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453B1 - 환자용 보행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환자용 보행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453B1
KR102643453B1 KR1020220052549A KR20220052549A KR102643453B1 KR 102643453 B1 KR102643453 B1 KR 102643453B1 KR 1020220052549 A KR1020220052549 A KR 1020220052549A KR 20220052549 A KR20220052549 A KR 20220052549A KR 102643453 B1 KR102643453 B1 KR 102643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istance device
walking assistance
ground
present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2957A (ko
Inventor
박기주
Original Assignee
박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주 filed Critical 박기주
Priority to KR1020220052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453B1/ko
Publication of KR20230152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4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25Activ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용 보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거동이 불편한 사람 또는 환자, 노약자가 경사면에서 이동할 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고, 구름바퀴를 이용하여 이동하기 쉬운 기능을 제공하는 보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경사면에서 이동할 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보행보조장치를 신속하게 멈출 수 있고, 사용자가 보행보조장치의 손잡이를 놓고 이탈하더라도 보행보조장치가 지면 또는 경사면에서 미끄러져 굴러가거나 이동하는 현상이 없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환자용 보행보조장치{Walking pace device for patient}
본 발명은 환자용 보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사람 또는 환자, 노약자가 경사면에서 이동할 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고, 구름바퀴을 이용하여 이동하기 쉬운 기능을 제공하는 환자용 보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보조장치(워커)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보행을 돕는데 사용하는 장치로, 각종 질병이나 사고로 인해 다리 또는 척추의 선·후천성 기형이나 마비 및 노쇠화로 상실된 근력을 대신하여 스스로 보행을 가능케 하는 의료기기 중 하나이다.
상기 보행보조장치의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2325호와 같이 보행기의 전방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하부에 바퀴가 연결되어져 있고, 그 하부는 지면과 일정각도 경사져 있으며 상부는 지면과 수직되게 형성되고 상단이 수직으로 절곡되어진 전방 다리와, 상기 전방 다리에 힌지결합되고 지면과 일정각도 경사져 있는 후방 다리로 이루어진 다리부와; 상기 전방 다리의 상단에서 전후방으로 환자의 팔을 걸 수 있게 수평 절곡된 팔걸이부로 구성된다.
상기 보행보조장치는 전후방 다리에 바퀴가 구성되어 수평으로 된 지면에는 이동이 용이하나 경사진 경사면에서는 사용자가 팔걸이부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천천이 이동해야 하나 경사면에 따라 바퀴가 멈추지 않고 굴러가기 때문에 보행보조장치가 사용자의 몸에서 이탈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또 다른 선행기술의 보행보조장치는 전방 다리에 바퀴를 구비하고, 후방 다리에는 미끄럼방지패드를 부착하여 경사면에서 이동할 시 후방 다리를 들어 바퀴를 이동할 수 있으나 경사면에서 사용자가 팔걸이부를 지탱하면서 손으로 강하게 파지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후방 다리를 들어 올리기 상당히 힘들어 앞으로 이동하기 불편하고, 이 또한 후방 다리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바퀴에 의해 경사면에서 굴러가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에서 멀리 이동하여 사용자가 균형을 잡지 못하고 넘어질 수 있는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362325 Y1 2004.09.16. KR 20-0246798 Y1 2001.10.17.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보행보조장치의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하여 개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지면 또는 경사면 어느 곳에서도 편리하고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보행 중에 보행보조장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보행 중에 미끄러지지 않고 용이하고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도록 한 환자용 보행보조장치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하단에 이동바퀴가 구성된 전방다리와 하단에 미끄럼방지패드가 구성된 후방다리로 양측에 대칭되게 구성된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상부 중앙에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전방에 구성되며, 전방에 와이어가 연결구성된 이동작동레버와; 후방다리의 하단 측면에 축 설치되어 상하로 각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전방에 와이어의 단부와 연결되며, 미끄럼방지패드를 지면 또는 경사면에서 떨어지도록 한 뒤 지면 또는 경사면에 맞닿도록 하여 앞으로 보행할 수 있도록 후방에 구름바퀴가 구성되고, 손으로 움켜진 이동작동레버가 해제될 시 구름바퀴가 지면 또는 경사면에서 떨어져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복원수단이 구성된 작동바;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 복원수단은 작동바와 후방다리에 연결되도록 복원스프링을 설치하여 작동바가 각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 복원수단은 작동바의 전방에 무게추를 설치하여 작동바가 각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보행보조장치를 사용함으로 이하와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 지면 또는 경사면 어느 곳에서도 안전사고 없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 경사면에서 이동할 시 사용자가 원하는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게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 수평 지면 또는 경사면에서 다리부를 들어올릴 필요없이 밀어서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 경사면에서 이동할 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보행보조장치를 신속하게 멈출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 사용자가 보행보조장치의 손잡이를 놓고 이탈하더라도 보행보조장치가 지면 또는 경사면에서 미끄러져 굴러가거나 이동하는 현상이 없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환자용 보행보조장치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환자용 보행보조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환자용 보행보조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복원수단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5는 환자용 보행보조장치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해 분명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물론, 설명하는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고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전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환자용 보행보조장치의 도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환자용 보행보조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환자용 보행보조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보행을 돕는데 사용하는 장치로, 지면 또는 경사면에 접하는 다리부(110)와 사용자(환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120)로 구성된다.
