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140B1 - 하수족 교정용 도구 - Google Patents
하수족 교정용 도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7140B1 KR102637140B1 KR1020217039069A KR20217039069A KR102637140B1 KR 102637140 B1 KR102637140 B1 KR 102637140B1 KR 1020217039069 A KR1020217039069 A KR 1020217039069A KR 20217039069 A KR20217039069 A KR 20217039069A KR 102637140 B1 KR102637140 B1 KR 1026371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lf
- plantar
- support
- distraction
- ank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44000309466 calf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58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10000004233 talus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371 to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06011 Strok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6010033799 Paraly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544 articulatio talocrurali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4701 Peroneal nerve pals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118 cerebral infar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106 cerebr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14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99 orthope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61F5/0113—Drop-foot applian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agnetic Ceramics (AREA)
Abstract
종래의 하수족 교정용 도구는, 발목에 장착했을 때에 신발을 신을 수 없거나, 장착 압력이 편기 하중이 되어 발목에 불필요한 부하 저항을 걸어 장착 작업 번잡하고 장시간의 장착 피로가 발목에 걸리거나, 교정 도구의 발목 유지 부분에 불필요한 부하가 걸려 교정 도구가 파손하거나 하는 등의 과제가 있었다.
종아리를 조이는 종아리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양측 하단을 아래쪽으로 신연한 종아리 신연부와, 다리의 저부 전단부를 재치 지지하는 족저 지지부와, 족저 지지부의 후단을 신연한 족저 신연부와, 종아리 신연부와 족저 신연부와의 선단부끼리를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추지부와, 종아리 지지체와 족저 지지부와의 사이에 개재된 가설한 조정용 밴드 부재와, 상기 밴드의 뒤쪽에서 종아리 지지체의 좌우 측면 지지체 사이에 가설한 당접 밴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족 교정용 도구.
종아리를 조이는 종아리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양측 하단을 아래쪽으로 신연한 종아리 신연부와, 다리의 저부 전단부를 재치 지지하는 족저 지지부와, 족저 지지부의 후단을 신연한 족저 신연부와, 종아리 신연부와 족저 신연부와의 선단부끼리를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추지부와, 종아리 지지체와 족저 지지부와의 사이에 개재된 가설한 조정용 밴드 부재와, 상기 밴드의 뒤쪽에서 종아리 지지체의 좌우 측면 지지체 사이에 가설한 당접 밴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족 교정용 도구.
Description
본 발명은, 척추 손상이나 뇌졸중 등의 질병으로 발끝이 늘어진 상태, 즉, 하수족 상태가 된 발목을 배굴 상태로 교정하기 위한 하수족 교정용 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척추 손상이나 뇌졸중의 결과로서 체구(體軀)가 자유롭지 않게 되어 발목이 아래쪽으로 늘어진 상태, 즉, 배굴위와 반대의 저굴위로 칭해지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보행 시에 아래쪽으로 늘어진 발끝이 노상의 미미한 볼록한 부분에 간섭하여 전도(顚倒)나 발목에 대한 이상 부하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저굴위에 의한 보행 시의 사고를 피하기 위해서 발목에 장착하여 발끝을 들어올려 하지와 배굴위 형태가 되도록 하는 교정 도구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2 참조).
특허 문헌 1의 교정 도구에서는, 대략 L자 형태로 형성한 경질 부재를, 환자의 다리의 뒤쪽 즉, 종아리 부분에서부터 발바닥, 발끝까지를 덮고, 상기 경질 부재를 환자의 다리의 앞쪽 즉, 정강이와 발목을 벨트 부재로 고정하여, 배굴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의 교정 도구에서는, 종아리 부분을 뒤쪽에서부터 지지하는 서포트 프레임과, 발바닥을 아래쪽에서부터 지지하는 족부 서포트 저대와, 서포트 프레임에 설치한 용수철을 사용한 탄성 모듈로 구성되며, 탄성 모듈은 족부 서포트 저대에 접속하여, 서포트 프레임과 족부 서포트 저대를 대략 く자 모양으로 연결시킨다.
