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812B1 -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ground conquer game connected with real map based on user loc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ground conquer game connected with real map based on user lo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812B1
KR102645812B1 KR1020210155045A KR20210155045A KR102645812B1 KR 102645812 B1 KR102645812 B1 KR 102645812B1 KR 1020210155045 A KR1020210155045 A KR 1020210155045A KR 20210155045 A KR20210155045 A KR 20210155045A KR 102645812 B1 KR102645812 B1 KR 102645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rea
game
land
meta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0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68844A (en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밀리언테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밀리언테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밀리언테라
Priority to KR1020210155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812B1/en
Priority to PCT/KR2022/017210 priority patent/WO2023085696A1/en
Publication of KR20230068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8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8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6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e.g. location of the game device or player us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8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motion or position input signals, e.g. signals representing the rotation of an input controller or a player's arm motions sensed by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6Computing the game sc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5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 A63F2300/5546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using player registration data, e.g. identification, account, preferences, game history
    • A63F2300/5573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using player registration data, e.g. identification, account, preferences, game history player lo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현실 지도와 연계된 사용자 위치 기반의 땅따먹기 게임 수행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땅따먹기 게임 수행 방법은, 실제 지도를 이용하여 메타버스를 생성하는 단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지도의 땅을 나누어 메타버스를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GPS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고 제1 사용자가 위치한 소유자 없는 제1 영역을 제1 사용자가 점령한 것으로 설정하여 소유권을 할당하는 단계; 제2 사용자로부터 제1 영역에 대한 전쟁이 요청되면, 제2 사용자의 게임 포인트 및 제1 영역의 방어력을 기반으로 영역 전쟁을 수행하는 단계; 영역 전쟁의 결과에 따라 제1 영역의 소유권을 변경하는 단계; 및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기적으로 각 사용자의 소유 영역으로부터 발생하는 게임 포인트를 해당 사용자에게 지급하고, 각 영역 전쟁의 결과 및 영역 방문 이력에 따라 각 사용자의 게임 포인트를 동적으로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 land grab game based on user location linked to a real map are disclosed. A method of playing a land-dating g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reating a metaverse using an actual map; Dividing the land on the map according to predetermined standards and dividing the metaverse into multiple areas;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using GPS and assigning ownership by setting the ownerless first area where the first user is located as occupied by the first user; When a war for the first area is requested from a second user, performing a turf war based on the game points of the second user and the defense power of the first area; changing ownership of the first territory depending on the outcome of the turf war; And periodically paying game points generated from each user's owned area to the user over time, and dynamically managing each user's game poi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ach area war and area visit history. can do.

Description

현실 지도와 연계된 사용자 위치 기반의 땅따먹기 게임 수행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ground conquer game connected with real map based on user location}{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ground conquer game connected with real map based on user location}

본 발명은 땅따먹기 게임에 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실제 지도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들이 땅따먹기 게임을 실감나게 플레이하도록 하는 다중접속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의 모바일 땅따먹기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breaking game, and more specifically, a mobile ground-breaking game service method based on a multi-access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that allows users of mobile devices to realistically play the ground pounding game using an actual map; and It's about the system.

가상 현실이나 메타버스(Metaverse)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들 기술을 게임에 이용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으며, 특히 가상의 땅을 서로 사고 팔 수 있는 메타버스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As virtual reality and metaverse technologies develop, attempts to use these technologies in games are increasing, and in particular, a metaverse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buy and sell virtual lands is being launched.

또한, 스마트폰의 보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모바일 게임의 플레이도 일반화되고 있는바, 메타버스와 모바일 단말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게임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면 게임 산업의 성장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s the spread of smartphones is increasing explosively and the play of mobile games is becoming common, providing users with games that maximize the advantages of the metaverse and mobile devices can contribute to the growth of the gaming industry. will b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들고 다니는 사용자들이 간단하고 실감나게 즐길 수 있고, 게임 플레이어와 게임 서비스 업체 모두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현실 지도와 연계된 사용자 위치 기반의 땅따먹기 게임 수행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a game of groundbreaking based on user location linked to a real map so that users carrying smartphones can enjoy it simply and realistically, and both game players and game service providers can generate profits.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 지도와 연계된 사용자 위치 기반의 땅따먹기 게임 수행 방법은, 실제 지도를 이용하여 메타버스를 생성하는 단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지도의 땅을 나누어 상기 메타버스를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GPS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위치한 소유자 없는 제1 영역을 상기 제1 사용자가 점령한 것으로 설정하여 소유권을 할당하는 단계;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전쟁이 요청되면, 상기 제2 사용자의 게임 포인트 및 상기 제1 영역의 방어력을 기반으로 영역 전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영역 전쟁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의 소유권을 변경하는 단계; 및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기적으로 각 사용자의 소유 영역으로부터 발생하는 게임 포인트를 해당 사용자에게 지급하고, 각 영역 전쟁의 결과 및 영역 방문 이력에 따라 각 사용자의 게임 포인트를 동적으로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playing a land-dating game based on a user's location linked to a real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reating a metaverse using a real map; Dividing the land on the map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dividing the metaverse into a plurality of areas;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using GPS and assigning ownership by setting an ownerless first area where the first user is located as occupied by the first user; When a war for the first area is requested from a second user, performing a turf war based on the game points of the second user and the defense power of the first area; changing ownership of the first territory according to the outcome of the turf war; And periodically paying game points generated from each user's owned area to the user over time, and dynamically managing each user's game poi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ach area war and area visit history. can do.

상기 땅따먹기 게임 수행 방법은, 각 영역에 대한 전쟁 횟수를 기반으로 해당 영역의 랜드마크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랜드마크 등급에 따라 해당 영역의 방어력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랜드마크 등급에 따라 해당 영역의 소유자를 위한 게임 포인트 상승률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performing the land-dating game includes determining a landmark grade of each area based on the number of wars in each area; adjusting the defense power of the area according to the landmark grade; and adjusting the game point increase rate for the owner of the area according to the landmark grade.

상기 땅따먹기 게임 수행 방법은, 상기 실제 지도가 업데이트되면 업데이트 내용을 반영하여 상기 메타버스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performing the land grab game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ynamically changing the metaverse by reflecting the updated content when the actual map is updated.

상기 땅따먹기 게임 수행 방법은, 소정 영역의 방어력 결정시 해당 영역의 소유자가 소유한 영역의 수 또는 소유지의 넓이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소유자 레벨에 따라 방어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performing the ground-breaking game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the defense power according to the owner level set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areas owned by the owner of the area or the area of the property when determining the defense power of a predetermined area.

상기 땅따먹기 게임 수행 방법은, 일반 사용자가 소정 기간 동안 소유자 없는 영역을 점령할 수 있는 점령 가능 영역 수를 소정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일반 사용자가 멤버 사용자가 되면 멤버쉽 등급에 따라 상기 점령 가능 영역 수를 상향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performing the land-dating game includes setting the number of occupationable areas in which a general user can occupy an ownerless are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when the general user becomes a member user, adjusting the number of occupationable areas upward according to the membership level.

상기 땅따먹기 게임 수행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메타버스의 영역들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들의 국적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메타버스의 땅을 지배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국적을 결정하고 그래픽 데이터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playing the land-dating game includes determining the nationality of users who own areas of the metavers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and determining the nationality of the user who predominantly owns the land in the metavers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it as graphic data.

