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328B1 -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328B1
KR102645328B1 KR1020220016933A KR20220016933A KR102645328B1 KR 102645328 B1 KR102645328 B1 KR 102645328B1 KR 1020220016933 A KR1020220016933 A KR 1020220016933A KR 20220016933 A KR20220016933 A KR 20220016933A KR 102645328 B1 KR102645328 B1 KR 102645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on nut
fixing
bolt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0405A (ko
Inventor
이원교
조영철
최재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16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328B1/ko
Publication of KR20230120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관재바디의 둘레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1 관재체결공을 포함하는 제1 관재와, 상기 제1 관재와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제2 관재바디의 둘레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2 관재체결공을 포함하는 제2 관재와, 상기 제1 관재체결공과 상기 제2 관재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연결너트와, 상기 연결너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너트삽입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와, 상기 제1 관재, 상기 제2 관재, 상기 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브라켓을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마주보도록 배치된 연결 관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TUBULAR STEEL POLE AND ITS JOINT METHOD}
본 발명은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선로 상에 설치되는 송전탑 등에 사용되는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송전탑 등에 사용되고 있는 가장 간단한 지지물 형태는 기둥(Pole) 형태를 주요한 지지 방식으로 사용하는 관형지지물 형태이며, 이때 주기둥은 운반 및 설치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모듈 형태로 분할된 복수의 원통형 관재나 각형 관재를 연결하여 시공할 수 있다.
송전용 관형지지물은 사용되는 관재가 지지하는 하중에 따라 일반적으로 두께가 두껍고 무게가 많이 나가는 중량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관형지지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모듈 형태의 관재(管材)를 설치장소로 운반한 뒤 장비를 이용하여 연결해야 한다.
모듈 형태의 관재는 관형지지물 시공 시 관재가 받는 하중을 고려해 계산하여 분할되며, 분할된 관재들은 화물트럭에 적재되어 시공장소로 운반된다.
그러나 관재의 길이가 커서 수송 중 터널과 같은 상하 제한 장소를 만나는 경우에 관재를 눕히는 방법으로 대응하고 있으나, 관재의 지름이 클 경우 트럭이 진입하지 못해 운반이 불가능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4518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송전용 관형지지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관형지지물의 직경과 길이가 증가하여 운반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운반의 편의성을 향상하면서 조립방식이 단순화된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관형지지물은, 제1 관재바디 및 상기 제1 관재바디의 둘레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1 관재체결공을 포함하는 제1 관재; 상기 제1 관재와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제2 관재바디 및 상기 제2 관재바디의 둘레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2 관재체결공을 포함하는 제2 관재; 일측면이 상기 제1 관재와 상기 제2 관재의 양단 내측면에 각각 동시에 걸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관재체결공과 상기 제2 관재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커버플레이트; 상기 볼트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일단이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타측면에 접하는 연결너트; 상기 연결너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너트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너트의 타단과 접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제1 관재체결공, 상기 제2 관재체결공, 상기 볼트관통공, 상기 연결너트 및 상기 연결너트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관재, 상기 제2 관재, 상기 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브라켓을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관재 및 상기 제2 관재는, 양측단이 각각 개방된 다각형의 단면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 관재체결공은, 상기 제1 관재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관재체결공은, 상기 제2 관재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너트삽입공은, 내측에 상기 연결너트가 끼워지도록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너트는, 상기 고정볼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골과 상호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선을 갖는 연결너트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관형지지물은,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고정브라켓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볼트의 말단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관형지지물의 연결방법은, 제1 관재의 둘레방향 양단에 각각 제1 관재체결공을 형성하는 제1 관재가공단계; 제2 관재의 둘레방향 양단에 각각 제2 관재체결공을 형성하는 제2 관재가공단계; 상기 제1 관재의 양단과 상기 제2 관재의 양단을 각각 접촉시키는 관재연결단계; 상기 제1 관재체결공과 상기 제2 관재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커버플레이트를 상기 제1 관재와 상기 제2 관재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커버플레이트 배치단계; 상기 볼트관통공에 대응되어 정렬되도록 연결너트의 일단을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배치시키는 연결너트 배치단계; 상기 연결너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너트삽입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을 상기 연결너트의 타단에 배치시키는 고정브라켓 배치단계; 및 상기 제1 관재, 상기 제2 관재, 상기 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브라켓이 체결되도록 고정볼트가 상기 제1 관재체결공, 상기 제2 관재체결공, 상기 볼트관통공, 상기 연결너트 및 상기 연결너트삽입공을 관통하도록 삽입하는 고정볼트 삽입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관형지지물의 연결방법은, 상기 고정브라켓 배치단계가 수행된 후, 상기 연결너트를 상기 연결너트삽입공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삽입하는 연결너트 삽입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관형지지물의 연결방법은, 상기 고정볼트 삽입단계가 수행된 후,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고정브라켓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볼트의 말단에 고정너트를 결합시키는 고정너트 결합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에 의하면, 마주보도록 배치된 연결 관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어 운반문제로 인해 산악지에 설치가 어려운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지지물을 외부에서 바라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형지지물을 하부에서 바라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연결부를 확대하여 바라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연결부를 외부에서 바라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연결부를 옆면에서 바라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연결부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연결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연결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송전선로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상으로부터 수직되게 통형의 관형지지물(100)이 설치되며, 상기 관형지지물(100)의 상단부 측면에는 송전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대(10)가 설치된다.
