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435B1 - 힌지 및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힌지 및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435B1
KR102638435B1 KR1020247000806A KR20247000806A KR102638435B1 KR 102638435 B1 KR102638435 B1 KR 102638435B1 KR 1020247000806 A KR1020247000806 A KR 1020247000806A KR 20247000806 A KR20247000806 A KR 20247000806A KR 102638435 B1 KR102638435 B1 KR 102638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rotation support
rotation
hing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8417A (ko
Inventor
징위 자오
인량 이앤
민지에 가오
Original Assignee
항저우 암페놀 피닉스 텔레콤 파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항저우 암페놀 피닉스 텔레콤 파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항저우 암페놀 피닉스 텔레콤 파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08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4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2Pivotal connections incorporating flexible connections, e.g. leaf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힌지 및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며, 그 중에서 힌지는 좌측 회전브라켓(1)과 우측 회전브라켓(2),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3)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4)을 포함하며; 좌측 회전브라켓(1)과 우측 회전브라켓(2)에는 각각 힌지가 펼쳐진 때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3)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4)의 지지부위(11, 12)가 설치되며;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3)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4)는 각각 탄성부재(5)에 연결되고, 힌지가 접히면 탄성부재(5)는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3)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4)를 구동시켜 아래쪽으로 회전시켜 이동 단말기의 중간 하우징(100) 내부로 들어가게 한다. 이러한 힌지는 플렉서블 스크린의 밴딩부분의 하단을 회피하고,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단말기를 펼치면 플렉서블 스크린이 중간 부분에서 지지되는 동시에 중간 하우징에 대한 두께 요구 사항이 감소된다.

Description

힌지 및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단말기
본 발명은 힌지 및 상기 힌지를 이용한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경우, 플렉서블 스크린을 접을 때 벤딩 부분의 돌출된 형상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한 가지 해결책은 승강판을 중간 부분에 설치하는 것으로,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단말기를 접으면 승강판이 하강하여 플렉서블 스크린의 벤딩 부분의 하단을 피하게 되며,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단말기를 펼치면 승강판이 지지 높이까지 올라와 중간 부분에서 플렉서블 스크린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중간 하우징의 두께에 대한 일정한 요구 사항을 가지고 있으며, 고객이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단말기에 대해 더 얇은 두께를 요구할 경우 이러한 구조를 채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경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에 대하여 새로운 기술 방안을 제공하며, 이 기술 방안은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단말기에 적용하여 플렉서블 스크린의 밴딩부분의 하단을 회피하고,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단말기를 펼치면 플렉서블 스크린이 중간 부분에서 지지되는 동시에 중간 하우징에 대한 두께 요구 사항이 감소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 방안을 채용한다:
좌측 회전브라켓과 우측 회전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회전브라켓과 우측 회전브라켓은 각각 제1축선과 제2축선을 축선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고, 제1축선과 제2 축선은 평행하며, 좌측 회전브라켓과 우측 회전브라켓 사이에는 동기 역회전 연결 기구가 연결되어 동기 역회전을 수행하는 힌지에 있어서,
상기 힌지에는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가 더 설치되며; 상기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의 회전 축선은 제1 축선과 일치하고,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의 회전 축선은 제2 축선과 일치하며;
상기 좌측 회전브라켓과 우측 회전브라켓에는 각각 힌지가 펼쳐진 때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의 지지부위가 설치되며;
상기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는 각각 탄성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힌지가 접히면 상기 탄성부재는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를 구동시켜 아래쪽으로 회전시켜 이동 단말기의 중간 하우징 내부로 들어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힌지에는 제1 축과 제2 축이 설치되고, 상기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좌측 회전브라켓은 제1축에 슬리브 결합되고, 좌측 회전브라켓과 제1축은 서로 연결되어 동기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는 제1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회전브라켓은 제2축에 슬리브 결합되고, 우측 회전브라켓과 제2축은 서로 연결되어 동기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는 제2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의 탄성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의 탄성부재는 모두 토션 스프링이고 또한 서로 연결된 일체형 스프링이며, 상기 스프링의 2개의 단부 암은 각각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에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일체형 