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547B1 - 족자 걸이대 - Google Patents

족자 걸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547B1
KR102635547B1 KR1020230158861A KR20230158861A KR102635547B1 KR 102635547 B1 KR102635547 B1 KR 102635547B1 KR 1020230158861 A KR1020230158861 A KR 1020230158861A KR 20230158861 A KR20230158861 A KR 20230158861A KR 102635547 B1 KR102635547 B1 KR 102635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frame
width
scree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8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섭
Original Assignee
안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섭 filed Critical 안영섭
Priority to KR1020230158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5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8Pads or the like preventing displacement of hang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7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using adhesives, suction or magnetism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면적을 갖고 가장자리를 따라 휘갑치기된 직물재 스크린을 들뜸이나 구김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매우 견고하고 쉽게 족자를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족자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족자 걸이대는, 일정 면적을 갖고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폭과 두께를 갖는 휘갑치기부(42)가 형성된 직물재 스크린(40)의 상단부가 안착되는 족자프레임(30)과, 상기 족자프레임(30)과 대응되는 폭과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을 압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장착프레임(20)과, 상기 족자프레임(30)과 상기 장착프레임(20)을 벽면에 매달기 위한 헹거 로프(10)를 포함하고, 상기 족자프레임(30)은,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의 폭보다 큰 길이를 갖으며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휘갑치기부(42)가 수용되도록 일정 깊이로 형성된 휘갑치기 걸림홈(36)과, 상기 휘갑치기 걸림홈(36)의 양측에서 수직되게 하향 절곡되도록 오목하고 길게 팬 홈이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된 스크린폭 제한부(34)와, 상기 휘갑치기 걸림홈(36)과 상기 스크린폭 제한부(34) 사이에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에 들끔이나 구김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장착프레임(20)으로 압착되는 마찰부(50)와, 상기 마찰부(5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족자프레임(30)에 매립되는 다수개의 프레임 고정자석(32)과, 상기 마찰부(50)의 양측에서 상기 족자프레임(30)의 길이방향과 수직되고 횡단되도록 오목하고 길게 팬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행거 로프(10)의 양단을 수용하는 로프 홈(38)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프레임(20)은, 상기 족자프레임(30)과 대응되는 면에 상기 프레임 고정자석(32)과 대응되는 프레임 고정자석(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족자 걸이대{PICTURE HANGER FRAME}
본 발명은 족자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면적을 갖고 가장자리를 따라 휘갑치기된 직물재 스크린을 들뜸이나 구김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매우 견고하고 쉽게 족자를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족자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족자는 일반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전시한 다음 보관을 위해 말아서 묶어 놓을 목적으로 제작되고, 계절이나 시기에 따라 다른 것으로 대체되며, 이러한 작품들은 영구적인 전시를 목적으로 하지는 않는다.
족자에는 여러 가지 형식이 있는데, 일색식(一色式), 이색식(二色式), 삼색식(三色式), 선화장(宣和裝) 또는 송식(宋式)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족자는 근래에 들어 전통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실내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내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되는 족자임에도 불구하고 종이나 천의 상단과 하단을 말아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봉에 삽입하는 전통적인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즉, 위와 같은 종래의 족자는 종이나 천의 유연성으로 인해 봉에 형성된 절개부에 삽입이 어렵고, 삽입시 종이나 천이 찢겨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외압에 의해 쉽게 절개부에서 종이나 천이 분리되는 단점이 여전히 발생하였다.
