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998B1 -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과수봉지 바인더 - Google Patents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과수봉지 바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998B1
KR102636998B1 KR1020230056074A KR20230056074A KR102636998B1 KR 102636998 B1 KR102636998 B1 KR 102636998B1 KR 1020230056074 A KR1020230056074 A KR 1020230056074A KR 20230056074 A KR20230056074 A KR 20230056074A KR 102636998 B1 KR102636998 B1 KR 102636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roller
iron core
fruit bag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6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을용
Original Assignee
이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을용 filed Critical 이을용
Priority to KR1020230056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4Coating solid articles, i.e. non-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Storing of extruded material, e.g. by winding up or st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7Fast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철심(11)이 권취된 제1롤러(110), 제2철심(12)이 권취된 제2롤러(120), 제1롤러(110)와 제2롤러(120)로부터 제1철심(11)과 제2철심(12)을 각각 인출하여 2라인의 속심(W)으로 평행하게 정렬하는 정렬부(130), 속심(W)에 가요성 재질을 압출시켜, 평판 형태의 자켓(13)과, 자켓(13)에 삽입된 속심(W)으로 이루어진 구조의 과수봉지 바인더(10)를 성형하는 압출금형(140), 성형된 과수봉지 바인더(10)를 일정온도 이하로 냉각하는 냉각부(150), 및 냉각된 과수봉지 바인더(10)를 권취하는 권취부(160)를 포함하여, 과수봉지 바인더(10)를 한줄로 연속적으로 압축시켜 제조하여 작업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과수봉지 바인더{APPARATUS FOR PRODUCTING FRUIT ENVELOPE BINDER AND FRUIT ENVELOPE BINDER OF THE SAME}
본 발명은 과수봉지 바인더를 한줄로 연속적으로 압축시켜 제조하여 작업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과수봉지 바인더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과수를 재배할 때 과일이 어느 정도 성숙 되면 과일의 외부에 봉지를 씌워 과도한 자외선으로 인한 과일의 변색을 방지하고, 비바람과 같은 자연현상이나 까치와 같은 조류들로부터 과수를 보호하는 한편, 과수에 살포된 농약으로부터 과일을 차단하여 고품질의 과일을 재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과수봉지는 전면지와 후면지가 겹쳐진 상태에서 양측면과 하측은 접합하고, 상부에는 과수 봉지의 외부를 향해 개구된 투입구가 형성되며, 이러한 투입구는 과수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며, 과수가 과수봉지의 내부로 들어오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투입구는 비닐 포장끈 등으로 묶어 봉합하곤 한다.
이와 같은 비닐 포장끈, 예컨대 과수봉지 바인더는, 한쌍의 철심과, 철심의 상하면에 접착되는 종이재질 또는 가요성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접착에 의해 형성된 과수봉지 바인더는 불량률이 높으며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과수봉지 바인더를 한줄로 연속적으로 압축시켜 제조하여 작업효율을 높이도록 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8429호 (과수봉지 제조장치의 과수봉지 투입구 밀폐용 접착테이프 접착 장치 및 그 방법)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7449호 (과수봉지 봉합용 철심핀)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2개의 철심을 한 라인의 설비를 통해 압출금형으로 제공하고, 과수봉지 바인더를 한줄로 연속적으로 압축시켜 제조하여서, 공정에 투입되는 작업시수를 줄여 작업효율을 높이도록 할 수 있는,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과수봉지 바인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철심이 권취된 제1롤러; 제2철심이 권취된 제2롤러;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로부터 상기 제1철심과 상기 제2철심을 각각 인출하여 2라인의 속심으로 평행하게 정렬하는 정렬부; 상기 속심에 가요성 재질을 압출시켜, 평판 형태의 자켓과, 상기 자켓에 삽입된 속심으로 이루어진 구조의 과수봉지 바인더를 성형하는 압출금형; 상기 성형된 과수봉지 바인더를 일정온도 이하로 냉각하는 냉각부; 및 상기 