스프링에는 좌측 스프링 코일과 우측 스프링 코일이 설치되며, 상기 좌측 스프링 코일과 우측 스프링 코일은 각각 제1축와 제2축의 외측에 슬리브 결합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힌지가 접히면,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는 탄성부재에 의해 구동되어 리미터에 의해 막힐 때까지 이동 단말기의 중간 하우징 내부로 아래쪽으로 회전되어 들어가며, 힌지의 펼침에서 힌지의 접힘까지의 과정에서,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의 회전 각도는 각각 좌측 회전브라켓과 우측 회전브라켓의 회전 각도보다 작으며; 상기 힌지가 접힘에서 펼침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좌측 회전브라켓과 우측 회전브라켓의 지지부위가 각각 회전하여 상기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에 접촉되면, 상기 지지부위가 각각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를 구동시켜 플렉서블 스크린의 지지 위치로 회전시키며, 또한 플렉서블 스크린의 지지 위치에서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를 가압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응하는 기술효과를 획득하기 위해 전술한 힌지를 사용하는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음의 기술방안을 채용한다:
중간 하우징, 좌측 하우징, 우측 하우징 및 내부 플렉서블 스크린을 포함하는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단말기는 전술한 힌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측 회전브라켓과 우측 회전브라켓은 각각 좌측 하우징과 우측 하우징의 회전방향에 구속되게 연결되고, 상기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는 상기 중간 하우징의 위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채택하면, 중간 지지판은 좌우측 회전브라켓과 동기적으로 회전하지 않는 좌우측 중간 지지판으로 분할되며, 힌지를 접으면 좌우측 중간 지지판이 탄성부재에 의해 구동되어 아래쪽으로 회전하고, 리미터의 설치 위치에 따라 필요한 위치에 멈춰서 플렉시블 스크린 밴딩부분의 하단에 적당한 회피 공간을 제공하고, 중간 하우징에 대한 두께 요구 사항이 작아 중간 하우징의 두께 요구 사항을 감소시키며; 힌지를 펼치면 좌우측 회전브라켓이 견고하게 지지되고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또한 좌우측 중간 지지판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펼친 상태일 때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펼친 상태일 때의 도 2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펼친 상태일 때의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따른 접힌 상태일 때의 도 2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접힌 상태일 때의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고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힌지는 좌측 회전브라켓(1)과 우측 회전브라켓(2)을 포함하며, 좌측 회전브라켓(1)과 우측 회전브라켓(2)은 각각 제1축선과 제2축선을 축선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고, 제1축선과 제2 축선은 평행하며, 본 실시예에서 좌측 회전브라켓(1)과 우측 회전브라켓(2)의 축선은 각각 제1축(10)과 제2축(20)으로 실축이다. 좌측 회전브라켓(1)과 우측 회전브라켓(2) 사이에는 동기 역회전 연결 기구(예를 들어, 기어 기구(6))가 연결되어 힌지의 개폐 과정에서 동기 역회전을 수행한다.
힌지에는 또한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3)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4)가 설치되며;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3)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4)는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단말기의 중간 하우징(100)의 위치에 대응된다.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3)와 좌측 회전브라켓(1)은 모두 제1축(10)에 슬리브 결합되고, 좌측 회전브라켓(1)과 제1축(10)은 편평한 부분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동기적으로 회전하고,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3)의 축 구멍(30)은 원형 구멍으로 제1축(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4)와 우측 회전브라켓(2)은 모두 제2축(20)에 슬리브 결합되고, 우측 회전브라켓(2)과 제2축(20)은 편평한 부분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동기적으로 회전하고,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4)의 축 구멍(40)은 원형 구멍으로 제2축(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좌측 회전브라켓(1)과 우측 회전브라켓(2)에는 각각 힌지가 펼쳐진 때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3)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4)의 지지부위(11, 21)가 설치되므로, 힌지가 펼쳐지면,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3)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4)가 견고한 지지력을 얻어 플렉서블 스크린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3)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4)는 각각 탄성부재(5)에 연결되고, 힌지가 접히면 탄성부재(5)는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3)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4)를 구동시켜 아래쪽으로 회전시켜 이동 단말기의 중간 하우징(100) 내부로 들어가게 한다. 탄성부재(5)는 독립적으로 좌측과 우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일체형 구조일 수 있다: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3)의 탄성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4)의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이고 또한 서로 연결되며, 일체형 구조의 스프링의 2개의 단부 암(51, 52)은 각각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3)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4)의 개구부(31, 41)에 연결된다. 일체형 스프링에는 좌측 스프링 코일(53)과 우측 스프링 코일(54)이 구비되며, 좌측 스프링 코일(53)과 우측 스프링 코일(54)은 각각 제1축(10)와 제2축(20)의 외측에 슬리브 결합된다.
