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299B1 - 스케일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스케일 포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케일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스케일 포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299B1
KR102646299B1 KR1020210068038A KR20210068038A KR102646299B1 KR 102646299 B1 KR102646299 B1 KR 102646299B1 KR 1020210068038 A KR1020210068038 A KR 1020210068038A KR 20210068038 A KR20210068038 A KR 20210068038A KR 102646299 B1 KR102646299 B1 KR 102646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rod
disposed
magnetic
scale
coll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0194A (ko
Inventor
안덕용
한상국
김제근
Original Assignee
한국지역난방공사
안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역난방공사, 안덕용 filed Critical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to KR1020210068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299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025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구조로 마련되며,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몸체부, 복수의 상기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포집부 및 상기 포집부의 단부를 몸체부에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부는 복수의 자력봉이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자력봉 내부에는 자석이 삽입되고, 상기 자력봉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케일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스케일 포집 시스템{Scale capture devices and scale capture systems using the same}
실시예는 스케일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스케일 포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기 세정후 관내에 잔존하는 철계 스케일을 자력으로 수집하는 스케일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스케일 포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일반적으로 열교환매체의 유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헤더탱크와, 상기 헤더탱크들을 연결하여 열교환매체를 그 내부로 유통시키면서 열교환을 이루어지게 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열교환기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다수 개의 튜브를 탱크에 삽입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핀-튜브 타입 열교환기와, 다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다수의 유로부가 형성되는 플레이트 타입 열교환기 즉 판형 열교환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판형 열교환기의 경우 핀-튜브 타입 열교환기에 비해 조립이 간편하고 필요 부품수가 적어서 생산성이 좋으며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설치 공간 확보에 유리한 장점 등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판형 열교환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스케일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스케일은 열교환기의 효율을 저하하는 바 이를 세정하기 위한 작업이 진행되게 된다.
이러한 열교환기를 세정하는 방법으로는 분리식 물리적(화학적) 세정방법과, 초음파를 이용하는 비분리석 세정방법이 알려져 있다. 위의 분리식 물리적 세정방법은 먼저, 시스템 장비를 정지시킨 다음 고정판과 조임판에서 전열판들을 분해하고, 화학약품을 용해시킨 약품수조에 일정시간 침지시켰다가 꺼내어 깨끗이 세척한 후 조립하여 세정하는 방법이다. 이때, 고압노즐이나 세정용 솔을 사용하여 전열판을 세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식 물리적 세정방법은 판형열교환기를 분해하여 세정한 후 조립하는 과정을 일정한 주기로 반복 시행하여야 했고, 이러한 반복적인 분해와 세정 및 조립에 따른 판형열교환기의 수명단축은 물론 화학약품의 사용에 따른 민원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비분리식 초음파 세정방법은 분리식 물리적 세정방법과는 달리 판형열교환기를 분해하지 않고 판형열교환기에 초음파발생장치를 설치하여 초음파를 조사함으로써 발생되는 초음파에 의한 캐비테이션 또는 진동현상을 이용하여 각 전열판의 스케일을 제거하여 세정하는 방법이다.
