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984B1 - 무지외반 및 소지내반 교정양말 - Google Patents

무지외반 및 소지내반 교정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984B1
KR102638984B1 KR1020220000215A KR20220000215A KR102638984B1 KR 102638984 B1 KR102638984 B1 KR 102638984B1 KR 1020220000215 A KR1020220000215 A KR 1020220000215A KR 20220000215 A KR20220000215 A KR 20220000215A KR 102638984 B1 KR102638984 B1 KR 102638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elastic
reinforcement
hallux valgus
s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5083A (ko
Inventor
김민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원트
주식회사 지아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원트, 주식회사 지아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원트
Priority to KR1020220000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984B1/ko
Publication of KR20230105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9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Toe correcting or sprea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3Hosiery with intermediate sections of different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8Elastic stockings; for contracting aneur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38Wound bandages characterised by way of knitting or weav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신축성양말부:
상기 신축성양말부에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를 주머니 형태로 봉제한 봉제부;
상기 봉제부에 삽입하는 확장부재;
엄지발가락의 뿌리부분에 해당하는 부분부터 발의 뒷금치 방향으로 호형상으로 구성한 보강1부;
상기 보강1부의 타측에 구성한 호형상의 보강2부;
상기 보강2부보다 보강1부의 탄성력이 더 크게 되도록 탄성밴드를 삽입하되,
상기 신축성양말부를 편직할 때에 상기 탄성밴드를 중앙부에 놓고 양측면에서 편직을 하여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교정양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지외반 및 소지내반 교정양말{Hallux valgus and hallux valgus corrective socks}
본 발명은 엄지발가락이 소지발가락 쪽으로 기울어져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인 무지외반증 또는 소지발가락이 엄지발가락쪽으로 기울어진 소지내반등을 교정하는 양말에 관한 것이다.
도7은 배경이 되는 기술에 따른 타이즈를 발 등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타이즈의 연결부(20)는 엄지 토 부(10)를 발 바깥측으로 잡아당기기 위하여,
엄지 토 부(10)로부터 출발하여 발 안측 솔 파트), 힐 파트, 발 바깥측 솔 파트, 인스텝 파트를 거쳐서 다시 엄지 토 부(10)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발 등측에서 바라보면, 'V'자 모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타이즈의 연결부(20) 또는 엄지 토 부(10)의 원사의 데니아(denier)는 타이즈의 다른 부분의 원사의 데니아보다 더 큰 것일 수 있다. 즉, 더 굵은 원사를 사용하여 조직을 편성함으로써, 타이즈는 착용자의 엄지 발가락이 발 바깥측으로 잡아당겨 똑바로 펴주어 무지 외반증을 교정하거나 무지 외반증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토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배경기술은 엄지발가락이 상당한 압력을 받아서 여러시간동안 착용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원발명은 보다 편안한 상태에서 교정하는 교정양말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2180657(2020.11.19)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2011696(2019.08.19) 대한민국특허청특허공개번호 10-2017-0077376(2017.07.06) 대한민국특허청실용등록번호 20-0400458(2005.11.08)
본원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는 무지 즉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에 삽입되거나 소지발가락과 약지발가락 사이에 삽입되는 확장부재를 통하여 무지외반 또는 소지내반을 교정해주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신축성양말부:
상기 신축성양말부에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사이 또는 약지발가락과 소지발가락 사이를 주머니 형태로 봉제한 봉제부;
