용은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기에 적용되는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신기는 생체의 생리적 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생리적 신호 측정 장치에 연속으로 송신하는 재사용 가능한 전자 장치이며, 충전 장치는 송신기를 충전하는데 사용한다.
최근의 현재 기술 발전과 생활 방식의 변화에 따라, 과거에는 병원에서 검사해야 했었던 일부 검사를 이제는 가정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특히, 생활 방식의 변화는 만성 질환을 지닌 환자의 증가로 이어졌으며, 이러한 산업의 발전을 가속화하고 있다. 혈당의 측정은 하나의 검사 항목이며, 혈중 혈당 농도의 측정은 당뇨병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치료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이다. 지난 20년 동안, 연속 포도당 모니터링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CGM) 시스템이 빠르게 발전해 왔다. 또한, CGM 시스템은 사용자가 장시간 착용해야 하므로, 장치의 소형화는 피할 수 없는 추세가 되었다. 대략적으로, CGM 시스템의 기본 구조는 대부분 센서, 송신기 및 센서 삽입기를 포함한다. 센서는 인체 내의 포도당 농도에 대응하는 생리적 신호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송신기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송신기가 생리적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패치 베이스와 조립된다. 센서 삽입기는 일반적으로, 센서가 생체의 피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패치 베이스를 부착하고, 송신기의 일부를 사용자의 피부 아래에 삽입할 수 있게 하는 기계적인 장치이다. 송신기는 비교적 고가인 전자 소자이며, 일반적으로는 송신기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를 무선 방식으로 송신하기 위한 처리 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상적으로는, 송신기가 재사용 가능한 요소이면, 환경 보호 및 비용 절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송신기의 재사용을 가능케 하려면, 송신기에 전력을 보충할 필요가 있다. 보통의 배터리를 사용함으로써 초래될 수 있는 폐 배터리의 오염을 피하기 위해서, 송신기 내의 배터리는 대부분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이다. 따라서, 본 기술 분야에서는 송신기와 함께 사용하는 충전기가 필요하다.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생리적 신호 송신기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전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특정 설계는 전술한 문제를 해결할뿐만 아니라, 구현하는 것도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업 상의 유용성을 갖는다.
송신기의 충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재사용 가능한 송신기를 충전하는 충전기를 제공한다. 사용시에, 송신기는 패치 베이스에서 분해된 다음, 충전을 위해 충전 장치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생체의 피하 조직으로부터 생리적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고, 충전을 위해 충전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제 1 전기 연결 포트를 갖는 생리적 신호 송신기용 충전 장치가 개시된다. 이 충전 장치는 송신기 안착 시트와 충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 안착 시트는: 그 위에 생리적 신호 송신기가 안착되는 지지면; 및 상기 제 1 전기 연결 포트와 정렬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되고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제 2 전기 연결 포트; 전원에 연결되는 제 3 전기 연결 포트; 및 상기 제 3 전기 연결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입력받는 회로 조립체로, 충전 전압을 제공 및 제어하도록 되며, 상기 제 2 전기 연결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 전압을 출력하는, 회로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생리적 신호 송신기가 상기 지지면에 안착되면, 상기 충전 모듈이 구동되어 상기 제 2 전기 연결 포트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전기 연결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생체의 피하 조직으로부터 생리적 신호를 수신하고 제 1 전기 연결 포트를 갖는 생리적 신호 송신기용 충전 장치가 개시된다. 이 충전 장치는 본체와 충전 모듈을 포함하고, 송신기 안착부를 갖는 상기 본체는: 그 위에 생리적 신호 송신기가 안착되는 지지면; 상기 생리적 신호 송신기의 제 1 전기 연결 포트와 정렬되는 개구; 및 상기 개구의 주변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본체에 수용되는 충전 모듈은: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되고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되는 제 2 전기 연결 포트; 전원에 연결되는 제 3 전기 연결 포트; 및 상기 생리적 신호 송신기에 대한 충전을 제어하도록 되고, 상기 제 2 전기 연결 포트 및 상기 제 3 전기 연결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생리적 신호 송신기가 상기 지지면에 안착되면, 상기 충전 모듈이 구동되어 상기 제 2 전기 연결 포트는 상기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특정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 1 전기 연결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생체의 피하 조직으로부터 생리적 신호를 수신하고 제 1 전기 연결 포트를 갖는 생리적 신호 송신기의 충전 방법이 개시된다. 이 충전 방법은, 개구를 갖는 송신기 안착 시트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충전 장치에 충전 모듈을 제공하는 단계로, 상기 충전 모듈은 제 2 전기 연결 포트 및 제 3 전기 연결 포트를 갖는, 단계; 상기 생리적 신호 송신기를 상기 송신기 안착 시트에 안착하는 단계; 상기 충전 모듈을 작동시켜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2 전기 연결 포트가 돌출되어 상기 생리적 신호 송신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전기 연결 포트를 전원에 연결하여 생리적 신호 송신기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본 발명이 송신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안전한 작용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것은 사용자에 의한 틀린 송신기 배치 방향으로 인해 생기는 충전기 또는 송신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송신기와 충전기 간의 전기적인 연결 방향이 충전기 상에서 송신기의 배치 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갖기 때문에, 본 발명은 충전 커넥터가 이동하여 충전을 위해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독창적인 기구도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기가 정확하게 안착되지 않은 경우, 충전 커넥터의 움직임에 의해 초래되는 부적절한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기구도 갖고 있다. 게다가, 송신기가 흔들리거나 심지어 충전기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전기는 위치결정 기구도 갖고 있으며, 이는 충전기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토록 송신기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을 살펴 본 후에, 당업자에게는 보다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가 배치되지 않은 충전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3차원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가 배치된 충전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3차원 도면이다.
도 1c는 또 다른 각도에서 도 1a의 충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d는 또 다른 각도에서 도 1a의 충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e는 도 1a의 충전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1f는 도 1a의 충전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g는 도 1b의 충전 장치의 배면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b의 충전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a는 검출 동안 본 발명의 송신기의 외관을 보인 3차원 개략도이다.
도 3b는 검출 동안 Y-Y 방향을 따라 본 발명의 송신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c는 검출 동안 X-X 방향을 따라 본 발명의 송신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d는 분리된 본 발명의 송신기와 센서 모듈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4a-4c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중심선에서 벗어난 다른 절단 선을 따른 측단면 사시도로, 송신기가 충전기에 안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4d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정지 모듈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측단면 사시도로, 송신기가 충전기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b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또 다른 측단면 사시도로, 제 2 전기 연결 포트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c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또 다른 측단면 사시도로, 송신기가 충전기 상에 안착되고 제 2 전기 연결 포트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지만 송신기는 숨겨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중심선에서 벗어난 다른 절단 선을 따른 측단면 사시도로, 송신기가 충전기에 안착되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의 배면 바닥 종방향 측단면 사시도로, 송신기가 충전기에 안착되어 작동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e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와 다양한 외부 전원 간의 연결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a 및 7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의 내부를 본체가 숨겨진 상태로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a 및8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가 그 위에 설치되어 사용 중인 충전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단면도이다.
도 9a 및 9b는 각각 작동단을 가지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가 그 위에 설치되어 사용 중인 충전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전도성 커넥터의 콘택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충전 장치 및 송신기의 회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a는 사용 중인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방습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b는 사용 중인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방습 조립체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커버로 덮혀 사용 중인 충전 장치의 방습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 중인 충전 장치의 방습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 중인 충전 장치의 방습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 중인 충전 장치의 방습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제 3 전기 연결 포트의 상이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중공 사시도이다.
도 14a 및 14b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비어 있는 뷰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a 및 16b는 전면 및 하측이 비어 있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c는 도 16a 및 16b의 실시예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6d는 도 16a 및 16b의 실시예의 전면 및 바닥을 비스듬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e는 도 16a 및 16b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다음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다음의 설명은 단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본원에 제시하는 점을 주목해야 하며, 이들 실시예는 철저하거나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 1a 내지 1g를 참조한다. 도 1a 내지 1d는 요소들과 구조체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 및 연결 관계를 충분히 나타내기 위해 상이한 각도로 제시되어 있다. 도 1a 내지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장치(1)는 그 안에 필요한 요소 및 구조체를 배치하고 보호하기 위한, 대략 쉘 형상의 물체(shell-shaped object)인 본체(10)를 갖는다. 충전 장치(1)는 생리적 신호 송신기(7) (이하 송신기(7)라고 약칭함)를 안착하기 위한 지지면(13’)을 지닌 안착부(13)도 갖는다. 안착부(13)는 슬롯 또는 포켓형 구조체와 유사하며, 송신기(7)가 측방향으로 그 안에 삽입되는 커버 플레이트(10a1)에 의해서, 지지면(13’)과 함께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안착부(13)는 어떤 다른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b에서, 송신기(7)가 안착부(13)에 정확하게 안착되면, 배플(61)이 배플 출구(16)로부터 돌출되어 송신기(7)를 안착부(13)에 위치결정함으로써, 송신기(7)가 안착부(1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동시에, 플러그(44) (또는, 제 3 전기 연결 포트로도 칭함)도 본체(10) 밖으로 돌출된다. 도 1a 및 1d는 제 2 전기 연결 포트(3’)의 충전 시트(30)를 그 안에서 들어 올리기 위한 안착부(13)에 있는 개구(15) (또는 상승 채널로도 칭함)를 개시하며; 즉, 안착부(13)는 제 2 전기 연결 포트(3’) 또는 충전 받침대(30)의 외측이나 상부에 형성된다. 또한, 충전 시트(30)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피하기 위해, 개구(15)에는 안내부(150)가 추가로 배치되어 (도 5c 참조), 상승 과정에서 충전 시트(30)가 사방에서 흔들리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며, 안내부들(150) 사이에는 슬라이딩 홈(150’)이 형성된다. 또한, 도 3d의 송신기(7)의 전기 연결 포트(73)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골드 핑거 형태인 제 1 전도성 커넥터(31)가 충전 시트(30)에 고정된다. 게다가, 도 1c 및 1d는 안착부(13)에서, 상부 제한 리브(101)가 커버 플레이트(10a1)의 내부면에 배치되고, 측면 제한 리브(102)가 커버 플레이트(10a1)의 2개의 측벽의 내부면에 배치되어, 송신기(7)를 충전 장치(1)에 안착하거나 제거할 때,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충전 장치(1)와 송신기(7) 간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개시한다. 또한, 제한 리브(101, 102)는 송신기(7)가 충전 시트(30)에 위치결정되는 것도 돕고, 송신기(7)가 흔들리거나 제거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게다가, 상부 하우징(10a)을 제조하는 경우, 제한 리브(101, 102)는 상부 하우징(10a)이 금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도 돕는다. 커버 플레이트(10a1)는 정전기 보호에 유용하고 부적절한 이물질이 제 1 전도성 커넥터(31) 및/또는 충전 시트(30)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개구(15)를 차폐하는데 사용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충전 장치(1)는 커버 플레이트(10a1)를 생략할 수 있거나, 커버 플레이트(10a1) 없이 송신기(7)의 전면, 측면 및 상부를 적절하게 차폐할 수도 있다. 또한, 작동 모듈(4) (도 2 참조)을 제어하기 위한 푸시-풀 키(12)가 하우징(10) 밖으로 돌출되며, 사용자는 푸시-풀 키(12)를 통해 작동 모듈(4)의 작동을 제어한다.
