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2569A - 소포 자동화 기기 - Google Patents

소포 자동화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2569A
KR20140022569A KR1020120088781A KR20120088781A KR20140022569A KR 20140022569 A KR20140022569 A KR 20140022569A KR 1020120088781 A KR1020120088781 A KR 1020120088781A KR 20120088781 A KR20120088781 A KR 20120088781A KR 20140022569 A KR20140022569 A KR 20140022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cel
chute
unit
tr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원
나동길
정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88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2569A/ko
Priority to US13/896,953 priority patent/US8827066B2/en
Publication of KR20140022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65G47/48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bodily destination marks on either articles or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1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etection ofthe destination
    • B07C3/1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etection ofthe destination using electric or electronic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18Devices 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stination, e.g. by code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65G47/48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bodily destination marks on either articles or load-carriers
    • B65G47/49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bodily destination marks on either articles or load-carriers without bodily contact between article or load carrier and automatic control device, e.g. the destination marks being electrically or electronically detected
    • B65G47/493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bodily destination marks on either articles or load-carriers without bodily contact between article or load carrier and automatic control device, e.g. the destination marks being electrically or electronically detected by use of light respons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소포 자동화 기기는 소포를 자동 구분하기 용이하도록, 실시 예는 트레이에 이송되는 소포의 소포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트레이에 인접한 파렛에 형성된 복수의 구분칸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소포가 적재되도록 소포적재슈트를 동작시키는 슈트 동작부, 및 상기 소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포가 상기 복수의 구분칸 중 어느 하나에 적재되도록 상기 소포적재슈트의 동작제어신호를 상기 슈트 동작부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포 자동화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포 자동화 기기{Package automation apparatus}
실시 예는 소포 자동화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포를 자동 구분하기 용이한 소포 자동화 기기에 관한 것이다.
물류 업체 및 우정사업 소포 처리 장소에서 자동 소포 구분 작업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자동 구분 트레이로 들어가는 인입구, 소포의 도착지 정보를 얻기 위해 영상 및 바코드 스캔 과정과 영상의 주소 정보 인식 및 바코드 인식과정을 거친다.
소포는 이 과정이 진행되는 시간 동안 트레이 위에 돌다가, 인식된 정보에 해당하는 구분칸에 도달하면 트레이에서 구분되어 미끄럼틀 같은 슈트를 타고 내려가 구분된다.
구분칸 슈트로 떨어진 소포는 구분된 순서대로 쌓이게 되고, 작업자들은 파렛에 수작업으로 적재한다. 이 과정에서 소포의 크기나 부피 순서에 따라 소포가 구분되는게 아니고 먼저 들어온 순서로 구분되어 떨어지므로, 파렛에 다양한 크기나 부피의 소포를 적재하는 작업도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작은 부피의 소포가 들어갈 공간이 있는 상태에서, 부피가 큰 소포가 구분되어 적재하게 되면 작은 소포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은 비어있는 채로 적재되어 파렛에 적재 효율성은 낮게 된다.
또한 소포를 파렛에 적재하는 작업은 물건을 들어다 놓았다 하는 반복 작업으로 매우 힘든 작업이다.
따라서 물량이 많은 시기에는 자동으로 구분되는 소포의 양과 구분 속도에 맞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처리할 수 없어, 구분칸 만재 알람이 울리게 되고 소포 자동화기기의 작동이 멈추는 일이 빈번이 발생한다.
최근 들어, 소포 자동화기기에서 소포의 구분 및 적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실시 예의 목적은, 소포를 자동 구분하기 용이한 소포 자동화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소포 자동화 기기는, 트레이에 이송되는 소포의 소포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트레이에 인접한 파렛에 형성된 복수의 구분칸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소포가 적재되도록 소포적재슈트를 동작시키는 슈트 동작부 및 상기 소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포가 상기 복수의 구분칸 중 어느 하나에 적재되도록 상기 소포적재슈트의 동작제어신호를 상기 슈트 동작부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소포 자동화 기기는, 트레이에 이동 중인 소포에서 검출된 소포 정보를 기초로 소포가 파렛에 형성된 복수의 구분칸 중 적어도 하나에 적재되도록 슈트를 동작시킴으로써, 소포를 부피 및 중량에 따라 구분 작업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소포 적재시 발생되는 업무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소포 자동화 기기가 적용되는 소포 구분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소포 자동화 기기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에 따른 소포 자동화 기기에 대한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도면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소포 자동화 기기가 적용되는 소포 구분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포 구분 시스템(100)은 인입된 소포(S)를 이송하는 트레이(110), 트레이(110)에 이송되는 소포(S)의 소포 정보(S_F)에 대응되게 트레이(110)의 