국내등록특허 제10-1003772호(등록일자, 2010년 12월 17일)는 스크린부가 고정부재에 용이하게 체결되고,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한 것으로, 그림이나 글씨, 달력 등이 인쇄된 스크린부의 상측 일단과 하측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시키는 절개부가 형성되되, 스크린부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절개부 양 끝단의 절개 폭이 큰 삽입부가 더 형성되고, 절개부의 내부에는 절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지지턱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양 끝단을 마감하고, 걸이부재가 고정되도록 외측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걸이부재의 양 끝단이 관통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마감부재;로 이루어지되, 고정부재의 양 끝단과 마감부재의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된 족자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의 상단과 하단에는 스크린부의 폭방향을 따라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는 지지봉이 삽입되는 족자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족자도 종래의 족자와 같이 걸이부재에 종이나 천을 삽입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걸이부재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내 인테리어 소품으로써 전통적인 족자의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통적인 족자의 형태에서 벗어나 예술작품이나 글씨가 새겨진 직물재 스크린을 들뜸이나 구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누구라도 매우 쉽고 견고하게 족자를 제작할 수 있는 족자 걸이대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실내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족자를 걸기 위한 로프가 없이도 사용자의 취향에 맞도록 벽면에 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족자 걸이대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아래의 기재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족자 걸이대는, 일정 면적을 갖고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폭과 두께를 갖는 휘갑치기부(42)가 형성된 직물재 스크린(40)의 상단부가 안착되는 족자프레임(30)과, 상기 족자프레임(30)과 대응되는 폭과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을 압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장착프레임(20)과, 상기 족자프레임(30)과 상기 장착프레임(20)을 벽면에 매달기 위한 헹거 로프(10)를 포함하고, 상기 족자프레임(30)은,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의 폭보다 큰 길이를 갖으며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휘갑치기부(42)가 수용되도록 일정 깊이로 형성된 휘갑치기 걸림홈(36)과, 상기 휘갑치기 걸림홈(36)의 양측에서 수직되게 하향 절곡되도록 오목하고 길게 팬 홈이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된 스크린폭 제한부(34)와, 상기 휘갑치기 걸림홈(36)과 상기 스크린폭 제한부(34) 사이에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에 들끔이나 구김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장착프레임(20)으로 압착되는 마찰부(50)와, 상기 마찰부(5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족자프레임(30)에 매립되는 다수개의 프레임 고정자석(32)과, 상기 마찰부(50)의 양측에서 상기 족자프레임(30)의 길이방향과 수직되고 횡단되도록 오목하고 길게 팬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행거 로프(10)의 양단을 수용하는 로프 홈(38)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프레임(20)은, 상기 족자프레임(30)과 대응되는 면에 상기 프레임 고정자석(32)과 대응되는 프레임 고정자석(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 예로, 상기 족자프레임(30)은, 상기 마찰부(50)에 상기 직물재 스크린(40)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마찰패드(60)가 부착되고, 상기 족자프레임(30)의 스크린폭 제한부(40)는, 상기 족자프레임(30)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마찰부(50) 보다 큰 폭을 갖는 직물재 스크린(40)의 양측단이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 예로, 상기 족자프레임(30)의 상기 휘갑치기 걸림홈(36)은, 상기 족자프레임(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족자프레임(30)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헹거 로프(10)를 삽입하여 수용하고, 상기 스크린폭 제한부(34)는 상기 휘갑치기 걸림홈(36)의 양측에서 수직되게 하향 절곡되도록 오목하고 길게 팬 홈이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족자프레임(30)은, 자력에 의해 벽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벽면에 대응되는 면에 매립되는 다수개의 족자 고정자석(5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 예로, 상기 족자프레임(30)의 상기 휘갑치기 걸림홈(36)은, 상기 족자프레임(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폭 제한부(34)는 상기 휘갑치기 걸림홈(36)의 양단에서 수직되게 하향 절곡되도록 오목하고 길게 팬 홈이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족자프레임(30)은, 자력에 의해 벽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벽면에 대응되는 면에 매립되는 다수개의 족자 고정자석(5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재 스크린이 들뜨거나 구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하중에 의해 낙하되지 않도록 매우 견고하고 쉽게 족자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직물재 스크린의 폭이 다소 크게 형성되었더라도 이를 수용할 수 있고, 직물재 스크린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품질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 인테리어 소품으로 적합하도록 벽면에 걸치거나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족자 걸이대를 사용한 족자,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족자 걸이대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족자 걸이대에 사용되는 직물재 스크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족자 걸이대에서 장착프레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족자 걸이대에서 족자프레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족자 걸이대에서 족자프레임의 배면.