송신기(7)가 미리 결정된 위치에 안착되지 않은 경우, 가령, 안착부(13)에 안착되지 않았거나 정확하게 안착되지 않은 경우, 작동단(51)이 안착부(13) 내로 돌출되는 것을 개시하는 도 1d를 참조한다. 작동단(51)은 제 1 잠금 모듈(5) (정지 모듈(5)로도 칭함)에 속한다. 송신기(7)가 안착부(13)에 정확하게 안착되면, 작동단(51)이 가압되어 하방으로 이동한다. 자세한 작동 원리는 후술한다 (도 4c 및 6c 참조).
도 1e를 참조한다. 푸시-풀 키(12)는 하우징(10)의 바닥에 배치되며, 위치결정 블록(120)을 더 갖는다. 제 1 위치결정 홈(103a) 및 제 2 위치결정 홈(103b)이 하우징(10)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도 1e의 위치결정 블록(120)은 제 1 위치결정 홈(103a)과 결합되어, 푸시-풀 키(12)를 제 1 작동 상태로 유지한다. 사용자가 하우징(10)의 내부를 향해 푸시-풀 키(12)를 가압하면, 위치결정 블록(120)은 제 1 위치결정 홈에서 분리될 수 있다. 다음에, 푸시-풀 키(12)를 제 2 위치결정 홈(103b)으로 가압하면, 위치결정 블록(120)은 제 2 위치결정 홈(103b)과 결합될 수 있다 (도 6g 참조). 충전 장치(1)의 배면(후방부) 뷰를 개시하는 도 1f를 참조한다. 제한 리브(101)는 커버 플레이트(10a1)의 내부면에 배치된다. 또한, 제 1 정합부(14)가 안착부(13)의 가장 깊은 부분에 돌출 배치되는 것도 볼 수 있다. 충전 장치(1)의 안착부(13)의 폭(W2)이 송신기(7)의 폭(W1) 미만이거나 동일한 것을 개시하는 도 1g를 참조한다. 사용자가 송신기(7)를 꺼내고자 하는 경우, 그는 충전 장치(1)를 동시에 클램프하지 않고도 안착부(13)의 좌우측에서 송신기(7)를 편리하게 잡고서 클램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해도인 도 2를 참조한다. 도 1a 내지 1g에서 하우징(본체)(10)은 상부 하우징(10a)과 하부 하우징(10b)으로 더 나눌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부 하우징(10a)은 그 위에 형성된 표시 영역(11), 커버 플레이트(10a1) 및 지지면(13’)을 갖는 전술한 안착부(13)를 포함하며, 이들 대부분은 위에서 설명하였으며, 여기서는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송신기(7)에는 제 2 정합부(70)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 영역(11)의 형상이 제 2 정합부(70)의 형상과 유사한 것을 도 2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송신기(7)를 충전 장치에 넣는 방향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상기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충전 장치 상의 제 1 정합부(14)는 볼록한 형상 (도 1f 참조)을 가지며, 송신기(7) 상의 제 2 정합부(70)는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제 1 정합부와 제 2 정합부가 서로 결합되면, 안전한 구조체가 형성되며, 제 1 전기 연결 포트(73)와 개구(15)가 정확하게 정렬된다 (도시 생략).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한다. 충전 장치(1)는 충전 모듈(3)을 포함한다. 충전 모듈은 제 2 전기 연결 포트(3’), 회로 조립체(33) 및 제 3 연결 포트(44)를 포함한다. 제 2 전기 연결 포트(3’)는 충전 시트(30)를 포함하고, 충전 시트(30) 상에는 제 1 전도성 커넥터(31)와 제 2 전도성 커넥터(32)가 배치된다. 전력 및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 1 전도성 커넥터(31)는 일반적으로 골든 핑거 형태의 커넥터이다. 접지로서 역할을 하는 제 2 전도성 커넥터(32)는 일반적으로 포고 핀(pogo pin)이다. 충전 시트(30)의 측면 상에는 슬라이딩 요소로서 역할을 하는 제 2 안내 구조체(301)가 있고, 제 1 슬라이딩 요소(301)는 슬라이딩 요소 받침대(302)를 통해 충전 시트(30) 상에 배치된다. 회로 조립체(33)는 생리적 신호 송신기에 대한 충전 및 충전 제어 또는 신호 송신 제어를 수행하는데 사용한다. 회로 조립체(33)의 일단은 회로 기판(330)이다. 회로 기판(330)은 발광 소자(332) 및 그 밖의 관련 전자 소자를 구비하며, 제 1 전도성 커넥터(31) 및 제 2 전도성 커넥터(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발광 소자(332) 위에는 상부 하우징(10a)에 배치되는 도광 소자(52’)가 있다. 도광 소자(52’)는 일반적으로 제 1 정합부(14) (도 1f 참조) 내에 위치되며, 그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표시 영역(11)에 꼭 맞는다. 그러므로, 표시 영역(11)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조되거나, 또는 그 자체가 도광 소자(52’)의 일부로서 역할을 한다; 즉, 도광 소자(52’)의 형상은 제 2 정합부(70)에 대응하며, 표시 영역(11)은 광 신호 영역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회로 조립체(33)의 타단은 플렉시블 전기 연결 요소(331)이며, 이는 일반적으로 입력 전원에 대한 제 3 전기 연결 포트로서 역할을 하는 플러그(44)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플렉시블 인쇄 회로이다. 플렉시블 전기 연결 요소(331)는 슬라이딩 핀 전도성 구조체 또는 슬라이딩 레일 전도성 구조체로 대체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한다. 충전 장치(1)는 작동 모듈(4)을 포함한다. 작동 모듈(4)은 제 2 전기 연결 포트(3’)를 구동하여 송신기(7)의 제 1 전기 연결 포트(7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작동부(40)를 포함한다. 작동부(40)는 그 위에 조립된 제 3 전기 연결 포트(44)를 가지며, 제 1 안내 구조체(41)를 갖는다. 제 1 안내 구조체(41)는 일반적으로, 제 1 슬라이딩 요소(301)와 결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레일 또는 슬라이딩 홈이다. 작동부(40)가 구동되어 측면으로 이동하면, 제 1 안내 구조체(41)는 제 1 슬라이딩 요소(301)가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며, 그로 인해 충전 시트(30)를 구동하여 상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 1 슬라이딩 요소(301)는 제 2 안내 구조체로서의 역할도 한다. 또한, 전술한 푸시-풀 키(12)는 작동부(40) 아래에 배치된다; 즉, 사용자는 작동부(40)를 구동하여 푸시-풀 키(12)를 통해 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자세한 작동에 대해서는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한다). 푸시-풀 키(12)와 작동부(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각각 독립적인 요소일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한다. 충전 장치(1)는 제 2 전기 연결 포트(3’)의 이동을 해제 가능하게(releasably) 제한하기 위한 제 1 잠금 모듈(5) (또는 정지 모듈(5) 및 제 1 잠금부(5)로도 칭함)을 더 포함한다. 정지 모듈(5)의 일단은 작동단(51)이고, 그의 타단은 정지단(52)이다. 작동단(51)은 안착부(13)로 연장되며, 즉 지지면(13’)으로부터 돌출되고, 정지단(52)은 작동부(40) 상에 배치되는 차단부(43)와 결합되며; 즉, 차단부(43)는 이것이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정지단(52)에 의해 차단된다. 그러므로, 작동부(40)는 제 1 안내 구조체(41)를 통해 종방향으로 이동하지 않토록 제 1 슬라이딩 요소(301)를 안내한다. 따라서, 제 1 잠금 모듈(5)은 제 2 전기 연결 포트(3’)의 이동을 간접적으로 제한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제 1 잠금 모듈(5)은 송신기(7)가 안착부(13)에 안착되지 않는 경우, 안착부(13) 내로 정상적으로(normally) 연장되는 작동단(51)을 유지하기 위한 탄성 요소(53)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정지단(52)은 정상적으로 정지되는 차단부(43)를 유지한다. 작동단(51)과 정지단(52) 사이에는 피봇부(50)가 있다. 피봇부(50)는 하부 하우징(10b)의 피봇 프레임(10b2)에 대해 피봇된다. 송신기(7)에 의해 작동단(51)이 가압되면, 제 1 잠금 모듈(5)은 피봇부(50)를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할 수 있고, 피봇 프레임(10b2)을 받침점으로 해서 회전할 수도 있다 (상세한 전방 및 후방 작동에 대해서는 도 4b 및 5a를 참조한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한다. 충전 장치(1)는 제 2 잠금 모듈(6) (또는 제 2 잠금부(6), 위치결정 모듈(6) 및 배플(61)로도 칭함)을 더 포함한다. 위치결정 모듈(6)은 배면측 근처에서 충전 장치(1)에 배치되고, 배플 출구(16)로부터 연장되어 안착부(13)에 도달할 수 있는 배플(61)을 가지며, 배플(61)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배플(61)이 배플 출구(16)로부터 연장될 수 있게 하는 탄성 요소(62)를 갖는다. 제 2 잠금 모듈(6)은 제 2 연결단(42)에 연결하기 위한 제 1 연결단(60)도 갖는다. 또한, 제 2 잠금 모듈(6)은 배플(61)이 시프팅 또는 회전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 하우징(10b)의 안내 요소(10b1)에 결합되는, 노치인 안내 구조체(63)를 갖는다 (자세한 작동에 대해서는 도 4c 및 도 6c를 참조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충전 모듈(3), 작동 모듈(4), 제 1 잠금 모듈(5) 또는 제 2 잠금 모듈(6)의 일부는 하부 하우징(10b)과 유사한 하우징 구조를 형성하여 다양한 요소 (도시 생략)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상부 하우징(10a)과 형성할 수 있다. 작동 모듈(4), 제 1 잠금 모듈(5) 및 제 2 잠금 모듈(6)은 제어 모듈로서 통칭한다. 제어 모듈은 송신기(7)와 충전 모듈(3) 간의 작동 과정을 제어하여 송신기(7)와 제 2 전기 연결 포트(3’)가 분리되거나 연결되는 경우, 송신기(7)까지 모두 보호할 수 있도록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는데 사용한다. 이것은 사용자의 부적절한 조작으로 인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한다 (자세한 작동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6c를 참조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잠금 모듈(5) 또는 제 2 잠금 모듈(6)은 각각 작동 모듈(4)과 연어를 이루며, 제 1 잠금 모듈(5), 제 2 잠금 모듈(6) 및 작동 모듈(4)은 제어 모듈로서 통칭한다.
도 3a 내지 3d를 참조하며, 여기서 도 3a는 송신기(7)가 센서 모듈(8) 상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센서 조립체(81)에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고, 센서 모듈(8)은 센서 받침대(80) 및 센서 조립체(81)를 포함한다. 센서 받침대(80)는 접착 시트(ST)를 통해 피부(S)에 접착될 수 있으며, 이때, 송신기(7)는 센서(810)로부터의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도록 된다.
도 3b 내지 3d를 참조한다. 송신기(7)는 배터리(71)와, 센서 조립체(81) 또는 제 2 전기 연결 포트(3’)를 입력 단자(732) 및 제 2 입력 단자(733)를 구비하는 삽입홀(731)의 구조체와 정합시키는데 사용하는 홈 구조체를 갖는 입력부(730)를 지닌 제 1 전기 연결 포트(73)를 포함한다. 배터리(71)는 송신기(7)의 신호 출력 등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입력 단자(732)는 출력 단자(812) 또는 제 1 전도성 커넥터(3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한다. 또한, 송신기(7)는 센서 받침대(80)의 제 2 버클결합 구조체(83)와 버클결합 및 고정하기 위한 제 1 버클결합 구조체(72)도 포함한다. 센서 조립체(81)는 센서 받침대(80)의 센서 조립체 고정 구조체(82)에 고정된다. 센서(810)의 피어싱 단(piercing end) (811)은 피하 조직(SC)을 관통하는 한편, 센서(810)의 출력 단자(812)는 입력부(73)로 들어가서 송신기(7)내의 입력 단자(7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810)로 측정한 신호를 송신기(7)를 통해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송신기(7)가 센서 받침대(80) 상에 틀린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센서 받침대(80)는 제 2 정합부(70)와 정합하기 위한 정합 위치결정부(84)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센서 받침대(80) 상에 송신기(7)를 덮는 경향이 있는 경우, 구조체의 외관을 통해 설치 방향을 식별하여 안전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송신기(7)는 그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충전 장치(1)는 다른 유형의 송신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생리적 신호 송신기(7)는 일반적으로, 송신기 본체(75)를 포함한다. 본체(75)는 회로 기판(76), 회로 기판(7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71), 및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전기 연결 포트(73)도 포함한다.
