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505B1 - 컴퓨팅 장치의 분리가능한 부분을 위한 이중 역할 가능 커넥터 - Google Patents

컴퓨팅 장치의 분리가능한 부분을 위한 이중 역할 가능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505B1
KR102634505B1 KR1020187033765A KR20187033765A KR102634505B1 KR 102634505 B1 KR102634505 B1 KR 102634505B1 KR 1020187033765 A KR1020187033765 A KR 1020187033765A KR 20187033765 A KR20187033765 A KR 20187033765A KR 102634505 B1 KR102634505 B1 KR 102634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ors
mode
electronic
r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1732A (ko
Inventor
비아이쿠마르 카드지
Original Assignee
타호 리서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호 리서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호 리서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11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 G06F13/4022Coupling between buses using switching circuits, e.g. switching matrix, connection or expansion netw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9Mechanical coup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computer periph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컴퓨팅 장치의 분리가능한 부분을 위한 이중 역할 가능 커넥터들을 대상으로 한다. 상기 장치의 실시예는 제2 장치에의 분리가능한 물리적 연결; 제1 전자 커넥터 - 상기 제1 전자 커넥터는 상기 물리적 연결을 위한 데이터 연결들을 제공함 -;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 -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커넥터는 상기 제1 전자 커넥터에 의해 지원됨 -; 및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로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의 동작은 각각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가 컴퓨팅 시스템들의 상호연결을 위한 호스트 역할 및 디바이스 역할 양쪽 모두의 역할 - 상기 호스트 역할 및 디바이스 역할은 제1 커넥터 모드 또는 제2 커넥터 모드에 대한 것일 수 있음 -, 및 대체 커넥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컴퓨팅 장치의 분리가능한 부분을 위한 이중 역할 가능 커넥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컴퓨팅 장치의 분리가능한 부분을 위한 이중 역할 가능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이, 태블릿 부분과 키보드 부분이 함께 연결될 때는 노트북 또는 랩톱 컴퓨터로서 또는 태블릿 부분이 키보드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때는 태블릿 컴퓨터로서 동작할 수 있는 디태처블 시스템(detachable system)은 단일 패키지에서 다수의 컴퓨팅 형태를 제공하는 그러한 시스템의 능력 때문에 인기가 증가하고 있다.
디태처블 시스템의 이점은 태블릿으로부터 키보드의 단순한 분리를 넘어서는데 그 이유는 디태처블 시스템의 베이스는 베이스 상에 다수의 커넥터(범용 직렬 버스(USB™) 커넥터를 포함함)의 존재를 포함하는 추가적인 기능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USB 커넥터의 새로운 버전은 리버서블 플러그(reversible plug)를 수용하는 소형 폼 팩터 커넥터를 이용하는 USC 타입-C™(USB-C라고도 지칭됨)이다.
그러나, 분리가능한 베이스 부분에 대한 태블릿 부분의 분리가능한 물리적 연결은 일반적으로 부분들 간의 연결을 위해 단일 USB-C 커넥터와 같은 단일 전자 커넥터를 이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록 종래의 베이스 부분이 다수의 USB-C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커넥터들은 전체 기능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러한 감소된 기능성은 디태처블 시스템을 이용하는 데 사용자 경험을 손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의 도들에서 제한이 아닌 예로서 예시되었으며,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태처블 시스템의 예시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장치 또는 시스템에서의 응용을 위한 USB-C 리셉터클 핀아웃의 예시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실시예에 따른 이중 모드 커넥터 능력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데이터 경로들의 예시들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실시예에 따른 이중 모드 커넥터 능력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제어 경로들의 예시들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다수의 커넥터에 이용 가능한 후속 커넥터 모드들을 예시한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에서 커넥터 동작을 위한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역할 가능 커넥터들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의 실시예의 예시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컴퓨팅 장치의 분리가능한 부분을 위한 이중 역할 가능 커넥터들을 대상으로 한다.
본 설명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것이 적용된다:
"디태처블 시스템" 또는 "디태처블 컴퓨터"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1 부분 또는 어셈블리(태블릿 또는 덮개 부분), 및 디태처블 연결이라고 지칭될 수 있는 분리가능한 물리적 연결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는 키보드를 포함하는 제2 분리가능한 부분(베이스 또는 키보드 부분)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또는 시스템을 지칭한다.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서로 분리될 수 있고, 여기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함께 결합될 때 노트북 컴퓨터로서 동작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서로 분리될 때 제1 부분은 태블릿 컴퓨터로서 동작가능하다.
"도킹 스테이션" 또는 "도크"는 태블릿 컴퓨터 또는 노트북 또는 랩톱 컴퓨터와 같은 컴퓨팅 시스템이 분리가능한 도킹 스테이션으로의 분리가능한 물리적 연결 - 이는 도킹 연결로 지칭될 수도 있음 - 을 통해 도킹될 수 있는 장치를 지칭한다. 도킹 스테이션은 도킹 연결을 통해 컴퓨팅 시스템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또는 "전자 커넥터"는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 및 (리셉터클에 삽입될) 플러그 양쪽 모두를 지칭한다. 용어 커넥터는 USC 타입-C 커넥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치 또는 시스템은 분리가능한 물리적 연결을 통해 다수의 커넥터 연결을 제공하고, 연결은 단일 전자 커넥터를 이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커넥터 연결은 컴퓨팅 장치를 위한 이중 역할 가능 커넥터들이며, 컴퓨팅 장치는 분리가능한 물리적 연결에 의해 결합되는 (태블릿 또는 랩톱 컴퓨터와 같은) 제1 부분 및 (디태처블 시스템의 베이스 부분 또는 컴퓨팅 시스템을 위한 도킹 스테이션과 같은) 분리가능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중 역할들은 컴퓨팅 시스템들의 상호연결을 위한 호스트 및 디바이스 역할들이다. 또한, 이중 역할들은 커넥터의 전력 능력들에 추가로 적용될 수 있고, 여기서 전력은 제2 부분으로부터 제1 부분으로(예컨대, 베이스 또는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태블릿 컴퓨터로) 또는 제1 부분으로부터 제2 부분으로(예컨대 태블릿 컴퓨터로부터 베이스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분리가능한 연결에서 이용되는 단일 전자 커넥터는 USB 타입-C 커넥터이고, 여기서 USB 타입-C는 USB 타입-C™ 케이블 및 커넥터 사양 개정판 1.1(2015년 4월 3일 발표됨) 및 후속 문서에 의해 제공된다. USB 표준들은 범용 직렬 버스 3.1 사양(2013년 7월 26일 발표됨) 및 범용 직렬 버스 사양 2.0(2000년 4월 27일 발표됨)을 추가로 포함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각각 USB3 및 USB2라고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분리가능한 연결은 디태처블 컴퓨터의 분리가능한 부분들의 연결을 위한 디태처블 연결 또는 도킹 스테이션에 대한 컴퓨팅 시스템의 연결을 위한 도킹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USB 타입-C 커넥터는 단일 케이블 및 커넥터 내에서 디스플레이, 전력, 및 데이터를 지원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USB 타입-C 커넥터는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기술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의 디스플레이포트 동작(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에 의해 개발된 디지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연결에서의 대체 사용을 더 제공할 수 있다. 태블릿(또는 덮개) 부분 및 베이스(또는 키보드) 부분을 갖는 디태처블 시스템은 이들 2개의 부분 사이에 전자 커넥터를 요구하며, USB-C 커넥터는 이 기능에 잘 맞는 전자 커넥터이다. 새롭게 개발된 도킹 스테이션들도 도킹 스테이션과 랩톱 또는 다른 컴퓨팅 시스템의 연결 목적으로 USB-C 커넥터를 이용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그러나, USB-C의 이러한 사용에서의 문제는, 비록 태블릿과 베이스 간의 분리가능한 물리적 연결이 단일 USB-C 전자 커넥터를 이용할지라도 디태처블 시스템의 베이스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USB-C 커넥터를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는 점이다. 태블릿과 베이스 간의 물리적 연결을 위한 단일 USB 타입-C 커넥터의 사용에 대한 이유들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태블릿과 베이스/도킹 스테이션 간 연결에 단일 USB 타입-C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의 더 양호한 심미성; 시스템 요소들이 분리될 때 범용 USB-C 커넥터와 동일한 커넥터를 재사용하는 능력; SoC USB 포트들의 제한된 가용성; 및 다수의 커넥터가 물리적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 덮개 및 베이스를 정렬하는 데에 있어서의 추가된 어려움을 포함한다.
