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828B1 - 지게차와 전동차 이송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 Google Patents

지게차와 전동차 이송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828B1
KR102633828B1 KR1020220010021A KR20220010021A KR102633828B1 KR 102633828 B1 KR102633828 B1 KR 102633828B1 KR 1020220010021 A KR1020220010021 A KR 1020220010021A KR 20220010021 A KR20220010021 A KR 20220010021A KR 102633828 B1 KR102633828 B1 KR 102633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device
forklift
fork
pai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4027A (ko
Inventor
이동환
이동근
신동민
이재홍
고건
Original Assignee
로만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만시스(주) filed Critical 로만시스(주)
Priority to KR1020220010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828B1/ko
Publication of KR20230114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167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consisting of articulated or rigidly assembled bars or tubes forming a V-, Y-, or U-shaped draw gear
    • B60D1/1675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consisting of articulated or rigidly assembled bars or tubes forming a V-, Y-, or U-shaped draw gear comprising extendable, retractable or fold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2Bolt or shackle-type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 이송장치와 지게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의 일단에 마련되어 전동차 이송장치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본체의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마련되어,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개구와, 개구를 통해 삽입된 지게차의 포크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형성된 삽입 공간을 가지는 삽입부, 삽입부의 일 외면에서 삽입 공간과 통하도록 마련되는 관통홀 및 관통홀을 관통하여 삽입부에 삽입된 포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고정부를 갖는다. 이에 의하면, 지게차를 전동차 이송장치의 견인차량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전용 견인차량 부족 내지는 미비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게차와 전동차 이송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CONNECTION FRAME FOR CONNECTING FORKLIFT AND TRAIN TRANSPORT DEVICE}
본 발명은 지게차와 전동차 이송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전동차는 차체 조립 공정, 차체 도장 공정, 차체 의장 공정, 대차 조립 공정 등을 거쳐서 완성된다. 차체 조립 공정은 하부 프레임 위에 좌우 사이드 프레임을 세우고, 상부 프레임을 얹고, 전후 엔드 프레임을 붙여서, 전동차의 외관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차체 도장 공정은 내마모성과 내부식성을 높이고,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료를 차체 표면에 도포하는 공정이며, 차체 의장 공정은 차체에 인테리어 설비, 전기 설비 등 설치하는 공정이다. 대차 조립 공정은 구동계인 대차와 브레이크 시스템을 차체의 하부에 장착하는 공정이다.
차체는 임시 대차 역할을 하는 전동차 이송장치에 적재된 채로 각 작업장으로 이동하며, 상기한 일련의 제작 공정을 거친다. 전동차 이송장치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달리 트레일러(dolly trailer)는 동력이 없으므로, 전용 견인차량이 전방에서 달리 트레일러의 견인고리를 걸어서, 달리 트레일러를 견인한다.
다만, 작업 환경에 따라 전용 견인차량을 대여하지 못하거나, 작업량 대비 전용 견인차량의 대수를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 차체를 적시에 적절한 작업장으로 이송하지 못하여, 제작 공정 전반이 지연시키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지게차는 대부분의 전동차 작업장에서 운용하고 있고, 차체를 적재한 전동차 이송장치를 견인할 정도의 견인력도 가지고 있으므로, 지게차를 견인차량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지게차와 전동차 이송장치의 견인고리에 연결할 방법이 마땅하지 않아, 실제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지게차가 전용 견인차량을 대신하여 전동차 이송장치를 견인할 수 있도록 지게차와 전동차 이송장치 간을 연결하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게차를 전동차 이송장치의 견인차량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게차와 전동차 이송장치 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차 이송장치와 상기 전동차 이송장치를 견인하는 지게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전동차 이송장치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본체의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개구와, 상기 개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지게차의 포크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형성된 삽입 공간을 가지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 외면에서 상기 삽입 공간과 통하도록 마련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포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연결프레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지게차를 전동차 이송장치의 견인차량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전용 견인차량 부족 내지는 미비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한 쌍의 상기 포크 사이의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삽입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연결프레임을 지게차의 포크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전동차 이송장치의 견인고리가 사이에 삽입 가능한 이격 거리를 갖는 한 쌍의 힌지프레임, 상기 한 쌍의 힌지프레임 각각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되는 힌지홀, 및 상기 힌지홀과, 상기 한 쌍의 힌지프레임 사이에 삽입된 상기 견인고리를 관통하여, 상기 견인고리가 상기 한 쌍의 힌지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하는 힌지핀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연결프레임을 전동차 이송장치의 견인고리와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고, 전동차 이송장치가 지게차의 주행경로를 용이하게 따라 갈 수 있게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일 외면에 마련되며, 상기 포크가 상기 삽입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지게차에 고정된 이탈방지부재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부로부터의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견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프레임을 사용하여 지게차를 전동차 이송장치의 견인차량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전용 견인차량에 의하지 않고도 공정 간에 차체를 이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게차와 전동차 이송장치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결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연결프레임의 a-a'의 절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게차와 전동차 이송장치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연결프레임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연결프레임의 a-a'의 절단면도이다.