특히, 비분리식 초음파 세정을 수행시 발생하는 철계 스케일을 포집하기 위한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46288호에서는 자석을 이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에 나타나는 구조는 유체의 흐름 방향 대비 45의 각도를 가지도록 자석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압력손실이 크며, 커버에 마모현상이 나타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46288호,
실시예는 복수의 자석봉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 철계 스케일의 수집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관구조로 마련되며,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몸체부; 복수의 상기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포집부; 및 상기 포집부의 단부를 몸체부에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부는 복수의 자력봉이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자력봉 내부에는 자석이 삽입되고, 상기 자력봉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집부는 제1 자력봉, 제2 자력봉 및 제3 자력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자력봉 및 상기 제2 자력봉은 2개가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제3 자력봉은 전방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자력봉 및 상기 제2 자력봉의 사이공간을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자력봉, 상기 제2 자력봉 및 상기 제3 자력봉 내부에는 복수의 자석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자력봉, 상기 제2 자력봉 및 상기 제3 자력봉에 배치되는 각각의 자석의 접합면 중 적어도 하나의 자력봉에 배치되는 자석의 접합면은 나머지 자력봉에 배치되는 자석의 접합면과 높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자력봉과 상기 제2 자력봉에 배치되는 자석의 제1 접합면 및 제2 접합면은 동일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자력봉에 배치되는 자석의 제3 접합면은 상기 제1 자력봉 및 상기 제2 자력봉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접합면 및 제2 접합면과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자력봉에 배치되는 자석의 제3 접합면은 상기 제1 자력봉 및 상기 제2 자력봉에 삽입되는 자석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는 상기 제1 자력봉, 상기 제2 자력봉 및 상기 제3 자력봉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상기 포집부는 상기 몸체부를 이동하는 유체와 수직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집부는 상기 몸체부의 설치상태에서 지면과 수직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포집부를 상기 몸체부에서 이탈시 몸체부 내부의 유체가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삽입홀의 단부와 상기 체결부의 단부를 감싸도록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판형 열교환기;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전방 및 후방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전방 또는 후방의 연결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바이패스라인; 상기 바이패스라인 또는 상기 연결배관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의 스케일 포집장치; 상기 바이패스라인과 상기 연결배관의 연결부에 배치되는 제어밸브; 및 상기 바이패스라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신호에 따라 유체가 상기 스케일 포집장치로 이동하도록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케일 포집장치는 상기 바이패스라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열교환기 세정후 관 내의 스케일의 포집 후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케일 포집 후 제거시 고온수 배출을 방지하며, 이로 인한 화상에 의한 리스크 감소와 포집기 중량에 의한 낙하 위험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 포집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요소인 잠금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구성요소인 포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포집부의 내부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도,
도 5는 도 3의 포집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스케일 포집 시스템의 배치구조를 나태는 도면이고,
도 7은 정상상태에서 스케일 포집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스케일 포집상태에서 시스템이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 포집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요소인 잠금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구성요소인 포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포집부의 내부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도, 도 5는 도 3의 포집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 포집장치(1)는 몸체부(100), 포집부(200) 및 체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관 구조로 마련되며, 복수의 삽입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에 형성되는 삽입홀(110)은 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삽입홀(110)은 몸체부(100)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구조로 마련되어 포집부(20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삽입홀(110)은 몸체부(100)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삽입홀(110)은 몸체부(100)에 길이방향으로 3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홀(110) 각각에는 포집부(200)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의 측면에는 포집부(2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130)이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확인창(130)은 하기에 언급되는 제1 자력봉(210), 제2 자력봉(220) 및 제3 자력봉(230) 중 적어도 하나의 자력봉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확인창(130)은 스케일 포집장치(1)를 분해하지 않고 스케일이 포집되는 량을 계량할 수 있어 관속 유량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적기에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며, 그 동안 스케일 포집영역이 배관 속에 있어 보이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확인창(130)을 통해 스케일 제거시기를 확정할 수 있어 스케일 제거의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포집부(200)는 복수로 마련되며, 복수의 삽입홀(110)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포집부(200)는 포집부 몸체(201), 복수의 자력봉 및 손잡이(203)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부 몸체(201)는 판 구조로 마련되며, 삽입홀(110)과 접촉하여 삽입홀(110)을 막을 수 있다.
