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463B1 - 옴니휠 매트 및 옴니휠 매트가 형성된 적재함 - Google Patents

옴니휠 매트 및 옴니휠 매트가 형성된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463B1
KR102642463B1 KR1020210084933A KR20210084933A KR102642463B1 KR 102642463 B1 KR102642463 B1 KR 102642463B1 KR 1020210084933 A KR1020210084933 A KR 1020210084933A KR 20210084933 A KR20210084933 A KR 20210084933A KR 102642463 B1 KR102642463 B1 KR 102642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mni
wheel
mat
barrel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863A (ko
Inventor
김승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로텍
Priority to KR1020210084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463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4Omni-directional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하우징(220)과 상기 하우징(220) 내부에서 상단이 노출되는 반면 하단은 노출되지 않으면서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는 옴니휠(100)을 포함하는 복수의 옴니휠 블록(200)이 구비되어, 상기 옴니휠 블록(200)이 사방으로 연결되어 조립됨으로써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옴니휠 매트 및 상기 바닥에는 옴니휠 매트가 설치되는 매트영역(320)과 상기 매트영역(320) 사이에 상기 옴니휠 매트가 설치되지 않은 이동로(340)가 형성되어, 상기 매트영역(320)에 화물을 얹어 이동시킴과 아울러 작업자가 상기 이동로(340)를 따라 이동하이며 상하차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옴니휠 매트 및 옴니휠 매트가 형성된 적재함{Omni-wheel mat and cargo box with omni-wheel mat formed on the floor}
본 발명은 옴니휠로 형성되는 매트 및 그러한 매트가 형성되어 화물의 상하차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옴니휠은 축회동 하는 휠 가장자리를 따라 휠의 회동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배럴이 형성되는 구조로, 일방향 진행이 가능하고 상기 일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도 진행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옴니휠은 짐수레의 바퀴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복수 개가 일정한 패턴을 이루며 일정한 면적으로 배열됨으로써 그 위에 올려진 물건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5288호(2019.12.13.공고)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10-2016-0129271호(2016.11.6.공개)
본 발명은 옴니휠을 이용해 매트를 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그러한 매트가 바닥에 형성됨으로써 화물의 상하차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함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단이 노출되는 반면 하단은 노출되지 않게 장착되는 옴니휠을 포함하는 복수의 옴니휠 블록이 구비되어, 상기 옴니휠 블록이 사방으로 연결되어 조립됨으로써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옴니휠 매트와 그러한 옴니휠 매트가 바닥에 설치된 적재함을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옴니휠을 이용해 원하는 면적으로 매트를 쉽게 형성할 수 있게 되고, 적재함에 옴니휠 매트를 형성함으로써 화물의 상하차 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옴니휠 매트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옴니휠 블록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옴니휠 블록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옴니휠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옴니휠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옴니휠 매트가 적재함 바닥에 설치된 상태를 평면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옴니휠 매트가 적재함 바닥에 설치된 상태를 정면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단이 노출되는 반면 하단은 노출되지 않게 장착되는 옴니휠을 포함하는 복수의 옴니휠 블록이 구비되어, 상기 옴니휠 블록이 사방으로 연결되어 조립됨으로써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옴니휠 매트와 그러한 옴니휠 매트가 바닥에 설치된 적재함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옴니휠 매트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옴니휠 블록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옴니휠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옴니휠 매트는 옴니휠 블록(200)이 조립식으로 연결되어서 일정한 면적으로 형성된다.
옴니휠 블록(200)은 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상면은 개방된 구조의 하우징(220) 내부에 옴니휠(100)이 축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옴니휠(100)은 하우징(220) 내부에서 축으로 지지되며 설치되어 상기 축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옴니휠 블록(200)이 동일 평면상에서 사방으로 연결되어 조립됨으로써 소정의 면적으로 옴니휠 매트가 형성되게 된다.
