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772B1 - 위건강과 구강질환 관련 미생물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산삼 유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위건강과 구강질환 관련 미생물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산삼 유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772B1
KR102637772B1 KR1020230126646A KR20230126646A KR102637772B1 KR 102637772 B1 KR102637772 B1 KR 102637772B1 KR 1020230126646 A KR1020230126646 A KR 1020230126646A KR 20230126646 A KR20230126646 A KR 20230126646A KR 102637772 B1 KR102637772 B1 KR 102637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microorganisms
oral diseases
o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6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영
박찬선
김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옴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옴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옴바이오
Priority to KR1020230126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1/00Disinfectants; Antimicrobial compounds or mixtur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Dentist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건강과 구강질환 관련 미생물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산삼 유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WG.Q7(KCTC14893BP) 균주 및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KCTC14893BP) 균주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위건강과 구강질환 관련 미생물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산삼 유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 균주 및 이의 용도{LACTOBACILLUS PLANTARUM WG.Q7 STRAIN DERIVED FROM WILD GINSENG HAVING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MICROORGANISMS RELATED TO STOMACH HEALTH AND ORAL DISEASES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본 발명은 위건강과 구강질환 관련 미생물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산삼 유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WG.Q7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락토바실러스는 젖산(Lactic acid)을 합성하기 때문에 젖산균이라고 불린다. 당류를 발효하여 에너지를 획득하여 다량의 젖산을 생성하는 미생물이며 그람 양성(Gram positive)의 무포자 간균이다. 특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은 자연계의 모든 곳에서 분리되었는데 특히 발효식품 및 유제품에서 검출되고 있으며 김치 등에 포함되어 있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은 김치발효에 작용을 하며 유해균의 억제와 유익균의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장세포벽의 안정화를 진행하여 면역반응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그 외에도 지질, 단백질 및 녹말과 같은 다양한 물질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로서 소화 효소를 생성할 수 있는 젖산균들은 효소를 생성하여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를 돕기도 하며, IgA와 감마 인터페론을 생산을 도와주어 숙주의 면역력을 높이기도 하는 등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을 가진 젖산균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병원성 세균을 억제할 수 있는 항균 물질을 생성하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도 연구를 통해 알려져 있기 때문에, 다양한 생화학적 및 물리적인 특성을 가지며 균에 대한 안정성도 입증이 되었기 때문에 프로바이오틱스의 원료로 많이 쓰이고 있다.
충치나 풍치는, 주로 구강 내에 존재하는 구강 병원 균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의 구강에는 약 800 여종의 미생물이 기생 또는 공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미생물 균 총은 타액과 함께 분비되는 효소에 의해 제어되지만, 영양분과 수분이 풍부한 구강 내부는 미생물이 성장하기 좋은 조건이기 때문에, 혀의 치태나 치아 표면의 치석 등에서 미생물의 수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구강 병원 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는, 균들의 서식처인 치태나 치석을 제거하는 요법이 알려져 있고, 병원 균 자체에 작용하는 항균제 혹은 살균 및 정균 작용을 할 수 있는 항생제를 사용하는 요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구강 청결제에 사용되고 있는 항균제들은, 아직 구강 내에서 세균에 대한 작용 효과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고, 특히 잇몸 질환의 치료 효과에 대해 논란이 있으며, 역시 장시간 사용 시, 인체 독성 등 구강 내 조직에 대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1172호
본 발명은 위건강과 구강질환 관련 미생물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산삼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WG.Q7(KCTC14893BP) 균주 및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KCTC14893BP) 균주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건강과 구강질환 관련 미생물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WG.Q7(KCTC14893BP)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병원성 미생물은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s) 또는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이고 위건강 관련 미생물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구강 질환 관련 미생물은 아그레가티박티 악티노마이세텀코미탄스(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Actinomyces viscosus), 아이케넬라 코로덴스(Eikenella corrodens), 그라눌리카텔라 아디아센스(Granulicatella adiacens)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KCTC14893BP) 균주 배양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KCTC14893BP) 균주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KCTC14893BP) 균주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KCTC14893BP) 균주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질환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구강 질환은, 구취, 치아 우식증, 치은염, 및 치주염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구강 질환은 아그레가티박티 악티노마이세텀코미탄스(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Actinomyces viscosus), 아이케넬라 코로덴스(Eikenella corrodens), 그라눌리카텔라 아디아센스(Granulicatella adiacens) 중 어느 하나로부터 유발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KCTC14893BP) 균주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KCTC14893BP) 균주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증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증은 위염, 위십이지장궤양, 위암, 위말트림프종, 빈혈, 자반병, 동맥경화증, 편두통, 불임 및 만성두드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 균주는 상기 병원성 미생물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s),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갖는다. 