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725B1 -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725B1
KR102643725B1 KR1020230124852A KR20230124852A KR102643725B1 KR 102643725 B1 KR102643725 B1 KR 102643725B1 KR 1020230124852 A KR1020230124852 A KR 1020230124852A KR 20230124852 A KR20230124852 A KR 20230124852A KR 102643725 B1 KR102643725 B1 KR 102643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ccoli
enzyme
cosmetic composition
weight
treate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4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진영
김승휘
이경주
김유아
유혜영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24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7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를 효소로 처리한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을 알코올 화합물로 추출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COMPOSITE FROM BROCCOLI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출원은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높은 단백질 함량을 갖는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분야에서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해 단백질 성분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단백질 성분은 일반적으로 동물성 원료를 통해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 윤리적인 문제와 인수 공통 전염병(zoonoses)에 대한 불안으로 동물성 원료가 기피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식물성 원료를 이용한 화장료나 약학 조성물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는 배추속의 한 종류인 브라시카 올레라케아에 속하는 채소의 일종으로서, 비타민 C가 풍부하고, 건강에 좋은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채소이다. 브로콜리는 식용뿐만 아니라 화장품이나 의약품의 원료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에서 효소로 처리하고 알코올 화합물로 추출하여 얻어진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를 효소로 처리한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을 알코올 화합물로 추출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은 10 중량% 이상의 조단백질(Crude protei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소는 프로테아제(proteas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은 상기 브로콜리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효소를 1 내지 10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하여 효소처리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은 상기 브로콜리를 pH가 6 내지 8인 조건에서 상기 효소로 효소처리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은 상기 브로콜리를 온도가 35 ℃ 내지 60 ℃인 조건에서 상기 효소로 효소처리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은 상기 브로콜리를 4시간 이상 24 시간 이하에서 상기 효소로 효소처리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 화합물은 탄소수가 1 내지 4인 저급 1차 알코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한, 브로콜리 추출물은 알코올 화합물의 중량(W1) 및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의 중량(W2)의 비율(W1/W2)이 3 이상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은 브로콜리 추출물의 하층물에서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단백질을 구성하는 구성 아미노산은 류신, 이소류신, 라이신, 메티오닌, 발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글리신, 세린, 알라닌, 글루탐산, 아르기닌, 아스파라긴산, 프롤린 및 히스티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장벽 형성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상기 조단백질의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의 농도가 0.5 ㎍/mL 이상에서 상기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이 유기 용매에 용해될 수 있다.
또한, 항산화 활성 효과를 위해 상기 조단백질의 농도가 10 mg/mL 이상에서 상기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이 유기 용매에 용해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를 효소로 처리하고 알코올 화합물로 추출하여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성 원료를 통해 피부 미용에 활용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 미용에 효과가 있는 조단백질을 포함하고, 항산화 활성 효과, 피부 장벽 형성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조단백질의 구성 아미노산 분석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2는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법으로 수행한 항산화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2(HAS2)의 mRNA 발현량(상대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필라그린(FLG)의 mRNA 발현량(상대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로리크린(LOR)의 mRNA 발현량(상대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에 대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들은 본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본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언급하는 물성 중에서 측정 온도가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해당 물성은 상온 및 상압에서 측정한 물성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상온은 가열되거나 냉각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온도이고, 예를 들면, 10 ℃ 내지 30 ℃의 범위 내의 어느 한 온도, 예를 들면, 약 15 ℃ 이상, 약 18 ℃ 이상, 약 20 ℃ 이상, 약 23 ℃ 이상, 약 27 ℃ 이하이거나 또는 25 ℃인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특별히 규정하지 않는 한 온도의 단위는 섭씨(℃)이다.
