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318B1 - 소터를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물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소터를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물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318B1
KR102640318B1 KR1020210100007A KR20210100007A KR102640318B1 KR 102640318 B1 KR102640318 B1 KR 102640318B1 KR 1020210100007 A KR1020210100007 A KR 1020210100007A KR 20210100007 A KR20210100007 A KR 20210100007A KR 102640318 B1 KR102640318 B1 KR 102640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er
small
medium
products
i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8167A (ko
Inventor
이규복
최은성
Original Assignee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대한통운 (주) filed Critical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to KR1020210100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318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터를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물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물류 처리가 이루어지는 터미널 내에 중대형상품을 처리하기 위한 중대형전용 소터와 소형상품을 처리하기 위한 소형전용 소터를 함께 구비시키고, 이들 소터들을 활용하여 중대형상품들과 소형상품들을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전체 물류 처리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물류 시스템 및 물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터를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물류 처리 방법{LOGISTICS SYSTEM INCLUDING SORTER AND LOGISTICS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터를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물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물류 처리가 이루어지는 터미널 내에 중대형상품을 처리하기 위한 소터와 소형상품을 처리하기 위한 소터를 나누어 구비시키고, 특히 집화 터미널에서의 물류 처리 과정 및 배송 터미널에서의 물류 처리 과정에서 소형물품들을 별도 처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체 물류 처리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물류 시스템 및 물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쇼핑 등의 전자상거래 이용량 증가 및 인프라 확장으로 인해 배송 물품의 수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그에 따라, 빠르고 정확한 배송의 중요성, 인력 부족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물류 업체들은 다수의 물품들을 효과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자동화 설비를 도입하는 등 다양한 측면으로의 연구 개발 및 투자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물류 시스템의 완전 자동화가 이루어지기에는 여전히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물류 분야의 특성상 발생할 수 있는 변수가 많아 아직까지도 작업의 상당 부분을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물량이 늘어날수록 배송지연 문제도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물류 업체들은 지역별 터미널을 두어 전국 각지로 배송될 물품들을 집화하거나 분류하고 있는데, 이러한 터미널에서 집화 및 분류되는 물품들의 수량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물품 분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장비 및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물류 업체들의 연구 개발에도 불구하고, 터미널에서 수행되는 물품 분류 등의 과정 중에는 사람의 수작업 비중이 여전히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분류 및 상/하차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물품의 크기 및 중량 등에 따라 대형/중형/소형/이형 물품들의 분류 방식이나 순서가 달라질 수 있는데, 특히, 물품들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소형물품들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분류 및 처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2047048호(2019.11.14.)
본 발명은 물류 시스템 내에 소형상품들을 분류하기 위한 별도의 소터를 구비시키고, 이를 활용하여 중대형상품들과 소형상품들을 동시에 분류하도록 하여 전체 물류 처리 속도 및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집화터미널 내에서 소형상품들을 분류할 시 배송터미널, 즉 소비자에게로의 배송을 시작하기 위해 물품을 분류하는 터미널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소형상품들을 패키징 함으로써 소형상품들이 중간 경유지(예. 