또한, 구강 질환 관련 미생물은 아그레가티박티 악티노마이세텀코미탄스(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Actinomyces viscosus), 아이케넬라 코로덴스(Eikenella corrodens), 그라눌리카텔라 아디아센스(Granulicatella adiacens)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구강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 균주 상등액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 균주 상등액의 구강 질환 관련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은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위건강과 구강질환 관련 미생물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WG.Q7(KCTC14893BP)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은 서열목록 1의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균주는 생물자원센터(KCTC)에 기탁번호 KCTC14893BP로 기탁되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은 형태학적으로 그람 양성 간균에 해당하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과 99%의 상동성을 가지는 균주이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병원성 미생물은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s),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은 구강 질환 관련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강 질환 관련 미생물은 아그레가티박티 악티노마이세텀코미탄스(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Actinomyces viscosus), 아이케넬라 코로덴스(Eikenella corrodens), 그라눌리카텔라 아디아센스(Granulicatella adiacens)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 균주의 배양물을 제공한다. 상기 배양물이란 상기 WG.Q7 균주를 배양한 배양 배지 또는 배양액, 및 상기 배양 배지 또는 배양액에서 배양한 그 결과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상기 배양물은 상기 WG.Q7 균주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배양물은 그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제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양물은 액체 또는 고체일 수 있으며, 배양물의 원형 상태이거나 그의 농축된 형태 또는 건조된 형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 균주의 배양물의 배양 방법은 종균을 제조하는 단계, 배양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배양 배지에 종균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배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 균주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균제 조성물, 항균제 조성물, 화장품 원료, 발효 식품 및 건강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생균제 조성물은 인간이나 동물 등 숙주의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는 미생물 또는 그 성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숙주의 장내의 소화관 벽에 정착하여 다른 유해균의 정착 및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생균제 조성물이 생산하는 유익한 소화 효소는 영양소의 흡수 및 이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유산균 및 효모와 같은 유용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에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지만, 병원성 미생물 또는 구강 질환 관련 미생물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항균 활성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KCTC14893BP) 균주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강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치약, 구강 세정제, 구강용 정제, 검, 캔디, 구강 스프레이, 구강용 연고, 구강용 바니쉬, 및 구강용 패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제형으로 가공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KCTC14893BP) 균주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질환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구강 질환은, 구취, 치아 우식증, 치은염, 및 치주염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강 질환은 치아우식증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KCTC14893BP) 균주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KCTC14893BP) 균주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증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증은 위염, 위십이지장궤양, 위암, 위말트림프종, 빈혈, 자반병, 동맥경화증, 편두통, 불임 및 만성두드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험예를 기술함으로써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험예 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 WG.Q7 균주의 분리 및 동정
(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1) 3% Nacl 용액에 작게 자른 산삼을 침전시킨 후 3일 간격으로 MRS배지에 용액을 도말(spreading법 이용)하여 균 생성여부를 확인하였다.
2) 3% Nacl 용액에 작게 자른 산삼과 무를 침전시켰다. 3일 간격으로 MRS배지에 용액을 도말(spreading법 이용)하여 균 생성여부를 확인하였다.
3) 1)과 2) 모두 10일 후 침전용액을 배지에 도말하여 배양을 실시하였드며, 형성된 colony를 MRS고체배지에 Streaking하여 순수분리하였다.
4) 순수분리한 균주는 동정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나왔으며 20% glycerol 조성하여 -70℃ 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
(2) 16s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한 균주의 분석
유전학적 동정은 미생물 내에 존재하는 genomic DNA를 추출하여 동정에 이용이 되는 16s rRNA를 PCR 방법을 이용하여 증폭한 뒤 정제 과정을 거친 PCR 단편을 유전자 분석센터인 (주)마크로젠에 염기서열 분석을 의뢰하였다.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얻은 균주의 염기서열은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NCBI) 홈페이지 내에 존재하는 GeneBank database (http://blast.ncbi.nlm.nih.gov/Blast.cgi?PROGRAM=blastn&PAGE_TYPE=BlastSearch&LINK_LOC=blasthome)에서 BLASTN로 검색하여 기존에 보고된 미생물의 16s rRNA와 유사도를 비교하였다.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WG.Q7의 16s rRNA의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과 같은 염기서열을 갖는다.
