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896B1 - 절취형 주름필터 - Google Patents

절취형 주름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896B1
KR102636896B1 KR1020210161848A KR20210161848A KR102636896B1 KR 102636896 B1 KR102636896 B1 KR 102636896B1 KR 1020210161848 A KR1020210161848 A KR 1020210161848A KR 20210161848 A KR20210161848 A KR 20210161848A KR 102636896 B1 KR102636896 B1 KR 102636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leated
cut
adhesive
filt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1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5557A (ko
Inventor
임종빈
박종록
Original Assignee
임종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빈 filed Critical 임종빈
Priority to KR1020210161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896B1/ko
Publication of KR20230075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5/00Filter media structures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5/20Shape of filtering material
    • B01D2275/203Shapes flexible in their geometry, e.g. bendable, adjustable to a certain siz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구비되는 주름필터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교대로 접혀, 대향하는 한 쌍의 면으로 이루어지는 주름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필터본체; 상기 필터본체에 구비되어, 인접하는 상기 주름부들을 서로 접착시키는 접착부; 및 상기 필터본체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필터본체가 2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절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형 주름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주름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필터본체에 절취부가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주름필터를 2 이상의 부분으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주름부의 접착부가 구비된 부분에 엠보싱이 형성되어 접착부의 접착 기능이 향상되며, 또한 주름부의 접착부가 구비된 부분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필터본체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만 접착부를 구비시키더라도, 인접하는 주름부의 상면 및 하면을 모두 접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절취형 주름필터{CUTTING TYPE PLEATED FILTER}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부분으로 분리가 가능한 절취형 주름필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황사를 비롯한 인체에 유해한 각종 대기오염물질 등에 의한 환경오염에 대한 대비책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산업이 발달하면서 높은 청정도를 요구함에 따라서 특정 용도의 액체 혹은 기체 특히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및 불순물 혹은 유해입자가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을 걸러(filtering)내기 위한 각종 필터가 사용되고 있다.
필터를 통과하는 기체 또는 액체 중에 포함된 먼지 및 불순물 또는 각종 오염물질을 최대한 걸러내어 기체 또는 액체를 깨끗한 상태로 정화하기 위하여 상기의 필터는 동일한 조건 하에서 기체 또는 액체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넓히도록 형성하여 최대의 효과를 내야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 기체 또는 액체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상기 필터를 더블유(W) 형상으로 다단 절곡 형성한 주름필터(pleated filter)가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67077호 (2020.01.10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주름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필터본체에 절취부가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주름필터를 2 이상의 부분으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는 주름필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주름부의 접착부가 구비된 부분에 엠보싱이 형성되어 접착부의 접착 기능이 향상되는 주름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주름부의 접착부가 구비된 부분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필터본체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만 접착부를 구비시키더라도, 인접하는 주름부의 상면 및 하면을 모두 접착시킬 수 있는 주름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구비되는 주름필터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교대로 접혀, 대향하는 한 쌍의 면으로 이루어지는 주름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필터본체; 상기 필터본체에 구비되어, 인접하는 상기 주름부들을 서로 접착시키는 접착부; 및 상기 필터본체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필터본체가 2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절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형 주름필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착부는, 상기 필터본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필터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도포된 제1접착부; 및 상기 필터본체의 내측 부분에 상기 필터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도포된 제2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형 주름필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절취부는, 상기 필터본체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동일선상에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절개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형 주름필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절취부는, 상기 접척부에 인접하여 상기 접착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형 주름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주름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필터본체에 절취부가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주름필터를 2 이상의 부분으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주름부의 접착부가 구비된 부분에 엠보싱이 형성되어 접착부의 접착 기능이 향상되며, 또한 주름부의 접착부가 구비된 부분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필터본체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만 접착부를 구비시키더라도, 인접하는 주름부의 상면 및 하면을 모두 접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취형 주름필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취형 주름필터의 가장자리 부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취형 주름필터의 내측 부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취형 주름필터의 가장자리 부분을 절취부에 의해 분리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취형 주름필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취형 주름필터의 접착부가 구비된 부분을 필터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취형 주름필터의 가장자리 부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취형 주름필터의 내측 부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취형 주름필터의 가장자리 부분을 절취부에 의해 분리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취형 주름필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취형 주름필터의 접착부가 구비된 부분을 필터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취형 주름필터의 가장자리 부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취형 주름필터의 내측 부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취형 주름필터는,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구비되는 주름필터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교대로 접혀, 대향하는 한 쌍의 면(100a, 100b)으로 이루어지는 주름부(100)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필터본체(10); 필터본체(10)에 구비되어, 인접하는 주름부(100)들을 서로 접착시키는 접착부(200); 및 필터본체(10)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필터본체(10)가 2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절취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필터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체 또는 액체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구비되는 주름필터로서, 주름부(100)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필터본체(10)의 가장자리 또는 내측 부분에 접착부(200)가 구비되어 접착부(200)에 의해 주름부(100)가 접힌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또한 필터본체(10)에 절취부(300) 내지 절단부(400)가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필터본체(10)를 2 이상의 부분으로 절단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필터본체(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교대로 접혀 대향하는 한 쌍의 면(100a, 100b)으로 이루어지는 주름부(100)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본체(10)는 공기 등의 기체나 오일 등의 액체 중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섬유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같은 사각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필터본체(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교대로 접혀 주름부(100)가 연속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여과 면적이 넓어지도록 구비된다.
