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315Y1 - 기계 호미 - Google Patents

기계 호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315Y1
KR200269315Y1 KR2020010038339U KR20010038339U KR200269315Y1 KR 200269315 Y1 KR200269315 Y1 KR 200269315Y1 KR 2020010038339 U KR2020010038339 U KR 2020010038339U KR 20010038339 U KR20010038339 U KR 20010038339U KR 200269315 Y1 KR200269315 Y1 KR 200269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n shaft
worm
case
shaft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3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기갑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맛가마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맛가마식품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맛가마식품
Priority to KR20200100383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3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315Y1/ko

Links

Abstract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고 땅을 뒤엎어 제초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예초기의 손잡이봉에 결합 고정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예초기의 동력장치 동력전달축에 기어축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워엄과, 케이스의 내부에 워엄과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워엄휠과, 워엄휠의 휠축 양쪽 끝부분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한쌍의 종동축과, 각각의 종동축에 소정의 간격으로 두고 소정의 각도로 분할하여 설치되며 끝부분이 케이스의 밑면보다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호미날을 포함하는 기계 호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계 호미 {Hoeing Machine}
본 발명은 기계 호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을 이용하여 땅을 뒤엎어 제초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한 기계 호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밭농사나 논농사에 있어서, 농작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풀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초제 등의 농약을 살포하는 방법, 땅을 뒤엎어 풀의 뿌리를 마르게 하는 방법, 지표면으로 노출된 풀의 줄기만을 낫이나 예초기 등으로 절단하여 제거하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상기에서 농약을 살포하는 방법은 짧은 시간에 많은 면적의 제초작업이 가능한 반면에, 독성을 갖는 화학약품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이나 잔류농약 및 작업자의 안전문제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표면으로 노출된 풀의 줄기만을 낫이나 예초기 등으로 절단하여 제거하는 방법은 일시적인 제거효과는 있지만, 곧 다시 풀이 자라나 지속적으로 작업을 행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뿌리를 제거하지 않으면서 풀이 무성해지는 것만을 방지하여도 되는 논두렁이나 밭두렁 등의 제초작업에 주로 행해진다.
상기한 땅을 뒤엎어 풀의 뿌리를 마르게 하는 방법으로는 농작물을 심기 전에는 경운기나 트랙터를 이용하여 땅을 뒤엎으면서 잘게 부수는 로터리작업, 농작물이 심겨진 다음에 관리기 등을 이용하여 고랑이나 두덕에 자라는 풀을 제거하는 기계를 이용한 김매기작업, 호미 등을 이용하여 사람의 힘으로 농작물의 근처까지 풀을 제거하는 수동 김매기작업 등이 있다.
종래의 로터리작업은 농작물을 심기 전에 넓은 면적의 논이나 밭에 대한 제초작업에는 매우 유용하지만, 농작물이 심겨진 다음에는 농작물까지 손상을 줄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 기계를 이용한 김매기작업은 작업의 속도나 작업자의 피로도 면에서 우수하지만, 농작물이 심겨진 근처까지 세밀하게 풀을 제거하기가 어려우며, 경사도가 심한 밭이나 굴곡이 있는 이랑의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수동 김매기작업은 사람이 직접 일일히 풀을 제거하므로, 세밀하게 농작물의 근처까지 제초작업이 가능하고, 경사도가 심한 밭이나 굴곡이 있는 이랑의 경우에도 제초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계를 이용한 김매기 작업을 행한 다음에 다시 수동 김매기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수동 김매기작업은 사람의 힘으로 일일히 호미 등을 가지고 제초작업을 행하므로 작업속도가 늦고 작업자의 피로도가 매우 높으며, 앉은 걸음으로 걸어가면서 제초작업을 행하므로 작업자의 무릎 등의 관절에 악영향을 미치고, 호미를 가진 손으로만 계속하여 무리하게 힘을 사용하므로 작업자의 몸이 한쪽으로 기울어져 불균형적으로 변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가 가능한 소형 동력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땅을 뒤엎어 제초작업을 행할 수 있는 기계 호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계 호미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계 호미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워엄과 워엄휠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계 호미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계 호미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호미날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기계 호미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호미날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기계 호미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바퀴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3에 대응하는 정면 부분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기계 호미의 일실시예를 예초기에 적용하여 제초작업을 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기계 호미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동력장치의 동력전달축에 기어축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워엄과,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한 워엄과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워엄휠과, 상기한 워엄휠의 휠축 양쪽 끝부분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한쌍의 종동축과, 상기한 각각의 종동축에 소정의 간격으로 두고 소정의 각도로 분할하여 설치되며 끝부분이 상기한 케이스의 밑면보다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호미날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동력장치로는 예초기의 동력장치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한 케이스는 예초기의 동력전달축을 감싸며 보호하는 손잡이봉에 결합 고정한다.
