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761B1 -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761B1
KR102635761B1 KR1020210076796A KR20210076796A KR102635761B1 KR 102635761 B1 KR102635761 B1 KR 102635761B1 KR 1020210076796 A KR1020210076796 A KR 1020210076796A KR 20210076796 A KR20210076796 A KR 20210076796A KR 102635761 B1 KR102635761 B1 KR 102635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ccharide
fructose
oxidized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7611A (ko
Inventor
김선홍
함충현
김학준
Original Assignee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6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761B1/ko
Priority to PCT/KR2022/003183 priority patent/WO2022265184A1/ko
Publication of KR20220167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7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4Polysaccharides, i.e.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0004Oxidoreductases (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0004Oxidoreductases (1.)
    • C12N9/0006Oxidoreductases (1.) acting on CH-OH groups as donors (1.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0004Oxidoreductases (1.)
    • C12N9/0065Oxidoreductases (1.) acting on hydrogen peroxide as acceptor (1.1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2Monosaccha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4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xyl group including Peroxycarboxylic acids
    • C12P7/58Aldonic, ketoaldonic or sacchar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01/00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OH group of donors (1.1)
    • C12Y101/03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OH group of donors (1.1) with a oxygen as acceptor (1.1.3)
    • C12Y101/03004Glucose oxidase (1.1.3.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당류 조성물 용액에 당류 고형분 전체 중량 대비 글루코스옥시다제(Glucose oxidase) 0.05~0.5%(v/w) 및 카탈라제(Catalase) 0.05~0.25%(w/v)를 첨가하고 30~50℃의 온도 조건 및 6~8의 pH 조건에서 효소 산화반응을 15~30 hr 동안 진행시켜 반응 산물 함유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반응 산물 함유 용액을 가열처리하여 효소를 실활하고 냉각시킨 후 여과하여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방법으로 산화당류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로 기질로 사용되는 당류 조성물의 효소 산화반응에 의해 글루콘산(Gluconic acid), 과당 산화물, 과당 분해물 등이 생성되고, 산화당류 조성물은 글루콘산(Gluconic acid), 과당 산화물, 과당 분해물 그리고 미반응된 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들의 총체적인 시너지 작용에 의해 단일물질들인 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글루콘산(Gluconic acid) 각각의 항산화 활성값으로부터 예측되는 값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항산화 활성을 발휘한다.

Description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oxidized saccharide composition}
본 발명은 산화당류 조성물 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당류 기질의 선택, 당류 산화효소 시스템, 효소 산화반응 조건들의 조합을 통해 항산화 활성이 크게 개선된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류는 일반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낮은 물질이다. Hu 등[Hu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carbohydrates, Bioactive Carbohydratesand Dietary Fibre 7 (2016) 19-27]에 따르면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 및 올리고당은 약 2,000 ppm의 농도에서도 약 10% 미만의 항산화 활성을 보인다.
당류는 식품 소재나 화장품 소재로 널리 사용되는데, 당류에 높은 항산화 활성이 부여되는 경우 이의 적용 분야는 훨씬 더 다양해질 수 있다.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대표적인 산화 당류로는 글루콘산(Gluconic acid), 말토비온산(Maltobionic acid, MBA)이 있다.
