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151B1 -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151B1
KR102636151B1 KR1020230110270A KR20230110270A KR102636151B1 KR 102636151 B1 KR102636151 B1 KR 102636151B1 KR 1020230110270 A KR1020230110270 A KR 1020230110270A KR 20230110270 A KR20230110270 A KR 20230110270A KR 102636151 B1 KR102636151 B1 KR 102636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air
shaft
gu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0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봄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봄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봄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230110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80Chemical processes for the removal of the retained particles, e.g. by bur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46/004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by using 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80Chemical processes for the removal of the retained particles, e.g. by burning
    • B01D46/84Chemical processes for the removal of the retained particles, e.g. by burning by heat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88Replacing filter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돈사, 축사 내 대기 중의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오염물질 수집 장치, 오염물질 제거 장치, 센서링 장치, 필터 교체 알림 장치, 시스템 제어 장치, 오염물질을 수집하기 위해 가이드하는 수집 가이드 장치 및 오염물질을 센싱하기 위한 오염물질 센싱 장치가 구비된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Air Pollutant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돈사, 축사 내 대기 중의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오염물질 수집 장치, 오염물질 제거 장치, 센서링 장치, 필터 교체 알림 장치, 시스템 제어 장치, 오염물질을 수집하기 위해 가이드하는 수집 가이드 장치 및 오염물질을 센싱하기 위한 오염물질 센싱 장치가 구비된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된 농장들, 특히 돈사와 축사에서는 다양한 오염물질이 대기에 배출된다.
이런 오염물질들은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인체 건강에도 해를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대기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처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종종 비효율적이며, 사용된 물질이 환경에 추가적인 부담을 줄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방법들은 보통 오염물질을 처리한 후에야 오염 상태를 알 수 있어, 실시간 모니터링이 어려웠다.
또한, 대기 중의 오염물질을 수집하고 처리하는 장치들은 보통 고정적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었다.
이로 인해, 오염이 심한 특정 지역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런 장치들은 종종 복잡하고 크기가 크며, 설치 및 운영 비용이 많이 들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돈사 및 축사에서 대기 중의 오염물질을 수집하고, 흡착력이 우수한 제올라이트 필터를 사용하여 수집한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대기 오염물질 수집 장치를 포함하는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 모니터링 및 자동 조절 기능을 통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오염물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레일과 수집 가이드 장치, 오염물질 센싱 장치를 포함하여, 특정 지역의 오염 상태에 따라 오염물질 수집 장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대기 오염물질의 수집 및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기 오염물질의 수집 및 처리 기술에 있어서 중요한 발전을 이루며, 환경 보호 및 농업 산업의 효율성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401715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1111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돈사, 축사의 대기 중의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대기 오염물질 수집 장치, 오염물질 제거 장치, 센서링 장치, 필터 교체 알림 장치, 시스템 제어 장치가 구비된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염물질을 수집하기 위해 가이드하는 수집 가이드 장치가 구비된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염물질을 센싱하기 위해 오염물질 센싱 장치가 구비된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은 돈사, 축사에서 대기 중의 오염물질을 수집하고, 내부에 수집한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제올라이트 필터가 장착된 대기 오염물질 수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은 상기 대기 오염물질 수집 장치는, 오염된 공기를 집진하기 위해 기류를 일으키는 팬, 상기 제올라이트 필터가 장착되어 지지하도록 구비된 수집통, 상기 팬 및 상기 수집통을 보호하고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장치 바디를 포함하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일 실시예에서,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은 돈사, 축사 둘레부를 따라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장치 이동 레일, 상기 장치 이동 레일에 설치되어 오염물질을 수집하기 위해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수집 가이드 장치, 상기 장치 이동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대기 오염물질 수집 장치의 오염물질 수집을 위해 오염물질을 센싱하도록 구비된 오염물질 센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집 가이드 장치는, 상기 장치 이동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체결된 제 1 장치 이동체, 상기 제 1 장치 이동체의 상부에 설치된 제 1 장치 하우징, 상기 제 1 장치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돈사, 축사 내 공기를 이동시켜 오염물질을 상기 대기 오염물질 수집 장치로 향하도록 구비된 에어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장치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부 지지 프레임, 상기 가이드부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체결된 축 지지부재(132), 상기 축 지지부재(132)의 상부에 정회전 가능하게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정회전축, 상기 정회전축의 둘레부에 삽입되되 회동 가능하게 양 측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돈사, 축사 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구비된 에어 피스톤부, 상기 정회전축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 스프링, 상기 정회전축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상기 정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정회전 기어, 상기 정회전 기어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정회전 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된 정회전 모터, 상기 정회전 기어와 맞물리게 체결되되 역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역회전 기어, 상기 역회전 기어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된 역회전축, 상기 역회전축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역회전축을 역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생성하게 구비된 역회전 모터, 상기 정회전 모터, 상기 역회전 모터, 상기 정회전 기어, 및 상기 역회전 기어를 내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 하우징, 상기 가이드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정회전축 및 상기 역회전축이 고정되도록 체결된 축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피스톤부는, 상기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의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피스톤부 레일, 상기 피스톤부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피스톤부 회전축, 상기 피스톤부 회전축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부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피스톤부 롤러, 상기 피스톤부 