옴니휠(100)은 하우징(220)에서 상단이 노출되는 상태를 이룬다. 반면 하단은 하우징(220)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형성되는바, 이에 따라 옴니휠 매트가 바닥에 설치되는 경우 옴니휠(100) 하단이 바닥에 접하지 않고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상단에는 화물이 접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옴니휠 블록(200)으로 옴니휠 매트가 형성됨에 따라 옴니휠 매트 위에 화물을 올려놓게 되면 화물이 옴니휠(100) 상단에 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화물을 밀거나 당기게 되면 옴니휠(100)이 회동하게 되고, 그 결과 옴니휠 매트 위에서 화물이 미끄러지듯이 움직이며 자유롭게 이동을 하게 된다.
옴니휠 블록(200) 간의 결합은 돌기(222)와 결합홈(224) 구조로 달성될 수 있다. 하우징(220) 네 측면에는 돌기(222)와 결합홈(224)이 번갈아 가며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옴니휠 블록(200)에 형성된 돌기(222)가 다른 옴니휠 블록(200)에 형성된 결합홈(224)에 끼워져 연결되는 방식이다. 이 구성에서 돌기(222)는 하우징(220)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일정한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결합홈(224)은 그러한 돌기(222)가 위에서 아래로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홈(224)은 하우징(220) 측면 방향으로 입구는 좁고 내부는 넓은 구조를 이루고, 돌기(222)는 그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옴니휠 블록(200) 간에 돌기(222)가 결합홈(224)에 끼워지면 수평방향으로 당겨지더라도 서로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옴니휠 블록(200) 간의 조립에 있어서 옴니휠(100)의 회동방향이 인접한 옴니휠 블록(200) 간에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옴니휠 매트 위에서 화물이 사방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옴니휠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옴니휠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옴니휠(100)은 내부바디(120)와 외부바디(140) 및 축이 형성된 롤러 형상의 배럴(13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내부바디(120)은 원판 형상을 이루고,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내부장착홈(122)이 'ㄷ'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도면에는 내부장착홈(122)이 6개가 형성된 형상이 나타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부장착홈(122) 양측벽에는 축홈(12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내부장착홈(122)에는 배럴(130)이 축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데, 축홈(124)에 상기 배럴(130)의 회전축이 끼워지는 구조로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배럴(130)은 일부가 내부바디(120) 외부로 돌출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내부바디(120)는 배럴(130)의 회전축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크기의 축홈(124)을 형성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하거나 또는 내부바디(120)와 동일한 구조의 두께조절바디(150)를 구비하여 상기 내부바디(120)와 충첩함으로써 소망하는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부바디(140)는 내부바디(120)와 마찬가지로 원판 형상을 이루고 가장자리를 따라 내부바디(120)에 형성되는 내부장착홈(122)과 일치하는 위치에 외부장착홈(142)이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는데, 이때 외부장착홈(142)은 내부장착홈(122)에 형성된 축홈(124)을 가리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내부장착홈(122)과 외부장착홈(142)이 'ㄷ'자 형상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되, 내부장착홈(122)에만 축홈(124)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외부바디(140)는 적어도 두 개가 마련되어 내부바디(120)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충첩되면서 결합되게 되고, 외부장착홈(142)이 내부장착홈(122)과 그 위치가 일치되면서 결합된다. 이때 내부장착홈(122)에는 배럴(130)을 장착된 상태인바, 이 상태에서 내부바디(120)에 외부바디(140)를 결합시키면 외부장착홈(142)이 내부장착홈(122)에 형성된 축홈(124)을 가리게 된다. 그로 인해 배럴(130)에 형성된 축이 축홈(124)에 안정적으로 수용되어 빠지지 않는 상태로 결합되고, 따라서 배럴(130)이 분리되지 않는 상태로 장착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형성되는 옴니휠(100)은 내부바디(120)와 외부바디(140)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공이 형성되어 상기 축공에 결합축(180)이 설치되게 되는데, 결합축(180)에는 두 개의 옴니휠(100)이 한 조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옴니휠 매트가 적재함 바닥에 설치된 상태를 평면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옴니휠 매트가 적재함 바닥에 설치된 상태를 정면으로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옴니휠 매트는 적재함(300) 바닥에 설치됨으로써 화물의 상하차를 원활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적재함(300) 바닥은 일정한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바닥에 옴니휠 매트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옴니휠 매트가 적재함(300) 바닥에 설치되게 되면 화물을 상하차할 때 적재함(300) 내외부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때, 상기 바닥에는 옴니휠 매트가 설치되는 매트영역(320)과 설치되지 않는 이동로(3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로(340)는 매트영역(3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옴니휠 매트가 일정한 폭을 이루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세 줄로 형성됨으로써 옴니휠 매트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에 의해 두 줄의 이동로(340)가 형성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이러한 이동로(340)의 형성 위치 및 개수, 그리고 규격은 필요에 따라 조절하여 줄 수 있다.