글루콘산은 글루코스(포도당)을 산화할 때 최초로 생기는 물질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076768호에는 글루코스옥시다제 및 카탈라제 효소 시스템을 이용하여 글루코스를 글루콘산으로 전환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말토비온산은 일반적으로 말토스(맥아당)를 브롬수로 산화시켜 제조되는데,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81387호에는 전분을 효소 반응을 통해 말토스로 전환하는 단계; 및 말토스를 효소 반응을 통해 말토비오산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말토비온산 제조방법과 함께 말토비온산이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식품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적 배경하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다양한 당류 제품을 당류 산화효소와 반응시켜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을 제조한 후,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으로 평가한 결과, 산화당류인 글루콘산(Gluconic acid)이 특정 미산화 당류 및 기타 당류 산화물 내지 당류 분해물과 공존할 때 항산화 활성이 현저하게 증가한다는 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는 (a) 당류 조성물 용액에 당류 고형분 전체 중량 대비 글루코스옥시다제(Glucose oxidase) 0.05~0.5%(v/w) 및 카탈라제(Catalase) 0.05~0.25%(w/v)를 첨가하고 30~50℃의 온도 조건 및 6~8의 pH 조건에서 효소 산화반응을 15~30 hr 동안 진행시켜 반응 산물 함유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반응 산물 함유 용액을 가열처리하여 효소를 실활하고 냉각시킨 후 여과하여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a) 단계의 당류 조성물 용액은 효소 산화반응의 기질로 사용된다. 상기 당류 조성물 용액은 산화당류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고형분 농도가 10~50 브릭스(Brix)이고 고형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과당(Fructose) 40~70 중량% 및 포도당(Glucose) 25~55 중량%를 포함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고형분 농도가 20~45 브릭스(Brix)이고 고형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과당(Fructose) 42~65 중량% 및 포도당(Glucose) 30~53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의 당류 조성물 용액은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고과당 옥수수 시럽(High-fructose corn syrup)을 물(water)로 희석하여 준비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고과당 옥수수 시럽(High-fructose corn syrup, HFCS)은 고형분 농도가 약 70~76 브릭스이고 고형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과당(Fructose) 42~70 중량%, 포도당(Glucose) 25~58 중량% 및 제조과정에서 미처리된 포도당 기반의 올리고머(중합도 2~12) 0~5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 당류 조성물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HFCS 42, HFCS 55 또는 HFCS 65 제품을 물(water)로 희석하여 준비될 수 있다. 상기 HFCS 42, HFCS 55 및 HFCS 65 제품은 각각 고형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과당 함량이 약 42 중량%, 약 55 중량% 및 약 65 중량%인 제품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a) 단계의 글루코스옥시다제(Glucose oxidase) 첨가량 및 카탈라제(Catalase) 첨가량은 산화반응 전환율 및 제조방법의 경제성을 고려할 때 각각 당류 조성물 용액의 당류 고형분 전체 중량 대비 0.1~0.3%(v/w) 및 0.08~0.15%(v/w)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의 효소 산화반응 온도 조건은 산화반응 전환율을 고려할 때 35~48℃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의 효소 산화반응 pH는 산화반응 전환율을 고려할 때 6.5~7.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의 효소 산화반응시 반응 용액의 pH는 산화반응에 의해 낮아지게 되므로 알칼리제를 사용하여 pH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칼리제로는 강염기성 물질인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이들의 용액이 있고 약염기성 물질은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칼륨 또는 이들의 용액이 있다. 상기 (a) 단계의 효소 산화반응 시간은 산화반응 전환율 및 제조방법의 경제성을 고려할 때 18~26 hr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단계의 효소 산화반응 진행시 원활하고 균일한 산화반응을 위해 에어레이션(aeration) 및 교반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의 효소 산화반응시 에어레이션(aeration) 속도 조건은 0.5~2 vvm인 것이 바람직하고, 0.8~1.5 vv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의 효소 산화반응시 교반 속도 조건은 100~500 rpm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400 rp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b) 단계의 효소 실활을 위한 반응 산물 함유 용액의 가열처리 조건은 통상적인 당류 산화효소 실활 조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b) 단계에서 반응 산물 함유 용액을 70~90 ℃로 승온하고 1~2 hr 동안 처리하여 효소 실활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효소 실활을 완료한 후 반응 산물 함유 용액은 소정의 온도(예를 들어 상온)로 냉각되고 여과된다. 상기 여과는 반응 산물 함유 용액을 공지의 다양한 여과재에 통과시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여과재는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여과포, 다공성 금속, 금속 섬유, 유리섬유, 다공성 플라스틱, 다공성 세라믹 등이 있으며, 식품 공업에서 안전하게 사용되는 다공성 규조토 여과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b) 단계의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 용액은 미반응된 포도당, 미반응딘 과당, 산화반응에 의해 생성된 글루콘산을 주요 성분으로 포함하고, 과당 산화물, 과당 분해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b) 단계의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 용액은 고형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포도당(Glucose) 5~50 중량%, 과당(Fructose) 30~68 중량% 및 글루콘산(Gluconic acid) 5~50 중량%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과당(Fructose) 