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884B1 -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 Google Patents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884B1
KR102631884B1 KR1020230045216A KR20230045216A KR102631884B1 KR 102631884 B1 KR102631884 B1 KR 102631884B1 KR 1020230045216 A KR1020230045216 A KR 1020230045216A KR 20230045216 A KR20230045216 A KR 20230045216A KR 102631884 B1 KR102631884 B1 KR 102631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onnection
detachable
base
de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5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식
신진규
원용성
Original Assignee
중앙항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항업(주) filed Critical 중앙항업(주)
Priority to KR1020230045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3/00Control systems or transmitting systems for actuating flying-control surfaces, lift-increasing flaps, air brakes, or spoilers
    • B64C13/02Initiating means
    • B64C13/16Initiating means actuated automatically, e.g. responsive to gust detectors
    • B64C13/18Initiating means actuated automatically, e.g. responsive to gust detectors using automatic pilo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흡수연결유닛, 수평지지대, 탈착체결부, 차폐부, 카메라, 제1,2감지센서, 터치스크린패널 및 항공기에 설치되어 항공기 운행 중 항공기가 영상촬영영역에 도달되면 카메라를 매개로 영상촬영영역을 촬영하고, 촬영중 감지센서로부터 촬영방해물체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영상촬영영역을 재촬영영역으로 지정하며, 터치스크린패널로부터 재촬영영역의 최단 항공경로를 재설정하라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재촬영영역으로의 최단 항공경로를 설정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항공 촬영시 조류 등의 간섭물에 의해 촬영불량 발생이 예상될 경우 이를 회피하거나 레이저 및 음파발사기로 교란시켜 조류 등의 간섭체, 즉 촬영방해물체가 카메라 직하방에 존재하지 못하도록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AERIAL PHOTOGRAPH SYSTEM FOR ACQUIRING HIGH-PRECISION IMAGE}
본 발명은 항공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항공촬영기술은 크게 조종사와 촬영사가 비행기 조종석과 카메라 옆에 착석하여 촬영하는 유인촬영과 모형 헬리콥터나 비행선과 같이 사람을 태울 수 없는 기체에 무선송수신 제어기를 장착하여 무선으로 비행기를 조종하면서 촬영하는 무인촬영기술로 구분된다.
항공촬영시스템은 촬영기기가 장착된 비행기를 이용하여 촬영계획 지역으로 비행사가 해당 촬영구역 경로를 따라 비행기를 조종하여 이동하면 촬영사가 촬영 장치를 이용해 자료를 취득할 수 있도록 비행기, 촬영장비, 자동항법장치로 구성된다.
비행선촬영시스템은 항공측량방법이나 원격탐측기법의 고비용, 과다한 시간소요, 데이터취득절차의 복잡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수소 및 헬륨과 같이 가벼운 기체를 채울 수 있는 비행선 기낭과, 추진 및 제어기, 엔진을 탑재하고 있는 곤돌라,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촬영시스템, 지상관제시스템, 조종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촬영된 항공사진은 지형지물의 좌표 정보 등을 수치화하여 적용하고, 이렇게 확보된 수치정보를 바탕으로 각종 추가 정보를 입력하여 수치지도 제작에 이용된다. 특히 최근 컴퓨터와 소프트웨어의 발전, 촬영기술 및 항공기술의 발달, 정밀 광학 기계 및 계측기기의 발달 등은 사실감 있는 지도 제작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종래 항공촬영시스템은 카메라의 하부로 새 또는 비닐 등과 같이 일정면적을 갖는 물체가 통과할 시 카메라의 영사각 안에 물체가 들어가면서 촬영 이미지에 물체가 찍히는 일이 발생하여 촬영된 영상 이미지에 오류가 생기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때, 작업자는 항공기를 착륙시킨 후 촬영 영상 이미지를 확인하면서 촬영 영상 이미지에 오류가 발생한 사실을 알게 되고, 이를 보정하기 위해 항공기를 다시 이륙시켜 재촬영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작업이 매우 번거로웠으며, 작업비용 또한 많이 소비되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항공 촬영시 조류 등의 간섭물에 의해 촬영불량 발생이 예상될 경우 이를 회피하거나 레이저 및 음파발사기로 교란시켜 조류 등의 간섭체, 즉 촬영방해물체가 카메라 직하방에 존재하지 못하도록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항공기의 저면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하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 탈착체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차폐부; 차폐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카메라; 공기에 설치되어 카메라의 하부를 이동하는 촬영방해물체를 감지하는 제1,2감지센서; 항공기에 설치되며 무선통신모듈을 갖춘 제어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른 출력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패널; 및 항공기에 설치되어 항공기 운행 중 항공기가 영상촬영영역에 도달되면 카메라를 매개로 영상촬영영역을 촬영하고, 촬영중 감지센서로부터 촬영방해물체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영상촬영영역을 재촬영영역으로 지정하며, 터치스크린패널로부터 재촬영영역의 최단 항공경로를 재설정하라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재촬영영역으로의 최단 항공경로를 설정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흡수연결유닛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 흡수베이스부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 한 쌍의 