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359B1 - Lift system - Google Patents

Lif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359B1
KR102645359B1 KR1020230076397A KR20230076397A KR102645359B1 KR 102645359 B1 KR102645359 B1 KR 102645359B1 KR 1020230076397 A KR1020230076397 A KR 1020230076397A KR 20230076397 A KR20230076397 A KR 20230076397A KR 102645359 B1 KR102645359 B1 KR 102645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ft
ceiling
loading
lif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63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윤수
이영일
전상훈
박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Priority to KR1020230076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3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359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 상에 배치되고,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리프트부와, 물건의 적재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리프트부에 결합되어 상기 리프트부의 승강 시에 함께 이동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리프트부의 이동과 독립적으로 상기 리프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적재부와, 상기 리프트부 및 상기 적재부 상에 배치되고, 천장과 마주하는 상기 리프트부의 일단부 및 상기 적재부의 상기 천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리프트부의 일단부의 위치 또는 상기 적재부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리프트부 및 상기 적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양중 시스템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part configured to be movable on the ground, a lift part disposed on the moving part, extending along one direction,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for raising or lowering, and a space for loading goods. Provided is a loading unit coupled to the lift unit and configured to move together when the lift unit is raised and lowered, and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unit independently of the movement of the lift unit, the lift unit, and the loading unit. A sensing unit disposed on the unit and configured to detect one end of the lift unit facing the ceiling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loading unit with respect to the ceiling, and the position of one end of the lift unit or the loading uni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Disclosed is a lifting system including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raising or lowering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lift unit and the loading unit based on the location.

Description

양중 시스템{LIFT SYSTEM}Lifting system{LIFT SYSTEM}

본 발명은 공장 등의 높은 천장 위에 설치되는 각종 설비를 올려주거나 내려주는 양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system that raises or lowers various equipment installed on high ceilings in factories, etc.

반도체 플랜트의 팹(FAB) 건물에는 크린룸(clean room)이 구축된다. 크린룸은 작업환경의 오염 방지를 목적으로 실내 공기중의 먼지 또는 미립자를 최소로 유지하고, 실내의 압력, 습도, 온도, 기류의 분포와 속도 등을 일정 범위 내로 제어하기 위해 만들어진 특수한 공간을 의미한다.A clean room is built in the fab building of a semiconductor plant. A clean room refers to a special space created to keep dust or particulates in the indoor air to a minimum and to control indoor pressure, humidity,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speed of air currents, etc. within a certain range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working environment. .

이와 같은 팹 건물의 크린룸 구축을 위하여 사용되는 핵심 설비 중에는 팬 필터 유닛(FFU, Fan Filter Unit)이 있다. 팬 필터 유닛은 공기를 정화하여 크린룸에 먼지의 발생이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자동제어 여과장치를 의미한다.Among the key equipment used to build a clean room in such a fab building is a fan filter unit (FFU). A fan filter unit refers to an automatically controlled filtration device that purifies the air and prevents the generation or inflow of dust into the clean room.

팬 필터 유닛은 크린룸의 상부 천장 위 공간에 설치된다. 크린룸의 천장 높이는 비교적 높게 형성되어, 일반적으로 팬 필터 유닛의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위해서는 팬 필터 유닛 및 관련 설비를 크린룸의 천장 높이까지 올려주거나 내려주는 양중 장치(lift)가 사용된다.The fan filter unit is installed in the space above the upper ceiling of the clean room. The ceiling height of the clean room is relatively high, and generally,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fan filter unit, a lifting device (lift) is used to raise or lower the fan filter unit and related facilities to the ceiling height of the clean room.

하지만, 종래의 팬 필터 유닛 등의 설비 시공에 사용되는 양중 장치는, 작업자가 양중 장치의 작업대 위에 설비와 함께 탑승하여 천장 높이까지 이동한 다음 천장 위에 있는 다른 작업자와 설비의 인계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양중 장치의 승강 동작 제어와 작업대의 위치 제어는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의 육안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양중 장치를 이용한 팬 필터 유닛의 시공 방식은, 작업자가 양중 장치의 작업대 위에 직접 탑승하는 것을 필요로 함에 따라, 이러한 고소작업의 특성상 시공 과정에서 심각한 인명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lifting device used in the construction of equipment such as fan filter units, a worker rides the equipment on the workbench of the lifting device, moves it to the ceiling height, and then performs the task of handing over the equipment to other workers on the ceiling. At this time, the lifting operation control of the lifting device and the position control of the workbench are performed through the naked eyes of the worker riding the workbench. As such,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fan filter unit using a conventional lifting device requires workers to directly ride on the workbench of the lifting device, and due to the nature of such high-altitude work, serious casualties may occur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작업자가 직접 탑승하지 않더라도 설비의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한 동작들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양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ing system that allows operations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equipment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directly board it.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승강 속도 변화에 따라 적재된 물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양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ing system that can minimize the impact applied to loaded objects according to changes in lifting speed.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중 시스템은, 지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 상에 배치되고,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리프트부; 물건의 적재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리프트부에 결합되어 상기 리프트부의 승강 시에 함께 이동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리프트부의 이동과 독립적으로 상기 리프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적재부; 상기 리프트부 및 상기 적재부 상에 배치되고, 천장과 마주하는 상기 리프트부의 일단부 및 상기 적재부의 상기 천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리프트부의 일단부의 위치 또는 상기 적재부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리프트부 및 상기 적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f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part configured to be movable on the ground; a lift unit disposed on the moving unit,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capable of adjusting its length for raising or lowering; A loading part that provides a space for loading goods, is coupled to the lift part and moves together when the lift part is raised and lowered, and is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part independently of the movement of the lift part; A sensing unit disposed on the lift unit and the loading unit and configured to sense a relative position of one end of the lift unit facing the ceiling and the loading unit with respect to the ceiling;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raising or lowering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lift unit and the loading unit based on the position of one end of the lift unit or the position of the loading uni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센싱부는, 상기 천장과 마주하는 상기 리프트부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제1 센서; 및 상기 천장과 마주하는 상기 리프트부의 일단부 및 상기 적재부 상에 각각 배치되는 제2 및 제3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에서 측정되는 상기 천장과의 이격 거리가 제1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리프트부의 상승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및 제3 센서에서 측정되는 상기 천장과의 이격 거리가 상기 제1 값 보다 작은 제2 값인 경우 상기 리프트부 및 상기 적재부의 승강 동작을 각각 정지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includes: a first sensor disposed at one end of the lift unit facing the ceiling; and second and third sensors respectively disposed on one end of the lift unit and the loading unit facing the ceiling,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ceiling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is a first sensor. If the value is less than the value, the rising speed of the lift unit is reduced, and if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ceiling measured by the second and third sensors is a second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value, the lift unit and the loading unit are raised and lowered. This can be done to stop each opera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적재부는 상기 천장과 마주하는 상기 리프트부의 일단부까지 상승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rise up to one end of the lift unit facing the ceiling.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센서는 상기 적재부의 둘레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천장에 직접적으로 접촉 시에 동작하여 상기 천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각각 감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적재부는,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물건의 설치 시에 상기 천장에 마련되는 천장 홀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둘레 영역이 상기 천장 홀을 제외한 상기 천장의 나머지 부분과 오버랩되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ensor is disposed in a peripheral area of the loading unit and operates when directly contacting the ceiling to detect each position relative to the ceiling, and the loading unit, It is formed to have an area that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ceiling hole provided in the ceiling when the object is installed when viewed from a plan view, and the peripheral area may be formed to overlap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ceiling excluding the ceiling hol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양중 시스템은, 상기 적재부의 둘레 상에 배치되고, 상기 천장을 향하여 빛을 발생시켜 상기 적재부의 형상을 상기 천장에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발광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system is dispos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loading unit and generates light toward the ceiling to display the shape of the loading unit on the ceiling. It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tting guide. .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가이드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의 둘레를 형성하는 각각의 변에 배치되며, 상기 변의 형상에 대응하는 선 형태의 빛을 상기 천장에 각각 표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guide is provided in plurality, is disposed on each side forming the periphery of the loading unit, and is configured to display light in the form of a lin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ide on the ceiling, respectively. You ca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양중 시스템은, 상기 적재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적재부 상에 적재된 상기 물건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물건을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system is installed on the loading unit and is formed to support a portion of the object loaded on the loading unit, and is configured to fix the object in a preset position. Additional brackets may be includ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리프트부는, 각각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어 오버랩되게 배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이동함에 따라 상호 간에 오버랩된 정도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지는 복수의 붐 부재; 복수의 상기 붐 부재의 이동을 위한 동력를 제공하는 구동부; 복수의 상기 붐 부재의 외측 둘레 영역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붐 부재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사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사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호 인접하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들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연결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 units are each extended in one direction, one is inserted into the other and arranged to overlap, and the degree of overlap between them is adjusted as each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boom members comprising: A driving unit that provides power for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boom members; A plurality of side plates each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area of the plurality of boom members and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boom member; and a connection chain installed on the plurality of side plates to connect the adjacent side plates.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적재부는, 상기 리프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리프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승강 레일; 및 상기 물건이 적재되며, 상기 승강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작업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부 상에 설치되는 윈치; 및 양단부가 상기 윈치와 상기 작업대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치를 동작시켜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상기 작업대를 승강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ing unit includes an elevating rail coupled to the lift unit an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unit; and a workbench on which the goods are loaded, coupled to the lifting rail and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ing rail, and a winch installed on the lift unit. And both ends may further include a wire connected to the winch and the workbench, respectively, and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winch to wind or unwind the wire to raise and lower the workbench.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바디부를 중심으로 지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연장부; 각각의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지면을 향하여 각각 연장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시 상기 제2 연장부를 연장시켜 지면에 지지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고정 장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part includes a body part forming an exterior; a plurality of first extension parts each coupled to the body part and each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around the body part; a plurality of second extension portions each provided at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s and each capable of extending toward the ground; and a fixing device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configured to exte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support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on the ground when rotated.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solution are as follows.