먼저, 전동차 이송장치(200)와 지게차(4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전동차 이송장치(200)는 전동차의 차체(300)를 싣는다. 전동차 이송장치(200)는 구동력이 없는 임시 대차이며, 전용 견인차량 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지게차(400)에 의해 견인되어, 전동차의 차체(300)에 대해 각종 공정이 수행되도록 각 작업장 사이를 이동한다. 전동차 이송장치(200)는 달리 트레일러가 될 수 있다. 전동차의 차체(300)는 조립 작업장에서 하부 프레임, 양 사이드 프레임, 상부 프레임, 전후 엔드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조립되며, 조립된 차체(300)는 크레인에 의해 전동차 이송장치(200)에 적재되어 다음 공정을 위해 도장 작업장, 의장 작업장 등으로 이송된다. 물론, 모든 작업장 간의 이송 시에 전동차 이송장치(200)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므로, 여러 작업장 중에 일부 작업장으로의 이송을 위해서만 전동차 이송장치(200)가 사용될 수 있다.
전동차 이송장치(200)는 차체(300)의 이송을 위해 베이스프레임(230), 조향부(220), 견인부(210) 등을 갖는다. 베이스프레임(230)은 전동차 이송장치(200)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며, 상단에 차체(300)가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안착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전한 이송을 위해 베이스프레임(230)의 상단에는 차체(300)의 고정을 위한 다양한 고정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차체(300)의 일단과 안착프레임 간을 연결하는 클램프, 고정벨트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230)의 하단에는 조향부(220)와 추종부가 배치된다. 일 예로, 하단 전방에는 조향부(220)가 배치되고, 하단 후방에는 추종부가 배치된다. 조향부(220)는 베이스프레임(230)에 대해 XZ축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조향부(220)는 베이스프레임(230)과 조향축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한 회동이 가능할 수 있다.
조향부(220)와 추종부는 각각 다수의 바퀴를 갖는다. 일 예로, 조향부(220)는 4개의 전방바퀴를 가지며, 추종부는 4개의 후방바퀴를 갖는다. 각 바퀴의 개수는 설계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물론, 조향부(220)와 추종부 사이에는 여러 바퀴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견인부(210)는 조향부(220)의 일단으로부터 -X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에는 연결프레임(100)과 연결되는 견인고리(211)가 마련된다. 견인부(210)는 트러스트 구조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게차(400)는 지게차 본체, 포크(410), 캐리지(420) 등을 갖는다. 지게차 본체는 지게차(400)의 외관을 형성하며, 구동력을 생성하여 캐리지(420)를 통해 포크(410)에 전달한다.
포크(410)는 화물의 상하차를 위해 Y축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한다. 포크(410)는 X축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한 쌍으로 마련된다. 한 쌍의 포크(410)는 Z축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으므로, 화물의 너비에 대응하도록 상호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혀지도록 움직일 수 있다.
