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761B1 - 기능성 침대 - Google Patents

기능성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761B1
KR102643761B1 KR1020220105163A KR20220105163A KR102643761B1 KR 102643761 B1 KR102643761 B1 KR 102643761B1 KR 1020220105163 A KR1020220105163 A KR 1020220105163A KR 20220105163 A KR20220105163 A KR 20220105163A KR 102643761 B1 KR102643761 B1 KR 102643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roller assembly
massage
bel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27222A (ko
Inventor
유한사
Original Assignee
(주)자모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모네 filed Critical (주)자모네
Priority to KR1020220105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761B1/ko
Publication of KR20240027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7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7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 A47C19/202Stacking or nesting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61H2201/1669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moving along the body in a reciprocating man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기능성 침대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기능성 침대는, 매트리스, 헤드 보드, 및 상기 헤드 보드와 함께 상기 매트리스를 지지하기 위한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 침대부와, 상기 메인 침대부의 하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메인 침대부의 바깥으로 인출되도록 왕복운동하는, 마사지 침대부와, 상기 마사지 침대부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벨트, 상기 벨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벨트 풀리, 상기 메인 침대부의 내부의 후방 및 양측방을 따라 배치되는 케이블, 상기 벨트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블이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벨트와 상기 케이블을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 상기 케이블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복수 개의 롤러 조립체들, 상기 메인 침대부의 내부의 양측방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마사지 침대부가 수평으로 유지되면서 왕복운동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한 쌍의 레일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침대{FUNCTIONAL BEDS}
본 발명은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기본적인 침대로서의 기능과 마사지 베드로서의 기능도 함께 갖는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종류의 침대가 출시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마사지를 위한 마사지 롤러를 구비한 마사지 베드도 또한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침대나 마사지 베드는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넓이의 공간을 필요로 하며, 더 나아가 침대와 마사지 베드를 따로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공간적 제약이 많이 따른다.
이러한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자 침대로서의 기본적인 기능과 마사지 베드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구비한 기능성 침대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으며, 이러한 기능성 침대가 몇 가지 개발된 바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322691(2021년 11월 01일 등록)에는 전동치료유닛을 포함하는 침대형 가구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사용자의 신체를 가압하는 복수 개의 도자를 포함하는 도자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치료유닛과, 하부에 전동치료유닛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면이 형성된 제1 프레임과, 전동치료유닛을 수용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침대형 가구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침대형 가구는 제2 프레임의 가운데에 위치한 구동유닛의 작동에 따라 제2 프레임이 제1 프레임의 내부로 인입 또는 그로부터 인출되도록 동작함에 있어서, 좌측과 우측의 밸런스가 맞지 않아서 원활하게 인입 또는 인출 동작이 이뤄지지 않거나, 좌·우측의 밸런스 불균형으로 인해 장기간 사용시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본적인 침대로서의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마사지 베드로서의 기능도 함께 제공하는 기능성 침대에 있어서,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면서도 사용하기 편리한 기능성 침대에 대한 요구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322691(2021년 11월 01일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1-0118398 (2012년 10월 26일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본적인 침대로서의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마사지 베드로서의 기능도 함께 제공하는 기능성 침대로서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면서도 사용하기 편리한 기능성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속에도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기능성 침대는, 매트리스, 헤드 보드, 및 상기 헤드 보드와 함께 상기 매트리스를 지지하기 위한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 침대부와, 상기 메인 침대부의 하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메인 침대부의 바깥으로 인출되도록 왕복운동하는, 마사지 침대부와, 상기 마사지 침대부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벨트, 상기 벨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벨트 풀리, 상기 메인 침대부의 내부의 후방 및 양측방을 따라 배치되는 케이블, 상기 벨트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블이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벨트와 상기 케이블을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 상기 케이블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복수 개의 롤러 조립체들, 상기 메인 침대부의 내부의 양측방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마사지 침대부가 수평으로 유지되면서 왕복운동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한 쌍의 레일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헤드 보드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로우 보드, 상기 헤드 보드와 상기 로우 보드 사이에서 상기 헤드 보드 및 상기 로우 보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헤드 보드와 상기 로우 보드 간을 고정시키는, 후방 보드 및 전방 바, 그리고 상기 헤드 보드, 상기 로우 보드, 상기 후방 보드 및 상기 전방 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매트리스를 지지하기 위한 메인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모터 및 