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024B1 - 동물의 동맥관 개존증의 치료를 위한 카테터와 오클루더 및 이를 포함하는 폐색 기구 - Google Patents

동물의 동맥관 개존증의 치료를 위한 카테터와 오클루더 및 이를 포함하는 폐색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024B1
KR102637024B1 KR1020210154168A KR20210154168A KR102637024B1 KR 102637024 B1 KR102637024 B1 KR 102637024B1 KR 1020210154168 A KR1020210154168 A KR 1020210154168A KR 20210154168 A KR20210154168 A KR 20210154168A KR 102637024 B1 KR102637024 B1 KR 102637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cluder
catheter
pusher
tip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8141A (ko
Inventor
김민수
김대식
강성권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54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024B1/ko
Publication of KR20230068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27Type of occlusion
    • A61B17/12031Type of occlusion complete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61B17/12145Coils or wires having a pre-set deployed three-dimension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00Surgical instruments for veterinary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575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for closure at remote site, e.g. closing atrial septum defects
    • A61B2017/00606Implements H-shaped in cross-section, i.e. with occluders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575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for closure at remote site, e.g. closing atrial septum defects
    • A61B2017/00623Introducing or retriev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575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for closure at remote site, e.g. closing atrial septum defects
    • A61B2017/00632Occluding a cavity, i.e. closing a blind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ard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 전용의 의료기기로서, 동맥관 개존증과 같은 선천성 심장기형을 치료하기 위해 동맥관을 폐색시키는 중재적 시술을 시행하도록 하는 동물의 동맥관 개존증의 치료를 위한 카테터와 오클루더 및 이를 포함하는 폐색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동물의 혈관 병변의 위치로 진입 중에 수축되고, 혈관 병변의 위치로 진입되면 확장되면서 혈관의 폐색을 유도하며, 동물 혈관의 사이즈에 대응한 제품크기를 갖는 오클루더(200)와; 상기 오클루더(200)를 동물의 혈관 병변의 위치로 진입되게 중재시술을 위한 진입로를 제공하며, 중재시술 중인 해당 동물의 혈관 크기에 맞는 오클루더(200)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카테터(100)와; 상기 카테터(100)에 장착된 오클루더(200)를 혈관 병변의 위치로 밀어 진입시키는 밀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동물의 동맥관 개존증의 치료를 위한 카테터와 오클루더 및 이를 포함하는 폐색 기구{Development of an occluder for the interventional treatment of patent ductus arteriosus in animal}
본 발명은 동물 전용의 의료기기로서, 동맥관 개존증과 같은 선천성 심장기형을 치료하기 위해 동맥관을 폐색시키는 중재적 시술을 시행하도록 하는 동물의 동맥관 개존증의 치료를 위한 카테터와 오클루더 및 이를 포함하는 폐색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맥관 개존증은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를 연결하는 동맥관이 출산 후에도 닫히지 않고 열려 있는 상태의 선천성 심장기형의 일종이며, 특히 국내 반려동물 중 선천성 심장기형은 5 ~ 10% 정도로 발생하고 그 중에는 동맥관 개존증이 가장 많은데 치료하지 않으면 심장기능의 이상으로 동물이 사망할 수 있어 수술 또는 중재적 시술을 이용한 치료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동물의 동맥관 개존증 치료를 위해서는 개흉술로 치료하거나 중재적 시술용으로 개발된 폐색 기구를 사용하는데, 이중 폐색 기구는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의 동맥관 안에 폐색 기구를 장착시켜 혈액을 응고시키면서 폐색을 유도하거나, 혈관 내에 혈전을 유발시켜 폐색을 유도할 수 있으며, 중재적 시술을 위한 의료기구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낮은 합병증 발생률을 보여 개흉술 대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32308호를 살펴보면, 조직 또는 맥관에 있는 구멍을 폐색하는 폐색 기구는 제1 가요성 와이어와 제2 가요성 와이어를 포함한다. 제1 가요성 와이어와 제2 가요성 와이어 각각은 형상 기억 재료로 이루어진다. 제1 가요성 와이어와 제2 가요성 와이어 각각은 제1 가요성 와이어의 제1 기하 형태와 제2 가요성 와이어의 제1 기하 형태가 제1 평면에 제1 판을 형성하고, 제1 가요성 와이어의 제2 기하 형태와 제2 가요성 와이어의 제2 기하 형태가 제1 평면과 평행하게 제1평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 평면에 제2 판을 형성하도록 제1 기하 형태와 제2 기하 형태로 성형된다. 