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974B1 - 연비 측정 장비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연비 측정 장비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974B1
KR102638974B1 KR1020160176323A KR20160176323A KR102638974B1 KR 102638974 B1 KR102638974 B1 KR 102638974B1 KR 1020160176323 A KR1020160176323 A KR 1020160176323A KR 20160176323 A KR20160176323 A KR 20160176323A KR 102638974 B1 KR102638974 B1 KR 102638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tank
pressure
fuel efficiency
fuel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2981A (ko
Inventor
김유한
이승재
정영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6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974B1/ko
Publication of KR20180072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5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pressure as the par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료전지 차량의 연비 측정 시, 공급되는 수소 압력의 변동에 대비한 예비 수소 탱크를 제어함으로써, 수소 공급 실패에 따른 시험 중단을 방지하고, 시험 안정성을 도모하는 연비 측정 장비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일 예에 따른 연비 측정 장치는 연료전지로 전달하는 수소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와 분리되어 마련되고, 수소를 저장하는 예비 탱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가 공급하는 수소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상기 압력 센서를 통과한 상기 수소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HPR(High Pressure Regulator); 상기 연료전지로 전달하는 상기 수소를 토출시키는 PRV(Pressure Regulator Valve); 및 상기 압력 센서가 측정하는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인지 판단하고, 상기 검출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의 수소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예비 탱크의 수소를 상기 연료전지로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비 측정 장비 및 그 제어방법{FUEL EFFICIENCY MEASUR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연료전지 차량의 연비 측정 장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환경 문제가 중요해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외적으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환경 공해에 큰 영향을 미치는 수송 수단에서의 석유 연료 사용은 해마다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차량에 의한 공해 발생을 절감시키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특히, 친환경적인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연료전지 차량은, 기존 차량에 의한 환경오염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수소를 사용하는 연료전지 차량은 고분자 막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roton Exchange Membrane, PEM fuel cell)을 주로 사용한다.
한편, 연료전지 차량은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에 수소를 공급하는 차량용 수소 탱크를 포함한다. 그러나 연료전지 차량에서 연비를 측정하는 방법은 차량용 수소 탱크의 수소를 사용하지 않고, 연비 측정 장비와 함께 마련된 탱크에서 수소를 공급하여 측정한다.
종래 이러한 연비 측정 장치는 공급하는 수소의 압력 제어에 실패하는 경우에 대한 대비책이 부족했으며, 이에 따른 시험 안정성에도 문제가 있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료전지 차량의 연비 측정 시, 공급되는 수소 압력의 변동에 대비한 예비 수소 탱크를 제어함으로써, 수소 공급 실패에 따른 시험 중단을 방지하고, 시험 안정성을 도모하는 연비 측정 장비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일 예에 따른 연비 측정 장치는 연료전지로 전달하는 수소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와 분리되어 마련되고, 수소를 저장하는 예비 탱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가 공급하는 수소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상기 압력 센서를 통과한 상기 수소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HPR(High Pressure Regulator); 상기 연료전지로 전달하는 상기 수소를 토출시키는 PRV(Pressure Regulator Valve); 및 상기 압력 센서가 측정하는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인지 판단하고, 상기 검출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의 수소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예비 탱크의 수소를 상기 연료전지로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HPR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 또는 상기 예비 탱크가 공급하는 수소의 압력을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시킬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가 저장하는 상기 수소의 공급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탱크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탱크 밸브를 온 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의 수소를 상기 연료 전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예비 탱크가 저장하는 상기 수소의 공급을 제어하는 탱크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를 제어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탱크 밸브를 오프시키고, 상기 예비 탱크를 제어하는 상기 탱크 밸브를 온 시켜, 상기 연료전지로 상기 예비 탱크의 수소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HPR에서 감압된 상기 수소를 상기 연료 전지로 전달하는 퀵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예비 탱크에 저장되는 수소를 상기 연료 전지로 공급하여 상기 연료 전지의 연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소 탱크가 복수 개 마련되는 경우, 상기 연료전지를 포함하는 차량의 연비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수소 탱크 중 상기 수소를 공급할 수소 탱크를 결정할 수 있다.