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856B1 - 구조 개선된 막 구조물용 트러스 구조체 - Google Patents

구조 개선된 막 구조물용 트러스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856B1
KR102643856B1 KR1020230031482A KR20230031482A KR102643856B1 KR 102643856 B1 KR102643856 B1 KR 102643856B1 KR 1020230031482 A KR1020230031482 A KR 1020230031482A KR 20230031482 A KR20230031482 A KR 20230031482A KR 102643856 B1 KR102643856 B1 KR 102643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edetermined length
lower frames
reinforcement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1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돔
Priority to KR1020230031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36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 E04B7/02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the trusses or frames supporting load-bearing purlins, e.g. braced purl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8Arched girders or portal frames
    • E04C3/40Arched girders or portal frame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18Tents having plural sectional covers, e.g. pavilions, vaulted tents, marquees, circus tents; Plural tents, e.g. modular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파이프를 밴딩하여 절단 없이 트러스 구조를 연결하도록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어 외력에 의해 쉽게 뒤틀리거나 변형되지 않는 구조 개선된 막 구조물용 트러스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 개선된 천막 설치용 트러스 구조체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수평 또는 아치 형상의 상부프레임; 소정 길이를 가지는 수평 또는 아치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상부프레임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상, 하부프레임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하여 보강하는 보강프레임; 및 상기 상, 하부프레임을 수직으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프레임은, "V"자 또는 역"V"자 모양이 연속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보강부; 및 인접되는 상기 제1 보강부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소정 길이의 제2 보강부를 포함하도록 소정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파이프가 밴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조 개선된 막 구조물용 트러스 구조체{Truss Structure for Structurally Improved Membrane Structures}
본 발명은 구조 개선된 막 구조물용 트러스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막재 설치시 기둥과 기둥 사이를 연결하여 막재를 지지하는 구조 개선된 막 구조물용 트러스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막 구조물(membrane structure)은 주로 공연이나 행사 등을 위한 시설이나 햇빛이나 비를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야외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막 구조물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기둥과, 상기 복수 개의 기둥을 연결하여 상면을 커버하도록 소정 크기의 멤브레인(menbrane, 막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복수 개의 기둥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트러스 구조체에 의해 연결되고, 이러한 트러스 구조체에 의해 멤브레인의 형태가 지지되도록 하여 시공되게 된다.
위와 같은 트러스 구조체는 일반적으로 2개의 수평 프레임 사이를 지그재그 모양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프레임이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제조된 것으로, 막 구조물의 크기 등에 따라 복수 개로 분리 제작된 다음 현장에서 조립되어 설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트러스 구조체의 예로는 공개특허공보 제2019-0083298호의 조립식 천막용 기둥과 지붕 트러스 연결방법 및 장치(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은 지면에 고정되는 하단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 외측 프레임의 간격이 점차 넓어지는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의 단부에서 상기 하단부의 간격보다 더 넓어지면서 내, 외측 프레임이 곡선으로 형성되는 곡선부와, 상기 곡선부의 단부에서 내, 외측 프레임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상단부를 포함하는 복수 기둥의 상단부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복수 기둥의 상단부에 연결되도록 내, 외측 프레임의 간격이 동일하게 구비된 지붕 트러스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 상기 복수 기둥의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지붕 트러스의 제2 연결부재의 대향된 표면에 양단이 중첩되도록 구비된 덧댐부재; 및 상기 덧댐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제1, 2 연결부재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덧댐부재에는 좌우에 상기 제1, 2 연결부재에 임시 고정될 수 있도록 후크가 양단에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후크의 대향된 내벽면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양쪽 후크를 벌려 상기 제1, 2 연결부재에 걸리게 한 후 놓으면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양쪽 후크가 상기 제1, 2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은 트러스 구조체가 내외측 프레임 사이에 복수 개의 기둥 연결 프레임이 낱개로 용접되어 상호 일체로 제조되게 되는데, 이 경우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기둥 연결 프레임을 각각 위치시켜 용접하는 데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각각의 배치 간격을 일정하게 맞추는 데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내외측 프레임에 용접되는 기둥 연결 프레임의 면적이 작기 때문에 내외측 프레임을 지지하는 강도가 약하고, 이에 의해 외력에 의해 비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둥과 기둥사이를 연결하는 트러스 구조체에 있어서 제작이 쉽고 강도가 향상되어 외력에도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트러스 구조체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2019-0083298 A (2019. 