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236B1 - 가변벽체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가변벽체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236B1
KR102638236B1 KR1020210064313A KR20210064313A KR102638236B1 KR 102638236 B1 KR102638236 B1 KR 102638236B1 KR 1020210064313 A KR1020210064313 A KR 1020210064313A KR 20210064313 A KR20210064313 A KR 20210064313A KR 102638236 B1 KR102638236 B1 KR 102638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wall
variable
wall
moving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6366A (ko
Inventor
김길태
김태민
곽병창
Original Assignee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토지주택공사 filed Critical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210064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236B1/ko
Publication of KR20220156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8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벽체에서 실링부재가 돌출됨에 따라 소음 및 열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가변벽체 실링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바닥과 천장을 연결하는 가변벽체와 가변벽체에 형성되며, 가변벽체를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장치와 가변벽체의 단부에 형성되며, 바닥 및/또는 천장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링부재와 이동장치에 형성되며, 실링부재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가변벽체 실링장치{Sealing Apparatus of Moving Wall}
본 발명은 가변벽체에서 실링부재가 돌출됨에 따라 소음 및 열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가변벽체 실링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전면에 홈부가 전체적으로 형성된 주벽체; 상하로 긴 장방형 판체 형상으로 주벽체의 홈부에 다수개가 고정되되 사이에 동일한 폭의 공간부를 가지도록 고정되는 디자인월판;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사각의 관체 저면에 공간부와 통하는 레일홀이 길이를 따라 형성되고, 레일홀에 다수개의 안착부가 디자인월판 사이의 공간부를 향해 위치하도록 레일홀의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며, 주벽체의 홈부가 위치한 곳 천정에 고정되는 상부가이드; 사각바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반구형레일홈이 형성되고, 상부가이드의 안착부와 수직선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형상으로 안착부가 반구형레일홈에 형성되며, 주벽체의 홈부가 위치한 곳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가이드; 한쌍의 판체가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판체의 상단 외측 모서리에 가이드돌기가 고정되어 상부가이드의 레일홀으로 삽입되어 이동하며, 판체의 하단 외측 모서리에 베어링이 고정되어 하부가이드의 반구형홈에 안착되어 이동하게 구성되고, 판체의 전면에 내측 모서리와 인접하도록 볼트홀이 형성되어 캡 또는 손잡이가 체결되는 가변벽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확장형 다용도 개폐식 가변벽체는, 건축물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벽체를 이루며 개폐되는 가변벽체; 및 상기 가변벽체가 개폐되도록 지지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수단은 천정에 부착되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수단을 따라 움직이는 장착수단을 구비하고, 개폐수단은 상기 가변벽체가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도록 인접된 벽체에 장착시키는 회전수단인 것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회동식 가변벽체는 일반 주거용 건물, 사무실 등의 업무 공간, 헬스 클럽 등의 상업시설의 내부공간의 벽면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벽체; 및 상기 제1벽체에 접철되어 수직으로 회동하여 펼쳐지는 제2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벽체가 수직으로 회동하여 펼쳐짐으로써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식 가변벽체는, 내부공간의 천장 및 바닥에 회전편을 통해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벽체; 및 상기 회전벽체에 접철되어 수평으로 회동하여 펼쳐지는 제3벽체;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충진재를 사이에 두고 외측벽 및 내측벽이 나란하게 형성된 한 쌍의 가변형 벽체와, 상기 가변형 벽체의 일측단에 맞닿음 고정되어 바닥면과 천정면에 밀착고정 지지되는 기둥 부재로 이루어진 가변형 벽체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벽체의 외측벽과 내측벽의 일단측에는 가이드라인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라인홈부에에는, 상기 외측벽 및 내측벽을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0991225 B1 (2010년10월26일) KR 10-2016-0077943 A (2016년07월04일) KR 10-2020-0013438 A (2020년02월07일) KR 20-2013-0005605 U (2013년09월25일)
본 발명은 가변벽체에서 실링부재가 돌출됨에 따라 소음 및 열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가변벽체 실링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바닥(30)과 천장(20)을 연결하는 가변벽체(100); 상기 가변벽체(100)에 형성되며, 상기 가변벽체(100)를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장치(200); 상기 가변벽체(100)의 단부에 형성되며, 바닥(30) 및/또는 천장(20)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링부재(300); 상기 이동장치(200)에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300)를 구동하는 구동장치(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가변벽체 실링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가변벽체(100); 이동장치(200); 실링부재(300); 구동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가변벽체(100)에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300)가 수용되는 수용부(110); 상기 이동장치(200)에 체결되는 체결부(120);부가한다.