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비 측정 장치의 제어방법은 연료전지 차량의 외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 및 예비 탱크를 포함하는 연비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가 공급하는 상기 수소의 압력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인지 판단하고, 상기 검출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의 수소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예비 탱크가 수소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 또는 상기 예비 탱크가 공급하는 수소의 압력을 감압하는 HPR(High Pressure Regulator); 및 상기 공급되는 수소를 토출시키는 PRV(Pressure Regulator Valve);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가 저장하는 상기 수소의 공급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탱크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탱크 밸브를 온 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의 수소를 상기 연료전지 차량으로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비 탱크가 저장하는 상기 수소의 공급을 제어하는 탱크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를 제어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탱크 밸브를 오프시키고, 상기 예비 탱크를 제어하는 상기 탱크 밸브를 온 시켜, 상기 연료전치 차량으로 상기 예비 탱크의 수소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비 탱크에 저장된 수소를 공급하고,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연비를 측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소 탱크가 복수 개 마련되는 경우,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연비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수소 탱크 중 상기 수소를 공급할 수소 탱크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인지 판단하고, 상기 검출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 내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에 저장된 수소를 공급하여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연비를 측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연비 측정 장비 및 그 제어방법은 따르면 연료전지 차량의 연비 측정시, 공급되는 수소 압력의 변동에 대비한 예비 수소 탱크를 제어함으로써, 수소 공급 실패에 따른 시험 중단을 방지하고, 시험 안정성을 도모한다.
도 1은 연료 전지의 발전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연료전지 차량에서 사용되는 연비 측정 장치의 하드웨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시험 실패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개시된 일 예에 따른 연비 측정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연비 측정 장치를 하드웨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예에 따라 연비 측정 장치가 시험 실패에 대비하여 동작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개시된 일 예에 따른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개시된 연비 측정 장비 및 그 제어방법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연료 전지의 발전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료전지(10)는 연료인 수소를 수용하는 연료극(11), 공기 구체적으로 산소가 전달되는 공기극(15) 및 전해질층(1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연료극(11)은 전지의 양극(+)에 해당하고, 공급되는 수소를 수소이온과 전자로 분리한다.
분리된 수소이온은 전해질층(13)을 통해 공기극(15)으로 이동하고, 전자는 외부 회로를 통과한 후 공기극(15)으로 이동한다. 연료 전지가 차량에 사용되는 경우 전자는 연료전지 차량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기 모터에 전달된다.
공기극(15)은 음극에 해당하고, 산소이온과 수소이온이 만나 반응 생성물, 즉 물을 생성한다.
결국, 연료 전지(10)는 수소와 산소를 결합하여 전기, 물 및 열을 생성한다.
이러한 연료 전지(10)는 전해질층(13)에 포함된 전해질(Membrane)에 따라 구분된다.
일 예로 연료전지 차량은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EM fuel cell)을 주로 사용한다. 고분자 전해질형은 이온 교환막을 전해질로 사용하고, 동작온도는 대략 섭씨 80도이며 75%의 효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연료전지 차량은 원하는 전기출력을 얻기 위해 고분자 전해질형 단위 전지를 수십 또는 수백장 직렬로 쌓아 올린 연료 전지 스택(Fuel Cell Stack, 도 2의 10a)을 사용한다. 이러한 연료전지 스택(10a)은 차량 내 구비된 수소 탱크(도 2의 63)로부터 수소를 공급받아 전기를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연료전지 차량에 포함된 연료전지 스택(10a)의 연비 측정 시험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연료전지 차량에서 사용되는 연비 측정 장치의 하드웨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연비 측정 장치는 차량의 연료전지 스택(10a)에 수소를 공급하는 제 1수소탱크(61) 및 제 2 수소탱크(62), 수소탱크(61, 62)가 공급하는 수소를 조절하는 탱크 밸브(81,82), 탱크의 압력을 측정하는 탱크 압력 센서(41, 42), 공급되는 수소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1 HPR(High Pressure Regulator, 121) 및 제 2 HPR(122), HPR(121, 122)이 수소의 압력 조절에 실패에 따라 수소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86, 87), HPR(121, 122)의 후단 압력을 측정하는 HPR 압력 센서(50), 수소를 토출시키는 PRV(Pressure Regulator Valve, 90), 연료전지 스택(10a)으로 공급되는 수소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 3 HPR(124) 및 차량과 연비 측정 장치를 연결하는 퀵 커넥터(Quick Connector, 13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 1수소 탱크(61)는 연료전지 차량의 외부에서 수소를 공급한다. 연료전지 차량의 연비 측정은 차량 내 마련된 차량용 수소 탱크(63)를 사용하지 않는다.
