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450B1 -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 - Google Patents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450B1
KR102632450B1 KR1020210188765A KR20210188765A KR102632450B1 KR 102632450 B1 KR102632450 B1 KR 102632450B1 KR 1020210188765 A KR1020210188765 A KR 1020210188765A KR 20210188765 A KR20210188765 A KR 20210188765A KR 102632450 B1 KR102632450 B1 KR 102632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terminal
moving block
tact switch
plug
push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9433A (ko
Inventor
유정우
김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0188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450B1/ko
Publication of KR20230099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단자의 삽입 방향과 택트스위치의 작동 방향이 동일하며, 무빙터미널 제조 시 인서트 사출이 불필요하여 경제적이며 품질 관리가 용이한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플러그 단자가 삽입 시 탄성변형 되도록 형성되는 플러그 터미널; 일면이 상기 플러그 터미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 터미널의 변형에 연동하는 무빙블록; 막대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무빙블록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무빙블록에 연동하는 푸시핀; 상기 푸시핀의 타단 측에 배치되어, 상기 푸시핀 이동시 On 동작되는 택트스위치; 및 상기 플러그 터미널 및 무빙블록을 지지하는 플러그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 시 상기 푸시핀은 상기 플러그 단자의 삽입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택트스위치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 {Tact switch oper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플러그 삽입 여부를 판정하고 플러그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플러그 커버 내측 기판에 실장되는 택트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 배터리의 전력을 전동원으로 사용하는 친환경 자동차(xEV)가 보급화되면서, 캠핑 또는 차박(차량을 이용한 캠핑 활동) 시에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용한 220V 전자제품 사용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는 V2L(Vehicle to Load) 장치를 이용하여 상용 전력으로 이용할 수 있다.
친환경 자동차용 V2L 장치의 전원 공급 방식 구조는 다음과 같다. 친환경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는 차량의 전력 변환 장치(AC/DC)에 연결되어 있고, V2L 장치는 AC 전력을 수신하고 전력 사용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 사용부는 AC/DC 인버터를 포함하고 각종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V2L 장치는 차량 뒷자석 하부에 주로 장착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고하면 플러그(1)의 플러그 단자(2)가 플러그 커버(3)의 홀(4)에 삽입되어 홀 내부의 플러그 터미널(8)에 접촉하게 된다. 플러그 터미널(8)은 플러그 단자(2)에 통전되며 탄성이 있는 금속 판 형상으로, 플러그 단자(2)의 삽입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단자(2)가 삽입되면 개구부가 벌려지도록 탄성변형하게 된다. 또한 플러그 터미널(8)의 내부에는 무빙터미널(5)이 연결되어 있는데, 무빙터미널(5)은 플러그 터미널(8)의 변형에 의해 단부 위치가 이동하여 기판(7)에 설치된 택트스위치(6)에 접촉하고, 택트스위치(6)가 On 작동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는 플러그의 삽입 방향과 무빙터미널 및 택트스위치의 접촉 방향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택트스위치를 PCB 상에 수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이 경우 택트스위치에서 연장형성된 얇은 금속 다리를 이용하여 기판 상에 고정하는 구조가 되어 택트스위치 고정 구조의 설계가 까다로워지고 내구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종래의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는 퀄리티 관점에서 무빙터미널을 이용한 전원 인가 시, 플러그 단자의 삽입방향과 무빙터미널의 이동방향이 달라 택트스위치 On 접촉에 대한 직관성이 낮다. 또한 반복 내구시 품질 저하가 빠른 단점이 있다.