제1 판과 제2 판은 제1 가요성 와이어이 2개 부분과 제2 가요성 와이어의 2개 부분으로 형성된 웨이스트에 의해 분리되는 구조의 심장 폐색 기구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6911호를 살펴보면, 서로 접히는 적어도 3개의 역전된 접이식 층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접이식 구조를 갖는 폐색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역전된 접이식 층은 비접이식 구조로 카테터 내에 분리 배치되고, 카테터로부터 전개될 때 미리 설정된 접이식 구조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폐색 재료는 미리 설정된 접이식 구조로 그를 통한 유체 흐름을 위한 중앙 통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의료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동물의 혈관 크기가 사람과는 다르고, 이에 따라 사람의 중재적 시술용으로 개발한 폐색 기구를 동물에게 바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기존 폐색 기구는 혈관 크기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는 다수의 진입 카테터 중에서 알맞은 크기의 카테터를 선택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해당 진입 카테터와 함께 사용되는 관련 소모품이 많아 비용이 증가될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진입 카테터가 제작됨으로 대량 생산이 용이하지 않으며, 경쟁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32308호(등록일:2018.12.18)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6911호(공개일;2011.04.12)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물 전용의 폐색 기구를 제공하고, 혈관 병변까지 진입하는 카테터의 크기는 동일하게 유지 시키면서 혈관 병변에 고정되어 폐색을 유도하는 오클루더의 크기만 동물의 혈관 사이즈에 대응하여 각각의 사이즈에 알맞는 크기로 다수 제작하여 선택 사용되게 함에 따라 다양한 혈관 크기를 갖는 동물들에 대응하여 진입 카테터는 그대로 사용하고, 오클루더를 선택 사용하는 방식으로 진입 카테터와 함께 사용되는 관련 소모품을 추가로 필요하지 않도록 하여 비용을 효율적으로 줄이고, 오클루더의 크기만 교체 사용함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이에 따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동물의 동맥관 개존증의 치료를 위한 오클루더에 있어서,
동물의 혈관 병변의 위치로 진입 중에 수축되고, 혈관 병변의 위치로 진입되면 확장되면서 혈관의 폐색을 유도하며, 동물 혈관의 사이즈에 대응한 제품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클루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클루더가 장착되는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오클루더를 동물의 혈관 병변의 위치로 진입되게 중재시술을 위한 진입로를 제공하며, 중재시술 중인 해당 동물의 혈관 크기에 맞는 오클루더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클루더와; 카테터; 및,
상기 카테터에 장착된 오클루더를 혈관 병변의 위치로 밀어 진입시키는 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색 기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물 전용의 폐색 기구이며, 다양한 혈관 크기를 갖는 동물들에 대응하여 진입 카테터는 그대로 사용되고 오클루더를 선택 사용하는 방식에 의해 진입 카테터와 함께 사용되는 관련 소모품이 필요하지 않아 비용이 효율적으로 줄고, 오클루더의 크기만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어 오클루더의 제작편의성에 의해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경쟁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색 기구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클루더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색 기구 중 밀대의 구성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색 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의 동맥관 개존증의 치료를 위한 카테터와 오클루더 및 이를 포함하는 폐색 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는 카테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은 오클루더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밀대의 측면도이다.
이에 따른 카테터(100)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중재시술을 위한 진입로를 제공하며, 중재시술 중인 해당 동물의 혈관 크기에 맞는 오클루더(200)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오클루더(200)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동물의 혈관 병변의 위치에서 혈관의 폐색을 유도하며, 동물 혈관의 사이즈에 대응한 제품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폐색 기구(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카테터(100); 오클루더(200) 및 카테터(100)에 장착된 오클루더(200)를 혈관 병변의 위치로 밀어 진입시키는 밀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의 동맥관 개존증의 치료를 위한 카테터와 오클루더 및 이를 포함하는 폐색 기구를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카테터(100)는;
오클루더(200)를 동물의 혈관 병변의 위치로 진입되게 중재시술을 위한 진입로를 제공하며, 중재시술 중인 해당 동물의 혈관 크기에 맞는 오클루더(200)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이다. 카테터(100)는 개흉술보다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의 동맥관에 오클루더(200)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제작된 기구이다.
