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232B1 -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232B1
KR102632232B1 KR1020210146246A KR20210146246A KR102632232B1 KR 102632232 B1 KR102632232 B1 KR 102632232B1 KR 1020210146246 A KR1020210146246 A KR 1020210146246A KR 20210146246 A KR20210146246 A KR 20210146246A KR 102632232 B1 KR102632232 B1 KR 102632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leak test
battery
electric vehicle
tes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1718A (ko
Inventor
최정호
Original Assignee
(주)엠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벡 filed Critical (주)엠벡
Priority to KR1020210146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232B1/ko
Publication of KR20230061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28Leak testing of cells 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륨가스를 추적 가스로 이용함으로써, 에어 리크 테스트 방법 대비 정밀한 리크 테스트가 가능하고, 배터리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냉각라인을 통해 배터리 셀의 상태를 최상으로 유지하며, 드라이 베어링을 적용한 건식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진공작업 시, 일반 베어링에서 오일이 유출되어 챔버를 오염시키는 문제를 해결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수납하는 테이블 플레이트를 수납하는 챔버; 상기 챔버를 진공 상태로 전환하는 건식 진공펌프; 상기 건식 진공펌프에 의해 상기 챔버 내부가 진공 상태일 때, 상기 배터리 셀에 헬륨가스를 주입하는 헬륨 주입펌프; 상기 배터리 셀에서 누출되는 헬륨가스가 존재할 경우, 상기 챔버로 누출되는 상기 헬륨가스를 검출하여 상기 배터리 셀에 대한 리크(Leak)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리크 디텍터; 및 상기 배터리 셀 사이를 따라 유로가 형성되고 일 측은 상기 챔버 외부에 위치하고 타 측은 상기 챔버 내부에 위치하는 냉각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Leak tes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본 발명은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헬륨을 추적가스로 하고, 건식 진공펌프를 이용한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를 구동하는 전기자동차는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이온 배터리 또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는 에너지 밀도가 낮은 대신 재사용 횟수가 높은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이용하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나 리튬 인산철 배터리를 통상 리튬 배터리라 하며, 리튬 배터리를 구성하는 리튬은 에너지 밀도가 높은 만큼 상온에서도 잘못 취급되면 언제든 폭발할 위험성도 가지고 있다.
전기차에서 사용되는 리튬 배터리는 원통형, 각형 및 파우치형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최근 전기차 화재 이슈에 의해 파우치 형이 쇠퇴하고, 원통형과 각형이 주류가 되고 있다.
전기차에 탑재되는 리튬 배터리 팩은 수백 내지 수천 개에 이르는 단위 셀(cell)의 직병렬 조합으로 구성된다. 전기차에 탑재되는 모터의 정격 전압에 맞추어 셀을 직렬 연결하여 모듈을 이루고, 모터의 필요 전류량에 따라 모듈을 병렬 연결하여 전체 배터리 팩이 구성된다. 리튬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단위 셀(cell)들은 전기차 구동 시 발생하는 진동, 충격, 고온, 저온 및 습기 침투에 저항하기 위해 통상 메탈 캔으로 보호되고 있다.
그러나, 셀을 보호하는 메탈 캔이 제조상 문제로 크랙이 발생하여 셀 내부를 제대로 보호할 수 없거나, 또는 셀의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있다면, 해당 셀로 제조된 배터리 팩은 제 성능을 내지 못하거나, 심하면 배터리 팩이 폭발할 우려도 있다.
이에 대해, 배터리 제조사는 제작된 단위 셀의 밀폐 여부를 테스트 하는 테스트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이러한 테스트 시스템을 리크 테스트 시스템이라 하며, 주로 에어 리크 테스트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에어 리크 테스트 방법(Air leak test method)은 챔버(chamber) 내에 배터리 셀을 배열하고, 챔버를 밀폐한 후, 챔버 내에 공기를 주입한 후, 압력 감쇠 방식으로 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한다. 챔버 내에 위치한 셀들 중 기밀이 유지되지 않는 셀이 있다면, 챔버에 주입된 공기가 셀 내부로 유입되면서 챔버 내의 공기 압력은 감소한다.
