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099B1 -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099B1
KR102643099B1 KR1020200011792A KR20200011792A KR102643099B1 KR 102643099 B1 KR102643099 B1 KR 102643099B1 KR 1020200011792 A KR1020200011792 A KR 1020200011792A KR 20200011792 A KR20200011792 A KR 20200011792A KR 102643099 B1 KR102643099 B1 KR 102643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lesterol
preventing
yangchunsa
baekchul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8068A (ko
Inventor
권강범
김하림
이금산
김예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원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원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원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011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099B1/ko
Publication of KR20210098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0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양춘사(Amomum villosum Lour.) 및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화학적 합성 약물과는 달리 천연물을 이용함으로써 독성에 대한 문제가 거의 없으면서, 총 콜레스테롤의 양을 화학적 합성 약물 수준으로 감소시킴으로써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를 효율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hyperlipidemia or arteriosclerosis containing extract of Amomum villosum Loureiro and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경제수준 향상에 의한 영양과잉, 환경오염, 운동부족, 스트레스 증가 등에 따른 각종 생활습관병 및 만성퇴행성 질환의 만연이 우리 사회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중, 최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질병이 대사성질환이다. 상기 대사성질환은 현대인들의 고지방 및 고당질 가공식품 및 동물성 식품 소비 증가로 대표되는 영양과잉과 운동부족 등의 생활습관이 원인이 되는 질환군으로, 고혈압, 당뇨병,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등이 그 예이다. 특히, 과량의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섭취는 과량 섭취된 콜레스테롤의 혈관 침착을 유도하고, 이에 따라 동맥이 막히거나, 혈액공급에 문제가 발생되어, 심혈관계 질환 등을 포함한 순환계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보고에 의하면, 2008년에 약 1,700 만명의 인구가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하였고, 이러한 추세는 계속 증가하여 2030년에는 약 2,300 만명 이상의 인구가 심혈관 질환에 의해 사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1 mg/dL이 상승할 때 마다, 심장병 발병률이 2 내지 3%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연관관계에 따라, 심혈관질환의 발병률을 억제하기 위한 차원에서 혈중 콜레스테롤과 관련된 관리 기준들이 제시되고 있다.
한국인을 위한 바람직한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는 200 mg/dL 미만으로 정의되고,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200 내지 239 mg/dL의 경우, 경계수준(borderline-high), 그리고 240 mg/dL이상의 경우, 고 콜레스테롤 혈증(high)으로 정의되고 있다. 또한, 미국 NCEP(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가 설정한 관상동맥 질환(coronary heart disease) 발병율을 고려한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의 경우, 저밀도 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LDL 콜레스테롤)을 기준으로 100 mg/dL미만이면 적절한 수준(optimal)이고, 100 내지 129 mg/dL이면 적정수준에 근접하였거나 조금 상위하는 수준(near optimal/above optimal), 130 내지 159 mg/dL이면 경계위험 수준(borderline high), 160 내지 189 mg/dL이면 고위험수준(high), 그리고 190 mg/dL이상이면 매우 고위험 수준(very high)으로 규정하고 있다.
정상인의 1일 콜레스테롤의 섭취량을 약 400 내지 500 mg으로 가정할 경우, 일반적으로 식이 콜레스테롤의 흡수율은 약 60 내지 80%로 알려져 있으며, 제한된 콜레스테롤의 흡수율에 따라 흡수되지 않은 식이 콜레스테롤은 콜레스테롤 형태 내지 대장과 직장의 박테리아 효소반응에 의한 대사산물로 배설된다.