제 2 수소 탱크(62)는 차량의 연비 모드에 따라 제 1수소 탱크(61)의 수소 공급이 중단되면, 차량에 공급하기 위한 수소를 저장한다. 즉, 제 1 수소탱크(61)에서 수소 공급을 조절하는 탱크 밸브(81)가 오프(Off)되면, 제 2 수소 탱크(62)의 탱크 밸브(82)가 온 되고, 제 2 수소 탱크(62)는 연료전지 스택(10a)으로 수소를 공급한다.
탱크 압력 센서(41, 42)는 각 수소 탱크(61, 62)에서 공급되는 수소 기체의 압력을 측정한다.
탱크 압력 센서(41, 42)에서 측정되는 압력을 기초로, HPR(121, 122)는 수소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구체적으로 제 1 HPR(121)은 제 1 수소 탱크(61)에서 공급되는 수소의 압력을 조절하고, 제 2 HPR(122)은 제 2 수소 탱크(61)에서 공급되는 수소의 압력을 조절한다.
제 3 HPR(124)도 수소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고, 일정한 압력을 가진 수소 기체가 연료전지 스택(10a)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각 수소 탱크(61, 62)와 연결된 각 HPR(121, 122)에서 조절하는 수소의 압력은 조금씩 편차가 있다. 일 예로, 제 1 HPR의 후단의 압력은 17.2bar일 수 있고, 제 2 HPR의 후단 압력은 17.5bar일 수 있다. 만약 제 1 수소 탱크(61)의 수소 공급이 중단되고 제 2 수소 탱크(62)의 탱크 밸브(82)가 온 되더라도, 제 3 HPR(124)는 연료전지 스택(10a)으로 공급하는 수소의 압력이 17.0bar로 일정하도록 유지한다.
솔레노이드 밸브(86, 87)는 수소 탱크(61, 62)가 공급하는 수소의 압력을 조절하는 HPR(121, 122)이 압력 조절에 실패하거나, 연비 모드에 기초하여 수소 탱크(61, 62)의 전환 시 온 또는 오프 되는 전기 스위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 1 수소 탱크(61)에서 수소가 공급되도록 결정된 후, 제 1 HPR(121)이 수소의 압력 조절에 실패하면, 솔레노이드 밸브(86)는 오프 될 수 있다.
최종적인 압력 조절을 위해서 제 1 수소 탱크(61) 및 제 2 수소 탱크(62)가 공급하는 수소의 합류 지점에는 압력 센서(50)가 마련된다. 즉, HPR 압력 센서(50)는 제 3 HPR(124)에 공급되는 수소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연료 측정 장치에서 사용되는 HPR은 압력을 감압할 뿐, 압력을 상승시키지 못 한다. 만약 각각의 수소 탱크(61, 62)에서 공급되는 압력, 즉 제 3 HPR(124) 전단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지 못하는 경우, 시험 실패(Fail)가 발생한다.
이 경우, 시험은 종료된다. 시험 실패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통해서 후술한다.
퀵 커넥터(134)는 연료전지 차량과 연비 측정 장치를 연결하는 장치로 수소 기체의 빠른 이동을 위한 구성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밸브(89)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일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 동작하면서 전기적 스위치의 변화에 의해서 온 또는 오프된다. 솔레노이드 밸브(89)는 토출되는 수소의 인입을 막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시험 실패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 탱크(61, 62)가 결정된다(200).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전지 차량에서 사용되는 연비 측정 장치는 차량의 연비 모드에 따라 공급하는 수소 탱크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선택된 수소 탱크에 기초하여 탱크 밸브(81, 82)가 온 되고, 수소가 공급된다(210).