상기 봉제부에 삽입하는 확장부재;
엄지발가락의 뿌리부분 또는 소지발가락의 뿌리부분에 해당하는 부분부터 발의 뒤꿈치 방향으로 호형상으로 구성한 보강1부;
상기 보강1부의 타측에 구성한 호형상의 보강2부;
상기 보강2부보다 보강1부의 탄성력이 더 크게 되도록 탄성밴드를 삽입하되,
상기 신축성양말부를 편직할 때에 상기 탄성밴드를 중앙부에 놓고 양측면에서 편직을 하여 일체화하시키도록 무지외반 및 소지내반 교정양말을 구성한다.
두번째 실시예로는 하기와 같다.
신축성양말부:
상기 신축성양말부에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사이 또는 약지발가락과 소지발가락 사이를 주머니 형태로 봉제한 봉제부;
상기 봉제부에 삽입하는 확장부재;
엄지발가락의 뿌리부분 또는 소지발가락의 뿌리부분에 해당하는 부분부터 발의 뒤꿈치 방향으로 호형상으로 구성한 보강1부;
상기 보강1부의 타측에 구성한 호형상의 보강2부;
상기 보강2부보다 보강1부의 탄성력이 더 크게 되도록 탄성밴드를 삽입하되,
상기 신축성양말부를 편직할 때에 상기 보강1부 및 상기 보강2부에는 편직실이 탄성력이 더 강하게 구성된 실로 편직을 하여 일체화시키는 무지외반 및 소지내반 교정양말을 가진다.
본원발명의 효과로는 무지 즉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에 삽입되거나 소지발가락과 약지발가락 사이에 삽입되는 확장부재를 통하여 무지외반 또는 소지내반을 교정해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무지외반의 오른발 또는 소지내반의 왼발을 삽입하도록 구성한 교정양말을 보이는 도이다.
도2는 보강부와 신축성양말부의 편직부분을 확장하여 본 도이다.
도3은 무지외반의 왼발 또는 소지내반의 오른발을 삽입하도록 구성한 무지외반증 및 소지내반 교정양말을 보이는 도이다.
도4는 도3에서 보강부와 신측성양말부의 편직부분을 확장하여 본 도이다.
도5 및 도6은 확장부재를 보이는 도이다.
도7은 배경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신축성양말부(100)를 구성한다.
상기 신축성양말부(100)에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 또는 약지발가락과 소지발가락 사이를 주머니 형태로 봉제한 봉제부(110,120)를 구성하여 양말입구에서 상기 봉제부(110,120)에 확장부재 (500)를 삽입한다.
확장부재로는 발가락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실리콘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가락의 뿌리부분은 가늘게 구성하고 발가락의 단부에는 굵게 구성한다.
발가락이 잘 안착되도록 양옆으로는 발가락의 측부가 안착되도록 라운드부(510)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교정의 효과를 더 크게 가지기 위하여 엄지발가락의 뿌리부분 또는 소지발가락의 뿌리부분에 해당하는 부분부터 발의 뒤꿈치 방향으로 호형상으로 보강1부(300)를 구성하여 엄지발가락이 벌어지도록 압력을 가하는 것이 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상기 보강1부(300)의 타측에 호형상의 보강2부(400)를 구성하여 엄지발가락의 뿌리부분주위를 압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2부(400)보다 보강1부(300)의 탄성력이 더 크게 되도록 탄성밴드를 삽입한다.
보강1부(300)의 면적이 보강2부(400)의 면적보다 더 크게 구성하여도 좋다.
2중으로 상판과 하판을 편직하면서 중앙부에 보강1부 및 보강2부를 삽입하여 일체화하여 무지외반증교정양말을 구성하는 것이다.
제2실시예로는 하기와 같다.
제1실시예와 편직이 상이한 것이다.
신축성양말부(100)를 구성한다.
상기 신축성양말부(100)에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 또는 약지발가락과 소지발가락 사이를 주머니 형태로 봉제한 봉제부(110,120)를 구성한다.
상기 봉제부(110,120)에 확장부재(500)를 삽입한다.
엄지발가락의 뿌리부분 또는 소지발가락의 뿌리부분에 해당하는 부분부터 발의 뒤꿈치 방향으로 호형상으로 보강1부(300)를 구성한다.
상기 보강1부(300)의 타측에 호형상의 보강2부(400)를 구성하여 엄지발가락의 교정을 더욱 효과있게 구성한다.
상기 보강2부(400)보다 보강1부(300)의 탄성력이 더 크게 되도록 탄성밴드를 삽입한다. 탄성밴드가 차지하는 면적을 크게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신축성양말부(100)를 편직할 때에 상기 보강1부(300) 및 상기 보강2부(400)에는 편직실이 탄성력이 더 강하게 구성된 실로 편직을 하여 일체화하는 무지외반증교정양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위치에 편직된 실들보다 탄성력이 큰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다.
탄성밴드경계부(310,410)를 보이는 도는 탄성밴드인 보강1부(300) 및 보강2부(400)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본원발명은 엄지와 검지사이에 발생하는 무지외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약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인 소지발가락 사이에 발생하는 소지내반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다.
도면의 오른발의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는 것을 왼발에 착용하면 소지내반증을 교정하는 것으로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신축성양말부 110,120:봉제부
200:교정수납부 300:보강1부 310,410:탄성밴드경계부
400:보강2부 500:확장부재 510:라운드부

