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621B1 - 호미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호미 - Google Patents

호미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호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621B1
KR102632621B1 KR1020210069643A KR20210069643A KR102632621B1 KR 102632621 B1 KR102632621 B1 KR 102632621B1 KR 1020210069643 A KR1020210069643 A KR 1020210069643A KR 20210069643 A KR20210069643 A KR 20210069643A KR 102632621 B1 KR102632621 B1 KR 102632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e
blade
unit
rotating part
cut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1659A (ko
Inventor
김상철
박진성
진형준
배경라
김형석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69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621B1/ko
Publication of KR20220161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6Hoes; Hand cultivators
    • A01B1/065Hoes; Hand cultivators power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0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rotating tools such as weeding machines
    • A01B39/085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rotating tools such as weeding machines the rotating tools being actively drive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미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호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호미날 유닛은, 내측 회전부; 상기 내측 회전부의 둘레 외측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내측 회전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외측 회전부; 및 상기 내측 회전부와 상기 외측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이 용이하여 작업시 피로도가 적으면서도 안전 문제의 발생 가능성이 적다.

Description

호미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호미{Blade unit and electric ho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호미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호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이 용이하고 사용시 작업자의 피로도가 적은 호미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호미에 관한 것이다.
소규모 농장에서 작물의 생육기간 동안 밭작물의 관리작업은 대부분 인력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작업 도구로서 호미를 주로 사용한다. 호미는 땅파기에 유리하기는 하지만 쪼그려 앉은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무릎이나 허리에 무리를 주어 신체적 피로나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 중의 하나로 등록번호 제20-0269315호의 '기계 호미'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동력장치의 동력을 이용해 호미날을 회전시킨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에서 동력장치는 등에 메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그 무게에 의해 노약자는 사용하기 어렵고 동력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작업자의 몸으로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작업 시 피로도가 크다.
그리고 호미날이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토양과 접촉하면서 땅을 파기 때문에 진동이 크게 발생하여 제어가 어렵고, 호미날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므로 자갈이나 잡초, 토성에 따라 호미날 회전 경로의 접선 방향으로 장치가 튕겨져 나가 작업자가 위험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KR 20-0269315 Y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이 용이하여 작업시 피로도가 적으면서도 안전 문제의 발생 가능성이 적은 호미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호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측 회전부; 상기 내측 회전부의 둘레 외측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내측 회전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외측 회전부; 및 상기 내측 회전부와 상기 외측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호미날 유닛 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동력부는, 상기 내측 회전부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반대 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외측 회전부에 전달하는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회전부는 상기 외측 회전부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회전부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다수 개의 내측 회전날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 회전부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다수 개의 외측 회전날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측 회전날은, 상기 외측 회전부의 회전축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절삭면, 및 상기 외측 회전부의 회전축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 회전부의 내측 방향에서 상기 제1 절삭면과 만나는 제2 절삭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회전날은, 상기 제1 절삭면에 면하여 형성되는 제1 보조날, 및 상기 제2 절삭면에 면하여 형성되는 제2 보조날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날은 상기 제1 절삭면에 대해 나란하거나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보조날은 상기 제2 절삭면에 대해 나란하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회전날은, 상기 제1 보조날과 상기 제2 보조날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제3 보조날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조날은 상기 내측 