그러나, 에어 리크 테스트 방법은 챔버에 가할 수 있는 공기의 압력이 e-2 mbar.l/s 로 낮아 셀의 누출 상태에 따라서는 잘 검출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그 신뢰성이 높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에 대해 업계는 헬륨 리크 테스트 방법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헬륨 리크 테스트 방법은 헬륨(Helium)을 추적 가스로 하여 셀 내부에 헬륨가스를 넣거나, 또는 완제품 셀의 외부(챔버 내부)에 헬륨가스를 넣어 셀에 대한 리크 테스트를 진행하는 방법이다.
헬륨은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거의 없는 불활성 기체라 리튬과 반응하여 폭발할 위험성이 없고, 셀 내부의 화학 물질과도 반응성이 없어 안전한 리크 테스트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e-09 mbar.l/s 까지 검출이 가능해 기존의 에어 리크 테스트 방법 대비 더 정밀한 리크 검출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현재, 헬륨 리크 테스트 방법은 기계설비나 선박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본 출원인은 헬륨 리크 테스트 방법을 배터리 셀에 대한 리크 테스트에 적용하고자 한다.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74454 (발명의 명칭 : 전기자동차 배터리 커버의 에러리크 검출 및 검출결과의 출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7308 (발명의 명칭 : 전기차 배터리 커버의 리크 시험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헬륨가스를 추적 가스로 이용하여 기존의 에어 리크 테스트 방법 대비 더 정밀한 리크 테스트가 가능한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배터리 셀에 대해 리크 테스트를 진행 시, 배터리 셀의 온도를 낮추어 배터리 셀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건식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배터리 셀을 수납하는 챔버를 진공상태로 전환함으로서 기존의 진공펌프에서 누출되는 오일에 의해 발생하는 챔버 오염을 최소하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수납하는 테이블 플레이트를 수납하는 챔버, 상기 챔버를 진공 상태로 전환하는 건식 진공펌프, 상기 건식 진공펌프에 의해 상기 챔버 내부가 진공 상태일 때, 상기 배터리 셀에 헬륨가스를 주입하는 헬륨 주입펌프, 상기 배터리 셀에서 누출되는 헬륨가스가 존재할 경우, 상기 챔버로 누출되는 상기 헬륨가스를 검출하여 상기 배터리 셀에 대한 리크(Leak)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리크 디텍터 및 상기 배터리 셀 사이를 따라 유로가 형성되고 일 측은 상기 챔버 외부에 위치하고 타 측은 상기 챔버 내부에 위치하는 냉각라인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헬륨가스를 추적 가스로 이용함으로써, 에어 리크 테스트 방법 대비 정밀한 리크 테스트가 가능하고, 배터리 셀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냉각라인을 통해 배터리 셀의 상태를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드라이 베어링을 적용한 건식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진공작업 시, 일반 베어링에서 오일이 유출되어 챔버를 오염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의 블록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리크 디텍터의 헬륨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식 진공펌프에 적용되는 드라이 베어링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진공펌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배터리 셀은 원통형 셀, 각형의 셀, 및 각형의 배터리 모듈 중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원통형 셀은 건전지와 같은 외형을 가지고 외부는 금속 캔으로 보호되는 유형의 배터리 셀을 의미한다. 원통형 셀은 테슬라에서 주로 이용되는 규격으로, 지름 - 길이에 의해 배터리 셀의 모델명이 정의된다. 예컨대, 테슬라 21700 배터리 셀은 지름 21mm, 길이 70mm임을 지칭한다.
각형은 알루미늄 캔의 형태가 사각형을 띔에 따라 부여된 명칭으로 기본적인 베터리 전극 구조는 통상의 리튬 배터리와 동일하다. 원통형 대비 에너지 밀도가 낮으나 외부 충격에 강하고 내구성이 좋아 근래 폭스바겐社에서 중국 CATL社에 발주하는 유형의 배터리 셀에 해당한다.
한편, 각형 배터리 셀 중, 하나의 사각형 케이스 내에 다수의 배터리 셀을 병렬 적층하여 출력 전류를 증가시킨 모듈타입 각형 배터리가 있다.
모듈타입 각형 배터리는 그 외형이 일반적인 각형 배터리와 유사하나, 병렬 적층되는 배터리 셀의 개수에 따라 그 출력전류가 증가하는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모듈타입 각형 배터리도 각형 배터리 셀로 취급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배터리 셀은 리튬 배터리 셀을 지칭하며, 리튬 배터리 셀은 리튬이온 및 리튬 인산철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형 배터리 셀이든 원통형 배터리 셀이든 간에 "배터리 셀"이라는 단일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의 블록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은, 챔버(110), 리크 디텍터(120), 진공센서(130), 건식 진공펌프(140), 헬륨 주입펌프(150) 및 냉각펌프(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챔버(110)는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을 수납하며,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을 정렬하고 고정하기 위해 내부에 테이블 플레이트(111)를 구비한다.