디태처블 베이스의 다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의 기대되는 기능들은 커넥터들을 이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함께 연결하기 위한 이중 역할(특히 USB 연결에서의 데이터의 흐름과 연관된, USB 호스트 및 USB 디바이스 역할들, 여기서 USB 호스트는 USB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열거하고 관리하도록 동작한다)을 포함할 수 있다. 비록 최종 사용자들이 동작시 이를 인지하지 못할 수 있지만, USB 연결을 이용하여 시스템들을 함께 연결하는 것의 기저를 이루는 것은 제1 시스템이 호스트 역할로 동작하기 위한 USB-C 커넥터 및 제2 시스템이 디바이스 역할로 동작하기 위한 USB-C 커넥터에 대한 요건이다. 또한, 호스트 역할 및 디바이스 역할을 제공하기 위한 USB-C 커넥터의 능력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다른 새로운 사용들도 있다.
디태처블 컴퓨터는 태블릿 부분과 베이스 부분이 물리적으로 연결될 때 최종 사용자에게 노트북 또는 랩톱 컴퓨터와 동등한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노트북 또는 랩톱 컴퓨터와 동일한 특징들에 대한 지원을 기대한다. 유사하게, 도킹 스테이션은 또한 컴퓨팅 시스템 상의 커넥터들과 유사한 기능성을 제공할 것으로 사용자들이 기대하는 다수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자들은 USB 커넥터들이 디태처블 시스템의 베이스 또는 태블릿에 있든, 랩톱 컴퓨터에 있든 이러한 커넥터들을 통해 동일한 능력들을 지원하기를 원할 수 있다. 또한, 일부 경우들에서, 도킹 스테이션에서 이러한 능력들을 제공하는 것에 가치가 있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사용자들이 컴퓨팅 시스템 상에서 이용 가능한 전자 커넥터들과 도킹 스테이션 상에서 이용 가능한 전자 커넥터들을 구별할 수 없고, 따라서 이러한 커넥터들로부터 유사한 기능성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디태처블 컴퓨터의 베이스와 태블릿 사이 또는 컴퓨팅 시스템과 도킹 스테이션 사이의 물리적 연결에서 단일 USB-C 커넥터를 이용하는 것의 한계 때문에, 베이스 또는 도킹 스테이션에 다수의 전자 커넥터가 있을 수 있지만, 종래의 솔루션들은 베이스 또는 도킹 스테이션에서의 그러한 다수의 커넥터에 걸쳐 동일한 능력들을 지원하지 않는다. 디태처블 시스템들의 종래의 도크들 또는 베이스들은 도크 또는 베이스에 존재하는 모든 USB 커넥터들에 걸쳐 (디스플레이, 전력, 또는 USB 호스트와 같은) 전체 USB 능력들의 서브세트만을 일반적으로 지원한다. USB 디바이스 역할 능력을 갖는 사용들은 USB-C 커넥터의 대칭적 성질로 인해 더 주류가 될 것이고, 따라서 이것은 모든 USB-C 커넥터들에 걸쳐 지원하는 중요한 능력이라는 것이 예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USB-C 커넥터의 외관은 심지어 단일 USB-C만이 전달될 때에도 USB-C의 능력들을 갖는 도킹 스테이션 상에 또는 디태처블 컴퓨터의 베이스 상에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치 또는 시스템은 디태처블 시스템 내의 커넥터들의 세트 각각에서, 이중 역할 능력을 포함하는 일관된 능력들을 지원한다. USB3 모드도 또한 USB2에 대한 지원을 암시적으로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태처블 시스템의 예시이다. 디태처블 시스템(100)은 제1 태블릿 부분(110) 및 제2 베이스 부분(130)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태블릿 부분(110) 및 제2 베이스 부분(130)은, 일반적으로 USB 플러그일 수 있는 USB-C 커넥터와 같은 전자 커넥터(140)를 포함하는 베이스 부분의, 힌지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는, 분리가능한 물리적 연결을 이용하여 함께 연결된다. 태블릿 부분(110)은 일반적으로 USB-C 리셉터클일 수 있는 USB-C 커넥터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커넥터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다른 구현에서, 컴퓨팅 시스템은 유사한 물리적 연결을 이용하여 도킹 스테이션과 도킹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태블릿 부분(110)과 베이스 부분(130) 간의 연결은, 케이블 연결과는 대조적으로, 직접 연결이라고 지칭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그 전기적 연결이 태블릿 부분(110)의 커넥터(120)와 베이스 부분(130)의 커넥터(140) 간에 직접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현에서, 연결은 USB-C 커넥터가 반전될(뒤집힐) 수 있는 케이블 연결과는 대조적으로, USB-C 연결을 위한 특정 배향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이 구현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베이스 부분(130)(또는 도킹 스테이션)은 다수의 USB-C 커넥터와 같은 다수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분리가능한 부분들 사이의 물리적 연결은 태블릿 부분(110) 및 베이스 부분(130) 각각에 대해 단일 전자 커넥터로 구현된다. 연결을 위한 전자 커넥터들은 예를 들어, 태블릿 부분에 대한 USB-C 리셉터클(120) 및 베이스 부분에 대한 USB-C 플러그일 수 있고, 여기서 태블릿 부분(110)은 따라서 태블릿 부분(110)이 베이스 부분(130)으로부터 연결해제될 때 임의의 지원된 목적을 위해 이용 가능한 USB-C 커넥터(120)를 갖는다. 태블릿 부분(110)은 커넥터(120)에 부가하여, 다른 USB-C 커넥터와 같은 다른 전자 커넥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제공된 예시에서, 베이스 부분(130)은 태블릿 부분(110)과의 물리적 연결을 위한 제1 커넥터, USB-C 플러그(140), 및 다수의 USB-C 커넥터(125)와 같은 다수의 추가적인 커넥터를 포함하고, 디태처블 시스템(100)은 다수의 USB-C 커넥터(125)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태블릿 부분의 USB-C 커넥터(120)로의 연결을 이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태처블 시스템(100)은 디태처블 시스템 내의 추가적인 커넥터들(125) 각각에서 USB 이중 역할 능력(호스트 및 디바이스 능력)을 포함하는 일관된 능력들을 지원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장치 또는 시스템에서의 응용을 위한 USB-C 리셉터클 핀아웃의 예시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핀아웃(200)은 사이드 밴드 사용(SBU)을 위한 기타 핀들 및 전력/접지(접지 A1/A12 및 B1/B12; VBUS: A4/A9 및 B4/B9; SBU1: A8; SBU2: B8) 및 구성 채널(CC1: A5; CC2: B5)를 포함한다. 예시는 2 쌍의 양방향 USB3.1 데이터 핀들(Tx/Rx +/-)(A2/A3, B2/B3, A10/A11, B10/B11) 및 2 쌍의(D+/-) 핀들(A6/A7, B6/B7)을 추가로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커넥터가 대체 모드들에 대해 USB3.1 데이터 핀들의 쌍들 양쪽 모두를 이용하거나, USB-C 커넥터에 대한 USB3 모드에 대해 하나의 쌍을 이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디폴트로, 추가의 컴포넌트들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임의의 배향으로 커넥터에 대한 리버서빌리티(reversibility)을 제공하기 위해 모든 공통의 경우들에서 하나의 USB2 포트만이 사용될 것(즉, 핀들 A6/B6이 함께 단락되고, A7/B7이 함께 단락됨)으로 기대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치 또는 시스템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물리적 연결에 의해(따라서, 케이블을 통한 연결이 아니라 직접 커넥터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경우, (4개의 USB2 핀 A6/A7, B6/B7 중) 2개의 핀이 사용을 위해 이용 가능하다는 사실을 이용하지만, 이러한 핀들은 일반적으로 범용 커넥터로서 USB-C 커넥터를 사용할 때는 사용을 위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이러한 USB-C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표준 케이블은 제2 USB2 포트를 위한 추가적인 2개의 와이어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치 또는 시스템은 추가의 핀들 상에 추가적인 SoC USB2 포트를 오버로드하고, 이는 디태처블 컴퓨터의 베이스에서의 또는 도킹 스테이션에서의 USB-C 커넥터들과 SoC 디바이스 컨트롤러에 연결된 USB2 포트 사이의 병렬 경로의 확립을 가능하게 한다. 달리 말하면, A6/A7 및 B6/B7 핀들의 쌍들 양쪽 모두에 대해 일반적으로 지원되는 기존 단일 USB2 포트에 부가하여, 추가적인 SoC USB2 SoC 포트가 추가의 핀들 상에서 멀티플렉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도킹 스테이션에 컴퓨터 시스템이 도킹되는 구현에서, 디태처블 컴퓨터의 베이스 부분에서의 또는 도킹 스테이션에서의 상이한 커넥터들로의 USB2 포트들의 라우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로직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이스 또는 도킹 스테이션의 하나의 커넥터 상에서 USB "디바이스 역할"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이러한 커넥터들 상에서 동시 디스플레이포트 지원에 부가하여, 베이스 또는 도킹 스테이션의 다른 커넥터들 상에서 USB "호스트 역할"을 가능하게 한다. USB-C 커넥터들을 사용하여, 최종 사용자들은 2개의 컴퓨팅 시스템을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는 2개의 시스템이 각각 USB 타입-A 커넥터들만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가능하지 않은 기능이다. 운영 체제에 의해 지원되면, 사용자는 USB-C와 USB-C 간 연결을 통해 2개의 시스템 간에 파일들을 전송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시스템은 USB 호스트 역할로 동작하고 제2 시스템은 USB 디바이스 역할로 동작한다.