본 출원에서 언급하는 물성 중에서 측정 압력이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해당 물성은 상압에서 측정한 물성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상압은 가압 및 감압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압력으로서 통상 약 700 mmHg 내지 800 mmHg의 범위 내의 기압을 상압으로 지칭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a 내지 b는, a 및 b를 포함하면서 a와 b 사이의 범위 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a 내지 b 중량부로 포함한다는 a 내지 b 중량부의 범위 내로 포함한다는 의미와 동일하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식물성 원료를 통해 피부 미용에 활용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미용에 효과가 있는 조단백질을 포함하고, 항산화 활성 효과, 피부 장벽 형성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를 효소로 처리하고 알코올 화합물로 추출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은 조단백질(crude protei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브로콜리는 송이 부분과 줄기를 포함하는데, 송이 부분은 브로콜리의 꽃 및 꽃봉오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브로콜리의 줄기는 꽃대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브로콜리는 분쇄된 상태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조단백질은 단백질(protein)을 포함하되, 다른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불순물은 예를 들면 질소 원소(N)를 함유하는 질소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단백질(protein)은 펩타이드 결합(peptide bond)으로 연결되어 3차원 구조로 접힌 아미노산(amino acid)의 사슬을 의미할 수 있다. 단백질은 알려진 바와 같이 외부 환경에 의해 변성될 수 있고, 변성에 의해 작용하는 효과도 달라질 수 있다. 단백질을 변성시키는 외부 환경은 온도 및 pH 조건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단백질은 전술한 외부 환경에 의해 단백질 구조의 변화 또는 분자 간 결합의 해리로 인한 변화가 발생되어 변성될 수 있다. 또한, 단백질의 구조는 효소의 종류, 함량(효소의 농도) 및 효소처리의 조건 등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특히, 효소처리의 경우, 효소 그 자체도 단백질이므로 효소처리 시의 온도와 pH 등의 조건이 중요할 수 있다. 즉, 효소처리 시 정해진 온도와 pH의 범위를 벗어나면 효소의 활성 저하에 의해 목적하는 조단백질을 얻기에 불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이 포함하는 조단백질은 브로콜리를 효소로 처리하고 알코올 화합물로 추출하여 얻어질 수 있다. 여기서, 브로콜리를 효소로 처리하는 과정과 알코올 화합물로 추출하는 과정의 각 조건에 따라 얻어지는 조단백질의 종류 및/또는 함량이 상이해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이 포함하는 조단백질은 후술하는 조건 등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조건 등에 따라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수득함으로써, 특정 구성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조단백질을 비교적 고함량으로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조단백질을 포함하는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포함함으로써, 항산화 활성 효과, 피부 장벽 형성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 등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은 조단백질을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의 전체 중량 대비 10 중량% 이상 30 중량 %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함량 범위 내로 조단백질을 포함하는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포함하면, 항산화 활성 효과, 피부 장벽 형성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 등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은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을 알코올 화합물로 추출한 브로콜리 추출물에서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은 브로콜리를 효소로 효소처리한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은 브로콜리 및 수용성 용매를 포함하여 효소로 효소처리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수용성 용매는 물 또는 물과 친화력이 높은 용매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물 및 알코올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브로콜리는 분쇄된 상태일 수 있다. 브로콜리를 수용성 용매에 넣고 분쇄시키면 브로콜리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단백질의 수득 함량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은 브로콜리 및 수용성 용매를 포함하되, 브로콜리(B)와 수용성 용매(W)의 중량 비율(B/W)이 0.1 내지 1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로콜리(B)와 수용성 용매(W)의 중량 비율(B/W)이 0.5 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브로콜리를 효소로 처리할 때 사용되는 효소는 프로테아제(proteas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은 브로콜리 100 중량부 대비 효소를 4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상 또는 6 중량부 이상이거나 10 중량부 이하, 8 중량부 이하 또는 6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은 브로콜리를 특정 조건에서 효소로 효소처리한 것일 수 있다. 즉, 브로콜리를 효소로 처리하여 적절한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효소처리 조건으로 pH 및 온도가 고려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효소처리 시 pH는 6 이상 8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효소처리 시 온도는 40 ℃ 이상60 ℃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효소처리 시 시간은 6 시간 이상 24 시간 이하일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은 브로콜리를 전술한 바와 같이 효소로 처리하고 알코올 화합물로 추출하여 얻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은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을 알코올 화합물로 추출한 브로콜리 추출물에서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알코올 화합물은 히드록시기(-OH)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탄소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알코올 화합물은 1가 알코올, 2가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가 알코올은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히드록시기가 하나인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메탄올 또는 에탄올이 예시될 수 있다. 2가 알코올은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히드록시기가 둘인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에틸렌 글리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이 예시될 수 있다. 