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609B1 -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 및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용 나선형 스프링 - Google Patents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 및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용 나선형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609B1
KR102633609B1 KR1020187027865A KR20187027865A KR102633609B1 KR 102633609 B1 KR102633609 B1 KR 102633609B1 KR 1020187027865 A KR1020187027865 A KR 1020187027865A KR 20187027865 A KR20187027865 A KR 20187027865A KR 102633609 B1 KR102633609 B1 KR 102633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ical spring
coil
air dryer
outer coil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8715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오흐젠쿠에흔
Original Assignee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118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02Air treatment devices
    • B60T17/004Draining and dry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26Compressed-ai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046Wound springs with partial nesting of inner and outer c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8Semi-trailers, articulat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제1 하우징 부분(2) 및 제2 하우징 부분(3)을 갖는 건조제(4)를 저장하기 위한 건조제 컨테이너, 및 상기 건조제 컨테이너를 수용하기 위한 카트리지 하우징(5)을 구비하는, 상용 차량의 압축 공기 처리 시스템을 위한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에 관한 것이다. 나선형 스프링(1)이, 예를 들어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5)과 상기 건조제 컨테이너 사이에, 상기 나선형 스프링이 상기 건조제 컨테이너의 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 부분(3)에 예압을 가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은, 복수의 코일(11, 12, 13)을 구비하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제1 단부의 제1 외측 코일(11) 및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제2 단부의 제2 외측 코일(13)이 각각,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내측 코일들(12)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Description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 및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용 나선형 스프링
본 발명은, 특히 상용 차량의 압축 공기 처리 시스템을 위한,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 및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를 위한 나선형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는, 예를 들어, 트럭 및 트랙터와 같은 상용 차량에 사용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견인 차량 및 트레일러 또는 에어 서스펜션을 위한 에어 브레이크 시스템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압축 공기 소비 장치를 갖는다. 이러한 부품에는 압축 공기가 공급되어야 한다. 압축 공기는 통상적으로 압축기에 의해, 예를 들어 차량의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왕복 압축기에 의해 제공된다. 압축 공기 소비 장치의 장애 없는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압축기에 의해 제공되는 압축 공기는 일반적으로, 추가적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공되는 압축 공기 처리 시스템에서, 압축 공기는, 이미 흡입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 입자들 및 압축기의 압축 공정 중에 압축 공기로 도입되는 오일 및 그을음 입자들에 대해 세정된다. 또한, 압축 공기 중에 존재하는 수분이 분리된다. 이것은 압축 공기 컨테이너 내의 압축 공기에 함유된 수분의 응축을 회피하거나 또는 내부에 형성된 응축물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용 차량의 압축 공기 처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압축 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하고, 바람직하게는 또한 오일 및 오염 입자도 흡수하는,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를 갖는다.
예를 들어 EP 0 036 569 B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은 이러한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는, 건조제/건조제 과립의 충전층을 구비하는 건조 유닛을 갖는다. 이러한 건조제로 이루어진 충전층은, 카트리지 하우징에 수용된 건조제 컨테이너 내에 수용된다. 예를 들어, 캡 형의 카트리지 하우징은, 에어 드라이어 상에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를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를 포함한다.
여기서 건조제의 충전층은 한정된 공기 통로 횡단면이 제공되도록 예압 하에 유지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충전층이 건조제 컨테이너 내에 느슨하게 존재하는 경우, 충전층의 개별 입자는 주행 작동 중에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서로 마찰하여 파우더가 된다. 이러한 파우더는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의 압축 공기 브레이크 시스템이, 특히 문제가 많은 지점에서, 고장 날 수도 있을 정도로 미세하다. 건조제를 예압 하에 유지하기 위해, 건조제 컨테이너는 서로 이동 가능한 2개의 하우징 부분으로 구성된다. 2개의 하우징 부분 중 하나와 카트리지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 부분을 건조제 컨테이너의 체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예압을 가하는 스프링이 배치된다.