산화물 또는 과당(Fructose) 분해물 2~10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b) 단계의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 용액은 고형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포도당(Glucose) 8~48 중량%, 과당(Fructose) 34~63 중량% 및 글루콘산(Gluconic acid) 5~45 중량%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과당(Fructose) 산화물 또는 과당(Fructose) 분해물 2~8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방법으로 산화당류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로 기질로 사용되는 당류 조성물의 효소 산화반응에 의해 글루콘산(Gluconic acid), 과당 산화물, 과당 분해물 등이 생성되고, 산화당류 조성물은 글루콘산(Gluconic acid), 과당 산화물, 과당 분해물 그리고 미반응된 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들의 총체적인 시너지 작용에 의해 단일물질들인 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글루콘산(Gluconic acid) 각각의 항산화 활성값으로부터 예측되는 값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항산화 활성을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
고과당 제품(제조사 : 대상주식회사)을 이온교환수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가 40 브릭스(Brix)인 고과당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고과당 용액에 당류 산화효소인 글루코스옥시다제(Glucose oxidase; 공급자 : Novozymes) 및 카탈라제(Catalase; 공급자 : Novozymes)를 각각 고과용 용액의 당류 고형분 중량 대비 0.05%(v/w) 및 0.1%(v/w)의 양으로 첨가하고 반응 온도 45℃, 에어레이션(aeration) 속도 1 vvm 및 교반 속도 300 rpm의 조건에서 24 hr 동안 효소 산화반응을 진행시켰다. 효소 산화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NaOH를 이용하여 반응 pH를 약 7로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효소 산화반응 시간이 완료된 후 반응 산물 용액을 약 80℃로 승온하고 약 2 hr 동안 처리하여 효소를 실활시켰다. 이후, 반응 산물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여과하여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고과당 용액에 당류 산화효소인 글루코스옥시다제(Glucose oxidase; 공급자 : Novozymes) 및 카탈라제(Catalase; 공급자 : Novozymes)를 각각 고과용 용액의 당류 고형분 중량 대비 0.1%(v/w) 및 0.1%(v/w)의 양으로 첨가한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동일한 방법으로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3.
고과당 용액에 당류 산화효소인 글루코스옥시다제(Glucose oxidase; 공급자 : Novozymes) 및 카탈라제(Catalase; 공급자 : Novozymes)를 각각 고과용 용액의 당류 고형분 중량 대비 0.2%(v/w) 및 0.1%(v/w)의 양으로 첨가한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동일한 방법으로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4.
고과당 용액에 당류 산화효소인 글루코스옥시다제(Glucose oxidase; 공급자 : Novozymes) 및 카탈라제(Catalase; 공급자 : Novozymes)를 각각 고과용 용액의 당류 고형분 중량 대비 0.3%(v/w) 및 0.1%(v/w)의 양으로 첨가한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동일한 방법으로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2.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의 특성
(1)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의 당 성분 및 함량 분석
고과당 제품(제조사 : 대상주식회사) 및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에서 수득한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의 당 성분 및 함량을 HPLC로 분석하여 고과당 제품(제조사 : 대상주식회사)의 산화 전후에 따른 성분 변화를 확인하였다. HPLC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칼럼 : Aminex HPX-87C Column
* 이동상 및 유량 : 물(water), 0.6 ㎖/min
* 검출기 : RID
하기 표 1에 고과당 제품(제조사 : 대상주식회사) 및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에서 수득한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의 당 성분 및 함량을 정리하였다.
당 성분 분석 시료별 당 성분 및 함량(중량%, HPLC 피크 면적에 의한 당류 고형분 전체 중량 기준)
고과당 제품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Glucose 39.8 29.8 22.3 16.4 9.9
Fructose 55.9 53.1 53.9 52.4 52.7
Gluconic acid - 10 17.5 23.4 29.9
Unknown 4.3 7.1 6.3 7.8 7.5
상기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고과당 제품(제조사 : 대상주식회사)은 당류 고형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과당(Fructose) 함량이 약 56 중량%이고 포도당(Glucose) 함량은 약 40 중량%이었다. 당류 산화효소인 글루코스옥시다제(Glucose oxidase; 공급자 : Novozymes) 및 카탈라제(Catalase; 공급자 : Novozymes)를 사용하여 고과당 제품을 산화시키면 주로 포도당(Glucose)이 글루콘산(Gluconic acid)으로 전환되었고 과당(Fructose)의 일부도 산화물 또는 분해물 형태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고과당 제품(제조사 : 대상주식회사) 및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에서 수득한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 활성(Blois, 1958 방법 참조)을 통해 평가하였다.
먼저, 고과당 제품(제조사 : 대상주식회사) 및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에서 수득한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을 이온교환수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가 20 브릭스(Brix)인 시료 용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1.5×10-4 mol/L 농도의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용액을 제조하고 DPPH 용액을 고형분 농도가 20 브릭스인 시료와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후 상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반응 완료액의 517㎚에서의 흡광도를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하기의 식을 이용하여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계산하였다.
