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378A - 운송물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운송물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378A
KR20120063378A KR1020100124511A KR20100124511A KR20120063378A KR 20120063378 A KR20120063378 A KR 20120063378A KR 1020100124511 A KR1020100124511 A KR 1020100124511A KR 20100124511 A KR20100124511 A KR 20100124511A KR 20120063378 A KR20120063378 A KR 20120063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hipment
transport
package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관
나동길
설재민
정훈
박종흥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24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3378A/ko
Priority to DE102011056026A priority patent/DE102011056026A1/de
Priority to US13/311,915 priority patent/US20120150342A1/en
Publication of KR20120063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1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etection ofthe dest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운송물 처리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운송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운송물 처리 시스템은 투입된 운송물을 이송하고, 운송물의 영상, 바코드, 주소, 형상, 부피, 중량 중 적어도 하나의 운송물 정보를 측정하는 운송물 이송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운송물 정보에 기초하여 운송물의 배송을 위한 지역별 구분 정보 또는 순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지역별 구분 정보 또는 순로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운송물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 장치 및 지역별 구분 정보 또는 상기 순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물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을 제어하여 상기 운송물을 해당 적재함에 적재하는 로봇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집배원 또는 배달원이 수작업으로 수행하였던 운송물의 지역 단위 구분 및 순로 구분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송물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S FOR PROCESSING TRANSPORTING GOODS}
본 발명은 운송물 처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봇을 이용하여 운송물의 운송 지역별 구분 및 순로 구분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운송물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편물은 우편물의 처리 기관의 계통에 따라 집배원의 담당 지역 별로 구분된 후, 집배원에 의해 순로가 구분되어 수취인에게 배달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우편물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우체국 직원이 고객을 방문하여 우편물을 접수하거나 발송인(11)이 접수국(12)(또는 우편집중국(13))에 우편물을 접수하면, 접수된 우편물은 발송 우편집중국(130)으로 전송되어, 우편집중국(13)에서 우편물의 수취 지역별로 구분된 후, 교환센터(15)를 통해 지역별로 교환된다.
이후, 지역별로 교환된 우편물은 도착 우편집중국(16)으로 전송되고, 도착 우편집중국(160)에서 관할 우체국 단위로 구분된 후, 배달국(17)으로 운송된다. 배달국(17)으로 운송된 우편물은 집배원의 담당 구역 별로 다시 구분된 후, 집배원에 의해 수작업으로 배달 순서에 따라 순로구분 되고, 구분된 순로에 따라 집배원이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수취인(18)에게 배달한다.
우편물의 처리 과정 중 차량의 운송효율을 높이기 위해 교환센터(150)를 거치지 않고 우편집중국 간 직접 교환(14)하는 우편물도 예외적으로 존재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우편물 처리 과정 중, 배달국(또는 집배국)에서의 우편물의 지역별 또는 집배원별 구분 작업은 집배원의 경험에 의존하여 주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 소요시간이 과다하고 오구분될 여지가 있으며, 이로 인해 처리 원가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일반 택배의 경우도 우편물 처리 과정과 유사한 과정으로 처리된다.