다가 알코올은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히드록시기가 셋 이상인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알코올 화합물은 탄소수가 1 내지 4인 저급 1차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코올 화합물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또는 부틸알코올과 같은 저급 1차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을 저급 1차 알코올로 추출하여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수득하면, 목적하는 조단백질을 얻기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브로콜리 추출물은 알코올 화합물의 중량(W1) 및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의 중량(W2)의 비율(W1/W2)이 3 이상 6 이하 또는 3.5 이상 4.5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은 브로콜리 추출물의 하층물에서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브로콜리 추출물은 분별 깔대기(separatory funnel) 등을 통해 상층물과 하층물로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목적하는 조단백질은 하층물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은 브로콜리 추출물의 하층물에서 유래된 침전물을 포함할 수 있다. 침전물은 브로콜리 추출물의 하층물을 원심분리를 통해 수득될 수 있다. 여기서, 원심분리의 회전 속도는 약 2,000 rpm 이상 5,000 rp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원심분리의 분리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침전물이 적절히 생길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리 시간은 5분 이상 30 분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온에서 고형인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은 전술한 브로콜리 추출물의 하층물에서 유래된 침전물을 건조하여 수득할 수 있다. 여기서, 건조 온도는 40 ℃ 이상 60 ℃ 이하일 수 있다. 건조 시간은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이 지속적인 열 에너지로 인해 손상되지 않으면서, 적합한 공정성(processability)도 확보할 수 있으며, 액상 성분을 제거시킬 정도의 적절한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조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12 시간 이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조단백질을 구성하는 구성 아미노산은 류신, 이소류신, 라이신, 메티오닌, 발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글리신, 세린, 알라닌, 글루탐산, 아르기닌, 아스파라긴산, 프롤린 및 히스티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함으로써, 항산화 활성 효과, 피부 장벽 형성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 등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은 항산화 활성 효과, 피부 장벽 형성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용매에 용해될 수 있다. 여기서 용매는 정제수 및 세포 배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피부 장벽 형성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은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의 농도가 0.5 ㎍/mL 이상 1 ㎍/mL 이하가 되도록 용매에 용해될 수 있다.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의 농도가 1 ㎍/mL 를 초과할 경우, 세포 독성으로 in-vitro 시험이 어려울 수 있다.
부가적/대안적으로, 항산화 활성 효과를 위해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은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의 농도가 10 mg/mL 이상이 되도록 용매에 용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농도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 한 25 ℃를 기준으로 측정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의 농도의 단위는 질량/부피이고, 질량은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의 질량을 의미하고 부피는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과 용매의 전체 부피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추출 시 사용되는 알코올 화합물과는 별개로, 알코올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알코올 화합물은 히드록시기가 둘인 2가 알코올 및 히드록시기가 셋 이상인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으로 사용되기 위해 추가로 필요한 첨가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향료, 비타민, 코엔자임, 콜라겐, 피부세포 성장인자(EGF) 및 키토산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물성 원료를 통해 피부 미용에 활용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미용에 효과가 있는 조단백질을 포함하고, 항산화 활성 효과, 피부 장벽 형성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를 효소로 처리하고 알코올 화합물로 추출하여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이 10 중량% 이상의 조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은 조단백질을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의 전체 중량 대비 10 중량% 이상 30 중량 %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브로콜리에 효소로 효소처리를 수행하여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을 알코올 화합물로 추출하여 브로콜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먼저 브로콜리를 효소처리 한 후에 수득한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을 알코올 화합물로 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이 10 중량% 이상의 조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브로콜리에 효소로 효소처리를 수행하여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브로콜리는 수용성 용매에 분산된 채 효소로 효소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수용성 용매의 종류와 브로콜리 및 수용성 용매의 함량 비율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에서, 브로콜리에 효소로 효소처리를 수행하여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브로콜리는 분쇄된 상태일 수 있고, 효소는 프로테아제(proteas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브로콜리와 효소의 함량 비율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에서, 브로콜리에 효소로 효소처리를 수행하여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효소처리 시 pH는 6 이상 8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브로콜리에 효소로 효소처리를 수행하여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효소처리 시 온도는 40 ℃ 이상 60 ℃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브로콜리에 효소로 효소처리를 수행하여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효소처리 시 효소처리 시간은 6시간 이상 24 시간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을 알코올 화합물로 추출하여 브로콜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브로콜리에 효소로 효소처리를 수행하여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을 알코올 화합물로 추출하여 브로콜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알코올 화합물을 이용하여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에서 조단백질을 추출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알코올 화합물은 전술한 추출 과정에서 사용되는 알코올 화합물과 동일하게 설명된다.