만약 제 1 수소 탱크(61)가 수소를 공급하도록 선택되면, 제 1 수소 탱크(61)와 연결된 탱크 밸브(81)가 온 된다.
HPR 압력 센서(50)는 공급되는 수소의 압력을 검출한다(220).
연비 측정 장치는 HPR 압력 센서(50)가 검출한 검출값을 설정 기준값과 비교한다(230).
여기서 설정 기준값은 제 3 HPR(124)의 감압 능력을 기초로 설정된다. 즉, 설정 기준값은 제 3 HPR(124)이 수용할 수 있는 최대 한계치를 의미한다.
비교 결과, HPR 압력 센서(50)의 검출값이 설정 기준값을 초과하면, 연비 측정 장치는 PRV(90)를 통해 수소를 토출시킨다(270).
HPR 압력 센서(50)의 검출값이 설정 기준값 미만인 경우, 연비 측정 장치는 HPR 압력 센서(50)의 검출값을 제 3 HPR(124)의 설정 압력과 비교한다(240).
여기서 설정 압력은 연비 측정 장치의 사용자가 제 3 HPR(124)이 압력을 조절하도록 설정된 압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연료전지 차량에 공급하는 수소의 압력을 17.0bar로 맞춘 경우, 설정 압력은 17.0bar가 된다.
비교 결과, HPR 압력 센서(50)의 검출값이 설정 압력을 초과하면, 연비 측정 장비는 정상적으로 동작한다(250).
즉, 제 3 HPR(124)은 수용할 수 있는 압력보다 낮고 설정 압력보다 높은 수소가 공급되는 경우, 수소의 압력을 낮추어 설정 압력으로 조절하고, 압력이 조절된 수소를 연료전지 스택(10a)에 공급한다.
만약 HPR 압력 센서(50)의 검출값이 설정 압력보다 낮으면, 시험 실패가 일어난다(260).
전술한 바와 같이, 제 3 HPR(124)은 감압 능력만 있을 뿐, 공급되는 압력을 상승시킬 수 없으므로, 연비 측정 장치는 시험에 필요한 설정 압력의 수소를 공급받을 수 없다.
시험 실패가 발생하면, 연비 측정은 제대로 된 연비를 측정할 수 없고, 다시 실험을 수행해야 하므로, 측정의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연비 측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개시된 일 예에 따른 연비 측정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예에 따른 연비 측정 장치(1)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입력부(20), 공급되는 수소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부(30), 수소를 저장하는 수소 탱크(60)와 예비 탱크(70), 각 탱크에서 수소의 공급을 조절하는 탱크 밸브(80)와 수소를 토출시키는 PRV(90), 공급되는 수소의 압력을 조절하는 HPR(120), 공급되는 수소를 받아 동작하는 연료전지 스택(10a), 연료전지 스택(10a)의 동작에 따라 측정되는 연비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110) 및 전술한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0)는 개시된 연비 측정 장치(1)의 외관에 형성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 명령을 수신한다. 일 예로, 입력 명령은 연비 측정 장치(1)의 동작 개시 명령, 수소 탱크(60)가 수소를 공급하도록 조절하는 탱크 밸브(80)의 온 또는 오프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0)는 PRV(90)를 제어하는 입력 명령을 통해 시험 중단 및 수소 토출에 관한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입력부(2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페달(pedal),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0)는 유저 입력을 위해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출력부(11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센서부(30)는 연비 측정 장치(1)에서 측정되는 각종 결과를 검출한다.
일 예로 센서부(30)는 수소 탱크(60)에서 공급되는 수소의 압력을 측정하는 탱크 압력 센서(40), HPR(120)로 공급되는 수소의 압력을 측정하는 HPR 압력 센서(50) 및 연료전지 스택(10a)의 동작에서 검출되는 연비에 관한 결과를 측정하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탱크 압력 센서(40)과 HPR 압력 센서(5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통해서 후술한다.