대조적으로, 최종 사용자가 USB-C 커넥터의 종래의 동작으로 디태처블 시스템의 베이스의 커넥터 또는 도킹 스테이션의 커넥터에 제2 PC를 플러그인한다면, 이러한 연결은, 연결에서의 제2 PC가 이중 역할에 대한 지원을 갖는지, 그리고 다른 시스템의 디바이스 컨트롤러가 이미 사용 중인지에 따라, 적절히 동작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확실한 동작은 종래의 시스템에서 불량한 사용자 경험을 초래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치 또는 시스템은 베이스 또는 도킹 스테이션의 다수의 커넥터 각각에 걸쳐 이중 역할 능력을 지원하는 디태처블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이러한 구현은 가능성들만을 특정하고 상이한 구성들에서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USB-C 커넥터들을 어떻게 사용할지는 나타내지 않는 USB-IF 사양에 의해서는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실시예에 따른 이중 모드 커넥터 능력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데이터 경로들의 예시들이다. 도 3a는 디태처블 컴퓨터의 태블릿 부분에 대한 데이터 경로들의 예시를 제공하고, 도 3b-3d는 디태처블 컴퓨터의 베이스 부분에 대한 데이터 경로들의 예시를 제공한다. 도 3a 내지 도 3d에 제공된 예시들은 도킹 구현에서 컴퓨팅 시스템 및 도킹 스테이션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3a 내지 도 3d는 구현의 데이터 경로 부분들을 예시하고, (도 4a 내지 도 4d에서 제공되는) 제어 경로들 또는 이러한 구현의 전력 전달 관련 로직을 예시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디스플레이포트에 대한 그리고 USB에 대한 지원을 갖는 디태처블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솔루션 아키텍처(여기서 이러한 솔루션은 도킹 스테이션에서도 구현될 수 있음)를 예시한다.
도 3a 내지 도 3d에 제공된 바와 같이, 기본적인 USB-C 아키텍처가 가정되며, 커넥터마다 그 특정 커넥터에 연결된 포트 파트너의 필요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 로직이 있고, 다수의 커넥터에 걸쳐 리소스 공유를 제어하는 디태처블의 베이스에 존재하는 중앙 에이전트(마이크로컨트롤러)가 있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이 특정 구성에 제한되지 않고, 그 기능들은 컴퓨팅 시스템 내의 다른 요소들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310)은 USB 타입-C 커넥터(312)(일반적으로 USB 타입-C 리셉터클일 수 있음)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USB 타입-C 커넥터 또는 다른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태블릿(310)의 다른 커넥터들(만약에 있더라도)은 도 3a에 예시되어 있지 않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태블릿(310)은 시스템 온 칩(SoC)(320) 또는 다른 유사한 프로세싱 요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SoC는 디스플레이포트 모드(DP 모드), USB3 포트들, 및 USB2 포트들에 대한 데이터 경로들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커넥터(312)로부터의 데이터 경로들은 DP 모드 또는 USB3 포트들에 대한 경로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USB3/DP 2:1 리피터(316) 및 멀티플렉서(314)(USB3/DP 2:1 먹스)와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커넥터(312)는 SoC(320)로의 USB2 크로스바(318)를 통해 USB2 포트들(핀들 A6/A7, 및 B6/B7)에 대한 데이터 경로들을 추가로 제공한다.
도 3a는 USB-C 커넥터(312)의 초고속 핀들로 라우팅된 USB/DP 멀티플렉서 출력들과 함께 태블릿(310) 내의 USB-C 커넥터(312)로 라우팅된 2개의 USB2 포트를 도시한다. 커넥터(312)는 태블릿(310)이 베이스로부터 분리될 때, 범용 커넥터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태블릿이 베이스에 연결될 때 도킹 커넥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디폴트로, 태블릿(310)은 배향에 기초하여 2개의 USB2 포트 중 하나만을 인에이블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태블릿(310)은, USB 타입-C 컴플라이언스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범용 커넥터로서 연결될 때는 단일 USB2 포트만을 노출시키고, 태블릿이 도킹 구성에서 추가적인 능력들을 제공하기 위해 그것이 식별하는 베이스 또는 도킹 스테이션에 연결될 때는 2개의 포트를 노출시키도록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태블릿 제어 로직을 갖는다.
도 3b 내지 도 3d에 예시된 바와 같이(여기서 도 3b는 전체 개요 예시를 제공하고, 도 3c는 도 3b의 제1(좌측) 절반의 상세한 버전을 제공하고, 도 3d는 도 3b의 제2(우측) 절반의 상세한 버전을 제공한다), 디태처블 디바이스의 베이스 부분(330)(또는 도킹 스테이션)은 태블릿(310)과의 도킹 연결을 위한 제1 커넥터(예컨대 USB 타입-C 커넥터)(332)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다수의 추가적인 커넥터(325, 326, 및 327)가 제1 커넥터(332)를 통해 제공되고 지원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베이스 부분(330)은 디스플레이포트 모드, USB3 포트들, 및 USB2 포트들에 대한 데이터 경로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커넥터(332)는 USB3 및 디스플레이포트 데이터에 대한 USB3/DP 스위치(336) 및 USB2 데이터에 대한 USB2 크로스바(334)와 결합된다. USB3/DP 스위치(336)는 커넥터들(325-327) 각각에 대해 USB3/DP 2:1 멀티플렉서(361) 및 USB3/DP 2:1 리피터(360)로의 연결을 위해 디스플레이포트 MST(Multi-Stream Transport) 허브 또는 스위치(352)와 결합된다.
또한, USB3/DP 스위치(336)는 USB3.1(SS(SuperSpeed USB)+USB2) 허브(344)와 결합되고, 후자는 커넥터들(325-327) 각각에 대해 USB3 2:1 멀티플렉서(354)와 결합되고; USB2 리피터(362)를 통해 커넥터들(325-327) 각각에 대해 USB2 2:1 멀티플렉서(356)에 결합된다.
또한, USB3/DP 스위치(336)는 USB3 리피터(346)를 통해 디바이스 역할을 위한 USB3 스위치(348)와 결합되고, USB3 스위치(348)는 이후 각각의 USB3 2:1 멀티플렉서(354)와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SS+USB2 크로스바(334)는 디바이스 역할을 위한 USB2 스위치(342)와 결합되고, 후자는 커넥터들(325-327) 각각에 대해 USB2 2:1 멀티플렉서(356)와 추가로 결합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실시예에 따른 이중 모드 커넥터 능력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제어 경로들의 예시들이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시스템의 제어 구조에 대한 특정 구현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은 시스템에 대한 경로들을 제어하기 위한 다른 및 상이한 제어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a에 제공된 요소들에 부가하여, 태블릿(310)은 태블릿 제어 로직(322)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태블릿 제어 로직(322)은 연결 동작을 위한 제어 기능들을 제공하는데, 이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a) 디태처블 시스템의 베이스 부분의 필요에 기초하여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USB3.1 데이터 핀들에 어떤 신호들이 인가되는지를 제어하는 것(즉, 디스플레이포트 x4 모드 또는 디스플레이포트 x2 모드 + USB3 또는 USB3의 2개의 포트 등).