본 발명은 가변벽체 실링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가변벽체(100); 이동장치(200); 실링부재(300); 구동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이동장치(200)는 상기 벽체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가이드레일(21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가변벽체 실링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가변벽체(100); 이동장치(200); 실링부재(300); 구동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이동장치(200)에 형성되며, 상기 가변벽체(100)를 회전시키는 회전힌지(2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가변벽체 실링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가변벽체(100); 이동장치(200); 실링부재(300); 구동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구동장치(400)에 형성되며, 상기 가변벽체(1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링부재(300)를 가변시키는 가변부(410); 상기 가변벽체(100)에서 돌출되며, 상기 가변부(410)를 조작하는 조작부(44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가변벽체 실링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가변벽체(100); 이동장치(200); 실링부재(300); 구동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가변부(410)에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440)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이동바(420); 상기 이동바(420)에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300)를 돌출시키는 돌출부재(4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가변벽체 실링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가변벽체(100); 이동장치(200); 실링부재(300); 구동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조작부(440)에 형성되며, 상기 가변벽체(100)의 내부에서 돌출되는 걸림부재(441); 상기 걸림부재(441)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탄성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재(441)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재(442); 상기 걸림부재(441)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바(42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443);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가변벽체 실링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가변벽체(100); 이동장치(200); 실링부재(300); 구동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실링부재(300)는 상기 가변벽체(100)에 삽입되는 삽입부(310); 상기 이동장치(200)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310)에 압력을 가하는 압력부(3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가변벽체 실링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가변벽체(100); 이동장치(200); 실링부재(300); 구동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실링부재(3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천장틀(21)에 부착되는 자석부재(3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가변벽체에 실링부재가 형성되어 천장, 바닥, 고정벽체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링부재가 유연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가변벽체가 이동할 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변벽체가 이동할 때 실링부재가 가변벽체 내부로 삽입되어 실링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링부재에 자석이 형성되어 천장틀에 실링부재가 결합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변벽체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링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회전힌지에 연결된 구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링부재에 자석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가변벽체 실링장치에 있어서, 바닥(30)과 천장(20)을 연결하는 가변벽체(100); 상기 가변벽체(100)에 형성되며, 상기 가변벽체(100)를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장치(200); 상기 가변벽체(100)의 단부에 형성되며, 바닥(30) 및/또는 천장(20)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링부재(300); 상기 이동장치(200)에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300)를 구동하는 구동장치(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가변벽체(100)는 석고보드로 형성되며, 내부에 흡음재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300)는 상기 가변벽체(100)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300)는 상기 바닥(30) 및/또는 천장(20)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300)는 상기 가변벽체(100)의 이동 시 돌출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1-5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400)는 상기 가변벽체(100)를 슬라이딩 및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변벽체 실링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건물의 가변벽체(100)와 고정벽체(10)의 틈새를 밀폐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도 1을 참조하면, 아파트, 오피스텔, 오피스, 상가 등과 같이 다양한 건물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벽체의 위치가 가변되는 가변벽체(100)와 건물의 바닥(30), 천장(20) 및 내부공간에 고정되는 고정벽체(10)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다. 