이동로(340)는 작업자가 작업을 상하차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작업자는 이동로(340)에 서서 화물을 상하차 시킬 수 있고, 이동로(340)를 따라 이동하면서 옴니휠 매트 위에 올려진 화물을 밀어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적재함(300) 바닥 가장자리에는 길이 방향으로 차단판(360)이 설치된다. 옴니휠 매트가 설치된 지점 최 외곽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옴니휠 매트보다 높게 돌출되는 규격을 이룬다. 따라서 옴니휠 매트에 화물이 얹혀져 이동하는 과정에서 화물이 차단판(360)이 형성된 지점 외곽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이 구성은 화물이 적재함 벽면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차단판(360)은 유압실린더(362)로 밀리거나 당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구성은 화물이 적재함에 적재된 상태에서 화물 양측을 차단판(360)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이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해 채택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옴니휠 매트가 바닥에 설치된 적재함(300)은 대형 화물용을 운반 또는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함이 적절하다. 예를 들면 팔레트에 적재된 상태로 이송되는 고 중량의 화물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고 중량의 화물이라 하더라도 옴니휠 매트에 올리기만 하면 작업자가 밀어서 적재함 내측 또는 입구측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쉽게 상하차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옴니휠, 120 : 내부바디,
122 : 내부장착홈, 124 : 축홈,
130 : 배럴, 140 : 외부바디,
142 : 외부장착홈, 180 : 결합축,
200 : 옴니휠 블록, 220 : 하우징,
222 : 돌기, 224 : 결합홈,
300 : 적재함, 320 : 매트영역,
340 : 이동로, 360 : 차단판,
362 : 유압실린더.

Claims (5)

  1.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하우징(220) 내부에서 상단이 노출되는 반면 하단은 노출되지 않으면서 회동할 수 있게 하나의 옴니휠(100)이 장착되어 옴니휠 블록(200)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20)은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222)와 결합홈(224)의 결합으로 상기 옴니휠 블록(200)이 사방으로 연결되어 조립됨으로써 소정의 면적을 이루게 되되,
    상기 결합홈(224)은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이루어 상단은 개방되고 상기 하우징(220) 측면 방향으로 입구는 좁고 내부는 넓은 구조를 이루는 한편, 상기 돌기(222)는 상기 결합홈(224)에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어,
    상기 돌기(222)가 상기 결합홈(224)에 위에서 아래로 끼워지며 결합됨으로써 상기 옴니휠 블록(200) 간에 수평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어서 형성되는 옴니휠 매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옴니휠(10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내부바디(120)와, 상기 내부바디(120)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장착되는 배럴(130)과, 상기 내부바디(120)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배럴(130)이 분리되지 않게 하는 외부바디(140) 및 상기 내부바디(120)와 상기 외부바디(140) 사이에 배치되어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조절바디(150)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바디(120)와 상기 두께조절바디(150)는 가장자리를 따라 내부장착홈(122)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내부장착홈(122) 양측벽에는 축홈(124)이 형성되어 상기 축홈(124)에 상기 배럴(130)의 회전축이 끼워져 장착되고,
    상기 외부바디(140)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내부장착홈(122)과 일치하는 위치에 외부장착홈(142)이 형성되되 상기 외부장착홈(142)은 상기 축홈(124)을 가리는 형상을 이루어,
    상기 내부장착홈(122)에 상기 배럴(130)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외부바디(140)에 상기 내부바디(120)를 결합시키면 상기 외부장착홈(142)이 상기 축홈(124)을 가려 상기 배럴(130)이 분리되지 않게 되는 옴니휠 매트.