하수족 상태의 환자에게 상기 교정 도구를 장착하는 것으로, 탄성 모듈의 용수철의 힘에 의해 환자의 다리를 위쪽으로 들어올릴 수 있어 배굴위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이 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교정 도구는 특허 문헌 1과 같이, 발목에 장착했을 때에 부피가 커서 통상의 신발을 신을 수 없거나, 특허 문헌 2와 같이, 용수철의 탄성력에 의한 압력이 발목에 불필요한 부하 저항을 가하거나, 또는 발목에 장착하는 작업이 번잡하거나, 장시간 장착하면 장착압력이 편기 하중으로 발목에 불필요한 부하를 가하게 되어, 교정 피로가 발목에 가해지는 피로 부하가 축적되면 교정과 반대의 결과가 발목에 생길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종아리를 조여서 배후에서부터 지지하는 종아리 지지체와, 발목의 전면 굴곡부를 조이는 조정용 밴드 부재와, 족저부의 전단부를 지지 재치하는 족저 지지부와의 3점 지지에 의해 발목 전체를 전후측과 족저부에서 고정하여 확실히 발목을 배굴 상태로 고정하여 아래쪽으로 수하하는 하수족을 교정함으로써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용 도구는, 종아리를 조이는 종아리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양측 하단을 아래쪽으로 신연한 종아리 신연부와, 다리의 저부 전단부를 재치 지지하는 족저 지지부와, 족저 지지부의 후단을 신연한 족저 신연부와, 종아리 신연부와 족저 신연부와의 선단부끼리를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추지부(樞支部)와, 종아리 지지체와 족저 지지부와의 사이에 개재된 가설한 조정용 밴드 부재와, 상기 밴드의 뒤쪽에서 종아리 지지체의 좌우 측면 지지체 사이에 가설한 당접 밴드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추지부는 발목의 복사뼈보다 아래쪽 위치에 배열 설치되는 것에도 특징이 있다.
또한, 조정용 밴드 부재는 좌우의 족저 신연부와 좌우의 종아리 신연부와의 사이에 비스듬히 교차로 가설된 것에도 특징이 있다.
또, 종아리 지지체와 종아리 신연부와 족저 지지부와 족저 신연부는 경질의 폴리에틸렌 소재 또는 카본 소재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종아리를 조이는 종아리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양측 하단을 아래쪽으로 신연한 종아리 신연부와, 다리의 저부 전단부를 재치 지지하는 족저 지지부와, 족저 지지부의 후단을 신연한 족저 신연부와, 종아리 신연부와 족저 신연부와의 선단부끼리를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추지부와, 종아리 지지체와 족저 지지부와의 사이에 개재된 가설한 조정용 밴드 부재와, 상기 밴드의 뒤쪽에서 종아리 지지체의 좌우 측면 지지체 사이에 가설한 당접 밴드 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리 저부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것은 아니고 그 저부 전단부만을 지지하고 있어, 다리 저부가 넓게 열린 구조가 되고 있는 것으로 하수족 교정용 도구 전체를 경량화, 장착 시나 작동 시에 족저로부터의 감각이 발바닥에 느껴져 보행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또, 발목 중 족저부의 전단부는 족저 지지부에서, 후단부는 해방되어 관절의 발목 앞 부분은 조정용 밴드 부재로 고정되기 때문에 족저부를 최소 면적의 하수족 교정용 도구로 피복하게 됨으로써, 보다 경량화와 함께 신발을 신을 때의 지장이 되는 부재를 최소한도로 억제하여 신발을 신기 쉽고, 또 신발을 신어도 보행에 지장이 없는 효과가 있다.