따라서, 심혈관계 질환을 지닌 환자들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약물들을 복용하기도 하는데, 이들 약물의 콜레스테롤 조절 작용 유형으로는 소장에서의 콜레스테롤 가수 분해 및 에스테르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효소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장내 콜레스테롤 흡수를 조절하거나, 장내 흡수 차단제(sequestrant)로 작용하여 콜레스테롤 배설 촉진을 이용한 콜레스테롤과 담즙산 배설 조절이나 지질대사 조절제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들을 장기 복용 시 심각한 간 손상 및 기능 저하, 관절 근육통, 변비 및 설사 등의 부작용을 초래한다. 일 예로,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여 콜레스테롤(cholesterol) 및 중성지방(triglyceride)의 가수분해를 방해하며 산화되지 않은 지방을 변으로 배설시키도록 돕는 약물로 비만치료제로도 사용되는 올리스타트(orlistat, XenicalR)의 경우 소화기 장애, 지방변, 배변실금, 지용성 비타민 흡수 방해 등을 유도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천연물을 이용한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각국의 연구진에 의하여, 식이요법과 함께 사용될 각종 기능성 식품 및 고지혈증 개선용 식이보충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콜레스테롤을 낮추는데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아토르바스타틴(atorvastatin)에 대한 기술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아토르바스타틴은 고지혈증환자의 콜레스테롤 감소를 위하여 사용되는 대표적인 약물 중 하나이다.
그러나 아토르바스타틴은 근육병증, 황문근융해증 및 간부전 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화학물질의 특성상 장기복용 시 독성문제에 대한 염려가 항상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KR 10-2004-0025901 A (2004. 03. 2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작용의 발생 가능성과 낮은 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학합성물질이 아닌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양춘사(Amomum villosum Lour.) 및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고지혈증, 동맥경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고지혈증, 동맥경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양춘사 및 백출 추출물은 중량비 기준으로 1:1 내지 1:3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화학적 합성 약물과는 달리 천연물을 이용함으로써 독성에 대한 문제가 거의 없으면서, 총 콜레스테롤의 양을 화학적 합성 약물 수준으로 감소시킴으로써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를 효율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C57BL/6J 마우스의 간(왼쪽)과 혈액(오른쪽) 내 중성지방 농도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C57BL/6J 마우스의 간과 혈액 내 총 콜레스테롤 농도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C57BL/6J 마우스의 간에서 콜레스테롤 관련 유전자 발현량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C57BL/6J 마우스의 간에서 HMGCR 단백질(위) 및 mRNA 발현량(아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 및 그래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지,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사인(砂仁)은 생강과(Zingiberaceae)에 딸린 녹각사(綠殼砂 Amomum villosum Loureiro var. xanthioides T.L.Wu et Senjen) 또는 양춘사(陽春砂. Amomum villosum Loureiro)의 잘 익은 열매 또는 씨의 덩어리를 의미하여, 본 발명에서는 양춘사의 열매를 재료로 이용하였다.
참고적으로, 양춘사는 Fujian, Guangdong, Guangxi, Yunnan에서 주로 생산되고, 녹각사는 주로 Cambodia, India, Laos, Myanmar, Thailand, Vietnam 등의 인도차이나반도 지역과 중국의 Guangxi, Yunnan의 일부 지역에서 산출된다.(Flora of China, v24:347-356.2000). 생산지가 달라 고대(古代)에는 녹각사를 ‘축사인’이라는 이름으로 별도로 지칭하였다.
한편, 중국은 정품으로 인정하나 국내에서는 위품으로 취급되는 해남사(海南砂 Amomum longiligulare T.L.Wu)의 열매도 대량 유통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Shen 등(SHEN Li WANG Yang JIANG Ku et al. Comparison of HPLC Fingerprints of Amomum villosum Lour. ,Amomurn villosum Lour. var. xanthioides T.L.Wu et Senjen and Amomum longiligulare T.L.Wu. Chinese Pharmaceutical Journal. 2016: 51(12); 1039-1043.)은 RP-HPLC 연구결과 3종류의 사인이 성분상 높은 유사도를 보이기는 하나, 해남사와 양춘사는 화학성분이 비슷한 반면 녹각사는 앞의 둘과 분명한 차이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약리와 임상 효능의 비교가 구명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결국 녹각사의 사인과 양춘사의 사인은 명백하게 다른 것이라 할 것이다.