둘레에 배치된 소포적재슈트(120), 소포적재슈트(120)에 의해 이동되는 소포(S)를 적재하는 파렛(130) 및 트레이(110)에 소포(S) 이송 중 소포 정보(S_F)를 검출하며 소포(S)가 적재되어야 하는 파렛(130)에 인접한 소포적재슈트(120)를 동작제어하는 소포 자동화 기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트레이(110)는 인입된 소포(S)를 자동 구분하기 위하여 소포(S)를 일정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파렛(130)은 복수의 구분칸(130_1 ~ 130_n)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분칸(130_1 ~ 130_n)은 세로 및 가로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소포적재슈트(120)는 기준슈트(미도시) 및 상기 기준슈트에 결합된 복수의 단위슈트(120_1 ~ 120_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슈트는 트레이(110)에서 파렛(130) 방향으로 기준 경사각(미도시)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단위슈트(120_1 ~ 120_n)는 소포 자동화 기기(140)에 의해 상기 기준 경사각에서 설정된 설정 경사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단위슈트(120_1 ~ 120_n) 각각은 소포 자동화 기기(140)의 동작 명령(c1 ~ cn)에 따라 복수의 구분칸(130_1 ~ 130_n) 각각에 소포(S)가 적재되도록 상기 설정 경사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복수의 단위슈트(120_1 ~ 120_n)는 복수의 구분칸(130_1 ~ 130_n)과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상기 기준슈트로 인하여 복수의 단위슈트(120_1 ~ 120_n)가 복수의 구분칸(130_1 ~ 130_n) 보다 적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복수의 단위슈트(120_1 ~ 120_n) 중 제1 단위슈트(120_1)가 동작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 단위슈트(120_1)는 초기에 상기 기준 슈트와 동일한 상기 기준 경사각으로 상기 기준 슈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동작 명령(c1)에 의하여 제1 단위슈트(120_1)를 동작시키는 모터(미도시)가 동작하여, 복수의 구분칸(130_1 ~ 130_n) 중 제1 구분칸(120_1)에 소포(S)가 적재되도록 상기 설정 경사각으로 가변되어, 상기 기준슈트로 이동되는 소포(S)가 제1 단위슈트(120_1)가 동작함에 따라 제1 구분칸(120_1)으로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소포 자동화 기기(140)는 소포 정보(S_F)를 기초로 복수의 단위슈트(120_1 ~ 120_n) 중 어느 하나의 단위 슈트의 경사각을 가변시킴으로써, 복수의 구분칸(130_1 ~ 130_n)에 구분하여 소포(S)를 적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포 자동화 기기(140)는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소포(S)의 구분을 복수의 단위슈트(120_1 ~ 120_n)를 갖는 소포적재슈트(120) 및 복수의 구분칸(130_1 ~ 130_n)로 이루어진 파렛(130)을 이용하여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소포 자동화 기기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구성 및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소포 자동화 기기(140)는 트레이(110)에 이송되는 소포(S)의 소포 정보(S_F)를 검출하는 검출부(210), 트레이(110)에 인접한 파렛(130)에 형성된 복수의 구분칸(130_1 ~ 130_n) 중 어느 하나에 소포(S)가 적재되도록 소포적재슈트(120)를 동작시키는 슈트 동작부(220) 및 소포 정보(S_F)를 기초로 소포(S)가 복수의 구분칸(130_1 ~ 130_n) 중 어느 하나에 적재되도록 소포적재슈트(120)에 대한 동작제어신호를 슈트 동작부(220)로 전달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검출부(210)는 소포(S)의 도착지 및 바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제1 검출부(212) 및 소포(S)의 부피 및 중량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제2 검출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검출부(212)는 소포(S)의 출발지 및 도착지 등과 같은 정보가 입력된 상기 바코드를 검출할 수 있거나, 또는 소포(S)에 문자 또는 글자로 기입된 도착지 등을 검출할 수 있는 적외선 장비 및 카메라 등과 같은 인식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검출부(214)는 소포(S)의 부피 및 중량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는 적외선 장비 및 카메라 등과 같은 검출 장치일 수 있다.
제2 검출부(214)는 트레이(110)의 특정 위치에 배치되어 트레이(110)에 이송되는 소포(S)가 상기 특정 위치에 이동 시 소포(S)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2 검출부(212, 214)는 서로 다른 장치로 나타내었으나, 동일한 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슈트 동작부(220)는 복수의 단위슈트(120_1 ~ 120_n)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작 명령(c1 ~ cn)을 복수의 단위슈트(120_1 ~ 120_n) 각각을 동작시키는 모터(미도시)로 전달하여 복수의 단위슈트(120_1 ~ 120_n)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슈트 동작부(220)는 제어부(230)의 동작제어신호 입력시, 동작제어신호에 대응되는 복수의 단위슈트(120_1 ~ 120_n) 중 하나의 단위슈트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 슈트 동작부(220)는 복수의 단위슈트(120_1 ~ 120_n) 각각에 대한 설정 경사각으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기준슈트로 이동되는 소포(S)를 복수의 구분칸(130_1 ~ 130_n) 각각에 적재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소포(S)의 소포 정보(S_F)를 설정 기준과 비교하여 슈트 동작부(220)로 동작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소포 정보(S_F) 입력시 소포 정보(S_F)에 포함된 도착지, 부피 및 중량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설정된 상기 설정 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도착지에 대응하는 파렛(130)에 소포(S)가 적재될 수 있도록 해당 파렛(130)에 인접한 슈트(120)를 결정하여, 파렛(120)에 형성된 복수의 구분칸(130_1 ~ 130_n)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복수의 단위슈트(120_1 ~ 120_n) 중 결정된 구분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단위슈트를 결정하여 동작제어신호를 슈트 동작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슈트 동작부(220)는 상술한 제어부(230)의 동작제어신호에 기초된 동작 명령(c1 ~ cn) 중 하나의 명령의 제어부(230)에서 결정된 단위슈트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른 소포 자동화 기기는 작업자에 의하여 소포가 구분되지 않고 슈트의 단위슈트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파렛에 적재됨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 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10: 트레이 120: 소포적재슈트
130: 파렛 140: 소포 자동화 기기