  3. 제1 항 내지 제2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옴니휠 매트가 바닥에 설치되되,
    상기 바닥에는 옴니휠 매트가 설치되는 매트영역(320)과 상기 매트영역(320) 사이에 상기 옴니휠 매트가 설치되지 않은 이동로(340)가 형성되어,
    상기 매트영역(320)에 화물을 얹어 이동시킴과 아울러 작업자가 상기 이동로(340)를 따라 이동하이며 상하차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적재함.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가장자리에는 길이 방향으로 차단판(360)이 설치되어 화물이 밀리지 않게 되되,
    상기 차단판(360)은 유압실린더(362)로 밀리거나 당겨지며 화물을 압박할 수 있게 되는 적재함.
  5. 삭제
KR1020210084933A 2021-06-29 2021-06-29 옴니휠 매트 및 옴니휠 매트가 형성된 적재함 KR102642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933A KR102642463B1 (ko) 2021-06-29 2021-06-29 옴니휠 매트 및 옴니휠 매트가 형성된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933A KR102642463B1 (ko) 2021-06-29 2021-06-29 옴니휠 매트 및 옴니휠 매트가 형성된 적재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863A KR20230001863A (ko) 2023-01-05
KR102642463B1 true KR102642463B1 (ko) 2024-04-03

Family

ID=8492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933A KR102642463B1 (ko) 2021-06-29 2021-06-29 옴니휠 매트 및 옴니휠 매트가 형성된 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463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74Y2 (ja) * 1987-06-30 1994-03-02 菱花運輸株式会社 車両用ロ−ル紙運搬装置
JPH07291433A (ja) * 1994-04-21 1995-11-07 Shinko Electric Co Ltd 貨物移載台
KR101259759B1 (ko) * 2010-11-26 2013-05-07 김명국 옴니 휠 및 그 제조방법
KR101679223B1 (ko) 2015-04-30 2016-11-25 한국기계연구원 측면 옴니휠을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
KR102055288B1 (ko) 2018-08-03 2019-12-13 송재묵 옴니휠을 구비한 다기능 짐수레
KR102208006B1 (ko) * 2019-07-15 2021-01-26 씨제이대한통운(주) 화물 차량용 모듈형 팔레트 자동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863A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0252A (en) Ball type transfer apparatus
US6814214B2 (en) Pallet and conveyor system for loading onto transport
KR102642463B1 (ko) 옴니휠 매트 및 옴니휠 매트가 형성된 적재함
EP3098113B1 (en) Cargo space with pallet guide
EP3369678A1 (en) Structure for roof of a container, roof and container therewith
KR100859699B1 (ko) 중량물 운반대차
KR101789277B1 (ko) 윙바디 트럭의 도어 고정장치
CN110758885B (zh) 顶盖外板容器
EP1988036B1 (en) Pallet storage system
US20050102688A1 (en) Disc player mounted on vehicle
KR200492123Y1 (ko)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
CN114906522A (zh) 配送搁架和配送车辆
FI58750C (fi) Lastpall
JP5713831B2 (ja) 機械式駐車場
JPH06103513B2 (ja) 自動販売機
JP6942349B2 (ja) 蓋部材
WO2024048362A1 (ja) ボールねじ装置
KR100400872B1 (ko) 와이어 권취 보빈 포장박스
KR102431485B1 (ko) 수레로 변환가능한 러기지 보드
KR102178089B1 (ko) 덤프 트럭의 롤러방식 적재함 커버
CA2353236C (en) Adjustable mobile machine base systems and methods
JP4114916B2 (ja) 搬送車の方向転換補助装置
JP5808591B2 (ja) 機械式駐車場
KR102241365B1 (ko) 다단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상자
JP6793150B2 (ja) 歩み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