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124B1 -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토큰 채굴을 이용한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토큰 채굴을 이용한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124B1
KR102632124B1 KR1020220123274A KR20220123274A KR102632124B1 KR 102632124 B1 KR102632124 B1 KR 102632124B1 KR 1020220123274 A KR1020220123274 A KR 1020220123274A KR 20220123274 A KR20220123274 A KR 20220123274A KR 102632124 B1 KR102632124 B1 KR 102632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
concept
shooting
user
tok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9835A (ko
Inventor
이호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케이벤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케이벤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케이벤쳐스
Publication of KR20220139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1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위 실시예들은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컨셉에 따라 촬영룸의 조명, 음악 및 카메라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제공한 사진 컨셉 및 사용자가 반응한 광고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저장하고, 촬영 키오스크의 유휴 컴퓨팅 자원을 이용한 토큰 채굴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토큰 채굴을 이용한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 및 시스템{THE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PHOTO STUDIO USING MINING TOKEN BASED ON BLOCKCHAIN NETWORK}
아래 실시예들은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컨셉에 따라 촬영룸의 조명, 음악 및 카메라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제공한 사진 컨셉 및 사용자가 반응한 광고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저장하고, 촬영 키오스크의 유휴 컴퓨팅 자원을 이용한 토큰 채굴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사진 촬영은 빛에 의한 영향을 받는 예민한 작업 중 하나이다. 이에 따라, 백일 사진, 돌사진, 결혼사진과 같은 기념사진을 비롯하여, 특정 피사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광고 사진들이 전문 사진기사들에 의해 촬영되고 있다.
한편, 사진 촬영은 빛에 의한 간섭을 조절하면서 촬영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됨에 따라, 빛의 조절이 용이한 밀폐된 스튜디오 내에서 촬영이 요구된다. 이러한 스튜디오는 피사체에 대한 적절한 높이, 거리를 유지하는 정적 위치에서 빛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접근성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작업자의 촬영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스튜디오 환경에 대한 간편하게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과거 기념 사진 앨범의 제작은 포토 스튜디오에서 촬영하여 자체적으로 완료되어 소비자(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그러나 인터넷의 보급과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의해 포토 스튜디오에서 사용자가 직접 사진을 촬영하고 앨범 제작을 의뢰하면, 포토 스튜디오의 웹 사이트 혹은 웹 하드를 이용해서 앨범에 사용될 사진 파일을 열람하도록 하고, 또한 그 디지털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을 찍기 위해 직접 피사체 또는 촬영 환경의 조명이나 카메라의 다양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촬영하면 전문 사진기사가 촬영하는 것과 같은 높은 퀄리티의 사진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따라서 사진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높은 퀄리티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게는 여러 촬영 컨셉으로 사진 촬영하려는 니즈가 있으며, 이를 위해 포토 스튜디오는 다양한 촬영 컨셉을 준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오고 있다. 그러나 포토 스튜디오가 제공하는 한정된 촬영 컨셉만으로는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엔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촬영 컨셉을 사용자가 직접 생성하여 포토 스튜디오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포토 스튜디오 내 유휴 컴튜팅 자원을 활용하여, 포토 스튜디오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며, 사용자에게 다양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써,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 실시예들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컨셉에 따라 촬영룸의 조명, 음악 및 카메라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제공한 사진 컨셉 및 사용자가 반응한 광고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저장하고, 촬영 키오스크의 유휴 컴퓨팅 자원을 이용한 토큰 채굴 기능을 제공하는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토큰 채굴을 이용한 포토 스튜디오 운영 서버의 동작 방법으로, 촬영룸 키오스크로부터 광고에 반응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광고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반응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광고에 반응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광고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반응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 반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광고 반응 데이터를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가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랜잭션하는 단계;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로부터 사용자의 토큰 채굴 신호를 수신 단계;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의 유휴 컴퓨팅 자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유휴 컴퓨팅 자원을 이용하여, 토큰 채굴을 수행하는 단계; 및 채굴된 토큰을 상기 포토 스튜디오 운영 서버의 운영자 및 상기 사용자에게 보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 제공 단계는 상기 채굴된 토큰을 기설정된 비율로 분배하되, 상기 광고 반응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분 비율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포토 스튜디오 운영 서버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마케팅 퍼널(Marketing Funnel)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 제공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마케팅 퍼널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분 비율에 가중치를 부여한다.
일 실시예는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로부터 촬영 컨셉 테이블, 사진 프레임 정보 및 사진 컨셉 창작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촬영 컨셉 테이블, 사진 프레임 정보 및 사진 컨셉 창작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진 컨셉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사진 컨셉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랜잭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 제공 단계는 상기 사진 컨셉 창작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채굴된 토큰을 사진 컨셉 창작자에게 보상으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는 상기 보상 제공 단계는 상기 채굴된 토큰의 규모, 토큰 채굴 시간, 예상 소모 전기량, 상기 사용자의 회원 등급, 상기 사용자의 결제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운영자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배분 비율을 설정한다.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하는, 포토 스튜디오 운영 서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촬영룸 키오스크로부터 광고에 반응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광고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반응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광고에 반응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광고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반응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 반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광고 반응 데이터를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가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랜잭션하는 단계;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로부터 사용자의 토큰 채굴 신호를 수신 단계;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의 유휴 컴퓨팅 자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유휴 컴퓨팅 자원을 이용하여, 토큰 채굴을 수행하는 단계; 및 채굴된 토큰을 상기 포토 스튜디오 운영 서버의 운영자 및 상기 사용자에게 보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 제공 단계는 상기 채굴된 토큰을 기설정된 비율로 분배하되, 상기 광고 반응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분 비율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포토 스튜디오 운영 서버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컨셉에 따라 촬영룸의 조명, 음악 및 카메라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컨셉에 따라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직접 사진 컨셉을 생성하여 포토 스튜디오에 제공할 수 있으며, 포토 스튜디오는 촬영 키오스크가 노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사용자가 제공한 사진 컨셉을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 키오스크에 출력되는 광고들 중 사용자가 반응한 광고 관련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여, 광고 효율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촬영 키오스크 내 유휴 컴퓨팅 자원을 이용하여 토큰 채굴 기능을 제공하고, 포토 스튜디오의 운영자, 사용자 및 사진 컨셉 제공자에게 채굴된 토큰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스튜디오 운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스튜디오 운영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컨셉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셉 매칭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컨셉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룸 키오스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룸 키오스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컨셉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컨셉 데이터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반응 데이터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큰 채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 퍼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8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도 18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토큰(token)'은 가상 화폐, 코인(coin) 등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거래를 증명하는 대가로 지급하는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화폐를 대표하는 용어로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토큰 채굴을 이용한 포토 스튜디오 운영 시스템(10, 이하 포토 스튜디오 운영 시스템으로 약칭될 수 있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스튜디오 운영 시스템(10)은 운영 서버(100), 촬영룸 서버(200), 카메라(210), 스피커(220), 조명(230), 센서(24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포토 스튜디오 운영 시스템(10) 내에 포함된 다양한 개체들(entities) 간의 통신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유/무선 네트워크는 표준 통신 기술 및/또는 프로토콜들이 사용될 수 있다.
포토 스튜디오 운영 시스템(10) 내 운영 서버(100), 촬영룸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은 예를 들어, 컴퓨터, UMPC(Ultra Mobile PC), 워크스테이션, 넷북(net-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같은 전자 장치 중 하나로서, 일 실시예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예를 들어, 서비스 화면의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과 같은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포토 스튜디오 운영 시스템(10) 내 촬영룸 서버(200)와 카메라(210)는 촬영룸 키오스크(200)로 구성될 수 있다. 촬영룸 키오스크(200)에 대해서는 이하 도 6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운영 서버(100)는 포토 스튜디오 운영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이다.