이를 위해, 통상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는 나선형 스프링이 사용된다. 이 경우, 사용되는 스프링은, 그 크기와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스프링력(예를 들어, 약 500N)을 가해야 하며, 이를 통해 강하고 이에 따라 고가의 스프링이 필요하게 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내장된 스프링은, 카트리지 하우징 상에, 보다 정확하게는 카트리지 하우징의 일반적으로 오목하게 만곡된 부분 상에, 지지된다. 여기서, 카트리지 하우징의 만곡된 부분과 접촉하는 스프링 단부가 날카로운 에지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충분히 안정되게 구현되지 않는 경우, 카트리지 하우징 내로 가압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통해, 카트리지 하우징은, 경우에 따라서는 냉간 성형되고 파손되기 쉬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프링 단부와 카트리지 하우징의 보다 큰 접촉 면적을 달성하여 힘의 도입을 개선시키기 위해, 스프링의 단부의 날카로운 에지를 연마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서 스프링의 연마된 영역은 부식 방지를 목적으로 마무리 가공되어야 하는데, 이는 소모적이고 비용이 든다. 상기 문제점의 또 다른 해결 방안으로서, 나선형 스프링의 반경 방향 중심, 즉 반경 방향 내측으로 만곡된 카트리지 하우징의 측면 상에서 자유 스프링 단부를 굽히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스프링의 대량 생산에서는 비용 효율적인 측면에서 스프링 단부 중의 하나만을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굽힐 수 있지만, 2개를 굽힐 수는 없다. 제2 스프링 단부도 내측으로 굽히기 위해서는, 생산 도중에 스프링은 꼬아져야(braid) 하므로, 높은 생산 비용이 발생하여 스프링에 대한 비용이 증가한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굽혀진 단 하나만의 단부를 구비하는 스프링이 사용되는 경우, 스프링의 배향으로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를 조립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이는 높은 장착 비용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개선된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개발예는 종속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의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는,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제1 하우징 부분 및 제2 하우징 부분을 구비하는 건조제를 저장하기 위한 건조제 컨테이너 및 건조제 컨테이너를 수용하기 위한 카트리지 하우징을 포함한다. 나선형 스프링은, 건조제 컨테이너의 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제2 하우징 부분에 예압을 가한다. 나선형 스프링은,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며 나선형 스프링의 제1 단부의 제1 외측 코일이, 나선형 스프링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나선형 스프링의 내측 코일들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스프링의 제2 단부의 제2 외측 코일이, 마찬가지로 나선형 스프링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나선형 스프링의 내측 코일들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는, 건조제를 저장하기 위한 건조제 컨테이너가 배치되는 카트리지 하우징을 포함한다. 건조제는 바람직하게는, 건조제 컨테이너 내에 느슨하게 존재하는 건조제 과립이다. 건조제 컨테이너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설계된 제1 하우징 부분 및, 예를 들어 제1 하우징 부분의 개구 내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건조제 커버 또는 과립 커버로서 설계된, 제2 하우징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건조제 커버는, 건조제 컨테이너의 제1 하우징 부분 내에서 축 방향으로 안내된다. 나선형 스프링에 의해, 제2 하우징 부분 상에 힘을 가함으로써, 건조제 컨테이너 내에 위치하게 되는 건조제(과립)가 정해진 예압 하에 유지되므로, 건조제 컨테이너 내에 한정된 공기 통로 횡단면이 보장될 수 있다. 여기서 나선형 스프링은, 설치된 상태에서 한편으로 건조제 컨테이너의 제2 하우징 부분 상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예를 들어 카트리지 하우징과 건조제 컨테이너 사이의 카트리지 하우징 또는 추가적인 커버 상에, 압축되는 방식으로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선형 스프링의 제1 단부의 제1 외측 코일 및/또는 나선형 스프링의 제2 단부의 제2 외측 코일은 각각, 나선형 스프링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나선형 스프링의 내측 코일들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제안된다. 즉,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스프링은, 제1 단부에 제1 외측 코일과 인접한 코일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상기 제1 외측 코일을 구비하고 및/또는 다른 단부에 인접한 코일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제2 외측 코일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은 "외측에 위치한 단부를 갖는 나선형 스프링"으로 지칭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반드시 나선형 스프링의 모든 내측 코일이 제1 외측 코일 또는 제2 외측 코일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질 필요는 없다. 여기서 직경이라는 용어는 선택적으로 나선형 스프링의 코일의 외부 직경 또는 내부 직경을 의미하고; 나선형 스프링의 와이어 직경은 모든 코일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외측에 위치한 단부를 갖는 나선형 스프링의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나선형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에서 가능한 최대 코일 길이에 걸쳐 예를 들어 카트리지 하우징에 접하여, 개선된 힘의 분배가 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힘의 분배는, 건조제 컨테이너로부터 멀어지게 (즉, 외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된 표면에 대해 나선형 스프링을 지지할 때, 더욱 개선된다. 외측 코일, 즉 나선형 스프링의 외측에 위치하는 자유 단부는, 나선형 스프링의 인접하는 코일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예를 들어 카트리지 하우징의 형상에 자유롭게 적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나선형 스프링의 이러한 외측 코일의 단부 상에서의 에지, 보다 정확하게는 나선형 스프링의 외장 표면과 단부 표면 사이의 에지가, 예를 들어 카트리지 하우징 내로 가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카트리지 하우징은 보다 적게 부하를 받게 되고, 보다 낮은 재료 강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중량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에 대한 또 다른 이점은, 스프링의 중앙 코일이 외측 코일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것으로부터 발생한다. 이를 통해, 보다 작은 와이어 강도를 갖는 나선형 스프링이 구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재료 및 이에 따른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나선형 스프링의 제1 외측 코일 및 제2 외측 코일은 서로 동일한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나선형 스프링은 대칭적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를 조립할 때 나선형 스프링이 어떤 배향으로 설치되어야 하는지는 상관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장착이 간단하게 되고 비용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동시에 장착 오류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나선형 스프링은 건조제 컨테이너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된 표면에 대해 지지된다.