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670B1 - 화단용 경계 구조물 - Google Patents

화단용 경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670B1
KR102641670B1 KR1020230088521A KR20230088521A KR102641670B1 KR 102641670 B1 KR102641670 B1 KR 102641670B1 KR 1020230088521 A KR1020230088521 A KR 1020230088521A KR 20230088521 A KR20230088521 A KR 20230088521A KR 102641670 B1 KR102641670 B1 KR 102641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nel
panel portion
groove
width direction
flower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8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명호
Original Assignee
서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명호 filed Critical 서명호
Priority to KR1020230088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25Wind breakers, i.e. devices providing lateral protection of the p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단용 경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화단의 경계라인을 따라 하나 이상이 안착되고,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홈이 상기 경계라인의 길이방향으로 개방되는 받침부 및, 하단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경계라인을 따라 길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벽면 패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단용 경계 구조물{Boundary structure for flower beds}
본 발명은 화단용 경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의 편의성과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화단용 경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단은 꽃이나 수목 등을 심기 위한 장소로 공원, 도로변, 학교 및 유원지 그리고 개인 주택 등에 주로 조성되며, 화단의 테두리 부위에는 경계라인을 표시하거나 조경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경계 구조물이 설치된다.
이러한 화단의 경계 구조물은 화단의 경계라인을 따라 설치되어 화단과 외부 공간을 구분하는 경계석 또는 울타리 등이 사용되며, 경계 구조물을 적층시켜 높이를 조절하거나 경계 구조물의 단부를 서로 밀착시켜 길이를 연장시키는 방식 등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화단은 경계석 등을 이용하는 경우 중량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시공성이 좋지 않았고, 경계 구조물의 연결 부위에 틈이 형성될 수 있어 화단의 조경물(흙 등)이 외부로 이탈될 염려가 있었으며, 경계 구조물을 일정 높이로 적층시키는 경우 화단의 조경물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경계 구조물의 설치 각도가 변경되거나 파손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0439호(2001년 05월 02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조경용 화단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시공의 편의성과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화단용 경계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은 화단의 경계라인을 따라 하나 이상이 안착되고,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홈이 상기 경계라인의 길이방향으로 개방되는 받침부 및, 하단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경계라인을 따라 길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벽면 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하로 길이를 갖고, 상기 벽면 패널부의 길이방향 일측이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되도록 폭방향 양측에 제1조립홈이 각각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연결부재 및, 상하로 길이를 갖고, 상기 벽면 패널부의 길이방향 일측이 직각으로 연결되도록 직교하는 폭방향 양측에 제2조립홈이 각각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면 패널부의 하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적층홈 및, 상기 적층홈과 암수로 결합되도록 상기 벽면 패널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층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면 패널부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경계라인을 따라 길이를 갖고,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걸림단이 각각 돌출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단과 하단이 상기 걸림단의 폭방향 일측에 걸림 위치되는 걸림부재와, 직각으로 절곡된 제1절곡구간이 상기 가이드홈과 동일 높이에서 일측이 상기 벽면 패널부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고, 타측의 제2절곡구간이 상기 벽면 패널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라켓과, 전방의 삽입단이 상기 제1절곡구간과 상기 가이드홈을 통해 상기 걸림부재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체결부재와, 상기 벽면 패널부의 내측 벽면과 마주하도록 상하로 길이를 갖고, 폭방향 일측이 상기 제2절곡구간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수직 지지대 및, 전방의 삽입단이 상기 제2절곡구간과 상기 수직 지지대의 폭방향을 통해 나사결합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벽면 패널부를 다수의 층으로 적층 결합시키는 경우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지지대는 상기 제2절곡구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을 수직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암수 결합 구조를 이용해 벽면 패널부를 다양한 형태와 높이로 조립이 가능하므로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어 