이때, 가변벽체(100)는 석고보드, 경량콘크리트 복합패널, 샌드위치 패널 등의 경량 소재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흡음재가 형성되어 공간간의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가변벽체(100)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경량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변벽체(100)는 양측의 고정벽체(10) 사이에 형성되며, 이동장치(200)에 의하여 가변벽체(100)가 이동한다. 이동장치(200)는 레일, 힌지 등으로 형성되어 고정벽체(10)에서 전진 및 후진하여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일면으로 회전함에 따라 공간의 크기를 조절한다. 그리고 가변벽체(100)의 상단, 하단, 측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실링부재(300)가 형성되어 천장(20), 바닥(30), 고정벽체(10) 중 적어도 하나와 가변벽체(1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소음 전달을 차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실링부재(300)는 구동장치(400)에 의하여 가변벽체(100)에서 돌출 및 삽입되는 것으로 가변벽체(100)가 이동시 실링부재(300)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실링부재(300)는 원형, 사각형 등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합성수지 및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소음의 진동을 흡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가변벽체(100)가 이동할 때 실링부재(300)가 구동함에 따라 가변벽체(100)와 고정벽체(1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여 소음을 차단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가변벽체 실링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가변벽체(100)에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300)가 수용되는 수용부(110); 상기 이동장치(200)에 체결되는 체결부(12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10)에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300)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20)는 상기 이동장치(200)에 결합되는 결합홈;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20)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장치(200)에 안착되는 안착롤러(121);를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20)는 상기 이동장치(200)에서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변벽체(1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가변벽체(100)는 건물의 내력벽이나 천장(20) 및 바닥(30)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고정벽체(10) 사이에서 이동하여 공간을 구획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변벽체(100)는 도 2를 참조하면, 건물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벽체를 이루며 개폐되는 것이며, 구동장치(400)에 의하여 실링부재(300)가 돌출 및 삽입됨에 따라 고정벽체(10), 천장(20), 바닥(30)과 가변벽체(100)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키는 것이다. 가변벽체(100)는 틈새로 실링부재(300)가 돌출 및 삽입되도록 수용부(110)가 형성되며, 수용부(110)는 실링부재(300)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부(110)는 내부에 실링부재(300)와 함께 구동장치(400)가 수용되는 것으로 가변벽체(100)가 이동함에 따라 구동장치(400)가 구동하여 실링부재(300)를 돌출 및 함몰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가변벽체(100)는 레일 및 힌지로 형성되는 이동장치(200)에 체결되는 체결부(120)가 형성되며, 체결부(120)는 이동장치(200)가 회전힌지(220)로 형성될 경우 회전힌지(220)에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결합홈은 회전힌지(220)의 위치에 따라 가변벽체(100)의 일단부 또는 중심에 형성되어 회전힌지(220)가 삽입된다.
그리고 이동장치(200)가 가이드레일(210)로 형성될 경우 체결부(120)는 안착롤러(121)로 형성되어 가변벽체(100)에 압력을 가하면 안착롤러(121)가 회전함에 따라 가변벽체(100)를 이동시킨다. 이때, 체결부(120)에는 이동장치(200)에서 가변벽체(100)가 이동하지 않고 고정하도록 고정장치가 형성되며, 고정장치는 안착롤러(121)의 회전을 멈추는 것이다.
(실시예 2-6)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3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천장틀(21)에 부착되는 자석부재(330);를 포함한다.