상기 벨트 풀리는 상기 후방 보드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롤러 조립체들은, 상기 로우 보드와 상기 후방 보드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제1 롤러 조립체와, 상기 헤드 보드와 상기 후방 보드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제2 롤러 조립체와, 상기 제1 롤러 조립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3 롤러 조립체와, 상기 제2 롤러 조립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4 롤러 조립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마사지 침대부는, 일정 범위 내에서 왕복 운동가능한 마사지 롤러를 포함하는 마사지 모듈과, 상기 마사지 모듈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서브 지지부와, 상기 마사지 침대부의 왕복 운동시 상기 서브 지지부의 양측이 상기 한 쌍의 레일들 각각에서 이탈되지 않고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서브 지지부의 양측과 상기 한 쌍의 레일들 각각을 연결하는 제1 왕복 운동 브라켓 및 제2 왕복 운동 브라켓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왕복 운동 브라켓은, 상기 서브 지지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에서 제1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1 케이블 결합부와,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케이블 결합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레일들 중 대응되는 하나의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마사지 침대부의 왕복 운동시 마찰을 줄이기 위한 제1 수평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왕복 운동 브라켓은, 상기 서브 지지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서 제2 높이 - 상기 제2 높이는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음 - 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 케이블 결합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케이블 결합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레일들 중 대응되는 다른 하나의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마사지 침대부의 왕복 운동시 마찰을 줄이기 위한 제2 수평 롤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3 롤러 조립체 및 상기 제4 롤러 조립체를 각각 터닝 포인트로 하여 운동 방향이 전환되며, 상기 제3 롤러 조립체를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파트, 상기 제4 롤러 조립체를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제3 파트, 상기 제3 파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4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케이블 결합부는 상기 제2 파트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케이블 결합부는 상기 제3 파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파트 및 상기 제3 파트가 후퇴함에 의해 상기 마사지 침대부가 인입되고, 상기 제2 파트 및 상기 제3 파트가 전진함에 의해 상기 마사지 침대부가 인출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능성 침대는, 상기 마사지 침대부가 인출될 시 일정 범위 이상으로 더 인출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접촉시 상기 벨트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제1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마사지 침대부가 인입될 시 일정 범위 이상으로 더 인입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접촉시 상기 벨트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제2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는 기본적인 침대로서의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마사지 베드로서의 기능도 함께 제공하는 기능성 침대로서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면서도 사용하기 편리한 기능성 침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조립의 편리성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기능성 침대(100)의 외관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마시지 침대부(120)가 메인 침대부(11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메인 침대부(110)의 매트리스(111)를 분리해낸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00)에서 마사지 침대부(120)를 메인 침대부(110)에서 인출시킨 상태에서 아랫 부분 구조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00)에서 마사지 침대부(120)를 메인 침대부(110)로 인입시킨 상태에서 아랫 부분 구조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00)에서 마사지 침대부(120)를 메인 침대부(110)로 인입시킨 상태에서 메인 지지부(135)와 서브 지지부(141)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00)에서 마사지 침대부(120)를 메인 침대부(110)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메인 지지부(135)와 서브 지지부(141)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에서 구동부와 서브 지지부(141) 간의 관계 및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제1 리미트 스위치(17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172)의 특징 및 이들과 제1 왕복 운동 브라켓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00)에서 구동 모터(1511)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151), 벨트(153), 및 연결 브라켓(154)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00)에서 벨트 풀리(1521)를 포함하는 벨트 풀리 조립체(152)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00)에서 제1 왕복 운동 브라켓(143a)과 제2 왕복 운동 브라켓(143b)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00)에서 제2 롤러 조립체(164b)와 케이블(161a, 161c, 162a, 162c) 간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00)에서 제4 롤러 조립체(163b)와 제2 왕복 운동 브라켓(143b) 및 케이블(161c, 162c)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00)에서 마사지 침대부(120) 내부의 마사지 모듈의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간략화되고 예시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기능성 침대(100)의 외관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마시지 침대부(120)가 메인 침대부(11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메인 침대부(110)의 매트리스(111)를 분리해낸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100)는, 메인 침대부(110), 마사지 침대부(120), 및 구동부(151, 152, 153, 154, 161, 162, 163a, 163b, 164a, 164b, 144a, 144b; 도 4 및 도 6 참조)를 포함한다.
메인 침대부(110)는, 매트리스(111), 헤드 보드(112), 및 메인 프레임(113, 114, 115, 135)을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13, 114, 115, 135)은 헤드 보드(112)와 함께 매트리스(111)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헤드 보드(112)는 사용시 사용자의 머리 위쪽 방향에 위치하는 부분이며, 메인 프레임(113, 114, 115, 135) 중 메인 지지부(135)를 제외한 구조물과 헤드 보드(112)는 함께 직육면체 형상의 기본적인 침대 틀 형상을 이룬다.