상기한 호미날은 대략 2∼5㎜ 정도의 두께와 대략 5∼15㎜ 정도의 폭을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한다.
또 상기한 호미날의 날부분은 종동축의 중심선 및 지름에 수직한 평면에 대하여 각각 소정의 각도로 굽어지면서 뒤틀어지는 3차원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호미날은 작용하는 모멘트가 적고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최외각지점이 상기한 종동축의 지지점으로부터 가깝게 위치하도록 뿌리부를 상기한 종동축에 삽입시켜 고정 설치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기계 호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기계 호미의 일실시예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10)와, 상기한 케이스(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동력장치의 동력전달축(4)에 기어축(22)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워엄(20)과, 상기한 케이스(10)의 내부에 상기한 워엄(20)과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워엄휠(26)과, 상기한 워엄휠(26)의 휠축(28) 양쪽 끝부분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한쌍의 종동축(30)과, 상기한 각각의 종동축(30)에 소정의 간격으로 두고 소정의 각도로 분할하여 설치되며 끝부분이 상기한 케이스(10)의 밑면보다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호미날(40)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동력장치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의 등에 멜 수 있는 예초기의 동력장치(2)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예초기의 동력장치 이외에도 작업자가 등에 메고 작업할 수 있는 정도의 저중량 소형 동력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케이스(10)는 동력장치(2)에 연결된 동력전달축(4)을 감싸며 보호하는 손잡이봉(6)에 결합시켜 일체로 고정한다.
상기에서 케이스(10)와 손잡이봉(6) 사이의 결합은 양쪽의 접촉면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케이스(10)와 손잡이봉(6)을 끼워맞춤으로 결합하고 반지름방향으로 볼트(7)나 핀 등을 체결하여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케이스(10)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기어박스의 케이스에 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2 또는 3부분으로 나누어워엄(20) 및 워엄휠(26)을 편리하고 간단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케이스(10)의 나누어진 부분 사이의 결합은 끼워맞춤 방식, 돌기와 홈을 이용하는 방식, 볼트나 작은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 등 필요에 따라 적당한 방식을 선정하여 실시한다.
상기한 기어축(22)은 상기한 케이스(10)에 베어링(16) 등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한 기어축(22)에는 끝부분이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한 동력전달축(4)이 일체로 회전하도록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결합홈(23)이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동력전달축(4)과 기어축(22) 사이의 결합을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 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원형으로 형성하여 결합한 다음 키이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스플라인축이나 세레이션축으로 형성하여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예초기에 있어서는 상기한 동력전달축(4)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자유롭게 다양한 각도로 굽혀지면서 동력(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플렉시블축으로 형성하며, 양쪽 끝부분을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하여 끝부분에 사각홈이 형성된 다른 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서로 연결한다.
상기한 기어축(22)의 끝부분에는 사각홈을 형성한다.
