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578B1 -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 - Google Patents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578B1
KR102633578B1 KR1020230174574A KR20230174574A KR102633578B1 KR 102633578 B1 KR102633578 B1 KR 102633578B1 KR 1020230174574 A KR1020230174574 A KR 1020230174574A KR 20230174574 A KR20230174574 A KR 20230174574A KR 102633578 B1 KR102633578 B1 KR 102633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cover
soft bag
waste
main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4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엽
Original Assignee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30174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5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5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6Details of, or accessories to, th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8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 B65D33/20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8Large containers flexible bellows-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을 투입하기 위한 유입구가 개방된 상태와 몸체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태를 별도의 거치대 없이도 자체적으로 유지되게 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폐기물이 수용된 몸체를 간단하게 압축시켜 밀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밀봉작업의 번거로움이 없고 부피를 줄여 금속재 드럼에 더 많은 양의 폐기물을 저장할 수 있는 폐기물 저리용 소프트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소프트백은, 굴곡변형이 가능하고 유입구를 가지는 자루 형태의 몸체와, 굴곡변형이 가능하고 상기 몸체의 유입구에 일측이 연결된 덮개와, 몸체의 유입구와 이에 대향하는 위치의 덮개에 구비되어 몸체의 유입구를 덮개로 밀봉 가능하게 개폐하기 위한 패스너와, 몸체에 설치되어 유입구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유지부재와, 몸체 또는 덮개에 구비되어 몸체 내부의 공기는 배출 가능하게 하고 외부의 공기는 몸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배기용 체크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Soft bag for waste disposal}
본 발명은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력발전소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방사성 폐기물을 금속재 드럼 내에 저장하기 전에 1차적으로 수용하여 더욱 안전하게 밀봉하기 위한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와 같이 방사성이 방출되는 장소에서 사용되어 폐기되는 물품은 금속재 드럼 내에 저장하여 보관하도록 되어 있으며, 폐기물을 더욱 안전하게 폐기 처리하기 위해 폐기물이 조금씩 발생할 때마다 1차적으로 합성수지재로 된 소프트백에 넣어 수용한 후, 소프트백에 일정량의 폐기물이 수용 되면, 완전 밀봉하여 금속재 드럼에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소프트백의 종래예로서, 국내 공개특허 10-2022-0059618호를 통해 알려진 '방사성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소프트백은, 폐기물이 투입되는 유입구를 구비한 자루 형상으로 구성되고, 유입구에는 유입구의 수시개폐 또는 선택적으로 기밀상태로 밀봉하기 위한 개폐벨트가 구비된 구성이다.
따라서 개방된 유입구를 통해 폐기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일정량 채워지면 유입구를 개폐벨트로 밀봉한 후, 도시하지 않은 금속재 드럼 내에 수용하여 저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소프트백은 고분자계 물질 원단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유입구를 개방하여 몸체를 입체적으로 펼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유지를 위한 별도의 거치대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폐기물이 채워진 소프트백을 금속재 드럼 내에 수용할 때 부피가 크면 많은 양을 저장하기 어려운데 종개기술의 소프트백은 수용된 폐기물의 부피를 줄이기 위한 압축작업이 쉽지 않기 때문에 금속재 드럼에 수용할 수 있는 저장량이 적어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폐기물을 투입하기 위한 유입구가 개방된 상태와 몸체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태를 별도의 거치대 없이도 자체적으로 유지되게 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폐기물이 수용된 몸체를 간단하게 압축시켜 밀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밀봉작업의 번거로움이 없고 부피를 줄여 금속재 드럼에 더 많은 양의 폐기물을 저장할 수 있는 폐기물 저리용 소프트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굴곡변형이 가능하고 유입구를 가지는 자루 형태의 몸체; 굴곡변형이 가능하고 상기 몸체의 유입구에 일측이 연결된 덮개; 상기 몸체의 유입구와, 이에 대향하는 위치의 덮개에 구비되어 몸체의 유입구를 덮개로 밀봉 가능하게 개폐하기 위한 패스너;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유입구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유지부재; 및 상기 몸체 또는 덮개에 구비되어 몸체 내부의 공기는 배출 가능하게 하고, 외부의 공기는 몸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배기용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단둘레와, 이에 대향하는 덮개의 하단둘레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열융착 가능하게 된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는,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자체탄성을 가지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몸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코일스프링인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덮개는, 기밀 및 수밀을 위한 합성수지재의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 양쪽에 일체적으로 적층되고 강화섬유포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보강층과, 상기 내측의 제1 보강층의 내측에 일체저으로 적층되고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방진층으로 구성된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굴곡변형이 가능하고 유입구를 가지는 자루 형태의 몸체; 굴곡변형이 가능하고 상기 몸체의 유입구에 일측이 연결된 덮개; 상기 몸체의 유입구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유입구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유지부재; 상기 몸체의 상단둘레와, 이에 대향하는 덮개의 하단둘레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열융착 