(b) 디태처블 시스템의 베이스 부분에 USB2가 어떻게 라우팅되는지를 제어하는 것, 여기서: (1) 범용 커넥터 사용을 위해, 태블릿 제어 로직은 USB-C 컴플라이언스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A6/A7 및 B6/B7 핀들의 쌍들 양쪽 모두에 하나의 SoC USB2 포트만을 연결하고; (2) 도킹 상태에서, 태블릿 제어는 SoC로부터의 2개의 상이한 USB2 포트를 상이한 핀들에 연결하고, 구체적으로 제1 USB2 포트가 A6/A7 핀들로 지향되고, 제2 USB2 포트가 B6/B7 핀들로 지향되어 디태처블의 베이스 상의 상이한 커넥터들 상에서 동시 USB2 호스트 및 USB2 디바이스 역할들을 제공한다.
도 4b 내지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이(도 4b는 전체 개요 예시를 제공하고 도 4c는 도 4b의 제1(좌측) 절반의 상세한 버전을 제공하고 도 4d는 도 4b의 제2(우측) 절반의 상세한 버전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4a에 제공된 요소들에 부가하여, 디태처블 시스템의 베이스 부분(330)은 제1 커넥터(332)와 관련하여 데이터 경로들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로직(370)을 포함하는데, 이는 USB/DP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포트 x4 제어 로직(338) - 디스플레이포트 x4 제어 로직(338)은 특히 제1 커넥터(332) 상의 USB3.1 데이터 핀들이 디스플레이포트 X4 모드를 지원해야 하는지, 디스플레이포트 x2+USB3 모드를 지원해야 하는지, USB3 모드만을 지원해야 하는지를 결정하고, 적절한 신호들을 스위치(336)의 출력에 전달함 -; 커넥터들(325, 326, 및 327) 중 어느 것이 USB3 및 USB2 디바이스 역할 연결을 수신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Device-in-Use[2:0] 제어 로직(350); 특정 커넥터가 디스플레이포트 X4 모드를 지원해야 하는지, 디스플레이포트 x2+USB3 모드를 지원해야 하는지, USB3 모드만을 지원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각각의 커넥터(325 내지 327)에서의 동작을 위한 커넥터마다의 제어 로직과 함께 커넥터들(325, 326, 및 327) 중 어느 것이 디스플레이포트 연결을 수신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DP_in_Use[2:0] 제어 로직(358)을 포함한다.
도 3a 내지 도 3d 및 도 4a 내지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은 디태처블 시스템의 태블릿(310) 및 베이스(330)에 대해:
(1) USB2 크로스바(334)는 베이스(330)에 대하여 태블릿(310)의 상이한 배향들을 지원하는 것을 제공한다.
(2) USB2 포트들 중 하나는 USB2 디바이스 역할 스위치(342)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역할에 있을 것이다.
(3) 제2 USB2 포트는 USB3+USB2 허브(344)의 입력으로 지향된다.
(4) USB-C 커넥터로부터의 초고속 핀들은 스위치로 지향되고, 후자는 그 출력을:
(a) DP x4 신호로서 DP MST 허브 또는 스위치(352)로 전송하거나, 또는
(b) 하나의 USB3 포트를 USB3.1 허브(344)로 전송하는 것과 함께, DP x2 신호로서 DP MST 허브 또는 스위치(352)로 전송하거나, 또는
(c) 하나의 USB3 포트를 USB3.1 허브(344)로 전송하는 것과 함께, 하나의 USB3 포트에 대한 USB3 디바이스 역할 스위치(348)로 전송할 수 있다.
(5) USB3.1 허브(344) 및 3:1 개별 스위치들(348 및 342)의 출력들인, USB3 및 USB2 포트들 각각에 대한 호스트와 디바이스 역할들 사이에서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2:1 멀티플렉서들(354 및 356)이 있다.
(6) DP MST 허브/스위치(352)의 출력들은 모든 USB-C 커넥터들 상에서 USB/DP 능력을 지원하기 위해 2:1 디바이스/호스트 멀티플렉서들의 출력(354)으로부터의 USB3 신호들과 다시 멀티플렉싱된다(USB3/DP 멀티플렉서(361)를 사용하여).
(7) 신호 무결성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적절한 경로들은 허브들(344 및 352)에서 암시적 리피터들을 가질 수 있거나 USB3/USB2 경로에 대한 명시적 리피터들(346, 340, 및 362)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도 3b 내지 도 3d에 예시된 특정 구현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8) 중앙 제어 로직(370)이 베이스(330)에 대해 예시되어 있는데, 이 로직은 디태처블의 베이스(330) 내의 전용 마이크로컨트롤러일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전용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임베디드 컨트롤러일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다수의 커넥터에 이용 가능한 후속 커넥터 모드들을 예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되는 컴퓨팅 시스템의 제1 커넥터(즉, 다른 활성 연결들이 없을 때 연결되는 커넥터)는 임의의 지원되는 커넥터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반면, 후속 커넥터들은 이전에 연결된 커넥터들의 선택에 기초하여 여전히 이용 가능한 커넥터 모드들로부터 선택한다. 도 5는 각각의 예시된 인스턴스에서 이용 가능한 커넥터 모드들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태처블 시스템은 다음의 데이터 경로 옵션들을 지원한다:
(1) USB3 호스트 모드 - 허브를 이용하는 다수의 커넥터에 걸쳐 동시에 호스트 모드를 지원하는 능력.
(2) USB3 디바이스 모드 -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단일 커넥터로 제한되는 디바이스 역할을 지원하는 능력으로, 모든 커넥터들이 디바이스 역할을 할 수 있음.
(3) 디스플레이포트 대체 모드(Alt 모드) - 다수의 커넥터에 걸쳐 동시에 다음의 옵션들을 지원하는 능력:
(a) 임의의 커넥터 상에서 DP x4 Alt 모드를 지원하는 것(다른 커넥터들이 USB3 모드의 사용을 요구하지 않는다면); 또는
(b) 임의의 다른 커넥터 상에서 DP x2 플러스 USB3 호스트 모드를 지원하는 것.
(4) USB2 디바이스 모드 - 다른 커넥터들이 디스플레이포트 대체 모드를 사용하고 있다면, 디태처블 시스템의 베이스와 태블릿 사이의 제한된 수의 핀들로 인해 디바이스 역할을 갖는 커넥터는 디폴트로 USB2 동작으로 된다.
포트 파트너가 USB-C 커넥터 상에 연결될 때, 커넥터의 로컬 정책 관리자는 포트 파트너의 능력들에 관해 중앙 에이전트에 통지한다. 중앙 에이전트는 베이스에서 이용 가능하고 할당된 리소스들을 보고, 이후 이용 가능하고 할당된 리소스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요청하는 커넥터에 대한 동작의 모드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a) 어떤 포트 파트너도 현재 베이스 커넥터들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제1 포트 파트너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DP x4를 지원할 수 있다면, 베이스에 대한 중앙 에이전트는 제1 포트 파트너에 대한 DP x4 모드를 허용한다. 하나 이상의 포트 파트너가 후속하여 베이스 커넥터들에 연결되고 후속 포트 파트너들이 USB 능력들을 요구한다면, 후속 파트너들은 USB2 모드만으로 제약될 것이거나, 제1 커넥터 상의 디스플레이포트 능력들은 그것을 DP x2 모드로 환원하도록 재협상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중앙 에이전트 정책 결정이고, 특정 시스템 및 최종 사용자 기대들의 필요에 맞도록 유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련 커넥터 상에 활성 데이터 전송이 있는 상황들에서 재협상을 배제하기 위한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중앙 에이전트는 선착순(first come first serve) 기반으로 디바이스 역할 지원을 요청하는 커넥터에 USB2 디바이스 역할 포트를 할당할 것이다.