테이블 플레이트(111)는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의 개수에 해당하는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을 일정한 간격에 맞추어 규칙적으로 수납하고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테이블 플레이트(111)는 판상의 프레임 상에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챔버(110)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거나, 헬륨가스가 배터리 셀(10a 내지 10f) 내부로 주입될 때, 판상의 프레임에서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이 유동하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테이블 플레이트(111)는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의 형태에 따라 그 형태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이 원통형인 경우, 테이블 플레이트(111)에는 원통 구조의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을 수납할 수 있는 원통형 수납부가 구비되나,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이 각형 셀인 경우에는 판상의 프레임상에 각형 배터리의 외경치수에 맞는 고정지그(zig)가 구비될 수도 있다.
리크 디텍터(120)는 배터리 셀(10a 내지 10f)에 헬륨가스가 주입된 이후, 챔버(110) 내부에서 헬륨가스가 검출될 때, 이를 통해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의 리크(Leak)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테이블 플레이트(111)에 수납된 배터리 셀(10a 내지 10f)에 손상이나 크랙이 존재할 경우, 배터리 셀(10a 내지 10f) 내부에 봉입된 헬륨가스는 배터리 셀(10a 내지 10f)에서 누출되어 챔버(110) 내부로 유출된다. 이때, 챔버(110) 내부는 진공 상태이므로 챔버(110)에서 누출된 헬륨가스의 농도가 증가한다.
리크 디텍터(120)는 챔버(110) 내부에 누출된 헬륨가스를 검출한다.
리크 디텍터(120)가 헬륨가스를 검출하는 방법은 자기장이 걸린 벨로즈(Bellows)를 이용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리크 디텍터의 헬륨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리크 디텍터(120)는 곡선 구간을 가지는 벨로즈(bellows)를 중심으로 일 측(source)은 불순물이 포함된 헬륨가스가 유입된다. 이때, 벨로즈(bellows)에는 강한 자기장(magnetic field)이 걸린다.
챔버(110)에서 토출되는 헬륨가스 중 질량이 큰 불순물은 자기장(magnetic field)에 걸려 파괴된다. 헬륨은 2족 원소로서, 수소 다음으로 가장 질량이 작고 가벼운 원소에 해당한다. 헬륨은 벨로즈(bellows)에 걸린 자기장에 의해 파괴되지 않고 벤딩된 벨로즈(bellows)를 따라 리크 디텍터(120)로 인가된다. 즉, 헬륨과 불순물 사이의 질량차에 의해 질량이 극소인 헬륨가스는 리크 디텍터(120)로 인가되어 검출될 수 있다.
리크 디텍터(120)는 챔버(110) 내부에서 헬륨가스가 검출되면, 배터리 셀(10a 내지 10f)에 결함(크랙, 찢어짐, 벌어짐 및 천공 등)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리크 디텍터(120)에서 배터리 셀(10a 내지 10f)에 결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은 리크 테스트를 중단하고, 챔버(110)의 진공 상태를 해제한다. 이후, 챔버(110)를 개방하고,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을 대기에 노출시킨 후, 스니퍼(Sniffer)를 이용하여 결함이 발생한 상세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진공센서(130)는 챔버(110) 내부의 진공상태를 검출하고, 이를 건식 진공펌프(140)로 피드백한다. 건식 진공펌프(140)는 0.1 Torr(10-1 mbar)이하의 압력으로 챔버(110) 내부를 진공 상태로 전환하며, 사용자 설정된 목표 진공도까지 구동 후, 정지할 수 있다.
건식 진공펌프(140)는 진공장치에서 범용으로 사용되는 오일 로터리 방식의 진공펌프와 달리 윤활유의 도포가 요구되지 않는다.
통상, 진공펌프는 모터의 회전운동 또는 스크류의 직선 왕복운동을 하며 기체를 압축 또는 순환시킨다. 회전 또는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부품과 이를 지지하는 부품 사이에는 마찰이 발생하고, 마찰이 심해지면 발열이 증가하는 것은 물론, 마찰에 따른 부품의 슬러지가 챔버(110)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진공펌프는 부품간의 마찰 감소와 원활한 모터회전을 위해 윤활제를 사용한다.