충전 장치(1)가 송신기(7)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한다. 각 구성요소의 참조 번호는 도 2를 참조한다. 도 4a 및 도 4b에서, 충전 모듈(3)은 제 1 작동 상태에 있고, 제 2 전기 연결 포트(3’)는 작동되지 않아 개구(15) 내부의 (후퇴한 상태에서 지지면(13’)에 대응하는) 제 1 위치, 즉, 비충전 위치에 놓이며, 개구(15)는 슬라이딩 홈(150’)을 포함하고, 회로 조립체(33)는 하우징(10)에 배치되며 회로 기판(330) 및 전기 연결 요소(331)를 포함한다. 회로 기판(330)은 발광 소자(332)를 구비하며, 충전 시트(30) 내의 제 1 전도성 커넥터(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기 커넥터(331)는 일반적으로, 플러그(44)의 출력단에서 용접에 의해 전기 연결 플러그(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렉시블 재료로 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10a)은 전방에 표시 영역(11)에 배치되는 도광 소자(52’) 및 후방에 배플 출구(16)를 가지며, 여기서 안내 요소(10b1)에 감싸진 배플(61)은 배플 출구(16) 내에 배치된다. 하우징(10)에는 작동부(40)도 배치된다. 푸시-풀 키(12)는 작동부(40)의 바닥에 배치되고, 전기 연결 플러그(44)는 작동부(40) 상에서 고정 블록(40a)으로 잠금되기도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푸시-풀 키는 다른 방법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4a 및 4b를 참조한다. 송신기(7)의 제 2 정합부(70)와 정합하기 위한 제 1 정합부(14)는 하우징(10)의 전면에 대응하는 안착부(13)에 배치되어, 송신기(7)가 미리 결정된 위치에 안착되도록 한다. 작동 모듈(4)은 제 1 작동 상태에 있으며, 여기서 작동부(40)의 제 1 안내 구조체(41)는 충전 시트(30)의 제 2 안내 구조체(301)에 결합되고, 이때, 제 2 안내 구조체(301)는 제 1 안내 구조체(41)에서 아직 슬라이딩하지 않는다. 도 4c 및 도 4d에서, 제 1 안내 구조체(41)는 제 2 안내 구조체(301)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면을 갖는 경사홈이다. 작동부(40)는 제 1 잠금 모듈(5)의 정지단(52)에 의해 잠금되거나 정지되는 차단부(43)를 갖는다. 그러므로, 푸시-풀 키(12)가 외력이나 작동부(40) 자체의 흔들림으로 인해 작동부(40)를 구동하는 경향이 있는 경우, 제 1 안내 구조체(41)는 제 2 안내 구조체(301)를 구동하지 않음으로써, 제 2 전기 연결 포트(3’)가 우연히 (연장된 상태에서 지지면(13’)에 대응하는) 제 2 위치를 향해 구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게다가, 제 1 전도성 커넥터(31)는 더 가볍고 더 콤팩트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송신기(7)를 강제로 넣거나 빼려는 경우, 제 1 전도성 커넥터(31)에 대한 잠재적인 손상 문제도 피할 수 있다. 도 4b는 안착부(13) 내로 연장되는 제 1 잠금 모듈(5)의 작동단(51)의 위치를 추가로 개시한다. 피봇부(50)는 제 1 잠금 모듈(멈춤부)(5)의 작동단(51)과 정지단(52) 사이에서 하부 하우징(10b)의 피봇 프레임(10b2) 상에서 피봇되므로, 제 1 잠금 모듈(5)은 로커(rocker)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작동단(51)이 아래로 가압되면, 정지단(52)은 상승한다 (도 5a 참조). 또한, 탄성 요소(53)는 제 1 잠금 모듈(5)을 하부 하우징(10b)과 연결시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송신기(7)가 충전 장치(1)에 안착되지 않은 상황 하인 경우 (즉, 작동단(51)이 가압되지 않는 경우), 지지면(13’)으로부터 돌출되는 작동단(51)을 유지한다.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 충전 시트(30)가 이동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제 2 안내 구조체(301)가 제 1 안내 구조체(41)에 의해 구동되지 않고, 슬라이딩 요소 받침대(302)가 제 2 안내 구조체(301)를 따라 이동하지 않게 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 4c를 참조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 홈(150’)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부(150)를 개구(15)의 외측에 더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딩 홈(150’)과 개구(15)가 서로 연결되어, 슬라이딩 요소 받침대(302)가 슬라이딩 홈(150’) 내의 제 2 전기 연결 포트(3’)를 안내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개구(15)로부터 확장 및 수축되도록 한다. 제 2 잠금 모듈(6)은 제 1 연결단(60)를 더 포함한다. 제 1 작동 상태 하인 경우, 작동부(40)는 제 1 위치에 있고, 제 2 연결단(42)은 제 1 연결단(60)과 연결되어 배플(61)이 탄성 요소(62)에 의해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제 2 전기 연결 포트(3’)는 제 1 위치 (지지면(13’)에 대해 수축된 상태)에 위치되므로, 제 2 잠금 모듈(6)이 가압되어 배플(61)을 배플 출구(16) 내부에 유지, 즉, 배플 출구(16) 밖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제 2 잠금 모듈(6)은 송신기(7)의 위치결정을 해제하여 송신기(7)를 안착부(13)에 삽입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의 제 1 잠금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시하는 도 4d를 참조하며, 여기서, 제 1 잠금 모듈은 잠금 블록(5)으로 대체되며, 이 블록은 일단이 작동단(51)이고 타단은 정지단(52)인 슬라이딩 본체(50’)를 가지며, 충전 모듈의 제 2 안내 구조체(301)는 제 1 안내 구조체(41)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부에서 정지단(52)에 의해 차단된다. 송신기(7)가 안착부(13)에 안착되지 않은 경우, 잠금 블록(5)은 스프링(53) (즉, 안착부(13)의 개방 방향으로 미는 힘)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배플(61)을 향해 이동한다. 따라서, 제 2 안내 구조체(301)가 제 1 안내 구조체(41)에 의해 상방으로 밀리면, 이는 정지단(52)에 의해 차단되어 상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송신기(7)가 정확한 방향으로 안착부(13)에 삽입되는 경우, 즉 제 2 정합부(70)가 내측을 향하고 있는 경우, 송신기(7)는 작동단(51)을 밀어 안착부(13) 내로 더 깊게 이동시킬 수 있고, 다음에 잠금 블록(5)을 구동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정지단(52)은 제 2 안내 구조체(301)의 상측에서 멀어지게 이동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푸시-풀 키(12)를 통해 제 1 안내 구조체(41)를 구동하면, 제 2 안내 구조체(301)는 상방으로 구동되고, 정지단(52)은 더 이상 제 2 안내 구조체(301)를 차단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차단 모듈은 정지 모듈과 충전 모듈 또는 작동 모듈의 해제 가능한 결합에 의해 제 2 전기 연결 포트(3’)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 2 전기 연결 포트에 대한 제 1 잠금 모듈의 이동 제한은 완전한 금지 또는 단지 부분 변위일 수 있지만, 이 경우 제 1 전기 연결 포트(73)와의 효과적인 접촉을 제공할 수 없다 (도 3d).
송신기(7)가 충전 장치(1)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안착되고 작동부(40)가 제어되어 제 2 전기 연결 포트(3’)를 구동함으로써, 지지면(13’)을 돌출시키는 경우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한다. 도 2 및 도 3a 내지 3d에 있는 각 구성요소의 참조 번호도 참조하며, 이하에서는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도 5a는 송신기(7)가 충전 장치(1)의 지지면(13’)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안착된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다. 송신기(7)가 비교적 정확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작동단(51)은 송신기(7)에 의해 작동되어 송신기(7)가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한다. 송신기(7)가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있으면, 정지단(52)은 작동부(40)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여 작동부(40)가 제 2 전기 연결 포트(3’)를 구동하여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제 1 전기 연결 포트(73)와의 연결 또는 분리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도 5a에서,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있는 송신기(7)는 작동단(51)을 가압하여 제 1 잠금 모듈(5)을 회전시키고, 그와 동시에, 제 2 전기 연결 포트의 이동 제한을 해제하도록 정지단(52)이 상승하여 차단부(43)를 해제한다. 이때, 탄성 요소(53)는 압축되고, 송신기(7)를 꺼낸 후에, 탄성 요소(53)의 탄성 복원력으로 작동단(51)이 구동되어, 안착부(13)까지 상방으로 연장된다 (도 4b에 있는 상태와 동일).
송신기(7)가 안착부(13)에 안착되고 푸시-풀 키(12)가 작동되어 전기 연결 플러그(44)의 일부를 밀어낸 후, 작동부(40)가 제어되어 제 2 전기 연결 포트(3’)를 구동함으로써, 제 1 위치결정으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5b 내지 도 5c를 참조한다. 도 5b 내지 5d에서, 우측 방향으로 미는 경우, 제 1 잠금 모듈(제 1 잠금부)(5)의 정지단(52)이 상승했고, 더 이상 차단부(43)를 정지시킬 수 없으며, 제 2 전기 연결 포트(3’)는 이동 제한을 해제하고, 푸시-풀 버튼(12)은 작동부(40)를 구동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제 1 안내 구조체(41)는 제 2 안내 구조체(301)를 밀어 상방으로 이동시킨 다음, 충전 시트(30)를 구동하여 제 1 전도성 커넥터(31)가 삽입홀(731)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도 3c 참조), 개구(15)로부터 상방으로 센서(7)의 제 1 전기 연결 포트(73)를 향해 이동시킨다 (도 3d 및 6a와 관련). 동시에, 전기 연결 플러그(44)가 부분적으로 개구(17) 밖으로 연장된다. 또한, 작동부(4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제 2 연결단(42)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잠금부(6)의 제 1 연결단(6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가압으로 인한 탄성 요소(62)의 탄성 내재 에너지(elasticity potential)가 해제되어 배플(61)을 배플 출구(16)로부터 밀어내고 송신기(7)의 후방단을 정지시켜 안착부(13) 상에 송신기(7)를 위치결정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송신기(7)가 안착된 후 송신기(7)를 숨겨 안착부(13) 만을 도시하며, 푸시-풀 키(12)가 작동되어 전기 연결 플러그(44)의 일부를 밀어내고, 충전 시트(30) 및 그의 제 1 전도성 커넥터(31)가 개구(15)에서 상승하는 동안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5c를 참조한다. 작동부(40)가 제어되어 제 2 위치에서 제 2 전기 연결 포트(3’)를 구동하고, 송신기(7)가 삽입된 후 전기 연결 플러그(44)가 완전히 밀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한다. 도 2 및 도 3a 내지 3d에 있는 각 구성요소의 참조 번호도 참조하며, 이하에서는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도 6a 및 도 6b에서, 제 2 전기 연결 포트(3’) 위에서 제 1 잠금 모듈(5)의 이동 제한이 해제되면, 작동부(40)는 제 2 전기 연결 포트(3’)를 구동하여 (연장된 상태에서 지지면(13’)에 대해서) 개구(15)내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제 1 전기 연결 포트(73)에 (즉, 충전 위치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여기서 충전 시트(30)는 개구(15)로부터 연장되어 제 1 전기 연결 포트(73)와의 연결을 달성한다. 즉, 제 1 전도성 커넥터(31)가 삽입홀(731)로 들어가서 송신기(7)의 입력 단자(732) (도 3c에 도시된 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푸시-풀 키(12)는 도면에서 가장 우측 부분인 하우징(10)의 전방으로 밀리며, 전기 연결 플러그(44)도 개구(17) 밖으로 완전히 연장된다. 이 상황에서, 회로 기판(330)도 가장 높은 위치로 상승하여, 발광 소자(332)는 도광 소자(52’)에 가장 가깝게 있다. 이때, 발광 소자(332)의 조명은 도광 소자(52’)를 통해 표시 영역(11)으로 전달될 수 있어, 전체적인 작동 과정이 안전성 및 도광 효과 모두를 갖게 하며, 충전 장치(1)의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충전 장치(1)를 소형화한다.