상기한 동력전달축(4)과 기어축(22)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갖고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예를 들면 작업자가 손잡이봉(6)을 잡고 작업하는 상태인 상기한 동력전달축(4)이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는 상태에서 상기한 기어축(22)은 지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상기한 동력전달축(4)과 기어축(22)을 소정의 각도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워엄휠(26)의 휠축(28)은 상기한 케이스(10)에 베어링(18) 등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한 휠축(28)과 종동축(30) 사이의 결합은 스플라인이나 세레이션 등을 이용하여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한쪽에는 다각형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다른쪽에는 다각형의 홈을 형성하여 돌출부를 홈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원형으로 형성하여 서로 결합한 다음 키이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하여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휠축(28)과 종동축(30) 사이의 연결을 스플라인이나 세레이션 등을 이용하여 행하는 것이, 종동축(30)의 연결부분 최대지름을 작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전체적인 치수를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소형화에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휠축(28)과 종동축(30)은 상기한 동력장치(2)의 동력을 전달받아 진행방향을 따라 정회전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한 호미날(40)이 작업자의 발쪽으로 땅을 파들어오도록 종동축(30)의 회전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김매기작업을 행할 때에 땅속에 큰 돌이 존재하는 경우나 호미날(40)이 풀뿌리에 걸리는 경우에 더이상 깊게 파고들지 않으므로 안전상유리하며, 작업자가 잘 볼 수 있는 쪽으로 땅을 뒤엎기 때문에 작업상황을 작업자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김매기작업을 하지 않은 쪽에서 김매기작업을 행한 쪽으로 땅을 뒤엎기 때문에 뒤엎어진 흙에 의하여 풀 등이 파묻혀 불완전하게 김매기작업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에 호미날(40)이 작업자의 발쪽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땅을 파나간다면 아직 김매기작업을 하지 않은 쪽으로 흙을 뒤엎게 되고 작업자가 풀 등의 존재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어 불완전하게 김매기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호미날(40)은 대략 2∼5㎜ 정도의 두께와 대략 5∼15㎜ 정도의 폭을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하고, 날끝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폭이 가늘어지는 날카로운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에서 호미날(40)의 두께를 2㎜ 미만으로 설정하면 강도가 충분하지 않아 쉽게 변형될 우려가 높고, 5㎜ 보다 두껍게 설정하면 필요이상으로 굵으므로 중량이 증대되어 휴대용으로서의 가치가 저하되고 가공이 어렵다.
또 상기한 호미날(40)의 폭을 5㎜ 미만으로 설정하면, 강도가 충분하지 않아 쉽게 변형될 우려가 높고 너무 좁은 면적의 땅을 파엎게 되므로 김매기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한 호미날(40)의 폭을 15㎜ 보다 크게 설정하면, 호미날(40)이 설치되는 상기한 종동축(30)의 지름을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하여야 되고 이는 전체의 크기를 크게 하므로 소형화에 역행하게 된다.
또 상기한 호미날(40)은 상기한 종동축(30)의 지름방향 및 중심선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대하여 각각 소정의 각도로 굽어지면서 뒤틀어지는 3차원형상으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쟁기, 호미, 트랙터의 로터리날 등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에서 호미날(40)은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종동축(30)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굽어지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하는 것이 김매기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호미날(40)이 땅을 파고들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한 호미날(40)의 뿌리부(42)는 상기한 종동축(30)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다.
즉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호미날(40)의 뿌리부(42)는 날부분의 두께보다 크고 폭보다 작은 지름의 원기둥형상으로 형성하고, 끝부분에는 수나사를 형성하여 너트(48)를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호미날(40)의 뿌리부(42)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한 호미날(40)의 두께가 대략 2∼5㎜ 정도로 매우 얇으므로 직접 나사산을 형성하고 너트(48)를 체결하여 조립하는 것이 강도에 있어 불충분하기 때문이다.