롤러의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롤러 프레임, 상기 롤러 프레임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피스톤부재, 상기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의 내부에 내장된 피스톤부 실린더, 상기 피스톤부 실린더의 내부에 피스톤 운동 가능하게 내장되고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돌기부재가 돌출 형성된 피스톤부 샤프트, 상기 피스톤부 샤프트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부 샤프트의 피스톤 운동에 의해 공기 압축 동작을 수행하는 피스톤 헤드, 상기 피스톤 헤드에서 상기 피스톤부 실린더의 내부 전방을 향해 탄성 지지 가능하게 내장된 피스톤부 스프링, 상기 피스톤부 실린더의 내부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부 스프링을 지지하면서 상기 피스톤 헤드의 공기 압축 동작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된 완충부재, 상기 피스톤부 실린더의 전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피스톤 헤드에 의한 공기 압축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비된 공기 분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 가이드 장치는, 제어에 의해 상기 가이드 구동부가 상기 에어 가이드부의 상기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이 서로 마주보도록 회동시키면서 상기 에어 피스톤부가 돈사, 축사 내의 공기를 이용하여 기류를 생성하여 상기 대기 오염물질 수집 장치로 오염물질을 가이드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염물질 센싱 장치는, 상기 장치 이동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체결된 제 2 장치 이동체, 상기 제 2 장치 이동체의 상부에 설치된 제 2 장치 하우징, 상기 제 2 장치 하우징의 내부 전단에 설치되어 돈사, 축사 내의 오염물질을 센싱하도록 구비된 관절 센싱부, 상기 제 2 장치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관절 센싱부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관절 센싱부를 고정 및 이동시키도록 구비된 센싱부 고정부, 상기 제 2 장치 하우징의 내부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센싱부 고정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관절 센싱부를 청결하게 하도록 구비된 센싱부 청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절 센싱부는, 상기 제 2 장치 하우징의 내부 하단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센싱부 고정 프레임, 상기 센싱부 고정 프레임의 내부 양 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체결된 프레임 승강 기어, 상기 프레임 승강 기어와 맞물려 승하강 가능하며 일정 간격으로 삽입된 관절 회동축에 의해 관절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관절 프레임, 상기 관절 프레임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관절 회전축, 상기 관절 회전축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상기 관절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된 센싱부 기어, 상기 센싱부 기어의 말단부에 삽입되어 오염물질을 센싱하기 위한 오염물질 센서부, 상기 센싱부 기어의 상부에서 상기 관절 회전축을 향해 체결되어 상기 센싱부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고 지지하도록 구비된 기어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 고정부는, 상기 제 2 장치 하우징의 내부 하단면에서 상기 관절 센싱부와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고정부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부 고정 프레임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된 고정부 신장 샤프트, 상기 고정부 신장 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고정부 회동 프레임, 상기 고정부 회동 프레임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관절 회전축을 흡착 고정하도록 구비된 고정 헤드부, 상기 고정부 신장 샤프트의 상단부와 상기 고정부 회동 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 회동 프레임을 다관절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샤프트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헤드부는, 상기 고정부 회동 프레임의 말단부에 설치된 헤드부재, 상기 헤드부재의 내부에 내장된 헤드부 지지 플레이트, 상기 헤드부 지지 플레이트의 양 말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헤드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헤드부 지지 플레이트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비된 플레이트 회동부재, 상기 헤드부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된 실린더 지지부재, 상기 실린더 지지부재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헤드부 실린더, 상기 헤드부 실린더의 둘레부에 삽입되되 상기 실린더 지지부재에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된 헤드부 스프링, 상기 헤드부 실린더에 피스톤 운동 가능하게 삽입된 헤드부 피스톤 축, 상기 헤드부 피스톤 축의 상부에 설치된 축 지지부재(2448), 상기 축 지지부재(2448)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완충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된 헤드부 완충부재, 상기 헤드부 완충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부 완충부재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완충부재 지지부재, 상기 완충부재 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축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돌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 청결부는, 상기 제 2 장치 하우징의 내부 하단면에 상기 센싱부 고정부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청결부 바디, 상기 청결부 바디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 청결부 구동 롤러, 상기 청결부 구동 롤러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된 청결부 구동 벨트, 상기 청결부 구동 벨트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되 상기 청결부 바디의 외부를 향해 배치된 청결부 회동부재, 상기 청결부 회동부재에 설치된 청결부 지지 프레임, 상기 청결부 지지 프레임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청결부 롤러, 상기 청결부 롤러의 둘레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물질 센서부를 청결하게 하도록 구비된 청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청결부재는, 상기 청결부재에 삽입된 부재 샤프트, 상기 부재 샤프트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부재 나사산부, 상기 부재 나사산부의 나사산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부재 플레이트, 상기 부재 플레이트의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판 회동 프레임, 각각의 상기 지지판 회동 프레임에 체결된 부재 지지판, 상기 부재 플레이트와 각각의 상기 부재 지지판에 삽입되어 상기 오염물질 센서부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된 청결볼을 포함하고, 상기 오염물질 센싱 장치는, 제어에 의해 상기 관절 센싱부가 다관절 회동하여 상기 오염물질 센서부에서 오염물질을 센싱하여 상기 수집 가이드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센싱부 고정부에 의해 상기 관절 센싱부를 회동시켜 상기 제 2 장치 하우징의 내부로 수용시키고, 상기 센싱부 청결부가 작동하여 상기 오염물질 센서부를 청결하게 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돈사, 축사 내 대기 중의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오염물질 수집 장치, 오염물질 제거 장치, 센서링 장치, 필터 교체 알림 장치, 시스템 제어 장치, 오염물질을 수집하기 위해 가이드하는 수집 가이드 장치 및 오염물질을 센싱하기 위한 오염물질 센싱 장치가 구비된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효율적인 오염물질 처리: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 필터를 사용하여 대기 중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흡착한다. 제올라이트는 그 흡착력이 뛰어나고 특정 오염물질을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실시간 모니터링 및 자동 조절: 본 발명은 센서링 장치를 통해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한다. 이는 오염물질 처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효과적인 위치 조정: 본 발명은 오염물질 수집 장치가 슬라이딩 레일에 설치되어 있어, 특정 지역의 오염 상태에 따라 수집 장치의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이는 오염이 심한 지역에 대한 처리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사용자 친화적인 통지 시스템: 본 발명은 필터의 흡착능력이 감소할 때 사용자에게 알림을 보내는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어, 필터 교체 시점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시스템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만들어준다.
