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228B1 - Apparatus for heating scorching r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heating scorching r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228B1
KR102644228B1 KR1020230054872A KR20230054872A KR102644228B1 KR 102644228 B1 KR102644228 B1 KR 102644228B1 KR 1020230054872 A KR1020230054872 A KR 1020230054872A KR 20230054872 A KR20230054872 A KR 20230054872A KR 102644228 B1 KR102644228 B1 KR 102644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plate
induction
heating
scor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48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씨티
김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씨티, 김영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씨티
Priority to KR1020230054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2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2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7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in a gaseous atmosphere with forced air or gas circulation, in vacuum or unde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룽지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어 누룽지를 제조하기 위한 밥이 정량의 밥 덩어리로 성형되어 공급되고 공급된 밥 덩어리를 압착하여 밥박편으로 성형하는 한편 밥박편을 가열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누룽지 가열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urungji heating device, which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a base frame, where rice for producing Nurungji is molded into a fixed amount of rice lumps and supplied, and the supplied rice lumps are pressed and formed into rice flakes while heating the rice flakes. Thus, it provides a nurungji heating device including a heating unit for producing nurungji.

Figure R1020230054872
Figure R1020230054872

Description

누룽지 가열장치{Apparatus for heating scorching rice}Apparatus for heating scorching rice}

본 발명은 누룽지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누룽지를 제조하기 위해 성형된 다수의 밥 덩어리를 동시에 압착하여 밥박편으로 성형하고, 다수의 밥박편을 동시에 가열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누룽지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orched paper heat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corched paper heating device that simultaneously presses a plurality of molded rice lumps to form rice flakes and heats the plurality of rice flakes simultaneously to produce scorched paper. It's about.

일반적으로, 누룽지는 밥을 할 때 밥솥의 바닥면에 밥이 눌어붙어 생기는 것으로, 이는 고소한 맛을 내고 영양가도 높다.In general, scorched rice is made when rice sticks to the bottom of the rice cooker during cooking, giving it a savory taste and high nutritional value.

이러한 누룽지는 현대인들의 간편한 식생활과 접목되어 식사 대용은 물론 간식으로도 그 섭취량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누룽지는 죽을 먹어야 하는 환자나 입맛이 없는 사람들에게 선호되어 최근 병원 등에서 그 소비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This type of Nurungji has been incorporated into modern people's simple eating habits, and the consumption of it is increasing not only as a meal replacement but also as a snack. In particular, Nurungji is preferred by patients who need to eat porridge or people with no appetite, so its consumption has recently increased rapidly in hospitals.

이에,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0333호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04824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04822호에 불린 쌀을 재료로 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Accordingly, in the past,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920333,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0-0004824, and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0-0004822 disclose a device for producing scorched rice using soaked rice.

하지만, 이러한 선행기술문헌들은 불린 쌀만을 이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함으로 인해 남아 있는 잉여의 밥을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밥을 이용해 만들어지는 누룽지 고유의 맛을 향유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se prior art documents have a problem in that the remaining surplus rice cannot be utilized due to the production of nurungji using only soaked rice, and this has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enjoy the unique taste of the nurungji made using rice.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6308호에는, 밥을 이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이는 밥에 가해지는 온도를 가변시킴으로써 누룽지 본래의 맛을 재현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In addition,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46308 discloses a device for producing scorched rice using rice, which aims to reproduce the original taste of scorched rice by varying the temperature applied to the rice.

하지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6308호에 개시된 제조장치는, 밥을 롤러로 압착하여 밥박편을 형성한 후 오븐에 굽는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밥이 롤러에 의해 압착되는 경우 밥알이 으깨져 본래 누룽지의 맛을 향유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밥이 롤러에 의해 압착되므로 인해 호퍼, 롤러, 밥박편 출구 등의 장치에 끈기가 있는 밥이 달라붙게 되어 밥박편의 인출이 용이치 않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 manufacturing device disclosed in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46308 takes the form of compressing rice with a roller to form rice flakes and then baking them in an oven. When the rice is compressed by the roller, the rice grains are crushed and the original Not only can you not enjoy the taste of scorched rice, but because the rice is compressed by the roller, sticky rice sticks to devices such as the hopper, roller, and rice flake outlet, making it difficult to take out the rice flakes.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9736호에서는, 밥을 이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되, 밥이 가열 공정부로 유입되기 전에 설정된 일정 두께 및 크기로 절단될 수 있도록 다수의 펼침장치와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펼침 및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And, in 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1999-0039736, scorched rice is manufactured using rice, using a number of spreading devices and cutting devices so that the rice can be cut to a certain thickness and size before entering the heating process. Unfolding and cutting are performed.

하지만,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9736호의 경우에도 밥이 펼침장치를 통과하면서 으깨지거나 기계장치에 달라붙게 됨으로써 본래의 누룽지 맛을 느끼지 못하거나 가열 공정부로 밥의 인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1999-0039736,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ice is crushed or sticks to the mechanical device while passing through the spreading device, so the original taste of scorched rice is not felt or it is not easy to introduce the rice into the heating process.

또한, 전술한 모든 선행기술문헌에서는 불린 쌀이나 밥을 가열하여 누룽지로 성형하는 가열부에서는 불린 쌀이나 밥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 공간이 제한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누룽지의 대량 생산이 불가하고, 생산성 또한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all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s, the heating unit that heats soaked rice or rice and forms it into nurungji provides limited heating space for heating the soaked rice or rice, so mass production of nurungji is not possible and productivity is low. There is also a problem of deteriora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0333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92033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0482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0-000482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0482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0-000482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6308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46308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9736호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1999-0039736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누룽지를 제조하기 위해 정량으로 성형된 다수의 밥 덩어리를 한 번에 압착하여 밥박편으로 성형하고, 다수의 밥박편을 한 번에 가열하여 누룽지를 제조함으로써 누룽지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누룽지 가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oduce scorched rice, a large number of rice lumps formed in a fixed amount are pressed at once and formed into rice flakes, and a plurality of rice flakes are form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Nurungji heating device that can mass-produce Nurungji by heating the Nurungji at onc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가열장치는,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어 누룽지를 제조하기 위한 밥이 정량의 밥 덩어리로 성형되어 공급되고 공급된 밥 덩어리를 압착하여 밥박편으로 성형하는 한편 밥박편을 가열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urungji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purpos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and the rice for producing Nurungji is molded into a fixed amount of rice lumps and supplied, and the supplied rice lumps are pressed and formed into rice flakes. On the other hand,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heating unit for producing scorched rice by heating rice flakes.

그리고, 가열부는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서 베이스프레임을 따라 나란히 구비되는 서포트프레임; 서포트프레임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상부에는 밥 덩어리가 구비되는 승강판; 서포트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승강판과의 사이에서 밥 덩어리를 가압하여 밥박편으로 성형하는 고정상판; 승강판과 고정상판 사이에서 밥박편을 가열하여 누룽지로 성형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unit includes support frames provided side by side along the base frame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An elevating board that is movable up and down on the support frame and has a lump of rice on its upper part; A fixed top plat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frame and pressurizing the rice lump between the elevating plate and forming it into rice flakes; It may include a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rice flakes between the lifting plate and the fixed top plate to form the rice flakes into scorched paper.

게다가, 가열수단은 승강판의 상면에 그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면에는 밥 덩어리가 안착되는 인덕션으로 구비되고, 인덕션에는 회동실린더가 구비되어 인덕션을 승강판에서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경사지게 위치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means is provided as an induction unit,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and a lump of rice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induction unit is equipped with a rotating cylinder to rotate the induction unit in one direction on the lifting plate and position it inclinedly. may be provided.

이에 더하여, 승강판에는 고정상판과 접촉됨과 동시에 인덕션의 이동을 정지시켜 인덕션 위에 올려진 밥 덩어리가 인덕션과 고정상판 사이에서 일정한 두께의 밥박편으로 성형되도록 한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vating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stopper that contacts the fixed top plate and simultaneously stops the movement of the induction cooker so that the lump of rice placed on the induction cooker is formed into rice flakes of a certain thickness between the induction cooker and the fixed top plate.

본 발명의 누룽지 가열장치에 따르면, 누룽지를 제조하기 위해 정량으로 성형된 다수의 밥 덩어리를 한 번에 압착하여 밥박편으로 성형하고, 다수의 밥박편을 한 번에 가열하여 누룽지를 제조함으로써 일정한 규격의 누룽지를 신속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nurungji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duce nurungji, a number of lumps of rice molded in a fixed quantity are pressed at once and formed into rice flakes, and a plurality of rice flakes are heated at once to produce the nurungji to a certain standard. Nurungji can be mass-produced quickly and has the effect of improving productiv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를 평면에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에 구성되는 가열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부에서 승강판 및 인덕션이 상승되어 밥 덩어리를 밥박편으로 성형하여 가열하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부에서 승강판 및 인덕션이 하강되어 밥박편이 누룽지로 가열 성형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부의 인덕션에서 성형된 누룽지를 배출컨베이어 측으로 배출시키는 상태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에 구성되는 성형 및 공급부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및 공급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및 공급부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부의 본체 내부에 구성되는 교반수단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부를 일부 절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1은 성형부의 분리 구성도이며, 도 12는 성형부의 개폐판이 닫힌 상태의 작동도이고, 도 13은 상판 및 성형블록이 지지블록 측으로 이동되어 밥 덩어리를 성형하는 작동도이고, 도 14는 개폐판이 열리고 인출바가 하강되어 밥 덩어리가 하방으로 배출되는 상태의 작동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에 구성되는 공급부의 트레이부재가 성형부의 본체에서 인출된 상태의 도면이다.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la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heating unit configured in the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plate and induction are raised in the he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rice lumps into rice flakes and heat them.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rice flakes are heat-molded into scorched paper by lowering the elevating plate and induction in the he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state in which the nurungji formed in the induction of the he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conveyor.
Figure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olding and supply section comprised in the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rotation means for rotating the molding and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lan view of the molding and supply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irring means configur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mold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ide view of a partially cut molded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1 to 14 are diagrams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old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separat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olding part, Figure 12 is an operating diagram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of the molding part in a closed state, and Figure 13 is an upper plate and molding part. This is an operation diagram in which the block is moved to the support block side to form a lump of rice, and Figure 14 is an operation diagram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s opened, the pull-out bar is lowered, and the rice lump is discharged downward.
Figure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y member of the supply part configured in the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ulled out from the main body of the molding par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so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are defin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components present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claims. This is an embodiment that includes components that can be replaced as equivalents in the components.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optional terms in the examples below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ly,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 및 이에 구성되는 가열부, 성형부, 공급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s 1 to 15 are diagrams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eating unit, forming unit, and supply unit comprised therein.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10)을 이용하여 누룽지(20)를 제조하는 누룽지 제조장치(100)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orched paper manufacturing apparatus 100 that produces scorched paper 20 using rice 10.

