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147B1 -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5147B1 KR102635147B1 KR1020210176463A KR20210176463A KR102635147B1 KR 102635147 B1 KR102635147 B1 KR 102635147B1 KR 1020210176463 A KR1020210176463 A KR 1020210176463A KR 20210176463 A KR20210176463 A KR 20210176463A KR 102635147 B1 KR102635147 B1 KR 1026351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spinning
- pinwheel
- unit
- nanofiber membrane
- nanofiber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21 nanofib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8000001523 electrospin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2134 carbon nanofib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000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239 polyacrylonitril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ZMXDDKWLCZADIW-UHFFFAOYSA-N N,N-Dimethylformamide Chemical compound CN(C)C=O ZMXDDKWLCZADI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575 poly(am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63 carbon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949 i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69—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pinning section, e.g. capillary tube, protrusion or pin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76—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llecting device, e.g. drum, wheel, endless belt, plate or grid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Acrylic res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31—Electro-spu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9—Electrospi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은 (ⅰ) 2개 이상의 단위전기방사튜브(T)들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회전축(1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로드(20)의 말단부 각각에 설치되어 있고, (ⅱ) 상기 단위전기방사튜브(T)는 중앙부에 방사용액 공급관(P)으로부터 방사용액이 유입되는 방사용액 유입홀(S)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말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사각형 관 형태이고, 상기 양측 말단부가 2개 이상으로 분지되면서 양측 말단부 각각에 2개 이상의 뾰족한 모서리 부분(A)들이 형성되고 상기 뾰족한 모서리 부분(A) 각각에는 하단부(n1)가 원통형 및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이고 상단부(n2)는 상기 하단부(n1)의 반쪽 부분이 절개된 형태인 방사홀(n)이 상기 뾰족한 모서리 부분(A)의 외각선과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은 굴곡성이 양호한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고, 나노섬유 멤브레인에서의 나노섬유 배향방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나노섬유 멤브레인은 곡선형태의 나노섬유들이 다층으로 집적되어 있기 때문에 나노섬유 상호간의 물리적 엉킴이 양호해서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고, 섬유 축 방향에 대한 배향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되어 등방성이 우수하다.
그로인해, 본 발명으로 제조된 나노섬유 멤브레인은 2차전지용 멤브레인등으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유연성이 우수해 잘 부스러지지 않으며 인장강력도 우수한 탄소나노섬유 멤브레인 제조에도 유용하다.
본 발명의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은 굴곡성이 양호한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고, 나노섬유 멤브레인에서의 나노섬유 배향방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나노섬유 멤브레인은 곡선형태의 나노섬유들이 다층으로 집적되어 있기 때문에 나노섬유 상호간의 물리적 엉킴이 양호해서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고, 섬유 축 방향에 대한 배향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되어 등방성이 우수하다.
그로인해, 본 발명으로 제조된 나노섬유 멤브레인은 2차전지용 멤브레인등으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유연성이 우수해 잘 부스러지지 않으며 인장강력도 우수한 탄소나노섬유 멤브레인 제조에도 유용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곡선형태의 나노섬유로 구성되어 나노섬유간의 물리적인 엉킴이 증가하고, 섬유 축 방향에 대한 나노섬유의 배향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등방성과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할 수 있고, 특히 탄소나노섬유 멤브레인 제조시 유연성과 인장강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방사장치에는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는 기구로서 방사용 노즐이나 방사용 튜브들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구체적으로, 한국 등록 특허번호 10-1172267호는 방사노즐 대신에 내부가 다각형 튜브를 포함한 전기방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전기력과 원심력을 함께 이용하여 전기방사를 실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한국 등록 특허번호 10-1263296호는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각형 원통형 튜브를 회전하여 전기방사를 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한국 등록 특허번호 10-1291592호는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추형 방사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각형 원추형 튜브를 회전하여 전기방사를 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의 전기방사장치들로 전기방사된 나노섬유들은 곡선 형태가 아니라 직선형 형태이기 때문에 제조된 나노섬유 멤브레인내에서 서로 물리적으로 엉키는 현상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아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탄소나노섬유 멤브레인 제조시에는 유연성이 떨어져 쉽게 부스러져 산업적 사용에 제약이 많았다.