(실시예 2-7)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2-6에 있어서, 상기 천장틀(21)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천장틀(21)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실링부재(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실링부재(30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자석부재(330)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링부재(300)는 도 9를 참조하면, 내부 및 외측에 노출되도록 자석부재(330)가 형성되며, 자석부재(330)는 천장(20)을 형성하는 천장틀(21)에 부착된다. 이때, 천장틀(21)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자석부재(330)가 형성된 실링부재(300)가 부착된다. 그리고 천장틀(21)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천장틀(21)의 간격은 가변벽체(100)의 이동 거리에 따라 조절된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가변벽체(100)의 이동은 자유롭게 형성되나 고정을 위해서는 천장틀(21)이 설치된 위치에 고정된다. 이때, 천장틀(21)에 실링부재(300)의 자석부재(330)가 결합되어 가변벽체(100)와 천장(2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것이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가변벽체 실링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200)는 상기 가변벽체(100)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가이드레일(210);을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10)은 바닥(30) 및 천장(20)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10)은 상기 가변벽체(100)의 체결부(120)가 안착되는 안착면; 상기 안착면의 양측면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장치(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이동장치(200)는 천장(20) 및 바닥(30)에 형성되어 가변벽체(1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레일(21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가변벽체(100)의 체결부(120)가 안착되는 안착면과 이탈방지면이 형성된다. 이때, 안착면과 이탈방지면은 일체로 형성되며, 이탈방지면은 안착면의 양측면에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안착면은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체결부(120)의 안착롤러(121)가 가이드되도록 하는 것이며, 체결부(120)에 형성되는 고정장치에 의하여 가변벽체(100)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이탈방지면은 안착롤러(12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이탈방지면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안착롤러(121)를 가이드한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가변벽체 실링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200)에 형성되며, 상기 가변벽체(100)를 회전시키는 회전힌지(22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회전힌지(220)는 상기 가변벽체(100)의 일단부 및 중심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부(120)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300)는 상기 가변벽체(100)에 삽입되는 삽입부(310); 상기 회전힌지(220)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310)에 압력을 가하는 압력부(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300)는 공기가 저장되도록 개방공간(301)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회전힌지(220)에 형성되며, 상기 가변벽체(10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압력부(320)에 압력을 가하는 압력장치(22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회전힌지(22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회전힌지(220)는 이동장치(200)에 형성되며, 가변벽체(10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힌지(22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가변벽체(100)가 회전함에 따라 실링부재(300)에 압력을 조절한다. 이때, 실링부재(300)는 가변벽체(10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개방공간(301)이 형성되어 공기가 일부로 이동한다. 실링부재(300)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가변벽체(100)의 상단, 하단, 일측면에 형성되는 삽입부(310)와 삽입부(310)와 연결되며, 회전힌지(22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압력부(3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압력부(320)와 삽입부(310)는 공기가 이동하도록 개방공간(301)이 서로 연결되며, 회전힌지(220)에 형성되는 압력장치(221)에 의하여 가변벽체(100)를 고정하면 압력부(320)의 공기가 삽입부(310)로 전달되고 가변벽체(100)를 개방하면 압력부(320)의 개방공간(301)이 확장되어 삽입부(310)의 공기가 압력부(320)로 전달된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압력장치(221)는 회전힌지(220)의 일면에 형성되며, 압력부(320)가 회전할 때 공기 압력이 삽입부(310)로 전달되도록 일방향으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가변벽체 실링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 또는 4-1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400)에 형성되며, 상기 가변벽체(1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링부재(300)를 가변시키는 가변부(410); 상기 가변벽체(100)에서 돌출되며, 상기 가변부(410)를 조작하는 조작부(4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구동장치(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구동장치(400)는 가변벽체(100) 내부에서 실링부재(300)를 가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장치(400)는 도 2를 참조하면, 가변벽체(100) 내부에 형성되며, 가변벽체(100)가 이동함에 따라 실링부재(300)를 가변벽체(100)에서 돌출 및 삽입되도록 구동한다. 그리고 가변벽체(100)와 고정벽체(10)가 밀착되는 위치에는 조작부(440)가 형성되며, 조작부(440)는 가변벽체(100)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가변벽체(100)가 이동할 때 가변벽체(100)로 삽입되어 실링부재(300)를 이동시킨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가변벽체 실링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410)에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440)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이동바(420); 상기 이동바(420)에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300)를 돌출시키는 돌출부재(430);를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420)에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440)에 접하는 가변체(421); 상기 이동바(42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바(420)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체(423);를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가변체(421)는 상기 조작부(440)에 접하는 가변케이스(422);를 포함한다.
