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036B1 - 꽃다발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 - Google Patents

꽃다발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036B1
KR102638036B1 KR1020230024117A KR20230024117A KR102638036B1 KR 102638036 B1 KR102638036 B1 KR 102638036B1 KR 1020230024117 A KR1020230024117 A KR 1020230024117A KR 20230024117 A KR20230024117 A KR 20230024117A KR 102638036 B1 KR102638036 B1 KR 102638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ume
water
calyx
stem
s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복희
Original Assignee
류복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복희 filed Critical 류복희
Priority to KR1020230024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01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functions
    • A41G1/006Diffusing perfum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꽃봉오리 부분이 장착 고정되는 꽃받침부; 꽃받침부의 하단에 결합 구성되고 소정 길이의 중공을 제공하는 줄기부; 줄기부의 하단에 결합 구성되고 내부에 향수가 저장되며 수통으로부터 물이 침투되도록 하여 향수가 수위 상승을 통해 줄기부를 따라 꽃받침부로 이동되면서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는 반투막저장부; 줄기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줄기부의 하단부가 실링된 상태로 관통되는 수통캡; 및 물이 저장되고 수통캡에 결합되는 수통을 포함하는 꽃다발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꽃다발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Artificial flower structure for aroma}
본 발명은 꽃다발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꽃다발로 포장된 상태에서 수통의 물에 의해 생화의 고유한 향을 가지는 인조향을 발산하는 조화 구조를 제공하여 실제 꽃향기를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꽃다발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화(造花)는 실용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고가의 생화를 대신한 것으로, 꽃다발, 화환(花環), 실내외 장식용이나 축하연장 등에서 생화와 유사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현재 제작되는 조화는 외양과 색채가 거의 생화와 유사하여 육안으로는 조화와 생화를 쉽게 구분하기 힘들다.
그러나 이러한 조화는 그 외관미에 있어서는 다양한 색상을 가미하여 생화와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정교하게 제조되어 마치 실제의 생화를 접하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이는 각종 생화가 지니는 독특한 고유의 꽃향기를 발산하지 못함으로써 조화에 근접하면 이내 조화인 것을 식별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생화만이 가지는 향기를 갖지 못하여 시각적 효과 이외에는 별다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가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는, 적정량의 향수가 저장되도록 소정의 내용적을 갖는 화병과, 이 화병에 삽입되어 화병에 저장된 향수가 내부를 통해 휘발되도록 중공체로 이루어진 줄기와, 줄기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꽃받침과, 꽃받침의 상부에 결합되는 암술로 이루어지고, 꽃받침 및 암술의 중앙에는 줄기를 통해 전달된 향기를 외부로 발산할 수 있도록 방향통로가 형성되는 조화와, 조화의 줄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삽입구가 관통되며 삽입된 줄기가 압입되어 지지됨과 아울러 화병의 입구를 밀폐하는 마개로 이루어지며, 줄기가 화병의 마개에 꽂혔을 때 휘발된 향기가 암술을 통하여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는, 단순히 화병에 향수가 저장된 상태에서 줄기가 화병의 마개에 꽂혔을 때 향기가 발산되도록 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향기가 발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향수의 교체주기가 매우 짧아지게 되어 향수 교체 등 유지 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원할 때만 향기를 발산시킬 수 없어 오히려 불편함이 초래되고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병에 마개가 구성된다고 하더라도 줄기가 마개에 꽂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화병이 쓰러지는 경우 향수가 조화의 줄기를 따라 암술로 누수되어 꽃다발 등으로 포장 사용이 어렵고 이에, 화병 외의 용도로는 사용이 제약되어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는, 복수개의 조화가 꽃다발로 포장되어 판매된다고 하더라고 꽃다발을 수령한 수령자에게는 상기 조화를 재사용할 방안이 마땅치 않아 조화가 그대로 폐기되고 있으며 이에, 낭비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등록실용 20-0238695
(특허문헌 0002) 등록실용 20-0179034
(특허문헌 0003) 등록실용 20-0404932