회전부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회전부와 상기 외측 회전부는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호미날 유닛은, 상기 외측 회전부의 둘레 외측으로 배치되는 원통형의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 상기 본체의 전단부 아래에 고정되는 상기한 호미날 유닛; 및 상기 본체의 후단부 아래에 고정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전동식 호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미는, 상기 바퀴를 회전시키는 바퀴 동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퀴 동력부는, 상기 바퀴 내에 배치되며 외측 케이스가 회전하는 제2 모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미는, 상기 바퀴의 조향각을 조절하는 조향각 조절 동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호미날 유닛은, 상기 내측 회전부의 회전축과 상기 외측 회전부의 회전축이 세워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호미날 유닛은, 상기 본체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미는, 상기 본체의 후단부 위에 형성되는 핸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호미날 유닛은 작업의 효율을 높으면서도, 작업시 회전날이 잡초나 흙과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반작용에 의해 장치가 의도하지 않은 어느 일 방향으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에 이물질이 끼일 가능성이 적어 회전부에 끼인 이물질에 의해 장치에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
본 발명에 의한 호미날 유닛에서 내측 회전부와 외측 회전부는 하나의 모터에 의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장치를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내측 회전부가 다수 개의 내측 회전날을 구비하고 외측 회전부가 다수 개의 외측 회전날을 구비하는 경우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내측 회전날과 외측 회전날의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하여 작업에 따라 내·외측 회전날을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호미날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호미날 유닛을 구성하는 내측 회전부와 외측 회전부에 관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호미날 유닛을 구성하는 내측 회전부와 외측 회전부의 여러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미의 전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미를 구성하는 조향각 조절 동력부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호미날 유닛(10)은 전동식 호미(1)에서 제초와 경운의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내측 회전부(100), 외측 회전부(200)및 동력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호미날 유닛(10)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내측 회전부(100)는 다수 개의 내측 회전날(120)을 구비하고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외측 회전부(200)는 내측 회전부(100)의 둘레 외측으로 배치되며, 내측 회전날(120)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수 개의 외측 회전날(220)을 구비한다. 외측 회전부(200)는 내측 회전부(1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동력부(300)는 동력을 발생시켜 내측 회전부(100)와 외측 회전부(200)가 회전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호미날 유닛(10)은 내측 회전날(120)과 외측 회전날(220)이 모두 경운과 제초에 사용되어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내측 회전날(120)과 외측 회전날(220)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날이 잡초나 흙과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반작용의 방향 또한 서로 반대되는 두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작업시 장치가 의도하지 않은 어느 일 방향으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 회전부(100)의 외측 둘레와 외측 회전부(200)의 내측 둘레가 서로 인접하여 인접하는 부분의 면적이 넓지 않으므로 내측 회전부(100)와 외측 회전부(200) 사이에 이물질이 끼일 가능성이 적다. 즉, 내측 회전부(100)와 외측 회전부(200) 사이에 끼인 이물질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호미날 유닛(10)에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
본 발명에 의한 호미날 유닛(10)은 내측 회전부(100)와 외측 회전부(200)가 지면과 접하도록 내측 회전부(100)의 회전축(110)과 외측 회전부(200)의 회전축(210)이 세워진 상태로 전동식 호미(1)에 장착될 수 있다.
동력부(300)는 모터(310)와 기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310)는 내측 회전부(100)의 회전축(110)에 직접 연결되어 내측 회전부(1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기어부(320)는 모터(310)의 회전력을 반대 방향으로 전환하여 외측 회전부(200)에 전달함으로써 외측 회전부(200)를 일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기어부(320)는 모터(310)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모터(310)의 회전방향인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기어(321), 외측 회전부(200)의 회전축(210)에 고정되어 외측 회전부(200)와 함께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제2 기어(322), 및 제1 기어(321)의 회전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바꾸어 제2 기어(322)에 전달해주는 제3 기어(32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동력부(300)는 하나의 모터(310)를 이용하여 내측 회전부(100)와 외측 회전부(200)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주는 것이 가능하다.
내측 회전부(100)의 회전축(110)은 외측 회전부(200)의 회전축(2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내측 회전부(100)와 외측 회전부(200)가 동일한 중심의 회전축을 가지고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내측 회전부(100)의 회전축(110)과 외측 회전부(200)의 회전축(210) 사이에는 베어링(B1)이 배치될 수 있다.
모터(310)와 기어부(320)는 외부의 충격이나 먼지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모터(310)의 보호 케이스(311)는 모터(310)의 방열을 위해 알루미늄과 같은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터(310) 본체와 보호 케이스(311) 사이에는 방열 성능을 높여주기 위해 방열 그리스가 충진될 수 있다.