Claims (5)

  1. 트레이에 이송되는 소포의 소포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트레이에 인접한 파렛에 형성된 복수의 구분칸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소포가 적재되도록 소포적재슈트를 동작시키는 슈트 동작부;
    상기 소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포가 상기 복수의 구분칸 중 어느 하나에 적재되도록 상기 소포적재슈트의 동작제어신호를 상기 슈트 동작부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포 자동화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 정보는,
    상기 소포의 부피, 중량, 목적지 및 바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포 자동화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소포 정보를 검출하는 카메라 및 레이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포 자동화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적재슈트는,
    상기 트레이에서 상기 파렛 방향으로 기준 경사각으로 경사진 기준슈트; 및
    상기 기준슈트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구분칸에 대응되며 상기 기준 경사각에서 설정 경사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단위슈트;를 포함하고,
    상기 슈트 동작부는,
    상기 복수의 단위슈트 동작에 대한 상기 동작제어신호 입력시, 상기 복수의 단위슈트를 상기 설정 경사각으로 동작시키는 소포 자동화 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 정보는,
    상기 소포의 부피, 중량, 목적지 및 바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피 및 중량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하여, 상기 기준 구분칸 또는 상기 임의의 구분칸에 상기 소포가 적재되도록 상기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소포 자동화 기기.
KR1020120088781A 2012-08-14 2012-08-14 소포 자동화 기기 KR2014002256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781A KR20140022569A (ko) 2012-08-14 2012-08-14 소포 자동화 기기
US13/896,953 US8827066B2 (en) 2012-08-14 2013-05-17 Package autom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781A KR20140022569A (ko) 2012-08-14 2012-08-14 소포 자동화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569A true KR20140022569A (ko) 2014-02-25

Family

ID=50099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781A KR20140022569A (ko) 2012-08-14 2012-08-14 소포 자동화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27066B2 (ko)
KR (1) KR201400225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3659A (zh) * 2017-11-28 2018-05-04 商丘星林电子产业有限公司 重量自动分选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0862A (en) * 1960-01-29 1962-06-26 Schmermund Alfred Packing machines
ITTO20030577A1 (it) * 2003-07-25 2005-01-26 Elsag Spa Sistema di smistamento e sequenziazione postale
JP4508233B2 (ja) * 2007-12-06 2010-07-21 村田機械株式会社 仕分け装置
US7963384B2 (en) * 2008-12-19 2011-06-21 3584925 Canada Inc. Automated order sequencing method and system
DE102009011295B4 (de) * 2009-03-02 2020-11-05 Kuka Roboter Gmbh Automatisiertes Palletieren von Paketen
CN102369149B (zh) * 2009-04-03 2014-05-21 村田机械株式会社 输送装置
KR20120063378A (ko) 2010-12-07 2012-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운송물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48383A1 (en) 2014-02-20
US8827066B2 (en) 2014-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16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miting induction of objects to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US110804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vacuum diverts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US114815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a vacuum roller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US114166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induction of objects to a plurality of object processing systems
US112050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conveyor transfer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US112003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drop conveyors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CA3126138C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vacuum diverts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KR20140022569A (ko) 소포 자동화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