실시예에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브로콜리 추출물에서 하층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하층액으로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브로콜리 추출물에서 하층액을 수득하는 단계는 브로콜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수득한 브로콜리 추출물을 분별 깔대기(separatory funnel) 등을 통해 상층물과 하층물로 분리시킬 수 있고, 하층물만 빼내어 수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알코올 화합물로 추출하는 과정에서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 내의 조단백질이 알코올 화합물로 인해 추출될 수 있고, 추출된 조단백질은 하층물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층액으로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 브로콜리 추출물의 하층물로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침전물을 수득할 수 있다. 원심분리의 속도와 시간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에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침전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침전물을 건조하는 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브로콜리 추출물의 하층물에서 유래된 침전물을 건조하는 단계일 수 있고, 건조 방식은 열풍, 레이저 또는 항온 등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라면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내용으로 인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의 제조
(1) 제조예 1의 제조
브로콜리(B)와 물(W)을 1:2(B:W)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뒤 믹서(mixer)로 분쇄하여 분쇄물을 수득하였다. 분쇄물에 효소인 프로테아제(protease, Creative Enzymes 社)를 첨가하여 효소 첨가물을 수득하였다. 프로테아제는 브로콜리(B)의 100 중량부 대비 약 6 중량부로 첨가하였다. 효소 첨가물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를 약 7이 되도록 조절한 후 약 50 ℃에서 약 6 시간 동안 효소처리를 수행하고 여과(filteration)를 거쳐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을 수득하였다.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을 약 25 ℃에서 1시간 정도 에탄올(ethanol)로 처리하여 브로콜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여기서, 에탄올의 중량(W1) 및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의 중량(W2)의 비율(W1/W2)은 약 4 이다.
브로콜리 추출물을 분별 깔대기(separatory funnel)에 넣고, 브로콜리 추출물의 하층물을 수득하였다. 하층물은 약 3,000 rpm의 회전속도로 약 10분 동안 처리해 원심분리되었고, 이를 통해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침전물을 약 50 ℃의 항온 건조기에서 약 24 시간 동안 건조시켜 고형의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수득하였다.
(2) 비교제조예 1의 제조
브로콜리(B)와 물(W)을 1:2(B:W)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뒤 믹서(mixer)로 분쇄하여 분쇄물을 수득하였다. 분쇄물을 약 90 ℃ 에서 약 4 시간 동안 열수추출을 수행하고 여과를 거쳐 브로콜리 열수 처리물을 수득하였다.
브로콜리 열수 처리물은 약 25 ℃에서 1시간 정도 에탄올로 처리하여 브로콜리 추출물(열수)을 수득하였다. 여기서, 에탄올의 중량(W1) 및 브로콜리 열수 처리물의 중량(WH)의 비율(W1/WH)은 약 1 정도였다.
브로콜리 추출물(열수)은 약 3,000 rpm의 회전속도 및 약 10분 정도 원심분리되었고, 이를 통해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침전물을 약 50 ℃의 항온 건조기에서 약 24 시간 동안 건조시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수득하였다.
(3) 비교제조예 2 및 3의 제조
비교제조예 2 및 3은 에탄올의 중량(W1) 및 브로콜리 열수 처리물의 중량(WH)의 비율(W1/WH)을 약 2 및 약 4 정도로 제어한 것을 제외하면, 비교제조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제조예 1 내지 3에서 에탄올의 중량(W1) 및 브로콜리 열수 처리물의 중량(WH)의 비율(W1/WH)은 [표 1]과 같다.
(4) 비교제조예 4 내지 21의 제조
제조예 1에서 [표 2]와 같이 효소의 종류, 브로콜리 100 중량부 대비 효소의 중량부, 효소 처리 Ph., 효소 처리 온도 및 효소 처리 시간을 달리하면서 비교제조예 4 내지 21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비교제조예 4 및 5는 효소의 종류가 alcalase 및 protease로 서로 상이하다. 비교제조예 6 내지 9는 브로콜리(B) 100 중량부 대비 효소의 중량부가 서로 상이하다. 비교제조예 10 내지 13은 효소 처리 pH가 서로 상이하다. 비교제조예 14 내지 17은 효소 처리 온도가 서로 상이다. 또한, 비교제조예 18 내지 21은 효소 처리 시간이 서로 상이하다.
실험예
(1) 실험예 1: 간이 단백질 정량
제조예 1, 비교제조예 1 내지 21에 대하여 브래드퍼드 단백질 정량법(Bradford protein assay)를 통해 조단백질을 정량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단백질의 정량방법>
표준 물질(standard material)로 소 혈청 알부민(BSA, Bovine Serum Albumin)을 사용하였다. 소 혈청 알부민의 농도(물에 희석)를 0.125 mg/mL, 0.25 mg/mL, 0.5 mg/mL, 0.75 mg/mL 및 1 mg/mL로 하고 이들을 각각 5 ㎕ 씩 정량하고 Quick Start?? Bradford 1x Dye Reagent(BIO-RAD, United State) 250㎕와 혼합하여 5분 간 정치한 후, 약 595 nm에서 분광기로 측정된 광학 밀도(Optical Density)로 표준 곡선(standard curve, R2=약 0.999)을 작성하였다. 표준 곡선은 x 축을 소 혈청 알부민의 농도로 하고 y 축을 광학 밀도로 하여 나타난 데이터를 선형 회귀 분석법(Linear regression)으로 얻었다.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서 수득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10 mg/mL가 되도록 물(water)에 분산시켜 시료(sample)를 제조하였다. 시료 5 ㎕와 Quick Start?? Bradford 1x Dye Reagent(BIO-RAD, United State) 250 ㎕를 혼합하고 약 5분간 정치한 뒤, 약 595 nm에서 분광기(UV-Vis Spectrophotometer)로 광학 밀도를 측정하였다.