(특허문헌 0004) 등록실용 20-024611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향수가 저장된 반투막저장부에 수통 내부의 물이 삼투압 현상에 의해 침투시 반투막저장부로부터 연장된 줄기부를 따라 향수의 수위가 꽃봉오리까지 상승된 후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여 물의 누수 억제를 통한 꽃다발 포장을 가능하게 하고 꽃다발 포장 해제시 별도의 활용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꽃다발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꽃봉오리 부분이 장착 고정되는 꽃받침부; 꽃받침부의 하단에 결합 구성되고 소정 길이의 중공을 제공하는 줄기부; 줄기부의 하단에 결합 구성되고 내부에 향수가 저장되며 수통으로부터 물이 침투되도록 하여 향수가 수위 상승을 통해 줄기부를 따라 꽃받침부로 이동되면서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는 반투막저장부; 줄기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줄기부의 하단부가 실링된 상태로 관통되는 수통캡; 및 물이 저장되고 수통캡에 결합되는 수통을 포함하는 꽃다발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꽃받침부는, 상단이 개구된 통체 형상을 가지고 꽃봉오리 부분이 삽입되는 꽃받침통; 꽃받침통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고 줄기부를 통해 이동되는 향수가 꽃받침통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는 향기발산공; 및 향기발산공에 구성되고 향수를 흡수하여 향기가 확산되도록 하는 확산퍼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줄기부는, 꽃받침통의 향기발산공에 연통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단부가 물이 저장된 수통에 위치되는 스트로우; 향기발산공에 연통된 스트로우의 상단에 관통 형성되고 삼투압 현상에 의해 향수의 수위가 계속 상승되는 경우 향기발산공으로 오버 플로우되지 않고 수통으로 낙수되도록 하는 낙수유도공; 및 스트로우에 구성되는 잎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투막저장부는,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플라스크 형상을 가지고 상단이 스트로우의 하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향수가 수용되는 향수케이스와; 향수케이스의 하단 개방 부위를 커버하면서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수통 내부의 물이 향수케이스 내부로 침투되도록 하는 반투막부재를 포함하며, 반투막부재는, 수투과도가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줄기부의 스트로우에는 향수조절밸브가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향수조절밸브는, 스트로우의 상단부에 하단연결관이 연통되고 향기발산공에 상단연결관이 연통되며 하단연결관과 상단연결관 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연통관; 탄성 재질과 반구 형상을 가지면서 연통관의 내부에 구성되고 스트로우로부터 향수가 하단연결관으로 상승되는 경우 부력에 의해 연통관 내부를 승강하면서 곡면 부위를 통해 하단연결관을 개방시켜 향수 일부가 상단연결관을 통해 향기발산공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평면 부위가 상단연결관에 접촉시 상단연결관과 연통관의 단차에 의해 상단연결관을 폐쇄시켜 향수가 더 이상 상단연결관을 통해 향기발산공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하는 개폐부력체; 및 개폐부력체의 평면 부위 중앙으로부터 상단연결관과 향기발산공을 거쳐 꽃받침부의 꽃받침통 내부까지 연장되어 암술 느낌을 제공하고 개폐부력체가 연통관으로부터 하단연결관을 통해 스트로우의 상단부까지 강제 하강되도록 하는 압력을 개폐부력체에 전달하여 향수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향수케이스에 침투된 물이 반투막부재를 통해 수통 내부로 역삼투되도록 하는 역삼투압력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향수가 저장된 반투막저장부에 수통 내부의 물이 삼투압 현상에 의해 침투시 반투막저장부부터 연장된 줄기부를 따라 향수의 수위가 꽃봉오리까지 상승된 후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여 물의 누수 억제를 통한 꽃다발 포장을 가능하게 하고 꽃다발 포장 해제시 별도의 활용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꽃다발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가 꽃다발 포장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의 향기 발산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4와 도 5는 도 1의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에 있어서 향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누수방지밸브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꽃다발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100)는, 암술과 꽃잎으로 구성되는 꽃봉오리(110) 부분이 장착 고정되는 꽃받침부(120), 꽃받침부(120)의 하단에 결합 구성되고 소정 길이의 중공을 제공하는 줄기부(130), 줄기부(130)의 하단에 결합 구성되고 내부에 향수(140)가 저장되며 수통(180)으로부터 물(190)이 삼투압 현상에 의해 침투되도록 하여 향수(140)가 수위 상승을 통해 줄기부(130)를 따라 꽃받침부(120)로 이동되면서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는 반투막저장부(150), 줄기부(130)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줄기부(130)의 하단부가 실링된 상태로 관통되는 수통캡(170) 및 물(190)이 저장되고 수통캡(170)에 결합되어 물(190)이 누수되지 않도록 하여 꽃다발 포장을 가능하게 하고 반투막저장부(150)에 물(190)이 삼투압 현상에 의해 침투되도록 하고 받침 기능을 제공하는 수통(180) 등을 포함한다.