또, 종아리를 조여 배후로부터 지지하는 종아리 지지체와, 발목의 전면 굴곡부를 조이는 조정용 밴드 부재와, 족저부의 전단부를 지지 재치하는 족저 지지부와의 3점 지지에 의해 발목 전체를 전후측과 족저부로부터 고정하기 위해서 간소한 구조임에도 확실하게 발목을 배굴 상태로 고정하여 아래쪽으로 수하하는 하수족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1개의 밴드를 조이는 것으로 장착 가능하기 때문에, 뇌졸중의 후유증 등으로 한쪽이 마비가 된 사용자에게도 한 손으로 장착 용이하여, 장착 시간을 큰 폭으로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추지부는 발목의 복사뼈보다 아래쪽 위치에 배열 설치하는 것에 의해, 복사뼈를 중심으로 발목이 회동할 때에 추지부는 그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발목의 회동에 관계없이 추지부의 위치가 변위하지 않아 추지부와 관련하여 작동하는 다른 부재에 편기 하중이 걸리지 않아 종아리 지지체나 조정용 밴드 부재가 정확하고 확실하게 작동하여 발목의 배굴 고정을 실시하여 하수족 상태의 보행을 회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좌우 추지부 사이에 당접 벨트를 가설하여 종아리의 하단부 전면에 의해서 상기 벨트와 함께 조정용 밴드 부재를 전방향으로 압압하도록 구성한 것에 의해, 하지의 뒤쪽을 하지 지지체로 고정하고, 하지의 전부를 발목의 굴곡부 앞 부분에 바로 접한 당접 벨트로 조정용 밴드 부재를 압압하여 발목을 전후 측면에서 압압 지지하게 되어 발목을 전후면으로부터 더욱 확실히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조정용 밴드 부재는 좌우의 족저 신연부와 좌우의 종아리 신연부와의 사이에 비스듬히 교차로 가설한 것에 의해, 비스듬한 교차 부분이 꼭 발목의 관절 앞 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종아리 지지체와 함께 발목을 전후로부터 협지한 형태로 확실히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저굴위 상태의 발목이 비스듬히 교차한 부분과 종아리의 뒤편을 조여 지지하는 종아리 지지체와 족저를 하부로부터 지지하는 족저 지지부와에 의한 전후방향 및 저면 방향에서의 3방향의 발목 지지 교정에 의해 배굴 형태를 유지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경질판을 폴리에틸렌 재료 또는 카본 소재로 한 것으로 일정한 경도를 가져 확실히 발목을 수평 지지하여 보행에 지장이 없는 교정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 용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용 도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용 도구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용 도구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용 도구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용 도구를 장착했을 때의 다리에의 작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 도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 도구를 장착한 상태로 신발을 신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 도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 도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용 도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용 도구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용 도구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용 도구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용 도구를 장착했을 때의 다리에의 작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 도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 도구를 장착한 상태로 신발을 신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 도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 도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이 발명의 요지는, 종아리를 조이는 종아리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양측 하단을 아래쪽으로 신연한 종아리 신연부와, 다리의 저부전단부를 재치 지지하는 족저 지지부와, 족저 지지부의 후단을 신연한 족저 신연부와, 종아리 신연부와 족저 신연부와의 선단부끼리를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추지부와, 종아리 지지체와 족저 지지부와의 사이에 개재된 가설한 조정용 밴드 부재와, 상기 밴드의 뒤쪽에서 종아리 지지체의 좌우 측면 지지체 사이에 가설한 당접 밴드 부재로 이루어진 것, 추지부는 발목의 복사뼈보다 아래쪽 위치에 배열 설치한 것, 및 좌우 추지부 사이에 당접 벨트를 가설하여 종아리의 하단부 전면에 의해서 상기 벨트를 앞 방향으로 압압하도록 구성한 것, 및 조정용 밴드 부재는 좌우의 족저 신연부와 좌우의 종아리 신연부와의 사이에 비스듬히 교차로 가설한 것과 및 경질판의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을 재료로 한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용 도구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 설명한다. 도 1∼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 도구의 전체를 나타내고 있으며, 각각 도 1은 사시도, 도 2는 정면도, 도 3은 배면도, 도 4는 우측면도, 도 5는 좌측면도이다. 또,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 도구를 장착했을 때의 다리의 지지 작용을 나타내는 모식적 설명도이다. 또,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하수족 교정 도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하수족 교정용 도구(M) 중 종아리를 조이는 종아리 지지체(1)는 도 1∼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족 교정용 도구(M)의 최후부에 배열 설치되고 있어 하지의 양측면을 피복하여 바로 접하는 좌우 측면 지지체(11,11')와 그 뒷부분에서 하지의 뒤 측면을 피복하여 바로 접하는 후면 지지체(12)로 구성되어 있으며, 좌우 측면 지지체(11,11')와 후면 지지체(12)에 의해 하지의 전면을 제외한 삼면측을 횡단면 대략 U자 형태로 피복하고 있다.