상기 땅따먹기 게임 수행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를 추적하여 상기 사용자가 실제 방문한 영역에 대해서는 무주 영역의 점령과 소유주 있는 영역에 대한 공격 및 방문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타버스 상에서 이동한 영역에 대해서는 공격을 위한 영역 전쟁만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playing the land tag game includes tracking the GPS of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area actually visited by the user to enable occupation of the unoccupied area and attack and visit to the owner's area; It may further include controlling the area to which the user has moved on the metaverse so that only area wars for attacks are possible.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들은 무료로 땅따먹기 게임을 즐기면서 수익도 창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의 꾸준한 사용과 신규 사용자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메타버스 내의 광고 효과가 커져 게임 사업자의 수익도 극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s can generate profits while enjoying free-of-charge games, thereby encouraging consistent use by users and the influx of new users. As a result, the advertising effect within the metaverse increases, increasing the profits of game operators. can be max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따먹기 게임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따먹기 게임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 지도와 연계된 사용자 위치 기반의 땅따먹기 게임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따먹기 게임에서 현실 지도와 연계되도록 생성된 메타버스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따먹기 게임에서 땅에 대한 지배적 사용자 국적을 표시한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따먹기 게임에서 무주 영역의 점령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따먹기 게임에서 타인 소유의 영역 방문 및 공격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따먹기 게임에서 랜드마크로 승격되는 땅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이다.
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network configuration of a land grab g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gam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 land-dating game based on a user's location linked to a real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illustrate a metaverse screen created to be linked to a real map in a land grab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llustrates a screen displaying the dominant user nationality for land in a land grab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ample of a screen for explaining the occupation of a Muju area in a land grab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9 and 10 are examples of screens for explaining visiting and attacking an area owned by another person in a game of land grab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1A to 11C are examples of screens for explaining land that is promoted to a landmark in a land grab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explain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working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etc.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수단",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means tha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erms such as "...means", "...part", and "module" us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is implemented in hardware and software. It can be implemented by combining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현실 지도와 연계된 사용자 위치 기반의 땅따먹기 게임 수행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 land grab game based on a user's location linked to a real map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따먹기 게임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network configuration of a land grab g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따먹기 게임 시스템은 현실 지도를 그대로 반영하여 메타버스(Metaverse)를 만들고 사용자의 현실 위치와 메타버스 상의 위치를 기반으로 땅따먹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과 게임 서버(1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ground pounding g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metaverse by reflecting the real map and performs the ground pounding game based on the user's real location and the location on the metaverse. The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11 and a game server 12.

사용자 단말(11)은 땅따먹기 게임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이 구비하는 장치로서, 게임 서버(12)에 접속하여 본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현실 지도와 연계된 사용자 위치 기반의 땅따먹기 게임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1)은 GPS(25)를 구비하고, 땅따먹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땅따먹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메타버스 상에서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영역을 점령, 공격 또는 방문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사용자 단말(11)은 표시부(22)에 표시되는 땅따먹기 영역에서 소정의 땅따먹기 게임을 수행하고, 땅따먹기 게임의 수행의 결과, 즉 가상의 땅을 점령하고 공격하는 과정의 결과에 따라 소유자를 변경하고 관련 사용자에게 게임 포인트를 지급하거나 차감한다.The user terminal 11 is a device provided by users who participate in the game, and connects to the game server 12 to play the game based on the user's location linked to the real map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the user terminal 11 is equipped with a GPS 25, a game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the user terminal 11 is able to occupy, attack, or visit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n the metaverse by running the game application. Control. The user terminal 11 performs a predetermined ground pound game in the land pound are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2, and selects the own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ground pound game, that is, the result of the process of occupying and attacking the virtual land. Change it and pay or deduct game points to the relevant user.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11)의 일 예로 스마트폰을 적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단말(11)은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HPC(Hand Personal Computer), 웹패드, 노트북,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폰, 팜PC, e-Book단말기 등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1)은 애플사의 아이폰 OS, 마이크로소프트사에 의해 제조된 WINDOWS, 구글의 안드로이드OS, 삼성의 TIZEN 등을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은 다양한 운영시스템의 제어 아래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단말(11)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성 요소 이외에 공지된 다른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1)의 모든 구성 요소들은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FIG. 1, a smartphone is used as an example of the user terminal 11, but the user terminal 11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includ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handheld devices (HPCs). It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portable devices capable of running applications, such as personal computers, webpads, laptops,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s, Palm PCs, and e-Book terminals. This user terminal 11 can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various operating system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pple's iPhone OS, Windows manufactured by Microsoft, Google's Android OS, Samsung's TIZEN, etc. Additionally, the user terminal 11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ther known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described below, and all components of the user terminal 11 may be configured to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게임 서버(12)는 게임 요소들을 나타내는 파일을 저장하고 게임 입력을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로서, 현실 지도와 연계된 메타버스를 생성하고 메타버스 상의 지도를 보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땅을 차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 위치 기반의 땅따먹기 게임을 제공, 제어 및 관리하는 업체의 서버 장치이다. 게임 서버(12)는 사용자 단말(11)에 땅따먹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1)로부터 땅따먹기 게임 요청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게임을 수행하고, 게임 수행 결과에 따른 각 영역에 대한 소유 여부에 따라 메타버스 지도를 업데이트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11)에 게임 포인트를 부여한다.The game server 12 is a computing device that stores files representing game elements and can receive and process game input. It creates a metaverse linked to a real map and allows users to occupy desired lands by viewing the map on the metaverse. It is a company's server device that provides, controls, and manages land-grabbing games based on user location. The game server 12 provides a game application to the user terminal 11, receives game request information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1, performs the game, and performs the game in each area according to the game performance results. The metaverse map is updated depending on ownership of the and at the same time game points are given to the user terminal 11.

도 2는 사용자 단말(11)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Figure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user terminal 11.

사용자 단말(11)은 제어부(20), 입력부(21), 표시부(22), 통신부(23), 촬영부(24) 및 GPS부(25)를 포함하며, 제어부(20)가 실행하는 땅따먹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은 프로필 관리부(26), 영역 관리부(27) 및 전쟁 관리부(28)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 includes a control unit 20, an input unit 21, a display unit 22, a communication unit 23, a photographing unit 24, and a GPS unit 25. The game application may include a profile management unit 26, an area management unit 27, and a war management unit 28.

통신부(23)는 게임 서버(200) 등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유무선 네트워크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communication unit 23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such as the game server 200 and is made up of a wired or wireless network. The type of network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GPS부(25)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11)에 구비되는 GPS 센서를 이용한 GPS 위성과의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1)의 위치를 추적한다.The GPS unit 25 is a device that detect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and track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GPS satellite using a GPS sensor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11.

표시부(22)는 땅따먹기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로,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11)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2 is a device that displays a graphic image for providing a land grab game, and can be implemented using a display module generally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11.

입력부(21)는 표시부(22)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는 터치 스크린 상에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별명, 대표 이미지, 국적 등의 사용자 정보, 메타버스에서 땅따먹기 영역의 정보, 땅따먹기 영역을 공격하고 방어하기 위한 활동 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When the display unit 22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e input unit 21 can be implemented on a touch screen, and through user manipulation, user information such as nickname, representative image, nationality, etc., and information on the area of the area in the metaverse are displayed. , It is a component for inputting activity information for attacking and defending the area.

촬영부(24)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촬영부(24)를 통해 자신이 소유한 영역의 지형, 건물, 풍경 등을을 촬영하여 영역 관련 정보로서 메타버스에 업로드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unit 24 includes a camera module, and the user can photograph the terrain, buildings, landscapes, etc. of an area owned by the user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24 and upload them to the metaverse as area-related information.