상기 다리부(110)는 양측에 대칭되게 전방다리(111)와 후방다리(112)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다리(111)는 하단에 지면 또는 경사면에 맞닿을 시 앞으로 이동하기 편리하게 이동바퀴(111a)가 구성되며, 상부 중앙에 양측 전방다리(111)가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전방연결대(111b)가 구성된다.
상기 후방다리(112)는 하단부분이 지면 또는 경사면에 맞닿을 시 전방다리(111)에 구성된 이동바퀴(111a)에 의해 앞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이동되지 않도록 하단에 미끄럼방지패드(112a)가 구성되며, 하단 상부에 후방다리(11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낮이조절수단(112b)이 구성되고, 하단 측면에 상하로 각운동될 수 있도록 축 설치된 작동바(200)가 구성된다.
상기 작동바(200)는 후방에 구름바퀴(210)가 구성되며, 이 구름바퀴(210)가 지면 또는 경사면에 맞닿은 후 지면에서 떨어진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복원수단(220)이 구성된다.
상기 복원수단(220)은 후방다리(112)와 연결되도록 복원스프링(221)을 설치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도 4와 같이 작동바(200)의 전방에 무게추(222)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상기 높낮이조절수단(112b)은 일반적인 구성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전·후방다리(111)(112)의 사이 중간에는 전·후방다리(111)(112)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측면연결대(130)가 구성된다.
상기 다리부(110)의 상부 중앙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20)가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120)의 전방에는 미끄럼방지패드(112a)를 지면에서 떨어지도록 한 후 구름바퀴(210)를 지면에 맞닿도록 하여 앞으로 쉽게 보행할 수 있도록 작동바(200)를 작동시키는 이동작동레버(300)가 구성된다.
상기 이동작동레버(300)는 구름바퀴(210)가 상·하로 각운동될 수 있게 작동바(200)의 전방에 연결된 와이어(310)가 구성되면, 본 발명은 완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환자용 보행보조장치(100)는 각종 질병이나 사고로 인해 다리 또는 척추의 선·후천성 기형이나 마비 및 노쇠화로 상실된 근력을 대신하여 스스로 보행을 가능케 하는 의료기기 중 하나로, 작동방법은 아래에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환자용 보행보조장치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
환자용 보행보조장치(100)은 지면 또는 경사면을 보행할 시 사용자의 손으로 이동작동레버(300)를 움켜쥐면, 와이어(310)와 연결된 작동바(200)가 후방다리(112)에서 축 회전하여 구름바퀴(210)가 지면 또는 경사면에 맞닿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미끄럼방지패드(112a)가 지면 또는 경사면에서 떨어지고, 환자용 보행보조장치(100)를 앞으로 밀면 구름바퀴(210)에 의해 손쉽게 앞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움켜진 이동작동레버(300)를 놓았을 때 구름바퀴(210)는 복원수단(220)에 의해 지면 또는 경사면에서 떨어지며 미끄럼방지패드(112a)가 지면 또는 경사면에 맞닿아 환자용 보행보조장치(100)가 미끄러지지 않고 정지될 수 있고, 사용자가 없어도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동작동레버(300)와 구름바퀴(210)의 구성은 노약자용 실버카, 유아용 유모차에 적용가능하여 산업상 다양한 분야에 이용가능성이 높으며, 경제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은 단지 본 발명의 약간의 개선점으로 형성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으로,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개선점에 대하여 실시한 동등한 변화 또는 등가의 변화, 또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 않은 조합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100: (환자용) 보행보조장치
110: 다리부 111: 전방다리
111a: 이동바퀴 111b: 전방연결대
112: 후방다리 112a: 미끄럼방지패드
112b: 높낮이조절수단
120: 손잡이
130: 측면연결대
200: 작동바 210: 구름바퀴
220: 복원수단 221: 복원스프링
222: 무게추
300: 이동작동레버 310: 와이어

Claims (3)

  1. 하단에 이동바퀴(111a)가 구성된 전방다리(111)와 하단에 미끄럼방지패드(112a)가 구성된 후방다리(112)로 양측에 대칭되게 구성된 다리부(110)와;
    상기 다리부(110)의 상부 중앙에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120)와;
    상기 손잡이(120)의 전방에 구성되며, 전방에 와이어(310)가 연결구성된 이동작동레버(300)와;