한편, 상기 카테터(100)는 혈관을 따라 삽입되어 오클루더(200)의 진입로가 되는 시스튜브(110);를 더 포함한다.
시스튜브(110)는 오클루더(200)를 내부로 통과시키면서 혈관의 병변 위치로 투입 가능하게 통로 기능을 하는 연질의 가요성을 갖는 관체이다.
여기서 시스튜브(110)는 선단이 활 모양으로 굽은 만곡부(111)가 마련되며, 만곡부(111)는 대동맥에서 폐동맥으로 진입을 위해 시스튜브(110)의 선단에서 임의 반경을 갖으면서 형성되고, 만곡부(111)의 끝단은 임의 경사로 꺾이면서 직선형의 통로로 직선부(112)가 형성되어 오클루더(200)의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시스튜브(110)는 커넥터(120)에 끼워져 연결되게 하는 연결부(113) 및 연결부(113)를 보강하는 보강부(114)를 더 포함한다.
연결부(113)는 시스튜브(110)의 후단에 연결되는 관체로 커넥터(120)를 끼움 구조로 결합시켜 시스튜브(110)와 연결되게 하고, 보강부(114)는 시스튜브(110)와 연결부(113)의 연결 측을 감싸 시스튜브(110)와 연결부(113)가 연결된 부분을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카테터(100)는 진입로가 되는 시스튜브(110)가 선단에 연결되고, 후단 내측으로 오클루더(200)를 삽입시켜 장착되게 하는 삽입구(121)를 갖으며, 약물 및 조영제의 투입을 위한 주입구(122)가 마련된 커넥터(120);를 더 포함한다.
커넥터(120)는 Y자 관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커넥터(120)의 선단은 시스튜브(110)의 연결부(113)가 연결되고, 후단은 삽입구(121)가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커넥터(120)의 측방향으로 약물 및 조영제를 투입할 수 있는 주입구(122)가 분기 관로로 형성된다.
이때, 커넥터(120)는 후단 삽입구(121)를 통해 오클루더(200)가 로더튜브(240)에 의해 삽입되어 커넥터(120)의 안쪽으로 장착되게 하며, 커넥터(120)의 안쪽으로 로더튜브(240)에 의해 장착된 오클루더(200)가 시스튜브(110)의 안쪽으로 밀어 넣어지면서 로더튜브(240)는 커넥터(120)에 잔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클루더(200)는;
동물의 혈관 병변의 위치로 진입 중에 수축되고, 혈관 병변의 위치로 진입되면 확장되면서 혈관의 폐색을 유도하며, 동물 혈관의 사이즈에 대응한 제품크기를 갖는다. 오클루더(200)는 카테터(100)에 수축된 상태로 장착되고, 밀대(300)를 통해 오클루더(200)가 카테터(100)에 의해 형성된 진입로에 밀어 넣어져 동물의 혈관 병변의 위치(대동맥과 폐동맥 사이를 연결하는 동맥관, 동맥관 개존증의 위치)의 내벽에 확장 고정되어 혈전을 유발시키면서 동맥관을 폐색되게 한다.
