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775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775B1
KR102639775B1 KR1020220127344A KR20220127344A KR102639775B1 KR 102639775 B1 KR102639775 B1 KR 102639775B1 KR 1020220127344 A KR1020220127344 A KR 1020220127344A KR 20220127344 A KR20220127344 A KR 20220127344A KR 102639775 B1 KR102639775 B1 KR 102639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interior space
internal space
cabinet
separ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7611A (ko
Inventor
이은정
김명상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7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775B1/ko
Publication of KR20220137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공급장치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제1 내부 공간 및 상기 제1 내부 공간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내부 공간으로 구획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제2 내부 공간을 통합하도록 배치가 변경되는 분리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CLOTHING}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처리실과 의류보관실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된 처리실 내로 물을 가하여 의류에 뭍은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기와, 건조 공기를 가하여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공기를 송풍하거나 증기를 가하여 의류를 재생(refresh, 예를 들어, 주름이나 냄새 제거)하는 리프레셔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리프레셔는 내부에 좌우로 왕복되는 걸이대를 구비하고, 의류가 걸쳐지는 옷걸이가 상기 걸이대에 매달린다. 걸이대가 왕복 운동되면, 의류가 흔들리게 되며, 이 과정에서 의류에 묻은 먼지들이 털린다.
또한, 상기 리프레셔는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스팀공급장치는 상기 옷걸이대가 왕복 운동하는 중에 스팀을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팀이 가해진 의류가 흔들리는 과정에서, 의류의 구김이 제거된다.
또한, 상기 리프레셔는 내부로 공조된 공기를 공급하는 히트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히트펌프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는 상기 스팀공급장치가 상기 리프레셔 내부로 스팀을 공급한 후,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리프레셔는 내부에 배치된 의류를 흔들어 먼지를 제거한 후, 스팀분사 및 건조를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리프레셔는, 상기 리프레셔 내에서 상기 의류의 처리가 완료된 의류를 사용자가 직접 리프레셔에서 꺼낸 후, 별도로 마련된 옷장 내에 보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별도의 옷장에 보관중인 의류를 사용자가 직접 상기 옷장에서 꺼내서 상기 리프레셔 내로 투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1 과제는, 처리실 및 보관실을 구비하여, 상기 처리실에서 처리가 완료된 의류를 상기 보관실로 이동시켜 보관하거나, 상기 보관실에 보관중인 의류를 상기 처리실로 이동시켜 처리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공급장치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제1 내부 공간과 및 상기 제1 내부 공간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내부 공간으로 구획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제2 내부 공간을 통합하도록 배치가 변경되는 분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장치부는,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 중 처리실로 작용하는 어느 하나로 공조 공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한다.
상기 분리판은 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분리판이 상기 내부 공간에 펼쳐지면,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분리판이 상기 캐비닛의 내측벽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을 통합할 수 있다.
상기 분리판을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분리판 무빙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내부 공간의 하측에 위치하는 서브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챔버에는,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 중 처리실로 작용하는 어느 하나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토출되도록,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유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장치부는 상기 서브 챔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장치부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와, 상기 순환 유로 상에 구비되어, 순환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팬과,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생성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제1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제1 걸이대와,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제2 걸이대를 구비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분리판에 의하여, 상기 처리실에서 처리가 완료된 의류를 상기 보관실로 이동시켜 보관하거나, 상기 보관실에 보관중인 의류를 상기 처리실로 이동시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처리실 및 보관실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투영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처리실 및 기계실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입력부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처리실 및 보관실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투영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처리실 및 기계실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입력부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제1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1 캐비닛(16); 상기 제1 캐비닛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2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2 캐비닛(17); 및 상기 제2 캐비닛에 배치되는 공급장치부(60,53,80)를 포함한다.
제2 캐비닛(17)은 제1 내부 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
상기 제1 캐비닛(16)은 제1 캐비닛부(16)일 수 있다. 상기 제2 캐비닛(17)은 제2 캐비닛부(17)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부 공간은 보관실(13)이고, 상기 제2 내부 공간은 처리실(11)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내부 공간은 처리실(11)이고, 상기 제2 내부 공간은 보관실(13)일 수 있다.