운영 서버(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컨셉에 따라, 촬영룸의 조명, 음악 및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운영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진 컨셉 데이터을 수신하여, 사진 컨셉 데이터에 따라 촬영룸의 조명, 음악 및 카메라를 제어하고, 출력되는 사진의 사진 프레임을 변경할 수 있다.
운영 서버(100)는 사용자가 제공한 사진 컨셉 데이터를 촬영룸 키오스크(200)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랙잭션할 수 있다.
운영 서버(10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촬영룸 키오스크(200)에 광고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촬영룸 키오스크(200)는 광고에 반응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광고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반응 유형을 포함하는 광고 반응 데이터를 생성하여 운영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운영 서버(100)는 수신된 광고 반응 데이터를 촬영룸 키오스크(200)가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랙잭션할 수 있다.
운영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토큰 채굴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채굴된 토큰을 운영자, 사용자 및 사진 컨셉 창작자에게 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운영 서버(100)는 촬영룸 서버(200)에 기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촬영룸에 구비된 다양한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운영 서버(100)는 카메라(210)에서 촬영된 촬영 사진을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진 켄섭을 수신할 수 있다.
운영 서버(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 도 2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촬영룸 서버(200)는 촬영룸에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사진 촬영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서버이다.
촬영룸 서버(200)는 운영 서버(100)으로부터 수신된 기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촬영룸에 구비된 카메라(210), 스피커(220), 조명(230) 및 센서(240)를 제어할 수 있다.
촬영룸 서버(200)는 센서(240)로부터 센서 값을 수신하여, 수신된 센서 값을 운영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촬영룸 서버(200)는 터치 스크린,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와 같은 입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촬영룸 서버(200)는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촬영 설정 정보, 기기 제어 정보, 사진 프레임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촬영 설정 정보는 촬영 컨셉, 사진 크기, 촬영 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기 제어 정보는 카메라 파라미터, 조명 조도, 조명 색상, 촬영 음악, 스피커 음량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진 프레임 정보는 출력되는 사진의 프레임 디자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룸 서버(200)는 디스플레이 기기, 스피커와 같은 출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촬영룸 서버(200)는 출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사진 촬영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촬영룸 서버(200)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촬영 컨셉 및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을 출력할 수 있다.
촬영룸 서버(200)는 운영 서버(100)로부터 광고를 수신하여, 출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광고에 반응하는 경우, 촬영룸 서버(200)는 사용자 반응 정보를 생성하여, 운영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촬영룸 서버(200)는 사용자에게 사진 촬영에 필요한 결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촬영룸 서버(200)는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을 출력하는 사진 인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210)는 촬영룸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카메라(210)를 이용하여 직접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210)는 촬영룸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카메라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카메라 파라미터는 사진의 화질, 크기, 카메라의 감도(ISO), 필터, 조리개, 셔터 스피드 등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촬영룸 서버(200)와 카메라(210) 및 스피커(220)는 촬영룸 키오스크(20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촬영룸 서버(200)와 카메라(210) 및 스피커(220)가 통합되어, 하나의 촬영룸 키오스크(2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촬영룸 서버(200)와 촬영룸 키오스크(200)는 동일한 구성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촬영룸 서버(200)에서 구현되는 모든 기능은 촬영룸 키오스크(200)에서도 동일하게 구현가능하다 하겠다.
스피커(220)는 촬영룸에 구비되며, 촬영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조명(230)은 촬영룸에 구비된 다수의 조명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기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센서(240)는 촬영룸에 구비된 움직임 센서(241), 음성 센서(242) 및 조도 센서(243)를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센서(241)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움직임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음성 센서(242)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신호 및 사용자의 특정 상황에 따라 발할 수 있는 음성 명령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조도 센서(243)는 사용자 위치에서의 조도 값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운영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촬영 사진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가 생성한 사진 컨셉 데이터를 운영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 도 17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서버(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서버(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메모리(140), 전원 공급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촬영 컨셉 제어부(170), 블록체인 제어부(180) 및 토큰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수준의 적절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들이 운영 서버(100)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110)는 촬영룸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과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운영 서버(100)의 사용자인 운영자의 다양한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20)는 터치 센서, (디지털) 펜 센서, 압력 센서, 키, 또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키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운영자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운영 서버(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운영 서버(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운영 서버(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다양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출력부(130)는 운영자에게 컨셉 매핑 테이블, 사진 컨셉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운영 서버(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4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6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어부(16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140), 제어부(160)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운영 서버(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에는 출력부(13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16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메모리(140) 및 전원 공급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운영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6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다양한 모듈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운영 서버(100) 상의 다양한 동작은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촬영 컨셉 제어부(170), 블록체인 제어부(180) 및 토큰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촬영 컨셉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컨셉에 따라, 촬영룸의 조명, 음악 및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촬영 컨셉 제어부(170)는 촬영룸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촬영 컨셉을 이용하여, 촬영룸의 조명, 스피커 및 카메라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촬영 컨셉 제어부(170)는 컨셉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촬영룸의 조명, 스피커 및 카메라의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의 제어 신호는 전술한 카메라 파라미터와 동일한 신호이다.
촬영 컨셉 제어부(17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 도 3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블록체인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사진 컨셉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진 컨셉 데이터에 따라 촬영룸의 조명, 음악 및 카메라를 제어하고, 출력되는 사진의 사진 프레임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사진 컨셉 데이터는 컨셉 맵핑 테이블, 사진 프레임 정보 및 창작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촬영룸 키오스크(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사진 컨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촬영룸 키오스크(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은 생성된 사진 컨셉 데이터를 운영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촬영룸 키오스크(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은 사진 컨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블록체인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제공한 사진 컨셉 데이터를 촬영룸 키오스크(200)가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랙잭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사진 프레임 정보는 출력되는 사진의 프레임 디자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창작자 정보는 사진 컨셉 데이터를 생성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사진 컨셉 데이터의 사용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사용자가 사진 컨셉 데이터를 이용하여, 촬영 컨셉을 촬영룸에 적용하거나 촬영된 사진을 출력하는 경우, 블록체인 제어부(180)는 창작자 정보 내 포함된 사진 컨셉 데이터의 사용 횟수를 증가시켜, 사진 컨셉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제어부(180)는 업데이트된 사진 컨셉 데이터를 촬영룸 키오스크(200)가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랙잭션할 수 있다.
블록체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촬영룸 키오스크(200)에 광고를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촬영룸 키오스크(200)는 광고에 반응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광고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반응 유형을 포함하는 광고 반응 데이터를 생성하여 운영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제어부(180)는 수신된 광고 반응 데이터를 촬영룸 키오스크(200)가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랙잭션할 수 있다.