한편, 반려동물 중 개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동맥관 개존증은 선천성 심장기형의 일종으로 출생 전 열려 있는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의 동맥관이 출생 후에 닫히지 않고 열려 있는 상태를 말하며, 이러한 선천성 심장기형을 치료하기 위해 오클루더(200)를 동맥관에 용이하게 삽입시켜 혈류의 흐름을 차단시켜 폐색을 유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오클루더(200)는 변형성을 갖으며, 확장되면 선단 및 후단에 제1원반(211)및 제2원반(212)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오클루더(200)는 금속사가 스트랜드 형태로 편조되는 망체 형태로 이루어져 수축 및 확장을 위한 변형성을 갖을 수 있으며, 오클루더(200)는 변형성에 의해 확장되면 선단 및 후단에 제1원반(211)및 제2원반(212)이 펼쳐지며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제1원반(211)및 제2원반(212)이 혈관벽에 밀착되면서 오클루더(200)를 혈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오클루더(200)는 편조된 망체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오클루더(200)가 혈관 내부를 막으면 망체의 특성상 혈전을 유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오클루더(200)는 혈관의 사이즈에 대응한 크기를 갖으며, 이를 위해 오클루더(200)는 혈관의 크기에 대응하여 확장된 상태를 기준으로 직경 6mm ~ 8mm 및 길이 9mm ~ 10mm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직경 6mm, 길이 9mm 크기의 오클루더(200)와, 지름 8mm, 길이 10mm 크기의 오클루더(200)를 동물의 혈관 사이즈에 대응하여 각각 구비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각각의 제품크기를 갖는 오클루더(200)를 동물의 혈관 사이즈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한편, 오클루더(200)는 2개의 제품크기를 기본으로 제공하지만 다양한 사이즈의 동물에 시술하면서 데이터가 늘어나면 오클루더(200)의 제품크기를 보다 다양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혈관 병변까지 진입하는 카테터(100)는 동일 크기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고, 동물의 다양한 혈관 사이즈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제품크기를 갖는 오클루더(200) 중에서 알맞은 크기의 오클루더(200)를 선택 사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동물에 대응할 수 있다.
더불어 오클루더(200)는 선단에 반원형의 모양을 갖도록 구비되는 선단팁(220); 및 후단에 밀대(300)가 탈착 구조로 연결되게 하는 후단팁(230);을 더 포함한다.
선단팁(220)은 금속 핀 형상을 갖으며, 선단팁(220)의 후단 내측으로 오클루더(200)의 선단 중심 측 금속사가 고정되어 금속사가 스트랜드 형태로 편조되는 오클루더(200)의 형태를 지지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선단팁(220)의 전면은 반원형의 모양으로 형성됨으로 오클루더(200)가 혈관 병변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중에 혈관 내벽의 손상 및 변형 없이 부드럽게 진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후단팁(230)은 금속 핀 형상을 갖으며, 후단팁(230)의 선단 내측으로 오클루더(200)의 후단 중심 측 금속사가 고정되어 금속사가 스트랜드 형태로 편조되는 오클루더(200)의 형태를 지지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후단팁(230)의 후단 내측에는 밀대(300)의 탈착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나사홀이 형성되어 밀대(300)의 선단부가 후단팁(230)에 나선 결합으로 탈착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오클루더(200)가 내측에 수축된 상태로 삽입되며, 오클루더(200)를 카테터(100)의 후단부로 삽입시켜 장착되게 하는 로더튜브(240);를 더 포함한다.
로더튜브(240)는 관체로 이루어져 내측에 오클루더(200)가 수축된 상태로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고, 오클루더(200)가 삽입된 로더튜브(240)가 카테터(100)의 후단 삽입구(121)를 통해 커넥터(120) 측으로 삽입되면서 오클루더(200)를 카테터(100)에 장착시키는 기능을 하고, 카테터(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밀대(300)에 의해 오클루더(200)가 밀려 이동되면 로더튜브(240)는 카테터(100)에 잔류된다.