수소 탱크(60)는 개시된 연비 측정 장치(1)가 연료전지 스택(10a)의 연비를 측정하기 위해서 수소를 공급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개시된 연비 측정 장치는 연료전지 차량에 포함된 차량용 수소 탱크(도 5의 63)의 수소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수소 탱크(60)를 구비하고, 수소를 공급하면서 연비를 측정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소 탱크(60)는 단수 또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예비 탱크(70)는 개시된 연비 측정 장치(1)에서 시험 실패의 가능성에 대비하여 수소를 공급하기 위한 예비적 탱크이다.
개시된 연비 측정 장치(1)는 전술한 HPR 압력 센서(50)가 측정하는 검출값을 기초로, 공급되는 수소의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낮을 경우 수소를 공급함으로써, 시험 실패를 방지한다.
예비 탱크(70)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이하의 도면을 통해서 후술한다.
탱크 밸브(80)는 수소 탱크(60) 및 예비 탱크(70)의 수소 공급을 조절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며, 제어부(1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된다.
PRV(90)도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수소를 토출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동작하는 스위치를 의미하며, 제 3 HPR(124)의 설정 기준값을 초과한 압력을 가진 수소가 공급되는 경우, 수소를 토출한다.
탱크 밸브(80)와 PRV(90)와 구체적인 동작은 이하 도 5등을 통해서 후술한다.
출력부(110)는 연비 측정 장치(1)가 측정하는 연비 결과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센서부(30)의 검출값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출력부(11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적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부(20)와 함께 마련될 수도 있다.
HPR(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단(inlet)으로 들어오는 압력 범위 내에서 후단(outlet)으로 나가는 유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압력 유지장치를 의미한다.
개시된 연비 측정 장치(1)에서 HPR(1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되며, 특히, 수소 탱크(60) 및 예비 탱크(70)가 공급하는 수소의 합류지점에 마련되어 수소를 일정하게 조절하고, 연료전지 스택(10a)에 일정한 압력의 수소가 공급되도록 한다.
제어부(100)는 연비 측정 장치(1) 내 각종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비 측정 장치(1)의 각종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HPR 압력 센서(50)의 검출값을 기초로, 예비 탱크(7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도 3등에서 전술한 시험 실패에 대비한다. 제어부(100)의 동작과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6 등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한편, 개시된 연비 측정 장치(1)는 도 4에서 설명한 구성 이외에도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연비 측정 장치를 하드웨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개시된 일 예에 따른 연비 측정 장치(1)는 차량의 연료전지 스택(10a)에 수소를 공급하는 제 1수소탱크(61) 및 제 2 수소탱크(62), 수소탱크(61, 62)가 공급을 조절하는 탱크 밸브(81,82), 탱크의 압력을 측정하는 탱크 압력 센서(41, 42), 공급되는 수소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1 HPR(121) 및 제 2 HPR(122)를 포함한다.
또한, 연비 측정 장치(1)는 시험 실패에 대비하여 수소를 공급하는 예비 탱크(70)와 예비 탱크(70)에 저장된 수소의 공급여부를 조절하는 제3 탱크 밸브(83), 예비 탱크(70)가 공급하는 수소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 3 탱크 압력 센서(43), 공급되는 수소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 4 HPR(123)를 포함한다.
연비 측정 장치(1)는 HPR(121, 122, 123)의 후단 압력을 측정하는 HPR 압력 센서(50), HPR(121, 122, 123)과 압력 센서(50) 사이에 마련되어 수소가 지나가는 통로를 연결하는 퀵 커넥터(131, 132, 133) 및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수소 공급을 온 또는 오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86, 87, 88)를 포함한다.
연비 측정 장치(1)는 수소를 토출시키는 PRV(Pressure Regulator Valve, 90), 연료전지 스택(10a)으로 공급되는 수소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 3 HPR(124) 및 제 3 HPR(124)에서 공급되는 수소를 연료전지 스택(10a)으로 전달하는 퀵 커넥터(134)를 포함한다.
도2에서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와 비교하여, 예비 탱크(70)는 수소 탱크(61, 62)와 별도로 마련되어 시험 실패에 대비한 수소를 저장한다.