제1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흡수베이스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흡수커넥터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마련된 판홀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 커넥터볼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 커넥터로드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 및 커넥터헤드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커넥터볼트;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제1연결부는, 커넥터볼트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 제1연결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서로 근접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 충격이 가해지면 커넥터볼에 의해 흡수베이스부는 회전됨과 아울러 제1연결바가 제1연결바디에서 이동되어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탈착체결부는,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 탈착함몰부의 내측 하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 탈착모터의 상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 탈착기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 탈착스프링의 상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 및 탈착삽입부의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가 상승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탈착승강진입부의 내측 전방에는 탈착스토퍼가 더 결합되며, 탈착스토퍼는 승강진입부의 내측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탈착경사면 및 탈착경사면의 상부에 배치되어 승강진입부의 상부면에 대해 직교하며 진입한 탈착승강부에 접촉되는 탈착높이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차폐유닛은, 탈착체결부의 하부에 결합된 개방된 영역이 형성되는 베이스바디; 베이스바디의 하부에 마련되어 베이스바디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베이스차폐바디; 베이스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의 상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1차폐바디; 제1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의 상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2차폐바디; 및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를 승강시키는 차폐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차폐구동부는, 베이스차폐바디의 하부에 마련되는 실린더바디; 실린더바디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로드;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브래킷; 실린더브래킷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와 같이 승강되는 연결유닛; 일단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된 베이스지지판을 관통하여 제1차폐바디의 제1지지판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 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연결시켜 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같이 승강시키며 승강가이드바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연결바디; 일측부는 승강가이드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승강가이드바와 같이 승강되는 상부승강바; 및 상부승강바에 마련되어 상부승강바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상부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항공 촬영시 조류 등의 간섭물에 의해 촬영불량 발생이 예상될 경우 이를 회피하거나 레이저 및 음파발사기로 교란시켜 조류 등의 간섭체, 즉 촬영방해물체가 카메라 직하방에 존재하지 못하도록 접근을 차단하여 재촬영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종래 항공촬영이미지의 모습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시스템의 구성 요소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발진기와 음파발사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체결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가 상승한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시스템의 구성 요소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공촬영시스템은, 항공기(10)에 설치되는 카메라(20)와, 항공기(10)에 설치되는 제1,2감지센서(30, 31)와, 항공기(10)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패널(40)과, 항공기(10)에 설치되는 무선통신모듈을 갖춘 제어유닛(50)을 포함한다.
이때, 항공기(10)의 저면에는 제1수직지지대(100)와 제2수직지지대(200)가 직립 설치되고, 제1수직지지대(100)와 제2수직지지대(200)는 흡수연결유닛(400)에 의해 연결되어 제1수직지지대(100)와 제2수직지지대(200)로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되며, 제1수직지지대(100)와 제2수직지지대(200)의 하단에는 수평지지대(500)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수평지지대(500)의 하부에는 탈착체결부(300)가 장착되며, 탈착체결부(300)의 하부에는 차폐부(600)가 결합되고, 차폐부(600)의 내부에는 카메라(20)가 수용된다.
상기 카메라(20)는 항공촬영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항공기(10)의 하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2감지센서(30, 31)중 제1감지센서(30)는 항공기(10)의 선단부 하면에 설치되어 간섭체, 즉 촬영방해물체(B)를 선검출하도록 설치되며, 제2감지센서(31)는 카메라(20)가 설치된 위치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카메라(20) 직하방에 존재하는 촬영방해물체(B)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초음파센서 혹은 적외선센서 등이 사용된다.