이때, 로더튜브(240)는 밀대(300)가 오클루더(200)를 밀기 위해 진입하도록 하면서 밀대(300)가 오클루더(200)를 용이하게 밀어 넣을 수 있도록 밀대(300)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오클루더(200)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섬유 충진제(213)가 오클루더(200)의 확장 측 안쪽으로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섬유 충진제(213)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프론, 플루온 등의 상품명이 있음) 재질의 섬유사가 오클루더(200)의 안쪽 공간을 대략적인 막 형태로 채워 마련되는데, 섬유 충진제(213)는 오클루더(200)의 제1원반(211)에 위치될 수 있으며, 섬유 충진제(213)와 오클루더(200) 사이로 봉합사를 연결시켜 고정할 수 있고, 오클루더(200)의 내측에 구비된 섬유 충진제(213)에 의해 혈전 등 내막을 빠르게 형성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폐색을 유도하면서 인체에 안전하고 내약품성이 뛰어난 물질을 사용하여 안정성을 높이고 중재적 시술을 원활하게 시행되게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은 동물 전용의 오클루더(200)를 적용함으로 동물의 혈관 사이즈에 대응하여 각각의 제품크기를 갖는 다수의 오클루더(200)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혈관 크기를 갖는 동물들에 대한 중재적 시술 과정에서 진입 카테터(100)는 그대로 사용하고, 동물의 혈관에 맞춤형인 다양한 제품크기를 갖는 오클루더(200) 중에서 알맞은 것을 선택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진입 카테터(100)를 다양한 크기의 동물에 맞도록 교체 사용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제작비용 등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고, 오클루더(200)를 다양한 제품크기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어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대(300)는;
상기 카테터(100)에 장착된 오클루더(200)를 혈관 병변의 위치로 밀어 진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밀대(300)는 카테터(100)에 장착된 오클루더(200)를 후단부에서 밀어 카테터(100)의 시스튜브(110)를 통과되게 하면서 혈관 병변의 위치로 이동시켜 목적한 위치로 정확히 조절하면서 오클루더(20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밀대(300)는 오클루더(200)의 후단에 탈착 구조로 연결되게 하는 스크류팁(311);을 더 포함한다.
스크류팁(311)은 선단부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핀 형태로 푸셔라인(310)의 선단에 연결되고, 스크류팁(311)은 나사산을 이용해 오클루더(200)의 후단팁(230) 내측에 나선 결합되면서 밀대(300)와 오클루더(200)를 탈착 구조로 연결할 수 있어 오클루더(200)가 혈관 병변의 위치로 정확히 위치되면 밀대(300)를 오클루더(2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밀대(300)는 오클루더(200)를 밀거나 당겨 이동 가능하게 하는 푸셔라인(310);을 더 포함한다.
푸셔라인(310)은 금속 와이어로 카테터(100)의 시스튜브(110)를 따라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가요성을 갖고, 푸셔라인(310)은 시스튜브(110)의 길이 대비 여유롭게 길이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푸셔라인(310)은 선단이 스크류팁(311)의 후단에 연결되면서 스크류팁(311)을 통해 오클루더(200)에 나선 결합으로 연결되어 오클루더(200)를 시스튜브(110)의 안쪽으로 밀어 넣으면서 혈관 병변의 위치까지 도달시키거나 다시 시스튜브(110) 속으로 당겨 재진입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푸셔라인(310)을 통해 오클루더(200)를 전후로 자유롭게 밀거나 당겨 이동이 가능함으로 오클루더(200)를 혈관 병변의 위치로 정확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대(300)는 푸셔라인(310)과 핸들(320)를 상호 연결시키는 캡(321); 및 오클루더(200)의 이동 조작 및 오클루더(200)와 밀대(300)의 탈착 조절을 위한 핸들(320);을 더 포함한다.
캡(321)은 내측에 푸셔라인(310)이 지지되는 관체로 이루어져 캡(321)이 푸셔라인(310)과 핸들(320)의 연결 측을 감싸면서 마련되어 푸셔라인(310)과 핸들(320)의 연결부를 보강하면서 푸셔라인(310)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핸들(320)은 환봉 형태로 이루어져 푸셔라인(310)의 후단에 연결되어 사람이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핸들(320)을 이용해 사람이 푸셔라인(310)을 밀거나 당길 수 있어 푸셔라인(310)의 선단에 연결된 오클루더(200)를 밀거나 당겨 혈관 병변의 위치로 정확히 장착되도록 이동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핸들(320)은 오클루더(200)가 혈관 병변의 위치로 정확히 도달하면 핸들(320)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스크류팁(311)과 후단팁(230)의 나사 결합이 해제되면서 오클루더(200)를 분리시킬 수 있고, 핸들(320)을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스크류팁(311)과 후단팁(230)을 나사 결합 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의 동맥관 개존증의 치료를 위한 폐색 기구의 사용 상태를 도 5 내지 도 6을 참고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폐색 기구(1)는 동물에서 동맥관 개존증(PDA) 소견을 받으면, PDA가 있는 동물의 동맥관에 오클루더(200)를 삽입시켜 장착하기 위한 선행 준비를 한다.