가능하게 된 밀봉부; 및 상기 몸체 또는 덮개에 구비되어 몸체 내부의 공기는 배출 가능하게 하고, 외부의 공기는 몸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배기용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단둘레와, 이에 대향하는 위치의 덮개에 구비되어 몸체의 유입구를 덮개로 개폐 가능하게 하는 패스너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소프트백에 의하면, 몸체에 설치된 유지부재가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는 유입구의 개방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몸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별도의 거치대에 매번 몸체를 설치하여 유입구를 개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고, 이로 인해 소프트백의 사용시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몸체의 유입구를 밀봉한 후,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소프트백을 최대한 수축시켜 부피를 감소시키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소프트백의 부피 감소로 금속재 드럼에 더 많은 양의 폐기물을 수용할 수 있어 효율성이 더욱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백의 사용전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백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백의 밀봉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백의 수축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백을 금속재 드럼에 저장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백의 사용전과 사용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프트백은, 유입구(11)를 가지는 자루 형태의 몸체(10)와, 몸체(10)의 유입구(11)를 덮기 위한 덮개(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와 덮개(20)는 굴곡변형이 가능한 재질을 복수개의 층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공기와 물을 차단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재,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재질의 방수층(10a)으로 기밀 및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방수층(10a) 양쪽에 강화섬유포, 예를 들면 나일론 소재로 된 제1 및 제2 보강층(10b,10c)을 일체적으로 적층하며, 한쪽의 제1 보강층(10b)에 치밀한 조직의 부직포로 이루어진 방진층(10d)을 일체저으로 적층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몸체(10)는 제1 및 제2 보강층(10b,10c)에 의해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고, 방수층(10a)에 의해 기밀 및 수밀을 유지할 수 있으며, 방진층(10d)에 의해 폐기물이 유리섬유일 경우 방진 기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프트백은, 몸체(10)의 유입구(11) 둘레와 이에 대향하는 위치의 덮개(20)에 패스너가 구비되어 유입구(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패스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지퍼(31)를 이용한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지퍼(31)는 돌기와 홈으로 이루어져 밀봉 가능한 합성수지재의 지퍼, 예를 들어 지퍼백에 많이 사용하는 기밀 유지가 되는 지퍼를 이용하여 단일로 유입구(11)를 밀봉할 수도 있고, 후술하는 밀봉부(33a,33b)와 함께 2중으로 유입구(11)를 밀봉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밀봉부(33a,33b)만으로 유입구(11)를 밀봉할 경우, 패스너는 밀봉 가능하지 않은 지퍼(작은 이빨이 서로 맞물리는 방식) 또는 다른 개폐수단을 이용하여도 좋다.
몸체(10)에는 유지부재(32)가 설치되어 유입구(11)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몸체(10) 내부에 폐기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유지부재(32)는, 자체탄성을 가지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코일스프링으로 된 유지부재(32)의 상단을 몸체(10)와 고정함으로써 도 2에서와 같이 자체 탄성에 의해 몸체(10) 내부에 수용공간(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 1은 소프트백의 사용전 상태로서, 지퍼(31)를 닫아 몸체(10)의 유입구(11)를 덮개(20)로 폐쇄시킨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으로 된 유지부재(32)를 상하방향으로 압축시켜 도시하지 않은 끈으로 묶게 되면, 소프트백의 부피를 작게 한 상태로 유통시키거나 보관할 수 있고, 사용시에는 지퍼(31)를 열기만 하면 도 2에서와 같이 유지부재(32)의 자체 탄성에 의해 몸체(10)의 유입구(11)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2)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프트백은 몸체(10) 내부의 수용공간(12)을 외부로부터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부(33a,33b)와, 수용공간(12)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기 위한 배기용 체크밸브(34)를 포함한다.
밀봉부(33a,33b)는 몸체(10)의 상단둘레와, 이에 대향하는 덮개(20)의 하단둘레에 각각 형성되고, 밀봉부(33a,33b)를 열융착시키는 것에 의해 몸체(10)와 덮개(20) 사이를 외부와 완전히 차단하여 내부의 수용공간(12)을 밀봉시킬 수 있다.
배기용 체크밸브(34)는 몸체(10) 또는 덮개(20)에 구비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20)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기용 체크밸브(34)는 한쪽으로만 공기가 통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10) 내부의 수용공간(12)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수용공간(12)에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소프트백은, 지퍼(31)로 몸체(10)의 유입구(11)를 덮개(20)로 폐쇄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으로 된 유지부재(32)를 상하방향으로 압축시켜 도시하지 않은 끈으로 묶게 되면, 부피를 축소시킨 상태에서 유통시키거나 보관할 수 있어 취급이 편리하다.
이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끈을 풀고 지퍼(31)를 열면, 도 2에서와 같이 덮개(20)를 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유입구(11)를 개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압축되어 있던 유지부재(32)가 탄성복원하게 되므로, 유지부재(32)의 상단이 개방부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몸체(10) 내부에 원통형의 수용공간(12)이 형성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거치대를 마련하여 사용하는 번거로움 없이 개방된 유입구(11)를 통해 수용공간(12) 내에 폐기물을 넣을 수 있게 되므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수용공간(12)이 폐기물로 채워지면, 도 3에서와 같이 지퍼(31)를 닫아 몸체(10)의 유입구(11)를 덮개(20)로 폐쇄하고, 몸체(10)와 덮개(20)의 밀봉부(33a,33b)를 휴대용 열융착기로 열융착시키게 되면, 몸체(10)의 수용공간(12)을 외부와 완전히 차단하여 밀봉시킬 수 있다.