또한, 상기 종래 전기방사장치들로 전기방사된 나노섬유들은 나노섬유 멤브레인내에서 등방성을 부여하기 어렵고 배향성을 조절하기도 어려워 기계적 물성이 떨어져 적용분야에 제한이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굴곡성이 우수한 곡선형태의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전기방사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나노섬유 멤브레인 제조시 나노섬유 멤브레인내 나노섬유들의 등방성이 우수하고 배향성도 쉽게 조절 가능한 전기방사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곡선 형태의 나노섬유들이 양호한 등방성으로 집적되어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 이차전지용 분리막 등으로 유용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곡선 형태의 탄소나노섬유들로 구성되어 유연성이 뛰어나 잘 부스러지지 않으며 인장강도도 우수한 탄소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ⅰ) 2개 이상의 단위전기방사튜브(T)들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회전축(1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로드(20)의 말단부 각각에 설치되어 있고, (ⅱ) 상기 단위전기방사튜브(T)는 중앙부에 방사용액 공급관(P)으로부터 방사용액이 유입되는 방사용액 유입홀(S)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말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사각형 관 형태이고, 상기 양측 말단부가 2개 이상으로 분지되면서 양측 말단부 각각에 2개 이상의 뾰족한 모서리 부분(A)들이 형성되고 상기 뾰족한 모서리 부분(A) 각각에는 하단부(n1)가 원통형 및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이고 상단부(n2)는 상기 하단부(n1)의 반쪽 부분이 절개된 형태인 방사홀(n)이 상기 뾰족한 모서리 부분(A)의 외각선과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는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을 사용하여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한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나노섬유 멤브레인은 곡선형태의 나노섬유들이 다층으로 집적되어 있기 때문에 나노섬유 상호간의 물리적 엉킴이 양호해서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고, 섬유 축 방향에 대한 배향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되어 등방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매우 정확한 방향성에 따른 물성 차이가 없고 기공 등을 포함한 다양한 성질의 방향성에 따른 제어가 가능한 등방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완전한 등방성인 물성 제어는 제조된 나노섬유의 굴곡성으로 인하여 방향성에 따른 균일한 물성 부여가 가능하게 해주는 특성이 있다.
종래 전기방사 등에서 발생하는 일직선상의 나노섬유는 컬렉터의 기계방향과 직교 방향에 따른 나노섬유의 배향각도가 방향에 따라서 발생할 수가 있어서 완벽한 등방성의 기계적 물성이나 기공 등의 다양한 특성 제어가 어렵게 된다.
그로인해, 본 발명으로 제조된 나노섬유 멤브레인은 2차전지용 멤브레인등으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유연성이 우수해 잘 부스러지지 않으며 인장강력도 우수한 탄소나노섬유 멤브레인 제조에도 유용하다.
본 발명은 초흡수성/초소수성, 초흡수성/초오일친화성 등을 이용한 수처리 분야는 물론 공기 정화 필터, 2가지 이상의 센싱이 가능한 센서, 전고체 바테리 및 전고체 슈퍼캐퍼시터 등의 음극 및 양극과 전해질 등으로 구성된 에너지 저장 시스템, 각종 촉매 등을 포함하여 매우 광범위하게 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방사모듈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방사모듈을 구성하는 단위전기방사튜브(T)의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위전기방사튜브(T)의 양측 말단부 모서리 부분(A) 각각에 형성된 방사홀(n) 일례의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현일례에 따라 단위전기방사튜브(T)로부터 나노섬유를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하는 공정 개략도.
도 5는 실시예 1로 제조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6는 도 5의 확대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7은 실시예 2로 제조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8은 도 7의 확대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방사모듈을 구성하는 단위전기방사튜브(T)의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위전기방사튜브(T)의 양측 말단부 모서리 부분(A) 각각에 형성된 방사홀(n) 일례의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현일례에 따라 단위전기방사튜브(T)로부터 나노섬유를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하는 공정 개략도.
도 5는 실시예 1로 제조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6는 도 5의 확대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7은 실시예 2로 제조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8은 도 7의 확대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이하, 첨부한 도면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단위전기방사튜브(T)들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회전축(1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로드(20)의 말단부 각각에 설치된 구조를 구비한다.