블록체인 제어부(180)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 도 14 및 도 15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토큰 제어부(190)는 사용자에게 토큰 채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토큰 제어부(190)는 사용자로부터 촬영룸 키오스크(200)를 통해 토큰 채굴을 진행할지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토큰 채굴을 진행하는 경우, 토큰 제어부(190)는 촬영룸 키오스크(200)에 구비된 유휴 컴퓨팅 자원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토큰 채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토큰 제어부(190)는 사용자가 이용한 촬영룸 키오스크(200) 뿐만 아니라, 포토 스튜디오 운영 시스템(10) 내 다른 촬영룸 키오스크(200)의 유휴 컴퓨팅 자원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토큰 채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토큰 제어부(190)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토큰 채굴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사진 촬영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토큰 채굴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가 동일한 촬영룸 키오스크(200)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시작하는 시점까지 토큰 채굴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결재 금액에 따라 토큰 채굴 시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토큰 제어부(190)는 채굴된 토큰을 운영자, 사용자 및 사진 컨셉 창작자에게 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토큰 제어부(190)는 운영자, 사용자 및 사진 컨셉 창작자에게 채굴된 토큰을 다양한 방식으로 배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토큰 제어부(190)는 기설정된 배분 비율에 따라 채굴된 토큰을 배분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토큰 제어부(190)는 채굴된 토큰 규모, 토큰 채굴 시간, 예상 소모 전기량, 사용자의 회원 등급, 사용자의 결제 금액 등을 고려하여 배분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사용자가 광고에 반응한 경우, 토큰 제어부(19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저장된 광고 반응 데이터를 추출하여, 광고 반응 데이터에 포함된 광고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반응 유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배분 비율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사용자가 광고에 반응한 경우, 토큰 제어부(190)는 해당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마케팅 퍼널(Marketing Funnel)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사용자의 마케팅 퍼널 내 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배분 비율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토큰 제어부(190)는 사진 컨셉 창작자에게 채굴된 토큰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사용자가 사진 컨셉 데이터를 이용하여 촬영 컨셉을 촬영룸에 적용하거나 촬영된 사진을 출력하는 경우, 해당 사진 컨셉 데이터를 제공한 사진 컨셉 창작자에게 채굴된 토큰을 제공할 수 있다.
토큰 제어부(190)는 사진 컨셉 창작자에게 일정한 양의 채굴된 토큰을 제공할 수 있으며, 토큰 제어부(19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저장된 사진 컨셉 데이터를 추출하여, 창작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 횟수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토큰을 제공할 수 있다.
토큰 제어부(190)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 도 15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촬영룸 서버(200)에 기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촬영룸에 구비된 다양한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기기 제어 신호는 촬영 컨셉 제어부(170)에서 생성된 조명, 스피커 및 카메라 제어 신호(카메라 파라미터), 블록체인 제어부(180)에서 생성된 조명 제어 신호, 토큰 제어부(190)에서 생성된 카메라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카메라(210)에서 촬영된 사진을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20)를 통해, 운영자로부터 촬영 컨셉 매핑 테이블 관련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컨셉 제어부(17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컨셉 제어부(170)는 컨셉 매핑 테이블 생성부(171), 컨셉 매핑 테이블 DB(172) 및 기기 제어 신호 생성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컨셉 매핑 테이블 생성부(171)는 운영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촬영 컨셉 매핑 테이블(174)을 생성하고, 생성된 컨셉 매핑 테이블(174)을 컨셉 매핑 DB(172)에 저장할 수 있다. 기기 제어 신호 생성부(173)는 컨셉 매핑 테이블(174)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컨셉에 대한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셉 매핑 테이블(174)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컨셉 매핑 테이블(174)은 촬영 컨셉 명, 촬영 컨셉 이미지, 음악, 배경 이미지, 촬영룸에 구비된 조명 기기의 빛 색상 및 조도 정보, 카메라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이다.
촬영 컨셉 제어부(170)는 생성된 컨셉 매핑 테이블(174)을 촬영룸 서버(200)에 전송하고, 촬영룸 서버(200)는 사용자에게 선택 가능한 촬영 컨셉을 출력 및 선택 입력받을 수 있다.
촬영 컨셉 제어부(170)는 촬영룸 서버(20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컨셉을 전송받을 수 있다.
촬영 컨셉 제어부(170)는 컨셉 매핑 테이블(174)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컨셉에 대한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촬영 컨셉 제어부(170)는 컨셉 매핑 테이블(174)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컨셉에 해당하는 음악, 배경 이미지, 촬영룸에 구비된 조명 기기의 빛 색상 및 조도 정보, 카메라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컨셉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촬영 컨셉 제어부(170)는 추출된 컨셉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명(230), 스피커(220), 카메라(210)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기서 카메라의 제어 신호는 전술한 카메라 파라미터와 동일한 신호이다.
일례로, 사용자가 '컨셉 A'의 촬영 컨셉을 선택한 경우, 촬영 컨셉 제어부(170)는 컨셉 매핑 테이블(174)에서'컨셉 A'에 해당하는 음악, 배경 이미지, 촬영룸에 구비된 조명 기기의 빛 색상 및 조도 정보, 카메라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컨셉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컨셉 제어 방법은 촬영 컨셉 수신 단계(S100), 컨셉 데이터 추출 단계(S110) 및 기기 제어 신호 생성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촬영 컨셉 수신 단계(S100)로, 촬영 컨셉 제어부(170)는 촬영룸 서버(20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컨셉을 전송받을 수 있다.
그리고, 컨셉 데이터 추출 단계(S110)로, 촬영 컨셉 제어부(170)는 컨셉 매핑 테이블(174)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컨셉에 해당하는 음악, 배경 이미지, 촬영룸에 구비된 조명 기기의 빛 색상 및 조도 정보, 카메라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컨셉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기기 제어 신호 생성 단계(S120)로, 촬영 컨셉 제어부(170)는 추출된 컨셉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명(230), 스피커(220), 카메라(210)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촬영 컨셉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컨셉에 따라 촬영룸의 조명, 음악 및 카메라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컨셉에 따라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촬영룸 서버(200)와 카메라(210)는 촬영룸 키오스크(20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촬영룸 키오스크(200)는 촬영룸 서버(200)와 카메라(210)의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룸 키오스크(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룸 키오스크(200)는 키오스크 통신부(201), 키오스크 입력부(202), 키오스크 출력부(203), 키오스크 메모리(204), 키오스크 전원 공급부(205), 키오스크 제어부(206) 및 카메라(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구성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수준의 적절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들이 촬영룸 키오스크(200)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키오스크 통신부(201)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키오스크 통신부(201)는 운영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300)과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키오스크 입력부(202)는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을 수신하여 키오스크 제어부(206)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키오스크 입력부(202)는 터치 센서, (디지털) 펜 센서, 압력 센서, 키, 또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마이크는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촬영룸 키오스크(2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촬영룸 키오스크(200)의 외부에 구비되어 촬영룸 키오스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키오스크 출력부(203)는 다양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키오스크 출력부(203)는 사용자에게 카메라(210)의 영상, 촬영된 사진, 촬영 컨셉, 사진 프라임, 결제 정보, 광고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키오스크 메모리(204)는 촬영룸 키오스크(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키오스크 메모리(204)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키오스크 메모리(204)는 키오스크 제어부(206)에 의해 액세스되며, 키오스크 제어부(206)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 메모리(204)에는 키오스크 출력부(203)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키오스크 전원 공급부(205)는 키오스크 제어부(206)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키오스크 제어부(206)는 키오스크 통신부(201), 키오스크 입력부(202), 키오스크 출력부(203), 키오스크 메모리(204), 키오스크 전원 공급부(205), 키오스크 제어부(206) 및 카메라(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촬영룸 키오스크(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키오스크 제어부(206)는 키오스크 메모리(204)에 저장된 다양한 모듈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촬영룸 키오스크(200)는 하드웨어(Hardware) 구성으로는 CPU, 그래픽카드(GraphicCard)와 같은 컴퓨팅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촬영룸 키오스크(200)는 이러한 컴퓨팅 자원을 이용하여, 토큰 채굴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촬영룸 키오스크(200)의 적어도 일부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룸 키오스크(200)에서 토큰 채굴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일부는 별도의 장치로서 제작된 채굴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채굴 장치는 일종의 자동 판매기(즉, 자판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자동 판매기는 무인 사진 촬영과 관련된 여러가지 소품(예를 들어, 액자, 의상 등)을 판매하는 무인 판매 장치일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룸 키오스크(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룸 키오스크(200)는 키오스크 입력부(202)와 키오스크 출력부(203)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2, 203)과 적어도 2개의 카메라(210-1, 201-2)를 포함하는 함체(Housing)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2, 203)은 촬영룸 키오스크(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촬영룸 키오스크(200)가 촬영 모드인 경우, 사진 촬영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룸 키오스크(200)가 사진 출력 모드 또는 결제 모드인 경우, 촬영된 사진 또는/및 사진 프레임 관련 UI, GUI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2, 203)은 터치 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202, 203)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2, 203)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룸 키오스크(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02, 203)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촬영룸 키오스크(200) 내 적어도 2개의 카메라(210-1, 210-2)는 디스플레이 패널(202, 203)의 상하 양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 카메라(210-1)는 전신 촬영 카메라로, 제 2 카메라(210-2)는 반신 촬영 카메라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촬영룸 키오스크(200)는 사용자가 결제를 위해 카드를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카드 투입구와 출력된 사진이 배출되도록 구성된 사진 출력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촬영룸 키오스크(200)는 사용자에게 사진 컨셉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진 컨셉 데이터를 촬영룸 키오스크(200)에 입력할 수 있으며, 촬영룸 키오스크(200)는 입력된 사진 컨셉 데이터를 저장 및 운영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사진 컨셉 데이터는 컨셉 맵핑 테이블, 사진 프레임 정보 및 창작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촬영룸 키오스크(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사진 컨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촬영룸 키오스크(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은 생성된 사진 컨셉 데이터를 운영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촬영룸 키오스크(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은 사진 컨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컨셉 데이터(175)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사진 컨셉 데이터(175)은 촬영 컨셉 명, 촬영 컨셉 이미지, 음악, 배경 이미지, 촬영룸에 구비된 조명 기기의 빛 색상 및 조도 정보, 카메라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컨셉 맵핑 테이블(174), 사진 프레임 정보(176) 및 창작자 정보(177)을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이다.