(b) 어떤 포트 파트너도 현재 베이스 커넥터들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제1 포트 파트너가 USB3 가능 호스트이면, 중앙 에이전트는 후속 커넥터가 USB3 디바이스 모드에 있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제2 USB3 포트를 할당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포트 파트너가 후속하여 베이스 커넥터들에 연결되고 후속 포트 파트너들이 USB 능력들을 요구한다면, USB3 호스트 역할들은 다른 베이스 커넥터들에 대해 지원된다. 디스플레이포트 능력들을 요구하는 다른 커넥터들은 이러한 능력들을 허용하기 위해 제1 커넥터 상의 디바이스 연결을 USB2만의 모드가 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이것은 중앙 에이전트 정책 결정이고, 그것은 특정 시스템 및 최종 사용자 기대들의 필요에 맞도록 유연할 수 있다.
(c)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순한 정책은 모든 커넥터들이 DP x2 + USB3 모드만를 지원하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은 다수의 커넥터 상에서 USB3(호스트)뿐만아니라 디스플레이포트의 지원을 가능하게 하고, 디바이스 역할 능력을 요구하는 임의의 포트 파트너는 USB2 디바이스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구현은 디태처블 시스템이 단일 USB-C 커넥터 연결 목적들을 이용하면서 랩톱 또는 노트북 PC와 유사한 능력들을 지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여기서 디태처블의 베이스 내의 다수의 추가적인 커넥터들은 연결을 위해 이용되는 단일 전자 커넥터로부터 유도된다. 비록 디태처블 시스템의 베이스에서 다수의 커넥터가 사용될 때 디스플레이포트 해상도들에 대한 특정 제약들이 적용될 수 있지만, 디태처블 시스템의 실시예는 달성될 수 있는 기능성에서의 합리적인 트레이드오프를 제공하고,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디태처블 또는 도킹 사용들을 위한 향상된 유연성을 허용한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에서 커넥터 동작을 위한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분리가능한 물리적 연결에서 단일 커넥터로의 연결에 의해 지원되는 다수의 커넥터(예컨대 USB-C 커넥터들)를 포함하는 베이스 부분 또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에 대한 커넥터 동작을 위한 프로세스(600)는 다음을 포함한다:
605: 베이스 부분 또는 도킹 스테이션의 다수의 커넥터 상에 임의의 기존 연결들이 있는지를 결정한다.
610: 그렇다면, 커넥터 모드 연결에 대한 옵션들은 요소들 620 내지 675에서 제공되는 바와 같은 관련 기존 연결들에 기초한다.
615: 그렇지 않다면, 임의의 지원되는 커넥터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이하의 커넥터 모드들이 선택되면, 후속 커넥터 연결들에 대한 각각의 옵션들이 이용 가능하다.
620: 디스플레이포트 대체 x4 모드:
625: DP 대체 x4 모드; USB2 호스트 모드; 또는 USB2 디바이스 모드. 대안적으로, 특정 상황들에서(예컨대 활성 디스플레이포트 트래픽이 없을 때) DP 대체 x4 모드는 추가적인 옵션들을 제공하도록 재협상될 수 있다.
630: 디스플레이포트 대체 x2 + USB3 모드:
635: DP 대체 x2 + USB3 모드; USB3 호스트 모드; 또는 USB2 디바이스 모드.
640: USB3 호스트 모드:
645: DP 대체 x2 + USB3 모드; USB3 호스트 모드; USB3 디바이스 모드.
650: USB2 호스트 모드:
655: DP 대체 x2 + USB3 모드; DP 대체 x4 모드; USB3 호스트 모드; 또는 USB3 디바이스 모드.
660: USB3 디바이스 모드:
665: USB3 호스트 모드.
670: USB2 디바이스 모드:
675: DP 대체 x2 + USB3 모드; DP 대체 x4 모드; 또는 USB3 호스트 모드.
실시예들은 620 내지 675에서 제공되는 특정 연결 모드 옵션들에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후속 연결에 대해 변화하는 모드들을 적용할 수 있다. 동작에서, 이용 가능한 옵션들은 단일 USB-C 커넥터 상에서 이용 가능한 제한된 수의 핀들에 의해 제한된다. 620 내지 675에서 제공되는 연결 모드 옵션들에서 제공되는 동작들은 시스템 레벨 정책이 제1 커넥터 상에서의 연결의 인터럽트를 방해하면서, 다른 커넥터들 상에서 정의된 모드들을 동시에 지원한다는 가정을 포함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그러한 정책으로 제한되지 않고, 시스템 레벨 정책은 상이한 우선순위들 및 동작 선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체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옵션으로 이용 가능한 커넥터 모드들에 관해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사용자가 연결 선택들을 결정하거나 다수의 이용 가능한 커넥터들에 걸쳐 선택을 번복(override)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태블릿 및 베이스 내의 커넥터마다의 및 중앙 로직은 커넥터 모드들 및 연결 상태를 계속적으로 또는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따라서 로직은 현재 시스템 상태에 기초하여 다음 연결 이벤트에 대한 결정을 행하기 위해 현재 시스템 상태를 가질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현재 시스템 상태는 이전 연결이 연결해제될 때 후속 연결이 추가적인 이용 가능한 커넥터 옵션들의 이점을 갖도록 허용한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역할 가능 커넥터들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의 실시예의 예시이다. 이 예시에서, 본 설명과 밀접하지 않은 특정 표준 및 잘 알려진 컴포넌트들은 도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일 칩 상에 다수의 요소를 결합하는 SoC(시스템 온 칩)를 포함하는, 개별 요소들로서 도시된 요소들이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팅 시스템(700)은 분리가능한 물리적 연결을 통해 결합 가능한, 태블릿 부분(710)과 같은 제1 어셈블리(710), 및 베이스 부분 또는 도킹 스테이션과 같은 제2 어셈블리(75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부분(710) 및 제2 부분(750)은 디태처블 컴퓨팅 시스템으로서 힌지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부분(710)은 제2 부분(750)에 도킹될 수 있고, 제2 부분은 도킹 스테이션으로서 작동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팅 시스템(700)은 도 3a 내지 도 3d 및 도 4a 내지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7은 컴퓨팅 시스템(700)에 포함될 수 있는 컴포넌트들의 예시를 제공하기 위해 의도된 것으로, 예시된 컴포넌트들에 대한 스케일 또는 구성 세부사항을 예시하기 위해 의도된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어셈블리(710)는 USB 타입-C 커넥터와 같은 특정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제1 전자 커넥터(728)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 커넥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어셈블리는 제1 USB 타입-C 커넥터와 같은 호환가능한 제1 전자 커넥터(754), 및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들(762, 764, 및 766)과 같은 다수의 추가적인 커넥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들(762-766)은 제1 어셈블리의 전자 커넥터(728)를 이용하는 연결에 의해 지원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커넥터(728)는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통신 수단인 버스(730)에 결합된다. 버스(730)는 단순함을 위해 단일 버스로서 예시되어 있지만, 다수의 상이한 인터커넥트들 또는 버스들을 나타낼 수 있고, 이러한 인터커넥트들 또는 버스들과의 컴포넌트 연결들은 변화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버스(730)는 적합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또는 컨트롤러들에 의해 연결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개별 물리적 버스들, 포인트-투-포인트 연결들, 또는 양쪽 모두를 나타내는 추상적 개념(abstraction)이다. 버스(730)는 하나 이상의 칩 또는 패키지 내의 인터커넥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어셈블리(710)는 버스(730)에 결합된 제어 로직(718)을 포함하고, 제어 로직은, 예를 들어, 도 4a에 예시된 태블릿 제어 로직(322)과 같은 커넥터들의 제어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어셈블리(710)는 버스(730)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714)와 같은 프로세싱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714)은 하나 이상의 물리적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논리적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들은 하나 이상의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어셈블리(710)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다른 동적 저장 디바이스 또는 요소를 메인 메모리로서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716) - 메인 메모리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 비휘발성 메모리; 프로세서들(714)에 대한 정적 정보 및 명령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또는 다른 정적 저장 디바이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어셈블리(710)는 버스(730)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송신기 또는 수신기(72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어셈블리(710)는 무선 송신기, 수신기, 또는 양쪽 모두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쌍극 또는 단극 안테나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72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Wi-Fi, Bluetooth™, 근거리 무선 통신, 및 다른 무선 통신 표준들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어셈블리는 (이동식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724)와 같은 스토리지 디바이스, 및 태양 전지, 연료 전지, 충전된 커패시터, 근접 필드 유도성 결합, 또는 제1 어셈블리(710)에서 전력을 제공 또는 생성하기 위한 다른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배터리 또는 다른 전력 소스(726)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소스(726)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은 제1 어셈블리(710)의 요소들에 요구되는 바와 같이 분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어셈블리(710)는 출력 디스플레이(712)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712)는 정보 또는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임의의 다른 디스플레이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환경에서, 디스플레이(712)는 제1 어셈블리(710)를 위한 입력 디바이스로서 또한 이용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커넥터들(754) 및 제2 어셈블리의 추가적인 커넥터들(762-766)은 버스(75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어셈블리(750)는 버스(752)에 결합된 제어 로직(760)을 포함하고, 제어 로직은, 예를 들어, 도 4b 내지 도 4d에 예시된 중앙 제어 로직(370)과 같은 커넥터들의 제어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컨대 디태처블 시스템의 베이스 부분의 형태로, 제2 어셈블리(750)는 하드 및 소프트 버튼들, 조이 스틱, 마우스 또는 다른 포인팅 디바이스, 키보드, 음성 커맨드 시스템, 또는 제스처 인식 시스템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75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어셈블리(750)는 제1 어셈블리(710)의 전력 소스(726)에 의해 전력 공급될 수 있거나, 다른 구현들에서, 제1 어셈블리(710)는 제2 어셈블리(750)에 의해 전력 공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어셈블리(750)는 태양 전지, 연료 전지, 충전된 커패시터, 근접 필드 유도성 결합, 또는 제2 어셈블리(750)에서 전력을 제공 또는 생성하기 위한 다른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추가적인 배터리 또는 다른 전력 소스(758)를 포함한다.