메인 프레임(113, 114, 115, 135)은, 로우 보드(113), 전방 바(114), 후방 보드(115) 및 메인 지지부(135)를 포함한다. 로우 보드(113)는 헤드 보드(112)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사용시 사용자의 발의 아래 방향에 위치하는 부분이고, 전방 바(114) 및 후방 보드(115)는 헤드 보드(112)와 로우 보드(113) 사이에서 이들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들 간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마사지 침대부(120)의 인입 또는 인출 시 마사지 침대부(120)와의 위치 관계를 고려할 때, 후방 보드(115)는 마사지 침대부(120)의 후방에 위치하고, 전방 바(114)는 마사지 침대부(120)의 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의 후방은 후방 보드(115)로 막혀 있고, 메인 프레임의 전방은 마사지 침대부(120)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전방 바(114)의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메인 지지부(135)는 헤드 보드(112), 로우 보드(113), 후방 보드(115) 및 전방 바(114) 사이에 위치하여 매트리스(111)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후방 보드(115)와 전방 바(114) 및 그에 따른 마사지 침대부(12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메인 지지부(135)에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며, 메인 지지부(135)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지지 레그들(136a, 136b, 136c, 136d, 136e)이 구비된다.
마사지 침대부(120)는 메인 침대부(110)의 하부로 인입(도 2의 A1 방향)되거나 메인 침대부(110)의 바깥으로 인출(도 2의 A2 방향)되도록 왕복운동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마사지 침대부(120)는 구동부의 구동 모터(151)의 작동에 의존하여 메인 침대부(110)의 전방 바(114)의 아래에 위치한 개구를 통해서 후방 보드(115) 측을 향해 인입되거나 메인 침대부(110)의 바깥으로 인출되도록 왕복운동한다. 마사지 침대부(120)는 내부에 마사지 모듈(도 16의 123, 125)가 위치하며 마사지 롤러(124)가 왕복 운동하는 마사지 섹션(121)을 포함하며, 리모컨(미도시)이나 사용자가 직접 푸쉬 또는 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작부(122)를 포함한다. 마사지 침대부(120)의 내부 구조는 이후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구동부(151, 152, 153, 154, 161, 162, 163a, 163b, 164a, 164b, 144a, 144b; 도 4 및 도 6 참조)는 마사지 침대부(120)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동부는, 벨트(153), 벨트(153)를 역방향 또는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151) 및 벨트 풀리(152), 메인 침대부(120)의 내부의 후방과 양측방을 따라 배치되는 케이블(161, 162), 벨트(153)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케이블(161, 162)이 벨트(153)와 함께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벨트(153)와 케이블(161, 162)간을 서로 연결해주는 연결 브라켓(154), 케이블(161, 162)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복수 개의 롤러 조립체들(163a, 163b, 164a, 164b), 메인 침대부(110)의 내부의 양측방을 따라 배치되고 마사지 침대부(12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인입 또는 인출을 위한 왕복운동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한 쌍의 레일들(144a. 144b)을 포함한다. 케이블(161, 162)과 레일들(144a, 144b)의 설명에 있어서 메인 침대부(120)의 내부의 후방은 후방 보드(115)와 인접한 부분을 의미하고 양측방은 헤드 보드(112)와 인접한 부분과 로우 보드(113)와 인접한 부분을 의미한다. 그리고, 케이블(161, 162)에 대하여는 각각 참조부호 161과 162로 독립적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실제로는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구동 모터(151)와 벨트 풀리(152)는 후방 보드(115)의 내면에 고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00)에서 마사지 침대부(120)를 메인 침대부(110)에서 인출시킨 상태에서 아랫 부분 구조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00)에서 마사지 침대부(120)를 메인 침대부(110)로 인입시킨 상태에서 아랫 부분 구조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00)에서 마사지 침대부(120)를 메인 침대부(110)로 인입시킨 상태에서 메인 지지부(135)와 서브 지지부(141)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00)에서 마사지 침대부(120)를 메인 침대부(110)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메인 지지부(135)와 서브 지지부(141)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케이블(161, 162)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메인 침대부(120)의 내부에서 후방 보드(115)와 인접한 부분, 헤드 보드(112)와 인접한 부분, 로우 보드(113)와 인접한 부분에 'ㄷ' 자 모양으로 설치되며, 구동 모터(151)와 벨트 풀리(152)의 작동에 따른 벨트(153)의 회전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한다. 여기서 정회전은 마사지 침대부(120)가 인출되도록 하는 방향이고, 역회전은 마사지 침대부(120)가 인입되도록 하는 방향이다. 그리고, 케이블(161, 162)이 원활하게 회전가능하도록 롤러 조립체들(163a, 163b, 164a, 164b)이 케이블(161, 162)에 결합되어 있다. 복수 개의 롤러 조립체들(163a, 163b, 164a, 164b)은 로우 보드(113)와 후방 보드(115)가 교차하는 지점(제1 롤러 조립체(164a)), 헤드 보드(112)와 후방 보드(115)가 교차하는 지점(제2 롤러 조립체(164b), 로우 보드(113)에서 제1 롤러 조립체(164a)의 반대편(제3 롤러 조립체(163a)), 그리고 헤드 보드(112)에서 제2 롤러 조립체(164b)의 반대편(제4 롤러 조립체(163b))에 각각 위치하여, 케이블(161, 162)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한다.