이러한 누룽지 제조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으로 형성된 베이스프레임(110)에 구성되어 공급되는 밥(10)을 정량의 밥 덩어리(11)로 성형하여 배출하는 성형부(200)와, 성형부(200)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성형부(200)에서 배출되는 밥 덩어리(11)를 이동시켜 공급하는 공급부(300)와, 공급부(300)에서 공급되는 밥 덩어리(11)를 압착하여 밥박편으로 만들고 밥박편을 가열하여 누룽지(20)로 제조하는 가열부(4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is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is configured on a base frame 110 formed in a grid shape and includes a molding part ( 200, a supply unit 300 that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molding unit 200 and moves and supplies the rice lumps 11 discharged from the molding unit 200, and a rice lump 11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300. ) is compressed into rice flakes and includes a heating unit 400 that heats the rice flakes to produce scorched rice 20.

먼저, 제조장치(100)에 구성되는 베이스프레임(110)은 수직 및 수평프레임이 상호 연결된 격자형의 사각프레임으로서, 그 상면에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장방향 즉 긴 길이 방향(이하 "길이 방향"이라 한다)을 따라 직선 이동되는 이동프레임(12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First, the base frame 110 comprised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is a grid-shaped square frame in which vertical and horizontal frames are interconnected, and its upper surface has A moving frame 120 that moves linearly along a line is provided to be slidably coupled.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 단부에는 제1 이동모터(121)가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베이스프레임(110)의 타측 단부에는 아이들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1 이동모터(121)와 아이들풀리에는 이동벨트(122)가 권취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며, 이동벨트(122)의 일측에는 이동프레임(120)이 고정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In addition, a first moving motor 121 is fixedly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se frame 110, while an idle pulley is rotatably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ase frame 110, and the first moving motor 121 and A movable belt 122 is wound around the idle pulley to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nd a movable frame 120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vable belt 122.

이로써, 제1 이동모터(121)에 의해 이동벨트(122)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동프레임(120)은 베이스프레임(110)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을 하게 된다.Accordingly, as the moving belt 122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the first moving motor 121, the moving frame 120 makes a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ase frame 110.

이와 같은 이동프레임(120)의 직선 이동은 후술될 성형부(200) 및 공급부(300)가 이동프레임(120) 상에 구성되고, 베이스프레임(110)의 양측편에는 후술될 다수의 가열부(400)가 일렬로 나열되게 구비됨으로써 성형부(200) 및 공급부(300)에서 밥 덩어리(11)를 각 가열부(400)로 각각 공급하여 누룽지(20)를 연속적으로 생산하기 위함이다.This linear movement of the movable frame 120 is achieved by forming a forming part 200 and a supply par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the movable frame 120, an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110, a plurality of heating part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400) are arranged in a row to supply the rice lumps 11 from the molding unit 200 and the supply unit 300 to each heating unit 400 to continuously produce the scorched rice 20.

또한, 이동프레임(120)의 상면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으로 된 회전판(123)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비되고, 회전판(123)의 하면 중심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회전기어(124)가 구비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6 and 7, a disk-shaped rotating plate 123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120 so that it can rotate in place, and a downward protruding plate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123. A rotating gear 124 is provided.

그리고, 회전판(123) 하부의 이동프레임(120)에는 제2 이동모터(125)가 고정되게 구비되고, 제2 이동모터(125)에는 회전판(123)의 회전기어(124)에 치합되는 랙기어(126)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됨으로써, 제2 이동모터(125)의 구동시 랙기어(126)는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In addition, a second moving motor 125 is fixedly provided on the moving frame 120 below the rotating plate 123, and the second moving motor 125 has a rack gear meshed with the rotating gear 124 of the rotating plate 123. Since (126) is provided movably coupled, the rack gear 126 moves straight forward and backward o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hen the second movement motor 125 is driven.

이로써, 제2 이동모터(125)에 의해 랙기어(126)가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면, 랙기어(126)에 치합된 회전기어(124)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동프레임(120) 상에서 회전판(123)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rack gear 126 is moved linearly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by the second movement motor 125, the rotation gear 124 engaged with the rack gear 126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nd moves. The rotating plate 123 is rotated on the frame 120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게다가, 상기와 같이 회전판(123)의 상면에는 후술될 성형부(200) 및 공급부(300)를 가열부(400)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레일프레임(127)이 도 1 및 도 6에서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비되고, 베이스프레임(110)의 양측에는 후술될 가열부(400)를 사이에 두고 배출컨베이어(130)가 가열부(400)와 나란히 위치되어 구비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 rail frame 127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123 to guide the molding part 200 and the supply par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the heating part 400, as shown in FIGS. 1 and 6. It is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110, and a discharge conveyor 13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110,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heating unit 400, with a heating unit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terposed therebetween.

이러한 배출컨베이어(130)는 후술될 가열부(400)에서 가압 성형된 누룽지(20)를 공급받아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다음 공정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This discharge conveyor 130 is a device for receiving the pressure-molded fried rice 20 from the heating unit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ransporting it in one direction to supply it to the next process.

한편,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는 누룽지를 제조하기 위한 밥이 후술될 성형부 및 공급부에 의해 정량의 밥 덩어리로 성형되어 공급되고, 공급된 밥 덩어리를 압착하여 밥박편으로 성형하는 한편 밥박편을 가열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가열부가 구비된다.Meanwhile,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rice for making scorched rice is supplied by being molded into a fixed amount of rice chunks by a molding unit and a supply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supplied rice chunks are pressed and formed into rice flakes, while the rice flakes are heated. A heating unit for manufacturing scorched rice is provided.

이러한 가열부(40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양측에서 베이스프레임(110)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구비된 상태로서, 공급부(300)에서 공급되는 밥 덩어리(11)를 압착하여 밥박편으로 만들고 밥박편을 가열하여 누룽지(20)로 제조하는 장치이다.These heating units 400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base frame 110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110, and compress the rice lumps 11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300 into rice flakes to form rice. This is a device that heats flakes and manufactures them into scorched paper (20).

이때, 양편의 가열부(400)에는 베이스프레임(110)에서 이동 및 제자리 회전되는 성형부(200)와 공급부(300)에 의해 밥 덩어리(11)가 각각 차례로 공급되어 구비된다.At this time, rice lumps 11 are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heating units 400 on both sides by the molding unit 200 and the supply unit 300, which move and rotate in place on the base frame 110.

상기와 같은 가열부(4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의 양측에서 베이스프레임(110)을 따라 나란히 나열되게 구비되는 서포트프레임(410)과, 서포트프레임(410)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상부에는 공급부(300)로부터 이동되어 온 밥 덩어리(11)가 구비되는 승강판(420)과, 서포트프레임(410)의 상부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승강판(420)과의 사이에서 밥 덩어리(11)를 가압하여 밥박편으로 성형하는 고정상판(440)과, 승강판(420)과 고정상판(440) 사이에서 밥박편을 가열하여 누룽지(20)로 성형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한다.The heating unit 400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support frame 410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base frame 110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110, as shown in FIGS. 2 to 5, and a support frame 410. )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the lifting plate 420 is provided with a lump of rice 11 moved from the supply unit 300 on its upper part, and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frame 410. A fixed top plate (440) pressurizes the rice lump (11) between the rice lumps (420) and forms it into rice flakes, and heats the rice flakes between the elevating plate (420) and the fixed top plate (440) into the scorched rice (20). It includes heating means for forming.

이러한 서포트프레임(410)은 다수의 단위 서포트프레임(410)이 베이스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되게 구비되는 바, 단위 서포트프레임(410)은 공급부(300)의 트레이부재(310)에 대응한 면적으로 구비되고, 단위 서포트프레임(410)의 전후좌우의 네면은 모두 개방되게 구비된다.This support frame 4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nit support frames 410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110, and the unit support frames 410 are attached to the tray member 310 of the supply unit 300. It is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area, and all four sides of the unit support frame 410 on the front, left, right, and left sides are open.

그리고, 각 서포트프레임(410)의 상단부에는 고정상판(440)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이 고정상판(440)의 하면에는 도 3에서와 같이 후술될 승강판(420)이 접촉되면서 승강판(420) 위에 올려진 밥 덩어리(11)를 일정 두께를 갖는 밥박편으로 압착 성형하게 된다.In addition, a fixed top plate 440 is fixedly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each support frame 410, and a lifting plate 4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top plate 440 as shown in FIG. 3. ) The rice lump 11 placed on top is pressed and molded into rice flakes with a certain thickness.

한편, 상기와 같은 각 서포트프레임(410)의 내측에는 승강판(420)이 구비되고, 승강판(420)의 하면과 서포트프레임(410)의 바닥면 사이에는 승강실린더(422)가 구비되어, 서포트프레임(410) 내측에서 승강판(420)을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Meanwhile, an elevating plate 420 is provided inside each support frame 410 as described above, and an elevating cylinder 422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e 42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410, Inside the support frame 410, the lifting plate 420 is moved up and down.

또한, 상기와 같은 승강판(420)의 상면에는 가열수단이 구성되는 바, 가열수단은 승강판(420)의 상면에 그 일단부가 힌지 결합된 인덕션(430)으로 구비된다.In addition, a heating means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420 as described above, and the heating means is provided as an induction 430 whose one end is hing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420.