아울러, 상기 제1감지센서(30)와 간격을 두고, 레이저발진기(32)와 음파발사기(33)가 더 설치되는데, 만약 상기 제1감지센서(30)가 촬영방해물체(B)를 감지할 경우 제어유닛(50)의 제어신호에 따라 레이저발진기(32)와 음파발사기(33)가 동시에 동작하면서 지면을 향해 직하방으로 레이저 및 음파를 발진시킴으로써 촬영방해물체(B), 예컨대 새떼 등이 흩어지게 하여 카메라(20) 하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예방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2감지센서(31)에서 촬영방해물체(B)가 검출된 경우라면 이때에는 해당 지점의 촬영은 중지시키고 해당 지점에 대한 미촬영정보를 저장해 두었다고 전체 촬영종료 후 착륙하지 않고 다시 이동하여 재촬영함으로써 촬영정보에 대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패널(40)은 터치스크린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제어유닛(50)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이때, 터치스크린패널(40)은 제어유닛(5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메뉴와 제어신호에 따른 출력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메뉴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유닛(50)은 촬영할 촬영영역과, 촬영영역에 따른 항공경로를 별도의 단말장치에 의해 입력받아 항공기(10)가 항공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고, 카메라(20) 및 제1,2감지센서(30, 31)의 동작을 제어하며, 터치스크린패널(40)의 각 메뉴를 작동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50)은 터치스크린(400)을 통해 촬영영역 및 항공경로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50)은 제2감지센서(31)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지신호가 수신될 당시의 촬영 위치를 확인하여 재촬영 영역으로 지정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유닛(50)은 터치스크린패널(40)으로부터 재촬영항로설정신호가 입력되면, 재촬영 영역으로 설정된 영역까지의 최단 항공경로를 설정하여 터치스크린패널(40)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50)이 항공경로를 설정하는 것은 이미 공지된 사실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덧붙여, 상기 항공기(10)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센서(60)도 포함하는데, 상기 GNSS센서(60)는 인공위성(7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받는 통상의 것으로 제어유닛(50)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인공위성(70)은 GNSS센서(60)에 위치정보를 주는 통상의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작업자는 별도의 단말장치를 매개로 제어유닛(50)에 항공촬영을 할 대상지역을 촬영영역으로 설정하고, 촬영영역에 따른 항공경로를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촬영영역과 항공경로가 설정되면, 작업자는 항공기(10)를 이륙시켜 항공경로를 따라 항공기(10)를 운행한다.
상기 항공기(10)의 운행 중 제어유닛(50)이 GNSS센서(60)로부터 촬영영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제어유닛(50)은 카메라(20)와 제1,2감지센서(30, 31)를 작동시킨다.
이때, 도 4와 같이, 상기 카메라(20)의 촬영영역 촬영 중 새와 같은 촬영방해물체(B)가 카메라(20)의 촬영각 내로 들어오면, 제2감지센서(31)는 촬영방해물체(B)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유닛(50)으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카메라(20)에 의해 대상지역이 촬영중 일 때, 카메라(20)의 촬영각 안으로 새와 같은 촬영방해물체(B)가 지나가면, 카메라(20)의 영상 이미지에 촬영방해물체(B)가 표시되어 정확한 영상 이미지를 촬영할 수 없다.
때문에, 상기 제2감지센서(31)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유닛(50)은 감지신호가 수신된 지점의 경도 및 위도를 확인하여 해당지역을 재촬영지점으로 지정하게 된다.
다만, 이 과정은 카메라(20)의 촬영방해물체(B)를 회피할 수 있는 구조로부터 자유롭지 않을 경우에만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항공촬영과정을 통해 촬영영역에 대한 모든 촬영을 마친 작업자는 재촬영지점으로 지정된 지점에 대한 재촬영을 하기 위해 터치스크린패널(40)의 재촬영항로설정메뉴(42)를 터치한다.
이때, 제어유닛(50)은 각각의 재촬영지점(RP)까지의 최단 항공경로를 설정하고, 이를 도 6과 같이 재촬영 항공경로(AL)와 재촬영지점(RP)을 맵메뉴(41)에 나타낸다.
