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707B1 -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707B1
KR102636707B1 KR1020210136354A KR20210136354A KR102636707B1 KR 102636707 B1 KR102636707 B1 KR 102636707B1 KR 1020210136354 A KR1020210136354 A KR 1020210136354A KR 20210136354 A KR20210136354 A KR 20210136354A KR 102636707 B1 KR102636707 B1 KR 102636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height adjustment
support means
inclined pane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3146A (ko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김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filed Critical 김근수
Priority to KR1020210136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707B1/ko
Publication of KR20230053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7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5Ramps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단턱을 포함하는 각종 단턱 또는 문턱을 휠체어를 포함하는 각종 운송수단의 바퀴가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유도하는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지면상에 위치하는 베이스패널과, 단턱 면을 향하도록 세워 형성되는 지지수단과, 단턱의 상단에 위치하는 하향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경사패널과, 경사패널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Formation equipment of high and low adjustable Incline}
본 발명은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단턱을 포함하는 각종 단턱 또는 문턱을 휠체어를 포함하는 각종 운송수단의 바퀴가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유도하는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 데 비해 이러한 장애를 감안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것이 계단이다.
즉, 계단은 일반적인 사람들이 오르내리기에는 편리한 것이지만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은 계단이 가장 걸림돌이 되는데, 휠체어를 타고 가다가 계단에 직면하면 주위사람의 도움없이는 오르내리기 어렵다.
따라서, 최근에는 건축물을 설계할 때 휠체어를 타고 오르내리기 용이하도록 지면과 계단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로를 설계하고 있으나, 이러한 인식이 널리 퍼지기 전에 지어진 건축물에는 여전히 경사로가 미흡한 실정이다.
물론, 장애인뿐만 아니라 노약자 또는 어린이, 무거운 짐을 핸드 카트로 운반할 때, 자동차 등도 계단이 있으면 쉽게 오르내릴 수 없으므로 계단과 지면을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는 경사로를 형성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2422호에 게시된 계단용 경사구는 경사로를 형성하여 휠체어나 유모차 등 바퀴에 의해 이동되는 수단이 계단에 오르내릴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계단용 경사구는 경사진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미사용 시에는 다른 장소로 운반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기 위한 턱 부분 등과 같이 사용시에만 경사로가 필요한 장소에는 적합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2114호에는 계단 경사로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계단경사로 장치는 부피가 축소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계단 일측에 설치되어 미사용시에도 공간을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대한민국등록특허 10-2082852호의 경사로 형성 장치가 제공되어 있고, 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계단 또는 턱 전방 측의 지면에 상방이 개방되게 매립설치되며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개방된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계단 또는 턱에 이격된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수단의 이동을 위한 경사로가 형성되게 타단이 상기 계단 또는 턱의 상단에 인접하게 상향경사지게 회동되며 미사용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단 또는 상기 지면에 나란하게 위치되는 경사로형성판과,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타단이 상기 계단 또는 턱의 상단에 인접하거나 상기 경사로형성판이 지면에 나란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로 형성판을 회동조작하는 경사로조작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로조작유닛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공간 저면에 장착되며 제1베벨기어가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에 상기 제1베벨기어와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가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타측에 피니언기어가 장착되는 회전력전달축과,
상부가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저면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경사로형성판의회동궤적에 대응되는 호형곡률을 갖도록 연장형성되며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회전력전달축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경사로형성판이 상향경사지거나 지면에 나란하게 회동되도록 승강하는 래크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로 조작유닛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이 상방으로 완전개방되게 상기 경사로형성판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완전개방조작바와, 일측이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완전개방조작바에 연결되어, 상기 경사로형성판이 수평방향에서 상기 계단 또는 턱의 상단에 인접하게 상향 경사지도록 회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 회동시 상기 회전축에 감기면서 상기 완전개방조작바(157)를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당겨 상기 경사로형성판의 회동을 보조하는 당김와이어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82852호(공고일 : 2020.02.28.)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72114호(공고일 : 2014.04.07.)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232422호(공고일 : 2001.09.29.)