메모리(29)는 통신부(23)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와 땅따먹기 게임 어플리케이션 및 어플리케이션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장치로서, RAM,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HDD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메모리부(25)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memory 29 is a device that stores th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 the game application and the data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application, and includes RAM,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and SDRAM (Synchronous Dynamic Memory). It may be composed of Random Access Memory (HDD) or HDD, bu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type of memory unit 25.

프로필 관리부(26)는 사용자의 이름, 아이디, 별명, 캐릭터, 아이콘, 이미지 등 프로필 정보를 관리한다. 프로필 정보 중 아이디, 별명, 캐릭터 등은 사용자가 특정 영역을 점령 또는 정복한 후 그 영역을 사용자의 영역으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필 관리부(26)는 사용자의 게임 포인트 적립 내역, 차감 내역 등을 관리한다.The profile management unit 26 manages profile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name, ID, nickname, character, icon, and image. Among the profile information, ID, nickname, character, etc. can be used to mark the area as the user's area after the user occupies or conquers a specific area. Additionally, the profile management unit 26 manages the user's game point accumulation history, deduction history, etc.

영역 관리부(27)는 게임 서버(12)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메타버스 상에서 타 사용자가 점령 또는 정복한 지역인지, 주인이 없는 중립 지역인지, 사용자 자신이 소유한 영역인지 판단하고, 그에 따라 해당 영역을 전쟁 없이 점령하거나, 정복을 위해 공격해 전쟁을 수행하거나, 단순히 둘러보기 위해 방문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영역 관리부(27)는 사용자가 소유한 영역의 이름, 메시지, 이미지, 동영상, 방어력 등의 속성을 관리한다. The area management unit 27 connects to the game server 12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current location is an area occupied or conquered by another user in the metaverse, a neutral area without an owner, or an area owned by the user, and accordingly Depending on the area, you can either occupy the area without war, attack for conquest and wage war, or simply visit to look around. Additionally, the area management unit 27 manages properties such as name, message, image, video, and defense of the area owned by the user.

전쟁 관리부(28)는 사용자가 타 사용자의 영역으로 실제 이동하거나 메타버스 상에서 이동하여 공격을 요청했을 때 소정의 게임 포인트를 이용하여 해당 영역과의 전쟁을 수행하고 전쟁의 결과에 따라 소유권의 변동 및 게임 포인트의 정산 처리를 수행한다.When a user actually moves to another user's territory or moves on the metaverse and requests an attack, the war management department (28) conducts a war with the area using a certain amount of game points and changes ownership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e war. Performs settlement processing of game points.

제어부(20)는 본 발명에 따른 땅따먹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술한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0)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게임 서버(12)에 접속하고 본 발명에 따라 현실 지도와 연계된 메타버스 상에서 땅따먹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메타버스 상에 표시하고 점령, 공격, 방문 등의 땅따먹기 활동을 수행하며, 땅따먹기 활동의 수행 결과에 따라 게임 서버(12)로부터 게임 포인트를 제공받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described above by executing the land-dating gam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0 connects to the game server 12 by executing the game application and displays the user's current location on the metaverse in order to play the game of groundbreaking on the metaverse linked to the real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performs ground-breaking activities such as occupation, attack, and visit, and is controlled to receive game points from the game server 1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land-attack activities.

도 3은 땅따먹기 게임 서버(12) 및 데이터베이스(13)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Figure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land-dating game server 12 and the database 13.

게임 서버(12)는 제어부(30), 메모리(31), 입력부(32), 표시부(33) 및 통신부(34)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제어부(30)가 실행하는 땅따먹기 게임 프로그램은 가입자 관리부(35), 영역 관리부(36), 공방 관리부(37), 지도 관리부(38) 및 광고 관리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서버(12)는 사용자들에게 땅따먹기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가입자 정보, 지도 정보, 영역 정보, 전쟁 정보, 광고 정보 등을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13)를 구비할 수 있다.The game server 12 i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30, a memory 31, an input unit 32, a display unit 33, and a communication unit 34. The game program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30 is operated by subscribers. It may include a management unit 35, an area management unit 36, an attack management unit 37, a map management unit 38, and an advertisement management unit 39. In addition, the game server 12 may be equipped with a database 13 that stores subscriber information, map information, area information, war information, advertisement information, etc. used to provide a game service to users.

통신부(34)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1)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유무선 네트워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와이파이 방식, 지그비 방식, 블루투스 방식, 3G, 4G, LTE, LTE-A 방식, LAN, WAN 및 그 등가 방식 등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4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 and consists of a wired and wireless network.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of network is not limited, and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i-Fi, Zigbee, Bluetooth, 3G, 4G, LTE, LTE-A, LAN, WAN, and equivalent methods can be applied. .

제어부(30)는 땅따먹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11)에 제공하고, 땅따먹기 게임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도록 다른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0)는 땅따먹기 게임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11)로부터 땅따먹기 게임 요청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땅따먹기 게임을 수행하고, 게임 수행 결과에 따른 영역 점령 여부에 따라 메타버스의 전자 지도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동시에 사용자 단말(11)에 게임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 provides the Ttangttameokgi game application to the user terminal 11 and controls the operations of other components to be linked with the Ttangttameokgi game application. The control unit 30 performs the game by receiving the game request information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1 in conjunction with the game application, and controls the metavers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area is occupied according to the game performance results. Electronic map information can be updated and game points can be given to the user terminal 11 at the same time.

가입자 관리부(35)는 사용자 단말(11)을 통해 접속하여 게임을 수행하는 사용자들의 식별 정보, 프로필 정보, 소유 영역에 대한 정보 등 사용자 정보를 관리한다. The subscriber management unit 35 manages user information such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fil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owned areas of users who connect through the user terminal 11 and play the game.

또한, 가입자 관리부(35)는 땅따먹기 게임의 진행에 따라 각 사용자의 게임 포인트를 동적으로 관리한다. 게임 포인트는 사용자가 소유한 땅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해 발생하며,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각 영역에 대해 소정의 게임 포인트가 소유자에게 지급될 것이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땅따먹기 게임은 무료로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동으로 쌓이는 게임 포인트로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대가를 지불하고 추가적인 게임 포인트를 구매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ubscriber management unit 35 dynamically manages the game points of each user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game. Game points are generated for areas corresponding to land owned by the user, an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 set number of game points will be paid to the owner for each area. Basically, the land grab gam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to users for free, and users can play the game with game points that are automatically accumulated over time. Additionally, users can purchase additional game points for a fee.

게임 포인트는 타 사용자의 땅을 공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에서 땅따먹기 게임을 켠 상태로 위치를 이동하여 돌아다닐 수 있는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소유자가 없는 빈 땅이면 해당 영역을 점령하여 소유할 수 있고, 사용자가 남의 땅을 방문한 경우는 방문에 대한 보상으로 소정의 게임 포인트가 사용자에게 지급된다. 가입자 관리부(35)는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1)의 현재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점령, 공격, 또는 방문을 처리할 수 있다. Game points can be used to attack other users' lands. In addition, the user can move around and move to a location with the land grab game turned on on the user terminal 11. If the user's current location is an empty land without an owner, the user can occupy and own the area, and the user can When visiting a land, a certain amount of game points are paid to the user as compensation for the visit. The subscriber management unit 35 can continuously track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using GPS and process occupation, attack, or visit depending on the user's location.