실시예 1. 양춘사 추출물의 제조
양춘사(Amomum villosum Lour.)는 ㈜광명당제약(울산,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여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실에서 진품 여부를 확인받았으며, 추출과정은 사인 100g을 3차 증류수 900ml 로 3시간 가열 환류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여액을 감압 농축 건조하여 사인 9.25g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백출 추출물의 제조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은 ㈜광명당제약(울산,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여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 교실에서 진품 여부를 확인받았으며, 추출과정은 백출 100g을 3차 증류수 900ml 로 3시간 가열 환류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여액을 감압 농축 건조하여 백출 39.8g의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실험동물의 사육 및 식이
실험동물은 6주령 된 C57BL/6J 수컷 마우스를 구입(Orientbio, Seongnam, Korea)하여 1주 동안 사육실 환경에 적응시켰다. 평균 체중이 약 20~22g이 되는 마우스를 정상식이 대조군(Normal diet, ND), 고콜레스테롤식이 대조군(High cholesterol diet, HCD, 표 1 참고), 고콜레스테롤식이와 더불어 다양한 농도의 백출 및 양춘사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실험군 등(표 2 참고)으로 나누어 4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사육실의 온도는 18~24℃, 상대습도 50~60%로 유지하였으며 명암은 12시간 주기(8:00~20:00)로 조절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고콜레스테롤 사료는 총 열량의 약 41%가 지방과 43% 탄수화물로 공급되었으며 체중은 일주일에 한 번씩 측정하였다. 동물 실험은 Wonkwang University Animal Experiment Ethics Committee에서 승인(WKU20-02)받았으며, 실험실 동물의 사용과 관리는 institutional guideline을 따랐다.
실험예 2. 무게 측정
실험 시작 후 마우스의 체중을 매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4주간 투여한 군의 체중은 정상식이를 4주간 투여한 군의 체중과 비교하여 유의한 증가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200mg/kg의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을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병용 투여한 군의 체중은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의 체중과 비교하여 유의한 감소효과를 나타냈다(표 3).
실험예 3. 간 및 부고환 중성지방 분석
실험예 2의 최종 무게 측정 후 에테르(ether)로 마취한 다음 부검하여 간과 지방(부고환지방)조직을 적출하였고, 그 무게를 측정하였다.
간 중성지방 함량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간 조직을 chloroform-methanol solution(2:1, v/v)에서 균질화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원심분리 한 후 유기용매 층을 24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Ethanol에서 용해한 후, 간의 중성지방 함량은 TG kit(Asan Pharmaceutical, Korea)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단백질 농도로 표준화시켰다.
그 결과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4주간 투여한 군의 간과 부고환 주위 지방의 무게는 정상식이를 4주간 투여한 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증가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200mg/kg의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을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병용 투여한 군의 간과 부고환 주위 지방의 무게는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의 무게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표 4).
실험예 4. 혈액 분석
실험예 3에서와 같이 부검한 마우스의 복대정맥에서 채혈하였다. 그리고 혈액 내 중성지방(Asan Pharmaceutical, Korea), LDL 콜레스테롤(EZ DG kit), HDL 콜레스테롤(Asan Pharmaceutical, Korea)의 양을 분석하였다.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4주간 투여한 군의 간과 혈액내 중성지방(triglyceride, TG)의 양은 정상식이를 4주간 투여한 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 200mg/kg을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병용 투여한 군의 혈액 중성지방의 양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콜레스테롤 식이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양춘사 추출물과 백출 추출물을 1:3으로 혼합한 200mg/kg 투여군은 양성대조군으로 투여한 simvastatin군과 유의한 감소 효과를 나타냈다.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4주간 투여한 군의 간과 혈액 내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의 양은 정상식이를 4주간 투여한 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 200mg/kg을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병용 투여한 군의 경우, 총콜레스테롤 양은 도 2(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콜레스테롤 식이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LDL 혈액내 콜레스테롤양은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4주간 투여한 군에서 정식이를 4주간 투여한 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 200mg/kg을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병용 투여한 군은 도 2(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LDL 콜레스테롤양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양춘사 추출과 백출 추출물을 1:3의 비율로 혼합한 군은 고콜레스테롤 식이군과 비교하여 30.6% 감소하여 유의성을 나타냈다.
