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929B1 - 개량된 비타민 혼입 공급구조를 갖는 샤워기 - Google Patents

개량된 비타민 혼입 공급구조를 갖는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929B1
KR102638929B1 KR1020220044354A KR20220044354A KR102638929B1 KR 102638929 B1 KR102638929 B1 KR 102638929B1 KR 1020220044354 A KR1020220044354 A KR 1020220044354A KR 20220044354 A KR20220044354 A KR 20220044354A KR 102638929 B1 KR102638929 B1 KR 102638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vitamin
supply pipe
water
hea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5688A (ko
Inventor
지정배
Original Assignee
(주)워터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워터웰 filed Critical (주)워터웰
Priority to KR1020220044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929B1/ko
Publication of KR20230145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9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1Accessories for showers or bathing douches, e.g. cleaning devices for walls or floors of sh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량된 비타민 혼입 공급구조를 갖는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본체에 급수되는 수돗물과 비타민겔 카트리지 내에 충진된 비타민겔의 용해율을 극대화하여, 분사되는 수돗물에 비타민 성분이 다량 잔류되도록 하는 개량된 비타민 혼입 공급구조를 갖는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량된 비타민 혼입 공급구조를 갖는 샤워기{Showerhead with improved vitamin incorporation supply structure}
본 발명은 개량된 비타민 혼입 공급구조를 갖는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본체에 급수되는 수돗물과 비타민겔 카트리지 내에 충진된 비타민겔의 용해율을 극대화하여, 분사되는 수돗물에 비타민 성분이 다량 잔류되도록 하는 개량된 비타민 혼입 공급구조를 갖는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의 정수 또는 인체 피부 개선 및 유익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이용하는 기능성 샤워기는 통상 수돗물 정수 목적으로 하는 정수필터와 인체 피부에 유익함을 목적으로 하는 비타민 필터가 이중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 기능성 샤워기는 비타민 필터 교체시 상당한 불편함이 지적되어 왔다.
종래의 기능성 샤워기는 수돗물을 토출하는 샤워기부와 수돗물의 공급 및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부가 나사결합방식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면서 상기 샤워기부 또는 손잡이부 내로 정수필터와 비타민 필터가 이중 구성되거나 또는 정수필터와 비타민필터가 일체화된 기능필터가 내장된 형태이다.
따라서, 손잡이부를 통해 유입된 수돗물이 헤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과정에서 위 정수필터 및 비타민필터를 경유하여 정수 및 비타민의 함유가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위와 같은 구성/작용을 가진 종래 기능성 샤워기는 일정기간의 사용 후 그 내부 정수필터 또는 비타민필터의 교체가 요구될 때, 상기 필터들이 대부분 헤드부 또는 손잡이부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부분 교체가 불가능하였거나 또는 헤드부와 손잡이를 모두 분리하여 그 내부에서 별도 수단으로 교체하여야 했으므로 교체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고, 또 내부 교체방식을 가짐에 따라 필터 상태의 확인이 전혀 불가능하여 그 사용의 정확성과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 없었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 종래 기능성 샤워기의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사용자의 피부 특성 또는 취향에 따라 그에 적합한 비타민필터를 선택사용 내지는 미사용할 수 없었던 문제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기능성 샤워기는 특정성분과 향을 가진 하나의 비타민필터를 일정기간 동안은 여럿 사람이 함께 이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 및 조건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가정이나 다중 시설에서 여럿 사용자가 하나의 샤워기를 함께 사용할 경우 특정 사용자로 하여금 피부 및 향에 대한 거부감을 유발할 수 있었던 우려가 있었다.
한편,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22-0018347호를 통해 샤워헤드부 후면 외측에서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 형성하면서 중심부로 연결관을 가진 카트리지장착부와, 결합수단으로 상기 카트리지장착부내에 장착하여 샤워헤드부 내로 비타민겔을 공급토록 하는 비타민겔 카트리지를 구성하되,
상기 카트리지장착부는 연결관 내주연으로 하나 이상의 기밀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비타민겔 카트리지는 그 일측에 상기 연결관내에 끼움될 수 있는 길이이면서 내측으로 비타민겔 카트리지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공급공을 형성한 끼움돌부를 구성하고 타측에 손잡이를 가진 커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샤워기를 제안한 바 있다.