상기 단위전기방사튜브(T)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방사용액 공급관(P)으로부터 방사용액이 유입되는 방사용액 유입홀(S)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말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사각형 관 형태이고, 상기 양측 말단부가 2개 이상으로 분지되면서 양측 말단부 각각에 2개 이상의 뾰족한 모서리 부분(A)들이 형성되고 상기 뾰족한 모서리 부분(A) 각각에는 하단부(n1)가 원통형 및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이고 상단부(n2)는 상기 하단부(n1)의 반쪽 부분이 절개된 형태인 방사홀(n)이 상기 뾰족한 모서리 부분(A)의 외각선과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은 상기의 단위전기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방사홀 상단부(n2)의 높이(h)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방사홀 상단부의 높이(h)가 서로 상이하게 하면 섬유 축 방향에 대한 배향각도가 서로 상이한 곡선형태의 나노섬유들로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구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원하는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기계적 물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단위전기방사튜브(T) 각각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제조되는 나노섬유를 굴곡진 곡선형태로 형성하여 나노섬유 상호간의 엉킴을 증가시키고 나노섬유의 배향각도를 제어하여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방사홀 상단부(n2)의 높이(h)에 따라서 방사되는 나노섬유의 굴곡성, 다시말해 나노섬유의 곡선형태를 적절하게 조절되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사홀 상단부(n2)의 높이(h) 만큼 방사홀(n)에서 전기방사되는 방사용액 스트림의 직진성이 방해되어 직선형태가 아니라 곡선형태의 나노섬유가 제조된다.
방사홀 상단부(n2)의 높이(h)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방사 과정 중에 형성된 직선상의 스트림이 조기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단위전기방사튜브(T)의 원심력이 작용하여 굴곡진 나노섬유가 만들어지고 형성된 나노섬유 간의 상호 엉킴이 강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방사홀 하단부(n1)의 절반이 개방된 방사홀 상단부(n2)가 형성안된 경우, 다시말해 상기 높이(h)가 0인 경우에는 방사되는 나노섬유가 곡선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직선형태로 제조되고, 나노섬유 상호간의 엉킴현상도 현저하게 저하된다. 그 이유는 전기방사과정에서 일직선상의 스트림이 상호 간섭 영향이 줄어들어서 형성된 나노섬유를 컬렉터에 집적할 경우에 나노섬유의 직진성을 그대로 유지하여 컬렉터에 집적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은 특히 탄소나노섬유의 원료인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이나 폴리아믹산 등을 이용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안정화 공정이나 이미드 공정 후에 탄화공정을 통하여 탄소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할 경우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이나 폴리아믹산 등의 나노섬유의 형태를 직선적인 나노섬유가 아닌 굴곡진 나노섬유 형태가 매우 중요한데 이와 같은 형태를 별도의 후 공정 없이도 제어가 가능한 매우 유용한 전기방사 시스템이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을 이용하여 굴곡성이 우수한 나노섬유들이 집적되어 있는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제조방법은 고전압 발생장치(HV)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과 상기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 위에 위치하는 컬렉터(C) 각각에 전압을 걸어주면서 상기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을 구성하는 단위전기방사튜브(T)의 방사용액 유입홀(S)을 통해 단위전기방사튜브(T) 각각에 방사용액을 공급한 후, 상기 단위전기방사튜브(T) 각각을 회전장치를 사용하여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방사홀(n)을 통해 나노섬유(F)를 컬렉터(C) 방향으로 전기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이 회전하기 때문에 나노섬유 축 방향에 따른 나노섬유의 배향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나노섬유 상호간의 엉킴현상을 향상시켜 준다.
본 발명의 구현일례로서, 하나의 컬렉터(C) 아래에 2개 이상의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을 설치해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2개 이상의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들 중 컬렉터(C)의 일측을 기준으로 홀수번째로 설치된 바람개비 전기방사모듈들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짝수번으로 겹치게 배열된 전기방사모듈들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나머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주는 것이 나노섬유 축 방향에 따른 나노섬유의 배향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나노섬유 상호간의 엉킴현상을 향상시켜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기계적 물성을 개선하는데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을 구성하는 단위전기방사튜브(T) 각각에 서로 다른 고분자의 방사용액을 공급해 줄 수도 있고, 서로 동일한 고분자의 방사용액을 공급해 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을 전후좌우로 움직여 방사되는 나노섬유들을 컬렉터상에 랜덤하게 배열하여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폭방향 기계적 물성과 길이방향 기계적 물성간의 차이가 없는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프리커서가 탄소나노섬유의 원료인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이나 폴리아믹산 등으로 구성된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고온에서 탄화할 경우에 유연성이 우수해 잘 부스러지지 않고 인장강도가 우수한 탄소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을 구성하는 단위전기방사튜브(T) 각각에 무기물을 포함하는 고분자의 방사용액을 공급하여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한 다음, 제조된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고온에서 열처리하여 무기 나노섬유들로만 구성된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실시예 1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하여 고형분이 12중량%인 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는, 고전압 발생장치(HV)를 이용하여 단위전기방사튜브(T) 4개가 회전축(1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로드(20)의 말단부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과 상기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 위 30㎝ 거리에 위치하는 컬렉터(C) 각각에 28kV의 전압을 걸어주면서 상기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을 구성하는 단위전기방사튜브(T)의 방사용액 유입홀(S)을 통해 상기 방사용액을 1.6cc/분의 공급속도로 단위전기방사튜브(T) 각각에 공급한 후, 상기 4개의 단위전기방사튜브(T) 4개들은 800rpm의 회전속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하였다.