상기한 종동축(30)에는 상기한 호미날(40)의 뿌리부(42)가 삽입되는 조립구멍(34)을 형성한다. 상기한 조립구멍(34)의 한쪽 끝부분은 상기한 너트(48)가 삽입되도록 중간부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하고, 상기한 조립구멍(34)의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한 호미날(40)의 날부분 일부와 뿌리부(42)가 삽입되도록 원형의 구멍에 사각형의 홈을 연결하여 형성하며, 상기한 조립구멍(34)의 나머지 중간부분은 상기한 호미날(40)의 뿌리부(42)가 삽입되도록 원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호미날(40)은 용접이나 접착 등의 방법으로 상기한 종동축(30)에 일체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와 같이 너트(48)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한 종동축(30)의 조립구멍(34)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수나사가 형성된 상기한 호미날(40)의 뿌리부(42)를 직접 나사결합하여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호미날(40)의 최외각지점이 상기한 종동축(30)의 지지점(예를 들면 호미날(40)이 지지되는 종동축(30)의 표면)으로부터 가깝게 위치할수록 모멘트가 적게 작용하고, 상기한 호미날(40)의 뿌리부(42)가 상기한 종동축(30)에 깊게 삽입될수록 지지력이 크게 작용하므로 상기한 뿌리부(42)를 종동축(30)의 조립구멍(34)에 관통하도록 삽입하고 너트(48)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호미날(40)의 뿌리부분을 별도의 지지부재(44)에 고정하고, 이 지지부재(44)에 수나사를 형성한 다음, 상기한 조립구멍(34)에 지지부재(44)를 삽입하고 너트(48)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호미날(40)을 종동축(30)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호미날(40)은 상기한 지지부재(44)에 볼트(49)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용접이나 접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호미날(40)의 최대 회전반경(R)은 대략 50∼200㎜ 정도의 범위에서 설정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호미날(40)의 최대 회전반경(R)이 50㎜ 미만인 경우에는 종동축(30) 및 워엄휠(26)의 크기를 감안하면 상기한 케이스(10)보다 돌출되는 부분이 너무 작아 땅을 뒤엎는 작업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 상기한 호미날(40)의 최대 회전반경(R)이 2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체의 크기가 지나치게 증대되어 소형화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상기한 케이스(10)보다 돌출되는 부분이 너무 커서 뒤엎어지는 땅의 깊이가 깊어 무리한 힘이 가해지고, 호미날(40)이 변형되거나 손상을 입게 되고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에서 워엄휠(26)의 지름을 대략 100㎜ 정도로 설정하고, 종동축(30)의 지름을 대략 30㎜ 정도로 설정하면, 상기한 호미날(40)의 최대 회전반경(R)을 대략 80∼120㎜ 정도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소형화와 제초작업의 양면에서 모두 효율적이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호미날(40)의 최대 회전반경(R)은 워엄휠(26)쪽에서 양 종동축(30)의 끝부분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구성하는 것이, 중앙부분에 보다 큰 힘이 작용하고 자유단쪽으로 갈수록 작은 힘이 작용하므로, 강도 및 내구성의 유지면에서 유리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한 호미날(40)은 상기한 종동축(3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나씩 설치되며, 이웃하는 호미날(4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도록 소정의 각도를 두고 설치된다.
상기에서 호미날(40)의 각도는 종동축(30)의 원둘레를 등분할하여 구성하는 것이 종동축(30)에 가해지는 힘이 균등하게 작용하여 종동축(30)이 비틀림응력을 적게 받으므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종동축(30)에 3개의 호미날(4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서로 120°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양 종동축(30)의 간격(양 종동축(30) 끝면 사이의 거리)(B)는 대략 100∼300㎜ 정도의 폭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양 종동축(30)의 간격(B)이 100㎜ 미만이면 워엄(20) 및 호미날(40)을 설치하기 위한 충분한 길이가 확보되지 않으며, 양 종동축(30)의 간격(B)이 300㎜를 초과하면 전체의 크기가 증대되어 소형화에 역행할 뿐만 아니라 호미날(40) 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어 뒤엎어지지않는 땅이 존재하여 충분한 제초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에서 워엄(20) 및 워엄휠(26)이 설치되는 케이스(10)의 폭을 대략 30㎜ 정도로 설정하고, 각각 호미날(40) 3개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종동축(30)의 길이를 대략 60㎜ 정도로 설정하면, 상기한 양 종동축(30)의 간격(B)을 대략 150㎜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소형화와 제초작업의 양면에서 모두 효율적이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기계 호미의 일실시예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종동축(30)의 끝부분에 각각 바퀴(5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바퀴(50)를 설치하면 김매기작업을 하면서 진행할 때에 좌우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한 호미날(40)이 너무 깊게 땅을 파서 뒤엎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호미날(40)이 과도한 깊이로 땅을 파게 되면 종동축(30)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고 동력전달과정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항상 일정한 깊이로 땅을 팔수 있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바퀴(50)가 담당한다.