토션 스프링은 인폴딩 이동 단말기에 대응되는 힌지가 펼쳐진 상태일 때 에너지를 저장하는 상태가 된다. 힌지가 접히면,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3)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4)는 탄성부재(5)에 의해 구동되어 리미터에 의해 막힐 때까지 이동 단말기의 중간 하우징(100) 내부로 아래쪽으로 회전되어 들어가며, 리미터는 중간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힌지의 펼침에서 힌지의 접힘까지의 과정에서,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3)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4)의 회전 각도는 각각 좌측 회전브라켓(1)과 우측 회전브라켓(2)의 회전 각도보다 작으며; 힌지가 접힘에서 펼침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좌측 회전브라켓(1)과 우측 회전브라켓(2)의 지지부위(11, 21)가 각각 회전하여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3)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4)에 접촉되면, 지지부위(11, 21)가 각각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3)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4)를 구동시켜 플렉서블 스크린의 지지 위치로 회전시키며, 또한 플렉서블 스크린의 지지 위치에서 탄성부재(5)가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3)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4)를 지지부위(11, 21)에 가압한다.
전술한 힌지의 펼침 및 힌지의 접힘은 인폴딩 이동 단말기의 펼쳐진 상태와 접힌 상태에 각각 해당된다.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3)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4)는 판형으로 되어 플렉서블 스크린을 직접 지지할 수도 있고, 또는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3)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4)에는 각각 지지판이 고정되어 플렉서블 스크린을 지지할 수도 있다.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단말기는 중간 하우징(100), 좌측 하우징, 우측 하우징 및 내부 플렉서블 스크린을 포함하고, 좌측 회전브라켓(1)과 우측 회전브라켓(2)은 각각 좌측 하우징과 우측 하우징의 회전방향에 구속되게 연결되고, 좌측 하우징과 우측 하우징은 각각 제1축(10)과 제2축(20)을 회전축으로 하고, 좌측 하우징과 우측 하우징에는 각각 내부 플렉서블 스크린을 위한 지지판이 설치된다.
이상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분야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 분야에서 행한 변경 또는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와 첨부 도면 중의 "포함" 및 "구비"의 용어와 이들의 임의적인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장착", "설치", "구비", "연결", "상호 연결", "슬리브 연결"라는 용어는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 분리형 연결 또는 일체형 구조일 수 있으며; 기계적 연결이거나 전기적 연결일 수 있으며; 직접 연결이 될 수도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 연결이 될 수도 있고, 또는 2개 장치, 요소 또는 구성 요소 간의 내부적인 연통이 될 수도 있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전술한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용어 "일단", "타단", "외측", "내측", “수평”, "단부", "길이", "외측단", "좌", "우" 등이 지시하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를 기준으로 하며, 이는 본 발명을 편리하게 설명하고 또한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지시 또는 암시된 장치 또는 요소가 특정의 방향을 가져야 하고 특정 방향으로 구성 및 작동해야 함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및 "제2"라는 용어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사용되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지 않는다.

Claims (6)

  1. 좌측 회전브라켓과 우측 회전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회전브라켓과 우측 회전브라켓은 각각 제1축선과 제2축선을 축선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고, 제1축선과 제2 축선은 평행하며, 좌측 회전브라켓과 우측 회전브라켓 사이에는 동기 역회전 연결 기구가 연결되어 동기 역회전을 수행하는 힌지에 있어서,
    상기 힌지에는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가 더 설치되며; 상기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의 회전 축선은 제1 축선과 일치하고,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의 회전 축선은 제2 축선과 일치하며;
    상기 좌측 회전브라켓과 우측 회전브라켓에는 지지부위가 설치되어 각각 힌지가 펼쳐진 때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에는 개구부가 설치되어 각각 탄성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힌지가 펼쳐진 상태일 때 에너지가 저장된 상태로 되며, 상기 힌지가 접히면 상기 탄성부재는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를 구동시켜 아래쪽으로 회전시켜 이동 단말기의 중간 하우징 내부로 들어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에는 제1 축과 제2 축이 설치되고, 상기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좌측 회전브라켓은 제1축에 슬리브 결합되고, 좌측 회전브라켓과 제1축은 서로 연결되어 동기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는 제1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회전브라켓은 제2축에 슬리브 결합되고, 우측 회전브라켓과 제2축은 서로 연결되어 동기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는 제2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의 탄성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의 탄성부재는 모두 토션 스프링이고 또한 서로 연결된 일체형 스프링이며, 상기 스프링의 2개의 단부 암은 각각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스프링에는 좌측 스프링 코일과 우측 스프링 코일이 설치되며, 상기 좌측 스프링 코일과 우측 스프링 코일은 각각 제1축와 제2축의 외측에 슬리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가 접히면,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는 탄성부재에 의해 구동되어 리미터에 의해 막힐 때까지 이동 단말기의 중간 하우징 내부로 아래쪽으로 회전되어 들어가며, 힌지의 펼침에서 힌지의 접힘까지의 과정에서,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의 회전 각도는 각각 좌측 회전브라켓과 우측 회전브라켓의 회전 각도보다 작으며; 상기 힌지가 접힘에서 펼침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좌측 회전브라켓과 우측 회전브라켓의 지지부위가 각각 회전하여 상기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에 접촉되면, 상기 지지부위가 각각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를 구동시켜 플렉서블 스크린의 지지 위치로 회전시키며, 또한 플렉서블 스크린의 지지 위치에서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를 상기 지지부위에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6. 중간 하우징, 좌측 하우징, 우측 하우징 및 내부 플렉서블 스크린을 포함하는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단말기는 청구항 1에 따른 힌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측 회전브라켓과 우측 회전브라켓은 각각 좌측 하우징과 우측 하우징의 회전방향에 구속되게 연결되고, 상기 좌측 중간 회전지지부재와 우측 중간 회전지지부재는 상기 중간 하우징의 위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단말기.