도 2는 일반적인 택배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택배를 보내는 송하인(21)이 콜센터(22)에 택배 접수신청을 하면, 택배수집원이 송하인(21)이 있는 곳을 방문하여 택배를 수집한다. 집하된 택배는 영업소(23)로 모아진 후, 지역간 운송을 위한 발송허브터미널(24)로 전송된다. 이후, 발송허브터미널(24)에서 택배가 지역별로 구분된 후, 구분된 각 지역에 위치하는 서브터미널(25)로 운송된다. 각 지역의 서브터미널(25)에서는 세구분된 지역을 담당하는 영업소(26) 단위로 택배가 구분되며, 더 세분화된 지역을 관할하는 취급소로 택배가 보내지면, 택배배달원이 자신의 담당구역 택배를 받고 이를 순서대로 구분한 후 수하인(27)에게 배달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택배 처리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우편물의 처리 과정보다 작업자의 수작업 의존도가 훨씬 크다. 즉, 택배 영업소 또는 취급소에서는 택배배달원이 자신이 배달할 택배를 전량 수작업으로 순로를 구분하는데, 이와 같은 순로 구분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택배의 배달 지역 구분 또는 순로 구분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구분이 잘못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 때문에 배달소요시간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처리비용도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송물의 처리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운송물의 처리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운송물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송물의 처리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운송물의 처리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운송물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운송물 처리 시스템은, 투입된 운송물을 이송하고, 상기 운송물의 영상, 바코드, 주소, 형상, 부피, 중량 중 적어도 하나의 운송물 정보를 측정하는 운송물 이송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물의 배송을 위한 지역별 구분 정보 또는 순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지역별 구분 정보 또는 상기 순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물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 장치 및 상기 지역별 구분 정보 또는 상기 순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물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을 제어하여 상기 운송물을 해당 적재함에 적재하는 로봇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는 상기 운송물의 바코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제어 장치에 제공하는 바코드 판독부, 상기 운송물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운송물의 주소를 인식한 후, 인식한 주소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에 제공하는 문자 인식부, 상기 운송물의 형상 및 부피를 측정한 후 측정값을 상기 제어 장치에 제공하는 형상 및 부피 측정부 및 상기 운송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는 상기 운송물의 위치를 정렬하는 운송물 위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우편번호 정보가 저장된 우편번호 데이터베이스, 주소에 따른 순로 정보가 저장된 순로 데이터베이스, 상기 우편번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바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우편번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지역별 구분 정보를 생성하는 구분정보 생성부 및 상기 순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운송물의 주소 정보에 상응하는 순로구분 정보를 생성하는 순로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봇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물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팔레타이저 제어부 및 상기 팔레타이저 제어부의 제어에 상응하여 운송물을 픽업하여 해당 적재함에 적재하는 운송물 픽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운송물 처리 방법은, 운송물 이송 장치, 제어 장치 및 로봇 장치를 포함하는 운송물 처리 시스템에서,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투입된 운송물의 바코드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상기 운송물의 물리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판독된 바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물의 지역별 구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로봇 장치가 상기 운송물의 지역별 구분 정보 및 상기 물리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을 제어하여 상기 운송물을 해당 적재함에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투입된 운송물의 바코드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운송물 투입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상기 투입된 운송물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위치가 정렬된 상기 운송물의 바코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상기 운송물의 물리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상기 운송물의 형상, 부피 및 중량 중 적어도 하나의 물리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판독된 바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물의 지역별 구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마련된 우편번호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판독된 바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우편번호를 독출하여 상기 지역별 구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운송물을 해당 적재함에 적재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 장치가 상기 물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로봇의 픽업을 제어하여 상기 운송물을 픽업한 후, 상기 운송물의 지역별 구분 정보인 적재함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적재함에 상기 운송물을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운송물 처리 방법은, 운송물 이송 장치, 제어 장치 및 로봇 장치를 포함하는 운송물 처리 