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093B1 -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기출문제 학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기출문제 학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093B1
KR102444093B1 KR1020190066536A KR20190066536A KR102444093B1 KR 102444093 B1 KR102444093 B1 KR 102444093B1 KR 1020190066536 A KR1020190066536 A KR 1020190066536A KR 20190066536 A KR20190066536 A KR 20190066536A KR 102444093 B1 KR102444093 B1 KR 102444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area
sentence
touch input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4121A (ko
Inventor
황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Publication of KR20200134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어 기출문제의 문장에 대한 이미지 카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시키고, 기설정된 터치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이미지 카드에 대응되는 음성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기출문제 학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기출문제 학습 시스템 {SYSTEM FOR LEARNING PREVIOUS TESTS USING THE IMAGES}
본 발명은 영어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학습자에게 문장에 대한 이미지와 음성컨텐츠를 제공하여 영어기출문제를 학습할 수 있게 하며 기출문제 학습 과정에서 영어 문장의 구조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게 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기출문제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구에 따르면 사람의 뇌는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 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지며 언어학습에 있어서도 상황에 따라 뇌의 서로 다른 영역이 사용된다고 한다.
구체적으로, 모국어를 사용할 때 사람들은 사고를 거치지 않고 직관적으로 말하는 반면(도마뱀의 뇌 영역을 사용) 외국어를 배우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외국어 단어의 의미와 문장구조에 대한 사고(침팬지의 뇌 영역을 사용) 과정을 거쳐 외국어를 학습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사고를 통해 언어를 학습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언어 습득과정과 동떨어진 것으로, 학습에 걸리는 시간이 길고 학습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9-0011732호 '단어의 컨셉 메이커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서는 단어의 컨셉 메이커를 이용하여 단어의 개념을 인지하고 해당 언어의 사용자들이 생각하는 방식대로 자연스럽게 언어를 습득할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9-0029310호 '컨셉 이미지를 통한 언어 습득 효율 향상 시스템 및 방법'(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서는 영어 문장구조에 컨셉 이미지 영역을 매칭시켜 학습자가 문법이나 텍스트 구조에 집중할 필요없이 컨셉 이미지를 통해 직관적으로 영어 문장을 습득할 수 있게 하는 컨셉 이미지 습득 효율 향상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이미지를 이용한 학습의 일환으로 기출문제를 통해 단기간에 특정 영어 시험에 대한 학습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9-0011732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9-002931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영어 기출문제의 문장을 이미지와 음성으로 표현하여 학습자가 직감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둘째, 영어 기출문제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영어 문장의 구조를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셋째, 영어권 국가 사람들이 이미지를 보고 해당 이미지에 대하여 문장을 떠올리는 방식을 학습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어 기출문제의 문장에 대한 이미지 카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시키고, 상기 이미지 카드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이미지 카드에 대응되는 음성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기출문제 학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출문제의 문장구조를 분석하는 문장분석모듈과, 상기 이미지 카드 내에 서로 구분되는 복수의 이미지영역을 생성하는 이미지영역 생성 모듈과, 상기 분석된 문장구조에 따라 이미지영역 간의 관계를 설정하고, 상기 이미지영역 간의 관계에 대응하여 터치 입력 신호를 설정하며, 상기 터치 입력 신호에 따라 이미지영역에 대응되는 음성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석된 문장구조는 문장의 순서에 따라 배치되는 제1 단어묶음과 제2 단어묶음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영역은 제1 단어묶음에 매칭되는 제1 이미지영역과 제2 단어묶음에 매칭되는 제2 이미지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 신호는 제1 이미지영역으로부터 제2 이미지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터치입력패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입력패턴과 반대 방향의 터치 입력에 의하여 능동형 문장을 수동형 문장으로 전환하여 음성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은 이미지영역들의 순서를 설정하고, 설정된 순서대로 이미지영역이 터치되지 않는 경우 이미지영역에 대응되는 음성출력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문장분석모듈은 문장의 POS값과 DEP값을 확인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확인된 DEP값에 따라 이미지영역의 배치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POS값에 근거하여 이미지영역에 배치되는 이미지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POS값에 근거하여 이미지영역에 할당되는 터치입력패턴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은 POS값이 Noun 인 단어 묶음의 차일드(child)이면서 DEP값이 relcl인 단어 묶음에 대해서는 이미지영역을 할당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기출문제 학습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이미지와 음성을 통해 학습자가 게임을 하듯이 기출문제의 문장들을 습득할 수 있게 하여 따로 기출문제들을 푸는 수고를 줄이고 단기간에 해당 시험의 출제 경향을 숙지할 수 있게 한다.