이러한 기능성 샤워기는 비타민겔 카트리지의 신속한 탈착이 가능하므로, 각 사용자 마다 요하는 비타민겔이 충진된 비타민겔 카트리지를 헤드부에 장착하여서, 세정이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즉, 상기 샤워기는 샤워헤드부(토출판, 고정캡 등)의 분해 또는 별도 구성 분해 없이 샤워헤드부 후면 외측에서 비타민겔 카트리지를 간단히 끼우거나 빼는 등의 조작만으로 사용할 수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교체 및 장착사용할 수 있고, 더욱이 사용자의 피부특성 및 취향에 따라 적합한 비타민겔 카트리지를 수시로 간단 교체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자가 상기 기능성 샤워기를 실제 구현한 결과, 헤드본체 내로 급수되는 수돗물이 비타민겔 카트리지 내에 안정되게 유입되지 못하는 현상이 야기되어, 비타민겔의 안정적인 용해가 어려운 한계성이 지적되고 있다.
KR 20-0494255 KR 10-2119124 KR 10-2022-0018347
상기한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손잡이부에 내장된 정수필터를 투과하여 헤드본체 내에 급수되는 수돗물과 비타민겔 카트리지에 충진된 비타민겔의 안정적인 용해 및 혼입구조를 마련하여, 비타민겔의 비타민 성분이 안정되게 혼입된 수돗물을 분사하도록 하고,
제 2 목적은 상기 손잡이부에 장입된 정수필터의 이음단과 헤드본체에 형성된 급수관로 사이의 안정적인 밀폐상태를 형성하여 손잡이부와 헤드본체 사이로 수돗물이 누수되는 현상을 예방하는 비타민겔의 개량된 혼입구조를 갖는 샤워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타민겔의 개량된 혼입구조를 갖는 샤워기는,
전방에 배수구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후방에 카트리지 소켓이 개방되게 형성된 급수공간을 갖는 중공체로 구성되며, 하측벽에 급수공간과 연통하는 급수관로의 급수단이 관통하여 형성된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본체의 배수구에 배치되며, 복수의 분사공들이 형성된 분사시트와;
상기 헤드본체의 급수관로의 이음단에 이음되어, 급수호스와 헤드본체의 급수관로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중공관체로 이루어진 손잡이부; 및
상기 헤드본체에 형성된 카트리지 소켓을 따라 급수공간 내에 삽입하여 카트리지 소켓을 밀폐하며, 비타민겔을 충진하는 캡슐공간이 형성된 캡슐로 이루어진 비타민겔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관로의 급수단과 마주하는 캡슐의 하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용해공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상기 급수관로의 급수단과 비타민겔 카트리지의 용해공은 상하 직렬로 정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본체의 급수공간 내에 동심구조로 배치되는 비타민겔 카트리지의 용해공과, 이와 마주하는 급수관로의 급수단 사이에 비타민 성분을 혼입하는 토출 혼입실을 형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 혼입실은 상기 급수관로의 급수단이 형성된 헤드본체의 급수공간 하측내벽 양편에 좌우 이격하여 배치된 한 쌍의 구획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헤드본체의 내측 하부에는 상부는 용해공이 형성된 비타민겔 카트리지의 하측벽에 의해 폐쇄되고 하부는 급수관로의 급수단과 상하 연통하며 전방이 개방된 토출 혼입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캡슐의 하측부에 형성된 용해공에는 용해공에 적층되어, 용해공을 따라 캡슐의 캡슐공간 내에 유입되는 수돗물의 유입량과 유입압력을 조절하는 부직포 시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본체의 급수관로 이음단 외경에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에는 내경에 체결부가 형성된 이음소켓이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헤드본체에 형성된 급수관로의 이음단과 손잡이부는 이음소켓과 체결부의 체결에 의해 밀폐구조로 이음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 내에는, 여과관로가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 중공의 필터바디를 포함하는 정수필터가 배치되고, 상기 필터바디의 하부에는 개방된 여과관로의 하부를 폐쇄하는 차폐편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관로의 상부에는 