시스템에서,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투입된 운송물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상기 운송물의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운송물의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상기 운송물의 물리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장치가 운송물의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물의 순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로봇 장치가 상기 운송물의 순로 정보 및 상기 물리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을 제어하여 상기 운송물을 해당 적재함에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투입된 운송물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운송물 투입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상기 투입된 운송물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위치가 정렬된 상기 운송물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상기 운송물의 물리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상기 운송물의 형상, 부피 및 중량 중 적어도 하나의 물리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가 운송물의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물의 순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마련된 순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운송물의 주소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운송물의 순서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순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운송물을 해당 적재함에 적재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 장치가 상기 물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로봇의 픽업을 제어하여 상기 운송물을 픽업한 후, 상기 운송물의 순로 정보인 상기 운송물의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적재함에 상기 운송물을 적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운송물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운송물의 바코드 정보 또는 운송물의 주소 정보를 획득하여 운송물의 단순구분 정보 및 순로구분 정보를 생성하고, 운송물의 부피, 크기, 중량 등의 물리정보를 측정한 후, 상기 운송물의 물리 정보와 상기 구분정보 또는 순로구분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을 제어하여 운송물을 해당 적재함에 적재함으로써 운송물의 지역 단위 구분 및 순로 구분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집배원 또는 배달원이 수작업으로 수행하였던 운송물의 지역 단위 구분 및 순로 구분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운송물의 지역 단위 구분 및 순로 구분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운송물을 수작업으로 구분하는 집배원이나 택배원 등 종사자들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기타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분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오구분을 방지할 수 있고, 구분 작업 결과를 저장한 후 저장된 정보를 통계적으로 활용하여 업무의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인력 의존도가 매우 높은 소포 및 택배 산업에서 처리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산업재해 예방 및 종사원의 삶의 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 1은 일반적은 우편물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택배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 방법 중 운송물의 단순구분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 운송물 처리 방법 중 운송물의 순로구분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운송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장치, 로봇 장치 및 로봇 장치에 의해 운송물이 적재되는 적재함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컨베이어 장치 및 로봇 장치는 운송물 처리 환경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고, 적재함의 개수도 운송물의 수량에 따라 신축적으로 가감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 시스템 및 처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제1 컨베이어 장치(100-1)의 일측에 마련된 운송물 인입부에 운송물이 순차적으로 투입되면, 운송물은 제1 컨베이어 장치(100-1)를 통해 이동하면서 운송물의 목적지에 따라 제2 컨베이어 장치(100-2) 또는 제3 컨베이어 장치(100-3)로 분기되고, 제1 로봇 장치(300-1) 및 제2 로봇 장치(300-2)는 각각 제2 컨베이어 장치(100-2) 및 제3 컨베이어 장치(100-3)를 통해 이동된 운송물을 집어서 해당 적재함에 적재한다.
여기서, 제1 로봇 장치(300-1) 및 제2 로봇 장치(300-2)가 운송물을 적재함에 적재하는 시간이 운송물이 해당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시간보다 더 긴 경우 또는 운송물의 정보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해당 운송물들은 제4 컨베이어 장치(100-4)로 분기되어 수작업으로 처리되거나 제1 컨베이어 장치(100-1)의 운송물 인입부로 다시 투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 시스템은 우편집중국이나 허브센터로부터 배달국(집배국)이나 영업소(취급소)에 도착된 운송물들에 대해 배달원별 구분(또는 운송 지역별 구분)이나 순로구분 작업에 적용되어 종래의 배달원이 수행하던 작업을 대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 시스템은 크게 운송물 이송 장치(100), 제어 장치(200) 및 로봇 장치(300)로 구성된다.
운송물 이송 장치(100)는 투입된 운송물을 이송하고, 상기 운송물의 영상, 바코드, 주소, 형상 부피 중량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측정한 후 측정된 정보를 제어 장치(200)에 제공한다.
제어 장치(200)는 운송물 이송 장치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운송물의 배송을 위한 구역별 구분 및 순로 구분을 수행하여 단순구분 정보 및 순로구분 정보를 생성하고, 운송물 이송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단순구분 정보 및 순로구분 정보에 상응하는 적재함 정보를 로봇 장치(300)에 제공한다.
로봇 장치(300)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을 제어하여 운송물을 해당 적재함에 적재한다.