또한, 후면 지지체(12)는 일측단 가장자리를 우측면 지지체( 11')에 절곡이 자유롭게 추지 고정하고, 타측단 가장자리를 매직 테이프(등록상표) 등의 연결 부재(13)와 좌측면 지지체(11)에 연결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좌우 측면 지지체(11,11')는 하부를 대략 U자 모양의 연장하여 설치 부재 14로 일체로 연결하고 있어, 장착 시에 하지 전 측면과 바로 접한다. 따라서, 하지 후 측면에 바로 접하는 후면 지지체(12)와 함께 협동하여 하지를 전후 좌우로부터 위요하여 확실하게 지지 고정한다.
이와 같이 종아리 지지체(1)는 좌우 일체로 연결한 단면이 대략 U자 모양의 좌우 측면 지지체(11,11')와 이것에 연결한 후면 지지체(12)에 의해 하지의 주위면을 확실하면서도 긴밀히 위요하여 조일 수 있다.
종아리 지지체(1)의 좌우 측면 지지체(11,11') 하부는 아래쪽으로 신연하여 좌우 종아리 신연부(15,15')를 형성하고 있다.
좌우 종아리 신연부(15,15') 하단은 추지부(2)를 통해 다리의 저부 전단을 재치 지지하는 족저 지지부(3)와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즉, 족저 지지부(3)는 다리의 전단부를 재치 지지하도록 일정한 발 폭을 갖는 긴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있어, 그 융기부(3a, 3a')에는 족저 지지부(3)의 후단을 신연한 좌우 족저 신연부(31, 31')가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즉, 족저 지지부(3)의 양단부는 다리의 두께에 대략 대응하는 높이로 융기하고 이와 같은 융기부(3a,3a')가 다리의 양측면을 협지 지지한다.
융기부(3a, 3a')는 또한 뒤쪽으로 신연하여 좌우 족저 신연부(31, 31')를 형성하고 그 후단부는 추지부(2)에 이르러, 좌우 종아리 신연부(15,15')의 하단과 추지부(2)를 통해 추지 연결되고 있다.
추지부(2)는 발목의 복사뼈의 위치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보행 시에 발목을 절곡할 때에 발목의 절곡 조작이 실시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추지부(2)를 중심으로 종아리 신연부(15,15')와 족저 신연부(31, 31')와의 선단부끼리가 절곡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있기 때문에, 환자가 하수족 교정용 도구(M)를 장착했을 경우에 발목은 대략 L자 모양으로 유지되어 보행할 때에 발목이 안쪽, 즉, L자 보다 각도가 작아지도록 절곡 동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수족 교정용 도구(M)를 장착한 상태에서 배굴 위치가 자유롭게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주저앉는 동작이나 계단의 오르내림의 동작을 실시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그 반대의 L자보다 큰 각도에는 후술하는 조정용 밴드 부재(41)에 의해서 규제되어 발목이 배굴을 유지하여 저굴이 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추지부(2)는, 좌우의 종아리 신연부(15,15')와 좌우의 족저 신연부(31, 31')와의 각 선단부에서 추지되고 있으며, 좌우의 추지부(2)의 사이에는 벨트가 가설되고 있어 이것을 당접 밴드 부재(4)로 하고 있다.
당접 밴드 부재(4)는 중앙부(4a)가 조정용 밴드 부재(41)의 비스듬히 교차한 X자 교차부(42)에 대응하는 뒤측 위치에 위치하도록 좌우의 추지부 사이에 가설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당접 밴드 부재(4)는 하수족 교정용 도구(M)를 장착했을 때에 환자의 발목의 앞쪽에서 기울어진 아래 뒤쪽, 즉 뒤꿈치의 방향을 향해 끌어당기게 되어 있어 당접 밴드 부재(4)는 발목에서 누르면 그 앞에 있는 조정용 밴드 부재 (41)가 비스듬히 교차한 교차부(42)를 누르게 되고, 이와 같은 동작은 저굴 상태의 발목을 배굴로 교정하도록 발목을 L자형 모양으로 교정한다.
즉, 좌우의 족저 신연부(31, 31')와 좌우의 종아리 신연부(15,15')와의 사이에는 1개의 밴드가 발목의 앞 부분에서 교차하도록 비스듬히 교차하여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한쪽의 족저 신연부(31) 또는 (31')의 시단부에 밴드의 일단을 고정하고, 그대로 종아리 지지체(1)에 있어서의 좌우 측면 지지체(11,11')에 천설한 좌우 관통 홀의 한쪽 홀에 넣어 다른 쪽 홀로 인출하여 발목의 전면 중앙부에서 교차하면서 밴드의 타단을 다른 쪽 족저 신연부(31') 또는 (31)의 시단부에 고정한다.