허브터미널)에서 다시 분류되는 일이 없도록, 다시 말해 중간 경유지에서의 재분류 과정이 생략되도록 함으로써 전체 물류 처리 속도 및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시스템은 중대형물품 - 상기 중대형물품은, 기 정해진 크기값 이상의 값을 가지는 물품임 - 들을 분류하기 위한 중대형전용 제1 소터; 소형물품 - 상기 소형물품은, 기 정해진 크기값 미만의 값을 가지는 물품임 - 들을 분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소형물품들을 배송지 별로 할당된 배송터미널 별로 분류하기 위한 소형전용 제2 소터; 및 상기 중대형전용 제1 소터 및 소형전용 제2 소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대형전용 제1 소터 및 소형전용 제2 소터는 적어도 일부의 시간 동안 동시에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기값은 부피값, 단면적값, 직경값, 또는 중량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대형전용 제1 소터와 소형전용 제2 소터는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형전용 제2 소터에 의해 분류된 소형물품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키지로 단위화 되어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물류 시스템은 상기 소형전용 제2 소터에 의해 분류된 소형물품들을 담기 위한 하우징을 기정해진 조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하우징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파우치 내에 기 정해진 개수 또는 부피만큼의 소형물품들이 담겼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하우징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 감지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에 기 정해진 개수 또는 부피만큼의 소형물품들이 담긴 것으로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류 시스템은 상기 중대형전용 제1 소터 및 소형전용 제2 소터의 전단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이동되는 상품의 크기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크기값에 따라 상품을 상기 중대형전용 제1 소터 또는 소형전용 제2 소터 쪽으로 사전 분류시키는 전처리 소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시스템은, 중대형상품 - 상기 중대형상품은, 기 정해진 크기값 이상의 값을 가지는 상품임 - 들을 분류하기 위한 중대형전용 제3 소터; 소형상품 - 상기 소형상품은, 기 정해진 크기값 미만의 값을 가지는 상품임 - 들을 분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소형상품들을 배송차량 별로 분류하기 위한 소형전용 제4 소터; 및 상기 중대형전용 제3 소터 및 소형전용 제4 소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대형전용 제3 소터 및 소형전용 제4 소터는 적어도 일부의 시간 동안 동시에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형전용 제4 소터에 의해 분류되는 소형상품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키지로 운송되어 온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대형전용 제3 소터와 소형전용 제4 소터는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처리 방법은, 중대형상품을 분류하기 위한 중대형전용 제1 소터 및 소형상품을 분류하기 위한 소형전용 제2 소터를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되, 이 때 상기 물류 처리 방법은 상기 중대형전용 제1 소터 및 상기 소형전용 제2 소터가 각각 상품들을 분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소형전용 제2 소터는, 상기 소형상품들을 배송지 별로 할당된 배송터미널 별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형전용 제2 소터는, 상기 소형상품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화 된 패키지들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류 처리 방법은, 상기 중대형전용 제1 소터 및 소형전용 제2 소터가 각각 상품들을 분류하는 단계 이전에 실행되는 것으로서,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되는 상품들의 크기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크기값을 기준으로 상기 상품들을 상기 중대형전용 제1 소터 또는 상기 소형전용 제2 소터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류 처리 방법은 중대형상품을 분류하기 위한 중대형전용 제3 소터 및 소형상품을 분류하기 위한 소형전용 제4 소터를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되, 이 때 상기 물류 처리 방법은 상기 중대형전용 제3 소터 및 상기 소형전용 제4 소터가 각각 상품들을 배송차량 별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형전용 제4 소터에 의해 분류되는 소형상품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키지로 운송되어 온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기 물류 시스템은, 집화터미널 시스템; 허브터미널 시스템; 및 배송터미널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집화터미널 시스템은, 집화터미널 - 상기 집화터미널은, 발송처로부터 수거된 상품들이 집화되는 터미널임 - 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중대형물품 - 상기 중대형물품은, 기 정해진 크기값 이상의 값을 가지는 물품임 - 들을 분류하기 위한 중대형전용 제1 소터; 및 소형물품 - 상기 소형물품은, 기 정해진 크기값 미만의 값을 가지는 물품임 - 들을 분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소형물품들을 배송지 별로 할당된 배송터미널 별로 분류하기 위한 소형전용 제2 소터;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터미널 시스템은, 허브터미널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집화터미널로부터 운송된 상품들 중 중대형물품들만 배송지 별로 할당된 배송터미널 별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송터미널 시스템은, 배송터미널 - 상기 배송터미널은, 상기 허브터미널로부터 운송된 물품들을 각 배송차량 별로 분류하는 터미널임 - 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중대형물품들을 분류하기 위한 중대형전용 제3 소터; 및 소형물품들을 분류하기 위한 소형전용 제4 소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품들을 분류하는 과정을 투 트랙, 즉 소형물품 분류 및 중대형물품 분류로 진행시킬 수 있어 물류 처리 속도가 그만큼 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집화 단계에서 소형상품들을 배송터미널을 기준으로 패키징 할 수 있으며, 이렇게 패키징 된 소형상품들은 패키징 된 상태로 최종 배송지에 대응되는 배송터미널까지 운송될 것이므로, 중간 경유지에서 소형상품들을 재분류 하는 과정이 생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물품들만을 전용으로 처리할 수 있는 별개의 소터를 둠으로써 소형물품 분류 과정에 투입할 수 있는 인력을 유연하게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시스템 및 물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은 