운송물 이송 장치(100)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컨베이어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운송물 감지부(110), 운송물 위치제어부(120), 영상 획득부(130), 바코드 판독부(140), 문자 인식부(150), 형상 및 부피 측정부(160) 및 중량 측정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운송물 이송 장치(100)가 컨베이어 장치로 구현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운송물 감지부(110)는 운송물이 컨베이어 장치에 투입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운송물 위치제어부(120)는 운송물의 부피와 형상을 정확히 측정하고 그 결과로 측정값을 산출하기 위해 운송물을 미리 정해진 일정위치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 획득부(130)는 운송물의 문자인식을 위한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운송물의 영상을 문자 인식부(150)에 제공한다. 바코드 판독부(140)는 운송물에 인쇄된 바코드를 판독하고, 판독한 바코드 정보를 제어 장치(200)에 제공한다. 또한, 문자 인식부(150)는 영상 획득부(130)로부터 제공된 운송물의 영상을 이용하여 운송물에 인쇄된 주소를 인식하고, 인식된 주소 정보를 제어 장치(200)에 제공한다.
또한, 형상 및 부피 측정부(160)는 운송물의 형상 및 부피를 측정하고, 중량 측정부(170)는 운송물의 중량을 측정한다. 여기서, 측정된 운송물의 형상, 부피 및 중량 정보는 제어 장치(200)에 제공된다.
제어 장치(200)는 구분정보 생성부(210), 순로정보 생성부(220), 우편번호 데이터베이스(230), 순로 데이터베이스(240), 결과 저장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분정보 생성부(210)는 바코드 판독부(140)로부터 제공된 바코드 판독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우편번호 데이터베이스(230)를 검색하여 독출함으로써 운송물을 단위 구역별로 구분하기 위한 단순구분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단순구분 정보는 우편번호가 될 수 있다.
순로정보 생성부(220)는 문자 인식부(150)로부터 제공된 문자인식 결과인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순로 데이터베이스(240)를 참조하여 운송물의 순로 구분을 위한 순로구분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순로구분 정보는 운송물의 배송 주소에 상응하는 배달 순서 정보가 될 수 있다.
우편번호 데이터베이스(230)에는 우편번호를 추출하기 위한 우편번호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고, 순로 데이터베이스(240)에는 순로 구분시 운송물로부터 인식한 주소정보의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참조되는 순로 정보가 저장된다.
결과 저장부(250)에는 제어 장치의 동작이나 처리에 따른 처리 결과가 저장된다. 결과 저장부(250)에는 예를 들어, 상기 단순구분 정보 및/또는 순로구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제어장치(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운송물 이송장치(100) 및 로봇 장치(300)와의 정보 송수신 또는 외부 시스템과의 정보 교환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부(260)는 상기 단순구분 정보 및 순로구분 정보를 직접 로봇 장치(300)에 제공하거나, 상기 단순구분 정보 및 순로구분 정보에 상응하는 운송물의 적재함 정보를 로봇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로봇 장치(300)는 팔레타이저 제어부(310), 대상물 픽업부(320), 결과처리 저장부(330), 대상물 적재함(340)을 포함할 수 있다.
팔레타이저 제어부(310)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제어정보(단순구분 정보 및 순로구분 정보 또는 로봇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대상물 픽업부(320)는 로봇의 암(Arm)에 설치되고, 팔레타이저 제어부(310)의 제어에 상응하여 운송물을 집거나 놓는 동작을 수행한다.
결과처리 저장부(330)에는 로봇에 의해 처리되는 일련의 작업 처리 결과가 저장되고, 대상물 적재함(340)에는 로봇에 의해 구분된 운송물이 적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 시스템은 운송물을 단순히 일정 구역별로 구분하는 단순구분 기능 및 구분된 구역별로 운송물을 배달원의 배달 순서에 따라 정렬하는 순로구분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 방법 중 운송물의 단순구분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운송물이 컨베이어 장치에 순차적으로 투입되면(단계 501), 운송물 감지부는 투입된 운송물을 감지하고(단계 503), 운송물 위치 제어부는 운송물의 정보를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운송물의 위치를 정렬한다(단계 505). 상기한 운송물의 위치 정렬을 통해 운송물들은 컨베이어 장치 위에서 일관된 진행 형태로 이송될 수 있다.