필터본체(10)에 형성되는 주름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본체(1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교대로 접혀서 형성됨에 따라 대향하는 한 쌍의 면(100a, 100b)으로 이루어지면서, 능선이 필터본체(10)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본체(10) 대향하는 한 쌍의 면(100a, 100b)으로 이루어지는 주름부(10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늘어져있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접착부(200)는 필터본체(10)에 구비되어, 인접하는 주름부(100)들을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필터본체(10)는 로터리(rotaty) 장치 등에 의해 접혀 주름부(10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접착부(200)는 필터본체(10)에 주름부(100)를 형성시킨 후 필터본체(10)가 주름부(100)가 접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인접하는 주름부(100)들을 서로 접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접착부(200)는 필터본체(10)에 도포되는 접착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접착부(200)는 주름부(100)들을 서로 접착시킨 후 외력에 의해 다시 떼어내어 떨어뜨려 놓을 수 있는 접착력을 갖는 접착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착부(200)는 필터본체(10)의 가장자리 부분에 필터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도포된 제1접착부(210); 및 필터본체(10)의 내측 부분에 필터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도포된 제2접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접착부(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본체(10)의 가장자리 부분에 필터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지고 도포되는 접착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접착부(210)는 필터본체(10)의 가장자리 부분의 상면에 도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터본체(10)의 가장자리 부분의 주름부(100)들은 제1접착부(210)에 의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이어서, 제2접착부(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본체(10)의 내측 부분에 필터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지고 도포되는 접착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접착부(230)는 필터본체(10)의 내측 부분의 상면에 도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터본체(10)의 내측 부분의 주름부(100)들은 제2접착부(210)에 의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필터본체(10)가 일정한 폭을 가지고 있으므로, 필터본체(10)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제1접착부(210) 및 제2접착부(230)를 구비시킴으로써, 필터본체(10)의 주름부(100)들이 길이 방향 뿐만 아니라 폭 방향으로도 균일하게 접힌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절취부(300)는 필터본체(10)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필터본체(10)가 2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부(300)는 필터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절취부(300)는 필터본체(1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동일선상에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절개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절취부(300)에 의한 필터본체(10)의 절단이 용이하도록, 절개선의 길이가 인접하는 절개선 사이(절개되지 않은 부분)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필터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취부(300)가 형성됨에 따라, 필요에 따라 필터본체(10)를 일정 폭을 갖는 2 이상의 부분으로 절단시켜 사용할 수 있게 구비된다.
한편, 절취부(300)는 접착부(200)에 인접하여 접착부(200)를 따라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써 절취부(300)에 의해 필터본체(10)를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부분으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비됨은 물론, 접착부(20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절취부(300)에 의해 접착부(200)를 필터본체(10)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접착부(200)는 필터본체(10)의 가장자리 부분에 구비되는 제1접착부(210)와, 필터본체(10)의 내측 부분에 구비되는 제2접착부(2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절취부(300)는 제1접착부(210)에 인접하여 제1접착부(210)를 따라 형성되는 제1절취부(310)와, 제2접착부(230)에 인접하여 제2접착부(230)를 따라 형성되는 제2절취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취부(310)는 필터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제1접착부(210)의 단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접착부(210)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접착부(210)에 인접하여 제1접착부(210)를 따라 제1절취부(310)가 형성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취부(310)에 의해 제1접착부(210)를 필터본체(10)로부터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절취부(330)는 필터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한 쌍이 각각 제2접착부(230)의 양 단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2접착부(230)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접착부(230)의 양 측에 각각 제2절취부(330)가 형성됨에 따라, 제2절취부(330)에 의해 제2접착부(230)를 필터본체(1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필터는, 필터본체(10)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필터본체(10)가 2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절단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절단부(400)는 주름부(100)의 능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절취부(300)와 마찬가지로 절단부(400)는 필터본체(1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동일선상에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절개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절단부(400)에 의한 필터본체(10)의 절단이 용이하도록, 절개선의 길이가 인접하는 절개선 사이(절개되지 않은 부분)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단부(400)는 모든 주름부(100)의 능선에 형성되지 않고, 필터본체(10)의 일정 길이 마다 특정 주름부(100)에만 형성될 수 있다.