이와 같은 조정용 밴드 부재(41)는 중도를 분리한 양단의 연결 겹침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조정용 밴드 부재(41)의 텐션이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조정용 밴드 부재(41)의 후방에서는 종아리 지지체(1)의 좌우의 측면 지지체(11,11') 사이에 당접 밴드 부재(4)가 가설되고 있으며, 발목의 전면에 바로 붙어 발목의 전(前) 이동을 받아 발목의 중심 부위를 고정하는 기능을 완수한다.
또한, 좌우의 족저 신연부(31, 31')와 좌우의 종아리 신연부(15,15')와 종아리 지지체(1)는 소재를 경질판은 폴리에틸렌 소재 또는 카본 소재로 함으로써 확실히 발목을 지지하여 저굴위 상태의 변형 발목을 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발목의 교정 도구는 기본적으로는 교정 도구의 구조를 가급적으로 단순하게 함과 동시에 교정에 필수적인 중요한 발목 압압 지지포인트를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3점(X, Y, Z)으로 조여서 3점의 교정 지지포인트에 의해 불필요한 부하를 발목에 거는 일 없이 확실하게 저굴위 형태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3점 지지의 포인트(X, Y, Z)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좌우의 종아리 지지체(1)에 있어서의 종아리의 후면을 조여 지지하는 부분(X) 2. 좌우의 족저 신연부(31, 31')와 좌우의 종아리 신연부(15,15')와의 사이에 비스듬히 교차 가설한 조정용 밴드 부재(41) 및 그 배면으로부터 발목을 압압하여 발목의 중심 위치인 관절 전 측면을 향하는 부분(Y) 3. 좌우의 족저 지지부(3)의 양단부에 있어서의 다리의 두께 대응 높이의 융기부(3a, 3a')의 대응하는 부분(Z)으로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3점의 지지 포인트에 의해 확실히 하수족 상태가 된 발목을 배굴 상태로 교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하수족 교정 도구(M)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한 상태로 추지부(2)가 장착자의 복사뼈보다 아래쪽 위치가 되기 때문에, 종래까지의 추지부를 복사뼈의 위치로 한 하수족 교정 도구에 비해, 부피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 때문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자는 하수족 교정 도구(M)를 장착한 상태로 평상시 신고 있는 스니커즈 등의 신발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익숙한 신발의 착용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외적 미관을 해치는 일 없이 생활할 수 있다.
또 보행 시에는, 지면에서 전해지는 발바닥의 감각이 균형을 잡거나 발을 차는 동작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중요하지만, 종래의 뇌하수족 교정구는 발바닥 전체를 아래에서 지탱하는 구성의 것이 많아 발바닥으로 전해지는 감각의 양호성이 나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하수족 교정 도구(M)는 기존의 하수족 교정 도구와는 달리 발바닥 지지부(3)가 발바닥 전체를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발끝 측의 최소한의 지지만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장착했을 때 지면으로부터의 감각을 직접 또는 신발 너머로 발바닥으로 느낄 수 있어 보행에 우위를 주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면 지지체(12)의 일측단을 우측면 지지체(11')에 추지 고정 시에, 고정구로서 우측면 지지체 (11')에 설치한 기보시 금구(13a)와 후면 지지체(12)에 천설한 도금대 홀(13b)로 실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금대 홀(13b)은 기보시 금구(13a)의 머리보다 큰 지름의 홀과 기보시 금구의 머리보다 작은 지름의 홀을 중복시켜서 늘어선 형상으로 하고 있다.
즉 장착자는 통상 장착할 때, 이 도금대 홀(13b) 지름이 큰 쪽에 기보시 금구(13a)를 삽입시키고, 옆쪽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으로 작은 지름의 홀에 기보시 금구(13a)를 걸어 고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12)의 일측단을 우측면 지지체(11')에 추지 고정 시에, 고정구로서 우측면 지지체(11') 및 후면 지지체(12)에 설치한 강력한 마그넷(13c, 13c')을 사용하고, 후면 지지체(12)의 선단 측에 장착을 보조하기 위한 장착 보조 홀(13d)를 천설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장착자는 통상 장착할 때, 장착 보조홀(13d)에 손가락을 통해 후면 지지체(12)측의 마그넷(13c')을 우측면 지지체(11')에 설치한 마그넷(13c)에 접근하는 것으로 마그넷(13c,13c')끼리가 서로 끌어 당기는 것으로 장착할 수 있다.
