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475B1 - 리프트 후크 수납형 진공 차단기 - Google Patents
리프트 후크 수납형 진공 차단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6475B1 KR102636475B1 KR1020210041015A KR20210041015A KR102636475B1 KR 102636475 B1 KR102636475 B1 KR 102636475B1 KR 1020210041015 A KR1020210041015 A KR 1020210041015A KR 20210041015 A KR20210041015 A KR 20210041015A KR 102636475 B1 KR102636475 B1 KR 1026364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breaker
- lift hook
- body portion
- moving holes
- lif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07—Specific housing details, e.g. sealing, soldering or braz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07—Specific housing details, e.g. sealing, soldering or brazing
- H01H2033/6623—Details relating to the encasing or the outside layers of the vacuum switch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식 리프트 후크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리프트 후크를 올려 사용하고, 사용하고 난 후에는 리프트 후크를 수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리프트 후크 수납형 진공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차단기는, 차단기 본체; 상기 차단기 본체에 장착 고정된 복수의 고정용 볼트; 및 상기 복수의 고정용 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이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이동홀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는 리프트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차단기는, 차단기 본체; 상기 차단기 본체에 장착 고정된 복수의 고정용 볼트; 및 상기 복수의 고정용 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이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이동홀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는 리프트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프트 후크 수납형 진공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식 리프트 후크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리프트 후크를 올려 사용하고, 사용을 하고 난 후에는 리프트 후크를 수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리프트 후크 수납형 진공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차단기는 진공의 절연 내력을 이용해 전기회로에서 발생하는 단락이나 지락 등의 사고 발생시 사고 전류로부터 부하기기 및 선로를 보호하는 전기 보호기이다.
진공 차단기는 전력 수송제어 및 전력 계통의 보호 역할을 하며, 차단 용량이 크고 신뢰성 및 안전성이 높다. 그리고 진공 차단기는 작은 설치 공간에도 거치할 수 있어서 중전압에서부터 고전압에 이르기까지 그 적용범위가 비교적 넓다.
진공 차단기는 전기 안전에 관련한 기계로서, 정기적인 유지 및 보수를 진행한다. 즉, 진공 차단기는 배전반 내의 점검(TEST) 위치에서 간단한 유지 보수를 진행하기도 하나, 주기적으로 배전반 밖으로 꺼내어 전체 외관의 이상 유무 및 접촉자의 상태를 확인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 차단기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진공 차단기에 리프트 후크를 체결할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진공 차단기의 리프트 후크 조립 전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진공 차단기의 리프트 후크 조립 중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진공 차단기의 리프트 후크 조립 완료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진공 차단기의 리프트 후크 조립 후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종래 진공 차단기(10)는 복수의 리프트 후크(12, 13)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 홀(16)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복수의 리프트 후크(12, 13)는 진공 차단기(10)에 장착하기 위한 도킹 구조물(15)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진공 차단기(10)의 유지 보수 시, 배전반에서 크레인 장비를 이용해 진공 차단기(10)를 꺼내려고 할 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차단기(10)를 평평한 면에 놓은 상태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후크(12, 13)를 장착한다. 즉, 도 3에서 리프트 후크(12, 13)의 도킹 구조물(15)을 도 4의 조립 홀(16)에 각각 삽입하고, 도 5와 같이 조립 홀(16)의 작은 홈으로 들어올려 끼운 후 고정용 볼트(14)를 이용해 고정하게 된다. 이때, 도 6과 같이 진공 차단기(10)의 양측에 각각 리프트 후크(12, 13)를 장착하여 고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진공 차단기(10)는 유지 보수 시 리프트 후크(12, 13)를 장착하고 크레인을 사용하여 배전반에서 진공 차단기(10)를 들고 내리는데, 리프트 후크(12, 13) 장착 시 고정이 어려워 사용자가 손으로 계속 잡고 있는 경우가 있고, 차단기 마다 고객이 직접 리프트 후크를 탈착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식 리프트 후크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리프트 후크를 올려 사용하고, 사용하고 난 후에는 리프트 후크를 수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리프트 후크 수납형 진공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는, 차단기 본체; 상기 차단기 본체에 장착 고정된 복수의 고정용 볼트; 및 상기 복수의 고정용 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이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이동홀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는 