[서열 번호 1]
GGCATCGCGCTAACTGCAGTCGACGAACTCTGGTATTGATTGGTGCTTGCATCATGATTTACATTTGAGTGAGTGGCGAACTGGTGAGTAACACGTGGGAAACCTGCCCAGAAGCGGGGGATAACACCTGGAAACAGATGCTAATACCGCATAACAACTTGGACCGCATGGTCCGAGTTTGAAAGATGGCTTCGGCTATCACTTTTGGATGGTCCCGCGGCGTATTAGCTAGATGGTGGGGTAACGGCTCACCATGGCAATGATACGTAGCCGACCTGAGAGGGTAATCGGCCACATTGGGACTGAGACACGGCCCAAACTCCTACGGGAGGCAGCAGTAGGGAATCTTCCACAATGGACGAAAGTCTGATGGAGCAACGCCGCGTGAGTGAAGAAGGGTTTCGGCTCGTAAAACTCTGTTGTTAAAGAAGAACATATCTGAGAGTAACTGTTCAGGTATTGACGGTATTTAACCAGAAAGCCACGGCTAACTACGTGCCAGCAGCCGCGGTAATACGTAGGTGGCAAGCGTTGTCCGGATTTATTGGGCGTAAAGCGAGCGCAGGCGGTTTTTTAAGTCTGATGTGAAAGCCTTCGGCTCAACCGAAGAAGTGCATCGGAAACTGGGAAACTTGAGTGCAGAAGAGGACAGTGGAACTCCATGTGTAGCGGTGAAATGCGTAGATATATGGAAGAACACCAGTGGCGAAGGCGGCTGTCTGGTCTGTAACTGACGCTGAGGCTCGAAAGTATGGGTAGCAAACAGGATTAGATACCCTGGTAGTCCATACCGTAAACGATGAATGCTAAGTGTTGGAGGGTTTCCGCCCTTCAGTGCTGCAGCTAACGCATTAAGCATTCCGCCTGGGGAGTACGGCCGCAAGGCTGAAACTCAAAGGAATTGACGGGGGCCCGCACAAGCGGTGGAGCATGTGGTTTAATTCGAAGCTACGCGAAGAACCTTACCAGGTCTTGACATACTATGCAAATCTAAGAGATTAGACGTTCCCTTCGGGGACATGGATACAGGTGGTGCATGGTTGTCGTCAGCTCGTGTCGTGAGATGTTGGGTTAAGTCCCGCAACGAGCGCAACCCTTATTATCAGTTGCCAGCATTAAGTTGGGCACTCTGGTGAGACTGCCGGTGACAAACCGGAGGAAGGTGGGGATGACGTCAAATCATCATGCCCCTTATGACCTGGGCTACACACGTGCTACAATGGATGGTACAACGAGTTGCGAACTCGCGAGAGTAAGCTAATCTCTTAAAGCCATTCTCAGTTCGGATTGTAGGCTGCAACTCGCCTACATGAAGTCGGAATCGCTAGTAATCGCGGATCAGCATGCCGCGGTGAATACGTTCCCGGGCCTTGTACACACCGCCCGTCACACCATGAGAGTTTGTAACACCCAAAGTCGGGTGGGGTAACCTTTTAGGAACAGCCGCCTAAGGTGGACAGATGATTAGGTGAGCANNNNGGGGGGNGGGCGCCAACAAAA.
상기 16S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계통발생론적으로 분석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NRRL B-14768(accession No: NR_042394.1) 16s rRNA 유전자와 99%(1442/1444)의 유사율을 나타냈으므로 분리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WG.Q7로 명명하였다.
<실험예 2>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 WG.Q7 균주의 항균력 실험
(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 균주 항균 활성 시험을 위한 준비
1) 균주(L. plantarum WG.Q7)을 2일간 MRS broth에서 30℃ 전배양한다.
2) 상기 배양액을 회수하여 0.2 um syringe filter로 제균하여 배양액만 회수한다.