위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목적을 위해, 설명된 실시예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이들 특정 세부사항 중 일부가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른 경우들에서는, 잘 알려진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예시된 컴포넌트들 사이에는 중간 구조체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거나 예시된 컴포넌트들은 예시되거나 설명되지 않은 추가적인 입력들 또는 출력들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들은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머신 실행가능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명령어들은 이 명령어들로 프로그래밍된 범용 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 또는 로직 회로들이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스들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부분들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컴퓨터(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를 프로그래밍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디스크들, 광 디스크들,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소거가능한 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소거가능한 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자기 또는 광학 카드들, 플래시 메모리, 또는 전자 명령어들을 저장하는데 적합한 다른 타입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이, 실시예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또한 다운로딩될 수 있고, 여기서 프로그램은 원격 컴퓨터로부터 요청하는 컴퓨터로 전송될 수 있다.
방법들 다수는 그들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기술되지만, 본 실시예들의 기본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채로 프로세스들이 그 방법들 중 임의의 방법으로부터 삭제되거나 임의의 방법에 추가될 수 있으며, 정보가 기술된 메시지들 중 임의의 메시지로부터 제거되거나 임의의 메시지에 추가될 수 있다. 다수의 추가의 수정들 및 적응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특정 실시예들은 개념을 제한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실시예들의 범위는 위에 제공된 특정 예들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요소 "A"가 요소 "B"에 또는 그와 결합된다고 말하면, 요소 A는 요소 B에 직접 결합되거나, 예를 들어, 요소 C를 통해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명세서 또는 청구항들이, 컴포넌트, 특징, 구조, 프로세스, 또는 특성 A가 컴포넌트, 특징, 구조, 프로세스, 또는 특성 B를 "야기한다"고 기술할 때, 이는 "A"는 "B"의 적어도 부분적인 원인이지만, "B"를 야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컴포넌트, 특징, 구조, 프로세스, 또는 특성이 또한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명세서가 컴포넌트, 특징, 구조, 프로세스, 또는 특성이 포함될 수 있음("may", "might", 또는 "could" be included)을 나타내면, 그 특정 컴포넌트, 특징, 구조, 프로세스, 또는 특성이 포함되는 것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또는 청구항이 요소("a" 또는 "an" element)를 언급한다면, 이는 기술된 요소들 중 하나만이 존재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실시예는 구현 또는 예이다. 명세서에서 "실시예",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에 대한 언급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 포함되지만, 반드시 모든 실시예들에 포함되는 것은 아님을 의미한다. "실시예", "일 실시예", 또는 "일부 실시예들"의 다양한 출현들은 반드시 모두가 동일한 실시예들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전술한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들은 개시내용을 간소화하고 다양한 새로운 양태들 중의 하나 이상의 이해를 돕는 목적으로, 그 단일 실시예, 도면, 또는 설명에서 때때로 함께 그룹화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시내용의 방법은, 청구된 실시예들이 각각의 청구항에서 명시적으로 나열되는 것보다 더 많은 특징들을 요구한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다음의 청구항들이 반영하는 바와 같이, 새로운 양태들은 단일의 전술한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특징들보다 더 적은 것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이로써 이 설명에 명백하게 포함되며, 각각의 청구항은 개별 실시예로서 독립적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장치는 제2 장치에의 분리가능한 물리적 연결; 제1 전자 커넥터 - 상기 제1 전자 커넥터는 상기 물리적 연결을 위한 데이터 연결들을 제공함 -;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 -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는 상기 제1 전자 커넥터에 의해 지원됨 -; 및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로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의 동작은 각각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가 컴퓨팅 시스템들의 상호연결을 위한 호스트 역할 및 디바이스 역할 양쪽 모두의 역할 - 상기 호스트 역할 및 디바이스 역할은 제1 커넥터 모드 또는 제2 커넥터 모드에 대한 것일 수 있음 -, 및 및 대체 커넥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언제라도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 중 하나만이 디바이스 역할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커넥터 모드 또는 상기 대체 커넥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위한 제1 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커넥터 모드 및 상기 제2 커넥터 모드에 대한 제1 허브 및 상기 대체 커넥터 모드에 대한 제2 허브 또는 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허브 및 제2 허브 또는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와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커넥터 모드에 대한 상기 디바이스 역할의 선택을 위한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커넥터 모드에 대한 상기 디바이스 역할의 선택을 위한 제2 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장치는 디태처블 컴퓨팅 시스템의 베이스 부분이고,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디태처블 컴퓨팅 시스템의 태블릿 부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장치는 도킹 스테이션이고,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과 도킹 가능한 컴퓨팅 시스템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전자 커넥터 및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 각각은 USB(범용 직렬 버스) 타입-C 커넥터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커넥터 모드는 USB3이고 상기 제2 커넥터 모드는 USB2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대체 커넥터 모드는 디스플레이포트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대체 커넥터 모드는 디스플레이포트 대체 x2 모드 플러스 USB3 모드 또는 디스플레이포트 대체 x4 모드 중 어느 하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스템은 제1 어셈블리 - 상기 제1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전자 커넥터 및 제어 로직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커넥터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제1 커넥터의 동작을 제어함 -; 상기 제1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제2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어셈블리는 제2 전자 커넥터 - 상기 제2 전자 커넥터는 상기 제1 어셈블리와 상기 제2 어셈블리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제공함 -,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 -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는 상기 제2 전자 커넥터에 의해 지원됨 -, 및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로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의 동작은 각각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가 컴퓨팅 시스템들의 상호연결을 위한 호스트 역할 및 디바이스 역할 양쪽 모두의 역할 - 상기 호스트 역할 및 디바이스 역할은 제1 커넥터 모드 또는 제2 커넥터 모드에 대한 것일 수 있음 -, 및 대체 커넥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언제라도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 중 하나만이 디바이스 역할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커넥터 모드 또는 상기 대체 커넥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위한 제1 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커넥터 