지도 관리부(38)는 현실의 실제 지도를 이용하여 메타버스를 생성하며, 세계 지도를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땅따먹기의 단위로 이용한다. 영역의 분할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계 지도를 소정의 간격으로 나누어 셀을 만들거나, 실제의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복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육지뿐만 아니라 바다까지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땅따먹기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The map management unit 38 creates a metaverse using an actual map of reality, and divides the world map into multiple areas to use it as a unit of land-grabbing. Division of the area can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For example, the world map can be di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create cells, or divided into multiple areas based on actual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not only the land but also the sea can be divided into multiple areas and made into land-grabbing targets. .

영역 관리부(36)는, 지도 관리부(38)에 의해 분할되는 영역들에 대한 소유자, 명칭, 방어력, 속성 등 영역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를 수행한다.The area management unit 36 performs overall management of the areas divided by the map management unit 38, including owners, names, defenses, and attributes.

공방 관리부(37)는 소정의 사용자가 소유자가 없는 영역을 점령하여 차지하는 점령과, 타 사용자가 소유한 영역을 정복하여 빼앗기 위해 공격하고 자신이 소유한 영역을 지키기 위해 방어하는 사용자들 간의 전쟁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The workshop management department 37 conducts wars between users who occupy and occupy areas that do not have owners, attack to conquer and take away areas owned by other users, and defend to protect the areas they own. Control it to do so.

공방 관리부(37)는, 사용자 단말(11)의 GPS 모듈(25)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추적하고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땅에 소유자가 없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먼저 점령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사용자가 하루에 실제 방문하여 점령할 수 있는 영역의 수에 제한을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사용자가 하루에 5개의 영역까지만 점령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workshop management unit 37 tracks the user's current location through the GPS module 25 of the user terminal 11 and controls the land where the user is currently located so that if there is no owner, the land can be occupied firs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re may be a limit to the number of areas that one user can actually visit and occupy per day. For example, you can control a user to only be able to occupy up to 5 areas per day.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을 통해 들어갈 수 있는 메타버스 상에서 위치를 이동하여 직접 가지 않고도 타 사용자의 땅을 정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방 관리부(37)는 제1 사용자가 소유한 뉴욕에 있는 영역에 대해 서울에 있는 제2 사용자가 영역 전쟁을 신청하고 전투를 치러 해당하는 땅을 제2 사용자가 차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무주 영역의 점령 가능 횟수 제한과 달리, 타 사용자의 땅을 정복하기 위한 공격의 횟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자신의 게임 포인트가 허락하는 한 무제한으로 영역 전쟁을 수행할 수 있다.The user can move the location on the metaverse, which can be access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1, and conquer another user's land without going there directly. For example, the battle management department 37 can control a second user in Seoul to apply for a turf war for a territory in New York owned by the first user and fight a battle so that the second user takes over the corresponding land. there is. Unlike the limit on the number of times a Muju territory can be occupied,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f attacks to conquer another user's land, and you can conduct an unlimited territory war as long as your game points allow.

광고 관리부(39)는 메타버스 상의 각 영역에 게재할 광고, 광고주, 광고 조건, 광고에 관련된 사용자 보상 등을 관리하여 사용자 단말(11)을 통해 서비스되는 메타버스에서의 광고를 수행한다.The advertisement management unit 39 manages advertisements to be posted in each area of the metaverse, advertisers, advertisement conditions, user compensation related to advertisements, etc., and performs advertisements in the metaverse serv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1.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1c를 이용하여 게임 서버(12)와 사용자 단말(11)이 연동하여 현실 지도와 연계된 사용자 위치 기반의 땅따먹기 게임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using FIGS. 4 to 11C, the process in which the game server 12 and the user terminal 11 work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o perform a game of land grabs based on the user's location linked to a real map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 지도와 연계된 사용자 위치 기반의 땅따먹기 게임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Figure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erforming a land grab game based on a user's location linked to a real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5 to 11c show user interface scree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ample.

단계 S41에서는 실제 지도를 이용하여 메타버스를 생성한다. 실제 지도가 업데이트되면 업데이트 내용을 반영하여 메타버스 상의 지도를 동적으로 변경한다.In step S41, a metaverse is created using an actual map. When the actual map is updated, the map on the metaverse is dynamically changed to reflect the update.

단계 S42에서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지도의 땅을 나누어 메타버스를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예를 들어, 지구 상의 땅을 100㎥ 단위로 픽셀화하여 복수 영역으로 나누고, 사용자들이 각 영역을 단위로 땅을 점령하거나 정복하게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step S42, the metaverse is divided into multiple areas by dividing the land on the map according to predetermined criteria. For example, the land on Earth can be pixelated in units of 100㎥, divided into multiple areas, and users can be controlled to occupy or conquer the land in each area.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따먹기 게임에서 현실 지도와 연계되도록 생성된 메타버스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Figures 5 and 6 illustrate a metaverse screen created to be linked to a real map in a land grab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현실 지도를 기준으로 생성된 메타버스의 지도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접속한 사용자의 ID, 레벨, 게임 포인트, 랜드마크 수량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51)가 화면 하단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메타버스의 땅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누구인지 각 영역마다 표시될 수 있다. 소유자가 있는 영역(52)의 경우 소유자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고, 소유자가 없는 영역(53)의 경우는 정보 없이 빈 공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 a map of the metaverse created based on a real map is provided to the user, and user information 51 including the ID, level, game points, and landmark quantity of the connected user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It is done. Additionally, the user who owns the land in the metaverse can be displayed in each area. In the case of an area 52 with an owner, information about the owner may be displayed, and in the case of an area 53 without an owner, an empty space may be displayed without any information.

사용자의 레벨은 해당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영역의 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 사용자 'adfe128167'의 레벨이 40임에 비추어 보아 해당 사용자는 40개의 영역을 소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방어력은 사용자의 레벨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adfe128167'의 경우 보유한 땅이 많아서 레벨도 높으므로 방어력 또한 그만큼 높아서 해당 사용자에 대한 공격이 쉽지 않음을 타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다.The level of a user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areas owned by the user. In the example of Figure 5, considering that the level of user 'adfe128167' is 40,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owns 40 areas. Additionally, the user's defense power may be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user's level. In the case of user 'adfe128167', he has a lot of land and is at a high level, so his defense is also high, so other users can recognize that it is not easy to attack that user.

게임 포인트는 해당 사용자가 공격에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이고, 랜드마크 수량은 사용자가 보유한 영역 중에서 랜드마크로 승급한 영역의 수를 나타낸다. Game points are points that the user can use for attacks, and landmark quantity indicates the number of areas that the user has that have been promoted to landmarks.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한 땅의 이름을 설정할 수 있다. 한국의 독도를 점령하고 '독도는 우리땅'이라는 이름을 부여하는 식으로 명칭을 정하거나 추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을 이벤트로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소유한 영역의 이름에 소정의 메시지를 표시해서 프로포즈를 하면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공유하기' 버튼을 눌러 해당 정보에 대한 링크를 원하는 상대에게 전송할 수 있다.Users can set the name of the land they own. The name can be determined or changed later by occupying Korea's Dokdo and giving it the name 'Dokdo is our land'. Users can use this function as an event, for example, by proposing by displaying a small message in the name of the area they own and clicking the 'Share via SNS (Social Network Service)' button to link to the information. You can send it to the desired party.

도 6은 도 5의 화면을 확대한 예이다.Figure 6 is an enlarged example of the screen of Figure 5.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Halley1234'가 소유하고 있는 영역(52)에 대한 정보가 도 5에 비해 더 상세히 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소유자의 레벨, 케릭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61), 영역의 명칭(63), 영역의 랜드마크 등급(62) 등 영역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해당 영역 안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information about the area 52 owned by user 'Halley1234' is displayed in more detail than in FIG. 5.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area, such as the owner's level, user information including the character (61), name of the area (63), and landmark grade of the area (62), can be displayed within the area.