이때, 발광 소자(332)는 조명할 준비가 되어 있다. 전기 연결 플러그(44)가 AC 전원 어댑터, 컴퓨터 USB 소켓, 자동차 충전 어댑터 또는 USB 소켓을 구비한 장치 등의 외부 전원에 꽂혀 있으면 (개인용 컴퓨터(91)의 USB 소켓에 꽂을 수 있는 도 6d의 충전기(1), 휴대폰 충전기(92) 또는 도 6e의 자동차 시가 라이트 USB 어댑터(93)에 꽂을 수 있는 도 6e의 충전기(1)를 참조한다), 발광 소자(332)는 발광하여 표시 및 지시를 제공할 수 있고, 상이한 발광 색상 및 패턴에 의해서 충전기(1)의 사용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작동 모듈(3)이 제 2 작동 상태에 있는 도 6c를 참조한다. 푸시-풀 키(12)를 하우징(10)의 전방단의 방향으로 밀면, 작동부(40)도 하우징(10)의 전방단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도달하고, 이때, 제 2 안내 구조체(301)도 제 1 안내 구조체(41)에 의해 가장 높은 위치로 밀려 올라간 것을 알 수 있다. 상대적으로, 도 6c에서 전기 연결 플러그(44)의 상태는 밀려 나온 반면, 도 4c에서는 뒤로 후퇴한다. 도 6c는 슬라이딩 요소 받침대(302)도 슬라이딩 홈(150’)의 높은 위치로 상승했고, 제 2 잠금부(6) (배플(61))의 제 2 연결단(42)이 제 1 연결단(60)에서 분리되어, 원래 가압되어 있던 탄성 요소(62)의 탄성 내재 에너지를 해제하여 배플(61)을 배플 출구(16) 밖으로 밀어내고 송신기(7)를 안착부(13)에 유지하도록 송신기(7)의 후방단을 정지시켜, 송신기(7)를 위치결정시키고 잠금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전기 연결 포트(73)와 제 2 전기 연결 포트(3’)가 실수로 송신기(7)를 집어들어 안착시켜 제 2 전기 연결 포트(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개시한다. 게다가, 동시에, 제 2 전기 연결 포트(3’)는 (돌출된 상태에서 지지면(13’)에 대해서) 제 2 위치에 있고, 배플(61)은 배플 출구(61)로부터 연장됨으로써, 제 2 잠금부(6)가 송신기(7)를 지지면(13’) 상에 위치결정시키고 송신기(7)를 안착부(13)에 넣거나 꺼내는 것을 방지하여, 송신기(7)의 부적절한 작동에 의해서 제 2 전기 연결 포트(3’)의 제 1 전도성 커넥터(31)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충전 모듈(3)이 제 3 작동 상태에 있으면, 즉 작동부(40)가 제 2 전기 연결 포트(3’)를 구동하여 제 2 위치에서 뒤로 제 1 위치로 이동시켜 제 1 전기 연결 포트(73)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고, 제 2 연결단(42)을 통해 제 1 연결단(60)을 가압하여 배플(61)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동 상태 참조)을 하강시킨 후, 작동부(40)가 제 2 잠금부(6)를 구동하여 지지면(13’)를 후퇴시켜 송신기(7)의 위치결정 잠금을 해제하면, 제 1 전기 연결 포트(73)와 제 2 전기 연결 포트(3’)는 분리된 상태가 되며, 다음에 센서(7)를 꺼낼 수 있다. 푸시-풀 키(12)가 하우징(10)의 전방단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고, 동시에 위치결정 블록(120)이 제 2 위치결정 홈(103b)에 스냅될 수 있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6d를 참조한다. 충전이 완료된 후, 먼저 제 1 전기 연결 플러그(44)가 외부 전원에서 분리되며, 푸시-풀 키(12)가 하우징(10) 내로 가압되면 (도 1e 참조), 위치결정 블록(120)은 제 2 위치결정 홈(103b)에서 분리되며, 푸시-풀 키(12)는 제 1 위치결정 홈(103a) 쪽으로 밀릴 수 있고, 마지막으로 위치결정 블록(120)은 제 1 위치결정 홈(103a)으로 복귀한다. 이때, 충전 시트(30)가 완전히 하강하며, 배플(61)도 송신기(7)를 차단하지 않고 배플 출구(16)로 복귀하므로, 이때, 실수로 송신기(7)를 꺼내거나 안착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전기 연결 포트(73)와 제 2 전기 연결 포트(3’)가 제 2 전기 연결 포트(3’)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송신기(7)를 안착부(13)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이때, 제 2 전기 연결 포트(3’)는 (연장된 상태에서 지지면(13’)에 대해서) 제 2 위치에 있으며, 배플(61)은 배플 출구(61)로부터 연장됨으로써, 제 2 잠금부(6)가 지지면(13’)의 위치에서 송신기(7)를 제한하여, 송신기(7)를 안착부(13)에 넣거나 꺼낼 수 없게 되어, 송신기(7)에 대한 오작동으로 인해 제 2 전기 연결 포트(3’)의 제 1 전도성 커넥터(3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충전 모듈(3)이 제 3 작동 상태에 있으면, 즉 작동부(40)가 제 2 전기 연결 포트(3’)를 구동하여 제 2 위치에서 뒤로 제 1 위치로 이동시켜 제 1 전기 연결 포트(73)에서 분리시키고, 제 2 연결단(42)을 통해 제 1 연결단(60)을 가압하여 배플(61)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동 상태 참조)을 하강시킨 후, 작동부(40)가 제 2 잠금부(6)를 구동하여 지지면(13’)를 후퇴시켜 송신기(7)의 위치결정 잠금을 해제하면, 제 1 전기 연결 포트(73)와 제 2 전기 연결 포트(3’)는 분리된 상태가 되며, 다음에 센서(7)를 꺼낼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푸시-풀 키(12)의 작동이 위치결정 블록(120), 제 1 위치결정 홈(103a) 및 제 2 위치결정 홈(103b) 간의 위치결정 방법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부적절한 작동에 의해 초래되는 개구(17)의 마찰 손실을 줄일 수 있고 USB 커넥터(44)의 작동 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푸시-풀 키(12)의 슬라이딩 설계로 인해 버튼을 하우징(10) 내로 가압할 필요가 없다.
도 7a와 7b 모두를 참조한다. 장치들의 번호는 도 2 및 다른 도면의 번호를 참조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4)과 충전 모듈(3) 간의 상대적인 위치 및 연결 관계를 충분히 개시하기 위해 하우징(10)을 제거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 1 작동 상태를 나타내며, 여기서 제 2 안내 구조체(301)는 제 1 안내 구조체(41)에서 제 1 위치에 위치되고, 이때 이는 일반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으므로, 제 2 전기 연결 포트(3’)의 충전 시트(30)는 지지면(13’)에 대해 수축된 위치에 유지된다. 이전의 도면과 설명으로부터 충전 시트(30)는 상하로만 이동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직 흔들림으로 인해 충전 시트(30)가 우발적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과적으로, 이 이동은 제어 모듈(4)을 구동하여 동작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 1 안내 구조체(41)는 안내 홈 구조체로 설계되고, 제 1 위치에서 제 1 횡방향 홈(41a)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며, 이 연장 방향은 제 2 안내 구조체(301)의 이동 방향에 수직이다. 따라서, 충전 모듈(1)이 충전 시트(3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흔들릴 경우, 제 1 수평 홈(41a)의 연장 방향은 제 2 안내 구조체(301)의 이동 방향에 수직이기 때문에, 흔들림으로 인한 충전 시트(3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작동 상태를 나타내며, 여기서 작동부(40)는 전방으로 밀림으로써, 제 2 안내 구조체(301)는 일반적으로 높은 곳인 제 1 안내 구조체(41)의 제 2 위치에 위치되고, 그로 인해 충전 시트(30)는 지지면에 대향하는 연장된 위치에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 1 안내 구조체(41)는 제 2 위치에서 제 2 홈(41b)을 형성하도록 더 연장되고, 여기서 이것이 더 연장되는 방향은 제 2 안내 구조체(301)의 이동 방향에 수직이므로, 충전 시트(30)가 그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흔들림으로 인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추가로 도 2와 관련하여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며, 여기서 제 1 전도성 커넥터(31) 및 제 2 전도성 커넥터(32)는 회로 기판(330)에 삽입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 7b의 충전 모듈(3)은 충전할 준비 상태로 있다.
도 7c를 참조한다. 도 7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모듈 및 제어 모듈을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여기에는 배플(61)이 연결 요소(6’)를 통해 충전 시트(30)에 직접 연결되어, 둘 모두의 상승 및 하강이 완전히 동기화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충전 시트(30)는 배플(61) 및 연결 요소(6’)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충전 모듈(3)은 제 2 잠금 모듈로서 역할을 하는 배플(6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4) 및 충전 모듈(3)은 자기력에 의해 상호작용적으로 이동된다. 충전 모듈(3) 아래에 배치된 제 1 자성 소자(MP1)가 있고, 제어 모듈(4) 상에는 제 2 자성 소자(MP2) 및 제 3 자성 소자(MP2)가 있다. 제 1 자성 소자(MP1)는 제 2 자성 소자(MP2)를 자기적으로 밀어내고, 제 3 자성 소자(MP3)를 당긴다. 따라서, 제어 모듈(4)이 제 2 작동 상태에 있으면 (즉, 이것이 우측으로 끝까지 밀리면), 제 2 자성 소자(MP2)는 제 1 자성 소자(MP1) 아래에 위치되고, 충전 모듈(3)은 반발력을 통해 상방으로 밀리며, 배플(61)이 동시에 구동되어 상방으로 연장되어 배플 출구(16) 밖으로 나오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어 모듈(4)이 제 1 작동 상태에 있으면 (즉, 이것이 끝까지 좌측으로 밀리면), 제 3 자성 소자(MP3)는 제 1 자성 소자(MP1) 아래에 위치되고, 충전 모듈(3)은 인력에 의해 하방으로 당겨지며, 배플(61)이 동시에 구동되어 하방으로 후퇴함으로써 배플 출구(16)에 있게 된다.