이후, 운송물의 위치가 정렬되어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이송되면, 컨베이어 장치에 설치된 바코드 판독부는 운송물에 인쇄된 바코드를 판독하고(단계 507), 형상 및 부피 측정부는 운송물의 가로, 세로 및 높이를 측정하여 부피를 산출하며(단계 509), 컨베이어 장치의 하단에 설치된 중량 측정부는 운송물의 중량을 측정한다(단계 511).
단계 507 내지 단계 511은 운송물이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도중에 실행되며, 각 단계에서 측정된 결과는 도 4에 도시한 제어 장치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운송물이 컨베이어 장치에 투입되는 한 단계 501 내지 단계 511은 반복적으로 실행되고, 운송물이 컨베이어 장치에 투입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운송물 처리 시스템의 동작은 정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운송물 처리 시스템의 제어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운송물에 대한 바코드 정보를 획득한 후, 획득한 바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우편번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운송물의 배송 지역별로 단순구분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단순구분 정보를 결과 저장부에 저장하고(단계 513), 해당 운송물이 적재될 적재함 정보, 크기정보, 부피정보 및 중량정보 등을 로봇 장치에 전송한다.
로봇 장치의 팔레타이저 제어부는 제어 장치로부터 제공된 해당 운송물의 크기, 부피 및 중량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운송물을 집기 위한 제어 정보를 운송물 픽업부에 제공함으로써 운송물 픽업부가 해당 운송물을 집은 후(pick up)(단계 515), 해당 적재함에 적재하도록 한다(단계 517). 여기서, 운송물 픽업부는 로봇 장치 주변에 미리 정렬된 복수의 적재함 중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된 적재함 정보 따른 해당 적재함에 운송물을 적재한다.
이후, 로봇 장치는 운송물의 처리 결과를 결과처리 저장부에 저장한다(단계 519).
이후, 운송물 처리 시스템은 운송물이 컨베이어 장치에 계속 투입되는 가를 판단하고(단계 521), 컨베이어 장치에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 이상 운송물이 투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운송물 처리 과정을 종료한다. 여기서, 운송물 처리 시스템의 제어 장치는 운송물 감지부로부터 제공된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운송물 투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물 처리 운송물 처리 방법 중 운송물의 순로구분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순구분이 특정 지역 단위로 순서에 상관없이 운송물을 구분하기 때문에 비교적 처리 과정의 복잡도가 낮은 특징이 있는 반면, 순로구분은 특정 지역의 배달원의 배달 순서에 따라 운송물을 순서화해서 적재해야 하기 때문에 운송물의 단순구분과정에 비해 처리 복잡도가 높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운송물이 컨베이어 장치에 순차적으로 투입되면(단계 601), 운송물 감지부는 투입된 운송물을 감지하고(단계 603), 운송물 위치 제어부는 운송물의 정보를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운송물의 위치를 정렬한다(단계 605). 상기한 운송물의 위치 정렬을 통해 운송물들은 컨베이어 장치 위에서 일관된 진행 형태로 이송될 수 있다.
이후, 운송물의 위치가 정렬되어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도중 컨베이어 장치에 설치된 영상 획득부 앞에 도달하면, 영상 획득부는 운송물의 영상을 촬영하여 문자 인식부에 전달하고(단계 607), 문자 인식부는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운송물의 주소를 인식한다(단계 609). 또한, 동시에 형상 및 부피 측정부는 운송물의 가로, 세로 및 높이를 측정하여 부피를 산출하며(단계 611), 컨베이어 장치의 하단에 설치된 중량 측정부는 운송물의 중량을 측정한다(단계 613).