이러한 인덕션(430)의 내부에는 후술될 밥박편을 가열하기 위한 히팅열선(미도시)이 구비되는 바, 히팅열선은 공급부(300)의 트레이부재(310)에 형성되는 삽입부싱(320a) 및 배출구(330a)에 대응되게 구획되어 구비된다. 이로써, 히팅열선이 각각 위치된 인덕션(430)의 상면에는 각각의 밥 덩어리(11)가 공급되어 안착된다.The inside of the induction 430 is provided with a heating wire (not shown) for heating rice flake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heating wire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bushing 320a and the outlet formed in the tray member 310 of the supply unit 300. It is provided and partitioned to correspond to (330a). Accordingly, each rice lump 11 is supplied and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duction unit 430 where the heating wires are located.

그리고, 승강판(420)에 힌지 결합된 인덕션(430)의 힌지 반대편 측에는 인덕션(430)을 승강판(420)과의 힌지를 축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실린더(431)가 구비되고, 회동실린더(431)는 그 상단부가 승강판(420)을 관통한 상태로 인덕션(430)의 하면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는 서포트프레임(410)의 바닥면에 힌지 결합되어 구비된다.An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hinge of the induction 430 hinged to the lifting plate 420, a rotating cylinder 431 is provided to rotate the induction 430 about the hinge axis with the lifting plate 420, and the rotating cylinder ( 431) is hing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duction plate 430 with its upper end penetrating the lifting plate 420, and its lower end is hing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frame 410.

이로써, 회동실린더(431)가 축소된 상태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인덕션(430)의 하면이 승강판(420)의 상면에 면접된 상태로 나란히 구비되고, 회동실린더(431)가 신장된 상태에서는 인덕션(430)이 도 5에서와 같이 힌지를 축으로 힌지 반대편 측이 상방으로 회전되어 배출컨베이어(130)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됨으로써 인덕션(430)의 상면에서 가열 성형된 누룽지(20)가 인덕션(430)의 경사에 의해 배출컨베이어(130) 측으로 미끄러져 자동 배출된다.As a result, when the rotating cylinder 431 is reduced, the lower surface of the induction 430 is provided side by sid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420, as shown in FIG. 4, and when the rotating cylinder 431 is extended, As shown in FIG. 5, the induction 430 is rotated upward around the hinge on the side opposite the hinge and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ischarge conveyor 130, so that the heat-molded scorched paper 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duction 430 is injected into the induction 430. ) slides toward the discharge conveyor 130 due to the inclination and is automatically discharged.

한편, 승강판(420)에는 도 3에서와 같이 고정상판(440)의 하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승강판(420) 및 인덕션(430)의 상승을 정지시키는 스토퍼(421)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이 스토퍼(421)에 의해 인덕션(430) 위에 올려진 밥 덩어리(11)는 인덕션(430)과 고정상판(440) 사이에서 일정한 두께의 밥박편으로 눌려 성형된다.Meanwhile, the lifting plate 420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stopper 421 that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top plate 440 and stops the raising of the lifting plate 420 and the induction plate 430, as shown in FIG. 3. The rice lump 11 placed on the induction cooker 430 by the stopper 421 is pressed and formed into rice flakes of a certain thickness between the induction cooker 430 and the fixed top plate 440.

이러한 스토퍼(421)는 승강판(420)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재로 구비될 수 있고, 승강판(420)의 상부로 돌출된 스토퍼(421)의 길이에 따라 인덕션(430)과 고정상판(440) 사이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인덕션(430)과 고정상판(440) 사이에서 가압되는 밥 덩어리(11)가 일정한 가압력으로 압착됨에 따라 성형되는 밥박편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is stopper 421 may be provided as a bolt member screwed to the elevating plate 420, and the induction plate 430 and the fixed top plate 440 may be connec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topper 421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elevating plate 420. ) can be adjust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rice flakes formed as the rice lump 11 pressed between the induction 430 and the fixed top plate 440 is compressed with a constant pressing force can be maintained constant.

이때, 고정상판(440)의 하면에는 압착 성형되는 밥박편의 탈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식용 가능한 기름이 덧칠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top plate 440 may be coated with edible oil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the pressure-molded rice flakes.

이에 따라, 인덕션(430)과 고정상판(440) 사이에서 압착된 밥박편은 인덕션(430)에 의해 가열되어 누룽지(20)로 성형되고, 성형된 누룽지(20)는 인덕션(430)의 하강시 고정상판(440)에서 용이하게 탈리되어 인덕션(430) 위에 놓여진 상태로 하강된다.Accordingly, the rice flakes pressed between the induction 430 and the fixed top plate 440 are heated by the induction 430 and formed into the nurungji 20, and the formed nurungji 20 is lowered when the induction 430 is lowered. It is easily detached from the fixed top plate 440 and lowered while placed on the induction plate 430.

한편, 성형부(200)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120)의 회전판(123) 위에 구비되어 성형부(200)로 공급되는 밥(10)을 정량의 밥 덩어리(11)로 성형하는 장치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6 and 8, the molding unit 200 is provided on the rotating plate 123 of the moving frame 120 and forms a fixed amount of rice 10 supplied to the molding unit 200 into a lump of rice ( 11) It is a device for forming.

이와 같이 성형부(200)에서 성형되는 밥 덩어리(11)는 이동프레임(120)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회전판(123)에 의해 이동프레임(120) 상에서 제자리 회전되어, 후술될 가열부(400) 측으로 공급된다.In this way, the rice lump 11 formed in the molding unit 200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110 by the moving frame 120 and rotates in place on the moving frame 120 by the rotating plate 123. and is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성형부(20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23)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상부에는 밥(10)이 투입되는 호퍼(211)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밥(10)이 토출되는 토출구(212)가 구비되는 본체(210)와, 본체(210)의 내부를 가로지른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231)과, 회전축(231)의 외주면에서 회전축(231)과 직교하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회전축(231)과 같이 회전되면서 본체(210) 내로 공급된 밥(10)을 교반시켜 본체(210)의 토출구(212)로 배출시키는 교반축(230)과, 본체(2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본체(210)에서 배출된 밥(10)을 밥 덩어리(11)로 성형하는 성형유닛(26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9 to 11, this molding part 200 is fixed to the rotating plate 123, while a hopper 211 into which rice 10 is placed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thereof, and a hopper 211 into which rice 10 is placed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thereof. ) a main body 210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212 through which the liquid is discharged, a rotary shaft 231 rotatably provided acros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10, and a rotary shaft 231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ry shaft 231. A stirring shaft 230 that is provided to protrude outwardly orthogonally and rotates with the rotating shaft 231 to stir the rice 10 supplied into the main body 210 and discharge it through the discharge port 212 of the main body 210, It includes a molding unit 260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210 to mold the rice 10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210 into a rice lump 11.

본체(210)는 그 상부 일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호퍼(211)가 구비되고, 호퍼(211)와 어긋나게 위치된 본체(210)의 바닥면 타측에는 관통된 토출구(212)가 구비된다. 이는, 호퍼(211)로 투입되는 밥(10)을 본체(210) 내에 최대한 체류시킴과 더불어 교반축(230)에 의한 교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호퍼(211)와 토출구(212)를 서로 엇갈린 위치에 구비한 것이다.The main body 210 is provided with a hopper 211 opening upward on one upper side thereof, and a penetrating discharge port 212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which is located at an angle to the hopper 211. In order to allow the rice 10 fed into the hopper 211 to remain in the main body 210 as much as possible and maximize the stirring efficiency by the stirring shaft 230, the hopper 211 and the discharge port 212 are staggered. It is provided at the location.

또한, 상기와 같은 본체(210)의 호퍼(211)에는 투입되는 밥(10)을 호퍼(211)의 전면적에 걸쳐 고루 펼쳐주는 스크래퍼(22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hopper 211 of the main body 210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scraper 220 that evenly spreads the rice 10 being input over the entire area of the hopper 211.

스크래퍼(2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호퍼(211) 내로 공급된 밥(10)을 호퍼(211)의 전면에 걸쳐 고루 펼치게 된다.As shown in FIG. 9, the scraper 220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pper 211 and evenly spreads the rice 10 supplied into the hopper 211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hopper 211.

이를 위해, 호퍼(211)의 일측에는 호퍼(211)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지그플레이트(221)가 구비되고, 지그플레이트(221)의 상면에는 지그플레이트(221)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편 모터에 의해 제자리에서 정.역 회전되게 설치되는 스크류축(222)이 구비되며, 스크류축(222)에 나사 결합되는 이송블록(223)이 구비된다.For this purpose, a jig plate 221 is install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pper 211 on one side of the hopper 211,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jig plate 2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ig plate 221. A screw shaft 222 is installed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in place by a motor, and a transfer block 223 is screwed to the screw shaft 222.

특히, 스크류축(222)이 이송블록(223)을 관통하면서 나사 결합됨으로써 스크류축(222)의 정.역 회전시 이송블록(223)은 스크류축(222)에서 직선 왕복 이동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screw shaft 222 is screw-coupled while penetrating the transfer block 223, so that when the screw shaft 222 rotates forward or reverse, the transfer block 223 reciprocates in a straight line on the screw shaft 222.

그리고, 이송블록(223)의 일단부에는 이송블록(223)에서 호퍼(211) 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스크래퍼(220)가 결합 고정되고, 스크래퍼(220)는 호퍼(211)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내측으로 위치되도록 절곡되게 형성되되, 호퍼(211) 내부로 투입된 밥(10)을 원활히 펼칠 수 있도록 절곡된 2단 스크래퍼(220)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nd, at one end of the transfer block 223, a scraper 220 that protrudes from the transfer block 223 toward the hopper 211 is coupled and fixed, and the scraper 220 passes through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opper 211. It is formed to be bent to be positioned inward, and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bent two-stage scraper 220 so that the rice 10 fed into the hopper 211 can be smoothly spread.

한편, 호퍼(211) 하부의 본체(210) 내에는 본체(210)의 내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축(231)이 구비되고, 다수의 회전축(23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의 내측 상부에 복수개가 구비되는 한편 본체(210)의 내측 하부에는 다수개가 구비됨으로써 본체(210) 내부로 공급되는 밥(10)의 교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within the main body 210 below the hopper 211, a plurality of rotation axes 231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210, and the plurality of rotation axes 231 are shown in FIG. 10. As shown, a plurality of rice cookers are provided at the upper inner part of the main body 210, while a plurality are provided at the inner lower part of the main body 210, thereby maximizing the stirring efficiency of the rice 10 supplied into the main body 210.