도 8a 내지 도 9b를 참조한다. 여기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번호는 도 2 및 다른 도면에 표시된 번호를 따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구성요소 및 그의 동작을 여기서는 반복해서 설명하지 않는다. 안착부(13) 상에 송신기(7)가 안착되고, 제 2 정합부(70)가 제 1 정합부(14)와 정합되어, 송신기(7)가 정확한 상대적인 위치 또는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있고, 이제 제 1 전기 연결 포트(73)가 개구(15)와 정렬되는 상태로, 모두 본 발명의 충전 모듈을 나타내는 상부 단면도인 도 8a 및 도 9a를 참조한다. 충전 시트(30) (도 6a 참조)가 위로 올라 오면, 이는 제 1 전기 연결 포트(73)에 정확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횡방향으로 작동단(51)의 위치는 제 1 정합부(14)의 위치와 대략 동일하다. 그러므로, 송신기(7)가 스트로크의 단부에 도달하는 경우에만, 작동단(51)이 아래로 가압되어 차단부(43) (도 5a 참조)를 정지시키지 않고 제 1 잠금 모듈(5)이 회전할 수 있게 하며, 작동단(51)은 지지면(13’)의 단부에 배열되어 송신기(7)의 바닥과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작동단(51)은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정합부(14)는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3) 내측으로 연장되는 돌출 구조체이기 때문에, 제 1 정합부(14)의 양측에는 2개의 홈 영역이 자연적으로 형성되며, 작동단(51)은 이 홈 영역에 배열된다. 상대적으로, 송신기(7)의 제 2 정합부(70)는 내측으로 형성된 홈 구조체이므로, 제 2 정합부(70)의 양측에는 2개의 돌출 구조체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정합부(70)가 제 1 정합부(14)와 정합되면, 제 2 정합부(70)의 양측에서 2개의 돌출 구조체는 각각의 홈 영역으로 들어가며, 그에 따라, 돌출 구조체는 정지단(52)이 위로 기울어져 더 이상 차단부(43)를 차단하지 않도록 작동단(51)을 트리거한다. 이때, 배플(61)은 배플 출구(16)로부터 연장되어 송신기(7)의 말단의 바닥면을 차단함으로써, 송신기(7)를 잠그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8b에서, 송신기가 부정확한 방향으로 충전기(1) 내에 삽입되면, 가령 송신기(7)의 말단이 안착부(13) 내로 들어가면, 이것이 제 1 정합부(14)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배플(61)이 배플 출구(16)로부터 연장될 수 없도록 송신기(7)의 전방단이 배플(61) 위에서 하방으로 가압되며, 제 1 전기 연결 포트(73)는 개구(15)와 정렬되지 않는다. 한편, 송신기(7)의 말단은 삽입 스트로크의 끝에 도달할 수 없어 송신기(7)가 작동단(51)을 아래로 가압할 수 없기 때문에, 정지단(52)은 차단부(43)를 계속 차단한다. 그러므로, 작동부(40)는 이동할 수 없고, 충전 시트(30)는 개구(15)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될 수 없으며, 이는 제 1 전도성 커넥터(31)가 송신기(7)와 비정상적으로 충돌하는 것 및 임의의 가능한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충전 장치(1)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다시 말해서, 제 2 전기 연결 포트(3’) 상에서 제 1 전도성 커넥터(31)가 송신기(7)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배플(61)이 연장될 수 없도록 제 2 연결단(42)은 여전히 제 1 연결단(60)를 제한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이는 송신기(7)가 틀린 방향으로 안착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상기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9a 및 9b를 참조한다. 도 8a 및 8b와 비교하여, 작동단(51)은 홈 영역으로부터 떨어져 배열된다. 송신기(7)의 안착 절차 동안, 정지단(52)이 위로 올라와서 차단부(43)를 더 이상 차단하지 않도록, 2개의 돌출 구조체가 먼저 작동단(51)을 아래로 가압하고, 다음에 2개의 돌출 구조체(2)는 홈 영역으로 들어가서 제 1 정합부(14)와 결합되고, 배플(61)은 배플 출구(16)로부터 연장되어 송신기(7)의 말단을 차단할 수 있다. 도 9b에서, 송신기가 부정확한 방향으로 충전기(1)에 삽입되면, 송신기(7)의 말단이 안착부(13) 내로 들어가고, 송신기(7)의 전방단 바닥이 배플(61) 위에서 하방으로 가압되어 배플(61)은 배플 출구(16)로부터 연장될 수 없게 되고, 제 1 전기 연결 포트(73)는 개구(15)와 더 이상 정렬되지 않는다. 한편, 송신기(7)가 작동단(51)을 트리거하여 정지단(52)이 위로 기울어지게 하고, 더 이상 차단부(43)를 차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제 1 전도성 커넥터(31)가 개구(15)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작동부(40)의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어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작동으로 인해 송신기(7)의 바닥 및 제 1 전도성 커넥터(3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플러그(44)의 일부만 외측으로 밀릴 수 있다. 이는 여전히, 송신기(7)가 부정확한 방향으로 안착되는 실수가 발생했음을 사용자에게 상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2 전기 연결 포트(3’) 상의 제 1 전도성 커넥터(31)가 송신기(7)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0을 더 참조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전도성 커넥터의 콘택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 1 전도성 커넥터(31)는, 제한되지 않으나, 골든 핑거 형상의 콘택으로서 제시되며, 제 1 전도성 커넥터(31)의 콘택 단자(310)는 (도 3b 내지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의 출력 단자(812)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콘택 단자(310)와 출력 단자(812)는 모두 송신기(7)의 제 1 전기 연결 포트(73)의 삽입홀(731)에 삽입됨으로써, 제 1 전도성 커넥터(31)가 출력 단자(812)와 제 1 전기 연결 포트(73)를 공유하여 송신기(7)의 내부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1뿐만 아니라 도 10을 더 참조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충전 장치와 송신기의 개략적인 회로도를 나타내며, 이는 충전기(1) 내의 회로 조립체(33)가 충전 회로군(1A) 및 교정 회로군(1B)을 갖는 것을 개시한다. 제 1 전도성 커넥터(31)의 콘택 단자(310)는, 제한되지 않으나, 8개의 콘택(BAT, SW, RX, TX, E1, E2, E3 및 E4)으로 제시되며, 이는 센서 출력 단자(812)의 콘택의 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충전 회로군(1A)은 제 3 전기 연결 포트(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입력한다. 충전 회로군(1A)은 충전 전압을 제공하고 제어하는데 사용하며, 충전 회로군(1A)은 다음에 충전 전압을 송신기(7)에 출력함으로써, 충전 스위치로서 역할을 하는 콘택(SW)과 함께 콘택(BAT)을 통해 송신기(7)를 충전한다. 나머지 콘택들은 충전 장치(1)의 교정 회로군(1B)과 송신기(7)의 송신 모듈(74)를 연결하여 데이터 전송, 자가 교정의 제어 및 감지, 누설 전류 측정 및/또는 저항 측정을 포함한 송신기의 기능에 대한 감지를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충전 장치(1)는 충전 기능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12f를 참조한다. 도 12a는 충전 장치(1)나 송신기(7), 또는 송신기(7)를 포함한 충전 장치(1)를 수용하여 방습 조립체(2)를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원통형, 타원 원통형 또는 편평 원통형 캔 중 하나와 같은, 대략 캔 몸체 형태의 하우징(20)을 갖는 방습 조립체(2)를 나타낸다. 방습 조립체(2)는 개구(23’) 및, 이 개구(23’) 옆에 형성된 제 1 버클결합 에지(23)를 갖는다. 개구(23’)는, 이 개구(23’)에 수직인 개구 방향을 가지며, 제 1 버클결합 에지(23)의 돌출 방향은 개구 방향에 수직이다. 커버(24)는 하우징(20)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어 개구(23’)를 밀봉하는데 사용한다. 커버(24)의 내부에는 제 2 버클결합 에지(25)도 형성되며, 이것의 돌출 방향은 제 1 버클결합 에지(23)의 돌출 방향과 반대이므로, 제 1 버클결합 에지(23)와 제 2 버클결합 에지(25)는 서로 버클결합된다. 또한, 하우징(20)은 탄성 요소(22)를 갖는다. 충전 장치(1)가 하우징(20)에 안착되고 커버(24)가 개구(23’)를 밀봉하면, 충전 장치(1)는 커버(24)에 의해 아래로 가압되어 하우징(20) 내로 후퇴하고, 그로 인해 탄성 요소(22)는 탄성 변형된다 (도 12c 참조). 커버(24)가 개방되면, 탄성 요소(22)는 자체의 탄성 내재 에너지가 해제되어 충전 장치(1)를 외측으로 밀어냄으로써,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장치(1)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에서 돌출되어 사용자가 충전 장치(1)를 꺼낼 수 있게 한다. 송신기(7)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 충전 장치(1)를 하우징(20) 밖으로 꺼내서,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송신기(7)를 연결 및 충전할 수 있다. 탄성 요소(22)는 원추형 스프링, 코일 스프링, 나선형 스프링 등의 압축 스프링일 수 있으므로, 탄성 요소(22)가 충전 장치(1)와 간섭하고, 그로 인해 하우징(2)에 안착된 액세서리 (가령, 충전 장치(1) 또는 송신기(7))의 위치를 고정하여 흔들림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 스프링이 사용된다. 원추형 스프링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코일의 직경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4)가 개구(23’)를 밀봉하면, 충전 장치(1)는 하우징(20)내에서 아래로 가압되며, 충전 장치(1)는 탄성 요소(22)를 추가로 압축하고, 상부 코일은 하부 코일 내부에서 아래로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스프링은 원통형 코일 스프링보다 짧은 길이로 압축될 수 있으며, 방습 조립체의 부피가 감소되는 장점을 갖는다. 충전 장치가 삽입된 상태인 경우, 스프링 압축 높이(H압축)를 더한 충전 장치의 길이(H1)는 하우징 높이(H2) 미만이다. 충전 장치가 삽입된 상태가 아닌 경우, 스프링 연장 높이(H연장)를 더한 충전 장치의 길이(H1)는 하우징 높이(H2)보다 크다. 계속해서 도 12a 및 12c를 참조하며, 여기서 하우징(20)은 제 1 수용 공간(20’)과 제 2 수용 공간(21)으로 추가로 나뉘어져 있다. 제 1 수용 공간(20’)은 충전 장치(1)를 보관하는데 사용하고, 제 2 수용 공간(21)은 건조제(29)를 수용하는데 사용하며, 이들 공간 사이에는 홀 구조체(28)가 있어, 제 1 수용 공간(20’)의 수분은 홀 구조체(28)를 통과해 제 2 수용 공간(21)으로 갈 수 있고, 습기는 건조제(29)에 의해서 흡수되어 송신기(7)가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라 개시된 송신기(7)는 대략 32.8㎜×19.8㎜×4.15㎜(±0.5㎜)이고, 충전 장치(1)의 크기는 대략 40×26×23㎜(±0.5㎜)이며, 송신기는 충전 장치 상에 설치된다. 방습 조립체(2)의 부피는 200㎤, 12 내지 138㎤, 또는 30 내지 70㎤이거나, 또는 길이에 너비를 곱해서 3 내지 28㎝로 제어한다. 방습 조립체(2)의 직경 범위는 2 내지 5㎝, 그의 높이는 4 내지 7㎝로 설계되어, 방습 구성요소의 부피가 소형화되며 사용자가 휴대하기 편리하다.