이때, 단위전기방사튜브(T)로는 중앙부에는 방사용액 유입홀(S)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말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사각형 관 형태이고, 상기 양측 말단부가 2개로 분지되면서 양측 말단부 각각에는 2개의 뾰족한 모서리 부분(A)들이 형성되고 상기 뾰족한 모서리 부분(A) 각각에는 하단부(n1)가 직경이 0.8㎜인 원통형이고 상단부(n2)는 높이(h)가 5㎜이고 하단부(n1)의 원통형중 반쪽 부분이 절개된 반원통형인 방사홀(n)이 뾰족한 모서리 부분(A)의 외곽선과 인접하게 형성된 전체길이 80㎜의 단위전기방사튜브(T)를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5와 같았고, 도 5를 확대 촬영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6과 같았다.
도 5와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제조된 나노섬유가 직선 형태가 아니고 굴곡진 곡선형태를 나타낸 것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있다. 이와 같이 굴곡진 나노섬유의 형태는 별도의 후처리 없이 상호 나노섬유간의 엉킴이 늘어나고 물리적인 기계적인 물성의 증가가 이루어진다.
실시예 2
단위전기방사튜브(T)들의 모서리부분(A) 각각에 형성된 방사홀(n)의 형태를 하단부가 원통형이고 상단부가 높이(h)가 5㎜인 반원통형인 실시예 1의 방사홀(n) 대신에 방사홀 전체가 원통형만으로 구성되는 형태, 다시 말해 반원통형인 방사홀의 상단부(n2)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아서 상기 높이(h)가 0인 형태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 및 조건으로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7과 같았고, 도 7을 확대 촬영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8과 같았다.
도 7 및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제조된 나노섬유는 직선형태를 구비하고 있었다.
A : 단위전기방사튜브(T)의 양측 말단부에 형성된 뾰족한 모서리 부분
C : 컬렉터 HV : 고전압 발생장치
T : 단위전기방사튜브 M : 나노섬유 멤브레인
F : 나노섬유 P : 방사용액 공급관
S : 방사용액 유입홀 n : 방사홀
n1 : 방사홀의 하단부 n2 : 방사홀의 상단부
h : 방사홀 상단부(n2)의 높이
10 : 회전축 20 : 연결로드
C : 컬렉터 HV : 고전압 발생장치
T : 단위전기방사튜브 M : 나노섬유 멤브레인
F : 나노섬유 P : 방사용액 공급관
S : 방사용액 유입홀 n : 방사홀
n1 : 방사홀의 하단부 n2 : 방사홀의 상단부
h : 방사홀 상단부(n2)의 높이
10 : 회전축 20 : 연결로드
Claims (9)
- (ⅰ) 2개 이상의 단위전기방사튜브(T)들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회전축(1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로드(20)의 말단부 각각에 설치되어 있고, (ⅱ) 상기 단위전기방사튜브(T)는 중앙부에 방사용액 공급관(P)으로부터 방사용액이 유입되는 방사용액 유입홀(S)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말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사각형 관 형태이고, 상기 양측 말단부가 2개 이상으로 분지되면서 양측 말단부 각각에 2개 이상의 뾰족한 모서리 부분(A)들이 형성되고 상기 뾰족한 모서리 부분(A) 각각에는 하단부(n1)가 원통형 및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이고 상단부(n2)는 상기 하단부(n1)의 반쪽 부분이 절개된 형태인 방사홀(n)이 상기 뾰족한 모서리 부분(A)의 외각선과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
- 제1항에 있어서, 단위전기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방사홀 상단부(n2)의 높이(h)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
- 제1항에 있어서, 단위전기방사튜브(T)를 구성하는 방사홀 상단부(n2)의 높이(h)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
- 고전압 발생장치(HV)를 이용하여 제1항의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과 상기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 위에 위치하는 컬렉터(C) 각각에 전압을 걸어주면서 상기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을 구성하는 단위전기방사튜브(T)의 방사용액 유입홀(S)을 통해 단위전기방사튜브(T) 각각에 방사용액을 공급한 후, 상기 단위전기방사튜브(T) 각각을 회전장치를 사용하여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방사홀(n)을 통해 나노섬유(F)를 컬렉터(C) 방향으로 전기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컬렉터(C) 아래에 2개 이상의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을 설치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들중 컬렉터(C)의 일측을 기준으로 홀수번으로 설치된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짝수번으로 설치된 전기방사모듈들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나머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을 구성하는 단위전기방사튜브(T) 각각에 서로 다른 고분자의 방사용액을 공급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을 구성하는 단위전기방사튜브(T) 각각에 무기물을 포함하는 고분자의 방사용액을 공급하여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한 다음, 제조된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고온에서 열처리하여 무기 나노섬유들로만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을 전후좌우로 움직여 방사되는 나노섬유들을 컬렉터상에 랜덤하게 배열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6463A KR102635147B1 (ko) | 2021-12-10 | 2021-12-10 |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6463A KR102635147B1 (ko) | 2021-12-10 | 2021-12-10 |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7859A KR20230087859A (ko) | 2023-06-19 |