한편, 선행 준비가 완료되면 투시장치(C-arm)의 가이드 하에서 혈관 조영을 통해 PDA의 위치를 확인하며, PDA를 확인 후 가이드 와이어를 이용해 카테터(100)의 시스튜브(110)를 PDA를 통과하여 우심실로 위치되게 삽입시키고, 혈관 조영을 통해 카테터(100)의 시스튜브(110)가 우심실에 알맞은 위치에 있는지 오클루더(200)의 장착전 다시 한번 확인한다.
여기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튜브(110)가 알맞은 위치에 있는지 확인되면 로더튜브(240)에 오클루더(200)를 수축된 상태로 삽입시킨 후 로더튜브(240)를 카테터(100)의 후단 삽입구(121)를 통해 커넥터(120)의 안쪽으로 장착시키며, 밀대(300)의 선단부를 커넥터(120)의 삽입구(121)를 통해 로더튜브(240)의 내측에 삽입시키면서 밀대(300)의 스크류팁(311)과 오클루더(200)의 후단팁(230)을 서로 나사결합으로 연결시킨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밀대(300)와 오클루더(200)의 연결이 완료되면 밀대(300)의 핸들(320)을 이용해 오클루더(200)를 카테터(100)의 시스튜브(110) 안쪽으로 밀어 넣어 오클루더(200)를 시스튜브(110)의 관로를 통해 PDA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오클루더(200)를 PDA에 알맞은 장착 위치로 이동을 조절한 후 오클루더(200)가 PDA에 바르게 위치한 것이 확인되면 핸들(320)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밀대(300)의 스크류팁(311)과 오클루더(200)의 후단팁(230)을 분리시킨다.
이때, 오클루더(200)와 밀대(300)의 분리를 확인한 후 카테터(100) 및 밀대(300)를 제거하며, 다음으로 후행 마무리 작업을 시행하여 시술이 끝나면 심전도 및 영상 검사를 통해 오클루더(200)의 정상 장착 여부를 확인하면서 시술을 행한 동물의 특별한 기능적 이상이 없는지 확인 후 모든 과정을 완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폐색 기구 100; 카테터
110; 시스튜브 111; 만곡부
112; 출구 113; 연결부
114; 보강부 120; 커넥터
121; 삽입구 122; 주입구
200; 오클루더 211; 제1원반
212; 제2원반 213; 충진제
220; 선단팁 230; 후단팁
240; 로더튜브 300; 밀대
310; 푸셔라인 311; 스크류팁
320; 핸들

Claims (12)

  1. 동물의 동맥관 개존증의 치료를 위한 오클루더에 있어서,
    동물의 혈관 병변의 위치로 진입 중에 수축되고, 혈관 병변의 위치로 진입되면 확장되면서 혈관의 폐색을 유도하며, 동물 혈관의 사이즈에 대응한 제품크기를 갖고,
    상기 오클루더는 변형성을 갖으며, 확장되면 선단 및 후단에 제1원반 및 제2원반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원반에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섬유 형태의 충진제가 오클루더의 확장 측 안쪽으로 마련되고, 상기 충진제와 오클루더를 연결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클루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클루더는 선단에 반원형의 모양을 갖도록 구비되는 선단팁을 더 포함한 오클루더.
  4. 제1항에 따른 오클루더가 장착되는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오클루더를 동물의 혈관 병변의 위치로 진입되게 중재시술을 위한 진입로를 제공하며, 중재시술 중인 해당 동물의 혈관 크기에 맞는 오클루더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혈관을 따라 삽입되어 오클루더의 진입로가 되는 시스튜브를 더 포함한 카테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튜브는 선단이 활 모양으로 굽은 만곡부를 더 포함한 카테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진입로가 되는 시스튜브가 선단에 연결되는데, 후단 내측으로 오클루더를 삽입시켜 장착되게 하는 삽입구를 갖으며, 약물 및 조영제의 투입을 위한 주입구가 마련된 커넥터를 더 포함한 카테터.