양중 시스템은, 이동부 상에 배치되어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리프트부와, 리프트부에 결합되어 리프트부의 승강 시 함께 이동되며 리프트부의 이동과 독립적으로 리프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적재부와, 리프트부의 일단부 및 적재부와 천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리프트부 및 적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리프트부 및 적재부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은, 센싱부에서 감지된 리프트부의 일단부의 위치 또는 적재부의 위치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The lifting system includes a lift unit that is disposed on a moving unit and is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for raising or lowering, and is coupled to the lift unit, moves together when the lift unit is raised and lowered, and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unit independently of the movement of the lift unit. It includes a loading unit, a sensing unit that detects one end of the lift unit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loading unit and the ceiling,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raising or lowering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lift unit and the loading unit. Here, the lifting or lowering operation of the lift unit and the loading unit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is performed based on the position of one end of the lift unit or the position of the loading uni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위와 같은 양중 시스템에 의하면, 작업자가 적재부에 직접 탑승하지 않더라도, 리프트부의 일단부 및 적재부와 천장 간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리프트부와 적재부의 승강 동작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양중 시스템은, 리프트부의 일단부 및 적재부의 천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파악이 직접 적재부에 탑승한 작업자의 육안에 의해 이루어졌던 종래의 방식과 달리 리프트부 및 적재부 상에 배치된 센싱부를 통해 감지 가능하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리프트부의 일단부 및 적재부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천장과의 충돌 없이 리프트부 및 적재부의 승강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lifting system, even if the worker does not directly board the loading uni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 unit and the loading unit can be stably performed depending on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one end of the lift unit and the loading unit and the ceiling. In other words, the lifting system uses a sensing unit disposed on the lift unit and the loading unit,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relative position of one end of the lift unit and the ceiling of the loading unit was determined by the naked eye of the worker directly on the loading unit.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one end of the lift unit and the loading uni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 unit and the loading unit can be performed stably without collision with the ceiling.

또한, 센싱부는 제1 내지 제3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는 천장과 마주하는 리프트부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제2 및 제3 센서는 상기 리프트부의 일단부 및 적재부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는, 제1 센서에서 측정되는 천장과의 이격거리가 제1 값 이하인 경우 리프트부의 상승 속도를 감소시키며, 제2 및 제3 센서에서 측정되는 천장과의 이격거리가 제1 값 보다 작은 제2 값인 경우 리프트부 및 적재부의 승강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이루어진다.Additionally,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first to third sensors. The first sensor may be placed on one end of the lift unit facing the ceiling, and the second and third sensors may be placed on one end of the lift unit and the loading unit, respectively. Here, the control unit reduces the rising speed of the lift unit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ceiling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is less than the first value,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ceiling measured by the second and third sensors is less than the first value. If the second value is small,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 unit and the loading unit is stopped.

위와 같은 양중 시스템의 센싱부 및 제어부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리프트부의 일단부의 위치가 천장에 근접해지는 시점에 리프트부의 상승 속도가 감소되어 줄어들고 이후 리프트부 및 적재부의 승강 동작이 완전히 정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리프트부의 상승 동작 이후 리프트부가 완전히 정지되기까지 발생하는 승강 속도의 변동폭을 줄여 적재부에 적재된 설비 등의 물건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적재된 물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of the above-mentioned lifting system, when the position of one end of the lift unit approaches the ceiling, the rising speed of the lift unit is reduced and then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 unit and the loading unit is completely stopped. Accordingly, damage to the loaded items can be prevented by minimizing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to objects such as equipment loaded on the loading part by reducing the fluctuation range of the lifting speed that occurs after the lifting motion of the lift part until the lift part completely stop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중 시스템이 동작 중인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양중 시스템을 이용하여 설비를 천장 위로 직접 올려주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인 개념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양중 시스템을 이용하여 설비를 천장과 인접한 높이까지 올려주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인 개념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양중 시스템의 리프트부와 적재부가 각각 동작하는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양중 시스템의 측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양중 시스템의 정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양중 시스템의 평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양중 시스템의 적재부를 천장 위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발광 가이드가 천장에 빛을 발생시키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리프트부를 배면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적재부의 승강 동작과 관련된 구성들을 개념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적재부의 작업대 상에 설비가 적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이동부를 지면에 지지시켜 고정하는 것과 관련된 구성들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
도 14는 도 5에 도시된 이동부의 바디부에 결합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lifting system i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how equipment is directly raised to the ceiling using the lifting system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how equipment is raised to a height adjacent to the ceiling using the lifting system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ift part and the loading part of the lifting system shown in Figure 1, respectively.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lifting system shown in Figure 1.
Figure 6 is a front view of the lifting system shown in Figure 1.
Figure 7 is a plan view of the lifting system shown in Figure 1.
Figure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loading part of the lifting system shown in Figure 2 viewed from above the ceiling.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how the light emitting guide shown in FIG. 5 generates light on the ceiling.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ft unit shown in Figure 1 viewed from the rear side.
Figure 11 is a side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oading unit shown in Figure 1.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equipment loaded on the workbench of the loading unit shown in Figure 1.
FIG. 13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configurations related to fixing the moving part shown in FIG. 5 by supporting it on the ground.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body part of the moving part shown in Figure 5.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양중 시스템(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ifting system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specification, identical and similar reference numbers are assigned to identical and similar component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중 시스템(100)이 동작 중인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양중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설비를 천장(C) 위로 직접 올려주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양중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설비를 천장(C)과 인접한 높이까지 올려주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양중 시스템(100)의 리프트부(120)와 적재부(130)가 각각 동작하는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양중 시스템(100)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양중 시스템(100)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양중 시스템(100)의 평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lifting system 100 i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how equipment is directly raised to the ceiling (C) using the lifting system 100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how equipment is raised to a height adjacent to the ceiling (C) using the lifting system 100 shown in Figure 1.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lift unit 120 and the loading unit 130 of the lifting system 100 shown in FIG. 1 in operation, respectively. FIG. 5 is a side view of the lifting system 100 shown in FIG. 1.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lifting system 100 shown in FIG. 1. FIG. 7 is a plan view of the lifting system 100 shown in FIG. 1.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양중 시스템(100)은 건물의 천장(C) 위에 설치되는 팬 필터 유닛 또는 필터 등과 같은 설비의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 시에, 해당 설비를 천장(C) 높이까지 올려주거나 천장(C) 높이에서 지상으로 내려주는 기능을 핵심적으로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ures 1 to 7, the lifting system 100 lifts the equipment up to the height of the ceiling (C) during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 on equipment such as a fan filter unit or filter installed on the ceiling (C) of a building. It is primarily design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raising or lowering from the ceiling (C) level to the ground.