급수관로와 여과관로를 이음하는 이음포트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급수관로의 이음단의 저면에는 복수의 라쳇형 지지돌기들이 방사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 내에 내설되어 이음단의 저면과 마주하는 정수필터의 이음포트에는 상부면에 라쳇형 지지돌기와 탄성 밀착되는 라쳇형 밀착돌기들이 방사구조로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견착형 밀폐링이 적층하여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여과필터를 투과하여 급수되는 수돗물과 비타민겔 카트리지에 충진된 비타민겔의 안정적인 용해 및 혼입을 도모하여, 비타민겔의 비타민 성분이 안정되게 혼입된 수돗물을 분사하도록 하는 비타민겔의 개량된 혼입구조를 갖는 샤워기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상기 용해된 비타민 성분은 토출 혼입실 내에서 수돗물과 안정되게 혼입된 다음 분사시트의 분사공들을 통해 분사되므로, 고농도의 비타민 성분들이 혼입 내지 용해된 수돗물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분사가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비타민겔의 개량된 혼입구조를 갖는 샤워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비타민겔의 개량된 혼입구조를 갖는 샤워기에 있어, 정수필터를 내장한 손잡이부와, 헤드본체에 형성된 급수관로와의 이음구조와, 급수된 수돗물의 정수, 및 비타민 혼입 분사과정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작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비타민 필터 내장형 샤워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비타민겔의 개량된 혼입구조를 갖는 샤워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비타민겔의 개량된 혼입구조를 갖는 샤워기에 있어, 정수필터를 내장한 손잡이부와, 헤드본체에 형성된 급수관로와의 이음구조와, 급수된 수돗물의 정수, 및 비타민 혼입 분사과정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작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비타민겔 혼입구조를 갖는 샤워기(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헤드본체(10)와; 상기 헤드본체(10)와 분리 구성되어 헤드본체(10)와 급수호스(H) 사이를 연결하는 손잡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급수호스(H)를 통해 급수되는 수돗물을 요하는 부위에 분사한다.
상기 헤드본체(10)는, 전방에 배수구(12)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하측벽에 급수공간(11)과 연통하는 급수관로(13)가 형성되어, 상기 급수관로(13)를 통해 급수공간(11) 내에 충입되는 수돗물은 전방에 형성된 배수구(12)를 통해 배수되며, 상기 헤드본체(10)의 배수구(12)에는 복수의 분사공(31)들이 형성된 분사시트(30)가 적층하여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본체(10)의 배수구(12) 외경에는 체결부(12a)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2a)에는 배수구(12)에 적층된 분사시트(30)의 가장자리부를 환형 지지하며 내경에 체결부(41)가 형성된 시트 지지림(40)이 체결을 통해 고정되어서, 상기 분사시트(30)는 시트 지지림(40)을 통해 배수구(12)에 환형 지지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본체(10)의 급수관로(13)의 이음단(13a)에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중공관체로 이루어진 손잡이부(20)가 체결을 통해 이음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본체(10)의 급수관로(13)의 이음단(13a) 외경에는 체결부(13a-a)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20)의 상단에는 내경에 체결부가 형성된 이음소켓(22)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본체(10)에 형성된 급수관로(13)의 이음단(13a)과 손잡이부(20)의 이음소켓(22)은 체결에 의해 밀폐구조로 이음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20)를 통해 급수호스(H)에서 헤드본체(10)의 급수공간(11)으로 