리프트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용 볼트는, 상기 차단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장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용 볼트는, 각각 머리부와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몸체부의 두께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용 볼트에서, 상기 몸체부의 두께는 상기 이동 홀의 폭과 동일하거나, 상기 이동홀의 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상기 리프트 후크는, 상기 차단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되, 상기 복수의 이동홀에 상기 복수의 고정용 볼트가 삽입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후크는, 머리부와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후크에서 상기 복수의 이동홀은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동홀은 상기 몸체부에서 서로 평행한 상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후크에서 상기 머리부에는 일정 크기의 지름을 갖는 원형의 후크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후크에서 상기 몸체부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복수의 보강대가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보강대는 상기 복수의 이동 홀과 평행하게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후크에서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체부는 일직선 상에 연이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후크에서 상기 복수의 이동홀은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평상 시에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복수의 이동홀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 있고, 상기 차단기 본체의 이동 시에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복수의 이동홀을 따라 위로 올라가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머리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에 따른 일직선 상에서 일정 각도로 휘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머리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에 따른 수직선 상에서 10? 내지 80? 이내의 각도로 휘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후크는, 복수의 제1 보강대가 상기 머리부의 좌우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제2 보강대가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보강대는 각각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복수의 제2 보강대는 각각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 차단기의 유지 보수시, 차단기를 배전반 등에서 인출하거나 인입할 때 크레인 장비를 사용할 경우 추가 부착물 없이 차단기를 들고 내릴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 차단기에 리프트 후크가 장착되어 있어,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수납되어 있는 리프트 후크를 올려 사용하고, 사용하고 난 후에는 다시 수납함으로써, 리프트 후크를 따로 조립하거나 휴대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 차단기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진공 차단기에 리프트 후크를 체결할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진공 차단기의 리프트 후크 조립 전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진공 차단기의 리프트 후크 조립 중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진공 차단기의 리프트 후크 조립 완료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진공 차단기의 리프트 후크 조립 후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에서 차단기 본체의 양측에 장착된 리프트 후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에 리프트 후크가 고정용 볼트에 의해 장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에 장착된 리프트 후크가 고정용 볼트에 의해 이동홀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에서 리프트 후크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후크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진공 차단기에 리프트 후크를 체결할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진공 차단기의 리프트 후크 조립 전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진공 차단기의 리프트 후크 조립 중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진공 차단기의 리프트 후크 조립 완료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진공 차단기의 리프트 후크 조립 후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에서 차단기 본체의 양측에 장착된 리프트 후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에 리프트 후크가 고정용 볼트에 의해 장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에 장착된 리프트 후크가 고정용 볼트에 의해 이동홀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에서 리프트 후크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후크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에서 차단기 본체의 양측에 장착된 리프트 후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에 리프트 후크가 고정용 볼트에 의해 장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에 장착된 리프트 후크가 고정용 볼트에 의해 이동홀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100)는, 차단기 본체(110), 복수의 고정용 볼트(80), 및 복수의 리프트 후크(60, 70)를 포함한다.