대부분의 화단에 적용이 가능하며, 다수의 벽면 패널부를 서로 연결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어 조립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벽면 패널부의 연결 부위에 간격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화단의 조경물(흙 등)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벽면 패널부의 지지 구조가 화단의 조경물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외관을 심플하게 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의 벽면 패널부를 다수의 층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의 벽면 패널부를 다수의 층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의 벽면 패널부를 다수의 층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의 벽면 패널부를 다수의 층으로 적용시키고, 지지대를 이용해 벽면 패널부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의 벽면 패널부를 다수의 층으로 적용시키고, 지지대를 이용해 벽면 패널부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의 벽면 패널부를 2개의 층으로 적용시키고, 지지대를 이용해 2개의 벽면 패널부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의 벽면 패널부를 3개의 층으로 적용시키고, 지지대를 이용해 3개의 벽면 패널부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의 보조 브라켓과 수평 지지대 및 보조 체결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의 보조 브라켓과 수평 지지대 및 보조 체결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의 벽면 패널부를 다수의 층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의 벽면 패널부를 다수의 층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의 벽면 패널부를 다수의 층으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의 벽면 패널부를 다수의 층으로 적용시키고, 지지대를 이용해 벽면 패널부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의 벽면 패널부를 다수의 층으로 적용시키고, 지지대를 이용해 벽면 패널부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의 벽면 패널부를 2개의 층으로 적용시키고, 지지대를 이용해 2개의 벽면 패널부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의 벽면 패널부를 3개의 층으로 적용시키고, 지지대를 이용해 3개의 벽면 패널부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의 보조 브라켓과 수평 지지대 및 보조 체결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의 보조 브라켓과 수평 지지대 및 보조 체결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은 화단(10)의 경계라인을 따라 안착되는 받침부(100) 및, 받침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벽면 패널부(200)를 포함한다.
받침부(100)는 하단이 설치면에 안착되고, 상단에 벽면 패널부(200)의 하단이 수직하게 결합되며, 받침부(100)의 양측에는 설치면에 안착된 상태로 벽면 패널부(200)의 폭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지지영역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받침부(100)는 화단(10)의 경계라인을 따라 하나 이상이 안착되고,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홈(110)이 경계라인의 길이방향으로 개방된다. 여기서 받침부(100)는 하단이 금속 소재 등으로 제작할 수 있고, 벽면 패널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받침부(100)의 양측과 벽면 패널부(200)의 폭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미도시)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수평하게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받침부(100)의 지지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미도시)가 수직하게 관통되어 설치면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벽면 패널부(200)는 하단이 삽입홈(110)에 삽입되고, 화단(10)의 경계라인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화단의 경계라인을 따라 하나 이상이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벽면 패널부(200)는 금속 소재 등으로 제작할 수 있고, 벽면 패널부(200)의 상하 폭과 길이방향의 길이 및 폭방향 양측의 두께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벽면 패널부(200)은 길이방향 양측에 수직한 변이 각각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에 수평한 변이 각각 형성되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을 이루거나 곡선으로 벤딩된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벽면 패널부(200)를 수평하게 연결시키는 경우 벽면 패널부(200)의 길이??향 일측이 상호 연결될 수 있고, 벽면 패널부(200)들을 연결시켜 화단(10)의 가장자리를 다양한 형상으로 감쌀 수 있으며, 벽면 패널부(200)의 내측면이 화단(10)방향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벽면 패널부(200)가 화단(10)의 가장자리를 일정 높이로 커버하므로 화단(10)에 흙이나 돌 등을 채워 넣을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10에서처럼 벽면 패널부(200)의 하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적층홈(210) 및, 적층홈(210)과 암수로 결합되도록 벽면 패널부(20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층돌기(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층홈(210)과 적층돌기(220)는 벽면 패널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벽면 패널부(200)는 도 3 내지 11에서처럼 적층홈(210)과 적층돌기(220)를 암수로 결합시켜 2개 이상의 층으로 적층 결합시킬 수 있으며, 벽면 패널부(200)가 적층되는 개수를 조절하여 화단(10)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은 상하로 길이를 갖고, 벽면 패널부(200)의 길이방향 일측이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되도록 