상기 관형지지물(100)은 운반하기 용이하도록 반원형 또는 일측이 개방된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제1 관재(110)와 상기 제1 관재(1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반원형 또는 일측이 개방된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제2 관재(120)로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100)은, 제1 관재바디(111) 및 상기 제1 관재바디(111)의 둘레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1 관재체결공(112)을 포함하는 제1 관재(110)와, 상기 제1 관재(110)와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제2 관재바디(121) 및 상기 제2 관재바디(121)의 둘레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2 관재체결공(122)을 포함하는 제2 관재(120)와, 일측면이 상기 제1 관재(110)와 상기 제2 관재(120)의 양단 내측면에 각각 동시에 걸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관재체결공(112)과 상기 제2 관재체결공(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볼트관통공(132)이 형성된 커버플레이트(130)와, 상기 볼트관통공(13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일단이 상기 커버플레이트(130)의 타측면에 접하는 연결너트(140)와, 상기 연결너트(140)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너트삽입공(15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너트(140)의 타단과 접하는 고정브라켓(150)와, 상기 제1 관재체결공(112), 상기 제2 관재체결공(122), 상기 볼트관통공(132), 상기 연결너트(140) 및 상기 연결너트삽입공(152)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관재(110), 상기 제2 관재(120), 상기 커버플레이트(130) 및 상기 고정브라켓(150)을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볼트(17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관재(110)는 양측단이 각각 개방되어 횡단면이 반원형 또는 다각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관재(110)를 다수의 금속 플레이트로부터 용접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횡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동일하게, 상기 제2 관재(120)는 양측단이 각각 개방되어 횡단면이 반원형 또는 다각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관재(120)를 다수의 금속 플레이트로부터 용접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횡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관재(110)는 금속 재질의 제1 관재바디(11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재바디(111)의 둘레방향 양단에 각각 제1 관재체결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관재체결공(112)은, 상기 제1 관재(110)의 길이 방향(종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제2 관재(120)는 상기 제1 관재(110)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금속 재질의 제2 관재바디(12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관재바디(121)의 둘레방향 양단에 각각 제2 관재체결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관재체결공(122)은, 상기 제2 관재(120)의 길이 방향(종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130)는, 일측면이 상기 제1 관재(110)와 상기 제2 관재(120)의 양단에서 상기 제1 관재(110)와 상기 제2 관재(120)의 중심을 향하는 내측면에 동시에 걸쳐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130)는, 금속 재질의 커버플레이트바디(131)와, 상기 커버플레이트바디(131)에 형성된 한 쌍의 볼트관통공(132)을 포함한다.
상기 볼트관통공(132)은 상기 제1 관재체결공(112)과 상기 제2 관재체결공(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대응되어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바디(131)는 도면상으로 평면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1 관재(110)와 상기 제2 관재(120)의 형상과 대응되어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잇다.