환경보호 및 에너지 효율성 향상: 본 발명은 대기 중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함으로써 환경 보호에 기여하며, 실시간 모니터링 및 자동 조절 기능을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의 처리 장치들의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의 수집 가이드 장치와 오염물질 센싱 장치의 개략적인 배치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의 수집 가이드 장치의 개략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의 에어 가이드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의 에어 피스톤부의 세부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의 가이드 구동부의 세부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의 오염물질 센싱 장치의 개략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의 센싱부 고정 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의 센싱부 고정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의 고정 헤드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의 센싱부 청결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의 청결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환경에서 발생하는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의 처리 장치들의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은 대기 오염물질 수집 장치(10), 오염물질 제거 장치(20), 센서링 장치(30), 필터 교체 알림 장치(40), 시스템 제어 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대기 오염물질 수집 장치(10)는 돈사, 축사에서 대기 중의 오염물질을 수집하고, 내부에 수집한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제올라이트 필터가 장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기 오염물질 수집 장치(10)는 오염된 공기를 집진하기 위해 기류를 일으키는 팬(11), 상기 제올라이트 필터가 장착되어 지지하도록 구비된 수집통(12), 상기 팬(11) 및 상기 수집통(12)을 보호하고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장치 바디(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의 수집 가이드 장치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은 돈사, 축사의 둘레부를 따라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장치 이동 레일(60), 상기 장치 이동 레일(60)에 설치되어 오염물질을 수집하기 위해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수집 가이드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 가이드 장치(100)는 제 1 장치 이동체(110), 제 1 장치 하우징(120), 에어 가이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장치 이동체(110)는 상기 장치 이동 레일(6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체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1 장치 하우징(120)은 상기 제 1 장치 이동체(110)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부(130)는 상기 제 1 장치 하우징(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돈사, 축사 내 공기를 이동시켜 오염물질을 상기 오염물 저장 탱크(10)로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에어 가이드부(130)는 가이드부 지지 프레임(131), 축 지지부재(132), 정회전축(133),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134), 에어 피스톤부(135), 가이드부 스프링(137), 정회전 기어(138), 정회전 모터(139), 역회전 기어(140), 역회전축(141), 역회전 모터(142), 가이드부 하우징(143), 축 지지 프레임(14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 지지 프레임(131)은 상기 제 1 장치 하우징(120)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축 지지부재(132)는 상기 가이드부 지지 프레임(131)의 상부에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정회전축(133)은 상기 축 지지부재(132)의 상부에 정회전 가능하게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134)은 상기 정회전축(133)의 둘레부에 삽입되되 회동 가능하게 양 측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에어 피스톤부(135)는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134)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돈사, 축사 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에어 피스톤부(135)는 피스톤부 레일(1351), 피스톤부 회전축(1352), 피스톤부 롤러(1353), 롤러 프레임(1354), 피스톤부재(1355), 피스톤부 실린더(1356), 피스톤부 샤프트(1357), 피스톤 헤드(1358), 피스톤부 스프링(1359), 완충부재(1360), 공기 분사부재(1361)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부 레일(1351)은 상기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134)의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피스톤부 회전축(1352)은 상기 피스톤부 레일(135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피스톤부 롤러(1353)는 상기 피스톤부 회전축(1352)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부 회전축(1352)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롤러 프레임(1354)은 상기 피스톤부 롤러(1353)의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피스톤부재(1355)는 상기 롤러 프레임(1354)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피스톤부 실린더(1356)는 상기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134)의 내부에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피스톤부 샤프트(1357)는 상기 피스톤부 실린더(1356)의 내부에 피스톤 운동 가능하게 내장되고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돌기부재(1357a)가 돌출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피스톤 헤드(1358)는 상기 피스톤부 샤프트(1357)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부 샤프트(1357)의 피스톤 운동에 의해 공기 압축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피스톤부 스프링(1359)은 상기 피스톤 헤드(1358)에서 상기 피스톤부 실린더(1356)의 내부 전방을 향해 탄성 지지 가능하게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1360)는 상기 피스톤부 실린더(1356)의 내부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부 스프링(1359)을 지지하면서 상기 피스톤 헤드(1358)의 공기 압축 동작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공기 분사부재(1361)는 상기 피스톤부 실린더(1356)의 전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피스톤 헤드(1358)에 의한 공기 압축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 스프링(137)은 상기 정회전축(133)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정회전 기어(138)는 상기 정회전축(133)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상기 정회전축(133)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정회전 모터(139)는 상기 정회전 기어(138)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정회전 기어(138)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역회전 기어(140)는 상기 정회전 기어(138)와 맞물리게 체결되되 역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역회전축(141)은 상기 역회전 기어(140)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되게 구비될 수 있다.
역회전 모터(142)는 상기 역회전축(141)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역회전축(141)을 역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생성하게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 하우징(143)은 상기 정회전 모터(139), 상기 역회전 모터(142), 상기 정회전 기어(138), 및 상기 역회전 기어(140)를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축 지지 프레임(144)은 상기 가이드부 하우징(143)의 내부에서 상기 정회전축(133) 및 상기 역회전축(141)이 고정되도록 체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도면을 기준으로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장치 이동 레일(60)이 돈사, 축사의 크기에 따라 둘레부에 설치된다.