본 발명은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단턱이나 인도와 상가를 구분하는 단턱 또는 실내/외를 구분하는 각종 단턱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하여 휠체어를 포함하는 각종 운송수단의 바퀴가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단턱을 포함하는 각종 단턱(P)에 설치되어 휠체어를 포함하는 각종 운송수단의 바퀴가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턱의 하부 지면상에 위치하는 하부 면이 논 슬립 처리된 베이스패널(100);
상기 베이스패널의 선단에 단턱을 향하도록 세워 형성되는 지지수단(200);
상기 베이스패널의 후단부분과 후방 하부가 경첩 또는 힌지 중 어느 하나의 회동부재(21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 선단 부분은 단턱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후방 끝 부분으로 하향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표면이 논 슬립 처리된 경사패널(300);
회동부재(410)를 매개로 상기 경사패널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낮이조절판(420)과, 그 높낮이조절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핀(430)이 관통하도록 "―"자형으로 형성된 장홀(423)과, 상기 장홀과 부합하는 위치의 지지수단에 핀홀(424a)이 연이어지게 형성된 높이조정홀(424)을 사선방향으로 형성시켜 상기 경사패널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수단(400);
상기 베이스패널의 선단과 지지수단의 하단 사이 코너부분에 지지수단의 지지를 보강해주는 보강부재(500);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단턱이나 인도와 상가를 구분하는 단턱 또는 실내/외를 구분하는 각종 단턱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하여 휠체어를 포함하는 각종 운송수단의 바퀴가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경사로 형성 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 제1실시 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 제1실시 예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 제2실시 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 제2실시 예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 제3실시 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 제3실시 예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를 적용한 상태의 사시도.
본 발명은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단턱을 포함하는 각종 단턱 또는 문턱을 휠체어를 포함하는 각종 운송수단의 바퀴가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유도하는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의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는 도 2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단턱을 포함하는 각종 단턱(P)에 설치되어 휠체어를 포함하는 각종 운송수단의 바퀴가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턱의 하부 지면상에 위치하는 하부 면이 논 슬립 처리된 베이스패널(100);
상기 베이스패널의 선단에 단턱을 향하도록 세워 형성되는 지지수단(200);
상기 베이스패널의 후단부분과 후방 하부가 경첩 또는 힌지 중 어느 하나의 회동부재(21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 선단 부분은 단턱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후방 끝 부분으로 하향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표면이 논 슬립 처리된 경사패널(300);
회동부재(410)를 매개로 상기 경사패널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낮이조절판(420)과, 그 높낮이조절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핀(430)이 관통하도록 "―"자형으로 형성된 장홀(423)과, 상기 장홀과 부합하는 위치의 지지수단에 핀홀(424a)이 연이어지게 형성된 높이조정홀(424)을 사선방향으로 형성시켜 상기 경사패널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수단(400);
상기 베이스패널의 선단과 지지수단의 하단 사이 코너부분에 지지수단의 지지를 보강해주는 보강부재(500); 로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구성에서 베이스패널(10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면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지면과 마주 대하는 하부 면에는 본 발명의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를 설치 후 이동되지 않도록 논 슬립 처리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논 슬립 처리되지 않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지지수단(200)은, 상기 베이스패널(100)의 선단 단턱(P) 면을 향하도록 세워 형성되는 것으로, 베이스패널(100)의 선단부 일부를 절곡하여 세워 형성시킬 수도 있고, 별도의 지지수단(200)을 베이스패널(100)의 선단에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지지수단(200)의 높이는 단턱(P) 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사패널(300)은, 상기 베이스패널(100)의 후단부분과 후방 하부가 회동부재(21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은 지지수단(200)의 상부 즉 단턱(P)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향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경사패널(300)을 하향 기울어지게 형성시키는 이유는, 단턱(P)에 경사면을 형성시켜 휠체어를 포함하는 각종 운송수단의 바퀴가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경사패널(300)의 표면에는 휠체어를 포함하는 각종 운송수단의 바퀴가 용이하게 오르내릴 때 슬립이 일어나지 않도록 논 슬립 처리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사패널(300)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패널(10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시켜 지면과 단턱의 상부 간에 자연스러운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경사패널(300)의 후방 하부와 베이스패널(100)의 후단부 간에는 회동부재(21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그 이유는, 경사패널(300)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회동부재(210)는 경첩 또는 힌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경사패널(300)과 베이스패널(100)을 상호 연결설치하며 경사패널(300)이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회동부재(210)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높낮이조절수단(400)은, 상기 경사패널(300)의 전방 하부에 지지수단(200)과 상호 마주 대하며 경사패널(300)의 전방으로부터 회동부재(41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경사패널(300)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경사패널(300)의 기울기 각도 즉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높낮이조절수단(400)을 설치하는 이유는, 단턱(P)의 높이가 본 발명의 경사면 형성장치가 설치되는 개소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그 다른 단턱(P)의 높이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며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회동부재(410)는 경첩 또는 힌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경사패널(300)과 높낮이조절수단(400)을 상호 연결설치하며 경사패널(300)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할 때 용이하게 회동할 수 있는 회동부재(410)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경사패널(300)의 전방으로부터 높낮이조절수단(400)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이유는, 경사패널(300)의 기울기 각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경사패널(300)을 상/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높낮이조절수단(400)과 지지수단(200) 간의 각이 달라지기 때문에 그 달리지는 각을 보상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높낮이조절수단(400) 일실시 예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부재(410)를 매개로 경사패널(30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낮이조절판(420)과, 그 높낮이조절판에 고정핀(430)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421)과, 상기 지지수단(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유지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구멍(422)으로 구성된다.