상기 커버플레이트(130)는, 금속 재질의 커버플레이트바디(131)와, 상기 커버플레이트바디(131)에 형성된 한 쌍의 볼트관통공(132)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너트(140)는, 상기 볼트관통공(132)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되고, 일단이 각각 상기 커버플레이트(130)의 타측면에 접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150)은 평면 플레이트인 고정브라켓바디(151)와, 상기 연결너트(14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되어 상기 고정브라켓바디(151)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너트삽입공(152)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너트삽입공(152)은, 내측에 상기 연결너트(140)가 끼워지도록 단면이 상기 연결너트(140)의 외측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도면상에는 일반적인 연결너트의 형상에 따라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고정볼트(170)는 상기 제1 관재(110)의 제1 관재체결공(112)과, 상기 제2 관재(120)의 제2 관재체결공(122)를 각각 관통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고, 각각 상기 제1 관재체결공(112)과 상기 제2 관재체결공(122)에 대응되는 상기 볼트관통공(132), 상기 연결너트(140) 및 상기 연결너트삽입공(152)을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170)는 상기 제1 관재(110), 상기 제2 관재(120), 상기 커버플레이트(130) 및 상기 고정브라켓(150)을 일체형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한 쌍의 고정볼트(170) 중 어느 하나의 고정볼트는 상기 제1 관재체결공(112), 어느 하나의 상기 볼트관통공(132), 어느 하나의 상기 연결너트(140), 어느 하나의 상기 연결너트삽입공(152)을 순차적으로 관통한다.
또한, 한 쌍의 고정볼트(170) 중 다른 하나의 고정볼트는 상기 제2 관재체결공(122), 다른 하나의 상기 볼트관통공(132), 다른 하나의 상기 연결너트(140), 다른 하나의 상기 연결너트삽입공(152)을 순차적으로 관통한다.
상기 고정볼트(170)의 외주면에는 나사골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너트(140)는 고리 형상인 연결너트바디(141)의 내주면에 나사선을 갖는 연결너트체결공(14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볼트(170)가 상기 연결너트체결공(142)에 끼워지면서 회전되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100)은, 상기 고정볼트(170)가 상기 고정브라켓(1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볼트(170)의 말단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너트(160)는 고리 형상인 고정너트바디(161)의 내주면에 나사선을 갖는 고정너트체결공(16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볼트(170)의 말단이 상기 고정너트체결공(162)에 끼워지면서 회전되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관형지지물의 연결방법은, 제1 관재(110)의 둘레방향 양단에 각각 제1 관재체결공(112)을 형성하는 제1 관재가공단계(S1)와, 제2 관재(120)의 둘레방향 양단에 각각 제2 관재체결공(122)을 형성하는 제2 관재가공단계(S2)와, 상기 제1 관재(110)의 양단과 상기 제2 관재(120)의 양단을 각각 접촉시키는 관재연결단계(S3)와, 상기 제1 관재체결공(112)과 상기 제2 관재체결공(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관통공(132)이 형성된 커버플레이트(130)를 상기 제1 관재(110)와 상기 제2 관재(120)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커버플레이트 배치단계(S4)와, 상기 볼트관통공(132)에 대응되어 정렬되도록 연결너트(140)의 일단을 상기 커버플레이트(130)의 일측면에 배치시키는 연결너트 배치단계(S5)와, 상기 연결너트(140)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너트삽입공(152)이 형성된 고정브라켓(150)을 상기 연결너트(140)의 타단에 배치시키는 고정브라켓 배치단계(S6)와, 그리고 상기 제1 관재(110), 상기 제2 관재(120), 상기 커버플레이트(130) 및 상기 고정브라켓(150)이 체결되도록 고정볼트(170)가 상기 제1 관재체결공(112), 상기 제2 관재체결공(122), 상기 볼트관통공(132), 상기 연결너트(140) 및 상기 연결너트삽입공(152)을 관통하도록 삽입하는 고정볼트 삽입단계(S8)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관재가공단계(S1)에서는, 천공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관재(110)의 둘레방향 양단에 위치한 플레이트에서 다수의 위치를 천공하여 제1 관재체결공(112)을 형성한다.
상기 제2 관재가공단계(S2)에서는 상기 제1 관재(110)와 동일하게 천공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제2 관재(120)의 둘레방향 양단에 위치한 플레이트에서 다수의 위치를 천공하여 제2 관재체결공(122)을 형성한다.
상기 관재연결단계(S3)에서는, 상기 제1 관재(110)와 상기 제2 관재(120)를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1 관재(110)의 양단을 상기 제2 관재(120)의 양단을 향하여 이동시켜 상호 접촉하도록 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 배치단계(S4)에서는, 커버플레이트(130)가 상기 제1 관재(110)와 상기 제2 관재(120)의 양단 내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130)는 상기 제1 관재체결공(112)과 상기 제2 관재체결공(12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각각 천공도구에 의해 천공되어 볼트관통공(132)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너트 배치단계(S5)에서는 상기 볼트관통공(132)에 각각 대응되도록 한 쌍의 연결너트(140)를 각각 일단이 상기 제1 관재(110)와 상기 제2 관재(120)의 중심을 향하는 상기 커버플레이트(130)의 일측면에 배치한다.