송신기(7)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습 조립체(2)에 안착되는 것을 개시하는 도 12d 내지 12f를 참조한다. 도 12d는 홀 구조체(28)를 갖는 방습 조립체(2)에 송신기(7)만 안착된 상태를 개시한다. 하우징(20)의 예컨대 바닥에는 건조제(29)도 배치된다. 도 12e에는, 탄성 요소(22)가 하우징(20)의 바닥에 직접 배치되고, 건조제(29)도 하우징(20) 내에 배치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건조제(29)는 커버(24)의 내부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20)이 개방되면, 건조제(29)는 용이한 교체를 위해 외부를 향하게 된다. 도 12f의 경우는, 홀 구조체(28)를 갖는 방습 조립체(2)에 송신기(7)만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건조제(29)는 하우징 또는 내벽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20)은 상이한 수용 공간 (도면에는 도시 생략)을 구분지을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또한, 가압부(27)는 사용자가 커버(24)를 쉽게 열 수 있도록 한다. 방습 조립체(2)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 충전 장치(1)를 적절하게 보호하고 외부 습기로부터 이를 격리시키며, 내부 건조제를 사용하여 송신기(7) 및/또는 충전 장치(1)를 제습하여 서비스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추가로 사용하며, 이는 습기가 전자 부품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20)은 관찰 영역(21’)과 유사한 구조를 구비할 수도 있다. 관찰 영역은 하우징(20)의 일부이며, 투명하거나 반투명의 재료로 사출 성형되어 제조된다. 수분을 흡수하여 색상을 바꿀 수 있는 건조제나 추가 건조제 표시기를 사용하면, 송신기(7) 및/또는 충전 장치(1)의 수분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방습 조립체(2)를 사용하는 방법에서는, 사용자에게 제 1 송신기와 제 2 송신기를 동시에 제공하며, 제 1 방습 조립체는 제 1 송신기 및 방습 조립체(2)를 포함하고, 제 2 방습 조립체는 충전 장치와 결합된 제 2 송신기를 포함하며, 제 2 방습 조립체는 방습 조립체(2) 내에 배치된다. 사용자는 먼저 측정을 위해 제 1 송신기를 사용하게 된다. 제 1 송신기의 전력이 하한까지 충분히 낮은 경우, 이를 센서 받침대에서 제거하고, 제 2 송신기와 충전 장치(1)를 방습 조립체(2)에서 꺼낸다. 제 2 송신기는 센서 받침대에 설치하는데 사용하며, 제 1송신기는 충전될 충전 장치(2)의 안착부(13)에 넣어진다. 상기 충전이 완료된 후, 제 1 송신기와 충전 장치가 조립되어 보관을 위해 방습 조립체(2)로 복귀함으로써, 제 1 송신기와 제 2 송신기를 교대로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 1 송신기에 사용되는 방습 조립체(2)는 어떤 형태의 용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인 도 13a를 참조하고, 또한 도 2도 참조한다. 이전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충전 장치(1)가 전선(331’)을 통해 제 3 전기 연결 포트 (USB 소켓(44’))와 제 2 전기 연결 포트(3’)의 회로 기판(33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점이다. 전선(331’)은 벤딩을 위해 충전 모듈(3)의 상승에 적합한 특정 유연성도 갖는다. 또한, 도 13a는 제 3 전기 연결 포트가 전기 연결 플러그(44) (USB 플러그) 대신에 USB 소켓(44’)을 사용하고, 또한, 이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46)와 전력 회로 기판(47)를 결합해서 전력 저장 유닛(45)을 형성하는 점에서 이전 실시예와 다르다. 전력 저장 유닛(45)은 충전 모듈(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입력함으로써 송신기(7)를 충전한다. 또한, 사용자는 USB 소켓(44’)을 외부 전원에 연결하여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46)를 재충전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력 저장 유닛(45)은 USB 소켓을 생략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 시장에서 입수 가능한 건전지 및 버튼 배터리 등의 일회용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46)를 생략할 수도 있으며, USB 소켓(44’)은 외부 전원(9) (도 13b, 도 6e에서 번호 91, 92, 93)에 연결되어 송신기(7)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도 2에 도시된 작동 모듈(4)의 작동부(40)의 경우, 도 13a에는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 실시예에서 여전히 사용된다. 그러나, 이는 전력 저장 유닛(45)으로 덮여 있으므로 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으며, 작동부(40)와 충전 모듈(3)의 제 2 전기 연결 포트(3’) 간의 연결 관계 및 구동 연결은 제 1 안내 구조체(41)와 제 2 안내 구조체(301) 간의 결합을 통해 주로 이루어지며, 이들 간의 작동 관계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러나, 이전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도 13a 및 13b에서 작동부(40)가 USB 소켓(44’) (제 3 전기 연결 포트)에 고정되지 않는 점이다. 반대로, USB 소켓(44’)은 충전 장치(1)에만 고정된다. 소켓(44’)의 잭은 노출되며, 그러므로 푸시-풀 키(12)가 작동되면, 제 2 안내 구조체(301)만 제 1 안내 구조체(41)에 의해서 구동되며, USB 소켓(44’)은 이동하지 않는다. 도 13a에서 다른 구성요소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이전 도면 및 설명을 참조하며, 여기서는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인 도 13b를 참조한다. 또한, 도 2도 참조한다. 도 13b와 13a의 실시예들 간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전력 저장 유닛(45)이 코일 전선(331”)을 통해 전력 회로 기판(47)과 충전 시트(30)용 회로 기판(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점이다. 기본적으로, 푸시-풀 버튼(12) (도 13b에는 도시 생략)에 의한 충전 장치(1)의 변위를 통해 제 2 전기 연결 포트(3’)의 충전 시트(30) 및 회로 기판(330)을 상승 구동함으로써, 코일형 전선(331)의 확장 및 수축을 간접적으로 구동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코일형 전선(331”)은 스프링 커넥터(포고 핀)로 대체할 수도 있다. 다른 구성요소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이전 도면 및 설명을 참조하며, 여기서는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도 13a 및 도 13b에서, 제 3 전기 연결 포트로서의 USB 소켓(44’)은 전후 이동 없이 설계되어 있다.
충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시하는 도 14a 및 14b를 참조한다. 충전 장치(1)는 송신기(7)를 안착하기 위한 안착부(13)를 포함하며, 안착부(13)는 송신기(7)를 안착하기 위한 지지면(13’)도 포함하고, 지지면(13’)은 개구(15)를 포함한다 (도 4a). 충전 모듈(3)은 지지면(13’)의 반대쪽에 구비되며, 제 2 전기 연결 포트(3’), 회로 조립체(33), 및 제 3 전기 연결 포트(44)를 포함한다. 제 2 전기 연결 포트(3’)는 제 1 전기 연결 포트(73) (도 3d 참조)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개구(15) (도 4a 참조)에 배열되며, 제 3 전기 연결 포트(44)는 외부 또는 내부 전원 (도 6e에서 번호 91, 92, 93 또는 도 13b에서 번호 46 참조)을 연결하는데 사용한다. 회로 조립체(33) (도 2 참조)는 제 2 전기 연결 포트(3’)와 제 3 전기 연결 포트(44) 사이에 연결되어 생리적 신호 송신기(7)에 대한 충전 및 충전 제어를 수행한다. 지지면(13’)은 반대쪽에 송신기(7)와 충전 모듈(3) 간의 안전한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도 구비한다. 제어 모듈은 제 2 전기 연결 포트(3’)를 구동하여 제 1 전기 연결 포트(73)에 연결하기 위한 작동부(40)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잠금 모듈(5)이 지지면(13’)의 반대쪽에 구비되며, 제 2 전기 연결 포트(3’)와 제 1 전기 연결 포트(73)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해제 가능하게 제한할 수 있거나, 또는 제 2 전기 연결 포트(3’)의 변위를 추가로 제한하는데 사용한다. 제 1 잠금 모듈(5)의 자세한 작동에 대해서는 도 4b, 5a 및 6b를 참조하며, 여기서는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도 14a 및 14b를 참조하면, 지지면(13’)은 표시 영역(11)에 대해 타단에 제 2 잠금 모듈(6)을 구비하고, 제 2 잠금 모듈(6)은 지지면(13’) 상에서 연장 및 수축되어 송신기(7)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 2 잠금 모듈(6)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안내 로드(10b3)에 슬리브 결합되고 스프링(62’)에 의해 지지면(13’)의 바닥에 연결된 배플(61)을 포함하고, 스프링(62)에 의해 제공된 탄성은 지지면(13’)으로부터 정상적으로 돌출되는 배플(61)을 유지한다. 도 14a 및 14b도 참조한다. 송신기(7)가 지지면(13’) 상에 배치되면, 송신기(7)는 배치 과정 동안 배플(61)을 먼저 지지면(13’) 내로 가압하여 후퇴시키게 된다. 제 1 및 제 2 정합부(14, 70)가 정합된 후, 송신기(7)는 이를 차단하지 않고 배플(61)의 상부를 그대로 둔다. 이때, 배플(61)은 스프링(6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가압되어 다시 지지면(13’) 상으로 돌출된다. 송신기(7)를 꺼내려면, 먼저 푸시-풀 버튼(12)을 좌측으로 눌러서 충전 시트(30)를 하강시켜 전기적인 연결을 해제한 다음, 배플(61)을 지지면(13’) 아래로 가압한다. 그래서, 이는 말단부에서 송신기(7)를 더 이상 차단하지 않으며, 송신기(7)는 지지면(13’)으로부터 멀리 좌측으로 옮겨질 수 있다. 도 14a 및 14b에 도시된 제 2 잠금 모듈(6)의 특징은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13’) 아래로 후퇴한 배플(61)은, 사용자가 가압함에 따라 송신기(7)를 안착부(13)에 용이하게 삽입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7)를 통해 배플(61)을 직접 가압할 수도 있다. 안착 과정 동안, 제 2 정합부(70)가 제 1 정합부(11)와 맞춤되도록 내측으로 안착부(13)에 정확하게 삽입되어 송신기(7)가 정확한 상대적인 위치에 있게 되는 결과를 달성하면, 배플(61)은 송신기(7)에 의해 더 이상 차단되지 않으나, 송신기(7)가 너무 깊지 않은 정확한 위치에 도달했기 때문에, 탄성 요소(62) (도 2 및 5b)의 복원력에 의해 밀려서 다시 지지면(13’)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14a 및 14b에 도시된 배플(61)을 사용하면, 제 2 잠금 모듈(6)의 제 1 결합단(60) 및 작동부(40)의 제 2 결합단(42)을 없앨 수 있으며,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0a1)가 없는 실시예를 개시하는 도 15를 참조한다. 그러므로, 지지면(13’) 자체는 안착부로서 역할을 하고, 지지면(13’)의 일단에는 시각적인 단서 효과(visual cue effect)를 제공할 수 있는 제 1 피팅부로서 표시 영역(11)이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는 제 2 정합부(70)를 안착부와 연결, 맞춤, 및 결합할 수 있다. 제 1 잠금 모듈(5) (도 2 및 4b)의 작동단(51) (도 1d, 1f, 2 및 4b)도 지지면(13’) 상으로 돌출된다. 또한, 배플(61) (도 2, 4c 및 5c)이 위치되는 지지면(13’)의 타단에는 배플 출구(16)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플레이트(10a1)가 없기 때문에, 송신기(7)가 상방으로 (즉, 지지면(13’)의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면(13’)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80) 상에 제 2 버클 구조체(83)를 추가로 구비한다. 제 2 버클 구조체(83)는 송신기(7)의 제 1 버클 구조체(72)와 함께 버클결합 효과를 발생시키는데 사용하며, 송신기(7)가 지지면(13’) 상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송신기(7)가 우발적인 충격으로 인해 낙하하지 않고 지지면(13’) 상에서 보다 안정적일 수 있게 하기 위해, 지지면(13’) 상에는, 대개 쌍으로 배열되는 측벽(102’)이 형성된다. 즉, 지지면(13’)의 양측에서, 송신기(7)가 지지면(13’)에 고정되면, 측벽(102’)이 송신기(7)의 양측에 부착되어, 송신기(7)가 측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돕게 된다. 다른 구성요소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이전 도면 및 설명을 참조하며, 여기서는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충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인 도 16a 및 16b를 참조한다. 가압 버튼(12’)용 구성요소 및 구조를 제외하고, 제 1 잠금 모듈(5)의 정지단(52) 및 회피 노치(52’)는 이전 도면과 다르며, 나머지 구성요소 및 구조는 이전 도면의 것과 동일하다. 제 2 전기 연결 포트(3’) (또는 충전 시트(30))는 상하로 이동하는 방식이므로, 본 실시예의 제 2 전기 연결 포트(3’)는, 일반적으로 래치 버튼 구조인 가압 키(12’)에 연결되어 충전 시트(30)의 상승 또는 하강을 구동하며, 가압 키(12’)는 충전 모듈(1)의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거나,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가압 키(12’)를 한번 누르면, 충전 시트(30)가 상승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가압 키(12’)를 다시 누르면, 이는 잠금이 해제되어 원래의 위치, 즉 가압 키(12’)를 누르지 않았을 때의 위치로 복귀한다. 가압 키(12’)를 누르면, 충전 시트(30)의 제 2 슬라이딩 요소(302)도 2개의 안내부(150) 사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한다. 대안적으로, 가압 키(12’)는 위치결정 버튼(180)에 의해 위치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송신기(7)가 안착부(13)에 삽입되지 않고, 그래서 이때, 정지 모듈(5)의 작동단(51)이 안착부(13) (도 1d 참조) 내로 연장되는 것도 개시하는 도 16a를 참조한다. 이때, 가압 키(12’)가 본체 내로 가압되면, 정지단(52)이 차단부(43)를 차단하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충전 시트(30)가 안착부(13)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차단부(43)는 충전 시트(30) (도시 생략) 상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잠금 슬라이더(5)를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이는 송신기(7)가 안착부(13)에 삽입되고, 이때, 작동단(51)이 송신기(7)에 의해 아래로 가압되어, 회피 노치(52’)가 차단부(43)와 정렬되도록 제 1 잠금 모듈(5)이 회전한 것을 개시한다. 다시 말해서, 정지단(52)이 수용부(43)의 상부로부터 멀어져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압 키(12’)가 본체 내로 가압되면, 차단부(43)는 노치(52’)를 피해서 계속 상승하여, 충전 시트(30)가 안착부(13)로 들어가게 된다. 가압 키(12’)가 내측으로 이동하면, 정지단(52)은 대응하여 회피 공간(43’)으로 들어가서 가압 키(12’)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도 16c 및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0a)의 피봇 프레임(10a2) 및 하부 하우징(10b)의 피봇 프레임(10b2)은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제 1 잠금 모듈(5)의 피봇부(50)을 클램프한다. 하부 하우징(10b)은 작동단(51)이 안착부(13) 내로 과도하게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정지단(52)의 이동을 막는 푸시 저항 구조체(10b3)도 갖는다. 충전 장치(1)는 제 2 잠금 모듈(6)을 더 포함하며, 이는 (도 5c,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탄성 유닛(62)에 연결된 위치결정부(61)를 구비하여, 위치결정부(61)가 지지면(13’)에서 나와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생리적 신호 송신기(7)의 설치 위치를 잠글 수 있도록 한다.