이와 같은 다수의 회전축(231)은 각각의 회전모터(232)로서 회전되게 구비되는 바, 회전모터(232)는 상부 회전축(231)과 하부 회전축(231)을 각각 회전시키도록 구비된다.Thes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231 are provided to rotate as respective rotation motors 232, and the rotation motors 232 are provided to rotate the upper rotation shaft 231 and the lower rotation shaft 231, respectively.

즉, 상부 회전모터(232)에는 상부 회전축(231)에 구비되는 각각 스프로킷휠이 상부 체인으로 연결되어 동기되고, 하부 회전모터(232)에는 하부 회전축(231)에 구비되는 각각의 스프로킷휠이 하부 체인으로 연결되어 동기되며, 상,하부의 회전모터(232)를 제어하여 상부 회전축(231)과 하부 회전축(231)을 서로 연동시킬 수도 있다.That is, in the upper rotation motor 232, each sprocket wheel provided on the upper rotation shaft 231 is connected and synchronized with the upper chain, and in the lower rotation motor 232, each sprocket wheel provided on the lower rotation shaft 231 is connected to the lower chain. They are connected and synchronized by a chain, and the upper and lower rotation shafts 231 and 231 can be interlocked by controlling the upper and lower rotation motors 232.

이러한 각 회전축(231)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교반축(230)이 구비되고, 각 회전축(231)에 구비된 교반축(230)은 회전축(231)과 같이 회전되면서 본체(210) 내부로 공급된 밥(10)을 교반시키게 된다.Each of these rotation shafts 23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adially protruding stirring shafts 230, and the stirring shafts 230 provided on each rotation shaft 231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231 to move into the main body 210. The supplied rice 10 is stirred.

이로써, 본체(210) 내부로 공급된 밥(10)은 상부 교반축(230)과 하부 교반축(230)에 의해 여러 차례에 걸쳐 교반되어 섞이면서 본체(210)의 토출구(212) 측으로 이동되어 배출된다.Accordingly, the rice 10 supplied into the main body 210 is moved to the discharge port 212 of the main body 210 and discharged while being stirred and mixed several times by the upper stirring shaft 230 and the lower stirring shaft 230. do.

한편, 상기와 같은 본체(210)의 바닥면 일측편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토출구(212)가 각각 이격된 공간으로 구획돼 있고, 각각의 토출구(212)에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공급롤(24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Meanwhile,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212 are divided into spaced apart spaces as shown in FIG. 9, and each discharge port 212 has the discharge ports shown in FIGS. 9 and 11. As shown, a pair of supply rolls 240 are rotatably provided.

한쌍의 공급롤(24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토출구(212)에 2개의 공급롤(240)이 구비된 것이고, 이와 같은 한쌍의 공급롤(24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면서 토출구(212)로 유입된 밥(10)을 정량 배출하도록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1, the pair of supply rolls 240 are provided with two supply rolls 240 in one discharge port 212, and the pair of supply rolls 240 are interlocked in opposite directions. It is equipped to discharge a fixed amount of rice 10 flowing into the discharge port 212 while rotating.

이러한 한쌍의 공급롤(240)은 도 9 및 도 11에서와 같이 그 표면에 각 공급롤(240)의 회전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돌출되는 공급날개(240a)가 공급롤(240)의 원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구비되고, 이 공급날개(240a)에 의해 토출구(212)로 유입된 밥(10)은 토출구(212) 하부의 성형유닛(260) 측으로 강제 배출되어 정량 공급된다.As shown in FIGS. 9 and 11, the pair of supply rolls 240 have supply wings 240a, which protrude obliquely on the surface to spread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each supply roll 240,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upply roll 240. The rice 10, which is provided continuously and flows into the discharge port 212 through the supply wing 240a, is forcibly discharged toward the forming unit 260 at the bottom of the discharge port 212 and supplied in a fixed amount.

그리고, 한쌍의 공급롤(240)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동 회전시키기 위해, 일측의 공급롤(240)에는 구동기어(241)가 고정되고, 타측의 공급롤(240)에는 구동기어(241)와 치합되는 종동기어(242)가 고정되게 구비되어 연동된다.In order to rotate the pair of supply rolls 240 in opposite directions, a drive gear 241 is fixed to the supply roll 240 on one side, and a drive gear 241 is attached to the supply roll 240 on the other side. The engaged driven gear 242 is fixedly provided and interlocked.

이로써, 각 공급롤(240)은 각각 구동기어(241) 및 종동기어(242)와 같이 일체로 회전되게 구비되고, 구동기어(241)가 구비된 일측 공급롤(240)에는 스프로킷휠이 더 고정되어 구동기어(241)와 일측 공급롤(240)을 동시에 회전시키게 된다.Accordingly, each supply roll 240 is provided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drive gear 241 and the driven gear 242, and a sprocket wheel is further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ly roll 240 equipped with the drive gear 241. This causes the driving gear 241 and one side supply roll 240 to rotate simultaneously.

이러한 일측 공급롤(240)의 스프로킷휠에는 구동모터(243)와 본체(210) 사이에서 무한 회전되는 구동체인(244)이 연결됨으로써, 구동모터(243)에 의한 구동체인(244)의 일방향 회전시 도 11을 기준으로 구동기어(241)와 일측 공급롤(24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기어(241)에 치합된 종동기어(242)와 타측 공급롤(24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A drive chain 244 that rotates infinitely between the drive motor 243 and the main body 210 is connected to the sprocket wheel of this one-side supply roll 240, so that the drive chain 244 rotates in one direction by the drive motor 243. Based on Figure 11, the drive gear 241 and one side supply roll 240 are rotated clockwise, and the driven gear 242 and the other side supply roll 240 engaged with the drive gear 241 are rotated counterclockwise. It is rotated.

이로써, 한쌍의 공급롤(240)이 토출구(212) 내에서 토출구(212)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회전됨과 더불어 공급롤(240)의 외주면에 이의 회전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돌출된 공급날개(240a)에 의해 토출구(212)로 유입된 밥(10)을 토출구(212)의 하부로 강제 배출시키게 됨으로써 밥(10)을 정량 공급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pair of supply rolls 240 are rot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212 to the lower side within the discharge port 212, and the supply wings 240a protrude obliquely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ly roll 240. As a result, the rice 10 flowing into the discharge port 212 is forcibly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of the discharge port 212,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upply a fixed amount of rice 10.

또한, 토출구(212)의 하부에는 한쌍의 공급롤(240)에 의해 강제 배출되는 밥(10)의 정량 공급을 보다 더 정밀히 제어하기 위한 가이드블록(250)이 구비되고, 가이드블록(250)에는 밥(10)을 정량 공급하기 위한 토출공(252)이 관통 형성된다.In addition, a guide block 250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discharge port 212 to more precisely control the quantitative supply of the rice 10 forcibly discharged by the pair of supply rolls 240, and the guide block 250 A discharge hole 252 for supplying a fixed amount of rice 10 is formed through the hole.

게다가, 토출공(252) 주변의 가이드블록(250)에는 가이드블록(250)에서 토출공(252) 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251)이 형성되어 본체(210)의 토출구(212)에서 배출되는 밥(10)이 토출공(252)으로 모아지게 되고, 모아진 밥(10)이 토출공(252)을 통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In addition, an inclined surface 251 sloping downward from the guide block 250 toward the discharge hole 252 is formed on the guide block 250 around the discharge hole 252, so that the ric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212 of the main body 210 is formed. (10) is collected into the discharge hole (252), and the collected rice (10) is guided to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252).

한편, 상기와 같은 본체(210)의 하부 즉 가이드블록(250)의 하부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본체(210)의 토출구(212)에서 배출된 밥(10)을 일정 크기의 밥 덩어리(11)로 성형하는 성형유닛(260)이 구성된다.Meanwhile,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210, that is, the lower part of the guide block 250, as shown in FIG. 11, the rice 10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212 of the main body 210 is placed in a lump of rice 11 of a certain size. ) is configured to form a molding unit 260.

이러한 성형유닛(26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의 토출구(212) 하부에 구비되어 토출구(212)를 통해 배출되는 밥(10)이 안착되는 고정판(261)과, 고정판(261)의 양측에서 고정판(261) 상에 안착되는 밥(10)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측판(264)과, 양 측판(264) 사이의 내측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고정판(261)과는 이격되게 구비되는 지지블록(266)과, 고정판(261) 및 양 측판(264) 사이의 내측에서 지지블록(266)과 마주하도록 구비되어 지지블록(266)을 향해 이동되면서 고정판(261) 상에 안착된 밥(10)을 지지블록(266) 측으로 이동 및 가압하여 정량의 밥 덩어리(11)로 성형하는 성형블록(267)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1, this molding unit 260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discharge port 212 of the main body 210 and includes a fixing plate 261 on which the rice 10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12 is seated, and a fixing plate. A side plate 264 is provided to surround the rice 10 seated on the fixing plate 261 on both sides of (261), and is fixed to the inside between the two side plates 264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plate 261. It is provided to face the support block 266 on the inside between the support block 266, the fixing plate 261, and both side plates 264, and moves toward the support block 266 and sits on the fixing plate 261. It includes a molding block 267 that moves and presses the cooked rice 10 toward the support block 266 to mold it into a fixed amount of rice lumps 11.

이러한 고정판(261)과 지지블록(266) 사이에는 정량의 부피로 성형된 밥 덩어리(11)가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이 구비되고, 지지블록(266)의 하부에는 고정판(261) 측으로 이동되면서 간극을 개폐시키는 개폐판(263)이 더 구비된다.A gap is provided between the fixing plate 261 and the support block 266 through which the rice lump 11 molded to a certain volume can pass, and the gap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block 266 as it moves toward the fixing plate 261.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263 for opening and closing is further provided.

특히, 고정판(261)과 지지블록(266) 사이의 간극 하부에는 개폐판(263)의 이동에 의해 개폐되는 한편 밥 덩어리(11)의 배출시는 밥 덩어리(11)가 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인출부싱(262)이 더 구비된다.In particular, the lower part of the gap between the fixing plate 261 and the support block 266 is opened and closed by moving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63, while the rice lump 11 maintains its shape when the rice lump 11 is discharged. A draw-out bushing 262 is further provided to guide the discharge.