마사지 침대부(120) 중 하부에 위치하는 서브 지지부(141)는 그 양측이 한 쌍의 레일들(144a, 144b) 각각에서 이탈되지 않고 왕복 운동하도록 왕복 운동 브라켓들(143a, 143b)과 결합되어 있다. 즉, 마사지 침대부(120)의 인입 또는 인출 왕복 운동시 이러한 왕복 운동 브라켓들(143a, 143b)이 서브 지지부(141)의 양측을 한 쌍의 레일들(144a, 144b) 각각에서 이탈되지 않고 왕복 운동하도록 해준다. 따라서, 도 4 또는 도 6과 같이 서브 지지부(141)가 메인 지지부(135)에서 빠져나와 있는 상태에서는 왕복 운동 브라켓들(143a, 143b)이 전방으로 최대한 빠져 있는 상태이고, 도 5 또는 도 7과 같이 서브 지지부(141)가 메인 지지부(135)의 후방으로 인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왕복 운동 브라켓들(143a, 143b)이 최대한 후퇴된 상태이다. 마사지 침대부(120)는 마사지 모듈을 포함한다. 도 17과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마사지 모듈은, 일정 범위 내에서 왕복 운동가능한 마사지 롤러(124), 마사지 롤러(124)의 왕복 운동을 위한 마사지 레일(125), 마사지 롤러(124)를 구동시키기 위한 마사지 모듈 구동부(125)을 포함한다. 또한, 마사지 침대부(124)는 마사지 모듈의 설치를 위한 마사지 패널(123)을 포함하며, 마사지 모듈의 하부, 구체적으로는 마사지 패널(123)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서브 지지부(141; 도 6)를 포함한다. 또한, 마사지 침대부(120)는, 마사지 침대부(120)의 왕복 운동시 서브 지지부(141)의 양측이 한 쌍의 레일들(144a, 144b) 각각에서 이탈되지 않고 왕복 운동하도록 서브 지지부(141)의 양측과 한 쌍의 레일들(144a, 144b) 각각을 연결하는 제1 왕복 운동 브라켓(143a) 및 제2 왕복 운동 브라켓(143b)을 포함한다.
서브 지지부(141)의 양측과 한 쌍의 레일들(144a, 144b) 각각을 연결하는 왕복 운동 브라켓들(143a, 143b)은 각각, 플레이트(도 14의 143a1, 143b1), 케이블 결합부(도 14의 143a2, 143b2), 및 수평 롤러(도 14의 143a4, 143b4)를 포함하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이후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00)에서 구동부(151, 152, 153, 154, 161, 162, 163a, 163b, 164a, 164b, 144a, 144b)와 서브 지지부(141) 간의 관계 및 동작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케이블(161, 162)은 도면들에서 그 위치별로 각각 구별되게 참조부호 161a, 161b, 161c, 161d, 162a, 162b, 162c, 162d 등으로 참조부호를 표시하였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나의 구조물로 벨트(153) 측에 연결되어 있다. 케이블(161, 162)에서 상측에 위치한 부분을 참조부호 161로 표시하였고, 하측에 위치한 부분을 참조부호 162로 표시하였으며, 위치상으로 좌측, 즉 헤드 보드에 인접한 부분을 참조부호 161c, 162c로 표시하였고, 로우 보드에 인접한 부분을 참조부호 161d, 162d로 표시하였으며, 후방 보드에 인접한 부분 중 벨트(153)의 좌측을 참조부호 161a, 162a로 표시하였고, 벨트(153)의 우측을 참조부호 161b, 162b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케이블(161, 162)에서 로우 보드에 인접한 부분(161d, 162d)을 각각 제1 파트(161d)와 제2 파트(162d)로 구분하고, 헤드 보드에 인접한 부분(161c, 162c)을 각각 제3 파트(161c)와 제4 파트(162c)로 구분하여 보면, 제2 파트(162d)는 제1 파트(161d)의 아래에 위치하며, 제4 파트(162c)는 제3 파트(161c)의 아래에 위치한다. 롤러 조립체들(163a, 163b)과의 관계에서는, 케이블(161, 162)은 제3 롤러 조립체(163a) 및 제4 롤러 조립체(163b)를 각각 터닝 포인트로 하여 운동 방향이 전환되며, 제1 파트(161d)는 제3 롤러 조립체(163a)를 기준으로 제2 파트(162d)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이고, 제3 파트(161c)는 제4 롤러 조립체(163b)를 기준으로 제4 파트(162c)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제1 왕복 운동 브라켓(143a)의 제1 케이블 결합부(143a2: 도 14 참조)는 제2 파트(162d)에 결합되고, 제2 왕복 운동 브라켓(143b)의 제2 케이블 결합부(143b2)는 제3 파트(161c)에 결합됨으로써, 제2 파트(162d)와 제3 파트(161c)가 후퇴함에 의해 마사지 침대부(120)가 인입되고(도 9 참조), 제2 파트(162d)와 제3 파트(161c)가 전진함에 의해 마사지 침대부(120)가 인출된다(도 10 참조). 