필터본체(10)의 폭 방향을 따라 절단부(400)가 형성됨에 따라, 필요에 따라 필터본체(10)를 일정 길이를 갖는 2 이상의 부분으로 절단시켜 사용할 수 있게 구비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필터는 필터본체(10)에 절취부(300) 및 절단부(400)가 구비되어, 필터본체(10)를 필요에 따라 일정 폭만큼 또는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필터본체(10)에 구비된 접착부(200)를 필터본체(10)로부터 제거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필터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필터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필터와 동일하게, 주름부(100')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필터본체(10')의 가장자리 또는 내측 부분에 접착부(200')가 구비되어 접착부(200')에 의해 주름부(100')가 접힌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또한 필터본체(10')에 절취부(300') 내지 절단부(400')가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필터본체(10')를 2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필터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필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필터와의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필터는, 필터본체(10')에 형성된 주름부(100')를 이루는 한 쌍의 면(100a', 100b')의 접착부(200')가 구비된 부분에 필터본체(10')의 상면 방향 또는 하면 방향으로 돌출된 엠보싱(5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주름부(100')를 이루는 한 쌍의 면(100a', 100b') 중 어느 하나(100a')의 접착부(200')가 구비된 부분에 필터본체(10')의 상면 방향으로 돌출된 엠보싱(500')을 형성시키는 경우, 주름부(100')를 이루는 한 쌍의 면(100a', 100b') 중 나머지 하나(100a')의 접착부(200')가 구비된 부분에는 필터본체(10')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된 엠보싱(50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본체(10')의 주름부(100')를 접었을 때, 주름부(100')를 이루는 한 쌍의 면(100a', 100b') 중 어느 하나(100a')에 형성된 엠보싱(500')과, 주름부(100')를 이루는 한 쌍의 면(100a', 100b') 중 나머지 하나(100a')에 형성된 엠보싱(500')이 서로 맞닿아 포개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주름부(100')를 이루는 한 쌍의 면(100a', 100b')의 접착부(200')가 구비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 엠보싱(500')들이 서로 맞닿아 포개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접착부(200')에 의한 접착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본체(10')에는 제1접착부(210') 및 제2접착부(2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주름부(100')를 이루는 한 쌍의 면(100a', 100b')의 제1접착부(210')가 구비된 부분에 필터본체(10')의 상면 방향 또는 하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1엠보싱(510a', 510b')이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주름부(100')를 이루는 한 쌍의 면(100a', 100b')의 제2접착부(230')가 구비된 부분에 필터본체(10')의 상면 방향 또는 하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2엠보싱(530a', 530b')이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필터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필터는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필터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필터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필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필터와의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필터는, 필터본체(10")에 형성된 주름부(100")를 이루는 한 쌍의 면(100a", 100b")의 접착부(200")가 구비된 부분에 필터본체(10")의 일부를 절단하여 두께 방향으로 관통시킨 개방부(6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방부(600")는 주름부(100")를 이루는 한 쌍의 면(100a", 100b") 중 어느 하나(100a" 또는 100b")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주름부(100")를 이루는 한 쌍의 면(100a", 100b") 중 어느 하나(100b")에 개방부(600")를 형성하는 경우, 주름부(100")를 이루는 한 쌍의 면(100a", 100b") 중 나머지 하나(100a")에는 개방부(600")를 형성시키지 않는다.