일 실시예의 사진 프레임(176)은 사진 프레임의 디자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창작자 정보(177)는 사진 컨셉 데이터를 생성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사진 컨셉 데이터의 사용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진 컨셉 데이터(175)는 사용자로부터 촬영룸 키오스크(200)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촬영룸 키오스크(200)는 사용자에게 제공받은 사진 컨셉 데이터(175)를 저장할 수 있으며, 촬영룸 키오스크(200)는 사용자에게 선택 가능한 촬영 컨셉 및 사진 프레임을 출력하여, 선택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촬영 컨셉 제어부(170)는 촬영룸 키오스크(20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 컨셉을 전송받을 수 있다.
촬영 컨셉 제어부(170)는 사진 컨셉 데이터(175)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 컨셉에 대한 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촬영 컨셉 제어부(170)는 사진 컨셉 데이터(175)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 컨셉에 해당하는 음악, 배경 이미지, 촬영룸에 구비된 조명 기기의 빛 색상 및 조도 정보, 카메라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컨셉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촬영 컨셉 제어부(170)는 추출된 컨셉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명(230), 스피커(220), 카메라(210)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기서 카메라의 제어 신호는 전술한 카메라 파라미터와 동일한 신호이다.
촬영룸 키오스크(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 컨셉에 해당하는 사진 프레임 정보(176)를 이용하여, 촬열 사진을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프레임 정보(176)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프레임 정보(176)는 사진 프레임의 디자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룸 키오스크(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 프레임의 디자인 정보에 따라, 사진 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다.
촬영룸 키오스크(2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진 컨셉 데이터(175)를 운영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블록체인 제어부(180)는 사진 컨셉 데이터(175)를 촬영룸 키오스크(200)가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랜잭션할 수 있다.
도 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블록체인 네트워크(20)는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복수의 노드(40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블록체인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블록체인이란 온라인 거래 정보를 블록(Block)으로 연결하여, 피투피(P2P) 네트워크 분산 환경에서 중앙 관리 서버가 아닌 참여자(피어, Peer)들의 개인 디지털 장비에 데이터를 분산시켜 저장함으로써, 데이터를 공동으로 관리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의 기본 구조는 블록(block)을 잇따라 연결한(chain) 모음의 형태이며, 피투피(P2P) 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일정 시간 동안 반수 이상의 참여자들이 거래 내역을 서로 교환해 확인하고 승인하는 과정을 거쳐, 디지털 서명으로 동의한 거래 내역만 하나의 블록으로 만든다. 그리고, 새로 만들어진 블록을 이전 블록체인에 연결하고, 그 사본을 만들어 각 참여자들의 단말에 분산시켜 저장한다.
따라서,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경우, 거래 장부용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어 관리 비용이 절감되며, 분산 처리로 해킹이 어려워 거래의 안전성도 향상된다. 블록체인 방식은 주식, 부동산 등의 거래에도 적용 가능하며, 토지 권리 양도나 가정 현관 키 등 보안에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노드(400)를 참여자로 하여 블록체인을 구현하고 있으며, 복수의 노드(400) 각각에 분산되어 저장되는 정보는 블록의 해쉬값 등일 수 있다.
복수의 노드(400)는 복수의 노드(400) 각각에 분산 저장된 정보를 항상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여, 해당 정보를 공유하고 있을 수 있다.
복수의 노드(400) 각각은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노드(400) 각각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형태로 구현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특정 업체에서 운영하는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노드(400) 중 단말 형태로 구현된 노드는 블록체인 상에서 공유되는 정보를 메모리의 보안 영역에 저장할 수 있으며, 복수의 노드(400) 중 서버 형태로 구현된 노드는 블록체인 상에서 공유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보안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는 참여자가 단말로만 구성된 블록체인, 참여자가 서버로만 구성된 블록체인, 참여자가 단말 및 서버 혼합으로 구성된 블록체인 등 다양한 형태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복수의 노드(400)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룸 키오스크(2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 하나의 노드로 참여하여,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제공하게 된다. 다른 복수의 노드(400)는 데이터 블록의 위변조를 탐지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400)의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노드(400) 각각은,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의 각 블록체인 트랜잭션(Transaction)의 기록을 위한 블록을 생성(또는 채굴) 및/또는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에 각 노드(400)를 통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에 배포된 블록체인 트랜잭션들은, 새로이 생성된 블록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노드(400) 각각은,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20)를 위한 블록체인(즉, 블록체인 분산 원장)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노드(400)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노드(400)는, 트랜잭션 처리 모듈(402), 통신 모듈(404), 블록 생성/검증 모듈(406), 및 블록체인 분산원장 저장 모듈(408)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트랜잭션 처리 모듈(402)은, 소정의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의 다른 노드들(400)에 배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트랜잭션 처리 모듈(402)은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의 다른 노드들(400)에 의해 배포된 각 트랜잭션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트랜잭션 처리 모듈(402)은, 수신된 각 트랜잭션을 처리(예컨대, 트랜잭션에 포함된 각 스마트 계약의 실행 등을 포함하며, 다만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트랜잭션 처리 모듈(402)에 의해 수신 및 처리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은, 예컨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유래한 거래 장부의 거래 기록 정보와 연관된 트랜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트랜잭션 처리 모듈(402)에 의해 수신 및 처리되는 트랜잭션은, 임의의 노드(400)에 의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의 각 노드들에 배포된, 블록체인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처리될 기타 다양한 트랜잭션(예컨대,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에서 지원되는 디지털 화폐의 거래 정보 또는 기타 스마트 계약 정보를 포함한 트랜잭션 등을 포함하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 모듈(404)은, 노드(40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에서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노드들(400)과 통신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 모듈(404)은, 블록체인 트랜잭션이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망(134)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110) 상에 배포되도록 할 수 있고, 아울러 통신망(134)을 통하여 다른 노드들(400)로부터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의 각종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 생성/검증 모듈(406)은, 블록체인 네트워크(20)를 위한 블록을 생성하고,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에서 발생한 트랜잭션들을 모아서 적절한 헤더 정보와 함께 그 생성된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 생성/검증 모듈(406)은, 생성된 블록을 통신 모듈(404)을 통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에 공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 생성/검증 모듈(406)은,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에 공지된, 다른 노드(400)에 의하여 생성된 블록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체인 분산원장 저장 모듈(408)은,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20)를 위한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즉, 트랜잭션들의 이력을 모두 포함하는 분산 원장)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체인 분산원장 저장 모듈(408)은, 또한,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의 블록체인에 의해 유지 및 관리되는 스마트 계약에 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할 수 있으며, 다만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500)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각 노드(400)에 포함된 블록체인 분산원장 저장 모듈(408)에 저장될 수 있는, 블록체인 및 그에 포함된 각 블록(500)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블록체인은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며, 각 블록(500)은 블록 헤더(502)와 복수의 트랜잭션 정보(504a-504n)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 헤더(502)는, 이전 블록 헤더의 해시(hash) 값, 넌스(nonce) 값, 해당 블록(500)에 포함될 트랜잭션 정보들(504a-504n)의 머클루트, 블록(500)이 생성된 시간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 해당 블록(500)의 채굴 난이도 등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500)에 포함된 복수의 트랜잭션 정보(504a-504n)는,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도 11의 노드들(400)로부터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에 배포된 복수의 트랜잭션 기록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500)의 트랜잭션 정보(504a-504n)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에서 발생한 각 거래 기록(예컨대, 소정의 디지털 암호 화폐의 거래에 관한 기록 등이며,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유래된 거래 정보에 관한 기록과는 구별되는 것임)에 관한 트랜잭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500)의 트랜잭션 정보(504a-504n)는, 노드(400)를 통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에 배포된 트랜잭션, 즉 운영 서버(100)를 통해서 발생한 각 거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트랜잭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분산 처리기(120)에 의해서 생성된 블록체인 트랜잭션은, 예컨대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의 디지털 화폐 등의 거래에 관한 정보(거래 금액 정보 등)로서 0을 기록하고, 그 트랜잭션의 부가 정보로서 대응하는 운영 서버(100) 상의 거래에 관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블록체인 제어부(180)는 사진 컨셉 데이터(175)를 촬영룸 키오스크(200)가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트랜잭션할 수 있다.