급수된 수돗물은 배수구(12)에 배치된 분사시트(30)의 각 분사공(31)들을 통해 헤드본체(10)의 전방으로 분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헤드본체(10)의 급수관로(13)와 이음되는 손잡이부(20) 내에, 여과관로(51a)가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 중공의 필터바디(51)를 포함하는 정수필터(50)를 배치하여, 상기 급수호스(H)를 통해 손잡이부(20) 내로 급수된 수돗물은 중공의 필터바디(51)를 투과하면서 이수돗물질이 여과된 다음 급수관로(13)를 따라 헤드본체(10)의 급수공간(11) 내에 급수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부(20)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투시창(20a)이 형성되어, 상기 투시창(20a)을 통해 손잡이부(20)에 내설된 정수필터(50)의 오염도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필터바디(51)의 하부에는 개방된 여과관로(51a)의 하부를 폐쇄하는 차폐편(52)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관로(51a)의 상부에는 급수관로(13)와 여과관로(51a)를 이음하는 이음포트(5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정수필터(50)를 구성하는 차폐편(52)의 저면에는, 급수호스(H)를 통해 손잡이부(20) 내로 급수되는 수돗물을 필터바디(51)의 외경부로 확산하는 확산날개(52a)들이 방사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상기 급수호스(H)를 통해 손잡이부(20) 내로 급수된 수돗물은 차폐편(52)에 마련된 확산날개(52a)들에 의해 필터바디(51)의 외경부로 균일하게 확산된 다음 필터바디(51)의 필터층을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투과하면서 이수돗물질이 여과되고, 상기 이수돗물질이 여과된 수돗물은 여과관로(51a) 및 급수관로(13)를 따라 헤드본체(10)의 급수공간(11) 내에 충진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수필터(50)의 이음포트(53)와, 급수관로(13)의 이음단(13a) 사이에 독특한 밀폐 이음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밀폐 이음구조에 의해 손잡이부(20)를 통해 유입된 수돗물이 정수필터(50)를 투과하지 아니하고 급수관로(13)를 따라 헤드본체(10)의 급수공간(11)에 곧바로 유입되는 현상을 예방한다.
상기 밀폐 이음구조는, 도 4와 같이 상기 급수관로(13)의 이음단(13a)의 저면에 방사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라쳇형 지지돌기(13b)들과; 상기 손잡이부(20) 내에 내설되어 이음단(13a)의 저면과 마주하는 정수필터(50)의 이음포트(53)에 적층하여 형성되며, 상부면에 라쳇형 밀착돌기(54a)들이 방사구조로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견착형 밀폐링(5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수필터(50)의 이음포트(53)에 형성된 견착형 밀폐링(54)은, 정수필터(50)가 내장된 손잡이부(20)와 헤드본체(10)에 형성된 급수관로(13)의 체결과정에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마주하는 급수관로(13)의 이음단(13a) 저면에 형성된 라쳇형 지지돌기(13b)들과 일방향 견착하여 탄성 압착되면서, 급수관로(13)의 이음단(13a)과 정수필터(50)의 이음포트(53)를 입체적으로 밀착하여 이들 사이의 안정적인 수밀상태를 형성하는 긴요한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견착형 밀폐링(54)은 라쳇형 지지돌기(13b)와 일방향 걸림 압박구조를 갖는 라쳇형 밀착돌기(54a)들을 통해, 급수관로(13)의 이음단(13a)과 안정된 밀폐상태를 형성하고, 또 상기 라쳇형 밀착돌기(54a)의 압박에 의해 견착형 밀폐링(54)은 직경이 탄력적으로 확장되면서 손잡이부(20)의 이음소켓(22)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손잡이부(20)의 이음소켓(22)의 안정된 구획 밀폐상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견착형 밀폐링(54)은 라쳇형 밀착돌기(54a)들을 통해 손잡이부(20)와 급수관로(13) 이음단(13a)의 체결과정에 라쳇형 지지돌기(13b)들에 입체적으로 밀착되어 정수필터(50)의 이음포트(53)와 급수관로(13)의 이음단(13a) 사이의 보다 안정적인 밀폐상태가 형성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손잡이부(20)를 