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216B1 - 케이블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216B1
KR102639216B1 KR1020210175025A KR20210175025A KR102639216B1 KR 102639216 B1 KR102639216 B1 KR 102639216B1 KR 1020210175025 A KR1020210175025 A KR 1020210175025A KR 20210175025 A KR20210175025 A KR 20210175025A KR 102639216 B1 KR102639216 B1 KR 102639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rotection device
cable protection
tie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6414A (ko
Inventor
박범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75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216B1/ko
Publication of KR20230086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고압 케이블을 수분침부로부터 보호하고 잔류가스가 정상적으로 배출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케이블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 장치는, 원통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과 상기 몸체 사이를 고정하는 케이블 타이가 통과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타이 고정부; 및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잔류가스의 발생여부에 따라 부피가 가변하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가스포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보호 장치{Cable prote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특고압 케이블을 수분침부로부터 보호하고 잔류가스가 정상적으로 배출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케이블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고압 케이블을 지중에 포설함에 있어서, 전문 접속 인력 확보여부와 각 구간별 굴착 공사진행의 시간 차이로 인해 케이블을 포설만 해두고 서로간의 접속은 오랜기간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도 6 참조)
이처럼 공사 기간중에 지중에 포설된 케이블들이 접속되지 않은 상태로 방치되는 경우 맨홀 내부의 수분이 케이블 내부로 유입되어 향후 케이블 접속점에 고장을 유발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기존에는 케이블로의 수분침투를 막기 위해 케이블에 테이핑을 하거나 비닐봉투를 씌우는 임시 방편의 조치만이 시행되고 있었다.
한편, 케이블을 접속하는 경우에도 마지막 접속 시점에서 잔류가스가 방출되었는지 확인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새 케이블의 경우 내부에서 잔류가스가 방출되는데, 가스가 다 방출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경우에는 케이블의 고장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중에 포설되는 케이블의 길이방향 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케이블 내부로의 수분침투 방지 및 상기 케이블의 잔류가스를 포집하는 케이블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 장치는, 지중에 포설되는 케이블의 길이방향 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케이블 내부로의 수분침투 방지 및 상기 케이블의 잔류가스를 포집하는 케이블 보호 장치로서, 원통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과 상기 몸체 사이를 고정하는 케이블 타이가 통과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타이 고정부; 및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잔류가스의 발생여부에 따라 부피가 가변하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가스포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내부에 상기 케이블이 인입되는 케이블 삽입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측에서 인입되도록 상기 일측 단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의 내경부에는, 방수젤이 도포되는 방수층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외경부에는, 상기 타이 고정부가 배치될 수 있고, 이때, 상기 타이 고정부와 상기 방수층은 상기 몸체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이 고정부는, 상기 몸체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아치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 고정부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타이 고정부는 상기 몸체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는, 일정한 외경 크기를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타이 고정부가 배치되는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도록 아코디언 형태로 구비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와 연결되고 일정한 외경 크기를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스포집부가 배치되는 제3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몸체부의 가장 작은 외경의 크기는,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3 몸체부의 외경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스포집부는 원통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가스포집부의 외경의 크기는, 상기 제3 몸체부의 외경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내부에 수분 침투를 막을 수 있어 시공품질을 유지할 수 있고 케이블 접속부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에서 잔류가스가 충분히 배출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포설 시기와 접속시기에 시간차가 발생하더라도 케이블 접속 품질이 양호한지 확인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포함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 장치를 케이블 삽입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 장치에 삽입된 케이블이 케이블 타이로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 장치에 있어서, 삽입된 케이블에서 잔류가스가 배출될 때 가스포집부의 팽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포설 중 미접속 상태로 방치된 케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 장치를 케이블 삽입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 장치(10)는, 몸체(100), 타이 고정부(200) 및 가스포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는 케이블(5)의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케이블(5)이 삽입가능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몸체(100)의 내부에는 케이블(5)이 인입되는 케이블 삽입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블 삽입 공간의 직경은 케이블(5)이 원활이 삽입되도록 충분히 커야 한다.