캐비닛(10)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가 걸린 옷걸이(1)가 걸리고, 분리판(15)이 처리실(11) 및 보관실(13)을 하나로 통합한 상태에서, 처리실(11) 및 보관실(13)을 상호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걸이대(4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처리실(11) 및 보관실(13)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제1 캐비닛부(16)와, 처리실(11) 및 보관실(13)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고, 후면에 분리판(15)이 배치되는 제2 캐비닛부(17)를 포함한다.
제2 캐비닛부(17)는 제1 캐비닛부(16)의 전면에 배치되고, 일측이 제1 캐비닛부(16)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처리실(11) 및 보관실(13) 중 어느 하나를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캐비닛부(16)에 보관실(13)이 형성되고, 제2 캐비닛부(17)에 처리실(11)이 형성되나, 제1 캐비닛부(16)에 처리실(11)이 형성되고, 제2 캐비닛부(17)에 보관실(1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제1 캐비닛부(16)에 보관실(13)이 형성되고, 제2 캐비닛부(17)에 처리실(11)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캐비닛부(17)는 제1 캐비닛부(16)에 형성된 보관실(13)을 개폐할 수 있다. 즉, 제2 캐비닛부(17)는 일측이 제1 캐비닛부(16)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보관실(13)을 개폐하는 도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캐비닛부(17)는 전방에서 볼 때 우측이 제1 캐비닛부(16)의 전면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처리실(11) 및 보관실(13)은 각각 전면이 개방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처리실(11) 및 보관실(13)은 각각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의류가 출입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제2 내부 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캐비닛부(17)의 전면에는 처리실(11)을 개폐하는 도어(20)가 배치될 수 있다. 도어(20)는 일측이 제2 캐비닛부(17)의 전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되는 동작으로 처리실(11)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20)는 전방에서 볼 때 우측이 캐비닛(10)의 전면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캐비닛부(17)가 닫힌 상태에서, 제2 캐비닛부(17)의 배면이 제1 캐비닛부(16)의 전면 중 보관실(13)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부분과 밀착되어 보관실(13)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보관실(13)을 기밀하는 실러가 제2 캐비닛부(17)의 배면과, 보관실(13)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제1 캐비닛부(16)의 전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20)의 배면이 제2 캐비닛부(17)의 전면 중 처리실(11)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부분과 밀착되어 처리실(11)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처리실(11)을 기밀하는 실러가 도어(20)의 배면과, 처리실(11)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제2 캐비닛부(17)의 전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처리실(11)은 제2 캐비닛부(17)의 내측면에 의해 한정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캐비닛부(17)의 내측면에는 기류 유입구(3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캐비닛부(17)의 내측면에는 기류 토출구(341) 및 스팀 토출구(342)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기류 유입구(331), 기류 토출구(341) 및 스팀 토출구(342)는 처리실(1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류 유입구(331)는 처리실(11)의 하면 중 전방부에 형성되고, 기류 토출구(341) 및 스팀 토출구(342)는 처리실(11)의 하면 중 후방부에 형성된다. 기류 토출구(341) 및 스팀 토출구(342)는 좌우방향으로 바로 옆에 배치될 수 있다. 기류 토출구(341) 및 스팀 토출구(342)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분리판(15)은 우측으로 이동시 캐비닛(10)의 상기 내부공간을 처리실(11) 및 보관실(13)로 전후 구획할 수 있고, 좌측으로 이동시 처리실(11) 및 보관실(13)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다. 분리판(15)은 좌측으로 이동시 캐비닛(10)의 상기 내부공간을 처리실(11) 및 보관실(13)로 전후 구획할 수 있고, 우측으로 이동시 처리실(11) 및 보관실(13)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다. 분리판(15)이 처리실(11) 및 보관실(13)을 하나로 통합하는 경우, 분리판(15)은 캐비닛(1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만, 분리판(15)이 폴딩가능하게 구성된다면, 분리판(15)이 보관실(13) 및 처리실(11)을 하나로 통합하는 경우, 분리판(15)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된 후 캐비닛(10)의 좌측 또는 우측 공간에 접혀져서 배치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분리판(15)을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분리판 무빙기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판 무빙기구(150)는 제1 모터(미도시)와, 상기 제1 모터의 구동력을 전환시켜 분리판(15)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1 동력전달기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운동을 좌우방향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와, 분리판(15)에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 치합하는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축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랙 기어가 좌우로 이동되기 때문에, 분리판(15)은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처리실(11)의 하측에 기계실(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캐비닛부(17)는 처리실(11)의 하측에 기계실(12)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급장치부(60,53,80)는 기계실(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급장치부(60,53,80)는 히트펌프(60), 송풍팬(53), 스팀생성기(8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기계실(12)은 제2 서브 챔버로 지칭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내부 공간의 하측에 위치하는 서브 챔버(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챔버는 제1 서브 챔버(미부호)와 제2 서브 챔버(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캐비닛(16)은 제1 서브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챔버는 제1 내부 공간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캐비닛(17)은 제2 서브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챔버는 제2 내부 공간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브 챔버는 기계실(12)일 수 있다.