차단기 본체(11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동일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진공 인터럽트를 수용하고, 주회로부를 구비한다. 또한, 차단기 본체(110)는 진공 인터럽터의 접점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푸시 로드 어셈블리 및 메인 샤프트와, 구동력을 발생하며 메인 샤프트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메커니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는 가동전극의 일단에 결합되어 가동전극을 승하강시키는 동력을 공급한다. 주회로부는 하우징 내부에 진공 인터럽터가 설치된다. 진공 인터럽터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절연용기와, 절연용기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전극과, 고정전극의 단부에 구비된 고정접점과, 절연용기의 내측 하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전극과, 가동전극의 단부에 구비된 가동접점을 구비한다. 가동전극은 고정전극과 마주하는 하측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절연용기 내부에는 진공을 형성하는 아크 실드가 구비되며, 이러한 아크 실드는 고정전극과 고정접점, 가동전극과 가동접점의 주변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가동접점은 가동전극에 의해 고정접점에 접촉(투입 상태)되거나 고정접점으로부터 분리(차단 상태)된다. 이러한 가동전극은 푸시 로드 어셈블리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한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는 가동전극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투입하거나, 하측으로 이동시켜 차단한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는 메인 샤프트의 동력을 가동전극에 전달하는 여러 축 및 스프링 등으로 구성된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하단에 메인 샤프트가 연결된다. 메인 샤프트는 메커니즘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메커니즘 어셈블리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푸시 로드 어셈블리로 전달한다. 푸시 로드 어셈블리의 로드 하우징은 메인 샤프트의 상측에 위치하며, 메인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로드 하우징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복수의 고정용 볼트(80)는 복수의 리프트 후크(60, 70)를 차단기 본체(110)에 수납하기 위해 차단기 본체(110)의 상부 양측에 장착 고정된다. 즉, 복수의 고정용 볼트(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110)의 상부 양측에 나사 결합 형태로 삽입되어 장착 고정된다.
복수의 리프트 후크(60, 70)는 복수의 고정용 볼트(80)가 삽입되는 복수의 이동홀(72a, 72b)이 형성되고, 복수의 이동홀(72a, 72b)에 복수의 고정용 볼트(80)가 삽입된 상태에서 복수의 이동홀(72a, 72b)을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하로 이동된다.
즉, 복수의 리프트 후크(60, 70)는 차단기 본체(110)의 상단 양측에 각각 결합된 복수의 고정용 볼트(80)가 복수의 이동홀(72a, 72b)에 삽입되고, 복수의 이동홀(72a, 72b)을 따라 아래로 내려진 상태에서, 차단기 본체(110)를 배전반에서 들어 옮기려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이동홀(72a, 72b)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올려지게 된다.
복수의 고정용 볼트(80)는, 차단기 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장착 고정되고, 차단기 본체(110)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용 볼트(80)는, 각각 머리부와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용 볼트(80)에서, 머리부는 몸체부의 두께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고정용 볼트(80)에서, 몸체부의 두께는 이동 홀(72a, 72b)의 폭과 동일하거나, 이동홀(72a, 72b)의 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에서 리프트 후크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100)에서, 복수의 리프트 후크(60, 70)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하나의 리프트 후크(70)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며, 하나의 리프트 후크(70)는, 머리부(71)와 몸체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리프트 후크(70)는, 차단기 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되, 복수의 이동홀(72a, 72b)에 복수의 고정용 볼트(80)가 삽입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하나의 리프트 후크(70)에서 복수의 이동홀(72a, 72b)은 몸체부(7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홀(72a, 72b)은 몸체부(72)에서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홀(72a, 72b)은 몸체부(72)에서 서로 평행한 상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하나의 리프트 후크(70)에서 머리부(71)에는 일정 크기의 지름을 갖는 원형의 후크 홀(71a)이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리프트 후크(70)에서 머리부(71)의 외곽 형태는 후크 홀(71a)의 원형 모양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리프트 후크(70)에서 몸체부(72)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복수의 보강대(73)가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리프트 후크(70)에서 복수의 보강대(73)는 복수의 이동홀(72a, 72b)과 평행하게 몸체부(72)의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리프트 후크(70)에서 복수의 보강대(73)는 복수의 이동홀(72a, 72b)과 중첩하지 않고 복수의 이동홀(72a, 72b)의 바깥 쪽 몸체부(72)의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리프트 후크(70)에서 머리부(71)와 몸체부(72)는 일직선 상에 연이어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리프트 후크(70)에서, 몸체부(72)의 좌우 양단에 복수의 보강대(73)가 형성되고, 머리부(71)와 몸체부(72)는 일직선 상에 연이어 형성되며, 복수의 보강대(73)는 머리부(71)와 일직선 상에 연이어 형성된 몸체부(72)의 좌우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리프트 후크(70)에서, 복수의 이동홀(72a, 72b)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리프트 후크(70)에서, 복수의 이동홀(72a, 72b)은 몸체부(72)의 일정 위치에서 동일한 길이와 동일한 폭을 가지고 일정한 간격을 가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리프트 후크(70)에서, 복수의 이동홀(72a, 72b)은 몸체부(7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평상 시에는 몸체부(72)가 복수의 이동홀(72a, 72b)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 있고, 차단기 본체(110)의 이동 시에는 몸체부(72)가 복수의 이동홀(72a, 72b)을 따라 위로 올라가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하나의 리프트 후크(70)에서, 복수의 보강대(73)는 몸체부(72)의 양단이 각각 안쪽으로 접히거나, 각각 바깥쪽으로 접히면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리프트 후크(70)에서, 복수의 보강대(73)는 몸체부(72)의 양단에 별도의 강성 재질의 재료가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리프트 후크(70)에서, 복수의 보강대(73)와 몸체부(72)의 재질은 서로 동일한 재료일 수 있다.