표준 곡선 상에서, 측정된 광학 밀도 값과 대응하는 농도를 구하였다. 대응하는 농도를 통해 시료에 함유된 단백질의 함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조단백질의 함량으로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의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에 포함되는 단백질의 함량 비율을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제조예 1은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게 하는 단백질을 비교제조예 1 내지 21에 비해 큰 차이로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조예 1은 본 발명의 조합에 의한 방법으로 추출한 브로콜리 유래의 단백질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서,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는데 유리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비교제조예 1 내지 21은 본 발명과 달리 적은 양의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조예 1과 상이한 조건으로 제조된 비교제조예 1 내지 21은 그에 따른 결과가 상당히 차이가 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제조예 1 내지 3을 참조하면, 에탄올의 중량(W1) 및 브로콜리 열수 처리물의 중량(WH) 간의 비율(W1/WH)이 제조예의 에탄올의 중량(W1) 및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의 중량(W2) 간의 비율(W1/W2, 즉 4)에 가까울수록 단백질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비교제조예 1 내지 3은 효소가 첨가되지 않아, 가수분해 되지 않은 상대적으로 커다란 단백질을 수득하였다. 이러한 단백질은 피부 침투가 어려워, 화장료 조성물, 피부 외용제 등에 이용되기에 부적합하다.
또한, 비교제조예 4 및 5를 참조하면, 제조에 1 과 마찬가지로, 효소로서 alcalase를 사용하는 경우에 protease를 사용하는 경우 보다 단백질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제조예 6 내지 21을 참조하면, 브로콜리(B) 100 중량부 대비 효소의 중량부, 효소 처리 pH, 효소 처리 온도 및 효소 처리 시간이 제조예 1에 가까울수록 단백질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 실험예 2: 조단백질의 함량 분석
'식품공전 제 8. 일반시험법 2. 식품성분시험법 2.1 일반성분시험법 2.1.3. 질소화합물 2.1.3.1 총질소 및 조단백질 나. 단백질 분석기를 이용한 방법'에 근거하여 제조예 1에 대한 조단백질 함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예 1의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취해 단백질 분해촉진제와 황산 15 mL 와 혼합한 후, Foss Tecator Digestor Auto 20, Foss Tecator Scrubber 로 60 분 간 420 ℃에서 분해하고, Foss Kjeltec 8400, Foss Kjeltec Sampler 8420 을 사용하여 조단백질 함량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제조예 1의 조단백질 함량은 17.43%로 확인되었다.
(3) 실험예 3: 조단백질의 구성 아미노산 분석
'대한민국 건강기능식품공전 III. 건강기능식품 시험법 중 III.3.3.2 아미노산[구성 아미노산]'에 근거하여 제조예 1에 대하여 조단백질의 구성 아미노산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표준 물질은 Thermo社의 Amino Acid Standard Mix 앰플을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분석은 아미노산 자동 분석기인 Amino acid analyzer L-8900을 사용하였고, 구체적인 조건은 하기와 같다.
- 컬럼(Column): Ion exchange resin (60 mm Х 4.5 mm Na type)
- 검출기(detector): 570 nm, 구연산 리튬 완충액, 닌히드린 시액(반응액), 0.4 mL/min
- 이동상(mobile phase): 10 ㎕, 57 ℃, 135 ℃, 33 min
분석에 사용된 시료는 하기와 같이 제조되었다.
제조예 1에서 수득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에 포함된 조단백질의 적당량에 0.05%(w/v) 농도의 2-머캅토에탄올(2-Mercaptoethanol, C2H6SO)을 함유한 6 N의 염산을 10 mL를 가하였다. 이후, 이를 드라이아이스와 에탄올로 동결한 후 탈기 장치에 장착시켜 융해 및 동결을 반복하여 충분히 탈기시켰다. 그 다음으로, 이를 봉관하여 정온 가열로 약 110 ℃에서 22 내지 24 시간 정도 가수분해 반응을 수행한 후 봉관을 절단하였다. 절단 후 즉시 감압하였고 40 ℃에서 농축 건조를 반복하여 염산을 최대한 제거하였다. 이후, 0.2 N 구연산 나트륨 완충액(pH 2.2)를 가하여 분석에 사용된 시료를 수득하였다.