집화터미널 내에 구비된 물류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집화터미널 내에 소터들이 설치된 구현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소형물품들을 처리하기 위한 소형전용 소터의 구현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허브터미널 내에서의 물류 처리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배송터미널 내에 구비된 물류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배송터미널 내에 소터들이 설치된 구현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처리 방법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시스템을 활용하여 물품들이 처리되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할 때, 전체적인 물류 처리 흐름에서 거치게 되는 터미널들은 집화터미널(10), 허브터미널(30), 및 배송터미널(50)을 포함하며, 도 1에서의 집화터미널(10) 및 배송터미널(50)은 중대형상품들을 처리하기 위한 소터(200, 400)와 소형상품들을 처리하기 위한 소터(300, 500)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은 물류 시스템 내에 소형상품들을 처리하기 위한 소터(300, 500)를 별도로 구비하게 한 점에 하나의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이며, 따라서 소형상품들을 처리하기 위한 소터가 물류 시스템 내에 포함이 되어 있다면 소형상품들 외 다른 물품들을 처리하기 위한 소터의 종류에는 어떠한 것이 포함되더라도 무관하다는 점을 이해하기로 한다. 즉, 도 1에는 소형상품들을 처리하기 위한 소터(300, 500)들 외에 중대형상품들을 처리하기 위한 소터(200, 400)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중대형상품들을 처리하기 위한 소터(200, 400)들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굳이 중대형상품들이 아니라 할지라도 다른 종류의 상품들을 처리할 수 있는 소터가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또한 참고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소형상품들을 처리하기 위한 소터는 소형전용 소터로, 그리고 중대형상품들을 처리하기 위한 소터는 중대형전용 소터 등으로 약칭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오면, 본 상세한 설명에서 정의되는 물류 시스템이 임의의 터미널 내에 제어 가능하게 구비되는 장치들의 집합이라 할 때, 도 1에 따른 물류 시스템은 중대형전용 소터들, 및 소형전용 소터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시스템 및 물류 처리 방법에서는 이처럼 중대형물품들과 소형물품들을 동시에 분류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특히 물류량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소형물품 처리 효율을 크게 높여 전체 물류 시스템의 작업 효율 및 작업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임을 상기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고하여 물류가 처리되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을 참고할 때, 집화터미널(10)에서는 중대형전용 제1 소터(200)에 의해 중대형물품들이, 그리고 소형전용 제2 소터(300)에 의해 소형물품들이 분류될 수 있으며, 이들 물품들은 다음 경유지인 허브터미널(30)로 운송될 수 있다. 집화터미널(10)은 발송인 또는 발송처로부터 수거된 상품들이 집화 되는 터미널로,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다음 경유지인 허브터미널 별로 상품들이 분류되나,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시스템에 따를 때 집화터미널(10)에서는 소형상품들의 경우 다음 경유지인 허브터미널이 아니라 마지막 경유지인 배송터미널(50) 별로 상품들이 분류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집화터미널(10) 내에 갖추어진 소형전용 소터(300)는 다음 경유지인 허브터미널(30) 별로 상품들을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수신인을 향해 배송차량들이 출발하는 기점인 배송터미널(50)을 기준으로 상품들을 분류하며, 이렇게 분류된 소형상품들은 목적지인 배송터미널 별로 패키징이 될 수 있다.
한편, 허브터미널(30)은 집화터미널(10)로부터 중대형물품들 및 소형물품들을 운송 받게 되며, 허브터미널(30)에서는 다시 다음 목적지인 배송터미널(50)을 향해 물건 운송을 하기 위해 분류 작업이 진행된다. 앞서에서는 집화터미널(10)에서 분류된 소형상품들이 패키징이 될 수 있다고 언급하였는데, 패키징이 된 후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패키지로 포장된 소형물품들은 허브터미널 측으로 포장이 된 상태, 즉 패키지 상태로 운송될 수 있으며, 이미 최종 배송터미널 별로 패키징이 된 소형상품들은 허브터미널 내에서 특별한 분류 작업 없이 그대로 다음 배송터미널(50) 측으로 운송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는 허브터미널(30)로 입고된 소형물품들이 패키징 된 상태 그대로 허브터미널(30)을 통과하여 배송터미널(50)로 운송되는 점이 도시되어 있으며, 반면 허브터미널(30)로 입고된 중대형물품들은 별도의 분류 작업을 거쳐 배송터미널(50)로 운송되는 점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1에는 허브터미널(30)이 한 개만 도시되어 있고, 소형물품 및 중대형물품이 모두 일괄적으로 하나의 허브터미널(30) 내로 입고되어 소형물품은 그대로 통과되고 중대형물품에 대해서는 분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설명하였는데, 필요에 따라 상기 허브터미널(30)은 중대형물품들 만을 처리하기 위한 허브터미널과 소형물품들 만을 처리하기 위한 허브터미널로 나뉘어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대형물품들 만을 입고 받는 허브터미널은 기존에 갖추고 있던 물류 시스템을 활용하여 종전처럼 각 배송터미널로 운송 될 중대형 및 이형물품들을 분류할 수 있으며, 소형물품들 만을 입고 받는 허브터미널은 소형물품들만을 전용으로 처리하기 위한 물류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각 배송터미널로 운송 될 소형물품들만을 분류할 수 있다.
한편, 허브터미널(30)에서 분류된 물품들은 배송터미널(50) 측으로 운송될 수 있으며, 중대형물품들을 분류하기 위한 중대형전용 제3 소터(400) 및 소형물품들을 분류하기 위한 소형전용 제4 소터(500)를 갖춘 배송터미널(50)에서는 앞서와 마찬가지로 중대형물품들 및 소형물품들을 동시에 분류할 수 있다.
한편, 분류된 중대형물품들 및 소형물품들은 배송차량(70)에 실리도록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될 수 있다.