또한 플러그 터미널과 무빙터미널을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제조하여야 하여 사출 금형비가 높아 제품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물류 측면에서도 인서트 사출을 하는 경우 물류 조달 및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품질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단자의 삽입 방향과 택트스위치의 작동 방향이 동일한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빙터미널 제조 시 인서트 사출이 불필요하여 경제적이며 품질 관리가 용이한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러그 단자가 삽입 시 탄성변형 되도록 형성되는 플러그 터미널; 일면이 상기 플러그 터미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 터미널의 변형에 연동하는 무빙블록; 막대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무빙블록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무빙블록에 연동하는 푸시핀; 상기 푸시핀의 타단 측에 배치되어, 상기 푸시핀 이동시 On 동작되는 택트스위치; 및 상기 플러그 터미널 및 무빙블록을 지지하는 플러그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 시 상기 푸시핀은 상기 플러그 단자의 삽입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택트스위치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 시, 상기 플러그 터미널은 탄성변형되어 단부가 상기 삽입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무빙블록은 상기 플러그 터미널의 단부에 밀려 상기 삽입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빙블록은 상기 플러그 터미널 단부에 접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푸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핀은 막대 형상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에 맞물리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무빙블록이 상기 플러그 터미널에 의해 밀릴 때 상기 푸시핀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무빙블록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 커버에는, 상기 무빙블록의 이동 방향을 따라 레일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무빙블록은 상기 레일에 맞물려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 커버에는, 상기 레일의 양단에 상기 무빙블록의 이동 거리를 규제하는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빙블록의 타면 및 상기 플러그 커버의 내측면 사이에 탄성 소재의 탄성체가 배치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 시 압축되고, 상기 플러그 단자 탈거 시,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무빙블록이 상기 플러그 터미널의 중심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 시, 상기 플러그 터미널이 상하 방향으로 변형되고, 상기 무빙블록은 상기 플러그 터미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플러그 단자 탈거 시, 상기 무빙블록은 중력에 의해 상기 플러그 터미널의 중심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택트스위치는 내부에 상기 푸시핀의 이동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플러그 단자 탈거 시, 상기 푸시핀은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무빙블록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 터미널, 무빙블록, 푸시핀 및 택트스위치는 복수 개 설치되며, 각각의 플러그 터미널 변형에 의해 각각 택트스위치가 On 동작되도록 복수의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 쌍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택트스위치가 모두 On 된 경우 상기 플러그 터미널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에 따르면 종래의 인서트 사출한 무빙터미널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택트스위치에 접촉시키는 구조보다 품질, 비용, 물류 관점에서 개선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택트스위치를 PCB 상에 수평으로 실장하여 전원 인가에 대한 직관성이 높으며 품질이 향상되고, 인서트 사출 방식을 사용하지 않아 비용이 낮아지고, 제조 시 물류 과정도 단순해지며, 추후 관리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플러그 터미널 개수에 맞추어 택트스위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하는 경우 제어부에 의해 두 곳의 플러그 터미널에 플러그 단자가 접속되는 경우에만 전원 인가 판정을 하므로, 어린아이가 쇠 젓가락을 어느 한 쪽 플러그에 넣는 등 감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에도 안전사고 발생 확률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결합사시도,
도 4는 플러그 커버, 무빙블록 및 푸시핀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 3과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플러그 커버에서 무빙블록이 장착되는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무빙블록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택트스위치 동작 전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무빙블록 및 푸시핀의 연동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결합사시도, 도 4는 플러그 커버, 무빙블록 및 푸시핀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 3과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플러그 커버에서 무빙블록이 장착되는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무빙블록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택트스위치 동작 전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무빙블록 