블록체인 제어부(180)는 사진 컨셉 데이터(175)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업데이트된 사진 컨셉 데이터(175)를 촬영룸 키오스크(200)가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랜잭션할 수 있다. 일례로, 일 사용자가 제 1 사진 프레임을 사용하는 경우, 촬영룸 키오스크(200)는 제 1 사진 프레임에 해당하는 사진 컨셉 데이터(175)의 사진 프레임 사용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일 사용자가 제 2 사진 프레임을 사용하는 경우, 촬영룸 키오스크(200)는 제 2 사진 프레임에 해당하는 사진 컨셉의 사진 프레임 사용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촬영룸 키오스크(200)는 업데이트된 사진 컨셉 데이터(175)를 운영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제어부(180)는 업데이트된 사진 컨셉 데이터(175)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트랜잭션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컨셉 데이터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컨셉 데이터 생성 방법은 촬영 컨셉 매칭 테이블 수신 단계(S100), 사진 프레임 정보 수신 단계(S110), 창작자 정보 수신 단계(S120), 사진 프레임 데이터 생성단계(S13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 트랜잭션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컨셉 매칭 테이블 수신 단계(S100)로, 블록체인 제어부(180)는 컨셉 매칭 테이블(174)을 촬영룸 키오스크(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컨셉 매핑 테이블(174)은 촬영 컨셉 명, 촬영 컨셉 이미지, 음악, 배경 이미지, 촬영룸에 구비된 조명 기기의 빛 색상 및 조도 정보, 카메라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이다.
그리고, 사진 프레임 정보 수신 단계(S110)로, 블록체인 제어부(180)는 사진 프레임 정보(176)를 촬영룸 키오스크(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사진 프레임 정보(176)는 출력되는 사진의 프레임 디자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창작자 정보 수신 단계(S120)로, 블록체인 제어부(180)는 창작자 정보(177)를 촬영룸 키오스크(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창작자 정보(177)는 사진 컨셉 데이터를 생성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사진 컨셉 데이터의 사용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진 프레임 데이터 생성 단계(S130)로, 블록체인 제어부(180)는 컨셉 매칭 테이블(174), 사진 프레임 정보(176) 및 창작자 정보(177)를 포함하는 사진 프레임 데이터(175)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트랜잭션 단계(S150)로, 블록체인 제어부(180)는 생성된 사진 프레임 데이터(175)를 촬영룸 키오스크(200)가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트랜잭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록체인 제어부(180)는 사진 컨셉 데이터(175)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업데이트된 사진 컨셉 데이터(175)를 촬영룸 키오스크(200)가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트랜잭션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반응 데이터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반응 데이터 생성 방법은 광고 데이터 수신 단계(S200), 광고 출력 단계(S210), 광고 반응 수신 단계(S220), 광고 반응 데이터 생성 단계(S23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 트랜잭션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광고 데이터 전송 단계(S200) 및 광고 출력 단계(S210)로, 블록체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촬영룸 키오스크(200)에 광고를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반응 수신 단계(S220)로, 블록체인 제어부(180)는 촬영룸 키오스크(200)로부터 광고에 반응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광고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반응 유형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반응 데이터 생성 단계(S230)로, 블록체인 제어부(180)는 광고에 반응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광고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반응 유형을 포함하는 광고 반응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사용자 반응 유형은 사용자가 광고에 반응한 유형으로 일례로, 사용자 반응 유형은 광고 시청, 광고 클릭, 광고 사이트 가입, 광고 제품 구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트랜잭션 단계(S240)로, 블록체인 제어부(180)는 생성된 광고 반응 데이터(175)를 촬영룸 키오스크(200)가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트랜잭션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큰 채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큰 채굴 방법은 토큰 채굴 신호 수신 단계(S300), 유휴 컴퓨팅 리소스 확인 단계(S310), 토큰 채굴 수행 단계(S320), 채굴 시간 종료 확인 단계(S330) 및 토큰 보상 제공 단계(S34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토큰 채굴 신호 수신 단계(S300)로, 토큰 제어부(190)는 사용자로부터 촬영룸 키오스크(200)를 통해 토큰 채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유휴 컴퓨팅 리소스 확인 단계(S310)로, 토큰 제어부(190)는 촬영룸 키오스크(200)의 유휴 컴퓨팅 자원을 확인할 수 있다. 토큰 제어부(190)는 사용자가 이용한 촬영룸 키오스크(200) 뿐만 아니라, 포토 스튜디오 운영 시스템(10) 내 다른 촬영룸 키오스크(200)의 유휴 컴퓨팅 자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토큰 채굴 수행 단계(S320)로, 토큰 제어부(190)는 확인된 유휴 컴퓨팅 자원을 이용하여, 토큰 채굴을 수행할 수 있다. 토큰 제어부(190)는 촬영룸 키오스크(200)의 유휴 처리능력을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대한 토큰 채굴(Token Mining, 여기서 토큰은 암호화폐일 수 있다)에 참여한다. 촬영룸 키오스크(200)는 대부분의 시간 동안에 프로세싱 능력과 메모리 공간을 낭비하고 있기 때문에 그 유휴 처리능력을 토큰 채굴에 활용하는 것이다. 토큰 채굴의 구체적인 기술은 블록체인의 구체적인 기반 기술에 따라 적절히 정해지는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채굴 시간 종료 확인 단계(S330)로, 토큰 제어부(190)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토큰 채굴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사진 촬영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토큰 채굴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가 동일한 촬영룸 키오스크(200)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시작하는 시점까지 토큰 채굴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결재 금액에 따라 토큰 채굴 시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토큰 보상 제공 단계(S340)로, 토큰 제어부(190)는 운영자, 사용자 및 사진 컨셉 창작자에게 채굴된 토큰을 다양한 방식으로 배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토큰 제어부(190)는 기설정된 배분 비율에 따라 채굴된 토큰을 배분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토큰 제어부(190)는 채굴된 토큰 규모, 토큰 채굴 시간, 예상 소모 전기량, 사용자의 회원 등급, 사용자의 결제 금액 등을 고려하여 배분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사용자가 광고에 반응한 경우, 토큰 제어부(19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저장된 광고 반응 데이터를 추출하여, 광고 반응 데이터에 포함된 광고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반응 유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배분 비율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일례로, 토큰 제어부(190)는 광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광도 단가가 높은 광고에 반응한 사용자에게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으며, 사용자 반응을 이용하여, 사용자 반응 중 광고주가 원하는 반응을 보인 사용자에게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사용자가 광고에 반응한 경우, 토큰 제어부(190)는 해당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마케팅 퍼널(Marketing Funnel)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사용자의 마케팅 퍼널 내 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배분 비율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마케팅 퍼널(Marketing Funnel)'은 고객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인지하고, 제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회원가입, 구매 등의 전환이 발생하기까지의 일련의 프로세스를 단계 별로 나누어, 각 단계에 도달한 고객의 수치를 깔때기 형상으로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의 마케팅 퍼널 위치는 사용자가 마케팅 퍼널의 프로세스 중 어느 단계에 위치하는지에 관한 정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 퍼널(5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마케팅 퍼널(50)은 ATTENTION 단계, INTEREST 단계, SEARCH 단계, ACTION 단계, SHARE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마케팅 퍼널(50)의 각 단계에 대해 설명하면, ATTENTION 단계는 사용자가 광고의 브랜드 또는 업체에 대한 인지가 필요한 단계로, 사용자가 광고 관련 사이트에 유입시키기 위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한 단계이다.