도 1은 조단백질의 구성 아미노산 분석 결과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x축은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을 나타낸 것이고, y 축은 신호 강도(signal intensity)를 나타낸 것이다. x 축의 단위는 분(minute)이고, y 축의 단위는 밀리볼트(mV)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머무름 시간에 따라 다양한 피크(peak)가 형성되어 있고, 각 피크의 머무름 시간을 통해 아미노산의 종류를 정성 평가할 수 있다. 또한, 각 머무름 시간에 해당하는 피크의 적분 값이 도 1에 도시되며, 표준 물질의 적분 값과 대조하여 각 아미노산들의 함량을 얻었다. 각 아미노산들의 함량은 전체 아미노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몇 %에 해당하는지 [표 4]에 정리하였다.
(4) 실험예 4: 항산화 시험
제조예 1에 대하여 DPPH(1,1-diphyenyl-2-picrylhydrazyl) radical 소거활성 측정법을 통해 항산화 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료는 농도별(10 ㎍/mL, 100 ㎍/mL, 1,000 ㎍/mL 및 10,000 ㎍/mL,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의 농도 기준)로 제조(용매: 증류수)하였다. 0.5mM DPPH 용액과 시료를 1 : 1의 비율로 섞은 후 상온에서 30분 동안 차광 및 혼합 반응시키고, Microplate reader(Thermo, UV/Vis)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샘플 외 블랭크(Blank)로는 증류수를 사용하였고, 대조군(Control, Vit-C)은 시료와 동량을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는 제조예 1에서 수득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증류수에 넣고, 각 농도별로 제조하였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00 Х [1- {시료별 (ODDPPH-OD에탄올)}/{블랭크 (ODDPPH-OD에탄올)}] 식으로 계산하였다. 활성 산소(자유라디칼)를 포함하는 DPPH는 항산화 물질에 의하여 소거되기 때문에 소거능이 높게 측정될수록 항산화 효능이 높게 평가될 수 있다.
분석 결과를 표 5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법으로 수행한 항산화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DPPH 용액을 투명한 시료에 첨가하면 보라색으로 나타나고, 용액 내의 DPPH radical이 소거되면 점차 노란색으로 나타난다.
실험 결과, 도 2를 참조하면 제조예 1은 적절한 농도에서 DPPH 용액을 첨가하였을 때 radical이 소거되어 노란색으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5를 참조하면, 제조예 1은 DPPH radical의 제거능이 우수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5) 실험예 5: 피부 보습 효과 시험
제조예 1(시료)에 대하여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2(HAS2, hyaluronan synthase 2)의 mRNA 발현량을 통해 보습 효과 시험을 수행하였다.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2는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의 한 종류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을 생성하는 효소로서, 히알루론산은 보습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Hyaluronan minimizes effects of UV irradiation on human keratinocytes. Archives of Dermatological Research, 303: 277-284, 2011.). 즉,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2의 mRNA 발현량이 높게 측정될수록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갖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Hara-Chikuma M, Verkman AS. Roles of aquaporin-3 in the epidermis.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28: 2145-2151. 2008.). 피부 보습 효과 시험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6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2의 mRNA 발현량(상대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HaCaT 세포주를 60mm dish에 well 당 적정 농도로 4mL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Serum starvation 24시간 진행 후 시료(제조예 1)를 농도 별로 처리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 조건 하에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후 Trizol(Invitrogen)을 1mL 처리하여 RNA 추출하고 클로로포름, 2-프로판올, 75% EtOH 및 원심분리기 사용하여 RNA 응축 및 워싱을 진행하였다. RNA 건조 후 Nuclease free water 적정량 넣고 Nano drop(ALLSHENG)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각 RNA를 동일 농도가 되도록 제조한 후 cDNA Synthesis Kit(PhileKorea)를 이용하여 Reverse transcription 하였다. 합성된 cDNA 및 Primer(HAS2 Oligonucleotide), SYBR green 및 Nuclease free water를 적정 비율로 혼합한 후 Real time PCR 장비(Applied Biosystem, Quantstudio 5)를 사용하여 RT-qPCR을 진행하였고, PCR 결과 분석은 △△Ct 값을 산출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비교하였다.