하나의 리프트 후크(70)에서, 복수의 보강대(73)와 몸체부(72)의 재질은 서로 다른 재료일 수 있다.
하나의 리프트 후크(70)에서, 복수의 이동홀(72a, 72b)은 몸체부(72)가 두 개의 기다란 타원형으로 개구되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후크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후크(90)는, 복수의 고정용 볼트(80)가 삽입되는 이동홀(92a, 92b)이 몸체부(92)에 복수 개로 형성되고, 리프팅을 위한 후크 홀(91a)이 머리부(91)에 형성되며, 머리부(91)는 몸체부(92)의 길이 방향에 따른 일직선 상에서 일정 각도로 휘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는, 차단기 본체; 차단기 본체에 장착 고정된 복수의 고정용 볼트(80); 및 복수의 고정용 볼트(80)가 삽입되는 이동홀(92a, 92b)이 몸체부(92)에 복수 개로 형성되고, 리프팅을 위한 후크 홀(91a)이 머리부(91)에 형성되되, 머리부(91)가 몸체부(92)의 길이 방향에 따른 일직선 상에서 일정 각도로 휘어진 상태로 형성된 리프트 후크(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후크(90)는, 머리부(91)와 몸체부(92)가 서로 떨어지지 않고, 몸체부(92)로부터 연이어 머리부(91)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후크(90)에서 머리부(91)는 몸체부(92)의 길이 방향에 따른 수직선 상에서 10? 내지 80? 이내의 각도로 휘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리프트 후크(90)에서 머리부(91)는 몸체부(92)의 길이 방향에 따른 수직선 상에서 20? 내지 70? 이내의 각도로 휘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후크(90)에서 머리부(91)가 몸체부(92)의 길이 방향에 따른 수직선 상에서 일정 각도로 휘어진 상태로 형성된 이유는, 진공 차단기(100)를 배전반에서 들어올릴 때, 진공 차단기(100)의 무게 중심에 의한 기울어짐을 잡아주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후크(90)는, 머리부(91)의 좌우 양단에 복수의 제1 보강대(93a, 93b)가 각각 형성되고, 몸체부(92)의 좌우 양단에 복수의 제2 보강대(93c, 93d)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보강대(93a, 93b)는 각각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고, 복수의 제2 보강대(93c, 93d)는 각각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후크(90)는, 차단기 본체(110)의 상부양측에 각각 장착 고정된 복수의 고정용 볼트(80)가 몸체부(92)의 이동홀(92a, 92b)에 삽입된 상태로 복수의 이동홀(92a, 92b)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고정용 볼트(80)는, 각각 머리부와 몸체부를 포함하고, 머리부는 몸체부의 두께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고정용 볼트(80)에서, 몸체부의 두께는 복수의 이동홀(92a, 92b)의 폭과 동일하거나, 자유롭게 이동하기 위해 복수의 이동홀(92a, 92b)의 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후크(90)는, 차단기 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되, 복수의 이동홀(92a, 92b)에 복수의 고정용 볼트(80)가 삽입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후크(90)에서 복수의 이동홀(92a, 92b)은 몸체부(9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홀(92a, 92b)은 몸체부(91)에서 서로 평행한 상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후크(90)에서, 머리부(91)에 형성된 후크 홀(91a)은 머리부(91)에서 원형 모양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머리부(91)의 외곽 형태는 후크 홀(91a)의 원형 모양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후크(90)는, 배전반에서 진공 차단기(100)를 들어올리고자 할 경우에, 차단기 본체(110)에 장착된 복수의 고정용 볼트(80)에 의해 복수의 이동홀(92a, 92b)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올라가게 되고, 머리부(91)에 형성된 후크 홀(91a)에 크레인의 후크 고리가 걸어지게 됨으로써, 별도의 리프트 후크를 설치하지 않고 용이하게 배전반에서 진공 차단기(100)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식 리프트 후크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리프트 후크를 올려 사용하고, 사용하고 난 후에는 리프트 후크를 수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리프트 후크 수납형 진공 차단기를 실현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 종래 진공 차단기 12, 13 : 종래 리프트 후크
14 : 고정용 볼트 15 : 도킹 구조물
16 : 조립 홀
100 : 본 발명 진공 차단기 60, 70 : 제1 장착형 리프트 후크
71 : 머리부 71a : 후크 홀
72 : 몸체부 72a : 제1 이동 홀
72b : 제2 이동 홀 73 : 보강대
80 : 고정 볼트 90 : 제2 장착형 리프트 후크
91 : 머리부 91a : 후크 홀
92 : 몸체부 92a : 제1 이동 홀
92b : 제2 이동 홀 93a : 제1 머리부 보강대