모드 및 상기 제2 커넥터 모드에 대한 제1 허브 및 상기 대체 커넥터 모드에 대한 제2 허브 또는 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허브 및 제2 허브 또는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와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커넥터 모드에 대한 상기 디바이스 역할의 선택을 위한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커넥터 모드에 대한 상기 디바이스 역할의 선택을 위한 제2 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시스템은 디태처블 컴퓨팅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커넥터, 상기 제2 커넥터, 및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 각각은 USB(범용 직렬 버스) 타입-C 커넥터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명령어들의 시퀀스들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컴퓨팅 장치의 복수의 전자 커넥터 중 제1 전자 커넥터에서의 연결을 검출하는 것; 상기 복수의 전자 커넥터 중 다른 전자 커넥터들과의 하나 이상의 활성 연결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 상기 복수의 전자 커넥터 중 다른 전자 커넥터들과의 활성 연결들이 없다고 결정되면, 상기 제1 전자 커넥터가 컴퓨팅 시스템들의 상호연결을 위한 호스트 역할 또는 디바이스 역할 - 상기 호스트 역할 및 상기 디바이스 역할은 제1 커넥터 모드 또는 제2 커넥터 모드에 대한 것일 수 있음 -, 또는 대체 커넥터 모드 중 임의의 것으로 동작되도록 허용하는 것; 상기 복수의 전자 커넥터 중 다른 전자 커넥터들과의 하나 이상의 활성 연결이 있다고 결정되면, 상기 제1 전자 커넥터가 상기 컴퓨팅 시스템들의 상호연결을 위한 호스트 역할, 또는 상기 다른 커넥터들에 대한 활성 연결들 중 어느 것도 상기 디바이스 역할을 제공하지 않으면 상기 컴퓨팅 시스템들의 상호연결을 위한 디바이스 역할로 동작되도록 허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들 중 다른 전자 커넥터들과의 하나 이상의 활성 연결이 있다고 결정되면, 상기 다른 커넥터들 중 어느 것도 상기 제1 커넥터 모드에서 상기 디바이스 역할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결정될 때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대체 커넥터 모드에서 동작되도록 추가로 허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전자 커넥터 중 다른 커넥터들과의 하나 이상의 활성 연결이 있다고 결정되면, 상기 전자 커넥터들 중 다른 것이 상기 대체 커넥터 모드에서 동작 중이라고 결정될 때 상기 제1 전자 커넥터가 상기 제2 커넥터 모드에서 상기 디바이스 역할로 동작되도록 추가로 제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치는 컴퓨팅 장치의 복수의 전자 커넥터 중 제1 전자 커넥터에서의 연결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상기 복수의 전자 커넥터 중 다른 전자 커넥터들과의 하나 이상의 활성 연결이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복수의 전자 커넥터 중 다른 전자 커넥터들과의 활성 연결들이 없다고 결정되면, 상기 제1 전자 커넥터가 컴퓨팅 시스템들의 상호연결을 위한 호스트 역할 또는 디바이스 역할 - 상기 호스트 역할 및 상기 디바이스 역할은 제1 커넥터 모드 또는 제2 커넥터 모드에 대한 것일 수 있음 -, 또는 대체 커넥터 모드 중 임의의 것으로 동작되도록 허용하기 위한 수단; 상기 복수의 전자 커넥터 중 다른 전자 커넥터들과의 하나 이상의 활성 연결이 있다고 결정되면, 상기 제1 전자 커넥터가 상기 컴퓨팅 시스템들의 상호연결을 위한 호스트 역할, 또는 상기 다른 커넥터들에 대한 활성 연결들 중 어느 것도 상기 디바이스 역할을 제공하지 않으면 상기 컴퓨팅 시스템들의 상호연결을 위한 상기 디바이스 역할로 동작되도록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들 중 다른 전자 커넥터들과의 하나 이상의 활성 연결이 있다고 결정되면, 상기 다른 커넥터들 중 어느 것도 상기 제1 커넥터 모드에서 상기 디바이스 역할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결정될 때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대체 커넥터 모드에서 동작되도록 추가로 허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전자 커넥터 중 다른 커넥터들과의 하나 이상의 활성 연결이 있다고 결정되면, 상기 전자 커넥터들 중 다른 것이 상기 대체 커넥터 모드에서 동작 중이라고 결정될 때 상기 제1 전자 커넥터가 상기 제2 커넥터 모드에서 상기 디바이스 역할로 동작되도록 추가로 제한한다.

Claims (21)

  1. 장치로서,
    제1 전자 커넥터 - 상기 제1 전자 커넥터는 제2 장치에의 분리가능한 물리적 연결을 위한 데이터 연결들을 제공함 -;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 -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는 상기 제1 전자 커넥터에 의해 지원됨 -;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로직 -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의 상기 동작은 각각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가:
    컴퓨팅 시스템들의 상호연결을 위한 호스트 역할 및 디바이스 역할 양쪽 모두의 역할 - 상기 호스트 역할 및 디바이스 역할은 제1 커넥터 모드 또는 제2 커넥터 모드에 대한 것일 수 있음 - , 및
    대체 커넥터 모드
    로 동작가능한 것을 포함함 -; 및
    상기 제1 커넥터 모드에 대한 상기 디바이스 역할의 선택을 위한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커넥터 모드에 대한 상기 디바이스 역할의 선택을 위한 제2 스위치
    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언제라도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 중 하나만이 디바이스 역할에 있을 수 있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모드 또는 상기 대체 커넥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위한 제3 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모드 및 상기 제2 커넥터 모드에 대한 제1 허브 및 상기 대체 커넥터 모드에 대한 제2 허브 또는 제4 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허브 및 제2 허브 또는 제4 스위치는 상기 제3 스위치와 결합되는,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디태처블 컴퓨팅 시스템의 베이스 부분이고,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디태처블 컴퓨팅 시스템의 태블릿 부분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도킹 스테이션이고,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과 도킹 가능한 컴퓨팅 시스템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커넥터 및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 각각은 USB(범용 직렬 버스) 타입-C 커넥터들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모드는 USB3이고 상기 제2 커넥터 모드는 USB2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커넥터 모드는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커넥터 모드는 디스플레이포트 대체 x2 모드 플러스 USB3 모드 또는 디스플레이포트 대체 x4 모드 중 어느 하나인, 장치.
  12. 시스템으로서,
    제1 어셈블리 - 상기 제1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전자 커넥터 및
    제1 제어 로직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커넥터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로직은 상기 제1 커넥터의 동작을 제어함 -;
    상기 제1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제2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어셈블리는:
    제2 전자 커넥터 - 상기 제2 전자 커넥터는 상기 제1 어셈블리와 상기 제2 어셈블리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제공함 -,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 -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는 상기 제2 전자 커넥터에 의해 지원됨 -, 및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 로직 -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의 상기 동작은 각각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가:
    컴퓨팅 시스템들의 상호연결을 위한 호스트 역할 및 디바이스 역할 양쪽 모두의 역할 - 상기 호스트 역할 및 디바이스 역할은 제1 커넥터 모드 또는 제2 커넥터 모드에 대한 것일 수 있음 - , 및
    대체 커넥터 모드
    로 동작가능한 것을 포함함 -, 및
    상기 제1 커넥터 모드에 대한 상기 디바이스 역할의 선택을 위한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커넥터 모드에 대한 상기 디바이스 역할의 선택을 위한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언제라도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 중 하나만이 디바이스 역할에 있을 수 있는,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커넥터 모드 또는 상기 대체 커넥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위한 제3 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커넥터 모드 및 상기 제2 커넥터 모드에 대한 제1 허브 및 상기 대체 커넥터 모드에 대한 제2 허브 또는 제4 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허브 및 제2 허브 또는 제4 스위치는 상기 제3 스위치와 결합되는, 시스템.
  16. 삭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디태처블 컴퓨팅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상기 제2 전자 커넥터, 및 상기 복수의 추가적인 전자 커넥터 각각은 USB(범용 직렬 버스) 타입-C 커넥터들인, 시스템.