모터(310)와 기어부(320)의 각 보호 케이스는 서로 접합되고 기어부(320)의 보호 케이스(324)에는 외측 회전부(200)의 회전축(210)이 베어링(B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모터(310)의 회전력이 내측 회전부(100)와 외측 회전부(200) 모두에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내측 회전부(100)는 외측 회전부(200)보다 회전 반경이 작아 부하 토크가 상대적으로 적게 인가되므로, 내측 회전부(100)는 외측 회전부(200)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측 회전부(100)와 외측 회전부(200)의 속도 차이는 기어(321, 322, 323)의 잇수를 조절함으로써 만들어줄 수 있다.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회전하는 외측 회전부(200)는 토양의 표면을 긁으면서 잡초의 뿌리나 줄기를 걷어 올려 호미날 유닛(10)의 내부로 유도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회전하는 내측 회전부(100)는 호미날 유닛(10) 내부로 유도된 잡초의 뿌리나 줄기를 절단 및 파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회전부(100)와 외측 회전부(200)는 3:1 ~ 7:1의 속도비로 회전할 수 있으며, 내측 회전부(100)는 180 ~ 1,050rpm, 외측 회전부(200)는 60 ~ 150rpm의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했던 바와 같이 내측 회전부(100)는 다수 개의 내측 회전날(120)을 구비하고 외측 회전부(200)는 다수 개의 외측 회전날(22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는 이러한 내측 회전부(100)와 외측 회전부(200)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내측 회전날(120)은 각각 내측 회전부(100) 회전 반경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에 대응하여, 외측 회전날(220)은 각각 외측 회전부(200) 회전 반경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외측 회전날(220)들은 내측 회전날(120)의 상부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로 이격된 외측 회전날(220)은 그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잡초를 내측 회전날(120)로 유도해줄 수 있고, 다수 개의 내측 회전날(120)은 각각이 잡초와 충돌하면서 잡초를 절단 및 파쇄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 회전날(120)과 외측 회전날(220) 각각이 토양과 충돌하면서 토양을 갈아낼 수 있다. 즉, 다수 개의 내측 회전날(120)과 다수 개의 외측 회전날(220)은 제초와 경운의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내측 회전날(120)은 예를 들어 4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외측 회전날(220) 또한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외측 회전날(220)은 제1 절삭면(221)과 제2 절삭면(22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의 (a)에는 제1 절삭면(221)과 제2 절삭면(222)을 구비하는 외측 회전날(220)의 예시적인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절삭면(221)은 외측 회전부(200)의 회전축(210)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절삭면(222)은 제1 절삭면(221)과 마찬가지로 외측 회전부(200)의 회전축(210)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며, 외측 회전부(200)의 내측 방향에서 제1 절삭면(221)과 만나도록 형성된다. 제1 절삭면(221)과 제2 절삭면(222)이 외측 회전부(200)의 내측 방향에서 만날 수 있도록 제1 절삭면(221)과 제2 절삭면(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측 회전부(200)의 회전축(210)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절삭면(221)과 제2 절삭면(222)을 구비하는 외측 회전날(220)은 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토양 내부로 좀 더 용이하면서도 깊게 파고들 수 있다.
외측 회전날(220)이 제1 절삭면(221)과 제2 절삭면(222)을 구비하는 경우, 내측 회전날(120)은 도 4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측 단부가 갈라져 제1 보조날(121)과 제2 보조날(12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보조날(121)은 외측 회전날(220)의 제1 절삭면(221)에 면하도록 형성되며, 제2 보조날(122)은 외측 회전날(220)의 제2 절삭면(222)에 면하도록 형성된다. 경사지게 형성된 제1 절삭면(221)과 제2 절삭면(222)에 면하기 위해 제1 보조날(121)과 제2 보조날(122)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조날(121)과 제2 보조날(122)은 각각 경운 작업과 제초 작업을 수행하여, 작업의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제1 절삭면(221)과 제1 보조날(121)은 서로 면하면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가위와 같이 잡초를 절삭할 수 있다.
제1 보조날(121)은 제1 절삭면(221)에 대해 나란하거나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 보조날(122)은 제2 절삭면(222)에 대해 나란하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보조날이 마주하는 절삭면에 대해 나란하게 형성된 경우에는 가위와 같이 잡초를 절삭하는 데 유리하고, 보조날이 마주하는 절삭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에는 잡초의 줄기나 뿌리를 걷어올리면서 파쇄할 수 있다. 하부에 위치하는 보조날이 절삭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에는 지면에 대해 수직에 가깝게 위치하여 땅 속으로 더 깊게 파고들 수 있으므로, 잡초의 뿌리 부분을 파쇄하고 경운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4의 (c)에서 위에는 제1 보조날(121)과 제1 절삭면(221)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제2 보조날(122)과 제2 절삭면(222)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내측 회전부(100)와 외측 회전부(20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호미날 유닛(10)은 각각의 절삭면과 보조날이 나란하게 형성되므로 제초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절삭면(222)과 제2 보조날(122)의 경사에 의해 경운 작업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제2 절삭면(222)과 제2 보조날(122)은 땅 속에서 잡초의 뿌리를 절삭하여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의 (c)에서 아래에는 제1 보조날(121)과 제1 절삭면(221)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제2 절삭면(222)에 대해 제2 보조날(122)이 경사지게 형성된 내측 회전부(100)와 외측 회전부(20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호미날 유닛(10)은 제1 보조날(121)과 제1 절삭면(221)으로 제초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보조날(122)과 제2 절삭면(222)으로 경운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거의 수직에 가깝게 형성된 제2 보조날(122)은 땅 속으로 보다 깊게 파고들어 경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내측 회전날(120)은 제1 보조날(121)과 제2 보조날(122)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제3 보조날(12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보조날(123)은 잡초와 충돌하여 잡초를 파쇄함으로써 제초 효율을 높여주게 된다.