양중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직접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천장 위에 있는 작업자(W)에게 설비 등의 물건(O)의 인계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양중 시스템(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C)과 인접한 높이까지 형성된 작업대(B) 상에 배치되는 작업자(W)에게 설비 등의 물건(O)의 인계가 가능하도록, 작업대(B)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천장(C)과 인접한 높이까지 설비 등의 물건(C)을 올려주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중 시스템(100)은 작업자가 직접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양중 작업이 수행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lifting system 100 can be configured to enable the handover of objects (O), such as equipment, to the worker (W) on the ceiling without the worker directly riding on it.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lifting system 100 is designed to enable the handover of objects (O) such as equipment to a worker (W) placed on a workbench (B) formed to a height adjacent to the ceiling (C). , It can be done to raise objects (C) such as equipment to a height adjacent to the ceiling (C) while placed adjacent to the workbench (B).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lifting system 100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lifting work without an operator directly riding on it.

이와 같은 양중 작업의 수행을 위하여 본 발명의 양중 시스템(100)은 이동부(110), 리프트부(120), 적재부(130), 센싱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To perform such lifting work, the lift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unit 110, a lift unit 120, a loading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d a control unit 150.

이동부(110)는 지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동부(110)는 양중 시스템(100)을 형상하는 주요 구성들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동부(110)는 바디부(111), 제1 연장부(112), 제2 연장부(113) 및 고정 장치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unit 11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on the ground. The moving unit 110 is configured to move at least some of the main components forming the lifting system 100. The moving part 110 may include a body part 111, a first extension part 112, a second extension part 113, and a fixing device part 114.

바디부(111)는 이동부(110)의 외관을 형성한다. 바디부(111)에는 이동부 바퀴(115)가 설치될 수 있다. 이동부 바퀴(115)는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11)는 이동부 바퀴(115)에 의해 이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portion 111 forms the exterior of the moving portion 110. A moving wheel 115 may be installed on the body portion 111. The moving unit wheel 115 may be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ground. The body portion 111 may be moved by the moving wheel 115.

제1 연장부(112)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디부(111)에 각각 결합된다. 복수의 제1 연장부(112)는 바디부(111)를 중심으로 지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12)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거,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연장부(112)의 연장된 길이는 서로 동일하거나, 복수의 제1 연장부(112) 중 적어도 일부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xtension portion 112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each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s 112 may b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11 . The plurality of first extension parts 112 may each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with the body part 111 as the center.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12 may be extended to have a preset length, or may be made to have an adjustable length. Additionally, the extended lengths of the plurality of first extension parts 112 may be the same, or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extension parts 112 may have different lengths.

또한, 제1 연장부(112)는 다단 구조로 구성되어 각각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110)의 이동 시에는 길이를 짧게하고, 이동부(110)의 고정을 위한 정지 시에는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부(110)의 이동 시에 제1 연장부(112)가 주변 구조물에 부딪히는 현상을 줄여 양중 시스템(100)의 이동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12 may be configured in a multi-stage structure so that each length can be adjusted. For example, when the moving part 110 moves, the length can be shortened, and when the moving part 110 is stopped for fixation, the length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the mobility of the lifting system 100 can be further improved by reducing the phenomenon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12 colliding with surrounding structures when the moving part 110 moves.

제2 연장부(113)는 복수로 구비되어 제1 연장부(112)의 일단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 연장부(113)는 지면을 향하여 각각 연장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연장부(113)는 상황에 따라 지면에 닿아 지지되거나 지면과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제2 연장부(113)는, 이동부(110)의 이동 시에는 지면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동부(110)가 정지된 상태에서 이동부(110)의 고정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지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13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each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12.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second extension parts 113 may each be formed to be extendable toward the ground. That is,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13 may be supported by touching the ground or may be arrang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ground depending on the situation. For example, each second extension part 113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when the moving part 110 is moved, and when the moving part 110 is stopped, the moving part 110 In situations where fixation is necessary, it can be extended toward the ground and placed in a supported state on the ground.

한편, 양중 시스템(110)의 이동부(110)에 연결되는 핸들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handle unit 180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110 of the lifting system 110 may be further included.

핸들부(180)의 일단부는 이동부(110)에 연결되며, 핸들부(180)의 일단부에서 연장된 타단부는 사용자의 손잡이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One end of the handle unit 180 is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110, and the other end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handle unit 180 may be formed to form a user's handle.

핸들부(1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핸들부(180)는 제1 각도로 틸트된 제1 위치에서 이동부(110)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핸들부(180)는 제2 각도로 틸트된 제2 위치에서는 이동부(11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위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80)의 길이 부분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위치는 핸들부(180)의 길이 부분이 수직인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틸트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The handle unit 180 may be formed to be tiltable as shown in FIG. 5 . The handle unit 180 may be configured to allow movement of the moving unit 110 in a first position tilted at a first angle. Additionally, the handle unit 180 may be configure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110 in the second position tilted at the second angle. For example, the first position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part of the handle unit 180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s shown in FIG. 5, and the second position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part of the handle part 180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is may mean a state tilted at a certain angl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from this vertical state.

또한, 핸들부(180)는 이동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110)와 연결되는 상기 핸들부(180)의 일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이동부 바퀴(115)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핸들부 바퀴(181)가 마련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handle unit 18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oving unit 110. In addition, a handle wheel 181 formed to be movable together with the moving wheel 115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one end of the handle 180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110.

리프트부(120)는 이동부(110) 상에 배치되고, 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프트부(120)는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lift unit 120 may be disposed on the moving unit 110 and extend along one direction. Here, the lift unit 120 can be configured to adjust its length for raising or lowering.

적재부(130)는 물건(O)의 적재 공간을 제공한다. 적재부(130)는 리부트부(120)에 결합되어 리프트부(120)의 승강 시에 함께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부(120)와 적재부(130)의 높이가 모두 상승 전 초기 상태에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부(120)의 높이만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경우, 리프트부(120)에 결합된 적재부(130)는 리프트부(120)의 상승 시에 함께 상승하며 리프트부(120)의 하강 시에 함께 하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ading unit 130 provides a loading space for the object (O). The loading unit 130 is coupled to the reboot unit 120 and moves together when the lift unit 120 is raised and lowered. That is, in the initial state before the heights of both the lift unit 120 and the loading unit 130 are raised as shown in (a) of FIG. 4, the lift unit 120 as shown in (b) of FIG. 4 When only the height of is raised or lowered, the loading unit 130 coupled to the lift unit 120 rises when the lift unit 120 is raised and can be lowered together when the lift unit 120 is lowered. .