(실시예 6-4)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가변케이스(422)는 일면이 사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5)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6-4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420)는 상기 가변벽체(100)의 4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6)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이동바(420)가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바(420)가 이동함에 따라 타 이동바(420)를 이동시키는 연결체(424);를 포함한다.
(실시예 6-7)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6-6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424)는 일면이 사선으로 형성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8)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6-7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3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재(430)와 접하며, 일면이 사선으로 형성되는 접합체(340);를 포함한다.
(실시예 6-9)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6-8에 있어서, 상기 접합체(340)에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300)를 상기 가변벽체(100)의 내부로 유도하는 탄성체(423);를 포함한다.
(실시예 6-10)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420)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재(430)를 이동시키는 이동와이어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11)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6-10에 있어서, 상기 이동와이어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이동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변부(41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가변부(410)는 조작부(440)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이동함에 실링부재(300)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가변부(410)는 도 3을 참조하면, 가변벽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가변벽체(100)의 양측면, 상부면,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는 이동바(420)와 이동바(420)에 복수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돌출부재(430)가 형성된다. 이때, 이동바(420)는 각각 별도로 형성되며, 조작부(440)와 접하는 위치에 가변체(421)가 형성된다. 가변체(421)는 조작부(440)의 후면에 접하는 것으로 일면이 사선으로 형성되는 가변케이스(422)가 형성되어 조작부(440)에 의하여 압력이 발생하면 상부로 상승함에 따라 이동바(420)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탄성체(423)는 이동바(420)에 형성되며, 이동바(420)가 이동한 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이동바(420)가 서로 접하는 위치에는 연결체(424)가 형성되며, 연결체(424)는 일면이 사선, 원형으로 형성되어 가변체(421)가 이동함에 따라 하나의 이동바(420)가 상부로 상승하면 상부의 이동바(420)가 연결체(424)에 의하여 수평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이동바(420)는 서로 접하는 이동바(420)의 이동하는 압력에 의하여 각각 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돌출부재(43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실링부재(300)의 하부로 연장되는 접합체(340)와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접합체(340)는 돌출부재(430)와 접하는 위치가 사선으로 형성됨에 따라 돌출부재(430)가 이동바(420)에 의하여 이동하면 실링부재(300)는 상부로 상승하거나 탄성체(423)에 의하여 가변벽체(100)의 내부로 수용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이동바(420)가 이동와이어로 형성되면 조작부(440)에 의하여 이동와이어가 이동하면 이동와이어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이동롤러에 의하여 돌출부재(430)를 이동시킴에 따라 실링부재(300)를 가변벽체(100)에서 돌출시키는 것이다.
(실시예 6-12)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420)에 형성되며, N극과 S극이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는 제 1이동체(425); 상기 실링부재(300)의 내측에 형성되며, N극과 S극이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는 제 2이동체(42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바(42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이동바(420)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자석이 형성되어 실링부재(300)에 형성되는 자석을 밀거나 당겨 실링부재(300)를 가변벽체(100)에서 돌출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바(420)는 N극과 S극이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는 제 1이동체(425)가 형성되며, 제 1이동체(425)는 실링부재(300)에 N극과 S극이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는 제 2이동체(426)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이동바(420)가 조작부(440)에 의하여 이동하면 제 1이동체(425)와 제 2이동체(426)의 서로 다른 전극이 접함에 따라 실링부재(300)를 가변벽체(100)의 내부로 수용시키고 가변벽체(100)가 고정되어 조작부(440)가 돌출되면 제 1이동체(425)와 제 2이동체(426)의 전극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실링부재(300)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것이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가변벽체 실링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440)에 형성되며, 상기 가변벽체(100)의 내부에서 돌출되는 걸림부재(441); 상기 걸림부재(441)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탄성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재(441)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재(442); 상기 걸림부재(441)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바(42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443);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441)와 상기 이동부재(443)는 일면이 반구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7-3)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7-2에 있어서, 상기 고정벽체(10)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441)가 걸리는 복수의 걸림홈(500);을 포함한다.