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카트리지 하우징이 더 강하게 만곡될수록, 더 큰 직경을 갖는 나선형 스프링의 자유 단부가 구현됨으로써 힘의 분배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나선형 스프링의 제1 외측 코일은, 나선형 스프링의 설치된 상태에서, 나선형 스프링의 인접한 내측 코일로부터 이격된다(즉, 내측 코일 위에 위치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내측 코일과 접촉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나선형 스프링의 제2 외측 코일 또한, 나선형 스프링의 설치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스프링의 인접한 내측 코일로부터 이격된다(즉, 내측 코일 위에 위치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내측 코일과 접촉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스프링의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외측 코일의 내부 직경은, 외측 단부 상에서 나선형 스프링의 와이어 직경 크기보다 작은 양만큼 제1 외측 코일에 인접한 내측 코일의 외부 직경보다 크거나, 또는 제2 외측 코일의 내부 직경은, 외측 단부 상에서 나선형 스프링의 와이어 직경 크기보다 작은 양만큼 제2 외측 코일에 인접한 내측 코일의 외부 직경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반경 방향 거리는, 와이어 직경의 최대 약 75%,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직경의 최대 약 50%이다. 반경 방향 거리의 이러한 제한은, 본 발명에 따르면, 나선형 스프링의 제1 또는 제2 코일의 적어도 외측 단부 상에 적용되어야 하는데, 즉 전체 외측 코일에 걸쳐 그러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나선형 스프링이 생산 공정 중에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의 장착 공정에서 지연을 초래할 수 있는, 서로 맞물리거나 또는 서로 얽히지 않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반경 방향 거리는, 나선형 스프링의 서로 인접한 코일들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직경의 적어도 약 15% 또는 적어도 약 0.5 mm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표면 코팅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나선형 스프링은, 적어도 1.2 코일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4 코일에 걸쳐,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코일에 걸쳐, 지지된다. 즉,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스프링의 외측 코일의 외측 단부뿐만 아니라, 제1 외측 코일 전체 외에도 추가적으로 이를 뒤따르는 내측 코일의 일 부분도 또한 예를 들어 카트리지 하우징 상에 접한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카트리지 하우징 내로의 나선형 스프링의 힘의 도입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나선형 스프링의 내측 코일의 적어도 일 부분이, 나선형 스프링의 원통형 세그먼트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나선형 스프링은,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순수한 이중의 원추형 스프링보다 작은 킹크(kink) 기울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건조제 컨테이너의 제2 하우징 부분 상에, 나선형 스프링을 위치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요소가 제공된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스프링의 설치된 상태에서 나선형 스프링 내로 나선형 스프링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 코일 내로 돌출하는 내측 가이드 요소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요소에 의해,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의 조립 중에 나선형 스프링의 위치 설정이 간소화될 수 있고, 설치 상태에서 나선형 스프링의 정확한 위치의 유지가 지원될 수 있다. 내측 가이드 요소는 특히 예를 들어 내측 가이드 요소 상에 중심 설정될 수 있는 나선형 스프링의 중앙 원통형 세그먼트와 조합되는 경우 이점이 있다. 이 경우, 내측 가이드 요소는, 나선형 스프링의 설치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나선형 스프링의 원통형 세그먼트의 내측 코일을 통해 내측 코일 내로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가이드 요소는, 나선형 스프링의 설치된 상태에서, 나선형 스프링 내로 나선형 스프링의 높이의 적어도 1/4,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3까지 돌출한다. 또한, 건조제 컨테이너의 제2 하우징 부분 상에 가이드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한데, 그 이유는, 이러한 설계가, 예를 들어 카트리지 하우징의 내부 측면 상에 가이드 요소를 부착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비용 효율적으로 구현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나선형 스프링의 와이어는, 전체 길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원형인 횡단면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나선형 스프링은, 이미 연마 없이 외측 코일의 최대 접촉면을 예를 들어 카트리지 하우징 상에서 달성하기 때문에, 종래의 나선형 스프링의 사용에서와 같은 스프링 단부의 연마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생산 비용은 낮게 유지될 수 있고, 부식 방지의 목적으로 스프링 단부의 최종 코팅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단부가 연마될 필요가 없고, 후속 코팅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코팅된 와이어가 나선형 스프링으로 권취될 수 있다. 부식 방지의 목적으로, 나선형 스프링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코팅된 와이어가 사용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나선형 스프링의 제조를 위해 코팅되지 않은 와이어의 사용이 또한 고려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건조제 컨테이너는 카트리지 하우징에 의해 직접 둘러싸이고, 나선형 스프링은, 한편으로 건조제 컨테이너의 제2 하우징 부분 상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카트리지 하우징 상에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스프링은, 카트리지 하우징의 외측으로 만곡된 커버 세그먼트 상에 지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건조제 컨테이너와 카트리지 하우징 사이에서, 건조제 컨테이너의 제1 하우징 부분에 대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는 커버가 배치된다. 이 경우, 나선형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한편으로 건조제 컨테이너의 제2 하우징 부분 상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커버 상에 지지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체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가 교체될 필요가 없고, 카트리지 하우징 없이 내부 유닛만 교체되어야 한다. 커버는 바람직하게는 스냅 연결을 통해 건조제 컨테이너의 제1 하우징 부분 상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대상은 또한,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를 위한 나선형 스프링이다.