꽃받침부(120)는, 암술과 꽃잎으로 구성되는 꽃봉오리(110) 부분이 장착 고정되어 꽃받침대와 꽃씨방 느낌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단이 개구된 통체 형상을 가지고 꽃봉오리(110) 부분이 삽입되는 꽃받침통(121), 꽃받침통(121)의 하단 바닥면 내부에 수직하게 돌출 구성되고 꽃봉오리(110) 부분의 하단이 꽂히도록 하여 꽃받침통(121)에 꽃봉오리(110) 부분이 안정적으로 끼움 고정되도록 하는 꽂이편(122), 꽃받침통(121)의 벽면 내부에 꽃봉오리(110) 하단의 삽입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 구성되고 꽃봉오리(110) 부분이 꽃받침통(121)에 삽입된 이후 꽃받침통(121)으로부터 배출시 꽃봉오리(110)의 측면이 꽂히도록 하여 꽃받침통(121)에 꽃봉오리(110)의 단부가 안정적으로 끼움 고정되도록 하는 쐐기편(123), 꽃받침통(121)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고 줄기부(130)를 통해 이동되는 향수(140)가 꽃받침통(121)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는 향기발산공(124) 및 향기발산공(124)에 구성되고 향수(140)를 흡수하여 향기가 오랫동안 확산되도록 하는 확산퍼프(125)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꽃받침부(120)에 의하면, 꽃봉오리(110) 부분이 꽂이편(122)과 쐐기편(123)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끼움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확산퍼프(125)에 의해 향기가 오랫동안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줄기부(130)는, 꽃받침부(120)의 하단에 결합 구성되고 소정 길이의 중공을 통하여 줄기 느낌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꽃받침통(121)의 향기발산공(124)에 연통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단부가 물(190)이 저장된 수통(180)에 위치되는 스트로우(131), 향기발산공(124)에 연통된 스트로우(131)의 상단에 관통 형성되고 장시간 동안의 삼투압 현상에 의해 향수(140)의 수위가 계속 상승되는 경우 향기발산공(124)으로 오버 플로우되지 않고 수통(180)으로 낙수되도록 하는 낙수유도공(132) 및 스트로우(131)에 구성되는 잎(133)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낙수유도공(132)과 후술된 수통캡(170) 사이에는, 줄기 느낌의 연결용스트로우(미도시)의 양단이 각각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낙수유도공(132)을 통해 오버 플로우된 향수(140)나 물(190)이 수통(180)으로 낙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줄기부(130)에 의하면, 수통(180)의 내부에 위치된 반투막저장부(150)에 저장된 향수(140)가 삼투압 현상에 의해 상승되면서 꽃받침부(120)까지 이동되도록 하여 실제로 꽃이 수통(180) 내부의 물(190)을 먹고 꽃을 피우거나 향기를 발산하는 생화의 느낌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향수(140)는, 반투막저장부(150)에 저장된 상태에서 수통(180) 내부의 물(190)이 침투되는 경우 수위가 상승되는 것을 통해 스트로우(131)를 따라 향기발산공(124)까지 이동된 후 외부로 발산되어 꽃 향기를 느끼도록 하는 것으로서, 액체 상태를 가지는 공지의 아로마 향수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반투막저장부(150)는, 줄기부(130)의 하단에 결합 구성되고 내부에 향수(140)가 저장되며 수통(180)으로부터 물(190)이 삼투압 현상에 의해 침투되도록 하여 향수(140)가 수위 상승을 통해 줄기부(130)를 따라 꽃받침부(120)로 이동되면서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며 뿌리 느낌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플라스크 형상을 가지고 상단이 스트로우(131)의 하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향수(140)가 수용되는 향수케이스(151)와, 향수케이스(151)의 하단 개방 부위를 커버하면서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수통(180) 내부의 물이 향수케이스(151) 내부로 침투되도록 하는 반투막부재(152) 등을 포함한다.
향수케이스(151)는, 상협하광 구조의 플라스크 형상을 가지고 바닥면에 반투막부재(152)가 체결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를 통하여, 많은 양의 물(190)이 향수케이스(151) 내부로 빠른 시간에 침투되지 못하게 하고 줄기부(130)를 통해 향수(140)가 빠르게 상승되는 것을 억제하여 향수(140)가 향기발산공(124)으로 누수되지 못하게 하는 것이 좋다.