KR102635147B1 true KR102635147B1 (ko) | 2024-02-08 |
Family
ID=86988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6463A KR102635147B1 (ko) | 2021-12-10 | 2021-12-10 |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5147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77336B2 (ja) | 2004-07-29 | 2012-07-18 | タイワン テクスタイル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チュート | 高分子フィブリルを製造する装置およびその方法 |
KR101617220B1 (ko) | 2014-11-20 | 2016-05-03 | 주식회사 우리나노 |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 방사기구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2241B1 (ko) * | 2001-12-13 | 2003-12-31 | 주식회사 라이지오케미칼코리아 | 극세 무기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1196786B1 (ko) * | 2010-03-08 | 2012-11-05 |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 회전형 노즐을 이용한 나노섬유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1712521B1 (ko) * | 2015-03-27 | 2017-03-23 | 주식회사 우리나노 | 원심력을 이용한 다성분 나노섬유 방사기구 및 이를 이용한 다성분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
-
2021
- 2021-12-10 KR KR1020210176463A patent/KR1026351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77336B2 (ja) | 2004-07-29 | 2012-07-18 | タイワン テクスタイル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チュート | 高分子フィブリルを製造する装置およびその方法 |
KR101617220B1 (ko) | 2014-11-20 | 2016-05-03 | 주식회사 우리나노 |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 방사기구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7859A (ko) | 2023-06-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adol et al. | Solution blow spinning (SBS) and SBS-spun nanofibers: Materials, methods, and applications | |
KR101821049B1 (ko) | 1차원의 고분자 나노섬유들이 준정렬된 그리드 형상으로 직교하여 적층되어 기공 분포 및 기공 크기가 제어된 3차원 고분자 나노섬유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 |
Lu et al. | Parameter study and characterization for polyacrylonitrile nanofibers fabricated via centrifugal spinning process | |
Liu et al. | Electrospun jets number and nanofiber morphology effected by voltage value: Numerical simulation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 |
KR101226046B1 (ko) | 분리막 제조 장치 | |
KR101154212B1 (ko) |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 | |
JP5860603B2 (ja) | セパレーター製造装置 | |
US20080241538A1 (en) | Filament Bundle Type Nano Fi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20110039101A1 (en) | Electrospun fiber tubular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JPH02127509A (ja) |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糸状物及びその製造法 | |
WO2002034986A2 (de) | Orientierte meso- und nanoröhrenvliese | |
KR101602356B1 (ko) | 나노섬유 구조체의 제조방법 | |
KR20110099475A (ko) | 동심원성 다중노즐을 이용한 구배 나노섬유 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구배 나노섬유 | |
CN107354521A (zh) | 纳米碳纤维前躯体纱线和纳米碳纤维的工艺流程 | |
Niu et al. | Electrospinning: an advanced nanofiber production technology | |
JP3184886U (ja) | スクリューファイバー生成器及び静電ロッド紡糸設備 | |
JP2017185422A (ja) | デプスフィルター | |
CN111575917A (zh) | 一种高比表面积类蜂巢结构纳米纤维材料及其制备方法 | |
US20050048274A1 (en) | Production of nanowebs by an electrostatic spinn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2635147B1 (ko) | 바람개비형 전기방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 |
KR102637992B1 (ko) | 등방성 나노섬유 멤브레인 제조용 전기방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등방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 |
US20130337254A1 (en) | Polyester molded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JP4695431B2 (ja) | 撚糸および撚糸の製造方法 | |
KR101154213B1 (ko) |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 | |
CN111041575A (zh) | 一种高导湿聚酯纤维及其制备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