(실시예 7-4) 본 발명의 가변벽체 실링장치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500)은 상기 회전힌지(220)의 내부에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조작부(44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조작부(440)는 가변벽체(100)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가변벽체(100)가 이동함에 따라 조작부(440)가 가변벽체(100)의 내부로 수용되어 가변부(410)를 가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조작부(440)는 가변벽체(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부재(441)가 형성되며, 걸림주개가 외부로 돌출될 때 접하도록 천장(20), 바닥(30), 고정벽체(10)에는 걸림홈(500)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홈(500)은 도 8을 참조하면, 이동장치(200)가 가이드레일(210)로 형성될 경우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이동장치(200)가 회전힌지(220)로 형성될 경우 회전힌지(220)의 외주면에 걸림홈(500)이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걸림홈(500)에 걸림부재(441)가 걸리면 실링부재(300)는 가변벽체(100)에서 돌출되어 실링부재(300)를 가변벽체(100)의 외부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걸림부재(441)와 걸림홈(500)은 일단부가 반구로 형성되어 가변벽체(100)가 이동할 때 원활히 걸림부재(441)가 걸림홈(500)에서 돌출되어 실링부재(300)를 내부로 삽입시킨다. 또한, 걸림부재(441)의 타단부에는 반구 형상의 이동부재(443)가 형성되며, 이동부재(443)는 가변부(410)에 접합에 따라 걸림부재(441)가 이동하면 이동부재(443)가 가변부(410)에 압력을 가하여 실링부재(300)를 돌출시킨다. 그리고 걸림부재(441)를 감싸도록 탄성부재(442)가 형성되며, 탄성부재(442)는 걸림부재(441)에 탄성을 부여하여 걸림홈(500) 방면으로 돌출시켜 가변벽체(100)가 고정되었을 때 걸림홈(500)에 걸림부재(441)가 접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10: 고정벽체 20: 천장
21: 천장틀 30: 바닥
100: 가변벽체 110: 수용부
120: 체결부 121: 안착롤러
200: 이동장치 210: 가이드레일
220: 회전힌지 221: 압력장치
300: 실링부재 301: 개방공간
310: 삽입부 320: 압력부
330: 자석부재 340: 접합체
400: 구동장치 410: 가변부
420: 이동바 421: 가변체
422: 가변케이스 423: 탄성체
424: 연결체 425: 제 1이동체
426: 제 2이동체 430: 돌출부재
440: 조작부 441: 걸림부재
442: 탄성부재 443: 이동부재
500: 걸림홈

Claims (9)

  1. 바닥(30)과 천장(20)을 연결하는 가변벽체(100);
    상기 가변벽체(100)에 형성되며, 상기 가변벽체(100)를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장치(200);
    상기 가변벽체(100)의 단부에 형성되며, 바닥(30) 및/또는 천장(20)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링부재(300);
    상기 이동장치(200)에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300)를 구동하는 구동장치(40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장치(200)에 형성되며, 상기 가변벽체(100)를 회전시키는 회전힌지(22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힌지(220)에 형성되며, 상기 가변벽체(100)가 회전함에 따라 압력부(320)에 압력을 가하는 압력장치(221);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300)는, 상기 가변벽체(100)에 삽입되는 삽입부(310); 및 상기 이동장치(200)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310)에 압력을 가하는 압력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300)는 공기가 저장되도록 개방공간(301)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400)에 형성되며, 상기 가변벽체(1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링부재(300)를 가변시키는 가변부(410); 상기 가변부(410)에 형성되며, 조작부(440)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이동바(420); 상기 이동바(420)에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300)를 돌출시키는 돌출부재(430); 및 상기 가변벽체(100)에서 돌출되며, 상기 가변부(410)를 조작하는 조작부(440);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바(420)에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440)에 접하는 가변체(421); 상기 이동바(42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바(420)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체(423);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체(421)는 상기 조작부(440)에 접하는 가변케이스(422);를 포함하는 가변벽체 실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벽체(100)에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300)가 수용되는 수용부(110);
    상기 이동장치(200)에 체결되는 체결부(120);를 포함하는 가변벽체 실링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440)에 형성되며, 상기 가변벽체(100)의 내부에서 돌출되는 걸림부재(441);
    상기 걸림부재(441)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탄성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재(441)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재(442);
    상기 걸림부재(441)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바(42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443);를 포함하는 가변벽체 실링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3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천장틀(21)에 부착되는 자석부재(330);를 포함하는 가변벽체 실링장치.