실험예 5. 유전자 분석
적출된 간으로부터 total RNA의 분리는 Trizol reagent (Life Technologies, UK)를 이용하여 제조회사가 제공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즉, 각각의 조직을 잘게 자른 후 1000 μl RNAzol B로 용해시킨 후 200 μl chloroform을 첨가하여 얼음속에서 5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4℃에서 13,000 rpm으로 20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 500 μl을 새로운 tube에 옮겼다. 위 상층액에 동량의 isopropanol을 첨가하여 섞은 후 얼음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4℃에서 13,000 rpm으로 15분 원심분리하고 침전물을 75% EtOH로 2번 세척하였다. 세척된 RNA를 건조시킨 후 DEPC water 20 μl로 녹이고 분광광도계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역전사 반응(reverse transcription reaction)은 2 μg total RNA와 Prime Script TM reagent kit (perfect realtime) (TaKaRa BIOINC.)를 이용하여 제조회사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역전사 반응은 total RNA(2 μg), oligo d(T)primer (25pmol), PrimeScript RT enzyme Mix I, 5X primeScript Buffer가 함유된 반응액으로 37℃에서 15분, 85℃에서 5초 동안 반응시켜 cDNA를 합성하였다. 실시간 역전사 효소 중합 반응은 10배 희석한 cDNA에 Power SYBY Green PCR Master Mix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발현된 각각 유전자의 mRNA양은 LightCycler System software (Roche)를 이용하여 GAPDH에 대한 상대적인 양으로서 계산하였다.
사용된 primer의 sequence는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다.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4주간 투여한 군의 간의 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LDLR), 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 9(PCSK9) mRNA의 발현양은 정상식이를 4주간 투여한 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 200mg/kg을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병용 투여한 군의 LDLR과 PCSK9 mRNA 발현양은 고콜레스테롤 식이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LDLR과 PCSK9의 발현을 주관하는 전사인자로 알려진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2 (SREBP2) mRNA 발현양을 조사한 결과 양춘사 추출과 백출 추출물을 1:3의 비율로 혼합한 군에서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한 SREBP2 mRNA 감소를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간의 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하였을 때 LDLR과 PCSK9은 SREBP2 전사인자의 조절을 활성 후 발현양이 증가하여 혈중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유전자로, LDLR과 PCSK9 발현의 증가는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를 의미한다.
실험예 6. HMG CoA reductase(HMGCR)의 mRNA 및 단백질 분석
간 조직 내 단백질은 M-PER (Mammalian Protein Extraction Reagent) (Pierce Biotechnology, Rockford, IL, USA)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샘플(20㎍)은 10% 아크릴아마이드와 함께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를 사용하여 분리하였고, Hybond™-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s (GE Healthcare Life Sciences, Buckinghamshire, UK) 을 사용하여 이동하였다. 각각의 membrane은 2% bovine serum albumin 또는 5% skim milk 를 사용하여 2시간 동안 블로킹 하였고, HMGCR에 대한 일차항체(Cell Signaling, MA, USA)는 1㎍/㎖ of a 1:2000 dilution 하여 4℃ 냉장고에서 overnight 처리하였다. 이차항체는 HRP-conjugated IgG(1:2000 dilution)를 사용하였다. 단백질 발현양은 image analyzer(EZ-Capture ST, Tokyo, Japan)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4주간 투여한 군의 간의 HMGCR 단백질과 mRNA 발현은 정상식이를 4주간 투여한 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 200mg/kg을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병용 투여한 군의 HMGCR 단백질과 mRNA 발현양은 고콜레스테롤 식이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양춘사 추출물과 백출 추출물을 1:3의 비율로 혼합한 군의 HMGCR mRNA 발현양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콜레스테롤 식이 투여군에 비해 94.3% 증가하여 유의성을 나타냈다.