자력봉은 관구조로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복수의 자석(240)이 삽입될 수 있다. 자력봉은 자석(240)이 삽입된 후 밀폐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자력봉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자력봉은 제1 자력봉(210), 제2 자력봉(220) 및 제3 자력봉(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력봉(210) 및 제2 자력봉(220)은 2개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자력봉(230)은 전방에 배치되는 제1 자력봉(210) 및 제2 자력봉(220)의 사이공간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자력봉(230)은 제1 자력봉(210) 및 제2 자력봉(220)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자력봉을 유체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는 경우 유체에 자력이 미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전방에 2개의 자력봉을 배치하고, 후방에 제1 자력봉(210)과 제2 자력봉(220)의 사이공간에 제3 자력봉(230)을 배치하여 철계 스케일의 포집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1 자력봉(210)과 제2 자력봉(220)의 사이공간은 제3 자력봉(230)의 직경보다 작계 형성되어 자력이 자력봉을 지나가는 모든 유체에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포집부(200)가 복수로 마련되어 몸체부(100)의 길이방향에 배치되어 복수의 단계를 거치면서 이동하는 유체의 철계 스케일을 포집할 수 있다.
제1 자력봉(210), 제2 자력봉(220) 및 제3 자력봉(230)의 내부에는 복수의 자석(240)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자력봉(210), 제2 자력봉(220) 및 제3 자력봉(230)에 배치되는 각각의 자석(240)의 접합면 중 적어도 하나의 자력봉에 배치되는 자석(240)의 접합면은 나머지 자력봉에 배치되는 자석(240)의 접합면과 높이가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자석(240)을 배치하는 경우 접합면에서 자력선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자력선의 변화는 철계 스케일의 포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복수의 자력봉이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경우, 복수의 자석(240)의 접합면이 동일 선상에 배치되게 된다. 이는 유체가 흘러가는 경우 철계 스케일의 포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바,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자력봉의 길이를 다르게 하고, 접합면의 위치를 조정함으로 스케일 포집의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제1 자력봉(210)과 제2 자력봉(220)에 배치되는 각각의 자석(240)의 제1 접합면(211) 및 제2 접합면(221)은 동일 높이에 배치되며, 제3 자력봉(230)에 배치되는 각각의 자석(240)의 제3 접합면(231)은 제1 자력봉(210) 및 제2 자력봉(220)에 배치되는 자석(240)의 제1 접합면(211) 및 제2 접합면(221)과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3 자력봉(230)에 배치되는 자석(240)의 제3 접합면(231)은 제1 자력봉(210) 및 제2 자력봉(220)에 삽입되는 자석(24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종래에 Y자 형 포집기에서는 유체가 내부에서 회전후 흐르는 구조인바, 압력손실이 증대되며, 이물질과 동반하여 회전하게 되는 바 커버의 마모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에서 포집부(200)는 몸체부(100)를 이동하는 유체와 수직방향으로 몸체부(100)에 삽입하여 직선형 흐름을 형성하여 압력손실을 감소시켰다.
종래의 Y자형 포집기에서는 커버의 자중으로 인해 낙하의 위험이 존재하였으며, 뚜껑을 분해시 내부의 고온에 유체가 흘러나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원발명에서 포집부(200)는 몸체부(100)의 설치상태에서 지면과 수직하도록 배치되어 포집부(200)를 몸체부(100)에서 이탈시 몸체부(100) 내부의 유체가 쏟아지지 않도록 하였으며, 포집부(200)를 수직상태로 탈거 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포집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체결부(300)는 포집부(200)의 단부를 몸체부(100)에 체결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체결부(300)는 삽입홀(110)의 단부와 포집부 몸체(201)를 함께 체결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체결부(300)는 체결부 몸체(310)와 아이볼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 몸체(310)는 삽입홀(110)을 형성하는 몸체부(100)의 단부와 포집부 몸체(201)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내부가 합입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원형의 단부의 밀찰력을 증대하도록 분절구조가 힌지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 몸체(310)의 단부에는 아이볼트(320)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체결하도록 하여 체결의 용이성을 증대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 포집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 포집장치(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스케일 포집 시스템의 배치구조를 나태는 도면이고, 도 7은 정상상태에서 스케일 포집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스케일 포집상태에서 시스템이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 포집 시스템은 판형 열교환기(10), 연결배관(20), 바이패스라인(30), 스케일 포집장치(1), 제어밸브(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판형 열교환기(10)는 난방 또는 급탕과 같이 열원을 공급하기 위해 공급되는 유체의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판형 열교환기(10)의 구조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공지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판형 열교환기(10)의 초음파 세정시 발생하는 철계 스케일의 포집을 목적으로 한다.