몸체(10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는 케이블(5)이 인입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개방되는 일측 단부는 케이블 삽입부(113)로 정의될 수 있다. 몸체(10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는 수분 유입이 방지되도록 폐쇄될 수 있다. 즉, 개방된 일측으로 케이블(5)이 삽입되고 폐쇄된 타측에서 수분 유입이 방지됨으로써 몸체(100)는 케이블(5)의 단부를 커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몸체(100)는 내경부와 외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내경부와 외경부는 각각 몸체(100)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을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몸체(100)는, 일정한 외경 크기를 갖도록 구비되는 제1 몸체부(110), 제1 몸체부(110)와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도록 아코디언 형태로 구비되는 제2 몸체부(120) 및 제2 몸체부(120)와 연결되고 일정한 외경 크기를 갖도록 구비되는 제3 몸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부(110)와 제3 몸체부(130)는 동일한 외경 크기(D1, D3)를 가질 수 있다. 제1 몸체부(110)는 케이블(5)이 삽입되도록 개방된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몸체부(110)와 제3 몸체부(13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몸체부(120)는 몸체 전체의 길이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실시예의 케이블 보호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압축된 형태로서 보관될 수 있다. 즉, 장치의 휴대와 적재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제2 몸체부(120)의 가장 작은 외경의 크기(D2)는, 제1 몸체부(110)와 제3 몸체부(130)의 외경의 크기(D1,D3)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이로써, 케이블(5)이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 및 제3 몸체부(130)를 모두 통과하여 원활히 삽입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10)와 제3 몸체부(130)는 표면의 외부에서 내부로 수분이 통과할 수 없도록 플라스틱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몸체부(12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위해 제1 몸체부(110) 및 제3 몸체부(130)와는 상이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타이 고정부(200)는, 몸체(10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케이블(5)이 몸체(100)에 삽입된 경우 케이블(5)과 몸체(100) 사이를 고정하는 케이블 타이(3)가 통과하도록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타이 고정부(200)는, 제1 몸체부(110)의 외표면에 배치되어 상기 외표면으로부터 몸체(100)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아치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타이 고정부(200)는 케이블 삽입부(113)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타이 고정부(200)는 제1 몸체부(110)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타이 고정부(200)에는 케이블 타이(3)가 통과하도록 관통 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관통 홀의 관통 방향은 제1 몸체부(110)의 원주를 두르는 방향일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관통 홀을 통과하는 케이블 타이(3)는 제1 몸체부(110)를 감쌀 수 있다.
타이 고정부(20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타이 고정부(200)는 몸체(100)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케이블(5)이 몸체(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타이 고정부(20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케이블 타이(3)를 통해 몸체(100)와 케이블(5) 사이가 틈 없이 조여질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삽입부(113)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몸체(100)의 내경부에는 방수젤(7)이 도포되는 방수층(115)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수층(115)은 제1 몸체부(110)를 사이에 두고 타이 고정부(200)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방수층(115)이 형성된 위치에서 타이 고정부(200)가 몸체(100)를 조여 케이블(5)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수분 유입 방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도 3 참조)
가스포집부(300)는, 몸체(100)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잔류가스의 발생여부에 따라 부피가 가변하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몸체(100)의 타측 단부란, 타이 고정부(200)가 배치되는 위치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반대 방향인 측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스포집부(300)는 제3 몸체부(130)에 배치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3 몸체부(13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단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가스포집부(300)는 원통 형태로 구비되되, 가스포집부(300)의 외경의 크기(D4)는, 제3 몸체부(130)의 외경의 크기(D3)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가스포집부(300)는 몸체(100)에 삽입된 케이블(5)에서 잔류가스가 배출되었는지 여부와 그 배출양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쉽게 팽창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니트릴부타디엔고무(NBR) 재질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 장치에 삽입된 케이블이 케이블 타이로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참조했던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도 4를 참조하여 케이블 보호 장치(10)에 케이블(5)을 삽입하는 작업에 대해 설명하자면, 먼저, 타이 고정부(200)에 케이블 타이(3)를 끼운다. 그 후, 케이블(5)을 케이블 삽입부(113)로 통과시킨다. 케이블(5)은 케이블 삽입부(113)를 통해 제1 몸체부(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방수젤(7)이 도포되어 있는 방수층(115), 제2 몸체부(120) 및 제3 몸체부(130)까지 삽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케이블 타이(3)가 외력에 의해 잡아당겨지면 케이블(5) 외표면과 몸체(100)의 내경부 사이가 틈새 없이 조여져 고정되게 된다. 이때, 케이블 타이(3)가 잡아당겨지기 전에 가스포집부(300)에서 잔류가스의 포집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가스포집부(300)는 눌려진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 장치에 있어서, 삽입된 케이블에서 잔류가스가 배출될 때 가스포집부의 팽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블 보호 장치에 케이블(5) 삽입 및 타이 고정부(200)에 의해 몸체(100)와 케이블(5) 사이가 고정된 이후에 케이블(5)에서 잔류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잔류가스가 배출되더라도 타이 고정부(200)의 고정에 의해 케이블 삽입부(113) 쪽으로는 가스가 빠져나가지 못한다. 따라서, 몸체(100) 내부에 갖힌 가스는 가스포집부(300)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가스포집부(300)는 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점차 팽창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내부에 수분 침투를 막을 수 있어 시공품질을 유지할 수 있고 케이블 접속부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에서 잔류가스가 충분히 배출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포설 시기와 접속시기에 시간차가 발생하더라도 케이블 접속 품질이 양호한지 확인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3: 케이블 타이