    후방다리(112)의 하단 측면에 축 설치되어 상하로 각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전방에 와이어(310)의 단부와 연결되며, 미끄럼방지패드(112a)를 지면 또는 경사면에서 떨어지도록 한 뒤 지면 또는 경사면에 맞닿도록 하여 앞으로 보행할 수 있도록 후방에 구름바퀴(210)가 구성되고, 손으로 움켜진 이동작동레버(300)가 해제될 시 구름바퀴(210)가 지면 또는 경사면에서 떨어져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복원수단(220)이 구성된 작동바(20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복원수단(220)은 작동바(200)의 전방에 무게추(222)를 설치하여 작동바(200)가 각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보행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원수단(220)은 작동바(200)와 후방다리(112)에 연결되도록 복원스프링을 설치하여 작동바(200)가 각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보행보조장치.
  3. 삭제
KR1020220052549A 2022-04-28 2022-04-28 환자용 보행보조장치 KR102643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549A KR102643453B1 (ko) 2022-04-28 2022-04-28 환자용 보행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549A KR102643453B1 (ko) 2022-04-28 2022-04-28 환자용 보행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957A KR20230152957A (ko) 2023-11-06
KR102643453B1 true KR102643453B1 (ko) 2024-03-05

Family

ID=88748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549A KR102643453B1 (ko) 2022-04-28 2022-04-28 환자용 보행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4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4746B2 (ja) * 1996-03-15 2001-11-05 花王株式会社 清掃具
KR101743166B1 (ko) * 2016-03-17 2017-06-02 주식회사 자나스 보행 보조기용 안전장치
KR101887459B1 (ko) * 2016-12-13 2018-08-10 함대인 레버를 이용한 편리한 보행 보조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798Y1 (ko) 2001-06-02 2001-10-17 양수철 환자용 보행 보조장치
KR200362325Y1 (ko) 2004-06-16 2004-09-16 정유진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
JP3224746U (ja) * 2019-10-31 2020-01-16 ユーバ産業株式会社 歩行補助器及びその補助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4746B2 (ja) * 1996-03-15 2001-11-05 花王株式会社 清掃具
KR101743166B1 (ko) * 2016-03-17 2017-06-02 주식회사 자나스 보행 보조기용 안전장치
KR101887459B1 (ko) * 2016-12-13 2018-08-10 함대인 레버를 이용한 편리한 보행 보조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957A (ko) 202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6297B2 (en) Wheeled support cane
US5020560A (en) Walker having wheels and brakes
US9486385B1 (en) Compact cantilevered ambulatory assistive device
EP3064187A1 (en) Patient transfer and training aid
JP2008036392A (ja) 介護補助装置
JP5804413B2 (ja) 歩行補助車
US6135131A (en) Adjustable walker handles
MX2015002217A (es) Sistema de reposicionamiento del paciente.
US20010038186A1 (en) Rolling crutch with braking means
KR102643453B1 (ko) 환자용 보행보조장치
JP2010279396A (ja) 介護用移乗用具
JP2017113498A (ja) 両脚サポート椅子
WO2020137166A1 (ja) 移乗装置
WO2014029998A1 (en) Wheeled walking aid with sit to stand help
CN209032911U (zh) 一种便于使用的轮椅床
TWM499218U (zh) 多功能復健助行器
JP2017158955A (ja) 歩行器
EP0004761B1 (en) A crutch
CN115054493A (zh) 一种医疗护理用助行装置
CN211560744U (zh) 一种安全轮椅
JP3033342U (ja) 歩行補助車
CN211157119U (zh) 一种病患康复护理助行器
US3002761A (en) Walker
CN215689617U (zh) 一种骨科护理用移动辅助设备
TW201043217A (en) Walking a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