히트펌프(60)는 처리실(11)로부터 기류 유입구(33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기류 토출구(341)를 통해 다시 처리실(11)로 토출하는 것이다. 순환 유로(70)는 기류 유입구(33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기류 토출구(341)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송풍팬(53)은 순환 유로(70) 상에 구비되어 공기를 송풍한다. 기류 유입구(331)를 통해 순환 유로(70)로 유입된 공기가 송풍팬(53)에 의해 송풍되어, 기류 토출구(341)를 통해 처리실(11) 내로 토출된다. 분리판(15)이 보관실(13) 및 처리실(11)을 구획한 상태이고, 도어(20)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처리실(11)은 외기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처리실(11) 내의 공기는 순환 유로(70)를 따라 순환된다.
히트펌프(60)는 냉매를 순환시키고, 냉매가 순환되는 중에 순환 유로(70)의 상류측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이렇게 흡수한 열을 이용하여 순환 유로(70)의 하류측에서 공기를 가열시키는 장치이다. 히트펌프(60)는 작동유체인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 배관(61)을 통해 연결된 증발기(62), 압축기(64), 팽창밸브(65) 및 응축기(63)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62)는 냉매 배관(61)과 연결된 미세 직경의 튜브와, 상기 튜브와의 사이에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열 전도성의 열전달판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교환기이다. 증발기(62)는 순환 유로(70) 상에 구비되어, 순환 기류로부터 열을 흡수한다. 증발기(62)는 처리실(11)로부터 기류 유입구(331)를 통해 순환 유로(70) 내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한다. 이렇게 흡수된 열이 상기 튜브 내의 냉매에 전달됨으로써 냉매의 증발이 이루어진다.
공기 중의 습기는 증발기(62)를 지나면서 응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순환 유로(70)에는 순환 유로(70)로부터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 배출 펌프(35)가 구비될 수 있다. 응축수 배출 펌프(35)를 통해 배출된 응축수는 배수통(31)에 모일 수 있다.
압축기(64)는 증발기(62)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한다. 압축기(64)는 회전수(또는, 압축용량) 변경이 가능한 인버터 압축기(inverter compressor)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버터 압축기는 회전수 제어를 통해 압축 용량을 가변할 수 있고, 따라서, 응축기(63)의 발열량이 제어될 수 있다. 인버터 압축기는 DC 전원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이를 위해,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목표한 주파수로 변환하는 드라이버(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응축기(63)는 실질적으로 증발기(62)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증발기(62)와는 반대로 냉매를 응축시키는 작용을 한다. 즉, 압축기(64)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63)를 통과하면서 주변으로 열을 전달하며 응축된다.
응축기(63)는 순환 유로(70) 상에서 증발기(62)보다 하류측에 위치한다. 증발기(62)를 지나면서 습도가 낮아진 공기가 응축기(63)를 지나면서 가열된다. 응축기(63)가 순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로써 작용하는 것이다.
응축기(63)를 통과하면서 순환 공기에 열을 빼앗긴 냉매가 팽창밸브(65)를 통과하면서 팽창되고, 다시 증발기(62)로 유입됨으로써 냉매의 순환회로가 구성된다.
기계실(12) 내에는 배수통(31)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배수통(31)은, 응축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제2 캐비닛부(17)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배수통(31)을 제2 캐비닛부(17)으로부터 분리한 후, 그 안에 모인 응축수를 버릴 수 있다.