이러한 인출부싱(262)은 양 측판(264)의 하면에 볼팅 등으로 고정되게 구비되고, 고정판(261)과 지지블록(266) 사이의 간극과 연통되는 내부 관로를 갖는 중공관으로 구비된다.This draw-out bushing 262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s of both side plates 264 by bolting, etc., and is provided as a hollow pipe having an internal pipe communicating with the gap between the fixing plate 261 and the support block 266.

그리고, 상기와 같은 인출부싱(262)과 개폐판(263)은 본체(210)의 토출구(212)마다 각각 구비되고, 개폐판(263)의 일단부에는 다수의 개폐판(263)을 하나로 연결하는 연결판(263a)이 설치되어 구비되며, 연결판(263a)에는 이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실린더(263b)가 연결되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draw-out bushing 26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63 a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at each discharge port 212 of the main body 210, and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plates 263 ar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63. A connecting plate 263a is installed, and a cylinder 263b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late 263a to move it back and forth.

게다가, 실린더(263b)는 본체(210)의 외측면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실린더본체와, 실린더본체에서 출입되는 피스톤로드가 본체(210)를 관통하여 연결판(263a)에 고정되게 구비된다.In addition, the cylinder 263b has a cylinder body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and a piston rod that goes in and out of the cylinder body penetrates the main body 210 and is fixed to the connection plate 263a.

이로써, 실린더(263b)의 신축 작동에 의해 연결판(263a)과 다수의 개폐판(263)이 동시에 전후로 직선 이동되고, 개폐판(263)이 고정판(261) 측으로 이동될 시엔 고정판(261)과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인출부싱(262)을 폐쇄시키게 되며, 고정판(261)과 원거리로 이격될 시엔 인출부싱(262)을 개방시키게 된다.As a result, the connection plate 263a and the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plates 263 are simultaneous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linearly by the stretching operation of the cylinder 263b, an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63 is moved toward the fixing plate 261, the fixing plate 261 and The draw-out bushing 262 is closed while forming the same plane, and when it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plate 261 by a long distance, the draw-out bushing 262 is opened.

또한, 지지블록(266)은 양 측판(264) 사이의 일측에서 성형블록(267)과 마주하도록 구비되고, 성형블록(267)과 마주하는 전면에는 반원의 원기둥 형태로 함몰 가공된 성형홈(266a)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block 266 is provided to face the molding block 267 on one side between the two side plates 264, and the front surface facing the molding block 267 has a molding groove 266a recessed in the shape of a semicircular cylinder. ) is formed.

그리고, 지지블록(266)의 성형홈(266a)과 마주하는 성형블록(267)의 전면에도 반원의 원기둥 형태로 함몰 가공된 성형홈(267a)이 형성되는 바, 성형블록(267)의 성형홈(267a)과 지지블록(266)의 성형홈(266a)은 서로 대응되는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 molding groove 267a recessed in the form of a semicircular cylinder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lding block 267 facing the molding groove 266a of the support block 266, and the molding groove 267a is formed in the molding block 267. (267a) and the molding groove 266a of the support block 266 are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corresponding to each other.

따라서, 성형블록(267)이 지지블록(266) 측으로 직선 이동되면, 이동되는 성형블록(267)에 의해 고정판(261) 위에 안착돼 있는 밥(10)이 지지블록(266) 측으로 이동되면서 양 성형홈(266a)(267a) 사이에서 가압되어 원기둥 형태의 밥 덩어리(11)로 성형된다.Therefore, when the forming block 267 moves straight toward the support block 266, the bob 10 seated on the fixing plate 261 is moved toward the support block 266 by the moving forming block 267, forming both sides. It is pressed between the grooves 266a and 267a and formed into a cylindrical rice lump 11.

이때, 성형블록(267)과 지지블록(266)의 밀착시 양 성형홈(266a)(267a)이 서로 접하여 원기둥 형태의 구멍을 형성하게 되는 바, 양 성형홈(266a)(267a)의 접합에 의해 성형되는 원기둥 형태의 구멍은 인출부싱(262)의 내경과 같거나 이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됨으로써 양 성형홈(266a)(267a)에 의해 성형되는 밥 덩어리(11)는 인출부싱(262)을 통한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forming block 267 and the support block 266 are in close contact, both forming grooves 266a and 267a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cylindrical hole, so that the two forming grooves 266a and 267a are joined together. The cylindrical hole formed by this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ake-out bushing 262, so that the rice lump 11 formed by both forming grooves 266a and 267a is formed through the take-out bushing 262. Discharge occurs smoothly.

또한, 양 측판(264) 사이에는 성형블록(267)이 지지블록(266) 측으로 이동되기 전에 즉 고정판(261) 위로 밥(10)이 공급되면, 성형블록(267)보다 먼저 지지블록(266) 측으로 이동되어 양 측판(264) 사이의 상면을 덮어 가리는 상판(265)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In addition, between the two side plates 264, if the rice 10 is supplied onto the fixing plate 261 before the forming block 267 is moved to the support block 266, the support block 266 is formed before the forming block 267. An upper plate 265 that moves to the side to cover and cover the upper surface between the two side plates 264 is provided to be movable.

이로써, 고정판(261) 위로 밥(10)이 공급된 후에 성형블록(267)보다 먼저 상판(265)이 지지블록(266) 측으로 이동되어 양 측판(264)의 상면을 덮어 가림으로써 성형블록(267)이 지지블록(266) 측으로 이동될 때 고정판(261) 위에서 성형블록(267)에 의해 지지블록(266) 측으로 밀려 이동되는 밥(10)이 성형블록(267) 위로 넘침이 방지되어 공급된 밥(10)을 누설없이 정량의 밥 덩어리(11)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fter the rice 10 is supplied onto the fixing plate 261, the top plate 265 is moved toward the support block 266 before the molding block 267, covering the upper surfaces of both side plates 264, thereby forming the molding block 267. ) is moved toward the support block 266, the rice 10, which is pushed and moved toward the support block 266 by the forming block 267 on the fixing plate 261, is prevented from overflowing onto the forming block 267 and thus supplied. (10) can be molded into a fixed amount of rice lump (11) without leakage.

이때, 지지블록(266)과 마주하는 상판(265)의 일면에는 성형블록(267)의 성형홈(267a)과 같은 원호를 갖는 원호면(265a)이 형성되고, 이러한 상판(265)의 원호면(265a)은 지지블록(266) 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성형블록(267)의 성형홈(267a)과 일치되게 구비된다.At this time, an arcuate surface 265a having the same arc as the molding groove 267a of the forming block 267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upper plate 265 facing the support block 266, and the arcuate surface of the upper plate 265 (265a) is provided to coincide with the molding groove (267a) of the molding block (267) in a state that is moved toward the support block (266).

이로써, 후술될 인출바(270)가 서로 접한 상판(265) 및 성형블록(267)과 지지블록(266) 사이를 원활히 출입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pull-out bar 2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smoothly enter and exit between the upper plate 265, the forming block 267, and the support block 266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인출부싱(262)에 대응한 본체(210)에는 인출바(270)가 상하로 이동되게 구비되는 바, 이러한 인출바(270)는 인출부싱(262)의 내경에 대응한 직경의 원판으로 이루어진 인출판과, 인출판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실린더나 솔레노이드와 같은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작동로드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210 corresponding to the draw-out bushing 262 is provided with a draw-out bar 270 to move up and down, and this draw-out bar 270 is a disk with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w-out bushing 262. It includes a draw-out plate and an operating rod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raw-out plate and is moved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an actuator such as a cylinder or solenoid.

이러한 인출바(270)는 개폐판(263)의 이동과 연동되게 구비되는 바, 개폐판(263)이 고정판(261) 측으로 이동되어 인출부싱(262)을 폐쇄시킨 상태에서는 인출바(270)는 본체(210)에서 상승된 상태로 위치되고, 개폐판(263)이 고정판(261)과 원거리로 이격되어 인출부싱(262)을 개방시킨 상태에서는 인출바(270)가 하강되어 성형블록(267)과 지지블록(266) 사이에서 성형된 밥 덩어리(11)를 인출부싱(262)을 통해 하방으로 밀어내 배출시키게 된다.This draw-out bar 270 is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63. In a state wher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63 is moved toward the fixing plate 261 and the draw-out bushing 262 is closed, the draw-out bar 270 is It is positioned in an elevated state on the main body 210, and in a state wher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63 is spaced a long distance from the fixing plate 261 and the draw-out bushing 262 is opened, the draw-out bar 270 is lowered to form the forming block 267. The rice lump 11 formed between the and support blocks 266 is pushed downward through the withdrawal bushing 262 and discharged.

따라서, 성형블록(267)과 지지블록(266) 사이에서 성형된 밥 덩어리(11)가 점성을 갖더라도 인출바(270)에 의해 인출부싱(262)의 하방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rice lump 11 formed between the molding block 267 and the support block 266 has viscosity, it can be smoothly discharged downward from the pull-out bushing 262 by the pull-out bar 270.

한편, 상기와 같은 성형부(200)의 하부에는 도 8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300)가 구성된다.Meanwhile, a supply unit 300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molding unit 200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8 and 15.

이러한 공급부(300)는 성형부(200)의 본체(210) 하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성형부(200)에서 배출되는 밥 덩어리(11)를 받아 후술될 가열부(400)로 이동시켜 공급하는 장치이다.This supply unit 300 is movably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210 of the molding unit 200, receives the rice lump 11 discharged from the molding unit 200, moves it to the heating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supplies it. It is a device.

상기와 같은 공급부(300)는 도 8 및 도 15에서와 같이, 이동프레임(120)의 회전판(123) 상에서 성형부(200)의 본체(210)를 관통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급레일(340)과, 공급레일(340)에 구비되어 공급레일(340)과 같이 이동되면서 성형부(200)에서 배출되는 밥 덩어리(11)를 받아 가열부(400)로 이동 및 공급하는 트레이부재(31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8 and 15, the supply unit 300 is a supply rail that is movable through the main body 210 of the molding unit 200 on the rotating plate 123 of the moving frame 120. (340) and a tray member ( 310).