폭방향 양측에 제1조립홈(311)이 각각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연결부재(310) 및, 상하로 길이를 갖고, 벽면 패널부(200)의 길이방향 일측이 직각으로 연결되도록 직교하는 폭방향 양측에 제2조립홈(321)이 각각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연결부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10)는 벽면 패널부(200)들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금속 소재 등으로 제작할 수 있고, 벽면 패널부(200)와 대응되는 상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제1연결부재(310)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된 제1조립홈(311)은 벽면 패널부(200)들의 길이방향 양측이 암수로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벽면 패널부(200)들의 길이방향 일측을 제1연결부재(310)의 제1조립홈(311)에 각각 결합시키는 경우 벽면 패널부(200)들이 제1연결부재(310)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벽면 패널부(200)들의 사이 간격이 외측면과 내측면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즉 벽면 패널부(200)들의 사이 간격을 통해 화단(10)의 흙 등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제2연결부재(320)는 벽면 패널부(200)들을 직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금속 소재 등으로 제작할 수 있고, 벽면 패널부(200)와 대응되는 상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제2연결부재(320)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된 제2조립홈(321)은 벽면 패널부(200)들의 길이방향 일측이 암수로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벽면 패널부(200)들의 길이방향 양측을 제2연결부재(320)의 제2조립홈(321)에 각각 결합시키는 경우 벽면 패널부(200)들이 제2연결부재(320)를 기준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벽면 패널부(200)들이 각각 연결되고, 벽면 패널부(200)들의 사이 간격이 외측면과 내측면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즉 벽면 패널부(200)들의 사이 간격을 통해 화단(10)의 흙 등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은 벽면 패널부(200)의 내측면(화단방향)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경계라인을 따라 길이를 갖고,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걸림단(231)이 각각 돌출되는 가이드홈(230)과, 가이드홈(23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단과 하단이 걸림단(231)의 폭방향 일측에 걸림 위치되는 걸림부재(410)와, 직각으로 절곡된 제1절곡구간이 가이드홈(230)과 동일 높이에서 일측이 벽면 패널부(20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고, 타측의 제2절곡구간이 벽면 패널부(20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라켓(420)과, 전방의 삽입단이 제1절곡구간과 가이드홈(230)을 통해 걸림부재(41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체결부재(430)와, 벽면 패널부(200)의 내측 벽면과 마주하도록 상하로 길이를 갖고, 폭방향 일측이 제2절곡구간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수직 지지대(440) 및, 전방의 삽입단이 제2절곡구간과 수직 지지대의 폭방향을 통해 나사결합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체결부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230)은 걸림부재(410)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벽면 패널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홈(230)의 길이방향 양측이 벽면 패널부(20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수평하게 개방될 수 있으며, 걸림단(231)은 가이드홈(230)의 상하방향으로부터 대응되게 돌출된다. 이때 걸림단(231)들의 사이 간격을 통해 가이드홈(230)이 화단(10) 방향으로 수평하게 개방된다.
걸림부재(410)는 브라켓(420)을 가이드홈(230)에 거치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가이드홈(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걸림부재(410)의 상단과 하단은 가이드홈(230)의 상단과 하단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재(410)의 일면에는 후술 될 제1체결부재(430)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홀이 벽면 패널부(200)의 폭방향으로 관통 또는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체결홀의 내주면에는 제1체결부재(430)의 삽입단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410)는 상단과 하단에 수평한 변이 각각 형성되고, 좌측단과 우측단이 수직하게 형성되는 4각 블록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단과 하단이 걸림단(231)들에 의해 걸림 위치되므로 벽면 패널부(200)의 내측면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브라켓(420)은 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수직하게 길이를 갖는 브라켓(420)의 모서리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제1절곡구간과 제2절곡구간이 각각 형성되며, 제1절곡구간에는 제1체결부재(430)의 삽입단을 결합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벽면 패널부(200)의 폭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420)의 외측 모서리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절곡구간의 일면이 가이드홈(230)과 동일 높이에서 일측이 벽면 패널부(20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이때 가이드홈(23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제1절곡구간의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이 벽면 패널부(200)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밀착되고, 제1절곡구간과 직각으로 연결된 제2절곡구간이 벽면 패널부(200)의 내측면으로 돌출된다.