3) 회수한 배양액에 시험 미생물 현탁액을 혼합한 후 22.5℃에서 Staphylococcus aures는 호기 조건, Porphyromonas gingivalis는 혐기 조건, Helicobacter pylori는 37℃에서 3% O, 10% CO2, Humidity 86% 조건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Actinomyces viscosus, Eikenella corrodens, Granulicatella adiacens 균주는 시험용액에 시험 미생물 현탁액을 혼합한 후 상온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4) 방치한 시험액은 단계희석하여 고체배지에 접종하여 시험 미생물에 대한 항균성을 확인하였다.
각각의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 측정 조건은 아래 [표 1]과 같다.
균주 배양 온도 대기조건 배양시간 배지
Staphylococcus aureus 37 Aerobic
24시간 TSA
Porphyromonas gingivalis 37 Anaerobic 10일 Blood TSA
Helicobacter pylori 37 3% O2, 10% CO2, Humidity 86% 10일 Bovine serum Brucella agar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37 5% CO2 3일 5% blood TSA
Actinomyces viscosus 37 5% CO2 3일 BHI
Eikenella corrodens 37 Aerobic 3일 5% blood TSA
Granulicatella adiacens 37 5% CO2 3일 5% blood TSA
(2) 병원성미생물에 대한 항균력 실험
시험 미생물 감소율(%)
Staphylococcus aures 99.9
Porphyromonas gingivalis 99.9
Helicobacter pylori 99.9
* 감소율(%) = <(초기균수-시간 경과 후 균수)/초기균수>*100
산삼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WG.Q7 유산균의 배양물의 병원성미생물 Staphylococcus aures 및 Porphyromonas gingivalis와 위건강과 관련된 미생물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 활성을 검증한 결과, 상기 병원성 및 위건강 관련 미생물에 대하여 99.9%의 높은 항균력이 측정되었다(도 1).
(2) 구강 질환 관련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 실험
시험 미생물 감소율(%)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99.9
Actinomyces viscosus 57.7
Eikenella corrodens 92.4
Granulicatella adiacens 85.0
* 감소율(%) = <(초기균수-시간 경과 후 균수)/초기균수>*100
산삼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WG.Q7 유산균의 배양물의구강 질환 관련 미생물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Actinomyces viscosus, Eikenella corrodens, Granulicatella adiacens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증한 결과, 모든 구강 질환 관련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 KCTC14893BP 20220310

Claims (11)

  1. 병원성 미생물 및 위건강과 구강 질환 관련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고,
    상기 병원성 미생물은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s) 또는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이고,
    상기 위건강 관련 미생물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이고,
    상기 구강 질환 관련 미생물은 아그레가티박티 악티노마이세텀코미탄스(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Actinomyces viscosus), 아이케넬라 코로덴스(Eikenella corrodens), 그라눌리카텔라 아디아센스(Granulicatella adiacens)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WG.Q7(KCTC14893BP) 균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기재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KCTC14893BP) 균주의 배양액.