또한, 적재부(130)는 리프트부(120)의 이동과 독립적으로 리프트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적재부(130)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부(120)의 승강 동작이 없는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승강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리프트부(120)와 적재부(130)는 서로 독립적으로 승강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loading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unit 120 independently of the movement of the lift unit 120 . That is, the loading unit 130 can be configured to independently perform a lifting operation in the absence of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 unit 120, as shown in (c) of FIG. 4. In this way, the lift unit 120 and the loading unit 130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a lifting operatio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그리고, 적재부(130)는 천장(C)과 마주하는 리프트부(120)의 일단부(120a)까지 상승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적재부(130)의 상승 높이는 천장(C)과 마주하는 리프트부(120)의 일단부(120a)를 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리프트부(120)의 상승 동작이 정지되는 경우, 적재부(130)의 최대 상승 높이가 상기 리프트부(120)의 일단부(120a)까지로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물 천장(C)과의 충돌 방지를 위한 리프트부(120)의 승강 동작 제어를 통해 적재부(130)의 승강 높이 조절을 간접적으로 함께 제어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oading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be ascendable up to one end 120a of the lift unit 120 facing the ceiling C. That is, the height of the loading unit 130 may not exceed one end 120a of the lift unit 120 facing the ceiling C.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 unit 120 is stopped, the maximum rising height of the loading unit 130 may be limited to one end 120a of the lift unit 120. Accordingly, the lifting height of the loading unit 130 can be indirectly controlled through controlling the rais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lift unit 120 to prevent collision with the building ceiling C.

또한, 적재부(130)는 승강 레일(131) 및 작업대(132)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oading unit 130 may include a lifting rail 131 and a work table 132.

승강 레일(131)은 리프트부(120)에 결합되며, 리프트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승강 레일(131)은 작업대(132)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The lifting rail 131 is coupled to the lift unit 120 and ma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unit 120. The lifting rail 131 is configured to provide a movement path for the work table 132.

작업대(132)는 물건(O)이 적재되며, 승강 레일(131)에 결합되어 승강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work table 132 is loaded with objects (O) and may be coupled to the lifting rail 131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ing rail.

센싱부(140)는 리프트부(120) 와 적재부(130) 상에 배치되며, 천장(C)과 마주하는 리프트부(120)의 일단부(120a)와 적재부(130)의 천장(C)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is disposed on the lift unit 120 and the loading unit 130, and has one end 120a of the lift unit 120 facing the ceiling C and the ceiling C of the loading unit 130. ) can be made to detect the relative position.

센싱부(140)는 제1 센서(141), 제2 센서(142) 및 제3 센서(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센서(141,142,143)은 상기 리프트부(120)의 일단부(120a)와 적재부(130)의 천장(C)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first sensor 141, a second sensor 142, and a third sensor 143. The first to third sensors 141, 142, and 143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relative positions of one end 120a of the lift unit 120 and the ceiling C of the loading unit 130.

제1 센서(141)는 건물의 천장(C)과 마주하는 리프트부(120)의 일단부(120a)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141)는, 천장(C)을 향하여 빛을 발생시키고, 천장(C)을 향하여 발생시킨 빛이 천장(C)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근거로 천장(C)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141)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천장(C)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상기 빛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sensor 141 may be placed at one end 120a of the lift unit 120 facing the ceiling C of the building. The first sensor 141 generates light toward the ceiling (C), and determines the relative It can be made to detect location.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141 may use a laser to generate the light to detect the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eiling C.

제2 센서(142)와 제3 센서(143)는 천장(C)과 마주하는 리프트부(120)의 일단부(120a) 및 적재부(130)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2 및 제3 센서(142,143)는, 천장(C)에 직접적으로 접촉 시에 동작하여 천장(C)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각각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및 제3 센서(142,143)는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 감지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sensor 142 and the third sensor 143 may be disposed on one end 120a of the lift unit 120 and the loading unit 130, respectively, facing the ceiling C. The second and third sensors 142 and 143 may operate when directly contacting the ceiling C to detect their respective positions relative to the ceiling C. For example, the second and third sensors 142 and 143 may be configured as limit switches that perform a sensing operation through physical contact.

한편, 제1 및 제2 센서(141,142)의 천장(C)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감지 방식은, 위에서 설명한 원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빛뿐만 아니라 소리를 이용하거나 이미지 센서와 같이 천장(C) 영역에 대한 화상을 감지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of detec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141 and 142 with respect to the ceiling C is not limited to the principle described above, and uses sound as well as light or uses an image sensor to detec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ceiling C area. It can also be implemented by detecting images for .

제어부(150)는 센싱부(140)에 의해 감지된 리프트부(120)의 일단부(120a)의 위치 또는 적재부(130)의 위치에 근거하여, 리프트부(120) 및 적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50)는 예를 들어, 상기 핸들부(180)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lift unit 120 and the loading uni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one end 120a of the lift unit 120 or the position of the loading unit 130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140. It can be made to control either a rising or falling motion. The control unit 150 may be placed on the handle unit 180, for example.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제1 센서(141)에서 측정되는 천장(C)과의 이격 거리가 제1 값 이하인 경우 리프트부(120)의 상승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제1 센서(141)를 통해 천장(C)과의 이격 거리가 기설정된 범위 내로 진입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리프트부(120)의 승강 속도가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센서(141)에 의해 감지되는 천장(C)과의 이격 거리는 예를 들어, 1미터(meter)로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may reduce the upward speed of the lift unit 120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ceiling C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141 is less than or equal to a first value. 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150 detects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ceiling C is within a preset range through the first sensor 141, the lifting speed of the lift unit 120 may be reduced. there is.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ceiling C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141 may be set to, for example, 1 meter.

또한, 제어부(150)는 제2 센서(142)와 제3 센서(143)에서 측정되는 건물의 천장(C)과의 이격 거리가 상기 제1 값 보다 작은 제2 값인 경우 리프트부(120)와 적재부(130)의 승강 동작을 각각 정지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operates the lift unit 120 and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oading unit 130 may be stopped respectively.

위와 같은 양중 시스템(100)에 의하면, 작업자(W)가 적재부(130) 상에 직접 탑승하지 않더라도, 리프트부(120)의 일단부 및 적재부(130)와 건물의 천장(C) 간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리프트부(120)와 적재부(130)의 승강 동작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양중 시스템(100)은, 리프트부(120)의 일단부(120a) 및 적재부(130)의 천장(C)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파악이 적재부(130)에 직접 탑승한 작업자(W)의 육안에 의해 이루어졌던 종래의 방식과 달리 리프트부(120) 및 적재부(130) 상에 배치된 센싱부(140)를 통해 감지 가능하며, 센싱부(140)에 의해 감지된 리프트부(120)의 일단부(120a)와 적재부(130)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건물의 천장(C)과의 충돌 없이 리프트부(120)와 적재부(130)의 승강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lifting system 100, even if the worker (W) does not directly board the loading unit 130,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one end of the lift unit 120 and the loading unit 130 and the ceiling C of the building Depending on the location,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 unit 120 and the loading unit 130 can be performed stably. That is, the lift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detec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ne end 120a of the lift unit 120 and the ceiling C of the loading unit 130 by the operator directly riding the loading unit 130. (W)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that was performed with the naked eye, it can be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unit 140 disposed on the lift unit 120 and the loading unit 130, and the lif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140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s of the one end 120a of the unit 120 and the loading unit 130,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 unit 120 and the loading unit 130 is performed stably without collision with the ceiling (C) of the building. can do.