이상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시스템이 적용된 상태에서의 물류 처리 흐름을 살펴 보았다. 이하에서는 각 터미널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시스템이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를 활용한 물류 처리 방법은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시스템이 구비된 집화터미널(10)의 내부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집화터미널(10)은 발송처에서의 물품들이 입고된 후 분류되어 배송차량으로의 상차가 이루어지는 터미널이다. 도면을 참고할 때, 상기 집화터미널(10)에는 입고되는 물품들의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물품들을 각각 중대형 또는 소형물품으로 분류하기 위한 전처리 소터(100), 입고된 물품들 중 중대형으로 분류된 것들을 처리하는 중대형전용 제1 소터(200), 소형으로 분류된 것들을 처리하는 소형전용 제2 소터(300)를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집화터미널(1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물류 시스템의 일 예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면을 통해서는 크게 중대형 상품들을 처리하기 위한 중대형전용 제1 소터(200), 그리고 소형 상품들을 처리하기 위한 소형전용 제2 소터(300)가 별개로 나뉘어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최초 입고된 상품들을 중대형전용 제1 소터(200) 또는 소형전용 제2 소터(300)로 분류하기 위한 전처리 소터(100)도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전처리 소터(100), 중대형전용 제1 소터(200), 소형전용 제2 소터(300) 각각은 모두 엄밀하게 보았을 때 복수의 부속장치들로 구성되는 하나의 시스템이며, 따라서 각각 전처리 소팅 시스템, 중대형전용 제1 소팅 시스템, 소형전용 제1 소팅 시스템과 같이 명명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할 것이나,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발명의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해 각각 전처리 소터(100), 중대형전용 제1 소터(200), 소형전용 제2 소터(300)로 용어를 정의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참고로 도 3에는 전처리 소터(100)를 구성하는 세부구성들로 상품(10)을 인식하는 상품인식부(101), 상품(10) 인식을 위해 촬영을 하는 카메라(105), 상품(10)이 진입을 감지하는 상품감지부(110, 115), 컨베이어(130), 진입이 감지된 상품에 대해 분류를 실행하는 (휠)소터(150) 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 세부구성들은 하나의 소팅 시스템을 구현해 내는 데에 필요한 구성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당연히 위와 다른 구성들을 포함시켜 소팅 시스템을 구현해 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다시 도 3에 대한 설명을 이어가자면, 상품인식부(101)는 집화차량들에 의해 입고되는 물품들을 스캐닝 또는 촬영함으로써 각각의 물품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 구현예로, 상품인식부(101)는 구비된 스캐너 또는 카메라를 통해 컨베이어를 통해 입고되는 물품들을 스캐닝하거나 촬영할 수 있으며, 스캐닝 된 식별코드(바코드, 큐알코드 등)나 촬영된 운송장 등으로부터 해당 물품에 대한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획득되는 정보들 중에는 물품의 발송인, 수취인, 발송인 주소, 또는 수취인 주소와 같은 물품의 배송 및 물품 자체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품인식부(101)는 비단 배송과 관련된 정보뿐만 아니라 물품의 크기에 관한 정보들도 획득할 수 있다. 상품인식부(101)는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도 가능할 수 있다고 전술하였는데, 상품인식부(101)가 이렇게 촬영한 이미지로무터는 상품인식부(101)가 자체적으로, 또는 물류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이미지 분석을 함으로써 해당 물품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크기의 측정 결과 예를 들어, 물품의 크기가 기 정해진 규격 미만인 물품은 소형으로, 그 이상인 상품은 중대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미지 분석 결과 종횡비 비율이 기 정해진 값 미만인 물품에 대해서는 소형 물품으로, 그 이상인 물품에 대해서는 중대형 또는 이형 물품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인식부(101) 내, 또는 상품인식부(101)와 별도로 중량계, 즉 컨베이어 상으로 운반되는 물품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측정된 물품의 중량값을 기준으로도 소형인지 중대형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나아가, 앞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획득한 물품의 길이값과 위 중량값을 참고하여 해당 물품의 부피도 연산해 낼 수 있다.
이처럼 상품인식부(101)는 집화터미널(10) 내로 입고되는 물품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렇게 획득된 정보들은 입고되는 물품들이 소형인지 아니면 중대형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품인식부(101)에 의해 그 크기가 판별된 물품들은 상품감지부(110, 115) 및 휠소터(150)를 거쳐 중대형전용 제1 소터(200) 또는 소형전용 제2 소터(300)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이동은 당연히 컨베이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휠소터(150)는 크로스벨트 소터, 트레이 등 다른 형태의 소팅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중대형전용 제1 소터(200)는 중대형물품들을 분류하기 위한 것으로,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된 중대형물품들을 정해진 규칙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다음 경유지 주소에 따라, 더 바람직하게는 수취인 주소에 대응되는 허브터미널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것이다. 중대형전용 제1 소터(200)는 앞서 설명한 소터 또는 소팅 시스템의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팅 수단으로는 휠소터, 크로스밸트 소터, 또는 트레이 소터 등이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소형전용 제2 소터(300)는 소형물품들을 분류하기 위한 것으로,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된 소형물품들을 정해진 규칙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것이다.