본 발명에 의한 족자 걸이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본 발명의 개념 및 그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해당 용어의 사전적 또는 어구적 의미만으로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어느 구성, 단계, 동작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를 의미하며,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다른 구성, 단계, 동작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접속되는" 또는 "연결되는" 은 하나의 엘리먼트/특징이 다른 엘리먼트/특징과 직접적으로 접속 또는 연결되는 것 또는 타 엘리먼트/특징을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속 또는 연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반드시 기계적으로 바로 접속 또는 연결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모식도들은 엘리먼트들과 컴포넌트들의 예시적인 배열들을 도시하지만, 추가의 중재 엘리먼트들, 디바이스들, 특징들 또는 컴포넌트들이 (도시된 엘리먼트들의 기능이 악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 실제 실시형태에서 존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족자 걸이대를 사용한 족자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족자 걸이대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족자 걸이대에 사용되는 직물재 스크린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족자 걸이대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재 스크린(40)과, 족자프레임(30)과, 장착프레임(20)과, 헹거 로프(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의한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은, 상기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면적을 갖고 가장자리를 따라 휘갑치기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에는 예술작품이나 글씨, 그림 등이 새겨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폭과 두께로 휘갑치기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휘갑치기부(42)는 손바느질을 하는 경우에 천의 가장자리를 감싸서 올이 풀려나오지 못하게 하는 방법으로 실이 너무 느슨하거나 당겨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여러 땀을 한 바늘에 모아 살며시 잡아당겨 시접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또한, 산업용 기계인 재봉틀을 이용하여 가장자리를 따라 오바록(over lock) 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 휘갑치기부(42)는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의 가장자리를 깜싸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의 두께보다 두껍고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오바록 재봉으로 푸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 예로, 상기 족자프레임(30)은,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의 폭보다 큰 길이를 갖으며,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의 상단부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족자프레임(30)은, 프레임 고정자석(32)과, 휘갑치기 걸림홈(36)과, 스크린폭 제한부(34)와, 로프 홈(38)과, 마찰부(50)가 형성된다.
상기 휘갑치기 걸림홈(36)은 상기 족자프레임(3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휘갑치기부(42)가 수용되도록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일실시 예로, 상기 휘갑치기 걸림홈(36)의 양단과 상기 스크린폭 제한부(34)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폭 제한부(34)는, 상기 휘갑치기 걸림홈(36)의 양단에서 수직되게 하향 절곡되도록 오목하고 길게 팬 홈이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일실시 예로, 상기 휘갑치기 걸림홈(36)은 상기 족자프레임(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폭 제한부(34)는 상기 휘갑치기 걸림홈(36)의 양측에서 수직되게 하향 절곡되도록 오목하고 길게 팬 홈이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헹거 로프(10)는 상기 족자프레임(30)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하여 실내 인테리어 소품으로 다른 심미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의 측면부 상단에 형성된 휘갑치기부(42)는 상기 스크린폭 제한부(34)에 수용되게 된다.
상기 마찰부(50)는 상기 휘갑치기 걸림홈(36)과 상기 스크린폭 제한부(34) 사이에 형성된 면으로,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에 들끔이나 구김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장착프레임(20)으로 압착된다.
상기 프레임 고정자석(32)은, 상기 마찰부(5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족자프레임(3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로프 홈(38)은, 상기 마찰부(50)의 양측에서 상기 족자프레임(30)의 길이방향과 수직되고 횡단되도록 오목하고 길게 팬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헹거 로프(10)의 양단을 수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은 상기 마찰부(50) 보다 큰 폭을 갖으며, 상기 스크린폭 제한부(34) 폭의 2배에 상기 마찰부(50)의 폭을 합한 길이보다 작은 폭을 갖는 것을 거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마찰부(50) 보다 큰 폭을 갖는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의 양단은 상기 스크린폭 제한부(34)에서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이 상기 마찰부(50)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헹거 로프(10)는, 양단에 매듭을 형성한 노끈으로 형성된다. 상기 헹거 로프(10)는 상기 족자프레임(30)에 형성된 상기 로프 홈(38)에 양측이 수용되고, 상기 헹거 로프(10)의 양단에 형성된 매듭이 상기 족자프레임(30)의 하부에서 걸림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족자 걸이대에서 장착프레임이다.