반투막부재(152)는,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가지는 향수케이스(151) 내부로 수통(180)의 물(190)이 삼투압 현상에 의해 침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공지의 삼투막일 수도 있고, 일예로, 친수화 처리된 폴리올레핀계 미다공막 상에 형성된 폴리아미드 활성층을 포함하고, 폴리올레핀계 미다공막의 공간율이 75%, 버블포인트법으로 측정한 최대공경이 0.3㎛ 이상, 인장강도와 두께의 곱이 횡방향 또는 종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0.1kgf/cm 이상이며, 폴리올레핀계 미다공막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단층 미다공막과,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이 교대로 적층된 2층 이상의 복합 미다공막과,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이 두층 이상 적층된 다층 미다공막 중에서 선택되는 삼투막일 수 있다.
여기서, 반투막부재(152)는, 수투과도[gfd]가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수통(180)에 반투막저장부(150)가 담긴 후 몇 시간 이내에 향수(140)의 수위가 상승되도록 삼투압 현상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고, 후술된 향수조절밸브(160)를 통해 역삼투압 기능 동작시 향수(140)의 수위가 신속하게 낮아지도록 역삼투압 현상이 간편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반투막저장부(150)에 의하면, 향수(140)가 향수케이스(151)에 수용되는 것을 통하여 종래와 같이 수통(180) 내부에 향수(140)가 수용되도록 하는 것에 비해 향수(140)의 소비를 절약할 수 있고, 수통(180) 내부의 물(190)이 반투막부재(152)를 통해 향수케이스(151)로 침투된 후 향수(140)의 수위를 꽃받침부(120)까지 이동되도록 한 후 발산되도록 하여 실제로 꽃이 수통(180) 내부의 물(190)을 먹고 꽃을 피우는 생화의 느낌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수통캡(170)은, 줄기부(130)의 하단부가 수통(18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수통(180)의 물(190)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줄기부(130)의 스트로우(131) 하단부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스트로우(131)가 실링된 상태로 관통되는 마개와, 마개가 수통(180)의 상단 외주연에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나사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통(180)은, 수통캡(170) 하단의 스트로우(131)와 반투막저장부(150)가 물(190)에 수용되도록 하고 받침 기능을 통하여 꽃다발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100)가 포장 해제된 후 개별적으로 화병에 꽂힌 꽃처럼 재활용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통체 형상을 가지고 상단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통캡(170)과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수통캡(170)과 수통(180)의 나사 결합 및 실링 구조를 통하여 복수개의 꽃다발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100)가 꽃다발로 포장되거나 포장된 후에도 수통(180)으로부터 물(190)이 누수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어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100)가 꽃다발로 포장되어 꽃다발 용도로도 사용되도록 하여 사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줄기부(130)의 스트로우(131)에는 꽃받침부(120)의 향기발산공(124)으로 향수(140)가 발산을 위해 이동되는 경우, 한번에 너무 많은 양의 향수(140)가 발산되지 못하도록 하는 향수조절밸브(16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향수조절밸브(160)는, 향기발산공(124)에 연통되는 스트로우(131)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스트로우(131)를 따라 이동되는 향수(140)의 양이 조절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스트로우(131)의 상단부에 하단연결관(161)이 연통되고 향기발산공(124)에 상단연결관(162)이 연통되며 하단연결관(161)과 상단연결관(162) 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연통관(163), 탄성 재질과 반구 형상을 가지면서 연통관(163)의 내부에 구성되고 스트로우(131)로부터 향수(140)가 하단연결관(161)으로 상승되는 경우 부력에 의해 연통관(163) 내부를 승강하면서 곡면 부위를 통해 하단연결관(161)을 개방시켜 향수(140) 일부가 상단연결관(162)을 통해 향기발산공(124)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평면 부위가 상단연결관(162)에 접촉시 상단연결관(162)과 연통관(163)의 단차에 의해 상단연결관(162)을 폐쇄시켜 향수(140)가 더 이상 상단연결관(162)을 통해 향기발산공(124)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하는 개폐부력체(164) 및 개폐부력체(164)의 평면 부위 중앙으로부터 상단연결관(162)과 향기발산공(124)을 거쳐 꽃받침부(120)의 꽃받침통(121) 내부까지 연장되어 암술 느낌을 제공하고 개폐부력체(164)의 상승 상태를 관리자가 확인하도록 하며 관리자에 의해 제공되는 개폐부력체(164)가 연통관(163)으로부터 하단연결관(161)을 통해 스트로우(131)의 상단부까지 강제 하강되도록 하는 압력을 개폐부력체(164)에 전달하여 향수(140)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향수케이스(151)에 침투된 물(190)이 반투막부재(152)를 통해 수통(180) 내부로 역삼투되도록 하는 역삼투압력봉(165) 등을 포함한다.