냉각된 과수봉지 바인더를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철심 및 상기 제2철심은 0.45 내지 0.7φ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철심 및 상기 제2철심은 녹방지를 위해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요성 재질은 나일론, 비닐 염화수지, 또는 합성수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출금형은, 상기 속심이 인입되는 니플홀더와, 상기 니플홀더의 전단에 결합되며, 상기 속심이 통과하는 통로가 테이퍼구조로 좁아지고, 상기 속심을 2라인으로 관통시키는 제1홀이 각각 형성된 속심홀더로 이루어진, 내부금형, 및 상기 내부금형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속심홀더를 통과한 상기 속심에 상기 자켓을 형성하는 가요성 재질의 유동로를 형성하는 제1외부금형과, 상기 제1외부금형의 전단에 결합되고 상기 속심홀더의 제1홀에 상응하는 제2홀과 상기 제2홀과 연통되며 상기 속심을 커버하도록 상기 가요성 재질이 통과하는 제3홀이 형성된 제2외부금형으로 이루어진, 외부금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압출금형은, 상기 속심이 인입되는 제1니플홀더와, 상기 속심이 통과하는 통로가 테이퍼구조로 좁아지고, 상기 제1니플홀더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2니플홀더와, 상기 제2니플홀더의 전단에 결합되며, 상기 속심이 통과하는 통로가 테이퍼구조로 좁아지고, 상기 속심을 2라인으로 관통시키는 제1홀이 각각 형성된 속심홀더로 이루어진, 내부금형, 및 상기 내부금형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속심홀더를 통과한 상기 속심에 상기 자켓을 형성하는 가요성 재질의 유동로를 형성하는 제1외부금형과, 상기 제1외부금형의 전단에 결합되고 상기 속심홀더의 제1홀에 상응하는 제2홀과 상기 제2홀과 연통되며 상기 속심을 커버하도록 상기 가요성 재질이 통과하는 제3홀이 형성된 제2외부금형으로 이루어진, 외부금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앞서 열거한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과수봉지 바인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철심을 한 라인의 설비를 통해 압출금형으로 제공하고, 과수봉지 바인더를 한줄로 연속적으로 압축시켜 제조하여서, 공정에 투입되는 작업시수를 줄여 작업효율을 높이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의 압출금형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의 제1롤러 및 제2롤러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의 압출금형의 다른 예를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압출금형의 외부금형의 정면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과수봉지 바인더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는, 제1철심(11)이 권취된 제1롤러(110), 제2철심(12)이 권취된 제2롤러(120), 제1롤러(110)와 제2롤러(120)로부터 제1철심(11)과 제2철심(12)을 각각 인출하여 2라인의 속심(W)으로 평행하게 정렬하는 정렬부(130), 속심(W)에 가요성 재질을 압출시켜, 평판 형태의 자켓(13)과, 자켓(13)에 삽입된 속심(W)으로 이루어진 구조의 과수봉지 바인더(10)를 성형하는 압출금형(140), 성형된 과수봉지 바인더(10)를 일정온도 이하로 냉각하는 냉각부(150), 및 냉각된 과수봉지 바인더(10)를 권취하는 권취부(160)를 포함하여, 과수봉지 바인더(10)를 한줄로 연속적으로 압축시켜 제조하여 작업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의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를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롤러(110)에는 제1철심(11)이 권취되어 정렬부(130)로 제공된다.
다음, 제2롤러(120)에는 제1철심(11)과 동일한 재질과 직경의 제2철심(12)이 권취되어 정렬부(130)로 제공된다.
여기서, 도 2를 참고하면, 제1롤러(110)와 제2롤러(120)는 단일 스키드 프레임(21) 상에 고정 설치되고, 스키드 프레임(21) 상에 제1롤러(110) 및 제2롤러(120)가 순서로 배치되며, 제1롤러(110)와 제2롤러(120) 사이에는 스키드 프레임(21)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직립 설치된 보조롤러(22)가 형성되어, 제1철심(11)과 제2철심(12)의 인출 높이에 차이를 두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철심(11) 및 제2철심(12)은 0.45 내지 0.7φ의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제1철심(11) 및 제2철심(12)의 외주면에는 녹방지를 위한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철심(11) 및 제2철심(12)의 외주면 또는 코팅층의 외주면에는 다양한 패턴의 흠집이 새겨져 가요성재질과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정렬부(130)는 제1롤러(110)와 제2롤러(120)로부터 제1철심(11)과 제2철심을 각각 인출하여, 2라인의 홈이 형성된 다수의 롤러(미도시)를 통해, 2라인의 속심(W)으로 평행하게 정렬하여서, 압출금형(140)으로 제공한다.