본 발명은 특히 유리하게는 상용 차량의 압축 공기 처리 시스템을 위한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이점, 특징 및 적용 가능성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후술되는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 대부분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은 종래의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의 확대된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의 확대된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의 확대된 상세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종래의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의 구조가 우선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종래의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2는 이러한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에 사용되는 나선형 스프링(9)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는 전형적으로 밀폐된 하우징 커버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15)와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구(16)를 갖는 플랜지(14)를 갖는 카트리지 하우징(5)을 포함한다. 카트리지 하우징(5) 내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건조제(과립)(4)로 채워진 건조제 컨테이너가 배치되고, 상기 건조제 컨테이너는 복수의 공기 유동 개구를 갖는 제1 하우징 부분(2) 및 복수의 공기 유동 개구(34)를 갖는 과립 커버로 설계된 제2 하우징 부분(3)을 포함한다. 플랜지(14)는, 바닥 판(17)에 의해 카트리지 하우징(5) 상에 부착되고, 바닥 판(17)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에서, 플랜지형 시임(seam)을 통해 카트리지 하우징(5)과 연결된다.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를 에어 드라이어 하우징에 장착하기 위해, 플랜지(14)는 공기 배출구(16)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네크 상에 내부 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나사산을 통해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는 에어 드라이어 하우징 상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14)와 건조제 컨테이너의 제1 하우징 부분(2)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필터 요소(7)가 배치되며, 상기 필터 요소에서는 도 1의 실시예에서 공기 유입구(15)를 통해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 내로 들어오는 압축 공기가 건조제 컨테이너의 반경 방향으로 흐른다. 필터링 후에, 압축 공기는 카트리지 하우징(5)과 건조제 컨테이너의 제1 하우징 부분(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위쪽으로 흐르고, 공기 유동 개구(34)를 통해 제2 하우징 부분(3)에서 건조제 컨테이너의 내부에 도달한다. 건조제(4)의 유동 후에 습기가 제거된 압축 공기는 제1 하우징 부분(2) 내의 공기 유동 개구 및 공기 배출구(16)를 통해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로부터 배출된다.
제2 하우징 부분(3)은, 제1 하우징 부분(2)의 컨테이너 개구(6) 내로 (도 1에서 상부-하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건조제 커버로서 설계된다. 건조제(과립)(4)는,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의 사용 기간에 걸쳐 건조제 컨테이너 내에서 한정된 공기 통로 횡단면이 유지되도록, 정해진 예압 하에 유지된다. 카트리지 하우징(5)과 건조제 컨테이너 사이에는, 한편으로 건조제 컨테이너의 제2 하우징 부분(3) 상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카트리지 하우징(5)의 만곡된 하우징 커버 상에 지지되는, 나선형 스프링(9)이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에서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복수의 코일을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나선형 스프링(9)이 사용된다. 나선형 스프링(9)과 카트리지 하우징(5) 사이의 접촉면을 증가시키기 위해, 특히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나선형 스프링(9)에는 연마된 단부(91)가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나선형 스프링(9)의 단부 상에서 날카로운 에지가 카트리지 하우징(5) 내로 가압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나선형 스프링(9)의 연마된 단부(91)에는 일반적으로 부식 방지의 목적으로 코팅이 제공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의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와 상이한 점은 건조제 컨테이너 내에서의 건조제의 정해진 예압 적용을 위한 나선형 스프링의 설계에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의 구조 및 작동은, 상기 설명된 종래의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의 구조 및 작동에 대응한다.
특히, 이러한 실시예의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는, 플랜지(14) 및 바닥 판(17) 그리고 제1 하우징 부분(2)과 제2 하우징 부분(3)으로부터 형성된 건조제 컨테이너를 갖는 카트리지 하우징(5)을 건조제(과립)(4)를 수용하기 위해 포함한다. 제2 하우징 부분(3)은, 건조제 커버로서 작용하며, 제1 하우징 부분(2)의 컨테이너 개구(6)에서 제1 하우징 부분(2)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특히,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하우징 부분(3)에는 압축 공기가 필터 요소(7)를 통과한 후에 건조제 컨테이너의 내부에 도달할 수 있는 복수의 공기 유동 개구(34)가 제공되어, 그 내부에 수용되는 건조제(4)를 통해 습기가 제거된다.
또한, 제2 하우징 부분(3) 상에 복수의 가이드 요소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핀으로서 설계되어 중앙에 배치되는, 내측 가이드 요소(31)가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내측 가이드 요소(31)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배치되는 환형의 외측 가이드 요소(32)가 제공된다. 이러한 가이드 요소들(31, 32)은,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의 조립 시 나선형 스프링(1)의 위치 설정을 위해 사용되며 그리고 사용 기간에 걸쳐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의 정확한 위치에서의 나선형 스프링(1)의 유지를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고, 단지 내측 가이드 요소(31)만이 제공되거나 또는 외측 가이드 요소(32)만이 제공될 수도 있다.
건조제 컨테이너의 제2 하우징 부분(3)이, 제1 하우징 부분(2)에 대해 그리고 카트리지 하우징(5)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반면에,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5)와 건조제 컨테이너의 제1 하우징 부분(2)은 서로에 대해 움직이지 않게 배치된다. 따라서, 건조제(4)는 건조제 컨테이너 내에서 나선형 스프링(1)에 의해 정해진 예압 하에 유지될 수 있고, 나선형 스프링(1)은 건조제 컨테이너의 제2 하우징 부분(3)과 카트리지 하우징(5)의 외측으로 만곡된 하우징 커버 사이에서 지지된다.
종래의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의 나선형 스프링(1)은 순수한 원통형 형상을 갖지 않는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스프링(1)은 제1 (도 3 및 도 4에서 상부) 단부에 제1 외측 코일(11)을 그리고 제2 (도 3 및 도 4에서 하부) 단부에 제2 외측 코일(13)을 구비한다. 그 사이에 복수의 내측 코일(12)이 위치한다.