93b : 제2 머리부 보강대 93c : 제1 몸체부 보강대
93d : 제2 몸체부 보강대
14 : 고정용 볼트 15 : 도킹 구조물
16 : 조립 홀
100 : 본 발명 진공 차단기 60, 70 : 제1 장착형 리프트 후크
71 : 머리부 71a : 후크 홀
72 : 몸체부 72a : 제1 이동 홀
72b : 제2 이동 홀 73 : 보강대
80 : 고정 볼트 90 : 제2 장착형 리프트 후크
91 : 머리부 91a : 후크 홀
92 : 몸체부 92a : 제1 이동 홀
92b : 제2 이동 홀 93a : 제1 머리부 보강대
93b : 제2 머리부 보강대 93c : 제1 몸체부 보강대
93d : 제2 몸체부 보강대
Claims (16)
- 차단기 본체;
상기 차단기 본체에 장착 고정된 복수의 고정용 볼트; 및
상기 복수의 고정용 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이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이동홀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는 리프트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후크는, 머리부와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이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에 따른 일직선 상에서 측면으로 일정 각도로 휘어진 상태로 형성된, 진공 차단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용 볼트는, 상기 차단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장착 고정된, 진공 차단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용 볼트는, 각각 머리부와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몸체부의 두께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진공 차단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용 볼트에서, 상기 몸체부의 두께는 상기 이동 홀의 폭과 동일하거나, 상기 이동홀의 폭보다 더 작은, 진공 차단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후크는, 상기 차단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되, 상기 복수의 이동홀에 상기 복수의 고정용 볼트가 삽입된 상태로 장착된, 진공 차단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후크에서 상기 복수의 이동홀은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진공 차단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홀은 상기 몸체부에서 서로 평행한 상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진공 차단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후크에서 상기 머리부에는 일정 크기의 지름을 갖는 원형의 후크 홀이 형성된, 진공 차단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후크에서 상기 몸체부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복수의 보강대가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보강대는 상기 복수의 이동 홀과 평행하게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진공 차단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후크에서 상기 복수의 이동홀은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평상 시에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복수의 이동홀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 있고, 상기 차단기 본체의 이동 시에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복수의 이동홀을 따라 위로 올라가는, 진공 차단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후크에서, 상기 머리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에 따른 일직선 상에서 일정 각도로 휘어진 상태로 형성된, 진공 차단기.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에 따른 수직선 상에서 10° 내지 80° 이내의 각도로 휘어진 상태로 형성된, 진공 차단기.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후크는, 복수의 제1 보강대가 상기 머리부의 좌우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제2 보강대가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단에 각각 형성된, 진공 차단기.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보강대는 각각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2 보강대는 각각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진공 차단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1015A KR102636475B1 (ko) | 2021-03-30 | 2021-03-30 | 리프트 후크 수납형 진공 차단기 |
US18/284,992 US20240170241A1 (en) | 2021-03-30 | 2022-03-20 | Vacuum circuit breaker in which lift hooks are accommodated |