둘째, 사용자가 영어 문장의 순서대로 화면을 터치하여야 해당 문장에 대한 학습이 진행되게 하여 사용자가 영어 문장의 흐름과 문장구조를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게 한다.
셋째, 학습자에게 이미지를 제공한 후 그에 대응하는 영어 음성을 제공하여 영어권 국가 사람들이 이미지를 보고 해당 이미지에 대하여 문장을 떠올리는 방식을 학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기출문제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문장분석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장 이미지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문장 이미지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6은 문장 이미지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기출문제 학습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또는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컨셉 이미지에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컨셉 이미지가 아닌 다른 컨셉 메이커(시각, 청각, 촉각, 후각, 느낌 등에 관한 아웃풋)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컨셉 사운드'를 '음성데이터'로 지칭하고 있으나 '음성데이터'라는 표현은 '컨셉 사운드'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형태의 메이커의 매칭(ex. '컨셉 이미지'와 '컨셉 사운드'의 매칭)을 통해 단어의 개념을 습득할 수 있게 한다.
학습자들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언어 학습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의 이동 단말기나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포함될 수 있다.
시스템(100)은 제어모듈(110)과, 데이터수집모듈(120)과, 데이터베이스(130)와, 이미지영역 생성 모듈(140), 문장분석모듈(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모듈을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 제어모듈(110)이 다른 모듈들을 기능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시스템(100)은 상기 모듈들을 포함하는 특정 서버이거나, 상기 모듈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서버를 통해 분석이 이루어진 후 사용자 단말기로 컨텐츠가 전달되거나,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에서 분석 및 컨텐츠 실행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어모듈(110)은 데이터들의 조합을 통해 표준화된 컨셉 이미지를 생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컨셉 이미지 생성을 위해 제어모듈(110)에는 머신러닝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모듈(110)은 컨셉 이미지를 노출시킬 때 해당 컨셉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셉 사운드(음성)을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모듈(110)은 인터넷을 통해 해당 단어가 사용되는 언어권 국가들에서 해당 단어에 매칭되는 이미지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해당 단어의 컨셉을 명확히 정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데이터수집모듈(120)은 온라인 상에 노출되는 단어들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제어모듈(110)에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수집모듈(120)은 단어들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 뿐 아니라 해당 단어에 대응되는 음성데이터도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시스템(100)을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30)에는 단어들에 대응되는 이미지 데이터들과 해당 단어에 대응되는 복수의 음성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제어모듈(110)을 통해 학습되는 기본 이미지 정보와 기본 음성 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기본 이미지는 기저장된 특정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기본 이미지는 데이터수집모듈(120)을 통해 확인된 해당 단어에 대해 가장 노출 빈도가 높은 이미지이거나, 학습자들이 기본 이미지로 선택한 빈도가 높은 이미지일 수 있다. 학습자들의 선택이란 해당 이미지를 제공하였을 때 해당 단어에 대한 인식이 완료되었다는 응답일 수 있다.
또한, 기본 이미지는 머신 러닝 모듈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신 러닝 모듈은 해당 단어에 대하여 수집되는 이미지들의 공통점들을 추출해 내고 추출된 공통점들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를 기본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기본 음성은 기저장된 특정 음성일 수 있다. 또한, 기본 음성은 데이터수집모듈(120)을 통해 확인된 해당 단어에 대해 가장 노출 빈도가 높은 음성 데이터이거나(ex. 특정 성우의 음성 데이터), 학습자들이 기본 음성으로 선택한 빈도가 높은 데이터일 수 있다. 학습자들의 선택이란 해당 음성을 제공하였을 때 해당 단어에 대한 인식이 완료되었다는 응답일 수 있다.