먼저, 공급레일(340)은 그 하단부가 회전판(123)의 상면에 구비된 레일프레임(127)에 결합되어 레일프레임(127)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비된다.First, the lower end of the supply rail 340 is coupled to the rail frame 127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123 and is provided to slide along the rail frame 127.

이러한 공급레일(340)은 레일프레임(127)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레일로서, 복수의 공급레일(340)은 성형부(200)의 본체(210) 양측편을 관통한 상태로 출입되게 구비됨으로써 이동되는 공급레일(340)은 성형부(200)의 본체(210)에 의해 가이드된다.These supply rails 340 are a plurality of rail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ail frame 127, and the plurality of supply rails 340 are entered and exited while penetrating both sides of the main body 210 of the molded part 200. The supply rail 340 that is moved by being provided is guided by the main body 210 of the molding unit 200.

그리고, 공급레일(340)의 이동은 레일프레임(127)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정.역 방향으로의 구동이 가능한 제3 이동모터(341)와, 제3 이동모터(341)와 본체(210) 사이에서 각각의 풀리를 매개로 감김되어 무한 회전되게 구비되는 이송벨트(342)를 포함하고, 이송벨트(342)의 일측에 공급레일(340)이 고정되게 구비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supply rail 340 is performed by a third movement motor 341 that is fixed to the rail frame 127 and can be driven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 third movement motor 341, and the main body 210. It includes a transport belt 342 that is wound around each pulley and rotates infinitely, and a supply rail 34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transport belt 342.

이로써, 레일프레임(127) 상의 제3 이동모터(341)에 의해 이송벨트(342)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송벨트(342)에 고정된 공급레일(340)이 레일프레임(127)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공급레일(340)의 이동에 의해 후술될 트레이부재(310)는 가열부(400)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게 된다.As a result, as the transport belt 342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the third moving motor 341 on the rail frame 127, the supply rail 340 fixed to the transport belt 342 is moved to the rail frame ( 127), and the tray member 3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oves forward or backward toward the heating unit 400 due to the movement of the supply rail 340.

이때, 제3 이동모터(341) 및 이송벨트(342)에 의해 가열부(400) 측으로 전진 이동되는 트레이부재(310)는 후술될 트레이상판(320)에 구비된 전후 삽입부싱(320a) 간의 간격만큼씩 이동되게 구비되고, 트레이부재(310)의 후진 이동은 본체(210)의 하부까지 한 번에 이동되어 원위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tray member 310, which is moved forward toward the heating unit 400 by the third movement motor 341 and the transfer belt 342, has a gap between the front and rear insert bushings 320a provided on the tray top plate 3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rovided to move in increments, and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tray member 310 moves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210 at once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또한, 트레이부재(310)는 그 양측편이 복수의 공급레일(340)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트레이상판(320)과, 트레이상판(320)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표면에는 밥 덩어리(11)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330a)가 형성돼 있는 트레이하판(33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ray member 310 is movably coupled to a tray top plate 320 on both sides of which are respectively fixed to a plurality of supply rails 340 and the lower part of the tray top plate 320, and has a lump of rice (11) on its surface. ) includes a tray lower plate 330 formed with an outlet (330a) for discharging.

특히, 트레이상판(320)에는 그 전면에 걸쳐 격자 형태로 나열된 다수의 삽입부싱(320a)이 트레이상판(320)을 관통하여 구비되고, 이 삽입부싱(320a)은 그 하단부가 트레이하판(330)의 상면에 접하여 구비됨으로써 인출부싱(262)에서 배출되는 밥 덩어리(11)를 차례로 받아 트레이하판(330) 상에 형상 유지된 상태로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tray top plate 3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sert bushings 320a arranged in a lattice shape across the entire surface to penetrate the tray top plate 320, and the lower end of the insert bushings 320a is connected to the tray lower plate 330. By being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 it is possible to sequentially receive the rice lumps 11 discharged from the withdrawal bushing 262 and seat them on the lower tray plate 330 in a state in which the shape is maintained.

그리고, 트레이상판(320)의 양측에는 트레이하판(33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레일(321)이 구비된다.In addition, guide rails 32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ray upper plate 320 to enable the lower tray plate 330 to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또한, 트레이하판(330)은 그 전면에 걸쳐 밥 덩어리(11)를 배출할 수 다수의 배출구(330a)가 격자 형태로 구비되고, 다수의 배출구(330a)는 트레이상판(320)의 삽입부싱(320a)과 대응되게 구비된다.In addition, the tray lower plate 3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330a in a lattice form that can discharge the rice lump 11 over the entire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330a are connected to the insertion bushings of the tray upper plate 320 ( It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320a).

이때, 트레이하판(330)이 트레이상판(320)에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인출된 상태에서는 트레이하판(330)의 배출구(330a)가 트레이상판(320)의 삽입부싱(320a)과 어긋나게 되고, 트레이하판(330)이 트레이상판(320)과 일치된 상태에서는 트레이하판(330)의 배출구(330a)가 트레이상판(320)의 삽입부싱(320a)과 일치된 상태가 되므로 삽입부싱(320a) 내의 밥 덩어리(11)는 트레이하판(330)의 배출구(330a)를 통해 하방으로 떨어져 배출된다.At this time, when the tray lower plate 330 is moved forward and pulled out from the tray upper plate 320, the discharge port 330a of the tray lower plate 330 is misaligned with the insert bushing 320a of the tray upper plate 320, and the tray lower plate 320 is pulled out. When (330) is aligned with the tray upper plate 320, the discharge port 330a of the tray lower plate 330 is aligned with the insert bushing 320a of the tray upper plate 320, so a lump of rice in the insert bushing 320a (11) falls downward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330a) of the lower tray plate (330).

이와 같은 트레이상판(320)에는 그 후부에 이동실린더(322)가 구비되고, 트레이하판(330)에는 그 후부에 이동실린더(322)에 대향되는 장착판(331)이 돌출되게 구비된다.The tray upper plate 320 is provided with a movable cylinder 322 at its rear, and the tray lower plate 330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mounting plate 331 facing the movable cylinder 322 at its rear.

즉, 이동실린더(322)는 트레이상판(320)의 후부에서 신축되게 구비되고, 장착판은 이동실린더(322)에서 출입되는 피스톤로드가 연결되도록 트레이하판(330)의 후부에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구비된다.That is, the moving cylinder 322 is provided to be flexible at the rear of the tray upper plate 320, and the mounting plate is vertically erected at the rear of the lower tray plate 330 so that the piston rod coming in and out of the moving cylinder 322 is connected. It is provided.

또한, 이동실린더(322)의 신축 작동은 트레이하판(330)의 배출구(330a)가 트레이상판(320)의 삽입부싱(320a)에 일치되거나 또는 삽입부싱(320a)을 완전히 벗어나 어긋나게 위치될 수 있는 행정으로 작동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retching operation of the moving cylinder 322 allows the discharge port 330a of the tray lower plate 330 to be aligned with the insert bushing 320a of the tray upper plate 320 or to be positioned completely out of the insert bushing 320a. It is desirable to operate by administration.

따라서, 트레이하판(330)의 배출구(330a)가 트레이상판(320)의 삽입부싱(320a)과 어긋난 상태에서 하강되는 인출바(270)에 의해 밥 덩어리(11)가 삽입부싱(320a)으로 배출되어 트레이하판(330)의 상면에 안착되고, 이후 트레이하판(330)의 배출구(330a)가 트레이상판(320)의 삽입부싱(320a)과 일치되면 삽입부싱(320a) 내에 있던 밥 덩어리(11)는 그 자중에 의해 트레이하판(330)의 하방으로 떨어져 배출된다.Accordingly, the rice lump 11 is discharged into the insert bushing 320a by the pull-out bar 270 that is lowered while the discharge port 330a of the tray lower plate 330 is misaligned with the insert bushing 320a of the tray upper plate 32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lower plate 330, and then, when the outlet (330a) of the tray lower plate 330 matches the insert bushing (320a) of the tray upper plate 320, the rice lump (11) in the insert bushing (320a) falls to the lower part of the tray lower plate 330 due to its own weight and is discharg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가열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scorched ric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밥(10)을 성형부(200)의 호퍼(211)로 투입하여 공급한다. 이때, 호퍼(211)에 투입된 밥(10)은 호퍼(211)의 상부로 불규칙하게 돌출된 상태로 공급되므로 호퍼(211)의 상부에 구비된 스크래퍼(220)를 작동시키게 된다.Rice 10 is supplied by inserting it into the hopper 211 of the molding unit 200. At this time, the rice 10 fed into the hopper 211 is supplied in a state that protrudes irregularly toward the top of the hopper 211, so the scraper 220 provided at the top of the hopper 211 is operated.

즉, 스크래퍼(220)의 작동은 지그플레이트(221) 상에서 스크류축(222)이 정,역 방향으로 반복하여 공회전되고, 공회전되는 스크류축(222)에 나사 결합된 이송블록(223)이 스크류축(222)의 길이 방향(축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이송블록(223)이 결합 고정된 다단의 스크래퍼(220)가 호퍼(211)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호퍼(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되면서 불규칙하게 돌출된 밥(10)을 호퍼(211)의 전면에 걸쳐 고루 펼치게 된다.That is, the operation of the scraper 220 is such that the screw shaft 222 repeatedly idl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on the jig plate 221, and the transfer block 223 screwed to the idling screw shaft 222 moves the screw shaft. The multi-stage scraper 220, to which the transfer block 223 is coupled and fixed while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xial direction) of the hopper 222, is inserted inward from the top of the hopper 2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pper 211. By reciprocating in a straight line along , the irregularly protruding rice 10 is evenly sprea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hopper 211.

이와 같이 호퍼(211) 내에서 펼쳐진 밥(10)은 그대로 본체(210) 내부로 유입되어 공급되고, 본체(210) 내부로 공급된 밥(10)은 다수의 교반축(230)에 의해 계속 교반되어 섞이면서 본체(210)의 바닥면 후측에 형성된 토출구(212)로 이동되어 배출된다.In this way, the rice 10 spread within the hopper 211 is supplied directly into the main body 210, and the rice 10 supplied into the main body 210 is continuously stirred by a plurality of stirring shafts 230. While mixed, it moves to the discharge port 212 formed on the rear bottom of the main body 210 and is discharged.