나선형 스프링(1)의 외측 코일(11, 13)은 각각, 내측 코일(12)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도 4에서 나선형 스프링(1)은 설치된 압축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코일의 직경 차이로 인해, 제2 외측 코일(13)은 인접한 내측 코일(12)과 접하지 않고, 압축되는 동안 위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외측 코일(11)은 그의 인접한 내측 코일(12)과 접하지 않고, 압축되는 동안 대략 아래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측 코일(11)은 이 경우, 인접한 내측 코일(12)과 접촉하지 않고, 카트리지 하우징(5)의 오목한 내부 윤곽의 넓은 영역에 걸쳐 놓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외측 코일(11, 13)은, 인접한 이러한 내측 코일(12)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단지 작은 거리만을 가지므로, 나선형 스프링은 제조 공정에서 서로 맞물리거나 또는 서로 얽힐 수 없다. 이러한 거리는, 나선형 스프링의 와이어 직경에 따라, 나선형 스프링(1)의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예를 들어 약 0.5 mm 내지 약 1.5 mm의 범위에 놓인다. 일반적으로, 서로 인접한 코일 사이의 이러한 반경 방향 거리는, 예를 들어 와이어 직경의 최대 약 50% 그리고 와이어 직경의 적어도 약 15%이다. 코일 사이의 반경 방향 거리의 제한은, 특히 나선형 스프링(1)의 스프링 단부의 영역에서 요구되며, 외측 전체 코일(11, 13)에 걸쳐 요구되지는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카트리지 하우징(5) 상에 나선형 스프링(1)의 개선된 힘의 분배를 위해, 나선형 스프링(1)이, 예를 들어 카트리지 하우징(5)의 하우징 커버 상에, 약 1.5 코일에 걸쳐 접하는 경우, 이점이 존재한다.
카트리지 하우징(5) 상의 나선형 스프링(1)의 양호한 힘의 분배를 통해, 순수한 원통형 나선형 스프링(9)을 갖는 종래의 구조와 비교하여 카트리지 하우징(5)은 보다 작은 벽 두께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재료 절감과 중량 감소를 발생시킨다.
또한, 2개의 외측 코일(11, 13) 및 내측 코일들(12)의 기하학적 구조는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이것은 도 4에 도시된 나선형 스프링(1)이, 동일한 기능으로 역전된 배향으로, 즉 "거꾸로"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스프링(1)은 연마된 단부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나선형 스프링(9)의 제조에 요구되는 증가된 제조 비용이 제거된다. 따라서, 종래의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에서, 나선형 스프링(9)을 위해 일반적으로 코팅되지 않은 와이어가 사용되고, 상기 코팅되지 않은 와이어가 나선형 스프링으로 권취되며, 외측 코일의 스프링 단부가 연마됨에 따라, 나선형 스프링의 와이어는 부식 방지를 목적으로 코팅되어야 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의 나선형 스프링(1)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코팅된 와이어가 사용되어 권취될 수 있으므로, 연마 및 코팅의 부가적인 제조 단계가 제거된다.
제2 하우징 부분(3)의 내측 가이드 요소(31)의 가이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내측 코일(12)의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세그먼트를 형성한다. 나선형 스프링(1)에 대한 개선된 위치 가이드 외에도, 이러한 실시예는 순수한 이중의 원추형 스프링에 비해 감소된 나선형 스프링(1)에서의 킹크 기울기를 형성한다. 내측 가이드 요소(31)는, 나선형 스프링(1)의 설치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스프링(1)의 원통형 세그먼트의 적어도 하나의 완전한 내측 코일(12)을 통해 내부로 돌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측 가이드 요소(31)는, 나선형 스프링(1)의 높이의 절반 이상까지 내부로 돌출한다. 내측 가이드 요소(31)는, 마찬가지로 나선형 스프링(1)의 킹크 위험을 감소시킨다.
내측 코일(12)의 더 작은 직경으로 인해, 도 1 및 도 2의 종래의 원통형의 나선형 스프링(9)과 비교하여, 스프링력이 감소되지 않고도, 보다 낮은 와이어 강도를 갖는 나선형 스프링(1)이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재료와 중량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증된 실시예에서, 나선형 스프링(1)의 높이는,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약 55 mm이고, 나선형 스프링의 외측 코일(11, 13)의 외부 직경은 최대 약 41 mm이며, 예를 들어 내측 코일(12)의 내부 직경은 약 17 mm이고, 약 2.5개의 원통형 내측 코일(12)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도시되지 않음), 제2 외측 코일(13)이 실질적으로 내측 코일(12)과 같은 동일한 직경을 갖는 가운데, 나선형 스프링(1)은,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1 외측 코일(11)만을 갖는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의 구조를 도시한다.
이러한 제2 실시예의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와 제1 실시예의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의 차이점은, 특히 카트리지 하우징의 설계 및 에어 드라이어 하우징에의 장착에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는, 플랜지(14) 상의 총검형 돌출부(18)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예를 들어 스냅핑된 카트리지 하우징(5), 및 제1 하우징 부분(2)과 제2 하우징 부분(3)으로 형성되는 건조제 컨테이너를, 건조제(과립)(4)을 수용하기 위해 포함한다. 제2 하우징 부분(3)은 건조제 커버로서 작용하고, 제1 하우징 부분(2)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제1 하우징 부분(2)의 컨테이너 개구(6)에 삽입된다. 특히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하우징 부분(3)에는 압축 공기가 필터 요소(7)를 통과한 후에 건조제 컨테이너의 내측으로 도달할 수 있는 복수의 공기 유동 개구(34)가 제공되어, 그 안에 수용되는 건조제(4)를 통해 습기가 제거된다.