이어서, 덮개(20)에 구비된 배기용 체크밸브(34)에 도시하지 않은 공기흡입장치를 연결하여 수용공간(12)에 있는 공기를 강제 배기시키면, 몸체(10)가 수축되면서 폐기물과 밀착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소프트백의 부피가 감소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의 드럼(D) 내에 더 많은 소프트백(B)을 저장할 수 있어 폐기물 처리량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몸체 10a : 방수층
10b,10c : 제1 및 제2 보강층 10d : 방진층
11 : 유입구 12 : 수용공간
20 : 덮개 31 : 지퍼
32 : 유지부재 33a,33b : 밀봉부
34 : 체크밸브

Claims (6)

  1. 굴곡변형이 가능하고 유입구를 가지는 자루 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유입구를 덮기 위한 것으로, 굴곡변형이 가능하고 상기 몸체의 유입구에 일측이 연결된 덮개;
    상기 몸체의 유입구 둘레와, 이에 대향하는 위치의 덮개에 구비되어 몸체의 유입구를 덮개로 밀봉 가능하게 개폐하기 위한 패스너;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구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키고 몸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자체탄성을 가지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유지부재; 및
    상기 몸체 또는 덮개에 구비되어 몸체 내부의 공기는 배출 가능하게 하고, 외부의 공기는 몸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몸체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하는 배기용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단둘레와, 이에 대향하는 덮개의 하단둘레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열융착 가능하게 된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덮개는,
    기밀 및 수밀을 위한 합성수지재의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 양쪽에 일체적으로 적층되고 강화섬유포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보강층과, 상기 제1 보강층의 내측에 일체적으로 적층되고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방진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
  5. 굴곡변형이 가능하고 유입구를 가지는 자루 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유입구를 덮기 위한 것으로, 굴곡변형이 가능하고 상기 몸체의 유입구에 일측이 연결된 덮개;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구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자체탄성을 가지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유지부재;
    상기 몸체의 상단둘레와, 이에 대향하는 덮개의 하단둘레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열융착 가능하게 된 밀봉부; 및
    상기 몸체 또는 덮개에 구비되어 몸체 내부의 공기는 배출 가능하게 하고, 외부의 공기는 몸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몸체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하는 배기용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유입구 둘레와, 이에 대향하는 위치의 덮개에 구비되어 몸체의 유입구를 덮개로 개폐 가능하게 하는 패스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
KR1020230174574A 2023-12-05 2023-12-05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 KR102633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4574A KR102633578B1 (ko) 2023-12-05 2023-12-05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4574A KR102633578B1 (ko) 2023-12-05 2023-12-05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578B1 true KR102633578B1 (ko) 2024-02-05

Family

ID=89903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4574A KR102633578B1 (ko) 2023-12-05 2023-12-05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5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0330B1 (ko) * 2016-06-13 2017-06-26 민병윤 방사성 폐기물용 고건전성 용기
KR20220059618A (ko) * 2020-11-03 2022-05-10 주식회사 엘씨젠 방사성 폐기물 처분용 소프트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0330B1 (ko) * 2016-06-13 2017-06-26 민병윤 방사성 폐기물용 고건전성 용기
KR20220059618A (ko) * 2020-11-03 2022-05-10 주식회사 엘씨젠 방사성 폐기물 처분용 소프트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5253A (en) Suitcase with compressible packing system
US6499574B1 (en) Vacuum-packed luggag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826329A (en) Flexible bag, in particular for office machines
US6149305A (en) Waterproof container and method
CA2808758C (en) Luggage comprising a vacuum device
KR102633578B1 (ko)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
KR102633583B1 (ko) 폐기물 처리용 소프트백
KR20200120554A (ko) 에어타이트 폴딩 버클
US2474322A (en) Water filter carrying case
JP2001046133A (ja) 携帯電話用携帯袋
CN215099028U (zh) 一种食品检测用充气式样本存储箱
KR200305956Y1 (ko) 에어 박스
KR102119498B1 (ko) 낙엽수거용 봉투
US3872905A (en) Moistureproof container construction
CN219216076U (zh) 人工瓣膜的包装结构及包装系统
JP2541726Y2 (ja) 逆止弁付き収納袋
JP3082728U (ja) 土木工事用土塊収容袋
JP3107835U (ja) 土のう
CN212521032U (zh) 行李箱
CN207157850U (zh) 一种收纳袋及收纳用品套装
KR20210000269U (ko) 쓰레기 봉투
KR200216259Y1 (ko) 가방
CN211796052U (zh) 一种家用颗粒食物储存盒
JPH0640148Y2 (ja) 貯水用輸送袋
CN2293532Y (zh) 水泥、白灰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