위치결정 버튼(180)과 위치결정 홈(10b3) 간의 관계를 충분히 관찰하기 위해, 위치결정 버튼(180)을 위치결정 홈(10b3)에서 상측으로 이동시킨 도 16e를 참조한다. 위치결정 홈(10b3)은 쌍으로 배열되는 제 1 위치결정 블록(10b31) 및 제 2 위치결정 블록(10b32)을 갖는다. 제 1 위치결정 블록(10b31) 아래에는 제 1 상태 위치(10b31p), 즉 가압 키(12’)가 가장 낮은 바닥에 있을 때의 위치가 있다. 위치결정 숄더(180a)는 제 1 위치결정 블록(10b31)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위치결정 버튼(180)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 즉 가압 키(12’)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 2 위치결정 블록(10b32) 위에는 제 2 상태 위치(10b32p), 즉 가압 키(12’)가 상부에 있는 경우의 위치가 있다. 위치결정 숄더(180a)는 제 2 위치결정 블록(10b32)에 의해 차단 됨으로써, 위치결정 버튼(180)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 즉 가압 키(12’)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상태 위치(10b31p)에서 가압 키(12’)를 제 2 상태 위치(10b32p)로 이동시키기 위해, 위치결정 버튼(180)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탄성 구조체(180c)를 벤딩하여 채널(180b)을 제 1 위치결정 블록(10b31) 및 제 2 위치결정 블록(10b32)과 정렬시키는, 즉, 가압 키(12’)를 조작하거나 위치결정 버튼(180)을 상방으로 미는 것만 필요하다. 이때, 위치결정 블록(10b31, 10b32)은 위치결정 숄더(180a)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대응하여 통로(180b)를 통과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가압 키(12’)를 가장 낮은 위치, 즉 제 1 상태의 위치로 복귀시키려면, 위치결정 버튼(180)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탄성 구조체(180c)를 벤딩시키고, 채널(180b)을 제 2 위치결정 블록(10b32) 및 제 1 위치결정 블록과 정렬시키며, 즉 위치결정 버튼(180)을 아래로 가압하여 가압 키(12’)를 제 1 상태의 위치로 다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 버튼(12’) 또는 제 2 전기 연결 포트(3’)와 상부 하우징(10a) 또는 하부 하우징(10b) 사이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며, 탄성 요소 또는 자성 소자일 수 있는) 리셋 요소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제 2 전기 연결 포트(3’)가 제 1 전기 연결 포트(7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가압 키(12’)가 가압되면, 리셋 요소에 약간의 에너지가 제공된다. 가압 키(12’)는 위치결정 숄더(180a)에 의존해서 제 2 위치결정 블록(10b32)에 맞닿아서 이러한 위치 에너지에 견딜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 버튼(180)이 내측으로 가압되고 채널(180b)이 제 2 위치결정 블록(10b32)과 정렬되면, 위치결정 숄더(180a)는 제 2 위치결정 블록(10b32)에 의해 더 이상 차단되지 않으며, 위치 에너지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 키(12’)는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당업자는 전술한 도 2 및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로부터 충전 장치(1)에 개시된 충전 모듈이 송신기(7)와 독립적으로 협동할 수 있고, 충전 모듈은 작동 모듈 (예컨대, 도 4a의 작동부), 제 1 잠금 모듈 (예컨대, 도 4b 및 4d의 제 1 잠금부(5)나 잠금 슬라이더(5)), 또는 제 2 잠금부 (예컨대, 연결 요소(61’) (도 7c)를 통해 제 2 전기 연결 포트(3’)에 의해 구동되는, 도 4c 또는 14a의 배플(61))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충전 모듈(3)은 작동 모듈(4) 및 제 1 잠금 모듈(5) (예컨대, 도 4b에서 작동부(40) 및 제 1 잠금부(5))과 함께 동시에 사용되거나; 또는 충전 모듈(3)은 작동 모듈(4) 및 제 2 잠금부(6) (도 4c에서 작동부(40) 및 제 2 잠금부(6))와 함께 동시에 사용되거나; 또는 충전 모듈(3)은 작동 모듈(4), 제 1 잠금 모듈(5) 및 제 2 잠금부(6)와 함께 동시에 사용된다.
본 발명은 현재 가장 실용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로 간주한 것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로 제한할 필요가 없음을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첨부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된 다양한 수정 및 유사한 배열을 커버하도록 했으며, 이는 이러한 모든 수정 및 유사한 구조를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에 부합해야 한다.
1 : 충전장치 3 : 충전모듈
4 : 작동모듈 5 : 잠금모듈
13 : 안착부

Claims (9)

  1. 생체의 피하 조직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생리적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고, 충전을 위해 충전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제 1 전기 연결 포트를 갖는 생리적 신호 송신기용 충전 장치로서,
    송신기 안착 시트와 충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 안착 시트는:
    그 위에 생리적 신호 송신기가 안착되는 지지면; 및
    상기 제 1 전기 연결 포트와 정렬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되고, 충전 시트와 전도성 커넥터를 포함하며,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제 2 전기 연결 포트로서, 상기 전도성 커넥터는 상기 생리적 신호 송신기의 상기 제 1 전기 연결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충전 시트에 고정되는, 상기 제 2 전기 연결 포트;
    전원에 연결되는 제 3 전기 연결 포트; 및
    상기 제 3 전기 연결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입력받는 회로 조립체로, 충전 전압을 제공 및 제어하도록 되며, 상기 제 2 전기 연결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 전압을 출력하는, 회로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생리적 신호 송신기는 생체의 피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생리적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고,
    상기 생리적 신호 송신기가 상기 지지면에 안착되면, 상기 충전 모듈이 구동되어 상기 제 2 전기 연결 포트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전기 연결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듈은 외력에 대해 상기 제 2 전기 연결 포트를 이동시키는 구동단을 갖고;
    상기 송신기 안착 시트는 상기 개구의 외측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개구로부터 특정 방향을 따라 돌출하여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제 2 전기 연결 포트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제 2 전기 연결 포트를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전기 연결 포트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분리하는 구동단을 갖는 복귀부(returning portion)를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적 신호 송신기는 제 1 정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 안착 시트는 제 2 정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정합부와 상기 제 2 정합부가 연결되면, 상기 제 1 전기 연결 포트가 상기 개구와 정확하게 정렬되는 충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외부 전원이고 상기 제 3 전기 연결 포트는 USB 플러그 또는 전원 어댑터이거나;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충전 장치에 배치된 전력 저장 유닛이고, 상기 제 3 전기 연결 포트는 전기 연결 요소인 충전 장치.
  6. 생체의 피하 조직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생리적 신호를 수신하고 제 1 전기 연결 포트를 갖는 생리적 신호 송신기용 충전 장치로서,
    본체와 충전 모듈을 포함하고,
    송신기 안착부를 갖는 상기 본체는:
    그 위에 생리적 신호 송신기가 안착되는 지지면;
    상기 생리적 신호 송신기의 제 1 전기 연결 포트와 정렬되는 개구; 및
    상기 개구의 주변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수용되는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되고, 충전 시트와 전도성 커넥터를 포함하며,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되는 제 2 전기 연결 포트로서, 상기 전도성 커넥터는 상기 생리적 신호 송신기의 상기 제 1 전기 연결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충전 시트에 고정되는, 상기 제 2 전기 연결 포트;
    전원에 연결되는 제 3 전기 연결 포트; 및
    상기 생리적 신호 송신기에 대한 충전을 제어하도록 되고, 상기 제 2 전기 연결 포트 및 상기 제 3 전기 연결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생리적 신호 송신기는 생체의 피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생리적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고,
    상기 생리적 신호 송신기가 상기 지지면에 안착되면, 상기 충전 모듈이 구동되어 상기 제 2 전기 연결 포트는 상기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특정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 1 전기 연결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듈은 외력에 대해 상기 제 2 전기 연결 포트를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전기 연결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구동단을 갖고;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구동단이 상기 제 2 전기 연결 포트를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전기 연결 포트와 분리되도록 하는 복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안내부에 의해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로 특정 방향을 따라 안내하면서 상기 제 2 전기 연결 포트를 이동시켜 상기 제 1 전기 연결 포트와 분리되도록 구동되는 충전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안착 시트는 상기 생리적 신호 송신기가 측방향으로 그 안에 삽입되도록 하는 슬롯을 형성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
  9. 생체의 피하 조직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생리적 신호를 수신하고 제 1 전기 연결 포트를 갖는 생리적 신호 송신기의 충전 방법으로서,
    개구를 갖는 송신기 안착 시트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충전 장치에 충전 모듈을 제공하는 단계로, 상기 충전 모듈은 제 2 전기 연결 포트 및 제 3 전기 연결 포트를 갖고, 상기 제 2 전기 연결 포트는 충전 시트와 전도성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커넥터는 상기 생리적 신호 송신기의 상기 제 1 전기 연결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충전 시트에 고정되는 단계;
    상기 생리적 신호 송신기를 상기 송신기 안착 시트에 안착하는 단계;
    상기 충전 모듈을 작동시켜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제 2 전기 연결 포트가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전도성 커넥터가 상기 생리적 신호 송신기의 상기 제 1 전기 연결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전기 연결 포트를 전원에 연결하여 생리적 신호 송신기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리적 신호 송신기는 생체의 피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생리적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충전 방법.