게임 서버(12)는 사용자 단말(11)에 표시되는 메타버스의 각 영역들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들의 정보를 조회하여 국적을 판단하고, 메타버스의 땅을 지배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국적을 결정하여 그래픽 데이터로 표시할 수 있다.The game server 12 determines the nationality by querying the information of users who own each area of the metavers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1, and determines the nationality of the user who dominantly owns the land of the metaverse to create graphics. It can be displayed as data.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따먹기 게임에서 땅에 대한 지배적 사용자 국적을 표시한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Figure 7 illustrates a screen displaying the dominant user nationality for land in a land grab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원(71) 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화면에 표시되는 땅의 지배적인 사용자 국적을 인포그래픽(Infographics)의 형태로 표시해줄 수 있다. 도 7의 예에서는 중국인이 화면에 표시되는 메타버스의 반 이상을 소유하고 있고, 다음으로 한국인, 일본인의 순으로 차지하고 있는 땅의 넓이가 작아짐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s shown within the circle 71, the dominant user nationality of the land displayed on the game screen can be displayed in the form of infographics. In the example of Figure 7, it can be seen that the Chinese own more than half of the metaverse displayed on the screen, followed by Koreans and Japanese, in that order, the area of land they occupy decreases.

사용자 국적 표시 화면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으며, 축적에 따라 더 상세한 국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이 확대되면 일본 땅의 몇 %를 한국인이 점령했다거나, 전체 국토의 절반 이상을 한국인이 점령하고 있다는 식의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user nationality display screen can be enlarged or reduced depending on the user's input, and can provide more detailed nationality information as it accumulates. For example, if the screen is enlarged,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what percentage of Japan's land is occupied by Koreans or that Koreans occupy more than half of the entire country.

단계 S43에서는,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고 사용자가 위치한 소유자 없는 영역을 사용자가 점령한 것으로 설정하여 소유권을 할당한다. 가입자가 단말을 들고 현실 세계에서 돌아다니면 GPS를 이용하여 가입자의 이동을 추적하다가, 가입자가 주인 없는 영역에 들어선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영역을 점령할 것인지 묻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단말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점령을 선택하면 해당 영역을 가입자의 소유로 선점토록 하는 것이다,In step S43,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tracked using GPS, and ownership is assigned by setting the ownerless area where the user is located as occupied by the user. When a subscriber moves around in the real world with a terminal, the subscriber's movements are tracked using GP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scriber has entered an unoccupied area, a user interface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asking whether to occupy the area, and the user decides to occupy the area. If selected, the area will be occupied by the subscriber.

일 실시예에서, 해당 땅을 직접 방문하여 점령함으로써 새로운 땅을 소유하게 되면, 이 영역은 소정의 기간(예: 24시간) 동안 무적 상태로 어떠한 공격도 받지 않도록 제어하여, 신규 소유자가 새로 점령한 영역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제공하고 부문별한 영역 전쟁을 방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new land is owned by directly visiting and occupying the land, this area is invincible and is controlled to not receive any attack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g., 24 hours), so that the new owner can control the newly occupied land. It provides time to check and manage territories and prevents sector-specific turf wars.

일 실시예에서, 게임 서버(12)는 각 사용자 단말(11)의 GPS를 추적하여 사용자가 실제 이동한 영역을 판단하고, 소유자가 없는 영역에 대해서는 무주 영역의 점령이, 소유자가 있는 영역에 대해서는 공격 또는 방문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소유자가 있는 영역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실제로 돌아다니는 대신 메타버스 상에서 이동한 경우라도 해당 영역을 공격하기 위한 영역 전쟁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ame server 12 determines the area to which the user actually moved by tracking the GPS of each user terminal 11, and occupies an unoccupied area for areas without an owner, and occupies an ownerless area for areas with an owner. It can be controlled to allow attack or visitation. Additionally, the area where the owner is located can be controlled to enable a turf war to attack the area even if the user moves on the metaverse instead of actually moving around.

즉, 사용자는 땅따먹기 게임을 켠 상태에서 현실 세계를 돌아다니며 소유자 없는 영역을 점령하거나 소유자 있는 영역을 공격 또는 방문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직접 가지 않고 메타버스 상에서 찾은 영역에 대해서는, 소유자 있는 경우는 공격이 가능하지만 해당 영역의 소유자가 없는 경우 점령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In other words, users can move around the real world with the land-grabbing game on and occupy unowned areas or attack or visit owner-occupied areas. On the other hand, for areas found on the metaverse without the user directly going there, it is possible to attack if there is an owner, but it is not possible to occupy the area if there is no owner of the area.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따먹기 게임에서 영역 점령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이다.Figure 8 is an example screen for explaining area occupation in a land grab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땅따먹기 게임을 켠 상태로 돌아다니면 사용자의 현재 위치(81)가 실시간으로 표시될 것이다. 사용자가 소유자 없는 무주 영역에 있는 경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영역을 차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돌아다니면서 무주 영역을 바로 점령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레벨 상승 및 게임 포인트 획득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when the user moves around with the land-dating game turned 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81 will be displayed in real time. If the user is in an ownerless area, the area can be controlled to be occupi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s. In this way, the user can immediately occupy the Muju area while moving around and gain the effect of level increase and game point acquisition.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소정 기간 동안 점령 가능한 영역의 수를 미리 설정하여 사용자가 돌아다니면서 선점할 수 있는 땅을 제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number of areas that a user can occupy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may be set in advance, thereby limiting the amount of land that the user can occupy while moving around.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소정 기간 동안 점령 가능한 영역의 수를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차별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 사용자가 소정 기간 동안 소유자 없는 영역을 점령할 수 있는 점령 가능 영역 수를 소정값으로 설정하고, 일반 사용자가 유료화 등으로 멤버 사용자가 되면 멤버쉽 등급에 따라 점령 가능 영역 수를 상향 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umber of areas that a user can occupy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may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user's level. Specifically, the number of areas that can be occupied by general users that can occupy ownerless area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s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when a general user becomes a member user through a paid service, etc., the number of areas that can be occupied can be adjusted upward according to the membership level. there is.

단계 S44에서는 가입자들간의 영역 전쟁을 수행한다. 제2 사용자로부터 제1 사용자의 제1 영역에 대한 전쟁이 요청되면, 제2 사용자가 영역 전쟁을 위해 제시한 게임 포인트 및 제1 영역의 방어력을 기반으로 영역 전쟁을 수행한다.In step S44, a turf war is conducted between subscribers. When a war is requested from a second user for the first user's first territory, a territory war is performed based on the game points presented by the second user for the territory war and the defense power of the first area.

특정 영역의 방어력 결정시에는, 해당 영역의 소유자가 소유한 영역의 수 또는 소유지의 넓이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소유자 레벨에 따라 방어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공격을 시도한 제2 사용자가 공격을 위해 제시한 게임 포인트와 공격당한 제1 영역의 방어력에 따라 영역 전쟁의 승패를 판단할 수 있다. When determining the defense power of a specific area, the defense power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wner level, which is set by considering the number of areas owned by the owner of the area or the area of the property, and the game points presented for the attack by the second user who attempted the attack. The victory or defeat of a turf war can be judged based on the defense power of the attacked first territory.