통해 유입된 수돗물이 정수필터(50)의 필터층을 투과하지 아니하고 급수관로(13)를 따라 헤드본체(10)의 급수공간(11) 내에 곧바로 유입되는 현상이 안정되게 예방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헤드본체(10)의 급수공간(11) 내에 실장되는 비타민겔 카트리지(60)를 간편하게 탈착 수납하는 탈착 수납구조를 마련하여, 다양한 비타민겔이 충진된 비타민겔 카트리지(60)를 헤드본체(10)에서 선택적으로 치환 설치하여 요하는 비타민 성분이 혼입된 수돗물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상술하자면, 상기 헤드본체(10)의 후방에 급수공간(11)과 연통하는 카트리지 소켓(14)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카트리지 소켓(14)을 따라 요하는 비타민겔(62)이 충진된 비타민겔 카트리지(60)를 헤드본체(10)의 급수공간(11) 내에 치환 설치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타민겔 카트리지(60)는 헤드본체(10)에 형성된 카트리지 소켓(14)을 따라 급수공간(11) 내에 삽입하여 동심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비타민겔(62)을 충진하는 캡슐공간(61a)이 형성된 캡슐(61)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트리지 소켓(14)의 내벽과 비타민겔 카트리지(60)를 구성하는 캡슐(61)의 외벽에는 등각 견착슬롯(14a)과 등각 견착날개(61c)들이 대응되게 형성하여, 상기 카트리지 소켓(14)에 진입된 비타민겔 카트리지(60)는 등각 회전에 의해 카트리지 소켓(14)에 정형화되게 고정되어 급수공간(11) 내에 동심구조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과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급수관로(13)의 급수단과 마주하는 캡슐(61)의 하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용해공(61b)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상기 급수관로(13)의 급수단(13c)과 비타민겔 카트리지(60)의 용해공(61b)은 상하 직렬로 정렬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급수관로(13)의 급수단(13c)을 통해 급수공간(11)으로 상향 토출하여 급수되는 수돗물은, 상부에 배치된 비타민겔 카트리지(60)의 용해공(61b)을 통해 비타민겔(62)이 충진된 캡슐공간(61a)을 순환하면서 비타민겔(62)의 비타민 성분들을 용해한 다음 상기 헤드본체(10)의 배수구(12)에 배치된 분사시트(30)의 분사공(31)들을 통해 분사되므로, 비타민겔 카트리지(60)의 캡슐공간(61a) 내에 수납된 비타민겔(62)의 용해율이 증가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헤드본체(10)의 급수공간(11) 내에 동심구조로 배치되는 비타민겔 카트리지(60)의 용해공(61b)과 이와 마주하는 급수관로(13)의 급수단(13c) 사이에 비타민 성분을 혼입하는 토출 혼입실(15)을 형성하여, 상기 급수관로(13)를 통해 헤드본체(10)의 급수공간(11)에 급수되는 수돗물은 비타민겔 카트리지(60)의 용해공(61b)으로 직토출되어 비타민겔 카트리지(60) 내에 충진된 비타민겔(62)을 용해하여 수돗물과 혼입한 다음, 전방에 형성된 배수구(12)를 통해 분사되도록 한다.
이를 상술하자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수관로(13)의 급수단(13c)이 형성된 헤드본체(10)의 급수공간(11) 하측내벽 양편에 한 쌍의 구획편(15a)들을 좌우 이격되게 배치하여, 상기 헤드본체(10)의 내측 하부에는 상부는 용해공(61b)이 형성된 비타민겔 카트리지(60)의 하측벽에 의해 폐쇄되고 하부는 급수관로(13)의 급수단(13c)과 연통하며 전방이 개방된 토출 혼입실(15)이 형성된다.
이때, 비타민겔 카트리지(60)의 하측벽에는 급수용 용해공(61b)과 배수용 용해공(61b)을 포함하는 한 쌍의 용해공을 형성하여서, 비타민겔 카트리지(60) 내에 수돗물의 정형화된 급수와 배수가 구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하 직렬 배치된 급수관로(13)의 급수단(13c)과 비타민겔 카트리지(60)의 용해공(61b) 사이에 급수관로(13)의 급수단(13c)을 통해 급수되는 수돗물의 외부 확산을 방지하는 설정폭의 토출 혼입실(15)을 형성하면, 상기 급수관로(13)의 급수단(13c)을 통해 상향 급수되는 수돗물은 급수공간(11)에 전체적으로 분산되지 아니하고 상부에 배치된 용해공(61b)을 따라 캡슐공간(61a) 내에 유입하여 캡슐공간(61a) 내에 수납된 비타민겔(62)을 안정적으로 용해한다.