제1체결부재(430)는 브라켓(420)의 제1절곡구간과 걸림부재(410)를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전방의 삽입단이 제1절곡구간에 형성된 체결홀과 걸림부재(410)의 일면에 형성된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후방의 조작단이 제1절곡구간의 일면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제1체결부재(430)의 삽입단은 걸림부재(410)에 형성된 체결홀의 내주면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맞물림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체결부재(430)의 조작단을 회전시켜 삽입단을 걸림부재(410)의 체결홀에 결합시킬 수 있다.
수직 지지대(440)는 다수의 층으로 적층 결합된 벽면 패널부(200)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수직 지지대(440)의 폭방향 일측이 제2절곡구간의 양측 중 하나에 밀착될 수 있고, 수직 지지대(440)의 폭방향 일측에는 후술 될 제2체결부재(450)의 삽입단이 결합되도록 체결홀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홀은 수직 지지대(440)의 상하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체결홀의 내주면에는 제2체결부재(450)의 삽입단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부재(450)는 제2절곡구간과 수직 지지대(440)를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전방의 삽입단이 제2절곡구간에 형성된 체결홀과 수직 지지대(440)의 폭방향 일측에 형성된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후방의 조작단이 제2절곡구간의 일면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제2체결부재(450)의 삽입단은 수직 지지대(440)에 형성된 체결홀의 내주면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맞물림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체결부재(450)의 조작단을 회전시켜 삽입단을 수직 지지대(440)의 체결홀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 내지 9에서처럼 벽면 패널부(200)를 다수의 층으로 적층 결합시키고, 벽면 패널부(200)에 형성된 가이드홈(230)의 길이방향 일측을 통해 걸림부재(410)를 결합시키며, 브라켓(420)에 형성된 제1절곡구간의 일면을 가이드홈(230)과 동일 높이에서 벽면 패널부(200)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밀착시킨다.
이후, 제1체결부재(430)의 삽입단을 제1절곡구간의 체결홀과 걸림부재(410)의 체결홀을 통해 수평하게 관통 결합시킨 후, 후방의 조작단을 결합방향으로 회전시켜 삽입단을 걸림부재(410)의 체결홀에 결합시킨다. 이때 브라켓(420)의 제1절곡구간이 벽면 패널부(200)의 내측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제2절곡구간이 벽면 패널부(20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다수의 벽면 패널부(200)에 형성된 가이드홈(230)에 걸림부재(410)와 브라켓(420)을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시키고, 벽면 패널부(200)들에 각각 결합된 브라켓(420)은 수직 지지대(440)를 연결시키기 위해 상하방향에 동일 선상으로 위치된다. 여기서 벽면 패널부(200)의 적측되는 개수와 걸림부재(410) 및 브라켓(420)이 설치되는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수직 지지대(440)의 폭방향 일측을 제2절곡구간의 일측에 밀착시킨 후 제2체결부재(450)의 삽입단을 제2절곡구간의 체결홀과 수직 지지대(440)의 체결홀을 통해 수평하게 관통 결합시킨 후, 후방의 조잘단을 결합방향으로 회전시켜 삽입단을 수직 지지대(440)의 체결홀에 결합시킨다. 이때 수직 지지대(440)의 폭방향 일측이 제2절곡구간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즉, 벽면 패널부(200)들에 각각 고정된 브라켓(420)들이 상하로 길이를 갖는 수직 지지대(400)에 의해 상호 연결되므로, 벽면 패널부(200)들이 외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고, 화단(10)으로부터 수평하게 작용하는 힘에 의해 폭방향으로 틀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걸림부재(410)와 브라켓(420) 및 수직 지지대(440)가 설치되는 개수와 위치 등을 조절하여 벽면 패널부(200)의 조립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은 일측이 대응되는 벽면 패널부(200)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밀착되고, 상단에 안착홈(511)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 브라켓(510)과, 안착홈(511)을 기준으로 보조 브라켓(510)의 양측으로 수평하게 관통되어 벽면 패널부(200)의 내측면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보조 체결부재(530) 및, 수평하게 길이를 갖고, 길이방향 양측이 안착홈(511)에 수평하게 각각 삽입되는 수평 지지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체결부재(530)는 보조 브라켓(510)을 벽면 패널부(200)의 내측면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전방의 삽입단이 보조 브라켓(500)에 형성된 체결홀과 벽면 패널부(200)의 일면에 형성된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후방의 조작단이 보조 브라켓(510)의 일면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걸림 위치될 수 있다.