일실시 예에 의한 상기 장착프레임(20)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족자프레임(30)과 대응되는 폭과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20)은 상기 족자프레임(30)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프레임 고정자석(32)과 대응되도록 프레임 고정자석(22)이 매립된다.
따라서, 상기 족자프레임(30)에 안착된 직물재 스크린(40)을 상기 장착프레임(20)으로 압착하여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프레임(20)은 상기 족자프레임(30)과 상기 프레임 고정자석(22, 32)의 자력에 의해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족자 걸이대에서 족자프레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족자프레임(30)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찰부(50)에 부착되는 마찰패드(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패드(60)는, 실리콘 또는 고무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족자프레임(30)에 안착되는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이 상기 장착프레임(20)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어 압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족자 걸이대에서 족자프레임의 배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족자프레임(30)은,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부착되는 경우에 자력에 의해 상기 벽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벽면에 대응되는 상기 족자프레임의 면에 매립되는 다수개의 족자 고정자석(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족자 걸이대를 이용하여 족자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직물재 스크린(40)은 상기 족자프레임(30)에 형성된 마찰부(50)의 폭보다 크고 상기 마찰부(50)의 폭과 상기 스크린폭 제한부(34)의 폭의 2배를 합한 길이보다 작은 폭을 갖는 것을 선택한다.
상기와 같이 직물재 스크린(40)이 준비가 되면, 헹거 로프(10)를 상기 족자프레임(30)에 형성된 로프 홈(38)에 안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로프 홈(38)에 안착된 헹거 로프(10)의 양단에는 상기 로프 홈(38)으로부터 상기 헹거 로프(10)가 이탈되지 않도록 매듭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 후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의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휘갑치기부(42)를 상기 족자프레임(30)에 형성된 휘갑치기 걸림홈(36)에 수용되도록 안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의 상단부 양단은 스크린폭 제한부(34)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폭 제한부(34)에 안착된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이 상기 마찰부(50)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그 후 장착프레임(20)을 상기 족자프레임(30)에 맞닿도록 하여, 프레임 고정자석(22, 32)의 자력에 의해 상기 장착프레임(20)이 족자프레임(30)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장착프레임(20)은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을 압착하여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족자프레임(30)의 마찰부(50)에 마찰패드(60)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이 더욱 견고하게 압착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족자프레임(30)의 배면에 족자 고정자석(50)이 매립된 경우에는 상기 족자프레임(30)을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헹거 로프 20: 장착프레임
22, 32: 프레임 고정자석 24: 압착면
30: 족자프레임 34: 스크린폭 제한부
36: 휘갑치기 걸림홈 38: 로프 홈
40: 직물재 스크린 42: 휘갑치기부
50: 마찰부 54: 족자 고정자석
60: 마찰패드

Claims (4)

  1. 일정 면적을 갖고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폭과 두께를 갖는 휘갑치기부(42)가 형성된 직물재 스크린(40)의 상단부가 안착되는 족자프레임(30)과,
    상기 족자프레임(30)과 대응되는 폭과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을 압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장착프레임(20)과,
    상기 족자프레임(30)과 상기 장착프레임(20)을 벽면에 매달기 위한 헹거 로프(10)를 포함하고,