  5. 제1항에 기재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KCTC14893BP) 균주 또는 제4항에 기재된 상기 균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로,
    상기 균주 및 배양액은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s) 또는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에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6. 제1항에 기재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KCTC14893BP) 균주 또는 제4항에 기재된 상기 균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상기 구강 질환은 아그레가티박티 악티노마이세텀코미탄스(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Actinomyces viscosus), 아이케넬라 코로덴스(Eikenella corrodens), 그라눌리카텔라 아디아센스(Granulicatella adiacens) 중 어느 하나로부터 유발되고,
    상기 구강 질환은, 구취, 치아 우식증, 치은염, 및 치주염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기재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KCTC14893BP) 균주 또는 제4항에 기재된 상기 균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질환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상기 구강 질환은 아그레가티박티 악티노마이세텀코미탄스(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Actinomyces viscosus), 아이케넬라 코로덴스(Eikenella corrodens), 그라눌리카텔라 아디아센스(Granulicatella adiacens) 중 어느 하나로부터 유발되고,
    상기 구강 질환은, 구취, 치아 우식증, 치은염, 및 치주염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10. 제1항에 기재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KCTC14893BP) 균주 또는 제4항에 기재된 상기 균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증은 위염, 위십이지장궤양, 위암, 위말트림프종, 빈혈, 자반병, 동맥경화증, 편두통, 불임 및 만성두드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230126646A 2023-09-21 2023-09-21 위건강과 구강질환 관련 미생물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산삼 유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637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6646A KR102637772B1 (ko) 2023-09-21 2023-09-21 위건강과 구강질환 관련 미생물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산삼 유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 균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6646A KR102637772B1 (ko) 2023-09-21 2023-09-21 위건강과 구강질환 관련 미생물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산삼 유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 균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772B1 true KR102637772B1 (ko) 2024-02-20

Family

ID=90056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6646A KR102637772B1 (ko) 2023-09-21 2023-09-21 위건강과 구강질환 관련 미생물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산삼 유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7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427B1 (ko) * 1989-09-15 1998-12-01 죠셉 에프. 멕카씨 원형 휘일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261172B1 (ko) 2004-06-14 2013-05-09 바이오가이아 에이비 치아우식증 및 치아우식증을 유발하는 박테리아를 감소시키기 위한 유산균의 선별과 용도
KR102052056B1 (ko) * 2017-12-13 2019-12-04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10336B1 (ko) * 2020-12-04 2021-10-07 주식회사 큐옴바이오 복합 소화 효소 생산능 및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60232B1 (ko) * 2021-03-26 2022-02-09 (주)바이오일레븐 구강질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427B1 (ko) * 1989-09-15 1998-12-01 죠셉 에프. 멕카씨 원형 휘일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261172B1 (ko) 2004-06-14 2013-05-09 바이오가이아 에이비 치아우식증 및 치아우식증을 유발하는 박테리아를 감소시키기 위한 유산균의 선별과 용도
KR102052056B1 (ko) * 2017-12-13 2019-12-04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10336B1 (ko) * 2020-12-04 2021-10-07 주식회사 큐옴바이오 복합 소화 효소 생산능 및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60232B1 (ko) * 2021-03-26 2022-02-09 (주)바이오일레븐 구강질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48347B (zh) 鼠李糖乳杆菌、鼠李糖乳杆菌制剂及其用途
US5951977A (en) Competitive exclusion culture for swine
RU2553547C2 (ru) ШТАММ Bacillus subtilis, ВЫРАБАТЫВАЮЩИЙ ПЕПТИД С ПРОТИВОМИКРОБ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И СПОСОБ ИНГИБИРОВАНИЯ НЕЖЕЛАТЕЛЬНЫХ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В МАТЕРИАЛЕ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ШТАММА
EP1840205B1 (en) Bifidobacterium lactis 668 strain used as a component for food products, starters, medicinal and cosmetic agents
CN1819771A (zh) 包含至少两种能定居在胃肠道中以及具有肠存活特性,肠结合特性,感染保护特性和纤维发酵特性的乳酸菌株的益生菌组合物
KR20120089530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Y99 및 이의 용도
KR20180059728A (ko) 신규한 와이셀라 시바리아 균주 및 이의 용도
Lin et al. Inhibitory effect of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paracasei NTU 101 on rat dental caries
KR20220139280A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룸 균주를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310123B1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생육을 저해하는 김치 유래 젖산균
KR20170020215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용 조성물
KR102207512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젠세니 swpm104
KR20060108964A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cbt―sl(5), 이를 이용한항균 배양액 분리농축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조성물
CN113273697A (zh) 一种抑制变异链球菌的益生菌组合物及其应用
JP7369976B2 (ja) 乳酸菌、該乳酸菌由来の自然免疫活性化剤、感染症予防・治療薬及び飲食品
KR20120118570A (ko) 락토코커스 락티스 (Lactococcus lactis) ET45 및 이의 용도
KR102637772B1 (ko) 위건강과 구강질환 관련 미생물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산삼 유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g.q7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80131823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류테리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84256B1 (ko)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제 및/또는 바실러스 균주 포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구강 건강 개선용 용도
KR20080087230A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그의 용도
KR101364695B1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생육을 저해하는 타락 유래 젖산균
CN115820450A (zh) 一株具有预防或治疗龋齿和牙周病功效的植物乳植杆菌及其应用
KR101649476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knu-1 (kctc18343p)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생육저해제
KR100720025B1 (ko) 프로바이오틱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11642746A (zh) 一种抑制口腔病原菌的食品、口腔清洁及医药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