한편, 정렬부(130)에는 제1철심(11)과 제2철심(12)의 장력을 계측하는 센서(미도시)가 형성되고, 센서값에 따라 보조롤러(22)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제2롤러(120)의 스키드 프레임(21) 상에서의 전후위치를 조절하여서, 압출금형(140)으로 제공되는 제1철심(11)과 제2철심(12)의 장력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압출금형(140)은, 속심(W)과 가요성 재질을 각각 인입시켜 속심(W)에 가요성 재질을 압출시켜서, 평판 형태의 자켓(13)과, 자켓(13)에 삽입된 속심(W)으로 이루어진 구조의 과수봉지 바인더(10)를 압출 성형하도록 한다.
여기서, 가요성 재질은 나일론, 비닐 염화수지,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압출금형(140)은, 속심(W)이 인입되는 니플홀더(141)와, 니플홀더(141)의 전단에 기밀되어 결합되며, 속심(W)이 통과하는 통로가 테이퍼구조로 좁아지고, 속심(W)을 2라인으로 관통시키는 제1홀(142a)이 각각 형성된 속심홀더(142)로 이루어진, 내부금형, 및 내부금형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속심홀더(142)를 통과한 속심(W)에 자켓(13)을 형성하는 가요성 재질의 유동로(P)를 형성하는 제1외부금형(143)과, 제1외부금형(143)의 전단에 기밀되어 결합되고 속심홀더(142)의 제1홀(142a)에 상응하는 제2홀(144a)과, 제2홀(144a)과 연통되며 속심(W)을 커버하도록 가요성 재질이 통과하는 제3홀(144b)(도 5 참고)이 형성된 제2외부금형(144)으로 이루어진, 외부금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출금형(140)을 통해, 속심(W)에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날개형상의 자켓(13)을 형성하여 과수봉지 바인더(10)를 성형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4를 참고하면, 압출금형(140)은, 속심(W)이 인입되는 제1니플홀더(141A)와, 속심(W)이 통과하는 통로가 테이퍼구조로 좁아지고, 제1니플홀더(141A)의 전단에 기밀되어 결합되는 제2니플홀더(141B)와, 제2니플홀더(141B)의 전단에 결합되며, 속심(W)이 통과하는 통로가 테이퍼구조로 좁아지고, 속심(W)을 2라인으로 관통시키는 제1홀(142a)이 각각 형성된 속심홀더(142)로 이루어진, 내부금형, 및 내부금형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속심홀더(142)를 통과한 속심(W)에 자켓(13)을 형성하는 가요성 재질의 유동로(P)를 형성하는 제1외부금형(143)과, 제1외부금형(143)의 전단에 기밀되어 결합되고 속심홀더(142)의 제1홀(142a)에 상응하는 제2홀(144a)과 제2홀(144a)과 연통되며 속심(W)을 커버하도록 가요성 재질이 통과하는 제3홀(144b)(도 5 참고)이 형성된 제2외부금형(144)으로 이루어진, 외부금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출금형(140)을 통해, 속심(W)에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날개형상의 자켓(13)을 형성하여 과수봉지 바인더(10)를 성형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냉각부(150)는 압출금형(140)에 의해 성형된 과수봉지 바인더(10)를 냉각수를 통과시켜 일정온도 이하로 냉각하도록 한다.
예컨대, 냉각부(150)는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수조와, 냉각수의 온도를 계측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일정온도 이하로 유지하도록 냉각수를 열교환하여 순환시키는 순환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순환부를 순환하는 냉각수는 냉각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구비하여 냉각수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도 있다.