제 3탱크 밸브(83)는 예비 탱크(70)의 수소 공급의 시작을 조절하고, 제어부(100)의 제어명령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된다.
제 3탱크 압력 센서(43)는 예비 탱크(70)가 공급하는 수소의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한 결과값을 제어부(100)로 전달한다.
제 4 HPR(123)은 예비 탱크(70)가 연료전지 스택(10a)으로 공급하는 수소의 압력을 일정하게 일차적으로 조절한다. 여기서 제 4 HPR(123)이 조절하는 수소의 압력 또한, 연비 측정 장치(1)가 최종적으로 연료전지 스택(10a)에 공급하고자 하는 압력과 편차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제 3 HPR(124)에서 조절된다.
퀵 커넥터(133)는 제 4 HPR(123)에서 압력이 조절된 수소를 제 3 HPR(124)로 전달한다.
퀵 커넥터(133)와 제 3 HPR(124)사이에는 솔레노이드 밸브(88)가 마련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88)는 제어부(100)의 동작 명령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된다. 즉, 제어부(100)가 예비 탱크(70)의 수소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면, 솔레노이드 밸브(88)를 최종적으로 동작시켜 예비 탱크(70)의 수소를 연료전지 스택(10a)으로 전달한다.
한편, 개시된 연비 측정 장치(1)가 반드시 도 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소 탱크(60)는 단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퀵 커넥터(131, 132, 133)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6은 일 예에 따라 연비 측정 장치가 시험 실패에 대비하여 동작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연비 모드에 기초하여 수소를 공급할 수소 탱크(61, 62)를 결정한다(300).
일 예에 따른 수소 탱크(61, 62)는 도 5와 같이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연비 모드에 따라 제 1 수소 탱크(61)의 탱크 밸브(81)를 온 시킨다. 제 1 수소 탱크(61)에서 수소를 공급하다가 제어부(100)는 제 2 수소 탱크(62)에서 수소 공급이 필요할 경우, 제 1 탱크 밸브(81)를 오프시키고, 제 2 수소 탱크(62)에 연결된 제 2 탱크 밸브(82)를 온 하여 연료전지 스택(10a)에 수소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연비 측정 장치(1)가 반드시 수소 탱크(61, 62)를 복수 개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단수의 수소 탱크(6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300 의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탱크 밸브(80)를 제어하여 결정된 수소 탱크(60)의 수소를 공급한다(310).
제어부(100)는 HPR 압력 센서(50)의 검출값을 수신한다(320).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HPR 압력 센서(50)는 제 3 HPR(124)의 전단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최종적인 수소의 압력을 측정한다. HPR 압력 센서(50)는 측정한 압력 값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제어부(100)로 전달한다.
제어부(100)는 HPR 압력 센서(50)의 검출값을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범위는 최대 기준값과 최소 기준값을 포함한다.
먼저 제어부(100)는 는 HPR 압력 센서(50)의 검출값이 최대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최대 기준값은 PRV(90)가 동작하기 시작하는 압력에서 임의의 값을 뺀 수치를 의미한다. 즉, 최대 기준값은 도 3에서 설명한 설정 기준값보다 작은 수치이다.
한편, 임의의 값은 제어부(100)에 미리 저장되거나 입력부(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 3 HPR(124)의 전단으로 공급되는 수소의 압력이 최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330의 예), 예비 탱크(70)의 탱크 밸브(83)를 온 시키고, 공급되는 수소 탱크(60)의 탱크 밸브(80)를 오프시킨다(360).
만약 검출값이 최대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으면(330의 아니오), 제어부(100)는 검출값이 최소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340).
여기서 최소 기준값은 제 3 HPR(124)의 설정 압력보다 큰 수치를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HPR은 압력을 감압할 수 있을 뿐, 압력을 상승(Boost)할 수 없다. 따라서 제어부(100)가 연료전지 차량에 17.0bar의 수소 압력을 공급하여 연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최소 기준값은 17.0bar보다 크게 설정된 수치이다.
만약 검출값이 최소 기준값을 초과하면(340의 예), 제어부(100)는 연비 측정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350), 공급되는 수소를 계속적으로 감시(Monitoring)한다.