그런데, 경추 손상이나 뇌경색 등의 질환의 후유증으로서 한쪽이 마비된 환자는, 하수족 증상과 함께 손의 자유도가 현저하게 저하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2개의 실시예에서는,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어, 손의 자유도가 현저하게 저하해 버린 사람이라도, 혼자서 신속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상술의 2개의 구성 중 몇 개의 구성으로 했을 경우에는, 일상적인 착탈을 간소화함과 동시에, 후면 지지체(12)의 타측단에 설치한 연결 부재(13), 예를 들면 매직 테이프(등록상표)에 의해 장착의 조절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왼발용 구성을 설명했지만, 오른쪽 다리에 장착하는 경우 각 구성이 좌우 대칭으로 변경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 상술한 각종 효과는, 본 발명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장 적합한 효과를 열거한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본 실시예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 하수족 교정용 도구, 1; 종아리 지지체,
11,11'; 좌우 측면 지지체, 12; 후면 지지체,
13; 연결 부재, 14; 연설 부재,
15,15'; 좌우 종아리 신연부, 2; 추지부,
3; 족저 지지부, 3a,3a'; 융기부,
31, 31'; 좌우 족저 신연부, 4; 당접 벨트,
4a; 중앙부, 41; 조정용 밴드 부재,
42; 교차부.
11,11'; 좌우 측면 지지체, 12; 후면 지지체,
13; 연결 부재, 14; 연설 부재,
15,15'; 좌우 종아리 신연부, 2; 추지부,
3; 족저 지지부, 3a,3a'; 융기부,
31, 31'; 좌우 족저 신연부, 4; 당접 벨트,
4a; 중앙부, 41; 조정용 밴드 부재,
42; 교차부.
Claims (5)
- 하지의 양측면을 피복하여 바로 접하는 좌우 측면 지지체(11,11')와,
상기 좌우 측면 지지체 뒷부분에서 하지의 뒤 측면을 피복하여 바로 접함과 동시에 일측단 가장자리는 좌우측 지지체에 절곡이 자유롭게 추지 고정하고、타측단 가장자리는 좌측면 지지체에 연결 가능하게 한 후면 지지체(12)에 의해 장착 시에 하지의 전면을 제외한 삼면측을 피복하는 횡단면 U자 형태로 형성한 종아리 조임을 위한 종아리 지지체(1)와,
종아리 지지체(1)의 좌우 측면 지지체 하부를 아래쪽으로 신연한 좌우 종아리 신연부(15)와,
종아리 신연부와 족저 신연부와의 선단부끼리를 자유롭게 접을 수 있게 한 추지부(樞支部)와,
좌우 지지부 사이에 당접 벨트를 가설하여, 종아리의 하단부 전면에 의해서 상기 벨트를 전방향으로 압압하도록 구성한 당접 벨트와,
좌우 종아리 신연부의 하단을 추지부(2)를 통해 다리의 저부 전단부를 재치 지지하는 족저 지지부와,
족저 지지부의 양단부에서 다리의 두께에 대응한 높이로 융기 형성된 융기부(3a,3a')와,
족저 지지부의 후단을 신연한 족저 신연부와,
종아리 신연부와 족저 지지부와의 사이에 개재되고, 좌우의 족저 신연부와 좌우의 종아리 신연부와의 사이에 비스듬히 교차 가설한 조정용 밴드 부재(41)와,
상기 밴드의 뒤쪽에서 종아리 지지체의 좌우 측면 지지체 사이에 가설한 당접 밴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족 교정용 도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종아리 지지체와 종아리 신연부와 족저 지지부와 족저 신연부는 경질의 폴리에틸렌 소재 또는 카본 소재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족 교정용 도구.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21/008465 WO2022185483A1 (ja) | 2021-03-04 | 2021-03-04 | 下垂足矯正用具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5671A KR20220125671A (ko) | 2022-09-14 |
KR102637140B1 true KR102637140B1 (ko) | 2024-02-16 |
Family
ID=83154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39069A Active KR102637140B1 (ko) | 2021-03-04 | 2021-03-04 | 하수족 교정용 도구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7140B1 (ko) |
CN (1) | CN115315240A (ko) |
WO (1) | WO202218548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4202B1 (ko) * | 2020-12-11 | 2022-09-16 |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 침상용 발목 보조기 |