연결배관(20)은 판형 열교환기(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유체(열원이)가 판형 열교환기(10)를 거치며 열교환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바이패스라인(30)은 판형 열교환기(10)의 전방 또는 후방 연결배관(2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스케일 포집장치(1)는 바이패스라인(30) 또는 연결배관(20)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케일 포집장치(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언급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스케일 포집장치(1)는 평상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바이패스라인(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밸브(40)는 바이패스라인(30)과 연결배관(20)의 연결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어밸브(40)는 3방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바이패스라인(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사용자의 신호에 따라 판형 열교환기(10)의 초음파 세정이 일어나거나, 유체에 철계 스케일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3방 밸브를 제어하여 유체가 스케일 포집장치(1)로 이동하도록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평상시에는 유체가 연결배관(20)을 따라 이동하도록 바이패스라인(30)이 차단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케일의 포집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50)에 스케일 포집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50)는 삼방밸브의 방향을 제어하여 유체가 바이패스라인(30)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스케일 포집장치(1)를 통해 스케일을 포집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스케일 포집장치 10 : 판형 열교환기
20 : 연결배관 30 : 바이패스라인
40 : 제어밸브 50 : 제어부
100 : 몸체부 110 : 삽입홀
130 : 확인창 200 : 포집부
201 : 포집부 몸체 203 : 손잡이
210 : 제1 자력봉 211 : 제1 접합면
220 : 제2 자력봉 221 : 제2 접합면
230 : 제3 자력봉 231 : 제3 접합면
240 : 자석 300 : 체결부
310 : 체결부 몸체 320 : 아이볼트

Claims (12)

  1. 관구조로 마련되며,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몸체부;
    복수의 상기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포집부; 및
    상기 포집부의 단부를 몸체부에 체결하는 체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부는 복수의 자력봉이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자력봉 내부에는 자석이 삽입되고,
    상기 자력봉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포집부는 제1 자력봉, 제2 자력봉 및 제3 자력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자력봉 및 상기 제2 자력봉은 2개가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제3 자력봉은 전방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자력봉 및 상기 제2 자력봉의 사이공간을 바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자력봉과 상기 제2 자력봉의 사이공간은 상기 제3 자력봉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자력봉, 상기 제2 자력봉 및 상기 제3 자력봉 내부에는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진 복수의 자석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자력봉과 상기 제2 자력봉에 배치되는 자석의 제1 접합면 및 제2 접합면은 동일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자력봉에 배치되는 자석의 제3 접합면은 상기 제1 자력봉 및 상기 제2 자력봉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접합면 및 제2 접합면과 다른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자력봉에 배치되는 자석의 제3 접합면은 상기 제1 자력봉 및 상기 제2 자력봉에 삽입되는 자석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포집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는 상기 제1 자력봉, 상기 제2 자력봉 및 상기 제3 자력봉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포집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포집부는 상기 몸체부를 이동하는 유체와 수직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포집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몸체부의 설치상태에서 지면과 수직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포집부를 상기 몸체부에서 이탈시 몸체부 내부의 유체가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포집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삽입홀의 단부와 상기 체결부의 단부를 감싸도록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포집장치.
  11. 판형 열교환기;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전방 및 후방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전방 또는 후방의 연결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바이패스라인;
    상기 바이패스라인 또는 상기 연결배관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항, 또는 제7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의 스케일 포집장치;
    상기 바이패스라인과 상기 연결배관의 연결부에 배치되는 제어밸브; 및
    상기 바이패스라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신호에 따라 유체가 상기 스케일 포집장치로 이동하도록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포집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포집장치는 상기 바이패스라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포집 시스템.