상기 높낮이조절판(420)과 지지수단(200)에 각각의 구멍(421,422)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경사패널(300)의 단턱(P) 쪽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경사패널(30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적정 높이로 조정되면 상기 각 구멍(421,422)을 일치시켜 고정핀(430)을 관통하며 고정하여 조정된 높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핀(430)은 상기 각 구멍(421,422)을 관통하며 고정되는 고정핀 또는 상기 각 구멍(421,422)을 관통하는 볼트와 그 볼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를 포함한다.
또 상기 높낮이조절수단(400)의 다른 실시 예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부재(410)를 매개로 경사패널(30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낮이조절판(420)과, 그 높낮이조절판(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핀(430)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장홀(423)과, 상기 장홀(423)과 부합하는 위치의 지지수단(200)에 핀홀(424a)이 연이어지게 형성된 높이조정홀(424)을 사선방향으로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에서 높낮이조절판(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핀(430)이 관통하는 장홀(423)과, 지지수단(200)에 핀홀(424a)이 연이어지게 형성된 높이조정홀(424)을 사선방향으로 형성시킨 이유는, 경사패널(300)의 높낮이 즉 기울기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각기 다른 단턱(P)의 높이에 정밀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장홀(423)은 높낮이조절판(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형으로 형성시키거나 또는 사선방향으로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 장홀(423)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될 때에는 높이조정홀(424)과 마주대하도록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높낮이조절수단(400)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부재(410)를 매개로 경사패널(30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낮이조절판(420)과, 그 높낮이조절판의 이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래크(440)와, 상기 지지수단(200)의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래크(440)와 이빨물림 되는 제2래크(450)로 구성된다.
상기 높낮이조절수단(400)의 다른 실시 예에서, 높낮이조절판(420)에 제1래크(440)를 설치하고, 지지수단(200)에 제2래크(450)를 설치하는 이유는, 경사패널(300)의 단턱 쪽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경사패널(30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적정 높이로 조정되면 상기 제1 및 제2래크(440,450)가 상호 이빨물림 되어 조정된 높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일실시 예의 각 구멍(421,422)과, 다른 실시 예의 장홀(423)과, 높이조정홀(424) 및 또 다른 실시 예의 제1 및 제2래크(440,450)는 양측에 일정간격 유지하도록 형성시킴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높낮이 조절된 경사패널(300)의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높낮이조절수단(400) 외에도 경사패널(300)의 단턱 쪽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경사패널(30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적정 높이로 조정되면 그 조정된 높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보강부재(500)는, 베이스패널(100)의 선단과 지지수단(200)의 하단 사이 코너부분에 설치되어 지지수단(200)의 지지를 보강해주는 것으로, 상기 보강부재(500)는, 각형 파이프의 형태가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지지수단(200)의 지지를 보강해줄 수 있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베이스패널(100), 지지수단(200), 경사패널(300)의 형태는 판형으로 함이 바람직하고, 재질은 금속재로 함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수지나 목재로 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단턱이나 인도와 상가를 구분하는 단턱 또는 실내/외를 구분하는 각종 단턱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하여 휠체어를 포함하는 각종 운송수단의 바퀴가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베이스패널 200 : 지지수단
210 : 회동부재 300 : 경사패널
400 : 높낮이조절수단 410 : 회동부재
420 : 높낮이조절판 421,422 : 구멍
423 : 장홀 424 : 높이조정홀
424a : 핀홀 430 : 고정핀
440 : 제1래크 450 : 제2래크
500 : 보강부재

Claims (8)

  1.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단턱을 포함하는 각종 단턱(P)에 설치되어 휠체어를 포함하는 각종 운송수단의 바퀴가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턱의 하부 지면상에 위치하는 하부 면이 논 슬립 처리된 베이스패널(100);
    상기 베이스패널의 선단에 단턱을 향하도록 세워 형성되는 지지수단(200);
    상기 베이스패널의 후단부분과 후방 하부가 경첩 또는 힌지 중 어느 하나의 회동부재(21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 선단 부분은 단턱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후방 끝 부분으로 하향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표면이 논 슬립 처리된 경사패널(300);