US12186220B1 (en) * | 2024-06-21 | 2025-01-07 | Joseph B Sia | Stimulating foot bra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1203B1 (ko) | 2014-11-05 | 2015-06-24 | 송회덕 | 발목관절보조기 |
CN107496065A (zh) * | 2017-09-20 | 2017-12-22 |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 智能调整型足下垂康复矫形器 |
CN106535832B (zh) * | 2014-05-05 | 2020-05-12 | Nea国际有限公司 | 踝足矫形器 |
CN210872273U (zh) * | 2019-02-28 | 2020-06-30 | 右江民族医学院附属医院 | 一种预防足下垂的脚托器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19925U (ko) * | 1986-01-22 | 1987-07-30 | ||
JPH07255798A (ja) * | 1994-03-18 | 1995-10-09 | Furumoto Hiromichi | 医療用補助具 |
JP2869485B2 (ja) * | 1996-12-21 | 1999-03-10 | 弘 奥村 | 足矯正用装具 |
JP3149831U (ja) * | 2009-02-02 | 2009-04-16 | 和好 森山 | 足サポータ |
JP6598246B2 (ja) | 2015-10-26 | 2019-10-30 | 公立大学法人大阪 | 短下肢装具 |
CN207613922U (zh) * | 2017-05-09 | 2018-07-17 | 百安健康复医疗(深圳)有限公司 | 一种踝足矫形器 |
-
2021
- 2021-03-04 WO PCT/JP2021/008465 patent/WO202218548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03-04 CN CN202180004127.9A patent/CN115315240A/zh active Pending
- 2021-03-04 KR KR1020217039069A patent/KR10263714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35832B (zh) * | 2014-05-05 | 2020-05-12 | Nea国际有限公司 | 踝足矫形器 |
KR101531203B1 (ko) | 2014-11-05 | 2015-06-24 | 송회덕 | 발목관절보조기 |
CN107496065A (zh) * | 2017-09-20 | 2017-12-22 |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 智能调整型足下垂康复矫形器 |
CN210872273U (zh) * | 2019-02-28 | 2020-06-30 | 右江民族医学院附属医院 | 一种预防足下垂的脚托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85483A1 (ja) | 2022-09-09 |
KR20220125671A (ko) | 2022-09-14 |
CN115315240A (zh) | 2022-1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71319B2 (en) | Orthopedic device for treating drop foo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
EP2442763B1 (en) | Orthotic lift apparatus | |
US6793640B1 (en) | Ankle support | |
US10105252B2 (en) | Orthotic device | |
KR101615450B1 (ko) | 착탈이 용이한 단하지 보조기 | |
CN106535832A (zh) | 踝足矫形器 | |
KR102637140B1 (ko) | 하수족 교정용 도구 | |
US20190133807A1 (en) | Orthosis | |
US11278439B2 (en) | Ankle-foot orthosis | |
JP3218602U (ja) | 足部補助具 | |
KR20220037621A (ko) | 족하수 발목 보조기 | |
KR100388136B1 (ko) | 인체공학적 단하지 보조기 | |
KR20230049300A (ko) | 다리교정 무릎보조기 | |
US20080178495A1 (en) | Foot Clip | |
KR102166303B1 (ko) | 족하수 지지구 | |
JP3217189U (ja) | 短下肢装具 | |
JP2005279153A (ja) | 歩行矯正器 | |
TWI783766B (zh) | 足下垂矯正用具 | |
KR200442354Y1 (ko) | 보행보조 기능을 구비한 근육 인대 보호구 | |
CN221229476U (zh) | 一种可旋转的足部外骨骼 | |
CA2260298A1 (en) | Foot leverage system and method | |
CN221512344U (zh) | 一种足部外骨骼 | |
CN221512345U (zh) | 一种扭力可调的足部外骨骼 | |
KR20250096113A (ko) | 장애인용 발 보호대 | |
KR101921718B1 (ko) | 발목 보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1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0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