PCT/KR2022/003996 WO2022211346A1 (ko) | 2021-03-30 | 2022-03-22 | 리프트 후크 수납형 진공 차단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1015A KR102636475B1 (ko) | 2021-03-30 | 2021-03-30 | 리프트 후크 수납형 진공 차단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5404A KR20220135404A (ko) | 2022-10-07 |
KR102636475B1 true KR102636475B1 (ko) | 2024-02-13 |
Family
ID=83459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1015A KR102636475B1 (ko) | 2021-03-30 | 2021-03-30 | 리프트 후크 수납형 진공 차단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170241A1 (ko) |
KR (1) | KR102636475B1 (ko) |
WO (1) | WO2022211346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790641B1 (en) * | 2019-08-27 | 2020-09-29 | Moxa Inc. | Clamping mechanism for din rail |
KR102203594B1 (ko) * | 2019-09-05 | 2021-01-15 | 주식회사 팬스타엔터프라이즈 | 이동제어용 리미트 스위치의 파손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리프트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00596A (ko) * | 2012-03-02 | 2013-09-11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회로차단기 |
KR200485086Y1 (ko) * | 2016-01-27 | 2017-11-27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자 접촉기 또는 차단기의 이동을 위한 이동장치 |
KR102024621B1 (ko) * | 2017-12-26 | 2019-09-24 | 주식회사 포스코 | 크레인 후크 |
-
2021
- 2021-03-30 KR KR1020210041015A patent/KR10263647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3-20 US US18/284,992 patent/US20240170241A1/en active Pending
- 2022-03-22 WO PCT/KR2022/003996 patent/WO202221134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790641B1 (en) * | 2019-08-27 | 2020-09-29 | Moxa Inc. | Clamping mechanism for din rail |
KR102203594B1 (ko) * | 2019-09-05 | 2021-01-15 | 주식회사 팬스타엔터프라이즈 | 이동제어용 리미트 스위치의 파손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리프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211346A1 (ko) | 2022-10-06 |
US20240170241A1 (en) | 2024-05-23 |
KR20220135404A (ko) | 2022-10-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026765B1 (en) | Withdrawal interlock device of vacuum circuit breaker | |
EP2833494B1 (en) | Gas-insulated switchgear | |
KR101071097B1 (ko) |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 |
KR102636475B1 (ko) | 리프트 후크 수납형 진공 차단기 | |
EP3041096B1 (en) | Switchboard with position-indicating apparatus | |
CN1637988A (zh) | 真空开关装置系统 | |
KR101838735B1 (ko) | 전기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환경개선형 내진 수배전반 | |
CN206931545U (zh) | 一种断路器 | |
CN213042856U (zh) | 一种静电电流转移结构及重合闸断路器 | |
KR102163203B1 (ko) |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갖는 배전반 | |
KR102650318B1 (ko) |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챔버 개방용 지그장치 | |
CN219106382U (zh) | 电池箱和动力电池系统 | |
CN219513715U (zh) | 一种地线防护装置 | |
CN105261515B (zh) | 一种改进型隔离开关 | |
CN214314477U (zh) | 一种架空导线接地环的绝缘护罩 | |
CN111319484B (zh) | 叉车和充电柜 | |
CN110165596B (zh) | 配电开关设备及其航空插联锁装置 | |
CN217159101U (zh) | 断路器耐张杆杆顶遮蔽罩 | |
JP2012101924A (ja) | ブームバックストップ装置 | |
CN111319481B (zh) | 用于叉车的充电方法 | |
KR102602302B1 (ko) | 배전반의 컨트롤 잭 자동 동작 어셈블리 | |
CN212542894U (zh) | 一种具有射频结构的螺旋断路器 | |
KR200308125Y1 (ko) | 컷 아웃 스위치의 퓨즈 홀더 | |
CN213171193U (zh) | 一种缆索起重机控制装置 | |
JP7293973B2 (ja) | ガス絶縁開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