보조 체결부재(530)의 삽입단은 벽면 패널부(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체결홀의 내주면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맞물림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 체결부재(530)의 조작단을 회전시켜 삽입단을 백면 패널부(200)의 체결홀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보조 브라켓(510)과 수평 지지대(520)는 벽면 패널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고, 벽면 패널부(200)의 상하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보조 브라켓(510)과 수평 지지대(520)가 결합되는 위치와 개수, 사이즈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즉, 수평 지지대(520)가 벽면 패널부(200)의 마주하는 내측면을 각각 지지하므로, 화단(10)으로부터 수평하게 작용하는 힘에 의해 벽면 패널부(200)가 폭방향으로 틀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보조 브라켓(510)과 수평 지지대(520)가 설치되는 개수와 위치 등을 조절하여 벽면 패널부(200)의 조립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암수 결합 구조를 이용해 벽면 패널부(200)를 다양한 형태와 높이로 조립이 가능하므로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어 대부분의 화단에 적용이 가능하며, 다수의 벽면 패널부(200)를 서로 연결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어 조립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벽면 패널부(200)의 연결 부위에 간격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화단의 조경물(흙 등)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벽면 패널부(200)의 지지 구조가 화단(10)의 조경물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외관을 심플하게 마감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화단용 경계 구조물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화단 100: 받침부
110: 삽입홈 200: 벽면 패널부
210: 적층홈 220: 적층돌기
230: 가이드홈 231: 걸림단
310: 제1연결부재 311: 제1조립홈
320: 제2연결부재 321: 제2조립홈
410: 걸림부재 420: 브라켓
430: 제1체결부재 440: 수직 지지대
450: 제2체결부재 510: 보조 브라켓
511: 안착홈 520: 수평 지지대
530: 보조 체결부재

Claims (5)

  1. 화단의 경계라인을 따라 하나 이상이 안착되고,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홈이 상기 경계라인의 길이방향으로 개방되는 받침부; 및
    하단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경계라인을 따라 길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벽면 패널부;를 포함하되,
    상기 벽면 패널부의 하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적층홈 및,
    상기 적층홈과 암수로 결합되도록 상기 벽면 패널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층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벽면 패널부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경계라인을 따라 길이를 갖고,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걸림단이 각각 돌출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단과 하단이 상기 걸림단의 폭방향 일측에 걸림 위치되는 걸림부재와,
    직각으로 절곡된 제1절곡구간이 상기 가이드홈과 동일 높이에서 일측이 상기 벽면 패널부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고, 타측의 제2절곡구간이 상기 벽면 패널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라켓과,
    전방의 삽입단이 상기 제1절곡구간과 상기 가이드홈을 통해 상기 걸림부재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체결부재와,
    상기 벽면 패널부의 내측 벽면과 마주하도록 상하로 길이를 갖고, 폭방향 일측이 상기 제2절곡구간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수직 지지대 및,
    전방의 삽입단이 상기 제2절곡구간과 상기 수직 지지대의 폭방향을 통해 나사결합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벽면 패널부를 다수의 층으로 적층 결합시키는 경우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며,
    상기 수직 지지대는,
    상기 제2절곡구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을 수직하게 연결하며,