캐리지(420)는 Y축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으로서, 포크(410)를 지지하며, 포크(410)를 지게차 본체에 연결한다. 지게차 본체로부터의 구동력은 캐리지(420)를 통해 포크(410)로 전달되며, 포크(410)는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거나,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연결프레임(100)은 본체(110), 삽입부(120), 제1 연결부(130), 고정부(150) 등을 갖는다. 연결프레임(100)은 소정의 인장강도, 경도, 인성, 내식성 등을 갖는 탄소 함량에 따라 강철, 선철, 주철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탄소 이외에 망간, 규소, 구리, 유황, 인 등을 첨가한 탄소강, 합금강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체(110)는 연결프레임(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본체(110)는 사각 프레임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연결부(130)는 본체(110)의 일단에 마련되어 전동차 이송장치(200)와 연결된다. 제1 연결부(130)는 본체(110)로부터 X축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게 마련된다. 여기서, 본체(110)의 일단은 본체(110)의 양단 중 전동차 이송장치(200) 측이 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30)는 전동차 이송장치(200)의 견인부(210)의 견인고리(211)와 연결된다. 제1 연결부(13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삽입부(120)는 본체(110)의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마련되어, 지게차(400)의 포크(410)가 삽입되는 개구(122)와, 개구(122)를 통해 삽입된 포크(410)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형성된 삽입 공간(121)을 갖는다. 여기서, 본체(110)의 타단은 본체(110)의 양단 중 지게차(400) 측이 될 수 있다. 개구(122)의 형상은 포크(41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일 예로, 포크(410)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 개구(122)도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포크(410)의 원활한 삽입만 가능하다면, 개구(122)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포크(410)의 원활한 삽입을 위해 개구(122)의 Z축방향과 Y축방향으로의 길이는 포크(410)보다 더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삽입 공간(121)은 개구(122)로부터 X축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서, 예컨대, 직육면체가 될 수 있다. 포크(410)의 원활한 삽입과 수납을 위해 삽입 공간(121)의 Z축방향과 Y축방향으로의 길이는 포크(410)보다 더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삽입 공간(121)의 형상은 포크(41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포크(410)의 Y축방향의 길이가 X축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경우, 이에 대응하도록 삽입 공간(121)의 Y축방향의 길이도 X축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삽입부(120)는 포크(41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포크(410)가 한 쌍으로 마련되면, 삽입부(120)는 한 쌍의 포크(410) 사이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삽입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10)는 한 쌍의 삽입부 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10)의 일단 측에서 한 쌍의 삽입부 간을 연결하는 제1 지지프레임(111)과, 본체(110)의 타단 측에서 한 쌍의 삽입부 간을 연결하는 제2 지지프레임(112)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프레임(111, 112)에 의해 복수의 삽입부는 상호 간에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150)는 관통홀(151)과 고정부재(152)를 포함한다. 삽입부(120)의 상면(311)에는 삽입 공간(121)과 통하도록 마련되는 관통홀(151)이 마련되며, 고정부재(152)는 관통홀(151)을 관통하여 삽입부(120)의 삽입 공간(121)에 삽입된 포크(410)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관통홀(151)은 X축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152)가 X축방향으로 마련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151)을 관통할 수 있다. 관통홀(151)과 고정부재(152)는 나사결합을 할 수 있다. 고정부재(152)가 숫나사를 갖는 경우, 관통홀(151)은 암나사를 가질 수 있다.
고정부재(152)가 관통홀(151)을 관통하여 삽입 공간(121)에 삽입된 포크(41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고정부재(152)의 단부와 삽입부(120)의 내면(312) 사이의 포크(410)가 압박 고정되어, 견인 시 포크(410)가 삽입부(120)로부터 이탈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100)를 지게차(400)와 전동차 이송장치(200) 사이를 연결하는 데에 사용하면, 지게차(400)를 전동차 이송장치(200)의 견인차량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전용 견인차량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라도, 전동차 이송장치(200)를 각 작업장으로 적시에 견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프레임(100)과 지게차(400) 간에는 이탈방지부재(142)가 연결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142)는 체인, 벨트, 로프, 와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142)의 일단은 연결프레임(100)의 제2 연결부(1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40)는 본체(110)의 상면으로부터 Y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며, 단부에는 이탈방지부재(142)의 일단과 연결을 위한 결합홈(141)이 마련된다. 이탈방지부재(142)의 일단이 훅의 형태로 마련되면, 이탈방지부재(142)의 일단을 결합홈(141)에 걸 수 있다.