KR1020247000806A 2021-06-29 2022-06-20 힌지 및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단말기 KR102638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1464388.2U CN215861291U (zh) 2021-06-29 2021-06-29 一种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CN202121464388.2 2021-06-29
PCT/CN2022/099767 WO2023273932A1 (zh) 2021-06-29 2022-06-20 一种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417A KR20240008417A (ko) 2024-01-18
KR102638435B1 true KR102638435B1 (ko) 2024-02-19

Family

ID=80335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0806A KR102638435B1 (ko) 2021-06-29 2022-06-20 힌지 및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638435B1 (ko)
CN (1) CN215861291U (ko)
WO (1) WO20232739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5861291U (zh) * 2021-06-29 2022-02-18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6235A (zh) 2019-04-30 2020-10-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847346U (zh) * 2016-06-07 2016-12-28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铰链装置及柔性屏移动终端
CN108076171B (zh) * 2016-11-17 2020-04-03 华为技术有限公司 折叠组件及移动终端
CN207543155U (zh) * 2017-11-03 2018-06-26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内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及内柔性屏移动终端
CN207777905U (zh) * 2017-12-06 2018-08-28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CN207975120U (zh) * 2018-01-16 2018-10-16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外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和铰链装置
CN108322567B (zh) * 2018-02-01 2019-11-08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CN212564044U (zh) * 2020-02-12 2021-02-19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应用于内折柔性屏终端的铰链及内折柔性屏终端
CN212413208U (zh) * 2020-02-12 2021-01-26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应用于内折柔性屏终端的铰链及内折柔性屏终端
CN212407305U (zh) * 2020-04-09 2021-01-26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内折柔性屏移动电子终端的铰链
CN212899353U (zh) * 2020-06-03 2021-04-06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内折柔性屏移动电子终端的铰链和内折柔性屏移动电子终端
CN215861291U (zh) * 2021-06-29 2022-02-18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6235A (zh) 2019-04-30 2020-10-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5861291U (zh) 2022-02-18
KR20240008417A (ko) 2024-01-18
WO2023273932A1 (zh)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83791B (zh) 柔性屏支撑装置和柔性屏终端
EP3739561B1 (en) Screen body support device and foldable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00054258A (ko) 내부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 및 내부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
CN214507124U (zh) 一种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KR102638435B1 (ko) 힌지 및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단말기
CN215871469U (zh)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CN216162735U (zh) 带升降驱动控制功能的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US20230384839A1 (en) Fold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CN110191207B (zh) 一种具有展开式柔性屏的智能终端主机及堆叠智能终端
CN210122988U (zh) 内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及内柔性屏移动终端
CN111741146B (zh) 折叠机构及具有该折叠机构的电子设备
CN112243053A (zh) 一种转轴机构及移动终端
CN216044966U (zh) 一种旋转铰链、折叠机壳和电子设备
WO2021204019A1 (zh) 一种内折柔性屏移动电子终端的铰链
CN114340243B (zh) 移动终端及其折叠壳体
US20240044360A1 (en) Novel hinge and inward-folding flexible screen mobile terminal
CN215928109U (zh) 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WO2024012008A1 (zh) 阻尼机构及终端
CN217814513U (zh) 一种旋转铰链、折叠机壳和电子设备
CN217440542U (zh) 铰链和终端设备
CN218625038U (zh) 折叠屏移动终端的铰链机构
CN217421850U (zh) 铰链和终端设备
CN219472553U (zh)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的运动连接机构
CN217152618U (zh) 内折柔性屏移动终端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WO2023109198A1 (zh) 转轴组件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