기계실(12) 내에는 급수통(32)이 더 배치될 수 있다. 급수통(32)은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물을 담는 것이다. 급수통(32)의 물이 스팀생성기(80)로 공급되어 스팀을 생성하는데 이용된다. 물 보충이 용이하도록, 급수통(32)은 제2 캐비닛부(17)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급수통(32)을 제2 캐비닛부(17)에서 분리하여 그 안에 물을 채울 수 있다.
걸이대(40)에는 옷걸이(1)가 걸리는 옷걸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 홈은 걸이대(4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이대(40)는, 처리실(11)을 전방에서 바라볼 시, 좌우방향으로 왕복될 수 있다. 걸이대(40)는 처리실(11) 내에서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걸이대(40)는 처리실(11) 및 보관실(13)을 따라 배치되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회전되는 동작으로 처리실(11) 및 보관실(13)을 상호 이동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걸이대(40)를 처리실(11) 및 보관실(13)을 상호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걸이대 무빙기구(400)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대 무빙기구(400)는 걸이대(40)를 좌우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킬 수도 있다. 걸이대 무빙기구(400)는 제2 모터(미도시)와, 상기 제2 모터의 구동력을 전환시켜 걸이대(40)를 이동시키는 제2 동력전달기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제2 모터의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것으로써, 크랭크, 랙과 피니언, 캠 등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는 제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의류처리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어를 위한 CPU와, 제어를 위한 각종 데이터가 기록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별다른 설명이 없다고 하더라도, 분리판 무빙기구(150), 걸이대 무빙기구(400), 송풍팬(53), 압축기(64), 스팀생성기(80), 응축수 배출 펌프(35) 등의 작동에 대한 제어는 제어부(10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기로 하자.
도어(20)의 전면에는 입력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의류처리장치의 동작 전반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제어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110)는 버튼, 다이얼, 터치 패드 등의 다양한 입력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보관실(13)에 배치된 의류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보관실(13)에 배치된 의류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의류정보는 상기 의류의 사진 및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정보는 상기 보관실에 위치하는 걸이대(40)에 옷걸이(1)를 통해 걸린 의류의 순서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의류정보는 제어부(100)로 입력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도어(20)의 전면에 반드시 설치될 필요는 없다. 즉, 입력부(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5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입력부(110)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단말기(500)와 통신하거나, 휴대단말기(500)로부터 입력부(110)의 신호를 제공받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통신사의 서버일 수 있다. 휴대단말기(500)는 통신부(130) 및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도어(20)의 전면에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LCD, LED 등의 화상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각종 설정들,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중 발생한 각종 에러들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처리실(11) 및 보관실(13)에 각각 배치된 의류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입력부(110)에 상기 의류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분리판(15)이 처리실(11) 및 보관실(13)을 하나로 통합하도록 분리판 무빙기구(150)를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의류정보에 해당하는 의류가 처리실(11)의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걸이대 무빙기구(400)를 제어한 후, 분리판(15)이 상기 내부공간을 처리실(11) 및 보관실(13)로 구획하도록 분리판 무빙기구(150)를 제어하고, 처리실(11)로 공조된 공기 및 스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시간 동안 공급하도록 공급장치부(60,53,8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처리실(11)로 공조된 공기 및 스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시간 동안 공급하도록 공급장치부(60,53,80)를 제어한 후, 분리판(15)이 처리실(11) 및 보관실(13)을 하나로 통합하도록 분리판 무빙기구(150)를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의류정보에 해당하는 의류가 처리실(11)에서 보관실(13)의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걸이대 무빙기구(4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상기 선택된 의류정보에 해당하는 의류가 처리실(11)에서 보관실(13)의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걸이대 무빙기구(400)를 제어한 후, 분리판(15)이 상기 내부공간을 처리실(11) 및 보관실(13)로 구획하도록 분리판 무빙기구(1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동작과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보관실(13)에 보관된 의류 중에서 처리실(11)로 이동되어 처리되기를 원하는 의류가 있을 시에, 입력부(110)에서 해당 의류정보를 선택하여 입력한다(S1).
입력부(110)에서 상기 의류정보가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분리판 무빙기구(150)를 제어하여 분리판(15)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처리실(11) 및 보관실(13)을 하나로 통합한다(S2).
이후, 제어부(100)는 걸이대 무빙기구(400)를 제어하여 보관실(13)에 위치하는 걸이대(40)를 처리실(11)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선택된 의류정보에 해당하는 의류를 보관실(13)에서 처리실(11)로 이동시킨다(S3).