INTEREST 단계, SEARCH 단계는 사용자가 광고 관련 사이트에 유입된 경우, 유입된 사용자가 광고 관련 상품이나 서비스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게 하고, 광고 관련 상품이나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찾아보도록 유도하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한 단계이다.
ACTION 단계, SHARE 단계 사용자가 광고 관련 상품이나 서비스에 흥미과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판단하에, 사용자가 직접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고, 구매 경험을 공유하여 재구매가 발생하도록 유도하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한 단계이다.
토큰 제어부(190)는 광고 관련 브랜드 또는 업체에 대해 사용자가 어떤 마케팅 퍼널 단계에 해당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토큰 제어부(190)는 다양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관련 사용자의 마케팅 퍼널 단계를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토큰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광고와 상호 작용(일례로, 텍스트 광고 클릭, 동영상 광고 조회) 여부, 광고 관련 사이트의 회원가입 여부, 상품 구매 이력 존재 여부, 광고 전환율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광고에 대해, 어떤 마케팅 퍼널 단계에 해당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토큰 제어부(190)는 광고에 대해, 사용자의 마케팅 퍼널 단계에 따라 사용자의 마케팅 퍼널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토큰 제어부(190)는 광고에 대해, 사용자가 ATTENTION 단계에 해당되면 사용자의 마케팅 퍼널 위치를 잠재 고객(51)으로 설정하고, 사용자가 INTEREST, SEARCH 단계에 해당되면 사용자의 마케팅 퍼널 위치를 타겟 고객(52)으로 설정하고, 사용자가 ACTION, SHARE 단계에 해당되면 사용자의 마케팅 퍼널 위치를 구매 고객(53)으로 설정할 수 있다.
토큰 제어부(190)는 해당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마케팅 퍼널(Marketing Funnel) 위치가 잠재 고객(51), 타겟 고객(52) 또는 구매 고객(53)에 따라, 사용자의 토큰 배분 비율의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토큰 제어부(190)는 충성 고객에게 많은 보상을 하기 위해, 잠재 고객(51)에게는 0.1의 가중치를, 타겟 고객(52)에게는 0.2의 가중치를 또는 구매 고객(53)에게는 0.3의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반대로 미래 고객에게 많은 보상을 하기 위해, 잠재 고객(51)에게는 0.3의 가중치를, 타겟 고객(52)에게는 0.2의 가중치를 또는 구매 고객(53)에게는 0.1의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토큰 제어부(190)는 사진 컨셉 창작자에게 채굴된 토큰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사용자가 사진 컨셉 데이터를 이용하여 촬영 컨셉을 촬영룸에 적용하거나 촬영된 사진을 출력하는 경우, 해당 사진 컨셉 데이터를 제공한 사진 컨셉 창작자에게 채굴된 토큰을 제공할 수 있다.
토큰 제어부(190)는 사진 컨셉 창작자에게 일정한 양의 채굴된 토큰을 제공할 수 있으며, 토큰 제어부(19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저장된 사진 컨셉 데이터를 추출하여, 창작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 횟수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토큰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7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3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3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 또는 사용자 단말(300)와 사용자 단말(3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310)는 방송 수신 모듈(311), 이동통신 모듈(312), 무선 인터넷 모듈(313), 근거리 통신 모듈(314) 및 위치정보 모듈(3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3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3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3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3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300)에 내장되거나 외장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3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들 수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3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321)와 마이크(3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3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3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3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3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3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321)는 사용자 단말(3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3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3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3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동작을 받아들여, 사용자 단말(3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센싱부(340)는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사용자 단말(300)의 방위, 사용자 단말(3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3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인터페이스부(370)는 사용자 단말(3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출력부(3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351)와 음향 출력 모듈(352), 알람부(3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51)와 터치 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3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3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3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3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352)은 사용자 단말(3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3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353)는 사용자 단말(3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메모리(360)는 제어부(3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3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80)는 통상적으로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381)은 제어부(3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3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380)는 전술한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단말기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한다.
전원 공급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상술한 운영 서버(100)의 동작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300)에는 운영 서버(100)와 통신하여 상술한 운영 서버(10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8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도 18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각종 서버들과 단말들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례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음 설명에서, 제1 노드(장치)는 앵커/도너 노드 또는 앵커/도너 노드의 CU(centralized unit) 일 수 있고, 제2 노드(장치)는 앵커/도너 노드 또는 릴레이 노드의 DU(distributed unit) 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사용하는 노드의 일부로 기지국(base station, BS), 단말, 서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 및 단말에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이다. 기지국은 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거리에 따라 소정의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된 커버리지를 갖는다.