또한, 기본 음성은 머신 러닝 모듈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신 러닝 모듈은 해당 단어에 대하여 수집되는 음성들의 공통된 억양이나 강세 등의 데이터를 추출해 내고 추출된 공통점들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음성을 기본 음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미지영역 생성 모듈(140)은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영역을 생성한다.
이미지영역 생성 모듈은 하나의 이미지 카드를 구성하는 개별 이미지 별로 이미지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이미지영역에 대한 터치(또는 클릭) 입력을 감지하여 음성 출력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은 이미지영역에 대한 터치, 드래그 또는 이미지영역 별로 지정된 특정한 동작일 수 있다.
이미지영역 생성 모듈은 개별 이미지영역을 생성시키거나 둘 이상의 개별 이미지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묶음이미지 영역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이미지영역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기출문제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기출문제들은 여러개의 문제들을 포함하며 각 문제는 복수의 문장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출문제를 구성하는 여러개의 문제들 중 한개의 문제를 가지고 본원발명의 개념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출문제(문제1)는 복수의 문장들을 포함하며, 각 문장은 점선으로 구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문장은 서로 다른 이미지 카드(1000)에 매칭된다.
사용자가 문제1을 학습하기로 결정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는 이미지 카드(1000)가 디스플레이된다.
시스템은 이미지 카드(1000)에 복수의 이미지영역을 생성시키며 각 이미지영역에는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 또는 단어 묶음(구, 절 등)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문제1을 학습하는 사용자 단말기에는 제1 이미지 카드(1100), 제2 이미지 카드(1200), 제3 이미지 카드(1300) 등 서로 다른 이미지 카드들이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앞에 배치된 이미지 카드에 대한 학습이 완료된 이후 뒤에 배치된 이미지 카드가 사용자에게 공개될 수 있다. 즉, 제1 이미지 카드(1100)에 대한 학습이 완료되기 전까지 사용자는 제2 이미지 카드(1200)에 그려진 이미지들을 확인할 수 없고 제1 이미지 카드(1100)에 대한 학습이 완료되면 제2 이미지 카드(1200)에 포함된 이미지들이 사용자에게 보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학습 방법에 따르면, 시스템은 이미지 카드에 대한 학습 시 '이미지 카드에 대한 한글 설명', '문장 이미지', '문장 이미지에 대응하는 영어 음성'의 순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문제1을 학습하기로 결정하면 시스템은 문제1을 구성하는 문장들의 구조 분석을 토대로 각 문장에 대한 학습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문장에 대한 학습 컨텐츠는 이미지 카드(1000), 이미지 카드(1000)를 구성하는 문장 이미지, 문장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성은 한글음성과 영어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글음성은 영어문장을 번역한 한글문장의 음성출력 데이터를 말하며, 문장 이미지는 영어문장의 내용을 하나의 이미지화 한 영상출력 데이터를 말하며, 영어음성은 문장 이미지의 각 부분에 대응하는 영어단어 또는 단어 묶음의 음성출력 데이터를 말한다.
문장 이미지에 대한 학습이 완료되면 시스템은 해당 문장 이미지에 대응되는 문장 전체의 음성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시스템은 서로 다른 음성으로 반복하여 음성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문장분석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문장분석모듈은 문장의 POS(Part of speech)값과 DEP(Dependency)값을 검출할 수 있다.
문장분석모듈은 머신러닝을 통해 문장의 구조를 분석하거나, 시스템 외부로부터 문장 분석 결과를 전달받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결과를 읽어올 수 있다.