단계 607 내지 단계 613은 운송물이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도중에 실행되며, 각 단계에서 측정된 결과는 도 4에 도시한 제어 장치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운송물이 컨베이어 장치에 투입되는 한 단계 601 내지 단계 613은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운송물 처리 시스템의 제어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운송물에 대한 주소 정보를 획득한 후, 획득한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순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배달 순서에서 상기 운송물의 순서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순서 정보를 결과 저장부에 저장하고(단계 615), 상기 순서 정보를 운송물 크기정보, 부피정보 및 중량정보 등과 함께 로봇 장치에 전송한다.
로봇 장치의 팔레타이저 제어부는 제어 장치로부터 제공된 해당 운송물의 크기, 부피 및 중량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운송물을 집기 위한 제어 정보를 운송물 픽업부에 제공함으로써 운송물 픽업부가 해당 운송물을 집은 후(단계 617), 해당 적재함에 적재하도록 한다(단계 619). 여기서, 운송물 픽업부는 로봇 장치 주변에 미리 정렬된 복수의 적재함 중 순서 정보에 따른 해당 적재함에 운송물을 적재한다.
이후, 로봇 장치는 운송물의 처리 결과를 결과처리 저장부에 저장한다(단계 621).
이후, 운송물 처리 시스템은 운송물이 컨베이어 장치에 계속 투입되는 가를 판단하고(단계 623), 컨베이어 장치에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 이상 운송물이 투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운송물 처리 과정을 종료한다. 여기서, 운송물 처리 시스템의 제어 장치는 운송물 감지부로부터 제공된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운송물 투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운송물 이송 장치 110 : 운송물 감지부
120 : 운송물 위치 제어부 130 : 영상 획득부
140 : 바코드 판독부 150 : 문자 인식부
160 : 형상 및 부피 측정부 170 : 중량 측정부
200 : 제어 장치 210 : 구분정보 생성부
220 : 순로정보 생성부 230 : 우편번호 데이터베이스
240 : 순로 데이터베이스 250 : 결과 저장부
260 : 제어부 300 : 로봇 장치
310 : 팔레타이저 제어부 320 : 운송물 픽업부
330 : 결과처리 저장부 340 : 대상물 적재함

Claims (15)

  1. 투입된 운송물을 이송하고, 상기 운송물의 영상, 바코드, 주소, 형상, 부피, 중량 중 적어도 하나의 운송물 정보를 측정하는 운송물 이송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물의 배송을 위한 지역별 구분 정보 또는 순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지역별 구분 정보 또는 상기 순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물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 장치; 및
    상기 지역별 구분 정보 또는 상기 순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물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을 제어하여 상기 운송물을 해당 적재함에 적재하는 로봇 장치를 포함하는 운송물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는
    상기 운송물의 바코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제어 장치에 제공하는 바코드 판독부;
    상기 운송물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운송물의 주소를 인식한 후, 인식한 주소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에 제공하는 문자 인식부;
    상기 운송물의 형상 및 부피를 측정한 후 측정값을 상기 제어 장치에 제공하는 형상 및 부피 측정부; 및
    상기 운송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는
    상기 운송물의 위치를 정렬하는 운송물 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처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우편번호 정보가 저장된 우편번호 데이터베이스;
    주소에 따른 순로 정보가 저장된 순로 데이터베이스;
    상기 우편번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바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우편번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지역별 구분 정보를 생성하는 구분정보 생성부; 및
    상기 순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운송물의 주소 정보에 상응하는 순로구분 정보를 생성하는 순로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물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팔레타이저 제어부; 및
    상기 팔레타이저 제어부의 제어에 상응하여 운송물을 픽업하여 해당 적재함에 적재하는 운송물 픽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처리 시스템.