캐리지(420)에는 이탈방지부재(142)의 타단과 연결되는 견인바(421)가 마련될 수 있다. 견인바(421)는 이탈방지부재(142)의 타단을 묶을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2 연결부(140)의 결합홈(141)과 같이 견인홈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삽입부(120)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제2 연결부(140)도 이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제2 연결부(140)에 대응하는 개수로 이탈방지부재(142)와 견인바(421)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탈방지부재(142)를 활용하여 연결프레임(100)과 지게차(400)를 연결하면, 포크(410)가 삽입부(120)로부터의 이탈 가능성을 낮출 수 있어서, 보다 안정적인 견인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제1 연결부(130)의 구조에 대해 좀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130)는 힌지프레임(131), 힌지홀(132) 및 힌지핀(133)으로 구성된다.
힌지프레임(131)은 본체(110)로부터 X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일 예로, 본체(110)가 제1 지지프레임(111)과 제2 지지프레임(112)를 포함하는 경우, 힌지프레임(131)은 제1 지지프레임(111)으로부터 X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힌지프레임(131)은 전동차 이송장치(200)의 견인부(210)의 견인고리(211)가 삽입 가능하도록 Y축방향으로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갖는다.
힌지홀(132)은 한 쌍의 힌지프레임(131) 각각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한 쌍으로 마련된다. 힌지홀(132)은 Y축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마련된다.
견인고리(211)가 한 쌍의 힌지프레임(131) 사이에 삽입되면, 힌지핀(133)은 한 쌍의 힌지홀(132)과 견인고리(211)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힌지핀(133)이 한 쌍의 힌지홀(132)과 견인고리(211)을 관통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Y축방향으로 빠질 염려가 있는 점을 고려하여, 힌지핀(133)의 상단에는 걸림부재가 마련된다. 걸림부재는 고리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힌지핀(133)은 걸림부재에 의해 -Y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한 쌍의 힌지홀(132)과 견인고리(211)을 관통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지게차(400)의 포크(410)가 연결프레임(100)의 삽입부(120)에 삽입 및 고정되고, 연결프레임(100)의 제1 연결부(130)에 전동차 이송장치(200)의 견인부(2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지게차(400)가 이동하는 경우, 전동차 이송장치(200)도 연결프레임(100)을 매개로 하여 지게차(400)의 주행경로를 따라 견인된다. 견인부(210)는 제1 연결부(130)의 힌지핀(133)에 의해 XZ축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지게차(400)가 회전하여 주행경로를 변경하더라도, 전동차 이송장치(200)는 변경된 주행경로를 용이하게 추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410)의 상단에는 포크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포크(410)가 삽입부(120)의 개구(122)를 통해 삽입 공간(121)에 삽입되면, 고정부재(552)가 관통홀(151)을 관통하여 포크홈(411)에 삽입되어 포크홈(411)과 결합할 수 있다. 포크홈(411)과 고정부재(152)는 나사결합을 할 수 있다. 고정부재(152)가 숫나사를 갖는 경우, 포크홈(411)은 암나사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서는 포크홈(411)이 Y축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Y축방향으로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고, 나아가 포크(4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프레임(100)은 본체(110)의 하면(313)이 배제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즉, 하면(313)이 존재하면, 도 1 내지 3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52)가 포크(410)를 하방으로 가압할 때, 포크(410)를 압박 고정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552)가 포크홈(411)에 삽입되어 포크(410)의 이탈을 직접적으로 방지하므로, 하면(313)의 배제가 가능하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연결프레임
110: 본체
111: 제1 지지프레임
112: 제2 지지프레임
120: 삽입부
121: 삽입 공간
122: 개구
130: 제1 연결부
131: 힌지프레임
132: 힌지홀
133: 힌지핀
140: 제2 연결부
141: 결합홀
142: 이탈방지부재
150: 고정부
151: 관통홀
152: 고정부재
200: 전동차 이송장치
210: 견인부
220: 조향부
230: 베이스프레임
300: 차체
311: 상면
312: 내면
313: 하면
400: 지게차
410: 포크
420: 캐리지
430: 견인바

Claims (4)

  1. 전동차 이송장치와 상기 전동차 이송장치를 견인하는 지게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전동차 이송장치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본체의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개구와, 상기 개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지게차의 포크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형성된 삽입 공간을 가지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 외면에서 상기 삽입 공간과 통하도록 마련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포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한 쌍의 상기 삽입부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 중 상기 전동차 이송장치 측의 하나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전동차 이송장치의 견인부의 일단에 마련된 견인고리가 사이에 삽입 가능한 이격 거리를 갖는 한 쌍의 힌지프레임,
    상기 한 쌍의 힌지프레임 각각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되는 힌지홀, 및
    상기 힌지홀과, 상기 한 쌍의 힌지프레임 사이에 삽입된 상기 견인고리를 관통하여, 상기 견인고리가 상기 한 쌍의 힌지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하는 힌지핀을 포함하며,
    상기 견인부의 타단은, 상기 전동차 이송장치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바퀴를 포함하며 조향축을 중심으로 상기 전동차 이송장치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조향부와 2지점에서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한 쌍의 상기 포크 사이의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삽입부를 포함하는 연결프레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일 외면에 마련되며, 상기 포크가 상기 삽입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지게차에 고정된 이탈방지부재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프레임.