07. 11.) KR 10-2368484 B1 (2022. 02. 23.) KR 10-2019-0083299 A (2019. 07. 11.) KR 10-1308066 B1 (2013. 09. 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트러스 구조체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파이프를 밴딩하여 절단 없이 트러스 구조를 연결하도록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어 외력에 의해 쉽게 뒤틀리거나 변형되지 않는 구조 개선된 막 구조물용 트러스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 개선된 막 구조물용 트러스 구조체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수평 또는 아치 형상의 상부프레임; 소정 길이를 가지는 수평 또는 아치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상부프레임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상, 하부프레임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하여 보강하는 보강프레임; 및 상기 상, 하부프레임을 수직으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프레임은, "V"자 또는 역"V"자 모양이 연속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보강부; 및 인접되는 상기 제1 보강부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소정 길이의 제2 보강부를 포함하도록 소정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파이프가 밴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2 보강부가 소정 지름을 가지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보강부가 소정 길이를 가지는 직선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상, 하부프레임이 소정 길이를 가지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단 또는 양단에 위치되는 소정 길이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결부를 분리 조립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2 보강부가 인접하는 상기 상, 하부프레임의 상, 하면과 면 접촉되도록 평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와 상기 상, 하부프레임의 상, 하면이 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평면부의 둘레를 따라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보강프레임이 하나의 파이프가 지그재그 모양으로 밴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 하부프레임과 면 접촉되도록 평면부가 형성되므로 용접이 상대적으로 쉬우면서도 상, 하부프레임에 작용하는 외력이 확실하게 지지되어 구조적인 강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 개선된 막 구조물용 트러스 구조체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 개선된 막 구조물용 트러스 구조체의 예를 보인 정면도.
도 3(a, b)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프레임의 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파이프를 밴딩하여 절단 없이 트러스 구조를 연결하도록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어 외력에 의해 쉽게 뒤틀리거나 변형되지 않는 구조 개선된 막 구조물용 트러스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20), 보강프레임(30) 및 고정프레임(40)을 포함한다.
상부프레임(10)은 트러스 구조체(1)의 상단 부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상부프레임(10)은 소정 지름을 가지는 금속재 파이프 또는 각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막 구조물의 막재 형태에 따라 수평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프레임(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가지는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의 일단 또는 양단 쪽에 위치되어 소정 길이를 가지는 연결부(12)를 포함한다.
이때 본체부(11)와 연결부(12)는 필요에 따라 볼트와 너트 등을 통해 직접 조립되거나 또는 연결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부재를 통해 본체부(11)와 연결부(12)가 연결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20)은 상부프레임(10)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어 트러스 구조체(1)의 하단 부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하부프레임(20)은 상부프레임(10)과 동일하게 소정 지름을 가지는 금속재 파이프 또는 각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하부프레임(20)은 상부프레임(10)에 대응하여 수평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프레임(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가지는 본체부(21)와, 상기 본체부(21)의 일단 또는 양단 쪽에 위치되어 소정 길이를 가지는 연결부(22)를 포함한다.
보강프레임(30)은 상, 하부프레임(10, 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하여 상, 하부프레임(10, 20)을 연결하고, 외력에 의한 변형을 감소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보강프레임(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또는 역"V"자 모양이 연속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보강부(31) 및 인접되는 상기 제1 보강부(31)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소정 길이의 제2 보강부(32)를 포함한다.