수집 가이드 장치(100)에 있어서, 제 1 장치 이동체(110)가 장치 이동 레일(6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제 1 장치 이동체(110)의 상부에 제 1 장치 하우징(120)이 설치된다.
에어 가이드부(130)에 있어서,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134)의 하단부가 제 1 장치 하우징(120)의 내부 하단면에 고정되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134)의 상단부에 축 지지부재(132)의 배면부가 체결되고, 축 지지부재(132)의 상면에 정회전축(133)의 하단부가 삽입된다.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134)의 일단부가 정회전축(133)의 둘레부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에어 피스톤부(135)가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134)의 타단부에 삽입된다.
정회전축(133)의 둘레부에 가이드부 스프링(137)이 삽입되되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134)의 상부에 탄성 지지된다.
가이드부 하우징(143)이 정회전축(133)이 내장되도록 체결된다.
정회전 모터(139)가 정회전축(133)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가이드부 하우징(143)의 내부에 내장된다.
정회전 기어(138)가 정회전축(133)의 둘레부에 삽입되되 가이드부 하우징(143)의 내부에 내장된다.
역회전 모터(142)가 가이드부 하우징(143)의 내부에 내장된다.
역회전 모터(142)의 하부에 역회전축(141)의 상부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역회전축(141)의 하부가 역회전 기어(140)의 중앙부를 관통 삽입된다.
축 지지 프레임(144)이 가이드부 하우징(143)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되 정회전축(133)과 역회전축(141)을 고정하게 배치된다.
에어 피스톤부(135)에 있어서, 피스톤부 레일(1351)이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134)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피스톤부 롤러(1353)를 기준으로 피스톤부 회전축(1352)이 중앙부에 삽입되어 피스톤부 레일(1351)에 피스톤부 회전축(1352)이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롤러 프레임(1354)을 기준으로 상단부에 피스톤부재(1355)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롤러 프레임(1354)의 하단부가 피스톤부 롤러(1353)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피스톤부 실린더(1356)가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134)의 내부에서 피스톤부재(1355)가 걸리는 위치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피스톤부 실린더(1356)의 전단부에는 공기 분사부재(1361)가 체결되어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공들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부 실린더(1356)를 기준으로 내부에 피스톤부 샤프트(1357)가 수평 방향으로 내장된다.
이때, 피스톤부 샤프트(1357)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돌기부재(1357a)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피스톤부 샤프트(1357)의 전단부에는 피스톤 헤드(1358)가 설치된다.
피스톤부 스프링(1359)이 일단부에는 완충부재(1360)가 체결되고, 타단부에는 피스톤 헤드(1358)가 체결되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이어서 정회전 모터(139)가 정회전축(133)을 정회전시켜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134)의 수평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서, 역회전 모터(142)가 역회전축(141)을 회전시켜 역회전 기어(140)가 정회전 기어(138)를 일시적으로 역회전시켜 정회전축(133)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의해 발생된 원심력으로 인해 에어 피스톤부(135)에서 피스톤부 회전축(1352)이 피스톤부 롤러(1353)를 회전시켜 피스톤부재(1355)가 피스톤부 샤프트(1357)의 돌기부재(1357a)를 밀어 피스톤 헤드(1358)가 피스톤부 실린더(1356)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압축시켜 공기 분사부재(1361)의 분사공으로 기류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부재(1360)가 피스톤 헤드(1358)의 피스톤 운동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면서 피스톤부 스프링(1359)에 의해 피스톤 헤드(1358)를 후퇴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이어서 에어 피스톤부(135)가 돈사, 축사 내의 공기를 이용하여 기류를 생성하여 대기 오염물질 수집 장치(10)로 오염물질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의 오염물질 센싱 장치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은 상기 장치 이동 레일(60)에 설치되어 상기 대기 오염물질 수집 장치(10)의 오염물질 수집을 위해 오염물질을 센싱하도록 구비된 오염물질 센싱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오염물질 센싱 장치(200)는 센서링 장치(30)와 달리 대기 중 오염물질 수집을 위한 센싱(SENSING)을 실시하고, 센서링 장치(30)는 대기 오염물질 수집 장치(10)와 연동되어 수집된 오염물질을 센싱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오염물질 센싱 장치(200)는 제 2 장치 이동체(210), 제 2 장치 하우징(220), 관절 센싱부(230), 센싱부 고정부(240), 센싱부 청결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장치 이동체(210)는 상기 장치 이동 레일(6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체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2 장치 하우징(220)은 상기 제 2 장치 이동체(210)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관절 센싱부(230)는 상기 제 2 장치 하우징(220)의 내부 전단에 설치되어 돈사, 축사 내의 오염물질을 센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관절 센싱부(230)는 센싱부 고정 프레임(231), 프레임 승강 기어(232), 관절 프레임(233), 관절 회전축(234), 센싱부 기어(235), 오염물질 센서부(236), 기어 지지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 고정 프레임(231)은 상기 제 2 장치 하우징(220)의 내부 하단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 승강 기어(232)는 상기 센싱부 고정 프레임(231)의 내부 양 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관절 프레임(233)은 상기 프레임 승강 기어(232)와 맞물려 승하강 가능하며 일정 간격으로 삽입된 관절 회동축(233a)에 의해 관절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관절 회전축(234)은 상기 관절 프레임(233)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 기어(235)는 상기 관절 회전축(234)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상기 관절 회전축(234)의 회전에 따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오염물질 센서부(236)는 상기 센싱부 기어(235)의 말단부에 삽입되어 오염물질을 센싱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기어 지지부(237)는 상기 센싱부 기어(235)의 상부에서 상기 관절 회전축(234)을 향해 체결되어 상기 센싱부 기어(235)의 이탈을 방지하고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 고정부(240)는 상기 제 2 장치 하우징(220)의 내부에서 상기 관절 