이후, 제어부(100)는 분리판 무빙기구(150)를 제어하여 분리판(15)을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처리실(11) 및 보관실(13)을 구획한다(S4). 이와 같이, 처리실(11) 및 보관실(13)이 분리판(15)에 의해 구획되는 경우, 처리실(11) 및 보관실(13)은 상호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제어부(100)는 분리판 무빙기구(150)를 제어하여 분리판(15)을 왕복이동시켜서처리실(11)에 배치된 의류로부터 먼지를 털어내면서, 공급장치부(60,53,80)를 작동시켜서, 공급장치부(60,53,80)가 공조된 공기 및 스팀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실(11)로 공급하도록 한다(S5). 이리하면, 처리실(11)에 배치된 의류는 처리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00)는 공급장치부(60,53,80)가 작동된 후 설정시간이 지났는지 판단한다(S6). 제어부(100)는 공급장치부(60,53,80)가 작동된 후 상기 설정시간이 지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공급장치부(60,53,80)를 계속하여 작동시킨다(S5).
제어부(100)는 공급장치부(60,53,80)가 작동된 후 상기 설정시간이 지났다고 판단되면, 분리판 무빙기구(150)를 제어하여 분리판(15)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보관실(13) 및 처리실(11)을 하나로 통합한다(S7).
이후, 제어부(100)는 걸이대 무빙기구(400)를 제어하여 처리실(11)에 위치하는 걸이대(40)를 보관실(13)로 이동시킴으로써, 처리실(11)에서 처리가 완료된 의류(상기 선택된 의류정보에 해당하는 의류)를 보관실(13)로 이동시킨다(S8).
이후, 제어부(100)는 분리판 무빙기구(150)를 제어하여 분리판(15)을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보관실(13) 및 처리실(11)을 하나로 통합한다(S9).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는, 처리실(11) 및 보관실(13)을 구비하여, 처리실(11)에서 처리가 완료된 의류를 보관실(13)로 이동시켜 보관하거나, 보관실(13)에 보관중인 의류를 처리실(11)로 이동시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보관실(13)에 보관중인 의류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의류가 처리실(11)로 자동으로 이동되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처리실(11)에서 처리가 완료된 의류가 보관실(13)로 자동으로 이동되어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캐비닛
11 : 처리실
13 : 보관실
15 : 분리판
16 : 제1 캐비닛부
17 : 제2 캐비닛부
40 : 걸이대
60,53,80 : 공급장치부
150 : 분리판 무빙기구
400 : 걸이대 무빙기구

Claims (13)

  1. 의류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구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공급장치부;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부 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마주하도록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분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은,
    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분리판과 상기 캐비닛의 내면 사이의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도어와 상기 분리판 사이의 제2 내부 공간으로 구획하거나, 상기 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구획된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을 상기 내부 공간으로 통합하고,
    상기 공급장치부는,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 중 처리실로 작용하는 어느 하나로 공조 공기 및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분리판이 상기 내부 공간에 펼쳐지면,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분리판이 상기 캐비닛의 내측벽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을 통합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을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분리판 무빙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 무빙기구는 상기 제1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내부 공간의 하측에 위치하는 서브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챔버에는,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 중 처리실로 작용하는 어느 하나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토출되도록,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유로가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부는 상기 서브 챔버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부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와,
    상기 순환 유로 상에 구비되어, 순환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팬과,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생성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제1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제1 걸이대와,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제2 걸이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걸이대는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걸이대는, 상기 제1 걸이대가 연장된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이대와 상기 제2 걸이대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이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을 통합하면, 상기 제1 걸이대와 상기 제2 걸이대는 연결되고,
    상기 분리판이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을 구획하면, 상기 제1 걸이대와 상기 제2 걸이대는 분리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제1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제1 걸이대와,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제2 걸이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걸이대는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걸이대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이대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걸이대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이대는, 상기 제1 내부 공간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제1 걸이대와, 상기 제1 내부 공간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제1 걸이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이 통합되면,