및 푸시핀의 연동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러그 단자(2)가 형성된 플러그(1)를 플러그 터미널(20)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버(10)에 꽂아, 기판(60)에 실장된 택트스위치(50)를 On 동작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플러그 단자(2)가 형성된 플러그(1)와, 플러그(1) 삽입 시 플러그 단자(2)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플러그 터미널(20)과, 플러그 터미널(20)에 연동하는 무빙블록(30) 및 푸시핀(40)과, 상기 구성들을 지지하는 하우징(11)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버(10)와, 택트스위치(50)가 실장된 기판(6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플러그 커버(10)는, 하우징(11)과 커버(13)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3)는 하우징(11)의 일측면에서 하우징(11)을 덮도록 조립되며, 플러그 단자(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플러그 홀(14)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은 기판(60)에 설치되며 내부에 다른 부품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1)의 커버(13)를 향하는 면 상에는 플러그 터미널(20)이 실장될 수 있는 터미널삽입부(12)가 요입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삽입부(12)의 일측에는 무빙블록(30)을 배치 및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무빙블록(30) 지지 구조는 플러그 터미널(20)이 변형되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터미널(20)이 상하 방향으로 변형된다고 할 때, 무빙블록(30)은 터미널삽입부(12)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무빙블록(30) 지지 구조는, 무빙블록(30)이 일 방향으로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1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일(16)의 양 단에는 무빙블록(30)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레일(16)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제1스토퍼(15) 및 제2스토퍼(1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블록(3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무빙블록(30)이 레일(16) 내측에 안착할 수 있으며, 상부로의 이동은 제1스토퍼(15)에 의해 규제되고 하부로의 이동은 제2스토퍼(17)에 의해 규제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터미널(20)은 상술한 터미널삽입부(12)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될 수 있다. 플러그 터미널(20)은 얇은 금속 띠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 플러그 단자(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형성될 수 있다. 개구형성된 부분은 플러그 단자(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내측 부분은 플러그 단자(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형성된 부분은 커버(13)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삽입되며, 이에 따라 플러그 단자(2) 삽입 시 플러그 터미널(20)의 개구부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플러그 터미널(20)의 단부는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플러그 단자(2)가 탈거되면, 플러그 터미널(20)은 형상이 복원되며 단부가 중심측으로 이동한다.
무빙블록(30)은 플러그 터미널(20)이 변형되는 방향 중 일측에 배치된다. 상술한 무빙블록(30) 지지 구조 상에 거치되며, 커버(13)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무빙블록(30)은 플러그 터미널(20)의 단부에 일면이 접하도록 형성되어, 플러그 터미널(20)이 변형되면 단부에 빌려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무빙블록(30)은 플러그 단자(2)가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 방향은 레일(16)에 의해 가이드되며, 이동 범위는 제1스토퍼(15) 및 제2스토퍼(17)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무빙블록(30)은 상기 플러그 터미널(20)의 단부에 접하는 본체(31)와, 본체(31)에서 상기 플러그 터미널(2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부(32)와, 본체(31)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푸시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32)는 상술한 레일(16)에 삽입되거나 레일(16)에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푸시부(33)는 푸시핀(40)이 설치되는 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푸시부(33)에는 푸시핀(40)의 단부가 미끄러질 수 있는 경사면(34)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34)은 플러그 단자(2) 삽입되어 무빙블록(30)이 플러그 터미널(2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푸시핀(40)이 무빙블록(30)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무빙블록(30)과 하우징(11) 사이에는 탄성체(35)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체(35)는 무빙블록(30)의 위치를 원상복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하우징(11)에 결합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고, 도면과 같이 무빙블록(30)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체(35)는 플러그 단자(2) 삽입 시, 무빙블록(30)의 이동에 따라 하우징(11)과 무빙블록(30)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되며, 플러그 단자(2)를 탈거 하면 무빙블록(30)을 미는 힘이 없어지므로 탄성체(35)의 복원력에 의해 무빙블록(30)을 플러그 터미널(20) 중앙 측으로 밀어내 원상복귀시킬 수 있다.