그러나 검출값이 최소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으면(340의 아니오), 제어부(100)는 예비 탱크(70)의 탱크 밸브(83)를 온 시키고, 공급되는 수소 탱크(60)의 수소 공급을 중단시킨다(360).
도 7은 개시된 일 예에 따른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예에 따른 연비 측정 장치(1)가 공급하는 수소의 방향과 측정되는 압력은 도 7과 같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5에서 설명한 구성의 일부는 생략하였다.
구체적으로 제 1 수소 탱크(61)와 연결된 제1 HPR(121)에서 조절된 수소의 압력은 17.2bar일 수 있다. 제 2 수소 탱크(62)와 연결된 제2 HPR(122)에서 조절된 수소의 압력은 17.5bar일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 1 수소 탱크(61) 및 제 2 수소 탱크(62) 중 하나의 수소 탱크(60)가 수소를 공급할지 결정하고, 탱크 밸브(81, 82)를 제어한다.
일 예로, 제어부(100)는 먼저 제 1 수소 탱크(61)가 수소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00)는 연비 모드에 기초하여 제 1수소 탱크(61)에서 제 2 수소 탱크(62)가 수소를 공급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한편, 각 수소 탱크(61, 62)에 연결된 제 1 HPR(121) 또는 제 2 HPR(122)의 고장 등으로 제 3 HPR(124)의 전단에 공급되는 압력이 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3 HPR(124)에 전달되는 압력이 최대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최소 기준값 미만으로 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공급하는 각 수소 탱크(61, 62)의 탱크 밸브(81, 82)를 오프시키고, 예비 탱크(70)의 탱크 밸브(83)를 온 시켜 시험 실패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연료전지 스택(10a)에 전달되는 수소의 압력은 17.0bar이다. 일 예에 따른 설계 사양으로 17.0bar의 압력이 설정된 경우, 제 3 HPR(124)은 예비 탱크(70)에서 공급하는 17.3bar 의 수소 압력을 감압시켜 17.0bar 압력의 수소가 연료전지 스택(10a)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서 개시된 연비 측정 장치(1)는 시험 실패에 따른 시험 중단을 방지하고, 시험 안정성을 도모한다.
1: 연비 측정 장치, 10a: 연료전지 스택,
20: 입력부, 30: 센서부,
60, 61, 62,: 수소탱크 70: 예비 탱크,
100: 제어부, 110: 출력부

Claims (13)

  1. 연비 측정을 위한 수소를 저장하고 연료 전지로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와 분리되어 마련되고, 수소를 저장하는 예비 탱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가 공급하는 수소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로부터의 수소 공급 경로 상에 마련되는 압력 센서;
    상기 압력 센서를 통과한 상기 수소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HPR(High Pressure Regulator);
    상기 연료전지로 전달하는 상기 수소를 토출시키는 PRV(Pressure Regulator Valve); 및
    상기 압력 센서를 통해 측정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가 공급하는 수소의 압력이 연비 측정을 위한 미리 설정된 압력보다 낮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의 수소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예비 탱크의 수소를 상기 연료전지로 공급하여 상기 예비 탱크의 수소로 연비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비 측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HPR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 또는 상기 예비 탱크가 공급하는 수소의 압력을 상기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시키는 연비 측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가 저장하는 상기 수소의 공급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탱크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탱크 밸브를 온 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의 수소를 상기 연료 전지로 전달하는 연비 측정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탱크가 저장하는 상기 수소의 공급을 제어하는 탱크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를 제어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탱크 밸브를 오프시키고, 상기 예비 탱크를 제어하는 상기 탱크 밸브를 온 시켜, 상기 연료전지로 상기 예비 탱크의 수소를 공급하는 연비 측정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HPR에서 감압된 상기 수소를 상기 연료 전지로 전달하는 퀵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연비 측정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소 탱크가 복수 개 마련되는 경우, 상기 연료전지를 포함하는 차량의 연비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수소 탱크 중 상기 수소를 공급할 수소 탱크를 결정하는 연비 측정 장치.