제3 보조날(123)은 예를 들어, 제1 보조날(121)의 위로 형성되고 제1 보조날(121)과 제2 보조날(122)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잡초의 줄기 부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해줄 수 있다.
도 3의 A 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측 회전날(120) 중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보조날(122)은 회전 방향의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외측 회전날(220)은 회전 방향의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보조날(122)과 외측 회전날(220)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게 되고, 보다 용이하게 땅 속을 파고들 수 있다.
내측 회전부(100)와 외측 회전부(200)는 각각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호미날 유닛(10)은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에 맞추어 내측 회전부(100)와 외측 회전부(200)를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운 작업과 제초 작업이 모두 필요한 경우에는 도 4의 (a)에서 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절삭면(221)과 제2 절삭면(222)이 모두 외측 회전부(200)의 회전축(210)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 외측 회전부(200)를 사용할 수 있고, 주로 경운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4의 (a)에서 아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절삭면(221)은 외측 회전부(200)의 회전축(210)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절삭면(222)은 외측 회전부(200)의 회전축(210)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 외측 회전부(200)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경운 작업과 제초 작업이 모두 필요한 경우에는 도 4의 (b)에서 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보조날(121)과 제2 보조날(122)이 모두 경사지게 형성된 내측 회전부(100)를 사용할 수 있고, 주로 경운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4의 (b)에서 중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보조날(122)이 거의 수직에 가깝게 형성된 내측 회전부(10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주로 제초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4의 (b)에서 아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보조날(121)이 위로 경사지고 길게 형성된 내측 회전부(10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이나 도 4의 (b)에서 중간 및 아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보조날(122)이 내측 회전부(100)의 회전축(110)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즉 본 발명에 의한 호미날 유닛(10)이 세워져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보조날(12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보조날(122)이 수직에 가깝게 위치하는 경우에는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호미날 유닛(10)의 작업 효율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보조날(121)은 지면 위에서 잡초의 줄기를 절단할 수 있고 수직한 상태의 제2 보조날(122)은 땅 속에서 잡초의 뿌리를 효과적으로 굴취 및 파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잡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직한 제2 보조날(122)이 땅 속으로 더 깊숙이 들어갈 수 있으므로 경운 작업 또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2 보조날(122) 위의 제1 보조날(121)은 내측 회전부(100)의 회전축(110)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지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는지에 관계 없이 지면 위에서 잡초의 줄기를 절단해줄 수 있지만,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어 지면으로부터 상부로 더 떨어진 위치까지 연장되는 경우에는 잡초의 줄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호미날 유닛(10)은 보호 커버(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호 커버(400)는 외측 회전부(200)의 둘레 외측으로 배치되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보호 커버(400)는 내측 회전부(100)와 외측 회전부(200)를 보호하는 동시에 고속으로 회전하는 내측 회전부(100)와 외측 회전부(200)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한다. 그리고 작업시 비산되는 잡초나 흙이 작업자에게 비산되지 않도록 한다.
보호 커버(400)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메쉬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측 회전부(100, 200)의 교체나 정비의 용이성을 위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미(1)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미(1)에 대해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호미날 유닛(10)의 설명시 언급한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미(1)의 전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미(1)는 크게, 본체(20), 호미날 유닛(10) 및 바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20)는 전동식 호미(1)의 주요한 구조체가 되는 부분으로, 전동식 호미(1)의 다른 구성들을 지지할 수 있다.
호미날 유닛(10)은 본체(20)의 전단부 아래에 고정된다. 호미날 유닛(10)은 내측 회전부(100)와 외측 회전부(200)가 아래에 위치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바퀴(30)는 본체(20)의 후단부 아래에 고정된다. 바퀴(30)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미(1)를 쉽게 이동시키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미(1)는 호미날 유닛(10)을 쉽게 이동시키면서 제초와 경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호미날 유닛(10)의 내측 회전부(100)와 외측 회전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잡초 등과의 충돌에 의한 반작용으로 인해 전동식 호미(1)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미(1)는 상기한 것과 같은 구성 외에도 호미날 유닛(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는 예를 들어, 본체(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버튼 등에 의해 작업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을 수 있다.