센싱부(230)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관절 센싱부(230)를 고정 및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센싱부 고정부(240)는 고정부 고정 프레임(241), 고정부 신장 샤프트(242), 고정부 회동 프레임(243), 고정 헤드부(244), 샤프트 회동부재(246)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 고정 프레임(241)은 상기 제 2 장치 하우징(220)의 내부 하단면에서 상기 관절 센싱부(230)와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 신장 샤프트(242)는 상기 고정부 고정 프레임(241)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 회동 프레임(243)은 상기 고정부 신장 샤프트(242)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고정 헤드부(244)는 상기 고정부 회동 프레임(243)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관절 회전축(234)을 흡착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헤드부(244)는 헤드부재(2441), 헤드부 지지 플레이트(2442), 플레이트 회동부재(2443), 실린더 지지부재(2444), 헤드부 실린더(2445), 헤드부 스프링(2446), 헤드부 피스톤 축(2447), 축 지지부재(2448), 헤드부 완충부재(2449), 완충부재 지지부재(2450), 연결부재(2451), 돌기 플레이트(2452)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재(2441)는 상기 고정부 회동 프레임(243)의 말단부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 지지 플레이트(2442)는 상기 헤드부재(2441)의 내부에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플레이트 회동부재(2443)는 상기 헤드부 지지 플레이트(2442)의 양 말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헤드부재(2441)의 내부에서 상기 헤드부 지지 플레이트(2442)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린더 지지부재(2444)는 상기 헤드부 지지 플레이트(2442)의 상면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 실린더(2445)는 상기 실린더 지지부재(2444)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 스프링(2446)은 상기 헤드부 실린더(2445)의 둘레부에 삽입되되 상기 실린더 지지부재(2444)에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 피스톤 축(2447)은 상기 헤드부 실린더(2445)에 피스톤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축 지지부재(2448)는 상기 헤드부 피스톤 축(2447)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 완충부재(2449)는 상기 축 지지부재(2448)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완충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 지지부재(2450)는 상기 헤드부 완충부재(2449)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부 완충부재(2449)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재(2451)는 상기 완충부재 지지부재(2450)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돌기 플레이트(2452)는 상기 연결부재(2451)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축 결합돌기(2452a)가 돌출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 회동부재(246)는 상기 고정부 신장 샤프트(242)의 상단부와 상기 고정부 회동 프레임(243)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 회동 프레임(243)을 다관절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 청결부(250)는 상기 제 2 장치 하우징(220)의 내부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센싱부 고정부(240)에 의해 이동된 상기 관절 센싱부(230)를 청결하게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센싱부 청결부(250)는 청결부 바디(251), 청결부 구동 롤러(252), 청결부 구동 벨트(253), 청결부 회동부재(254), 청결부 지지 프레임(255), 청결부 롤러(256), 청결부재(257)를 포함할 수 있다.
청결부 바디(251)는 상기 제 2 장치 하우징(220)의 내부 하단면에 상기 센싱부 고정부(240)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청결부 구동 롤러(252)는 상기 청결부 바디(251)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청결부 구동 벨트(253)는 상기 청결부 구동 롤러(252)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청결부 회동부재(254)는 상기 청결부 구동 벨트(253)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되 상기 청결부 바디(251)의 외부를 향해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청결부 지지 프레임(255)은 상기 청결부 회동부재(254)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청결부 롤러(256)는 상기 청결부 지지 프레임(255)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청결부재(257)는 상기 청결부 롤러(256)의 둘레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물질 센서부(236)를 청결하게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청결부재(257)는 부재 샤프트(2571), 부재 나사산부(2572), 부재 플레이트(2573), 지지판 회동 프레임(2574), 부재 지지판(2575), 청결볼(2576)을 포함할 수 있다.
부재 샤프트(2571)는 상기 청결부재(257)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부재 나사산부(2572)는 상기 부재 샤프트(2571)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부재 플레이트(2573)는 상기 부재 나사산부(2572)의 나사산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판 회동 프레임(2574)은 상기 부재 플레이트(2573)의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부재 지지판(2575)은 각각의 상기 지지판 회동 프레임(2574)에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청결볼(2576)은 상기 부재 플레이트(2573)와 각각의 상기 부재 지지판(2575)에 삽입되어 상기 오염물질 센서부(236)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도면을 기준으로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오염물질 센싱 장치(200)에 있어서, 제 2 장치 이동체(210)가 장치 이동 레일(6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된다.
제 2 장치 하우징(220)이 제 2 장치 이동체(210)의 상부에 배치되어 고정된다.
관절 센싱부(230)에 있어서, 센싱부 고정 프레임(231)의 하단부가 제 2 장치 하우징(220)의 내부 하단면에 고정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센싱부 고정 프레임(231)의 내부에는 프레임 승강 기어(232)가 양 측부에, 관절 프레임(233)의 후단부가 중앙에 배치되어 프레임 승강 기어(232)와 맞물리게 구비된다.
프레임 승강 기어(232)의 회전에 따라 관절 프레임(233)이 맞물려 회전하여 승하강할 수도 있고, 프레임 승강 기어(232)가 센싱부 고정 프레임(23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승하강할 수도 있다.
이때, 관절 프레임(233)은 도면과 같이 일정 간격으로 관절 회동축(233a)이 삽입되어 다관절 회동이 가능하다.
센싱부 기어(235)를 기준으로 중앙부에 관절 회전축(234)이 삽입되고, 양 측부에는 오염물질 센서부(236)가 내장된다.
또한, 기어 지지부(237)가 센싱부 기어(235)의 상면에 설치되어 관절 회전축(234)이 이탈하지 않도록 체결된다.