이후, 상기 항공기(10)는 재설정된 항공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항공기(10)가 재촬영지점(RP)에 도착하였을 때 제어유닛(50)은 카메라(20)를 작동시켜 재촬영지점(RP)를 재촬영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발진기와 음파발사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감지센서(30)가 촬영방해물체(B)의 출현을 사전에 검출하여 촬영 방해 상황이 생기지 않도록 레이저를 발진시키는 레이저발진기(32) 및 음파를 발사하는 음파발사기(33)를 상술한 바와 같이 항공기(10)의 선단부 하면에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발진기(32)는 항공기(10)의 하면에 발진브라켓(32a) 상에 볼조인트 방식으로 조립되어 레이저 발진시 공기흐름에 따라 자유롭게 유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발진되는 레이저가 랜덤하게 발진되어 일종의 교란이 생기게 하는 것이 좋다.
이것은 새떼에게 충분히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고, 음파발사기(33)는 항공기(10)의 하면에 고정된 혼(33a)의 내부에 설치되어 발사되는 음파가 확대 파동되도록 구성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발진되는 레이저와 음파에 의한 영향으로 새떼는 쉽게 흩어지면서 촬영불량의 사태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흡수연결유닛(400)은 제1수직지지대(100)와 제2수직지지대(20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제1수직지지대(100)와 제2수직지지대(200)를 연결시킨다. 또한, 흡수연결유닛(400)은 자체적으로 회전 및 길이 조절이 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흡수연결유닛(400)은, 제1수직지지대(100)와 제2수직지지대(200)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410), 흡수베이스부(410)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420), 한 쌍의 제1연결부(420)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430)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430)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100)와 제2수직지지대(200)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440)을 포함한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412)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420)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413)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의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는 판홀(411a)이 마련되어 커넥터부(413)의 커넥터볼(413a)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판홀(411a)은 커넥터볼(413a)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411)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411)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의 체결레버(412)는 하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411)에 하단부가 나사 결합되어 한 쌍의 커넥터볼(413a)을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이 가압하도록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흡수베이스부(410)의 커넥터부(413)는 일측부가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외력이 가해질 경우 흡수베이스부(410)가 위치 변형되어 흡수베이스부(410)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413)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마련된 판홀(411a)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413a), 커넥터볼(413a)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413b), 커넥터로드(413b)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413c), 커넥터헤드(413c)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4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볼트(413d) 및 커넥터볼(413a)의 외벽에 마련되어 커넥터볼(413a)이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1패킹부재(413e)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부(413)의 커넥터볼트(413d)는 제1연결부(420)의 제1연결바디(421)에 마련된 나사홈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부(413)의 제1패킹부재(413e)는 판홀(411a)의 중앙부와 커넥터볼(413a)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420)는 일측부는 커넥터부(413)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43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부(420)는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100)와 제2수직지지대(200) 중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길이가 가변되어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흡수베이스부(410)로 충격이 전달되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420)는, 커넥터부(413)의 커넥터볼트(413d)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421), 제1연결바디(421)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422)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422)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430)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4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바디(421)에는 절개홀(421a)이 마련되어 연결스프링부재(422)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연결스프링부재(422)의 신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바(423)의 일측 단부는 제2연결부(430)의 제2연결바디(431)에 나사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1연결바디(421)의 내부에 제1연결바디(4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100)와 제2수직지지대(2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연결바디(421)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때 연결스프링부재(422)는 팽창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연결바(423)에는 스토퍼 돌기가 마련되어 제1연결바(423)가 제1연결바디(4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430)는, 일측부는 제1연결부(420)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기둥브래킷(44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부(430)는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100)와 제2수직지지대(200) 중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각도가 가변되어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흡수베이스부(410)로 충격이 전달되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흡수베이스부(410)는 커넥터볼(413a)이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회전되게 마련되어 충격이 완화될 수 있고, 제2연결부(430)에서 흡수베이스부(410)로 전달되는 충격은 제1연결부(420)의 길이 가변과 연결스프링부재(422)의 신축에 의해서도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430)는, 제1연결바(423)에 탈착 결합되는 제2연결바디(431), 제2연결바디(431)에 마련되는 연결로드(432), 연결로드(432)에 마련되어 기둥브래킷(440)에 탈착 결합되는 연결볼(433) 및 연결볼(433)의 외벽에 마련되어 연결볼(433)이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2패킹부재(434)를 포함한다.