아울러, 위와 같은 양중 시스템(100)의 센싱부(140) 및 제어부(150)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리프트부(120)의 일단부(120a)의 위치가 건물의 천장(C)에 근접해지는 시점에 리프트부(120)의 상승 속도가 감소되어 줄어들고 이후 리프트부(120) 및 적재부(130)의 승강 동작이 완전히 정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리프트부(120)의 상승 동작 이후 리프트부(120)가 완전히 정지되기까지 발생하는 승강 속도의 변동폭을 줄여 적재부(130)에 적재된 설비 등의 물건(O)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적재된 물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unit 140 and the control unit 150 of the lifting system 100 as described above, the point at which the position of one end 120a of the lift unit 120 approaches the ceiling C of the building The rising speed of the lift unit 120 is reduced and then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 unit 120 and the loading unit 130 is completely stopped. Accordingly,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to objects O such as equipment loaded on the loading unit 130 is reduced by reducing the fluctuation range of the lifting speed that occurs after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 unit 120 until the lift unit 120 is completely stopped. By minimizing damage to loaded items, you can prevent damage.

이하, 천장(C)의 구조와 관련된 적재부(130)의 특징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ading unit 130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ceiling C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양중 시스템(100)의 적재부(130)를 천장(C) 위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loading unit 130 of the lifting system 100 shown in FIG. 2 viewed from above the ceiling C.

도 8을 참조하면, 제3 센서(143)는 적재부(130)의 둘레 영역(130a)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3 센서(143)는 천장(C)에 직접적으로 접촉 시에 동작하여 천장(C)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각각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third sensor 143 may be disposed in the peripheral area 130a of the loading unit 130. In addition, the third sensor 143 may operate when directly contacting the ceiling C to detect each position relative to the ceiling C.

여기서, 적재부(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물건(O)의 설치 시에 건물의 천장(C)에 마련되는 천장 홀(C1)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적재부(130)의 둘레 영역(130a)이 천장 홀(C)을 제외한 천장(C)의 나머지 부분(C2)과 오버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재부(130)는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설비와 같은 물건(O)의 설치를 위해 천장(C)에 마련되는 천장 홀(C1)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loading unit 130 has an area that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ceiling hole C1 provided in the ceiling C of the building when the object O is installed when viewed from a plane, as shown in FIG. 8. The peripheral area 130a of the loading unit 130 may be formed to overlap the remaining portion C2 of the ceiling C excluding the ceiling hole C. That is, the loading unit 130 may be formed to have an area larger than the area of the ceiling hole C1 provided in the ceiling C for installation of objects O such as equipment when viewed from a plan view.

위와 같은 제3 센서(143)와 적재부(130)의 구조에 의하면, 적재부(130)의 상승 동작 시에, 적재부(130)의 둘레 영역(130a)이 천장 홀(C1)을 제외한 천장(C)의 나머지 부분(C2)과 안정적으로 맞닿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재부(130)의 상승 동작 시에, 적재부(130)가 상기 천장 홀(C1)을 그대로 통과하여 제3 센서(143)의 감지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적재부(130)의 승강 동작을 천장(C) 높이까지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third sensor 143 and the loading unit 13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ading unit 130 is raised, the peripheral area 130a of the loading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ceiling excluding the ceiling hole C1. It can be made to stably contact the remaining part (C2) of (C). Accordingly, when the loading unit 130 is raised, the loading unit 130 passes through the ceiling hole C1 to prevent the detection operation of the third sensor 143 from being performed normall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oading unit 130 can be stably controlled up to the height of the ceiling (C).

이하, 양중 시스템(100)에 구비되는 발광 가이드(160)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ight emitting guide 160 provided in the lifting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발광 가이드(160)가 천장(C)에 빛을 발생시키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how the light emitting guide 160 shown in FIG. 5 generates light on the ceiling C.

도 9를 참조하면, 양중 시스템(100)은 발광 가이드(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9, the lifting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tting guide 160.

발광 가이드(1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30)의 둘레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가이드(160)는 천장(C)을 향하여 빛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발광 가이드(160)는 예를 들어, 레이저를 이용하여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guide 160 may be disposed on the periphery of the loading unit 130 as shown in FIG. 9 . The light emitting guide 160 is configured to generate light toward the ceiling C. The light emitting guide 160 may generate light using, for example, a laser.

발광 가이드(16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적재부(130)의 둘레를 형성하는 각각의 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발광 가이드(160)는 적재부(130)의 둘레를 형성하는 각각의 상기 변에 대응하는 선 형태의 빛(160a)을 천장(C)에 각각 표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guides 160 may be provided and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each side forming the periphery of the loading unit 130 .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guides 16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light 160a in the form of a line corresponding to each side formi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ading unit 130 on the ceiling C.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30)의 형상이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인 경우, 발광 가이드(160)는 사각 형태의 적재부(130)의 둘레를 형성하는 4개의 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발광 가이드(160)에서 천장(C)을 향하여 빛이 발생되면, 건물의 천장(C)에는 적재부(130)의 사각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 사각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천장(C)에 표시되는 사각 형상을 이루는 각각의 변의 길이는 적재부(130)의 둘레를 형성하는 각각의 변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건물의 천장(C)에는 평면상에서 바라본 적재부(160)의 형상이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when the shape of the loading part 130 is square when viewed from a plane, the light emitting guide 160 is 4 forming the circumference of the square-shaped loading part 130. It can be placed on each side. And, when light is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guides 160 toward the ceiling C,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quare shape of the loading unit 130 may be displayed in a square shape on the ceiling C of the building. Additionally, the length of each side forming the square shape displayed on the ceiling C may be the same as the length of each side forming the perimeter of the loading unit 130. That is, the shape of the loading unit 160 viewed from a plan view may be displayed in the same manner on the ceiling C of the building.

이와 같은 발광 가이드(160)의 구성에 의하면, 양중 시스템(100)을 이용한 양중 작업 시에, 물건(O)이 올려지는 적재부(130)의 위치 선정을 리프트부(120) 및 적재부(130)의 상승 동작이 수행되기 전에 완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건(O)을 상승시키는 동작 중에 적재부(130)의 위치 변경을 위하여 양중 시스템(100)을 이동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양중 시스템(100)을 이용한 양중 작업의 수행 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emitting guide 160, during lifting work using the lifting system 100, the position of the loading unit 130 on which the object O is placed is selected by the lift unit 120 and the loading unit 130. ) can be completed before the rising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the lifting system 100 must be mov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loading unit 130 during the operation of lifting the object O. As a result, the performance speed of lifting work using the lifting system 100 can be further improved.

이하, 양중 시스템(100)의 리프트부(120)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ift unit 120 of the lifting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리프트부(120)를 배면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ft unit 120 shown in FIG. 1 viewed from the rear side.

도 10을 참조하면, 리프트부(120)는 붐 부재(121), 구동부(122), 사이드 플레이트(123) 및 연결 체인(124)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lift unit 120 may include a boom member 121, a drive unit 122, a side plate 123, and a connecting chain 124.

붐 부재(12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붐 부재(121)는 각각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어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붐 부재(121)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이동함에 따라 서로 간에 오버랩된 정도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복수의 붐 부재(121)는 각각의 일부분이 상호 겹치게 배치되어,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지는 텔리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oom member 121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The plurality of boom members 121 each extend in one direction, and one can be inserted into the other and arranged to overlap. Here, the degree of overlap between the plurality of boom members 121 can be adjusted as they each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plurality of boom members 121 may be formed to have a telescopic structure in which portions of each part ar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so that the overall length is adjusted.