이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본체(10')의 주름부(100")를 접었을 때, 전방측 주름부(100")를 이루는 한 쌍의 면(100a", 100b") 중 나머지 하나(100a")의 하면에 후방측 주름부(100")를 이루는 한 쌍의 면(100a", 100b") 중 나머지 하나(100a")의 상면이 접촉하게 되어, 필터본체(10")의 상면에만 접착부(200")를 구비시킨 경우에도 필터본체(10")의 주름부(100")를 접었을 때 인접하는 주름부(100")의 상면 및 하면을 모두 접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주름부(100")를 이루는 한 쌍의 면(100a", 100b") 중 어느 하나(100b")에 개방부(600")를 형성하는 경우, 주름부(100")를 이루는 한 쌍의 면(100a", 100b") 중 개방부(600")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100a")에는 전술한 엠보싱(50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본체(10")에는 제1접착부(210") 및 제2접착부(2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주름부(100")를 이루는 한 쌍의 면(100a", 100b")의 제1접착부(210")가 구비된 부분에 필터본체(10")의 일부를 절단하여 두께 방향으로 관통시킨 제1개방부(610")가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주름부(100")를 이루는 한 쌍의 면(100a", 100b")의 제1접착부(210")가 구비된 부분 중 제1개방부(610")가 형성되지 않은 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엠보싱(5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름부(100")를 이루는 한 쌍의 면(100a", 100b")의 제2접착부(230")가 구비된 부분에 필터본체(10")의 일부를 절단하여 두께 방향으로 관통시킨 제2개방부(630")가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주름부(100")를 이루는 한 쌍의 면(100a", 100b")의 제2접착부(230")가 구비된 부분 중 제2개방부(630")가 형성되지 않은 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엠보싱(5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름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필터본체에 절취부가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주름필터를 2 이상의 부분으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주름부의 접착부가 구비된 부분에 엠보싱이 형성되어 접착부의 접착 기능이 향상되며, 또한 주름부의 접착부가 구비된 부분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필터본체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만 접착부를 구비시키더라도, 인접하는 주름부의 상면 및 하면을 모두 접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0', 10" : 필터본체
100, 100', 100" : 주름부
200, 200', 200 : 접착부
300, 300', 300" : 절취부
400, 400', 400" : 절단부
500', 500" : 엠보싱
600" : 개방부

Claims (4)

  1.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구비되는 주름필터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교대로 접혀, 대향하는 한 쌍의 면으로 이루어지는 주름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필터본체;
    상기 필터본체에 구비되어, 인접하는 상기 주름부들을 서로 접착시키는 접착부; 및
    상기 필터본체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필터본체가 2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절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형 주름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필터본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필터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도포된 제1접착부; 및
    상기 필터본체의 내측 부분에 상기 필터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도포된 제2접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형 주름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상기 필터본체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동일선상에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절개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형 주름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상기 접착부에 인접하여 상기 접착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형 주름필터.
KR1020210161848A 2021-11-23 2021-11-23 절취형 주름필터 KR102636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848A KR102636896B1 (ko) 2021-11-23 2021-11-23 절취형 주름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848A KR102636896B1 (ko) 2021-11-23 2021-11-23 절취형 주름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557A KR20230075557A (ko) 2023-05-31
KR102636896B1 true KR102636896B1 (ko) 2024-02-15

Family

ID=86544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1848A KR102636896B1 (ko) 2021-11-23 2021-11-23 절취형 주름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8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6644A (ja) 2011-12-19 2013-06-27 Toyota Boshoku Corp フィルタ及び空調装置
JP2017538569A (ja) 2014-10-28 2017-12-2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空気清浄のためのひだ状フィルタ構造及び空気フィルタリン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8307A (ja) * 1989-05-12 1990-12-10 Toyo Roki Seizo Kk エアークリーナ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JP3491989B2 (ja) * 1994-10-11 2004-02-03 三洋電機株式会社 換気扇用フィルター及びその連続体
KR102067077B1 (ko) 2019-11-05 2020-01-16 주식회사 엑스필 간격유지기능을 갖는 주름필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6644A (ja) 2011-12-19 2013-06-27 Toyota Boshoku Corp フィルタ及び空調装置
JP2017538569A (ja) 2014-10-28 2017-12-2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空気清浄のためのひだ状フィルタ構造及び空気フィルタリン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557A (ko)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37637A (en) Spiral roll filter unit
US20080236121A1 (en) Filter Element
KR100650240B1 (ko) 가스 필터 하우징 내에 플레이트형 필터 부재를 갖는 장치
US4135900A (en) Gas filter device
DE19757423C1 (de) Filtereinsatz
CN105658296B (zh) 具有双向打褶介质的过滤器
JP5691893B2 (ja) 流体フィルタ
KR940701291A (ko) 3각형 쐐기 주름을 갖춘 필터
US10155431B2 (en) Filter element having a flap and a filter system
CN1668363A (zh) 具有非纺织过滤介质和非纺织边缘条带框架的过滤包
BR9810334A (pt) Método e dispositivo para separação de aerossol
CA3020119C (en) Air filter with spiral-wrapped frame
KR102636896B1 (ko) 절취형 주름필터
US20200139289A1 (en) Filter element with counter-fold, and cassette filter with such filter elements, and filter cartridge with such a filter element
US8940069B2 (en) Interior air filter, filter holder and filter arrangement
US3314546A (en) Cartridge filter
EP1254689A1 (en) Pleated filter media with embossed spacers and cross flow
ATE236702T1 (de) Faltenfilter
CN208612058U (zh) 一种空气过滤器以及过滤器框架
JP2881551B2 (ja) クリーナー装置におけるフィルタエレメント
US3242655A (en) High efficiency unit filter assembly
JP7075190B2 (ja) エアフィルタ、及びフィルタパック
US20210213380A1 (en) Filter element for filtering a device
WO2016182792A1 (en) V-bank filter and method of making
GB2195917A (en) Filter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