상기 제2연결부(430)의 연결볼(433)은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에 마련된 볼록부(442)에 지지되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기둥브래킷(440)은 제1수직지지대(100)과 제2수직지지대(200)에 각각 결합되며 제2연결부(430)의 연결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기둥브래킷(440)의 일측부에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가 마련되고, 이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는 너트와 볼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443)에 의해 조여져서 연결볼(433)을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기둥브래킷(440)에는 복수의 브래킷홀(444)이 마련되어 기둥브래킷(44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체결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체결부(300)는 수평지지대(500)의 하부에 장착되며, 탈착체결부(300)의 하부에는 차폐부(600)가 결합된다. 탈착체결부(300)는 차폐부(600) 및 그 내부의 카메라(20)를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착체결부(300)는, 수평지지대(500)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311)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310),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을 기준으로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312), 탈착함몰부(312)의 내측 하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330), 탈착모터(330)의 상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330)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331), 탈착기어(331)의 상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332), 탈착스프링(332)의 상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3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320),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340) 및 탈착삽입부(340)의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320)가 상승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3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탈착케이스(310)는 내부에 수용공간(311)이 형성되어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수용공간(311)을 기준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탈착함몰부(312)는 수용공간(311)의 하부에 배치되며, 탈착함몰부(312)에는 탈착모터(330), 탈착기어(331), 탈착스프링(332) 및 탈착승강부(320)가 수용될 수 있다. 탈착승강부(320)는 하강하였을 때 탈착함몰부(312) 내부에 수용되고, 상승하였을 때 탈착함몰부(312)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탈착모터(330)가 작동하면 탈착기어(331)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수평 회전할 수 있으며, 탈착기어(331)의 회전에 따라 탈착스프링(332)도 회전할 수 있다. 탈착스프링(332)이 회전하면 그 상단에 결합된 탈착승강부(320)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탈착스프링(332)은 탈착기어(331)와 탈착승강부(320) 사이를 연결하여 탈착승강부(32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탈착스프링(3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탈착승강부(320)는 평상시 상승되어 있다.
상기 탈착승강부(320)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승강경사면(321)이 형성된다. 승강경사면(321)에 의해 탈착승강부(320)는 직각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
상기 탈착삽입부(340)는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에 삽입 체결될 수 있으며, 탈착삽입부(340)의 하부에는 차폐부(600)가 결합된다. 탈착삽입부(340)는 수용공간(311)에 삽입되는 상부면과 삽입시 탈착케이스(310)의 하부에 놓이는 하부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진입부(342)는 탈착삽입부(34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탈착삽입부(340)가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에 삽입되었을 때 탈착승강부(320)는 상승하여 승강진입부(342)에 진입할 수 있다.
상기 탈착삽입부(340)의 상부면 전단에는 탈착승강부(320)의 승강경사면(321)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가지는 삽입경사면(341)이 형성된다.
상기 탈착삽입부(340)가 탈착케이스(3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진입함에 따라 삽입경사면(341)은 승강경사면(321)에 접촉되어 승강경사면(321)을 밀어서 내리고, 탈착승강부(320)는 하강하게 된다. 하강된 탈착승강부(320)는 승강진입부(342)가 위치한 지점에서 탈착스프링(332)에 의해 상승하여 승강진입부(342)에 삽입된다.
상기 승강진입부(342)의 내측 전방에는 탈착스토퍼(350)가 더 결합된다. 탈착스토퍼(350)는 승강진입부(342)의 내측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탈착경사면(351) 및 탈착경사면(351)의 상부에 배치되어 승강진입부(342)의 상부면에 대해 직교하며 진입한 탈착승강부(320)에 접촉되는 탈착높이면(352)을 포함한다.