Figure 112021068297469-pat00001
하기 표 2에 고과당 제품(제조사 : 대상주식회사) 및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에서 수득한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값을 정리하였다.
시료 구분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고형분 농도 20 브릭스 시료 기준)
고과당 제품(제조사 : 대상주식회사) 13.97
제조예 1의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 50.39
제조예 2의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 68.14
제조예 3의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 84.22
제조예 4의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 86.86
상기 표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고과당 제품을 산화시킬 때 당류 산화효소인 글루코스옥시다제(Glucose oxidase; 공급자 : Novozymes)의 첨가량이 증가하면 포도당(Glucose)이 글루콘산(Gluconic acid)으로 전환되는 양이 증가하고 그로 인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3)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일 물질의 항산화 활성 측정 및 예측값과 실험값 비교를 통한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의 시너지 작용 확인
순도가 99% 이상인 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및 글루콘산(Gluconic acid) 시약을 시그마알드리치코리아에서 구입하여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일 물질의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 활성(Blois, 1958 방법 참조)을 통해 평가하였다. 각 시약을 이온교환수에 용해시켜 고형분 농도가 20 브릭스(Brix)인 시료 용액을 제조한 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계산하였다. 하기 표 3에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일 물질인 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및 글루콘산(Gluconic acid)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값을 정리하였다.
시료 구분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고형분 농도 20 브릭스 시료 기준)
Glucose 0.78
Fructose 8.09
Gluconic acid 42.65
상기 표 3에 보이는 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및 글루콘산(Gluconic acid)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값에 기초하여 고과당 제품 및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에서 수득한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예측값을 계산하였고, 이를 실험값과 비교하였다. 하기 표 4에 고과당 제품 및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에서 수득한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예측값, 실험값 및 실험값과 예측값의 차이를 정리하였다.
시료 구분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고형분 농도 20 브릭스 시료 기준)
예측값 실험값 실험값 - 예측값
고과당 제품 4.83 13.97 9.14
제조예 1의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 8.79 50.39 41.6
제조예 2의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 12.00 68.14 56.14
제조예 3의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 14.35 84.22 69.87
제조예 4의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 17.09 86.86 69.77
* 하기 표 4에서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예측값은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일 물질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값에 단일 물질의 함량 가중치를 곱하여 계산하였다. 예를 들어, 제조예 1의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고형분 농도가 20 브릭스인 시료 기준)의 항산화 활성 예측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0.78×0.298 + 8.09×0.531 + 42.65×0.1 = 8.79
상기 표 4에서 보이는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에서 수득한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은 이를 구성하는 단일물질들인 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글루콘산(Gluconic acid) 각각의 항산화 활성값으로부터 예측되는 값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항산화 활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에서 수득한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이 현저하게 높은 이유는 고과당 제품을 당류 산화효소로 처리하여 산화시켰을 때 생성되는 글루콘산(Gluconic acid), 과당 산화물, 과당 분해물 그리고 미반응된 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들의 총체적인 시너지 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a) 당류 조성물 용액에 당류 고형분 전체 중량 대비 글루코스옥시다제(Glucose oxidase) 0.1~0.3%(v/w) 및 카탈라제(Catalase) 0.05~0.25%(w/v)를 첨가하고 35~50℃의 온도 조건, 6~7.5의 pH 조건, 0.5~2 vvm의 에어레이션(aeration) 속도 조건 및 100~500 rpm의 교반 속도 조건에서 효소 산화반응을 18~30 hr 동안 진행시켜 반응 산물 함유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반응 산물 함유 용액을 가열처리하여 효소를 실활하고 냉각시킨 후 여과하여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당류 조성물 용액은 고형분 농도가 20~45 브릭스(Brix)이고 고형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과당(Fructose) 42~65 중량% 및 포도당(Glucose) 30~5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글루코스옥시다제(Glucose oxidase) 첨가량 및 카탈라제(Catalase) 첨가량은 각각 당류 조성물 용액의 당류 고형분 전체 중량 대비 0.2~0.3%(v/w) 및 0.08~0.15%(v/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효소 산화반응시 에어레이션(aeration) 속도 조건은 0.8~1.5 vvm이고 교반 속도 조건은 150~400 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 용액은 고형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포도당(Glucose) 