  8. 연료전지 차량의 외부에 마련되어 연비 측정을 위한 수소를 저장 및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와 분리되어 마련되어 수소를 저장하는 예비 탱크를 포함하는 연비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로부터의 수소 공급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가 공급하는 상기 수소의 압력을 압력 센서를 통해 측정하고;
    상기 압력 센서를 통해 측정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가 공급하는 수소의 압력이 연비 측정을 위한 미리 설정된 압력보다 낮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의 수소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예비 탱크가 수소를 공급하여 상기 예비 탱크의 수소로 연비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 또는 상기 예비 탱크가 공급하는 수소의 압력을 감압하는 HPR(High Pressure Regulator); 및
    상기 공급되는 수소를 토출시키는 PRV(Pressure Regulator Valve);를 더 포함하는 연비 측정 장치의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가 저장하는 상기 수소의 공급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탱크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탱크 밸브를 온 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의 수소를 상기 연료전지 차량으로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는 연비 측정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탱크가 저장하는 상기 수소의 공급을 제어하는 탱크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를 제어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탱크 밸브를 오프시키고, 상기 예비 탱크를 제어하는 상기 탱크 밸브를 온 시켜, 상기 연료전지 차량으로 상기 예비 탱크의 수소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는 연비 측정 장치의 제어방법.
  11. 삭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탱크가 복수 개 마련되는 경우,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연비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수소 탱크 중 상기 수소를 공급할 수소 탱크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연비 측정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인지 판단하고, 상기 검출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 내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소 탱크에 저장된 수소를 공급하여 상기 연료전지 차량의 연비를 측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연비 측정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176323A 2016-12-22 2016-12-22 연비 측정 장비 및 그 제어방법 KR102638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323A KR102638974B1 (ko) 2016-12-22 2016-12-22 연비 측정 장비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323A KR102638974B1 (ko) 2016-12-22 2016-12-22 연비 측정 장비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981A KR20180072981A (ko) 2018-07-02
KR102638974B1 true KR102638974B1 (ko) 2024-02-22

Family

ID=62914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323A KR102638974B1 (ko) 2016-12-22 2016-12-22 연비 측정 장비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9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3164A (ja) * 2003-03-05 2004-09-30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0831567B1 (ko) * 2007-07-18 2008-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차량용 연비측정 장치 및 방법
JP2010041750A (ja) * 2008-07-31 2010-02-18 Fujitsu Ten Ltd 省燃費運転診断装置、省燃費運転診断システム及び省燃費運転診断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3164A (ja) * 2003-03-05 2004-09-30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0831567B1 (ko) * 2007-07-18 2008-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차량용 연비측정 장치 및 방법
JP2010041750A (ja) * 2008-07-31 2010-02-18 Fujitsu Ten Ltd 省燃費運転診断装置、省燃費運転診断システム及び省燃費運転診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981A (ko) 201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10850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iagnostic testing of an electrochemical cell stack
US6498462B2 (en) Generator control system to accommodate a decrease in a power grid voltage
CA2907894C (en) Fuel cell with intercooler egress temperature control
JP4561155B2 (ja) 燃料電池の制御装置
US20090071819A1 (en) Electrolyzer cell stack system
WO2006096956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iagnostic testing of an electrochemical cell stack
US10854898B2 (en) Direct current (DC) load levelers
JP2010003527A (ja) 高圧ガス供給システム
US20110117468A1 (en) Pressure relief system for a fuel cell system having a pressurized fuel flow
KR102038201B1 (ko) 연료전지 파워팩 및 그것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US7666535B2 (en) Fuel cel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fuel cell system
JP5171423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2638974B1 (ko) 연비 측정 장비 및 그 제어방법
US20080075991A1 (en) Monitoring and control of fuel cell purge to emit non-flammable exhaust streams
KR102565628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연료 전지 제어 프로그램
JP2003163019A (ja) 電気化学電池の圧力調整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2054209B1 (ko) 연료전지 파워팩
JP2006221986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913809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JP2011159538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6720574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7091625A (ja) 燃料電池システム用センサの異常検出方法
US20230115279A1 (en) Fuel cel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17227948B2 (en) Fuel cell system with leakage detection
JP2005209456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