    일측이 대응되는 상기 벽면 패널부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밀착되고, 상단에 안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 브라켓과, 상기 안착홈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 브라켓의 양측으로 수평하게 관통되어 상기 벽면 패널부의 내측면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보조 체결부재 및, 수평하게 길이를 갖고,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안착홈에 수평하게 각각 삽입되는 수평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체결부재는 전방의 삽입단이 상기 보조 브라켓에 형성된 체결홀과 상기 벽면 패널부의 일면에 형성된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후방의 조작단이 상기 보조 브라켓의 일면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용 경계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하로 길이를 갖고, 상기 벽면 패널부의 길이방향 일측이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되도록 폭방향 양측에 제1조립홈이 각각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연결부재 및,
    상하로 길이를 갖고, 상기 벽면 패널부의 길이방향 일측이 직각으로 연결되도록 직교하는 폭방향 양측에 제2조립홈이 각각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용 경계 구조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88521A 2023-07-07 2023-07-07 화단용 경계 구조물 KR102641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521A KR102641670B1 (ko) 2023-07-07 2023-07-07 화단용 경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521A KR102641670B1 (ko) 2023-07-07 2023-07-07 화단용 경계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670B1 true KR102641670B1 (ko) 2024-02-27

Family

ID=90058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8521A KR102641670B1 (ko) 2023-07-07 2023-07-07 화단용 경계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6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1896A (ja) * 2005-03-04 2006-09-14 Sekisui Plastics Co Ltd 軽量盛土構造体
KR20160126661A (ko) * 2015-04-23 2016-11-02 주식회사 디자인로빈 텃밭농업을 위한 모듈결합형 틀 구조
KR20190012634A (ko) * 2017-07-28 2019-02-11 김윤상 태양광 발전지붕
KR20210107479A (ko) * 2020-02-24 2021-09-01 주식회사 공간 높이조절구조를 갖는 조립식 경계엣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1896A (ja) * 2005-03-04 2006-09-14 Sekisui Plastics Co Ltd 軽量盛土構造体
KR20160126661A (ko) * 2015-04-23 2016-11-02 주식회사 디자인로빈 텃밭농업을 위한 모듈결합형 틀 구조
KR20190012634A (ko) * 2017-07-28 2019-02-11 김윤상 태양광 발전지붕
KR20210107479A (ko) * 2020-02-24 2021-09-01 주식회사 공간 높이조절구조를 갖는 조립식 경계엣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4706B1 (en) Modular interlocking planter
US6202367B1 (en) Raised border system
US10619348B2 (en) Wall assembly
MXPA05013070A (es) Cerca de privacidad de interbloqueo.
CA2493003A1 (en) Pre-fabricated fencing panels
KR101079406B1 (ko) 펜스용 브라켓을 구비한 펜스
US20010045056A1 (en) Edging
JP2010511812A (ja) 部材間の差し込み型接合または嵌め込み型接合のためのブラケット
KR102641670B1 (ko) 화단용 경계 구조물
US20130219784A1 (en) Landscape edging assembly
US6293046B1 (en) Landscape edging
KR20110119202A (ko) 방음벽
WO2012029297A1 (ja) 組立式植栽用容器の組立てセット及び組立式植栽用容器
JP5049411B1 (ja) 組立式植栽用容器の組立てセット及び組立式植栽用容器
US20190128015A1 (en) Outdoor lattice system
JP7316525B2 (ja) 樹木の植栽構造
KR20200077223A (ko) 경사지 시공이 용이한 펜스의 설치 조립체
JP2506298Y2 (ja) 人工竹垣の組立構造
JP2514226Y2 (ja) 目隠しフェンス
KR100975430B1 (ko) 토담 휀스
KR200461786Y1 (ko) 차양구조를 구비한 야외용 테이블
KR102359953B1 (ko) 유골함 안치단 조립구조
JPH0414993Y2 (ko)
JP6858512B2 (ja) デッキ構造
JP6855052B2 (ja) 板材ホルダ及び板材補助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