제2 하우징 부분(3) 상에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원통형 핀으로 설계되어 중앙에 배치되는 내측 가이드 요소(31)가 제공된다. 이러한 내측 가이드 요소(31)는,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의 조립 시 나선형 스프링(1)의 위치 설정을 위해 사용되며, 그리고 사용 기간에 걸쳐 정확한 위치에서의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의 나선형 스프링(1)의 유지를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 요소는 또한, 생략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 하우징(5)의 커버 세그먼트와 건조제 컨테이너 사이에, 추가적인 커버(20)가 배치된다. 이러한 커버(20)는, 건조제 컨테이너의 제1 하우징 부분(2)에 고정되어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커버(20) 상의 제1 연결 요소(22)와 건조 상태의 제1 하우징 부분(2)의 제2 연결 요소(24)를 포함하는 스냅 연결로서 설계된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요소(22)는, 커버(20)에 의해 건조제 컨테이너 주위에서 안내되고, 타이 앵커(tie anker)와 같은 방식으로 건조제 컨테이너의 제1 하우징 부분(2) 상의 돌출부로서 설계된 제2 연결 요소(24) 후방에 결합되는, 벨트로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하우징 부분(2) 및 커버(20)에 대해 건조제 컨테이너의 제2 하우징 부분(3)이 이동 가능한 반면, 카트리지 하우징(5) 내부의 커버(20)와 건조제 컨테이너의 제1 하우징 부분(2)은 서로에 대해 움직이지 않게 배치된다. 따라서, 건조제(4)는, 나선형 스프링(1)에 의해 건조제 컨테이너 내에서 정해진 예압 하에 유지될 수 있고, 나선형 스프링(1)은, 건조제 컨테이너의 제2 하우징 부분(3)과 외측으로 만곡된 커버(20) 사이에 지지된다.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의 이러한 구조의 유형은,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나선형 스프링(1)을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예를 들어 구조 및 기능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그 전체가 참고 문헌으로 인용되는 EP 2 448 801 B1호로부터 공지된다.
본 실시예의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의 나선형 스프링(1)은, 도 3 및 도 4의 제1 실시예의 나선형 스프링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커버(20) 상으로의 나선형 스프링(1)의 양호한 힘의 분배를 통해, 이러한 커버(20)는 순수한 원통형 나선형 스프링(9)을 갖는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보다 작은 벽 두께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재료 절감과 중량 감소를 발생시킨다.
1: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스프링
2: 건조제 컨테이너의 제1 하우징 부분
3: 건조제 컨테이너의 제2 하우징 부분, 특히 건조제 커버 또는 과립 커버
4: 건조제, 특히 건조제 과립
5: 카트리지 하우징 6: 컨테이너 개구
7 필터 요소
9: (종래 기술에 따른) 나선형 스프링
10: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 11: 제1 외측 코일
12: 내측 코일 13: 제2 외측 코일
14: 플랜지 15: 유입구
16: 배출구 17: 바닥 판
18: 총검형 돌출부 20: 커버
22: 커버(20) 상의 커버 상의 제1 연결 요소
24: 제1 하우징 부분(2) 상의 제2 연결 요소
31: 내측 가이드 요소, 특히 핀
32: 외측 가이드 요소 34: 공기 유동 개구
91: 9의 연마된 단부

Claims (14)

  1.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로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제1 하우징 부분(2) 및 제2 하우징 부분(3)을 구비하는 건조제(4)를 저장하기 위한 건조제 컨테이너;
    상기 건조제 컨테이너를 수용하기 위한 카트리지 하우징(5); 및
    복수의 코일(11, 12, 13)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건조제 컨테이너의 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 부분(3)에 예압을 가하는, 나선형 스프링(1)
    을 포함하는 것인,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제1 단부의 제1 외측 코일(11)이,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내측 코일(12)보다 더 큰 직경을 갖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상기 제1 외측 코일(11)은,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인접한 내측 코일(12)로부터 이격되거나;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상기 제2 단부의 제2 외측 코일(13)은,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인접한 내측 코일(12)로부터 이격되거나; 또는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상기 제1 외측 코일(11)은,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인접한 내측 코일(12)로부터 이격되며, 그리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상기 제2 외측 코일(13)은,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인접한 내측 코일(12)로부터 이격되는 것이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단부에서의 상기 제1 외측 코일(11)의 내부 직경은,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와이어 직경 크기보다 작은 양만큼 상기 제1 외측 코일(11)에 인접한 상기 내측 코일(12)의 외부 직경보다 크거나;
    제2 단부에서의 상기 제2 외측 코일(13)의 내부 직경은,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와이어 직경 크기보다 작은 양만큼 상기 제2 외측 코일(13)에 인접한 상기 내측 코일(12)의 외부 직경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단부에서의 상기 제1 외측 코일(11)의 내부 직경은,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와이어 직경 크기보다 작은 양만큼 상기 제1 외측 코일(11)에 인접한 상기 내측 코일(12)의 외부 직경보다 크며, 그리고 제2 단부에서의 상기 제2 외측 코일(13)의 내부 직경은,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와이어 직경 크기보다 작은 양만큼 상기 제2 외측 코일(13)에 인접한 상기 내측 코일(12)의 외부 직경보다 큰 것인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상기 제2 단부의 제2 외측 코일(13)이,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내측 코일(12)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것인,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상기 제1 외측 코일(11) 및 상기 제2 외측 코일(13)은, 서로 동일한 기하학적 구조를 구비하는 것인,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은, 상기 건조제 컨테이너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된 표면에 대해 지지되는 것인,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
  5. 삭제