이때 제1, 2 보강부(31, 32)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파이프가 밴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보강부(32)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되는 면이 수평이 되도록 평면부(32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보강부(32)는 상, 하부프레임(10, 20)의 상, 하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둘레를 따라 용접(WD)되고, 이를 통해 상, 하부프레임(10, 20)과 보강프레임(30)이 일체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 하부프레임(10, 20)과 보강프레임(30)이 용접되는 면적이 확대되어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고, 이와 동시에 제1 보강부(31)만으로 이루어지는 보강프레임을 상, 하부프레임(10, 20)에 낱개로 위치시켜 용접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1 보강부(31) 간의 간격을 쉽게 맞출 수 있게 된다.
고정프레임(40)은 상, 하부프레임(10, 20)을 수직으로 연결하여 상, 하부프레임(10, 20)의 비틀림 등에 의한 변형을 감소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고정프레임(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프레임(10, 20)의 양단 부분에 각각 측면고정부(41, 42)가 설치되고, 상, 하부프레임(10, 20)의 가운데 부분에 중앙고정부(43)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 하부프레임(10, 20)의 길이에 따라 측면고정부(41, 42)와 중앙고정부(43) 사이에 복수 개의 보조보강부(도시하지 않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보강프레임이 하나의 파이프가 지그재그 모양으로 밴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 하부프레임과 면 접촉되도록 평면부가 형성되므로 용접이 상대적으로 쉬우면서도 상, 하부프레임에 작용하는 외력이 확실하게 지지되어 구조적인 강도가 향상되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 트러스 구조체 10: 상부프레임
11: 본체부 12: 연결부
20: 하부프레임 21: 본체부
22: 연결부 30: 보강프레임
31: 제1 보강부 32: 제2 보강부
32A: 평면부 40: 고정프레임
41: 측면고정부 42: 측면고정부
43: 중앙고정부 WD: 용접부

Claims (5)

  1. 막 구조물의 기둥과 기둥사이를 연결하는 트러스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구조체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수평 또는 아치 형상의 상부프레임(10);
    소정 길이를 가지는 수평 또는 아치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상부프레임(1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는 하부프레임(20);
    상기 상, 하부프레임(10, 20)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하여 보강하는 보강프레임(30); 및
    상기 상, 하부프레임(10, 20)을 수직으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프레임(40);
    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프레임(30)은,
    "V"자 또는 역"V"자 모양이 연속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보강부(31); 및
    인접되는 상기 제1 보강부(31)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소정 길이의 제2 보강부(32);
    를 포함하도록 소정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파이프가 밴딩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보강부(32)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직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 하부프레임(10, 20)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본체부(11, 21); 및
    상기 본체부(11, 21)의 일단 또는 양단에 위치되는 소정 길이의 연결부(12, 22);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강부(32)는,
    인접하는 상기 상, 하부프레임(10, 20)의 상, 하면과 면 접촉되도록 평면부(32A)가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32A)와 상기 상, 하부프레임(10, 20)의 상, 하면이 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평면부(32A)의 둘레를 따라 용접되고,
    상기 고정프레임(40)은,
    상기 상, 하부프레임(10, 20)의 양단 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고정부(41, 42); 및
    상기 상, 하부프레임(10, 20)의 가운데 부분에 설치되는 중앙고정부(43);
    를 포함하고,
    상기 상, 하부프레임(10, 20)의 길이에 따라 상기 측면고정부(41, 42)와 상기 중앙고정부(43) 사이에 복수 개의 보조보강부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11)와 연결부(12) 사이에는,
    연결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본체부(11)와 상기 연결부(12)가 연결되고,