구동부(122)는 복수의 붐 부재(121)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1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 부재(121)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구동부(122)의 위치는 도 5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22)는 이동부(110)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driving unit 122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power for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boom members 121. The driving unit 12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boom member 121 as shown in FIG. 5 . However,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122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5, and may be placed in another position.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122 may be disposed on the moving unit 110.

사이드 플레이트(123)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붐 부재(121)의 외측 둘레 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붐 부재(121)의 외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side plates 123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regi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oom members 121, and may each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om members 121.

연결 체인(124)은 복수의 사이드 플레이트(123)에 설치되어 상호 인접하는 사이드 플레이트(123)들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체인(124)은 리프트부(120)의 승강 동작 시에, 상호 인접하는 사이드 플레이트(123)들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복수의 사이드 플레이트(123)는 연결 체인(123)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이와 함께 연결 체인(123)에 의해 복수의 붐 부재(121)가 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 체인(124)의 구조에 의하면, 복수의 붐 부재(121)의 상호 오버랩되게 배치된 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여 리프트부(120)의 승강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connection chain 124 may be installed on a plurality of side plates 123 to connect adjacent side plates 123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chain 124 is configured to remain connected to adjacent side plates 123 dur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 unit 120. The plurality of side plates 12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chain 123, and the plurality of boom members 121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chain 123.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on chain 124, the structure in which the plurality of boom members 121 ar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is maintained more firmly, so tha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 unit 120 can be performed stably.

이하, 양중 시스템(100)의 적재부(130)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oading unit 130 of the lifting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1.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적재부(130)의 승강 동작과 관련된 구성들을 개념적으로 보인 측면도이다.FIG. 11 is a side view conceptually showing components related to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oading unit 130 shown in FIG. 1.

도 11을 참조하면, 양중 시스템(100)은 적재부(130)의 승강 동작을 위하여, 윈치(133) 및 와이어(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lifting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winch 133 and a wire 134 for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oading unit 130.

윈치(133)는 리프트부(1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윈치(133)는 후술하는 와이어(134)와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양중 시스템(100)에는 윈치(133)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윈치 배터리(133a)와, 윈치 배터리(133a)의 충전을 위한 윈치 배터리 충전부(133b)가 마련될 수 있다.The winch 133 may be installed on the lift unit 120. The winch 133 is connected to a wire 13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ifting system 100 may be provided with a winch battery 133a configured to provide power for driving the winch 133 and a winch battery charging unit 133b for charging the winch battery 133a.

와이어(14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윈치(133)와 작업대(132)에 각각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윈치(133)를 동작시켜 상기 와이어(143)를 감거나 풀어 작업대(132)를 승강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both ends of the wire 143 may be connected to the winch 133 and the workbench 132, respectively. Here, the control unit 150 may operate the winch 133 to wind or unwind the wire 143 to raise and lower the worktable 132.

이하, 양중 시스템(100)의 적재부(130)에 설치되는 브래킷(170)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racket 170 installed on the loading part 130 of the lifting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적재부(130)의 작업대(132) 상에 설비가 적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equipment loaded on the work table 132 of the loading unit 130 shown in FIG. 1.

도 12를 참조하면, 양중 시스템(100)은 브래킷(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2, the lifting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170.

브래킷(170)은 설비와 같은 물건(O)이 올려지는 적재부(130) 상에 설치된다. 브래킷(170)은 적재부(130) 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브래킷(170)은 적재부(130) 상에 적재된 물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적재부(130) 상에 올려진 물건(O)을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The bracket 170 is installed on the loading unit 130 on which objects O such as equipment are placed. The bracket 17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ading unit 130. The bracket 170 is formed to support an object loaded on the loading unit 130 and fixes the object O placed on the loading unit 130 at a preset position.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30) 상에 물건(O)이 수직으로 세워지게 배치되는 경우, 브래킷(170)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도록, 적재부(130)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며, 물건(O)의 일측을 감싸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브래킷(170)의 형상은 도 12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재부(130) 상에 올려지는 물건(O)의 형상에 따라 물건(O)의 적어도 일부와 맞닿은 상태로 물건(O)의 적재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when the object O is arranged to stand vertically on the loading unit 130, the bracket 170 is installed in the loading unit 130 to maintain the vertically standing state. ) extends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bject (O) and may be formed to surround and support one side of the object (O). Here, the shape of the bracket 170 is not limited to the form shown in FIG. 12, and is in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object O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bject O placed on the loading unit 130. It can be made to maintain the loaded state of (O).

한편, 브래킷(170)이 설치되는 적재부(130)의 일면에는 복수의 체결홀(132a)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재부(130)의 일면과 마주하는 브래킷(170)의 일단부는 상기 체결홀(132a)에 삽입되어, 적재부(130) 상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브래킷(170)은, 적재부(130) 상에 볼팅 방식으로 체결되거나, 자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적재부(130) 상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브래킷(170)이 상기 자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 적재부(130)에서 브래킷(170)이 고정되는 영역은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32a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ading unit 130 where the bracket 170 is installed. One end of the bracket 170 facing one surface of the loading unit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32a and fixed on the loading unit 130. Additionally, the bracket 170 may be fastened to the loading unit 130 using a bolting method, or may be formed to have magnetic force and be fixed to the loading unit 130. When the bracket 170 is formed to have the above magnetic force, the area where the bracket 170 is fixed in the loading part 130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이하, 양중 시스템(100)의 이동부(110)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들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configurations for fixing the moving part 110 of the lifting system 100 to the grou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이동부(110)를 지면에 지지시켜 고정하는 것과 관련된 구성들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FIG. 13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configurations related to supporting and fixing the movable unit 110 shown in FIG. 5 to the ground.

도 13을 참조하면, 이동부(110)는 양중 작업이 수행되는 위치로 이동한 이후, 해당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 연장부(112)와 제2 연장부(113) 및 고정 장치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after mov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lift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moving part 110 is fixed to the first extension part 112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13 in order to maintain the fixed state at that position. It may include a device unit 114.

제1 연장부(112)는 이동부(110)의 바디부(11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연장부(113)는 제1 연장부(112)의 일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장부(112,113)는 바디부(111)에 결합된 상태로 바디부(111)와 함께 이동하거나, 바디부(111)와 분리되어 별도로 운반된 다음 양중 작업이 수행되는 위치에서 바디부(11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장부(112,113)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first extension part 112 may be coupled to the body part 111 of the moving part 110,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13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12,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112 and 113 are coupled to the body 111 and move together with the body 111, or are separated from the body 111 and transported separately, and then moved at a position where the lifting operation is performed. It may b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11. The parts that overlap with the content described above regarding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112 and 113 will be omitted.

고정 장치부(114)는 제2 연장부(11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 장치부(114)는 회전 시 제2 연장부(113)를 연장시켜 지면에 지지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장치부(114)는,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중 작업 수행 등의 이유로 이동부(110)의 고정이 필요한 상황 발생 시, 자유단을 형성하는 일단부가 지면을 향하여 회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지면을 향하여 밀린 상기 고장 장치부(114)의 일단부는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장부(113)가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xing device portion 114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13. The fixing device portion 114 may be configured to exte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13 and support it on the ground when rotating. 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13, when the fixing device unit 114 needs to fix the moving unit 110 for reasons such as performing lifting work, one end forming the free end touches the ground. It can be made to rotate towards. As shown in (b) of FIG. 13, one end of the failure device portion 114 pushed toward the ground may be maintained supported on the ground by extending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13.