9.9~22.3 중량%, 과당(Fructose) 52.4~53.9 중량% 및 글루콘산(Gluconic acid) 17.5~29.9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산화당류 함유 조성물 용액은 고형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과당(Fructose) 산화물 또는 과당(Fructose) 분해물 2~8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210076796A 2021-06-14 2021-06-14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635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796A KR102635761B1 (ko) 2021-06-14 2021-06-14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PCT/KR2022/003183 WO2022265184A1 (ko) 2021-06-14 2022-03-07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796A KR102635761B1 (ko) 2021-06-14 2021-06-14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611A KR20220167611A (ko) 2022-12-21
KR102635761B1 true KR102635761B1 (ko) 2024-02-13

Family

ID=84527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796A KR102635761B1 (ko) 2021-06-14 2021-06-14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35761B1 (ko)
WO (1) WO202226518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5510A (ja) 2002-12-10 2006-06-01 フォンテラ コ−オペレイティブ グループ リミティド 炭水化物組成物の製造方法
JP3910213B2 (ja) * 1995-05-12 2007-04-25 ギスト ブロカデス ベスローテン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グルコン酸及びその塩の酵素的生産方法
JP2014515934A (ja) * 2011-06-09 2014-07-07 ルドルフ ヴィルド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ツェーオー. カーゲー 液状食品濃縮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2206B2 (ja) * 1994-10-28 1999-01-27 福岡県 液状食品素材の製造方法
KR20030035139A (ko) * 2001-10-30 2003-05-09 김정수 효소반응을 이용한 글루콘산 마그네슘의 제조방법
KR20030096457A (ko) * 2002-06-12 2003-12-31 주식회사 한바이오텍 효소반응을 이용한 글루콘산 칼슘의 제조방법
JP5049480B2 (ja) * 2004-09-30 2012-10-17 ゲオール化学株式会社 美白剤および抗酸化剤ならびに活性酸素除去剤
JP2017052706A (ja) * 2015-09-07 2017-03-16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顆粒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18203628A (ja) * 2017-05-30 2018-12-27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化粧料組成物又は飲食品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0213B2 (ja) * 1995-05-12 2007-04-25 ギスト ブロカデス ベスローテン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グルコン酸及びその塩の酵素的生産方法
JP2006515510A (ja) 2002-12-10 2006-06-01 フォンテラ コ−オペレイティブ グループ リミティド 炭水化物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4515934A (ja) * 2011-06-09 2014-07-07 ルドルフ ヴィルド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ツェーオー. カーゲー 液状食品濃縮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5184A1 (ko) 2022-12-22
KR20220167611A (ko) 202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5139B2 (ja) 高純度キシロオリゴ糖組成物
EP1631537B1 (de) Verfahren zur selektiven kohlenhydrat-oxidation unter verwendung geträgerter gold-katalysatoren
RU2098426C1 (ru) Полидекстроза,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и сладкий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KR20140044901A (ko) 옥수수 섬유로부터 헤미셀룰로스의 추출 방법
DE69821047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somalto-oligosaccharid-reichen Sirupen
EP0435656B1 (en) Method for preparing indigestible heteropolysaccharides
US4766207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water-soluble polysaccharides, the saccharides thus obtainable, and their use
US20030204081A1 (en) Reduced malto-oligosaccharides
KR20150111845A (ko)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 방법
KR102635761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3080330B (zh) 由生物质制造纤维二糖
US8580955B2 (en) Purification method and production method for cellobiose
EP3197444B1 (en) Iron (iii) hydroxide complexes with activated glucose syrup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JP3072433B2 (ja) 高純度マルトースの製造方法
KR102598193B1 (ko) 효소적 산화를 이용한 말토비온산 제조방법
KR102559904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화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JP7088483B2 (ja) 水溶性食物繊維組成物の製造方法、飲食品の製造方法、及び新規微生物
DE2052473A1 (de) Verfahren zur Gewinnung von niedrigviskosen, chemisch und hitzebeständigen Stärkesirupen
KR101832799B1 (ko)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제조 방법
RU2302402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устойчивых к щелочи и термостойких полиолов
KR102547599B1 (ko) 식이 섬유를 함유하는 수소첨가 글루코스 중합체 조성물
KR101367409B1 (ko) 백탁이 개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EP3848470A1 (en) A process for producing alternan-oligosaccharide
KR20230089914A (ko) 백탁이 개선된 분지 덱스트린
EP3795701A1 (en) Mannose extra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