상기한 바퀴(50)는 베어링(56)을 통하여 종동축(30)의 회전여부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종동축(30)의 끝부분에는 상기한 베어링(56)이 삽입되고 바퀴(50)가 설치되고 끝부분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는 바퀴조립부(36)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한 베어링(56) 및 바퀴(50)를 바퀴조립부(36)에 조립한 다음에 와셔와 너트(54)를 상기한 바퀴조립부(36)에 차례로 삽입하고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바퀴(50)가 종동축(30)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기계 호미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동력장치(2)의 시동을 걸면, 동력장치(2)의 회전력이 동력전달축(4)을 통하여 기어축(22)으로 전달되고, 기어축(22)이 회전함과 동시에 워엄(20)이 회전하고, 워엄(20)과 맞물린 워엄휠(26)이 회전한다.
이 때 워엄(20)과 워엄휠(26)의 기어비에 따라 회전력은 감속되어 전달되고, 회전토오크가 증대된다. 상기한 워엄(20)과 워엄휠(26)의 기어비는 대략 1:5∼1:30 정도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호미날(40)의 회전속도와 회전토오크를 감안할 때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워엄휠(26)이 회전하면, 이 회전력이 휠축(28)을 통하여 종동축(30)에 전달되고, 종동축(30)이 회전함에 따라 호미날(40)이 회전하고, 작업자가 손잡이봉(6)을 누름에 따라 회전하는 호미날(40)이 땅을 뒤엎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력장치(2)를 등에 메고 손잡이봉(6)을 누르면서 전진함에 따라 회전하는 호미날(40)에 의해 차례로 땅이 뒤엎어지면서 제초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기계 호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기계 호미에 의하면, 동력을 이용하므로 작업자의 피로도가 대폭 감소하고 작업속도가 크게 향상되며, 소형화가 가능하므로 세밀한 부분까지 농작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제초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른 기계 호미에 의하면, 현재 널리 보급되어 있는 반면에 논두렁이나 밭두렁에 대한 풀깍기작업 또는 묘지에 대한 벌초작업 등에만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예초기의 동력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동력 구입비용이 소요되지 않으며 예초기의 활용도를 크게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종래 예초기의 동력전달축 및 손잡이봉에 결합되어 있는 예초기날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예초기날과 본 고안을 서로 교체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예초기의 동력을 예초작업과 김매기작업에 모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최근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유기농이나 자연농법 등의 경우에는 농약을 거의(전혀) 사용하지 않으므로, 본 고안에 따른 기계 호미에 의한 제초작업의 효용성이 크게 증대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기계 호미에 의하면, 호미날을 종동축에 삽입하여 고정하므로 호미날의 지지력이 크게 향상되고 최외각지점까지의 거리를 작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호미날의 끝부분을 진행방향 및 회전방향쪽으로 굽어지게 형성하므로, 호미날이 작업자쪽으로 땅을 뒤엎게 되어 큰 돌이나 풀뿌리에 호미날이 파고드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가 땅이 뒤엎어지는 현상을 보면서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정확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Claims (5)

  1.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동력장치의 동력전달축에 기어축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워엄과,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한 워엄과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워엄휠과,
    상기한 워엄휠의 휠축 양쪽 끝부분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한쌍의 종동축과,
    상기한 각각의 종동축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두고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분할하여 설치되며 끝부분이 상기한 케이스의 표면보다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2∼5㎜의 두께와 5∼15㎜의 폭을 갖는 판형상으로 날끝부분을 상기한 종동축의 중심선 및 지름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대하여 각각 소정의 각도로 굽어지면서 뒤틀어지는 3차원형상으로 형성하는 복수의 호미날을 포함하는 기계 호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호미날의 뿌리부를 날부분의 두께보다 크고 폭보다 작은 지름의 원기둥형상으로 형성하고 끝부분에는 수나사를 형성하고, 상기한 종동축에는 상기한 호미날의 뿌리부가 삽입되는 조립구멍을 형성하고, 상기한 조립구멍에 삽입된 상기한 호미날의 뿌리부 나사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한 호미날을 상기한 종동축에 고정하는 기계 호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호미날의 뿌리부분을 수나사부가 형성된 지지부재에 고정하고, 상기한 종동축에 상기한 지지부재의 수나사부가 삽입되는 조립구멍을 형성하고, 상기한 호미날의 반대쪽에서 상기한 조립구멍에 삽입된 지지부재의 수나사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한 호미날을 상기한 종동축에 고정하는 기계 호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호미날의 최대 회전반경은 50∼200㎜의 범위에서 설정하고, 상기한 양 종동축의 간격은 100∼300㎜의 범위에서 설정하고, 상기한 호미날의 최대 회전반경은 워엄휠쪽에서 양 종동축의 끝부분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구성하는 기계 호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종동축의 끝부분에 각각 베어링을 통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는 한쌍의 바퀴를 더 포함하는 기계 호미.