이어서, 관절 회전축(234)의 하단부가 관절 프레임(233)의 전단부에 삽입된다.
센싱부 고정부(240)에 있어서, 고정부 고정 프레임(241)의 하단부가 제 2 장치 하우징(220)의 내부 하단면에 고정되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고정부 고정 프레임(241)의 위치는 센싱부 고정 프레임(231)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고정부 고정 프레임(241)의 상부에 고정부 신장 샤프트(242)가 신장 가능하게 삽입된다.
고정부 신장 샤프트(242)의 상부에 샤프트 회동부재(246)가 체결되고, 고정부 회동 프레임(243)의 일단부가 샤프트 회동부재(246)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고정부 회동 프레임(243)의 타단부에 또 다른 샤프트 회동부재(246)가 삽입되고, 상기 샤프트 회동부재(246)에 또 다른 고정부 회동 프레임(243)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고정부 회동 프레임(243)의 타단부에 또 다른 샤프트 회동부재(246)가 체결되고, 상기 샤프트 회동부재(246)에 또 다른 고정부 회동 프레임(243)의 일단부가 삽입된다.
상기 고정부 회동 프레임(243)의 타단부에 고정 헤드부(244)가 체결된다.
이때, 각각의 샤프트 회동부재(246)는 회동 가능하다.
고정 헤드부(244)에 있어서, 헤드부 지지 플레이트(2442)를 기준으로 양 말단부에 플레이트 회동부재(2443)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각각의 플레이트 회동부재(2443)의 타단부가 헤드부재(2441)의 내부에 고정된다.
헤드부 지지 플레이트(2442)의 상부에 실린더 지지부재(2444)의 배면부가 고정된다.
실린더 지지부재(2444)의 상단부에 헤드부 실린더(2445)의 하부가 고정되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헤드부 스프링(2446)이 헤드부 실린더(2445)의 둘레부에 삽입된다.
헤드부 피스톤 축(2447)이 헤드부 실린더(2445)의 상부에서 피스톤 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헤드부 피스톤 축(2447)의 상부에 축 지지부재(2448)의 배면 중앙부가 고정되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헤드부 스프링(2446)이 실린더 지지부재(2444)의 상면에 하부가 탄성 지지되면서 축 지지부재(2448)의 배면부에 상부가 탄성 지지된다.
헤드부 완충부재(2449)의 하단부가 축 지지부재(2448)의 상면에 고정되고, 헤드부 완충부재(2449)의 상단부에 완충부재 지지부재(2450)의 배면부가 고정된다.
완충부재 지지부재(2450)의 상면에 연결부재(2451)의 배면부와 고정된다.
연결부재(2451)의 상면에 돌기 플레이트(2452)의 배면부가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고, 돌기 플레이트(2452)의 상면 양 측에 축 결합돌기(2452a)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축 결합돌기(2452a)는 회전축의 배면부를 체결하여 센싱부 고정부(240)가 관절 센싱부(230)를 회동시키기 위해 고정할 수 있다.
센싱부 청결부(250)에 있어서, 청결부 바디(251)의 하단부가 제 2 장치 하우징(220)의 내부 하단면에 고정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청결부 바디(251)를 기준으로 청결부 구동 롤러(252)가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복수 개가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다.
또한, 전체 청결부 구동 롤러(252)를 감싸도록 청결부 구동 벨트(253)가 감기도록 체결된다.
청결부 회동부재(254)의 일단부가 청결부 구동 벨트(253)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청결부 회동부재(254)의 타단부에 청결부 지지 프레임(255)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수평 방향으로 청결부 바디(251)의 외부를 향해 배치된다.
청결부 지지 프레임(255)의 타단부에 청결부 롤러(256)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청결부재(257)가 청결부 롤러(256)의 둘레부에 설치된다.
청결부재(257)에 있어서, 부재 샤프트(2571)의 일단부가 청결부 롤러(256)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다.
부재 샤프트(2571)의 타단부에 부재 나사산부(2572)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부재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여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부재 플레이트(2573)가 체결된다.
부재 나사산부(2572)의 타단부가 부재 플레이트(2573)의 중앙부를 향해 삽입된다.