소형전용 제2 소터(300)는 앞서 설명한 중대형전용 제1 소터(200)와 유사한 구조의 구성들을 갖춘 것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할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소형물품들을 처리하기에 적합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는 소형전용 제2 소터(300)를 구현하는 데에 적합한 구조들이 일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고할 때, (a)는 로터리 푸쉬 소터(Rotary Push-sorter)를 구현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는 소형물품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1201(a)), 분류를 위해 물품을 밀어내기 위한 푸셔(1203), 그리고 푸셔(1203)에 의해 분류된 물품이 담기는 스토리지(1205(a))가 포함될 수 있다. (b)는 폴리백 휠소터(Polybag Wheel-sorter)를 구현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는 물품 분류용 휠소터를 포함하는 컨베이어(1201(b)), 휠소터에 의해 분류된 물품이 담기는 스토리지(1205(b))가 포함될 수 있다. (c)는 틸팅 소터(Tilting-sorter)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는 물품 분류를 위해 틸팅 구동이 가능한 컨베이어(1201(c)), 그리고 틸팅 구동에 의해 분류된 물품이 담기는 스토리지(1205(c))가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소형전용 제1소터(300)는 도 4의 구현 예들과 같이 대량의 소형물품들을 분류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컨베이어에 의해 대량의 물품들이 이동될 때 작은 구동폭 만으로 물품을 분류할 수 있는 수단을 다수 개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분류된 물품들을 담기 위한 스토리지들 역시 다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형전용 제2 소터(300)는 물품들을 분류할 수 있는 소팅 수단으로 적어도 5개 이상을, 그리고 물품들을 담기 위한 스토리지도 적어도 5개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중대형전용 제1 소터(200)와 소형전용 제2 소터(300)는 반드시 도 3에서와 같이 동일한 평면 상에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바닥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형전용 제2 소터(300)는 중대형전용 제1 소터(200)에 비해 종방향으로 더 위쪽에 설치될 수 있다. 비교적 무거운 중량의 물품들은 집화터미널(10)의 바닥면에 가까운 쪽에서 처리가 가능하게 해야 작업자들의 안전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물품 파손 역시 최소화 할 수 있다. 반면, 소형물품들은 더 높은 공간에서 물품 분류를 하더라도 작업자의 안전이나 물품의 파손을 염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시스템 내에서는 소형전용 제2 소터(300)가 같은 공간 내에서 중대형전용 제1 소터(200)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 예로, 중대형전용 제1 소터(200)의 위쪽으로는 설치물을 배치하기 위한 평면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으며, 소형전용 제2 소터(300)는 상기 평면 구조물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평면 구조물은 복수 개의 금속 프레임들에 의해 제작될 수 있거나, 또는 콘크리트와 같이 골재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굳힌 물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 예로, 상기 소형전용 제2 소터(300)는 터미널의 천장면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물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중대형전용 제1 소터(200)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소형물품 분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형전용 제2 소터(300)에 의해 분류되는 소형물품들 중 복수 개의 소형물품들은 하나의 단위 패키지, 또는 복수 개의 단위 패키지들로 패키징 될 수 있다. 패키지란, 복수 개의 소형상품들을 하나의 단위로 담아 포장한 것으로, 복수 개의 소형상품들은 직물로 제작된 포대, 행낭, 고분자 화합물로 제작된 플라스틱 박스, 바구니 등에 담겨 하나의 패키지를 이룰 수 있다. 참고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복수 개의 소형상품들을 담을 수 있는 구성, 내부에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갖춘 구성을 총칭하는 것으로 하우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하며, 이 하우징에는 앞서 언급한 포대, 행낭, 박스, 바구니, 팔레트 등 다양한 상품 포장용 수단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앞서 언급하였듯 소형전용 제2 소터(300)에 의해서는 대량의 소형물품들이 스토리지에 담기면서 분류될 수 있는데, 이 때 각 스토리지는 정해진 목적지에 따라 분류된 것일 수 있으며, 각각의 스토리지에는 포대, 행낭 등의 하우징들이 거치되어 있어 분류된 소형물품들이 자연스럽게 패키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은 물품들을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이 정해져 있어 정해진 양이 모두 차게 되면 이를 교체해 줘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시스템은 이를 위해 별도의 하우징 제공부를 둠으로써 패키지 용량이 모두 찼을 경우 다른 하우징으로 자동교체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물류 시스템은, 상기 하우징 내에 기 정해진 개수 또는 부피만큼의 소형물품들이 담겼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하우징 감지부를 둠으로써 하우징의 교체가 필요한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림부를 통해 알리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하우징을 교체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 제공부로 하여금 자동으로 하우징 교체를 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형전용 제2 소터(300)에 의해 분류되는 소형물품들, 특히 패키징 되는 소형물품들은 배송터미널(50)을 기준으로 패키징 될 수 있다. 집화터미널(10)로부터 출고되는 패키지들 및 중대형물품들은 배송차량들에 실려 허브터미널(30)로 운송되는데, 이 때 허브터미널(30)에서 배송터미널(50)별로 분류 작업을 할 때에 패키지 단위로 분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처음 집화터미널(10)에서부터 배송터미널(50)을 기준으로 패키징을 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형전용 제2 소터(300)에 의해 분류되는 소형물품들은 같은 배송터미널(50)을 도착지로 하는 패키지들로 분류 및 패키징 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중대형전용 제1 소터(200)에 의해 분류되는 물품들은 허브터미널(30)을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상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중대형전용 제1 소터(200), 소형전용 제2 소터(300), 그리고 그 밖에 전처리 소터(100), 제어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집화터미널(10) 내 설치되는 물류 시스템에 대해 알아 보았다.