Claims (2)

  1. 신축성양말부:
    상기 신축성양말부에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사이 또는 약지발가락과 소지발가락 사이를 주머니 형태로 봉제한 봉제부;
    상기 봉제부에 삽입하는 확장부재;
    엄지발가락의 뿌리부분 또는 소지발가락의 뿌리부분에 해당하는 부분부터 발의 뒤꿈치 방향으로 호형상으로 구성한 보강1부;
    상기 보강1부의 타측에 구성한 호형상의 보강2부;
    상기 보강1부 및 상기 보강2부는 탄성밴드를 삽입하여 구성하며,
    상기 보강2부보다 보강1부의 탄성력이 더 크게 되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탄성밴드를 삽입하되,
    상기 신축성양말부를 편직할 때에 상기 탄성밴드를 중앙부에 놓고 양측면에서 편직을 하여 일체화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 및 소지내반 교정양말.
  2. 삭제
KR1020220000215A 2022-01-03 2022-01-03 무지외반 및 소지내반 교정양말 KR102638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215A KR102638984B1 (ko) 2022-01-03 2022-01-03 무지외반 및 소지내반 교정양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215A KR102638984B1 (ko) 2022-01-03 2022-01-03 무지외반 및 소지내반 교정양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083A KR20230105083A (ko) 2023-07-11
KR102638984B1 true KR102638984B1 (ko) 2024-02-22

Family

ID=87159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215A KR102638984B1 (ko) 2022-01-03 2022-01-03 무지외반 및 소지내반 교정양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9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1118B2 (ja) * 1993-02-19 2000-10-23 シャープ株式会社 Adpcmコーデック
JP2013530734A (ja) * 2010-05-10 2013-08-01 コトカマー、ロバート 矯正用足指靴下
JP2015206131A (ja) * 2014-04-17 2015-11-19 株式会社ベルシャン 健康靴下及び足趾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1118U (ja) * 2003-10-20 2004-06-03 米子 佐藤 外反母趾用靴下
KR200400458Y1 (ko) 2005-08-12 2005-11-08 임선희 발가락 교정기
KR20170077376A (ko) 2015-12-28 2017-07-06 (주) 일호 무지외반증 교정 장치
KR102180657B1 (ko) 2016-10-07 2020-11-19 남소현 타이즈
KR102011696B1 (ko) 2018-01-11 2019-08-19 김유리 고양이 양말,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1118B2 (ja) * 1993-02-19 2000-10-23 シャープ株式会社 Adpcmコーデック
JP2013530734A (ja) * 2010-05-10 2013-08-01 コトカマー、ロバート 矯正用足指靴下
JP2015206131A (ja) * 2014-04-17 2015-11-19 株式会社ベルシャン 健康靴下及び足趾カバ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01118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083A (ko)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0770B2 (ja) 外反母趾の防止および/または治療のための補強ストッキングまたはソックス
JP5165122B2 (ja) フートウェア
EP1994839A1 (en) Sock
CN102711535B (zh) 脚关节护具
US10799414B1 (en) Orthotic ankle garment, and method for stabilizing the lower leg of a wearer
US20170007465A1 (en) Sock And Method For Creating A Substantial Squeezing Pressure On One Or More Individual Toes Of A Wearer
JP2006312789A (ja) テーピング効果を有するニット製肌着、靴下、ふくらはぎサポータ、スパッツ及びタイツ類
JP5411083B2 (ja) レッグウェア
KR20170107348A (ko) 양말
KR102180657B1 (ko) 타이즈
JP3890392B2 (ja) 外反母趾用靴下
KR102638984B1 (ko) 무지외반 및 소지내반 교정양말
JP2001355155A (ja) 足先編地およびこの足先編地を用いたストッキング
RU2732437C2 (ru) Текстильный ортез с бортиком
JP3203345U (ja) 靴下
TWI510197B (zh) 足部壓力襪
JP2014094253A (ja) 外反母趾による痛み解消を目的とした靴下
JP2021116509A (ja) フットカバー
JP2006104599A (ja) 靴下
JP2005009011A (ja) 靴下
JP5936025B2 (ja) サポートソックス
CN111083920A (zh) 运动袜或运动绑带
JP2007239145A (ja) 靴下
KR20180038862A (ko) 타이즈
JP5499249B2 (ja) 矯正ストラップ及びこれを有する足矯正靴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