평상시 탈착승강부(320)는 탈착스프링(332)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어 있다. 탈착삽입부(340)가 탈착케이스(310)의 후방에서부터 전방으로 진입함에 따라 삽입경사면(341)이 승강경사면(321)에 접촉되어 탈착승강부(320)를 하강시킨다. 이때,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경사면(321)은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삽입부(340)가 전방으로 진입하여 탈착승강부(320)가 승강진입부(342)에 위치하면 탈착스프링(332)의 탄성력에 의해 탈착승강부(320)는 상승하여 승강진입부(34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탈착삽입부(340)는 탈착케이스(31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착스토퍼(350)의 탈착높이면(352)은 탈착승강부(320)의 전방을 접촉 지지하므로 탈착삽입부(340)는 후방으로 이탈되지 못하고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탈착삽입부(340)를 탈착케이스(3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탈착모터(330)가 작동하여 탈착기어(331)를 회전시키고, 탈착스프링(332) 및 탈착승강부(320)는 180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승강경사면(321)은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탈착삽입부(34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승강경사면(321)은 탈착스토퍼(350)의 탈착경사면(351)에 접촉되어 탈착경사면(351)을 타고 넘어가게 되며 탈착승강부(320)는 하강된다. 탈착승강부(320)가 하강되면 탈착삽입부(340)는 탈착케이스(310)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차폐부(600)는 분리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가 상승한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폐부(600)는 내부에 배치된 카메라(20)를 외부와 차폐시킬 수 있다. 차폐부(600)는 내부 부품과 외부를 차단할 수 차폐할 수 있으므로 항공촬영장치의 운반, 설치시 카메라(20)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폐부(600)는 베이스바디(601), 베이스차폐바디(610), 제1차폐바디(620), 제2차폐바디(630), 차폐구동부(640) 및 스토퍼부(650)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바디(601)는 상하구동유닛(2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전방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후방부도 개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바디(601)의 하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지지바디(602)가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610)의 탈착 결합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돌출지지바디(602)에는 가이드절개홀(603)이 마련되고 여기에는 차폐부(600)에 마련된 실린더바디(641)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실린더바디(641)가 돌출지지바디(602)와 간섭 즉 충돌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차폐바디(610)는 베이스바디(601)의 돌출지지바디(602)에 결합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 예를 들어 베이스바디(601)의 전방 영역 또는 후방 영역을 차폐할 수 있고, 베이스바디(601)의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을 모두 차폐하는 경우 베이스바디(60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차폐바디(610)는 베이스바디(601)의 하부에 결합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을 덮고, 제1차폐바디(62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610)의 상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으며, 제2차폐바디(630)는 제1차폐바디(62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의 상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다.
상기 차폐구동부(640)의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를 승강시킨다. 상기 스토퍼부(65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와 제1차폐바디(620)에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한다.
상기 베이스차폐바디(610)의 양측에는 베이스절곡판(611)이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외벽에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절곡판(611)에는 베이스지지레일(613)이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에 마련된 제1승강레일(623)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차폐바디(610)의 중앙부에는 베이스지지판(612)이 마련된다. 베이스지지판(612)에는 베이스가이드바디(614)가 마련되어 차폐구동부(640)의 승강가이드바(645)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승강가이드바(645)에는 절개홀(645a)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바디(62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바디(620)의 양측에는 제1절곡판(621)이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외벽에 지지될 수 있다. 제1지지판(622)에는 제1승강레일(623)이 마련되고, 제1승강레일(623)은 전술한 베이스지지레일(613)에 지지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승강레일(623)에는 제1지지레일(624)이 결합되어 제2차폐바디(630)에 마련된 제2승강레일(633)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폐바디(620)의 중앙부에는 제1지지판(62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차폐바디(630)는 제1차폐바디(62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2차폐바디(630)의 양측에는 제2절곡판(631)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절곡판(631)에는 전술한 제2승강레일(633)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차폐바디(630)의 상단부에는 절곡편(632)이 마련되고, 이 절곡편(632)은 베이스바디(601)의 전방벽 또는 후방벽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차폐구동부(640)는,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차폐구동부(640)는 제어모듈(미도시)에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차폐구동부(64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의 하부에 마련되는 실린더바디(641)와, 실린더바디(641)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로드(642)와, 실린더로드(642)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브래킷(643)과, 실린더브래킷(643)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642)와 같이 승강되는 연결유닛(644)과, 일단부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지지판(612)을 관통하여 제1차폐바디(620)의 제1지지판(622)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645)와, 연결유닛(644)과 승강가이드바(645)를 연결시켜 연결유닛(644)과 승강가이드바(645)를 같이 승강시키며 승강가이드바(645)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연결바디(646)와, 일측부는 승강가이드바(645)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승강가이드바(645)와 같이 승강되는 상부승강바(647)와, 상부승강바(647)에 마련되어 상부승강바(647)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는 상부스토퍼(648)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바디(641)의 하단부는 브래킷을 이용하여 베이스차폐바디(610)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644)은, 실린더브래킷(643)에 결합되며 제1지지판(622)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연결바디(644a)와, 제1연결바디(644a)에 결합되며 제1지지판(622)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연결바디(644b)와, 일측부는 제2연결바디(644b)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승강연결바디(646)에 결합되는 제3연결바디(644c)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3연결바디(644c)는 승강가이드바(645)의 외벽을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제1연결바디(644a)와 제2연결바디(644b)와 제3연결바디(644c)는 평면상 '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가이드바(645)에는 절개홀(645a)이 마련되어 승강연결바디(646)와 승강가이드바(645)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650)는 베이스지지레일(613)과 제1지지레일(624)에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부(650)는, 스토퍼판(651)과, 스토퍼판(651)의 벽부 내측과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스토퍼볼(65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복수의 스토퍼볼(652)이 제1승강레일(623) 또는 제2승강레일(633)에 접촉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차폐구동부(640)의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차폐구동부(640)의 실린더로드(642)가 상승하면, 연결유닛(644), 연결유닛(644)과 연결된 승강가이드바(645)가 상승된다. 이때, 승강가이드바(645)의 상부에는 상부승강바(647)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부승강바(647)도 같이 상승된다.