도 5는 허브터미널(30)에서의 물류 처리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허브터미널(30)은 일반적으로 서브터미널(10)에 비해 더 큰 규모의 물류 거점을 의미하나, 허브터미널(30)은 반드시 이러한 용어의 의미에 의해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품이 배송되는 과정에서 거쳐가는 일종의 경우 거점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집화터미널(10)에서는 소형물품들이 패키지 단위로 패키징이 되어 허브터미널(30) 측으로 출고된다고 언급하였는데, 이렇게 출고된 패키지들은 허브터미널(30)에 입고된 뒤 패키지 상태를 유지한 채로 다음 목적지인 배송터미널(50) 별로 분류될 수 있다. 패키지가 행낭 등으로 된 하우징인 경우, 소형물품들은 이미 배송터미널(50) 별로 사전 분류되어 하우징 단위로 묶인 상태일 것이므로, 묶인 상태 그대로 다음 배송터미널(50)쪽으로 분류된다.
참고로 허브터미널(30)에서 중대형, 이형 물품들은 종래 물류 처리 방식에 따라, 즉 휠소터를 비롯한 알려져 있는 분류 수단을 활용하여 분류가 이루어질 수 있다.
허브터미널(30)에서의 이러한 물류 처리 과정은, 물량이 가장 소형물품들에 대해 패키지 단위로 분류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분류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패키지 단위로 분류가 되므로 그만큼 패키지 내무의 소형물품들이 바깥으로 노출된 위험이 없어 물품 파손의 가능성도 낮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배송터미널(50)에서의 물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배송터미널(50)은 앞선 허브터미널(30) 또는 그 밖의 경유 거점으로부터 물품들을 운송 받고, 이들 물품들을 최종 라스트마일(last-mile)배송을 위해 각각의 배송차량으로 분배하는 장소이다.
도 6을 참고할 때, 배송터미널(50)에 설치되는 물류 시스템은 중대형물품들을 분류하기 위한 중대형전용 제3 소터(400), 소형물품들을 분류하기 위한 소형전용 제4 소터(500)를 포함하며, 그 밖에 위 소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배송터미널(50) 내부에 구현된 물류 시스템의 일 예시를 도시한 것인데, 이 도면에는 중대형전용 제3 소터(400)가 상품인식부(401), 카메라(405), 상품감지부(410, 415), 컨베이어(430), 휠소터(450) 등의 세부구성들로 구현되어 있음이 나타나 있다. 다만, 도 7의 구현 예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다른 세부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한편, 위 중대형전용 제3 소터(400)나 소형전용 제4 소터(500), 그 밖에 물류 시스템을 구성하는 세부구성들은 이미 집화터미널(10)의 물류 시스템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배송터미널(50)에서 특기할 만한 사항으로, 배송터미널(50)에는 소형물품들이 패키지(P) 단위로 하차되는데, 이 때 각각의 패키지(P)들은 배송터미널(50)에서 해체된 뒤 개별 소형물품들이 소형전용 제4 소터(500)를 통해 분류가 이루어진다. 또한, 동시에 중대형물품들, 이형물품들은 중대형전용 제3 소터(400)에 의해 분류가 이루어진다.
배송터미널(50)에서의 이와 같은 물류 처리 과정은 물량이 가장 많은 소형물품들을 패키지 단위, 파우치 단위로 하차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배송터미널(50)에서의 하차 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중대형물품 및 이형물품들을 분류하기 위한 중대형전용 제3 소터(400)와 소형물품들을 분류하기 위한 소형전용 제4 소터(500)가 동시에 가동이 됨으로써 물품 분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7의 배송터미널(50)에서 특기할 만한 사항으로, 배송터미널(50)에는 중대형전용 제3 소터(400) 및 소형전용 제4 소터(500)가 완전히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는 점이다. 앞선 도 3의 구현 예에서는 중대형전용 제1 소터(200)와 소형전용 제2 소터(300)가 전처리 소터(100)를 기준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습이었으나, 도 7의 구현 예에서는 중대형전용, 소형전용 소터들이 완전히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음이 도면에 드러나 있다. 이와 같은 분리가 가능한 이유는, 소형상품들이 별개의 단위 패키지들, 즉 파우치 단위로 입고가 되기 때문이며, 배송터미널(50)에서는 굳이 입고된 상품들이 중대형인지 아니면 소형인지를 분류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상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시스템에 대해 살펴 보았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집화터미널 및 배송터미널에서의 물류 처리 방법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8을 참고할 때, 집화터미널(10)에서의 물류 처리 방법은 중대형전용 제1 소터(200) 및 소형전용 제2 소터(300)가 각각 중대형물품들, 소형물품들을 분류하는 단계(S104)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나, 집화터미널(10)은 발송처로부터 복수 개의 물품들이 최초로 집화되는 장소라는 점에서 위 S104 단계 이전에 필요한 단계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집화터미널(10)에서는 입고되는 물품들에 대해 일괄적으로 물품식별코드를 인식하는 단계(S101) 및 물품들의 크기값을 측정(S102)한 뒤 이를 기준으로 각 물품들을 중대형전용 제1 소터(200) 및 소형전용 제2 소터(300)로 분류하는 단계(S103) 등이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S101 단계는 집화차량들에 의해 입고되는 물품들을 스캐닝 또는 촬영함으로써 각 물품들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발송인, 수취인, 발송인 주소, 수취인 주소 또는 물품명 등과 같은 정보들을 얻는 단계로 이해될 수 있다.