    회동부재(410)를 매개로 상기 경사패널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낮이조절판(420)과, 그 높낮이조절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핀(430)이 관통하도록 "―"자형으로 형성된 장홀(423)과, 상기 장홀과 부합하는 위치의 지지수단에 핀홀(424a)이 연이어지게 형성된 높이조정홀(424)을 사선방향으로 형성시켜 상기 경사패널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수단(400);
    상기 베이스패널의 선단과 지지수단의 하단 사이 코너부분에 지지수단의 지지를 보강해주는 보강부재(500); 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수단은, 회동부재(410)를 매개로 경사패널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낮이조절판(420)과, 그 높낮이조절판에 고정핀(430)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421)과, 상기 구멍과 부합하는 위치에 지지수단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유지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구멍(42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수단은, 회동부재(410)를 매개로 경사패널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낮이조절판(420)과, 그 높낮이조절판의 이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래크(440)와, 상기 제1래크(440)와 부합하는 위치에 지지수단의 표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래크와 이빨물림 되는 제2래크(4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210136354A 2021-10-14 2021-10-14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 KR102636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354A KR102636707B1 (ko) 2021-10-14 2021-10-14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354A KR102636707B1 (ko) 2021-10-14 2021-10-14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146A KR20230053146A (ko) 2023-04-21
KR102636707B1 true KR102636707B1 (ko) 2024-02-14

Family

ID=8609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354A KR102636707B1 (ko) 2021-10-14 2021-10-14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7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892B2 (ja) * 1991-05-28 2000-04-24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射出成形用金型
KR101037905B1 (ko) * 2010-09-29 2011-05-30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오픈 조인트시스템의 오픈 조인트용 일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4258A (ja) * 1995-11-16 1997-06-03 Nippon Alum Co Ltd スロープ装置
JP3035892U (ja) * 1996-09-18 1997-04-04 昭夫 鈴木 高さ調節付傾斜型踏台
KR200232422Y1 (ko) 2001-02-19 2001-09-29 권중한 계단용 경사구
KR200472114Y1 (ko) 2013-03-14 2014-04-07 윤광주 계단 경사로 장치
KR102082852B1 (ko) 2018-09-14 2020-02-28 김형식 경사로 형성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892B2 (ja) * 1991-05-28 2000-04-24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射出成形用金型
KR101037905B1 (ko) * 2010-09-29 2011-05-30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오픈 조인트시스템의 오픈 조인트용 일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146A (ko) 202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9693B2 (en) Modular system for assembling ramps, decks, and other raised structures
EP1817253B1 (en) Lift apparatuses and method
US6598351B2 (en) Telescopic seating riser assembly
CA3082332C (en) Stair lift device
KR102636707B1 (ko) 높이 조절식 경사면 형성장치
CA2850553C (en) Apparatus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stairs with a wheelchair
KR102199114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
GB2426029A (en) Adjustable staircase
US8371077B2 (en) Roll-away staircase
JP4887029B2 (ja) 組立式スロープユニット
WO2013091097A1 (en) Lifting staircase assembly
EP0067161A1 (en) Height adjustable stairway with an elevator platform
KR200384963Y1 (ko)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계단
AU2021215192A1 (en) Temporary Stairway with Void Cover
KR102651650B1 (ko) 선택적 경사면 조절 기능을 구비한 경사로 높이 조절 시스템
US7484595B2 (en) Step-shaped staircase lift for personal use and transport of goods
JP3197568U (ja) 階段用スロープ
CN212054468U (zh) 一种可自动升降式建筑用扶梯
JP3712177B2 (ja) 住宅階段の傾斜勾配体験装置
KR102084780B1 (ko) 장애인용 경사보도판 및 그 이용방법
CN215563993U (zh) 一种新型残疾人用栅栏扶手
JP3035006U (ja) 身体障害者等のためのリフター
KR20220045408A (ko) 계단 리프트 장치
EP0745753B1 (en) Stair-ladder platform
JP3899297B2 (ja) 法面用階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