여기서의 후퇴는 마사지 침대부(120)가 메인 침대부(110)의 후방 보드(115)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고, 전진은 그와는 반대, 즉 마사지 침대부(200)가 메인 침대부(110)의 후방 보드(11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의미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케이블(161, 162)의 회전에 따라 마사지 침대부(120)의 인입 및 인출 과정을 다시 한 번 설명하면, 도 9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것과 같이 케이블(161, 162)이 역회전하게 되면, 제2 왕복 운동 브라켓(143b)의 제2 케이블 결합부(143b2)가 제3 파트(161c)에 결합되어 있고, 제1 왕복 운동 브라켓(143a)의 제1 케이블 결합부(143a2)가 제2 파트(162d)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마사지 침대부(120)가 화살표로 표시된 것과 같이 인입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도 10에서는 케이블(161, 162)이 정회전하게 되면, 마사지 침대부(120)가 화살표로 표시된 것과 같이 인출되게 된다. 케이블(161, 162)의 회전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151)와 벨트 풀리(152)의 구동에 의한 벨트(153)의 회전에 의존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은 제1 리미트 스위치(17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172)의 특징 및 이들과 제1 왕복 운동 브라켓(143a)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서는 제1 리미트 스위치(17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172)가 제1 왕복 운동 브라켓(143a)의 왕복 운동 경로 측에 설치된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반대편인 제2 왕복 운동 브라켓(143b)의 왕복 운동 경로 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제1 리미트 스위치(171)는 제1 왕복 운동 브라켓(143a)의 왕복 운동 경로 측에 설치되고 제2 리미트 스위치(172)는 제2 왕복 운동 브라켓(143b)의 왕복 운동 경로 측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리미트 스위치(171)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사지 침대부(120)가 인출될 시 일정 범위 이상으로 더 인출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3 롤러 조립체(163a) 부근에 위치한다. 제1 리미트 스위치(171)에 제1 왕복 운동 브라켓(143a)의 제1 플레이트(143a1)가 접촉하는 경우 구동 모터(151) 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벨트(153)의 회전이 중지됨으로써 케이블(161, 162)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어 마사지 침대부(120)가 정지된다.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가 리모컨이나 조작부를 통해 인출된 상태에서 인입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리미트 스위치(172)는 일정 범위 이상으로 더 인입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1 롤러 조럽치(164a) 부근에 위치한다. 제2 리미트 스위치(172)에 제1 왕복 운동 브라켓(143a)의 제1 플레이트(143a1)가 접촉하는 경우 구동 모터(151) 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벨트(153)의 회전이 중지됨으로써 케이블(161, 162)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어 마사지 침대부(120)가 정지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00)에서 구동 모터(1511)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151), 벨트(153), 및 연결 브라켓(154)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선 설명에서 구동 모터를 참조부호 151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는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구동 모터 조립체를 참조부호 151로 하고 구동 모터에 대하여는 참조부호 1511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 조립체(151)는 구동 모터(1511), 모터 연결 브라켓(1512)을 포함한다. 모터 연결 브라켓(1512)은 구동 모터 조립체(151)를 후방 보드(도 1의 115)에 결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참조부호 154는 벨트(153)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케이블(161b, 162b) 함께 회전하도록 벨트(153)와 케이블(161b, 162b)을 연결시켜주는 연결 브라켓이다.