S102 단계는 입고되어 이동되는 물품들의 크기값을 측정하는 단계인데, 이 단계에서는 물품을 촬영한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함으로써, 또는 그 외에 이미지의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해당 물품이 중대형인지 또는 소형인지 여부를 가릴 수 있도록 특정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측정되는 크기값에는 예를 들어 부피값, 단면적값, 직경값, 또는 중량값 중 적어도 하나의 것이 포함될 수 있다.
S103 단계는 크기값을 기준으로 각 물품들을 중대형전용 제1 소터(200) 또는 소형전용 제2 소터(300)로 분류하는 단계인데, 이 단계에서는 제1 소터 또는 제2 소터 외에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소터가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S104 단계는 중대형전용 제1 소터(200)와 소형전용 제2 소터(300)가 각각 물품들을 분류하는 단계로, 본 단계에서는 특히 소형전용 제2 소터(300)가 소형물품들을 배송지 별로 할당된 배송터미널 별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본 단계에서는 소형전용 제2 소터(300)가 소형물품들을 각 배송터미널 별로 분류할 때에 단위 패키지화 하여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는 배송터미널(50)에서의 물류 처리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도 9에 따른 물류 처리 방법은 앞서 도 8에서와 마찬가지로 중대형전용 제3 소터(400) 및 소형전용 제4 소터(500)가 각각 중대형물품들, 소형물품들을 분류하는 단계(S203)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나, 그 이전에 배송터미널(50)만의 특화된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터미널(50)에서의 물류 처리 방법에서는 가장 먼저 중대형물품 및 소형물품을 서로 다른 경로로 입고시키는 단계(S201)가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경로란, 물품들이 배송터미널(50) 내부에서 본격적인 물품 분류를 위하여 물류 시스템 상으로, 더 정확하게는 컨베이어를 통해 입고되는 시점에서의 경로가 서로 다름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중대형물품들은 제3 소터(400)와 연결되는 컨베이어를 통해, 그리고 소형물품들을 제4 소터(500)와 연결되는 컨베이어를 통해 별개로 나뉘어 입고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시스템 및 물류 처리 방법에서 특기할 만한 사항은 소형물품들이 이미 집화터미널(10)에서부터 배송터미널(50)을 기준으로 패키징이 된다는 점인데, 따라서 배송터미널(50) 내로 입고되는 소형물품들은 단위 패키지로 묶여 있는 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당연히 패키지로 묶여 있는 소형물품들은 일반 중대형물품들과는 서로 상이한 경로로 입고가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중대형물품들 또는 소형물품들의 물품식별코드들을 식별하는 단계(S202)가 진행될 수 있으며, 이는 중대형전용 제3 소터(400) 또는 소형전용 제4 소터(500)와 각각 연계되어 동작하는 물품식별부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S202 단계 이후에는 제3 소터(400) 및 제4 소터(500)가 각 물품들을 각 배송차량들로 분류하는 단계(S203)가 진행될 수 있으며, 이는 이미 앞선 도 6, 도 7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을 하였으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소터를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물류 처리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집화터미널 30 허브터미널 50 배송터미널
70 배송차량
100 전처리 소터
200 중대형전용 제1 소터 300 소형전용 제2 소터
400 중대형전용 제3 소터 500 소형전용 제4 소터
1201(a), (b), (c) 컨베이어
1203 푸셔
1205(a), (b), (c) 스토리지

Claims (17)

  1. 물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류 시스템은,
    집화터미널 시스템;
    허브터미널 시스템; 및
    배송터미널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집화터미널 시스템은, 집화터미널 - 상기 집화터미널은, 발송처로부터 수거된 상품들이 집화되는 터미널임 - 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중대형물품 - 상기 중대형물품은, 기 정해진 크기값 이상의 값을 가지는 물품임 - 들을 분류하기 위한 중대형전용 제1 소터; 및 소형물품 - 상기 소형물품은, 기 정해진 크기값 미만의 값을 가지는 물품임 - 들을 분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소형물품들을 배송지 별로 할당된 배송터미널 별로 분류하기 위한 소형전용 제2 소터;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터미널 시스템은, 허브터미널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집화터미널로부터 운송된 상품들 중 중대형물품들만 배송지 별로 할당된 배송터미널 별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송터미널 시스템은, 배송터미널 - 상기 배송터미널은, 상기 허브터미널로부터 운송된 물품들을 각 배송차량 별로 분류하는 터미널임 - 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중대형물품들을 분류하기 위한 중대형전용 제3 소터; 및 소형물품들을 분류하기 위한 소형전용 제4 소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값은 부피값, 단면적값, 직경값, 또는 중량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대형전용 제1 소터와 소형전용 제2 소터는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전용 제2 소터에 의해 분류된 소형물품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키지로 단위화 되어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전용 제2 소터에 의해 분류된 소형물품들을 담기 위한 하우징을 기정해진 조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하우징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기 정해진 개수 또는 부피만큼의 소형물품들이 담겼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하우징 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감지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에 기 정해진 개수 또는 부피만큼의 소형물품들이 담긴 것으로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대형전용 제1 소터 및 소형전용 제2 소터의 전단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이동되는 상품의 크기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크기값에 따라 상품을 상기 중대형전용 제1 소터 또는 소형전용 제2 소터 쪽으로 사전 분류시키는 전처리 소터;
    를 더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전용 제4 소터에 의해 분류되는 소형상품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키지로 운송되어 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대형전용 제3 소터와 소형전용 제4 소터는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시스템.