KR1020220010021A 2022-01-24 2022-01-24 지게차와 전동차 이송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KR102633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021A KR102633828B1 (ko) 2022-01-24 2022-01-24 지게차와 전동차 이송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021A KR102633828B1 (ko) 2022-01-24 2022-01-24 지게차와 전동차 이송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027A KR20230114027A (ko) 2023-08-01
KR102633828B1 true KR102633828B1 (ko) 2024-02-06

Family

ID=8756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021A KR102633828B1 (ko) 2022-01-24 2022-01-24 지게차와 전동차 이송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8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889B1 (ko) * 2015-12-31 2016-10-04 김성운 안전성이 보장된 이동 및 회전식 스크랩 처리장치
KR101742723B1 (ko) * 2017-03-28 2017-06-01 권기원 농기계 운반 트레일러용 차량 견인 연결구
JP2018076147A (ja) * 2016-11-08 2018-05-17 株式会社日立物流 フォークリフトアタッチメントによる鉄道輸送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438B1 (ko) * 2020-01-13 2021-09-14 (주)매일 이동형 채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889B1 (ko) * 2015-12-31 2016-10-04 김성운 안전성이 보장된 이동 및 회전식 스크랩 처리장치
JP2018076147A (ja) * 2016-11-08 2018-05-17 株式会社日立物流 フォークリフトアタッチメントによる鉄道輸送システム
KR101742723B1 (ko) * 2017-03-28 2017-06-01 권기원 농기계 운반 트레일러용 차량 견인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027A (ko)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0431B1 (de) Flurgebundenes schwerlast-transportfahrzeug, insbesondere fahrerloses schwerlast-transportfahrzeug für iso-container
EP2694423B1 (de) Portalhubgerät mit elektrischen antrieben
EP2694424B1 (de) Portalhubgerät mit elektrischen antrieben
US6588239B1 (en) Locking device
US6190100B1 (en) Trailer for carrying loads having a curved configuration
US9527517B2 (en) Coupler head with coupler house made of sheet metal
KR102633828B1 (ko) 지게차와 전동차 이송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CN210680305U (zh) 拖车列车配置或复合式拖车
CN210634437U (zh) 一种仓储物流用转运车
US20120275890A1 (en) Pallet accessory for truck-mounted crane
US201202976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verting a vehicle assembly
EP3609740A1 (de)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s zweirads an einem strukturteil
RU2333852C1 (ru) Прицеп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CN210912439U (zh) 车钩连接装置
KR101812220B1 (ko) 윙바디 일체형 트레일러 및 그 제조방법
CN216066243U (zh) 地铁屏蔽门用组装结构
CN113291852B (zh) 翻转装置
CN214215573U (zh) 一种货箱快换机构及物流车
CN220785362U (zh) 无动力车身牵引装置
CN103707948B (zh) 一种锁闩销的防转块
JP2009040387A (ja) 二輪牽引連結台車
CN219883758U (zh) 一种钢轨托运台车
CN202148008U (zh) 一种重载地拖链输送台车
CN212861454U (zh) 底架组件及具有其的敞车
CN106476931B (zh) 一种运输用拖车及零部件运输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