이하, 양중 시스템(100)의 운반을 위해 구비되는 결합 부재(116)에 대하여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member 116 provided for transporting the lifting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도 14는 도 5에 도시된 이동부(110)의 바디부(111)에 결합 부재(116)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member 116 coupled to the body part 111 of the moving part 110 shown in Figure 5.

도 14를 참조하면, 이동부(110)의 바디부(111)에는 복수의 결합 부재(116)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부재(116)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116a)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결합 부재(116)는 바디부(111)의 양측에 각각 한 쌍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을 이루는 복수의 결합 부재(116)의 관통홀(116a)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바디부(111)의 양측에서 한 쌍을 이루는 복수의 결합 부재(116)의 관통홀(116a)들은 일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서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a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116 may b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11 of the moving unit 11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4, the coupling members 116 may each have a through hole 116a penetra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116 may be arranged to form a pair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111, respectively. Here, the through holes 116a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116 forming a pair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at is, the through holes 116a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116 forming a pair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111 may b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when viewed from one direction.

상기 관통홀(116a)에는 지게차에서 짐을 받치는 포크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중 시스템(100)은 상기 지게차의 상기 포크가 결합 부재(116)의 관통홀(116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게차에 의해 용이하게 다른 장소로 운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 fork that supports a load from a forklift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6a. Accordingly, the lifting system 100 can be easily transported to another location by the forklift while the fork of the forklif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6a of the coupling member 116.

전술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설명된 실시예들의 범주 및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oregoing content is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technical spirit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individually or in any combination.

100 : 양중 시스템
110 : 이동부
111 : 바디부
112 : 제1 연장부
113 : 제2 연장부
114 : 고정 장치부
115 : 이동부 바퀴
116 : 결합 부재
116a : 관통홀
120 : 리프트부
121 : 붐 부재
122 : 구동부
123 : 사이드 플레이트
124 : 연결 체인
130 : 적재부
131 : 승강 레일
132 : 작업대
132a : 체결홀
133 : 윈치
134 : 와이어
140 : 센싱부
141 : 제1 센서
142 : 제2 센서
143 : 제3 센서
150 : 제어부
160 : 발광 가이드
170 : 브래킷
180 : 핸들부
B : 작업대
C : 천장
O : 물건
100: Lifting system
110: moving part
111: body part
112: first extension part
113: second extension part
114: Fixing device part
115: moving wheel
116: coupling member
116a: Through hole
120: Lift part
121: Boom member
122: driving unit
123: side plate
124: connection chain
130: loading unit
131: Elevating rail
132: workbench
132a: fastening hole
133: winch
134: wire
140: sensing unit
141: first sensor
142: second sensor
143: third sensor
150: control unit
160: Luminous guide
170: bracket
180: handle part
B: Workbench
C: Ceiling
O: object

Claims (10)

지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 상에 배치되고,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리프트부;
물건의 적재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리프트부에 결합되어 상기 리프트부의 승강 시에 함께 이동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리프트부의 이동과 독립적으로 상기 리프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적재부;
천장과 마주하는 상기 리프트부의 일단부에 각각 배치되며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상기 리프트부의 일단부의 상기 천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센서와, 상기 적재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부의 상기 천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도록 이루지는 제3 센서를 구비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리프트부의 일단부의 위치 또는 상기 적재부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리프트부 및 상기 적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서는 상기 적재부의 둘레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천장에 직접적으로 접촉 시에 동작하여 상기 천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각각 감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적재부는,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물건의 설치 시에 상기 천장에 마련되는 천장 홀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둘레 영역이 상기 천장 홀을 제외한 상기 천장의 나머지 부분과 오버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중 시스템.
A moving unit configured to be movable on the ground;
a lift unit disposed on the moving unit,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capable of adjusting its length for raising or lowering;
A loading part that provides a space for loading goods, is coupled to the lift part and moves together when the lift part is raised and lowered, and is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part independently of the movement of the lift part;
First and second sensors, respectively disposed on one end of the lift unit facing the ceiling and configured to detec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ne end of the lift unit with respect to the ceiling in different ways, and disposed on the loading unit and configured to detec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ne end of the lift unit with respect to the ceiling; a sensing unit including a third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relative to the ceiling;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raising or lowering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lift unit and the loading unit based on the position of one end of the lift unit or the position of the loading unit detected by the first to third sensors; ,
The third sensor is disposed in a peripheral area of the loading unit and operates when directly contacting the ceiling to detect each position relative to the ceiling,
The load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n area that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ceiling hole provided in the ceiling when the object is installed when viewed from a plane, and the peripheral area is formed to overlap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ceiling excluding the ceiling hole. A lif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에서 측정되는 상기 천장과의 이격 거리가 제1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리프트부의 상승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및 제3 센서에서 측정되는 상기 천장과의 이격 거리가 상기 제1 값 보다 작은 제2 값인 경우 상기 리프트부 및 상기 적재부의 승강 동작을 각각 정지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양중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reduce the upward speed of the lift unit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ceiling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is less than a first value,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ceiling measured by the second and third sensors A lifting system configured to stop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 unit and the loading unit, respectively, when the distance is a second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valu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천장과 마주하는 상기 리프트부의 일단부까지 상승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양중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A lifting system in which the loading unit is capable of rising to one end of the lift unit facing the ceiling.
삭제delete 지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 상에 배치되고,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리프트부;
물건의 적재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리프트부에 결합되어 상기 리프트부의 승강 시에 함께 이동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리프트부의 이동과 독립적으로 상기 리프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적재부;
천장과 마주하는 상기 리프트부의 일단부에 각각 배치되며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상기 리프트부의 일단부의 상기 천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센서와, 상기 적재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부의 상기 천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도록 이루지는 제3 센서를 구비하는 센싱부;
상기 제1 내지 제3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리프트부의 일단부의 위치 또는 상기 적재부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리프트부 및 상기 적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 및
상기 적재부의 둘레 상에 배치되고, 상기 천장을 향하여 빛을 발생시켜 상기 적재부의 형상을 상기 천장에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발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양중 시스템.
A moving unit configured to be movable on the ground;
a lift unit disposed on the moving unit,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capable of adjusting its length for raising or lowering;
A loading part that provides a space for loading goods, is coupled to the lift part and moves together when the lift part is raised and lowered, and is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part independently of the movement of the lift part;
First and second sensors, respectively disposed on one end of the lift unit facing the ceiling and configured to detec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ne end of the lift unit with respect to the ceiling in different ways, and disposed on the loading unit and configured to detec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ne end of the lift unit with respect to the ceiling; a sensing unit including a third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relative to the ceiling;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a raising or lowering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lift unit and the loading unit based on the position of one end of the lift unit or the position of the loading unit detected by the first to third sensors; and
A lifting system comprising a light-emitting guide dispose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loading unit and generating light toward the ceiling to display the shape of the loading unit on the ceil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가이드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의 둘레를 형성하는 각각의 변에 배치되며, 상기 변의 형상에 대응하는 선 형태의 빛을 상기 천장에 각각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양중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5,
The light-emitting guide is provided in plurality, is disposed on each side forming the periphery of the loading unit, and is configured to display light in the form of a lin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ide on the ceiling, respectively.
지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 상에 배치되고,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리프트부;
물건의 적재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리프트부에 결합되어 상기 리프트부의 승강 시에 함께 이동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리프트부의 이동과 독립적으로 상기 리프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적재부;
천장과 마주하는 상기 리프트부의 일단부에 각각 배치되며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상기 리프트부의 일단부의 상기 천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센서와, 상기 적재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부의 상기 천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도록 이루지는 제3 센서를 구비하는 센싱부;
상기 제1 내지 제3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리프트부의 일단부의 위치 또는 상기 적재부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리프트부 및 상기 적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 및
상기 적재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적재부 상에 적재된 상기 물건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물건을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양중 시스템.
A moving unit configured to be movable on the ground;
a lift unit disposed on the moving unit,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capable of adjusting its length for raising or lowering;
A loading part that provides a space for loading goods, is coupled to the lift part and moves together when the lift part is raised and lowered, and is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part independently of the movement of the lift part;
First and second sensors, respectively disposed on one end of the lift unit facing the ceiling and configured to detec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ne end of the lift unit with respect to the ceiling in different ways, and disposed on the loading unit and configured to detec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ne end of the lift unit with respect to the ceiling; a sensing unit including a third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relative to the ceiling;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a raising or lowering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lift unit and the loading unit based on the position of one end of the lift unit or the position of the loading unit detected by the first to third sensors; and
A lifting system including a bracket installed on the loading unit and formed to support a portion of the object loaded on the loading unit, thereby fixing the object in a preset position.
제1항,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각각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어 오버랩되게 배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이동함에 따라 상호 간에 오버랩된 정도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지는 복수의 붐 부재;
복수의 상기 붐 부재의 이동을 위한 동력를 제공하는 구동부;
복수의 상기 붐 부재의 외측 둘레 영역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붐 부재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사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사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호 인접하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들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연결 체인을 포함하는 양중 시스템.
According to any one of paragraphs 1, 5, and 7,
The lift unit,
A plurality of boom members each extending in one direction, one of which is inserted into and arranged to overlap the other, and the degree of overlap with each other is adjusted as each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driving unit that provides power for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boom members;
A plurality of side plates each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area of the plurality of boom members and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boom member; and
A lifting system including a connecting chain installed on the plurality of side plates and formed to connect the side plates adjacent to each other.
제1항,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리프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리프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승강 레일; 및
상기 물건이 적재되며, 상기 승강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작업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부 상에 설치되는 윈치; 및
양단부가 상기 윈치와 상기 작업대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치를 동작시켜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상기 작업대를 승강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양중 시스템.
According to any one of paragraphs 1, 5, and 7,
The loading part,
an elevating rail coupled to the lift unit an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unit; and
A workbench on which the object is loaded, coupled to the lifting rail, and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ing rail;
A winch installed on the lift unit; and
Both ends further include wires connected to the winch and the workbench, respectively,
A lifting system in which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winch to wind or unwind the wire to raise and lower the workbench.
지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 상에 배치되고,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리프트부;
물건의 적재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리프트부에 결합되어 상기 리프트부의 승강 시에 함께 이동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리프트부의 이동과 독립적으로 상기 리프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적재부;
천장과 마주하는 상기 리프트부의 일단부에 각각 배치되며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상기 리프트부의 일단부의 상기 천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센서와, 상기 적재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부의 상기 천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도록 이루지는 제3 센서를 구비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리프트부의 일단부의 위치 또는 상기 적재부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리프트부 및 상기 적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바디부를 중심으로 지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연장부;
각각의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지면을 향하여 각각 연장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시 상기 제2 연장부를 연장시켜 지면에 지지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고정 장치부를 포함하는 양중 시스템.
A moving unit configured to be movable on the ground;
a lift unit disposed on the moving unit,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capable of adjusting its length for raising or lowering;
A loading part that provides a space for loading goods, is coupled to the lift part and moves together when the lift part is raised and lowered, and is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part independently of the movement of the lift part;
First and second sensors, respectively disposed on one end of the lift unit facing the ceiling and configured to detec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ne end of the lift unit with respect to the ceiling in different ways, and disposed on the loading unit and configured to detec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ne end of the lift unit with respect to the ceiling, a sensing unit including a third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relative to the ceiling;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raising or lowering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lift unit and the loading unit based on the position of one end of the lift unit or the position of the loading unit detected by the first to third sensors; ,
The moving part,
Body portion forming the exterior;
a plurality of first extension parts each coupled to the body part and each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around the body part;
a plurality of second extension portions each provided at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s and each capable of extending toward the ground; and
A lifting system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extension and including a fixing device configured to extend the second extension and support it on the ground when rotated.
KR1020230076397A 2023-06-14 2023-06-14 Lift system KR1026453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6397A KR102645359B1 (en) 2023-06-14 2023-06-14 Lif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6397A KR102645359B1 (en) 2023-06-14 2023-06-14 Lif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359B1 true KR102645359B1 (en) 2024-03-11