    상기 좌측 제1 걸이대는 상기 제2 걸이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우측 제1 걸이대는 상기 제2 걸이대의 타단에 연결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이대는, 상기 좌측 제1 걸이대와 상기 우측 제1 걸이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내부 공간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측 제1 걸이대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20127344A 2018-06-08 2022-10-05 의류처리장치 KR102639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344A KR102639775B1 (ko) 2018-06-08 2022-10-05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805A KR102598651B1 (ko) 2018-06-08 2018-06-08 의류처리장치
KR1020220127344A KR102639775B1 (ko) 2018-06-08 2022-10-05 의류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805A Division KR102598651B1 (ko) 2018-06-08 2018-06-08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611A KR20220137611A (ko) 2022-10-12
KR102639775B1 true KR102639775B1 (ko) 2024-02-21

Family

ID=69052175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805A KR102598651B1 (ko) 2018-06-08 2018-06-08 의류처리장치
KR1020220115782A KR102647131B1 (ko) 2018-06-08 2022-09-14 의류처리장치
KR1020220127345A KR102647130B1 (ko) 2018-06-08 2022-10-05 의류처리장치
KR1020220127344A KR102639775B1 (ko) 2018-06-08 2022-10-05 의류처리장치
KR1020220151885A KR102686750B1 (ko) 2018-06-08 2022-11-14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805A KR102598651B1 (ko) 2018-06-08 2018-06-08 의류처리장치
KR1020220115782A KR102647131B1 (ko) 2018-06-08 2022-09-14 의류처리장치
KR1020220127345A KR102647130B1 (ko) 2018-06-08 2022-10-05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885A KR102686750B1 (ko) 2018-06-08 2022-11-1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25986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309835U (zh) * 2020-06-18 2020-08-21 钟书玲 一种无缝内衣整烫流水线用吊挂装置
CN112075765B (zh) * 2020-08-31 2023-08-15 西安工程大学 一种便于衣物取放的装置
WO2023080613A1 (ko) 2021-11-02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4428288A1 (en) 2021-11-02 2024-09-11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U2022383685A1 (en) 2021-11-02 2024-05-30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EP4428291A1 (en) 2021-11-02 2024-09-11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WO2023080622A1 (ko) 2021-11-02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4414496A1 (en) 2021-11-02 2024-08-14 LG Electronics Inc. Garment processing device
EP4386131A1 (en) 2022-12-13 2024-06-19 LG Electronics Inc. Object treatment apparatus
WO2024128781A1 (ko) * 2022-12-13 2024-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상물처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7649A (ja) * 2002-07-31 2004-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格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819B2 (ja) * 1992-01-10 2000-05-08 株式会社デンソー グロープラグ
JP3039819U (ja) * 1997-01-21 1997-07-31 壽昭 福島 回転式複合キャビネット
KR101295579B1 (ko) * 2011-11-15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02458A (ko) * 2014-02-28 2015-09-07 이상복 다기능 복합 가구
KR101690619B1 (ko) * 2014-09-04 201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204838588U (zh) * 2015-08-25 2015-12-09 李为松 一种大容量自动化衣橱的转动挂架
KR102602847B1 (ko) * 2016-06-03 2023-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7649A (ja) * 2002-07-31 2004-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格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079A (ko) 2022-11-21
KR20220137611A (ko) 2022-10-12
KR20190139400A (ko) 2019-12-18
KR20220129520A (ko) 2022-09-23
KR102647130B1 (ko) 2024-03-12
KR102686750B1 (ko) 2024-07-19
KR102647131B1 (ko) 2024-03-12
KR20220137612A (ko) 2022-10-12
KR102598651B1 (ko) 2023-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977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141286A (ko) 의류처리장치
CN107385829B (zh) 衣物处理设备
CN104018327B (zh) 衣物处理设备
KR10159710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1463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54903B1 (ko) 의류처리장치
EP2896740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heat pump
US9903067B2 (en) Laundry machine
KR20190139405A (ko) 의류처리장치
JP2022503646A (ja) 衣類処理装置
JP2005253588A (ja) 乾燥機
CN105714534A (zh) 衣物处理装置
US20240360616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263322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50342B1 (ko) 의류처리기기 및 의류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230078985A (ko) 의류처리장치
KR102627649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03957A (ko) 의류처리장치
JP2020010959A (ja) 衣類乾燥機
JP2012090774A (ja) ランドリー機器
KR20060095293A (ko) 리프레쉬 장치
CN114561785A (zh) 衣物护理机及衣物护理机的温度控制方法
US11661700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2386713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