KR2020010038339U 2001-12-12 2001-12-12 기계 호미 KR200269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339U KR200269315Y1 (ko) 2001-12-12 2001-12-12 기계 호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339U KR200269315Y1 (ko) 2001-12-12 2001-12-12 기계 호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315Y1 true KR200269315Y1 (ko) 2002-03-23

Family

ID=7307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339U KR200269315Y1 (ko) 2001-12-12 2001-12-12 기계 호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31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7433A (zh) * 2018-12-26 2020-07-03 浙江星月实业有限公司 一种开沟机
WO2021251572A1 (ko) * 2020-06-08 2021-12-16 투와이 주식회사 전동호미
KR102412211B1 (ko) 2020-12-31 2022-06-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식 호미
KR20220161659A (ko) 2021-05-31 2022-12-0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호미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호미
KR20230067871A (ko) 2021-11-10 2023-05-17 박윤경 김매기용 망치 호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7433A (zh) * 2018-12-26 2020-07-03 浙江星月实业有限公司 一种开沟机
WO2021251572A1 (ko) * 2020-06-08 2021-12-16 투와이 주식회사 전동호미
KR102412211B1 (ko) 2020-12-31 2022-06-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식 호미
KR20220161659A (ko) 2021-05-31 2022-12-0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호미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호미
KR20230067871A (ko) 2021-11-10 2023-05-17 박윤경 김매기용 망치 호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1418A (en) Convertible, user-supported, garden cleaning implement for cutting/macerating weeds and like
US6092608A (en) Garden tiller pulverizing/edger attachment
KR200269315Y1 (ko) 기계 호미
US4055221A (en) Soil cultivating implements
JP2009033981A (ja) 除草機
KR20190091934A (ko) 예초기 부착형 제초기
US4658910A (en) Garden tiller plow tine assembly
KR20150054639A (ko) 예초기용 김매기 호미
KR200491528Y1 (ko) 예초기용 동력전달 감속장치
KR101215770B1 (ko) 이중 회전날이 한 쌍으로 구비된 제초기 작업봉 헤드
KR20110138117A (ko) 농업용 관리기 탈부착용 로터리식 제초기 및 그 칼날
KR20100000154U (ko) 개량형 갈고리
EP0778724A1 (en) Gardening implement
JP4797604B2 (ja) 畝間除草装置
US4183231A (en) Rotary harrows
KR200357856Y1 (ko) 예취기에 장착되는 로터리 평면휠
KR200252754Y1 (ko)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
KR101160767B1 (ko) 농업용 관리기 탈부착용 회전식 제초기
EP0304120B1 (en) A soil cultivating machine
KR20010011930A (ko) 제초기
KR200175807Y1 (ko) 휴대용 중경 관리기
CN219421525U (zh) 一种手扶式喷药耕地装置
JPH08187006A (ja) 除草機
KR20190090237A (ko) 밭 골 사이의 잡초를 제거할 수 있는 제초기
KR100900651B1 (ko) 트랙터용 로터리기계에 탈부착 사용하는 제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