다음, 건조부(155)는, 냉각부(150)와 권취부(160) 사이에 다수의 롤러로 형성되어, 냉각수를 통과한 과수봉지 바인더(10)에 흡착된 물기를, 롤러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털어 내거나, 별도의 송풍모듈을 통해 고온건조공기를 송풍시켜 건조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권취부(160)는, 앞서 냉각된 과수봉지 바인더(10)를 권취하고,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제품화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앞서 열거한 과수봉지 바인더(10)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과수봉지 바인더(10)(도 6 참고)를 제공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과수봉지 바인더에 의해서, 2개의 철심을 한 라인의 설비를 통해 압출금형으로 제공하고, 과수봉지 바인더를 한줄로 연속적으로 압축시켜 제조하여서, 공정에 투입되는 작업시수를 줄여 작업효율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제1롤러 11 : 제1철심
120 : 제2롤러 12 : 제2철심
21 : 스키드 프레임 22 : 보조롤러
130 : 정렬부 140 : 압출금형
141 : 니플홀더 142 : 속심홀더
143 : 제1외부금형 144 : 제2외부금형
150 : 냉각부 155 : 건조부
160 : 권취부 10 : 과수봉지 바인더

Claims (7)

  1. 제1철심이 권취된 제1롤러;
    제2철심이 권취된 제2롤러;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로부터 상기 제1철심과 상기 제2철심을 각각 인출하여 2라인의 속심으로 평행하게 정렬하는 정렬부;
    상기 속심에 가요성 재질을 압출시켜, 평판 형태의 자켓과, 상기 자켓에 삽입된 속심으로 이루어진 구조의 과수봉지 바인더를 성형하는 압출금형;
    상기 성형된 과수봉지 바인더를 일정온도 이하로 냉각하는 냉각부; 및
    상기 냉각된 과수봉지 바인더를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철심 및 상기 제2철심은 0.45 내지 0.7φ의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1철심 및 상기 제2철심은 녹방지를 위해 코팅되고,
    상기 가요성 재질은 나일론, 비닐 염화수지,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는 단일 스키드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스키드 프레임 상에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가 순서로 배치되며,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 사이에는 상기 스키드 프레임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직립 설치된 보조롤러가 형성되고,
    상기 정렬부에는 상기 제1철심과 상기 제2철심의 장력을 계측하는 센서가 형성되고, 센서값에 따라 상기 보조롤러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상기 제2롤러의 상기 스키드 프레임 상에서의 전후위치를 조절하는,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금형은,
    상기 속심이 인입되는 니플홀더와, 상기 니플홀더의 전단에 결합되며, 상기 속심이 통과하는 통로가 테이퍼구조로 좁아지고, 상기 속심을 2라인으로 관통시키는 제1홀이 각각 형성된 속심홀더로 이루어진, 내부금형, 및
    상기 내부금형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속심홀더를 통과한 상기 속심에 상기 자켓을 형성하는 가요성 재질의 유동로를 형성하는 제1외부금형과, 상기 제1외부금형의 전단에 결합되고 상기 속심홀더의 제1홀에 상응하는 제2홀과 상기 제2홀과 연통되며 상기 속심을 커버하도록 상기 가요성 재질이 통과하는 제3홀이 형성된 제2외부금형으로 이루어진, 외부금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금형은,
    상기 속심이 인입되는 제1니플홀더와, 상기 속심이 통과하는 통로가 테이퍼구조로 좁아지고, 상기 제1니플홀더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2니플홀더와, 상기 제2니플홀더의 전단에 결합되며, 상기 속심이 통과하는 통로가 테이퍼구조로 좁아지고, 상기 속심을 2라인으로 관통시키는 제1홀이 각각 형성된 속심홀더로 이루어진, 내부금형, 및
    상기 내부금형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속심홀더를 통과한 상기 속심에 상기 자켓을 형성하는 가요성 재질의 유동로를 형성하는 제1외부금형과, 상기 제1외부금형의 전단에 결합되고 상기 속심홀더의 제1홀에 상응하는 제2홀과 상기 제2홀과 연통되며 상기 속심을 커버하도록 상기 가요성 재질이 통과하는 제3홀이 형성된 제2외부금형으로 이루어진, 외부금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
  7. 제1항에 기재된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과수봉지 바인더.