부재 플레이트(2573)의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지지판 회동 프레임(2574)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부재 지지판(2575)이 각각의 지지판 회동 프레임(2574)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청결볼(2576)이 부재 플레이트(2573) 및 부재 지지판(2575)에 일정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오염물질 센싱 장치(200)는 제어에 의해 관절 센싱부(230)의 관절 회전축(234)이 회전하여 센싱부 기어(235)가 일체로 회전하여 오염물질 센서부(236)에서 오염물질을 센싱하여 수집 가이드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절 회동축(233a)에 의해 관절 프레임(233)이 다관절 회동하여 센싱부 기어(235)를 제 2 장치 하우징(220)의 내부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싱부 고정 프레임(231)의 프레임 승강 기어(232)가 관절 프레임(233)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싱부 고정부(240)의 고정 헤드부(244)가 관절 회전축(234)과 체결하여 다관절 회동하여 센싱부 청결부(250)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싱부 고정부(240)의 동작을 위해 고정부 신장 샤프트(242)가 상하 방향으로 길이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샤프트 회동부재(246)가 회동하여 고정 헤드부(244)를 관절 회전축(234)에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헤드부(244)의 관절 회전축(234)으로의 체결을 위해 플레이트 회동부재(2443)의 회동에 의해 헤드부 지지 플레이트(2442)가 상승하면서 헤드부 스프링(2446)이 탄성 지지하여 돌기 플레이트(2452)의 축 결합돌기(2452a)가 관절 회전축(234)으로 체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헤드부 완충부재(2449)에 의해 완화되면서 헤드부 피스톤 축(2447)이 헤드부 실린더(2445)를 밀어내면서 헤드부 스프링(2446)의 탄성에 의해 복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싱부 청결부(250)가 동작하여 오염물질 센서부(236)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싱부 청결부(250)의 동작을 위해 복수 개의 청결부 구동 롤러(252)가 회전하여 청결부 구동 벨트(253)가 청결부 회동부재(254)를 이동시키면서 청결부 회동부재(254)의 회동으로 청결부 롤러(256)가 회전하여 청결부재(257)가 오염물질 센서부(236)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청결부재(257)의 동작을 위해 부재 플레이트(2573)가 부재 나사산부(2572)를 따라 회전하면서 부재 지지판(2575)이 지지판 회동 프레임(2574)에 의해 회동하면서 복수 개의 청결볼(2576)의 회전에 의해 오염물질 센서부(236)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기 오염물질 수집 장치(10)
팬(11)
수집통(12)
장치 바디(13)
오염물질 제거 장치(20)
온도 제어부(21)
화학 물질 주입부(22)
오염물질 수거부(23)
센서링 장치(30)
전기 센서(31)
화학 센서(32)
전력계(33)
마이크로프로세서(34)
무선 통신부(35)
필터 교체 알림 장치(40)
시스템 제어 장치(50)
장치 이동 레일(60)
수집 가이드 장치(100)
제 1 장치 이동체(110)
제 1 장치 하우징(120)
에어 가이드부(130)
가이드부 지지 프레임(131)
축 지지부재(132)
정회전축(133)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134)
에어 피스톤부(135)
피스톤부 레일(1351)
피스톤부 회전축(1352)
피스톤부 롤러(1353)
롤러 프레임(1354)
피스톤부재(1355)
피스톤부 실린더(1356)
피스톤부 샤프트(1357)
돌기부재(1357a)
피스톤 헤드(1358)
피스톤부 스프링(1359)
완충부재(1360)
공기 분사부재(1361)
가이드부 스프링(137)
정회전 기어(138)
정회전 모터(139)
역회전 기어(140)
역회전축(141)
역회전 모터(142)
가이드부 하우징(143)
축 지지 프레임(144)
가이드 구동부(145)
구동부 고정 프레임(1451)
제 1 지지 프레임(1452)
프레임 지지 샤프트(1453)
프레임 지지부재(1453a)
가이드 신장부(1454)
제 2 지지 프레임(1455)
피스톤부 지지 프레임(1456)
프레임 접이부재(1457)
시소 운동부(150)
운동부 지지 샤프트(151)
운동 유도부(152)
유도 샤프트(153)
유도 스프링(154)
샤프트 지지 플레이트(155)
운동 샤프트(156)
오염물질 센싱 장치(200)
제 2 장치 이동체(210)
제 2 장치 하우징(220)
관절 센싱부(230)
센싱부 고정 프레임(231)
프레임 승강 기어(232)
관절 프레임(233)
관절 회동축(233a)
관절 회전축(234)
센싱부 기어(235)
오염물질 센서부(236)
기어 지지부(237)
센싱부 고정부(240)
고정부 고정 프레임(241)
고정부 신장 샤프트(242)
고정부 회동 프레임(243)
고정 헤드부(244)
헤드부재(2441)
헤드부 지지 플레이트(2442)
플레이트 회동부재(2443)
실린더 지지부재(2444)
헤드부 실린더(2445)
헤드부 스프링(2446)
헤드부 피스톤 축(2447)
축 지지부재(2448)
헤드부 완충부재(2449)
완충부재 지지부재(2450)
연결부재(2451)
돌기 플레이트(2452)
축 결합돌기(2452a)
샤프트 회동부재(246)
센싱부 청결부(250)
청결부 바디(251)
청결부 구동 롤러(252)
청결부 구동 벨트(253)
청결부 회동부재(254)
청결부 지지 프레임(255)
청결부 롤러(256)
청결부재(257)
부재 샤프트(2571)
부재 나사산부(2572)
부재 플레이트(2573)
지지판 회동 프레임(2574)
부재 지지판(2575)
청결볼(2576)

Claims (3)

  1. 돈사, 축사에서 대기 중의 오염물질을 수집하고, 내부에 수집한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제올라이트 필터가 장착된 대기 오염물질 수집 장치;
    돈사, 축사 둘레부를 따라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장치 이동 레일;
    상기 장치 이동 레일에 설치되어 오염물질을 수집하기 위해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수집 가이드 장치;
    를 포함하는,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기 오염물질 수집 장치는,
    오염된 공기를 집진하기 위해 기류를 일으키는 팬;
    상기 제올라이트 필터가 장착되어 지지하도록 구비된 수집통;
    상기 팬 및 상기 수집통을 보호하고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장치 바디;
    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 가이드 장치는,
    상기 장치 이동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체결된 제 1 장치 이동체;
    상기 제 1 장치 이동체의 상부에 설치된 제 1 장치 하우징;
    상기 제 1 장치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돈사, 축사 내 공기를 이동시켜 오염물질을 상기 대기 오염물질 수집 장치로 향하도록 구비된 에어 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장치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부 지지 프레임;
    상기 가이드부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체결된 축 지지부재(132);
    상기 축 지지부재(132)의 상부에 정회전 가능하게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정회전축;
    상기 정회전축의 둘레부에 삽입되되 회동 가능하게 양 측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돈사, 축사 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구비된 에어 피스톤부;
    상기 정회전축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 스프링;
    상기 정회전축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상기 정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정회전 기어;