무빙블록(30)의 위치를 원상복귀시키기 위한 다른 예로는, 무빙블록(30)을 도 6과 같이 플러그 터미널(20) 상부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러그 단자(2) 삽입 시, 무빙블록(30)이 상방으로 이동하고, 플러그 단자(2) 탈거 시 중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푸시핀(40)은 막대 형상의 연장부(41)와, 연장부(41)의 일단에 형성되는 고깔 형상의 테이퍼진 슬라이딩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42)와 상기 무빙블록(30) 경사면(34)의 경사각은 서로 부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푸시핀(40)의 일단은 푸시부(33)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가, 무빙블록(30)이 이동하면 푸시부(33)의 경사면(34)을 따라 푸시부(33) 상에 올라타게 된다. 그리고 무빙블록(30)의 본체(31)상에 푸시부(33)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푸시핀(40)은 하우징(11) 상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무빙블록(30)이 이동함에 따라 푸시핀(40)이 푸시부(33) 돌출 방향, 즉 무빙블록(30)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푸시핀(40)은 타단이 택트스위치(50)가 실장된 기판(6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택트스위치(50)는 종래와 달리 기판(60)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푸시핀(40)은 기판(60) 및 택트스위치(5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푸시핀(40)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택트스위치(50)가 눌려 On 동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택트스위치(50)에는 스프링이 내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빙블록(30)이 원상복귀된 경우, 푸시핀(40)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무빙블록(30) 측으로 원상복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단자(2) 삽입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무빙블록(30)이 이동하고, 무빙블록(30)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푸시핀(40)이 이동하여 기판(6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택트스위치(50)를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택트스위치(50)를 기판(60)에 설치하기 위한 복잡한 다리 형상의 구조물이 필요 없게되어 설계가 간단해지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에 인서트 사출이 필요 없게 되어 복잡한 제조 과정을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도면에는 무빙블록(30)이 두 플러그 터미널 단부(21)에 한꺼번에 접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각각의 플러그 터미널(20)에 접하는 무빙블록(30), 각각의 무빙블록(30)에 연동하는 푸시핀(40), 각각의 푸시핀(40)에 의해 동작되는 택트스위치(5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플러그 터미널(20)에 각각 연결된 택트스위치(50) 동작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택트스위치(50)가 모두 On 동작된 경우에만 플러그 터미널(20)에 전원 인가 판정을 내리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쇠 젓가락 등 막대 형상의 도체를 플러그 터미널(20) 1개소에 꽂더라도 전원 인가는 되지 않으므로 감전으로 인한 영/유아 안전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구성별로 세부 구성을 나누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일부 구성을 임의로 조합하여 도출될 수 있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플러그 2 플러그 단자
10 플러그 커버 11 하우징
12 터미널삽입부 13 커버
14 플러그 홀 15 제1스토퍼
16 레일 17 제2스토퍼
20 플러그 터미널 21 플러그 터미널 단부
30 무빙블록 31 본체
32 가이드부 33 푸시부
34 경사면 35 탄성체
40 푸시핀 41 연장부
42 슬라이딩부 50 택트스위치
60 기판

Claims (9)

  1. 플러그 단자가 삽입 시 탄성변형 되도록 형성되는 플러그 터미널;
    일면이 상기 플러그 터미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 터미널의 변형에 연동하는 무빙블록;
    일단이 상기 무빙블록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무빙블록에 연동하는 푸시핀;
    상기 푸시핀의 타단 측에 배치되어, 상기 푸시핀 이동시 On 동작되는 택트스위치; 및
    상기 플러그 터미널 및 무빙블록을 지지하는 플러그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 시 상기 푸시핀은 상기 플러그 단자의 삽입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택트스위치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 시, 상기 플러그 터미널은 탄성변형되어 단부가 상기 삽입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무빙블록은 상기 플러그 터미널의 단부에 밀려 상기 삽입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블록은 상기 플러그 터미널 단부에 접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푸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핀은 막대 형상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에 맞물리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무빙블록이 상기 플러그 터미널에 의해 밀릴 때 상기 푸시핀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무빙블록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버에는, 상기 무빙블록의 이동 방향을 따라 레일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무빙블록은 상기 레일에 맞물려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버에는, 상기 레일의 양단에 상기 무빙블록의 이동 거리를 규제하는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블록의 타면 및 상기 플러그 커버의 내측면 사이에 탄성 소재의 탄성체가 배치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 시 압축되고,