  6. 운송물 이송 장치, 제어 장치 및 로봇 장치를 포함하는 운송물 처리 시스템의 운송물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투입된 운송물의 바코드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상기 운송물의 물리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판독된 바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물의 지역별 구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로봇 장치가 상기 운송물의 지역별 구분 정보 및 상기 물리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을 제어하여 상기 운송물을 해당 적재함에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송물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투입된 운송물의 바코드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운송물 투입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상기 투입된 운송물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위치가 정렬된 상기 운송물의 바코드 정보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처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상기 운송물의 물리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상기 운송물의 형상, 부피 및 중량 중 적어도 하나의 물리 정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처리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판독된 바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물의 지역별 구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마련된 우편번호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판독된 바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우편번호를 독출하여 상기 지역별 구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처리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물을 해당 적재함에 적재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 장치가 상기 물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로봇의 픽업을 제어하여 상기 운송물을 픽업한 후, 상기 운송물의 지역별 구분 정보인 적재함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적재함에 상기 운송물을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처리 방법.
  11. 운송물 이송 장치, 제어 장치 및 로봇 장치를 포함하는 운송물 처리 시스템의 운송물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투입된 운송물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상기 운송물의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운송물의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상기 운송물의 물리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 장치가 운송물의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물의 순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로봇 장치가 상기 운송물의 순로 정보 및 상기 물리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을 제어하여 상기 운송물을 해당 적재함에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송물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투입된 운송물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운송물 투입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상기 투입된 운송물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위치가 정렬된 상기 운송물의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처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상기 운송물의 물리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운송물 이송 장치가 상기 운송물의 형상, 부피 및 중량 중 적어도 하나의 물리 정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처리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운송물의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물의 순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마련된 순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운송물의 주소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운송물의 순서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순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처리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물을 해당 적재함에 적재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 장치가 상기 물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로봇의 픽업을 제어하여 상기 운송물을 픽업한 후, 상기 운송물의 순로 정보인 상기 운송물의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적재함에 상기 운송물을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물 처리 방법.
KR1020100124511A 2010-12-07 2010-12-07 운송물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6337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511A KR20120063378A (ko) 2010-12-07 2010-12-07 운송물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E102011056026A DE102011056026A1 (de) 2010-12-07 2011-12-05 System und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liefergegenstanden
US13/311,915 US20120150342A1 (en) 2010-12-07 2011-12-06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elivery i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511A KR20120063378A (ko) 2010-12-07 2010-12-07 운송물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378A true KR20120063378A (ko) 2012-06-15

Family

ID=46200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511A KR20120063378A (ko) 2010-12-07 2010-12-07 운송물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150342A1 (ko)
KR (1) KR20120063378A (ko)
DE (1) DE10201105602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7066B2 (en) 2012-08-14 2014-09-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ackage automation apparatus
KR20160115028A (ko) * 2015-03-25 2016-10-06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배송 순서 결정 방법 및 배송 순서 결정 시스템