HMGCR은 간에서 콜레스테롤 합성을 주관하는 효소로서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투여한 군은 전체 콜레스테롤 pool을 관장하는 간의 콜레스테롤 함량이 증가하므로, 새로운 콜레스테롤 합성을 할 필요성이 없어 HMGCR의 발현양은 감소하게 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은 동맥경화의 주범으로 알려진 혈중 LDL 콜레스테롤 농도를 최대 30.9% 감소시킨다. 그 효과 기전은 두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간에서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한 HMGCR의 발현 감소를 유의하게 억제함으로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이 HMGCR의 경쟁적 억제제인 statin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간에서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한 LDLR과 PCSK9 발현 감소를 유의하게 억제함으로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은 혈액내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유입시켜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3)

  1. 양춘사(Amomum villosum Lour.) 및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복합 추출물에는 양춘사 추출물 및 백출 추출물이 중량비 기준으로 1:1 내지 1:3 비율로 포함됨으로써,
    LDL 콜레스테롤을 저하시켜 고지혈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200011792A 2020-01-31 2020-01-31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43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792A KR102643099B1 (ko) 2020-01-31 2020-01-31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792A KR102643099B1 (ko) 2020-01-31 2020-01-31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068A KR20210098068A (ko) 2021-08-10
KR102643099B1 true KR102643099B1 (ko) 2024-03-05

Family

ID=77315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792A KR102643099B1 (ko) 2020-01-31 2020-01-31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0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213B1 (ko) 2008-05-16 2009-08-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고지혈증 및 비만 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952648B1 (ko) 2017-08-03 2019-02-27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양춘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간 예방 및 치료 개선 조성물
KR101952644B1 (ko) * 2017-09-21 2019-05-23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양춘사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I20848A (sl) 2001-03-14 2002-10-31 Lek, Tovarna Farmacevtskih In Kemijskih Izdelkov, D.D. Farmacevtska formulacija, ki vsebuje atorvastatin kalcij
KR101710780B1 (ko) * 2015-04-14 2017-02-27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백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213B1 (ko) 2008-05-16 2009-08-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고지혈증 및 비만 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952648B1 (ko) 2017-08-03 2019-02-27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양춘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간 예방 및 치료 개선 조성물
KR101952644B1 (ko) * 2017-09-21 2019-05-23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양춘사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068A (ko)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icero et al. Lipid-lowering nutraceuticals in clinical practice: position paper from an International Lipid Expert Panel
CA2602066C (en) Aloe vera extract, method of producing aloe vera extract, and hyperglycemia improving agent
JP6864784B2 (ja) ラクトバチルス・ラムノサスlm1019菌株およびこれを含む肥満または糖尿病の予防および治療用の組成物
Ferreira et al. Soy β-conglycinin (7S globulin) reduces plasma and liver cholesterol in rats fed hypercholesterolemic diet
Sadiya et al. Vitamin D status and its relationship with metabolic markers in persons with obesity and type 2 diabetes in the UAE: a cross-sectional study
CN101175416A (zh) 从营养方面改善葡萄糖控制和胰岛素作用的方法和组合物
Ferreira et al. β-conglycinin combined with fenofibrate or rosuvastatin have exerted distinct hypocholesterolemic effects in rats
Motyka et al. Health-promoting approaches of the use of chia seeds
CN106472940A (zh) 保健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Ali et al. Bee honey as a potentially effective treatment for depression: a review of clinical and preclinical findings
Shang et al. Protein and peptides for elderly health
WO2014096959A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r ameliorating obesity or for reducing diabetic hypercholesterolemia
RU2701567C1 (ru) Средство, обладающее гепатопротектор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KR102643099B1 (ko) 양춘사 및 백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hongrum et al. Antidyslipidemic,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Jelly Drink Containing Polyphenol-Rich Roselle Calyces Extract and Passion Fruit Juice with Pulp in Adults with Dyslipidemia: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US20080026983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lleviating joint pain and improving joint flexibility
Bukhari et al. Comparison study between drugs (orlistat and chitocal) and food supplements (green tea and apple cider vinegar) for weight loss and hepatoprotection in rats
CN109007788A (zh) 一种降血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5001890A1 (ja) 脂肪細胞分化の抑制用、脂肪蓄積量低減用および/または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用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KR20210098059A (ko) 양춘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9203209A (ja) アカシア属樹皮由来物を含有する血糖降下及び/又は抗肥満組成物
CN102205010A (zh) 一种具有辅助降血脂功能的药物组合物
RU2623872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диабета 2 типа, метаболического синдрома
TWI607755B (zh) 麥角固醇之應用
Kiran et al. Antiobesity effect of Phytolacca berry in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180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1005

Effective date: 20240108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