KR1020230056074A 2023-04-28 2023-04-28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과수봉지 바인더 KR102636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6074A KR102636998B1 (ko) 2023-04-28 2023-04-28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과수봉지 바인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6074A KR102636998B1 (ko) 2023-04-28 2023-04-28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과수봉지 바인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998B1 true KR102636998B1 (ko) 2024-02-14

Family

ID=89896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6074A KR102636998B1 (ko) 2023-04-28 2023-04-28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과수봉지 바인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99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215A (ko) * 1989-09-18 1991-04-27 원본미기재 니트릴의 촉매수화반응에 의한 아실 아미드의 제조방법
JPH111263A (ja) * 1997-06-13 1999-01-06 Kyowa:Kk ツイストタイ
JPH1142693A (ja) * 1997-07-29 1999-02-16 Shin Etsu Polymer Co Ltd 結束紐
KR200197449Y1 (ko) 2000-02-15 2000-09-15 김영석 과수봉지 봉합용 철심핀
KR20120002709A (ko) * 2010-07-01 2012-01-09 강승열 인쇄가 가능한 트위스트 타이,그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140006449A (ko) * 2012-07-05 2014-01-16 오세호 포장용 결속구 및 이를 생산하는 장치
KR102158429B1 (ko) 2019-07-19 2020-09-21 이상주 과수봉지 제조장치의 과수봉지 투입구 밀폐용 접착테이프 접착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215A (ko) * 1989-09-18 1991-04-27 원본미기재 니트릴의 촉매수화반응에 의한 아실 아미드의 제조방법
JPH111263A (ja) * 1997-06-13 1999-01-06 Kyowa:Kk ツイストタイ
JPH1142693A (ja) * 1997-07-29 1999-02-16 Shin Etsu Polymer Co Ltd 結束紐
KR200197449Y1 (ko) 2000-02-15 2000-09-15 김영석 과수봉지 봉합용 철심핀
KR20120002709A (ko) * 2010-07-01 2012-01-09 강승열 인쇄가 가능한 트위스트 타이,그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140006449A (ko) * 2012-07-05 2014-01-16 오세호 포장용 결속구 및 이를 생산하는 장치
KR102158429B1 (ko) 2019-07-19 2020-09-21 이상주 과수봉지 제조장치의 과수봉지 투입구 밀폐용 접착테이프 접착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6089B2 (en) Porous, light transmissive material and method for using same
CN103501589B (zh) 用于覆盖充气温室的可分层的多层塑料膜
US10624274B2 (en) Multilayer plastic film for perrenial agricultural use with self-adjusting shading attribute
KR102636998B1 (ko) 과수봉지 바인더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과수봉지 바인더
CN110719730A (zh) 温室帘幕
CN206024668U (zh) 甜樱桃种植大棚
CN205946772U (zh) 一种烤烟套袋
CN209492080U (zh) Pvc膜冷却加工设备
JPH0646685A (ja) 農業用光質変換資材
CN206978246U (zh) 一种蘑菇大棚
CN207897741U (zh) 捕食螨释放袋
CN207355013U (zh) 降温网
CN204598836U (zh) 中空充气反光遮阳网
CN205997241U (zh) 用于铝塑膜复合设备的风冷装置
CN219437733U (zh) 一种具有双层密封结构铝箔包装袋
KR102391653B1 (ko) 끈을 보호하는 하우스용 치마필름 및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A2552974A1 (en) Porous, light transmissive material and method for using same
CN217457015U (zh) 一种单向排气的母乳保鲜袋
IT201800006500A1 (it) Film per uso agricolo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CN205347641U (zh) 一种侧吹风冷却系统的改进装置
CN106042244A (zh) 用于铝塑膜复合设备的风冷装置
CN218680606U (zh) 一种透气防晒果袋
CN220383733U (zh) 水蓄热保温装配式四季温室
KR200186045Y1 (ko) 과일 보호용 봉투
CN214709150U (zh) 一种基于互联网技术的农业大棚温度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