이후, 토출구(212)로 유입된 밥(10)은 토출구(212) 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한쌍의 공급롤(240) 사이를 통과하면서 정량 배출되어 본체(210) 하부의 성형유닛(260)으로 공급된다.Thereafter, the rice 10 flowing into the discharge port 212 is discharged in a fixed amount while passing between a pair of supply rolls 240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within the discharge port 212 and forming the molding unit 260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10. ) is supplied.

한쌍의 공급롤(240)에 의해 성형유닛(260)으로 공급되는 밥(10)은 도 12에서와 같이, 성형유닛(260)의 고정판(261) 위로 떨어져 안착되는데, 이때 개폐판(263)은 고정판(261) 측으로 이동되어 하부의 인출부싱(262)을 폐쇄시킨 상태가 되므로, 밥(10)은 모두 성형유닛(260)의 고정판(261)과 개폐판(263) 위에 안착된다.The rice 10 supplied to the forming unit 260 by a pair of supply rolls 240 falls and rests on the fixing plate 261 of the forming unit 260, as shown in FIG. 12.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63 is Since it is moved to the side of the fixing plate 261 and the lower withdrawal bushing 262 is closed, the bob 10 is all seated on the fixing plate 26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63 of the molding unit 260.

이와 같이 밥(10)이 공급된 후엔 한쌍의 공급롤(240)은 정지되고, 성형유닛(260)의 상판(265)은 도 13에서와 같이 지지블록(266) 측으로 직선 이동되어 토출구(212)의 하부를 폐쇄시키게 된다.After the rice 10 is supplied in this way, the pair of supply rolls 240 are stopped, and the top plate 265 of the forming unit 260 is moved straight toward the support block 266 as shown in FIG. 13 to reach the discharge port 212. The lower part of the is closed.

이 상태에서 성형블록(267)이 도 13에서와 같이 지지블록(266) 측으로 직선 이동되면서 고정판(261) 및 개폐판(263) 위의 밥(10)을 이동시키게 되고, 성형블록(267)에 의해 이동되는 밥(10)은 지지블록(266)과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원기둥 형태로 압착된 밥 덩어리(11)로 성형된다.In this state, the forming block 267 moves straight toward the support block 266 as shown in Figure 13, moving the bob 10 on the fixing plate 26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63, and the forming block 267 The rice 10 moved by is pressed between the support blocks 266 and formed into a lump of rice 11 pressed into a cylindrical shape.

이후, 본체(210)의 토출구(212) 상부에 구비돼 있던 인출바(270)가 하강됨과 동시에 개폐판(263)이 도 14에서와 같이 지지블록(266)의 외측으로 직선 이동되어 하부의 인출부싱(262)을 개방시키게 된다.Afterwards, the pull-out bar 270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discharge port 212 of the main body 210 is lowered, and at the same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63 is moved straight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block 266 as shown in FIG. 14 to pull out the lower part. The bushing 262 is opened.

이에 따라, 하강되는 인출바(270)에 의해 성형블록(267)과 지지블록(266) 사이에서 압착된 원기둥 형태의 밥 덩어리(11)는 하방으로 밀려 배출되고, 배출되는 밥 덩어리(11)는 인출부싱(262)을 통해 하부의 공급부(300)로 배출된다.Accordingly, the cylindrical rice lump 11 pressed between the forming block 267 and the support block 266 by the descending pull-out bar 270 is pushed downward and discharged, and the discharged rice lump 11 It is discharged to the lower supply part 300 through the withdrawal bushing 262.

이때, 공급부(300)로 배출되는 밥 덩어리(11)는 인출부싱(262)에 의해 원기둥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배출되고, 인출부싱(262)을 통해 배출된 밥 덩어리(11)는 공급부(300)의 트레이부재(310)를 이루는 트레이상판(320)의 삽입부싱(320a)에 삽입된 채로 트레이하판(330) 위에 안착된다. 이때, 트레이하판(330)은 트레이상판(32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트레이상판(320)의 삽입부싱(320a)과 트레이하판(330)의 배출구(330a)가 서로 어긋나게 위치된 상태이다.At this time, the rice lump 11 discharged to the supply unit 300 is discharged while maintaining its cylindrical shape by the withdrawal bushing 262, and the rice lump 11 discharged through the withdrawal bushing 262 is discharged from the supply unit ( It is seated on the lower tray plate 33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bushing 320a of the tray upper plate 320 forming the tray member 310 of 300. At this time, the tray lower plate 330 protrudes forward of the tray upper plate 320, and the insertion bushing 320a of the tray upper plate 320 and the discharge port 330a of the tray lower plate 330 are positioned misaligned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트레이하판(330) 위로 한줄의 밥 덩어리(11)가 공급된 후에는 레일프레임(127) 상의 제3 이동모터(341)가 작동되고, 제3 이동모터(341)에 의해 정회전되는 이송벨트(342)에 고정된 공급레일(340)을 통해 트레이부재(310) 전체가 가열부(400) 측으로 전진 이동된다.In this way, after a row of rice lumps 11 are supplied onto the lower tray plate 330, the third moving motor 341 on the rail frame 127 is operated, and the transfer is rotated forward by the third moving motor 341. The entire tray member 310 moves forward toward the heating unit 400 through the supply rail 340 fixed to the belt 342.

이와 같이 가열부(400) 측으로 전진 이동되는 트레이부재(310)는 트레이상판(320)에 구비된 전후 삽입부싱(320a) 간의 간격만큼씩 이동되면서 트레이상판(320)의 모든 삽입부싱(320a)에 밥 덩어리(11)를 채우게 된다.In this way, the tray member 310, which moves forward toward the heating unit 400, is mov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insert bushings 320a provided on the tray top plate 320, and is inserted into all insert bushings 320a of the tray top plate 320. Fill the rice lump (11).

이와 같이 트레이부재(310)의 모든 삽입부싱(320a)에 밥 덩어리(11)가 공급된 상태에서는 트레이부재(310)가 본체(210)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어 가열부(400)의 인덕션(430) 위에 위치된 상태가 된다.In this way, in a state where the rice lumps 11 are supplied to all the insert bushings 320a of the tray member 310, the tray member 310 is completely pulled out from the main body 210 and placed on the induction unit 430 of the heating unit 400. It is in a positioned state.

이 상태에서 트레이부재(310)의 이동실린더(322)가 작동되어 신장되면, 트레이하판(330)이 트레이상판(320)의 후방으로 이동되고, 이동된 트레이하판(330)의 모든 배출구(330a)는 트레이상판(320)의 각 삽입부싱(320a)에 일치된 상태로 위치된다.In this state, when the moving cylinder 322 of the tray member 310 is operated and extended, the tray lower plate 330 is moved to the rear of the tray upper plate 320, and all discharge ports 330a of the moved tray lower plate 330 are opened. is positioned in alignment with each insertion bushing (320a) of the tray top plate (320).

이로써, 삽입부싱(320a)에 삽입돼 있던 밥 덩어리(11)는 그 자중에 의해 삽입부싱(320a)과 일치된 트레이하판(330)의 배출구(330a)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고, 배출된 밥 덩어리(11)는 도 2에서와 같이 인덕션(430)의 각 히팅열선 상에 안착되어 구비된다.Accordingly, the rice lump 11 inserted into the insert bushing 320a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discharge port 330a of the lower tray plate 330 aligned with the insert bushing 320a by its own weight, and the discharged rice lump 11 (11) is provided by being seated on each heating wire of the induction 430, as shown in FIG. 2.

이후, 인덕션(430) 위에 위치돼 있던 트레이부재(310)는 제3 이동모터(341)에 의한 이송벨트(342)의 역회전에 의해 성형부(200)의 본체(210) 하부로 바로 이동되어 위치됨과 더불어 가열부(400)의 승강실린더(422)가 신장되어 승강판(420) 및 인덕션(430)을 상승시키게 된다.Afterwards, the tray member 310 located on the induction unit 430 is moved directly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210 of the molding unit 200 by reverse rotation of the transfer belt 342 by the third movement motor 341. As it is positioned, the lifting cylinder 422 of the heating unit 400 is extended to raise the lifting plate 420 and the induction plate 430.

상승되는 승강판(420) 및 인덕션(430)은 도 3에서와 같이 승강판(420)의 스토퍼(421)가 고정상판(440)에 접할 때까지 이루어지고, 스토퍼(421)가 고정상판(440)에 접하게 되면 승강판(420) 및 인덕션(430)의 상승은 정지되며, 이때 인덕션(430) 위에 올려져 있던 밥 덩어리(11)는 인덕션(430)과 고정상판(440) 사이에서 압착되어 누룽지 형상과 같은 밥박편으로 성형된다.The lifting plate 420 and the induction 430 are raised until the stopper 421 of the lifting plate 4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xed top plate 440, as shown in FIG. 3, and the stopper 421 touches the fixed top plate 440. ), the elevation of the elevating plate 420 and the induction plate 430 is stopped, and at this time, the rice lump 11 placed on the induction plate 430 is compressed between the induction plate 430 and the fixed top plate 440 and is made into brown rice. It is molded into rice flakes of the same shape.

이후, 인덕션(430)이 작동되어 인덕션(430) 상의 밥박편을 가열하여 누룽지(20)로 성형한 후, 승강실린더(422)의 축소 작동에 의해 승강판(420) 및 인덕션(430)이 도 4에서와 같이 하강되고, 하강 후에는 회동실린더(431)가 신장되어 승강판(420)과의 힌지를 기준으로 인덕션(430)을 도 5에서와 같이 경사지게 회전시키고, 회전된 인덕션(430)은 배출컨베이어(130)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위치된다.Afterwards, the induction 430 is operated to heat the rice flakes on the induction 430 and molded into the nurungji 20, and then the elevating plate 420 and the induction 430 are raised by the reduction operation of the elevating cylinder 422. It is lowered as shown in 4, and after lowering, the rotating cylinder 431 is extended to rotate the induction 430 obliquely as shown in FIG. 5 based on the hinge with the lifting plate 420, and the rotated induction 430 is It is positione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ischarge conveyor 130.