그러나, 진공펌프를 가동하여 진공 상태로 전환할 때,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기체와 토출되는 기체 사이의 압력차가 커지면서 액상의 윤활제가 챔버(110) 내부로 유입되고, 챔버(110) 내부로 유입된 윤활제는 챔버(110) 내부를 유동할 수 있으며,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이나 챔버(110) 내부의 기계부품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윤활제를 사용하지 않는 건식 진공펌프(140)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진공펌프(140)는 구동축에 드라이 베어링을 적용하여 액상의 윤활제가 챔버(1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드라이 베어링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건식 진공펌프에 적용되는 드라이 베어링의 일 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베어링(141)은 링 형상을 가지며, 외층(141a)과 내층(141b)으로 구성되어 복층을 이룬다.
외층(141a)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메탈 재질로 구성되어 링 형상의 구조물을 지지한다. 내층(141b)은 비 메탈 재질로서, 테프론(Teflon) 복합재, 또는 카본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테프론은 불소와 탄소의 화합물로 화학적으로 내열성이 높고, 마찰계수가 낮다. 또한, 내층(141b)에 테프론 화합물이 사용되면, 내층(141b)에는 액상의 윤활제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건식 진공펌프(140)가 챔버(110) 내부를 진공으로 전환할 때 챔버(110) 내부로 액상의 윤활제가 유입되지 않는다.
헬륨주입 펌프(150)는 배터리 셀(10a 내지 10f) 내부로 헬륨가스를 주입한다. 헬륨주입 펌프(150)가 배터리 셀(10a 내지 10f) 내부로 헬륨가스를 주입하기 전 챔버(110) 내부는 진공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펌프(160)는 챔버(110)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한다. 냉각펌프(160)는 챔버(110) 내부에 설치되는 냉각라인과 연결되며, 냉각라인은 테이블 플레이트(111)에 마운트된 배터리 셀(10a 내지 10f) 사이사이를 지나가는 유로로 구성된다.
냉각펌프(160)는 배터리 셀(10a 내지 10f)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에 냉각수를 공금하고, 냉각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챔버(110) 외부에는 가열된 냉각수를 식히기 위한 라디에이터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냉각라인은 냉각수가 흐르는 배관의 구조를 대신하여 히트 파이프로 구성될 수도 있다. 히트 파이프는 알코올과 같은 냉매가 해면 구조를 갖는 금속을 유동하면서 열평형을 이루는 금속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냉각라인을 히트파이프로 구성할 경우, 챔버(110) 내부에는 가늘고 긴 방사형 구조의 냉각라인이 배열되어 챔버(110) 내부를 방열할 수도 있다. 이때, 히트파이프 중 챔버(110) 외부에 위치하는 종단은 별도의 라디에이터와 연결되어 흡수된 열을 배출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진공펌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건식 진공펌프(140)는 펌프의 선단측에 한 쌍의 루츠 로터(142a, 142b)가 내장되고, 기단측에는 구동모터(148)가 장착되며 이들 사이에는 한 쌍의 스크류 로터(145a, 145b)가 루츠 로터(142a, 142b)와 동축상태로 내장된다.
스크류 로터(145a, 145b)의 선단은 각각 칸막이벽(144)을 관통하며, 칸막이벽(144)을 관통하고 있는 부분은 각각 드라이 베어링(143a, 143b)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스크류 로터(145a, 145b)의 기단축(149a, 149b)은 단벽(146)에 배치된 드라이 베어링(147a, 147b)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건식 진공펌프(140)는 한 쌍의 스크류 로터(145a, 145b)와 이들의 선단에 동축상태로 장착한 한 쌍의 루츠 로터(142a, 142b)를 포함하여 장치의 구성이 콤팩트하며, 루츠 로터(142a, 142b)와 스크류 로터(145a, 145b)를 이용하여 원하는 진공도와 소요동력특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건식 진공펌프(140)는 펌프 운전시 진공상태와 대기압 상태의 압력이 반복될 수 있는 흡기구(i) 측에 루츠 로터(142a, 142b)와 스크류 로터(145a, 145b)를 지지하는 드라이 베어링(143a, 143b)이 위치하기 때문에 진공에 따른 압력차가 드라이 베어링(143a, 143b)에 가해지더라도 드라이 베어링(143a, 143b)에서 윤활제와 같은 것이 챔버(110)로 유입되지 않으며, 구동 모터(148)에 무리한 부하나 이물질을 가하지 않는다.