그 결과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도 같이 상승되며, 제1차폐바디(620)는 베이스지지레일(613)에 지지되면서 상승되고, 제2차폐바디(630)는 제1지지레일(624)에 지지되어 상승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항공기 20 : 카메라 30 : 감지센서
40 : 터치스크린패널 50 : 제어유닛 60 : GNSS센서
70 : 인공위성 100 : 제1수직지지대 200 : 제2수직지지대
300 : 탈착체결부 310 : 탈착케이스 311 : 수용공간
312 : 탈착함몰부 320 : 탈착승강부 321 : 승강경사면
330 : 탈착모터 331 : 탈착기어 332 : 탈착스프링
340 : 탈착삽입부 341 : 삽입경사면 342 : 승강진입부
350 : 탈착스토퍼 351 : 탈착경사면 352 : 탈착높이면
400 : 흡수연결유닛 410 : 흡수베이스부 411 : 흡수베이스판
411a : 판홀 412 : 체결레버 413 : 커넥터부
413a : 커넥터볼 413b : 커넥터로드 413c : 커넥터헤드
413d : 커넥터볼트 413e : 제1패킹부재 420 : 제1연결부
421 : 제1연결바디 421a : 절개홀 422 : 연결스프링부재
423 : 제1연결바 430 : 제2연결부 431 : 제2연결바디
432 : 연결로드 433 : 연결볼 434 : 제2패킹부재
440 : 기둥브래킷 441 : 브래킷플랜지 442 : 볼록부
443 : 결합부재 444 : 브래킷홀 500 : 수평지지대
600 : 차폐부 601: 베이스바디 602 : 돌출지지바디
603 : 가이드절개홀 610 : 베이스차폐바디 611 : 베이스절곡판
612 : 베이스지지판 613 : 베이스지지레일 614 : 베이스가이드바디
620 : 제1차폐바디 621 : 제1절곡판 622 : 제1지지판
623 : 제1승강레일 624 : 제1지지레일 630 : 제2차폐바디
631 : 제2절곡판 632 : 절곡편 633 : 제2승강레일
640 : 차폐구동부 641 : 실린더바디 642 : 실린더로드
643 : 실린더브래킷 644 : 연결유닛 644a : 제1연결바디
644b : 제2연결바디 644c : 제3연결바디 645 : 승강가이드바
645a : 절개홀 646 : 승강연결바디 647 : 상부승강바
648 : 상부스토퍼 650 : 스토퍼부 651 : 스토퍼판
652 : 스토퍼볼

Claims (1)

  1. 항공기의 저면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하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 탈착체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차폐부; 차폐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카메라; 항공기에 설치되어 카메라의 하부를 이동하는 촬영방해물체를 감지하는 제1,2감지센서; 항공기에 설치되며 무선통신모듈을 갖춘 제어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른 출력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패널; 및 항공기에 설치되어 항공기 운행 중 항공기가 영상촬영영역에 도달되면 카메라를 매개로 영상촬영영역을 촬영하고, 촬영중 감지센서로부터 촬영방해물체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영상촬영영역을 재촬영영역으로 지정하며, 터치스크린패널로부터 재촬영영역의 최단 항공경로를 재설정하라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재촬영영역으로의 최단 항공경로를 설정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흡수연결유닛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 흡수베이스부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 한 쌍의 제1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 을 포함하며,
    상기 흡수베이스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마련된 판홀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 커넥터볼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 커넥터로드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 및 커넥터헤드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커넥터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커넥터볼트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 제1연결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 를 포함하고,
    서로 근접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 충격이 가해지면 커넥터볼에 의해 흡수베이스부는 회전됨과 아울러 제1연결바가 제1연결바디에서 이동되어 충격을 감소시키며,
    상기 탈착체결부는,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 탈착함몰부의 내측 하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 탈착모터의 상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 탈착기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 탈착스프링의 상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 및 탈착삽입부의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가 상승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진입부의 내측 전방에는 탈착스토퍼가 더 결합되며, 탈착스토퍼는 승강진입부의 내측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탈착경사면 및 탈착경사면의 상부에 배치되어 승강진입부의 상부면에 대해 직교하며 진입한 탈착승강부에 접촉되는 탈착높이면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탈착체결부의 하부에 결합된 개방된 영역이 형성되는 베이스바디; 베이스바디의 하부에 마련되어 베이스바디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베이스차폐바디; 베이스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의 상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1차폐바디; 제1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의 상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2차폐바디; 및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를 승강시키는 차폐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구동부는,