대조군(Contol)는 배지를 사용하였고, 판테놀(panthenol)은 농도가 10 mg/mL가 되도록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한 것이다. 대조군에서 측정된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2의 mRNA 발현량이 1이라고 하였을 때, 판테놀과 시료(제조예 1)에서 측정된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2의 mRNA 발현량을 상대 값으로 측정하였고, 상대 값에 대한 증감 비율(%)을 측정하였다.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2의 mRNA 발현량의 상대 값에 대한 증감 비율(%)은 판테놀 또는 시료(제조예 1)에서 측정된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2의 mRNA 발현량(상대값)을 대조군에서 측정된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2의 mRNA 발현량으로 뺀 뒤, 이를 대조군에서 측정된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2의 mRNA 발현량으로 나누고 100을 곱한 백분율 값으로 하였다.
실험 결과, 제조예 1은 적절한 농도에서 mRNA 발현량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조예 1은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6) 실험예 6: 피부 장벽 형성 효과 시험
제조예 1(시료)에 대하여 필라그린(FLG, filaggrin) 및 로리크린(LOR, loricrin)의 mRNA 발현량을 통해 피부 장벽 형성 효과 시험을 수행하였다. 필라그린은 케라틴을 서로 붙게 하는 접착제의 역할을 하여 케라틴 섬유들이 견고하게 붙고 궁극적으로 각질 세포의 형태도 점점 평평해지면서 피부 장벽의 물리적인 지지력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다(Steinert PM, Cantieri JS, Teller DC, Lonsdale-Eccles JD, Dale BA. Characterization of a class of cationic proteins that specifically interact with intermediate filaments. Proc Natl Acad Sci U S A 1981;78:4097-101.). 로리크린은 피부의 물리적 장벽의 역할을 담당하는 각질세포 단백질 외막을 형성하는 단백질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Steinert PM, Marekov LN. The proteins elafin, filaggrin, keratin intermediate filaments, loricrin, and small proline-rich proteins 1 and 2 are isodipeptide cross-linked components of the human epidermal cornified cell envelope. J Biol Chem 1995;270:17702-11.). 즉, 필라그린 및/또는 로리크린의 mRNA 발현량이 높게 측정될수록 우수한 피부 장벽 형성 효과를 갖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2의 mRNA 대신에 필라그린의 mRNA 또는 로리크린의 mRNA의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Primer를 FLG Oligonucleotide 또는 LOR Oligonucleotide을 사용하여 PCR 결과 분석을 수행하였고, 필라그린의 mRNA 또는 로리크린의 mRNA의 발현량을 상대 값으로 각각 측정하였으며, 상대 값에 대한 증감 비율(%)을 각각 측정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5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피부 장벽 형성 효과 시험에 대한 결과는 표 7 및 표 8과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표 7은 필라그린의 mRNA 발현량(상대 값)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필라그린의 mRNA 발현량(상대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한, 표 8은 로리크린의 mRNA 발현량(상대 값)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로리크린의 mRNA 발현량(상대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험 결과, 제조예 1은 적절한 농도에서 mRNA 발현량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조예 1은 우수한 피부 장벽 형성 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실험 결과, 제조예 1은 적절한 농도에서 mRNA 발현량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조예 1은 우수한 피부 장벽 형성 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를 효소로 처리한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을 알코올 화합물로 추출한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효소는 프로테아제(protease)이고,
    상기 알코올 화합물의 중량(W1) 및 상기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의 중량(W2)의 비율(W1/W2)이 3 내지 6인,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은 10 중량% 이상의 조단백질(Crude protein)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은 상기 브로콜리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효소를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하여 효소처리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은 상기 브로콜리를 pH가 6 내지 8인 조건에서 상기 효소로 효소처리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은 상기 브로콜리를 온도가 35 ℃ 내지 60 ℃인 조건에서 상기 효소로 효소처리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은 상기 브로콜리를 4시간 이상 24 시간 이하에서 상기 효소로 효소처리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화합물은 탄소수가 1 내지 4인 저급 1차 알코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은 브로콜리 추출물의 하층물에서 유래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단백질을 구성하는 구성 아미노산은 류신, 이소류신, 라이신, 메티오닌, 발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글리신, 세린, 알라닌, 글루탐산, 아르기닌, 아스파라긴산, 프롤린 및 히스티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피부 장벽 형성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상기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의 농도가 0.5 ㎍/mL 이상에서 상기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이 용매에 용해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항산화 활성 효과를 위해 상기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의 농도가 10 mg/mL 이상에서 상기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이 용매에 용해되는, 화장료 조성물.