전동식 호미(1)에서 호미날 유닛(10)은 내측 회전부(100)와 외측 회전부(200)가 아래에 위치하도록 내측 회전부(100)의 회전축(110)과 외측 회전부(200)의 회전축(210)이 세워져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직접적으로 경운과 제초 작업을 수행하는 내측 회전부(100)와 외측 회전부(200)만이 토양과 접촉하게 된다.
호미날 유닛(10)은 본체(20)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시에는 호미날 유닛(10)이 토양과 접촉하도록 하부로 이동하고, 단순 이동시에는 호미날 유닛(10)이 토양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미(1)는 바퀴 동력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전동식 호미(1)를 밀지 않더라도 전동식 호미(1)가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바퀴 동력부는 제어부에 의해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전동식 호미(1)가 전후로 왕복할 수 있다. 작업의 종류나 토양의 특성에 따라 전동식 호미(1)가 한번 지나가는 것만으로는 작업이 완료되지 않을 수 있는데, 전동식 호미(1)가 전후로 왕복하도록 제어되면 토양 등에 대한 작업을 충분히 진행할 수 있다.
바퀴 동력부가 발생시키는 회전력의 방향은 작업자가 직접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퀴 동력부는 예를 들어, 모터(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바퀴(30) 내에 배치되며 외측 케이스가 회전하는 제2 모터(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바퀴 동력부는 인휠 모터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인휠 모터 형식의 제2 모터는 동력 전달 손실이 적어 작업 효율이 높고, 바퀴(30) 내에 배치되므로 흙 등에 의해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미(1)는 조향각 조절 동력부(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6에는 조향각 조절 동력부(50)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조향각 조절 동력부(50)는 바퀴(30)의 조향각을 조절하여 전동식 호미(1)의 이동 방향을 바꾸어줄 수 있다.
조향각 조절 동력부(50)는 예를 들어, 리니어 모터(51), 상기 리니어 모터(51)에 의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1개 이상의 기어(52), 일단부가 상기 기어(52)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바퀴(30)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조향축(5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미(1)는 핸들(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핸들(60)은 본체(20)의 후단부 위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작업자는 핸들(60)을 잡고 밀거나 당김으로써 전동식 호미(1)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작업시의 진동 등에 의해 전동식 호미(1)가 전도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핸들(60)은 조향각 조절 동력부(50)의 조향축(53)에 연결되어 전동식 호미(1)의 이동 방향을 조절해줄 수도 있다.
핸들(60)에는 전동식 호미(1)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미(1)는 상기한 것과 같은 구성 외에도, 작업자와 대화가 가능하고 휴대폰 등과 연결하여 음악이나 라디오를 들을 수 있는 인공지능 스피커(미도시), 동력부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 제어부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각종 센서(미도시)와 스위치, 장치의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 전동식 호미
10 : 호미날 유닛 20 : 본체
30 : 바퀴 50 : 조향각 조절 동력부
60 : 핸들
100 : 내측 회전부 120 : 내측 회전날
121 : 제1 보조날 122 : 제2 보조날
123 : 제3 보조날 200 : 외측 회전부
220 : 외측 회전날 221 : 제1 절삭면
222 : 제2 절삭면 300 : 동력부
310 : 모터 320 : 기어부
400 : 보호 커버

Claims (18)

  1. 내측 회전부;
    상기 내측 회전부의 둘레 외측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내측 회전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외측 회전부; 및
    상기 내측 회전부와 상기 외측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회전부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다수 개의 내측 회전날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 회전부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다수 개의 외측 회전날을 구비하며,
    상기 외측 회전날은, 상기 외측 회전부의 회전축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절삭면, 및 상기 외측 회전부의 회전축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 회전부의 내측 방향에서 상기 제1 절삭면과 만나는 제2 절삭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회전날은, 상기 제1 절삭면에 면하여 형성되는 제1 보조날, 및 상기 제2 절삭면에 면하여 형성되는 제2 보조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미날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내측 회전부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반대 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외측 회전부에 전달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미날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회전부는 상기 외측 회전부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미날 유닛.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날은 상기 제1 절삭면에 대해 나란하거나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보조날은 상기 제2 절삭면에 대해 나란하거나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미날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회전날은,
    상기 제1 보조날과 상기 제2 보조날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제3 보조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미날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날은 상기 내측 회전부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미날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회전부와 상기 외측 회전부는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미날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회전부의 둘레 외측으로 배치되는 원통형의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미날 유닛.