    상기 족자프레임(30)은,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의 폭보다 큰 길이를 갖으며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휘갑치기부(42)가 수용되도록 일정 깊이로 형성된 휘갑치기 걸림홈(36)과, 상기 휘갑치기 걸림홈(36)의 양측에서 수직되게 하향 절곡되도록 오목하고 길게 팬 홈이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된 스크린폭 제한부(34)와, 상기 휘갑치기 걸림홈(36)과 상기 스크린폭 제한부(34) 사이에 상기 직물재 스크린(40)에 들끔이나 구김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장착프레임(20)으로 압착되는 마찰부(50)와, 상기 마찰부(5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족자프레임(30)에 매립되는 다수개의 프레임 고정자석(32)과, 상기 마찰부(50)의 양측에서 상기 족자프레임(30)의 길이방향과 수직되고 횡단되도록 오목하고 길게 팬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행거 로프(10)의 양단을 수용하는 로프 홈(38)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프레임(20)은, 상기 족자프레임(30)과 대응되는 면에 상기 프레임 고정자석(32)과 대응되는 프레임 고정자석(22)을 포함하는, 족자 걸이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족자프레임(30)은, 상기 마찰부(50)에 상기 직물재 스크린(40)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마찰패드(60)가 부착되고,
    상기 족자프레임(30)의 스크린폭 제한부(40)는, 상기 족자프레임(30)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마찰부(50) 보다 큰 폭을 갖는 직물재 스크린(40)의 양측단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족자 걸이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족자프레임(30)의 상기 휘갑치기 걸림홈(36)은, 상기 족자프레임(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족자프레임(30)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헹거 로프(10)를 삽입하여 수용하고, 상기 스크린폭 제한부(34)는 상기 휘갑치기 걸림홈(36)의 양측에서 수직되게 하향 절곡되도록 오목하고 길게 팬 홈이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족자프레임(30)은, 자력에 의해 벽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벽면에 대응되는 면에 매립되는 다수개의 족자 고정자석(54)을 더 포함하는, 족자 걸이대.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족자프레임(30)의 상기 휘갑치기 걸림홈(36)은, 상기 족자프레임(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폭 제한부(34)는 상기 휘갑치기 걸림홈(36)의 양단에서 수직되게 하향 절곡되도록 오목하고 길게 팬 홈이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족자프레임(30)은, 자력에 의해 벽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벽면에 대응되는 면에 매립되는 다수개의 족자 고정자석(54)을 더 포함하는, 족자 걸이대.
KR1020230158861A 2023-11-16 2023-11-16 족자 걸이대 KR102635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8861A KR102635547B1 (ko) 2023-11-16 2023-11-16 족자 걸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8861A KR102635547B1 (ko) 2023-11-16 2023-11-16 족자 걸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547B1 true KR102635547B1 (ko) 2024-02-08

Family

ID=89899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8861A KR102635547B1 (ko) 2023-11-16 2023-11-16 족자 걸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5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772B1 (ko) * 2010-06-09 2010-12-28 이동우 족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772B1 (ko) * 2010-06-09 2010-12-28 이동우 족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3438A (en) Garment hanger
US11134804B2 (en) Relating to clothes hangers
US6457194B1 (en) Bed linen holder and method
KR102635547B1 (ko) 족자 걸이대
US6219892B1 (en) Display hanger for sheet items of fabric art
KR101056777B1 (ko) 스팀다리미용 의류 고정대
US2581675A (en) Garment checking bag
WO2009070980A1 (en) Clothes hanger
JP2006087787A (ja) ハンガー
US2524958A (en) Drapery holder and pleater
US20050284590A1 (en) Pin assembly for towels, sheets, linen, and other items for display
US2034859A (en) Garment hanger
US8844885B1 (en) Fabric suspension system
US2077251A (en) Clothes hanger
US2412245A (en) Garment hanger
US1858875A (en) Picture hook
US828491A (en) Suit-hanger.
CN211324243U (zh) 一种拉伸式衣架
JP2706898B2 (ja) カーテンにおける吊り金具取付部の構造およびその縫製方法
EP4335326A1 (en) Holding device
KR20130096352A (ko) 이중바 구조로 바지의 구김과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옷걸이
JP3111105U (ja) 布団カバー及び枕カバー
JP3091365U (ja) カーテン用タブクリップ
JP3786199B2 (ja) カーテン吊り具及びカーテン
GB2187935A (en) Assembly for supporting curta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