  19. 명령어들의 시퀀스들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컴퓨팅 장치의 복수의 전자 커넥터 중 제1 전자 커넥터에서의 연결을 검출하는 것;
    상기 복수의 전자 커넥터 중 다른 전자 커넥터들과의 하나 이상의 활성 연결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
    상기 복수의 전자 커넥터 중 다른 전자 커넥터들과의 활성 연결들이 없다고 결정되면, 상기 제1 전자 커넥터가:
    컴퓨팅 시스템들의 상호연결을 위한 호스트 역할 또는 디바이스 역할 - 상기 호스트 역할 및 상기 디바이스 역할은 제1 커넥터 모드 또는 제2 커넥터 모드에 대한 것일 수 있음 - , 또는
    대체 커넥터 모드
    중 임의의 것으로 동작되도록 허용하는 것; 및
    상기 복수의 전자 커넥터 중 다른 전자 커넥터들과의 하나 이상의 활성 연결이 있다고 결정되면, 상기 제1 전자 커넥터가:
    상기 컴퓨팅 시스템들의 상호연결을 위한 호스트 역할, 또는
    상기 다른 커넥터들에 대한 활성 연결들 중 어느 것도 상기 디바이스 역할을 제공하지 않으면 상기 컴퓨팅 시스템들의 상호연결을 위한 디바이스 역할
    로 동작되도록 허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복수의 전자 커넥터들 중 다른 전자 커넥터들과의 하나 이상의 활성 연결이 있다고 결정되면, 상기 다른 커넥터들 중 어느 것도 상기 제1 커넥터 모드에서 상기 디바이스 역할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결정될 때 상기 제1 전자 커넥터가 상기 대체 커넥터 모드에서 동작되도록 허용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복수의 전자 커넥터 중 다른 커넥터들과의 하나 이상의 활성 연결이 있다고 결정되면, 상기 전자 커넥터들 중 다른 것이 상기 대체 커넥터 모드에서 동작 중이라고 결정될 때 상기 제1 전자 커넥터가 상기 제2 커넥터 모드에서 상기 디바이스 역할로 동작되도록 제한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87033765A 2016-06-24 2016-06-24 컴퓨팅 장치의 분리가능한 부분을 위한 이중 역할 가능 커넥터 KR102634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6/039233 WO2017222552A1 (en) 2016-06-24 2016-06-24 Dual role capable connectors for separable portion of compu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732A KR20190011732A (ko) 2019-02-07
KR102634505B1 true KR102634505B1 (ko) 2024-02-06

Family

ID=6078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765A KR102634505B1 (ko) 2016-06-24 2016-06-24 컴퓨팅 장치의 분리가능한 부분을 위한 이중 역할 가능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35624B2 (ko)
KR (1) KR102634505B1 (ko)
CN (1) CN109155494B (ko)
DE (1) DE112016007004T5 (ko)
WO (1) WO20172225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6729B2 (en) * 2016-07-12 2021-05-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alancing a power load among USB ports
CN108388523A (zh) * 2018-05-03 2018-08-10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平板、通道切换方法与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020706A (zh) 2018-05-10 2020-12-0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对接装置通信
JP1619447S (ko) * 2018-07-06 2018-12-03
KR102307779B1 (ko) 2019-03-14 2021-10-01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컨셉 이미지를 통한 언어 습득 효율 향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0006A (ko) * 2019-03-15 2020-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변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00116731A (ko) 2019-04-02 2020-10-13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컨셉 이미지를 이용한 자발적 단어 습득 시스템
KR102444093B1 (ko) 2019-05-21 2022-09-16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기출문제 학습 시스템
US11513808B2 (en) * 2019-06-28 2022-11-29 Intel Corporation Automatic switching and deployment of software or firmware based USB4 connection managers
TWI727480B (zh) * 2019-11-01 2021-05-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影像處理晶片
US11256647B2 (en) * 2020-01-24 2022-02-22 Dell Products, L.P. Docking system utilizing multimode USB-C power transmission and conversion
CA3169774A1 (en) 2020-02-27 2021-09-02 Robert N. WIRTZ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oil from plant material
US11238001B2 (en) * 2020-05-11 2022-02-01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to selectively reduce USB-3 interference wit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11513575B1 (en) * 2021-06-14 2022-11-29 Dell Products L.P. Dynamic USB-C mode configur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3620A1 (en) * 2002-05-31 2004-11-25 Doczy Paul J. Tablet computer keyboard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ame
US20160092393A1 (en) * 2014-09-26 2016-03-31 Intel Corporation Serial bus electrical termination control
US20160156137A1 (en) * 2014-12-02 2016-06-02 Mediatek Inc. System and circuit using usb type-c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2218B2 (en) * 2002-07-26 2004-05-04 Motorola, Inc. Dual-role compatible USB hub device and method
US8041300B2 (en) * 2008-09-26 2011-10-18 Apple Inc Adapter
JP5138743B2 (ja) * 2010-08-10 2013-02-06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周辺機器
US9459670B2 (en) * 2012-09-07 2016-10-04 Apple Inc. Adapter for use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711843B1 (en) * 2012-09-21 2016-04-06 Nxp B.V. DisplayPort over USB mechanical interface
US9645962B2 (en) * 2013-09-26 2017-05-09 Delphi Technologies, Inc. Flexible mobile device connectivity to automotive systems with USB hubs
US9396148B2 (en) * 2014-03-24 2016-07-19 Nokia Technologies Oy System method for connecting USB Type-C devices by measuring predetermined test patterns between a plurality of connected accessories
US9842076B2 (en) * 2014-05-19 2017-12-12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Switchless USB C-connector hub
US10248583B2 (en) * 2014-08-26 2019-04-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imultaneous video and bus protocols over single cable
US9952996B2 (en) * 2014-10-15 2018-04-24 Icron Technologies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current superspeed communication and four-lane displayport communication via a USB type-C receptacle
US10282337B2 (en) * 2015-02-27 2019-05-07 Google Llc Multi-function ports on a computing device
KR102391100B1 (ko) * 2015-06-10 2022-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205139907U (zh) * 2015-08-05 2016-04-06 东莞铭基电子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USB Type-C数据线
TWI597608B (zh) * 2016-08-12 2017-09-01 The hub-to-bus converter that supports master-slave translation operates as a hub
US10268627B2 (en) * 2016-08-23 2019-04-23 Dell Products L.P. Automatically configuring a universal serial bus (USB) type-C port of a comput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3620A1 (en) * 2002-05-31 2004-11-25 Doczy Paul J. Tablet computer keyboard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ame
US20160092393A1 (en) * 2014-09-26 2016-03-31 Intel Corporation Serial bus electrical termination control
US20160156137A1 (en) * 2014-12-02 2016-06-02 Mediatek Inc. System and circuit using usb type-c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21771A1 (en) 2019-04-25
US10635624B2 (en) 2020-04-28
DE112016007004T5 (de) 2019-03-07
CN109155494B (zh) 2021-04-02
CN109155494A (zh) 2019-01-04
WO2017222552A1 (en) 2017-12-28
KR20190011732A (ko)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4505B1 (ko) 컴퓨팅 장치의 분리가능한 부분을 위한 이중 역할 가능 커넥터
US10387362B2 (en) Secondary data channel communication system
US7865629B1 (en) Configurable connector for system-level communication
US10289584B2 (en) Using a standard USB Type-C connector to communicate both USB 3.x and displayport data
CN107111588B (zh) 经由USB端口使用PCIe协议的数据传输
US93799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and switching between components in a hybrid computing environment
CN109643265B (zh) 自动配置计算设备的通用串行总线(usb)c型端口
US102686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disablement of protocols on a USB type-C port
US10311000B2 (en) Integrated universal serial bus (USB) type-C switching
TWI465926B (zh) 支援多個高速設備及單一超快速設備之通用序列匯流排集線器裝置
US95075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ed display in a hybrid environment
WO2017128707A1 (zh) 复用usb端口的双通道移动终端和信息处理方法
US20130290746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performing charging operation in host mode
US90029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between components in a hybrid environment
US2014028096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llocating devices between multiple controllers
US201201666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hieving continuation of experience between components in a hybrid environment
JP2018073392A (ja) Usbハブを有する自動車システムへの順応性のある携帯型デバイス接続性
WO2024022195A1 (zh) 电子设备、快充方法、装置、系统及可读存储介质
US9851755B2 (en) Hot swapping batteries in a mobile device
WO2017128796A1 (zh) 双通道移动终端及射频校准系统
US9271108B2 (en) Secure tap to transfer objects
US11899600B2 (en) Serial connector adapter system
US9317455B2 (en) Virtual switching of information handling device components
US20130178172A1 (en) Tunable wireless antenna for information handling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