POS 값은 각 단어들이 갖는 문장성분값을 나타내며 도 3에서 문장의 하단에 표시되어 있다. POS 값에는 ADJ(adjective), ADP(adposition), ADV(adverb), AUX(auxiliary), CONJ(conjunction), CCONJ(coordinating conjunction), DET(determiner), INTJ(interjection), NOUN(noun), NUM(numeral), PART(particle), PRON(pronoun), PROPN(proper noun), PUNCT(punctuation), SCONJ(subordinating conjuction), SYM(symbol), VERB(verb), X(other) SPACE(spac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DEP 값은 단어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값으로 도 3에서 화살표 위쪽에 표시되어 있다. 각 단어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점(꼬리)과 도착점(머리)을 갖는 화살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DEP 값 할당하기 위해 각 단어들을 연결하는 화살표를 이용하였으나 이는 단어들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즉, 시스템에서 단어들의 관계를 화살표로 표시하지 않더라도 어느 한 단어에서 다음 단어로 의미가 연결되거나 문장 구조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앞선 단어 쪽을 꼬리 지점으로 뒤따르는 단어 쪽을 머리 지점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DEP 값에는 acl(adjectival clause), acomp(adjectival complement), advcl(adverbial clause modifier), advmod(adverbial modifier), amod(adjectival modifier), appos(appositional modifier), ccomp(clausal complement), dobj(direct object), nsubj(nominal subject), det(determiner), relcl(relative clause mod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분 2개를 연결한 화살표의 머리 지점에 위치한 성분을 차일드(child)로 정의하고, 성분 2개를 연결한 화살표의 시작 지점의 성분을 헤드(head)로 정의할 수 있다. 헤드에서 헤드로 거슬러 올라간 위치의 성분을 엔세스터(ancestor)로 정의하고 차일드에서 차일드로 거슬러 내려간 위치의 성분을 디센던트(descendant)로 정의할 수 있다.
제어모듈(110)은 상기에서 설명한 POS 값, DEP 값, 차일드, 디센던트, 엔세스터 등의 정보에 대응하여 이미지영역 간의 배치, 연결관계, 영역의 모양, 색상, 크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는 Verb(caught)의 헤드에 2개의 Noun(a man, a bird)가 존재하므로 제어모듈(110)은 상기 Verb 와 Noun 들의 정보를 이용해 이미지영역을 생성하고 이미지영역들을 연결하는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장 이미지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시스템은 문장분석모듈에서 분석한 문장 정보에 근거하여 단어들 또는 단어묶음에 대응하는 이미지영역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문장은 "A man caught a bird near a nest in a tree which is falling down." 와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문장분석모듈은 상기 제1 문장을 5개의 묶음으로 구분한다. 제어모듈(110)은 이 중 DEP값이 relcl인 묶음을 제외한 나머지 4개의 묶음에 각각 이미지영역을 할당한다. 여기서 relcl은 Noun의 상태나 동작을 설명하는 용도로 쓰이는 성분이기 때문에 별도의 이미지영역을 할당하지 않고 터치입력패턴만을 할당한다.
다시 말해, 도시된 바와 같이 'a tree'의 차일드인 묶음 'which is falling down'은 Noun 의 relcl 성분이 된다. 제어모듈(110)은 이와 같이 Noun의 relcl 성분이 되는 묶음에 대해 이미지영역을 할당하지 않고 터치입력패턴만을 할당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묶음(a man)에는 제1 이미지영역(1110)이 할당되고, 제2 묶음(caught a bird)에는 제2 이미지영역(1120)이 할당되고, 제3 묶음(near a nest)에는 제3 이미지영역(1130)이 할당되고, 제4 묶음(in a tree)에는 제4 이미지영역(1140)이 할당된다.
각 묶음 또는 묶음 사이에는 터치입력패턴이 할당될 수 있다.
시스템은 각 이미지 영역의 이미지에 음성을 매칭시킨다. 이미지에 매칭되는 음성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지역, 연령, 성별이 다른 사람들의 여러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문장 이미지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단어묶음에 대응하여 이미지영역이 할당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할당된 이미지영역의 순서대로 터치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해당 이미지에 대응되는 음성을 출력시킨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이미지영역(1110)을 터치한 후(①) 제2 이미지영역(1120)을 터치하면(②)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1 이미지영역(1110)에 대응되는 음성과 제2 이미지영역(1120)에 대응되는 음성을 순차적으로 출력시킨다. 즉,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A man caught a bird'라는 음성이 출력된다.
순서에 맞는 이미지영역이 터치되지 않은 경우 음성이 출력되지 않거나 터치가 잘못되었다는 신호음이 출력될 수 있다.