KR1020210068038A 2021-05-27 2021-05-27 스케일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스케일 포집 시스템 KR102646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038A KR102646299B1 (ko) 2021-05-27 2021-05-27 스케일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스케일 포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038A KR102646299B1 (ko) 2021-05-27 2021-05-27 스케일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스케일 포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194A KR20220160194A (ko) 2022-12-06
KR102646299B1 true KR102646299B1 (ko) 2024-03-13

Family

ID=84407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038A KR102646299B1 (ko) 2021-05-27 2021-05-27 스케일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스케일 포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2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399B1 (ko) * 2023-01-05 2023-07-12 (주)크린워터시스템 부식 억제 기능을 겸비한 스케일 포집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286Y1 (ko) 2002-05-24 2002-08-21 팬아시아 페이퍼 코리아 주식회사 자석을 이용한 배관용 칩 점검기구
KR200320343Y1 (ko) * 2003-05-02 2003-07-22 (주)성협 건식 마그네슘 물품의 표면가공 장치
KR102180535B1 (ko) 2020-06-15 2020-11-18 주식회사 에이치비글로벌 액상세제의 제조설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9100A (ja) * 1984-02-13 1985-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蒸気管のスケ−ル除去装置
KR100476534B1 (ko) * 2002-05-08 2005-03-17 설원실 유체자력을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
KR20120006129A (ko) * 2010-07-12 2012-01-18 주식회사 에코월드이엔지 자석을 이용한 녹, 스케일 흡착 및 제거장치
KR20200046288A (ko) 2018-10-24 2020-05-07 이상무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
KR20200098303A (ko) * 2019-02-12 2020-08-20 이명주 자화 정화장치의 스케일 및 부식 억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286Y1 (ko) 2002-05-24 2002-08-21 팬아시아 페이퍼 코리아 주식회사 자석을 이용한 배관용 칩 점검기구
KR200320343Y1 (ko) * 2003-05-02 2003-07-22 (주)성협 건식 마그네슘 물품의 표면가공 장치
KR102180535B1 (ko) 2020-06-15 2020-11-18 주식회사 에이치비글로벌 액상세제의 제조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194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7800B2 (en) Modular plate and shell heat exchanger
KR101697816B1 (ko) 관류형 수평 증발기의 섹션들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200433B2 (ja) モジュール式プレート・シェル型熱交換器
KR102646299B1 (ko) 스케일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스케일 포집 시스템
JP2012525562A (ja) モジュール式プレート・シェル型熱交換器
US6978793B1 (en) Portable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ingle pass plate and frame heat exchangers
RU2348883C1 (ru) Пластинчат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BRPI0514615B1 (pt) Dispositivo de feixe de tubos e método de fabricar um dispositivo de feixe de tubos
JP2013500456A (ja) 熱交換装置及びその使用
CN202229648U (zh) 一种具有u形管束防振装置的管壳式换热器
NO20071114L (no) Varmevekslertank med innretninger for a resirkulere rensepartikler
CN208952065U (zh) 一级低温省煤器
US9857127B2 (en) Header for air cooled heat exchanger
CN1710357A (zh) 一种海水热泵设备
CN102393159A (zh) 一种具有u形管束防振装置的管壳式换热器
CN105222617B (zh) 一种用于自然循环系统的低流阻换热器
CN204787957U (zh) 换热模块、以及生活热水换热器
JP2002054893A (ja) 熱交換器を清掃するために該熱交換器内に循環される固体エレメントを遮るグリッド及びこのようなグリッドを含むこのようなエレメントのための制御設備
CN104748590A (zh) 换热模块、以及生活热水机组
US20220034603A1 (en) A heat exchanger
KR101663272B1 (ko) 발전소의 응축기용 필터링 시스템
CN104729334A (zh) 换热模块、以及生活热水换热器
JP7228841B2 (ja) 熱交換器
CN216977598U (zh) 一种多种滤净的油水分离式换热器
CN209877708U (zh) 一种新型套管换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