상기 고정브라켓 배치단계(S6)에서는, 상기 커버플레이트(130)가 접한 상기 연결너트(140)의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 접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150)을 상기 커버플레이트(130)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배치한다.
상기 고정볼트 삽입단계(S7)에서는, 상기 고정볼트(170)를 상기 제1 관재체결공(112), 상기 볼트관통공(132), 상기 연결너트(140) 및 상기 연결너트삽입공(152)을 각각 통과시켜 상기 제1 관재(110)와 상기 커버플레이트(130) 및 상기 고정브라켓(150)을 체결한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 삽입단계(S7)에서는, 상기 고정볼트(170)를 상기 제2 관재체결공(122), 상기 볼트관통공(132), 상기 연결너트(140) 및 상기 연결너트삽입공(152)을 각각 통과시켜 상기 제2 관재(120)와 상기 커버플레이트(130) 및 상기 고정브라켓(150)을 체결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관형지지물의 연결방법은, 상기 고정브라켓 배치단계(S6)가 수행된 후, 상기 연결너트(140)를 상기 연결너트삽입공(152)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삽입하는 연결너트 삽입단계(S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너트 삽입단계(S7)에서는 단면이 상기 연결너트(140)의 외측 둘레에 대응되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연결너트삽입공(152)의 내측에 상기 연결너트(140)를 끼워지도록 삽입한다.
상기 연결너트(140)가 상기 연결너트삽입공(152)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너트(140)를 관통한 상기 고정볼트(170)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관형지지물의 연결방법은, 상기 고정볼트 삽입단계(S8)가 수행된 후, 상기 고정볼트(170)가 상기 고정브라켓(15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볼트(170)의 말단에 고정너트(160)를 결합시키는 고정너트 결합단계(S9)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너트 결합단계(S9)에서는 상기 고정브라켓(150)의 연결너트삽입공(152)을 관통한 상기 고정볼트(170)의 말단이 상기 고정너트(160)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너트체결공(162)의 내측 나사선에 회전되면서 체결된다.
상기 고정너트 결합단계(S9)는 한 쌍의 상기 연결너트삽입공(152)을 각각 관통한 한쌍의 상기 고정볼트(170)에 상기 연결너트(140)를 각각 체결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는 하나의 연결너트(140)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케이블 지지대
100 : 관형지지물
110 : 제1 관재
120 : 제2 관재
130 : 커버플레이트
140 : 연결너트
150 : 고정브라켓
160 : 고정너트
170 : 고정볼트

Claims (10)

  1. 제1 관재바디 및 상기 제1 관재바디의 둘레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1 관재체결공을 포함하는 제1 관재;
    상기 제1 관재와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제2 관재바디 및 상기 제2 관재바디의 둘레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2 관재체결공을 포함하는 제2 관재;
    일측면이 상기 제1 관재와 상기 제2 관재의 양단 내측면에 각각 동시에 걸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관재체결공과 상기 제2 관재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커버플레이트;
    상기 볼트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일단이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타측면에 접하는 연결너트;
    상기 연결너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너트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너트의 타단과 접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제1 관재체결공, 상기 제2 관재체결공, 상기 볼트관통공, 상기 연결너트 및 상기 연결너트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관재, 상기 제2 관재, 상기 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브라켓을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볼트;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평면 플레이트인 고정브라켓바디;
    상기 연결너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되어 상기 고정브라켓바디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너트삽입공;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너트삽입공은,
    내측에 상기 연결너트가 끼워지도록 단면이 상기 연결너트의 외측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 관형지지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재 및 상기 제2 관재는,
    양측단이 각각 개방된 다각형의 단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재체결공은,
    상기 제1 관재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재체결공은,
    상기 제2 관재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너트삽입공은,
    내측에 상기 연결너트가 끼워지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너트는,
    상기 고정볼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골과 상호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선을 갖는 연결너트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고정브라켓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볼트의 말단에 체결되는 고정너트;
    를 더 포함하는 관형지지물.