5: 케이블
7: 방수젤
10: 케이블 보호 장치
100: 몸체
110: 제1 몸체부
113: 케이블 삽입부
115: 방수층
120: 제2 몸체부
130: 제3 몸체부
200: 타이 고정부
300: 가스포집부

Claims (9)

  1. 지중에 포설되는 케이블의 길이방향 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케이블 내부로의 수분침투 방지 및 상기 케이블의 잔류가스를 포집하는 케이블 보호 장치로서,
    원통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과 상기 몸체 사이를 고정하는 케이블 타이가 통과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타이 고정부; 및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잔류가스의 발생여부에 따라 부피가 가변하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가스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일정한 외경 크기를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타이 고정부가 배치되는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도록 아코디언 형태로 구비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와 연결되고 일정한 외경 크기를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스포집부가 배치되는 제3 몸체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내부에 상기 케이블이 인입되는 케이블 삽입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측에서 인입되도록 상기 일측 단부가 개방되는,
    케이블 보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경부에는, 방수젤이 도포되는 방수층이 구비되는,
    케이블 보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경부에는, 상기 타이 고정부가 배치되며,
    상기 타이 고정부와 상기 방수층은 상기 몸체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케이블 보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 고정부는,
    상기 몸체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아치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연장되는,
    케이블 보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 고정부는 복수개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타이 고정부는 상기 몸체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케이블 보호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의 가장 작은 외경의 크기는,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3 몸체부의 외경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은,
    케이블 보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포집부는 원통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가스포집부의 외경의 크기는, 상기 제3 몸체부의 외경의 크기보다 작은,
    케이블 보호 장치.
KR1020210175025A 2021-12-08 2021-12-08 케이블 보호 장치 KR102639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025A KR102639216B1 (ko) 2021-12-08 2021-12-08 케이블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025A KR102639216B1 (ko) 2021-12-08 2021-12-08 케이블 보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414A KR20230086414A (ko) 2023-06-15
KR102639216B1 true KR102639216B1 (ko) 2024-02-22

Family

ID=8676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025A KR102639216B1 (ko) 2021-12-08 2021-12-08 케이블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2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762B1 (ko) * 2012-05-02 2013-07-29 주식회사 루프 잔사가스 배출용 릴리프밸브를 구비한 케이블 엔드캡
KR101849687B1 (ko) * 2017-07-20 2018-04-19 동부전기기술단(주) 가교 폴리에틸렌 케이블의 잔사가스 포집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762B1 (ko) * 2012-05-02 2013-07-29 주식회사 루프 잔사가스 배출용 릴리프밸브를 구비한 케이블 엔드캡
KR101849687B1 (ko) * 2017-07-20 2018-04-19 동부전기기술단(주) 가교 폴리에틸렌 케이블의 잔사가스 포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414A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3071B2 (ja) 開口に密封システムを提供するアセンブリ
CN104641525B (zh) 可再进入的封壳
JP6047675B2 (ja) ケーブル係留装置のための個別密閉構成
RU2524723C2 (ru) Способ заполнения оболочки
KR102639216B1 (ko) 케이블 보호 장치
KR100787577B1 (ko)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KR100713243B1 (ko) 공동주택용 전선보호관 이음장치
US11781329B2 (en) Sealing connector for post tensioned anchor system
US6864427B2 (en) Enclosing device and method
US4886939A (en) Cable sealing device and method
US1977774A (en) Protector for cable splices
JPS58204712A (ja) 電気ケ−ブル接続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7584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pairing a conduit
KR102270769B1 (ko) 지중 배전선로를 보호하는 보수판
JP5216358B2 (ja) 地盤補強に用いられる補強部材、地盤補強工法、地盤補強構造
JP4530935B2 (ja) マンホールの防水管補修工法及びマンホールの防水工法
KR20200095751A (ko) 전주의 완철밴드용 새둥지 축조방지구
KR200319134Y1 (ko)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 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US72573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n isolation closure from a fiber optic cable
KR101358032B1 (ko) 고주파 케이블 보호용 금속관의 연결장치
JP2018128092A (ja) 排水路付き閉塞栓
JP3716289B2 (ja) 可撓管用櫛歯型継手及びそれを用いたヒューム管の連結構造並びにその施工方法
KR101695951B1 (ko) 지중배전선 간의 합성방지를 위한 조립식 보호관
JP2008118786A (ja) ケーブル保護管部材
JP4219763B2 (ja) 配管ボックスへの管体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