  8. 제4항에 따른 카테터를 포함하고,
    상기 카테터에 장착된 오클루더를 혈관 병변의 위치로 밀어 진입시키는 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색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클루더는 후단에 나사 결합을 위한 후단팁이 형성되고,
    상기 밀대는 상기 후단팁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팁이 형성되며,
    상기 후단팁과 스크류팁의 나사 결합 구조를 통해 오클루더와 밀대가 탈착되는 것을 더 포함한 폐색 기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는 오클루더를 밀거나 당겨 이동 가능하게 하는 푸셔라인을 더 포함한 폐색 기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는 오클루더의 이동 조작 및 오클루더와 밀대의 탈착 조작을 위한 핸들;을 더 포함한 폐색 기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클루더가 수축된 상태로 삽입되며, 상기 오클루더를 카테터의 후단부로 삽입시켜 장착되게 하는 로더튜브를 더 포함한 폐색 기구.
KR1020210154168A 2021-11-10 2021-11-10 동물의 동맥관 개존증의 치료를 위한 카테터와 오클루더 및 이를 포함하는 폐색 기구 KR102637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168A KR102637024B1 (ko) 2021-11-10 2021-11-10 동물의 동맥관 개존증의 치료를 위한 카테터와 오클루더 및 이를 포함하는 폐색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168A KR102637024B1 (ko) 2021-11-10 2021-11-10 동물의 동맥관 개존증의 치료를 위한 카테터와 오클루더 및 이를 포함하는 폐색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141A KR20230068141A (ko) 2023-05-17
KR102637024B1 true KR102637024B1 (ko) 2024-02-15

Family

ID=86547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168A KR102637024B1 (ko) 2021-11-10 2021-11-10 동물의 동맥관 개존증의 치료를 위한 카테터와 오클루더 및 이를 포함하는 폐색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0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308B1 (ko) 2011-08-12 2018-12-24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심장 폐색 기구
WO2020234470A1 (en) * 2019-05-22 2020-11-26 Occlutech Holding Ag Occluder with stretchable wais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320B1 (ko) * 2000-08-14 2002-09-05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카테터
US6638257B2 (en) * 2002-03-01 2003-10-28 Aga Medical Corporation Intravascular flow restrictor
US9039724B2 (en) * 2004-03-19 2015-05-26 Aga Medical Corporation Device for occluding vascular defects
EA009163B1 (ru) * 2004-04-08 2007-10-26 Ага Медикал Корпорейшн Фланцевые окклюзионные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ы
US8034061B2 (en) * 2007-07-12 2011-10-11 Aga Medical Corporation Percutaneous catheter directed intravascular occlusion devices
US9232992B2 (en) 2008-07-24 2016-01-12 Aga Medical Corporation Multi-layered medical device for treating a target site and associated method
US20100030321A1 (en) * 2008-07-29 2010-02-04 Aga Medical Corporation Medical device including corrugated braid and associated method
IL269005A (en) * 2018-09-12 2019-10-31 Depuy Synthes Products Inc Improved aneurysm occlus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308B1 (ko) 2011-08-12 2018-12-24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심장 폐색 기구
WO2020234470A1 (en) * 2019-05-22 2020-11-26 Occlutech Holding Ag Occluder with stretchable wai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141A (ko)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67905A1 (en) Medical devices for treating a target site and associated method
JP3195333U (ja) 標的部位を治療する多層医療デバイス
JP5719302B2 (ja) 標的部位を治療するための非対称デバイス及び関連する方法
EP3310269B1 (en) Pusher arm and ball release mechanism for embolic coils
US10702275B2 (en) Medical device with stiffener wire for occluding vascular defects
CN103607962A (zh) 封堵装置和相关部署方法
KR20100049560A (ko) 관절 세그먼트에 의해 분리되는 반복된 확장 체적 세그먼트를 갖는 편조 폐색 장치
JP2009513274A (ja) 連結及び解放装置並びにその組立方法及び使用方法
JP4088978B2 (ja) 心臓内縫合装置
KR102637024B1 (ko) 동물의 동맥관 개존증의 치료를 위한 카테터와 오클루더 및 이를 포함하는 폐색 기구
CN211560184U (zh) 腔内封堵器
WO2020085294A1 (ja) 医療用デバイス
CN112716666A (zh) 一种手柄式支架系统
CN218484613U (zh) 一种机械解脱栓塞弹簧圈装置
CN104667413B (zh) 推送器
CN116570410A (zh) 分支型支架输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