기지국은 "기지국"과 마찬가지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 세대(5th generation, 5G) 노드",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 단말 및 단말은 밀리미터 파(millimeter wave, mmWave) 대역(예: 28GHz, 30GHz, 38GHz, 60GHz)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이득 향상을 위해 기지국, 단말 및 단말은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은 송신 빔포밍 및 수신 빔포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 단말 및 단말은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에 지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 단말 및 단말은 빔 탐색 절차 또는 빔 관리 절차를 통해 서빙 빔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통신은 서빙 빔을 운반하는 자원과 준 동일위치(quasi co-located) 관계에 있는 자원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첫 번째 안테나 포트 및 두 번째 안테나 포트는 첫 번째 안테나 포트의 심볼이 전달되는 채널의 대규모 속성이 두 번째 안테나 포트의 심볼이 전달되는 채널에서 유추될 수 있는 경우 준 동일위치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대규모 속성은 지연 확산, 도플러 확산, 도플러 시프트, 평균 이득, 평균 지연 및 공간 Rx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예시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듈(module)", "-부(unit)"또는 "-er"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처리하는 유닛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기지국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 저장부(storage unit 및 컨트롤러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와 비트 스트림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전송 비트 스트림을 압축 및 변조하여 복합 심볼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수신 비트 스트림을 재구성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와 비트 스트림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전송 비트 스트림을 압축 및 변조하여 복합 심볼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수신 비트 스트림을 재구성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송한 후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대역 신호를 베이스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송신 필터(transmission filter), 수신 필터(reception filter), 증폭기(amplifier), 믹서(mixer), 발진기(oscillator),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or, DAC),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to-digital convertor,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송수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측면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유닛과 아날로그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복수의 서브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수신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수행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와 통신을 수행하기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는 다른 노드로 전송되는 비트 스트림을 변환하고, 예를 들어, 다른 액세스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코어 네트워크는 물리적 신호로,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된 물리적 신호를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저장부는 기본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는 휘발성 메모리, 비 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 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컨트롤러는 저장부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읽는다. 컨트롤러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 프로토콜 스택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기지국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도너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상기 도너 노드와 관련된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릴레이 노드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상기 릴레이 노드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말에 대한 데이터를 릴레이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 중 라디오 베어러는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합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라디오 베어러 및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의해 전달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도너 노드와 릴레이 노드 사이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설정된 터널에 대한 정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도너 노드 측면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해 새로운 주소를 라디오 베어러에 할당하도록 릴레이 노드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릴레이 노드가 사용할 수 없는 주소 정보 목록;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되지 않은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부분적으로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릴레이 노드가 생성한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구성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너 노드는 도너 노드의 중앙 유닛을 포함하고, 릴레이 노드는 도너 노드의 분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릴레이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도너 노드로부터,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도너 노드와 관련된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릴레이 노드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도너 노드로 전송하고; 도너 노드로부터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 중 라디오 베어러는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합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라디오 베어러 및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의해 전달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도너 노드와 릴레이 노드 사이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설정된 터널에 대한 정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도너 노드 측면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해 새로운 주소를 라디오 베어러에 할당하도록 릴레이 노드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릴레이 노드가 사용할 수 없는 주소 정보 목록;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되지 않은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부분적으로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릴레이 노드가 생성한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구성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너 노드는 도너 노드의 중앙 유닛을 포함하고, 릴레이 노드는 도너 노드의 분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설명하는 단말의 구성요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범용적인 단말의 구성요소로서 전술한 내용들에 따른 단말의 구성요소와 병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고, 일부 중첩되거나 상충되는 범위에서 앞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이 우선적용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듈", "-유닛"또는 "-er"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처리하는 유닛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은 통신 인터페이스, 저장부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와 비트 스트림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송 비트 스트림을 압축 및 변조하여 복합 심볼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시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여 수신 비트 스트림을 재구성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송한 후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대역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신 필터(transmission filter), 수신 필터(reception filter), 증폭기(amplifier), 믹서(mixer), 발진기(oscillator),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or, DAC),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to-digital convertor,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송수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측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를 들어,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DSP)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RF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수신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수행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는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는 휘발성 메모리, 비 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 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컨트롤러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컨트롤러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컨트롤러는 저장부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읽는다. 컨트롤러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 프로토콜 스택은 통신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의 일부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컨트롤러의 일부를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압축 및 변조 회로, 디지털 빔포밍 회로, 복수의 전송 경로 및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를 포함한다.
압축 및 변조 회로는 채널 압축을 수행한다. 채널 압축을 위해 low-density parity check(LDPC) 코드, 컨볼루션 코드 및 폴라 코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압축 및 변조 회로는 성상 매핑(constellation mapping)을 수행함으로써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디지털 신호(예를 들어, 변조 심볼)에 대한 빔 형성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빔포밍 가중 값에 의해 변조 심볼을 다중화한다. 빔포밍 가중치는 신호의 크기 및 문구를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프리코딩 매트릭스(precoding matrix)"또는 "프리코더(precoder)"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디지털 빔포밍된 변조 심볼을 복수의 전송 경로로 출력한다. 이때, 다중 안테나 기술(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전송 방식에 따라 변조 심볼이 다중화 되거나 동일한 변조 심볼이 복수의 전송 경로에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전송 경로는 디지털 빔포밍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전송 경로 각각은 인버스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계산 유닛,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 삽입 유닛, DAC 및 상향 변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CP 삽입 부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방식을 위한 것으로 다른 물리 계층 방식(예: 필터 뱅크 다중 반송파(a 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적용시 생략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전송 경로는 디지털 빔포밍을 통해 생성된 복수의 스트림에 대해 독립적인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구현에 따라 복수의 전송 경로의 일부 요소는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빔포밍 가중 값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를 다중화한다. 빔포밍된 가중치는 신호의 크기와 문구를 변경하는데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전송 경로와 안테나 사이의 연결 구조에 따라,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송 경로 각각은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복수의 전송 경로는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복수의 전송 경로는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2개 이상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토큰 채굴을 이용한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에 있어서,
    포토 스튜디오 운영 서버에서, 촬영룸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컨셉에 따라 촬영한 사진을 출력하는 경우, 상기 촬영 컨셉에 대한 사진 컨셉 데이터의 사용 횟수를 증가시켜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한 사진 컨셉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랜잭션하는 단계;
    상기 포토 스튜디오 운영 서버에서,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로부터 토큰 채굴 신호를 수신 단계;
    상기 포토 스튜디오 운영 서버에서,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의 유휴 컴퓨팅 자원을 이용하여 토큰 채굴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포토 스튜디오 운영 서버에서, 상기 채굴한 토큰을 상기 촬영 컨셉에 따른 사진 컨셉 데이터의 창작자에게 보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휴 컴퓨팅 자원은,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를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종료한 다음 다른 사용자가 사진 촬영을 시작하는 시점까지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가 사진 촬영에 이용되지 않는 시간 동안의 컴퓨팅 자원이며,
    상기 보상으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채굴한 토큰을 기설정한 토큰 배분 비율로 분배하되,
    상기 트랜잭션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저장한 상기 사진 컨셉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사진 컨셉 데이터의 사용 횟수에 따라 상기 창작자에게 상기 토큰 배분 비율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채굴한 토큰을 분배하며,
    상기 사진 컨셉 데이터는,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상기 촬영 컨셉에 따른 촬영 컨셉 이미지, 배경 이미지, 조명 기기의 빛 색상 및 조도 정보, 카메라 파라미터를 매핑한 컨셉 매핑 테이블, 사진 프레임 정보, 창작자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에서 포토 스튜디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촬영 컨셉이 선택되어 상기 선택된 촬영 컨셉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여 출력할 때마다 상기 사용 횟수가 업데이트되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랜잭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은,
    상기 포토 스튜디오 운영 서버에서,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제공한 광고에 반응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광고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반응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포토 스튜디오 운영 서버에서, 상기 수신한 광고에 반응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광고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반응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 반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포토 스튜디오 운영 서버에서, 상기 생성한 광고 반응 데이터를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가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랜잭션하는 단계; 및
    상기 포토 스튜디오 운영 서버에서, 채굴한 토큰을 상기 사용자에게 보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반응 유형은, 광고 클릭, 광고 사이트 회원 가입 여부, 광고 제품 구매 여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보상으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채굴한 토큰을 기설정한 토큰 배분 비율로 분배하되,
    상기 트랜잭션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저장한 상기 광고 반응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광고 반응 데이터의 상기 사용자 반응 유형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토큰 배분 비율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거나,
    상기 사용자 반응 유형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마케팅 퍼널(Marketing funnel)에 대한 위치를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토큰 배분 비율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상기 채굴한 토큰을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배분 비율은,
    상기 채굴된 토큰의 규모, 토큰 채굴 시간, 예상 소모 전기량, 상기 사용자의 회원 등급, 상기 사용자의 결제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
  5. 청구항 1에 따른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
  6.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토큰 채굴을 이용한 포토 스튜디오 운영 서버에서, 청구항 1에 따른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비일시적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7.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토큰 채굴을 이용한 포토 스튜디오 운영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촬영룸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컨셉에 따라 촬영한 사진을 출력하는 경우, 상기 촬영 컨셉에 대한 사진 컨셉 데이터의 사용 횟수를 증가시켜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한 사진 컨셉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랜잭션하는 단계;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로부터 토큰 채굴 신호를 수신 단계;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의 유휴 컴퓨팅 자원을 이용하여 토큰 채굴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채굴한 토큰을 상기 촬영 컨셉에 따른 사진 컨셉 데이터의 창작자에게 보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휴 컴퓨팅 자원은,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를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종료한 다음 다른 사용자가 사진 촬영을 시작하는 시점까지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가 사진 촬영에 이용되지 않는 시간 동안의 컴퓨팅 자원이며,
    상기 보상으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채굴한 토큰을 기설정한 토큰 배분 비율로 분배하되,
    상기 트랜잭션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저장한 상기 사진 컨셉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사진 컨셉 데이터의 사용 횟수에 따라 상기 창작자에게 상기 토큰 배분 비율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채굴한 토큰을 분배하며,
    상기 사진 컨셉 데이터는,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상기 촬영 컨셉에 따른 촬영 컨셉 이미지, 배경 이미지, 조명 기기의 빛 색상 및 조도 정보, 카메라 파라미터를 매핑한 컨셉 매핑 테이블, 사진 프레임 정보, 창작자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에서 포토 스튜디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촬영 컨셉이 선택되어 상기 선택된 촬영 컨셉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여 출력할 때마다 상기 사용 횟수가 업데이트되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랜잭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스튜디오 운영 서버.