    상기 정회전 기어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정회전 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된 정회전 모터;
    상기 정회전 기어와 맞물리게 체결되되 역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역회전 기어;
    상기 역회전 기어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된 역회전축;
    상기 역회전축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역회전축을 역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생성하게 구비된 역회전 모터;
    상기 정회전 모터, 상기 역회전 모터, 상기 정회전 기어, 및 상기 역회전 기어를 내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 하우징;
    상기 가이드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정회전축 및 상기 역회전축이 고정되도록 체결된 축 지지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피스톤부는,
    상기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의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피스톤부 레일;
    상기 피스톤부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피스톤부 회전축;
    상기 피스톤부 회전축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부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피스톤부 롤러;
    상기 피스톤부 롤러의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롤러 프레임;
    상기 롤러 프레임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피스톤부재;
    상기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의 내부에 내장된 피스톤부 실린더;
    상기 피스톤부 실린더의 내부에 피스톤 운동 가능하게 내장되고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돌기부재가 돌출 형성된 피스톤부 샤프트;
    상기 피스톤부 샤프트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부 샤프트의 피스톤 운동에 의해 공기 압축 동작을 수행하는 피스톤 헤드;
    상기 피스톤 헤드에서 상기 피스톤부 실린더의 내부 전방을 향해 탄성 지지 가능하게 내장된 피스톤부 스프링;
    상기 피스톤부 실린더의 내부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부 스프링을 지지하면서 상기 피스톤 헤드의 공기 압축 동작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된 완충부재;
    상기 피스톤부 실린더의 전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피스톤 헤드에 의한 공기 압축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비된 공기 분사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 가이드 장치는,
    제어에 의해 상기 에어 가이드부의 상기 가이드부 회동 프레임이 서로 마주보도록 회동시키면서,
    상기 에어 피스톤부에서 상기 피스톤부 회전축이 상기 피스톤부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피스톤부재가 상기 피스톤부 샤프트의 돌기부재(1357a)를 밀어 상기 피스톤 헤드가 상기 피스톤부 실린더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압축시켜,
    상기 공기 분사부재의 분사공으로 돈사, 축사 내의 공기를 이용하여 기류를 생성하여 상기 대기 오염물질 수집 장치로 오염물질을 가이드하고,
    상기 완충부재가 상기 피스톤 헤드의 피스톤 운동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면서 상기 피스톤부 스프링에 의해 상기 피스톤 헤드를 후퇴시키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30110270A 2023-08-23 2023-08-23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 KR102636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0270A KR102636151B1 (ko) 2023-08-23 2023-08-23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0270A KR102636151B1 (ko) 2023-08-23 2023-08-23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151B1 true KR102636151B1 (ko) 2024-02-13

Family

ID=89899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0270A KR102636151B1 (ko) 2023-08-23 2023-08-23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1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9742A (ja) * 2006-05-31 2007-12-13 Sharp Corp 空気清浄機
KR101511112B1 (ko) 2013-03-20 2015-04-2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활성 촉매 산화 공정을 이용한 대기오염물질 처리 시스템 및 처리방법
KR102290473B1 (ko) * 2020-12-15 2021-08-19 (주)세라컴 악취 제거 시스템
KR102401715B1 (ko) 2019-08-23 2022-05-25 비알테크놀로지(주) 오염물 처리 설비
KR102419472B1 (ko) * 2022-01-10 2022-07-11 주식회사 효림 Ict기반 인버터형 축사 또는 축산시설의 악취저감장치 및 악취저감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9742A (ja) * 2006-05-31 2007-12-13 Sharp Corp 空気清浄機
KR101511112B1 (ko) 2013-03-20 2015-04-2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활성 촉매 산화 공정을 이용한 대기오염물질 처리 시스템 및 처리방법
KR102401715B1 (ko) 2019-08-23 2022-05-25 비알테크놀로지(주) 오염물 처리 설비
KR102290473B1 (ko) * 2020-12-15 2021-08-19 (주)세라컴 악취 제거 시스템
KR102419472B1 (ko) * 2022-01-10 2022-07-11 주식회사 효림 Ict기반 인버터형 축사 또는 축산시설의 악취저감장치 및 악취저감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93767B (zh) 一种具有自动除尘功能的门板打磨机
CN1243593C (zh) 空气净化器
CN109499210A (zh) 一种自清洁功能的滤网组件
CN101766939A (zh) 除尘装置、设备及系统
KR102636151B1 (ko) 대기 중 오염물질 처리 시스템
CN110142267A (zh) 一种管内清扫机器人
CN113765012A (zh) 一种可扩大散热范围的配电柜及扩大散热的方法
CN210829898U (zh) 一种高效离心风机减震支架
CN210304727U (zh) 一种图书馆用多功能图书除尘、除菌一体机
CN210824508U (zh) 一种有机硅粉尘吸收装置
CN209753494U (zh) 一种清扫消毒机器人
CN214681856U (zh) 一种实验室用超净工作台
CN213731174U (zh) 一种刀具生产加工用废屑收集装置
KR102630708B1 (ko) 수중환경에서 발생하는 오염물 처리 시스템
CN220383911U (zh) 一种畜牧养殖用通风装置
CN112743693A (zh) 一种具有吸尘机构的密炼机
CN113261880A (zh) 医用自动清洁器
CN220589341U (zh) 一种切削设备除尘装置
CN113996575B (zh) 一种具有往复清理功能的干洗除尘机
CN220360889U (zh) 一种具有清洁功能的废气处理装置
CN116335073B (zh) 一种建筑粉尘清理设备
CN216522214U (zh) 车间净化设备
CN220675898U (zh) 清洁组件
CN208941995U (zh) 一种带有可转动吸嘴的工业吸尘器
CN219920972U (zh) 一种减少打滑的屋面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