음성 출력이 완료된 이미지영역의 이미지는 출력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출력이 완료된 이미지는 이미지카드에서 사라지거나(투명화), 색이 바뀌거나, 색이 흐려지는 등 출력되는 방식이 변화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제3 이미지영역(1130)을 터치하면(③) 그 다음 음성인 'near a nest' 가 출력되고, 제3 이미지영역(1130)을 터치한 후 제4 이미지영역(1140)을 터치하면(④) 그 다음 음성인 'in a tree' 가 출력된다. 그 후 특정 터치입력패턴이 입력되면 'which is falling down' 이라는 음성이 출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영역이 할당되지 않은 묶음('which is falling down')의 음성은 별도의 터치입력패턴 없이 상기 묶음과 연관된 이미지영역의 음성에 이어서 출력될 수 있다. 즉, 제4 이미지영역(1140)을 터치하는 경우 'in a tree which is falling down'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문장 이미지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서 설명한 단어묶음에 대하여 이미지영역이 할당되는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이미지영역 할당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이미지영역(1140)에는 단어묶음 중 주요 성분(본 실시예에서는 Noun 성분)만이 할당된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영역(1110)에는 'man', 제2 이미지영역(1120)에는 'bird', 제3 이미지영역(1130)에는 'nest', 제4 이미지영역(1140)에는 'tree'가 할당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각 이미지영역을 터치하면 시스템은 해당 단어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거나, 해당 단어에 대한 단어 학습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은 상기 이미지영역들과 별도로 묶음 이미지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묶음 이미지영역은 제1 묶음 이미지영역(1110'), 제2 묶음 이미지영역(1120'), 제3 묶음 이미지영역(1130') 등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묶음 이미지영역은 제1 묶음 이미지영역(1110')과 같이 두 개의 이미지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묶음 이미지영역(1110')은 'man'과 'bird'의 적어도 일부 이미지를 포함하여 'man'과 'bird' 이미지의 연관 관계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1 묶음 이미지영역(1110')은 사람의 손과 새를 하나의 묶음 이미지영역으로 연결하여 손으로 새를 잡는 동작에 매칭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묶음 이미지영역(1110')을 터치하면 이에 해당하는 단어들 'caught a bird'의 음성이 출력된다.
사용자가 제1 이미지영역(1110), 제1 묶음 이미지영역(1110'), 제2 이미지영역(1120)을 순차적으로 터치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A man', 'A man caught a bird', 'a bird' 순으로 음성을 출력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중복되는 단어를 생략하고 'a man', 'caught', 'a bird' 순서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묶음 이미지영역은 제2 묶음 이미지영역(1120')과 같이 어느 하나의 이미지영역을 확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묶음 이미지영역(1120')은 제2 이미지영역(1120)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묶음 이미지영역은 제3 묶음 이미지영역(1130')과 같이 어느 하나의 이미지영역의 일부만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묶음 이미지영역(1130')은 제3 이미지영역(1130) 안쪽의 일부분 또는 바깥쪽 일부분만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터치입력패턴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터치입력패턴을 입력해야 문장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입력패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이미지영역으로부터 다른 이미지영역으로 드래그하는 방식의 제1 터치입력패턴(I)과, 어느 이미지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이미지영역의 경계 부근에서 드래그하는 방식의 제2 터치입력패턴(II)과, 특정 이미지 영역을 터치하는 제3 터치입력패턴(III)과, 어느 한 이미지영역을 거쳐 일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방식의 제4 터치입력패턴(IV)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터치입력패턴을 반대로 하는 경우 문장 구조를 변경하여 음성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입력패턴(I)이 제1 이미지영역(1110)에서 제2 이미지영역(1120)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통해 'A man caught a bird'라는 문장을 설명한다면, 제2 이미지영역(1120)에서 제1 