CN108499885A (zh) * 2018-05-09 2018-09-07 湖南铁路科技职业技术学院 一种物流分拣系统
CN112132500A (zh) * 2020-04-14 2020-12-25 上海寻梦信息技术有限公司 构建派件围栏的方法、超派运单的识别方法及相关设备
WO2022203110A1 (ko) * 2021-03-24 2022-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Amr 로봇과 통신 가능한 클라우드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24669A1 (en) 2010-07-29 2012-02-02 Danelski Darin L Networked Motorized Drive Roller Conveyor
US9446908B2 (en) * 2012-02-05 2016-09-20 Matthews Resources, Inc. Conveying systems and methods of associating data with an item transported by a conveying system
US10229383B2 (en) 2012-02-05 2019-03-12 Matthews International Corporation Perpetual batch order fulfillment
JP6151141B2 (ja) * 2013-09-18 2017-06-21 株式会社東芝 仕分装置および仕分方法
NL1041965B1 (en) * 2016-06-29 2018-01-05 Tnt Holdings B V Processing consignments in a pick-up and delivery network on the basis of weight and volume Information
WO2018140555A1 (en) 2017-01-30 2018-08-02 Walmart Apollo,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ribution of product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WO2018183272A1 (en) 2017-03-29 2018-10-04 Walmart Apollo, Llc Smart apparatus and method for retail work flow management
CN107437105B (zh) * 2017-08-09 2021-01-29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多角色全场景的nfc和qr码安全快递系统及使用方法
CN107563708B (zh) 2017-09-30 2023-04-07 北京极智嘉科技股份有限公司 物品分拣系统及方法
NL2020207B1 (en) * 2017-12-29 2018-11-06 Tnt Holdings B V Processing conveyable consignments in a pick-up and delivery network on the basis of weight and volume information
LU100782B1 (en) * 2018-04-27 2019-10-28 Soremartec Sa System for conveying products in succession along an industrial line
CN109092719A (zh) * 2018-06-25 2018-12-28 北京艾瑞思机器人技术有限公司 用于货物分拣的人机交互系统
CN111299161A (zh) * 2020-02-23 2020-06-19 安徽古井贡酒股份有限公司 自动化分级接酒装置及工艺
CN113499996B (zh) * 2021-07-13 2023-01-13 广州哆啦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机器视觉的商品包裹智能分拣方法、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8596B2 (en) * 2001-08-01 2006-11-21 Pippin James M Apparatus and method for mail sorting
US7739202B2 (en) * 2003-04-22 2010-06-15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Computer system for routing package deliveries
US8085980B2 (en) * 2008-08-13 2011-12-27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ail piece identification using bin independent attributes
KR101099703B1 (ko) 2009-05-19 2011-12-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소독부산물의 생성결과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7066B2 (en) 2012-08-14 2014-09-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ackage automation apparatus
KR20160115028A (ko) * 2015-03-25 2016-10-06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배송 순서 결정 방법 및 배송 순서 결정 시스템
CN108499885A (zh) * 2018-05-09 2018-09-07 湖南铁路科技职业技术学院 一种物流分拣系统
CN112132500A (zh) * 2020-04-14 2020-12-25 上海寻梦信息技术有限公司 构建派件围栏的方法、超派运单的识别方法及相关设备
CN112132500B (zh) * 2020-04-14 2024-04-26 上海寻梦信息技术有限公司 构建派件围栏的方法、超派运单的识别方法及相关设备
WO2022203110A1 (ko) * 2021-03-24 2022-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Amr 로봇과 통신 가능한 클라우드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50342A1 (en) 2012-06-14
DE102011056026A1 (de)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3378A (ko) 운송물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9450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for the processing of objects in vehicles
US86349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returned goods in an order-picking system
US110345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objects provided in vehicles
WO20181951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objects including space efficient distribution stations and automated output processing
KR101320459B1 (ko) 화물의 크기측정장치
CN112512706A (zh) 用于包裹的分拣设施以及用于包裹分拣的方法
JP2019112226A (ja) 物品の配送方法及び配送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60368643A1 (en) Package sorting, packing and re-weighing system
KR100657817B1 (ko) 무선인식을 이용한 물류작업 자동 처리 시스템
CN213612694U (zh) 智能分拣系统
DK3115115T3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handling and sorting packages
KR100860403B1 (ko) 무선 태그를 이용한 우편물 순로구분 시스템 및 그 방법
NL1041965B1 (en) Processing consignments in a pick-up and delivery network on the basis of weight and volume Information
NL2020207B1 (en) Processing conveyable consignments in a pick-up and delivery network on the basis of weight and volume information
JP2010104948A (ja) 郵便物処理装置
CN112474374A (zh) 可拓展式分拣装置、其分拣方法及其控制系统
KR101703302B1 (ko) 우편물의 용기단위 구분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의 우편물 접수정보 생성 방법
CN115178474A (zh) 一种无须人工初步分拣的自动分拣系统及其分拣方法
JP2017065888A (ja) ロールボックスパレットの配送情報管理サーバ、配送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荷物積載ロールボックスパレットの配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