그리고, 상기 용해된 비타민 성분은 토출 혼입실(15) 내에서 급수관로(13)를 따라 급수되는 수돗물과 2차적으로 혼입된 다음 배수구(12)에 마련된 분사시트(30)의 분사공(31)들을 통해 분사되므로, 고농도의 비타민 성분들이 혼입 내지 용해된 수돗물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분사가 가능하다.
1. 비타민 필터 내장형 샤워기
10. 헤드본체 11. 급수공간
12. 배수구 12a. 체결부
13. 급수관로 13a. 이음단
13a-a. 체결부 13b. 라쳇형 지지돌기
13c. 급수단 14. 카트리지 소켓
14a. 등각 견착슬롯 15. 토출 혼입실
15a. 구획편
20. 손잡이부 21. 급수관로
22. 이음소켓 23. 연결포트
30. 분사시트 31. 분사공
40. 시트 지지림 41. 체결부
50. 정수필터 51. 필터바디
51a. 여과관로 52. 차폐편
52a. 확산날개 53. 이음포트
54. 견착형 밀폐링 54a. 라쳇형 밀착돌기
60. 비타민겔 카트리지 61. 캡슐
61a. 캡슐공간 61b. 용해공
61c. 등각 견착날개 62. 비타민겔

Claims (7)

  1. 전방에 배수구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후방에 카트리지 소켓이 개방되게 형성된 급수공간을 갖는 중공체로 구성되며, 하측벽에 급수공간과 연통하는 급수관로의 급수단이 관통하여 형성된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본체의 배수구에 배치되며, 복수의 분사공들이 형성된 분사시트와;
    상기 헤드본체의 급수관로의 이음단에 이음되어, 급수호스와 헤드본체의 급수관로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중공관체로 이루어진 손잡이부; 및
    상기 헤드본체에 형성된 카트리지 소켓을 따라 급수공간 내에 삽입하여 카트리지 소켓을 밀폐하며, 비타민겔을 충진하는 캡슐공간이 형성된 캡슐로 이루어진 비타민겔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관로의 급수단과 마주하는 캡슐의 하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용해공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상기 급수관로의 급수단과 비타민겔 카트리지의 용해공은 상하 직렬로 정렬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헤드본체의 급수관로 이음단 외경에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에는 내경에 체결부가 형성된 이음소켓이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헤드본체에 형성된 급수관로의 이음단과 손잡이부는 이음소켓과 체결부의 체결에 의해 밀폐구조로 이음되고,
    상기 손잡이부 내에는, 여과관로가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 중공의 필터바디를 포함하는 정수필터가 배치되고, 상기 필터바디의 하부에는 개방된 여과관로의 하부를 폐쇄하는 차폐편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관로의 상부에는 급수관로와 여과관로를 이음하는 이음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정수필터를 구성하는 차폐편의 저면에는, 급수호스를 통해 손잡이부 내로 급수되는 수돗물을 필터바디의 외경부로 확산하는 확산날개들이 방사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로의 이음단의 저면에는 복수의 라쳇형 지지돌기들이 방사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 내에 내설되어 이음단의 저면과 마주하는 정수필터의 이음포트에는 상부면에 라쳇형 지지돌기와 탄성 밀착되는 라쳇형 밀착돌기들이 방사구조로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견착형 밀폐링이 적층하여 형성되어,
    상기 견착형 밀폐링이 상기 라쳇형 지지돌기들과 일방향 걸림 압박구조를 갖는 라쳇형 밀착돌기들을 통해, 급수관로의 이음단과 안정된 밀폐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라쳇형 밀착돌기들의 압박에 의해 상기 견착형 밀폐링의 직경이 탄력적으로 확장되면서 상기 손잡이부의 이음소켓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비타민 혼입 공급구조를 갖는 샤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본체의 급수공간 내에 동심구조로 배치되는 비타민겔 카트리지의 용해공과, 이와 마주하는 급수관로의 급수단 사이에 비타민 성분을 혼입하는 토출 혼입실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비타민 혼입 공급구조를 갖는 샤워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혼입실은 상기 급수관로의 급수단이 형성된 헤드본체의 급수공간 하측내벽 양편에 좌우 이격하여 배치된 한 쌍의 구획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헤드본체의 내측 하부에는 상부는 용해공이 형성된 비타민겔 