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116Y1 - 향기 발산수단을 갖는 조화 - Google Patents

향기 발산수단을 갖는 조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116Y1
KR200246116Y1 KR2020010015472U KR20010015472U KR200246116Y1 KR 200246116 Y1 KR200246116 Y1 KR 200246116Y1 KR 2020010015472 U KR2020010015472 U KR 2020010015472U KR 20010015472 U KR20010015472 U KR 20010015472U KR 200246116 Y1 KR200246116 Y1 KR 2002461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harmony
stem
container
b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엽
Original Assignee
백승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엽 filed Critical 백승엽
Priority to KR2020010015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1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1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116Y1/ko

Link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류별로 다양하게 제조 판매되고 있는 조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화의 줄기 내측에 통공을 관통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동공내에 보강용 지지관을 삽입설치 하여 줄기하단부로부터 꽃봉오리부위까지 향이동 통로가 마련 되도록 하는 한편, 액상향료나 고체향 또는 분사식 향기 발산수단이 내장된 용기를 별개구비하여 상기 조화의 줄기 부위를 고정 설치토록 하는 간단한 방안을 제공하여 조화의 꽃봉오리 부위에서 고유의 향기가 지속적으로 발산되도록 한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향기 발산수단을 갖는 조화{ARTIFICIAL FLOWERS WITH A MEANS TO RELEASE A PERFUME}
본 고안은 조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재로 성형 제작되는 조화의 줄기 하단으로부터 꽃봉오리부위까지 통공을 관통형성함과 동시에 그 통공부위에 철관을 삽입설치하여 이루는 한편,
액상 향료나 고체향 또는 분사식 향발산기가 내장된 용기의 뚜껑 부위에 다수의 조화 꽃이구를 형성하여 조화를 꽂아 놓도록 하는 간단한 방안을 통해 꽃과 어울리는 특유의 향이 조화 꽃봉오리로 부터 지속적으로 발산되도록 한 향기 발산수단을 갖는 조화에 관한 것이다.
주로 합성수지재로서 생화와 거의 동일하게 성형제작되는 조화는 일반가정이나 사무실 업소등에서의 실내장식용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조화는 그 형상모양이 생화와 거의 동일하게 제작되고 있으나 특유의 '향'이 발산되지 않는 단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 문제점이 착안하여 인출된 것으로서, 특정형태로 제작되는 조화의 줄기로 부터 꽃봉오리부위까지 통공을 형성하여 향기 이송수단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조화의 꽃의 수단이 부여된 용기 내측에 액상향료나 고체향 또는 분무식 향발산기를 내장 해 줌으로서 선택설정된 향기가 조화의 꽃봉오리를 통해 지속적으로 발산되도록 하면서 생활공간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부분 절개하여 나타낸 참고도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도시한 참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서 향기 발산 수단으로 분사식 향 발산기를 채택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조화 2 : 꽃봉오리 3 : 줄기
4 : 통공 5 : 철관 6 : 용기
7 : 향 8 : 뚜껑 9 : 꽂이구
10 : 분사식 향 발산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합성수지재로 성형 제작되는 조화(1)의 꽃봉오리(2)부위로부터 줄기(3)하단부위까지 통공(4)을 관통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통공(4)내에는 철관(5)을 삽입설치하여 조화(1)를 이루는 한편,
액상향료나 고체향등의 특정향(7)이 내장되는 용기(6)의 뚜껑(8)부위에는 다수의 조화꽂이구(9)를 형성하여 조화꽃이 수단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을 선택형성되는 조화가 예컨데 백합종류일 경우 용기(6)내측에 백합향을 내장시켜준 상태에서 조화(1)를 용기 뚜껑(8)의 꽂이구(9)에 적절히 꽂아 주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설치를 완료할 수 있게 되며,
용기(6)에 내장된 향(7)은 줄기(3)내측의 통공(4)을 통해 이송되면서 꽃봉오리(2)로부터 발산되게 된다. 이때 줄기(3)하단부위에 삽입되는 철관(5)은 줄기(3)가 자연스럽게 서 있을 수 있도록 보강지지 기능을 갖는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은 본 고안의 사용에는 용기(6)에 내장되는 향기 발산수단으로서 분사식 향발산기(11)를 적용한 것인바, 이경우 타이머(12)나 온, 오프스위치(13)를 이용하여 향 발산시간을 선택적으로 적절히 조절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향발산수단이 결여된 조화에 향발산수단을 부여해주는 간단한 방안을 통해 실내 장식 효과 및 실내분위기 상승효과를 공히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조화(1)의 꽃봉오리(2)와 줄기(3)하단까지 통공(4)을 관통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통공(4)에는 철관(5)을 삽입설치하여 조화(1)를 이루고 특정향(7)이 내장되는 용기(6)의 뚜껑(8)에 다수의 꽂이구(9)를 형성하여 조화꽃이 수단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발산수단을 갖는 조화
  2. 제 1 항에 있어서,
    용기(6)에 내장되는 향기 발산수단으로 분무식 향발산기(11)를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발산수단을 갖는 조화
KR2020010015472U 2001-05-25 2001-05-25 향기 발산수단을 갖는 조화 KR2002461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472U KR200246116Y1 (ko) 2001-05-25 2001-05-25 향기 발산수단을 갖는 조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472U KR200246116Y1 (ko) 2001-05-25 2001-05-25 향기 발산수단을 갖는 조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116Y1 true KR200246116Y1 (ko) 2001-10-15