    베이스차폐바디의 하부에 마련되는 실린더바디; 실린더바디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로드;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브래킷; 실린더브래킷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와 같이 승강되는 연결유닛; 일단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된 베이스지지판을 관통하여 제1차폐바디의 제1지지판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 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연결시켜 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같이 승강시키며 승강가이드바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연결바디; 일측부는 승강가이드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승강가이드바와 같이 승강되는 상부승강바; 및 상부승강바에 마련되어 상부승강바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상부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20230045216A 2023-04-06 2023-04-06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2631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216A KR102631884B1 (ko) 2023-04-06 2023-04-06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216A KR102631884B1 (ko) 2023-04-06 2023-04-06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884B1 true KR102631884B1 (ko) 2024-01-31

Family

ID=8971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5216A KR102631884B1 (ko) 2023-04-06 2023-04-06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8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279B1 (ko) * 2018-02-12 2018-06-07 중앙항업(주)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촬영이미지 편집을 위한 정밀 항공촬영 시스템
KR101924041B1 (ko) * 2018-04-30 2018-11-30 삼부기술 주식회사 항공촬영용 스테레오 카메라의 수직방향 고정브라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279B1 (ko) * 2018-02-12 2018-06-07 중앙항업(주)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촬영이미지 편집을 위한 정밀 항공촬영 시스템
KR101924041B1 (ko) * 2018-04-30 2018-11-30 삼부기술 주식회사 항공촬영용 스테레오 카메라의 수직방향 고정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143988A (ja) 飛行体の着地装置及び測量システム及び測定方法
EP2902744B1 (en) Measuring system
KR102573683B1 (ko) 항공촬영용 스테레오카메라를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
KR100556103B1 (ko) 자동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항공촬영방법
KR101721467B1 (ko) 촬영 후 왜곡된 영상의 보정기능을 갖는 영상처리 장치
US201603788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impacts on an external surface
US11310412B2 (en) Autofocusing camera and systems
KR101893078B1 (ko) 측정된 수치정보데이터를 처리하는 3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
JP2017224123A (ja) 無人飛行装置制御システム、無人飛行装置制御方法および無人飛行装置
KR102584475B1 (ko) 지상 지형지물의 3차원 형상이미지 촬영을 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JP2018146524A (ja) 測量システム
KR102514314B1 (ko) 고정밀의 항공이미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CN111953892A (zh) 无人飞行器、检查方法及检查程序
KR102631884B1 (ko) 촬영이미지를 편집하여 고정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US20220099442A1 (en) Surveying System
KR102338776B1 (ko) 유사촬영이미지 합성을 위한 항공촬영 영상처리 시스템
JP2022143989A (ja) 飛行体の角度検出装置及び測量システム
CN112591085B (zh) 一种无人机及倾斜测量系统
CN112478968B (zh) 电梯井道巡检控制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KR102597367B1 (ko) 항공촬영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직으로 유지할수 있는 항공촬영장치
JP7343046B2 (ja) 離着陸施設、飛行体システム、及び着陸制御方法
KR102597369B1 (ko) 항공촬영용 카메라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2597368B1 (ko) 은폐된 지형지물의 항공촬영이미지를 정밀하게 획득할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CN110425999B (zh) 一种基于无人机图像的起重设备垂直度检测方法及系统
KR102608539B1 (ko) 다방향으로 항공촬영을 하여 지형지물의 입체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