  12. 발송처로부터 수거된 상품들을 집화하는 집화터미널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중대형상품을 분류하기 위한 중대형전용 제1 소터 및 소형상품을 분류하기 위한 소형전용 제2 소터를 포함하는 집화터미널 시스템, 허브터미널 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집화터미널로부터 운송된 상품들 중 일부를 배송터미널 별로 분류하는 허브터미널 시스템, 및 상기 허브터미널로부터 운송된 물품들을 각 배송차량 별로 분류하는 배송터미널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중대형상품을 분류하기 위한 중대형전용 제3 소터 및 소형상품을 분류하기 위한 소형전용 제4 소터를 포함하는 배송터미널 시스템을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이 물류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집화터미널 시스템 내 중대형전용 제1 소터 및 소형전용 제2 소터가 각각 상품들을 분류하되 상기 소형전용 제2 소터는, 상기 소형상품들을 배송지 별로 할당된 배송터미널 별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상기 허브터미널 시스템이 상기 집화터미널로부터 운송된 상품들 중 중대형물품들만 배송지 별로 할당된 배송터미널 별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배송터미널 시스템 내 중대형전용 제3 소터 및 소형전용 제4 소터가 각각 상품들을 배송차량 별로 분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물류 처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집화터미널 시스템 내 소형전용 제2 소터는, 상기 소형상품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화 된 패키지들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처리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집화터미널 시스템 내 중대형전용 제1 소터 및 소형전용 제2 소터가 각각 상품들을 분류하는 단계 이전에 실행되는 것으로서,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되는 상품들의 크기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크기값을 기준으로 상기 상품들을 상기 중대형전용 제1 소터 또는 상기 소형전용 제2 소터로 분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물류 처리 방법.
  15. 삭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터미널 시스템 내 소형전용 제4 소터에 의해 분류되는 소형상품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키지로 운송되어 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처리 방법.
  17. 삭제
KR1020210100007A 2021-07-29 2021-07-29 소터를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물류 처리 방법 KR102640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007A KR102640318B1 (ko) 2021-07-29 2021-07-29 소터를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물류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007A KR102640318B1 (ko) 2021-07-29 2021-07-29 소터를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물류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167A KR20230018167A (ko) 2023-02-07
KR102640318B1 true KR102640318B1 (ko) 2024-02-23

Family

ID=8522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007A KR102640318B1 (ko) 2021-07-29 2021-07-29 소터를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물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318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048B1 (ko) 2018-02-05 2019-11-20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
KR20200001161A (ko) * 2018-06-27 2020-01-06 씨제이대한통운 (주) 하차 컨베이어 벨트의 물품 자동 분류 장치 및 시스템
KR102155630B1 (ko) * 2018-06-27 2020-09-14 씨제이대한통운 (주) 초소형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
KR20200025317A (ko) * 2018-08-30 2020-03-10 씨제이대한통운 (주) 물품 분류 시스템
KR102247934B1 (ko) * 2018-08-30 2021-05-04 씨제이대한통운 (주) 통합 물품 분류 시스템
KR20200102577A (ko) * 2019-02-21 2020-09-01 씨제이대한통운 (주) 배송 단위 별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 및 자동 분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167A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16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miting induction of objects to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US114719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for the processing of objects in vehicles
JP6328803B2 (ja) 小包仕分け機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0345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objects provided in vehicles
US114166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induction of objects to a plurality of object processing systems
US112050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conveyor transfer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US202001514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drop conveyors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EP39089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miting induction of objects to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KR102640318B1 (ko) 소터를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물류 처리 방법
KR20140022569A (ko) 소포 자동화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