즉, 향수조절밸브(160)는, 수통(180) 내부의 물(190)이 삼투압 현상에 의해 향수케이스(151) 내부로 침투되면서 스트로우(131)를 따라 이동되는 향수(140)에 의해 연통관(163)의 하단연결관(161)을 폐쇄하는 개폐부력체(164)가 부상되면서 하단연결관(161)이 개방되어 향수(140) 일부만 상단연결관(162)을 통해 향기발산공(124)으로 이동되며, 향수(140)의 수위가 계속 상승하는 경우에는 개폐부력체(164)가 상단연결관(162)에 접촉되면서 상단연결관(162)과 연통관(163)의 단차에 의해 밀폐되면서 더 이상 향수(140)가 상단연결관(162)으로 통과되지 못하게 되어 향기발산공(124)으로 누수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로우(131)의 상단에 향수조절밸브(160)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줄기부(130)의 상단에 낙수유도공(132)이 형성되는 대신, 상단연결관(162)의 상단에 낙수유도공(166)이 형성되어 장시간 동안의 삼투압 현상에 의해 향수(140)의 수위가 향기발산공(124)으로 오버 플로우되지 않고 낙수유도공(166)과 수통캡(170)에 양단이 연결되는 연결용스트로우(미도시)를 따라 수통(180)으로 낙수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개폐부력체(164)가 연통관(163)의 길이만큼을 상승함에 따라 꽃받침통(121)의 중앙에 소정 높이로 위치되었던 역삼투압력봉(165)이 연통관(163)의 길이만큼 상승된 높이를 가지게 되며, 이를 토대로 관리자는 향수(140)의 수위가 향기발산공(124)의 하단까지 위치되었고 향수(140)의 수위를 낮춰야 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관리자에 의해 역삼투압력봉(165)이 하향 가압되는 경우 탄성 재질과 반구 형상을 가지는 개폐부력체(164)가 연통관(163)을 하강한 후 형상이 가변되면서 하단연결관(161)과 스트로우(131)의 상단까지 하강되면서 향수(140)가 가압되고, 이에, 향수케이스(151)의 향수(140)와 물(190)의 혼합액 중 물(190)만 반투막부재(152)를 통해 수통(180)으로 역삼투되고, 다시 관리자에 의해 역삼투압력봉(165)이 상향 인력되어 개폐부력체(164)가 하단연결관(161)을 폐쇄하면서 연통관(163)에 위치되어, 향수(140)의 수위가 다시 상승할 때까지 확산퍼프(125)에 흡수된 향수(140)에 의한 발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향수조절밸브(160)에 의하면, 삼투압 현상에 의해 많은 양의 물(190)이 향수케이스(151) 내부로 침투되고 향수(140)의 수위가 급상승하더라도 스트로우(131)를 따라 이동되는 향수(140)의 일부만이 향기발산공(124)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한번에 너무 많은 양의 향수(140)가 발산되지 못하게 하여 향수(140)의 낭비와 누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승된 향수(140)의 수위가 역삼투압 현상을 통해 낮아지도록 조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향수(140)의 발산 주기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꽃다발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꽃받침부(120)에 꽃봉오리(110) 부분이 고정되고 반투막저장부(150)에 향수(140)가 수용된 상태에서 꽃받침부(120)와 반투막저장부(150)가 줄기부(130)에 의해 연통된 후 물(190)이 담겨진 수통(180)에 반투막저장부(150)가 위치된 상태에서 수통(180)과 줄기부(130)의 수통캡(170)이 실링 상태로 결합되어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100)가 조립된다.
이후, 복수개의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100)가 꽃다발 포장지(10)와 끈 등을 통하여 꽃다발로 포장된다.
이후, 꽃다발로 포장된 상태의 각각의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100)에 있어서, 각 수통(180) 내부의 물(190)이 삼투압 현상에 의해 반투막저장부(150)의 내부로 침투되어 향수(140)의 수위가 줄기부(130)의 스트로우(131)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스트로우(131)에 연통된 꽃받침부(120)의 향기발산공(124)을 통해 외부로 발산 및 확산된다.