이미지영역(1110)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통해 'a bird'가 주어가 된 문장 'a bird was caught by a man' 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터치입력패턴의 방향성이 정해져 있다면 방향 전환을 통해 문장의 능동/수동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터치입력패턴(I)의 방향이 정해져 있고 제1 터치입력패턴(I)에 의하여 능동형 문장을 출력하는 경우 이와 반대되는 방향의 터치입력패턴에 의하여 수동형 문장을 출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치입력패턴은 단어들 또는 이미지영역의 관계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영역(1110)('a man'), 제2 이미지영역(1120)('caught a bird'), 제3 이미지영역(1130)('near a nest'), 제4 이미지영역(1140)('in a tree'), 제5 이미지영역 ('which is falling down')이 설정될 경우, 제2 이미지영역(1120) 중 caught 단어에는 제1 이미지영역(1110)에서 '새' 이미지에 도달하는 드래그동작이 매칭되고 a bird 단어에는 '새' 이미지를 한번 더 클릭하는 동작이 매칭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4 이미지영역은 '나무' 그림 안쪽으로 들어가는 드래그동작이 매칭되고, 제5 이미지영역은 '나무'를 터치한 후 아래쪽으로 드래그 하는 동작이 매칭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와 음성을 통해 학습자가 게임을 하듯이 기출문제의 문장들을 습득할 수 있게 하여 따로 기출문제들을 푸는 수고를 줄이고 단기간에 해당 시험의 출제 경향을 숙지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영어 문장의 순서대로 화면을 터치하여야 해당 문장에 대한 학습이 진행되게 하여 사용자가 영어 문장의 흐름과 문장구조를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게 하며, 학습자에게 이미지를 제공한 후 그에 대응하는 영어 음성을 제공하여 영어권 국가 사람들이 이미지를 보고 해당 이미지에 대하여 문장을 떠올리는 방식을 학습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등 종래기술과는 차별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기출문제 100 : 시스템
110 : 제어모듈 120 : 데이터수집모듈
130 : 데이터베이스 140 : 이미지영역 생성 모듈
150 : 문장분석모듈 1000 : 이미지 카드
1100 : 제1 이미지 카드 1110 : 제1 이미지영역
1110' : 제1 묶음 이미지영역 1120 : 제2 이미지영역
1120' : 제2 묶음 이미지영역 1130 : 제3 이미지영역
1130' : 제3 묶음 이미지영역 1140 : 제4 이미지영역
1200 : 제2 이미지 카드 1300 : 제3 이미지 카드

Claims (10)

  1. 영어 기출문제의 문장에 대한 이미지 카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시키고, 기설정된 터치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이미지 카드에 대응되는 음성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기출문제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출문제의 문장구조를 분석하는 문장분석모듈;
    상기 이미지 카드 내에 서로 구분되는 복수의 이미지영역을 생성하는 이미지영역 생성 모듈; 및
    상기 분석된 문장구조에 따라 이미지영역 간의 관계를 설정하고, 상기 이미지영역 간의 관계에 대응하여 터치 입력 신호를 설정하며, 상기 터치 입력 신호에 따라 이미지영역에 대응되는 음성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이미지영역들의 순서를 설정하고, 설정된 순서대로 특정 터치입력패턴으로 이미지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이미지영역에 대응되는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분석된 문장구조는 문장의 순서에 따라 배치되는 제1 단어묶음과 제2 단어묶음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영역은 제1 단어묶음에 매칭되는 제1 이미지영역과 제2 단어묶음에 매칭되는 제2 이미지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입력 신호는,
    제1 이미지영역으로부터 제2 이미지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터치입력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문장분석모듈은 문장의 POS값과 DEP값을 확인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확인된 DEP값에 따라 이미지영역의 배치를 결정하고, 상기 POS값에 근거하여 이미지영역에 배치되는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영역에 할당되는 터치입력패턴을 결정하며,
    상기 이미지영역 마다 서로 다른 터치입력패턴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기출문제 학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패턴과 반대 방향의 터치 입력에 의하여 능동형 문장을 수동형 문장으로 전환하여 음성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기출문제 학습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POS값이 Noun 인 단어 묶음의 차일드(child)이면서 DEP값이 relcl인 단어 묶음에 대해서는 이미지영역을 할당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기출문제 학습 시스템.