110 : 챔버 111 : 테이블 플레이트
120 : 리크 디텍터 130 : 진공센서
140 : 건식 진공펌프 150 : 헬륨 주입펌프
160 : 냉각펌프

Claims (6)

  1.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수납하는 테이블 플레이트를 수납하는 챔버;
    상기 챔버를 진공 상태로 전환하는 건식 진공펌프;
    상기 건식 진공펌프에 의해 상기 챔버 내부가 진공 상태일 때, 상기 배터리 셀에 헬륨가스를 주입하는 헬륨 주입펌프;
    상기 배터리 셀에서 누출되는 헬륨가스가 존재할 경우, 상기 챔버로 누출되는 상기 헬륨가스를 검출하여 상기 배터리 셀에 대한 리크(Leak)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리크 디텍터; 및
    상기 배터리 셀 사이를 따라 유로가 형성되고 일 측은 상기 챔버 외부에 위치하고 타 측은 상기 챔버 내부에 위치하는 냉각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라인은,
    상기 챔버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각수가 상기 셀 사이에서 흡열 후, 상기 냉각수를 상기 챔버 외부로 이동하는 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라인은,
    히트 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히트 파이프 내부에는 냉매가 주입되어 상기 냉매가 상기 챔버의 내부와 외부를 이동하며 열교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진공펌프는,
    모터의 구동축에 드라이 베어링;이 체결되어 진공 상태의 오일 누출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베어링은,
    내층과 외층이 서로다른 재질로 구성되어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층은, 금속 및 금속 복합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내층은, 테프론 화합물 및 카본화합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재질이 복층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
KR1020210146246A 2021-10-29 2021-10-29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 KR102632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246A KR102632232B1 (ko) 2021-10-29 2021-10-29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246A KR102632232B1 (ko) 2021-10-29 2021-10-29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718A KR20230061718A (ko) 2023-05-09
KR102632232B1 true KR102632232B1 (ko) 2024-02-01

Family

ID=8640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246A KR102632232B1 (ko) 2021-10-29 2021-10-29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2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05374A (zh) * 2024-02-05 2024-03-1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氦检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1531B2 (en) * 2012-07-09 2017-11-2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ethod of manufacturing battery
JP5790604B2 (ja) * 2012-08-07 2015-10-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KR101771014B1 (ko) 2015-12-22 2017-08-24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배터리커버의 에어리크 검출 및 검출결과의 출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27308B1 (ko) 2018-03-30 2019-11-04 정아정밀(주) 전기차 배터리 커버의 리크 시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718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2232B1 (ko)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
US7053589B2 (en) Long-life vacuum system for energy storage flywheels
CN100381702C (zh) 密闭型压缩机
JP2009530537A (ja) 圧縮機装置
US20150207182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battery
CN110335977A (zh) 惰化含锂电池和相关容器的方法
BRPI1002314A2 (pt) Armação de vedação para uso em uma bateria
JP2005134382A (ja) 埋め込み型エネルギ蓄積装置に対する密閉された筐体の漏れを検出する方法
CN110954275A (zh) 一种锂电池密封盖密封性检测装置及检测方法
TWI470855B (zh) 用於密封鋰離子電池的系統與方法
CN110927039A (zh) 一种高低温循环检测材料渗漏性能的装置及其检测方法
JP2011237294A (ja) 漏れ検査装置および漏れ検査用の接続ホース
US5605190A (en) Heat accumulator, in particular for latent heat,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the same
CN211452749U (zh) 一种锂电池密封盖密封性检测装置
KR100537603B1 (ko)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CN104913193B (zh) 一种夹层低温容器内容器的检漏方法和装置
CN113908471A (zh) 动力电池装置
CN210131659U (zh) 一种检验科用检验容器
KR20220029338A (ko) 손상된 전지 셀의 검출이 가능한 전지 시스템 및 전지 모듈 평가 방법
CN112649284A (zh) 用于材料低温力学性能测试的辅助装置
CN111900303A (zh) 一种使用真空的储能电池安全技术
CN218496344U (zh) 一种检测装置及检测系统
JP2011002162A (ja) 復水器の冷却管の漏洩位置の検索方法及び検索装置
CN109148984A (zh) 一种全自动汽车动力电池泄漏检测设备
CN208674307U (zh) 一种全自动汽车动力电池泄漏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