한편, 스트로우(131)의 상단까지 상승된 향수(140)의 수위는 향기발산공(124)과 스트로우(151) 사이에 구성된 향수조절밸브(160)에 의하여 스트로우(131)를 따라 이동되는 향수(140)의 일부만이 향기발산공(124)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한번에 너무 많은 양의 향수(140)가 발산되지 못하게 하여 향수(140)의 낭비와 누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향수(140)가 저장된 반투막저장부(150)에 수통(180) 내부의 물(190)이 삼투압 현상에 의해 침투시 반투막저장부(150)부터 연장된 줄기부(130)를 따라 향수(140)의 수위가 꽃봉오리(110)까지 상승된 후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직접 물을 주는 것을 통해 꽃이 생장하도록 하는 느낌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통(180)이 수통캡(170)에 의해 실링되는 구성에 의해 수통(180)으로부터 물(190)이 누수되지 않으며, 이를 통하여 복수개의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100)가 꽃다발로 포장 가능해져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꽃다발로부터 포장 해제된 향기 발산 구조체(100)는 수통(180)을 통해 스탠딩되어 화병에 꽂힌 꽃처럼 장식부재로 재활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꽃봉오리(110) 부분이 장착 고정되는 꽃받침부(120); 꽃받침부(120)의 하단에 결합 구성되고 소정 길이의 중공을 제공하는 줄기부(130); 줄기부(130)의 하단에 결합 구성되고 내부에 향수(140)가 저장되며 수통(180)으로부터 물(190)이 침투되도록 하여 향수(140)가 수위 상승을 통해 줄기부(130)를 따라 꽃받침부(120)로 이동되면서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는 반투막저장부(150); 줄기부(130)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줄기부(130)의 하단부가 실링된 상태로 관통되는 수통캡(170); 물(190)이 저장되고 수통캡(170)에 결합되는 수통(180); 및 줄기부(130)의 스트로우(131)에 구성되는 향수조절밸브(160)를 포함하고,
    꽃받침부(120)는,
    상단이 개구된 통체 형상을 가지고 꽃봉오리(110) 부분이 삽입되는 꽃받침통(121); 꽃받침통(121)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고 줄기부(130)를 통해 이동되는 향수(140)가 꽃받침통(121)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는 향기발산공(124); 및 향기발산공(124)에 구성되고 향수(140)를 흡수하여 향기가 확산되도록 하는 확산퍼프(125)를 포함하며,
    줄기부(130)는,
    꽃받침통(121)의 향기발산공(124)에 연통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단부가 물(190)이 저장된 수통(180)에 위치되는 스트로우(131); 향기발산공(124)에 연통된 스트로우(131)의 상단에 관통 형성되고 삼투압 현상에 의해 향수(140)의 수위가 계속 상승되는 경우 향기발산공(124)으로 오버 플로우되지 않고 수통(180)으로 낙수되도록 하는 낙수유도공(132); 및 스트로우(131)에 구성되는 잎(133)을 포함하고,
    향수조절밸브(160)는,
    스트로우(131)의 상단부에 하단연결관(161)이 연통되고 향기발산공(124)에 상단연결관(162)이 연통되며 하단연결관(161)과 상단연결관(162) 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연통관(163); 탄성 재질과 반구 형상을 가지면서 연통관(163)의 내부에 구성되고 스트로우(131)로부터 향수(140)가 하단연결관(161)으로 상승되는 경우 부력에 의해 연통관(163) 내부를 승강하면서 곡면 부위를 통해 하단연결관(161)을 개방시켜 향수(140) 일부가 상단연결관(162)을 통해 향기발산공(124)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평면 부위가 상단연결관(162)에 접촉시 상단연결관(162)과 연통관(163)의 단차에 의해 상단연결관(162)을 폐쇄시켜 향수(140)가 더 이상 상단연결관(162)을 통해 향기발산공(124)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하는 개폐부력체(164); 및 개폐부력체(164)의 평면 부위 중앙으로부터 상단연결관(162)과 향기발산공(124)을 거쳐 꽃받침부(120)의 꽃받침통(121) 내부까지 연장되어 암술 느낌을 제공하고 개폐부력체(164)가 연통관(163)으로부터 하단연결관(161)을 통해 스트로우(131)의 상단부까지 강제 하강되도록 하는 압력을 개폐부력체(164)에 전달하여 향수(140)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향수케이스(151)에 침투된 물(190)이 반투막부재(152)를 통해 수통(180) 내부로 역삼투되도록 하는 역삼투압력봉(1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다발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반투막저장부(150)는,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플라스크 형상을 가지고 상단이 스트로우(131)의 하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향수(140)가 수용되는 향수케이스(151)와;