따라서, 인덕션(430) 상에서 가열되어 성형된 박편의 누룽지(20)는 인덕션(430)의 상면을 미끄러져 내려가 도 1에서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 양측의 배출컨베이어(130)로 배출된다.Accordingly, the flaky fried rice 20 heated and formed on the induction 430 slides down the upper surface of the induction 430 and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conveyor 130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110, as shown in FIG. 1.

한편, 상기와 같은 성형부(200)와 공급부(300)는 이동프레임(120)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10)을 따라 직선 이동됨과 더불어 회전판(123)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면서 밥 덩어리(11)를 베이스프레임(110) 양측의 가열부(400)로 연이어 공급하게 되고, 양측의 가열부(400)에서는 공급된 밥 덩어리(11)를 신속하게 밥박편으로 성형함과 동시에 가열하여 누룽지(20)를 성형한 후, 각 배출컨베이어(130)로 배출함으로써 누룽지(20)를 대량 생산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forming part 200 and the supply part 300 as described above are moved linearly along the base frame 110 by the moving frame 120 and rotated in place by the rotating plate 123 to form the rice lump 11 as the base. It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heating units 400 on both sides of the frame 110, and the heating units 400 on both sides quickly mold the supplied rice lumps 11 into rice flakes and simultaneously heat them to form the scorched rice 20. Afterwards, the scorched rice 20 can be mass-produced by discharging it to each discharge conveyor 130,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detailed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00 : 누룽지 제조장치 110 : 베이스프레임
120 : 이동프레임 121 : 제1 이동모터
122 : 이동벨트 123 : 회전판
124 : 회전기어 125 : 제2 이동모터
126 : 랙기어 127 : 레일프레임
130 : 배출컨베이어 200 : 성형부
210 : 본체 211 : 호퍼
212 : 토출구 220 : 스크래퍼
221 : 지그플레이트 222 : 스크류축
223 : 이송블록 230 : 교반축
231 : 회전축 232 : 회전모터
240 : 공급롤 240a : 공급날개
241 : 구동기어 242 : 종동기어
243 : 구동모터 244 : 구동체인
250 : 가이드블록 251 : 경사면
252 : 토출공 260 : 성형유닛
261 : 고정판 262 : 인출부싱
263 : 개폐판 263a : 연결판
263b : 실린더 264 : 측판
265 : 상판 265a : 원호면
266 : 지지블록 266a : 성형홈
267 : 성형블록 267a : 성형홈
270 : 인출바 300 : 공급부
310 : 트레이부재 320 : 트레이상판
320a : 삽입부싱 321 : 가이드레일
322 : 이동실린더 330 : 트레이하판
330a : 배출구 340 : 공급레일
341 : 제3 이동모터 342 : 이송벨트
400 : 가열부 410 : 베이스프레임
420 : 승강판 421 : 스토퍼
422 : 승강실린더 430 : 인덕션
431 : 회동실린더 440 : 고정상판
100: Nurungji manufacturing device 110: Base frame
120: moving frame 121: first moving motor
122: moving belt 123: rotating plate
124: rotation gear 125: second movement motor
126: rack gear 127: rail frame
130: Discharge conveyor 200: Molding unit
210: Main body 211: Hopper
212: discharge port 220: scraper
221: Jig plate 222: Screw axis
223: transfer block 230: stirring shaft
231: rotation axis 232: rotation motor
240: supply roll 240a: supply wing
241: driving gear 242: driven gear
243: drive motor 244: drive chain
250: Guide block 251: Slope
252: discharge hole 260: forming unit
261: fixing plate 262: withdrawal bushing
263: opening and closing plate 263a: connection plate
263b: cylinder 264: side plate
265: Top plate 265a: Circular surface
266: support block 266a: forming groove
267: forming block 267a: forming groove
270: withdrawal bar 300: supply department
310: Tray member 320: Tray top plate
320a: Insertion bushing 321: Guide rail
322: Moving cylinder 330: Lower tray plate
330a: outlet 340: supply rail
341: Third movement motor 342: Transfer belt
400: Heating unit 410: Base frame
420: Elevating plate 421: Stopper
422: Elevating cylinder 430: Induction
431: Rotating cylinder 440: Fixed top plate

Claims (4)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어 누룽지를 제조하기 위한 밥이 정량의 밥 덩어리로 성형되어 공급되고 공급된 밥 덩어리를 압착하여 밥박편으로 성형하는 한편 밥박편을 가열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누룽지 가열장치로서,
가열부는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서 베이스프레임을 따라 나란히 구비되는 서포트프레임;
서포트프레임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상부에는 밥 덩어리가 구비되는 승강판;
서포트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승강판과의 사이에서 밥 덩어리를 가압하여 밥박편으로 성형하는 고정상판;
승강판과 고정상판 사이에서 밥박편을 가열하여 누룽지로 성형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되,
가열수단은 승강판의 상면에 그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면에는 밥 덩어리가 안착되는 인덕션으로 구비되고,
인덕션에는 회동실린더가 구비되어 인덕션을 승강판에서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경사지게 위치시키도록,
회동실린더는 그 상단부가 승강판을 관통한 상태로 인덕션의 하면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는 서포트프레임의 바닥면에 힌지 결합되어 구비되는 누룽지 가열장치.
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so that the rice for producing the nurungji is molded into a fixed amount of rice lumps and supplied, and the supplied rice lumps are compressed and molded into rice flakes, and includes a heating unit that heats the rice flakes to produce the scorched rice flakes. As a heating device,
The heating unit includes support frames provided side by side along the base frame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An elevating board that is movable up and down on the support frame and has a lump of rice on its upper part;
A fixed top plat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frame and pressurizing the rice lump between the elevating plate and forming it into rice flakes;
It includes a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rice flakes between the elevating plate and the fixed top plate and forming them into scorched paper,
The heating means is provided as an induction type,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and a lump of rice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The induction is equipped with a rotating cylinder so that the induction can be rotated in one direction on the lifting plate and positioned at an angle.
The rotary cylinder is a scorched paper heating device in which the upper part is hing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duction cooker with its upper part penetrating the lifting plate, and the lower part is hing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배출된 밥 덩어리는 복수개로서 인덕션의 각 히팅열선 상에 안착되어 구비되는 누룽지 가열장치.
In claim 1,
A scorched rice heating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discharged lumps of rice are seated on each heating element of an induction cooker.
청구항 1에 있어서,
승강판에는 고정상판과 접촉됨과 동시에 인덕션의 이동을 정지시켜 인덕션 위에 올려진 밥 덩어리가 인덕션과 고정상판 사이에서 일정한 두께의 밥박편으로 성형되도록 한 스토퍼가 구비되는 누룽지 가열장치.
In claim 1,
A scorched rice heating device equipped with a stopper on the elevating plate that contacts the fixed top plate and simultaneously stops the movement of the induction cooker so that the lump of rice placed on the induction cooker is formed into rice flakes of a certain thickness between the induction plate and the fixed top plate.
KR1020230054872A 2023-04-26 2023-04-26 Apparatus for heating scorching rice KR1026442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872A KR102644228B1 (en) 2023-04-26 2023-04-26 Apparatus for heating scorching r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872A KR102644228B1 (en) 2023-04-26 2023-04-26 Apparatus for heating scorching r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228B1 true KR102644228B1 (en) 2024-03-07

Family

ID=9027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872A KR102644228B1 (en) 2023-04-26 2023-04-26 Apparatus for heating scorching r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22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736A (en) 1997-11-14 1999-06-05 전주범 Channel skip prevention device of television
KR20070096501A (en) * 2006-03-24 2007-10-02 김애란 Scorched rice making device
KR100920333B1 (en) 2008-07-04 2009-10-07 서정일 Apparatus for making crust of overcooded rice with openning and closing device of heating plate
KR200446308Y1 (en) 2009-01-19 2009-10-16 박병찬 Device for manufacturing scorched rice
KR20220011910A (en) * 2020-07-22 2022-02-0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한도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with electric burner
KR20230015532A (en) * 2021-07-23 2023-01-31 박정열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736A (en) 1997-11-14 1999-06-05 전주범 Channel skip prevention device of television
KR20070096501A (en) * 2006-03-24 2007-10-02 김애란 Scorched rice making device
KR100920333B1 (en) 2008-07-04 2009-10-07 서정일 Apparatus for making crust of overcooded rice with openning and closing device of heating plate
KR20100004824A (en) 2008-07-04 2010-01-13 서정일 Apparatus for making crust of overcooked rice using expanding device
KR20100004822A (en) 2008-07-04 2010-01-13 서정일 Heating plate for making crust of overcooked ri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446308Y1 (en) 2009-01-19 2009-10-16 박병찬 Device for manufacturing scorched rice
KR20220011910A (en) * 2020-07-22 2022-02-0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한도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with electric burner
KR20230015532A (en) * 2021-07-23 2023-01-31 박정열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557B1 (en) Apparatus for making scorched rice
CN102771524A (en) Automatic dough press
KR102644228B1 (en) Apparatus for heating scorching rice
US10492498B2 (en) Filled pasta making machine and related method for making filled pasta
CN110801147A (en) Intelligence spiral shell powder culinary art robot
KR102045266B1 (en) Bap Quantitative Supply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quipment of scorched rice
CN202773923U (en) Automatic flour pressing machine
CN104621198B (en) A kind of full-automatic machine making phoenix volume
JP4455674B1 (en) Layered foo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CN108634019A (en) A kind of apparatus for hot processing tea
KR102341640B1 (en) A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CN108522576A (en) A kind of meter of band former
NL2017324A (en) Shaking feeding method for dry filling in food
US3033099A (en) Toaster for buttered buns
TWM620662U (en) Automatic stuffing extruder
CN213908296U (en) Tea leaf pan-frying machine
CN201101085Y (en) Moving back and forth coating synchronizing shaving material felloe band roasting cooker machine
CN215478536U (en) Feeding device
CN215224545U (en) Extrusion puffing machine for processing millet steamed bread
CN215531238U (en) Auxiliary material spreading device for cake processing
CN218483727U (en) Flaxseed processing is with turning over stir-fry device
KR102364814B1 (en) Manufacturing device for scorched rice
CN108606018A (en) Dough processes conveying production line
TWM553120U (en) Improved structure for egg roll machine
CN113509977B (en) Deep processing device for soybean edible oil raw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