  8. 제1 관재의 둘레방향 양단에 각각 제1 관재체결공을 형성하는 제1 관재가공단계;
    제2 관재의 둘레방향 양단에 각각 제2 관재체결공을 형성하는 제2 관재가공단계;
    상기 제1 관재의 양단과 상기 제2 관재의 양단을 각각 접촉시키는 관재연결단계;
    상기 제1 관재체결공과 상기 제2 관재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커버플레이트를 상기 제1 관재와 상기 제2 관재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커버플레이트 배치단계;
    상기 볼트관통공에 대응되어 정렬되도록 연결너트의 일단을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배치시키는 연결너트 배치단계;
    상기 연결너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너트삽입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을 상기 연결너트의 타단에 배치시키는 고정브라켓 배치단계; 및
    상기 제1 관재, 상기 제2 관재, 상기 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브라켓이 체결되도록 고정볼트가 상기 제1 관재체결공, 상기 제2 관재체결공, 상기 볼트관통공, 상기 연결너트 및 상기 연결너트삽입공을 관통하도록 삽입하는 고정볼트 삽입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평면 플레이트인 고정브라켓바디;
    상기 연결너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되어 상기 고정브라켓바디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너트삽입공;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너트삽입공은,
    내측에 상기 연결너트가 끼워지도록 단면이 상기 연결너트의 외측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 관형지지물의 연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 배치단계가 수행된 후, 상기 연결너트를 상기 연결너트삽입공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삽입하는 연결너트 삽입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관형지지물의 연결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 삽입단계가 수행된 후,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고정브라켓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볼트의 말단에 고정너트를 결합시키는 고정너트 결합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관형지지물의 연결방법.
KR1020220016933A 2022-02-09 2022-02-09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 KR102645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933A KR102645328B1 (ko) 2022-02-09 2022-02-09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933A KR102645328B1 (ko) 2022-02-09 2022-02-09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405A KR20230120405A (ko) 2023-08-17
KR102645328B1 true KR102645328B1 (ko) 2024-03-11

Family

ID=87800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933A KR102645328B1 (ko) 2022-02-09 2022-02-09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3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614B1 (ko) * 2015-06-01 2016-02-01 (주)비디씨 기지국의 지주 매립형 강관파이프 기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공법
JP2020528512A (ja) 2017-07-26 2020-09-24 ヴォッベン プロパティーズ ゲーエムベーハーWobben Properties Gmbh 風力発電設備タワー用の風力発電設備鋼製タワー部分と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184B1 (ko) 2005-09-21 2007-08-02 (주) 반도체 통신 조립이 용이한 전주
KR101920371B1 (ko) * 2017-01-11 2018-11-21 삼우플랜트(주) 강관주
KR102139278B1 (ko) * 2018-09-28 2020-07-30 한국전력공사 관형지지물용 하이브리드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614B1 (ko) * 2015-06-01 2016-02-01 (주)비디씨 기지국의 지주 매립형 강관파이프 기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공법
JP2020528512A (ja) 2017-07-26 2020-09-24 ヴォッベン プロパティーズ ゲーエムベーハーWobben Properties Gmbh 風力発電設備タワー用の風力発電設備鋼製タワー部分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405A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1355B1 (en) Multi-sectional utility pole having slip-joint conical connections
JP6210453B2 (ja) アングル鉄塔用の支線取付金具
US20040028481A1 (en) Modular helical anchor
KR102645328B1 (ko)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
KR20110044721A (ko) 이경 복합말뚝
KR20090079167A (ko) 강관 폴의 접합 구조 및 이것에 의해 접합된 강관 폴
JP4878161B2 (ja) 鋼管柱の接合方法および接合用冶具
KR102521464B1 (ko) 습식공법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간 수직 접합구조
KR20090089232A (ko) 텔레스코프식 전주
KR102171986B1 (ko) 좌굴과 비틀림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 버팀보 어셈블리
KR102139278B1 (ko) 관형지지물용 하이브리드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02654544B1 (ko)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
JP4886763B2 (ja) ガイドピン
JPH0756328Y2 (ja) 落石防止柵のコーナー部構造
CN215253526U (zh) 梁柱连接节点和梁柱组件
KR102558049B1 (ko)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EP1062400B1 (de) Stabtragwerk
KR100941515B1 (ko) 스페이스 프레임
CN217107726U (zh) 一种抱箍结构
KR200418591Y1 (ko) 상ㆍ하부 전주 결합용 연결장치
CA32084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 wall
JP4534071B2 (ja) アンテナ支持柱
JP6469902B1 (ja) ネットフェン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6433459B2 (ja) 防護体用の支柱及びその施工方法
JP2016015703A (ja) パラボラアンテナ取付架台のズレ防止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