따라서, 사용자가 소유한 땅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빈 땅을 점령하거나 공격을 통해 타인의 땅을 정복함으로써 소유하는 땅을 넓혀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defend the land you own, you must expand the land you own by continuously occupying empty land or conquering other people's land through attacks.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따먹기 게임에서 타인의 영역 방문 및 공격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이다.Figures 9 and 10 are examples of screens for explaining visits to and attacks on other people's areas in a land grab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땅따먹기 게임의 메타버스에서 원하는 영역(90)을 선택하면, 게임 서버(12)는 해당 영역이 다른 사용자가 이미 차지하고 있는 영역인지 판단하고, 타 사용자의 영역이면 정복을 위해 공격할 것인지 단순히 방문만 할 것인지 묻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2)를 표시한다. 또한, 해당 영역의 소유자 정보(91) 역시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When a user selects a desired area (90) in the metaverse of the game, the game server (12) determines whether the area is already occupied by another user, and if it is another user's area, whether to attack for conquest or simply A user interface 92 is displayed asking whether to visit only. Additionally, owner information 91 of the area can also be displayed on the screen to help the user in making decisions.

도 9의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영역(90)의 정복을 위해 영역 전쟁을 하기로 결정한 경우, 공격에 사용할 게임 포인트를 입력할 필요가 있다(93). 사용자가 공격 개시를 선택하면 게임 서버(12)는 영역 전쟁을 수행하여 승패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보여줄 것이다(94).As in the example of Figure 9, if the user decides to wage a turf war to conquer territory 90, it is necessary to enter game points to be used for the attack (93). If the user selects to initiate an attack, the game server 12 will conduct a turf war to determine victory or loss and display the result (94).

이와 같이, 타 사용자 소유 영역에 대한 공격을 하려면 공격에 사용할 게임 포인트를 입력해야 하는데, 이때 전쟁 상대방의 레벨보다 높은 게임 포인트를 입력해야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 전쟁의 결과는 게임 서버(12)에 의해 랜덤하게 산정되어 사용자에게 즉시 전달된다. 게임 서버(12)는 공격자보다는 방어자에게 확률적으로 유리하도록 전쟁 결과를 산정할 수 있다.Likewise, in order to attack an area owned by another user, you must enter game points to use for the attack. In this case, you must enter game points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war opponent to win the war. The outcome of the war is randomly calculated by the game server 12 and immediately delivered to the user. The game server 12 can calculate the outcome of the war so that it is probabilistically advantageous for the defender rather than the attacker.

영역 전쟁에 사용한 게임 포인트는 영역 전쟁의 결과에 상관 없이 소멸될 것이며, 영역 전쟁에서 방어에 성공하면 해당 영역에 대한 공격은 소정의 시간(예: 6시간) 동안 금지되도록 제한된다.Game points used in the turf war will be lost regardless of the outcome of the turf war, and if defense is successful in the turf war, attacks on that territory are restricted to be prohibi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g. 6 hours).

타인 소유 영역에 대한 공격은 해당 땅에 사용자가 직접 가서 할 수도 있지만, 메타버스 지도 상에서 원하는 곳을 클릭해서 공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미 다른 사용자에 의해 공격 당하고 있는 영역을 동시에 공격하는 것은 금지될 수 있다.Attacks on areas owned by others can be carried out by the user directly going to the land, but it is also possible to attack by clicking on the desired location on the metaverse map. However, simultaneously attacking an area that is already being attacked by another user may be prohibited.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해당 영역의 방문을 선택하면 그에 대한 보상으로 소정의 게임 포인트가 지급된다(101). 타인 소유의 땅에 가서 공격을 하지 않고 방문만 하면 게임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타인의 영역을 공격할 게임 포인트가 부족하거나 근처에 점령할 빈 땅도 없는 경우 타인의 땅을 실제 방문하여 게임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방문에 의한 게임 포인트 충전은 그 횟수가 제한될 수 있다. 예컨대, 1일 5회로 방문 충전을 제한하여 무분별한 타인 소유 땅에 대한 방문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루에 동일한 땅을 2회 이상 방문하는 것 역시 금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0, when the user selects to visit the corresponding area, a certain number of game points are paid as compensation (101). You can earn game points by simply visiting lands owned by others without attacking them. If you do not have enough game points to attack someone else's territory or there is no empty land nearby to occupy, you can earn game points by actually visiting someone else's land. However, the number of game point recharges through such visits may be limited. For example, by limiting visit charging to five times a day, indiscriminate visits to land owned by others can be prevented. Additionally, visiting the same land more than twice a day may also be prohibited.

단계 S45에서는 영역 전쟁의 결과에 따라 대상 영역의 소유권을 변경한다. 해당 영역을 공격한 제2 사용자가 전쟁에서 승리한 경우는 소유권이 제2 사용자에게로 넘어갈 것이며, 제2 사용자가 전쟁에서 패배한 경우는 소유권이 그대로 제1 사용자에게 있게 된다. In step S45, ownership of the target area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turf war. If the second user who attacked the area wins the war, ownership will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user, and if the second user loses the war, ownership will remain with the first user.

단계 S46에서는, 시간의 흐름, 전쟁의 결과, 그리고 영역 방문 이력에 따라 각 가입자의 게임 포인트를 동적으로 관리한다.In step S46, each subscriber's game points are dynamically managed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the outcome of war, and area visit history.

게임 서버(12)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기적으로 각 사용자의 소유 영역으로부터 발생하는 게임 포인트를 해당 사용자에게 지급하고, 각 영역 전쟁의 결과 및 영역 방문 이력에 따라 각 사용자의 게임 포인트를 차감 또는 지급한다.The game server 12 periodically pays game points generated from each user's owned area to the corresponding user over time, and deducts or deducts each user's game points depending on the results of each area war and area visit history. give.

게임 포인트는 사용자의 공격력을 의미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각 소유 영역에 대한 게임 포인트가 생성되어 자동 충전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유자 없는 영역을 점령할 때와 타인의 땅을 방문할 때도 소정의 게임 포인트가 지급될 수 있다.Game points refer to the user's attack power, and over time, game points for each owned area can be generated and automatically recharged. Additionally, a certain amount of game points can be awarded when occupying an ownerless area or visiting someone else's land.

일 실시예에서, 게임 서버(12)는 각 영역에 대한 전쟁 횟수를 기반으로 해당 영역의 랜드마크 등급을 결정하고, 랜드마크 등급에 따라 해당 영역의 방어력을 상향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랜드마크 등급에 따라 해당 영역의 소유자를 위한 게임 포인트 상승률을 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ame server 12 may determine the landmark grade of the area based on the number of wars for each area, and adjust the defense of the area upward according to the landmark grade. Additionally, the game point increase rate for the owner of the area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landmark level.