KR1020210002094A 2020-01-14 2021-01-07 생리학적 신호 송신기용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KR102647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60855P 2020-01-14 2020-01-14
US62/960,855 2020-0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137A KR20210092137A (ko) 2021-07-23
KR102647530B1 true KR102647530B1 (ko) 2024-03-13

Family

ID=7418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094A KR102647530B1 (ko) 2020-01-14 2021-01-07 생리학적 신호 송신기용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6) US20210218252A1 (ko)
EP (6) EP3851037A1 (ko)
JP (1) JP7209023B2 (ko)
KR (1) KR102647530B1 (ko)
CN (6) CN113133253B (ko)
TW (7) TWI820378B (ko)
WO (1) WO20211435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17357A4 (en) * 2019-08-19 2023-04-19 Medtrum Technologies Inc. DETECTION DEVICE
EP3851037A1 (en) * 2020-01-14 2021-07-21 Bionime Corporation Charging device for a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r and a charging method for the same
TWI788071B (zh) * 2021-10-28 2022-12-21 群光電能科技股份有限公司 具可分離插頭的電子裝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4978A (ja) * 2003-04-01 2004-10-28 Hosiden Corp 充電装置
JP2010057694A (ja) * 2008-09-04 2010-03-18 Panasonic Corp 生体情報測定装置
JP2012055122A (ja) * 2010-09-03 2012-03-15 Sanyo Electric Co Ltd 充電器
JP2015043648A (ja) * 2013-08-26 2015-03-0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充電制御icおよび充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5314A (en) * 1992-12-11 1997-11-11 Siemens Medical Systems, Inc. Auxiliary docking station for a patient monitoring system
JP3196098B2 (ja) * 1994-07-04 2001-08-0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の充電器ロック機構
US5853005A (en) * 1996-05-02 1998-12-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coustic monitoring system
US6594146B2 (en) * 2000-12-26 2003-07-15 Ge Medical Systems Information Technologies, Inc. Docking station for patient monitor or other electronic device
JP3540293B2 (ja) * 2001-06-25 2004-07-07 株式会社カサタニ 携帯電子機器用の充電装置
GB2390602A (en) * 2002-04-02 2004-01-14 Inverness Medical Ltd Test strip dispenser vial and cassette
US20050215870A1 (en) * 2004-03-19 2005-09-29 Rademaker William B System for monitoring physical parameters of individuals performing physical activities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oar positions
WO2006049725A2 (en) * 2004-03-23 2006-05-11 Minimus Surgical Systems Surgical systems and devices to enhance gastric restriction therapies
MY140294A (en) * 2004-06-28 2009-12-31 Discus Dental Llc Ultrasonic dental tool having a light source
KR20060007255A (ko) * 2004-07-19 2006-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충전거치대
US7837482B2 (en) * 2005-03-01 2010-11-23 Pioneer Corporation Connecto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7873049B2 (en) * 2006-06-28 2011-01-18 Hitachi, Ltd. Multi-user MAC protocol for a local area network
US20090085768A1 (en) * 2007-10-02 2009-04-02 Medtronic Minimed, Inc. Glucose sensor transceiver
EP4258513A3 (en) * 2008-10-10 2023-10-25 Implantica Patent Ltd. Charger for implant
TW201039243A (en) * 2009-04-29 2010-11-01 Taiwin Electronics Co Ltd Storage device having separable type multiple-in-one connector
US20100277119A1 (en) * 2009-05-01 2010-11-04 Medtronic Minimed, Inc. Medical Device Charging System
CN102005621A (zh) * 2009-08-31 2011-04-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充电器
CN201576814U (zh) * 2009-11-11 2010-09-08 华为终端有限公司 设有插头的电子设备
US9370322B2 (en) * 2009-12-31 2016-06-21 Medtronic Minimed, Inc. Modular docking station
CN102214884A (zh) * 2010-04-01 2011-10-1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充电装置
TW201206400A (en) * 2010-07-08 2012-02-16 Sanofi Aventis Deutschland Allowing measurements to be made of a blood sample
US8696369B2 (en) * 2010-09-09 2014-04-15 Adc Telecommunications, Inc. Electrical plug with main contacts and retractable secondary contacts
US8638064B2 (en) * 2010-10-26 2014-01-28 Blackberry Limited Charger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519867B2 (en) * 2010-12-23 2013-08-2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transmitter power consumption while avoiding delay of displayed information
WO2012131828A1 (ja) * 2011-03-29 2012-10-04 テルモ株式会社 データ移送装置およびデータ移送システム
US8605458B2 (en) * 2011-04-18 2013-12-10 Mitac International Corp. Floating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protective case having the same
TWM416446U (en) * 2011-05-25 2011-11-21 Univ Chaoyang Technology Implantable wireless charging health management system
US9184536B2 (en) * 2011-06-28 2015-11-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 including movable connector
NL2009963C2 (en) * 2011-12-11 2013-11-11 Abbott Diabetes Care Analyte sensor devices, connections, and methods.
US8894514B2 (en) * 2012-10-25 2014-11-25 James Edward Jennings Arena baseball game system
US8988043B2 (en) * 2012-12-20 2015-03-24 Fahad Mohammed ALAMMARI Cell phone charger
US20170364679A1 (en) * 2016-06-17 2017-12-21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Instrumented versions of executable files
TWI475762B (zh) * 2013-04-12 2015-03-01 Giga Byte Tech Co Ltd 門蓋機構
TWM490673U (en) * 2014-07-02 2014-11-21 shun-qing Li Socket for charging
US9825476B2 (en) * 2014-09-25 2017-11-21 Datalogic IP Tech, S.r.l. Cradle for handheld machine-readable symbol reader
TW201724703A (zh) * 2014-12-15 2017-07-01 帕戈技術股份有限公司 無線電力基座單元及用於以無線方式對相距特定距離之電子裝置充電之系統及方法
IL243231B (en) * 2014-12-22 2019-05-30 Newpace Ltd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recharging of a flexible subcutaneously implanted medical device
CN204528116U (zh) * 2014-12-30 2015-08-05 陈俊羽 防潮保存罐体
US11330987B2 (en) * 2015-04-06 2022-05-17 Thomas Jefferson University Implantable vital sign sensor
JP2018527864A (ja) * 2015-06-15 2018-09-20 ポゴテック インクPogoTec, Inc. ウェアラブル電子デバイスの充電に適したワイヤレス電力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812182B1 (ko) * 2016-04-12 201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충전기 및 배터리 팩
US20170358942A1 (en) * 2016-06-13 2017-12-1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biomedical device charging
CN206365642U (zh) * 2016-06-29 2017-08-01 冉红宇 一种智能储物收纳装置
US20180103859A1 (en) * 2016-07-30 2018-04-19 Catalina F Provenzano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Managing Patient Monitoring
US20180177579A1 (en) * 2016-10-28 2018-06-28 Peter Sayet Body Tissue and Vessel Compression Valve Apparatus
TWI668559B (zh) * 2017-05-18 2019-08-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擴充基座與電子裝置
TWI676460B (zh) * 2017-10-13 2019-11-11 奇翼醫電股份有限公司 充電裝置
CN107865516B (zh) * 2017-11-14 2019-04-09 珠海市智慧家家居有限公司 一种旅游用电动牙刷收纳装置
CN208973840U (zh) * 2018-02-07 2019-06-14 许献宏 一种具有生理检测功能的移动充电装置
SG11202007464QA (en) * 2018-02-22 2020-09-29 Ares Trading Sa Storage container for electronic injection device
CN110353679A (zh) * 2019-07-22 2019-10-22 宿州学院 一种基于无线充电及能量自收集技术的肌电传感器系统
EP3771451A1 (en) * 2019-08-02 2021-02-03 Bionime Corporation A container for carrying sensor
EP3851037A1 (en) * 2020-01-14 2021-07-21 Bionime Corporation Charging device for a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r and a charging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4978A (ja) * 2003-04-01 2004-10-28 Hosiden Corp 充電装置
JP2010057694A (ja) * 2008-09-04 2010-03-18 Panasonic Corp 生体情報測定装置
JP2012055122A (ja) * 2010-09-03 2012-03-15 Sanyo Electric Co Ltd 充電器
JP2015043648A (ja) * 2013-08-26 2015-03-0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充電制御icおよび充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3598A1 (en) 2021-07-22
CN113131558A (zh) 2021-07-16
CN113131557A (zh) 2021-07-16
TW202133527A (zh) 2021-09-01
CN113133253A (zh) 2021-07-16
EP3851041A1 (en) 2021-07-21
TW202133703A (zh) 2021-09-01
US20210212632A1 (en) 2021-07-15
TWI820378B (zh) 2023-11-01
TW202139537A (zh) 2021-10-16
CN113133253B (zh) 2023-07-21
EP3851037A1 (en) 2021-07-21
US20210218252A1 (en) 2021-07-15
US11361858B2 (en) 2022-06-14
JP7209023B2 (ja) 2023-01-19
US20210217521A1 (en) 2021-07-15
US11315672B2 (en) 2022-04-26
TWI817072B (zh) 2023-10-01
TWI761023B (zh) 2022-04-11
US11315671B2 (en) 2022-04-26
EP3851043A1 (en) 2021-07-21
JP2021119734A (ja) 2021-08-12
TWI804794B (zh) 2023-06-11
TW202139535A (zh) 2021-10-16
CN113131555A (zh) 2021-07-16
US11894120B2 (en) 2024-02-06
EP3851042A1 (en) 2021-07-21
TWI782385B (zh) 2022-11-01
CN113131556A (zh) 2021-07-16
US20210217506A1 (en) 2021-07-15
TW202301935A (zh) 2023-01-01
TW202133807A (zh) 2021-09-16
KR20210092137A (ko) 2021-07-23
US20210218190A1 (en) 2021-07-15
TW202139536A (zh) 2021-10-16
CN113131559A (zh) 2021-07-16
EP3851039A1 (en) 2021-07-21
EP3851038A1 (en) 2021-07-21
TWI801793B (zh) 2023-05-11
US11521731B2 (en) 2022-12-06
US20210218189A1 (en)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7530B1 (ko) 생리학적 신호 송신기용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KR20060123030A (ko) 배터리 장치 및 전자 기기
EP0776070B1 (en) Connecting apparatus
CN110604851A (zh) 用于放置输注泵的安装设备及输液系统
US7448902B1 (en) Mechanical device showing prior mating
CN217886694U (zh) 具有血糖检测功能的药物注射笔
CN220774880U (zh) 一种电极连接组件和理疗仪
CN114125110B (zh) 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