Family

ID=90248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6397A KR102645359B1 (en) 2023-06-14 2023-06-14 Lif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359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8596A (en) * 2000-03-30 2001-10-10 Nippon Yusoki Co Ltd Loading vehicle
KR20090062779A (en) * 2007-12-13 2009-06-17 우종길 Apparatus to protect impact for work-bench elevated position
KR20150074251A (en) * 2013-12-23 2015-07-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Helideck light apparatus using led
JP2018043577A (en) * 2016-09-13 2018-03-22 株式会社タダノ Outrigger jack operation control device of working vehicle
KR20210000407U (en) * 2019-08-12 2021-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 lifting apparatus for installing pipe
KR102462441B1 (en) * 2022-05-17 2022-11-03 이대형 A workbench to prevent stenosis
KR20230000501U (en) * 2021-09-02 2023-03-09 주식회사 수산씨에스엠 Lifting device for installation of ceiling structure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8596A (en) * 2000-03-30 2001-10-10 Nippon Yusoki Co Ltd Loading vehicle
KR20090062779A (en) * 2007-12-13 2009-06-17 우종길 Apparatus to protect impact for work-bench elevated position
KR20150074251A (en) * 2013-12-23 2015-07-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Helideck light apparatus using led
JP2018043577A (en) * 2016-09-13 2018-03-22 株式会社タダノ Outrigger jack operation control device of working vehicle
KR20210000407U (en) * 2019-08-12 2021-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 lifting apparatus for installing pipe
KR20230000501U (en) * 2021-09-02 2023-03-09 주식회사 수산씨에스엠 Lifting device for installation of ceiling structures
KR102462441B1 (en) * 2022-05-17 2022-11-03 이대형 A workbench to prevent stenosi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95503A (en) Article conveying device
JP2012153534A (en) Aerial platform apparatus with laterally offset work platform
US10214402B2 (en) Personnel lift vehicle
TW201410583A (en) Stacker crane
JP6654995B2 (en) Safety equipment for aerial work vehicles
JP2008285958A (en) Lift type high-place work floor, and high-place work method using the lift type high-place work floor
KR102645359B1 (en) Lift system
KR100769925B1 (en) Work teble with safety device
KR101910289B1 (en) Satellite access equipment for structural strain reduction
KR101038523B1 (en) Working radius of crane vehicle control device
JP4126619B2 (en) Goods storage facility
JP5182565B2 (en) Article conveying device
JP2009113907A (en) Article conveying device
JP2002293409A (en) Article storage facility
JP2009203028A (en) Article transporting device
JPH1046799A (en) Traveling type elevator scaffolding with plurality of masts
KR101892114B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Panel
KR101950607B1 (en) Elevator for cokes oven
JP6343217B2 (en) Transport device operation stop device
JP5280012B2 (en) Article lifting device
JP7173073B2 (en) Elevator and transport system
JP4257590B2 (en) Lifting type article transport device
KR102390718B1 (en) Aerial lift vehicle
JP3148510U (en) Automatic warehouse system
JP4348629B2 (en) Ventilation storag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