또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 조립체(151)는 구동 모터(1511)와 일체로 형성된 로터 기어(1513)가 구비되어 로터 기어(1513)에 연결된 벨트(15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00)에서 벨트 풀리(1521)를 포함하는 벨트 풀리 조립체(152)를 나타낸 도면이다. 마찬가지로, 앞선 설명에서는 벨트 풀리를 152로 표현하였으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여기서는 벨트 풀리 조립체를 152로 표현하였고 벨트 풀리에 대하여는 1521로 표현하였다. 벨트(153)는 구동 모터 조립체(151) 측의 로터 기어(1513)와 벨트 풀리(1521)에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벨트 풀리 조립체(152)는 후방 보드(115) 측에 결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벨트 풀리 고정 브라켓(1522)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벨트 풀리 고정 브라켓(1522)에 벨트 풀리(1521)를 고정시켜 축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벨트 풀리 축(1523)을 더 포함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00)에서 왕복 운동 브라켓들(143a, 143b)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a)는 제2 왕복 운동 브라켓(143b)이고, (b)는 제1 왕복 운동 브라켓(143a)이다. 도 14와 함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b)를 참조하면, 제1 왕복 운동 브라켓(143a)은 서브 지지부(141)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143a1), 제1 플레이트(143a1)에서 제1 높이(h1)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1 케이블 결합부(143a2), 제1 플레이트(143a1)를 기준으로 제1 케이블 결합부(143a2)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한 쌍의 레일들(144a, 144b) 중 대응되는 하나의 레일(144a)에 삽입되어 마사지 침대부(120)의 왕복 운동시 마찰을 줄이기 위한 제1 수평 롤러(143a4)를 포함한다. 참조부호 143a3는 제1 케이블 결합부(143a2)에 형성된 제1 케이블 결합 홈으로서, 제1 케이블 결합 홈(143a3) 내에 케이블의 제2 파트(162d)가 결합된다(도 9 또는 도 10 참조).
(a)를 참조하면, 제2 왕복 운동 브라켓(143b)은 서브 지지부(141)의 타측 즉 제1 왕복 운동 브라켓(143a)의 맞은편에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143b1)와, 제2 플레이트(143b1)에서 제2 높이(h2)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 케이블 결합부(143b2)와, 제2 플레이트(143b1)를 기준으로 제2 케이블 결합부(143b2)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한 쌍의 레일들(144a, 144b) 중 대응되는 다른 하나의 레일(144b)에 삽입되어 마사지 침대부(120)의 왕복 운동시 마찰을 줄이기 위한 제2 수평 롤러(143b4)를 포함한다. 참조부호 143b3는 제2 케이블 결합부(143b2)에 형성된 제2 케이블 결합 홈으로서, 제2 케이블 결합 홈(143b3) 내에 케이블의 제3 파트(161c)가 결합된다(도 9 또는 도 10 참조). 제2 높이(h2)는 제1 높이(h1)보다 낮게 형성되므로, 제1 왕복 운동 브라켓(143a)과 제2 왕복 운동 브라켓(143b)과 각각에 대응되는 케이블 간의 연결 관계를 살펴보면, 제1 왕복 운동 브라켓(143a)은 상대적으로 더 낮게 위치한 케이블의 제2 파트(162d)에 결합되고 제2 왕복 운동 브라켓(143b)은 상대적으로 더 높게 위치한 케이블의 제3 파트(161c)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앞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151)의 구동시 케이블(161, 162)의 회전시 왕복 운동 크라켓들(143a, 143b)이 동기화되어 마사지 침대부(120)의 인입 또는 인출 동작이 원활하게 진행된다.
도 14에서 제1 수평 롤러(143a4) 및 제2 수평 롤러(143b4)는 각각 레일(144a, 144b) 내에 삽입되어 각각 레일(144a, 144b)을 이동하도록 회전하며, 수직 방향이 아니라 대체로 수평 방향을 유지하도록 결합되어 있어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00)를 설치한 바닥이 고르지 않은 경우, 왕복 운동 브라켓들(143a, 143b)과 레일들(144a, 144b) 간의 결합에 있어서 높이를 가변시켜 완충시킴으로써, 마사지 침대부(120)의 인입 또는 인출시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5 및 도 16은 롤러 조립체들(163a, 163b, 164a, 164b) 및 이들에 연결된 구성요소들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00)에서 제2 롤러 조립체(164b)와 케이블(161a, 161c, 162a, 162c) 간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특히 제2 롤러 조립체(164b)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 롤러 조립체(164b)는 헤드 보드(112, 도 1 참조)와 후방 보드(115)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롤러 조립체로서, 케이블(161, 162, 여기서는 161a, 161c, 162a, 162c)을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한 쌍의 롤러 유닛들(164b1), 헤드 보드(112) 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164b2)과 후방 보드(115) 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164b3)을 포함하는 코너 롤러 고정 브라켓(164b2, 164b3)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제1 롤러 조립체(164a)는 그 구조가 제2 롤러 조립체(164b)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맞은 편 코너, 즉 로우 보드(113)와 후방 보드(115)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므로 제2 롤러 조립체(164b)와는 대칭인 구조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00)에서 제4 롤러 조립체(163b)의 특징과, 제4 롤러 조립체(163b)와 제2 왕복 운동 브라켓(143b) 및 케이블(161, 162)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제3 롤러 조립체(도 6의 163a)와 제1 왕복 운동 브라켓(143a) 및 케이블(161, 162) 간의 결합 관계는, 제1 케이블 결합부(143a2)와 제2 케이블 결합부(143b2)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 왕복 운동 브라켓(143a)이 상대적으로 더 낮게 위치한 케이블의 제2 파트(162d)에 결합되고 제2 왕복 운동 브라켓(143b)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위치한 케이블의 제3 파트(161c)에 결합된 점을 제외하고는 유사하다. 