    상기 평면부(32A)를 통해 상, 하부프레임(10, 20)과 상기 보강프레임(30)이 용접되는 면적이 확대되어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된 천막 설치용 트러스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31482A 2023-03-10 2023-03-10 구조 개선된 막 구조물용 트러스 구조체 KR102643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1482A KR102643856B1 (ko) 2023-03-10 2023-03-10 구조 개선된 막 구조물용 트러스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1482A KR102643856B1 (ko) 2023-03-10 2023-03-10 구조 개선된 막 구조물용 트러스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856B1 true KR102643856B1 (ko) 2024-03-07

Family

ID=90271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1482A KR102643856B1 (ko) 2023-03-10 2023-03-10 구조 개선된 막 구조물용 트러스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85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4962A (ja) * 1999-08-25 2001-03-13 Daiwa House Ind Co Ltd ボルト接合式継ぎ手による鋼杭
US20040144055A1 (en) * 2003-01-21 2004-07-29 Steve Lewison Modular truss system with a nesting storage configuration
KR101308066B1 (ko) 2011-07-28 2013-09-12 스프렁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천막 구조물의 지지력 보강을 위한 빔 설치구조
KR20140120614A (ko) * 2013-04-04 2014-10-14 강선중 하우스 구조물 및 보강재
KR101811347B1 (ko) * 2017-04-10 2017-12-26 매크로드 주식회사 터널 방음 구조
KR20190083299A (ko) 2018-01-03 2019-07-11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조립식 천막의 지붕 트러스간 연결방법 및 장치
KR20190083298A (ko) 2018-01-03 2019-07-11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조립식 천막용 기둥과 지붕 트러스 연결방법 및 장치
KR20210042550A (ko) * 2019-10-10 2021-04-20 박상춘 가설건축물용 보강구조물
KR102368484B1 (ko) 2021-01-08 2022-02-28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연결 플렌지를 구비한 천막 프레임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4962A (ja) * 1999-08-25 2001-03-13 Daiwa House Ind Co Ltd ボルト接合式継ぎ手による鋼杭
US20040144055A1 (en) * 2003-01-21 2004-07-29 Steve Lewison Modular truss system with a nesting storage configuration
KR101308066B1 (ko) 2011-07-28 2013-09-12 스프렁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천막 구조물의 지지력 보강을 위한 빔 설치구조
KR20140120614A (ko) * 2013-04-04 2014-10-14 강선중 하우스 구조물 및 보강재
KR101811347B1 (ko) * 2017-04-10 2017-12-26 매크로드 주식회사 터널 방음 구조
KR20190083299A (ko) 2018-01-03 2019-07-11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조립식 천막의 지붕 트러스간 연결방법 및 장치
KR20190083298A (ko) 2018-01-03 2019-07-11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조립식 천막용 기둥과 지붕 트러스 연결방법 및 장치
KR20210042550A (ko) * 2019-10-10 2021-04-20 박상춘 가설건축물용 보강구조물
KR102368484B1 (ko) 2021-01-08 2022-02-28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연결 플렌지를 구비한 천막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884B1 (ko) 정착브라켓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각 보강장치
KR100992529B1 (ko) 조립식 강지보
KR102358872B1 (ko) 가설건축물용 보강구조물
CN1916308A (zh) 用于隔热的结构元件
KR101202063B1 (ko) 조립식 격자지보
KR102643856B1 (ko) 구조 개선된 막 구조물용 트러스 구조체
KR102296581B1 (ko) 나선형 띠철근 시공용 고정지그
JP2006296409A (ja) シートハウス
KR102616443B1 (ko) 막구조물 강관 연결 조립체
KR101849983B1 (ko) 긴장재 도입효율이 증진된 psc 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2296758B1 (ko) 거푸집용 조립틀 모듈
KR20220036537A (ko) 합성보 및 합성보의 시공방법
KR102635664B1 (ko) 무주공간을 위한 장지간 철골조의 결합구조
JP7173904B2 (ja) フェンス用継手
JPH06330653A (ja) 架構体の弾塑性エネルギー吸収体
KR102275101B1 (ko) 경사브레이싱을 구비한 아치교 구조
KR102217545B1 (ko) 전단 보강재
KR101352704B1 (ko) 조립식 강지보
JP7173903B2 (ja) フェンス用継手
KR102591311B1 (ko) 선택적 결속을 통한 그리드 보강용 스페이서 시스템
KR20190068226A (ko) 흙막이벽 버팀보
JPH0350223Y2 (ko)
JP7045184B2 (ja) 梁主筋をy字型としたヒンジリロケーション構造及びその方法
JPH0751521Y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梁
RU2121042C1 (ru) Арка покрытия с затяжк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