  14.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를 효소로 처리하고 알코올 화합물로 추출하여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효소는 프로테아제(protease)이고,
    상기 알코올 화합물의 중량(W1) 및 상기 브로콜리 효소 처리물의 중량(W2)의 비율(W1/W2)이 3 내지 6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30124852A 2023-09-19 2023-09-19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43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4852A KR102643725B1 (ko) 2023-09-19 2023-09-19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4852A KR102643725B1 (ko) 2023-09-19 2023-09-19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725B1 true KR102643725B1 (ko) 2024-03-05

Family

ID=90298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4852A KR102643725B1 (ko) 2023-09-19 2023-09-19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7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1413A (ko) * 2009-04-07 2010-10-15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효소처리에 의한 연자육 추출물의 제조방법
JP2018518192A (ja) * 2015-05-04 2018-07-12 浙江海正薬業股▲ふん▼有限公司Zhejiang Hisun Pharmaceutical CO.,LTD. ブロッコリータンパク質のペプチドを調製する方法、それによって調製されたブロッコリータンパク質のペプチド、および、その使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1413A (ko) * 2009-04-07 2010-10-15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효소처리에 의한 연자육 추출물의 제조방법
JP2018518192A (ja) * 2015-05-04 2018-07-12 浙江海正薬業股▲ふん▼有限公司Zhejiang Hisun Pharmaceutical CO.,LTD. ブロッコリータンパク質のペプチドを調製する方法、それによって調製されたブロッコリータンパク質のペプチド、および、その使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9438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et/ou pharmaceutique comprenant un hydrolysat peptidique capable de renforcer la fonction barrière
EP2421884B1 (fr) Hydrolysats peptidiques activateurs du proteasome et compositions les contenant
JP6861820B2 (ja) モモ(prunus persica)の水性抽出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EP2953611B1 (fr) Utilisation d&#39;une composition comprenant un perséose d&#39;avocat dans la protection des cellules souches épidermiques
JP6846422B2 (ja) Palmaria palmataとジャスミンとの相乗作用的抽出物、それを含む組成物およびそれらの使用
KR20180080319A (ko) 소형 rna 참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및 노화의 피부 징후를 감소시키는 미용 관리 방법
JP5983952B2 (ja) 化粧用組成物の製造方法
CN102459309B (zh) 蛋白酶体激活性增亮肽水解产物和含有它们的组合物
KR102643725B1 (ko) 브로콜리 유래 복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ITRM20060233A1 (it) Metodo per la preparazione e l uso di un estratto arricchito in cianidina 3 o beta glucopiranoside e suoi derivati da frutti e vegetali conenti detta antocianina e per la purificazione e l uso di cianidina 3 o beta glucopiranoside e suoi derivati da
CN111748015B (zh) 一种活性多肽os-ll11及其应用
KR102098871B1 (ko) 역미셀을 형성하는 발효유화제를 이용한 안티인플라메이징 조성물
KR20190001105A (ko) 수경재배한 인삼의 지상부 유래의 진세노사이드 f5와 황금누에고치 유래의 황금세리신을 포함하는 두피보호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9221201A (ja) 皮膚老化の兆候の出現を予防または遅延させる活性薬剤としてのブラソカトレア・マーセラ・コス(BrassocattleyamarcellaKoss)ラン抽出物の使用
JP6388201B2 (ja) サイトケラチン増加作用を呈するカロチノイド誘導体
US10973858B2 (en) Nerve growth promot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internal preparation, medium additive, cell dilution additive, medium, cell dilution, antioxida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xternal preparation, and wound treatment ag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150036856A (ko) 알러지 성분이 제거된 분리정제봉독을 이용한 기능성 봉독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JP5991877B2 (ja) ヤブツバキの若葉抽出液を含有する化粧料
KR102622004B1 (ko) 클로렐라 프로토테코이데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047793B2 (ja) 酵素活性阻害剤
FR2944795A1 (fr) Hydrolysats peptidiques activateurs du proteasome et compositions les contenant
KR101786070B1 (ko) 미토콘드리아의 아코니타제를 자극하는 화장 케어의 방법
CN115038426A (zh) 调料九里香提取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EP4311860A1 (fr) Méthode d&#39;évaluation in vitro de l&#39;activité photoprotectrice d&#39;un actif
IT201900009558A1 (it) Uso cosmetico di estratti derivati da colture di cellule vegetali appartenenti alla specie Pelargonium capitatum e composizioni cosmetiche che contengono tali estratt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