특히 제3 롤러 조립체(163a)의 특징은 제4 롤러 조립체(163b)와 대칭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그 구조는 동일하므로 제4 롤러 조립체(163b)에 관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1 롤러 조립체(164a)와 제2 롤러 조립체(164b)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제3 롤러 조립체(163a)는 제1 롤러 조립체(164a)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제4 롤러 조립체(163b)는 제2 롤러 조립체(164b)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100)에서 마사지 침대부(120) 내부의 마사지 모듈의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도 6과 함께 참조하면, 마사지 침대부(120) 내부의 마사지 모듈은, 일정 범위 내에서 왕복 운동가능한 마사지 롤러(124), 마사지 롤러(124)의 왕복 운동을 위한 마사지 레일(125), 마사지 롤러(124)를 구동시키기 위한 마사지 모듈 구동부(125)을 포함한다. 또한, 마사지 침대부(124)는 마사지 모듈의 설치를 위한 마사지 패널(123)을 포함한다. 마사지 모듈의 하부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사지 패널(123)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서브 지지부(141)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는 기본적인 침대로서의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마사지 베드로서의 기능도 함께 제공하는 기능성 침대로서 기존의 기능성 침대들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면서도 사용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다.
100 : 본 발명의 기능성 침대
110 : 메인 침대부
120 : 마사지 침대부

Claims (7)

  1. 기능성 침대로서,
    매트리스, 헤드 보드, 및 상기 헤드 보드와 함께 상기 매트리스를 지지하기 위한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 침대부 -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헤드 보드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로우 보드, 상기 헤드 보드와 상기 로우 보드 사이에서 상기 헤드 보드 및 상기 로우 보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헤드 보드와 상기 로우 보드 간을 고정시키는, 후방 보드 및 전방 바, 그리고 상기 헤드 보드, 상기 로우 보드, 상기 후방 보드 및 상기 전방 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매트리스를 지지하기 위한 메인 지지부를 포함하며, 하기 구동 모터 및 하기 벨트 풀리는 상기 후방 보드의 내면에 고정됨 - ;
    상기 메인 침대부의 하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메인 침대부의 바깥으로 인출되도록 왕복운동하는, 마사지 침대부; 및
    상기 마사지 침대부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벨트, 상기 벨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벨트 풀리, 상기 메인 침대부의 내부의 후방 및 양측방을 따라 배치되는 케이블, 상기 벨트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블이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벨트와 상기 케이블을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 - 상기 연결 브라켓에 의해 연결된 상기 벨트와 상기 케이블은 하나의 폐루프(closed loop)를 이룸 - , 상기 케이블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복수 개의 롤러 조립체들 - 상기 복수 개의 롤러 조립체들은, 상기 로우 보드와 상기 후방 보드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제1 롤러 조립체와, 상기 헤드 보드와 상기 후방 보드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제2 롤러 조립체와, 상기 제1 롤러 조립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3 롤러 조립체와, 상기 제2 롤러 조립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4 롤러 조립체를 포함함 - , 상기 메인 침대부의 내부의 양측방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마사지 침대부가 수평으로 유지되면서 왕복운동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한 쌍의 레일들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3 롤러 조립체 및 상기 제4 롤러 조립체를 터닝 포인트로 하여 운동 방향이 전환되며, 상기 제3 롤러 조립체를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파트, 상기 제4 롤러 조립체를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제3 파트, 상기 제3 파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4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파트가 상기 제3 롤러 조립체에서 상기 제1 롤러 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파트가 상기 제1 롤러 조립체에서 상기 제3 롤러 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3 파트가 상기 제4 롤러 조립체에서 상기 제2 롤러 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4 파트가 상기 제2 롤러 조립체에서 상기 제4 롤러 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마사지 침대부가 인입되고, 상기 제2 파트가 상기 제1 롤러 조립체에서 상기 제3 롤러 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파트가 상기 제3 롤러 조립체에서 상기 제1 롤러 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3 파트가 상기 제2 롤러 조립체에서 상기 제4 롤러 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4 파트가 상기 제4 롤러 조립체에서 상기 제2 롤러 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마사지 침대부가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 침대부는,