소정의 횟수 이상 영역 전쟁이 발생한 영역은 일반 영역에서 랜드마크로 승격시킬 수 있으며, 랜드마크가 된 영역에 대해서는 메타버스 지도 상에서 별도로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랜드마크로 승격한 땅에 대한 영역 전쟁에서는방어자의 승리 확률이 더 높게 설정되고, 해당 영역에 대해서는 소유자에게 지급되는 게임 포인트가 더 많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랜드마크를 소유하면 타 사용자를 공격하기는 더 좋아지고, 랜드마크는 잘 뺏기지 않게 되며, 랜드마크를 소유한 소유자의 경우는 그렇지 않은 소유자보다 게임 포인트가 쌓이는 속도가 더 빨라지는 혜택을 누릴 수 있다.Areas where turf wars have occurred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can be promoted from general areas to landmarks, and areas that have become landmarks can be marked separately on the metaverse map. Additionally, in turf wars for land that has been promoted to a landmark, the defender's probability of victory is set higher, and the territory can be controlled so that more game points are paid to the owner. In other words, owning a landmark makes it easier to attack other users, makes it harder for landmarks to be taken away, and owners who own landmarks enjoy the benefit of accumulating game points faster than owners who do not. You can.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따먹기 게임에서 랜드마크로 승격된 땅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이다.Figures 11A to 11C are examples of screens for explaining land promoted to a landmark in a land grab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서, 랜드마크 영역을 복수의 등급으로 관리하여 등급에 따른 게임 포인트 지급 속도 등 랜드마크 효과에 차별을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랜드마크 영역의 등급을 'Hot', 'Diamond', 'Legend'의 3 등급으로 구분하고, 동일 영역에서 10회 이상 전투가 발생하면 'Hot' 등급으로 승격되고, 50회 이상 전투가 발생한 영역은 'Diamond' 등급으로 승격되고, 100회 이상 전투가 발생한 영역은 'Legend'로 승급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또한, 'Diamond' 등급의 영역에 대한 전쟁에서는 80% 확률로 방어자가 승리하며 시간당 게임 포인트 지급 속도가 일반 영역에 비해 5배속으로 증가하도록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Legend' 등급의 영역에 대한 전쟁에서는 90% 확률로 방어자가 승리하며 시간당 게임 포인트 지급 속도가 일반 영역에 10배속으로 증가하도록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랜드마크를 소유하게 되면 게임 포인트가 많아져 다른 사용자의 땅에 대한 공격이 용이해지고 방어 역시 쉬워질 것이다.In one embodiment, landmark areas can be managed into multiple grades to differentiate landmark effects, such as game point payment speed, according to grade. For example, the grade of a landmark area is divided into three grades: 'Hot', 'Diamond', and 'Legend', and if more than 10 battles occur in the same area, it is promoted to 'Hot' grade, and if more than 50 battles occur, it is promoted to 'Hot' grade. Areas where battles have occurred can be managed to be promoted to 'Diamond' level, and areas where battles have occurred more than 100 times can be managed to be promoted to 'Legend'. In addition, in wars against 'Diamond' grade areas, the defender has an 80% chance of winning, and the benefit can be granted so that the speed of game point payment per hour increases by 5 times compared to normal areas. In addition, in wars against 'Legend' grade areas, the defender has a 90% chance of winning, and the benefit can be granted to increase the speed of game point payment per hour by 10 times compared to normal areas. Accordingly, owning a landmark will increase game points, making it easier to attack and defend other users' lands.

도 11a는 '도쿄타워'가 있는 땅(1101)이 'Hot' 등급의 랜드마크로 승급한 예이고, 도 11b는 '에펠탑' 근처의 땅(1102)이 'Legend' 등급으로 승급한 예이며, 도 11c는 '독도' 근처의 땅(1103)이 'Legend' 등급으로 승급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1a is an example of the land 1101 where the 'Tokyo Tower' is located being promoted to a 'Hot' grade landmark, and Figure 11b is an example of the land 1102 near the 'Eiffel Tower' being promoted to the 'Legend' grade. Figure 11c shows an example where land 1103 near 'Dokdo' was upgraded to 'Legend' grade.

본 발명에 따른 땅따먹기 게임은 기본적으로 무료로 서비스되며, 수익 창출을 위해 다양한 구성을 추가할 수 있다.The land grab g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provided for free, and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added to generate profits.

예를 들어, 무료 사용자가 아무리 돌아다녀도 땅을 무한정 점령할 수는 없고, 하루에 소정 수(예: 5개)의 영역 까지만 선점하도록 제한하되, 월정액을 납부하여 유료 사용자가 되거나 소정 아이템을 사용하면 하루에 확보할 수 있는 영역의 수를 늘려줄 수 있다(예: 20개로 조정). 또한, 시간이 지나면 게임 포인트를 주기적으로 지급하지만 각 사용자가 보유할 수 있는 최대 게임 포인트를 소정치로 제한하되, 유료 사용자에 대해서는 게임 포인트 보유 한도를 올려 주거나 게임 포인트 지급 속도를 높여 줄 수 있다.For example, no matter how much free users roam, they cannot occupy land indefinitely, and are limited to occupying only a certain number of areas (e.g. 5) per day. However, if they become paid users by paying a monthly fee or use certain items, they can occupy the land indefinitely. The number of areas that can be secured can be increased (e.g., adjusted to 20). In addition, game points are paid periodically over time, but the maximum game points that each user can hold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value. However, for paid users, the game point holding limit can be raised or the speed of game point payment can be increas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는 현실의 지도를 기반으로 생성되므로, 게임의 형태이지만 게임을 하면서 지도 앱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etaver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reated based on a real map, so although it is in the form of a game, it can be used as a map app while playing the game.

또한, 메타버스 지도에서 사용자가 소정 위치를 클릭하거나 방문했을 때 영역 정보에 특정 기업의 정보나 링크를 표시하여 광고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땅따먹기 게임 내에서 홍보를 수행하고자 하는 업체들은 특정 땅을 선택하여 렌탈 신청을 할 수 있으며, 소정의 비용을 지불하면 해당 영역을 클릭하거나 방문하는 사용자들에게 광고 정보가 노출될 것이다.Additionally, advertising effects can be created by displaying information or a link for a specific company in the area information when a user clicks or visits a certain location on the metaverse map. Companies wishing to promote within the land grab g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 a specific land and apply for rental, and by paying a small fee, advertising information will be exposed to users who click or visit the corresponding area. .

메타버스 상의 소정 영역이 광고에 사용되는 경우, 광고 수익의 일부가 해당 영역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게임 포인트나 별도의 광고 포인트의 형태로 지급될 수 있으며, 이들 포인트가 쌓이면 현금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광고주가 있는 영역에 대해 소유자가 변경되면, 해당 영역에 대한 광고로 인해 쌓인 보상은 새로운 소유자에게 이관될 것이다.When a certain area on the metaverse is used for advertising, a portion of the advertising revenue can be paid to the user who owns the area in the form of game points or separate advertising points, and when these points accumulate, they can be controlled to be cashed out. . If the owner of an area with an advertiser changes, rewards accumulated from advertising in that area will be transferred to the new owner.

이와 같이, 랜드마크인 땅을 소유하거나 자신 소유의 땅에 광고가 유치되는 경우, 사용자는 소유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포인트를 얻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owning land that is a landmark or advertising is attracted to the land owned by the user, the user can continuously earn points and generate profits during the period of ownership.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땅따먹기 게임에 대한 월정기 구독 신청자에 대해서는, 모든 광고를 제거하여 광고를 보지 않아도 되거나, 무주의 영역에 대한 점령 횟수 제한을 증가시켜 주거나(예: 1일 5개 -> 1일 20개로 증가), 게임 포인트 최대 보유 제한을 증가시켜 주거나(예: 최대 1000 포인트 -> 최대 3000 포인트로 증가), 게임 포인트 적립 속도를 증가시킨다거나 하는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for applicants for a monthly subscription to the land grab g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advertisements are removed so that they do not have to see advertisements, or the limit on the number of occupations of the inattentive area is increased (e.g., 5 per day). benefits such as increasing the maximum game point holding limit (e.g., increasing from maximum 1000 points to maximum 3000 points), or increasing the speed of game point accumulation.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아이템을 보유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게임 포인트를 100%로 회복시켜 주거나, 점령 가능한 무주의 영역 수를 증가하는 등의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아이템 판매를 활성화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tem sales can be activated by granting benefits such as restoring game points to 100% or increasing the number of areas that can be occupied by users who possess a certain i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Includes optical media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etc.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ossible. falls within the scope of rights.