KR1020190066536A 2019-05-21 2019-06-05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기출문제 학습 시스템 KR1024440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59582 2019-05-21
KR1020190059582 2019-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121A KR20200134121A (ko) 2020-12-01
KR102444093B1 true KR102444093B1 (ko) 2022-09-16

Family

ID=7379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536A KR102444093B1 (ko) 2019-05-21 2019-06-05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기출문제 학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0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2554A (ja) * 2002-09-09 2004-04-02 Masatoshi Shibuya 文章画像変換ツール
KR100798153B1 (ko) * 2006-12-01 2008-01-28 최재봉 부분 이미지 활용 부분 이미지 활용 언어 학습 콘텐츠 제공시스템
KR100867384B1 (ko) * 2006-09-30 2008-11-10 최재봉 다이어그램이 포함된 전체 이미지와 부분 이미지를 활용한영어 학습 교재
KR100882855B1 (ko) * 2007-07-21 2009-02-10 배강원 다중 표현 이미지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기록매체와 언어 학습 교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627B1 (ko) * 2009-08-28 2011-11-09 김주엽 이미지 연상 어학 학습 시스템
KR20170107799A (ko) * 2016-03-16 2017-09-26 레니에리 세고비아 외국어 학습 방법
US10635624B2 (en) 2016-06-24 2020-04-28 Intel Corporation Dual role capable connectors for separable portion of computing apparatus
KR102417336B1 (ko) 2017-09-12 2022-07-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클러치용 액추에이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2554A (ja) * 2002-09-09 2004-04-02 Masatoshi Shibuya 文章画像変換ツール
KR100867384B1 (ko) * 2006-09-30 2008-11-10 최재봉 다이어그램이 포함된 전체 이미지와 부분 이미지를 활용한영어 학습 교재
KR100798153B1 (ko) * 2006-12-01 2008-01-28 최재봉 부분 이미지 활용 부분 이미지 활용 언어 학습 콘텐츠 제공시스템
KR100882855B1 (ko) * 2007-07-21 2009-02-10 배강원 다중 표현 이미지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기록매체와 언어 학습 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121A (ko)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o Non-native english speakers learning computer programming: Barriers, desires, and design opportunities
US9208144B1 (en) Crowd-sourced automated vocabulary learning system
Horner et al. Translinguality, transmodality, and difference: exploring dispositions and change in language and learning.
US20160063879A1 (en) Generating high-level questions from sentences
KR100953979B1 (ko) 수화 학습 시스템
Qiang et al. Chinese lexical simplification
Stolz et al. Spatial interrogatives in Europe and beyond: Where, whither, whence
Gupt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Physical Education
KR102307779B1 (ko) 컨셉 이미지를 통한 언어 습득 효율 향상 시스템 및 방법
Lim et al. Neural automated writing evaluation for Korean L2 writing
Baumgärtner et al. Automated Sign Language Translation: The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Now and in the Future.
KR102444093B1 (ko)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기출문제 학습 시스템
Zhang et al. MPMQA: multimodal question answering on product manuals
KR102403074B1 (ko) 영어 문장 학습을 위한 이미지 구조화 시스템
McKee et al. Sign language lexicography
TWI554983B (zh) 電子裝置、學習方法及其電腦程式產品
Kudubayeva et al. Features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Kazakh sign language with the use of gestural notation: compiling the dictionary of gestures of the KSL based on the notation of LS Dimskis
Park The Necessity of Minimal Representation of Genericity in a Newly Developed Language, Unish
KR20200116731A (ko) 컨셉 이미지를 이용한 자발적 단어 습득 시스템
JP2005250525A (ja) 漢文解析支援装置及び異言語文処理装置及び翻訳プログラム
KR102403077B1 (ko) 영어 문장 학습을 위한 이미지 구조화 시스템
Herbig et al. Improving the multi-modal post-editing (MMPE) CAT environment based on professional translators’ feedback
Toyoda Usage and efficacy of electronic dictionaries for a language without word boundaries
McDermott-Wells Math in the dark: Tools for expressing mathematical content by visually impaired students
Graham et al. Evaluating OpenAI's Whisper ASR: Performance analysis across diverse accents and speaker tra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