  6. 삭제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은, 적어도 1.2 코일에 걸쳐, 상기 건조제 컨테이너의 상기 제2 하우징 부분(3)의 대향하는 측면 상에 지지되는 것인,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상기 내측 코일(12)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원통형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것인,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제 컨테이너의 상기 제2 하우징 부분(3) 상에,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을 위치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요소(31, 32)가 제공되는 것인,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요소(31, 32)는,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1) 내로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 코일(12) 내로 돌출하는, 내측 가이드 요소(31)를 포함하는 것인,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
  11.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와이어가, 전체 길이에 걸쳐 원형인 횡단면을 갖는 것인,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
  12.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은, 상기 건조제 컨테이너의 상기 제2 하우징 부분(3) 상에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5) 상에 지지되는 것인,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
  13.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제 컨테이너와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5) 사이에, 상기 건조제 컨테이너의 상기 제1 하우징 부분(2)에 대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는, 커버(20)가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은, 상기 건조제 컨테이너의 상기 제2 하우징 부분(3) 상에 그리고 상기 커버(20) 상에 지지되는 것인,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
  14. 복수의 코일(11, 12, 13)을 구비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10)를 위한 나선형 스프링(1)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제1 단부의 제1 외측 코일(11) 또는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제2 단부의 제2 외측 코일(13)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 코일(12)보다 더 큰 직경을 갖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상기 제1 외측 코일(11)은,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인접한 내측 코일(12)로부터 이격되거나;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상기 제2 외측 코일(13)은,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인접한 내측 코일(12)로부터 이격되거나; 또는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상기 제1 외측 코일(11)은,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인접한 내측 코일(12)로부터 이격되며, 그리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상기 제2 외측 코일(13)은,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인접한 내측 코일(12)로부터 이격되는 것이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단부에서의 상기 제1 외측 코일(11)의 내부 직경은,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와이어 직경 크기보다 작은 양만큼 상기 제1 외측 코일(11)에 인접한 상기 내측 코일(12)의 외부 직경보다 크거나;
    제2 단부에서의 상기 제2 외측 코일(13)의 내부 직경은,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와이어 직경 크기보다 작은 양만큼 상기 제2 외측 코일(13)에 인접한 상기 내측 코일(12)의 외부 직경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단부에서의 상기 제1 외측 코일(11)의 내부 직경은,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와이어 직경 크기보다 작은 양만큼 상기 제1 외측 코일(11)에 인접한 상기 내측 코일(12)의 외부 직경보다 크며, 그리고 제2 단부에서의 상기 제2 외측 코일(13)의 내부 직경은, 상기 나선형 스프링(1)의 와이어 직경 크기보다 작은 양만큼 상기 제2 외측 코일(13)에 인접한 상기 내측 코일(12)의 외부 직경보다 큰 것인 나선형 스프링.
KR1020187027865A 2016-03-01 2017-02-23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 및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용 나선형 스프링 KR102633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002385.6A DE102016002385A1 (de) 2016-03-01 2016-03-01 Lufttrocknerpatrone und Schraubenfeder für Lufttrocknerpatrone
DE102016002385.6 2016-03-01
PCT/EP2017/054115 WO2017148778A1 (de) 2016-03-01 2017-02-23 Lufttrocknerpatrone und schraubenfeder für lufttrocknerpatr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715A KR20180118715A (ko) 2018-10-31
KR102633609B1 true KR102633609B1 (ko) 2024-02-02

Family

ID=58185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865A KR102633609B1 (ko) 2016-03-01 2017-02-23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 및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용 나선형 스프링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007992B2 (ko)
EP (1) EP3423317B1 (ko)
JP (1) JP6726294B2 (ko)
KR (1) KR102633609B1 (ko)
CN (1) CN109070865B (ko)
BR (2) BR122023027225A2 (ko)
DE (1) DE102016002385A1 (ko)
ES (1) ES2832601T3 (ko)
PL (1) PL3423317T3 (ko)
RU (1) RU2709695C1 (ko)
WO (1) WO20171487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90041S1 (en) 2019-03-28 2020-07-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ront lower valance
EP4265319A1 (en) 2020-12-18 2023-10-25 Semyungtech Co., Ltd. Air dryer cartridge
KR102248424B1 (ko) 2020-12-18 2021-05-06 주식회사 세명테크 공기 건조기 카트리지
KR102248425B1 (ko) 2020-12-18 2021-05-06 주식회사 세명테크 공기 건조기 카트리지
JP2022135698A (ja) * 2021-03-05 2022-09-15 日立Astemo株式会社 電磁式燃料噴射弁
CN113928295B (zh) * 2021-11-08 2022-06-21 常德天工机械有限公司 一种汽车储气筒支架的抗震用稳定部件
KR102490306B1 (ko) 2021-11-22 2023-01-19 (주)라피엔 상용차용 공기 건조기 카트리지
KR102438981B1 (ko) 2021-11-22 2022-09-01 주식회사 세명테크 상용차용 공기 건조기 카트리지의 프리 필터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건조기 카트리지
KR102639500B1 (ko) 2022-04-13 2024-02-22 주식회사 세명테크 필터 바디 교체형 공기 건조기 카트리지
KR102497198B1 (ko) 2022-09-14 2023-02-07 (주)라피엔 상용차용 공기 건조기 카트리지