    일정 범위 내에서 왕복 운동가능한 마사지 롤러를 포함하는 마사지 모듈과, 상기 마사지 모듈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서브 지지부와, 상기 마사지 침대부의 왕복 운동시 상기 서브 지지부의 양측이 상기 한 쌍의 레일들 각각에서 이탈되지 않고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서브 지지부의 양측과 상기 한 쌍의 레일들 각각을 연결하는 제1 왕복 운동 브라켓 및 제2 왕복 운동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왕복 운동 브라켓은, 상기 서브 지지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에서 제1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파트에 결합되는 제1 케이블 결합부와,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케이블 결합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레일들 중 대응되는 하나의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마사지 침대부의 왕복 운동시 마찰을 줄이기 위한 제1 수평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왕복 운동 브라켓은, 상기 서브 지지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서 제2 높이 - 상기 제2 높이는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음 - 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파트에 결합되는 제2 케이블 결합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케이블 결합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레일들 중 대응되는 다른 하나의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마사지 침대부의 왕복 운동시 마찰을 줄이기 위한 제2 수평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침대는,
    상기 마사지 침대부가 인출될 시 일정 범위 이상으로 더 인출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접촉시 상기 벨트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제1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마사지 침대부가 인입될 시 일정 범위 이상으로 더 인입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접촉시 상기 벨트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제2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KR1020220105163A 2022-08-23 2022-08-23 기능성 침대 KR102643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163A KR102643761B1 (ko) 2022-08-23 2022-08-23 기능성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163A KR102643761B1 (ko) 2022-08-23 2022-08-23 기능성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222A KR20240027222A (ko) 2024-03-04
KR102643761B1 true KR102643761B1 (ko) 2024-03-06

Family

ID=90239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163A KR102643761B1 (ko) 2022-08-23 2022-08-23 기능성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7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407Y1 (ko) * 2000-07-26 2001-02-15 김명하 침대
KR200373927Y1 (ko) * 2004-08-31 2005-01-21 (주)비겐의료기 물리치료침대
KR102252777B1 (ko) * 2020-12-09 2021-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065A (ko) * 2003-01-28 2004-08-04 주식회사 게딩웰 지압 장치
KR102322691B1 (ko) 2014-12-30 2021-11-08 주식회사 세라젬 전동치료유닛을 포함하는 침대형 가구
GB201900988D0 (en) 2019-01-24 2019-03-13 Hyperion Materials & Tech Sweden Ab Lightweight cemented carbid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407Y1 (ko) * 2000-07-26 2001-02-15 김명하 침대
KR200373927Y1 (ko) * 2004-08-31 2005-01-21 (주)비겐의료기 물리치료침대
KR102252777B1 (ko) * 2020-12-09 2021-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222A (ko) 202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70035A (ja) 詳しくは寝台のためのスラット台座
KR102643761B1 (ko) 기능성 침대
KR100732713B1 (ko) 전동침대의 높이조절장치
KR20120003408A (ko) 전동소파
CN111839052B (zh) 一种电动机械伸展装置
CN108978053A (zh) 一种智能数控电脑绗缝机
KR101386559B1 (ko) 상판승강 및 각도 조절책상
KR101176630B1 (ko)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및 수납 보조장치
KR20160144291A (ko) 전력기기용 속도 가변식 서랍장 장치
KR20120045942A (ko) 슬라이딩 보조 의자를 구비한 의자
CN214207665U (zh) 一种具有清理功能的鞋柜
CN112956859B (zh) 一种面积可变的收纳式铁架床
KR20100066201A (ko)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CN213405499U (zh) 一种带有脚托的新型智能沙发
CN214760179U (zh) 一种电动床
KR20160083264A (ko) 전동치료유닛을 포함하는 침대형 가구
CN114825102A (zh) 一种易装配的伸缩式组合配电柜
CN114427272A (zh) 一种绿色建筑幕墙结构
JP2022552750A (ja) 引出しのための引出しガイド
KR101361293B1 (ko) 프레임 어셈블리
CN113349685A (zh) 清洁机的加水工作站
CN219306361U (zh) 一种座椅、靠头、腰托三联动的机械伸展装置
CN219397123U (zh) 一种清洁毛刷隐藏装置
CN219941184U (zh) 自适应调节的行走按摩器及按摩床垫
CN219856749U (zh) 一种汽车遮阳帘的牵引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