    향수케이스(151)의 하단 개방 부위를 커버하면서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수통(180) 내부의 물이 향수케이스(151) 내부로 침투되도록 하는 반투막부재(152)를 포함하며,
    반투막부재(152)는,
    수투과도[gfd]가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다발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
  5. 삭제
  6. 삭제
KR1020230024117A 2023-02-23 2023-02-23 꽃다발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 KR102638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117A KR102638036B1 (ko) 2023-02-23 2023-02-23 꽃다발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117A KR102638036B1 (ko) 2023-02-23 2023-02-23 꽃다발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036B1 true KR102638036B1 (ko) 2024-02-16

Family

ID=90056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4117A KR102638036B1 (ko) 2023-02-23 2023-02-23 꽃다발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03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2807A (ja) * 1991-11-08 1993-05-28 Kunio Sadano 香りを出す造花
JPH072427U (ja) * 1993-05-25 1995-01-13 華 溶 ▲鄭▼ 香る造花、該造花の茎及び該造花の芳香剤放散容器
KR200179034Y1 (ko) 1999-11-19 2000-04-15 문종철 향기가 장기간 유지되는 조화
KR200238695Y1 (ko) 2000-12-08 2001-09-25 현규섭 향기가 나는 조화셋트
KR200246116Y1 (ko) 2001-05-25 2001-10-15 백승엽 향기 발산수단을 갖는 조화
KR200404932Y1 (ko) 2005-08-17 2006-01-10 김덕환 향기 나는 조화(造花)
JP2007306985A (ja) * 2006-05-16 2007-11-29 Noboru Araki 放香用花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2807A (ja) * 1991-11-08 1993-05-28 Kunio Sadano 香りを出す造花
JPH072427U (ja) * 1993-05-25 1995-01-13 華 溶 ▲鄭▼ 香る造花、該造花の茎及び該造花の芳香剤放散容器
KR200179034Y1 (ko) 1999-11-19 2000-04-15 문종철 향기가 장기간 유지되는 조화
KR200238695Y1 (ko) 2000-12-08 2001-09-25 현규섭 향기가 나는 조화셋트
KR200246116Y1 (ko) 2001-05-25 2001-10-15 백승엽 향기 발산수단을 갖는 조화
KR200404932Y1 (ko) 2005-08-17 2006-01-10 김덕환 향기 나는 조화(造花)
JP2007306985A (ja) * 2006-05-16 2007-11-29 Noboru Araki 放香用花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6794T3 (es) Dispositivo difusor de sustancias volátiles
ES2539758T3 (es) Dispositivo de transferencia y evaporación de líquidos
US4103457A (en) Horticultural method and apparatus
KR200488419Y1 (ko) 세라믹 디퓨저
US20010051234A1 (en) Fragrant artificial flower apparatus
KR102638036B1 (ko) 꽃다발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
KR102579639B1 (ko) 화병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
KR102579640B1 (ko) 향기 발산 화병 구조체
EP0392793A1 (e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 of water and nutrients to plants
US6233871B1 (en) Design of planter inserts and water reservoirs
KR20070050069A (ko) 휘발성 물질 살포 장치
JP3172249U (ja) 芳香・消臭剤用容器
KR200238695Y1 (ko) 향기가 나는 조화셋트
KR102514776B1 (ko)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
US20030192958A1 (en) Floral arrangement set in a bed containing a volatile air fragrance compound
ES2203420T3 (es) Recipiente difusor del perfume de un liquido oloroso contenido en el mismo.
CN208836624U (zh) 一种可以保持土壤湿润的花盆
JP4490674B2 (ja) 薬剤器
KR200483524Y1 (ko) 장식기능이 우수한 액상 방향제 용기
CN217456900U (zh) 一种便于运输的香水装置
CN2493018Y (zh) 节水卫生花盆
JP3107146U (ja) 香料容器
CN107396916A (zh) 一种一体式驱虫器
JPH0741326Y2 (ja) 花束ハンドル
CN208639088U (zh) 一种自供水花盆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