KR102576195B1 (ko) 2022-12-09 2023-09-07 (주)성한정공 공기 건조기 카트리지용 분리 교체형 하우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4598A1 (de) * 1993-11-22 1995-06-01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Trocknungspatrone für lufttrocknungsanlagen, insbesondere für druckluftbremsanlagen von fahrzeuge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11725C2 (de) 1980-03-26 1982-09-16 Knorr-Bremse GmbH, 8000 München Lufttrockner für eine Druckluftanlage
US4487617A (en) * 1983-08-22 1984-12-11 The Bendix Corporation Mechanism for cleaning and drying compressed gases
JPH045218U (ko) * 1990-05-04 1992-01-17
US5209764A (en) * 1991-08-20 1993-05-11 Allied Signal Inc. Compressed air system with twin air dryers
DE4409871C2 (de) * 1994-03-22 2001-08-30 Knorr Bremse Systeme Trocknungspatrone für Lufttrocknungsanlagen von Druckluftbremsanlagen von Fahrzeugen
US5595588A (en) 1995-07-24 1997-01-21 Alliedsignal Truck Brake Systems Co. Air dryer cartridge mounting system
DE19721230A1 (de) 1997-05-21 1998-11-26 Knecht Filterwerke Gmbh Gastrocknerpatrone
US6730143B1 (en) * 2002-11-18 2004-05-04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Truck air dryer purge air cleaner
EP1626796B2 (en) * 2003-05-19 2020-11-18 WABCO GmbH Air dryer cartridge
US7544234B2 (en) * 2006-01-26 2009-06-09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Vehicle air system having an indicator device and method
DE102007034435A1 (de) * 2007-07-20 2009-01-22 Mann + Hummel Gmbh Trockenmittelbox zum Entfeuchten von Luft
DE102009030897B4 (de) 2009-06-29 2015-02-2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Lufttrocknerpatrone für eine Druckluftaufbereitungsanlage eines Fahrzeugs und Druckluftaufbereitungsanlage für ein Fahrzeug mit einer entsprechenden Lufttrocknerpatrone.
DE102010010882B4 (de) * 2010-03-10 2021-10-21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Lufttrocknerpatro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Lufttrocknerpatrone
US8557030B2 (en) * 2011-04-06 2013-10-15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Air dryer assembly
DE102012007475A1 (de) * 2012-04-13 2013-10-17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Lufttrockner mit eine Membrane beinhaltender Regenerationsluft-Schalteinrichtung
DE102012105137A1 (de) 2012-06-13 2013-12-19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Lufttrocknerpatro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ufttrocknerpatrone
US8852327B1 (en) * 2013-03-14 2014-10-07 Haldex Brake Products Corporation Air dryer cartridge with integrated check valve
CN203329586U (zh) * 2013-05-13 2013-12-11 浙江诸暨东港液压机械有限公司 一种低噪声车用空气干燥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4598A1 (de) * 1993-11-22 1995-06-01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Trocknungspatrone für lufttrocknungsanlagen, insbesondere für druckluftbremsanlagen von fahrzeu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07992B2 (en) 2021-05-18
CN109070865B (zh) 2021-07-06
JP6726294B2 (ja) 2020-07-22
KR20180118715A (ko) 2018-10-31
PL3423317T3 (pl) 2021-02-08
RU2709695C1 (ru) 2019-12-19
BR122023027225A2 (pt) 2024-01-23
ES2832601T3 (es) 2021-06-10
WO2017148778A1 (de) 2017-09-08
EP3423317B1 (de) 2020-08-19
US20180370516A1 (en) 2018-12-27
EP3423317A1 (de) 2019-01-09
DE102016002385A1 (de) 2017-09-07
CN109070865A (zh) 2018-12-21
BR112018017305A2 (pt) 2019-01-02
BR112018017305B1 (pt) 2024-04-30
JP2019513077A (ja)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3609B1 (ko)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 및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용 나선형 스프링
US8657939B2 (en) Air dryer cartridge for a compressed air treatment system of a vehicle
US5851269A (en) Air desiccant canister for an air brake system
KR102121084B1 (ko)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 및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US6076272A (en) Single plate compaction and seal design for a compressed air dryer
KR20190008330A (ko) 특히 상용 차량의 압축 공기 준비 유닛을 위한 압축 공기 준비 시스템
US8663375B2 (en) Oil suppressing structure in air drying device
US20140265081A1 (en) Elastic sheet and suspension apparatus
US8852327B1 (en) Air dryer cartridge with integrated check valve
US8906145B2 (en) Compressed air supply device for a utility vehicle and air dryer cartridge
CN105522880B (zh) 用于车辆车轮悬架的弹簧隔振器和车辆车轮悬架
CN108698581B (zh) 空气干燥筒
KR102438981B1 (ko) 상용차용 공기 건조기 카트리지의 프리 필터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건조기 카트리지
CN108698582B (zh) 空气干燥筒
JP2009183882A (ja) 圧縮空気乾燥装置
US10995878B2 (en) Air control valve and device for a cabin suspension system of a motor vehicle
RU2718930C1 (ru) Воздухоосушительный патрон
CN110303852A (zh) 用于车辆部件壳体的紧固系统
CN114270084B (zh) 止回阀设备
RU27830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тного клапана
KR102490306B1 (ko) 상용차용 공기 건조기 카트리지
JP6662029B2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用ドライヤ
CN107013533B (zh) 用于能松地固定干燥剂筒在空气制备设备的壳体处的装置
CN114270084A (zh) 止回阀设备
JP2015089526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用ドラ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