  12. 본체;
    상기 본체의 전단부 아래에 고정되는 제1항 내지 제3항,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호미날 유닛; 및
    상기 본체의 후단부 아래에 고정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전동식 호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를 회전시키는 바퀴 동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호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동력부는, 상기 바퀴 내에 배치되며 외측 케이스가 회전하는 제2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호미.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의 조향각을 조절하는 조향각 조절 동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호미.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호미날 유닛은, 상기 내측 회전부의 회전축과 상기 외측 회전부의 회전축이 세워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호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호미날 유닛은, 상기 본체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호미.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단부 위에 형성되는 핸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호미.
KR1020210069643A 2021-05-31 2021-05-31 호미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호미 KR102632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643A KR102632621B1 (ko) 2021-05-31 2021-05-31 호미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호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643A KR102632621B1 (ko) 2021-05-31 2021-05-31 호미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호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659A KR20220161659A (ko) 2022-12-07
KR102632621B1 true KR102632621B1 (ko) 2024-01-31

Family

ID=84441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643A KR102632621B1 (ko) 2021-05-31 2021-05-31 호미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호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6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8921A (ja) * 1998-12-24 2000-07-11 Noboru Ishikawa 動力式草取り機
JP2002129861A (ja) * 2000-10-26 2002-05-09 Giken Seisakusho Co Ltd 掘削装置および掘削方法
KR101004957B1 (ko) * 2008-09-17 2010-12-28 현대위아 주식회사 모터를 이용한 4륜 구동 및 4륜 조향 방식의 전방향성 주행로봇 시스템
JP2012172373A (ja) * 2011-02-21 2012-09-10 Jfe Steel Corp 地盤掘削機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315Y1 (ko) 2001-12-12 2002-03-23 농업회사법인(주)맛가마식품 기계 호미
FR3046023B1 (fr) * 2015-12-23 2017-12-22 Pellenc Sa Tondeuse electrique anticipative et procede de pilotage d'une telle tondeu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8921A (ja) * 1998-12-24 2000-07-11 Noboru Ishikawa 動力式草取り機
JP2002129861A (ja) * 2000-10-26 2002-05-09 Giken Seisakusho Co Ltd 掘削装置および掘削方法
KR101004957B1 (ko) * 2008-09-17 2010-12-28 현대위아 주식회사 모터를 이용한 4륜 구동 및 4륜 조향 방식의 전방향성 주행로봇 시스템
JP2012172373A (ja) * 2011-02-21 2012-09-10 Jfe Steel Corp 地盤掘削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659A (ko)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70585B1 (en) Mower
US20080245539A1 (en) Soil Tilling Device
JPH01501599A (ja) モーターによって駆動されている耕作用農具
US6926091B2 (en) Counter-rotating twin shaft system for gardening machines
US4417627A (en) Apparatus for breaking rock located in a field
KR102632621B1 (ko) 호미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호미
WO2008022378A1 (en) Combined rotary scraping tool and press wheel for a coulter
KR101745179B1 (ko) 굴삭기용 초목 제거장치
US6786287B2 (en) Tool for soil cultivating machine, and machine using such tools
CN203251857U (zh) 草根挖掘粉碎机
KR101215770B1 (ko) 이중 회전날이 한 쌍으로 구비된 제초기 작업봉 헤드
CN203120394U (zh) 手推式锄草松土机
CN204837067U (zh) 除草机
JP6035118B2 (ja) 耕耘作業機
JP6941861B2 (ja) 農作業機
KR102612107B1 (ko) 주행방향과 평행한 제초날 회전축을 가진 중경 제초기
KR20150097335A (ko) 회전 러그식 주행형 제초겸용 배토기
CN111788927B (zh) 一种农业农田除草机
CN217986469U (zh) 一种锄草松土自走式机
US4232743A (en) Device for digging up tuberous plants, for example, beets
CN214316134U (zh) 一种园林绿化施工松土移动设备
KR101218515B1 (ko) 트랙터용 마늘 뿌리 발근기의 회전축에 발근날 몸통의 조립구조
JP7368839B2 (ja) 農作業機
JP6892536B2 (ja) 整畦機
CN219780866U (zh) 一种旋耕机及农业机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