    상기 플러그 단자 탈거 시,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무빙블록이 상기 플러그 터미널의 중심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 시, 상기 플러그 터미널이 상하 방향으로 변형되고, 상기 무빙블록은 상기 플러그 터미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플러그 단자 탈거 시, 상기 무빙블록은 중력에 의해 상기 플러그 터미널의 중심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택트스위치는 내부에 상기 푸시핀의 이동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플러그 단자 탈거 시, 상기 푸시핀은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무빙블록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터미널, 무빙블록, 푸시핀 및 택트스위치는 복수 개 설치되며,
    각각의 플러그 터미널 변형에 의해 각각 택트스위치가 On 동작되도록 복수의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 쌍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택트스위치가 모두 On 된 경우 상기 플러그 터미널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
KR1020210188765A 2021-12-27 2021-12-27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 KR102632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765A KR102632450B1 (ko) 2021-12-27 2021-12-27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765A KR102632450B1 (ko) 2021-12-27 2021-12-27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433A KR20230099433A (ko) 2023-07-04
KR102632450B1 true KR102632450B1 (ko) 2024-02-02

Family

ID=87156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765A KR102632450B1 (ko) 2021-12-27 2021-12-27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4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750Y1 (ko) 2003-05-21 2003-08-27 박정복 콘센트 안전장치
KR200373504Y1 (ko) 2004-10-11 2005-01-15 이찬우 안전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KR200397590Y1 (ko) 2005-07-21 2005-10-05 이찬우 안전 콘센트
KR102145963B1 (ko) 2019-10-18 2020-08-19 이종호 안전 콘센트
KR102222351B1 (ko) 2020-11-30 2021-03-03 주식회사 틸인스(Tilins) 절전효율을 향상시킨 대기전력차단 콘센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427Y1 (ko) * 2010-05-27 2011-12-20 정완석 콤팩트한 안전콘센트용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750Y1 (ko) 2003-05-21 2003-08-27 박정복 콘센트 안전장치
KR200373504Y1 (ko) 2004-10-11 2005-01-15 이찬우 안전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KR200397590Y1 (ko) 2005-07-21 2005-10-05 이찬우 안전 콘센트
KR102145963B1 (ko) 2019-10-18 2020-08-19 이종호 안전 콘센트
KR102222351B1 (ko) 2020-11-30 2021-03-03 주식회사 틸인스(Tilins) 절전효율을 향상시킨 대기전력차단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433A (ko) 202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1615B1 (en) Safety Lampholder and Method for Avoiding Accidental Electric Shock Caused by Lampholder
US1050530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blind-mate aider
CN202454472U (zh) 小型键盘开关
US2882514A (en) Electric circuit connector
US4354718A (en) Dual-in-line package carrier and socket assembly
JP2000260506A (ja)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32450B1 (ko) 택트스위치 동작 구조
WO2003101162B1 (en) Connector packaging and transport assembly
CN102610450A (zh) 一种插座式接地故障线路断路器
MY117442A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with guide wall section to keep lever members from coming off
CN110994298A (zh) 同轴开关
CN201171026Y (zh) 小型漏电断路器导轨安装机构
US2881279A (en) Wiring device
CN201000828Y (zh) 开关
CN101752765B (zh) 电连接器
CN204424646U (zh) 一种T-Flash卡与SIM卡二合一的卡座
CN102473535B (zh) 用于电磁开关设备的触点装置
JP2020140764A (ja) 電子モジュール
US3949276A (en) Plug-in type relay
CN114121553B (zh) 高压接触器安装结构及高压配电盒
CN217956206U (zh) 具有防尘门的插座
JP6535599B2 (ja) 端子装置
US3449538A (en) Snap-action pulse switch
CN202042762U (zh) 电子卡连接器
CN220290715U (zh) 一种触头组件及具有该触头组件的接触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