  8.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토큰 채굴을 이용한 포토 스튜디오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촬영룸에 구비된 조명 기기;
    상기 촬영룸에 구비된 카메라;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을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상기 촬영룸에 구비된 촬영룸 키오스크; 및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에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컨셉에 따른 카메라 파라미터, 상기 조명 기기의 빛 색상 및 조도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전송하여 상기 카메라, 조명 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제어하도록 하는 포토 스튜디오 운영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포토 스튜디오 운영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촬영룸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컨셉에 따라 촬영한 사진을 출력하는 경우, 상기 촬영 컨셉에 대한 사진 컨셉 데이터의 사용 횟수를 증가시켜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한 사진 컨셉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랜잭션하는 단계;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로부터 토큰 채굴 신호를 수신 단계;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의 유휴 컴퓨팅 자원을 이용하여 토큰 채굴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채굴한 토큰을 상기 촬영 컨셉에 따른 사진 컨셉 데이터의 창작자에게 보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휴 컴퓨팅 자원은,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를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종료한 다음 다른 사용자가 사진 촬영을 시작하는 시점까지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가 사진 촬영에 이용되지 않는 시간 동안의 컴퓨팅 자원이며,
    상기 보상으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채굴한 토큰을 기설정한 토큰 배분 비율로 분배하되,
    상기 트랜잭션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저장한 상기 사진 컨셉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사진 컨셉 데이터의 사용 횟수에 따라 상기 창작자에게 상기 토큰 배분 비율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채굴한 토큰을 분배하며,
    상기 사진 컨셉 데이터는,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상기 촬영 컨셉에 따른 촬영 컨셉 이미지, 배경 이미지, 조명 기기의 빛 색상 및 조도 정보, 카메라 파라미터를 매핑한 컨셉 매핑 테이블, 사진 프레임 정보, 창작자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룸 키오스크에서 포토 스튜디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촬영 컨셉이 선택되어 상기 선택된 촬영 컨셉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여 출력할 때마다 상기 사용 횟수가 업데이트되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랜잭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스튜디오 운영 시스템.
KR1020220123274A 2021-07-22 2022-09-28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토큰 채굴을 이용한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2632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605 2021-07-22
KR20210096605 2021-07-22
KR1020210097051 2021-07-23
KR20210097051 2021-07-23
KR1020210097697A KR102450274B1 (ko) 2021-07-22 2021-07-26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토큰 채굴을 이용한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697A Division KR102450274B1 (ko) 2021-07-22 2021-07-26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토큰 채굴을 이용한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835A KR20220139835A (ko) 2022-10-17
KR102632124B1 true KR102632124B1 (ko) 2024-02-01

Family

ID=8359701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697A KR102450274B1 (ko) 2021-07-22 2021-07-26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토큰 채굴을 이용한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20220123273A KR20220139834A (ko) 2021-07-22 2022-09-28 토큰 채굴이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20220123274A KR102632124B1 (ko) 2021-07-22 2022-09-28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토큰 채굴을 이용한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697A KR102450274B1 (ko) 2021-07-22 2021-07-26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토큰 채굴을 이용한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20220123273A KR20220139834A (ko) 2021-07-22 2022-09-28 토큰 채굴이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502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914B1 (ko) * 2018-08-20 2021-04-08 주식회사 큐버 인터렉티브 사이니지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광고 인덱싱 플랫폼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280B1 (ko) * 2015-11-27 2018-02-12 주식회사 아이오로라 조도 센서와 투명 액정을 이용하여 광원 제어를 수행하는 포토 생성 장치
KR20200011853A (ko) * 2018-07-25 2020-02-04 임성우 블록체인 기반 창작물 크라우드 펀딩 및 유통 시스템과 이를 사용한 창작물 크라우드 펀딩 및 유통 방법
KR102260580B1 (ko) * 2019-05-29 2021-06-04 유비벨록스(주) 블록체인 플랫폼 기반의 광고 시스템 및 광고 제공 방법
KR102273932B1 (ko) * 2020-11-20 2021-07-06 주식회사 플러스82 블록체인 기반의 리뷰 임베디드 플랫폼 서버 및 그의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914B1 (ko) * 2018-08-20 2021-04-08 주식회사 큐버 인터렉티브 사이니지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광고 인덱싱 플랫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834A (ko) 2022-10-17
KR102450274B1 (ko) 2022-10-05
KR20220139835A (ko) 202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22330B (zh) 基于区块链的云平台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6664668B (zh) 借助蓝牙低功耗的距离管理
CN102884529B (zh) 用于社交摘要的可适配布局
KR102616384B1 (ko) 촬영룸 키오스크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사진 프레임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US1063571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cured end-to-end data communication
CN109521956B (zh) 一种基于区块链的云存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4380335A (zh) 添加保留照片背景的社交评论
CN111045568B (zh) 基于区块链的虚拟物品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101684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sioning secondary content based on primary content
US201401767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age and metadata management
US20110225421A1 (en) Method of obtaining content for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mobile terminal
KR20120108501A (ko) 식별 코드 운용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10597924B (zh) 基于区块链的用户标识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4236201A1 (en) Electronic device that shares data by using blockchain network,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Verma et al. Techniques for surviving the mobile data explosion
KR102632124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토큰 채굴을 이용한 포토 스튜디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2573647B1 (ko) Bi-LSTM 기반의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스마트 컨트랙트 레포지토리 구축 방법 및 시스템
CN104853056A (zh) 一种数码单反相机照片分享方法
CN110727894B (zh) 目标素材设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886718A (zh) 基于交易权重的数据存储方法及装置
KR20220106720A (ko) 경매 기반의 부동산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2439343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오리지널 ppl 상품의 유일무이성을 증명하면서 다수의 ppl 상품들의 정보를 재생 중인 미디어와 동기화하여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421786B1 (ko) 경매 기반의 부동산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2672800B1 (ko) Cnn 기반의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부동산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2451571B1 (ko) 조인 연산과 그래프 모델을 이용한 친구관계 모델링 기법에 기초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