카트리지의 하측벽에 의해 폐쇄되고 하부는 급수관로의 급수단과 상하 연통하며 전방이 개방된 토출 혼입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비타민 혼입 공급구조를 갖는 샤워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하측부에 형성된 용해공에는 용해공에 적층되어, 용해공을 따라 캡슐의 캡슐공간 내에 유입되는 수돗물의 유입량과 유입압력을 조절하는 부직포 시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비타민 혼입 공급구조를 갖는 샤워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044354A 2022-04-11 2022-04-11 개량된 비타민 혼입 공급구조를 갖는 샤워기 KR102638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354A KR102638929B1 (ko) 2022-04-11 2022-04-11 개량된 비타민 혼입 공급구조를 갖는 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354A KR102638929B1 (ko) 2022-04-11 2022-04-11 개량된 비타민 혼입 공급구조를 갖는 샤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688A KR20230145688A (ko) 2023-10-18
KR102638929B1 true KR102638929B1 (ko) 2024-02-21

Family

ID=88508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354A KR102638929B1 (ko) 2022-04-11 2022-04-11 개량된 비타민 혼입 공급구조를 갖는 샤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9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895B1 (ko) * 2019-04-17 2021-05-26 (주)원봉 필터를 갖는 샤워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107A (ko) * 2013-04-26 2014-11-05 이시재 음이온 연수샤워기
KR102234231B1 (ko) * 2019-06-21 2021-03-31 이대성 아로마오일과 비타민성분을 방출하는 샤워기 헤드
KR102119124B1 (ko) 2019-10-04 2020-06-26 선정완 샤워 헤드
KR200494255Y1 (ko) 2020-01-29 2021-09-06 주식회사 에이치이공일 샤워 필터
KR102419185B1 (ko) * 2020-06-19 2022-07-11 방정호 기능성 샤워기
KR102398905B1 (ko) 2020-08-06 2022-05-17 장호준 기능성 샤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895B1 (ko) * 2019-04-17 2021-05-26 (주)원봉 필터를 갖는 샤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688A (ko) 202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1021B2 (en) Exchangeable media filter
US8366922B2 (en) Exchangeable media filter
US6066253A (en) Spa or pool water filtering apparatus
US6245230B1 (en) Immersible portable dechlorinator
JP2004243151A (ja) 水素溶存水製造具
US20200231920A1 (en) Microorganism sampling device
KR102638929B1 (ko) 개량된 비타민 혼입 공급구조를 갖는 샤워기
KR970701579A (ko) 혼합식 액체 필터(composite liquid filter)
US4347136A (en) Bacteria static filter assembly
KR200490277Y1 (ko) 정수필터와 호수 꼬임방지구조를 가지는 샤워 어셈블리
KR200491288Y1 (ko) 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샤워기
US11154825B2 (en) Enhanced micro bubble device, system and methods related thereto
CN211753964U (zh) 一种过滤装置和过滤系统
CN215784182U (zh) 一种花洒
JP5208375B2 (ja) シャワー器具
CN212441671U (zh) 带有过滤功能的微纳米气泡花洒
KR102398905B1 (ko) 기능성 샤워기
CN108953668B (zh) 一种横向卡接式水处理水龙头
CN109420370B (zh) 沐浴设备用的过滤装置
CN108836170B (zh) 冲洗系统及智能马桶盖
KR102419863B1 (ko) 샤워기용 기능성 성분 공급모듈
KR102636592B1 (ko) 미스트 분무노즐이 구비된 다기능 샤워 헤드
KR20200046705A (ko) 샤워기 헤드용 필터 카트리지
CN113026298A (zh) 微气泡喷头、微气泡处理剂盒组件及洗涤设备
KR100849855B1 (ko) 샤워 겔 충진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