KR1020210064313A 2021-05-18 2021-05-18 가변벽체 실링장치 KR102638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313A KR102638236B1 (ko) 2021-05-18 2021-05-18 가변벽체 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313A KR102638236B1 (ko) 2021-05-18 2021-05-18 가변벽체 실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366A KR20220156366A (ko) 2022-11-25
KR102638236B1 true KR102638236B1 (ko) 2024-02-16

Family

ID=84237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313A KR102638236B1 (ko) 2021-05-18 2021-05-18 가변벽체 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2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864Y1 (ko) * 2006-02-20 2006-05-10 김성철 이동식 커튼월
KR100984325B1 (ko) * 2010-03-19 2010-09-30 장상훈 바닥틈 폐쇄장치
KR200457769Y1 (ko) * 2010-02-03 2012-01-03 서동학 이동식 칸막이의 실링부재 구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225B1 (ko) 2010-08-19 2010-11-01 주식회사 지앤에이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가변벽체 구조
KR200475162Y1 (ko) 2012-03-16 2014-11-10 이승한 가변형 벽체 연결구조
KR101776208B1 (ko) 2014-12-24 2017-09-07 이정호 확장형 다용도 개폐식 가변벽체장치
KR102155578B1 (ko) 2018-07-30 2020-09-14 서남현 회동식 가변벽체
KR102263847B1 (ko) * 2019-10-14 2021-06-10 현대건설주식회사 기밀도어 및 이의 작동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864Y1 (ko) * 2006-02-20 2006-05-10 김성철 이동식 커튼월
KR200457769Y1 (ko) * 2010-02-03 2012-01-03 서동학 이동식 칸막이의 실링부재 구동장치
KR100984325B1 (ko) * 2010-03-19 2010-09-30 장상훈 바닥틈 폐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366A (ko)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3109B2 (en) Screen apparatus
EP0428589B1 (en) Connection system
EP0999335B1 (en) Screen device
KR101779561B1 (ko) 폴딩도어
BR102013017327B1 (pt) dispositivo de guia para um elemento deslizante e mecanismo de movimento para um dispositivo de guia
GB2072248A (en) Roller shutters
KR102638236B1 (ko) 가변벽체 실링장치
JP6587866B2 (ja) オーバーヘッドドア
EP0037448A1 (en) Closure structures
KR102376096B1 (ko) 폴딩파티션 무빙월
JP6848083B2 (ja) 窓フレーム結合用結合構造物を有する金属製窓戸組立体
JP2002038841A (ja) 開閉装置
WO1995016844A1 (en) Door mounting system
KR200483440Y1 (ko) 기밀창호
KR101034678B1 (ko) 창문용 밀폐장치
KR101083772B1 (ko) 내측틀과 외측틀을 갖는 창틀
KR102198399B1 (ko) 설치위치 가변형 칸막이를 갖춘 주거용 컨테이너
JPH0113187Y2 (ko)
KR102223122B1 (ko) 창호용 밀폐장치
JPH0526231Y2 (ko)
JP4588869B2 (ja) 伸縮渡り通路
KR101957238B1 (ko) 여닫이문의 하부 차음장치
JP6770114B2 (ja) 建具
JPH03262889A (ja) 移動間仕切りにおける間仕切りパネルの遮音機構
JP3077109U (ja) 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