11: 사용자 단말
12: 땅따먹기 게임 서버
13: 데이터베이스
11: User terminal
12: Landing game server
13: Database

Claims (5)

실제 지도를 이용하여 메타버스를 생성하는 단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지도의 땅을 나누어 상기 메타버스를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GPS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위치한 소유자 없는 제1 영역을 상기 제1 사용자가 점령한 것으로 설정하여 소유권을 할당하는 단계;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전쟁이 요청되면, 상기 제2 사용자의 게임 포인트 및 상기 제1 영역의 방어력을 기반으로 영역 전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영역 전쟁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의 소유권을 변경하는 단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기적으로 각 사용자의 소유 영역으로부터 발생하는 게임 포인트를 해당 사용자에게 지급하고, 각 영역 전쟁의 결과 및 영역 방문 이력에 따라 각 사용자의 게임 포인트를 동적으로 관리하는 단계;
상기 메타버스의 영역들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들의 국적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메타버스의 영역의 가장 많은 면적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국적을 그래픽 데이터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국적을 그래픽 데이터로 표시하는 단계에서, 축적이 변경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메타버스의 땅의 몇 %를 다른 국적의 사용자가 점령했는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표시하지 않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실 지도와 연계된 사용자 위치 기반의 땅따먹기 게임 수행 방법.
Creating a metaverse using an actual map;
Dividing the land on the map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dividing the metaverse into a plurality of areas;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using GPS and assigning ownership by setting an ownerless first area where the first user is located as occupied by the first user;
When a war for the first area is requested from a second user, performing a turf war based on the game points of the second user and the defense power of the first area;
changing ownership of the first territory according to the outcome of the turf war;
Periodically paying game points generated from each user's owned area to the corresponding user over time, and dynamically managing each user's game poi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ach area war and area visit history;
determining the nationality of users owning areas of the metaverse; and
Including, displaying the nationality of the user owning the largest area of the metavers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as graphic data,
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user's nationality as graphic data, as the accumulation changes, the percentage of land in the metavers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is displayed or not displayed. How to play a land grab game based on user location linked to a real map.
제1항에 있어서,
각 영역에 대한 전쟁 횟수를 기반으로 해당 영역의 랜드마크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랜드마크 등급에 따라 해당 영역의 방어력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랜드마크 등급에 따라 해당 영역의 소유자를 위한 게임 포인트 상승률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실 지도와 연계된 사용자 위치 기반의 땅따먹기 게임 수행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determining a landmark rating for each area based on the number of wars for each area;
adjusting the defense power of the area according to the landmark grade; and
A method of playing a game of groundbreaking based on a user's location linked to a real map, further comprising: adjusting the game point increase rate for the owner of the area according to the landmark grade.
제1항에 있어서,
소정 영역의 방어력 결정시 해당 영역의 소유자가 소유한 영역의 수 또는 소유지의 넓이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소유자 레벨에 따라 방어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실 지도와 연계된 사용자 위치 기반의 땅따먹기 게임 수행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determining the defense power of a predetermined area, determining the defense power according to the owner level set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areas owned by the owner of the area or the area of the property owned by the owner of the area,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ep of determining the defense power according to the owner's level, which is connected to the real map. How to play a location-based land grab game.
제1항에 있어서,
일반 사용자가 소정 기간 동안 소유자 없는 영역을 점령할 수 있는 점령 가능 영역 수를 소정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일반 사용자가 멤버 사용자가 되면 멤버쉽 등급에 따라 상기 점령 가능 영역 수를 상향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실 지도와 연계된 사용자 위치 기반의 땅따먹기 게임 수행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Setting the number of occupationable areas in which a general user can occupy an ownerless are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When the general user becomes a member user, upwardly adjusting the number of areas that can be occupied according to the membership level. A method of performing a land grab game based on a user's location linked to a real map,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를 추적하여 상기 사용자가 실제 방문한 영역에 대해서는 무주 영역의 점령과 소유주 있는 영역에 대한 공격 및 방문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타버스 상에서 이동한 영역에 대해서는 공격을 위한 영역 전쟁만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실 지도와 연계된 사용자 위치 기반의 땅따먹기 게임 수행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racking the GPS of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area actually visited by the user to enable occupation of the unoccupied area and attack and visit to the owner's area; and
A method of performing a land-grabbing game based on a user's location linked to a real map, further comprising controlling the area to which the user has moved on the metaverse so that only a turf war for attack is possible.
KR1020210155045A 2021-11-11 2021-11-11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ground conquer game connected with real map based on user location KR1026458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045A KR102645812B1 (en) 2021-11-11 2021-11-11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ground conquer game connected with real map based on user location
PCT/KR2022/017210 WO2023085696A1 (en) 2021-11-11 2022-11-04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land conquering game based on user's location associated with real m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045A KR102645812B1 (en) 2021-11-11 2021-11-11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ground conquer game connected with real map based on user lo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844A KR20230068844A (en) 2023-05-18
KR102645812B1 true KR102645812B1 (en) 2024-03-08

Family

ID=86336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045A KR102645812B1 (en) 2021-11-11 2021-11-11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ground conquer game connected with real map based on user loca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5812B1 (en)
WO (1) WO2023085696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330B1 (en) * 2020-11-24 2021-06-22 (유)에이스톰 Method for providing game of conquering building by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based on real map and server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5185A (en) * 2014-01-14 2015-07-23 김영민 Method for preforming ground conquer game connected with location based social network and system for using the same
JP6713726B2 (en) * 2015-03-31 2020-06-24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Server system
KR20200083157A (en) * 2019-07-17 2020-07-08 주식회사 데이터몬스터즈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a game based on a real space to a user
JP7028919B2 (en) * 2020-07-16 2022-03-02 グリー株式会社 Control programs, control methods and game conso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330B1 (en) * 2020-11-24 2021-06-22 (유)에이스톰 Method for providing game of conquering building by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based on real map and server us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BLOG.NAVER.COM/SMARTNARI/2225377954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844A (en) 2023-05-18
WO2023085696A1 (en)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64627B2 (en) Verifying the player's real-world position using activities in a parallel reality game
US11229846B2 (en) Providing a shared virtual experience in a location-based game
CN109453516B (en) Server device
US20200324196A1 (en) Input interface system and location-based game system
US10537793B2 (en) Server device, program, and method
US9630107B2 (en) Location-based online games for mobile devices and in-game advertising
KR102267330B1 (en) Method for providing game of conquering building by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based on real map and server using the same
JP2019069131A (en) Location evaluation method of location information game
US20220347579A1 (en) Game platform
US20130196773A1 (en) Location Services Game Engine
KR10264581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ground conquer game connected with real map based on user location
KR20160038909A (en) Game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line board game using character
KR102669544B1 (en) Method for providing territory occupation game based on map data
WO2018008707A1 (en) Game control method, game program, and computer
KR20200030903A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a game item sharing function
US20240108989A1 (en) Generating additional content items for parallel-reality games based on geo-location and usage characteristics
JP7469764B2 (en) Digital content providing device, digital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US11488192B2 (en) Reward provision device, reward provision method, and program
KR20140036497A (en) Game method and game application device
JP2022128023A (en) Game program, game method, and game system
KR20240047598A (en) GPS-based AR platform system for regional tour service
CN116999809A (en) Virtual weather display control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7006682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g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