Family

ID=73102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472U KR200246116Y1 (ko) 2001-05-25 2001-05-25 향기 발산수단을 갖는 조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11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776B1 (ko) 2022-11-10 2023-03-29 류복희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
KR102579639B1 (ko) 2022-11-10 2023-09-15 류복희 화병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
KR102579640B1 (ko) 2022-11-16 2023-09-15 류복희 향기 발산 화병 구조체
KR102638036B1 (ko) 2023-02-23 2024-02-16 류복희 꽃다발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776B1 (ko) 2022-11-10 2023-03-29 류복희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
KR102579639B1 (ko) 2022-11-10 2023-09-15 류복희 화병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
KR102579640B1 (ko) 2022-11-16 2023-09-15 류복희 향기 발산 화병 구조체
KR102638036B1 (ko) 2023-02-23 2024-02-16 류복희 꽃다발용 향기 발산 조화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223361A1 (en) Moulded body for improving cultivation conditions for plants
KR20050043799A (ko) 인조 꽃
KR200246116Y1 (ko) 향기 발산수단을 갖는 조화
US20050232959A1 (en) Item with decorative voids
KR200238695Y1 (ko) 향기가 나는 조화셋트
US20180206415A1 (en) Multi-functional flowerpot
KR200259905Y1 (ko) 양초
KR200406741Y1 (ko) 방향장식물의 방향체 결합구조
KR20210150666A (ko) 디퓨저가 결합된 화분
KR200188786Y1 (ko) 발향기능을 갖는 스탠드
KR200422949Y1 (ko) 가습용 도자기
KR200353129Y1 (ko) 인공 대나무 모형 조명장치
KR200272612Y1 (ko) 향기발산 칫솔
KR200170220Y1 (ko) 방향장치
KR200282869Y1 (ko) 꽃꽂이용 방향제 용기
KR200386706Y1 (ko) 좌변기 덮개
KR200339582Y1 (ko) 해충퇴치기능을 가지는 장식용품
KR200224384Y1 (ko) 향기가 나는 분재용 화분
KR950000215Y1 (ko) 방향제 공급수단을 갖는 조화
KR20130123898A (ko) 식물 재배가 가능한 한지공예 액자형 공기청정기
KR200256875Y1 (ko) 방향액이 함침된 도자기 장식물
KR200165097Y1 (ko) 꽃 향기 나는 조화
KR200371451Y1 (ko) 전선용 장식구
KR860002174Y1 (ko) 조화용 향(香)발산장치
KR200301857Y1 (ko) 방향효과를 갖는 촛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